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7304B1 - 진단제어 및 원격운영 스마트 방송시스템 - Google Patents

진단제어 및 원격운영 스마트 방송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7304B1
KR101937304B1 KR1020180111395A KR20180111395A KR101937304B1 KR 101937304 B1 KR101937304 B1 KR 101937304B1 KR 1020180111395 A KR1020180111395 A KR 1020180111395A KR 20180111395 A KR20180111395 A KR 20180111395A KR 101937304 B1 KR101937304 B1 KR 1019373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aker
unit
network
amplifying
power ampl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1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명현
최성국
Original Assignee
최성국
주식회사 로보티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성국, 주식회사 로보티어 filed Critical 최성국
Priority to KR10201801113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73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73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73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12Arrangements for observation, testing or troubleshoo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44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 H04H20/4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H04H20/95
    • H04H20/47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H04H20/95 specially adapted for stereophonic broadcast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09Arrangements for device control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Arrangements for control of broadcast-related services
    • H04H60/14Arrangements for conditional access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related services
    • H04H60/23Arrangements for conditional access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related services using cryptography, e.g. encryption, authentication, key distribu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29Arrangements for monitoring broadcast services or broadcast-related services
    • H04H60/32Arrangements for monitoring conditions of receiving stations, e.g. malfunction or breakdown of receiving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진단제어 및 원격운영 스마트 방송시스템은, 인터넷망에 연결된 외부망과 물리적으로 분리된 내부망을 갖는 망분리체계에서 음성 및 음향 소스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의 출력 신호를 합성하고 증폭하는 합성부; 상기 합성부의 출력 신호를 파워앰프로 증폭하는 증폭부 및 상기 증폭부의 출력을 복수의 스피커로 분배하여 소리로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되, 펄스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출력부의 스피커 또는 스피커 케이블의 이상 여부를 검출하는 자가진단부와 이상 신호 검출시 파워앰프와 스피커를 제어하는 스피커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진단제어 및 원격운영 스마트 방송시스템{Public address system having smart diagnostic control and remote }
본 발명은 진단제어 및 원격운영 스마트 방송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피커를 자가진단하여 스위칭 제어함으로써 방송장비를 보호할 수 있고, 내부망과 외부망이 물리적으로 분리되었어도 원격으로 운영 및 유지보수가 가능한 스마트 방송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방송은 라디오나 텔레비전을 통하여 널리 듣고 볼 수 있도록 음성이나 영상을 전파로 내보내는 것이나 특정 지역을 대상으로 유선으로 행하는 것도 포함한다.
전관방송(PA: Public Address)은 학교, 관공서, 대형빌딩, 항만, 공항 등에 설치되는 방송시스템으로 평상시에 건물 내 안내방송, 음악방송, 라디오 방송 등의 구내 방송과 화재와 같은 긴급 상황 발생 시 화재수신반과 연동되어 피난 및 구조 방송의 역할을 수행한다.
전관방송 설비의 구성은 입력부, 제어부, 증폭부가 하나의 단일 시스템으로 한 장소에 구성되고, 출력부는 스피커로서 전관방송을 하고자 하는 건물의 각 장소에 설치된다.
출력부의 스피커 또는 스피커 케이블의 노후화, 공사나 설치류 동물 등에 의하여 단선이나 단락이 발생하면 증폭부 파워앰프의 부하 임피던스가 변하고 이로 인해 부정합이 발생하여 반사전력으로 인한 발진 등으로 고가의 파워앰프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국가, 지방자치단체, 학교 등은 보안을 위하여 내부망과 인터넷이 연결된 외부망은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거나 방화벽으로 차단되어 있어 내부망에 연결되어 있는 방송시스템은 외부에서 모니터링이나 제어를 할 수 없다.
또한, 학교나 관공서 등 전관방송의 관리자는 순환보직 형태로 업무를 담당하여 대부분 신규 임용자로 방송장비에 대한 전문성이 부족하여 운영이 미숙하고, 간단하게 해결할 수 있는 장애에도 A/S인력이 출동해야 하는 등 유지보수에 상당한 인력과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1. 한국등록특허 제10-078887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스피커를 자가진단하여 스위칭 제어하는 스마트 방송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망분리시스템에서 콜라보 서버를 사용하여 원격으로 모니터링하거나 제어할 수 있어, 방송에 대한 전문 지식이 없는 비전문가도 원격지에서 방송 전문가와 협업으로 운영하고 유지보수가 가능한 스마트 방송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진단제어 및 원격운영 스마트 방송시스템은, 인터넷망에 연결된 외부망과 물리적으로 분리된 내부망을 갖는 망분리체계에서 음성 및 음향 소스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의 출력 신호를 합성하고 증폭하는 합성부; 상기 합성부의 출력 신호를 파워앰프로 증폭하는 증폭부 및 상기 증폭부의 출력을 복수의 스피커로 분배하여 소리로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되, 펄스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출력부의 스피커 또는 스피커 케이블의 이상 여부를 검출하는 자가진단부와 이상 신호 검출시 파워앰프와 스피커를 제어하는 스피커 제어부를 포함하는 스피커 진단제어부가 특징이다.
상기 자가진단부는 펄스신호를 발생하는 펄스발생기; 스피커 케이블의 임피던스를 조정하는 조정부 및 스피커 또는 스피커 케이블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검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피커 제어부는 스위칭 제어기로 검출부의 이상신호가 단락 또는 단선인 경우 앰프와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합성부의 믹서는 고장이 발생하면 여분의 다른 믹서로 절환되도록 이중화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증폭부의 파워앰프는 고장이 발생하면 여분의 다른 파워앰프로 절환되도록 이중화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증폭부의 파워앰프는 상기 검출부에서 이상신호가 발생하면 off되도록 스위칭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정부는 정규화부에서 스피커 라인의 길이 또는 연결된 스피커의 수에 따라 조정된 임피던스로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외부망과 내부망의 연결은 2개의 메인보드를 가진 콜라보 서버를 사용하고, 인증된 디바이스의 동작에 의하여 운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콜라보 서버는 내부망에 연결된 제1 메인보드와 외부망에 연결된 제2 메인보드로 구성되고, 인증된 디바이스에 의하여 콜라보 프로그램이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증된 디바이스는 관리자 승인된 NFC 또는 USB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콜라보 서버를 통하여 외부망의 원격제어서버에서 내부망의 방송장비의 이상유무를 원격으로 모니터링 하여 유지보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콜라보 서버를 통하여 외부의 작업자와 내부의 작업자가 콘텐츠를 공유하며 양방향으로 협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출력부의 스피커 또는 스피커 케이블의 노후화, 공사나 설치류 동물 등에 의하여 케이블의 단선이나 단락이 발생하면 증폭부 파워앰프의 부하 임피던스가 변하고 이로 인해 부정합이 발생하여 반사전력으로 인한 발진 등으로 고가의 파워앰프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망분리시스템에서 원격으로 모니터링하거나 제어할 수 있어 A/S를 위한 인력이나 시간이 절약될 수 있고, 방송에 대한 전문 지식이 없는 비전문가도 원격지에서 방송 전문가와 협업으로 운영하고 유지보수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진단제어 및 원격운영 스마트 방송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진단제어부의 블록도이다.
도 3은 스피커 진단제어부 회로의 일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스피커 진단제어부의 전면패널이다.
도 5는 이중화 파워앰프의 구성도이다.
도 6은 콜라보 서버를 사용한 원격운영 스마트 방송시스템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진단제어 및 원격운영 스마트 방송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송장비의 구성은 입력부(10), 합성부(20), 증폭부(30), 출력부(40) 및 스피커 진단제어부(100)를 포함한다.
상기 입력부(10)는 마이크로로폰, CDP, 카세트데크, 라디오튜너 등 다양한 음향원(소스)이다.
상기 합성부(20, mixing console)는 각기 다른 출력 레벨을 지닌 음향 소스로부터 입력을 모아 적당한 신호로 합성하고 증폭하여 증폭부로 보낸다.
상기 증폭부(30)는 소리를 증폭시켜 스피커를 구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파워앰프로서 음량과 스피커 구동력을 결정하기 때문에 전력소모가 크고 가격이 고가이다.
상기 출력부(40)는 전기에너지를 음향에너지로 변환하는 스피커이다. 일반적으로 PA용 스피커는 500Ω ~ 2kΩ의 하이임피던스 스피커를 사용하고 병렬 연결하여 사용하므로 임피던스가 낮아지지만 증폭부의 출력임피던스와 정합이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증폭부의 파워앰프는 고출력을 내야 하기 때문에 출력 임피던스가 낮게 되며 부하(스피커)와 정합하기 위하여 정합부(matching network)가 사용된다.
PA에서 입력부, 합성부 및 증폭부는 방송실의 랙(rack) 등에 설치되어 한 곳에서 관리가 용이하나 출력부의 스피커는 떨어져 청중이 있는 장소에 설치된다. 예를 들면 학교에서는 방송실의 파워앰프로부터 케이블로 연결하여 각 교실로 분산되어 병렬로 설치된다.
출력부의 스피커 또는 스피커 케이블의 노후화 또는 공사 중에 잘못 건드리거나 설치류 동물들이 갉아 먹어 단선이나 단락이 발생하면 파워앰프의 부하 임피던스가 변하고 이로 인해 부정합이 발생하여 반사전력으로 인한 발진 등으로 고가의 파워앰프가 손상된다.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스피커 진단제어부(100)를 구비하여 고가의 파워앰프가 손상되기 전에, 스피커나 스피커 케이블선을 자가진단하고 에러가 발생한 스피커를 차단시킴으로써 파워앰프를 보호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다수의 스피커(41) 및 파워앰프(31)와 연결된 스피커 진단제어부(100)의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2의 스피커 진단제어부 회로의 일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진단제어 및 원격운영 스마트 방송시스템은, 인터넷망에 연결된 외부망과 물리적으로 분리된 내부망을 갖는 망분리체계에서 음성 및 음향 소스를 입력받는 입력부(10); 상기 입력부의 출력 신호를 합성하고 증폭하는 합성부(20); 상기 합성부의 출력 신호를 파워앰프로 증폭하는 증폭부(30) 및 상기 증폭부의 출력을 복수의 스피커로 분배하여 소리로 출력하는 출력부(40)를 포함하되, 펄스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출력부의 스피커 또는 스피커 케이블의 이상 여부를 검출하는 자가진단부와 이상 신호 검출시 파워앰프와 스피커를 제어하는 스피커 제어부를 포함하는 스피커 진단제어부(100)가 특징이다.
상기 자가진단부는 펄스신호를 발생하는 펄스발생기(110); 스피커 케이블의 임피던스를 조정하는 조정부(120) 및 스피커 또는 스피커 케이블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검출부(130)를 포함하여 스피커 또는 스피커 케이블의 이상 여부를 스피커 제어부로 전달한다. 상기 검출부는 펄스신호를 스피커 각 라인으로 보내 되돌아오는 신호의 전압이나 전류를 체크하여 임계값인 기준신호보다 작거나 크면 이상으로 판단한다.
상기 스피커 제어부는 검출부(130)의 이상신호가 단락 또는 단선인 경우 스위칭 제어기(150)로 파워앰프(31)와 스피커 케이블 사이를 차단한다. 단선인 경우에는 부하가 연결되지 않은 상태로 차단된 상태와 유사하나, 단락인 경우 과전류가 흘러 파워앰프가 손상될 수 있으므로 off 상태로 차단한다.
상기 자가진단부는 정규화부(140)를 더 포함하여 스피커 라인의 길이 또는 연결된 스피커의 수에 따라 임피던스를 정규화하여 조정부(120)에서 조정을 할 수 있다.
상기 스피커 제어부는 상태송출부(170)를 더 포함하여 디스플레이로 상태를 송출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4는 스피커 진단제어부의 전면패널을 보여주는 것으로 상기 상태송출부에서 송출한 신호에 따라 정상, 단락, 단선 등으로 표시하고 조정 노브로 임피턴스를 조정하고 수동으로 차단할 수 있는 스위치도 구비한다.
상기 합성부의 믹서는 여분의 믹서로 이중화하여 고장이 발생하면 여분의 다른 믹서로 절환할 수 있다.
상기 증폭부의 파워앰프도 여분의 파워앰프로 이중화하여 고장이 발생하면 여분의 다른 파워앰프로 절환할 수 있다. 도 5는 이중화 파워앰프의 구성도이다.
상기 스피커 제어부는 파워앰프와 스피커 사이를 차단할 수도 있고, 상기 검출부에서 이상신호가 발생하면 증폭부의 파워앰프(31)를 직접 off시켜 손상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원격운영을 위해서 콜라보(collabo) 서버(200)를 사용한다. 콜라보 서버는 2개의 메인보드를 구비한 서버로서, 인터넷으로 연결된 외부망과 방송장비가 있는 내부망이 연결되어 있으나 상호 연결되지는 않고 인증된 관리자만이 분리된 망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여 협업에 의해서 동작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콜라보 서버는 외부망에 연결된 메인보드(201)와 내부망에 연결된 메인보드(202)를 구비하여 인증된 디바이스나 관리자에 의하여 2개의 메인보드에 저장된 데이터를 복사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인증된 디바이스는 관리자에 의하여 승인된 NFC 또는 USB 등이 될 수 있으며 NFC의 접촉이나 USB의 접속으로 콜라보 프로그램이 동작하여 데이터를 복사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콜라보 서버를 통하여 외부망의 원격제어서버에서 내부망의 방송장비(1)의 이상유무를 원격으로 모니터링하여 유지보수할 수 있다. 내부망의 방송장비(1)의 이상 유무 등의 상태를 콜라보 서버를 통하여 스마트폰(400) 등으로 모니터링하고 방송장비(1)를 원격에서 제어 운영할 수 있다.
상기 콜라보 서버를 통하여 외부의 작업자(300)와 내부의 작업자(500)가 콘텐츠를 공유하며 양방향으로 협업할 수 있다.
10: 입력부 20: 합성부
30: 증폭부 40: 출력부
100: 스피커 진단제어부
150: 스피커 제어기
200: 콜라보 서버

Claims (12)

  1. 인터넷망에 연결된 외부망과 상기 외부망과 물리적으로 분리된 내부망을 갖는 진단제어 및 원격운영 방송시스템에 있어서,
    음성 및 음향 소스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의 출력 신호를 합성하고 증폭하는 합성부;
    상기 합성부의 출력 신호를 파워앰프로 증폭하는 증폭부 및
    상기 증폭부의 출력을 복수의 스피커로 분배하여 소리로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되,
    펄스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출력부의 스피커 또는 스피커 케이블의 이상 여부를 검출하는 자가진단부와 이상 신호 검출시 파워앰프와 스피커를 스위칭 제어하는 스피커 제어부를 포함한 스피커 진단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외부망과 내부망의 연결은 2개의 메인보드를 가진 콜라보 서버를 사용하여 각각 연결하고, 인증된 디바이스의 동작에 의하여 상기 콜라보 서버를 통하여 외부에서 내부망의 방송시스템을 원격 운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제어 및 원격운영 방송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콜라보 서버는 내부망에 연결된 제1 메인보드와 외부망에 연결된 제2 메인보드로 구성되고, 인증된 디바이스에 의하여 콜라보 프로그램이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제어 및 원격운영 방송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된 디바이스는 관리자 승인된 NFC 또는 US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제어 및 원격운영 방송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콜라보 서버를 통하여 외부망의 원격제어서버에서 내부망의 방송장비의 이상유무를 원격으로 모니터링 하여 유지보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제어 및 원격운영 방송시스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콜라보 서버를 통하여 외부의 작업자와 내부의 작업자가 콘텐츠를 공유하며 양방향으로 협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제어 및 원격운영 방송시스템.
KR1020180111395A 2018-09-18 2018-09-18 진단제어 및 원격운영 스마트 방송시스템 KR1019373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1395A KR101937304B1 (ko) 2018-09-18 2018-09-18 진단제어 및 원격운영 스마트 방송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1395A KR101937304B1 (ko) 2018-09-18 2018-09-18 진단제어 및 원격운영 스마트 방송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2178A Division KR101965825B1 (ko) 2018-10-31 2018-10-31 스피커 자가 진단제어 스마트 방송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7304B1 true KR101937304B1 (ko) 2019-01-11

Family

ID=65028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1395A KR101937304B1 (ko) 2018-09-18 2018-09-18 진단제어 및 원격운영 스마트 방송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73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6964B1 (ko) * 2018-12-26 2019-02-12 주식회사 젠프로 실시간 pc 자가 진단을 이용한 방송의 상태 및 고장 유무의 판단이 가능한 방송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6964B1 (ko) * 2018-12-26 2019-02-12 주식회사 젠프로 실시간 pc 자가 진단을 이용한 방송의 상태 및 고장 유무의 판단이 가능한 방송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53902B2 (en) Multi-channel broadcasting system using digital matrix amplifi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772819B1 (ko) 중앙집중 및 분산방식을 갖는 전관방송장비용 장애감지 및 차단 제어장치
US8599724B2 (en) Paging system
US20070113727A1 (en) Wireless microphone communication system
KR101965825B1 (ko) 스피커 자가 진단제어 스마트 방송시스템
KR102096091B1 (ko) 진동 지진과 스피커 회선의 이상 자동감지 및 상시 비상 방송 가능 시스템
KR101946964B1 (ko) 실시간 pc 자가 진단을 이용한 방송의 상태 및 고장 유무의 판단이 가능한 방송 시스템
US11501756B2 (en) Smart speaker system
KR101937304B1 (ko) 진단제어 및 원격운영 스마트 방송시스템
KR100872868B1 (ko) 방송장비의 상호간 이상 체크 및 원격제어가 가능한 구내방송장치
KR102103542B1 (ko) 스피커 선로의 실시간 독립적 감시가 가능한 전관 방송 시스템
KR102245197B1 (ko) 비상 접점 입력에 의한 방송 절체 기능을 갖는 전관방송 대응형 오디오 믹서
KR100417495B1 (ko) 매트릭스 회로를 통한 스피커 및 앰프 제어구조를 갖는방송시스템
JP4676470B2 (ja) 構内放送システム
KR102268600B1 (ko) 자가 진단이 가능한 방송 시스템
KR101087290B1 (ko) 네트워크를 이용한 통합 무선제어 시스템
KR101017681B1 (ko) 디지털 네트워크 방송 시스템
KR102048280B1 (ko) 커패시터를 이용한 스피커선 단락보호 장치
KR101967617B1 (ko) 지진 감지가 가능한 자동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
KR100883906B1 (ko) 학교 방송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20130060781A (ko) 파워앰프와 스피커간의 풀 매트릭스 방식을 이용한 다중화 방송 시스템
KR100550838B1 (ko) 통합 방송시스템
KR100974446B1 (ko) 방송서버와 로컬피씨의 유에스비 포트에 연결되는방송장치로 구성된 방송시스템.
KR200344948Y1 (ko) 통합 방송시스템
KR100888252B1 (ko) 스피커의 개별제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