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3363B1 - 무인화된 영상 및 음향장치 통합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인화된 영상 및 음향장치 통합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3363B1
KR101123363B1 KR1020110012894A KR20110012894A KR101123363B1 KR 101123363 B1 KR101123363 B1 KR 101123363B1 KR 1020110012894 A KR1020110012894 A KR 1020110012894A KR 20110012894 A KR20110012894 A KR 20110012894A KR 101123363 B1 KR101123363 B1 KR 1011233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image
source
sound source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2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에스알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에스알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에스알테크
Priority to KR10201100128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33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3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33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02Total factory control, e.g. smart factories,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or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Abstract

본 발명은 강의실, 강당, 세미나실 등에서 영상 및 음향장치를 이용하여 강의 등을 수행하고자 할 경우, 그 목적에 따라 시청각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각각의 영상 및 음향장치를 제어하는 통합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스마트 단말장치와 같은 외부 장치를 통하여 사용모드를 선택하여 영상 및 음향장치의 기능 구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Description

무인화된 영상 및 음향장치 통합관리 시스템{Unmanned systems of integrated management for video and audio devices}
본 발명은 영상 및 음향장치 통합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강의실, 강당, 세미나실, 회의실 등에 설치된 영상 및 음향장치를 이용하여 강의 등을 수행하고자 할 경우, 그 목적에 따라 시청각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각각의 영상 및 음향장치를 제어하는 통합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천정 중앙에 프로젝터 또는 측면에 모니터가 고정되어 있으며, 스크린이 일측벽에 구비되고, 스피커는 스크린의 좌우 천정에 고정형으로 구비되어 있으며, 이러한 기기들과 그 외의 기기를 조작하기 위한 제어장치가 구비되어 있는 강의실, 강당, 세미나실, 회의실 등(이하 ‘강의실 등’이라 한다)을 가정한다.
강의실 등에 설치된 각각의 영상 및 음향장치는 제어장치에 구비된 스위치를 통하여 각각 동작제어(On/Off)를 수행하게 되며,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직접 조작하여 원하는 시청각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일반적인 강의를 강의실 등에서 수행하고자 할 경우, 천정에 고정되어 있는 프로젝터 및 스크린을 동작시켜 강의자료를 디스플레이하고, 스피커를 동작시켜 마이크를 통하여 강의 음성을 출력하는 시청각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다음으로, 강의실 등에서 영화를 감상하기 위하여는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프로젝터, 스크린, 스피커를 작동시키는 것과 더불어, 창문의 커튼과 조명을 제어하여 실내의 밝기를 조절한 상태에서 프로젝터와 스피커를 통하여 영화를 감상하게 된다.
또한, 강의실 등에서 음악을 감상하기 위하여는 프로젝터 및 스크린의 조작을 제외하고는 영화를 감상하기 위한 경우와 동일하게 영상 및 음향장치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강의실 등의 사용목적에 따라 사용자가 직접 각각의 장치를 별로도 작동시켜야 함으로써 조작의 번거로움이 발생한다.
또한, 사용자가 각각의 장치의 기능과 여러 장치의 조작 방법을 숙지하고 있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영상 및 음향장치의 제어시스템이 도입되었으나, 이러한 시스템 조차도 각각의 장치들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여러 대의 제어 장치들을 추가적으로 구성하여야 한다.
또한, 관리의 간소화와 산업 기기들의 자동화로 IBS(Intelligent building system), BAS() 시스템이 도입되면서 중앙관리 시스템으로 변경되어 가고 있으나, 이러한 제어시스템은 이에 유연하게 대처하지 못하고 있다. 즉, 중앙관리 시스템으로 각 개별 강의실 등의 제어시스템을 중앙에서 통합하여 제어할 필요가 대두되었다.
본 발명은 강의실 등에서 사용되는 영상 및 음향장치 등을 통합적으로 제어하는 동시에, 각 장치들이 사용모드에 따라 자동적으로 기능 구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통합관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스마트 단말장치와 같은 외부 장치를 통하여 사용모드를 선택하여 영상 및 음향장치의 기능 구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통합관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강의실 등에 구비된 통합관리 시스템을 내외부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하고, 중앙에서 통합하여 제어할 수 있는 통합관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무인화된 영상 및 음향장치 통합관리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 및 음향장치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소스 및 음원소스를 출력하는 영상 및 음향장치 통합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다수의 영상소스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소스를 선택하는 영상스위치, 다수의 음원소스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소스를 선택하는 음원스위치, 영상 및 음향장치가 설치된 강의실의 사용특성을 포함하는 사용스케쥴을 저장하는 사용스케쥴 DB, 강의실의 사용특성에 따른 영상 및 음향장치의 제어값을 포함하는 사용모드를 저장하는 사용모드 DB 및 사용모드 DB에 저장된 사용모드에 포함된 제어값에 따라 선정된 영상 및 음향장치를 통하여 영상스위치에서 선택된 영상소스 및 음원스위치에서 선택된 음원소스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음원스위치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소스를 중첩하는 믹서, 중첩된 음원소스의 음질을 보정하는 음질보정장치 및 영상스위치에서 선택된 영상소스 또는 보정된 음원소스를 증폭하는 증폭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영상장치는 모니터, 빔 프로젝터를 포함하고, 음향장치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스케쥴 DB는 강의실에 대한 시간대별 강의스케쥴을 포함하는 학사시스템과 연동하여 강의스케쥴을 획득하고, 획득한 강의스케쥴에 따라 강의실의 사용특성을 분석하여 각각의 강의실에 대한 사용스케쥴을 저장한다.
또한, 사용모드 DB는 사용스케쥴 DB로부터 획득한 강의실에 대한 사용스케쥴을 통하여 또는 외부 장치를 통하여 강의실의 사용특성을 획득하고, 획득된 강의실의 사용특성에 따라 출력하고자 하는 영상 및 음향장치를 선정한 제어값을 갖는 다수의 사용모드를 저장한다.
또한, 제어서버는 외부의 스마트 단말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스마트 단말장치로부터 사용모드를 선택받아, 선택받은 사용모드에 포함된 제어값에 따라 선정된 영상 및 음향장치를 통하여 영상스위치에서 선택된 영상소스 및 음원스위치에서 선택된 음원소스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영상스위치, 음원스위치, 사용스케쥴 DB, 사용모드 DB 및 제어서버를 포함하는 통합관리 시스템이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된 경우, 각각의 통합관리 시스템의 동작여부를 중앙에서 통합하여 제어하는 중앙제어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강의실 등에서 사용되는 영상 및 음향장치 등을 통합적으로 제어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강의실 등에서 사용되는 영상 및 음향장치들의 사용모드를 설정하고, 설정된 사용모드에 따라 자동적으로 기능 구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 단말장치와 같은 외부 장치를 통하여 사용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강의실 등에 구비된 통합관리 시스템을 중앙에서 통합하여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및 음향장치 통합관리 시스템의 기본개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장치와 연결된 영상 및 음향장치 통합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통합관리 시스템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통합관리 시스템을 중앙에서 통합하여 제어하는 중앙제어 서버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및 음향장치 통합관리 시스템의 기본개념을 나타낸 도면이다.
무인화된 영상 및 음향장치 통합관리 시스템(100)은 입력되는 다수의 영상 소스(101) 및 음원소스(102)를, 통합관리 시스템(100)에 연결된 다수의 영상장치(110, 111, 112) 및 음향장치(120, 121, 122)를 통하여 선별 또는 통합적으로 제어하여 출력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능으로 한다.
통합관리 시스템(100)은 입력되는 영상소스(101) 및 음원소스(102)를 모두 출력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선별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이렇게 선별된 영상소스(101) 및 음원소스(102)를 연결된 모든 영상장치(110, 111, 112) 및 음향장치(120, 121, 122)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선별된 장치만을 통하여 출력할 수도 있다.
영상소스(101) 및 음원소스(102)는 비디오 플레이어, DVD/Blue-ray 플레이어 등의 동영상 재생장치, 컴퓨터, 마이크로폰 등을 통하여 입력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장치와 연결된 영상 및 음향장치 통합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영상 및 음향장치 통합관리 시스템(100)은 인터넷 등의 외부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장치(200, 210)가 연결될 수 있다. 외부장치로는 스마트 폰과 같은 스마트 단말장치(200) 또는 컴퓨터와 같은 단말(210)을 고려할 수 있다.
만약, 영상 및 음향장치 통합관리 시스템(100)이 대학 강의실 등에 배치된 경우에 해당된다면, 영상 및 음향장치 통합관리 시스템(100)은 강의 내용, 강의 스케쥴, 강의 참여인원 등의 학사 행정내용을 보유하는 학사 시스템(220)과도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학사 시스템(220)뿐 만 아니라,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영상 및 음향장치 통합관리 시스템(100)이 학원 강의실, 회사 회의실 등의 배치된 장소 및 이용양태, 스케쥴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형태의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강의실 등의 사용스케쥴을 획득하도록 구현할 수 있으며, 외부 시스템이 연결됨으로써 영상 및 음향장치의 통합관리가 가능한 무인화된 통합관리 시스템(100)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영상 및 음향장치 통합관리 시스템(100)은 연결된 외부장치(200, 210) 또는 학사 시스템(220)으로부터 강의실 등의 사용특성을 입력받게 된다. 또한, 영상 및 음향장치 통합관리 시스템(100)은 입력받은 강의실 등의 사용특성에 따라, 강의실 등이 설치된 영상 및 음향장치 각각에 대한 개별적인 제어값을 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영상 및 음향장치 통합관리 시스템(100)은 선정된 제어값에 따라 영상 및 음향장치의 동작여부(On/Off), 강의실 등의 밝기, 볼륨 등에 대하여 제어하여 필요로하는 영상소스 또는 음원소스를 출력하게 된다.
또한, 영상 및 음향장치 통합관리 시스템(100)에서 기본적으로 강의실 등의 사용특성에 대한 다양한 실시양상들을 제공하고, 제공되는 실시양상들에 대한 영상 및 음향장치에 대한 제어값을 선정한 사용모드를 기설정해 두고, 외부장치(200, 210)를 통하여 사용모드에 대하여 선택받음으로써, 외부장치(200, 210)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강의실 등에 설치된 영상 및 음향장치를 쉽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통합관리 시스템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통합관리 시스템(100)은 영상스위치(310), 음원스위치(320), 믹서(330), 음질보정장치(340), 증폭장치(350, 351, 352), 프로젝터와 스크린(360, 361), 모니터(370), 스피커(380, 381, 382), 제어서버(390), 사용스케쥴 DB(391) 및 사용모드 DB(392)를 포함한다.
영상스위치(310)는 동영상 재생장치, 컴퓨터 등의 영상입력장치(301)를 통하여 입력받은 다수의 영상소스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소스를 선택하고, 음원스위치(320)는 동영상 재생장치, 컴퓨터, 마이크 등의 음원입력장치(302)를 통하여 입력받은 다수의 음원소스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소스를 선택한다.
믹서(330)는 음원스위치(320)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소스를 중첩한다.
음질보정장치(340)는 믹서(330)에서 중첩된 음원소스의 음질을 보정한다.
증폭장치(350, 351, 352)는 영상스위치(310)에서 선택된 영상소스 또는 음질보정장치(340)에서 보정된 음원소스를 증폭한다. 도 3에서는 음원소스에만 증폭장치가 도시되어 있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영상소스의 경우에도 증폭장치를 필요로 할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서는 하나의 음원소스 별로 하나의 증폭장치(350, 351, 352) 및 하나의 스피커(380, 381, 382)가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음원소스 별로 증폭장치 및 스피커가 반드시 구분되어 배치될 필요는 없다.
도 3에 도시된 스피커(380, 381, 382)는 통합관리 시스템에 연결된 음향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스피커(380, 381, 382)는 음성스위치(320)에서 선택된 음원소스를 출력한다.
도 3에 도시된 프로젝터와 스크린(360, 361) 및, 모니터(370)는 통합관리 시스템에 연결된 영상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프로젝터(360) 및 모니터(370)는 영상스위치(310)에서 선택된 영상소스를 출력한다.
사용스케쥴 DB(391)는 영상 및 음향장치가 설치된 강의실 등의 사용특성을 포함하는 사용스케쥴을 저장하고, 사용모드 DB(392)는 강의실 등의 사용특성에 따른 영상 및 음향장치의 동작여부(On/Off), 강의실 등의 밝기, 볼륨 등의 제어값을 포함하는 사용모드를 저장한다.
사용스케쥴 DB(391)는 강의실에 대한 시간대별 강의스케쥴을 포함하는 학사시스템과 연동하여 강의스케쥴을 획득할 수 있고, 획득한 강의스케쥴에 따라 강의실의 사용특성을 분석하여 각각의 강의실에 대한 사용스케쥴을 저장한다.
사용모드 DB(392)는 사용스케쥴 DB(391)로부터 획득한 강의실에 대한 사용스케쥴을 통하여 또는 외부 장치(200, 210)를 통하여 강의실의 사용특성을 획득할 수 있고, 획득된 강의실의 사용특성에 따라 출력하고자 하는 영상 및 음향장치를 선정한 제어값을 갖는 다수의 사용모드를 저장한다.
제어서버(390)는 사용모드 DB(392)에 저장된 사용모드에 포함된 제어값에 따라 선정된 영상 및 음향장치를 통하여 영상스위치(310)에서 선택된 영상소스 및 음원스위치(320)에서 선택된 음원소스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제어서버(390)는 외부의 스마트 단말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스마트 단말장치로부터 사용모드를 선택받아, 선택받은 사용모드에 포함된 제어값에 따라 선정된 영상 및 음향장치를 통하여 영상스위치(310)에서 선택된 영상소스 및 음원스위치(320)에서 선택된 음원소스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통합관리 시스템을 중앙에서 통합하여 제어하는 중앙제어 서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다수의 강의실 등에 배치된 도 2에 도시된 세부구성을 포함하는 다수의 통합관리 시스템(401, 402, 403)과 연결되어, 다수의 통합관리 시스템(401, 402, 403)을 중앙에서 통합하여 제어하는 중앙제어 서버(40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및 음향장치 통합관리 시스템은 영상스위치(310), 음원스위치(320), 사용스케쥴 DB(391), 사용모드 DB(392) 및 제어서버(390)를 포함하는 통합관리 시스템(401, 402, 403)이 강의실 등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된 경우, 각각의 통합관리 시스템(401, 402, 403)의 동작여부를 중앙에서 통합하여 제어하는 중앙제어 서버(400)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제어 서버(400)는 내부 인트라넷, 외부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각각의 통합관리 시스템(401, 402, 403)과 연결되고, 연결된 통합관리 시스템의 동작여부(On/Off) 등을 직간접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중앙제어 서버(400) 또한 컴퓨터, 스마트폰 등의 외부 장치와 연결되어 통합관리 시스템(401, 402, 403)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의 프로그램을 구현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디스크 등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과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다양한 실시 형태가 포함되도록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301 영상입력장치
302 음원입력장치
310 영상스위치
320 음원스위치
330 믹서
340 음질보정장치
350, 351, 352 증폭장치
360 빔 프로젝터
370 모니터
380, 381, 381 스피커
390 제어서버

Claims (7)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 및 음향장치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소스 및 음원소스를 출력하는 영상 및 음향장치 통합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다수의 영상소스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소스를 선택하는 영상스위치;
    다수의 음원소스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소스를 선택하는 음원스위치;
    영상 및 음향장치가 설치된 강의실의 사용특성을 포함하는 사용스케쥴을 저장하되, 강의실에 대한 시간대별 강의스케쥴을 포함하는 학사시스템과 연동하여 강의스케쥴을 획득하고, 획득한 강의스케쥴에 따라 강의실의 사용특성을 분석하여 각각의 강의실에 대한 사용스케쥴을 저장하는 사용스케쥴 DB;
    강의실의 사용특성에 따른 영상 및 음향장치의 제어값을 포함하는 사용모드를 저장하는 사용모드 DB; 및
    사용모드 DB에 저장된 사용모드에 포함된 제어값에 따라 선정된 영상 및 음향장치를 통하여 상기 영상스위치에서 선택된 영상소스 및 상기 음원스위치에서 선택된 음원소스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화된 영상 및 음향장치 통합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스위치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소스를 중첩하는 믹서;
    상기 중첩된 음원소스의 음질을 보정하는 음질보정장치; 및
    상기 영상스위치에서 선택된 영상소스 또는 상기 보정된 음원소스를 증폭하는 증폭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화된 영상 및 음향장치 통합관리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장치는 모니터, 빔 프로젝터를 포함하고,
    상기 음향장치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화된 영상 및 음향장치 통합관리 시스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모드 DB는
    상기 사용스케쥴 DB로부터 획득한 강의실에 대한 사용스케쥴을 통하여 또는 외부 장치를 통하여 강의실의 사용특성을 획득하고,
    획득된 강의실의 사용특성에 따라 출력하고자 하는 영상 및 음향장치를 선정한 제어값을 갖는 다수의 사용모드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화된 영상 및 음향장치 통합관리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서버는
    외부의 스마트 단말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단말장치로부터 사용모드를 선택받아, 선택받은 사용모드에 포함된 제어값에 따라 선정된 영상 및 음향장치를 통하여 상기 영상스위치에서 선택된 영상소스 및 상기 음원스위치에서 선택된 음원소스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화된 영상 및 음향장치 통합관리 시스템.
  7. 제 1 항의 영상스위치, 음원스위치, 사용스케쥴 DB, 사용모드 DB 및 제어서버를 포함하는 통합관리 시스템이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된 경우,
    각각의 통합관리 시스템의 동작여부를 중앙에서 통합하여 제어하는 중앙제어 서버;를 더 포함하는 무인화된 영상 및 음향장치 통합관리 시스템.
KR1020110012894A 2011-02-14 2011-02-14 무인화된 영상 및 음향장치 통합관리 시스템 KR1011233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2894A KR101123363B1 (ko) 2011-02-14 2011-02-14 무인화된 영상 및 음향장치 통합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2894A KR101123363B1 (ko) 2011-02-14 2011-02-14 무인화된 영상 및 음향장치 통합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3363B1 true KR101123363B1 (ko) 2012-03-23

Family

ID=46141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2894A KR101123363B1 (ko) 2011-02-14 2011-02-14 무인화된 영상 및 음향장치 통합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33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9385A (ko) * 2018-10-05 2020-04-16 문형조 학사 관리 서버 및 콘텐츠 지원 서버의 연계 기능을 활용한 학사 정보 관리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3599Y1 (ko) 2003-12-18 2004-03-04 왕영도 중앙음향영상제어시스템
KR20090083668A (ko) * 2008-01-30 2009-08-04 홍성춘 강의실 환경 통합 제어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KR20100018791A (ko) * 2008-08-07 2010-02-18 남진우 멀티미디어기기 통합제어장치
KR20100129621A (ko) * 2009-06-01 2010-12-09 박창길 통합 제어 장치 및 그를 이용한 통합 제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3599Y1 (ko) 2003-12-18 2004-03-04 왕영도 중앙음향영상제어시스템
KR20090083668A (ko) * 2008-01-30 2009-08-04 홍성춘 강의실 환경 통합 제어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KR20100018791A (ko) * 2008-08-07 2010-02-18 남진우 멀티미디어기기 통합제어장치
KR20100129621A (ko) * 2009-06-01 2010-12-09 박창길 통합 제어 장치 및 그를 이용한 통합 제어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9385A (ko) * 2018-10-05 2020-04-16 문형조 학사 관리 서버 및 콘텐츠 지원 서버의 연계 기능을 활용한 학사 정보 관리 시스템
KR102330948B1 (ko) * 2018-10-05 2021-11-30 (주)시소아이티 학사 관리 서버 및 콘텐츠 지원 서버의 연계 기능을 활용한 학사 정보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00611B2 (en) Dynamic computation of system response volume
JP6234519B2 (ja) オーディオ再生デバイスを制御するシステム、方法、装置および製品
US8711201B2 (en) Controlling a video window position relative to a video camera position
JP2007271802A (ja) コンテンツ再生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160165369A1 (en) School intercom system
US11006234B2 (en) Audio reproduction system, method for configuring an audio reproduction system and server for an audio reproduction system
US20220060827A1 (en) Digital multi-zone audio system
KR101123363B1 (ko) 무인화된 영상 및 음향장치 통합관리 시스템
US10610709B2 (en)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configuring the communication device
US11019428B2 (en) Method for receiving audio data streams with mobile devices and correspondingly configured mobile device
KR101694925B1 (ko) 오디오 디바이스의 오디오 교정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2266560B1 (ko) 무선통신 기반의 다채널 오디오 믹싱 장치 및 그 방법
KR101087290B1 (ko) 네트워크를 이용한 통합 무선제어 시스템
KR101551252B1 (ko) 음향조명기기의 밸런스 조절 제어 방법
US20220366520A1 (en) Status lights
CN105355222B (zh) 音频播放控制方法及多音频系统拼接设备
US20210082274A1 (en) Emergency response drills
KR101755205B1 (ko) 중 고등 학교 방송 및 소방 시스템
JP6547715B2 (ja) 制御端末装置、オーディオシステム、およびオーディオシステム制御方法
US20200396540A1 (en) Audio/visual device with central control, assistive listening, or a screen
WO2022209227A1 (ja) 情報処理端末、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0609408B1 (ko) 오디오 방송 제어 시스템
KR101594431B1 (ko) 스마트 교실 구축을 위한 융합 종합 방송 시스템
EP3477485A1 (en) Distribution destination designation device, distribution destination designation method, and distribution destination designation program
JP6912680B2 (ja) メディアシステムにおけるマルチチャンネルペアリン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2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