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3562B1 - 장치들을 통합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장치들을 통합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3562B1
KR102313562B1 KR1020210076195A KR20210076195A KR102313562B1 KR 102313562 B1 KR102313562 B1 KR 102313562B1 KR 1020210076195 A KR1020210076195 A KR 1020210076195A KR 20210076195 A KR20210076195 A KR 20210076195A KR 102313562 B1 KR102313562 B1 KR 1023135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ing
computing device
projector
transceiver
devi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6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용진
Original Assignee
(주)에스엘미디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엘미디어 filed Critical (주)에스엘미디어
Priority to KR10202100761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35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35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35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4Arrangements for synchronous op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제1지역과, 상기 제1지역과 벽으로 구분되는 제2지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지역에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제1컴퓨팅 장치가 위치하며, 상기 제2지역에는 제2컴퓨팅 장치, 상기 제2컴퓨팅 장치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어 트랜시버, 프로젝터, 및 상기 프로젝터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프로젝터 트랜시버가 위치하며, 상기 제1컴퓨팅 장치와 상기 제2컴퓨팅 장치는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통신이 가능한 시스템에서 장치들을 통합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장치들을 통합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2컴퓨팅 장치를 켜기 위해 컴퓨팅 온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컴퓨팅 장치로부터 상기 컴퓨팅 온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2컴퓨팅 장치가 켜졌다는 상태를 나타내는 컴퓨팅 온 확인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컴퓨팅 온 확인 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어 트랜시버가 상기 프로젝터를 켜기 위해 상기 제2컴퓨팅 장치로 프로젝터 온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젝터 트랜시버로부터 수신된 프로젝터 온 확인 신호를 상기 제2컴퓨팅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2지역에는 복수의 조명 장치들, 상기 복수의 조명 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조명 스위치, 및 상기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조명 스위치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조명 트랜시버가 더 위치하는 장치들을 통합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젝터 온 확인 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조명 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조명 스위치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조명 트랜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복수의 조명 장치들 각각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제1조명 상태 신호를 상기 제2컴퓨팅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컴퓨팅 장치로부터 상기 제1조명 상태 신호를 수신하고 임의의 시간 후에 상기 조명 트랜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복수의 조명 장치들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제2조명 상태 신호를 상기 제2컴퓨팅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조명 상태 신호와 상기 제2조명 상태 신호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조명 상태 신호와 상기 제2조명 상태 신호의 비교 결과에 따라 사전 조명 값들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조명 상태 신호와 상기 제2조명 상태 신호 각각은 복수의 비트들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비트들 각각은 상기 복수의 조명 장치들 각각의 온, 오프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 장치들을 통합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제1조명 상태 신호의 비트들과 상기 제2조명 상태 신호의 비트들 중 변하지 않는 비트들을 사전 조명 값들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장치들을 통합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 프로세서는 사전에 알려진 상기 복수의 조명 장치들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조명 장치들을 상기 프로젝터의 중심을 기준으로 Y축 방향에 따라 복수의 수평 조명 장치 그룹들로 분류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는 사전에 알려진 상기 복수의 조명 장치들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조명 장치들을 상기 프로젝터의 중심을 기준으로 X축 방향에 따라 복수의 수직 조명 장치 그룹들로 분류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수평 조명 장치 그룹들 각각에 대응되는 상기 제2조명 상태 신호의 비트값들 중 다수에 해당하는 비트 값을 각각 결정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수평 조명 장치 그룹들에 속하는 조명 장치들 각각에 대해 상기 결정된 비트 값 각각을 각각의 제1조정 사전 조명 값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수직 조명 장치 그룹들 각각에 대응되는 상기 제2조명 상태 신호의 비트값들 중 다수에 해당하는 비트 값을 각각 결정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수직 조명 장치 그룹들에 속하는 조명 장치들 각각에 대해 상기 결정된 비트 값 각각을 각각의 제2조정 사전 조명 값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각각의 제1조정 사전 조명 값과 각각의 제1가중치를 곱하여 각각의 제1가중치 조정 사전 조명 값을 생성하고, 상기 각각의 제2조정 사전 조명 값과 각각의 제2가중치를 곱하여 각각의 제2가중치 조정 사전 조명 값을 생성하고, 상기 각각의 제1가중치 조정 사전 조명 값과 상기 각각의 제2가중치 조정 사전 조명 값을 가산하여 가산한 값에 따라 상기 복수의 조명 장치들 각각에 대한 각각의 조정 사전 조명 값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조명 장치들 각각에 대한 각각의 상기 조정 사전 조명 값이 설정된 후, 상기 프로젝터가 다시 켜질 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젝터 트랜시버가 상기 복수의 조명 장치들 각각에 대한 상기 각각의 설정된 조정 사전 조명 값을 포함하는 조명 스위치 제어 신호를 상기 조명 트랜시버로 전송하도록 상기 각각의 조정 사전 조명 값을 포함하는 상기 조명 스위치 제어 신호를 상기 제2컴퓨팅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2컴퓨팅 장치는 상기 각각의 조정 사전 조명 값을 포함하는 상기 조명 스위치 제어 신호를 상기 조명 트랜시버로 전송하고, 상기 조명 스위치는 상기 각각의 조정 사전 조명 값을 포함하는 상기 조명 스위치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조명 스위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의 조명 장치들 각각을 제어하며, 상기 제1가중치가 작은 값을 가질수록 상기 제2가중치는 큰 값을 가진다.

Description

장치들을 통합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Method and system for integrated control of devices}
본 발명은 장치들을 통합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원격으로 특정 장소에 위치한 장치들을 통합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학교, 기관, 호텔, 또는 회사에서 강의실, 회의실, 세미나실, 사무실, 또는 강당 등에 강의, 회의, 또는 세미나를 위해 프로젝터, 컴퓨터, 에어컨, 또는 조명 등과 같은 장치들이 구비되어 있다.
학교, 기관, 호텔, 또는 회사에는 여러 개의 강의실, 회의실, 세미나실, 사무실, 또는 강당 등이 있을 수 있다. 학교, 기관, 호텔, 또는 회사의 관리자는 여러 개의 강의실, 회의실, 세미나실, 사무실, 또는 강당 등에 구비된 프로젝터, 컴퓨터, 에어컨, 또는 조명 장치 등과 같은 장치들의 전원이 완전히 꺼졌는지 확인하거나, 또는 상기 장치들을 동시에 동작시킬 필요가 있다. 만약, 상기 관리자가 상기 장치들의 전원이 완전히 꺼졌는지 확인하기 위해 여러 개의 강의실, 회의실, 세미나실, 사무실, 또는 강당 등을 일일이 방문하는 것은 시간과 노력이 많다. 또한, 상기 관리자는 종래의 기술로는 동시에 프로젝터와 같은 상기 장치를 동시에 동작시킬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프로젝터, 컴퓨터, 에어컨, 또는 조명 장치 등과 같은 장치들을 통합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이 요구된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64575호(2008.07.09.)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원격으로 강의실, 회의실, 세미나, 사무실, 또는 강당 등과 같은 특정 장소에 위치한 장치들을 통합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지역과, 상기 제1지역과 벽으로 구분되는 제2지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지역에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제1컴퓨팅 장치가 위치하며, 상기 제2지역에는 제2컴퓨팅 장치, 상기 제2컴퓨팅 장치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어 트랜시버, 프로젝터, 및 상기 프로젝터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프로젝터 트랜시버가 위치하며, 상기 제1컴퓨팅 장치와 상기 제2컴퓨팅 장치는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통신이 가능한 시스템에서 장치들을 통합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2컴퓨팅 장치를 켜기 위해 컴퓨팅 온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컴퓨팅 장치로부터 상기 컴퓨팅 온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2컴퓨팅 장치가 켜졌다는 상태를 나타내는 컴퓨팅 온 확인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컴퓨팅 온 확인 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어 트랜시버가 상기 프로젝터를 켜기 위해 상기 제2컴퓨팅 장치로 프로젝터 온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젝터 트랜시버로부터 수신된 프로젝터 온 확인 신호를 상기 제2컴퓨팅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2지역에는 복수의 조명 장치들, 상기 복수의 조명 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조명 스위치, 및 상기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조명 스위치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조명 트랜시버가 더 위치하는 장치들을 통합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젝터 온 확인 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프로세서는 복수의 조명 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조명 스위치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조명 트랜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복수의 조명 장치들 각각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제1조명 상태 신호를 상기 제2컴퓨팅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컴퓨팅 장치로부터 상기 제1조명 상태 신호를 수신하고 임의의 시간 후에 상기 조명 트랜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복수의 조명 장치들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제2조명 상태 신호를 상기 제2컴퓨팅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조명 상태 신호와 상기 제2조명 상태 신호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조명 상태 신호와 상기 제2조명 상태 신호의 비교 결과에 따라 사전 조명 값들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조명 상태 신호와 상기 제2조명 상태 신호 각각은 복수의 비트들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비트들 각각은 상기 복수의 조명 장치들 각각의 온, 오프 상태를 나타낸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장치들을 통합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제1조명 상태 신호의 비트들과 상기 제2조명 상태 신호의 비트들 중 변하지 않는 비트들을 사전 조명 값들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장치들을 통합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 사전 조명 값들이 설정된 후, 상기 프로젝터가 다시 켜질 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젝터 트랜시버가 상기 설정된 사전 조명 값들을 포함하는 조명 스위치 제어 신호를 상기 조명 트랜시버로 전송하도록 상기 조명 스위치 제어 신호를 상기 제2컴퓨팅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컴퓨팅 장치는 상기 조명 스위치 제어 신호를 상기 조명 트랜시버로 전송한다.
상기 조명 스위치는 상기 조명 스위치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조명 스위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의 조명 장치들 각각을 제어한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프로젝터가 동작 중일 때, 상기 프로젝터 트랜시버는 상기 프로젝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3컴퓨팅 장치에서 동작하는 파일이 동영상 파일 형식인지 판단한다.
상기 제3컴퓨팅 장치에서 동작하는 파일이 상기 동영상 파일 형식일 때, 상기 프로젝터 트랜시버는 상기 조명 트랜시버로 상기 복수의 조명 장치들을 모두 끄도록 하기 위해 상기 설정된 사전 조명 값들을 포함하는 조명 스위치 제어 신호를 상기 조명 트랜시버로 전송한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장치들을 통합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 프로세서는 사전에 알려진 상기 복수의 조명 장치들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조명 장치들을 상기 프로젝터의 중심을 기준으로 Y축 방향에 따라 복수의 수평 조명 장치 그룹들로 분류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는 사전에 알려진 상기 복수의 조명 장치들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조명 장치들을 상기 프로젝터의 중심을 기준으로 X축 방향에 따라 복수의 수직 조명 장치 그룹들로 분류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수평 조명 장치 그룹들 각각에 대응되는 상기 제2조명 상태 신호의 비트값들 중 다수에 해당하는 비트 값을 각각 결정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수평 조명 장치 그룹들에 속하는 조명 장치들 각각에 대해 상기 결정된 비트 값 각각을 각각의 제1조정 사전 조명 값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수직 조명 장치 그룹들 각각에 대응되는 상기 제2조명 상태 신호의 비트값들 중 다수에 해당하는 비트 값을 각각 결정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수직 조명 장치 그룹들에 속하는 조명 장치들 각각에 대해 상기 결정된 비트 값 각각을 각각의 제2조정 사전 조명 값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각각의 제1조정 사전 조명 값과 각각의 제1가중치를 곱하여 각각의 제1가중치 조정 사전 조명 값을 생성하고, 상기 각각의 제2조정 사전 조명 값과 각각의 제2가중치를 곱하여 각각의 제2가중치 조정 사전 조명 값을 생성하고, 상기 각각의 제1가중치 조정 사전 조명 값과 상기 각각의 제2가중치 조정 사전 조명 값을 가산하여 가산한 값에 따라 상기 복수의 조명 장치들 각각에 대한 각각의 조정 사전 조명 값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조명 장치들 각각에 대한 각각의 상기 조정 사전 조명 값이 설정된 후, 상기 프로젝터가 다시 켜질 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젝터 트랜시버가 상기 복수의 조명 장치들 각각에 대한 상기 각각의 설정된 조정 사전 조명 값을 포함하는 조명 스위치 제어 신호를 상기 조명 트랜시버로 전송하도록 상기 각각의 조정 사전 조명 값을 포함하는 상기 조명 스위치 제어 신호를 상기 제2컴퓨팅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컴퓨팅 장치는 상기 각각의 조정 사전 조명 값을 포함하는 상기 조명 스위치 제어 신호를 상기 조명 트랜시버로 전송한다.
상기 조명 스위치는 상기 각각의 조정 사전 조명 값을 포함하는 상기 조명 스위치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각각의 조정 사전 조명 값을 포함하는 상기 수신된 조명 스위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의 조명 장치들 각각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들을 통합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은 제1지역, 및 상기 제1지역과 벽으로 구분되는 제2지역을 포함한다.
상기 제1지역에는 명령들을 실행하는 프로세서와 상기 명령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제1컴퓨팅 장치가 위치한다.
상기 제2지역에는 상기 제1컴퓨팅 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통신하는 제2컴퓨팅 장치, 상기 제2컴퓨팅 장치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어 트랜시버, 프로젝터, 및 상기 프로젝터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프로젝터 트랜시버를 포함한다.
상기 명령들은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2컴퓨팅 장치를 켜기 위한 컴퓨팅 온 제어 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제2컴퓨팅 장치로부터 상기 컴퓨팅 온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2컴퓨팅 장치가 켜졌다는 상태를 나타내는 컴퓨팅 온 확인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컴퓨팅 온 확인 신호를 수신 후, 상기 제어 트랜시버가 상기 프로젝터를 켜기 위해 상기 컴퓨팅 장치로 프로젝터 온 제어 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프로젝터 트랜시버로부터 수신된 프로젝터 온 확인 신호를 상기 제2컴퓨팅 장치로부터 수신하도록 구현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들을 통합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은 원격에서 다른 전자 장치로 신호를 송신하여 다른 전자 장치의 전원을 켜도록 함으로써 다른 전자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장치들을 원격에서 통합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상세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들을 통합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들을 통합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조명 상태 신호들과 조명 스위치 제어 신호의 개념도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는 제1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명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들을 통합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들을 통합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장치들을 통합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100)은 제1지역(1)에 위치한 제1컴퓨팅 장치(10)를 이용하여 제1지역(1)과 벽(2)으로 구분되는 제2지역(3)에 위치한 장치들(예컨대, 20, 30, 40-1~40-n; n은 자연수, 또는 50)을 통합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제1지역(1)과 제2지역(3)은 학교, 기관, 또는 회사 등에서 강의실, 회의실, 세미나실, 사무실, 또는 강당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제1지역(1)과 제2지역(3)은 같은 건물에서 서로 다른 층에 위치할 수 있다. 제1지역(1)과 제2지역(3)은 벽(2)으로 구분된다. 따라서 제1지역(1)에 위치한 사람은 눈으로 직접 제2지역(3)에 위치한 장치들(예컨대, 20, 30, 40-1~40-n; n은 자연수, 또는 50)의 동작 상태를 볼 수 없다. 장치들(예컨대, 20, 30, 40-1~40-n; n은 자연수, 또는 50)은 전원에 의해 동작하는 가전기기, 또는 조명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장치들은 제2컴퓨팅 장치(20), 프로젝터(30), 복수의 조명 장치들(40-1~40-n; n은 자연수), 또는 에어컨(50)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장치들을 통합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100)은 제1지역(1)과, 제1지역(1)과 벽(2)으로 구분되는 제2지역(3)을 포함한다.
제1지역(1)에는 프로세서(11)를 포함하는 제1컴퓨팅 장치(10)가 위치한다.
제1컴퓨팅 장치(10)는 PC, 노트북,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와 같은 전자 장치를 의미한다. 제1컴퓨팅 장치(10)는 장치들을 통합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명령들을 실행하는 제1프로세서(11), 상기 명령들을 저장하는 제1메모리(13), 및 제1디스플레이(15)를 포함한다. 장치들을 통합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명령들은 제1프로세서(11)에 의해 수행된다. 이하, 제1컴퓨팅 장치(10)의 동작은 제1프로세서(11)의 동작으로 이해될 수 있다.
제2지역(3)에는 제2컴퓨팅 장치(20)가 위치한다. 제2컴퓨팅 장치(20)는 PC, 또는 노트북과 같은 전자 장치를 의미한다. 제2컴퓨팅 장치(20)는 명령들을 실행하기 위한 제2프로세서(21), 상기 명령들을 저장하는 제2메모리(23), 및 제2디스플레이(25)를 포함한다. 제2컴퓨팅 장치(20)는 제1컴퓨팅 장치(10)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이 가능하다. 제2컴퓨팅 장치(20)는 제1컴퓨팅 장치(10)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기 위해 이더넷 케이블(4)에 연결될 수 있다. 제2컴퓨팅 장치(20)는 이더넷 케이블(4)을 통해 제1컴퓨팅 장치(10)와 통신이 가능하다. 제어 트랜시버(27)는 컴퓨팅 장치(20)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어 트랜시버(27)는 송신기(미도시), 수신기(미도시), 및 상기 송신기와 상기 수신기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미도시)를 포함한다. 제어 트랜시버(27)는 제2컴퓨팅 장치(20)에 구현된 USB 단자를 통해 접속될 수 있다.
제2컴퓨팅 장치(20)는 전원이 오프(off)된 꺼진 상태일 수 있다. 제1컴퓨팅 장치(10)는 네트워크를 통해 컴퓨팅 온 제어 신호(CONS)를 제2컴퓨팅 장치(20)로 송신한다(S10). 컴퓨팅 온 제어 신호(CONS)는 제2컴퓨팅 장치(20)를 원격으로 켜기 위한 제어 신호이며, 제1컴퓨팅 장치(10)의 관리자(미도시)에 의해 키보드 입력과 같은 명령에 의해 생성된다.
제2컴퓨팅 장치(20)는 전원이 오프된 꺼진 상태라 하더라도 이더넷 케이블(4)을 통해 컴퓨팅 온 제어 신호(CONS)를 수신할 수 있다. 제2컴퓨팅 장치(20)는 제1컴퓨팅 장치(10)로부터 수신된 컴퓨팅 온 제어 신호(CONS)에 응답하여 전원이 켜진다.
제2컴퓨팅 장치(20)는 컴퓨팅 온 제어 신호(CONS)에 따라 전원이 켜진 후, 컴퓨팅 온 확인 신호(CONC)를 제1컴퓨팅 장치(10)로 전송한다. 제1컴퓨팅 장치(10)는 제2컴퓨팅 장치(20)로부터 컴퓨팅 온 제어 신호(CONS)에 응답하여 제2컴퓨팅 장치(20)가 켜졌다는 상태를 나타내는 컴퓨팅 온 확인 신호(CONC)를 수신한다(S20).
제2지역(3)에는 프로젝터(30)가 더 위치할 수 있다.
프로젝터(30)는 이미지, 또는 영상을 스크린(미도시)에 투사하기 위한 광학 장치이다. 프로젝터 트랜시버(31)는 프로젝터(31)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프로젝터 트랜시버(31)는 송신기(미도시), 수신기(미도시), 및 상기 송신기와 상기 수신기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미도시)를 포함한다. 프로젝터 트랜시버(31)는 제2컴퓨팅 장치(20)에 구현된 USB 단자를 통해 접속될 수 있다. 제어 트랜시버(27)와 프로젝터 트랜시버(31)는 서로 통신이 가능하다.
제1컴퓨팅 장치(10)는 컴퓨팅 온 확인 신호(CONC)를 수신한 후, 제1컴퓨팅 장치(10)는 제어 트랜시버(27)가 프로젝터(30)를 켜기 위해 제2컴퓨팅 장치(20)로 프로젝트 온 제어 신호(PONS)를 송신한다(S30). 프로젝터(30)를 켠다는 것은 프로젝터(30)에 전원을 인가함을 의미한다. 프로젝터(30)가 켜졌을 때, 프로젝터(30)는 이미지, 또는 영상을 스크린에 투사하기 위한 준비가 된다.
제2컴퓨팅 장치(20)는 프로젝터 온 제어 신호(PONS)를 제1컴퓨팅 장치(10)로부터 수신한 후, 제2컴퓨팅 장치(20)는 프로젝터 온 제어 신호(PONS)를 제어 트랜시버(31)로 송신한다(S40).
제어 트랜시버(27)는 프로젝터 온 제어 신호(PONS)를 RF 신호와 같은 무선 신호로 프로젝터 트랜시버(31)로 송신한다(S50). 제어 트랜시버(27)는 프로젝터(30)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프로젝터 트랜시버(31)와 무선 통신하여 프로젝터(3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이용된다.
프로젝터 트랜시버(31)는 프로젝터 온 제어 신호(PONS)를 프로젝터(30)로 송신한다. 프로젝터(30)는 프로젝터 온 제어 신호(PONS)에 따라 켜진다(S60).
프로젝터(30)가 켜진 후, 프로젝터(30)는 프로젝터 온 확인 신호(PONC)를 프로젝터 트랜시버(31)로 전송한다. 프로젝터 트랜시버(31)는 프로젝터 온 확인 신호(PONC)를 제어 트랜시버(27)로 송신한다(S70).
제어 트랜시버(27)는 프로젝터 온 확인 신호(PONC)를 제2컴퓨팅 장치(20)로 송신한다(S80).
제2컴퓨팅 장치(20)는 네트워크를 통해 프로젝터 온 확인 신호(PONC)를 제1컴퓨팅 장치(10)로 송신한다(S90). 제1컴퓨팅 장치(10)는 제2컴퓨팅 장치(20)로부터 프로젝터 온 확인 신호(PONC)를 수신한다.
제2지역(3)에는 복수의 조명 장치들(40-1~40-n; n은 자연수), 복수의 조명 장치들(40-1~40-n)을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조명 스위치(41), 및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조명 스위치(4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조명 트랜시버(43)가 더 위치할 수 있다.
복수의 조명 장치들(40-1~40-n)은 제2지역(3)의 벽이나, 천장에 구현될 수 있다. 복수의 조명 장치들(40-1~40-n) 각각은 LED 전구, 또는 형광등을 의미한다. 복수의 조명 장치들(40-1~40-n)은 제2지역(3)의 여러 곳에 분산되어 위치할 수 있다.
조명 스위치(41)는 제2지역(3)의 벽에 설치된다. 조명 스위치(41)는 한 개, 또는 그 이상이 제2지역(3)에 설치될 수 있다. 조명 스위치(41)와 복수의 조명 장치들(40-1~40-n)은 서로 전기 선들로 연결된다. 조명 스위치(41)의 제어에 따라 복수의 조명 장치들(40-1~40-n)이 각각 제어된다. 예컨대, 조명 스위치(41)의 제어에 따라 제1조명 장치(40-1)가 켜지거나, 제2조명 장치(40-2)가 꺼질 수 있다. 즉, 조명 스위치(41)의 제어에 따라 복수의 조명 장치들(40-1~40-n)은 별개로 제어된다.
조명 트랜시버(43)는 송신기(미도시), 수신기(미도시), 및 상기 송신기와 상기 수신기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미도시)를 포함한다. 조명 트랜시버(43)는 조명 스위치(4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지역(3)에 있는 사용자(미도시)는 프로젝터(30)를 사용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 스스로 프로젝터(30)를 켤 수 있다. 프로젝터(30)가 켜질 때, 프로젝터 트랜시버(31)는 프로젝터 온 확인 신호(PONC)를 제어 트랜시버(27)로 송신한다. 제어 트랜시버(27)는 프로젝터 온 확인 신호(PONC)를 제2컴퓨팅 장치(20)로 송신한다. 제2컴퓨팅 장치(20)는 프로젝터 온 확인 신호(PONC)를 제1컴퓨팅 장치(10)로 수신한다.
제1컴퓨팅 장치(10)는 프로젝터 온 확인 신호(PONC)를 수신한 후, 제1컴퓨팅 장치(10)는 조명 트랜시버(43)로부터 제1조명 상태 신호(ISS1)를 수신한다.
구체적인 동작은 아래와 같다.
제어 트랜시버(43)는 제1조명 상태 신호(ISS1)를 조명 트랜시버(43)로부터 수신한다(S100). 제2컴퓨팅 장치(20)는 제어 트랜시버(43)로부터 제1조명 상태 신호(ISS1)를 수신한다(S110). 제1컴퓨팅 장치(10)는 제2컴퓨팅 장치(20)로부터 제1조명 상태 신호(ISS1)를 수신한다(S120).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조명 상태 신호들과 조명 스위치 제어 신호의 개념도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제1조명 상태 신호(ISS1)는 복수의 비트들(B1~Bn)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비트들(B1~Bn) 각각은 복수의 조명 장치들(40-1~40-n) 각각의 온, 오프 상태를 나타낸다. 예컨대, 제1비트(B1)는 제1조명 장치(40-1)의 온, 오프 상태를 나타낸다. 제1비트(B1), 제2비트(B2), 제3비트(B3), 및 제4비트(B4) 각각이 "1", "0", "0", "0"의 값을 가질 때, 제1조명 장치(40-1)는 온 상태, 제2조명 장치 내지 제4조명 장치(40-2~40-4)는 오프 상태임을 의미한다.
상기 사용자가 프로젝터(30)를 사용하기 위해 프로젝터(30)를 켜면, 프로젝터(30)에서 스크린으로 투사되는 내용을 더 명확하게 보기 위해 일반적으로 제2지역(3)의 조명을 어둡게 한다. 이 때, 상기 사용자는 조명 스위치(41)를 사용하여 개별적으로 복수의 조명 장치들(40-1~40-n)을 제어한다. 즉, 상기 사용자는 조명 스위치(41)를 눌러 개별적으로 복수의 조명 장치들(40-1~40-n)을 끄거나 켜도록 한다. 상기 사용자에 의해 조명 스위치(41)가 제어될 때, 상기 제1조명 상태 신호(ISS1)의 각 비트 값들이 설정된다.
제1컴퓨팅 장치(10)는 제2컴퓨팅 장치(20)로부터 제1조명 상태 신호(ISS1)를 수신한다.
제1컴퓨팅 장치(10)는 제2컴퓨팅 장치(20)로부터 제1조명 상태 신호(ISS1)를 수신하고 임의의 시간 후에 조명 트랜시버(43)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조명 장치들(40-1~40-n)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제2조명 상태 신호(ISS2)를 제2컴퓨팅 장치(20)로부터 수신한다. 상기 사용자가 프로젝터(30)를 켠 후, 최적의 조명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조명 스위치(41)를 여러 번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임의의 시간이 지난 후에 복수의 조명 장치들(40-1~40-n)의 동작 상태가 최종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제1컴퓨팅 장치(10)는 제2컴퓨팅 장치(20)로부터 제1조명 상태 신호(ISS1)를 수신하고 임의의 시간 후에 제2조명 상태 신호(ISS2)를 제2컴퓨팅 장치(20)로부터 수신한다. 상기 구체적인 동작은 아래와 같다.
제어 트랜시버(43)는 제2조명 상태 신호(ISS2)를 조명 트랜시버(43)로부터 수신한다(S130). 제2컴퓨팅 장치(20)는 제어 트랜시버(43)로부터 제2조명 상태 신호(ISS2)를 수신한다(S140). 제1컴퓨팅 장치(10)는 제2컴퓨팅 장치(20)로부터 제2조명 상태 신호(ISS2)를 수신한다(S150).
제2조명 상태 신호(ISS2)는 제1조명 상태 신호(ISS1)와 유사하다. 제2비트(B1), 제2비트(B2), 제3비트(B3), 및 제4비트(B4) 각각이 "0", "0", "0", "0"의 값을 가질 때, 제1조명 장치 내지 제4조명 장치(40-1~40-4)는 오프 상태임을 의미한다.
제1컴퓨팅 장치(10)는 제1조명 상태 신호(ISS1)와 제2조명 상태 신호(ISS2)를 비교한다(S160).
제1컴퓨팅 장치(10)는 제1조명 상태 신호(ISS1)와 제2조명 상태 신호(ISS2)의 비교 결과에 따라 사전 조명 값들을 설정한다(S170).
제1조명 상태 신호(ISS1)와 제2조명 상태 신호(ISS2)를 비교하면, 제1조명 상태 신호(ISS1)의 제1비트 값 "1"이 제2조명 상태 신호(ISS2)의 제1비트 값 "0"으로 변경되었다. 이는 제2지역(3)의 사용자가 최적의 조명 상태를 위해 추가적으로 제1조명 상태 신호(ISS1)의 제1비트 값과 대응되는 제1조명 장치(40-1)의 조명이 온되었다가 오프되었음을 의미한다.
상기 사전 조명 값들은 도 4에 도시된 조명 스위치 제어 신호(CS)로 표현된다. 상기 사전 조명 값들은 복수의 비트 값들로 설정된다. 도 4에서 조명 스위치 제어 신호(CS)의 비트들은 제1조명 상태 신호(ISS1)의 비트들과 제2조명 상태 신호(ISS2)의 비트들과 대응되는 것을 도시되었으나, 실시 예에 따라 조명 스위치 제어 신호(CS)의 비트들은 제1조명 상태 신호(ISS1)의 비트들과 제2조명 상태 신호(ISS2)의 비트들과 대응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조명 스위치 제어 신호(CS)의 비트들은 인코딩되어 제1조명 상태 신호(ISS1)의 비트들과 제2조명 상태 신호(ISS2)의 비트들과 서로 대응되지 않을 수 있다.
제1컴퓨팅 장치(10)는 제1조명 상태 신호(ISS1)의 비트들과 제2조명 상태 신호(ISS2)의 비트들 중 변하지 않는 비트들을 사전 조명 설정 값들로 설정한다. 예컨대, 도 4에서 제1조명 상태 신호(ISS1)의 비트들(B1~Bn)과 제2조명 상태 신호(ISS2)의 비트들(B1~bn) 중 변하지 않는 비트들(B2~B4)이 상기 사전 조명 설정 값들로 설정된다. 비트들(B2~B4)은 제1조명 상태 신호(ISS1)와 제2조명 상태 신호(ISS2)에서 모두 "0"의 값들을 가진다. 즉, 비트들(B2~B4)에 대응되는 제2조명 장치 내지 제4조명 장치(40-2~40-n)은 상기 사용자에 의해 프로젝터(30)가 켜진 후, 변하지 않고 계속 꺼진 상태를 유지하였다. 제1비트(B1)에 대응되는 제1조명 장치(40-1)의 경우, 상기 사용자에 의해 처음에는 제1조명 장치(40-1)가 켜졌다가 다시 제1조명 장치(40-1)가 꺼졌음을 의미한다. 즉, 제1조명 장치(40-1)는 조명의 조정이 있었다.
상기 사전 조명 값들이 설정된 후, 프로젝터(30)가 상기 사용자에 의해 다시 켜질 수 있다. 상기 사전 조명 값들이 설정된 후, 프로젝터(30)가 상기 사용자에 의해 다시 켜질 때, 제1컴퓨팅 장치(10)는 프로젝터 트랜시버(31)가 상기 설정된 사전 조명 값들을 포함하는 조명 스위치 제어 신호(CS)를 조명 트랜시버(43)로 전송하도록 조명 스위치 제어 신호(CS)를 제2컴퓨팅 장치(20)로 전송한다.
구체적인 동작은 아래와 같다.
제1컴퓨팅 장치(10)는 상기 설정된 사전 조명 값들을 포함하는 조명 스위치 제어 신호(CS)를 제2컴퓨팅 장치(20)로 송신한다(S180). 제2컴퓨팅 장치(20)는 조명 스위치 제어 신호(CS)를 제어 트랜시버(27)로 전송한다(S190). 제어 트랜시버(27)는 조명 스위치 제어 신호(CS)를 조명 트랜시버(43)로 전송한다(S200). 조명 트랜시버(43)는 조명 스위치 제어 신호(CS)를 조명 스위치(41)로 송신한다(S210).
조명 스위치(41)는 조명 트랜시버(43)로부터 조명 스위치 제어 신호(CS)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조명 스위치 제어 신호(CS)에 따라 복수의 조명 장치들(40-1~40-n) 각각을 제어한다(S220). 상기 수신된 조명 스위치 제어 신호(CS)의 제2비트 내지 제4비트(B2~B4)의 값들이 "0", "0", "0"일 때, 조명 스위치(41)는 제2조명 장치 내지 제4조명 장치(40-2~40-4)를 켜도록 제2조명 장치 내지 제4조명 장치(40-2~40-4)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를 때, 제2지역(3)의 사용자는 프로젝터(30)를 사용할 때, 가장 적합하다고 생각하는 조명 환경을 설정한 후, 향후 프로젝터(30)를 다시 사용될 때, 본 시스템(100)에서는 상기 사용자가 직접 조명 환경을 설정하지 않더라도 제1컴퓨팅 장치(10), 제2컴퓨팅 장치(20), 제어 트랜시버(27), 프로젝터 트랜시버(31), 조명 트랜시버(43), 및 조명 스위치(41)의 동작으로 자동으로 조명 환경이 조정될 수 있다.
프로젝터(30)가 동작 중일 때, 프로젝터 트랜시버(31)는 프로젝터(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3컴퓨팅 장치(33)에서 동작하는 파일이 동영상 파일 형식(예컨대, wmv, 또는 mp4)인지 판단한다. 제3컴퓨팅 장치(33)는 프로젝터(30)와 연결하여 제3컴퓨팅 장치(33)에 저장된 파일의 내용을 스크린에 투사하기 위한 장치이다.
제3컴퓨팅 장치(33)에서 동작하는 파일이 상기 동영상 파일 형식일 때, 프로젝터 트랜시버(30)는 조명 트랜시버(43)로 복수의 조명 장치들(40-1~40-n)을 모두 끄도록 하기 위해 상기 설정된 사전 조명 값들을 포함하는 조명 스위치 제어 신호(CS)를 조명 트랜시버(43)로 전송한다.
동영상이 스크린에 투사될 때, 복수의 조명 장치들(40-1~40-n)을 모두 끄도록 함으로써 상기 동영상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한다.
실시 예에 따라 제1프로세서(11)는 상기 사전 조명 값들이 조정될 수 있다. 이하, 상기 사전 조명 값들의 조정 동작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프로세서(11)는 사전에 알려진 복수의 조명 장치들(40-1~40-n)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복수의 조명 장치들(40-1~40-n)을 프로젝터(30)의 중심을 기준으로 Y축 방향에 따라 복수의 수평 조명 장치 그룹들(LHR1~LHR3)로 분류할 수 있다. 제1수평 조명 장치 그룹(LHR1)은 제1조명 장치(40-1) 내지 제3조명 장치(40-3)를 포함한다. 제2수평 조명 장치 그룹(LHR2)은 제4조명 장치(40-4) 내지 제6조명 장치(40-6)를 포함한다. 도 1에서는 3개의 수평 조명 장치 그룹들(LHR1~LHR3)이 도시되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복수의 조명 장치들(40-1~40-n)의 위치 정보는 사전에 제1컴퓨팅 장치(10)에 입력될 수 있다. 복수의 조명 장치들(40-1~40-n)의 위치 정보는 2D 좌표인 (x, y)로 표현될 수 있다.
제1프로세서(11)는 사전에 알려진 복수의 조명 장치들(40-1~40-n)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복수의 조명 장치들(40-1~40-n)을 프로젝터(30)의 중심을 기준으로 X축 방향에 따라 복수의 수직 조명 장치 그룹들(LVR1~LVR3)로 분류할 수 있다. 제1수직 조명 장치 그룹(LVR1)은 제1조명 장치(40-1), 제4조명 장치(40-4), 및 제7조명 장치(40-7)를 포함한다. 제2수직 조명 장치 그룹(LVR2)은 제2조명 장치(40-2), 제5조명 장치(40-5), 및 제8조명 장치(40-8)를 포함한다. 도 1에서는 3개의 수직 조명 장치 그룹들(LVR1~LVR3)이 도시되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프로세서(11)는 복수의 수평 조명 장치 그룹들(LHR1~LHR3) 각각에 대응되는 제2조명 상태 신호(ISS2)의 비트값들 중 다수에 해당하는 비트 값을 각각 결정한다. 제2조명 상태 신호(ISS2)의 비트값들은 복수의 조명 장치들(40-1~40-n)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다.
예컨대, 제1수평 조명 장치 그룹(LHR1)에 대응되는 제2조명 상태 신호(ISS2)의 비트값들이 각각 "0", "1", "0"일 때, 비트값 "0"이 2개, 비트값 "1"이 1개이므로, 다수에 해당하는 비트 값은 비트값 "0"이다. 따라서 제1프로세서(11)는 제1수평 조명 장치 그룹(LHR1)에 대응되는 제2조명 상태 신호(ISS2) 중 다수에 해당하는 비트 값 "0"을 결정한다. 이때, 하나의 수평 조명 장치 그룹에 포함되는 조명 장치들의 개수는 3 이상의 홀수임을 전제로 한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비트 값 각각을 결정하기 위해 제2조명 상태 신호(ISS2) 대신에 사전 조명 값들이 이용될 수 있다.
제1프로세서(11)는 복수의 수평 조명 장치 그룹들(LHR1~LHR3)에 속하는 조명 장치들 각각에 대해 상기 결정된 비트 값 각각을 각각의 제1조정 사전 조명 값으로 설정한다. 예컨대, 제1프로세서(11)는 제1수평 조명 장치 그룹(LHR1)에 속하는 조명 장치들(40-1~40-3) 각각에 대해 상기 비트 값 "0"을 제1조정 사전 조명 값으로 설정한다. 이때, 상기 비트 값이 "0"일 때, 제1프로세서(11)는 뒤에서 연산을 위해 "0.1"을 제1조정 사전 조명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비트 값이 "1"일 때, 제1프로세서는 "0.9"을 상기 제1조정 사전 조명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유사한 방법으로, 제1프로세서(11)는 나머지 수평 조명 장치 그룹들(LHR2~LHR3)에 대해서도 각각의 제1조정 사전 조명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제1프로세서(11)는 복수의 수직 조명 장치 그룹들(LVR1~LVR3) 각각에 대응되는 제2조명 상태 신호(ISS2)의 비트값들 중 다수에 해당하는 비트 값을 각각 결정한다.
예컨대, 제1수직 조명 장치 그룹(LVR1)에 대응되는 제2조명 상태 신호(ISS2)의 비트값들이 각각 "0", "1", "1"일 때, 비트값 "0"이 1개, 비트값 "1"이 2개이므로, 다수에 해당하는 비트 값은 비트값 "1"이다. 따라서 제1프로세서(11)는 제1수직 조명 장치 그룹(LVR1)에 대응되는 제2조명 상태 신호(ISS2) 중 다수에 해당하는 비트 값 "1"을 결정한다. 이때, 하나의 수직 조명 장치 그룹에 포함되는 조명 장치들의 개수는 3 이상의 홀수임을 전제로 한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비트 값 각각을 결정하기 위해 제2조명 상태 신호(ISS2) 대신에 사전 조명 값들이 이용될 수 있다.
제1프로세서(11)는 상기 복수의 수직 조명 장치 그룹들(LVR1~LVR3)에 속하는 조명 장치들 각각에 대해 상기 결정된 비트 값 각각을 각각의 제2조정 사전 조명 값으로 설정한다. 예컨대, 제1프로세서(11)는 제1수직 조명 장치 그룹(LVR1)에 속하는 조명 장치들(40-1~40-3) 각각에 대해 상기 비트 값 "1"을 제2조정 사전 조명 값으로 설정한다. 이때, 상기 비트 값이 "0"일 때, 제1프로세서(11)는 뒤에서 연산을 위해 "0.1"을 상기 제2조정 사전 조명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비트 값이 "1"일 때, 제1프로세서는 "0.9"를 상기 제2조정 사전 조명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유사한 방법으로, 제1프로세서(11)는 나머지 수직 조명 장치 그룹들(LVR2~LVR3)에 대해서도 제2조정 사전 조명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제1프로세서(11)는 상기 각각의 제1조정 사전 조명 값과 각각의 제1가중치를 곱하여 각각의 제1가중치 조정 사전 조명 값을 생성하고, 상기 각각의 제2조정 사전 조명 값과 각각의 제2가중치를 곱하여 각각의 제2가중치 조정 사전 조명 값을 생성하고, 상기 각각의 제1가중치 조정 사전 조명 값과 상기 각각의 제2가중치 조정 사전 조명 값을 가산하여 가산한 값에 따라 복수의 조명 장치들(40-1~40-n) 각각에 대한 각각의 조정 사전 조명 값을 설정할 수 있다. 복수의 조명 장치들(40-1~40-n) 각각에 대한 각각의 조정 사전 조명 값은 아래의 수학식과 같다.
[수학식 1]
ALn=w1p*AL1p+w2q*AL2q
상기 ALn는 n번째 조명 장치에 대한 제1조정 사전 조명 값을 나타낸다. 상기 n은 자연수이다. 상기 w1p는 p번째 수평 조명 장치 그룹에 대한 제1가중치를 나타낸다. 상기 AL1p는 p번째 수평 조명 장치 그룹에 대한 제1조정 사전 조명 값을 나타낸다. 상기 p는 자연수이다. 상기 w2q는 q번째 수직 조명 장치 그룹에 대한 제2가중치를 나타낸다. 상기 AL2q는 q번째 수직 조명 그룹에 대한 제2조정 사전 조명 값을 나타낸다.
제1가중치(w1p)는 0 에서 1 사이의 값을 가진다. 제2가중치(w2q)는 0 에서 1 사이의 값을 가진다. 제1가중치(w1p)와 제2가중치(w2q)는 같은 값을 가지지 않는다. p의 숫자가 작을수록 제1가중치(w1p)는 큰 값을 가지며, p의 숫자가 클수록 제1가중치(w1p)는 작은 값을 가진다. 제1가중치(w1p)와 제2가중치(w2q)의 합은 1이다. 따라서 제1가중치(w1p)가 작은 값을 가질수록 제2가중치(w2q)는 큰 값을 가진다. 반대로, 제1가중치(w1p)가 큰 값을 가질수록 제2가중치(w2q)는 작은 값을 가진다. 즉, 조명 장치(40-1, 40-2, ..., 또는 40-n)가 프로젝터(30)와 거리가 가까울수록 수평 조명 장치 그룹에 대한 제1조정 사전 조명 값에 의존하고, 프로젝터(30)와 거리가 멀어질수록 수직 조명 장치 그룹에 제2조정 사전 조명 값에 의존한다. 프로젝터(30)와 거리가 멀어질수록 프로젝터(30)보다는 주변 환경의 조명에 영향을 더 많이 받기 때문이다.
예컨대, 제1조명 장치(40-1)의 경우, 제1조명 장치(40-1)는 제1수평 조명 장치 그룹(LHR1)에 속하며, 제1수직 조명 장치 그룹(LVR1)에 속한다. 따라서 제1수평 조명 장치 그룹(LHR1)에 대응되는 제2조명 상태 신호(ISS2) 중 다수에 해당하는 비트 값이 "0"이라 가정할 때, 제1수평 조명 장치 그룹에 대한 제1조정 사전 조명 값(AL11)은 "0.1"이다. 또한, 제1수직 조명 장치 그룹(LVR1)에 대응되는 제2조명 상태 신호(ISS2) 중 다수에 해당하는 비트 값이 "1"이라 가정할 때, 제1수직 조명 장치 그룹(LVR1)에 대한 제2조정 사전 조명 값(AL21)은 비트 값 "0.9"이다. 또한, 제1조명 장치(40-1)는 제1수평 조명 장치 그룹(LHR1)에 속하므로, 제1수평 조명 장치 그룹(LHR1)에 대한 제1가중치(w11)는 상대적 큰 값(예컨대, 0.8)을 가진다. 제1가중치(w11)는 상대적 큰 값(예컨대, 0.8)을 가지므로, 제1수직 조명 장치 그룹(LVR1)에 대한 제2가중치(w21)는 상대적 작은 값(예컨대, 0.2)을 가진다.
상기 수학식 1에 따라 제1조명 장치(40-1)에 대한 제1조정 사전 조명 값(AL1)은 0.26(=0.8*0.1+0.2*0.9)로 계산된다. 0.26은 0.9보다는 0.1에 더 가까우므로 제1조명 장치(40-1)에 대한 제1조정 사전 조명 값(AL1)은 비트 값 "0"으로 설정된다. 만약, 상기 수학식 1에 따라 제1조명 장치(40-1)에 대한 제1조정 사전 조명 값(AL1)이 0.9에 더 가깝다면, 제1조명 장치(40-1)에 대한 제1조정 사전 조명 값(AL1)은 비트 값 "1"로 설정된다.
예컨대, 제3조명 장치(40-3)의 경우, 제3조명 장치(40-3)는 제1수평 조명 장치 그룹(LHR1)에 속하며, 제3수직 조명 장치 그룹(LVR3)에 속한다. 따라서 제1수평 조명 장치 그룹(LHR1)에 대응되는 제2조명 상태 신호(ISS2) 중 다수에 해당하는 비트 값이 "0"이라 가정할 때, 제1수평 조명 장치 그룹에 대한 제1조정 사전 조명 값(AL11)은 "0.1"이다. 또한, 제3수직 조명 장치 그룹(LVR3)에 대응되는 제2조명 상태 신호(ISS2) 중 다수에 해당하는 비트 값이 "1"이라 가정할 때, 제1수직 조명 장치 그룹(LVR1)에 대한 제2조정 사전 조명 값(AL21)은 비트 값 "0.9"이다. 또한, 제1조명 장치(40-1)는 제1수평 조명 장치 그룹(LHR1)에 속하므로, 제1수평 조명 장치 그룹(LHR1)에 대한 제1가중치(w11)는 상대적 큰 값(예컨대, 0.8)을 가진다. 제1가중치(w11)는 상대적 큰 값(예컨대, 0.8)을 가지므로, 제3수직 조명 장치 그룹(LVR3)에 대한 제2가중치(w23)는 상대적 작은 값(예컨대, 0.2)을 가진다.
상기 수학식 1에 따라 제3조명 장치(40-3)에 대한 제3조정 사전 조명 값(AL3)은 0.26(=0.8*0.1+0.2*0.9)로 계산된다. 0.26은 0.9보다는 0.1에 더 가까우므로 제3조명 장치(40-3)에 대한 제3조정 사전 조명 값(AL3)은 비트 값 "0"로 설정된다.
예컨대, 제7조명 장치(40-7)의 경우, 제7조명 장치(40-7)는 제3수평 조명 장치 그룹(LHR3)에 속하며, 제1수직 조명 장치 그룹(LVR1)에 속한다. 따라서 제3수평 조명 장치 그룹(LHR1)에 대응되는 제2조명 상태 신호(ISS2) 중 다수에 해당하는 비트 값이 "1"이라 가정할 때, 제3수평 조명 장치 그룹에 대한 제1조정 사전 조명 값(AL11)은 "0.9"이다. 또한, 제1수직 조명 장치 그룹(LVR1)에 대응되는 제2조명 상태 신호(ISS2) 중 다수에 해당하는 비트 값이 "1"이라 가정할 때, 제1수직 조명 장치 그룹(LVR1)에 대한 제2조정 사전 조명 값(AL21)은 비트 값 "0.9"이다. 또한, 제3조명 장치(40-3)는 제3수평 조명 장치 그룹(LHR3)에 속하므로, 제3수평 조명 장치 그룹(LHR3)에 대한 제1가중치(w13)는 상대적으로 작은 값(예컨대, 0.2)을 가진다. 제1가중치(w13)는 상대적으로 작은 값(예컨대, 0.2)을 가지므로, 제1수직 조명 장치 그룹(LVR1)에 대한 제2가중치(w21)는 상대적 큰 값(예컨대, 0.7)을 가진다.
상기 수학식 1에 따라 제3조명 장치(40-3)에 대한 제3조정 사전 조명 값(AL3)은 0.71(=0.8*0.1+0.7*0.9)로 계산된다. 0.71은 0.1보다는 0.9에 더 가까우므로 제3조명 장치(40-3)에 대한 제3조정 사전 조명 값(AL3)은 비트 값 "1"로 설정된다.
실시 예에 따라 복수의 조명 장치들(40-1~40-n) 각각에 대한 각각의 상기 조정 사전 조명 값이 설정된 후, 프로젝터(30)가 다시 켜질 때, 제1프로세서(11)는 프로젝터 트랜시버(31)가 복수의 조명 장치들(40-1~40-n) 각각에 대한 상기 각각의 조정 사전 조명 값을 포함하는 조명 스위치 제어 신호(CS)를 조명 트랜시버(43)로 전송하도록 조명 스위치 제어 신호(CS)를 제2컴퓨팅 장치(20)로 전송할 수 있다.
제2컴퓨팅 장치(20)는 상기 각각의 조정 사전 조명 값을 포함하는 조명 스위치 제어 신호(CS)를 조명 트랜시버(43)로 전송한다.
조명 스위치(41)는 상기 각각의 조정 사전 조명 값을 포함하는 조명 스위치 제어 신호(CS)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조명 스위치 제어 신호(CS)에 따라 복수의 조명 장치들(40-1~40-n) 각각을 제어한다.
제2지역(3)에 있는 사용자는 프로젝터(30)를 사용하기 위해 조명 장치들(40-1~40-n)을 스스로 제어하더라도 최적의 조명 환경을 맞추기가 쉽지 않다.
하지만, 앞에서 언급한 상기 사전 조명 값들의 조정 동작이 제1프로세서(11)에 의해 수행됨으로써 자동으로 최적의 조명 환경을 맞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에어컨(50)은 콘센트(51)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는다. 콘센트(51)는 콘센트 트랜시버(53)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에어컨(50)은 콘센트 트랜시버(53)를 통해 원격으로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시스템;
1: 제1지역;
2: 벽;
3: 제2지역;
10: 제1컴퓨팅 장치;
20: 제2컴퓨팅 장치;
30: 프로젝터;
40-1~40-n: 조명 장치들;

Claims (7)

  1. 제1지역과, 상기 제1지역과 벽으로 구분되는 제2지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지역에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제1컴퓨팅 장치가 위치하며, 상기 제2지역에는 제2컴퓨팅 장치, 상기 제2컴퓨팅 장치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어 트랜시버, 프로젝터, 및 상기 프로젝터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프로젝터 트랜시버가 위치하며, 상기 제1컴퓨팅 장치와 상기 제2컴퓨팅 장치는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통신이 가능한 시스템에서 장치들을 통합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2컴퓨팅 장치를 켜기 위해 컴퓨팅 온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컴퓨팅 장치로부터 상기 컴퓨팅 온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2컴퓨팅 장치가 켜졌다는 상태를 나타내는 컴퓨팅 온 확인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컴퓨팅 온 확인 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어 트랜시버가 상기 프로젝터를 켜기 위해 상기 제2컴퓨팅 장치로 프로젝터 온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젝터 트랜시버로부터 수신된 프로젝터 온 확인 신호를 상기 제2컴퓨팅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지역에는 복수의 조명 장치들, 상기 복수의 조명 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조명 스위치, 및 상기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조명 스위치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조명 트랜시버가 더 위치하는 장치들을 통합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젝터 온 확인 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조명 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조명 스위치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조명 트랜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복수의 조명 장치들 각각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제1조명 상태 신호를 상기 제2컴퓨팅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컴퓨팅 장치로부터 상기 제1조명 상태 신호를 수신하고 임의의 시간 후에 상기 조명 트랜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복수의 조명 장치들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제2조명 상태 신호를 상기 제2컴퓨팅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조명 상태 신호와 상기 제2조명 상태 신호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조명 상태 신호와 상기 제2조명 상태 신호의 비교 결과에 따라 사전 조명 값들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조명 상태 신호와 상기 제2조명 상태 신호 각각은,
    복수의 비트들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비트들 각각은,
    상기 복수의 조명 장치들 각각의 온, 오프 상태를 나타내며,
    상기 장치들을 통합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제1조명 상태 신호의 비트들과 상기 제2조명 상태 신호의 비트들 중 변하지 않는 비트들을 사전 조명 값들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장치들을 통합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 프로세서는 사전에 알려진 상기 복수의 조명 장치들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조명 장치들을 상기 프로젝터의 중심을 기준으로 Y축 방향에 따라 복수의 수평 조명 장치 그룹들로 분류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는 사전에 알려진 상기 복수의 조명 장치들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조명 장치들을 상기 프로젝터의 중심을 기준으로 X축 방향에 따라 복수의 수직 조명 장치 그룹들로 분류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수평 조명 장치 그룹들 각각에 대응되는 상기 제2조명 상태 신호의 비트값들 중 다수에 해당하는 비트 값을 각각 결정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수평 조명 장치 그룹들에 속하는 조명 장치들 각각에 대해 상기 결정된 비트 값 각각을 각각의 제1조정 사전 조명 값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수직 조명 장치 그룹들 각각에 대응되는 상기 제2조명 상태 신호의 비트값들 중 다수에 해당하는 비트 값을 각각 결정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수직 조명 장치 그룹들에 속하는 조명 장치들 각각에 대해 상기 결정된 비트 값 각각을 각각의 제2조정 사전 조명 값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각각의 제1조정 사전 조명 값과 각각의 제1가중치를 곱하여 각각의 제1가중치 조정 사전 조명 값을 생성하고, 상기 각각의 제2조정 사전 조명 값과 각각의 제2가중치를 곱하여 각각의 제2가중치 조정 사전 조명 값을 생성하고, 상기 각각의 제1가중치 조정 사전 조명 값과 상기 각각의 제2가중치 조정 사전 조명 값을 가산하여 가산한 값에 따라 상기 복수의 조명 장치들 각각에 대한 각각의 조정 사전 조명 값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조명 장치들 각각에 대한 각각의 상기 조정 사전 조명 값이 설정된 후, 상기 프로젝터가 다시 켜질 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젝터 트랜시버가 상기 복수의 조명 장치들 각각에 대한 상기 각각의 설정된 조정 사전 조명 값을 포함하는 조명 스위치 제어 신호를 상기 조명 트랜시버로 전송하도록 상기 각각의 조정 사전 조명 값을 포함하는 상기 조명 스위치 제어 신호를 상기 제2컴퓨팅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컴퓨팅 장치는 상기 각각의 조정 사전 조명 값을 포함하는 상기 조명 스위치 제어 신호를 상기 조명 트랜시버로 전송하고,
    상기 조명 스위치는 상기 각각의 조정 사전 조명 값을 포함하는 상기 조명 스위치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조명 스위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의 조명 장치들 각각을 제어하며,
    상기 제1가중치가 작은 값을 가질수록 상기 제2가중치는 큰 값을 가지는 장치들을 통합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들을 통합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 사전 조명 값들이 설정된 후, 상기 프로젝터가 다시 켜질 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젝터 트랜시버가 상기 설정된 사전 조명 값들을 포함하는 조명 스위치 제어 신호를 상기 조명 트랜시버로 전송하도록 상기 조명 스위치 제어 신호를 상기 제2컴퓨팅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컴퓨팅 장치는 상기 조명 스위치 제어 신호를 상기 조명 트랜시버로 전송하고,
    상기 조명 스위치는 상기 조명 스위치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조명 스위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의 조명 장치들 각각을 제어하는 장치들을 통합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터가 동작 중일 때, 상기 프로젝터 트랜시버는 상기 프로젝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3컴퓨팅 장치에서 동작하는 파일이 동영상 파일 형식인지 판단하며,
    상기 제3컴퓨팅 장치에서 동작하는 파일이 상기 동영상 파일 형식일 때, 상기 프로젝터 트랜시버는 상기 조명 트랜시버로 상기 복수의 조명 장치들을 모두 끄도록 하기 위해 상기 설정된 사전 조명 값들을 포함하는 조명 스위치 제어 신호를 상기 조명 트랜시버로 전송하는 장치들을 통합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방법.
  6. 삭제
  7. 제1지역; 및
    상기 제1지역과 벽으로 구분되는 제2지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지역에는,
    명령들을 실행하는 프로세서와 상기 명령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제1컴퓨팅 장치가 위치하며,
    상기 제2지역에는,
    상기 제1컴퓨팅 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통신하는 제2컴퓨팅 장치;
    상기 제2컴퓨팅 장치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어 트랜시버;
    프로젝터; 및
    상기 프로젝터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프로젝터 트랜시버를 포함하며,
    상기 명령들은,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2컴퓨팅 장치를 켜기 위한 컴퓨팅 온 제어 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제2컴퓨팅 장치로부터 상기 컴퓨팅 온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2컴퓨팅 장치가 켜졌다는 상태를 나타내는 컴퓨팅 온 확인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컴퓨팅 온 확인 신호를 수신 후, 상기 제어 트랜시버가 상기 프로젝터를 켜기 위해 상기 제2컴퓨팅 장치로 프로젝터 온 제어 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프로젝터 트랜시버로부터 수신된 프로젝터 온 확인 신호를 상기 제2컴퓨팅 장치로부터 수신하도록 구현되며,
    상기 제2지역에는 복수의 조명 장치들, 상기 복수의 조명 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조명 스위치, 및 상기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조명 스위치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조명 트랜시버가 더 위치하며,
    상기 명령들은,
    상기 프로젝터 온 확인 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복수의 조명 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조명 스위치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조명 트랜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복수의 조명 장치들 각각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제1조명 상태 신호를 상기 제2컴퓨팅 장치로부터 수신하며,
    상기 제2컴퓨팅 장치로부터 상기 제1조명 상태 신호를 수신하고 임의의 시간 후에 상기 조명 트랜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복수의 조명 장치들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제2조명 상태 신호를 상기 제2컴퓨팅 장치로부터 수신하며,
    상기 제1조명 상태 신호와 상기 제2조명 상태 신호를 비교하며,
    상기 제1조명 상태 신호와 상기 제2조명 상태 신호의 비교 결과에 따라 사전 조명 값들을 설정하도록 구현되며,
    상기 제1조명 상태 신호와 상기 제2조명 상태 신호 각각은,
    복수의 비트들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비트들 각각은,
    상기 복수의 조명 장치들 각각의 온, 오프 상태를 나타내며,
    상기 명령들은,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제1조명 상태 신호의 비트들과 상기 제2조명 상태 신호의 비트들 중 변하지 않는 비트들을 사전 조명 값들로 설정하도록 더 구현되며,
    상기 명령들은,
    사전에 알려진 상기 복수의 조명 장치들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조명 장치들을 상기 프로젝터의 중심을 기준으로 Y축 방향에 따라 복수의 수평 조명 장치 그룹들로 분류하며,
    사전에 알려진 상기 복수의 조명 장치들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조명 장치들을 상기 프로젝터의 중심을 기준으로 X축 방향에 따라 복수의 수직 조명 장치 그룹들로 분류하며,
    상기 복수의 수평 조명 장치 그룹들 각각에 대응되는 상기 제2조명 상태 신호의 비트값들 중 다수에 해당하는 비트 값을 각각 결정하며,
    상기 복수의 수평 조명 장치 그룹들에 속하는 조명 장치들 각각에 대해 상기 결정된 비트 값 각각을 각각의 제1조정 사전 조명 값으로 설정하며,
    상기 복수의 수직 조명 장치 그룹들 각각에 대응되는 상기 제2조명 상태 신호의 비트값들 중 다수에 해당하는 비트 값을 각각 결정하며,
    상기 복수의 수직 조명 장치 그룹들에 속하는 조명 장치들 각각에 대해 상기 결정된 비트 값 각각을 각각의 제2조정 사전 조명 값으로 설정하며,
    상기 각각의 제1조정 사전 조명 값과 각각의 제1가중치를 곱하여 각각의 제1가중치 조정 사전 조명 값을 생성하고, 상기 각각의 제2조정 사전 조명 값과 각각의 제2가중치를 곱하여 각각의 제2가중치 조정 사전 조명 값을 생성하고, 상기 각각의 제1가중치 조정 사전 조명 값과 상기 각각의 제2가중치 조정 사전 조명 값을 가산하여 가산한 값에 따라 상기 복수의 조명 장치들 각각에 대한 각각의 조정 사전 조명 값을 설정하며,
    상기 복수의 조명 장치들 각각에 대한 각각의 상기 조정 사전 조명 값이 설정된 후, 상기 프로젝터가 다시 켜질 때, 상기 프로젝터 트랜시버가 상기 복수의 조명 장치들 각각에 대한 상기 각각의 설정된 조정 사전 조명 값을 포함하는 조명 스위치 제어 신호를 상기 조명 트랜시버로 전송하도록 상기 각각의 조정 사전 조명 값을 포함하는 상기 조명 스위치 제어 신호를 상기 제2컴퓨팅 장치로 전송하도록 더 구현되며,
    상기 제2컴퓨팅 장치는 상기 각각의 조정 사전 조명 값을 포함하는 상기 조명 스위치 제어 신호를 상기 조명 트랜시버로 전송하고,
    상기 조명 스위치는 상기 각각의 조정 사전 조명 값을 포함하는 상기 조명 스위치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조명 스위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의 조명 장치들 각각을 제어하며,
    상기 제1가중치가 작은 값을 가질수록 상기 제2가중치는 큰 값을 가지는 장치들을 통합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KR1020210076195A 2021-06-11 2021-06-11 장치들을 통합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23135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6195A KR102313562B1 (ko) 2021-06-11 2021-06-11 장치들을 통합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6195A KR102313562B1 (ko) 2021-06-11 2021-06-11 장치들을 통합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3562B1 true KR102313562B1 (ko) 2021-10-18

Family

ID=78271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6195A KR102313562B1 (ko) 2021-06-11 2021-06-11 장치들을 통합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356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8216Y1 (ko) * 2002-03-19 2002-06-14 (주) 제경시스템 멀티미디어 시청각실 통합관리시스템
KR20080064575A (ko) 2007-01-05 2008-07-0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프로젝터 원격제어 시스템 및 이에 적용되는 단말
KR20090064878A (ko) * 2007-12-17 2009-06-22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영상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영상 정보를 이용한엘이디 조명의 자동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132163B1 (ko) * 2010-10-14 2012-05-08 주식회사 마스터소프트 원격 전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36641A (ko) * 2015-05-20 2016-11-30 주식회사 지비솔루션즈 조명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1746215B1 (ko) * 2016-01-28 2017-06-12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사물인터넷을 활용한 스마트 강의실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8216Y1 (ko) * 2002-03-19 2002-06-14 (주) 제경시스템 멀티미디어 시청각실 통합관리시스템
KR20080064575A (ko) 2007-01-05 2008-07-0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프로젝터 원격제어 시스템 및 이에 적용되는 단말
KR20090064878A (ko) * 2007-12-17 2009-06-22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영상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영상 정보를 이용한엘이디 조명의 자동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132163B1 (ko) * 2010-10-14 2012-05-08 주식회사 마스터소프트 원격 전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36641A (ko) * 2015-05-20 2016-11-30 주식회사 지비솔루션즈 조명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1746215B1 (ko) * 2016-01-28 2017-06-12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사물인터넷을 활용한 스마트 강의실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118651B (zh) 连接的照明系统
CN111527795B (zh) 控制照明设备功能的方法和系统
KR101274146B1 (ko) 태블릿 이동 통신기기를 이용한 조명 제어 시스템 및 방법
WO201504336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lighting and appliance control
WO2016015499A1 (en) Smart led lighting device and system thereof
WO2018146742A1 (ja) 管理装置及び空調システム
US9660724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CN106598361A (zh) 投影触控装置及家用电器
JP2006092917A (ja) 照明制御システム
TW201541895A (zh) 主從式控制系統及其定址方法
KR102313562B1 (ko) 장치들을 통합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150141129A (ko) 적외선 통신을 통하여 가전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조명장치
TWI697237B (zh) 投影機控制管理系統
US20180279452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group of lighting modules
CN114448742A (zh) 基于蓝牙的全屋智能设备自由场景定义方法和系统
KR20140046778A (ko) Led 조명등 제어장치
US20080071390A1 (en) Lighting systems and methods
US20080058960A1 (en) Lighting systems and methods
JP7286125B1 (ja) 機器制御サーバ
TWI634399B (zh) Wireless layer power management system and remote control device thereof, controlled device and remote control method
KR101186223B1 (ko) 이동 통신기기를 이용한 전력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0747079B1 (ko) 유·무선 복합방식의 멀티미디어기기 통합제어장치
KR20140023487A (ko) 조명제어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조명장치를 등록하는 장치 및 방법
JP7245481B1 (ja) 機器管理システム、モバイル端末およびプログラム
JP2022170839A (ja) 照明制御システム、照明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