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8201A - 일체형 강당 통합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일체형 강당 통합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128201A KR20100128201A KR1020090046702A KR20090046702A KR20100128201A KR 20100128201 A KR20100128201 A KR 20100128201A KR 1020090046702 A KR1020090046702 A KR 1020090046702A KR 20090046702 A KR20090046702 A KR 20090046702A KR 20100128201 A KR20100128201 A KR 2010012820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rol
- broadcast
- stage
- signal
- broadcast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5/00—Auxiliaries for producing special effects on stages, or in circuses or arenas
- A63J5/02—Arrangements for making stage effects; Auxiliary stage appliance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공연 또는 행사를 위해 방송장치, 조명장치, 무대장치 등이 복합적으로 설치된 시설물에 있어서, 방송장치, 조명장치 및 무대장치를 제어하는 각각 독립된 제어장치를 2가지이상 조합하여 일체형으로 구비하여, 방송장치, 조명장치, 무대장치를 한 장소에서 공연에 적합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일체형 통합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공연 중 독립적으로 각기 다른 장소에서 각각의 장비의 제어를 위하여 이동하지 않고, 방송장치, 조명장치 및 무대장치를 동일 장소에서 일체형으로 조합하여 종합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일체형 강당 통합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각각의 장소에서 방송장치, 조명장치 및 무대장치를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제어장치들을 조합하여 일체형으로 구비함으로써, 한 장소에서 방송장치, 조명장치, 무대장치 중 적어도 두 개 이상을 조합하여 공연에 적합하게 통합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방송장치, 조명장치 및 무대장치에 대한 일체형 강당 통합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예약, 타이머, 통합, 제어
Description
본 발명은 각종 공연 또는 행사를 위해 방송장치, 조명장치, 무대장치 등이 복합적으로 설치된 시설물에 있어서, 방송장치, 조명장치 및 무대장치를 제어하는 각각 독립된 제어장치를 2가지이상 조합하여 일체형으로 구비하여, 방송장치, 조명장치, 무대장치를 한 장소에서 공연에 적합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일체형 통합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공연 중 독립적으로 각기 다른 장소에서 각각의 장비의 제어를 위하여 이동하지 않고, 방송장치, 조명장치 및 무대장치를 동일 장소에서 일체형으로 조합하여 종합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일체형 강당 통합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극, 오페라, 뮤지컬 또는 콘서트와 같은 행사가 공연되는 공연장에는 방송장치, 조명장치 및 무대장치들이 복합적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음향장치, 조명장치 및 무대장치는 개별적인 제어장치에 의해 제어되고 있다.
따라서, 공연을 총괄하는 관리자는 개별적인 제어장치를 이용하여 각 장치들 의 동작상태를 개별적으로 모니터링하면서, 그 동작을 제어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방송장치(음향장치), 조명장치 및 무대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각각의 장소에 설치되어 있는 개별적인 제어장치에 의해 제어될 수도 있으나, 각 공연장을 직접 방문하고 있는 관리자가 이용하는 원격 제어장치에 의해서도 제어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이러한 제어장치 역시 각 장치마다 개별적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은 세 개의 장치(방송장치, 조명장치 및 무대장치)를 종합적으로 제어하고자 하는 관리자는 세 개의 원격 제어장치를 구비하고 있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각각의 장소에서 방송장치, 조명장치 및 무대장치를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제어장치들을 조합하여 일체형으로 구비함으로써, 한 장소에서 방송장치, 조명장치, 무대장치 중 적어도 두 개 이상을 조합하여 공연에 적합하게 통합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방송장치, 조명장치 및 무대장치에 대한 일체형 강당 통합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공연장에 설치되어 방송신호를 출력하 는 방송장치와, 상기 공연장으로 조명을 방출하기 위한 조명장치와, 상기 공연장에 설치되며 구동기에 의한 이동이 요구되는 무대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주 제어장치; 상기 방송장치와 조명장치와 무대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신호를, 상기 주 제어장치로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방송장치, 조명장치, 무대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장치로 전송할 수 있는 원격 제어장치; 및 상기 주 제어장치, 방송장치, 조명장치, 무대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기 원격 제어장치 간의 통신을 중계하기 위한 액세스 포인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관리자가 방송장치, 조명장치 및 무대장치를 공연에 적합하도록 한 장소에서 통합적으로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관리자가 각각의 제어장치가 있는 장소로 이동하지 않고 보다 편리하게 각 장치들을 제어하도록 하여 원활한 공연을 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강당 통합 제어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강당 통합 제어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연장에 설치되어 방송신호를 출력하는 방송장치(200), 공연장에 다양한 색상의 빛을 방출하는 조명장치(300), 공연장에 설치되며 다양한 방향으로의 이동이 요구되는 무대장치(400), 상기 방송장치와 조명장치와 무대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주 제어장치(100), 상기 방송장치와 조명장치와 무대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신호를 주 제어장치로 전송할 수 있는 원격 제어장치(600) 및 주 제어장치와 원격 제어장치 간의 통신을 중계하기 위한 액세스 포인트(500)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은 방송장치, 조명장치, 무대장치와 같이 공연장(강당)에 구비되어 있는 장치들 중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장치를 통합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주 제어장치(100)는, 상기한 바와 같이 특정 장소(방송실)에 고정 설치되어 공연장에 설치된 방송장치, 조명장치 및 무대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주 제어장치의 입력단자를 통해 직접 제어신호를 입력받거나, 원격 제어장치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주 제어장치는, 방송장치, 조명장치, 무대장치 및 액세스 포인트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140), 방송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입력받아 그에 따른 방송신호를 방송장치로 송출하기 위한 방송장치 제어부(110), 조명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신호를 입력받아 그에 따른 조명신호를 조명장치로 송출하기 위한 조명장치 제어부(120), 무대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입력받아 그에 따른 무대신호를 무대장치로 송출하기 위한 무대장치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방송장치 제어부(110)는 공연장에 설치된 방송장치에서 출력될 방송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에 대하여는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조명장치 제어부(120)는 공연장에 설치된 조명장치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조명신호를 생성하여 조명장치로 송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조명장치에 포함된 각각의 조명의 조도 또는 색상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무대장치 제어부(130)는 공연장에 설치된 무대장치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무대신호를 생성하여 무대장치로 송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무대장치에 포함된 각각의 구동기를 구동시킴으로써, 공연장에 드리워진 막을 내리거나 올릴 수 있으며, 또는 조명장치의 위치를 조절하거나, 무대에 설치된 각종 설비들의 위치 또는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40)는 방송장치, 조명장치, 무대장치와 주 제어장치 간의 통신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주 제어장치가 각 공연장에 설치되어 있는 액세스 포인트와 통신을 수행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주 제어장치(100)의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AC 전원으로 구동되는 것이나, 본 발명은 각 구성요소들을 AC 또는 DC 겸용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각 방송장치(200), 조명장치(300), 무대장치(400) 및 주 제어장치의 각 구성요소들에는, 화재와 같은 비상상황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가 장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센서로부터 감지신호가 전송되어오면, 주 제어장치의 방송장치 제어부 또는 조명장치 제어부 또는 무대장치 제어부는 비상상황으로 인식하여 자동으로 모든 구성요소들의 AC 전원을 DC 전원으로 변환시킴으로써, 비상시 AC 전원이 단절되더라도 소방 법령에 의한 법정 방송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방송장치(200)는 각종 방송신호(음향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에 대하여는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조명장치(300)는 공연장에 다양한 색상의 빛을 방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양한 종류의 색상을 방출하는 다수의 조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조명장치는 무대장치의 구동기에 의해 그 위치가 제어될 수 있다.
무대장치(400)는 무대에 설치되며 다양하게 동작되는 각종 장비를 말하는 것으로서, 무대를 가리거나 개봉하기 위한 막이 포함될 수 있고, 공연장의 무대를 움직이는 장비 또는 무대에 설치되어 동작되는 각종 소품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장비들은 각 구동기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한편, 무대장치에는 조명장치를 지지하는 조명지지 장비가 포함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조명지지 장비 역시 구동기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500)는 주 제어장치와 원격 제어장치 간의 통신을 중계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에 대하여는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원격 제어장치(600)는 방송장치와 조명장치와 무대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신호를 주 제어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에 대하여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방송장치 제어부의 일실시예 구성도로서, 도 1에 도시된 방송장치 제어부(11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방송장치 제어부(110)는 방송장치(200)로 방송될 방송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마이크를 통해 관리자로부터 직접 음성을 입력받아 방송장치로 송출하기 위한 음성 송출기(113), 카메라, CD 플레이어, DVD 플레이어 등 과 같은 영상 재생 장치로 구성되어 다양한 영상을 방송장치로 송출하기 위한 영상 송출기(112) 및 TV 방송 수신기, 케이블 방송 수신기, 위성 방송 수신기 등으로 구성되어 방송국으로부터 수신된 다양한 방송을 방송장치로 송출하기 위한 방송 송출기(111)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도면으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방송장치 제어부에는 프리앰프, 파워앰프 등이 구비되어 있어서, 음성 송출기, 영상 송출기 또는 방송 송출기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의 크기를 증폭시켜 방송장치(200)로 송출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앰프는, 디지털 앰프 또는 아나로그 앰프로 구성될 수 있는데, 디지털 앰프의 경우는 방송실에서 관리자가 방송장치 제어부를 직접 제어하는 방법 또는 이하에서 설명될 원격 제어장치에서 전송되는 디지털 앰프 제어신호에 의해 직접 반응하여 음성의 크기를 증폭시켜 방송장치로 송출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아나로그 앰프인 경우에는 방송실에서 관리자가 방송장치 제어부를 직접 제어하는 방법에 의해서는 구동이 가능하나, 원격 제어장치에서 전송되는 디지털 앰프 제어신호에 의해서는 구동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방송장치 제어부(110)에서 사용되는 앰프가 아나로그 앰프(110c)인 경우에도, 원격 제어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디지털 앰프 제어신호에 의한 제어가 가능하도록,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장치 제어부(110)에 아나로그 입력기(110a) 및 디지털 입력기(110b)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즉, 관리자가 방송실에서 직접 방송장치 제어부의 아나로그 앰프(110c)를 제어하여 비상방송 등의 출력시에 음성의 크기를 보다 크게 증폭시키고자 할 경우에 는 아나로그 입력기(110a)로 제어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가 방송실이 아닌 독립된 공간에서 원격 제어장치를 이용하여 아나로그 앰프를 제어하기 위한 디지털 앰프 제어신호를 전송한 경우, 방송장치 제어부는, 원격 제어장치로부터 전송되어온 디지털 앰프 제어신호를 디지털 입력기(110b)로 전송한다. 이때, 디지털 입력기(110b)는 전송되어온 디지털 앰프 제어신호를 아나로그 앰프(110c)에서 사용가능한 제어신호로 변환하여 아나로그 앰프(110c)로 입력시킴으로써, 아나로그 앰프가 음성을 증폭시켜 송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주 제어장치에 적용되는 앰프가 아나로그 앰프인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방송장치(200)에도 앰프가 구비되어, 입력된 음성을 증폭시킬 수 있는데, 방송장치에 적용되는 앰프가 아나로그 앰프인 경우에도 상기한 바와 같이, 아나로그 입력기 및 디지털 입력기를 추가적으로 구비함으로써, 아나로그 앰프 제어신호 또는 디지털 앰프 제어신호 모두에 의해 음성을 증폭시킬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방송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로서, 도 1에 도시된 방송장치(200)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방송장치(200)는 독립된 공간에 설치되어 주 제어장치(100)의 제어에 따라 방송을 출력하기 위한 것으로서, 방송장치 제어부에서 송출된 방송신호 중 음성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음성 출력기(210) 및 영상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영상 출력기(22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즉, 음성 출력기(210)는 스피커와 앰프로 구성되어 음성을 출력하기 위한 것 이며, 영상 출력기는 다양한 디스플레이(모니터)로 구성되어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음성 출력기와 영상 출력기는 독립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나, 하나의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방송장치(200)가 방송장치 제어부로부터 전송된 방송신호만을 출력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방송장치(200)는 방송장치 제어부에서와 같이 음성 송출기, 영상 송출기 또는 방송 송출기를 독립적으로 포함하고 있어서, 방송장치 자체적으로도 방송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즉, 방송장치(200)들은 주 제어장치(100)에 의해 통합적으로 제어될 수 있으나, 각각의 방송장치(200)가 음성 송출기, 영상 송출기 또는 방송 송출기를 이용하여 개별적인 방송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방송장치에 사용되는 앰프가 아나로그 앰프인 경우에는, 아나로그 입력기 및 디지털 입력기를 구비함으로써, 아나로그 앰프 제어신호 및 디지털 앰프 제어신호 모두에 반응하여 음성을 증폭시켜 출력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액세스 포인트의 일실시예 구성도로서, 도 1에 도시된 액세스 포인트(500)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액세스 포인트(500)는, 방송장치, 조명장치 및 무대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공연장에 설치되어 주 제어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서, 통신 기능을 가지고 있는 원격 제어장치와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는 잭으로 구성되어 있는 유선 네트워크 연결기(510), 통신 기능을 가지고 있는 원격 제어장치와 무선을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무선 네트워크 연결기(520) 및 원격 제어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이 가능하며 원격 제어장치로부터 전송되어온 제어 신호를 주 제어장치로 중계하기 위한 네트워크 중계기(5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유선 네트워크 연결기(510)는 주 제어장치의 인터페이스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선의 끝단에 형성되어 원격 제어장치에 장착되는 잭이다. 즉, 유선 네트워크 연결기는 어떠한 신호도 생성하거나 변경하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원격 제어장치에 연결되어 원격 제어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주 제어장치로 전송하는 기능만을 수행한다. 따라서, 유선 네트워크 연결기와 연결되는 원격 제어장치는 주 제어장치와 통신이 가능한 모듈이 탑재되어 있어야 한다.
무선 네트워크 연결기(520)는 주 제어장치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선의 끝단에 형성되어 원격 제어장치와 무선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모듈이다. 즉, 무선 네트워크 연결기는 단순히 원격 제어장치로부터 무선으로 제어 신호를 전송받아 주 제어장치로 전송하는 기능만을 수행한다. 따라서, 무선 네트워크 연결기와 연결되는 원격 제어장치는 주 제어장치와 통신이 가능한 모듈이 탑재되어 있어야 한다.
네트워크 중계기(530)는 컴퓨터 또는 PDA 등과 같이 주 제어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을 탑재한 모듈로서, 원격 제어장치와도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 중계기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주 제어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유선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유선 네트워크 연결기(510)와 연결될 수 있으며, 무선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무선 네트워크 연결기(520)와 연결될 수도 있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네트워크 중계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원격 제어장치는 유선 또는 무선을 통 해 네트워크 중계기와만 통신을 수행할 수 있을 뿐, 주 제어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듈을 탑재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서, 네트워크 중계기는 원격 제어장치로부터 전송되어온 제어 신호를 주 제어장치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액세스 포인트(500)는 방송장치, 조명장치 및 무대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공연장에 독립적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으나, 방송장치, 조명장치, 무대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결합되어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액세스 포인트에서 주 제어장치(100)로 전송된 제어신호는, 방송장치 제어부(110), 조명장치 제어부(120), 무대장치 제어부(130)를 제어할 수도 있으나, 직접 방송장치(200), 조명장치(300), 무대장치(400)로 전송되어 해당 장치를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원격 제어장치로부터 입력되어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주 제어장치로 전송된 음성 역시 방송장치 제어부에서 증폭된 후 방송장치로 전송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원격 제어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로서, 도 1에 도시된 원격 제어장치(600)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원격 제어장치(600)는, 방송장치, 조명장치, 무대장치를 각각 제어할 수 있는 제어신호 또는 음성을 입력받아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주 제어장치로 전송하는 것으로서, 이동이 용이하며, 복잡하고 다양한 제어신호를 처리할 수 있는 노트북 컴퓨터와 같은 단말기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다양한 정보를 처리할 수 있는 이동 가능한 모든 단말기들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원격 제어장치는 액세스 포인트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610), 음성 또는 각종 제어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630), 관리자가 입력하는 정보들 또는 주 제어장치로부터 전송되어온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640), 원격 제어장치의 구동에 필요한 프로그램 또는 관리자로부터 입력되거나 주 제어장치로부터 전송되어온 정보들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650) 및 상기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6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입력부(630)는 방송장치, 조명장치, 무대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입력받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의 버튼으로 구성될 수 있다.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제어신호는 직접 해당 방송장치, 조명장치 또는 무대장치로 전송되어 해당 장치를 제어할 수도 있으나, 주 제어장치의 방송장치 제어부, 조명장치 제어부, 무대장치 제어부로 전송되어 해당 제어부를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원격 제어장치는 방송장치, 조명장치, 무대장치를 통합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어해야할 기능이 많기 때문에 다양한 메뉴들을 위한 버튼을 일일이 구비하기 어려운바, 본 발명은 입력부 및 출력부를 터치스크린으로 통합 구성하여 터치스크린 상에 출력되는 다양한 메뉴들을 통해 관리자가 다양한 종류의 메뉴들을 선택하여 다양한 종류의 제어신호를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는 관리자로부터 방송용 음성을 입력받기 위한 음성 입력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음성 입력기는 관리자로부터 방송용 음성 또는 방송을 위한 테스트용 음성을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서, 현재 널리 이용되고 있는 마이크가 적용될 수 있다. 한 편, 음성 입력기는 원격 제어장치에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착탈이 가능한 형태(착탈형)로 구성될 수도 있다.
출력부(640)는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로 구성될 수 있으나, 상기한 바와 같이 원격 제어장치의 특성상, 관리자가 이동하면서 이용할 수 있어야 함으로, 그 크기가 작아야 하며, 따라서, 작은 크기로 다양한 정보들을 입출력 받을 수 있도록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관리자는 터치스크린을 통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한편, 다양한 정보들을 터치스크린을 통해 제공받을 수 있다.
저장부(650)와 제어부(620)는 상기한 바와 같이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하거나 각 구성요소들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인터페이스(610)는 액세스 포인트(5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서, 액세스 포인트의 구성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바, 이에 대하여는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원격 제어장치에 포함되어 있는 인터페이스의 일실시예 구성도로서, 도 5에 도시된 인터페이스(610)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인터페이스(610)는 액세스 포인트(5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서, 액세스 포인트의 유선 네트워크 연결기와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유선 송신기(611), 무선 네트워크 연결기와 무선으로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 송신기(612), 네트워크 중계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입출력 인터페이스(61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있다.
즉, 유선 송신기(611)는 유선 네트워크 연결기(510)와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자체적으로 주 제어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을 탑재하고 있으며, 무선 송신기(612)는 무선 네트워크 연결기(520)를 중계기로 이용하여 자체적으로 주 제어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을 탑재하고 있다.
한편, 입출력 인터페이스(613)는 단순히 제어신호 또는 음성을 유선을 통해 네트워크 중계기로 전송하는 기능만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서, 네트워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모뎀과 같은 장치가 탑재되어 있지 않다. 즉, 입출력 인터페이스는 네트워크 중계기(530)를 단순히 원격 제어장치의 하나의 구성요소로 판단하여 각종 정보를 유선을 통해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뿐이며, 실질적으로는, 네트워크 중계기가 주 제어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정보들을 송수신한다.
또한, 입출력 인터페이스(613)가 네트워크 중계기와 무선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역시, 블루투스와 같은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중계기와 무선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것일 뿐, 주 제어장치와의 네트워크 통신을 위한 장치들이 탑재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원격 제어장치는 관리자에 의해 입력된 제어신호를 직접 주 제어장치로 전송할 수는 없다.
한편, 상기에서 설명된 유선 송신기, 무선 송신기, 입출력 인터페이스는 개별적으로 원격 제어장치의 인터페이스에 장착되어 이용될 수도 있으나, 모두 인터페이스에 장착된 후 관리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이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정보가 주 제어장치로 전송되는 경우만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주 제어장치로부터 전송된 정보는 액세스 포인트와 원격 제어장치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원격 제어장치로 전송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통합 제어 시스템이 동작되는 방법의 일실시예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강당 통합 제어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실시예 흐름도로서, 특히, 원격 제어장치를 이용하여 방송장치, 조명장치, 무대장치의 기능을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즉, 관리자는 주 제어장치(100)에 포함되어 있는 방송장치 제어부, 조명장치 제어부, 무대장치 제어부 각각에 구비되어 있는 입력단자를 이용하여 방송장치, 조명장치, 무대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바, 이러한 기능은 현재 일반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방법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방송장치, 조명장치, 무대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장치들을 하나로 통합하여 주 제어장치에 포함하고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한편, 경우에 따라서, 관리자는 직접 방송장치, 조명장치, 무대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공연장에 나가, 각 장치들의 동작상태를 확인할 필요가 있으며, 이때, 각 장치들의 동작상태를 확인하면서 원격 제어장치(600)로 음성 또는 제어신호를 입력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관리자는 우선, 원격 제어장치(600)와 액세스 포인트(500) 간에 통신 상태를 확인하여, 원격 제어장치와 주 제어장치 간에 통신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902). 즉, 관리자는 유선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액세스 포인트와 원격 제어 장치 간에 통신선을 연결하며, 무선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액세스 포인트와 원격 제어 장치 간에 통신이 원활히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확인한다.
통신 연결이 확인된 후, 관리자는 원격 제어장치의 입력부를 통해 제어하고자 하는 방송장치에 대한 모드를 선택한다(904). 즉, 원격 제어장치의 제어부는 액세스 포인트와 통신이 연결된 후 관리자로부터 통합 제어 요청이 입력되면, 통합 제어가 가능한 세 개의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을 출력부를 통해 출력할 수 있는바, 방송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방송장치 제어모드, 조명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조명장치 제어모드, 무대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무대장치 제어모드가 출력부를 통해 출력된다. 이때, 관리자는 제어를 원하는 모드를 선택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입력부와 출력부를 통합하여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바, 관리자는 터치스크린을 통해 출력되는 모드선택 메뉴 중 자신이 원하는 모드를 선택한다.
방송장치 제어모드가 선택된 경우, 관리자는 방송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다양한 제어신호를, 터치스크린을 통해 출력되는 메뉴로부터 선택할 수 있으며, 이때, 선택된 제어신호는 방송장치 제어부(110)로 전송되거나 또는 직접 방송장치(200)로 전송되어 방송장치의 기능을 제어한다(906). 즉, 관리자는 방송장치 제어모드를 통해 방송장치로 출력될 방송신호의 내용을 선택하거나, 출력되는 음성의 크기를 선택할 수 있으며, 원격 제어장치에 음성 입력기가 구비되어 있는 경우에는 직접 음성을 입력한 후 방송장치(200)를 통해 출력되는 음성을 들으면서, 방송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조명장치 제어모드가 선택된 경우, 관리자는 조명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다양한 제어신호를, 터치스크린을 통해 출력되는 메뉴로부터 선택할 수 있으며, 이때, 선택된 제어신호는 조명장치 제어부(120)로 전송되거나 또는 직접 조명장치(300)로 전송되어 조명장치의 기능을 제어한다(908). 즉, 관리자는 조명장치 제어모드를 통해 조명장치의 각 조명을 온/오프 시키거나, 각 조명의 조도를 제어할 수 있으며, 조명의 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무대장치 제어모드가 선택된 경우, 관리자는 무대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다양한 제어신호를, 터치스크린을 통해 출력되는 메뉴로부터 선택할 수 있으며, 이때, 선택된 제어신호는 무대장치 제어부(130)로 전송되거나 또는 직접 무대장치(400)로 전송되어 무대장치의 기능을 제어한다(910). 즉, 관리자는 무대장치 제어모드를 통해 무대에 드리워진 막을 올리거나 내릴 수 있고, 무대에 설치되어 있는 각종 장비들을 구동시킬 수 있으며, 조명장치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각 제어신호가 직접 각 장치로 전송되어 각 장치의 기능을 제어하는 경우에도, 각 제어신호가 주 제어장치로 전송되도록 함으로써, 각 제어부가 현재 각 장치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원격 제어장치로 입력된 제어신호가 주 제어장치의 각 제어부로 전송되어 각 제어부가 각 장치를 제어하도록 하는 경우에는, 각 제어부가 전송된 제어신호에 따라 각 장치를 제어하게 됨으로, 현재 각 장치의 동작 상태를 각종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해 줌으로써, 주 제어장치를 관리하는 관리자가 현재 각 장치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원격 제어장치로 입력된 제어신호가 각 장치로 직접 전송되는 경우 에도, 본 발명은 추가적으로 주 제어장치의 각 제어부로 제어신호를 전송해 줌으로써, 상기한 바와 같이 주 제어장치의 관리자가 각 장치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본 발명은 원격 제어장치로부터 제어신호가 전송되는 경우에는 주 제어장치의 각 제어부를 통해 또 다른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것을 차단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우선 순위는 주 제어장치 및 원격 제어장치를 관리하는 관리자에 의해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기능을 위해, 방송장치, 조명장치 및 무대장치에는 주 제어장치뿐만 아니라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원격 제어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모듈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주 제어장치(100) 및 방송장치, 조명장치, 무대장치의 각 구성요소들을 AC 또는 DC 겸용으로 구성하는 한편, 각 구성요소들에 화재와 같은 비상 상황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장착시킴으로써, 비상상황 발생 시 주 제어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AC 전원이 DC 전원으로 변환되도록 하여, 비상시 AC 전원이 단절되더라도 소방 법령에 의한 법정 방송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주 제어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은 센서뿐만 아니라, 별도의 신호라인을 통해 비상상황을 인식하여 각 구성요소들의 전원을 DC 전원으로 자동 전환시키는 한편, 방송장치 제어부를 통해 방송장치로 출력되는 방송신호의 송출을 차단하고, 비상방송을 방송장치로 송출시킴으로써, 소방법령에 적합한 방송이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방송장치 제어부는 송출되는 방송신호 또는 비상방송의 음량을 자동적으로 조절할 수도 있다. 또한, 방송장치 제어부는 비상 내용을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함으로써, 방송실이 아닌 공연장에 나가있는 관리자가 비상상황을 인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비상상황을 인지한 관리자는 원격 제어장치를 통해 주 제어장치 또는 방송장치를 직접 제어하여, 비상방송을 방송장치로 송출시킬 수도 있다.
또한, 주 제어장치, 방송장치, 조명장치 및 무대장치들은 자가 진단 기능을 내장하고 있어서, 장치 자체의 동작을 감시하여 이상 발생 시 주 제어장치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때, 주 제어장치는 이상 발생 여부를 주 제어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램프 또는 스피커 등을 통해 출력하거나, 원격 제어장치로 전송하여 줌으로써, 관리자가 어디에 있더라도 각 구성요소들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관리자는 상기 비상방송과 마찬가지로 주 제어장치 또는 각 장치를 직접 제어하여 이상상황에 대처할 수 있다.
또한, 주 제어장치는 비상상황 또는 이상상황 발생 시, 동작되지 않는 방송장치를 검출하여, 동작 가능한 방송장치로 비상방송을 송출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강당 통합 제어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방송장치 제어부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방송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액세스 포인트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원격 제어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원격 제어장치에 포함되어 있는 인터페이스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강당 통합 제어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주 제어장치 200 : 방송장치
300 : 조명장치 400 : 무대장치
500 :액세스 포인트 600 : 원격 제어장치
Claims (8)
- 공연장에 설치되어 방송신호를 출력하는 방송장치와, 상기 공연장으로 조명을 방출하기 위한 조명장치와, 상기 공연장에 설치되며 구동기에 의한 이동이 요구되는 무대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주 제어장치;상기 방송장치와 조명장치와 무대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신호를, 상기 주 제어장치로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방송장치, 조명장치, 무대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장치로 전송할 수 있는 원격 제어장치; 및상기 주 제어장치, 방송장치, 조명장치, 무대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기 원격 제어장치 간의 통신을 중계하기 위한 액세스 포인트를 포함하는 일체형 강당 통합 제어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원격 제어장치는,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음성 또는 상기 방송장치, 조명장치, 무대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제어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정보 또는 상기 주 제어장치로부터 전송되어온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상기 정보들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및상기 인터페이스, 입력부, 출력부, 저장부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일체형 강당 통합 제어 시스템.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입력부 및 출력부는 터치스크린으로 통합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강당 통합 제어 시스템.
-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는,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출력되는 모드선택메뉴에서 방송장치 제어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는 상기 방송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메뉴를 상기 터치스크린으로 출력하고,조명장치 제어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는 상기 조명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메뉴를 상기 터치스크린으로 출력하며,무대장치 제어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는 상기 무대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메뉴를 상기 터치스크린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강당 통합 제어 시스템.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인터페이스는,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주 제어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유선 송신기,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무선으로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주 제어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무선 송신기, 상기 주 제어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 상기 음성 또는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입출력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강당 통합 제어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주 제어장치는,상기 방송장치, 조명장치, 무대장치 및 액세스 포인트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상기 방송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입력받아 그에 따른 방송신호를 상기 방송장치로 송출하기 위한 방송장치 제어부;상기 조명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신호를 입력받아 그에 따른 조명신호를 상기 조명장치로 송출하기 위한 조명장치 제어부; 및상기 무대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입력받아 그에 따른 무대신호를 상기 무대장치로 송출하기 위한 무대장치 제어부를 포함하는 일체형 강당 통합 제어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액세스 포인트는,통신 기능을 가지고 있는 상기 원격 제어장치와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는 잭으로 구성되어 있는 유선 네트워크 연결기, 통신 기능을 가지고 있는 상기 원격 제어장치와 무선을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무선 네트워크 연결기, 상기 원격 제어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이 가능하며 상기 원격 제어장치로부터 전송되어온 상기 음성 또는 제어 신호를 상기 주 제어장치로 중계하기 위한 네트워크 중계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강당 통합 제어 시스템.
- 제 6 항에 있어서,상기 방송장치 제어부는,아나로그 앰프 또는 디지털 앰프를 이용하여 상기 방송 신호를 증폭시킬 수 있으며, 아나로그 앰프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아나로그 앰프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아나로그 앰프로 전송할 수 있는 아나로그 입력기 및 상기 원격 제어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디지털 앰프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아나로그 앰프로 전송할 수 있는 디지털 입력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강당 통합 제어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46702A KR20100128201A (ko) | 2009-05-27 | 2009-05-27 | 일체형 강당 통합 제어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46702A KR20100128201A (ko) | 2009-05-27 | 2009-05-27 | 일체형 강당 통합 제어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28201A true KR20100128201A (ko) | 2010-12-07 |
Family
ID=43505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46702A KR20100128201A (ko) | 2009-05-27 | 2009-05-27 | 일체형 강당 통합 제어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00128201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025029A (zh) * | 2021-10-09 | 2022-02-08 | 浙江大丰实业股份有限公司 | 一种数据云存储的舞台智能声控系统 |
-
2009
- 2009-05-27 KR KR1020090046702A patent/KR20100128201A/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025029A (zh) * | 2021-10-09 | 2022-02-08 | 浙江大丰实业股份有限公司 | 一种数据云存储的舞台智能声控系统 |
CN114025029B (zh) * | 2021-10-09 | 2024-05-28 | 浙江大丰实业股份有限公司 | 一种数据云存储的舞台智能声控系统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765532B2 (en) | Digital audio communication and control in a live performance venue | |
JP4724504B2 (ja) | 照明装置 | |
KR100983334B1 (ko) | 무선 방송 시스템 및 스피커 제어 장치 | |
US8553902B2 (en) | Multi-channel broadcasting system using digital matrix amplifi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
JP6564941B2 (ja) | 無線放音装置及び無線放音装置を遠隔制御するためのシステム | |
CA2906848A1 (en) | Media device with integrated storage and charging for an accessory device and a universal remote with bi-directional rf and uni-directional ir | |
JP7398149B2 (ja) | 照明システム及び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 | |
KR101017681B1 (ko) | 디지털 네트워크 방송 시스템 | |
KR101478257B1 (ko) | 스마트 기기가 장착된 로봇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 |
KR20100128201A (ko) | 일체형 강당 통합 제어 시스템 | |
KR101087290B1 (ko) | 네트워크를 이용한 통합 무선제어 시스템 | |
JP2014176042A (ja) | 通信装置、及び音声入出力ユニットの制御方法 | |
KR100883906B1 (ko) | 학교 방송 시스템 및 제어 방법 | |
KR101151626B1 (ko) | 통합 제어 장치 및 그를 이용한 통합 제어 시스템 | |
KR20100003562A (ko) | 스피커 장치 및 시스템 | |
KR100833094B1 (ko) | 방송사고 대처가 용이한 멀티미디어 방송시스템 | |
JP2014241524A (ja) |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通信装置の使用方法 | |
US10397333B2 (en) |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with wireless LAN function | |
KR200278216Y1 (ko) | 멀티미디어 시청각실 통합관리시스템 | |
JP6443838B2 (ja) | 室内インターホン装置、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 |
JP2013229842A (ja) | 音響システム | |
JP2008042261A (ja) | 放収音装置 | |
KR100983333B1 (ko) | 무선 로컬 방송 시스템 및 무선 헤드셋 | |
US20200084544A1 (en) | A communications system | |
KR200329870Y1 (ko) | 멀티 제어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ORF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