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8600B1 - 자가 진단이 가능한 방송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가 진단이 가능한 방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8600B1
KR102268600B1 KR1020200155660A KR20200155660A KR102268600B1 KR 102268600 B1 KR102268600 B1 KR 102268600B1 KR 1020200155660 A KR1020200155660 A KR 1020200155660A KR 20200155660 A KR20200155660 A KR 20200155660A KR 102268600 B1 KR102268600 B1 KR 1022686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ignal
power
control unit
monit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5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묵
Original Assignee
(주)에스엔케이미디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엔케이미디어 filed Critical (주)에스엔케이미디어
Priority to KR10202001556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86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86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86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12Arrangements for observation, testing or troubleshoo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52Testing for short-circuits, leakage current or ground faul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58Testing of lines, cables or conduc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44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 H04H20/4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H04H20/95
    • H04H20/47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H04H20/95 specially adapted for stereophonic broadcast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40/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broadcast information
    • H04H40/18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자가 진단이 가능한 방송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자가 진단이 가능한 방송 시스템은 오디오 신호를 입력하는 신호 입력부; 신호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믹싱하는 신호 처리부; 신호 처리부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는 신호 증폭부; 신호 증폭부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복수 개의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스피커로 전달하고, 스피커로의 선로를 모니터링하는 방송회선 제어부; 신호 증폭부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신호와 신호 증폭부로부터 출력된 오디오 신호를 이용하여 신호 처리부와 신호 증폭부 각각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 신호 입력부, 신호 처리부, 신호 증폭부, 방송회선 제어부, 모니터링부 및 메인 제어부 각각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분배부; 및 기 설정된 시나리오에 따라 신호 처리부와 신호 증폭부, 방송회선 제어부, 모니터링부 및 전원 분배부 각각의 전원 상태와 통신 상태, 오디오 신호 상태 및 스피커 선로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적으로 모니터링하는 메인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가 진단이 가능한 방송 시스템{BROADCASTING SYSTEM CAPABLE OF SELF DIAGNOSIS}
본 발명은 자가 진단이 가능한 방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방송 시스템 내 각 장비의 전원상태와 통신상태, 오디오 신호 흐름 및 스피커 선로 상태를 기 설정된 시나리오에 따라 자가 진단하는, 자가 진단이 가능한 방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단지, 학교, 관공서, 대형빌딩, 항만, 공항, 쇼핑몰 등에 설치된 방송 시스템(Public Address System)은 여러 개의 스피커를 중앙 시스템에서 제어한다.
방송을 위해서는 지역/지점별로 스피커로 연결되어 전원 및 음성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케이블이 포설되고, 중앙 시스템에서 방송을 위한 음원을 입력하는 장비와 이를 각 지역별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기 위한 앰프(AMP) 등 다양한 전자 장비가 장비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방송 시스템에 다양한 장비가 구비됨에 따라 이러한 다수의 장비들의 고장 진단, 유지, 보수 등을 효율적으로 관리하여야 하는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407284호(2014.06.09) 의 '이상 진단 및 채널 자동전환 기능을 갖는 방송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송 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목적은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방송 시스템 내 각 장비의 전원상태와 통신상태, 오디오 신호 흐름 및 스피커 선로 상태를 기 설정된 시나리오에 따라 자가 진단하는, 자가 진단이 가능한 방송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자가 진단이 가능한 방송 시스템은 오디오 신호를 입력하는 신호 입력부; 상기 신호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믹싱하는 신호 처리부; 상기 신호 처리부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는 신호 증폭부; 상기 신호 증폭부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복수 개의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스피커로 전달하고, 상기 스피커로의 스피커 선로를 모니터링하는 방송회선 제어부; 상기 신호 증폭부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신호와 상기 신호 증폭부로부터 출력된 오디오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신호 처리부와 상기 신호 증폭부 각각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 상기 신호 입력부, 상기 신호 처리부, 상기 신호 증폭부, 상기 방송회선 제어부, 상기 모니터링부 및 상기 메인 제어부 각각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분배부; 및 기 설정된 시나리오에 따라 상기 신호 처리부와 상기 신호 증폭부, 상기 방송회선 제어부, 상기 모니터링부 및 상기 전원 분배부 각각의 전원 상태와 통신 상태, 오디오 신호 상태 및 스피커 선로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적으로 모니터링하는 메인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신호 입력부는 상기 신호 처리부에 사람이 들을 수 없는 주파수 대역의 오디오 신호와 사람이 들을 수 있는 주파수 대역의 오디오 신호를 선택적으로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신호 처리부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신호의 신호 레벨을 기 설정된 기준 레벨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신호 처리부의 정상 동작 여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신호 처리부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상기 신호 증폭부에 현재 설정된 볼륨 레벨과 동일한 볼륨 레벨으로 증폭시켜 기준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기준 오디오 신호와 상기 신호 증폭부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정한 후, 판정 결과에 따라 상기 신호 증폭부의 정상 동작 여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방송회선 제어부는 상기 신호 증폭부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상기 스피커로 출력하는 방송 상태에서의 상기 스피커의 임피던스, 및 상기 신호 증폭부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상기 스피커로 출력하지 않는 방송 오프 상태에서의 상기 스피커의 임피던스 각각을 토대로 상기 스피커 선로의 단선 또는 단락을 모니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전원 분배부의 전원 연결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전원 분배부는 상기 신호 입력부, 상기 신호 처리부, 상기 신호 증폭부, 상기 방송회선 제어부, 상기 모니터링부 및 상기 메인 제어부 각각의 상시 동작 여부에 따라 상시 전원과 스위치 전원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전원 분배부를 통해 상기 신호 입력부, 상기 신호 처리부, 상기 신호 증폭부, 상기 방송회선 제어부 및 상기 모니터링부 각각에 전원을 공급한 후, 상기 신호 입력부, 상기 신호 처리부, 상기 신호 증폭부, 상기 방송회선 제어부 및 상기 모니터링부 각각으로부터 전압 정보를 전달받아 전원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전원 분배부를 통해 상기 신호 처리부, 상기 신호 증폭부, 상기 방송회선 제어부 각각에 전원을 공급한 후, 상기 신호 처리부, 상기 신호 증폭부 및 상기 방송회선 제어부와 통신 연결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신호 처리부, 상기 신호 증폭부 및 상기 방송회선 제어부 순서로 통신 연결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신호 입력부, 상기 신호 처리부, 상기 신호 증폭부, 상기 방송회선 제어부, 및 상기 모니터링부 각각에 설치되어 현재 동작 여부에 따라 상기 전원 분배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전원 제어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전원 제어 모듈은 상기 전원 분배부로부터 상기 신호 입력부, 상기 신호 처리부, 상기 신호 증폭부, 상기 방송회선 제어부, 및 상기 모니터링부 각각의 동작 회로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전원 제어 스위치; 및 상기 현재 동작 여부에 따라 상기 전원 제어 스위치를 제어하는 전원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자가 진단이 가능한 방송 시스템은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방송 시스템 내 각 장비의 전원상태와 통신상태, 오디오 신호 흐름 및 스피커 선로 상태를 기 설정된 시나리오에 따라 자가 진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자가 진단이 가능한 방송 시스템은 방송 시스템에 대한 자가 진단 결과를 관리자에게 출력하여 관리자가 방송 시스템 내 각 장비의 동작 상태를 손쉽게 인지하고 대처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 진단이 가능한 방송 시스템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분배부의 출력 전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시 전원과 스위치 전원을 각각 입력받는 장비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제어 모듈의 블럭 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 진단이 가능한 방송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이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 진단이 가능한 방송 시스템의 블럭 구성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분배부의 출력 전원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시 전원과 스위치 전원을 각각 입력받는 장비들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제어 모듈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4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 진단이 가능한 방송 시스템은 신호 입력부(10), 신호 처리부(20), 신호 증폭부(30), 방송회선 제어부(40), 스피커 출력부(50), 전원 분배부(60), 모니터링부(70), 메인 제어부(80), 및 전원 제어 모듈(90)을 포함한다.
신호 입력부(10)는 오디오 신호를 신호 처리부(20)에 입력한다. 신호 입력부(10)는 다양한 음원이 채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음원으로는 마이크, CD(Compact Disk)/USB(Universal Serial Bus) 또는 시보기 등이 채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신호 입력부(10)는 메인 제어부(80)의 제어신호에 따라 사람이 들을 수 없는 주파수 대역의 오디오 신호와 사람이 들을 수 있는 주파수 대역의 오디오 신호를 선택적으로 입력한다. 사람이 들을 수 없는 주파수 대역의 오디오 신호와 사람이 들을 수 있는 주파수 대역의 오디오 신호는 자가 진단에 모두 이용될 수 있다.
즉, 신호 입력부(10)는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로 출력하는 방송 상태에서는 사람이 들을 수 있는 주파수 대역의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고, 방송 시스템에 대한 자가 진단시에는 사람이 들을 수 없는 주파수 대역의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사람이 들을 수 없는 주파수 대역의 오디오 신호는 신호 입력부(10)에서도 입력될 수 있으나, 후술하는 신호 처리부(20)에서도 입력될 수 있다.
한편, 자가 진단은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방송 상태에서도 수행될 수 있다.
신호 처리부(20)는 신호 입력부(10)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믹싱하고 방송 시스템의 운영한다. 신호 처리부(20)는 내부에 오디오 믹서(Audio Mixer) 및 운영관리 PC(Personal Computer)를 포함한다.
운영관리 PC는 관리자의 제어명령에 따라 방송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를 위해 운영관리 PC는 관리자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로 출력하기 위한 각종 제어 명령을 입력받는다.
제어 명령으로는 방송 시스템의 온/오프 명령, 볼륨 조절 명령, 음원 선택 명령, 메뉴 설정 명령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디오 믹서는 신호 입력부(10)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믹싱하여 모니터링부(70)에 입력한다. 오디오 믹서는 오디오 신호를 믹싱하는 장비이며, 믹싱 콘솔(Mixing Console), 믹싱 데스크(Mixing Desk), 사운드 보드(Sound Board)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오디오 믹서는 오디오 신호의 세기, 음색, 서라운드 이미지 등을 제어할 수 있는데, 혼합된 오디오 신호를 생성한다.
오디오 믹서는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으로 본 명세서에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는 신호 처리부(20) 내부에 운영관리 PC와 오디오 믹서가 구비되는 것을 예시로 설명하였으나, 운영관리 PC와 오디오 믹서는 독립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신호 증폭부(30)는 모니터링부(70)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증폭시켜 모니터링부(70)에 전달한다. 신호 증폭부(30)는 복수 개의 파워 앰프(파워 앰프1~파워 앰프N)를 구비할 수 있다. 파워 앰프는 각 채널별로 구비될 수 있으며, 각 채널의 오디오 신호를 증폭시켜 모니터링부(70)에 전달한다.
방송회선 제어부(40)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고자 하는 스피커를 선택하고, 선택된 스피커로 모니터링부(70)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 선로를 통해 전달한다. 이를 위해 방송회선 제어부(40)는 복수 개의 스피커 셀렉터(스피커 셀렉터1~스피커 셀렉터N)를 구비할 수 있다. 이들 스피커 셀렉터는 각 채널별로 구비될 수 있으며, 각각의 스피커 셀렉터는 각 채널의 오디오 신호를 해당 스피커에 전달한다.
또한, 방송회선 제어부(40)는 각 스피커 선로를 모니터링하여 모니터링 결과를 메인 제어부(80)에 전달한다. 스피커 선로는 스피커 셀렉터와 스피커 사이에 연결되며, 스피커 셀렉터로부터 출력된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로 전달한다.
이 경우, 방송회선 제어부(40)는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로 출력하는 방송 상태에서 스피커의 임피던스를 측정하거나,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로 출력하지 않는 방송 오프 상태에서 스피커의 임피던스를 측정함으로써, 스피커 선로의 단선 또는 단락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일 예로, 방송회선 제어부(40)는 스피커 선로에 대해서는 방송이 오프 상태에서와 방송이 온 상태일 경우 스피커의 임피던스 값을 측정하는데, 방송 오프 상태에서는 메인 제어부(80)의 제어신호에 따라 신호 입력부(10)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여 스피커의 임피던스를 측정하고, 방송 온 상태에서는 현재 방송 중인 오디오 신호를 이용하여 스피커 선로의 임피던스를 측정한 후, 이 임피던스를 이용하여 스피커 선로의 단락과 단선을 검출한다.
이때, 방송회선 제어부(40)는 각각의 채널별로 스피커 선로의 단락 및 단선을 검출할 수 있다. 즉, 다수 개의 스피커 선로가 각 채널별로 구비되는 바, 방송회선 제어부(40)의 각 스피커 셀렉터는 스피커 선로별로 단락 및 단선을 검출하고, 각 스피커 선로별 모니터링 결과를 메인 제어부(80)에 전달한다.
스피커 출력부(50)는 방송회선 제어부(40)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스피커 출력부(50)는 복수 개의 스피커(스피커1~스피커N)를 구비할 수 있다. 이들 스피커는 각 채널별로 구비될 수 있으며, 각각의 스피커는 해당 스피커 셀럭터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모니터링부(70)는 신호 증폭부(30)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신호와 신호 증폭부(30)로부터 출력된 오디오 신호를 이용하여 신호 처리부(20)와 신호 증폭부(30) 각각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한다.
먼저, 모니터링부(70)는 신호 증폭부(30)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는다. 이때, 모니터링부(70)는 신호 처리부(20)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신호의 신호 레벨을 기 설정된 기준 레벨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신호 처리부(20)의 정상 동작 여부를 판정한다.
기준 레벨은 오디오 믹서에 의해 믹싱된 오디오 신호가 정상적인 오디오 신호인지를 판정하기 위해 사전에 설정된 오디오 신호의 레벨이다. 따라서, 모니터링부(70)는 신호 처리부(20)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신호의 레벨이 기준 레벨 미만이면 오디오 신호 상태를 불량으로 판정하고, 판정 결과를 메인 제어부(80)에 전달한다.
또한, 모니터링부(70)는 각 채널별로 신호 증폭부(30)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기 설정된 기준 오디오 신호와 비교하여 신호 증폭부(30)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한다.
즉, 모니터링부(70)는 신호 처리부(20)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현재 신호 증폭부(30)에 설정된 볼륨 레벨과 동일한 볼륨 레벨으로 증폭시켜 기준 오디오 신호를 생성한다.
이어 모니터링부(70)는 기준 오디오 신호와 신호 증폭부(30)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정한다. 모니터링부(70)는 기준 오디오 신호와 신호 증폭부(30)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신호가 일치하면 신호 증폭부(30)를 정상으로 판정하고, 일치하지 않으면 신호 증폭부(30)를 비정상으로 판정한다.
이와 같이, 모니터링부(70)는 신호 처리부(20)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신호가 신호 증폭부(30)에 의해 그 볼륨 레벨에 따라 정확하게 증폭되는지를 판정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메인 제어부(80)는 볼륨 레벨을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는데, 신호 처리부(20)로부터 오디오 신호 입력시 실시간으로 증감시킬 수 있으며, 볼륨 레벨별로 신호 증폭부(30)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한편, 메인 제어부(80)는 신호 증폭부(30)에 대한 모니터링시에는 스피커 선로를 오프시킨다.
전원 분배부(60)는 신호 입력부(10), 신호 처리부(20), 신호 증폭부(30), 방송회선 제어부(40), 모니터링부(70) 및 메인 제어부(80) 각각에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은 상시 전원과 스위치 전원으로 구분된다. 상시 전원과 스위치 전원 각각은 DC 전원과 AC 전원이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상시 전원은 해당 장비의 동작 여부와 무관하게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전원이며, 스위치 전원은 해당 장비의 동작 여부에 따라 온이나 오프되는 전원이다.
상시 전원은 전원 분배부(60)와 메인 제어부(80)에 공급되며, 스위치 전원은 신호 입력부(10), 신호 처리부(20), 신호 증폭부(30), 방송회선 제어부(40) 및 모니터링부(70)에 공급된다.
전원 분배부(60)는 상시 동작 여부에 따라 상시 전원과 스위치 전원을 신호 입력부(10), 신호 처리부(20), 신호 증폭부(30), 방송회선 제어부(40), 모니터링부(70) 및 메인 제어부(80)에 공급한다.
즉, 전원 분배부(60)는 상시 전원을 공급받아 메인 제어부(80)에 상시 전원을 공급하고, 신호 입력부(10), 신호 처리부(20), 신호 증폭부(30), 방송회선 제어부(40) 및 모니터링부(70)에는 스위치 전원을 공급한다.
이와 같이, 신호 입력부(10), 신호 처리부(20), 신호 증폭부(30), 방송회선 제어부(40) 및 모니터링부(70)의 미동작시에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메인 제어부(80)는 전원 분배부(60)를 통해 신호 입력부(10), 신호 처리부(20), 신호 증폭부(30), 방송회선 제어부(40) 및 모니터링부(70) 각각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어 메인 제어부(80)는 신호 입력부(10), 신호 처리부(20), 신호 증폭부(30), 방송회선 제어부(40) 및 모니터링부(70) 각각에 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되는지에 대한 응답을 요청한다. 이러한 응답 요청에 따라, 신호 입력부(10), 신호 처리부(20), 신호 증폭부(30), 방송회선 제어부(40) 및 모니터링부(70) 각각은 전원 분배부(60)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에 대한 전압 정보를 메인 제어부(80)에 전달한다. 이에 따라 메인 제어부(80)는 신호 입력부(10), 신호 처리부(20), 신호 증폭부(30), 방송회선 제어부(40) 및 모니터링부(70) 각각으로부터 전달된 전압 정보에 따라 신호 입력부(10), 신호 처리부(20), 신호 증폭부(30), 방송회선 제어부(40) 및 모니터링부(70) 각각의 전원 상태를 모니터링하게 된다.
또한, 메인 제어부(80)는 전원 분배부(60)를 통해 신호 입력부(10), 신호 처리부(20), 신호 증폭부(30), 방송회선 제어부(40) 및 모니터링부(70) 각각에 전원을 공급하고, 신호 입력부(10), 신호 처리부(20), 신호 증폭부(30), 방송회선 제어부(40) 및 모니터링부(70)와의 통신 연결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 경우, 메인 제어부(8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신호 입력부(10), 신호 처리부(20), 신호 증폭부(30), 방송회선 제어부(40) 및 모니터링부(70) 각각으로부터 전압 정보가 전달되는지를 토대로 이들 장비와의 통신 연결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으나, 신호 입력부(10), 신호 처리부(20), 신호 증폭부(30), 방송회선 제어부(40) 및 모니터링부(70)와 주기적으로 동작 상태 확인을 위한 메시지 통신을 수행하여 이들 각각에 대한 통신 연결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와 함께, 메인 제어부(80)는 상기한 메시지 통신을 통해 신호 입력부(10), 신호 처리부(20), 신호 증폭부(30), 방송회선 제어부(40) 및 모니터링부(70) 각각의 정상 동작 여부도 확인할 수 있다.
메인 제어부(80)는 신호 처리부(20)와 신호 증폭부(30) 및 방송회선 제어부(40)의 순서로 통신 연결 상태를 모니터링하며, 이러한 모니터링 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메인 제어부(80)는 기 설정된 시나리오에 따라 신호 처리부(20)와 신호 증폭부(30), 방송회선 제어부(40), 모니터링부(70) 및 전원 분배부(60) 각각의 전원 상태와 통신 상태, 오디오 신호 상태 및 스피커 선로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결과를 출력한다. 이 경우, 메인 제어부(80)는 상기한 모니터링 결과를 관리자 단말이나 운영관리 PC의 모니터 등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시나리오는 신호 처리부(20)와 신호 증폭부(30), 방송회선 제어부(40), 모니터링부(70) 및 전원 분배부(60) 각각의 전원 상태와 통신 상태, 오디오 신호 상태 및 스피커 선로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사전에 설정된다. 메인 제어부(80)는 이 시나리오에 따라 상기한 신호 처리부(20)와 신호 증폭부(30), 방송회선 제어부(40), 모니터링부(70) 및 전원 분배부(60) 각각을 제어하여 진단을 수행한다.
한편, 전원 제어 모듈(90)은 신호 처리부(20)와 신호 증폭부(30), 방송회선 제어부(40) 및 모니터링부(70) 각각에 설치되어 현재 동작 여부에 따라 전원 분배부(6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선택적으로 차단한다.
즉, 전원 제어 모듈(90)은 신호 처리부(20)와 신호 증폭부(30), 방송회선 제어부(40) 및 모니터링부(70) 각각에 현재 전원이 공급되더라도, 현재 동작 중이 아니라면 전원 공급을 차단한다.
전원 제어 모듈(90)은 전원 제어 스위치(92) 및 전원 제어부(91)를 포함한다.
전원 제어 스위치(92)는 전원 분배부(60)로부터 신호 입력부(10), 신호 처리부(20), 신호 증폭부(30), 방송회선 제어부(40), 및 모니터링부(70) 각각의 동작 회로(10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한다.
여기서, 동작 회로(100)는 신호 입력부(10), 신호 처리부(20), 신호 증폭부(30), 방송회선 제어부(40), 및 모니터링부(70) 각각에 설치되어, 각기 고유한 동작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즉, 신호 입력부(10)에 설치된 동작 회로(100)는 오디오 신호를 입력하고, 신호 처리부(20)에 설치된 동작 회로(100)는 오디오 신호를 믹싱하며, 방송회선 제어부(40)에 설치된 동작 회로(100)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고자 하는 스피커를 선택하여 해당 스피커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며, 모니터링부(70)의 동작 회로(100)는 신호 처리부(20)와 신호 증폭부(30) 각각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한다.
전원 제어부(91)는 현재 동작 여부에 따라 전원 제어 스위치(92)를 제어하여 전원 분배부(60)로부터 동작 회로(10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한다. 즉, 메인 제어부(80)는 신호 입력부(10), 신호 처리부(20), 신호 증폭부(30), 방송회선 제어부(40), 및 모니터링부(70) 각각의 동작 여부를 판단한다.
이 경우, 메인 제어부(80)는 신호 입력부(10), 신호 처리부(20), 신호 증폭부(30), 방송회선 제어부(40), 및 모니터링부(70) 중 현재 동작 중인 장비에 대해서는 해당 전원 제어부(91)를 제어하여 전원 제어 스위치(92)를 턴온시킴으로써 해당 장비의 동작 회로(100)에 전원을 공급한다.
반면에, 메인 제어부(80)는 신호 입력부(10), 신호 처리부(20), 신호 증폭부(30), 방송회선 제어부(40), 및 모니터링부(70) 중 현재 동작 중이지 않은 장비에 대해서는 해당 전원 제어부(91)를 제어하여 전원 제어 스위치(92)를 턴오프시킴으로써 해당 동작 회로(100)에 전원을 공급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 진단이 가능한 방송 시스템은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방송 시스템 내 각 장비의 전원상태와 통신상태, 오디오 신호 흐름 및 스피커 선로 상태를 기 설정된 시나리오에 따라 자가 진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 진단이 가능한 방송 시스템은 방송 시스템에 대한 자가 진단 결과를 관리자에게 출력하여 관리자가 방송 시스템 내 각 장비의 동작 상태를 손쉽게 인지하고 대처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현은, 예컨대, 방법 또는 프로세스, 장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데이터 스트림 또는 신호로 구현될 수 있다. 단일 형태의 구현의 맥락에서만 논의(예컨대, 방법으로서만 논의)되었더라도, 논의된 특징의 구현은 또한 다른 형태(예컨대, 장치 또는 프로그램)로도 구현될 수 있다. 장치는 적절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방법은, 예컨대, 컴퓨터, 마이크로프로세서, 집적 회로 또는 프로그래밍가능한 로직 디바이스 등을 포함하는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일반적으로 지칭하는 프로세서 등과 같은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최종-사용자 사이에 정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컴퓨터, 셀 폰, 휴대용/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및 다른 디바이스 등과 같은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할 것이다.
10: 신호 입력부 20: 신호 처리부
30: 신호 증폭부 40: 방송회선 제어부
50: 스피커 출력부 60: 전원 분배부
70: 모니터링부 80: 메인 제어부
90: 전원 제어 모듈 91: 전원 제어부
92: 전원 제어 스위치 100: 동작 회로

Claims (12)

  1. 오디오 신호를 입력하는 신호 입력부;
    상기 신호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믹싱하는 신호 처리부;
    상기 신호 처리부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는 신호 증폭부;
    상기 신호 증폭부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복수 개의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스피커로 전달하고, 상기 스피커로의 스피커 선로를 모니터링하는 방송회선 제어부;
    상기 신호 증폭부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신호와 상기 신호 증폭부로부터 출력된 오디오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신호 처리부와 상기 신호 증폭부 각각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
    상기 신호 입력부, 상기 신호 처리부, 상기 신호 증폭부, 상기 방송회선 제어부, 상기 모니터링부 각각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분배부; 및
    기 설정된 시나리오에 따라 상기 신호 처리부와 상기 신호 증폭부, 상기 방송회선 제어부, 상기 모니터링부 및 상기 전원 분배부 각각의 전원 상태와 통신 상태, 오디오 신호 상태 및 스피커 선로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적으로 모니터링하는 메인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신호 처리부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상기 신호 증폭부에 현재 설정된 볼륨 레벨과 동일한 볼륨 레벨으로 증폭시켜 기준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기준 오디오 신호와 상기 신호 증폭부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정한 후, 판정 결과에 따라 상기 신호 증폭부의 정상 동작 여부를 판정하며,
    상기 신호 입력부, 상기 신호 처리부, 상기 신호 증폭부, 상기 방송회선 제어부, 및 상기 모니터링부 각각에 설치되어 현재 동작 여부에 따라 상기 전원 분배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전원 제어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 제어 모듈은 상기 전원 분배부로부터 상기 신호 입력부, 상기 신호 처리부, 상기 신호 증폭부, 상기 방송회선 제어부, 및 상기 모니터링부 각각의 동작 회로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전원 제어 스위치; 및 상기 현재 동작 여부에 따라 상기 전원 제어 스위치를 제어하는 전원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진단이 가능한 방송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입력부는
    상기 신호 처리부에 사람이 들을 수 없는 주파수 대역의 오디오 신호와 사람이 들을 수 있는 주파수 대역의 오디오 신호를 선택적으로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진단이 가능한 방송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신호 처리부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신호의 신호 레벨을 기 설정된 기준 레벨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신호 처리부의 정상 동작 여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진단이 가능한 방송 시스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회선 제어부는
    상기 신호 증폭부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상기 스피커로 출력하는 방송 상태에서의 상기 스피커의 임피던스, 및 상기 신호 증폭부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상기 스피커로 출력하지 않는 방송 오프 상태에서의 상기 스피커의 임피던스 각각을 토대로 상기 스피커 선로의 단선 또는 단락을 모니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진단이 가능한 방송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전원 분배부의 전원 연결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진단이 가능한 방송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분배부는
    상기 신호 입력부, 상기 신호 처리부, 상기 신호 증폭부, 상기 방송회선 제어부, 상기 모니터링부 및 상기 메인 제어부 각각의 상시 동작 여부에 따라 상시 전원과 스위치 전원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진단이 가능한 방송 시스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전원 분배부를 통해 상기 신호 입력부, 상기 신호 처리부, 상기 신호 증폭부, 상기 방송회선 제어부 및 상기 모니터링부 각각에 전원을 공급한 후, 상기 신호 입력부, 상기 신호 처리부, 상기 신호 증폭부, 상기 방송회선 제어부 및 상기 모니터링부 각각으로부터 전압 정보를 전달받아 전원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진단이 가능한 방송 시스템.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전원 분배부를 통해 상기 신호 처리부, 상기 신호 증폭부, 상기 방송회선 제어부 각각에 전원을 공급한 후, 상기 신호 처리부, 상기 신호 증폭부 및 상기 방송회선 제어부와 통신 연결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진단이 가능한 방송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신호 처리부, 상기 신호 증폭부 및 상기 방송회선 제어부 순서로 통신 연결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진단이 가능한 방송 시스템.
  11. 삭제
  12. 삭제
KR1020200155660A 2020-11-19 2020-11-19 자가 진단이 가능한 방송 시스템 KR1022686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5660A KR102268600B1 (ko) 2020-11-19 2020-11-19 자가 진단이 가능한 방송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5660A KR102268600B1 (ko) 2020-11-19 2020-11-19 자가 진단이 가능한 방송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8600B1 true KR102268600B1 (ko) 2021-06-24

Family

ID=76607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5660A KR102268600B1 (ko) 2020-11-19 2020-11-19 자가 진단이 가능한 방송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86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0940A (ko) * 2022-01-17 2023-07-25 마이크로닉 시스템주식회사 방송 시스템의 소리 균질화 및 고장 진단을 위한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3244B1 (ko) * 2012-12-28 2013-08-09 주식회사 윈미디텍 소비전력 절감 전관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99368B1 (ko) * 2014-06-05 2016-03-03 주식회사 알에프컴 비상방송장치
KR20160063277A (ko) * 2014-11-26 2016-06-03 이근종 다중제어 음향시스템
KR101816689B1 (ko) * 2017-04-14 2018-01-11 동광전자 주식회사 원격 진단을 제공받거나 자가 진단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방송시스템
KR101972136B1 (ko) * 2019-01-22 2019-04-24 주식회사 에이엠피 스피커 선로 체크 기능을 이용한 안전한 비상 방송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3244B1 (ko) * 2012-12-28 2013-08-09 주식회사 윈미디텍 소비전력 절감 전관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99368B1 (ko) * 2014-06-05 2016-03-03 주식회사 알에프컴 비상방송장치
KR20160063277A (ko) * 2014-11-26 2016-06-03 이근종 다중제어 음향시스템
KR101816689B1 (ko) * 2017-04-14 2018-01-11 동광전자 주식회사 원격 진단을 제공받거나 자가 진단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방송시스템
KR101972136B1 (ko) * 2019-01-22 2019-04-24 주식회사 에이엠피 스피커 선로 체크 기능을 이용한 안전한 비상 방송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0940A (ko) * 2022-01-17 2023-07-25 마이크로닉 시스템주식회사 방송 시스템의 소리 균질화 및 고장 진단을 위한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KR102652021B1 (ko) * 2022-01-17 2024-03-29 박애영 방송 시스템의 소리 균질화 및 고장 진단을 위한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9799B1 (ko) 소비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송 시스템
US8599724B2 (en) Paging system
US20100305728A1 (en) Audio device
KR102268600B1 (ko) 자가 진단이 가능한 방송 시스템
JP2002345091A (ja) スピーカ故障検知装置及びスピーカ故障検知方法
JP2007037024A (ja) スピーカラインの検査装置
KR102183339B1 (ko) 장애진단을 통한 앰프와 스피커 보호용 스위칭 장치 및 그 방법
US8155350B2 (en) Amplifier controller
US20200413208A1 (en) Audio device, server, audio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audio device
KR102103542B1 (ko) 스피커 선로의 실시간 독립적 감시가 가능한 전관 방송 시스템
US11756542B2 (en) Audio signal processing method, audio signal processing system,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KR102245742B1 (ko) 실시간 오디오 앰프 디텍터 기술을 이용한 무중단 음향 장치
US8520864B2 (en) Projector and audio output method
KR101937304B1 (ko) 진단제어 및 원격운영 스마트 방송시스템
JP3684393B2 (ja) 放送装置における遠隔操作器用接続ラインの検査装置
KR200376855Y1 (ko) 음향장치 운영시스템
KR101866278B1 (ko) 다중제어 음향시스템
KR102047076B1 (ko) 다중제어 음향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2152257B1 (ko) 스마트폰 운영체제 기반의 전관방송 시스템용 멀티스피커 컨트롤러
JP7408955B2 (ja) 音信号処理方法、音信号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CN114630237B (zh) 音频设备及其控制方法和装置和电子设备
CN114095829B (zh) 具有hdmi接口的音响一体化的控制方法及控制装置
KR102089577B1 (ko) 파워 앰프 연계형 선로 오류 상태 검출 및 오류 차단 방법과 시스템
JP4667980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
KR20070067425A (ko) 오디오 출력 제어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