KR102307739B1 -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출력장치의 제어가 가능한 전관방송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출력장치의 제어가 가능한 전관방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7739B1
KR102307739B1 KR1020190122837A KR20190122837A KR102307739B1 KR 102307739 B1 KR102307739 B1 KR 102307739B1 KR 1020190122837 A KR1020190122837 A KR 1020190122837A KR 20190122837 A KR20190122837 A KR 20190122837A KR 102307739 B1 KR102307739 B1 KR 1023077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power
unit
smartphone
public add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2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0525A (ko
Inventor
권우철
Original Assignee
아트에이브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트에이브이(주) filed Critical 아트에이브이(주)
Priority to KR10201901228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7739B1/ko
Publication of KR202100405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05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7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77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61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local area broadcast, e.g. instore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5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emergency or urge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65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for broadcast
    • H04H20/71Wireless systems
    • H04H20/72Wireless systems of terrestria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2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d protocol, e.g. IEEE 1394
    • H04N21/43635HDMI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의 스마트폰앱을 이용하여 케이블의 사용량을 줄이고 전관방송 시스템의 구성을 단순하게 되도록 개선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출력장치의 제어가 가능한 전관방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로 이루어진 다수 개의 출력장치가 구비된 전관방송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스마트폰과 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한 무선 송수신부와; 상기 무선 송수신부를 통해 음성신호 및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처리하는 음성/데이터 송수신부와; 상기 음성/데이터 송수신부로부터 수신된 음성신호를 증폭하는 음성신호 증폭부와; 상기 전원부의 전원을 받아 상기 출력부에 입력되게 하고, 입력된 전원을 출력되게 하는 전원 입출력부와; 상기 전원 입출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전류 및 전압을 승전 및 승압되게 제어하는 DC/DC 컨버터와; 상기 DC/DC 컨버터에 의해 입력되는 전원과 외부에서 입력되는 음성신호나 데이터를 처리하고 출력되게 제어하며, 상기 음성신호를 상기 스피커로 출력되게 하고, 상기 스마트폰에서 TTS 문자를 상기 출력부에 전송하여 음성으로 변환 출력 및 송출하고, 상기 출력장치의 이상 유무를 체크하는 PLC 제어부와; 상기 PLC 제어부를 통해 전달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여 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출력장치의 제어가 가능한 전관방송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출력장치의 제어가 가능한 전관방송 시스템{PUBLIC ADDRESS SYSTEM ENABLE TO CONTROL SPEAKER SYSTEM USING SMARTPHONE}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출력장치의 제어가 가능한 전관방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폰의 스마트폰앱을 이용하여 케이블의 사용량을 줄이고 전관방송 시스템의 구성을 단순하게 되도록 개선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출력장치의 제어가 가능한 전관방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관방송 시스템이란 학교, 기업체, 빌딩, 아파트, 또는 호텔 등 단일 건물이나 인접 건물에서 원하는 지역의 전체, 층별, 구역별 방송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된 시스템이다.
이러한 일반적인 전관방송 시스템의 일 실시예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전관방송 시스템(1)은, 메인 방송부(10), 방송 출력부(20) 및 모바일 단말기(3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메인 방송부(10)는 방송 출력부(20)에 전관방송을 전송할 수 있는 것으로, 전관방송에 필요한 음원을 재생하고 이를 증폭하며, 증폭된 음원을 복수 개의 방송 출력부(20)에 송출하여 방송 출력부(20)가 설치된 방송 출력 구역 각각에 전관방송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메인 방송부(10)는 한 건물에서 층으로 구분되거나 한층에서 여러 구역으로 구분된 방송 출력 구역에 설치된 방송 출력부(20)와 연결되며 방송출력부(20)에 전관방송을 송출하여 방송 출력부(20)로 하여금 전관방송을 출력하도록 방송 출력부(2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방송부(10)는 방송 출력부(20)를 이루고 있는 스피커(21)들의 전원을 온/오프함으로써 복수 개의 방송 출력 구역 중 일부의 방송 출력 구역에만 전관 방송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메인 방송부(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원 재생부(11), 앰프(12), 스피커 셀렉터(13), 메인 컨트롤러(14), 통신부(15) 및 비상판넬(17)을 포함한다.
상기 음원 재생부(11)는 전관방송에 필요한 음원을 생성할 수 있는 것으로, 카세트테이프, LP(Longplayer record)와 같은 아날로그 신호 또는 mp3, WAV, FLAC, CD와 같은 디지털 신호를 메인 컨트롤러(14)에 보내어 방송 출력부(20)에 음원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앰프(12)는 음원 재생부(11)에서 재생되는 음원을 증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피커 셀렉터(13)는 음원을 출력시키고자 하는 방송 출력 구역의 방송 출력부(20)를 메인 컨트롤러(14)의 제어에 의해 증폭된 온/오프시킬 수 있다.
이러한 스피커 셀렉터(13)는 방송 출력 구역을 사용자가 임의대로 조정하여 시험 방송, 안내 방송 등 적소에 원하는 방송을 송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컨트롤러(14)는 메인 방송부(10) 전체를 제어할 뿐만 아니라 방송 출력부(20)를 제어할 수 있으며, 방송 회로의 임피던스를 통해 방송 회로 상의 이상 유무를 판별할 수 있다. 방송 회로는 선로에 의해 연결된 메인 방송부(10)와 하나의 방송 출력 구역에 설치된 방송 출력부(20)의 스피커(21)들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통신부(15)는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3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것으로 즉, 모바일 단말기(30)와 메인 방송부(10) 간의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비상판넬(17)은 화재 발생과 같은 긴급 상황시, 메인 방송부(10)와 스피커 셀렉터(13)에서 전관방송이 출력될 것으로, 지정된 방송 출력 구역의 정보와는 무관하게 모든 상기 방송 출력 구역의 방송 출력부(20)에 비상방송을 송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송 출력부(20)는 복수 개의 스피커(21) 및 스피커(21)와 메인 방송부(10)를 잇는 선로(2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방송 출력부(20)는 방송 출력 구역 각각에 설치되어 방송 출력 구역 각각에 메인 방송부(10)로부터 전송된 전관방송을 출력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전관방송 시스템은, 케이블의 수량 및 제품 수량 증가로 설치 공간의 확보가 어렵고, 이들 폐기시 다량의 환경폐기물이 발생하고, 설치 시간이 증가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현재에는 디지털 전관방송 시스템의 도입으로 설치 공간의 확보나 케이블 수의 감소는 어느 정도 이루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전체적인 케이블의 수량 및 공간 확보는 디지털 전관방송 시스템에서도 필수 불가결한 상태로 볼 수 있다.
그리고 종래의 오디오 출력 신호를 스피커 셀렉터(13)를 활용하여 스피커(21)를 통해 오디오 신호 전달시 많은 케이블이 필요하고, 직렬 또는 병렬연결에 의한 앰프(12)의 최대 출력 임피던스를 계산하여 스피커(21)를 연결할 때 다중화 방송을 위하여 많은 앰프(12)와 스피커(21)가 필요하게 된다.
그리고 각 액티브 출력장치마다 AC 전원을 개별적으로 공급하여야 하며, 케이블에 의한 손실발생 및 라인 임피던스에 의한 앰프(12) 또는 스피커 셀렉터(13)에 무리가 가게 되어 제품의 손상을 주는 경우가 허다하게 발생되고 있다.
한편, 후술하는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문헌으로, 공개특허 제10-2014-0005611호(2014년 01월 15일, 공개)의 간편 배선설비를 이용한 전관방송 출력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스마트폰의 스마트폰앱을 이용하여 케이블의 사용량을 줄이고 전관방송 시스템의 구성을 단순하게 되도록 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출력장치의 제어가 가능한 전관방송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출력장치의 제어가 가능한 전관방송 시스템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로 이루어진 다수 개의 출력장치가 구비된 전관방송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스마트폰과 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한 무선 송수신부와;
상기 무선 송수신부를 통해 음성신호 및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처리하는 음성/데이터 송수신부와;
상기 음성/데이터 송수신부로부터 수신된 음성신호를 증폭하는 음성신호 증폭부와;
상기 전원부의 전원을 받아 상기 출력부에 입력되게 하고, 입력된 전원을 출력되게 하는 전원 입출력부와;
상기 전원 입출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전류 및 전압을 승전 및 승압되게 제어하는 DC/DC 컨버터와;
상기 DC/DC 컨버터에 의해 입력되는 전원과 외부에서 입력되는 음성신호나 데이터를 처리하고 출력되게 제어하며, 상기 음성신호를 상기 스피커로 출력되게 하고, 상기 스마트폰에서 TTS 문자를 상기 출력부에 전송하여 음성으로 변환 출력 및 송출하고, 상기 출력장치의 이상 유무를 체크하는 PLC 제어부와;
상기 PLC 제어부를 통해 전달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을 통해 또는 외부에서 지진경보가 상기 출력부로 입력되면, 상기 스피커를 통해 지진경보 방송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을 통해 화재 또는 재난방송의 경보가 상기 출력부로 입력되면, 상기 스피커를 통해 화재 및 재난경보 방송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에는 HDMI 케이블이 연결되어 영상 송수신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외부 전원이 입력되게 구비된 전원 입력부와; 상기 전원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제1 DC/DC 컨버터와; 상기 제1 DC/DC 컨버터가 제어한 전원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1 PLC 제어부와; 상기 제1 DC/DC 컨버터로부터 입력된 전원이 상기 출력부로 출력되도록 구비된 전원 출력부;를 포함하여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출력장치는 개별 ID가 부여된 서버와 클라이언트와 상호간 통신이 가능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스마트폰을 통해 접속이 가능하여, 상기 출력장치를 원격으로 제어 가능하고, 상기 출력장치 각각에는 고유 ID가 부여되어, 상기 서버와 상기 클라이언트간 다원화 방송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공급 전원 전압을 출력장치별로 링크하여 다음 출력장치로 전달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TTS 문자 전송하여 출력장치에서 음성으로 변환하여 방송이 가능하고, 지진 정보 전송과, CCTV와 HDMI 케이블 연결이 가능하고, 스마트폰의 스마트폰앱을 이용함으로써 실내의 공간 확보의 어려움, 외부 노출 케이블의 과다, 고가의 방송시스템 사용에 따른 비용 증가, 환경폐기물의 증가, 대기전력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전관방송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출력장치의 제어가 가능한 전관방송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출력장치의 제어가 가능한 전관방송 시스템의 출력장치 연결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출력장치의 제어가 가능한 전관방송 시스템의 출력장치와 서버 및 클라이언트간 통신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출력장치의 제어가 가능한 전관방송 시스템의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출력장치의 제어가 가능한 전관방송 시스템의 출력장치 연결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출력장치의 제어가 가능한 전관방송 시스템의 출력장치와 서버 및 클라이언트간 통신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출력장치의 제어가 가능한 전관방송 시스템은, 우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01)와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102)로 이루어진 다수 개의 출력장치(100-1~100-n)와, 이 출력장치(100-1~100-n)와 연결되어 출력장치(100-1~100-n)를 제어하는 스마트폰앱(310)이 구비된 스마트폰(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도 2는 도 3에 도시된 여러 출력장치(100-1~100-n) 중 하나인 출력장치1(100-1)을 상세 구성을 나타내 보인 것이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우선, 상기 전원부(10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전원이 입력되게 구비된 전원입력부(110)와, 이 전원입력부(110)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제1 DC/DC 컨버터(120)와, 이 제1 DC/DC 컨버터(120)가 제어한 전원이 외부로 출력되게 하거나 전류 및 전압이 승전 및 승압되도록 제어하는 제1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제어부(130)와, 상기 제1 DC/DC 컨버터(120)로부터 입력된 전원이 출력부(102)로 출력되도록 구비된 전원출력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출력부(10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앱(310)이 구비된 스마트폰(300)과 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한 무선 송수신부(170)와, 이 무선 송수신부(170)를 통해 음성신호(또는 오디오신호) 및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처리하는 음성/데이터 송수신부(210)와, 이 음성/데이터 송수신부(210)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는 음성신호 증폭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무선 송수신부(170)는 Wi-Fi나 5G(5세대) 이동통신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한 5G에서는 유선과 무선의 차이가 없는 대용량 고속데이터 이용 환경이 가능하며, 고밀집 기기접속 환경이 구현되며, 많은 기기를 저렴하게 접속하여 다양한 정보 취합 및 기기 제어가 가능하고, 여러 산업군에 적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재난대책 및 돌발상황에 따른 자율주행차 등의 대응속도를 향상 시켜 안정성을 구축하는데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기술과 망으로 유선 및 브로드밴드망을 이용 관리 및 서비스가 쉽게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부(102)는, 전원부(101)의 전원이 출력부(102)에 인가되고 출력되도록 하는 전원 입출력부(150)와, 이 전원 입출력부(150)로부터 입력되는 전압을 제어하는 제2 DC/DC 컨버터(160)와, 이 제2 DC/DC 컨버터(160)에 의해 입력되는 전원과 음성신호 증폭부(220)로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스피커(240)로 출력되게 하고, 상기 스마트폰(300) 또는 스마트폰앱(310)에서 TTS 문자를 출력부(102)에 전송하여 음성으로 변환 출력 및 송출하고, 상기 출력장치(100-1~100-n)의 이상 유무의 확인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제2 PLC 제어부(230)와, 이 제2 PLC 제어부(230)를 통해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비상시 스마트폰(300)의 스마트폰앱(310)은 출력부(102)에 TTS(Text To Speech) 문자(비상문자)를 전송하여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스마트폰(300)의 오디오 신호를 출력부(102)에서 수신하여 스피커(240)를 통해 출력한다.
그리고 스마트폰(300)을 통해 화재 또는 재난방송의 경보가 출력부(102)로 입력되면, 스피커(240)를 통해 화재 및 재난경보 방송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출력부(102)에는 HDMI 케이블(103)이 연결되어 영상 송수신이 가능하고, 상기 출력부(102)는, 이 출력부(102)에 연결된 CCTV(104)를 제어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컴퓨터(200)는 전관방송 시스템의 통합 제어 및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 컴퓨터(200)와 출력장치(100)는 다수의 출력장치(100-1~100-n)와 음성신호와 데이터의 송수신은 물론이고 전원의 전송도 가능하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출력장치(100-1~100-n)는 개별 ID가 부여된 서버(10)와 클라이언트(1~n)와 상호간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하게 구비된다.
또한, 상기 서버(10)는 다수의 스마트폰(300-1~300-n)을 통해 접속이 가능하여, 상기 출력장치(100-1~100-n)를 원격으로 제어 가능하다.
이러한 상기 출력장치(100-1~100-n) 각각에는 고유 ID가 부여되어, 상기 서버(10)와 클라이언트(1~n)간 다원화 방송이 가능하다.
그리고 서버(10)와 상기 클라이언트(1~n)간의 개별 ID가 부여되어, 상호간의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하며, 선 입력 클라이언트에게 순차적 우선권 행사가 가능하여 국부적인 방송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컴퓨터(200)와 출력장치(100-1~100-n)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UTP 케이블(Unshielded Twisted-Pair Wire)(50)을 통해 연결되어 컴퓨터(200)와 연동이 가능하고, 음성신호를 포함하는 데이터 송수신은 물론이고, 전원부(101)의 전원도 제공이 가능하다.
도 3에서 도면번호 51은 전원출력라인이고, 도면번호 52는 데이터 신호 전송라인이다.
따라서 전원부(101)는 공급 전원 전압을 각 출력장치(100-1~100-n)별로 링크하여 다음 출력장치(100-1~100-n)로 전달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출력부(102)에는 진동이나 지진파 발생을 감지하는 지진감지센서(미도시)가 구비되되, 이 지진감지센서의 감지신호는 출력부(102)에서 제2 PLC 제어부(230)를 통해 스마트폰(300)으로 전송 가능하고, 스피커(240)를 통해 지진경고방송도 가능하다.
또한, 지진경보도 상기 스마트폰(300)의 스마트폰앱(310)을 통해 출력부(102)의 제2 PLC 제어부(230)로 전송되어 스피커(240)를 통해 지진경고방송도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출력장치의 제어가 가능한 전관방송 시스템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출력장치의 제어가 가능한 전관방송 시스템은, 스마트폰앱(310)을 이용하여 출력장치(100-1~100-n)의 출력부(102)를 구동하는 무선 시스템을 적용하여 환경 폐기물의 감소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으로, 무선 송수신부(170)를 통해 스마트폰(300)의 시스템 구동앱인 스마트폰앱(310)을 이용하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상기 출력부(102)를 구동하여 화재 또는 지진 등의 비상시 TTS 문자 전송을 하여 음성으로 변환되어 출력되도록 하고, 스마트폰(300)의 오디오 신호를 전달 할 뿐만 아니라 출력장치(100-1~100-n)간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각 기기의 작동상태 및 이상 유무를 스마트폰(300)으로 전송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10)와 클라이언트(1~n)간의 개별적인 ID를 부여함으로써, 상호간의 네트워크 통신으로 국부적인 지역 및 원거리 도서 산간 지역의 방송 음향 지원 및 신속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버(10)와 클라이언트(1~n)간 동일한 권한을 주어 혼동이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클라이언트(1~n)의 권한을 축소하여 서버(10)를 제외한 선 입력 클라이언트에게 순차적 우선권을 행사하도록 하여 타 클라이언트에게 영향을 주지 않으며, 국부적인 지역 및 원거리 도서산간 지역에 방송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CCTV(104) 또는 태그(TAG)를 이용하여 주차관리 및 보안 시스템과의 연결이 가능하고, GPS와 연결하여 위치추적이 가능하며, HDMI 케이블(103)을 연결하여 영상 전달이 가능하여 스마트폰(300)과 연계하여 IoT(사물간 인터넷통신) 구현이 가능하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출력장치의 제어가 가능한 전관방송 시스템을 통해 스마트폰(300)을 활용하는 기술에 대해 설명한다.
스마트폰앱(310)을 이용하여 출력부(102)로 오디오 신호 및 데이터 전송을 하고, Wi-Fi나 5G 이동통신 등의 무선 시스템을 이용하여 전관방송 시스템을 구동한다.
그리고 UTP 케이블(50)을 통해 컴퓨터(200)와 출력장치(100-1~100-n)의 연동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출력장치(100-1~100-n) 각각에 고유 ID를 부여하여 서버(10)와 클라이언트(1-n)간 다원화 방송이 가능하며, 데이터 및 TTS 문자 송수신에 의한 음성 송출 및 출력과, 출력장치(100-1~100-n)의 이상 유무의 확인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출력부(102)에는 지진감지센서가 구비되어 있어, 예컨대, 건물의 진동이나 지진파 발생시 이를 인지하여 스마트폰(300)으로 지진 정보를 전송한다.
또한, GPS에 의한 위치 추적이 가능하고, CCTV(104) 및 태그(TAG)에 의한 주차관리 및 보안 시스템과의 연결이 가능하고, HDMI 케이블(103)을 연결하여 영상 전달이 가능하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출력장치의 제어가 가능한 전관방송 시스템의 출력장치(100)를 활용하는 기술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원부(101)는 출력전압 터미널을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아 전원 전압을 각 출력장치(100-1~100-n)별로 링크하여 다음 출력장치(100-1~100-n)로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출력부(102)로 인가된 전원부(101)의 출력 전원 전압을 각 출력장치(100-1~100-n)의 전원 인입 터미널을 통하여 공급받고, 출력부(102)에 구비된 제2 DC/DC 컨버터(160)를 이용하여 각 출력장치(100-1~100-n)의 스피커(240) 용량에 맞는 앰프의 구동을 위한 전압 출력이 가능하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출력장치(100-1~100-n) 연결시 발생하는 전원 전압의 부하에 의한 전원 댐핑 효과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출력부(102)의 제2 DC/DC 컨버터(160)에 의한 승압 및 승전을 하여 일정 비율의 프리볼트(Free Voltage) 구동이 가능하다.
그리고 외부 전원 연결부(AC 전원)에 의한 전원 케이블을 사용하지 않고 출력장치(100-1~100-n) 구동시 전원부(101)로 공급받은 전원을 제1 DC/DC 컨버터(120)를 사용하여 공급되는 전원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송수신부(170)의 경우, Wi-Fi나 5G 이동통신의 무선 네트워크를 적용하여 출력장치(100-1~100-n)를 구축할 수 있다.
그리고 스마트폰(300)과 연동하여 구동되도록 제2 PLC 제어부(230)가 구비되고, 스마트폰(300)과 TTS 문자 전송에 의한 실시간 운용 및 원격제어가 가능하며, 스마트폰앱(310)을 활용하여 ID를 부여받은 각 출력장치(100-1~100-n)에 PLC 제어에 의한 구역 할당으로 다원화 방송 시스템 구성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스마트폰앱(310)을 활용하여 출력장치(100-1~100-n)의 이상 유무를 UTP 케이블(50)을 이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스마트폰(300)을 활용한 출력부(102)의 데이터 전송 케이블 링크에 의한 데이터 및 오디오 신호 전송이 가능하고, D/A 컨버터를 활용한 출력장치(100-1~100-n)의 앰프 구동 및 제2 PLC 제어부(230)에 의한 앰프 이상 유무 진단 결과를 스마트폰(300)에 전달하는 IoT 구현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출력장치의 제어가 가능한 전관방송 시스템은, 급변하는 정보통신 분야의 방송 및 음향 시스템의 구축에 있어, 다수의 기기와 다량의 케이블을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현재 널리 이용되고 있는 스마트폰(300)을 활용하여 TTS 문자 전송, 지진 정보 전송, CCTV(104)와 HDMI 케이블(103)을 연결하여 장비의 축소가 가능하다.
또한, 케이블의 감소를 위하여 스마트폰앱(310)을 사용함으로써, 실내의 공간 확보, 외부 노출 케이블의 과다, 고가의 방송시스템에 따른 비용 증가, 환경폐기물의 증가 및 대기전력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출력장치
110. 제1 PLC 제어부
120. 제1 DC/DC 컨버터
140. 전원출력부
150. 전원 입출력부
160. 제2 DC/DC 컨버터
170. 무선 송수신부
210. 음성신호 증폭부
230. 제2 PLC 제어부
240. 스피커
300. 스마트폰
310. 스마트폰앱

Claims (8)

  1.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01)와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102)로 이루어진 다수 개의 출력장치(100-1~100-n)가 구비된 전관방송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102)는,
    스마트폰(300)과 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한 무선 송수신부(170)와;
    상기 무선 송수신부(170)를 통해 음성신호 및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처리하는 음성/데이터 송수신부(210)와;
    상기 음성/데이터 송수신부(210)로부터 수신된 음성신호를 증폭하는 음성신호 증폭부(220)와;
    상기 전원부(101)의 전원을 받아 상기 출력부(102)에 입력되게 하고, 입력된 전원을 출력되게 하는 전원 입출력부(150)와;
    상기 전원 입출력부(150)로부터 입력되는 전류 및 전압을 승전 및 승압되게 제어하는 제2 DC/DC 컨버터(160)와;
    상기 제2 DC/DC 컨버터(160)에 의해 입력되는 전원과 외부에서 입력되는 음성신호나 데이터를 처리하고 출력되게 제어하며, 상기 음성신호를 스피커(240)로 출력되게 하고 상기 스마트폰(300)과 연동 및 구동되어, 상기 스마트폰(300)의 스마트폰앱(310)에서 TTS 문자를 상기 출력부(102)에 전송하여 음성으로 변환 출력 및 송출하고, 상기 스마트폰(300)과 TTS 문자 전송에 의한 실시간 운용 및 원격제어가 가능하게 하며, 상기 출력장치(100-1~100-n)의 이상 유무를 체크하고, 앰프 이상 유무 진단 결과를 상기 스마트폰(300)에 전달하는 제2 PLC 제어부(230)와;
    상기 제2 PLC 제어부(230)를 통해 전달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240);를 포함하되,
    또한, 상기 전원부(101)는,
    외부 전원이 입력되게 구비된 전원 입력부(110)와;
    상기 전원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제1 DC/DC 컨버터(120)와;
    상기 제1 DC/DC 컨버터(120)가 제어한 전원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1 PLC 제어부(130)와;
    상기 제1 DC/DC 컨버터(120)로부터 입력된 전원이 상기 출력부(102)로 출력되도록 구비된 전원 출력부(140);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부(101)는 공급 전원 전압을 출력장치(100-1~100-n)별로 링크하여 다음 출력장치(100-1~100-n)로 전달하고,
    또한, 상기 출력부(102)로 인가된 상기 전원부(101)의 출력 전원 전압을 상기 각 출력장치(100-1~100-n)의 전원 인입 터미널을 통하여 공급받고, 상기 제2 DC/DC 컨버터(160)를 이용하여 상기 각 출력장치(100-1~100-n)의 스피커(240) 용량에 맞는 앰프의 구동을 위한 전압 출력이 가능하고,
    상기 다수의 출력장치(100-1~100-n) 연결시 발생하는 전원 전압의 부하에 의한 전원 댐핑 효과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상기 제2 DC/DC 컨버터(160)에 의한 승압 및 승전을 하여 일정 비율의 프리볼트 구동이 가능하며,
    상기 출력장치(100-1~100-n) 구동시 상기 전원부(101)로 공급받은 전원을 상기 제1 DC/DC 컨버터(120)를 사용하여 공급되는 전원을 사용하고,
    상기 스마트폰앱(310)으로 상기 출력장치(100-1~100-n)의 이상 유무를 UTP 케이블(50)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출력장치의 제어가 가능한 전관방송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300)을 통해 또는 외부에서 지진경보가 상기 출력부(102)로 입력되면, 상기 스피커(240)를 통해 지진경보 방송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출력장치의 제어가 가능한 전관방송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300)을 통해 화재 또는 재난방송의 경보가 상기 출력부(102)로 입력되면, 상기 스피커(240)를 통해 화재 및 재난경보 방송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출력장치의 제어가 가능한 전관방송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102)에는 HDMI 케이블(103)이 연결되어 영상 송수신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출력장치의 제어가 가능한 전관방송 시스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장치(100-1~100-n)는 개별 ID가 부여된 서버(10)와 클라이언트(1~n)와 상호간 통신이 가능하고, 상기 서버(10)는 다수의 스마트폰(300-1~300n)을 통해 접속이 가능하여, 상기 출력장치(100-1~100-n)를 원격으로 제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출력장치의 제어가 가능한 전관방송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장치(100-1~100-n) 각각에는 고유 ID가 부여되어, 상기 서버(10)와 상기 클라이언트(1~n)간 다원화 방송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출력장치의 제어가 가능한 전관방송 시스템.
  8. 삭제
KR1020190122837A 2019-10-04 2019-10-04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출력장치의 제어가 가능한 전관방송 시스템 KR1023077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2837A KR102307739B1 (ko) 2019-10-04 2019-10-04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출력장치의 제어가 가능한 전관방송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2837A KR102307739B1 (ko) 2019-10-04 2019-10-04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출력장치의 제어가 가능한 전관방송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0525A KR20210040525A (ko) 2021-04-14
KR102307739B1 true KR102307739B1 (ko) 2021-10-01

Family

ID=75477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2837A KR102307739B1 (ko) 2019-10-04 2019-10-04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출력장치의 제어가 가능한 전관방송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77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2493B1 (ko) * 2021-09-28 2022-03-10 주식회사 동천아이엔씨 원격 이중화 방송 시스템
KR102389905B1 (ko) * 2021-09-28 2022-04-22 주식회사 동천아이엔씨 원격 이중화 방송 제어기
KR102432369B1 (ko) * 2021-11-05 2022-08-16 (주)신화유디텍 비상방송제어 시스템
KR102384478B1 (ko) * 2021-11-05 2022-04-08 (주)신화유디텍 음성인식 기능을 이용한 비상방송 제어기
KR102384480B1 (ko) * 2021-11-05 2022-04-08 (주)신화유디텍 비상방송 기능을 가진 오디오 매트릭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4695Y1 (ko) * 2004-12-20 2005-05-17 주식회사 한성전자산업개발 문자음성변환을 이용한 비상재난/재해메시지 전송시스템
KR101989561B1 (ko) * 2019-01-23 2019-06-14 주식회사 담소리 지능형 it 융합 스마트 전관방송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8584A (ko) * 2010-06-21 2011-12-28 주식회사 케빅 전관 방송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4695Y1 (ko) * 2004-12-20 2005-05-17 주식회사 한성전자산업개발 문자음성변환을 이용한 비상재난/재해메시지 전송시스템
KR101989561B1 (ko) * 2019-01-23 2019-06-14 주식회사 담소리 지능형 it 융합 스마트 전관방송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0525A (ko) 2021-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7739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출력장치의 제어가 가능한 전관방송 시스템
EP228657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implified interconnection and control of audio components of an home automation system
US20040220687A1 (en)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receiving and processing audio control signals in information systems
US10491751B2 (en) Retrofit digital network speaker system
US20110164754A1 (en) Loudspeaker Device
EP3145211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NL2006494C2 (en) Isolator device for passing through a signal.
KR100417495B1 (ko) 매트릭스 회로를 통한 스피커 및 앰프 제어구조를 갖는방송시스템
KR101247185B1 (ko) 하이 임피던스 방송출력신호의 디지털 모니터링장치를 구비한 구내방송시스템
KR102387447B1 (ko) 안전 기능 강화 형 전관 방송 중계기
KR100974524B1 (ko) 스피커 장치 및 시스템
US20160088411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dular on-demand audio processing, amplification and distribution
JP2012073938A (ja) 音響警報システム
KR101017681B1 (ko) 디지털 네트워크 방송 시스템
KR100923488B1 (ko) 지역방송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관방송시스템
CN101764654A (zh) 使用多个无线转发实现可寻址广播的定压广播系统
KR100883906B1 (ko) 학교 방송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102152257B1 (ko) 스마트폰 운영체제 기반의 전관방송 시스템용 멀티스피커 컨트롤러
CN110089133B (zh) 用于监测至少一个扬声器线的方法和装置
KR100817789B1 (ko) Plc 스피커 시스템
KR102571860B1 (ko) 양방향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전관방송 시스템 및 방법
KR200427297Y1 (ko) 양방향 구내 방송용 제어장치
KR200276739Y1 (ko) 구내 유선방송장치
CN220254567U (zh) 一种基于围墙机、栋门口机和室内机的无线组网系统
JP2002218584A (ja) デジタル/アナログ変換マイクロホンコンセントプレ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