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5771B1 - 실시간 라인점검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실시간 라인점검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5771B1
KR102145771B1 KR1020200022621A KR20200022621A KR102145771B1 KR 102145771 B1 KR102145771 B1 KR 102145771B1 KR 1020200022621 A KR1020200022621 A KR 1020200022621A KR 20200022621 A KR20200022621 A KR 20200022621A KR 102145771 B1 KR102145771 B1 KR 1021457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line
broadcast signal
signal line
monit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26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호현
한문식
Original Assignee
(주)이레씨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레씨즈 filed Critical (주)이레씨즈
Priority to KR10202000226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57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57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57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12Arrangements for observation, testing or troubleshoo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52Testing for short-circuits, leakage current or ground faul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54Testing for continuit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시간 라인점검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라인점검장치는, 복수의 방송신호라인으로 각각 입력되는 방송신호를 각 방송신호라인에서 선택적으로 출력시키는 방송신호라인부, 각 방송신호라인의 선로 상태를 점검하는 라인점검부, 및 방송 관계자의 방송 중 라인점검부의 결과를 근거로 비정상 상태로 판단되는 방송신호라인을 단선시켜 단선된 방송신호라인 이외의 방송신호라인으로 방송신호가 정상적으로 출력되도록 하며, 방송이 없는 평상시 지정 시간 간격으로 각 방송신호라인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라인점검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실시간 라인점검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Real Time Line Checker and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실시간 라인점검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가령 화재 안전을 위한 비상방송설비로서 화재로 인하여 하나의 층의 확성기 또는 배선이 단락 또는 단선이 되어도 다른 층의 화재통보에 지장이 없도록 하는 실시간 라인점검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수의 건물이 모여 하나의 단지를 이루고 있는 아파트단지나 공동주택, 주상복합건물, 사무소가 밀집되어 있는 오피스빌딩, 공장 등의 건축물의 입주자에게 관리소 또는 경비실 측에서 입주자에게 공지사항을 안내하거나 비상시 대피 신호를 전달할 필요성이 있다. 방송시스템이 구축되기 전에는 공지사항을 안내하기 위해서 각 동의 입구에 벽보를 부착하여 안내하거나 직원이 방문하여 안내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관리소와 경비실에 마이크로폰 등의 방송장비를 구비하고 각 동의 세대에 스피커를 설치한 후 연결하여 방송을 통해 안내하는 시스템이 개발되어 있다.
종래의 아파트 방송시스템은 개별 스피커들 모두가 공통라인(common line)을 공유하고 있으며, 하나의 방송중계기에서 분기된 개별라인들에 각각 연결된 배선구조를 가지고 있다. 즉 개별 스피커들 각각은 공통라인(COM)과 하나의 개별라인(1F,2F,3F,4F)에 연결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공통라인은 다른 개별스피커들과 공통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하나의 개별라인은 방송중계기와 단독으로 연결되는 배선구조를 가지고 있다. 공통라인은 하나가 사용되는 경우도 있고, 복수 개가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개별스피커들은 방송중계기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게 된다. 방송중계기는 방송제어부와 개별라인들(1F,2F,3F,4F)을 선택하여 방송하기 위한 라인선택스위치가 구비된다.
그런데, 종래와 같은 배선구조를 가지는 방송제어시스템은 어느 하나의 스피커에 연결된 공통라인과 개별라인이 화재 등의 원인으로 인해 단락(short)되는 경우에, 전체 스피커들에 대하여 방송을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예를 들어, 1층의 개별스피커에 연결된 공통라인(COM)과 개별라인(1F)이 단락되는 경우, 전체 스피커에 방송을 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은 평상시에는 큰 문제가 되지 않으나, 화재나 지진 등의 비상시에 대피방송을 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물론 이외에도 종래에는 단순 휴즈 형태의 소자를 사용한 장비, 폴리스위치를 사용한 장비 및 전자회로를 내장한 장비들이 시중에 출시되어 있다.
그러나, 단순 휴즈 형태의 소자를 사용한 장비는 어떤 원인에 의하여 휴즈가 끊어지면 운용자가 현장에 출동하여 상태를 일일이 점검하기 전에는 이를 알 수가 없어 비상방송시 방송이 나가지 않는 상황이 발생한다.
또한, 폴리스위치를 사용한 장비의 경우는 사용 앰프 및 연결된 스피커의 출력(와트)에 따라 일일이 폴리스위치의 용량을 맞추어 설치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으로 현실적인 설치 문제점이 있으며, 방송이 없는 평상시에는 스피커 연결 선로의 상태를 알 수가 없어 전송선로나 스피커에 이상이 있는 경우 사전에 알 수가 없어 비상방송시에 해당 채널에 방송을 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한다.
나아가, 전자회로를 내장한 장비의 경우에는 위의 두가지 조건은 충족하나 최종 선로의 방송 상태를 들을 수 없어서 실제 방송이 잘 나가고 있는지 확인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037381호(2011.05.20)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772819호(2017.08.23)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850578호(2008.07.30)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가령 화재 안전을 위한 비상방송설비로서 화재로 인하여 하나의 층의 확성기 또는 배선이 단락 또는 단선이 되어도 다른 층의 화재통보에 지장이 없도록 하는 실시간 라인점검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라인점검장치는, 복수의 방송신호라인으로 각각 입력되는 방송신호를 각 방송신호라인에서 선택적으로 출력시키는 방송신호라인부, 상기 각 방송신호라인의 선로 상태를 점검하는 라인점검부, 및 방송 관계자의 방송 중 상기 라인점검부의 결과를 근거로 비정상 상태로 판단되는 방송신호라인을 단선시켜 상기 단선된 방송신호라인 이외의 방송신호라인으로 방송신호가 정상적으로 출력되도록 하며, 방송이 없는 평상시 지정 시간 간격으로 각 방송신호라인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상기 라인점검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방송신호라인부는, 상기 방송 중 각 방송신호라인의 쇼트 상태를 각각 검출하는 쇼트검출부, 및 상기 검출한 쇼트 상태의 결과를 근거로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각 방송신호라인을 단선시키는 출력차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라인점검부는, 상기 방송 중 상기 단선시킨 방송신호라인의 선로 상태를 지정 시간 간격으로 확인하거나 상기 방송이 없는 평상시 지정 시간 간격으로 각 방송신호라인의 상태를 확인하는 임피던스측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선시킨 방송신호라인의 선로 상태를 확인한 결과 이상 상태가 해제되면 상기 출력차단부를 제어하여 상기 단선된 방송신호라인을 도통시킬 수 있다.
상기 방송신호라인부는, 평상시 지정 시간 간격으로 각 방송신호라인의 상태 점검 중 방송신호의 입력이 있는지 검출하는 방송신호검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검출 결과 방송신호가 입력될 때, 각 방송신호라인의 점검 동작을 중단하고 입력되는 방송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라인점검부는, 상기 방송신호라인부로 입력되는 모니터링 입력신호를 선택하는 입력 모니터링 선택부, 및 상기 모니터링 입력신호를 상기 방송신호라인부로 제공한 후 모니터링 출력신호로서 피드백받는 출력 모니터링 선택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모니터링 선택부가 선택될 때, 상기 선택된 입력 모니터링 선택부에 대응하는 각 방송신호라인의 출력 모니터링 선택부를 제어하여 상기 모니터링 출력신호를 피드백받을 수 있다.
상기 실시간 라인점검장치는, 상기 라인점검부는, 상기 모니터링 입력신호 및 상기 모니터링 출력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 및 상기 증폭한 모니터링 입력신호 및 상기 모니터링 출력신호의 비교 분석을 위해 주변의 모니터링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라인점검장치의 구동방법은, 방송신호라인부가, 복수의 방송신호라인으로 각각 입력되는 방송신호를 각 방송신호라인에서 선택적으로 출력시키는 단계, 라인점검부가, 상기 각 방송신호라인의 선로 상태를 점검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방송 관계자의 방송 중 상기 라인점검부의 결과를 근거로 비정상 상태로 판단되는 방송신호라인을 단선시켜 상기 단선된 방송신호라인 이외의 방송신호라인으로 방송신호가 정상적으로 출력되도록 하며, 방송이 없는 평상시 지정 시간 간격으로 각 방송신호라인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상기 라인점검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출력시키는 단계는, 상기 방송신호라인부의 쇼트검출부가, 상기 방송 중 각 방송신호라인의 쇼트 상태를 각각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방송신호라인부의 출력차단부가, 상기 검출한 쇼트 상태의 결과를 근거로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각 방송신호라인을 단선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점검하는 단계는, 상기 라인점검부의 임피던스측정부가, 상기 방송 중 상기 단선시킨 방송신호라인의 선로 상태를 지정 시간 간격으로 확인하거나 상기 방송이 없는 평상시 지정 시간 간격으로 각 방송신호라인의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검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단선시킨 방송신호라인의 선로 상태를 확인한 결과 이상 상태가 해제되면 상기 출력차단부를 제어하여 상기 단선된 방송신호라인을 도통시킬 수 있다.
상기 점검하는 단계는, 상기 방송신호라인부의 방송신호검출부가, 평상시 지정 시간 간격으로 각 방송신호라인의 상태 점검 중 방송신호의 입력이 있는지 검출하는 단계, 및 검출 결과 방송신호가 입력될 때, 상기 제어부가 각 방송신호라인의 점검 동작을 중단하고 입력되는 방송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검하는 단계는, 상기 라인점검부의 입력 모니터링 선택부가, 상기 방송신호라인부로 입력되는 모니터링 입력신호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라인점검부의 출력 모니터링 선택부가, 상기 모니터링 입력신호를 상기 방송신호라인부로 제공한 후 모니터링 출력신호로서 피드백받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모니터링 선택부가 선택될 때, 상기 선택된 입력 모니터링 선택부에 대응하는 각 방송신호라인의 출력 모니터링 선택부를 제어하여 상기 모니터링 출력신호를 피드백받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검하는 단계는, 상기 라인점검부의 증폭부는, 상기 모니터링 입력신호 및 상기 모니터링 출력신호를 증폭하는 단계, 및 통신부가, 상기 증폭한 모니터링 입력신호 및 상기 모니터링 출력신호의 비교 분석을 위해 주변의 모니터링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가령 아파트 등의 공공주택에서 화재로 인하여 하나의 층의 확성기 또는 배선이 단락 또는 단선되어도 다른 층의 화재 통보에 지장이 없어 안전한 비상방송설비를 구축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기존의 비상방송설비의 성능을 개선시키면서 장비 제조시 비용은 증가하지 않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별도의 프로그램을 일반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 등에 설치하여 채널(혹은 방송신호라인)별 출력 상태를 모니터 화면을 통해 막대그래프 등의 형태로 확인하면서 원하는 채널에 실제 출력되는 오디오를 스피커를 통해 들으면서 채널별로 설정 및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전면 패널에는 LED 상태표시등 및 조작 스위치가 있어 전 채널의 상태를 일목요연하게 확인이 가능하며, 조작 스위치를 이용하여 장비(혹은 장치)의 설정을 간편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라인점검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라인점검장치의 세부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
도 3은 도 1의 라인점검장치의 다른 세부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인점검장치의 구동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라인점검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라인점검시스템(90)은 컴퓨터장치(100), 앰프장치(105), 라인점검장치(110) 및 모니터링장치(12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컴퓨터장치(100) 또는 모니터링장치(12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실시간 라인점검시스템(90)이 구성되거나, 라인점검장치(11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앰프장치(105)와 같은 다른 구성요소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컴퓨터장치(100)는 데스크탑컴퓨터, 랩탑컴퓨터, 태블릿PC 및 스마트폰 등의 다양한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장치(100)는 도 1의 모니터링장치(120)와 같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컴퓨터장치(100)는 라인점검장치(110)를 통해 공공주택과 같이 각 층에 구비되는 방송신호 라인을 점검하고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컴퓨터장치(100)는 일반적인 컴퓨터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모니터링장치(120)와 별도로 운영할 수 있으며, 그 기능은 모니터링장치(120)와 동일하다. 여러 대의 라인점검장치(110)를 모니터링할 경우 청취할 장비 및 채널의 선택은 그래픽(GUI)에서 조작하고, 조작된 신호가 라인점검에 전달되어 라인점검으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여 내장된 스피커를 통해 출력된다. 예를 들어, 라인점검장치(110)가 장비별로 16 ~ 32 회로(채널)를 적용하므로, 공공주택과 같이 이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복수의 라인점검장치(110)를 점검할 수 있게 된다. GUI는 각 라인점검장치(110)별로 명칭을 부여하여 사용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간단히 'A동', 'B동' 등과 같이 표기할 수 있다.
앰프장치(105)는 증폭기를 포함하며, 이는 관리실 또는 아파트와 같은 공공주택의 각 동에 설치되는 통신 단자함에 구비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방송신호를 송출하는 송출부에 구비되어 신호를 증폭하여 전송하거나,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증폭시켜 출력하는지에 따라 설치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파트 등의 관리실로부터 화재 대비 등을 위해 비상방송을 송출하는 경우 이의 방송신호를 증폭시켜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도록 한다고 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각 가정의 스피커에 연결되는 최종 통신 단자함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라인점검장치(110)는 앰프장치(105)와 연결되어 통신 단자함 등에 설치될 수 있다. 물론 라인점검장치(110)는 앰프장치(105)와 일체화되어 형성될 수도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인점검장치(110)는 하나의 앰프 출력에 가령 스피커 셀렉터(RELAY GROUP) 등의 장비를 이용하여 다수의 스피커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시스템에서, 화재 또는 기타 문제로 인하여 스피커 배선에 쇼트가 발생하게 되면 앰프 출력이 쇼트가 되어, 배선에 문제가 없는 다른 스피커에도 방송이 나가지 않게 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라인점검장치(110)는 방송을 하지 않는 평상시에는 주기적으로 스피커 배선의 상태를 확인하여 전면의 LED에 상태표시를 하여 미리 선제적으로 조치 및 점검을 할 수 있다. 또한, 라인점검장치(110)는 방송 중에는 스피커 배선에 쇼트가 발생하게 되면 이를 감지하여 해당 스피커 단자의 연결을 끊어줌으로써 앰프 출력 라인의 쇼트를 방지하여 배선에 문제가 없는 다른 스피커에는 정상적인 방송을 할 수 있다. 전면 패널에는 LED 상태표시등 조작 스위치가 있어 전 채널의 상태를 일목요연하게 확인이 가능하며, 조작 스위치를 이용하여 장비의 설정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이외에도 라인점검장치(110)는 앰프(AMP) 모니터링용 입력 2개와 출력 채널 각각에 대해 이더넷 등을 통한 음성신호 전송 기능이 있어, 실제 입/출력되는 음성을 원격에 있는 모니터링장치(120)에서 채널별 출력 상태를 LCD 화면의 막대그래프로 확인하면서 원하는 채널에 실제 출력되는 오디오를 스피커를 통하여 들으면서 채널별로 설정 및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라인점검장치(110)는 별도의 제어 S/W(SOFTWARE)를 일반 컴퓨터에 설치하여 채널별 출력상태를 모니터 화면을 통해 막대그래프로 확인하면서 원하는 채널에 실제 출력되는 오디오를 스피커를 통하여 들으면서 채널별로 설정 및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라인점검장치(110)는 컴퓨터장치(100)나 모니터링장치(120)와 연동하여 각 층의 방송라인을 점검할 수 있다.
정리하면, 기존에 비상방송설비의 배선이 화재로 인하여 단락(합선)될 경우 비상방송 기능이 저하되거나 차단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며, 이의 주된 원인은 배선단락(합선)시 발생되는 과전류로 인하여 앰프(증폭기) 손상방지를 위해 설치된 보호차단기가 작동되기 때문이라 판단되므로 이를 감안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인점검장치(110)는 가령 화재로 인하여 하나의 층의 확성기 또는 배선이 단락 또는 단선되어 다른 층의 화재통보에 지장이 없도록 한다. 즉, 라인점검장치(110)는 아파트의 주차장, 부대시설, 판매시설, 공장 등 수평적 장소와 같이 같은 층, 공간의 한 구역이 단락되더라도 다른 구역의 비상 방송에 지장이 없게 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인점검장치(110)는 채널별 입출력 오디오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들으면서 채널별로 설정 및 제어를 할 수 있으며, 특히 선로의 이상으로 방송이 나가지 않으면 모니터링에서도 소리가 들리지 않으며 전면에 상태를 표시하여 관리자가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여러 대의 선로 체크장비에 즉 복수의 라인점검장치(110)에 한대의 모니터링장치(120)를 이용하여 오디오 출력 상태를 LCD 모니터에 막대그래프로 표시하며 스피커로 소리를 들을 수 있다. 또한, 개발된 전용 프로그램을 일반 컴퓨터에 설치하여 모니터상에 막대그래프로 표시하며 스피커로 들을 수도 있다.
모니터링장치(혹은 모니터링장비)(120)는 적어도 하나의 라인점검장치(110)에 연동하여 각 층의 스피커에 연결되는 선로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모니터 화면에 그래프 등을 생성해 표시해 줌으로써 관리가 수월할 수 있다. 모니터링장치(120)에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하여 라인점검장치(110)의 동작상태와 이상발생 여부 모니터링 및 기능 설정을 하는 장비로 여러 대의 라인점검장치(110)를 모니터링할 경우 청취할 장비 및 채널의 선택은 내장된 터치 LCD 화면에서 조작하고, 조작된 신호가 라인점검장치(110)에 전달되어 라인점검장치(110)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여 내장된 스피커 및 LCD 모니터를 통해 출력된다.
이외에도 모니터링장치(120)는 모니터링하고자 하는 라인점검장치(110)의 목록을 사용자가 직접 추가하거나 삭제하여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모니터링장치(120)는 모니터링 중인 라인점검장치(110)에 이상(예: 단선, 단락 등) 발생시 경보음을 발생하여 LCD 모니터에 이상 상태를 표시하며 접점을 출력하여 다른 장비에 연동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모니터링장치(120)는 라인점검장치(110)를 통해 실제 방송되는 채널별 입력이나 출력 오디오 신호를 네트워크망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모니터링하며 내장된 스피커로 들을 수 있으며, 모니터링 음원의 볼륨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모니터링장치(120)는 전면 LCD 모니터창에 라인점검장치(110)별로 각각의 채널별 동작 상태 및 입/출력되는 음성신호 레벨을 실시간으로 표시한다.
도 2는 도 1의 라인점검장치의 세부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라인점검장치(11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200), 방송신호라인부(210), 제어부(220), 상태출력부(230) 및 라인점검부(240)의 일부 또는 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은 상태출력부(23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구성되거나 라인점검부(24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제어부(220)와 같은 다른 구성요소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200)는 가령 도 1의 앰프장치(105)로부터 방송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연결단자부를 의미할 수 있다. 물론 통신 인터페이스부(200)는 이더넷 통신을 통해 음성신호를 모니터링장치(120)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위의 연결단자부가 제1 통신부라면, 가령 이더넷 통신을 위한 통신모듈은 제2 통신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통신부는 앰프 즉 증폭기를 내부에 포함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도 1의 앰프장치(105)가 생략되어 구성될 수도 있으므로, 위의 구성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앰프장치(105)는 아파트의 경우 각 층의 통신 단자함에서 라인점검장치(110)와 연결될 수 있지만, 위의 경우에는 라인점검장치(110)는 통신 단자함에서 통신 라인에 직접 연결할 수 있을 것이다.
방송신호라인부(210)는 제어부(220)의 제어에 따라 방송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방송신호라인부(210)는 최대 16 채널(ch)을 구성할 수 있는 장비인 경우, 통신 인터페이스부(200)의 각 단자에 1:1로 대응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만, 각 배선 즉 선로는 제어부(220)의 제어하에 단선시켜 방송신호 출력 차단을 위한 출력차단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그 출력차단부는 제어부(220)의 제어 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스위칭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신호라인부(210)에 연결되는 방송신호라인(혹은 통신라인)은 각 층의 각 가정으로 연결될 수 있고, 따라서 특정 가정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 라인점검부(240)를 통해 화재가 감지될 수 있으며, 제어부(220)는 라인점검부(240)의 특정 채널, 더 정확하게는 방송신호라인에 대한 비정상 상태를 판단하여 해당 채널의 방송신호라인을 단선시킨다. 이를 통해 관리실 등에서 화재 등을 다른 가정에 통지할 때, 정상적인 방송이 전달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채널, 방송신호라인, 선로, 통신배선, 통신라인의 용어를 혼용하고 있지만, 채널은 방송신호라인이 복수 개라는 의미를 내포하는 것이라면, 방송신호라인이나 선로 또는 배선은 가령 라인점검장치(110)를 구성하는 PCB 기판상에 형성되는 배선을 의미하는 것이라 볼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그러한 의미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제어부(220)는 라인점검장치(110)를 구성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200), 방송신호라인부(210), 상태출력부(230) 및 라인점검부(240)의 전반적인 제어동작을 담당한다. 대표적으로, 특정 방송신호 라인에 이상이 감지될 때, 해당 라인의 선로를 끊는 동작이 대표적일 수 있다. 이외에도 제어부(220)는 상태출력부(230)를 통해 특정 라인에 이상이 있음으로 관리자가 알 수 있도록 LED 등을 통해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출력은 LED등뿐 아니라, 음성 출력이나, 관리자의 스마트폰 등으로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등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아파트 관리자가 관리실에 부재 중인 것으로 판단될 때, 이를 근거로 관리자의 기저장된 전화번호를 근거로 해당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자가 부재중임을 별도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하는 경우, 제어부(220)는 이를 감지하여 관리자의 부재 중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20)는 평상시 동작모드(혹은 제1 동작모드), 방송중 동작모드(혹은 제2 동작모드) 및 입출력 모니터링 및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모드(mode)는 특정 상황에서 일련의 동작을 가령 자동으로 순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설정된 상태를 의미한다. 따라서, 모드 버튼을 선택할 때, 기설정된 일련의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방송이 없는 상태일 때 복수의 구성요소들이 일련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제어부(220)는 평상시 동작모드에서 방송을 하지 않는 동안에는 시간설정 스위치로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전체 채널에 연결된 스피커 라인의 상태를 DC 임피던스측정부에서 점검하여 이상 발생시 전면 LED 상태표시 및 조작부에 상태 표시를 하여 사전에 점검을 할 수 있다. 이상(쇼트)이 발생한 라인은 출력차단부에서 해당 스피커 단자의 연결을 끊어 앰프를 보호하여 준다. 특히, 방송신호검출부에서는, 점검 중에 방송을 하게 되면 이를 감지하여 중앙 제어부에 통보하여, 즉시 점검을 멈추고 스피커 라인을 연결하여 정상적인 방송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220)는 방송 중 동작모드에서 방송 중에는 쇼트검출부에서 해당 채널의 스피커로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여 설정치 이상으로 흐르게 되면 이상(쇼트) 상태로 판단하여 출력차단부에서 해당 스피커 단자의 출력을 차단하여 앰프 출력을 보호하게 된다. 출력을 차단한 이후에는 DC 임피던스측정부에서 스피커 라인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확인하여 이상 상태가 해제되게 되면 출력차단부에서 다시 해당 스피커 단자를 연결하여 정상적인 방송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해당 라인의 수리 등을 통해 정상으로 판단될 때 이의 동작이 가능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220)는 입출력 모니터링 및 제어 동작을 위하여, 입/출력모니터링 선택부에서 원하는 입출력 신호를 선택하여 실제 입력, 출력되는 음성 신호를 네트워크로 전송하여 모니터링장치(120)를 통해 실제 음성 출력 레벨 및 소리를 들을 수 있도록 한다. 장비의 상태확인 및 설정을 네트워크를 통해 제어할 수 있어 직접 현장에 출동하지 않고 관리가 가능할 수 있다.
상태출력부(230)는 LED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모니터일 수 있으며, 스피커 등의 음향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라인의 이상이 감지될 때, 상태출력부(230)를 통해 이를 외부로 출력해 줄 수 있다.
라인점검부(240)는 위의 임피던스측정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임피던스측정부는 이후에 자세히 설명하겠지만 임피던스 측정 선택부를 통해 각 라인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위에서와 같이 스피커에 연결되는 출력단자의 출력단을 끊은 후 내부 임피던스를 측정하여 기설정된 지정값이 나오는지를 판단하여 비정상 상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외에도 라인점검부(240)는 각 채널의 라인별로 입력 모니터링 선택부와 출력 모니터링 선택부를 각각 선택한 후 해당 라인을 통해 음성 신호가 정상적인 상태로 전송되고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라인 점검을 위해 1번 채널의 라인이 선택된 경우 입력된 음성신호와 라인점검장치(110)의 해당 채널의 출력단에서 출력된 음성신호를 서로 비교함으로써 음성 출력 레벨이나 소리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해당 음성신호를 각각 모니터링장치(120)에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음성 분석 등을 통해 비교하는 경우에는 더욱 빠르고 효과적으로 모니터링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도 3은 도 1의 라인점검장치의 다른 세부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라인점검장치(110')는 통신부(300), 전원부(305), 방송신호라인부(310), 제어부(320), 상태표시 및 조작부(330),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35)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며,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앞서서의 의미와 크게 다르지 않다.
통신부(300)는 이더넷 통신을 수행하는 이더넷 통신부를 포함하며, 이더넷 통신은 근거리 통신을 포함한다. 통신부(300)는 근거리 통신을 위하여 유무선 통신이 모두 가능할 수 있다. 가령, 도 1의 모니터링장치(120)와 랜(LAN) 등에 의해 연결되어 제어부(320)로부터 음성신호를 제공받아 전송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모니터링장치(120)는 서비스 담당자 등이 직접 현장에 출동하지 않고 관리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를 입출력 모니터링 및 제어 동작이라 설명한 바 있다. 모니터링장치(120)를 통해 방송신호라인부(310)의 특정 라인에 대하여 라인 상태를 점검하기 위해 입력단의 방송신호와 출력단의 방송신호를 가령 각각 지정 배율로 증폭해 모니터링장치(120)로 제공한 후 이의 분석을 통해 음성 출력 레벨이나 소리 등을 측정하여 라인의 상태를 점검하도록 할 수 있다.
전원부(305)는 라인점검장치(110)에 필요한 다양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모든 전자회로들은 특히, 각종 IC 칩(Chip)은 전원전압(Vcc, Vdd)이 필요하며 이는 다양한 규격을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 특정 회로는 DC 5V가 필요할 수 있고, 다른 회로는 DC 15V의 전압이 필요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전원부(305)는 전자 회로에 필요한 다양한 규격의 전압을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정류회로, 평활회로, 과전류보호회로, DC-DC 컨버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회로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방송신호라인부(310)는 도 1에서와 같이, 라인점검장치(110)가 총 16개의 채널을 갖는 경우 16개의 방송신호라인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각 채널의 라인부를 단위채널라인부라 명명할 수도 있다. 또는 제1 방송신호라인부 및 제2 방송신호라인부 등으로 명명할 수 있다. 각각의 방송신호라인부(310)는 방송신호검출부(312), 쇼트검출부(313), 출력차단부(314), 임피던스측정선택부(315) 및 출력모니터링선택부(316)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출력차단부(314), 임피던스측정선택부(310) 및 출력모니터링선택부(316)는 회로 연결 상태를 온오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칭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칭소자는 FET 또는 릴레이를 이용하거나 다양한 종류의 소자가 사용될 수 있다.
방송신호검출부(312)는 각 채널라인의 점검 중에 방송이 발생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신호검출부(312)는 점검 중에 방송이 있게 되면,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320)로 통보하여 즉시 점검을 멈추고 스피커 라인을 연결하여 정상적인 방송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가령, 방송신호검출부(312)는 각 채널의 입력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여 그 결과를 제어부(320)로 통지할 수 있다.
쇼트검출부(313)는 방송 중에 동작한다. 방송 중에 과전류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특정 채널의 스피커로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여 설정치 이상으로 흐르게 되면 이상(쇼트) 상태로 판단하여 출력차단부(314)에서 해당 스피커 단자의 출력을 차단하여 앰프 출력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쇼트검출부(313)는 과전류나 과전압을 감지하여 이를 제어부(320)에 제공할 수 있고, 제어부(320)는 기준값과 비교하여 쇼트 상태로 판단될 때 동일 채널의 출력차단부(314)를 제어하여 해당 채널의 라인을 끊는다고 볼 수 있다. 다시 말해, 쇼트검출부(313)는 방송 중 특정 라인의 비정상 상태를 감지하기 위해 사용되므로, 비정상동작판단부 등으로 명명될 수도 있다.
출력차단부(314)는 FET 또는 릴레이 등의 스위칭소자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어부(320)의 온오프 제어 명령에 따라 해당 라인을 개방(open)시키고 폐쇄(close)시키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임피던스측정선택부(315)는 임피던스측정부(317)의 동작시에 선택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부(320)는 특정 라인의 임피던스 측정이 이루어질 때 특정 라인의 임피던스를 측정하기 위하여 임피던스측정선택부(315)를 제어하여 임피던스측정부(317)에서 임피던스 측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320)는 임피던스측정선택부(315)를 제어하여 가령 스위치를 제어하여 스피커로 연결되는 라인의 연결을 끊고 동시에 임피던스측정부(317)를 연결하여 폐루프(closed loop) 형태가 되도록 한다. 이를 통해 내부 라인의 임피던스 측정을 통해 스피커 라인의 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임피던스는 라인의 저항, 커패시턴스, 인덕턴스의 총 합을 의미하므로, 기설정된 임피던스 값과 비교하여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는 제어부(320)의 제어하에 상태표시 및 조작부(330)를 통해 외부로 통지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20)는 임피던스 측정을 위하여 가령 출력차단부(314)를 차단한 상태에서 임피던스를 측정한 이후 가령 주기적으로 라인의 상태를 확인하여 이상 상태가 해제되면 출력차단부(314)를 다시 스피커 단자와 연결 즉 도통되도록 하여 정상적인 방송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출력모니터링선택부(316)는 입력모니터링선택부(311)와 함께 입출력 모니터링 및 제어 동작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가 입출력 모니터링 동작을 요청한 경우, 제어부(320)는 입력모니터링선택부(311)를 통해 선택된 해당 채널의 출력모니터링선택부(318)를 선택하여 가령 모니터링을 위한 방송신호나 현재 출력되는 방송신호를 피드백받고 입력시의 방송신호와 모니터링장치(120)를 통해 비교되도록 하여 방송 상태를 점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방송신호 대비 손실이 얼마나 되는지를 판단하여 이상 여부를 판단해 볼 수 있다. 이는 라인점검장치(110)의 서비스 담당자가 직접 현장에 출동하지 않고 관리를 수행할 때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증폭부(ISOLATION AMP)(318)는 지정 이득(A) 즉 증폭율을 갖는 OP 앰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입력모니터링선택부(311)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신호, 더 정확하게는 테스트를 위한 모니터링신호 및 출력모니터링선택부(316)를 통해 피드백되는 방송신호를 각각 증폭하여 제어부(320)로 전달할 수 있다. 두 개의 신호를 구분하기 위한 입력과 출력이라는 명칭을 추가하기로 한다.
제어부(320)는 도 3의 라인점검장치(110')를 구성하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담당하며, 구체적인 동작들은 이미 위에서 충분히 설명된 바 있다. 예를 들어, 방송신호검출부(312)를 통해 방송신호가 감지될 때, 점검 동작을 중지하도록 하고, 또 쇼트검출부(313)를 통해 쇼트가 감지될 때, 출력차단부(314)를 제어하여 특정 라인의 연결을 일시적으로 또는 영구히 끊거나 특정 라인의 임피던스를 측정하기 위해 폐루프를 형성하는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외에도 제어부(320)는 시간 설정 등이 이루어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35)를 통해 방송을 하지 않을 때 점검을 위한 시간 설정 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근거로 주기적인 점검을 수행할 수 있다. 점검이 잦으면 전력 소모가 많아지므로, 전력 소모를 줄이면서 효과적인 점검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시간 설정 정보를 변경하여 사용자에게 제시할 수도 있다. 가령, 장비의 연식이 오래되거나 배터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배터리 용량을 근거로 시간이 설정되도록 선택 가능한 시간 정보를 변경하여 사용자 즉 관리자에게 제시할 수도 있다. 물론 배터리가 아닌 상용전원이 제공되어야 안전성을 담보할 수 있는 것이므로, 이와 같이 라인점검장치(110')의 여러 상황을 고려하여 시간 설정이 이루어지도록 제시할 수 있다는 것이다. 즉 설정 가능한 시간 정보는 여러 상황에 따라 가변적일 수 있다. 시간 변화에 따라 다른 값으로 관계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제어부(320)는 모니터링장치(120)로 방송신호를 전송하여 모니터링이 이루어지도록 통신부(300)를 제어하고, 라인의 점검 결과 이상 상태일 때 상태표시 및 조작부(330)를 제어하여 이상 상태를 외부로 알릴 수 있다.
상태표시 및 조작부(330)는 적(R), 녹(G), 청(B)의 LED 소자를 구성하여 이상 상태는 적색, 정상 상태는 청색, 점검 요함은 녹색 LED를 발광시키는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조작부를 통해 관리자의 다양한 제어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라인점검장치(110')의 리셋이나 동작모드 설정 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대표적인 조작 행위는 전원버튼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35)는 아파트의 관리자 등이 송출하는 비상방송과 같은 방송채널 라인의 주기적인 점검을 위한 시간 설정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토글 스위치나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시간 설정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앞서 언급한 대로, 설정 가능한 시간은 라인점검장치(110')의 상태에 따라 가변되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라인점검장치(110')의 장비 연식의 확인 결과 최신식이면 점검 시간을 길게 관리자에게 제시할 수 있으며, 연한이 오래된 경우에는 점검 시간을 짧게 관리자에게 제시할 수 있으며, 주변 환경이 먼지가 많은 등의 화재 위험 지역으로 판단될 때에는 물론 이를 위하여 별도의 센서를 통해 주변 환경을 측정할 수 있지만, 주변 환경에 의해서도 점검 시간 간격이 결정될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인점검장치의 구동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4를 도 1 또는 도 2와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인점검장치(110, 110')는 복수의 방송신호라인으로 각각 입력되는 방송신호를 각 방송신호라인에서 선택적으로 출력시킨다(S400). 여기서, "방송신호"는 TV 방송신호가 아니라 아파트 등의 공동주택에서 관리자가 화재 또는 안내 등의 비상방송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라인점검장치(110, 110')는 각 방송신호라인의 선로 상태를 점검한다(S410). 방송 중 라인별 쇼트 검출과 폐루프를 구성한 후 임피던스 측정이 라인 상태 점검의 대표적인 예로 볼 수 있다. 물론 이외에도 입출력 모니터링 및 제어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의 경우에는 도 1의 모니터링장치(120)와 연계시에 해당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라인점검장치(110, 110')는 방송 관계자의 방송 중 라인점검부의 결과를 근거로 비정상 상태로 판단되는 방송신호라인을 단선시켜 단선된 방송신호라인 이외의 방송신호라인으로 방송신호가 정상적으로 출력되도록 하며, 방송이 없는 평상시 지정 시간 간격으로 각 방송신호라인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라인점검부를 제어한다(S420).
상기한 내용 이외에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인점검장치(110, 110')는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기타 자세한 내용은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비일시적 저장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판독 가능 기록매체란, 레지스터, 캐시(cache),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 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 컴퓨터장치 105: 앰프장치
110, 110': 라인점검장치 120: 모니터링장치
200: 통신 인터페이스부 210, 310: 방송신호라인부
220, 320: 제어부 230: 상태출력부
240: 라인점검부 305: 전원부
312: 방송신호검출부 313: 쇼트검출부
314: 출력차단부 317: 임피던스측정부

Claims (14)

  1. 복수의 방송신호라인으로 각각 입력되는 방송신호를 각 방송신호라인에서 선택적으로 출력시키는 방송신호라인부;
    상기 각 방송신호라인의 선로상태를 점검하는 라인점검부; 및
    방송 관계자의 방송 중 상기 라인점검부의 결과를 근거로 비정상 상태로 판단되는 방송신호라인을 단선시켜 상기 단선된 방송신호라인 이외의 방송신호라인으로 방송신호가 정상적으로 출력되도록 하며, 방송이 없는 평상시 지정 시간 간격으로 각 방송신호라인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상기 라인점검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방송신호라인부는,
    상기 방송 중 각 방송신호라인의 쇼트상태를 각각 검출하는 쇼트검출부;
    상기 검출한 쇼트상태의 결과를 근거로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각 방송신호라인을 단선시키는 출력차단부; 및
    상기 방송신호라인부는, 평상시 지정 시간 간격으로 각 방송신호라인의 상태 점검 중 방송신호의 입력이 있는지 검출하는 방송신호검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라인점검부는,
    상기 방송 중 상기 단선시킨 방송신호라인의 선로상태를 지정 시간 간격으로 확인하고 상기 방송이 없는 평상시 지정 시간 간격으로 각 방송신호라인의 상태를 확인하는 임피던스측정부;
    상기 방송신호라인부로 입력되는 테스트를 위한 모니터링 입력신호를 선택하는 입력모니터링선택부;
    상기 모니터링 입력신호를 상기 방송신호라인부로 제공한 후 모니터링 출력신호로서 피드백받는 출력모니터링선택부;
    상기 모니터링 입력신호 및 상기 모니터링 출력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제어부의 ADC 단자로 입력하는 증폭부; 및
    상기 증폭한 모니터링 입력신호 및 상기 모니터링 출력신호의 비교 분석을 위해 주변의 모니터링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선시킨 방송신호라인의 선로상태를 상기 임피던스측정부에서 확인한 결과 이상 상태가 해제되면 상기 출력차단부를 제어하여 상기 단선된 방송신호라인을 도통시키고,
    상기 제어부는 검출 결과 방송신호가 입력될 때, 각 방송신호라인의 점검 동작을 중단하고 입력되는 방송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방송신호라인의 주기적인 점검을 위한 시간 설정 동작이 이루어지며, 주변 환경에 의해서도 점검 시간 간격이 결정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실시간 라인점검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모니터링선택부가 선택될 때, 상기 선택된 입력모니터링선택부에 대응하는 각 방송신호라인의 출력모니터링선택부를 제어하여 상기 모니터링 출력신호를 피드백 받는 실시간 라인점검장치.
  7. 삭제
  8. 방송신호라인부가, 복수의 방송신호라인으로 각각 입력되는 방송신호를 각 방송신호라인에서 선택적으로 출력시키는 단계;
    라인점검부가, 상기 각 방송신호라인의 선로상태를 점검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방송 관계자의 방송 중 상기 라인점검부의 결과를 근거로 비정상 상태로 판단되는 방송신호라인을 단선시켜 상기 단선된 방송신호라인 이외의 방송신호라인으로 방송신호가 정상적으로 출력되도록 하며, 방송이 없는 평상시 지정 시간 간격으로 각 방송신호라인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상기 라인점검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출력시키는 단계는,
    상기 방송신호라인부의 쇼트검출부가, 상기 방송 중 각 방송신호라인의 쇼트 상태를 각각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방송신호라인부의 출력차단부가, 상기 검출한 쇼트 상태의 결과를 근거로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각 방송신호라인을 단선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점검하는 단계는,
    상기 라인점검부의 임피던스측정부가, 상기 방송 중 상기 단선시킨 방송신호라인의 선로 상태를 지정 시간 간격으로 확인하고, 상기 방송이 없는 평상시 지정 시간 간격으로 각 방송신호라인의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방송신호라인부의 방송신호검출부가, 평상시 지정 시간 간격으로 각 방송신호라인의 상태 점검 중 방송신호의 입력이 있는지 검출하는 단계;
    검출 결과 방송신호가 입력될 때, 상기 제어부가 각 방송신호라인의 점검 동작을 중단하고 입력되는 방송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라인점검부의 입력모니터링선택부가, 상기 방송신호라인부로 입력되는 테스트를 위한 모니터링 입력신호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라인점검부의 출력모니터링선택부가, 상기 모니터링 입력신호를 상기 방송신호라인부로 제공한 후 모니터링 출력신호로서 피드백받는 단계;
    상기 라인점검부의 증폭부는, 상기 모니터링 입력신호 및 상기 모니터링 출력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제어부의 ADC 단자로 입력하는 단계; 및
    통신부가, 상기 증폭한 모니터링 입력신호 및 상기 모니터링 출력신호의 비교 분석을 위해 주변의 모니터링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단선시킨 방송신호라인의 선로상태를 상기 임피던스측정부에서 확인한 결과 이상 상태가 해제되면 상기 출력차단부를 제어하여 상기 단선된 방송신호라인을 도통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서, 상기 방송신호라인의 주기적인 점검을 위한 시간 설정 동작이 이루어지며, 주변 환경에 의해서도 점검 시간 간격이 결정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실시간 라인점검장치의 구동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모니터링선택부가 선택될 때, 상기 선택된 입력 모니터링 선택부에 대응하는 각 방송신호라인의 출력모니터링선택부를 제어하여 상기 모니터링 출력신호를 피드백 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실시간 라인점검장치의 구동방법.
  14. 삭제
KR1020200022621A 2020-02-25 2020-02-25 실시간 라인점검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1457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2621A KR102145771B1 (ko) 2020-02-25 2020-02-25 실시간 라인점검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2621A KR102145771B1 (ko) 2020-02-25 2020-02-25 실시간 라인점검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5771B1 true KR102145771B1 (ko) 2020-08-19

Family

ID=72291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2621A KR102145771B1 (ko) 2020-02-25 2020-02-25 실시간 라인점검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577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5999B1 (ko) * 2020-09-01 2021-02-17 제이디미디어 주식회사 전관 방송 스피커 관리 시스템
KR102321808B1 (ko) * 2021-08-30 2021-11-08 (주)일신이디아이 페이지폰 설비의 선로체크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0578B1 (ko) 2007-10-11 2008-10-27 주식회사 케빅 스피커의 상태 감시가 가능한 전관방송 시스템
KR101037381B1 (ko) 2010-03-05 2011-05-26 엠에스텔레콤 주식회사 폴리스위치를 이용한 방송제어시스템
KR101469064B1 (ko) * 2014-05-14 2014-12-04 가락전자 주식회사 방송선로의 실시간 분석 시스템 및 방법
KR101772819B1 (ko) 2016-08-11 2017-08-30 정호원 중앙집중 및 분산방식을 갖는 전관방송장비용 장애감지 및 차단 제어장치
KR102015324B1 (ko) * 2019-01-25 2019-08-28 주식회사 인터엠 퓨즈 및 가변저항 직렬연결 기반의 비상방송을 위한 스피커 라인 체커 장치
KR102044119B1 (ko) * 2019-04-08 2019-11-12 정현 전관방송 시스템의 스피커 선로 장애 감지 장치 및 방법
KR102078661B1 (ko) * 2018-11-13 2020-02-18 최성국 앰프 보호 기능을 구비한 스피커 분배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0578B1 (ko) 2007-10-11 2008-10-27 주식회사 케빅 스피커의 상태 감시가 가능한 전관방송 시스템
KR101037381B1 (ko) 2010-03-05 2011-05-26 엠에스텔레콤 주식회사 폴리스위치를 이용한 방송제어시스템
KR101469064B1 (ko) * 2014-05-14 2014-12-04 가락전자 주식회사 방송선로의 실시간 분석 시스템 및 방법
KR101772819B1 (ko) 2016-08-11 2017-08-30 정호원 중앙집중 및 분산방식을 갖는 전관방송장비용 장애감지 및 차단 제어장치
KR102078661B1 (ko) * 2018-11-13 2020-02-18 최성국 앰프 보호 기능을 구비한 스피커 분배 장치
KR102015324B1 (ko) * 2019-01-25 2019-08-28 주식회사 인터엠 퓨즈 및 가변저항 직렬연결 기반의 비상방송을 위한 스피커 라인 체커 장치
KR102044119B1 (ko) * 2019-04-08 2019-11-12 정현 전관방송 시스템의 스피커 선로 장애 감지 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5999B1 (ko) * 2020-09-01 2021-02-17 제이디미디어 주식회사 전관 방송 스피커 관리 시스템
KR102321808B1 (ko) * 2021-08-30 2021-11-08 (주)일신이디아이 페이지폰 설비의 선로체크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1727B1 (ko) 소방중계기방송장치 선로의 단락검사에 따른 운영시스템 및 운영방법
KR100850578B1 (ko) 스피커의 상태 감시가 가능한 전관방송 시스템
KR101772819B1 (ko) 중앙집중 및 분산방식을 갖는 전관방송장비용 장애감지 및 차단 제어장치
US10015610B2 (en) Method and device for analyzing and processing abnormal load on premises broadcasting device
KR101948753B1 (ko) 스피커 선로 단락시 앰프 보호회로
KR101972136B1 (ko) 스피커 선로 체크 기능을 이용한 안전한 비상 방송 장치
KR102145771B1 (ko) 실시간 라인점검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032406B1 (ko) 재난 경보 관제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46964B1 (ko) 실시간 pc 자가 진단을 이용한 방송의 상태 및 고장 유무의 판단이 가능한 방송 시스템
KR102183339B1 (ko) 장애진단을 통한 앰프와 스피커 보호용 스위칭 장치 및 그 방법
KR102251782B1 (ko) 비상방송 송출용 스마트 프로세서 장치 및 그 운용방법
KR100775996B1 (ko) 비상신호에 따라 비상음원을 출력하는 앰프를 갖는 방송시스템
KR102171574B1 (ko) 라인점검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103542B1 (ko) 스피커 선로의 실시간 독립적 감시가 가능한 전관 방송 시스템
KR101835365B1 (ko) 스피커 자동점검 원격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33485B1 (ko) 스피커 라인체커 기능을 갖는 비상방송 시스템
KR20200129975A (ko) 선로 단락 단선 보호기능 통합관리 iot 전관방송시스템
KR102502921B1 (ko) 스피커 및 방송라인 테스터장치
KR102078661B1 (ko) 앰프 보호 기능을 구비한 스피커 분배 장치
KR102368094B1 (ko) 방송 음향 설비의 스피커 회선을 이용한 상태 감시 시스템 및 상태 감시 방법
JP2023100952A (ja) 情報端末、インターホン玄関子機および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KR101017681B1 (ko) 디지털 네트워크 방송 시스템
KR102195702B1 (ko) 고장 및 에러 예측 가능한 전관방송시스템
KR102089577B1 (ko) 파워 앰프 연계형 선로 오류 상태 검출 및 오류 차단 방법과 시스템
KR20220138431A (ko) 실시간 상황별 멀티섹션 방송이 가능한 네트웍 멀티미디어 이중화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