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8216Y1 - 멀티미디어 시청각실 통합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멀티미디어 시청각실 통합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8216Y1
KR200278216Y1 KR2020020008145U KR20020008145U KR200278216Y1 KR 200278216 Y1 KR200278216 Y1 KR 200278216Y1 KR 2020020008145 U KR2020020008145 U KR 2020020008145U KR 20020008145 U KR20020008145 U KR 20020008145U KR 200278216 Y1 KR200278216 Y1 KR 2002782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m
audio
control
visu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81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형
전승용
김남중
Original Assignee
(주) 제경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제경시스템 filed Critical (주) 제경시스템
Priority to KR20200200081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821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82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8216Y1/ko

Links

Landscapes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멀티미디어 시청각실 통합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주제어 컴퓨터를 중앙제어실에 설치하고 각각의 시청각실에는 원격제어장치를 랜(LAN)통신으로 연결하여 상기 중앙제어실에서 각각의 시청각실에 설치되는 각종 프로젝터, 브이티알, 스크린 등의 가동상태를 감시하고 원격으로 상기 각종 기기들을 제어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시청각실 통합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중앙제어실에서 각각의 시청각실에 연결구성되어 있는 프로젝터, VTR/DVD, 음성증폭기, 스크린, 조명기, 커튼, 바튼, 깃발등의 사용상태를 감시하며, 상기 각 기기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효율적으로 다수개의 시청각실을 제어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시청각실 통합관리시스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교육이나 강의를 하기 위해 프로젝터, VTR/DVD, 음성증폭기, 스크린, 조명기, 커튼, 바튼, 깃발 등이 설치된 멀티미디어 시청각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각 기기들을 제어를 하기 위한 제어장치(300)와; 상기 각 제어장치(300)를 원격에서 제어하고 작동상태를 감시하는 중앙제어실(100)과; 상기 중앙제어실(100)과 상기 각 제어장치(300)를 연결하는 랜(LAN;20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중앙제어실(100)과 통신하는 네트워크부(350)와; 외부의 프로젝터(410)와 시청각실 각각에 설치되어 있는 클라이언트컴퓨터(600)와 통신하는 시청각실 제어부(360)와; 상기 네트워크부(350)와 시청각실 제어부(360)에 제어신호를 입출력하는 멀티프로세서(330)와; 상기 멀티프로세서의 동작을 다수의 LED로 형성되어 표시하는 표시부(310)와; 상기 멀티프로세서(330)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을 내장하는 메모리(340)와; 상기 멀티프로세서(330)의 제어신호에 의해 시청각실 내부의 각 기기들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디지털부(370)와; 입출력되는 음성신호를 제어하는 음성부(380)와; 상기 각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3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디지털부는, 상기 시청각실의 각 기기에 Ry0~Ry15포트를 통해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디지털출력부(372)와, 상기 멀티프로세서(330)와 디지털 출력부(372)가 통신가능하도록 제어신호를 변환하는 제1변환부(37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멀티미디어 시청각실 통합관리시스템{Total management apparatus of multimedia audiovisual classrooms}
본 고안은 멀티미디어 시청각실 통합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주제어 컴퓨터를 중앙제어실에 설치하고 각각의 시청각실에는 원격제어장치를 랜(LAN)통신으로 연결하여 상기 중앙제어실에서 각각의 시청각실에 설치되는 각종 프로젝터, 브이티알, 스크린 등의 가동상태를 감시하고 원격으로 상기 각종 기기들을 제어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시청각실 통합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시청각 교육용 도구에 있어서는 각종 관련장치들이 각기 독립되어 구비되고 그들을 운용하는데 있어서도 독립적으로 운용됨으로서 시청각교육 때 필요한 장치를 각기 별도로 작동시켜야 함으로서 운용에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브이티알(VTR)과 같은 영상매체 재생기로부터 교육용 테이프를 재생하여 방영을 실시하는 경우 영상매체 재생기를 직접조작하여 텔레비젼에 연결하여야 하므로 관련 장치의 연결 및 조작이 번거로우며, 이어서 컴퓨터를 통한 시청각 교육을 행하는 경우 구동되고 있는 영상매체를 다시 조작하여 '오프(off)'시킨 후 컴퓨터를 운용하여야 되며, 특히 상기 영상매체의 운용 중 컴퓨터를 통한 부가 이미지 표시등은 불가능한 실정이다.
또한, 시청각 교육용 도구들은 그 독립적인 운용을 위한 그 각각의 제어용 리모콘이 여러개 구비되어 사용됨으로서 신속한 조작이 불편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오동작의 문제점도 발생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중앙제어실에서 각각의 시청각실에 연결구성되어 있는 프로젝터, VTR/DVD, 음성증폭기, 스크린, 조명기, 커튼, 바튼, 깃발등의 사용상태를 감시하며, 상기 각 기기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효율적으로 다수개의 시청각실을 제어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시청각실 통합관리시스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교육이나 강의를 하기 위해 프로젝터, VTR/DVD, 음성증폭기, 스크린, 조명기, 커튼, 바튼, 깃발 등이 설치된 멀티미디어 시청각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각 기기들을 제어를 하기 위한 제어장치(300)와; 상기 각 제어장치(300)를 원격에서 제어하고 작동상태를 감시하는 중앙제어실(100)과; 상기 중앙제어실(100)과 상기 각 제어장치(300)를 연결하는 랜(LAN;20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중앙제어실(100)과 통신하는 네트워크부(350)와; 외부의 프로젝터(410)와 시청각실 각각에 설치되어 있는 클라이언트 컴퓨터(600)와 통신하는 시청각실 제어부(360)와; 상기 네트워크부(350)와 시청각실 제어부(360)에 제어신호를 입출력하는 멀티프로세서(330)와; 상기 멀티프로세서의 동작을 다수의 LED로 형성되어 표시하는 표시부(310)와; 상기 멀티프로세서(330)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을 내장하는 메모리(340)와; 상기 멀티프로세서(330)의 제어신호에 의해 시청각실 내부의 각 기기들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디지털부(370)와; 입출력되는 음성신호를 제어하는 음성부(380)와; 상기 각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3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디지털부는, 상기 시청각실의 각 기기에 Ry0~Ry15포트를 통해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디지털출력부(372)와, 상기 멀티프로세서(330)와 디지털 출력부(372)가 통신가능하도록 제어신호를 변환하는 제1변환부(37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멀티미디어 시청각실 통합관리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멀티미디어 시청각실 통합관리장치의 제어블럭도,
도3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시청각실 통합관리시스템의 메인화면구성도,
도4a, 4b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시청각실 통합관리시스템의 중앙제어실의 환경설정화면구성도,
도5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시청각실 통합관리시스템의 중앙제어실의 제어화면구성도,
도6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시청각실 통합관리시스템의 중앙제어실의 메신저화면구성도,
도7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시청각실 통합관리시스템의 중앙제어실과 클라이언트 컴퓨터의 메신저연결 화면구성도,
도8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시청각실 통합관리시스템의 클라이언트 컴퓨터의 제어화면구성도,
도9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시청각실 통합관리시스템의 클라이언트 컴퓨터와 중앙제어실의 메신저연결 화면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중앙제어실 200: 랜
300: 제어장치 410: 프로젝터
420: VTR/DVD 430: 음성증폭기
440: 스크린 450: 조명기
460: 커튼 470: 바튼
480: 깃발 490: 예비단자1
491: 예비단자2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멀티미디어 시청각실 통합관리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멀티미디어 시청각실 통합관리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멀티미디어 시청각실 통합관리장치의 제어블럭도이다.
상기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시청각실에 설치되어 있는 프로젝터(410), VTR/DVD(420), 음성증폭기(430), 스크린(440), 조명기(450), 커튼(460), 바튼(BARTEN;470), 깃발(480)의 가동 상태와 제어를 하기위한 제어장치(300)와, 상기 각 제어장치(300)를 원격에서 제어하고 작동상태를 감시하는 중앙제어실(100)과, 상기 중앙제어실(100)과 상기 각 제어장치(300)를 연결하는 랜(LAN;200)으로 구성된다.
이 때 상기 각 제어장치는 제어장치#1(300)에서 제어장치#n(500)까지 각 시청각실로 다수개 구비되어 구성되지만 본 고안의 설명에서는 대표적으로 제어장치(300)로 일괄적으로 명칭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장치(300)는 상기 중앙제어실(100)과 통신하는 네트워크부(350)와, 외부의 프로젝터(410)와 시청각실 각각에 설치되어 있는 클라이언트 컴퓨터(600)와 통신하는 시청각실 제어부(360)와, 상기 네트워크부(350)와 시청각실 제어부(360)에 제어신호를 입출력하는 멀티프로세서(330)와, 상기 멀티프로세서의 동작을 다수의 LED로 형성되어 표시하는 표시부(310)와, 상기 멀티프로세서(330)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을 내장하는 메모리(340)와, 상기 멀티프로세서(330)의 제어신호에 의해 시청각실 내부의 각 기기들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디지털부(370)와, 입출력되는 음성신호를 제어하는 음성부(380)와, 상기 각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320)로 구성된다.
상기 네트워크부(350)는 상기 중앙제어실(100)과 랜통신부(354)로 연결되고 상기 멀티프로세서(330)와는 제4변환부(352)를 통해 각각의 제어신호를 송수신하여 상기 중앙제어실(100)의 제어신호를 수신받고, 시청각실에 장착되어 각 기기들의 상태신호를 송신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시청각실 제어부(360)는 프로젝터(410)와는 RS-232방식의 통신을 하고 클라이언트 컴퓨터(600)와는 RS-422방식의 통신을 하는 통신부(364)와, 상기 통신부(364)와 상기 멀티프로세서(330)는 제3변환부(362)를 통해 송수신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통신부(364)를 통해 IR변환부(366)를 거쳐 외부의 VTR/DVD(420)의 제어신호를 송수신하게 된다.
즉, 시청각실에 설치된 각 기기들의 상태신호를 검출하고 중앙제어실(100)과 클라이언트 컴퓨터(600)를 통해 제어신호를 송수신하게 된다.
상기 디지털부(370)는 시청각실의 각 기기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디지털출력부(372)와, 상기 멀티프로세서(330)와 디지털 출력부(372)의 제어신호를 변환하는 제1변환부(374)가 구비되며, 상기 기기는 Ry0~Ry15포트를 통해 제어신호를 출력하게 되는데, 각 포트는 표1과 같다.
포트 제어신호
Ry0 프로젝터 전원
Ry1 VTR/DVD 전원
Ry2 오디오 전원
Ry3 스크린 상승
Ry4 스크린 하강
Ry5 조명기 상승
Ry6 조명기 하강
Ry7 램프1 켜짐
Ry8 커튼 상승
Ry9 커튼 하강
Ry10 바튼 상승
Ry11 바튼 하강
Ry12 깃발 상승
Ry13 깃발 하강
Ry14 램프2 켜짐
Ry15 램프3 켜짐
즉, 상기 중앙제어실(100)의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각 기기들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음성부(380)는 오디오 입력단(386)과, 오디오 출력단(388)에 연결되어 음성신호를 제어하는 음성 입출력부(382)와, 상기 멀티프로세서(330)와 통신하기 위한 제2변환부(384)로 구성된다.
도3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시청각실 통합관리시스템의 메인화면구성도이고, 도4a, 4b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시청각실 통합관리시스템의 중앙제어실의 환경설정화면구성도이며, 도5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시청각실 통합관리시스템의 중앙제어실의 제어화면구성도이고, 도6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시청각실 통합관리시스템의 중앙제어실의 메신저화면구성도이며, 도7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시청각실 통합관리시스템의 중앙제어실과 클라이언트 컴퓨터의 메신저연결 화면구성도이고, 도8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시청각실 통합관리시스템의 클라이언트 컴퓨터의 제어화면구성도이며, 도9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시청각실 통합관리시스템의 클라이언트 컴퓨터와 중앙제어실의 메신저연결 화면구성도이다.
상기 도1 내지 도9를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상기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제어장치(300)는 각 시청각실(제1시청각실 ~ 제10시청각실;10)에 연결되어 그 상태표시(11)와, 제어박스(15)와 메신저(12)를 구비하며, 중앙제어실(100)의 환경설정박스(14)와, 각 시청각실과의 음성연결방법을 선택하는 음성연결박스(13)를 구비한다.
따라서, 각 시청각실의 기기 사용상태를 중앙제어실(100)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각 시청각실별로 제어 및 메신저를 호출할 수 있게 되며, 각각의 시청각실과 메시지를 간편하게 주고 받을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상태표시(11)로 사용중인 시청각실은 'connecting'으로 사용중임을 표시하고, 'waiting'으로 대기중임을 표시한다.
도4a, 4b는 상기 중앙제어실(100)의 환경설정 화면으로서 각 시청각실의 이름과 사용설정을 환경설정박스(16)를 통해 하게 되며, 각 시청각실은 포트번호를 포트박스(17)에서 지정하여줌으로서 랜(LAN)을 통해 통신하게 된다.
도5는 중앙제어실(100)에서 시청각실의 제어화면구성도로서, 시청각실에 연결되어 구성된 프로젝터(410), VTR/DVD(420), 음성증폭기(430), 스크린(440), 조명기(450), 커튼(460), 바튼(BARTEN;470), 깃발(480)등의 상태를 표시하는상태박스(20)와, 상기 상태박스(20)에 있는 프로젝터(410), VTR/DVD(420), 음성증폭기(430), 스크린(440), 조명기(450), 커튼(460), 바튼(BARTEN;470), 깃발(480)등의 기기들을 제어하기 위해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박스(21)와, 프로젝터(410)와 VTR/DVD(420)와 음성을 조절하는 패널(22)을 구비하여 중앙제어실(100)에서 각 시청각실을 제어하게 된다.
도6은 중앙제어실(100)에서 메신저박스(12)를 선택했을때의 화면구성도로서, 자주 쓰이는 메시지리스트와 각 기기에 직접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박스를 구비하여 중앙제어실(100)에서 각각의 시청각실에 직접 제어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게 된다.
도7은 이에 따른 클라이언트 컴퓨터(600)의 메신저화면구성도이고, 도8은 클라이언트 컴퓨터(600)에 나타난 각 기기들의 제어상태를 도시한 화면구성도이다.
즉, 연결상태박스(30)와, 프로젝터(410), VTR/DVD(420), 음성증폭기(430), 스크린(440), 조명기(450), 커튼(460), 바튼(BARTEN;470), 깃발(480) 등의 상태박스(31)와, 상기 각 기기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박스(32)와, 프로젝터와 VTR/DVD, 음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박스(33)를 구비한다.
따라서, 시청각실 내부에서 각각 기기들을 개별적으로 제어하지 않고 통합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9는 클라이언트 컴퓨터(600)와 중앙제어실(100)이 메신저로 연결된 화면의 예시도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각 시청각실에 배치되어 있는 프로젝터, VTR/DVD, 음성증폭기, 스크린, 조명기, 커튼, 바튼, 깃발 등의 각 기기들을 개별적으로 제어하지 않고 클라이언트 컴퓨터를 통해 통합적으로 제어하고, 상기 각 시청각실들은 중앙제어실에서 전체적으로 상기 각 기기들의 상태를 감시하며 제어할 수 있게 되어 효율적인 시청각실을 운영하게 된다.

Claims (3)

  1. 교육이나 강의를 하기 위해 프로젝터, VTR/DVD, 음성증폭기, 스크린, 조명기, 커튼, 바튼, 깃발 등이 설치된 멀티미디어 시청각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각 기기들을 제어를 하기 위한 제어장치(300)와;
    상기 각 제어장치(300)를 원격에서 제어하고 작동상태를 감시하는 중앙제어실(100)과;
    상기 중앙제어실(100)과 상기 각 제어장치(300)를 연결하는 랜(LAN;20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시청각실 통합관리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중앙제어실(100)과 통신하는 네트워크부(350)와; 외부의 프로젝터(410)와 시청각실 각각에 설치되어 있는 클라이언트 컴퓨터(600)와 통신하는 시청각실 제어부(360)와; 상기 네트워크부(350)와 시청각실 제어부(360)에 제어신호를 입출력하는 멀티프로세서(330)와; 상기 멀티프로세서의 동작을 다수의 LED로 형성되어 표시하는 표시부(310)와; 상기 멀티프로세서(330)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을 내장하는 메모리(340)와; 상기 멀티프로세서(330)의 제어신호에 의해 시청각실 내부의 각 기기들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디지털부(370)와; 입출력되는 음성신호를 제어하는 음성부(380)와; 상기 각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3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시청각실 통합관리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부는,
    상기 시청각실의 각 기기에 Ry0~Ry15포트를 통해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디지털출력부(372)와, 상기 멀티프로세서(330)와 디지털 출력부(372)가 통신가능하도록 제어신호를 변환하는 제1변환부(37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시청각실 통합관리시스템.
KR2020020008145U 2002-03-19 2002-03-19 멀티미디어 시청각실 통합관리시스템 KR2002782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8145U KR200278216Y1 (ko) 2002-03-19 2002-03-19 멀티미디어 시청각실 통합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8145U KR200278216Y1 (ko) 2002-03-19 2002-03-19 멀티미디어 시청각실 통합관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8216Y1 true KR200278216Y1 (ko) 2002-06-14

Family

ID=73119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8145U KR200278216Y1 (ko) 2002-03-19 2002-03-19 멀티미디어 시청각실 통합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8216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0955B1 (ko) 2006-02-10 2007-08-23 (주)다원미디어 프로젝터 원격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7831714B2 (en) 2003-12-13 2010-11-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1238170B1 (ko) * 2012-05-07 2013-02-27 (주)한울 전원선과 와이어선을 이용한 모니터 제어 시스템 및 모니터 제어 구동장치
KR102313562B1 (ko) * 2021-06-11 2021-10-18 (주)에스엘미디어 장치들을 통합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31714B2 (en) 2003-12-13 2010-11-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0750955B1 (ko) 2006-02-10 2007-08-23 (주)다원미디어 프로젝터 원격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238170B1 (ko) * 2012-05-07 2013-02-27 (주)한울 전원선과 와이어선을 이용한 모니터 제어 시스템 및 모니터 제어 구동장치
KR102313562B1 (ko) * 2021-06-11 2021-10-18 (주)에스엘미디어 장치들을 통합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5050309B1 (en) Film soundtrack reviewing system
CN201039361Y (zh) 智能化的电子会议室
CN114558332A (zh) 一种沉浸式剧场演艺服务平台
KR200278216Y1 (ko) 멀티미디어 시청각실 통합관리시스템
Horley Simulation centre design
CN105843114A (zh) 一种智能化会议室控制系统
CN104702885A (zh) 一种会商研判平台的集成应用系统
KR101087290B1 (ko) 네트워크를 이용한 통합 무선제어 시스템
KR200347015Y1 (ko) 강의용 교탁
WO2013018979A1 (ko) 입체적 매트릭스 회로를 통한 음향 및 영상 제어 시스템
CN202383481U (zh) 会议室集中控制系统
KR101046638B1 (ko) 전자기기 원격 제어 시스템
KR100362425B1 (ko) 스피커 개별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송시스템
CN203882174U (zh) 一种基于交换机中央控制系统
CN206224170U (zh) 多媒体会议室控制系统
KR101594431B1 (ko) 스마트 교실 구축을 위한 융합 종합 방송 시스템
KR101011031B1 (ko) 멀티미디어기기 통합제어장치
CN107255949A (zh) 一种会议室智能控制系统
CN109151368A (zh) 一种小型空间会议中控系统
CN212907015U (zh) 一种适用于商用、教育用的投影显示一体机
JPH08211930A (ja) 人工窓システム
JP2005005879A (ja) 視聴覚機器の遠隔制御端末
KR101490079B1 (ko) 다중매체의 hd급 디지털 방송 통합전송 제어시스템
KR200343599Y1 (ko) 중앙음향영상제어시스템
KR100717460B1 (ko) 멀티비전 시스템의 시스템 식별자 세팅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5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