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2136B1 - 스피커 선로 체크 기능을 이용한 안전한 비상 방송 장치 - Google Patents

스피커 선로 체크 기능을 이용한 안전한 비상 방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2136B1
KR101972136B1 KR1020190007982A KR20190007982A KR101972136B1 KR 101972136 B1 KR101972136 B1 KR 101972136B1 KR 1020190007982 A KR1020190007982 A KR 1020190007982A KR 20190007982 A KR20190007982 A KR 20190007982A KR 101972136 B1 KR101972136 B1 KR 1019721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aker
signal
pilot tone
central control
control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7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혜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엠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엠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엠피
Priority to KR10201900079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21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21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21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9/00Monitoring arrangements; Testing arrangements
    • H04R29/007Monitoring arrangements; Testing arrangements for public address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9/00Monitoring arrangements; Testing arrangements
    • H04R29/001Monitoring arrangements; Testing arrangements for loudspeak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선로 체크 기능을 이용한 안전한 비상 방송 장치는 전관 방송 시스템에 설치된 스피커 또는 스피커의 입력 선로에 대한 이상 유무를 점검하는 비상 방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비상 방송 장치는 앰프(Amp)로부터 증폭된 사운드(Sound) 전기 신호를 입력받아 귀로 들을 수 있는 음파로 변환 출력하는 스피커(Speaker)와; 상기 스피커에 설치된 보이스 코일 또는 상기 앰프와 스피커 사이에 연결된 스피커 입력 선로의 쇼트(Short) 또는 단선 여부를 점검하기 위해 상기 스피커의 입력 선로에 귀에 들리지 않는 18Khz 내지 22Khz 주파수 대역의 파일럿 톤(Pilot Tone) 신호를 공급하는 파일럿 톤(Pilot Tone) 신호 제공부; 상기 스피커(Speaker)의 입력 선로를 통해 스피커의 보이스 코일로부터 피드백(FeedBack) 되어 돌아온 파일럿 톤(Pilot Tone) 신호를 검출하는 파일럿 톤(Pilot Tone) 신호 검출부; 및 상기 파일럿 톤 신호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파일럿 톤 신호의 전압 피크(Peak) 레벨이 미리 설정된 쇼트 판정용 전압 기준 레벨 이하일 경우 스피커의 보이스 코일이 쇼트(Short)되거나 상기 스피커와 연결된 스피커 입력 선로가 쇼트(Short) 되었다고 판단하는 반면 상기 파일럿 톤 신호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파일럿 톤 신호의 전압 피크(Peak) 레벨이 미리 설정된 오픈(Open) 판정용 전압 기준 레벨 이상일 경우 스피커의 보이스 코일이 끊어지거나 스피커 입력 선로가 끊어졌다고 판단하는 중앙 제어 수단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스피커 선로 체크 기능을 이용한 안전한 비상 방송 장치{The safety emergency broadcasting apparatus using checking the speaker line}
본 발명은 스피커 선로 체크 기능을 이용한 안전한 비상 방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용 방송에 사용되는 스피커의 보이스 코일이나 스피커 입력 선로의 이상 여부를 수동이나 자동으로 점검할 수 있는 스피커 선로 체크 기능을 이용한 안전한 비상 방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용 방송 시스템은 건물 내 안내 방송이나 화재 등 비상시에 사용되는 방송 시스템으로서 중앙 통제실의 간단한 조작으로 이벤트와, 홍보, 공지, 비상 상황 등을 신속하고 명확하게 건물 내·외부 고객에게 전달하는 시스템이다.
상기 공용 방송 시스템은 건물 내·외부에 위치한 사람들에게 긴급 방송이나 일반 방송을 전달함으로써 건물 내·외부에 위치한 사람들이 상황에 맞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공용 방송 시스템은 즉시 동작될 수 있어야 하고, 고장 및 장비 이상시 최소한의 시간에 정비 및 복구가 완료되어야만 한다.
상기 공용 방송 시스템의 방송 종류로는 화재 발생시 자동 화재 대피 방송과, 비상 마이크 방송, 리모트 방송, 예약 방송, 및 수동 스위치를 이용하여 스피커를 제어하는 일반 방송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공용 방송 시스템에 설치되는 수십 개의 스피커는 설치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수십 개의 스피커 중 일부분의 스피커에서 고장이 발생되었을 경우 고장이 발생된 스피커가 설치된 지역은 일반 방송이나 비상 방송이 두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공용 방송 시스템에 설치된 수십 개의 스피커 중 일부분의 스피커에서 고장이 발생되었을 경우 공용 방송 시스템을 유지 보수하는 관리자가 고장이 발생된 스피커의 위치를 단 시간 내에 파악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수십 개의 스피커 중 보이스 코일이나 스피커 입력 선로의 쇼트(Short)에 의해 고장이 발생된 스피커가 있을 경우 보이스 코일이 쇼트(Short)된 스피커로 인해 정상적으로 동작되는 다른 지역의 스피커가 오작동되거나 손상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본 발명의 선행 기술로는 특허등록번호 "10-1835365"호의 "스피커 자동 점검 원격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이 출원되어 등록되었는데, 상기 스피커 자동 점검 원격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은 마이크의 입력을 받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한 후 제어부와 제1 표시장치로 신호를 전달하는 입력장치와, 상기 입력장치의 신호를 스피커 모니터링 시스템으로 전달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로부터 받은 신호를 연결되어 있는 출력장치로 전달하는 스피커 모니터링 시스템, 상기 스피커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하여 전달된 신호에 따라 음성을 출력하는 다수 개의 출력장치,및 상기 출력장치 각각으로부터 피드백(Feedback)된 신호를 판단하여 출력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증폭기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장치는 상기 스피커 모니터링 시스템으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전달받아 해당 스피커로 출력하는 스피커 제어부와, 상기 스피커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크기를 측정 하는 1차 출력측정부, 상기 스피커 제어부의 판단에 따라 볼륨을 조절하는 볼륨조절기, 상기 볼륨조절기에서 조절된 신호대로 출력하는 스피커, 상기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되는 신호를 측정하는 2차 출력측정부, 및 상기 스피커의 상태를 나타내는 제2 표시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스피커 제어부는 상기 1차 출력측정부의 신호와 상기 2차 출력 측정부의 신호를 비교하여 스피커의 고장 여부를 판단한다.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10-1772819" (2017.08.30)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10-1841728" (2018.03.26)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10-1835365" (2018.03.08)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중앙 통제실에서 공용 방송 시스템에 설치되는 수십 개의 스피커(Speaker)에 대한 스피커 선로 이상 여부를 자동으로 진단할 수 있는 스피커 선로 체크 기능을 이용한 안전한 비상 방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공용 방송 시스템에 설치된 수십 개의 스피커에 대한 고장을 진단해 본 결과 고장이 발생된 스피커가 있을 경우 고장이 발생된 스피커로 입력되는 전기 음성 신호를 차단하여 정상적으로 동작되는 스피커들을 보호할 수 있는 스피커 선로 체크 기능을 이용한 안전한 비상 방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선로 체크 기능을 이용한 안전한 비상 방송 장치는 전관 방송 시스템에 설치된 스피커 또는 스피커의 입력 선로에 대한 이상 유무를 점검하는 비상 방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비상 방송 장치는 앰프(Amp)로부터 증폭된 사운드(Sound) 전기 신호를 입력받아 귀로 들을 수 있는 음파로 변환 출력하는 스피커(Speaker)와; 상기 스피커에 설치된 보이스 코일 또는 상기 앰프와 스피커 사이에 연결된 스피커 입력 선로의 쇼트(Short) 또는 단선 여부를 점검하기 위해 상기 스피커의 입력 선로에 귀에 들리지 않는 18Khz 내지 22Khz 주파수 대역의 파일럿 톤(Pilot Tone) 신호를 공급하는 파일럿 톤(Pilot Tone) 신호 제공부; 상기 스피커(Speaker)의 입력 선로를 통해 스피커의 보이스 코일로부터 피드백(FeedBack) 되어 돌아온 파일럿 톤(Pilot Tone) 신호를 검출하는 파일럿 톤(Pilot Tone) 신호 검출부; 및 상기 파일럿 톤 신호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파일럿 톤 신호의 전압 피크(Peak) 레벨이 미리 설정된 쇼트 판정용 전압 기준 레벨 이하일 경우 스피커의 보이스 코일이 쇼트(Short)되거나 상기 스피커와 연결된 스피커 입력 선로가 쇼트(Short) 되었다고 판단하는 반면 상기 파일럿 톤 신호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파일럿 톤 신호의 전압 피크(Peak) 레벨이 미리 설정된 오픈(Open) 판정용 전압 기준 레벨 이상일 경우 스피커의 보이스 코일이 끊어지거나 스피커 입력 선로가 끊어졌다고 판단하는 중앙 제어 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선로 체크 기능을 이용한 안전한 비상 방송 장치는 전관 방송 시스템에 설치된 2개 이상의 스피커에 대하여 스피커 입력 선로나 스피커 보이스 코일에 대한 쇼트(Short) 여부나 오픈(Open) 여부를 자동으로 체크(Check)하고, 체크 결과 이상이 있는 스피커는 스피커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며, 보이스 코일이 쇼트되거나 스피커 입력 선로가 쇼트된 스피커와 연결된 릴레이 스위치는 더 이상 사운드 전기 신호가 입력되지 않도록 즉시 오픈(Open)시킴으로써 정상 동작되는 다른 스피커가 간섭을 받지 않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중앙 통제실에서 공용 방송 시스템에 설치되는 수십 개의 스피커(Speaker)에 대한 정상 동작 여부를 자동으로 진단할 수 있고, 전관 방송 시스템에 설치된 수십 개의 스피커에 대한 고장을 진단해 본 결과 고장이 발생된 스피커가 있을 경우 고장이 발생된 스피커로 입력되는 전기 음성 신호를 차단함으로써 정상적인 스피커들을 보호할 수 있다.
도면 1은 본 발명의 제어 블록도,
도면 2는 파일럿 톤(Pilot Tone) 신호 제공부의 제어 블록도,
도면 3은 앰프와, 릴레이 그룹, 스피커에 대한 제어 블록도,
도면 4는 릴레이 드라이버의 제어 회로도,
도면 5는 파일럿 톤 신호 검출부의 제어 블록도,
도면 6은 신호 처리부의 제어 블록도,
도면 7은 고역 통과 필터와 저역 통과 필터의 제어 회로도,
도면 8은 디스플레이부의 제어 블록도,
도면 9는 LED 드라이버의 제어 회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선로 체크 기능을 이용한 안전한 비상 방송 장치는 도면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관 방송 시스템에 설치된 스피커(1) 또는 스피커(1)의 입력 선로에 대한 이상 유무를 점검하는 비상 방송 장치(A)에 있어서, 상기 비상 방송 장치(A)는 앰프(2)(Amp)로부터 증폭된 사운드(Sound) 전기 신호를 입력받아 귀로 들을 수 있는 음파로 변환 출력하는 스피커(1)(Speaker)와; 상기 스피커(1)에 설치된 보이스 코일 또는 상기 앰프(2)와 스피커(1) 사이에 연결된 스피커(1) 입력 선로의 쇼트(Short) 또는 단선 여부를 점검하기 위해 상기 스피커(1)의 입력 선로에 귀에 들리지 않는 18Khz 내지 22Khz 주파수 대역의 파일럿 톤(Pilot Tone) 신호를 공급하는 파일럿 톤(Pilot Tone) 신호 제공부(3); 상기 스피커(1)(Speaker)의 입력 선로를 통해 스피커(1)의 보이스 코일로부터 피드백(FeedBack) 되어 돌아온 파일럿 톤(Pilot Tone) 신호를 검출하는 파일럿 톤(Pilot Tone) 신호 검출부(4); 및 상기 파일럿 톤 신호 검출부(4)에 의해 검출된 파일럿 톤 신호의 전압 피크(Peak) 레벨이 미리 설정된 쇼트 판정용 전압 기준 레벨 이하일 경우 스피커(1)의 보이스 코일이 쇼트(Short)되거나 상기 스피커(1)와 연결된 스피커(1) 입력 선로가 쇼트(Short) 되었다고 판단하는 반면 상기 파일럿 톤 신호 검출부(4)에 의해 검출된 파일럿 톤 신호의 전압 피크(Peak) 레벨이 미리 설정된 오픈(Open) 판정용 전압 기준 레벨 이상일 경우 스피커(1)의 보이스 코일이 끊어지거나 스피커(1) 입력 선로가 끊어졌다고 판단하는 중앙 제어 수단(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파일럿 톤(Pilot Tone) 신호 제공부(3)는 도면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18Khz 내지 22Khz의 주파수를 가진 파일럿 톤(Pilot Tone) 신호를 발생하는 파일럿 톤 제너레이터(31)(Generator)와; 상기 파일럿 톤 제너레이터(31)로부터 출력된 파일럿 톤 신호를 중앙 제어 수단(5)의 제어 신호에 따라 소정 이득(Gain)으로 증폭시켜 스피커(1)의 입력 선로로 전달하는 파일럿 톤 볼륨 제어부(32); 및 상기 파일럿 톤 제너레이터(31)와 파일럿 톤 볼륨 제어부(32)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33)를 포함한다.
상기 앰프(2)는 2개 이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비상 방송 장치(A)는 도면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2개 이상의 앰프(2)와 1:1로 연결된 2개 이상의 릴레이(Relay)(6)가 갖추어진 릴레이(Relay) 그룹(7)과, 상기 중앙 제어 수단(5)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릴레이 그룹(7)에 갖추어진 2개 이상의 릴레이(Relay) 중 어느 1개의 릴레이(Relay)(6)를 스위치 온(On) 시켜 어느 1개의 앰프(2)와 스피커(1)를 연결시키는 릴레이 드라이버(8)(Relay Driver)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앙 제어 수단(5)은 스피커에 갖추어진 보이스 코일이 쇼트(Short)되거나 사운드 입력 선로가 쇼트(Short)된 스피커(1)와 연결된 릴레이의 스위치를 개방(Open)시켜 정상적으로 동작되는 스피커(1)가 간섭받지 않도록 한다.
상기 릴레이 드라이버(8)는 도면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중앙 제어 수단(5)으로부터 입력된 직렬 데이터를 4비트 이상의 병렬 데이터로 출력하고 상기 중앙 제어 수단(5)으로부터 입력된 클럭(Clock) 신호에 따라 4비트 이상의 병렬 데이터를 병렬 데이터의 왼쪽이나 오른쪽으로 1비트씩 쉬프트(Shift)시키는 릴레이 제어용 쉬프트 레지스터(81)(Shift Register)와, 입력단이 병렬 데이터를 출력하는 상기 릴레이 제어용 쉬프트 레지스터(81)의 출력 포트에 연결된 릴레이측 전류 제한용 저항(82), 베이스(Base) 단자가 상기 릴레이측 전류 제한용 저항(82)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에미터(Emitter) 단자가 접지되며 컬렉터(Collector) 단자가 상기 릴레이(Relay)(6) 전원 코일의 출력단에 연결된 NPN 트랜지스터(83), 및 일단이 상기 NPN 트랜지스터(83)의 베이스(Base) 단자에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된 풀다운(Pull-down) 저항(84)으로 이루어져, 상기 릴레이측 전류 제한용 저항(82)으로 하이(High) 디지털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NPN 트랜지스터(83)가 턴 온(Turn-On)되면서 릴레이(Relay)(6) 전원 코일에 전류가 입력되고 상기 릴레이(6)는 스위치 온(On)되는 반면 상기 릴레이측 전류 제한용 저항(82)으로 로우(Low) 디지털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NPN 트랜지스터(83)가 턴 오프(Turn-Off)되면서 릴레이(6) 전원 코일을 흐르는 전류가 차단되고 상기 릴레이(6)는 스위치 오프(Off)된다.
상기 릴레이 그룹(7)은 16개 채널(Channel)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앰프(2)는 4개의 음원으로부터 출력된 사운드 신호를 증폭하는 4개의 앰프(2)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4개의 앰프(2) 중 2개의 앰프(2)는 일반 방송을 내보내고 나머지 2개의 앰프(2)는 비상 발생시 비상 방송을 내보낸다.
상기 스피커(1)는 일반 방송을 내보내기 위한 16개 채널의 스피커(1)와, 비상 방송을 내보내는 16개 채널의 스피커(1)로 구성되어 총 32개가 된다.
따라서, 1채널의 릴레이 그룹(7)에는 일반 방송을 내보내기 위한 스피커(1)와 비상 방송을 내보내기 위한 스피커(1) 총 2개가 장착된다.
상기 일반 방송으로는 마이크(Mic)나 미디어 플레이어(Media Player)와 같은 음원으로부터 송출되는 방송일 수 있고, 비상 방송으로는 사이렌(Siren)이나 재난 발생시 비상 안내 방송이 될 수 있다.
또한, 각 채널의 릴레이 그룹(7)에는 상기 4개의 앰프(2)(Amp)와 1:1로 연결된 4개의 릴레이(Relay)가 갖추어진다.
또, 각 채널의 릴레이 그룹(7)에는 스피커(1)가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은 도면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중앙 제어 수단(5)의 제어 신호에 따라 스위치 온(On) 되거나 스위치 오프(Off) 되고, 스위치 온(On) 되었을 때 상기 파일럿 톤 신호 제공부(3)로부터 출력된 파일럿 톤(Pilot Tone) 신호를 스피커(1)의 입력 선로에 전달하는 반면, 스위치 오프(Off) 되었을 때 상기 파일럿 톤 신호 제공부(3)로부터 출력된 파일럿 톤 신호를 스피커(1)의 입력 선로에 전달하지 않는 파일럿 톤 스위칭(Pilot Tone Switching)부(9)를 더 포함한다.
상기 파일럿 톤 신호 검출부(4)는 도면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 단자가 상기 스피커(1)의 입력 선로에 연결되고 트랜스포머에 감긴 코일의 권선비에 따라 상기 스피커(1)의 보이스 코일로부터 피드백(FeedBack) 되어 돌아온 파일럿 톤 신호 전압을 소정 비율로 감압하여 출력하는 매칭 트랜스포머(41)(Matching Transformer)와; 상기 매칭 트랜스포머(41)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증폭하며 증폭된 신호 중 파일럿 톤(Pilot Tone) 신호만을 걸러내고 걸러진 파일럿 톤 신호의 기준(Reference) 전압 레벨을 조정하는 신호 처리부(42)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앙 제어 수단(5)은 상기 신호 처리부(42)로부터 입력받은 파일럿 톤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Digital Data)로 변환한 다음, 상기 변환된 디지털 데이터를 파일럿 톤 신호의 전압으로 환산한다.
상기 신호 처리부(42)는 도면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매칭 트랜스포머(41)로부터 출력된 전압을 소정 이득(Gain) 증폭하는 신호 증폭부(422)와; 1개의 입력단이 상기 신호 증폭부(422)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2개 이상의 출력단을 구비하며 중앙 제어 수단(5)의 제어 신호에 따라 1개의 입력단과 연결된 스위치가 상기 2개 이상의 출력단 중 어느 1개의 출력단과 연결되는 입력측 먹스(423)(Mux), 2개 이상의 입력단과 1개의 출력단을 구비하고 상기 중앙 제어 수단(5)의 제어 신호에 따라 1개의 출력단과 연결된 스위치가 2개 이상의 입력단 중 어느 1개의 입력단과 연결되는 출력측 먹스(Mux)(424), 상기 입력측 먹스(423)에 갖추어진 2개 이상의 출력단 중 어느 1개의 출력단에 입력단이 연결되고 상기 출력측 먹스(424)에 갖추어진 2개 이상의 입력단 중 어느 1개의 입력단에 출력단이 연결되며 18Khz 내지 22Khz의 파일럿 신호를 통과시키는 광대역 밴드 패스 필터(425)(Band Pass Filter), 상기 입력측 먹스(423)에 갖추어진 2개 이상의 출력단 중 어느 1개의 출력단에 입력단이 연결되고 상기 출력측 먹스(424)에 갖추어진 2개 이상의 입력단 중 어느 1개의 입력단에 출력단이 연결되며 18Khz 내지 22Khz의 주파수 범주안에 있는 주파수 대역의 파일럿 신호를 통과시키는 협대역 밴드 패스 필터(426)(Band Pass Filter), 및 상기 출력측 먹스(424)로부터 출력되는 파일럿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해 상기 출력측 먹스(424)로부터 출력되는 파일럿 신호의 기준(Reference) 전압 레벨을 조정하는 기준 전압 레벨 조정부(427)를 포함한다.
상기 광대역 밴드 패스 필터(425)는 도면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입력측 먹스(423)로부터 입력된 신호 중 18Khz 이상의 신호를 통과시키는 고역 통과 필터(428)와, 상기 고역 통과 필터(428)로부터 입력된 신호 중 22Khz 이하의 신호를 통과시키는 저역 통과 필터(429)를 포함한다.
상기 고역 통과 필터(428)는 예를 들어, 도면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전 입력 단자와 출력 단자가 연결된 제1 오피 앰프(4281)와, 입력단이 상기 입력측 먹스(423)(Mux)의 출력단에 연결된 제1 커패시터(4282), 입력단이 상기 제1 커패시터(4282)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출력단이 상기 제1 오피 앰프(4281)의 비반전 입력 단자에 연결되는 제2 커패시터(4283), 입력단이 상기 제1 오피 앰프(4281)의 비반전 입력 단자에 연결되고 출력단이 접지된 제1 저항(4284), 입력단이 제1 커패시터(4282)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출력단이 제1 오피 앰프(4281)의 반전 입력 단자에 연결된 제2 저항(4285)으로 이루어져, 상기 고역 통과 필터(428)는
Figure 112019007679205-pat00001
이상의 주파수를 통과시킨다.
상기 저역 통과 필터(429)는 예를 들어, 도면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전 입력 단자와 출력 단자가 연결된 제2 오피 앰프(4291)와, 입력단이 상기 고역 통과 필터(428)의 출력단에 연결된 제3 저항(4292), 입력단이 상기 제3 저항(4292)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출력단이 상기 제2 오피 앰프(4291)의 비반전 입력 단자에 연결되는 제4 저항(4293), 입력단이 상기 제2 오피 앰프(4291)의 비반전 입력 단자에 연결되고 출력단이 접지된 제3 커패시터(4294), 입력단이 제3 저항(4292)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출력단이 제2 오피 앰프(4291)의 반전 입력 단자에 연결된 제4 커패시터(4295)로 이루어져, 상기 저역 통과 필터(429)는
Figure 112019007679205-pat00002
이상의 주파수를 감쇄시킨다.
상기 중앙 제어 수단(5)에는 상기 신호 처리부(42)의 주파수 통과 대역폭을 설정하는 주파수 통과 대역폭 설정부(10)가 부가 장착된다.
또한, 본 발명은 현재 스피커(1)의 보이스 코일이나 스피커(1)의 입력 선로가 쇼트(Short)되거나 단선된 스피커(1)의 채널 넘버(Number)를 표시하고 현재 방송이 송출되고 있는 스피커(1)(Speaker)의 채널 번호을 표시하며 현재 릴레이를 통해 스피커(1)와 연결된 앰프(2) 채널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Display)부(1)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1)는 도면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스피커(1) 채널별로 2개 이상씩 설치된 LED(12)와, 상기 중앙 제어 수단(5)의 제어 신호에 따라 보이스 코일이나 스피커(1)의 입력 선로가 쇼트(Short)되거나 끊어진 스피커(1)의 채널과 맞대응되는 LED(12)를 점등시키거나 소등시키고 현재 방송이 송출 중인 스피커(1) 채널과 맞대응되는 LED(12)를 점등시키거나 소등시키는 LED 드라이버(13)(Driver), 상기 스피커(1) 채널별로 1개씩 설치되고 현재 방송이 송출되고 있는 스피커(1)(Speaker)의 채널 번호을 표시하며 현재 릴레이를 통해 스피커(1)와 연결된 앰프(2) 채널을 표시하는 세븐 세그먼트(14)(7-Segment), 및 상기 중앙 제어 수단(5)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세븐 세그먼트(14)를 구동시켜 상기 세븐 세그먼트(14)에 현재 방송이 송출되고 있는 스피커(1)(Speaker)의 채널 번호을 표시하고 현재 릴레이를 통해 스피커(1)와 연결된 앰프(2) 채널을 표시하는 세븐 세그먼트 드라이버(15)를 포함한다.
상기 릴레이 그룹(7)에 갖추어진 릴레이(6)가 스위치 온(On)되어 앰프(2)를 통해 증폭된 사운드 신호가 스피커(1)를 통해 출력되면, 상기 사운드 신호를 음파로 내보내는 스피커(1)와 맞대응되는 세븐 세그먼트(14)가 반복적으로 점멸됨으로써 현재 방송이 송출되고 있는 스피커(1) 채널을 관리자에게 알리게 된다.
상기 LED 드라이버(13)는 도면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중앙 제어 수단(5)으로부터 입력된 직렬 데이터를 4비트 이상의 병렬 데이터로 출력하고 상기 중앙 제어 수단(5)으로부터 입력된 클럭(Clock) 신호에 따라 4비트 이상의 병렬 데이터를 병렬 데이터의 왼쪽이나 오른쪽으로 1비트씩 쉬프트(Shift)시키는 LED 제어용 쉬프트 레지스터(131)(Shift Register)와; 캐소드(Cathode) 단자가 병렬 데이터를 출력하는 상기 LED 제어용 쉬프트 레지스터(131)의 출력 단자에 연결된 LED(12); 입력단이 전원 연결되고 출력단이 상기 LED(12)의 애노드(Anode) 단자에 연결된 LED측 전류 제한용 저항(132); 및 한쪽 전극이 상기 LED측 전류 제한용 저항(132)의 입력단에 연결되고 다른 한쪽 전극이 접지된 제2 노이즈 저감용 커패시터(133)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면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비상 방송 장치(A)를 또 다른 장치와 구분하기 위하여 상기 비상 방송 장치(A)에 대한 고유 아이디(ID)를 상기 중앙 제어 수단(5)에 입력하는 고유 아이디 설정 모듈(16)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면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중앙 제어 수단(5)에 스피커(1)와 연결되는 앰프(2) 채널을 변환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전송하거나 PC 또는 메인 장치에 스피커(1) 채널 별 스피커(1)의 보이스 코일이나 스피커(1)의 사운드 입력 선로에 대한 쇼트 또는 단선(Open)에 대한 점검 결과를 전송하는 통신 모듈(17)을 더 포함한다.
관리자는 PC의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통해 스피커(1)와 연결되는 앰프(2) 채널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면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스피커(1)와 연결된 앰프(2)(Amp) 회선을 변경하기 위하여 릴레이 그룹(7)에 갖추어진 2개 이상의 릴레이(Relay)를 선택적으로 스위칭(Switching)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중앙 제어 수단(5)에 전송하는 키(Key) 입력 모듈(18)을 더 포함하고, 상기 중앙 제어 수단(5)은 상기 키 입력 모듈(18)로부터 입력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릴레이 드라이버(8)를 제어하여 릴레이 그룹(7)에 갖추어진 2개 이상의 릴레이를 선택적으로 스위칭시킨다.
또한, 본 발명은 도면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스피커(1)의 보이스 코일이나 스피커(1)와 연결된 사운드 입력 선로가 쇼트(Short)되거나 단선 되었을 경우 상기 중앙 제어 수단(5)의 제어 신호에 따라 경보 신호를 발생하는 부져(19)(Buzzer)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피커(1)의 보이스 코일이나 스피커(1)와 연결된 사운드 입력 선로가 쇼트되거나 단선 되었을 경우 상기 부져(19)(Buzzer)의 작동 여부를 상기 중앙 제어 수단(5)에 설정하는 부져(Buzzer) 작동 설정부(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앙 제어 수단(5)은 부져 작동 설정부(20)에 의해 부져(19)(Buzzer)가 작동 가능하게 설정되고, 상기 스피커(1)의 보이스 코일이나 스피커(1)와 연결된 사운드 입력 선로가 쇼트되거나 단선되었을 경우 부져(19)를 울려 신속한 보수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면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중앙 제어 수단(5)에는 상기 앰프(2)를 제어하여 스피커(1) 볼륨(Volume)을 높이거나 낮추는 볼륨 제어 모듈(21)이 갖추어지고, 상기 스피커(1)의 보이스 코일이나 스피커(1)와 연결된 사운드 입력 선로에 대한 쇼트(Short) 또는 단선(Open) 여부를 자동으로 체크(Check)할 때 자동 체크(Check)하는 시간 간격을 설정하는 타임 설정 모듈(22)이 부가 장착된다.
상기 중앙 제어 수단(5)은 상기 볼륨 제어 모듈(21)로부터 입력된 제어 신호에 따라 앰프(2)(Amp)의 증폭 게인(Gain)을 조정하여 스피커(1) 볼륨을 높이거나 낮출 수 있다.
상기 중앙 제어 수단(5)은 상기 타임 설정 모듈(22)에 설정된 시간 간격마다 상기 스피커(1)의 보이스 코일이나 스피커(1)와 연결된 사운드 입력 선로에 대한 쇼트 또는 단선 여부를 점검한다.
또한, 상기 중앙 제어 수단(5)에는 스위치 온(On) 되었을 때 상기 중앙 제어 수단(5)에 스피커(1) 채널별로 스피커(1)의 보이스 코일이나 스피커(1) 입력 선로의 쇼트 또는 단선 여부를 1회 체크하도록 명령하는 수동 테스트 선택 버튼(25)과, 스위치 온(On) 되었을 때 상기 중앙 제어 수단(5)에 스피커(1) 채널별로 스피커(1)의 보이스 코일이나 스피커(1) 입력 선로의 쇼트 또는 단선 여부를 일정 시간 마다 체크하도록 명령하는 자동 테스트 선택 버튼(26)이 부가 장착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앰프(2)를 통해 증폭된 사운드 신호를 분기시켜 주는 링크 아웃(Link Out) 연결 포트(24)와 사운드 신호를 입력받는 링크 인(Link In) 연결 포트(23)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선로 체크 기능을 이용한 안전한 비상 방송 장치는 전관 방송 시스템에 설치된 2개 이상의 스피커(1)에 대하여 스피커(1) 입력 선로나 스피커(1) 보이스 코일에 대한 쇼트(Short) 여부나 오픈(Open) 여부를 자동으로 체크(Check)하고, 체크 결과 이상이 있는 스피커(1)는 스피커(1)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며, 보이스 코일이 쇼트되거나 스피커(1) 입력 선로가 쇼트된 스피커(1)와 연결된 릴레이(6) 스위치는 더 이상 사운드 전기 신호가 입력되지 않도록 즉시 오픈(Open)시킴으로써 정상 동작되는 다른 스피커(1)가 간섭을 받지 않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중앙 통제실에서 공용 방송 시스템에 설치되는 수십 개의 스피커(1)(Speaker)에 대한 정상 동작 여부를 자동으로 진단할 수 있고, 전관 방송 시스템에 설치된 수십 개의 스피커(1)에 대한 고장을 진단해 본 결과 고장이 발생된 스피커(1)가 있을 경우 고장이 발생된 스피커(1)로 입력되는 전기 음성 신호를 차단함으로써 정상적인 스피커(1)들을 보호할 수 있다.
A. 비상 방송 장치 1. 스피커
2. 앰프 3. 파일럿 톤 신호 제공부
31. 파일럿 톤 제너레이터 32. 파일럿 톤 볼륨 제어부
33. 전원 공급부 4. 파일럿 톤 신호 검출부
41. 매칭 트랜스포머 42. 신호 처리부
422. 신호 증폭부 423. 입력측 먹스
424. 출력측 먹스 425. 광대역 밴드 패스 필터
426. 협대역 밴드 패스 필터 427. 기준 전압 레벨 조정부
428. 고역 통과 필터 4281. 제1 오피 앰프
4282. 제1 커패시터 4283. 제2 커패시터
4284. 제1 저항 4285. 제2 저항
429. 저역 통과 필터 4291. 제2 오피 앰프
4292. 제3 저항 4293. 제4 저항
4294. 제3 커패시터 4295. 제4 커패시터
5. 중앙 제어 수단 6. 릴레이
7. 릴레이 그룹 8. 릴레이 드라이버
81. 릴레이 제어용 쉬프트 레지스터 82. 릴레이측 전류 제한용 저항
83. NPN 트랜지스터 84. 풀다운 저항
9. 파일럿 톤 스위칭부 10. 주파수 통과 대역폭 설정부
11. 디스플레이부 12. LED
13. LED 드라이버 131. LED 제어용 쉬프트 레지스터
132. LED측 전류 제한용 저항 133. 제2 노이즈 저감용 커패시터
14. 세븐 세그먼트 15. 세븐 세그먼트 드라이버
16. 고유 아이디 설정 모듈 17. 통신 모듈
18. 키 입력 모듈 19. 부져
20. 부져 작동 설정부 21. 볼륨 제어 모듈
22. 타임 설정 모듈 23. 링크 인 연결 포트
24. 링크 아웃 연결 포트 25. 수동 테스트 선택 버튼
26. 자동 테스트 선택 버튼

Claims (7)

  1. 전관 방송 시스템에 설치된 스피커(1) 또는 스피커(1)의 입력 선로에 대한 이상 유무를 점검하는 비상 방송 장치(A)에 있어서,
    상기 비상 방송 장치(A)는 앰프(2)(Amp)로부터 증폭된 사운드(Sound) 전기 신호를 입력받아 귀로 들을 수 있는 음파로 변환 출력하는 스피커(1)(Speaker)와;
    상기 스피커(1)에 설치된 보이스 코일 또는 상기 앰프(2)와 스피커(1) 사이에 연결된 스피커(1) 입력 선로의 쇼트(Short) 또는 단선 여부를 점검하기 위해 상기 스피커(1)의 입력 선로에 귀에 들리지 않는 18Khz 내지 22Khz 주파수 대역의 파일럿 톤(Pilot Tone) 신호를 공급하는 파일럿 톤(Pilot Tone) 신호 제공부(3);
    상기 스피커(1)(Speaker)의 입력 선로를 통해 스피커(1)의 보이스 코일로부터 피드백(FeedBack) 되어 돌아온 파일럿 톤(Pilot Tone) 신호를 검출하는 파일럿 톤(Pilot Tone) 신호 검출부(4);
    및 상기 파일럿 톤 신호 검출부(4)에 의해 검출된 파일럿 톤 신호의 전압 피크(Peak) 레벨이 미리 설정된 쇼트 판정용 전압 기준 레벨 이하일 경우 스피커(1)의 보이스 코일이 쇼트(Short)되거나 상기 스피커(1)와 연결된 스피커(1) 입력 선로가 쇼트(Short) 되었다고 판단하는 반면 상기 파일럿 톤 신호 검출부(4)에 의해 검출된 파일럿 톤 신호의 전압 피크(Peak) 레벨이 미리 설정된 오픈(Open) 판정용 전압 기준 레벨 이상일 경우 스피커(1)의 보이스 코일이 끊어지거나 스피커(1) 입력 선로가 끊어졌다고 판단하는 중앙 제어 수단(5)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파일럿 톤(Pilot Tone) 신호 제공부(3)는 18Khz 내지 22Khz의 주파수를 가진 파일럿 톤(Pilot Tone) 신호를 발생하는 파일럿 톤 제너레이터(31)(Generator)와;
    상기 파일럿 톤 제너레이터(31)로부터 출력된 파일럿 톤 신호를 중앙 제어 수단(5)의 제어 신호에 따라 소정 이득(Gain)으로 증폭시켜 스피커(1)의 입력 선로로 전달하는 파일럿 톤 볼륨 제어부(32);
    및 상기 파일럿 톤 제너레이터(31)와 파일럿 톤 볼륨 제어부(32)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33)를 포함하며,
    상기 앰프(2)는 2개 이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비상 방송 장치(A)는 상기 2개 이상의 앰프(2)와 1:1로 연결된 2개 이상의 릴레이(Relay)(6)가 갖추어진 릴레이(Relay) 그룹(7)과,
    상기 중앙 제어 수단(5)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릴레이 그룹(7)에 갖추어진 2개 이상의 릴레이(Relay) 중 어느 1개의 릴레이(Relay)를 스위치 온(On)시켜 어느 1개의 앰프(2)와 스피커(1)를 연결시키는 릴레이 드라이버(8)(Relay Driver)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앙 제어 수단(5)은 스피커(1)에 갖추어진 보이스 코일이 쇼트(Short)되거나 사운드 입력 선로가 쇼트(Short)된 스피커(1)와 연결된 릴레이(6)의 스위치를 개방(Open)시키며,
    상기 릴레이 드라이버(8)는 상기 중앙 제어 수단(5)으로부터 입력된 직렬 데이터를 4비트 이상의 병렬 데이터로 출력하고 상기 중앙 제어 수단(5)으로부터 입력된 클럭(Clock) 신호에 따라 4비트 이상의 병렬 데이터를 병렬 데이터의 왼쪽이나 오른쪽으로 1비트씩 쉬프트(Shift)시키는 릴레이 제어용 쉬프트 레지스터(81)(Shift Register)와,
    입력단이 병렬 데이터를 출력하는 상기 릴레이 제어용 쉬프트 레지스터(81)의 출력 포트에 연결된 릴레이측 전류 제한용 저항(82),
    베이스(Base) 단자가 상기 릴레이측 전류 제한용 저항(82)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에미터(Emitter) 단자가 접지되며 컬렉터(Collector) 단자가 상기 릴레이(Relay)(6) 전원 코일의 출력단에 연결된 NPN 트랜지스터(83),
    및 일단이 상기 NPN 트랜지스터(83)의 베이스(Base) 단자에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된 풀다운(Pull-down) 저항(84)으로 이루어져,
    상기 릴레이측 전류 제한용 저항(82)으로 하이(High) 디지털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NPN 트랜지스터(83)가 턴 온(Turn-On)되면서 릴레이(Relay)(6) 전원 코일에 전류가 입력되고 상기 릴레이(6)는 스위치 온(On)되는 반면 상기 릴레이측 전류 제한용 저항(82)으로 로우(Low) 디지털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NPN 트랜지스터(83)가 턴 오프(Turn-Off)되면서 릴레이(6) 전원 코일을 흐르는 전류가 차단되고 상기 릴레이(6)는 스위치 오프(Off)되고,
    상기 파일럿 톤 신호 검출부(4)는 입력 단자가 상기 스피커(1)의 입력 선로에 연결되고 트랜스포머에 감긴 코일의 권선비에 따라 상기 스피커(1)의 보이스 코일로부터 피드백(FeedBack) 되어 돌아온 파일럿 톤 신호 전압을 소정 비율로 감압하여 출력하는 매칭 트랜스포머(41)(Matching Transformer)와;
    상기 매칭 트랜스포머(41)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증폭하며 증폭된 신호 중 파일럿 톤(Pilot Tone) 신호만을 걸러내고 걸러진 파일럿 톤 신호의 기준(Reference) 전압 레벨을 조정하는 신호 처리부(42)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앙 제어 수단(5)은 상기 신호 처리부(42)로부터 입력받은 파일럿 톤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Digital Data)로 변환한 다음, 상기 변환된 디지털 데이터를 파일럿 톤 신호의 전압으로 환산하며,
    상기 신호 처리부(42)는 상기 매칭 트랜스포머(41)로부터 출력된 전압을 소정 이득(Gain) 증폭하는 신호 증폭부(422)와,
    1개의 입력단이 상기 신호 증폭부(422)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2개 이상의 출력단을 구비하며 중앙 제어 수단(5)의 제어 신호에 따라 1개의 입력단과 연결된 스위치가 상기 2개 이상의 출력단 중 어느 1개의 출력단과 연결되는 입력측 먹스(423)(Mux),
    2개 이상의 입력단과 1개의 출력단을 구비하고 상기 중앙 제어 수단(5)의 제어 신호에 따라 1개의 출력단과 연결된 스위치가 2개 이상의 입력단 중 어느 1개의 입력단과 연결되는 출력측 먹스(Mux)(424),
    상기 입력측 먹스(423)에 갖추어진 2개 이상의 출력단 중 어느 1개의 출력단에 입력단이 연결되고 상기 출력측 먹스(424)에 갖추어진 2개 이상의 입력단 중 어느 1개의 입력단에 출력단이 연결되며 18Khz 내지 22Khz의 파일럿 신호를 통과시키는 광대역 밴드 패스 필터(425)(Band Pass Filter),
    상기 입력측 먹스(423)에 갖추어진 2개 이상의 출력단 중 어느 1개의 출력단에 입력단이 연결되고 상기 출력측 먹스(424)에 갖추어진 2개 이상의 입력단 중 어느 1개의 입력단에 출력단이 연결되며 18Khz 내지 22Khz의 주파수 범주안에 있는 주파수 대역의 파일럿 신호를 통과시키는 협대역 밴드 패스 필터(426)(Band Pass Filter),
    및 상기 출력측 먹스(424)로부터 출력되는 파일럿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해 상기 출력측 먹스(424)로부터 출력되는 파일럿 신호의 기준(Reference) 전압 레벨을 조정하는 기준 전압 레벨 조정부(42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선로 체크 기능을 이용한 안전한 비상 방송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제어 수단(5)의 제어 신호에 따라 스위치 온(On) 되거나 스위치 오프(Off) 되고, 스위치 온(On) 되었을 때 상기 파일럿 톤 신호 제공부(3)로부터 출력된 파일럿 톤(Pilot Tone) 신호를 스피커(1)의 입력 선로에 전달하는 반면, 스위치 오프(Off) 되었을 때 상기 파일럿 톤 신호 제공부(3)로부터 출력된 파일럿 톤 신호를 스피커(1)의 입력 선로에 전달하지 않는 파일럿 톤 스위칭(Pilot Tone Switching)부(9)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선로 체크 기능을 이용한 안전한 비상 방송 장치.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제어 수단(5)에는 상기 신호 처리부(42)의 주파수 통과 대역 폭을 설정하는 주파수 통과 대역폭 설정부(10)가 부가 장착되고,
    현재 스피커(1)의 보이스 코일이나 스피커(1)의 입력 선로가 쇼트(Short)되거나 단선된 스피커(1)의 채널 넘버(Number)를 표시하고 현재 방송이 송출되고 있는 스피커(1)(Speaker)의 채널 번호을 표시하며 현재 릴레이를 통해 스피커(1)와 연결된 앰프(2) 채널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Display)부(11)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1)는 상기 스피커(1) 채널별로 2개 이상씩 설치된 LED(12)와,
    상기 중앙 제어 수단(5)의 제어 신호에 따라 보이스 코일이나 스피커(1)의 입력 선로가 쇼트(Short)되거나 끊어진 스피커(1)의 채널과 맞대응되는 LED(12)를 점등시키거나 소등시키고 현재 방송이 송출 중인 스피커(1) 채널과 맞대응되는 LED(12)를 점등시키거나 소등시키는 LED 드라이버(13)(Driver),
    상기 스피커(1) 채널별로 1개씩 설치되고 현재 방송이 송출되고 있는 스피커(1)(Speaker)의 채널 번호을 표시하며 현재 릴레이를 통해 스피커(1)와 연결된 앰프(2) 채널을 표시하는 세븐 세그먼트(14)(7-Segment),
    및 상기 중앙 제어 수단(5)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세븐 세그먼트(14)를 구동시켜 상기 세븐 세그먼트(14)에 현재 방송이 송출되고 있는 스피커(1)(Speaker)의 채널 번호을 표시하고 현재 릴레이를 통해 스피커(1)와 연결된 앰프(2) 채널을 표시하는 세븐 세그먼트 드라이버(15)를 포함하며,
    상기 릴레이 그룹(7)에 갖추어진 릴레이(6)가 스위치 온(On)되어 앰프(2)를 통해 증폭된 사운드 신호가 스피커(1)를 통해 출력되면, 상기 사운드 신호를 음파로 내보내는 스피커(1)와 맞대응되는 세븐 세그먼트(14)가 반복적으로 점멸됨으로써 현재 방송이 송출되고 있는 스피커(1) 채널을 관리자에게 알리고,
    상기 LED 드라이버(13)는 상기 중앙 제어 수단(5)으로부터 입력된 직렬 데이터를 4비트 이상의 병렬 데이터로 출력하고 상기 중앙 제어 수단(5)으로부터 입력된 클럭(Clock) 신호에 따라 4비트 이상의 병렬 데이터를 병렬 데이터의 왼쪽이나 오른쪽으로 1비트씩 쉬프트(Shift)시키는 LED 제어용 쉬프트 레지스터(131)(Shift Register)와;
    캐소드(Cathode) 단자가 병렬 데이터를 출력하는 상기 LED 제어용 쉬프트 레지스터(131)의 출력 단자에 연결된 LED(12);
    입력단이 전원 연결되고 출력단이 상기 LED(12)의 애노드(Anode) 단자에 연결된 LED측 전류 제한용 저항(132);
    및 한쪽 전극이 상기 LED측 전류 제한용 저항(132)의 입력단에 연결되고 다른 한쪽 전극이 접지된 제2 노이즈 저감용 커패시터(1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선로 체크 기능을 이용한 안전한 비상 방송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 방송 장치(A)를 또 다른 장치와 구분하기 위하여 상기 비상 방송 장치(A)에 대한 고유 아이디(ID)를 상기 중앙 제어 수단(5)에 입력하는 고유 아이디 설정 모듈(16)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 제어 수단(5)에 스피커(1)와 연결되는 앰프(2) 채널을 변환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전송하거나 PC 또는 메인 장치에 스피커(1) 채널 별 스피커(1)의 보이스 코일이나 스피커(1)의 사운드 입력 선로에 대한 쇼트 또는 단선(Open)에 대한 점검 결과를 전송하는 통신 모듈(17)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스피커(1)와 연결된 앰프(2)(Amp) 회선을 변경하기 위하여 릴레이 그룹(7)에 갖추어진 2개 이상의 릴레이(Relay)를 선택적으로 스위칭(Switching)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중앙 제어 수단(5)에 전송하는 키(Key) 입력 모듈(18)을 더 포함하고,
    상기 중앙 제어 수단(5)은 상기 키 입력 모듈(18)로부터 입력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릴레이 드라이버(8)를 제어하여 릴레이 그룹(7)에 갖추어진 2개 이상의 릴레이(6)를 선택적으로 스위칭시키며,
    상기 스피커(1)의 보이스 코일이나 스피커(1)와 연결된 사운드 입력 선로가 쇼트(Short)되거나 단선되었을 경우 상기 중앙 제어 수단(5)의 제어 신호에 따라 경보 신호를 발생하는 부져(19)(Buzzer)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피커(1)의 보이스 코일이나 스피커(1)와 연결된 사운드 입력 선로가 쇼트되거나 단선 되었을 경우 상기 부져(19)(Buzzer)의 작동 여부를 상기 중앙 제어 수단(5)에 설정하는 부져(Buzzer) 작동 설정부(2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중앙 제어 수단(5)은 부져 작동 설정부(20)에 의해 부져(19)(Buzzer)가 작동 가능하게 설정되고,
    상기 스피커(1)의 보이스 코일이나 스피커(1)와 연결된 사운드 입력 선로가 쇼트되었을 경우 부져(19)를 울려 신속한 보수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중앙 제어 수단(5)에는 상기 앰프(2)를 제어하여 스피커(1) 볼륨(Volume)을 높이거나 낮추는 볼륨 제어 모듈(21)이 갖추어지며,
    상기 스피커(1)의 보이스 코일이나 스피커(1)와 연결된 사운드 입력 선로에 대한 쇼트(Short) 또는 단선(Open) 여부를 자동으로 체크(Check)할 때 자동 체크(Check)하는 시간 간격을 설정하는 타임 설정 모듈(22)이 부가 장착되고,
    상기 중앙 제어 수단(5)은 상기 볼륨 제어 모듈(21)로부터 입력된 제어 신호에 따라 앰프(2)(Amp)의 증폭 게인(Gain)을 조정하여 스피커(1) 볼륨을 높이거나 낮추고,
    상기 중앙 제어 수단(5)은 상기 타임 설정 모듈(22)에 설정된 시간 간격마다 상기 스피커(1)의 보이스 코일이나 스피커(1)와 연결된 사운드 입력 선로에 대한 쇼트 또는 단선 여부를 점검하며,
    상기 중앙 제어 수단(5)에는 스위치 온(On) 되었을 때 상기 중앙 제어 수단(5)에 스피커(1) 채널별로 스피커(1)의 보이스 코일이나 스피커(1) 입력 선로의 쇼트 또는 단선 여부를 1회 체크하도록 명령하는 수동 테스트 선택 버튼(25)과,
    스위치 온(On) 되었을 때 상기 중앙 제어 수단(5)에 스피커(1) 채널별로 스피커(1)의 보이스 코일이나 스피커(1) 입력 선로의 쇼트 또는 단선 여부를 일정 시간 마다 체크하도록 명령하는 자동 테스트 선택 버튼(26)이 부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선로 체크 기능을 이용한 안전한 비상 방송 장치.
KR1020190007982A 2019-01-22 2019-01-22 스피커 선로 체크 기능을 이용한 안전한 비상 방송 장치 KR1019721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7982A KR101972136B1 (ko) 2019-01-22 2019-01-22 스피커 선로 체크 기능을 이용한 안전한 비상 방송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7982A KR101972136B1 (ko) 2019-01-22 2019-01-22 스피커 선로 체크 기능을 이용한 안전한 비상 방송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2136B1 true KR101972136B1 (ko) 2019-04-24

Family

ID=66282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7982A KR101972136B1 (ko) 2019-01-22 2019-01-22 스피커 선로 체크 기능을 이용한 안전한 비상 방송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2136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0483B1 (ko) * 2019-06-13 2019-10-10 주식회사 에이엠피 통합 멀티미디어 비상 방송 시스템
KR102096091B1 (ko) * 2019-06-26 2020-04-01 주식회사 젠프로 진동 지진과 스피커 회선의 이상 자동감지 및 상시 비상 방송 가능 시스템
KR102103542B1 (ko) * 2019-08-01 2020-04-22 주식회사 젠프로 스피커 선로의 실시간 독립적 감시가 가능한 전관 방송 시스템
KR20200138499A (ko) * 2019-05-30 2020-12-10 최대종 스피커 라인체커 기능을 갖는 비상방송 시스템
KR102251782B1 (ko) * 2020-10-27 2021-05-13 (주)오투에이브이 비상방송 송출용 스마트 프로세서 장치 및 그 운용방법
KR102268600B1 (ko) * 2020-11-19 2021-06-24 (주)에스엔케이미디어 자가 진단이 가능한 방송 시스템
KR102368094B1 (ko) * 2020-08-27 2022-02-25 주식회사 원캐스트 방송 음향 설비의 스피커 회선을 이용한 상태 감시 시스템 및 상태 감시 방법
KR20220001483U (ko) * 2020-12-17 2022-06-24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오디오 방송설비 점검 스페셜 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0578B1 (ko) * 2007-10-11 2008-10-27 주식회사 케빅 스피커의 상태 감시가 가능한 전관방송 시스템
KR20090121827A (ko) * 2008-05-23 2009-11-26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스피커 자동고장진단시스템
KR101772819B1 (ko) 2016-08-11 2017-08-30 정호원 중앙집중 및 분산방식을 갖는 전관방송장비용 장애감지 및 차단 제어장치
KR101835365B1 (ko) 2016-12-22 2018-03-08 마이크로닉 시스템주식회사 스피커 자동점검 원격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41728B1 (ko) 2016-10-25 2018-03-26 김종운 화재감지 선로 이상 검출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0578B1 (ko) * 2007-10-11 2008-10-27 주식회사 케빅 스피커의 상태 감시가 가능한 전관방송 시스템
KR20090121827A (ko) * 2008-05-23 2009-11-26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스피커 자동고장진단시스템
KR101772819B1 (ko) 2016-08-11 2017-08-30 정호원 중앙집중 및 분산방식을 갖는 전관방송장비용 장애감지 및 차단 제어장치
KR101841728B1 (ko) 2016-10-25 2018-03-26 김종운 화재감지 선로 이상 검출장치
KR101835365B1 (ko) 2016-12-22 2018-03-08 마이크로닉 시스템주식회사 스피커 자동점검 원격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8499A (ko) * 2019-05-30 2020-12-10 최대종 스피커 라인체커 기능을 갖는 비상방송 시스템
KR102233485B1 (ko) 2019-05-30 2021-03-26 최대종 스피커 라인체커 기능을 갖는 비상방송 시스템
KR102030483B1 (ko) * 2019-06-13 2019-10-10 주식회사 에이엠피 통합 멀티미디어 비상 방송 시스템
KR102096091B1 (ko) * 2019-06-26 2020-04-01 주식회사 젠프로 진동 지진과 스피커 회선의 이상 자동감지 및 상시 비상 방송 가능 시스템
KR102103542B1 (ko) * 2019-08-01 2020-04-22 주식회사 젠프로 스피커 선로의 실시간 독립적 감시가 가능한 전관 방송 시스템
KR102368094B1 (ko) * 2020-08-27 2022-02-25 주식회사 원캐스트 방송 음향 설비의 스피커 회선을 이용한 상태 감시 시스템 및 상태 감시 방법
KR102251782B1 (ko) * 2020-10-27 2021-05-13 (주)오투에이브이 비상방송 송출용 스마트 프로세서 장치 및 그 운용방법
KR102268600B1 (ko) * 2020-11-19 2021-06-24 (주)에스엔케이미디어 자가 진단이 가능한 방송 시스템
KR20220001483U (ko) * 2020-12-17 2022-06-24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오디오 방송설비 점검 스페셜 툴
KR200495945Y1 (ko) * 2020-12-17 2022-09-27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오디오 방송설비 점검 스페셜 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2136B1 (ko) 스피커 선로 체크 기능을 이용한 안전한 비상 방송 장치
KR101772819B1 (ko) 중앙집중 및 분산방식을 갖는 전관방송장비용 장애감지 및 차단 제어장치
US4107464A (en) Alarm communications system
KR101841727B1 (ko) 소방중계기방송장치 선로의 단락검사에 따른 운영시스템 및 운영방법
KR100587966B1 (ko) 중앙관제 방식의 파워앰프장치
KR101948753B1 (ko) 스피커 선로 단락시 앰프 보호회로
KR102044119B1 (ko) 전관방송 시스템의 스피커 선로 장애 감지 장치 및 방법
US3656158A (en) Integrated fully supervised fire alarm system
US20060182288A1 (en) Addressable zone relay method and apparatus
KR101946964B1 (ko) 실시간 pc 자가 진단을 이용한 방송의 상태 및 고장 유무의 판단이 가능한 방송 시스템
KR102048266B1 (ko) 스피커 선로의 단락 검출 장치
US3930246A (en) Electrical alarm system
JP6495515B1 (ja) 音声報知装置
KR102103542B1 (ko) 스피커 선로의 실시간 독립적 감시가 가능한 전관 방송 시스템
KR102004451B1 (ko) 전관 방송용 앰프의 다회선 스피커 선로 단락 검출 및 제어 시스템
CN108347288B (zh) 一种灾害预警广播的故障检测方法及检测系统
KR102502921B1 (ko) 스피커 및 방송라인 테스터장치
JPH04295991A (ja) 火災感知ユニ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火災警報システム
KR102145771B1 (ko) 실시간 라인점검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US20150365774A1 (en) Self diagnostic speaker load impedance testing system
CN210168210U (zh) 广播系统和应用于广播系统的扬声器系统
KR102078661B1 (ko) 앰프 보호 기능을 구비한 스피커 분배 장치
KR20200129975A (ko) 선로 단락 단선 보호기능 통합관리 iot 전관방송시스템
JP2017004451A (ja) 火災受信機
US4703312A (en) Voice-override alarm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