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3599Y1 - 중앙음향영상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중앙음향영상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3599Y1
KR200343599Y1 KR20-2003-0039484U KR20030039484U KR200343599Y1 KR 200343599 Y1 KR200343599 Y1 KR 200343599Y1 KR 20030039484 U KR20030039484 U KR 20030039484U KR 200343599 Y1 KR200343599 Y1 KR 2003435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jector
image
control
control unit
aud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94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왕영도
Original Assignee
왕영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왕영도 filed Critical 왕영도
Priority to KR20-2003-00394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359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35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3599Y1/ko

Links

Landscapes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멀티미디어 교육자료를 사용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강의실 또는 화상회의실 등에 설치되는 음향영상출력장치를 포함한 A·V관련장치의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음향영상출력장치 등 다수의 A·V관련장치를 하나의 시스템으로 연계되어 중앙제어부에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며, 각 A·V관련장치의 동작시퀀스를 미리 설정하여 특정 선택버튼의 작동신호에 의하여 일정한 순서로 A·V관련장치가 작동하도록 하는 중앙음향영상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중앙음향영상제어시스템{Central Audio and Visual Control System}
본 고안은 멀티미디어 교육자료를 사용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강의실 또는 화상회의실 등에 설치되는 음향영상출력장치를 포함한 음향영상관련장치 (Audio·Visual System : 이하 A·V관련장치라 한다)의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음향영상출력장치 등 다수의 A·V관련장치를 하나의 시스템으로 연계되어 중앙제어부에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며, 각 A·V관련장치의 동작시퀀스를 미리 설정하여 특정 선택버튼의 작동신호에 의하여 일정한 순서로 A·V관련장치가 작동되도록 하는 중앙음향영상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화상회의실이나 멀티미디어 강의실에 사용되는 음향영상출력장치를 포함한 A·V관련장치에는 필요한 음향영상을 출력하는 컴퓨터, 카메라, 비디오, DVD를 포함하는 음향영상출력장치와 상기 음향영상출력장치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비추는 프로젝터 등이 포함되며, 필요에 따라 하나 이상의 음향영상출력장치와 음향영상관련장치가 사용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음향영상출력장치를 비추기 위한 스크린과 음향을 전달하는 스피커 및 다수의 실내의 조명수단이 A·V관련장치에 포함된다.
종래에는 멀티미디어 강의실에서 교육자료를 사용하기 위하여는 상기의 음향영상출력장치와 스크린 및 조명은 각각 개별적으로 제어스위치가 설치되어 서로 독립적으로 작동되어 왔다. 즉 교육자료의 사용이 필요한 경우에는 사용하고자 하는 음향영상출력장치를 프로젝터의 입력단자에 연결하고 스크린을 하강시키며, 설치된 조명을 설치위치에 따라 각각 소등 또는 밝기 조정을 하게 된다.
따라서 각각의 A·V관련장치를 작동하기 위하여 회의 또는 교육 도중에 사람이 이동하여 조작하게 되므로 많은 시간이 소요됨은 물론 이로 인하여 주위의 회의 및 교육환경 분위기가 산만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음향영상출력장치 등 다수의 A·V관련장치를 제어하는 각 제어수단을 하나의 시스템으로 연계되어 중앙제어부에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며, A·V관련장치의 동작시퀀스를 미리 설정하여 특정 선택버튼의 작동신호에 의하여 일정한 순서로 A·V관련장치가 작동되도록 하는 중앙음향영상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중앙음향영상제어시스템과 음향영상출력장치와 프로젝터 및 스크린 등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중앙음향영상제어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중앙음향영상제어시스템의 제어판넬의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중앙음향영상제어시스템을 적용한 영상회의실의 실시예.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음향영상출력장치 20 - 프로젝터
30 - 영상모니터 40 - 스크린
100 - 중앙제어부 200 - 제어판넬
300 - 조명제어부 400 - 모터제어부
500 - 스위칭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중앙음향영상출력장치는 프로젝터에 영상을 출력하는 다수의 음향영상출력장치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작동신호를 발생하는 프로젝터출력버튼과 상기 프로젝터와 스피커 및 다수의 조명수단을 포함하는 음향영상관련장치를 초기작동상태로 복귀시키는 작동신호를 발생하는 리셋버튼을 포함하는 제어판넬, 상기 프로젝터와 상기 스크린을 하강시키는 프로젝터모터와 스크린모터를 제어하는 모터제어부, 상기 다수의 조명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조명제어부, 상기 프로젝터출력버튼에 의하여 선택된 상기 음향영상출력장치와 상기 프로젝터의 연결을 제어하는 스위칭부 및 상기 제어판넬과 상기 모터제어부와 상기 조명제어부 및 상기 스위칭부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프로젝터와 상기 스크린 및 상기 다수의 조명수단의 작동시퀀스정보를 저장하는 작동시퀀스저장부와, 상기 제어판넬의 작동신호와 상기 작동시퀀스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음향영상관련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작동제어부를 포함하는 중앙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중앙음향영상제어시스템과 음향영상출력장치와 프로젝터 및 스크린 등의 연결관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중앙음향영상제어시스템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중앙음향영상제어시스템의 제어판넬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중앙음향영상제어시스템을 적용한 화상회의실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고안은 음향영상출력장치를 사용하는 화상회의실 등에서 사용되는 음향영상출력장치, 스크린, 조명수단 등 다수의 A·V관련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하나의 시스템으로 연계되어 중앙제어부에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며, 각 A·V관련장치의 작동시퀀스를 미리 설정하여 특정 선택버튼의 작동에 의하여 일정한 순서로 A·V관련장치가 작동되도록 하는 중앙음향영상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상기 중앙음향영상제어시스템과 A·V관련장치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상기 중앙음향영상제어시스템에는 음향영상출력장치(10)와 스크린(40)과 프로젝터(20)와 영상모니터(30)와 스피커(50)와 조명수단(60) 등 A·V관련장치가 연결된다.
상기 음향영상출력장치(10)로는 데스크탑컴퓨터, 노트북컴퓨터, 비디오, DVD, 카메라, 실물화상기 등이 포함되며, 음향영상출력장치는 하나 이상 사용된다.
상기 프로젝터(20)는 상기 음향영상출력장치(10)로부터 영상을 전송받아 상기 스크린(40)에 영상을 비추는 장치이며, 화상회의실 전면의 천정내부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선반에 지지되어 프로젝터모터(도면에 표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사용시에 천정 밑으로 내려오게 된다.
상기 영상모니터(30)는 상기 음향영상출력장치(10)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상기 스크린(40)에 비추기 전에 미리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모니터로서 일반적인 모니터가 사용된다. 상기 영상모니터(30)는 중앙음향영상제어시스템의 옆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스크린(40)은 화상회의실의 전면 천정 속에 설치되며 스크린모터(도면에 표시하지 않음)의 작동에 의하여 천정으로부터 내려오게 된다.
상기 스피커(50)는 화상회의실의 양측면에 다수 설치되며 상기 음향영상출력장치(10)에서 출력되는 음향을 전송받아 출력하게 된다.
상기 조명수단(60)은 화상회의실의 천정에 설치되는 다수의 조명등으로 형성되며 설치위치에 따라 독립적으로 작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중앙음향영상제어시스템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본 고안에 따른 중앙음향영상제어시스템은 중앙제어부(100)와 제어판넬(200)과 조명제어부(300)와 모터제어부(400)와 스위칭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판넬(200)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중앙제어부(100)에서 상기 음향영상출력장치(10)의 선택과 상기 프로젝터(20)와 스크린(40) 및 조명수단(60)의 작동을 일정한 시퀀스에 따라 자동으로 제어하게 된다.
상기 중앙제어부(100)는 작동제어부(110)와 작동시퀀스저장부(120) 및 인터페이스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작동제어부(110)는 상기 작동시퀀스저장부(120)와 상기 인터페이스부(130)와 정보를 송수신하며 상기 A·V관련장치의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작동제어부(110)는 상기 제어판넬(200)의 작동신호를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수신하고, 작동신호에 대응하여 A·V관련장치의 작동시퀀스정보를 작동시퀀스저장부(120)로부터 수신한다. 작동제어부(110)는 수신한 작동시퀀스정보를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각 A·V관련장치의 제어부로 송신하여 A·V관련장치의 작동을 자동으로 제어하게 된다.
상기 작동시퀀스저장부(120)는 상기 A·V관련장치의 작동순서와 작동시간간격 등 작동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게 되며, 작동시퀀스정보는 외부의 컴퓨터로부터 입력되어 저장된다. 따라서 저장된 작동시퀀스정보를 변경하는 경우에는 외부의 컴퓨터를 작동시퀀스저장부(120)에 연결하여 변경하게 된다.
상기 작동시퀀스정보는 상기 스크린(40)의 하강, 상기 프로젝터(20)의 하강, 상기 조명수단(60)의 설치위치에 따른 소등과 밝기 조정, 프로젝터(20)의 작동, 상기 음향영상출력장치(10)의 영상출력의 순으로 상기 A·V관련장치가 작동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게 된다.
또한 상기 작동시퀀스정보에는 A·V관련장치의 초기상태정보가 기억되며, A·V관련장치의 사용이 종료되면 상기 작동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하여 A·V관련장치가 사용전의 상태로 복귀될 수 있는 있도록 한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30)는 상기 제어판넬(200)의 작동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스위칭부(500)와 조명수단과 스크모터와 프로젝터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모터제어부(300)와 스피커(50) 및 프로젝터(20)와 연결되어 상기 작동제어부(110)의 작동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인터페이스부(130)에서 상기 각 제어부로 전송되는 신호는 RS-232C를 사용하여 전송되며, RS-422 또는 RS-485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130)에는 음향이 입력되는 음향입력단자(도면에 표시하지 않음)와 상기 스피커(50)와 연결되는 음향출력단자(도면에 표시하지 않음)가 형성되며, 상기 작동제어부(110)에서 제어판넬(200)의 볼륨조정신호에 대응하여 볼륨이 조정된 음향을 출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130)에는 상기 프로젝터(20)의 온/오프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프로젝터단자(도면에 표시하지 않음)가 형성되며 상기 작동제어부(110)에서 상기 제어판넬(200)의 작동신호에 따라서 수동으로 프로젝터(2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어판넬(200)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프로젝터에 영상을 전송하는 상기 음향영상출력장치(10)를 선택하는 작동신호를 발생시키는 프로젝터출력버튼(210)과 스피커(50)의 음량을 조정하는 작동신호를 발생시키는 볼륨조정버튼(230)과 프로젝터(20)의 작동을 제어하는 작동신호를 발생시키는 프로젝터작동버튼(240)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어판넬(200)에는 상기 영상모니터(30)로 영상을 출력하는 상기 음향영상출력장치(10)를 선택하는 작동신호를 발생시키는 영상모니터출력버튼(220)이 포함되며, 영상모니터출력버튼(220)의 작동시 영상모니터(30)에서 음향영상출력장치(10)의 영상이 상기 프로젝터(20)에 출력되기 전에 미리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준다. 즉 상기 카메라, DVD등의 영상을 프로젝터(20)에 영상을 출력하기 전에 미리 확인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미리 영상모니터(30)에 영상을 출력시켜 확인하게 된다. 따라서 하나 이상의 음향영상출력장치(10)를 사용되는 경우에는 하나의 음향영상출력장치(10)를 사용하면서 다음 음향영상출력장치(10)의 영상을 미리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판넬(200)에는 각 버튼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램프(도면에 표시하지 않음)가 각 버튼의 하부에 설치되며, 버튼의 작동시 램프가 점등되어 작동된 버튼과 상기 스크린(40)에 영상을 출력하는 음향영상출력장치(10)를 표시한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어판넬(200)은 상기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상기 작동제어부(110)와 정보를 송신하게 된다.
상기 제어판넬(200)에는 상기 프로젝터출력버튼(210)과 상기 영상모니터출력버튼(220)을 각각 설치하여 서로 독립적으로 선택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판넬(200)에는 상기 프로젝터(20)를 포함한 A·V관련장치를 초기상태로 복귀시키기 위한 작동신호를 발생하는 리셋버튼(250)이 형성되며 A·V관련장치의 사용이 종료되면 리셋버튼(250)의 작동에 의하여 A·V관련장치를 초기상태로 복귀시키게 된다. 따라서 프로젝터(20)는 작동이 중지되며 상기 스크린(40)과 프로젝터(20)는 천장 위로 상승하게된다. 또한 화상회의실 내의 각 조명은 정상적으로 점등된다.
또한 상기 프로젝터작동버튼(240)은 상기 프로젝터(20)의 온/오프 작동을 수동으로 제어하게 된다.
상기 조명제어부(300)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상기 작동제어부(110)로부터 작동시퀀스정보를 수신하여 화상회의실에 사용되는 조명수단(60)의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조명제어부(300)와 중앙제어부(100)의 정보송수신에는 RS-232C이 사용되며 다른 방식이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통상 화상회의실에는 다양한 조명수단(60)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형광등, 할로겐램프, 백열전구 등이 사용된다. 조명수단(60)은 조명이 설치되는 위치별로 조명의 작동이나 밝기를 다르게 제어될 필요가 있다. 즉 화상회의실에서 상기 스크린(40)에 영상자료를 비추는 경우에는 화상회의실 앞쪽에 설치된 조명은 어둡게 하거나 소등하고, 뒤쪽이나 옆쪽의 조명은 약간 밝게 조정될 필요가 있다. 또한 중앙의 조명도 뒤로 갈수록 밝게 조정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기 조명제어부(300)는 상기 중앙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하여 각 조명수단(60)을 설치된 위치에 따라서 점등과 소등 및 밝기를 조정하게되며, 예를 들어 밝기는 25%, 50%, 75%, 100%와 같이 단계별로 조정될 수 있다.
상기 모터제어부(400)는 상기 스크린(40)의 상하이동을 조정하는 스크린모터와 상기 프로젝터(20)의 상하이동을 조정하는 프로젝터모터의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모터제어부(400)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상기 작동제어부(110)에서 동작시퀀스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각 모터를 제어하게 된다. 모터제어부(400)와 중앙제어부(100)의 정보송수신에는 RS-232C이 사용되며 다른 방식이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스위칭부(500)는 음향영상 매트릭스 스위처(A·V matrix switcher : 이하 '매트릭스 스위처'라 함)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중앙제어부(100)에 연결되어 제어된다. 또한 스위칭부(500)는 중앙제어부(100)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음향영상출력장치(10)의 연결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입력단자와 상기 음향영상출력장치(10)로부터 전송되는 영상과 음향신호를 수신하는 다수의 음향영상입력단자와 수신된 음향과 영상신호를 프로젝터(20)와 영상모니터(30)로 출력하는 음향영상출력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매트릭스 스위처는 영상음향출력장치와 영상표시장치를 접점방식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일반적인 장치이며, 사용되는 음향영상출력장치의 수에 따라 적정한 사양으로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칭부(500)는 중앙제어부(100)에서 전송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음향영상출력장치(10)와 상기 프로젝터(20) 또는 영상모니터(30)의 연결관계를 조정하여 상기 제어판넬(200)에서 선택된 하나의 음향영상출력장치(10)를 프로젝터(20)와 영상모니터(30)에 각각 연결하게 된다. 상기 스위칭부(500)의 음향영상 매트릭스 스위처는 매트릭스접점방식이 사용되며 제어판넬(200)의 특정버튼의 작동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중앙제어부(100)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접점을 작동시켜음향영상출력장치(10)를 프로젝터(20)와 영상모니터(30)에 연결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판넬(200)의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음향영상출력장치(10)의 영상이 상기 스크린(40) 또는 영상모니터(30)에 나타나게 된다.
다음은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중앙A·V제어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화상회의실의 A·V관련장치의 배치를 나타내며 본 실시예에서는 컴퓨터와 비디오를 사용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어판넬(200)과 중앙제어부(100)를 포함한 중앙음향영상제어시스템은 화상회의실내에 설치되거나 별도의 방을 만들어 방안에 설치하게 된다. 도 5에서는 중앙음향영상제어시스템이 화상회의실의 뒤쪽에 설치되었으며 상기 음향영상출력장치(10)는 중앙음향영상제어시스템의 설치위치에 함께 설치되었다.
상기 스크린(40)은 화상회의실의 앞쪽에 설치되고 상기 스크린(40)에 영상을 비추기에 적당한 거리에 상기 프로젝터(20)가 설치된다. 상기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상기 스크린(40)과 프로젝터(20)는 초기에는 천정 위에 위치하며 사용시 스크린모터와 프로젝터모터의 작동에 의하여 천정에서 내려오게 된다.
상기 스피커(50)는 화상회의실내의 소정의 위치에 다수 설치된다.
상기 조명수단(60)은 화상회의실 앞쪽의 조명(62)과 양옆쪽의 조명(64) 및 중앙의 조명으로 형성되며, 상기 중앙의 조명은 다시 앞쪽 조명(66)과 가운데 조명(67) 및 뒤쪽 조명(68)으로 분리되어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된다.
상기 중앙제어부(100)의 작동시퀀스저장부(120)에는 스크린(40) 하강, 프로젝터(20) 하강, 조명수단(60)의 밝기 조정, 프로젝터(20) 작동 순과 같이 상기 A·V관련장치가 일정한 시퀀스로 작동되도록 작동시퀀스정보가 저장된다. 조명수단(60)의 밝기는 앞쪽 조명(62)은 소등, 양쪽 조명(64)은 점등시 밝기의 25%, 중앙의 앞쪽 조명(66)은 25%, 가운데 조명(67)은 50%, 뒤쪽 조명(68)은 75%의 밝기로 설정된다.
먼저 상기 제어판넬(200)의 프로젝터출력버튼(21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상기 중앙제어부(100)의 작동제어부(110)에서 상기 제어판넬(200)의 작동신호를 수신하고 작동신호에 대응하는 작동시퀀스정보를 상기 작동시퀀스저장부(120)로부터 수신하여 작동시퀀스정보를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A·V관련장치의 각 제어부로 전송한다.
상기 중앙제어부(100)는 작동시퀀스정보에 따라 상기 모터제어부(400)로 모터 작동신호를 전송하며 작동신호를 받은 모터제어부(400)는 스크린모터와 프로젝터모터를 작동하여 상기 스크린(40)과 프로젝터(20)를 하강시킨다.
상기 중앙제어부(100)는 작동시퀀스정보에 따라 상기 조명제어부(300)로 조명수단(60)의 제어신호를 전송하며, 조명수단(60)은 설정위치에 따라 각각 밝기가 조정된다. 따라서 화상회의실 앞쪽 조명(62)은 소등되며, 양 옆쪽 조명(64)은 점등시 밝기의 25%, 중앙의 앞쪽 조명(66)은 25%, 중앙의 가운데 조명(67)은 50%, 중앙의 뒤쪽 조명(68)은 75%의 밝기로 점등된다.
다음으로 상기 중앙제어부(100)는 상기 프로젝터(20)에 작동신호를 전송하게되고 프로젝터(20)는 상기 컴퓨터의 영상을 전송받아 스크린(40)에 표시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판넬(200)의 영상모니터출력버튼(220)의 해당버튼을 누르면 비디오의 영상이 프로젝터(20)로 출력되기 전에 영상모니터(30)로 출력된다. 비디오로 출력되는 영상을 프로젝터(20)로 출력하기 위하여 다시 프로젝터출력버튼(210)을 작동시키게 되면 상기 비디오의 영상이 스크린(40)에 표시된다. 이때 영상과 함께 출력되는 음성의 볼륨이 적당하지 않으면 상기 볼륨조정버튼(230)을 사용하여 적정하게 조정한다.
상기 A·V관련장치의 사용이 종료되면 상기 제어판넬(200)에 형성된 리셋버튼(250)을 누르게 되고 리셋버튼(250)의 작동신호에 의하여 상기 A·V관련장치는 초기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화상회의실이나 멀티미디어 강의실에 설치되는 음향영상출력장치와 프로젝터, 스크린, 다수의 조명 등 여러 종류의 A·V관련장치의 작동이 중앙음향영상제어시스템에서 일정한 시퀀스에 의하여 자동으로 조정되므로 간편하게 화상회의실이나 멀티미디어강의실에 멀티미디어 사용환경을 구성하여 운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프로젝터에 영상을 출력하는 다수의 음향영상출력장치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작동신호를 발생시키는 프로젝터출력버튼과 상기 프로젝터와 스피커 및 다수의 조명수단을 포함하는 음향영상관련장치를 초기작동상태로 복귀시키는 작동신호를 발생시키는 리셋버튼을 포함하는 제어판넬;
    상기 프로젝터와 상기 스크린을 하강시키는 프로젝터모터와 스크린모터를 제어하는 모터제어부;
    상기 다수의 조명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조명제어부;
    상기 프로젝터출력버튼에 의하여 선택된 상기 음향영상출력장치와 상기 프로젝터의 연결을 제어하는 스위칭부; 및
    상기 제어판넬과 상기 모터제어부와 상기 조명제어부 및 상기 스위칭부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프로젝터와 상기 스크린 및 상기 다수의 조명수단의 작동시퀀스정보를 저장하는 작동시퀀스저장부와, 상기 제어판넬의 작동신호와 상기 작동시퀀스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음향영상관련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작동제어부를 포함하는 중앙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음향영상제어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판넬은 영상모니터에 영상을 출력하는 상기 음향영상출력장치를 선택하는 작동신호를 발생시키는 영상모니터출력버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음향영상출력장치와 상기 영상모니터의 연결을 제어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음향영상제어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매트릭스 스위처와 상기 중앙제어부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음향영상출력장치의 연결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입력단자와 상기 음향영상출력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음향영상신호를 수신하는 다수의 음향영상입력단자와 수신된 음향영상신호를 상기 프로젝터 또는 상기 영상모니터로 출력하는 음향영상출력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음향영상제어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시퀀스저장부는 상기 조명수단의 점등여부와 밝기가 설치위치별로 다르게 설정되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음향영상제어시스템.
KR20-2003-0039484U 2003-12-18 2003-12-18 중앙음향영상제어시스템 KR2003435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9484U KR200343599Y1 (ko) 2003-12-18 2003-12-18 중앙음향영상제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9484U KR200343599Y1 (ko) 2003-12-18 2003-12-18 중앙음향영상제어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3599Y1 true KR200343599Y1 (ko) 2004-03-04

Family

ID=49425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9484U KR200343599Y1 (ko) 2003-12-18 2003-12-18 중앙음향영상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359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9096B1 (ko) * 2008-01-18 2009-09-28 클리오주식회사 오디오,비디오 통합제어시스템
KR101123363B1 (ko) 2011-02-14 2012-03-23 주식회사 한국에스알테크 무인화된 영상 및 음향장치 통합관리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9096B1 (ko) * 2008-01-18 2009-09-28 클리오주식회사 오디오,비디오 통합제어시스템
KR101123363B1 (ko) 2011-02-14 2012-03-23 주식회사 한국에스알테크 무인화된 영상 및 음향장치 통합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61470B2 (en) Controller panel and system for light and serially networked lighting system
JP2020021080A (ja) 照明装置
US10813192B2 (en) Methods, system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luminaires of a lighting system based on a mode of an entertainment device
US20060076906A1 (en)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lighting and video devices
US763518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a collage from a plurality of stage lights
JP2006092917A (ja) 照明制御システム
KR200343599Y1 (ko) 중앙음향영상제어시스템
JPH0773978A (ja) 照明演出装置
JP2016225247A (ja) 光投影装置
JP2015230895A (ja) 照明システム及びその操作端末
KR20150120198A (ko) 지능형 조명 장치
KR101011031B1 (ko) 멀티미디어기기 통합제어장치
KR200383101Y1 (ko) 이동식 조명장치
US3907419A (en) Automatic multi-visual control system
JPH088068A (ja) 照明装置
JP2015230876A (ja) 照明システム及びその操作端末
CN209299571U (zh) 智能灯
JP3728821B2 (ja) 負荷制御システム
JP2012108167A (ja) 画像表示システム、プロジェクターの天吊装置、プロジェクターおよびプロジェクターの使用方法
KR20100046119A (ko) 학교방송국 장비용 다중제어장치
KR100975095B1 (ko) 월타입의 콘트롤러를 이용한 학습시스템의 원격제어방법
JP2018032549A (ja) 照明制御システム及び照明制御方法
JP3163856B2 (ja) ディスプレイモニターの状態表示装置
EP2901442B1 (en) Control device and system containing the control device
KR20180119907A (ko) 프로젝터 기능을 갖는 등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