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0838B1 - 통합 방송시스템 - Google Patents

통합 방송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0838B1
KR100550838B1 KR20030074522A KR20030074522A KR100550838B1 KR 100550838 B1 KR100550838 B1 KR 100550838B1 KR 20030074522 A KR20030074522 A KR 20030074522A KR 20030074522 A KR20030074522 A KR 20030074522A KR 100550838 B1 KR100550838 B1 KR 1005508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unit
signal
control
contro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30074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9129A (ko
Inventor
김종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영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영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영전
Priority to KR20030074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0838B1/ko
Publication of KR20050039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91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08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0838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합 방송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오디오 입력장치(RC1∼RCX ; RC)들이 UTP케이블을 매개로 메인 제어장치(TI)에 개별적으로 직접 연결되고, 오디오 수신장치(RX1∼RXN ; RX)들이 UTP케이블을 매개로 메인 제어장치(TI)에 순차적으로 직렬 연결되므로, 통합 방송시스템의 구조가 획기적으로 단순화되고, 배선작업이 편리하게 되어 설치비용이 크게 절감되고, 오디오 입력장치(RC1∼RCX ; RC)와 메인 제어장치(TI)의 전송길이나, 메인 제어장치(TI)와 오디오 수신장치(RX1∼RXN ; RX)의 전송길이, 또는 오디오 수신장치(RX1∼RXN ; RX)들 간의 전송길이가 길어지더라도, 잡음으로 인한 구성요소들의 오작동이나, 잡음으로 인한 방송 음질의 저하가 크게 억제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통합 방송시스템{Combination broadcasting system}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통합 방송시스템을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보조 제어장치를 도시한 블럭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메인 제어장치를 도시한 블럭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오디오 입력장치를 도시한 블럭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오디오 전송장치를 도시한 블럭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오디오 수신장치를 도시한 블럭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통합 방송시스템을 도시한 블럭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메인 제어장치를 도시한 블럭도,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오디오 입력장치를 도시한 블럭도,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오디오 수신장치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 첨부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용어 설명 -
10 ; UTP케이블 접속기, 11 ; 제어신호 위상차동변조기,
12 ; 오디오신호 위상차동입력기, 13 ; 오디오신호 위상차동출력기,
AI ; 오디오 입력유닛, Amp ; 오디오 증폭기,
BG ; 경고음 발생기, BSW1,BSW2 ; 오디오 볼륨스위치,
CI1,CI2,CI3 ; 제어신호 입력유닛,
CPU1,CPU2,CPU3,CPU4,CPU5 ; 중앙처리장치
CRD ; CD-ROM 드라이브, CTR ; 카세트테이프리코더,
K ; 키보드, LED1,LED2,LED3 ; 발광다이오드,
M ; 마우스, MD1,MD2 ; 마이크기구,
Mic1,Mic2,Mic3 ; 마이크, Mix1,Mix2 ; 오디오 믹서,
MP1,MP2,MP3 ; 메인 처리유닛, O1,O2,O3 ; 출력유닛,
PDMa,PDMb,PDMc,PDMd,PDM1∼PDMX ; 위상차동변조유닛,
PSW1,PSW2,PSW3 ; 마이크 작동제어스위치,
RC,RC1∼RCX; 오디오 입력장치, RX,RX1∼RXN ; 오디오 수신장치,
S1∼SM ; 스피커, SC ; 보조 제어장치,
SW1,SW2,SW3 ; 제어신호 입력스위치,
SWC1,SWC2,SWC3 ; 오디오출력 접속제어유닛,
TI ; 메인 제어장치.
본 발명은 통합 방송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호텔이나 대형 빌딩, 혹은 아파트단지나 대형 위락시설 등에 설치되어, 음성이나 음악, 혹은 경고음 등의 오디오신호를 적절하게 방송할 수 있도록 된 통합 방송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통합 방송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디오신호와 방송을 위한 오디오신호 전달경로를 오디오출력 제어장치(RP)로 출력하는 다수의 오디오 입력장치(RC1'∼RCX')와 ; 이들 오디오 입력장치(RC1'∼RCX')와 메인 제어장치(TI')에 개별적으로 연결되고, 메인 제어장치(TI')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이들 장치(RC1'∼RCX' ; TI')로부터 입력되는 각 오디오신호들을 임의의 오디오 수신장치(RX1'∼RXN')로 선택적으로 출력하고, 오디오 입력장치(RC1'∼RC X')들의 작동을 제어하면서, 해당 오디오 수신장치(RX1'∼RXN')의 작동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메인 제어장치(TI')로 출력하는 오디오신호 출력제어장치(RP) ; 오디오신호와 방송을 위한 오디오신호 전달경로를 오디오출력 제어장치(RP)로 출력하며, 오디오신호 출력제어장치(RP)의 작동을 제어하고, 해당 오디오 수신장치(RX1'∼RXN')의 작동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시그널 분배기(SD)로 출력하고, 각 구성요소들의 작동상태를 보조 제어장치(SC)로 출력하는 메인 제어장치(TI') ; 메인 제어장치(TI')에 연결되어, 오디오신호와, 방송을 위한 오디오신호 전달경로를 메인 제어장치(TI')로 출력하며, 메인 제어장치(TI')로부터 작동 상태를 입력받아서 각 구성요소들의 작동상태를 가시적으로 외부로 출력하고, 메인 제어장치(TI')의 작동을 제어하는 보조 제어장치(SC) ; 메인 제어장치(TI')에 연결되어, 메인 제어장치(TI')로부터의 제어신호를 오디오 수신장치(RX1'∼RXN')들로 분배하는 시그널 분배기(SD) ; 시그널 분배기(SD)와 오디오신호 출력제어장치(RP)에 개별적으로 연결되어, 시그널 분배기(SD)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서 오디오신호 출력제어장치(RP)로부터의 오디오신호를 해당 스피커(S1∼SM)로 출력하고, 해당 작동상태를 시그널 분배기(SD)를 통해서 메인 제어장치(TI')로 출력하는 오디오 수신장치(RX1'∼RXN') 및; 오디오신호 출력제어장치(RP)와 오디오 수신장치(RX1'∼RXN')를 개별적으로 연결하는 각 연결라인에 설치되어, 오디오신호 출력제어장치(RP)로부터의 오디오신호를 증폭하여 해당 오디오 수신장치(RX1'∼RXN')로 출력하는 오디오 증폭기(Amp1∼AmpN)로 이루어진다.
상기 보조 제어장치(SC)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제어신호 입력유닛(CI1)과 ; 방송을 위한 오디오신호를 입력하는 오디오 입력유닛(AI) ; 제어신호 입력유닛(CI1)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오디오 입력유닛(AI)으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신호와, 메인 제어장치(TI')의 작동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메인 제어장치(TI')로 출력하고, 메인 제어장치(TI')로부터 작동 상태를 입력받아서 각 구성요소들의 작동상태를 출력유닛(O1)을 통해서 가시적으로 외부로 출력하는 메인 처리유닛(MP1) 및; 메인 처리유닛(MP1)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각 구성요소들의 작동상태를 가시적으로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유닛(O1)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어신호 입력유닛(CI1)으로는, 키보드(K)나 마우스(M) 등이 이용되고, 상기 오디오신호 입력유닛(AI)으로는 마이크기구(MD1)나 카세트테이프리코더(CTR), 혹은 CD-ROM 드라이브(CRD)가 이용되는데, CD-ROM 드라이브(CRD)의 경우에는 메인 처리유닛(MP1)의 중앙처리장치(CPU1)에 의해 작동 제어되도록 한다. 상기 마이크기구(MD1)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를 전기적인 오디오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마이크(Mic1)와, 마이크(Mic1)로부터의 오디오신호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수동형 마이크 작동제어스위치(PSW1)로 이루어진다. 상기 메인 처리유닛(MP1)은, 오디오 입력유닛(AI)으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신호를 개별적으로 볼륨조절하면서 출력하거나, 이들을 혼합하여 출력하는 오디오 믹서(Mix1)와 ; 제어신호 입력유닛(CI1)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오디오 믹서(Mix1)의 작동을 제어하면서, 메인 제어장치(TI')의 작동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메인 제어장치(TI')로 출력하고, 메인 제어장치(TI')로부터 작동 상태를 입력받아서 각 구성요소들의 작동상태를 출력유닛(O1)을 통해 외부로 출력하는 중앙처리장치(CPU1)로 이루어진다. 상기 출력유닛(O1)으로는 영상을 가시적으로 출력하는 일반 모니터를 이용되는데, 이러한 보조 제어장치(SC)로는 일반적으로 PC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인 제어장치(TI')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처리유닛(MP2')과 마이크기구(MD2)로 이루어진다. 상기 메인 처리유닛(MP2')은,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제어신호 입력유닛(CI2)과 ; 보조 제어장치(SC)로부터의 제어신호와 제어신호 입력유닛(CI2)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임의의 오디오 수 신장치(RX1'∼RXN')를 작동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시그널 분배기(SD)로 출력하고, 오디오신호 출력제어장치(RP)를 작동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오디오신호 출력제어장치(RP)로 출력하며, 각 구성요소들의 작동상태를 보조 제어장치(SC)로 출력하는 중앙처리장치(CPU2') ; 중앙처리장치(CPU2')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중앙처리장치(CPU2')의 작동상태를 가시적으로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유닛(O2) ; 마이크기구(MD2)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신호의 볼륨을 조절하는 오디오 볼륨스위치(BSW1) ; 보조 제어장치(SC)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신호나 오디오 볼륨스위치(BSW1)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신호를 개별적으로 오디오신호 출력제어장치(RP)로 출력하거나, 이들을 혼합하여 오디오신호 출력제어장치(RP)로 출력하는 오디오 믹서(Mix2)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어신호 입력유닛(CI2)으로는, 비상방송스위치(SW1)나 사이렌발생스위치(SW2), 차임벨발생스위치(SW3)와 같은 키패드가 사용되고, 상기 출력유닛(O2)으로는, 중앙처리장치(CPU2')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중앙처리장치(CPU2')의 작동상태를 가시적으로 외부로 출력하는 다수의 발광다이오드(LED1,LED2,LED3)들이 사용된다. 이와같이, 상기 사이렌발생스위치(SW2)나 차임벨발생스위치(SW3)를 조작하여 사이렌이나 차임벨을 방송코져 하는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처리장치(CPU2')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자체 저장된 사이렌이나 차임벨을 오디오 믹서(Mix2)로 출력하는 경고음 발생기(BG)를 메인 처리유닛(MP2')에 보강 설치한다. 한편, 상기 마이크기구(MD2)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를 전기적인 오디오신호로 변환하 여 출력하는 마이크(Mic2)와, 마이크(Mic2)로부터의 오디오신호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수동형 마이크 작동제어스위치(PSW2)로 이루어진다.
상기 오디오 입력장치(RC' ; 도 1에 도시된 RC1'∼RCX'에 해당)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처리유닛(MP3')과 마이크(Mic3)로 이루어진다. 상기 메인 처리유닛(MP3')은,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제어신호 입력유닛(CI3)과 ; 제어신호 입력유닛(CI2)으로부터의 제어신호와, 오디오신호 출력제어장치(RP)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마이크 작동제어스위치(PSW3)의 작동을 제어하고, 임의의 오디오 수신장치(RX1∼RXN)를 작동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오디오신호 출력제어장치(RP)로 출력하는 중앙처리장치(CPU3') ; 중앙처리장치(CPU3')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중앙처리장치(CPU3')의 작동상태를 가시적으로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유닛(O3) ; 마이크(Mic3)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신호의 볼륨을 조절하는 오디오 볼륨스위치(BSW2)와 ; 중앙처리장치(CPU3')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오디오 볼륨스위치(BSW2)를 통해 입력되는 마이크(Mic3)로부터의 오디오신호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마이크 작동제어스위치(PSW3)로 이루어진다.
상기 오디오신호 출력제어장치(RP)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제어장치(TI')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각 오디오 입력장치(RC1'∼RCX' ; RC')들과 오디오출력 접속제어유닛(SWC1)의 작동을 제어하고, 오디오 입력장치(RC1'∼RCX' ; RC')로부터 입력되는 해당 오디오 수신장치(RX1'∼RX N')의 작동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메인 제어장치(TI')로 출력하는 중앙처리장치(CPU4)와 ; 중앙처리장치(CPU4)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오디오 입력장치(RC1'∼RCX' ; RC')들과 메인 제어장치(TI')로부터 입력되는 각 오디오신호들을 임의의 오디오 수신장치(RX1'∼RXN')로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오디오출력 접속제어유닛(SWC1)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오디오 수신장치(RX' ; 도 1에 도시된 RX1'∼RXN'에 해당)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그널 분배기(SD)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오디오출력 접속제어유닛(SWC2)의 작동을 제어하고, 해당 작동상태를 시그널 분배기(SD)를 통해서 메인 제어장치(TI')로 출력하는 중앙처리장치(CPU5')와 ; 중앙처리장치(CPU5')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오디오 증폭기(Amp1∼AmpN)에 의해 증폭되어진 오디오신호 출력제어장치(RP)로부터의 오디오신호를 임의의 스피커(S1∼SM)로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오디오출력 접속제어유닛(SWC2)로 이루어진다.
상기 종래 통합 방송시스템이 아파트단지에 적용되어진 것을 일예로 하여 이의 작동 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보조 제어장치(SC)와 메인 제어장치(TI'), 오디오신호 출력제어장치(RP), 시그널 분배기(SD)는 아파트단지 통합 관리실에 설치하고, 상기 오디오 입력장치(RC1'∼RCX' ; RC')는 동별 관리실에 개별적으로 설치하며, 오디오 수신장 치(RX1'∼RXN' ; RX')는 동별 아파트에 설치하여, 각 구성요소들이 상호 연계작동되도록 배선작업을 수행하고, 호별로 설치된 스피커(S1∼SM)들을 해당 오디오 수신장치(RX1'∼RXN' ; RX')에 연결하는 한편, 상기 오디오 증폭기(Amp1∼Amp N)는 오디오신호 출력제어장치(RP)와 오디오 수신장치(RX1'∼RXN' ; RX')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라인에 필요에 따라서 적절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지만, 보수·관리적인 측면을 고려해 볼 때 아파트단지 통합 관리실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1동 관리자가 제1오디오 입력장치(RC1')의 제어신호 입력유닛(CI3)를 조작하여 방송코져하는 동수나 호수에 해당하는 오디오신호 전달경로를 선택하면, 선택된 동수나 호수에 해당하는 제어신호가 이의 중앙처리장치(CPU3')로부터 오디오신호 출력제어장치(RP)로 출력되고, 마이크 작동제어스위치(PSW3)가 중앙처리장치(CPU3')에 의해 OFF상태에서 ON으로 전환되어, 오디오 볼륨스위치(BSW2)로부터 입력되는 마이크(Mic3)로부터의 오디오신호가 오디오신호 출력제어장치(RP)로 출력된다.
상기 선택된 동수나 호수에 해당하는 제어신호가 제1오디오 입력장치(RC1')로부터 오디오신호 출력제어장치(RP)의 중앙처리장치(CPU4)로 입력되면, 중앙처리장치(CPU4)의 제어신호에 의해 오디오출력 접속제어유닛(SWC1)이 작동 제어되어, 제1오디오 입력장치(RC1')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신호가 오디오출력 접속제어유닛(SWC1)을 통해서 해당 동수나 호수의 오디오 수신장치(RX1'∼RXN')로 출력되는 한편, 제1오디오 입력장치(RC1')로부터의 선택된 동수나 호수에 해당하는 제어신호가 중앙처리장치(CPU4)에서 메인 제어장치(TI)로 출력된다. 한편, 이와같이 제1오디오 입력장치(RC1')가 사용되고 있는 상태에서, 다른 오디오 입력장치(RC2'∼RCX')가 작동되면 오디오신호가 혼선될 위험이 있다. 따라서, 상기 오디오신호 출력제어장치(RP)의 중앙처리장치(CPU4)로 임의의 오디오 입력장치(RC1'∼RCX')로부터의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중앙처리장치(CPU4)에서 해당 오디오 입력장치(RC1'∼RCX')를 제외한 나머지 오디오 입력장치(RC1'∼RCX ')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나머지 오디오 입력장치(RC1'∼RCX')가 설치되어진 통별 관리실의 관리자가 현재 통합 방송시스템이 사용중임을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디오신호 출력제어장치(RP)로부터의 제어신호가 오디오 입력장치(RC1'∼RCX')의 중앙처리장치(CPU3')로 입력되면, 출력유닛(O3)이 중앙처리장치(CPU3')에 의해 작동되어, 해당 동별 관리실의 관리자가 출력유닛(O3)을 통해서 통합 방송시스템이 현재 사용중임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오디오신호 출력제어장치(RP)의 중앙처리장치(CPU4)로부터의 선택된 동수나 호수에 해당하는 제어신호가 메인 제어장치(TI')의 중앙처리장치(CPU2')로 입력되면, 메인 제어장치(TI')에서 보조 제어장치(SC)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현재 제1오디오 입력장치(RC1')가 사용중임을 알리는 한편, 오디오신호 출력제어장치(RP)로부터의 해당 제어신호를 시그널 분배기(SD)로 출력한다. 상기 보조 제어장치(SC)의 중앙처리장치(CPU1)로 메인 제어장치(TI')로부터의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출력유닛(O1)이 중앙처리장치(CPU1)에 의해서 작동 제어되어, 아파트단지 통합 관리실 관리자가 출력유닛(O1)을 통해서 어떤 오디오 입력장치(RC1'∼RCX')가 사용중인지, 어떠한 방송경로가 선택되었는지를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메인 제어장치(TI')로부터의 제어신호는 시그널 분배기(SD)를 통해서 각 오디오 수신장치(RX1'∼RXN')의 중앙처리장치(CPU5')로 입력되는데, 메인 제어장치(TI')로부터의 제어신호에는 방송코져 하는 해당 동수나 호수, 즉 고유 어드레스가 부여되어 있으므로, 제어신호에 포함된 고유 어드레스에 해당하는 오디오 수신장치(RX1'∼RXN')만 선택적으로 작동 제어된다. 상기 오디오 수신장치(RX1'∼RXN')의 중앙처리장치(CPU5')로 고유 어드레스가 일치하는 시그널 분배기(SD)로부터의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오디오출력 접속제어유닛(SWC2)이 중앙처리장치(CPU5')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오디오 증폭기(Amp1∼AmpN)에 의해 증폭되어진 오디오신호 출력제어장치(RP)로부터의 오디오신호가 오디오출력 접속제어유닛(SWC2)을 통해서 해당 스피커(S1∼SM)로 입력되어, 스피커(S1∼S M)를 통해서 외부로 출력된다. 만일, 아파트 제1동 전체가 선택되었다면 제1오디오 수신장치(RX1')에 연결된 전체 스피커(S1∼SM)를 통해서 오디오가 방송되고, 아파트 제1동 중에서 제1001호와 제1101호가 선택되었다면 제1오디오 수신장치(RX1')에 연 결된 전체 스피커(S1∼SM)중에서 제1001호와 제1101호에 설치된 스피커(S1,S 101)를 통해서만 오디오가 방송된다. 한편, 상기 중앙처리장치(CPU5')는 오디오출력 접속제어유닛(SWC2)으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이의 작동을 제어하면서, 해당 작동 제어신호를 시그널 분배기(SD)를 통해서 메인 제어장치(TI')으로 출력하고, 메인 제어장치(TI')의 중앙처리장치(CPU2')에서 이를 보조 제어장치(SC)으로 전송하며, 보조 제어장치(SC)에서 오디오 수신장치(RX1'∼RXN')로부터 전송되어진 제어신호를 매개로 오디오 수신장치(RX1'∼RXN')가 정상적으로 작동되고 있는지를 판별한 후에, 판별결과를 출력유닛(O1)을 통해서 가시적으로 외부로 출력하므로, 아파트단지 통합 관리실의 관리자가 출력유닛(O1)을 통해서 오디오 수신장치(RX1'∼RXN')의 작동상태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아파트단지 통합 관리실의 관리자가 보조 제어장치(SC)의 제어신호 입력유닛(CI1)을 조작하여 방송코져하는 동수나 호수에 해당하는 오디오신호 전달경로를 선택하면, 선택된 동수나 호수에 해당하는 제어신호가 이의 중앙처리장치(CPU1)로부터 메인 제어장치(TI')로 출력되고, 오디오 입력유닛(AI)으로부터의 오디오신호가 오디오 믹서(Mix1)를 통해서 메인 제어장치(TI')로 출력되는데, 메인 제어장치(TI')로 출력되는 오디오신호가 적절한 형태를 이루도록, 제어신호 입력유닛(CI1)을 조작하여 오디오 믹서(Mix1)의 작동을 제어한다. 한편, 상기 출력유닛(O1)은 중앙처리장치(CPU1)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보조 제어장치(SC)가 현재 사용되고 있고, 어떠한 방송경로가 선택되었는지 등의 정보를 인식가능하게 외부로 출력하게 된다.
상기 보조 제어장치(SC)로부터의 오디오신호는 메인 제어장치(TI')의 오디오 믹서(Mix2)를 통해서 오디오신호 출력제어장치(RP)의 오디오출력 접속제어유닛(SWC1)로 출력된다. 한편, 상기 보조 제어장치(SC)로부터의 제어신호가 메인 제어장치(TI')의 중앙처리장치(CPU2')로 입력되면, 중앙처리장치(CPU2')에서는 보조 제어장치(SC)로부터의 선택된 동수나 호수에 해당하는 제어신호를 시그널 분배기(SD)를 통해 각 오디오 수신장치(RX1'∼RXN')로 출력하면서, 오디오신호 출력제어장치(RP)의 중앙처리장치(CPU4)로 제어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 오디오신호 출력제어장치(RP)의 중앙처리장치(CPU4)는 메인 제어장치(TI')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메인 제어장치(TI')로부터 오디오출력 접속제어유닛(SWC1)으로 입력되는 오디오신호가 해당 오디오 수신장치(RX1'∼RXN')로 전송되도록, 오디오출력 접속제어유닛(SWC1)의 작동을 제어하면서, 각 오디오 입력장치(RC1'∼RCX')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오디오 입력장치(RC1'∼RCX')들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상기 오디오신호 출력제어장치(RP)로부터의 제어신호가 오디오 입력장치(RC1'∼RCX')의 중앙처리장치(CPU3')로 입력되면, 출력유닛(O3)이 중앙처리장치(CPU3')에 의해 작동되어, 통합 방송시스템이 현재 사용중임이 인식가능하게 외부로 출력되고, 마이 크 작동제어스위치(PSW2)가 중앙처리장치(CPU'3)에 의해 ON상태에서 OFF상태로 전환되어, 오디오 볼륨스위치(BSW2)을 통한 마이크(Mic3)로부터의 오디오신호의 입력이 차단된다. 따라서, 어떠한 오디오 입력장치(RC1'∼RCX')로부터도 오디오신호가 오디오신호 출력제어장치(RP)로 출력되지 않게 된다.
상기 오디오 수신장치(RX1'∼RXN')들 중에서 제어신호의 고유 어드레스와 일치하는 오디오 수신장치(RX1'∼RXN')는, 시그널 분배기(SD)를 통해서 입력되는 메인 제어장치(TI')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되어, 오디오 증폭기(Amp1∼AmpN)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신호 출력제어장치(RP)로부터의 오디오신호를 방송코져하는 해당 동수의 호수에 설치되어진 스피커(S1∼SM)를 통해서 외부로 출력하면서, 작동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시그널 분배기(SD)를 통해서 메인 제어장치(TI')로 출력한다. 상기 시그널 분배기(SD)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수신장치(RX1'∼RXN')로부터의 제어신호는 메인 제어장치(TI')의 중앙처리장치(CPU2')를 통해서 보조 제어장치(SC)의 중앙처리장치(CPU1)로 입력되고, 보조 제어장치(SC)의 중앙처리장치(CPU1)에서는 오디오 수신장치(RX1'∼RXN')로부터 전송되어진 제어신호를 매개로 오디오 수신장치(RX1'∼RXN')가 정상적으로 작동되고 있는지를 판별한 후에, 판별결과를 출력유닛(O1)을 통해서 가시적으로 외부로 출력한다. 따라서, 아파트단지 통합 관리실의 관리자는 출력유닛(O1)을 통 해서 오디오 수신장치(RX1'∼RXN')의 작동상태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아파트단지가 정전되면 비상용 발전기가 자동으로 작동되어 빠른 시간내에 비상용 설비로 전원공급이 이루어지게 되며, 통합 방송시스템도 역시 정전으로 인해서 작동정지된 후에 비상용 발전기로부터의 전원을 공급받아서 재가동된다. 이때, 상기 보조 제어장치(SC)를 제외한 다른 구성요소의 경우에는, 비상용 발전기로부터 전원 공급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빠르게 재작동되지만, 보조 제어장치(SC)의 경우에는, 별도의 전원스위치를 조작해서 수동으로 재작동시켜야 하고, 재작동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화재나 대형사고 등과 같이 정전 후에 빠른 방송을 통한 대처가 요구되는 경우에는, 메인 제어장치(TI')를 직접 이용하여 통합 방송시스템을 빠르고 신속하게 작동 제어한다.
이의 작동상태를 설명해 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아파트단지 통합 관리실의 관리자가 메인 제어장치(TI')의 제어신호 입력유닛(CI2)을 구성하는 비상방송스위치(SW1)를 누르게 되면, 중앙처리장치(CPU2')에서 모든 동수와 호수에 해당하는 제어신호를 시그널 분배기(SD)를 통해 각 오디오 수신장치(RX1'∼RXN')로 출력하면서, 오디오신호 출력제어장치(RP)의 중앙처리장치(CPU4)로 제어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제어신호 입력유닛(CI2)에 의한 작동상태는 중앙처리장치(CPU2')에 의해 작동 제어되는 출력유닛(O2)를 통해서 가시적으로 외부로 출력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마이크 기구(MD2)의 마이크 작동제어스위치(PSW2)를 OFF상태에서 ON으로 전환하면, 마이크(Mic2)로부터의 오디오신호가 마이크 작동제어스위치(PSW2)를 통해서 오디오 볼륨스위치(BSW1)로 전달되어 볼륨조절되어진 후, 오디오 믹서(Mix2)를 통해서 오디오신호 출력제어장치(RP)로 출력된다. 상기 오디오신호 출력제어장치(RP)의 중앙처리장치(CPU4)는 메인 제어장치(TI')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메인 제어장치(TI')로부터 오디오출력 접속제어유닛(SWC1)으로 입력되는 오디오신호가 모든 오디오 수신장치(RX1'∼RXN')로 전송되도록, 오디오출력 접속제어유닛(SWC1)의 작동을 제어하면서, 각 오디오 입력장치(RC1'∼RCX')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오디오 입력장치(RC1'∼RCX')들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상기 오디오 수신장치(RX1'∼RXN')들은 시그널 분배기(SD)를 통해서 입력되는 메인 제어장치(TI')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되어, 오디오 증폭기(Amp1∼AmpN)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신호 출력제어장치(RP)로부터의 오디오신호를 모든 해당 호수의 스피커(S1∼SM)를 통해서 외부로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아파트단지의 모든 가구를 통해서 긴급 방송이 이루어진다.
상기 메인 제어장치(TI')를 통한 긴급 방송은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는데, 일예로 정전되지 않은 정상적인 전원공급상태에서, 보조 제어장치(SC)를 이용한 오디오 방송중이거나, 임의의 오디오 입력장치(RC1'∼RCX')를 이용한 오디오 방송중이라도, 메인 제어장치(TI')의 제어신호 입력유닛(CI2)을 조작하여 아파트단지 의 모든 가구로 마이크기구(MD2)로부터의 오디오신호를 즉시 비상 방송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르면, 오디오 입력장치(RC1'∼RCX')들을 통해서 방송라인을 임의로 선택하여 오디오 방송을 할 수 있고, 보조 제어장치(SC)를 통해서 각 구성요소들의 작동상태를 간접적으로 통제하고 파악하면서 자체 오디오 방송을 할 수 있으며, 메인 제어장치(TI')를 통해서 각 구성요소들의 작동상태를 직접적으로 통제하면서 비상방송을 빠르게 실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통합 방송시스템의 경우에는, 메인 제어장치(TI')에 의해 작동 제어되는 오디오신호 출력제어장치(RP)에 오디오 입력장치(RC1'∼RCX')들과 오디오 수신장치(RX1'∼RXN')들이 개별적으로 연결되고, 이와는 별도로 메인 제어장치(TI')에 연결된 시그널 분배기(SD)에 오디오 수신장치(RX1'∼RXN')들이 개별적으로 연결되는 방식으로 되어 있어서, 그 구조가 상당히 복잡하게 된다. 더욱이, 상기 오디오 입력장치(RC1'∼RCX')와 오디오 출력제어장치(RP)는 2개의 전송라인(오디오신호전송라인과 제어신호전송라인)으로 상호 연결되는 한편, 시그널 분배기(SD)는 제어신호전송라인을 매개로 오디오 수신장치(RX1'∼RXN')에 연결되면서, 오디오 출력제어장치(RP)는 이와는 별도로 오디오 신호전송라인을 매개로 오디오 증폭기(Amp1∼AmpN)를 통해서 오디오 수신장치(RX1'∼RXN')에 연결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으므로, 배선작업이 번거롭게 되고, 통합 방송시스템 설치비용이 크게 증가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오디오신호 전송을 위해 각 구성요소들을 연결함에 있어서 일반 오디오신호전송라인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전송거리가 길어질수록 전송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으로 인해 방송 음질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가 야기되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배선작업이 편리하고, 설치비용이 절감되며, 잡음으로 인한 음질저하가 억제되는 단순한 구조의 통합 방송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오디오신호와, 방송을 위한 오디오신호 전달경로를 메인 제어장치로 출력하는 다수의 오디오 입력장치와 ; 이들 오디오 입력장치와 UTP케이블을 매개로 개별적으로 연결되어, 각 오디오 입력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한편, 오디오신호와, 방송을 위한 오디오신호 전달경로 및, 오디오 수신장치의 작동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UTP케이블을 통해 출력하는 메인 제어장치 ; 메인 제어장치에 연결되어, 오디오신호와, 방송을 위한 오디오신호 전 달경로를 메인 제어장치로 출력하고, 메인 제어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면서, 메인 제어장치로부터 작동 상태를 입력받아서 각 구성요소들의 작동상태를 가시적으로 외부로 출력하는 보조 제어장치 및; UTP케이블을 매개로 메인 제어장치에 순차적으로 직렬 연결되어, 메인 제어장치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서, 메인 제어장치로부터의 오디오신호를 해당 스피커로 출력하고, 작동상태를 메인 제어장치로 출력하는 다수의 오디오 수신장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통합 방송시스템은, 오디오신호와, 방송을 위한 오디오신호 전달경로를 메인 제어장치(TI)로 출력하는 다수의 오디오 입력장치(RC1∼RCX)와 ; 이들 오디오 입력장치(RC1∼RCX)와 UTP케이블을 매개로 개별적으로 연결되어, 각 오디오 입력장치(RC1∼RCX)의 작동을 제어하는 한편, 오디오신호와, 방송을 위한 오디오신호 전달경로 및, 오디오 수신장치(RX1∼RXN)의 작동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UTP케이블을 통해 출력하는 메인 제어장치(TI) ; 메인 제어장치(TI)에 연결되어, 오디오신호와, 방송을 위한 오디오신호 전달경로를 메인 제어장치(TI)로 출력하며, 메인 제어장치(TI)의 작동을 제어하면서, 메인 제어장치(TI)로부터 작동 상태를 입력받아서 각 구성요소들의 작동상태를 가시적으로 외부로 출력하는 보조 제어장치(SC) 및; UTP케이블을 매개로 메인 제어장치(TI) 에 순차적으로 직렬 연결되어, 메인 제어장치(TI)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서, 메인 제어장치(TI)로부터의 오디오신호를 해당 스피커(S1∼SM)로 출력하고, 작동상태를 메인 제어장치(TI)로 출력하는 다수의 오디오 수신장치(RX1∼RXN)로 이루어진 구조를 이룬다.
상기 보조 제어장치(SC)는, 메인 제어장치(TI)의 작동을 제어하여 각 구성요소들의 작동을 간접적으로 통제하고, 자체적으로 오디오 방송을 할 수 있으며, 메인 제어장치(TI)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아서 각 구성요소들의 작동을 인식가능하게 외부로 출력할 수 있는 어떠한 것을 이용해도 무방하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보조 제어장치(SC)로는,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제어신호 입력유닛(CI1)과 ; 방송을 위한 오디오신호를 입력하는 오디오 입력유닛(AI) ; 제어신호 입력유닛(CI1)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오디오 입력유닛(AI)으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신호와, 메인 제어장치(TI)의 작동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메인 제어장치(TI)로 출력하고, 메인 제어장치(TI)로부터 작동 상태를 입력받아서 각 구성요소들의 작동상태를 출력유닛(O1)을 통해서 가시적으로 외부로 출력하는 메인 처리유닛(MP1) 및; 메인 처리유닛(MP1)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각 구성요소들의 작동상태를 가시적으로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유닛(O1)으로 이루어진 것을 이용하였으며, 이는 도 2에 도시된 보조 제어장치(SC)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도 2에 대한 설명으로 대신하기로 한다.
상기 메인 제어장치(TI)는, 보조 제어장치(SC)나 오디오 입력장치(RC1∼RCX)들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신호와 제어신호를 UTP케이블을 통해 오디오 수신장치(RX1∼RXN)로 전송하고, 각 구성요소들의 작동상태를 보조 제어장치(SC)로 출력하며, 자체적으로 비상 방송을 할 수 있는 어떠한 것을 이용해도 무방하다. 본 실시예의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처리유닛(MP2)과 마이크기구(MD2)로 이루어진 메인 제어장치(TI)를 이용하였으며, 이중 마이크기구(MD2)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를 전기적인 오디오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마이크(Mic2)와, 마이크(Mic2)로부터의 오디오신호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수동형 마이크 작동제어스위치(PSW2)로 이루어진 것을 이용하였다. 또한, 상기 메인 처리유닛(MP2)은,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제어신호 입력유닛(CI2)과 ; 보조 제어장치(SC)로부터의 제어신호와 제어신호 입력유닛(CI2)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오디오 수신장치(RX1∼RXN)의 작동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제2위상차동변조유닛(PDMa)로 출력하는 중앙처리장치(CPU2) ; 중앙처리장치(CPU2)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중앙처리장치(CPU2)의 작동상태를 가시적으로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유닛(O2) ; UTP케이블을 매개로 각 오디오 입력장치(RC1∼RCX ; RC)에 개별적으로 연결되어, 해당 오디오 입력장치(RC1∼RCX ; RC)로부터의 오디오신호를 오디오출력 접속제어유닛(SWC3)으로 전송하고, 해당 오디오 입력장치(RC1∼RCX ; RC)로부터의 제어신호를 중앙처리장치(CPU2)로 전송하는 한편, 중앙처리장치(CPU2)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중앙처리장치(CPU2)로부터의 제어신호를 UTP케이블을 통해서 해당 오디오 입력장치(RC1∼RCX ; RC)로 출력하는 다수의 제1위상차동변조유닛(PDM1∼PDMX) ; 제1위상차동변조유닛(PDM1∼PDMX)들에 개별적으로 연결되고, 중앙처리장치(CPU2)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제1위상차동변조유닛(PDM1∼PDMX)들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신호를 선택적으로 오디오 믹서(Mix2)로 출력하는 오디오출력 접속제어유닛(SWC3) ; 마이크기구(MD2)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신호의 볼륨을 조절하는 오디오 볼륨스위치(BSW1) ; 보조 제어장치(SC)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신호나 오디오 볼륨스위치(BSW1)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신호, 또는 오디오출력 접속제어유닛(SWC3)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신호를 개별적으로 제2위상차동변조유닛(PDMa)로 출력하거나, 이들을 혼합하여 제2위상차동변조유닛(PDMa)로 출력하는 오디오 믹서(Mix2) ; 중앙처리장치(CPU2)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중앙처리장치(CPU2)로부터의 제어신호와, 오디오 믹서(Mix2)로부터의 오디오신호를 각각 UTP전송 제어신호와 UTP전송 오디오신호로 전환하여 UTP케이블로 출력하거나, UTP케이블을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수신장치(RX1∼RXN ; RX)로부터의 UTP전송 제어신호를 제어신호로 복원하여 중앙처리장치(CPU2)로 출력하는 제2위상차동변조유닛(PDMa)로 이루어진 것을 이용하였다.
상기 오디오 입력장치(RC ; 도 1의 "RC1∼RCX"에 해당)로는, 오디오신호와, 방송을 위한 오디오신호 전달경로를 UTP케이블을 통해 메인 제어장치(TI)로 출력할 수 있는 공지의 어떠한 것을 이용해도 무방하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오디오 입력장치(RC1∼RCX ; RC)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처리유닛(MP3)과 마이크(Mic3)로 이루어진 것을 이용하였다. 상기 메인 처리유닛(MP3)은,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제어신호 입력유닛(CI3)과 ; 제어신호 입력유닛(CI2)으로부터의 제어신호와, 메인 제어장치(TI)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마이크 작동제어스위치(PSW3)의 작동을 제어하고, 임의의 오디오 수신장치(RX1∼RXN)를 작동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제3위상차동변조유닛(PDMb)으로 출력하는 중앙처리장치(CPU3) ; 중앙처리장치(CPU3)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중앙처리장치(CPU3)의 작동상태를 가시적으로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유닛(O3) ; 마이크(Mic3)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신호의 볼륨을 조절하는 오디오 볼륨스위치(BSW2) ; 중앙처리장치(CPU3)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오디오 볼륨스위치(BSW2)를 통해서 입력되는 마이크(Mic3)로부터의 오디오신호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마이크 작동제어스위치(PSW3) ; 중앙처리장치(CPU3)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중앙처리장치(CPU3)로부터의 제어신호와, 마이크 작동제어스위치(PSW3)로부터의 오디오신호를 각각 UTP전송 제어신호와 UTP전송 오디오신호로 전환하여 UTP케이블로 출력하거나, UTP케이블을 통해 입력되는 메인 제어장치(TI)로부터의 UTP전송 제어신호를 제어신호로 복원하여 중앙처리장치(CPU2)로 출력하는 제3위상차동변조유닛(PDMb)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오디오 수신장치(RX ; 도 7의 "RX1∼RXN"에 해당)로는, UTP케이블을 매개로 메인 제어장치(TI)에 순차적으로 직렬 연결되어서, 메인 제어장치(TI)로부터의 오디오신호를 해당 오디오신호 전달경로에 따라서 스피커(S1∼SM)를 통해 외부로 출력하고, 작동상태를 메인 제어장치(TI)로 출력할 수 있는 어떠한 것을 이용하도 무방하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오디오 수신장치(RX1∼RXN ; RX)로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UTP케이블을 통해 입력되는 메인 제어장치(TI)로부터의 UTP전송 제어신호를 제5위상차동변조유닛(PDMd)으로 출력하면서, 이를 제어신호로 복원하여 중앙처리장치(CPU5)로 출력하고, 메인 제어장치(TI)로부터의 UTP전송 오디오신호를 오디오신호로 복원하여 오디오 증폭기(Amp)와 제5위상차동변조유닛(PDMd)으로 출력하며, 중앙처리장치(CPU5)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중앙처리장치(CPU5)로부터의 제어신호를 UTP전송 제어신호로 전환하여 UTP케이블을 통해 메인 제어장치(TI)로 출력하는 제4위상차동변조유닛(PDMc)과 ; 제4위상차동변조유닛(PDMc)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오디오출력 접속제어유닛(SWC2)의 작동을 제어하고, 작동상태를 알리기 위한 제어신호를 제4위상차동변조유닛(PDMc)으로 출력하는 중앙처리장치(CPU5) ; 제4위상차동변조유닛(PDMc)으로부터의 오디오신호를 증폭하여 전송손실을 보상하는 오디오 증폭기(Amp) ; 중앙처리장치(CPU5)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오디오 증폭기(Amp)로부터의 오디오신호를 임의의 스피커(S1∼SM)로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오디오출력 접속제어유닛(SWC2) 및; 제4위상차동변조유닛(PDMc)로부터의 제어신호를 UTP케이블을 통해 다음 오디오 수신장치(RX1∼RXN ; RX)로 출력하면서, 제4위상차동변조유닛(PDMc)로부터의 오디오신호를 UTP전송 오디오신호로 변환하여 UTP케이블을 통해 다음 오디오 수신장치(RX1∼RXN ; RX)로 출력하는 제5위상차동변조유닛(PDMd)으로 이루어진 것을 이용하였다.
한편, 미설명부호 "10"은 UTP케이블 단자가 연결되는 UTP케이블 접속기이고, 미설명부호 "11"은 중앙처리장치(CPU2 ; CPU3 ; CPU5)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제어신호 위상차동출력기에서 제어신호 위상차동입력기로, 또는 제어신호 위상차동입력기에서 제어신호 위상차동출력기로 전환되는 제어신호 위상차동변조기를, 미설명부호 "12"는 UTP케이블을 통해 입력되는 UTP전송 오디오신호를 오디오신호로 복원하여 출력하는 오디오신호 위상차동입력기를, 미설명부호 "13"은 입력되는 오디오신호를 UTP전송 오디오신호로 변환하여 UTP케이블로 출력하는 오디오신호 위상차동출력기를 나타낸다. 여기서, 상기 위상차동출력기는 입력되는 신호를 이와 위상이 동일한 정위상 신호와, 이와 위상이 역방향인 역위상 신호로 이루어진 UTP전송 신호로 변환하는 수단이고, 상기 위상차동입력기는 UTP전송 신호(즉, 정위상 신호와 역위상 신호)를 매개로 전송시에 발생된 잡음을 제거한 후에 위상차동출력기로 원래의 신호형태로 복원하여 출력하는 수단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오디오 입력장치(RC1∼RCX ; RC)들이 UTP케이블을 매개로 메인 제어장치(TI)에 개별적으로 직접 연결되고, 오디오 수신장치(RX1∼RXN ; RX)들이 UTP케이블을 매개로 메인 제어장치(TI)에 순차적으로 직렬 연결되므로, 통합 방송시스템의 구조가 획기적으로 단순화되고, 배선작업이 편리하며, 이로 인해 설치비용이 크게 절감된다.
또한, 상기 위상차동변조기(PDMa,PDMb,PDMc,PDMd,PDM1∼PDMX)와, UTP케이블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전송코져하는 신호를 이와 위상이 동일한 정위상 신호와, 이와 위상이 역방향인 역위상 신호로 이루어진 UTP전송 신호로 변환하여 UTP케이블로 전송한 후에, 정위상 신호와 역위상 신호를 매개로 전송시에 발생된 잡음을 제거하여 원래 형태의 신호로 복원하는 방식을 취하게 되므로, 오디오 입력장치(RC1∼RCX ; RC)와 메인 제어장치(TI)의 전송길이나, 메인 제어장치(TI)와 오디오 수신장치(RX1∼RXN ; RX)의 전송길이, 또는 오디오 수신장치(RX1∼RXN ; RX)들 간의 전송길이가 길어지더라도, 잡음으로 인한 구성요소들의 오작동이나, 잡음으로 인한 방송 음질의 저하가 크게 억제된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통합 방송시스템이 아파트단지에 적용되어진 것을 일예로 하여 이의 작동 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보조 제어장치(SC)와 메인 제어장치(TI)는 아파트단지 통합 관리실에 설치하고, 상기 오디오 입력장치(RC1∼RCX)들은 동별 관리실에 개별적으로 설치하며, 오디오 수신장치(RX1∼RXN)들은 동별로 아파트에 개별적으로 설치하여, 각 구성요소들이 상호 연계작동되도록 배선작업을 수행하고, 호별로 설치된 스피커(S1∼SM)들을 해당 동별 오디오 수신장치(RX1∼RXN)에 연결하여 통합 방송시스템을 구축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1동 관리자가 제1오디오 입력장치(RC1)의 제어신호 입력유닛(CI3)를 조작하여 방송코져하는 동수나 호수에 해당하는 오디오신호 전달경로 를 선택하면, 제3위상차동변조유닛(PDMb)의 제어신호 위상차동변조기(11)가 중앙처리장치(CPU3)에 의해 제어신호 위상차동입력기에서 제어신호 위상차동출력기로 전환되어, 중앙처리장치(CPU3)로부터 입력되는 선택된 동수나 호수에 해당하는 제어신호가 제어신호 위상차동변조기(11)에 의해 UTP전송 제어신호로 변환되어 UTP케이블 접속기(10)를 통해서 UTP케이블로 출력되는 한편, 마이크 작동제어스위치(PSW3)가 중앙처리장치(CPU3)에 의해 OFF상태에서 ON상태로 전환되어, 오디오 볼륨스위치(BSW2)로부터 입력되는 마이크(Mic3)로부터의 오디오신호가 마이크 작동제어스위치(PSW3)릍 통해서 제3위상차동변조유닛(PDMb)의 오디오신호 위상차동출력기(13)로 입력되고, 오디오신호 위상차동출력기(13)로 입력되는 오디오신호는 오디오신호 위상차동출력기(13)에 의해 UTP전송 오디오신호로 변환되어 UTP케이블 접속기(10)를 통해서 UTP케이블로 출력된다.
상기 제3위상차동변조유닛(PDMb)로부터의 UTP전송 제어신호와 UTP전송 오디오신호는 UTP케이블을 통해서 메인 제어장치(TI)의 해당 제1위상차동변조유닛(PDM1)으로 입력된다. 상기 제1위상차동변조유닛(PDM1)의 UTP케이블 접속기(10)로 입력되는 제3위상차동변조유닛(PDMb)으로부터의 UTP전송 오디오신호는, 오디오신호 위상차동입력기(12)로 입력되어 잡음이 제거된 오디오신호로 복원된 후에 오디오출력 접속제어유닛(SWC3)로 입력된다. 상기 제1위상차동변조유닛(PDM1)의 UTP케이블 접속기(10)로 입력되는 제3위상차동변조유닛(PDMb)으로부터의 UTP전송 제어신호는, 제어신호 위상차동입력기 상태의 제어신호 위상차동변조기(11)로 입력되어 잡음이 제거된 제어신호로 복원된 후에 중앙처리장치(CPU2)로 입력된다. 상기 제어신호 위상차동변조기(11)으로부터의 제어신호가 중앙처리장치(CPU2)로 입력되면, 중앙처리장치(CPU2)에서 제2위상차동변조유닛(PDMa)의 제어신호 위상차동변조기(11)를 작동 제어하여 제어신호 위상차동입력기 상태의 제어신호 위상차동변조기(11)를 제어신호 위상차동출력기 상태로 전환한 후에, 방송경로에 해당하는 오디오 수신장치(RX1∼RXN)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제어신호 위상차동변조기(11)로 출력하고, 중앙처리장치(CPU2)에서 오디오출력 접속제어유닛(SWC3)의 작동을 제어하여 오디오신호 위상차동입력기(12)로부터의 오디오신호가 오디오 믹서(Mix2)로 입력되도록 하는 한편, 중앙처리장치(CPU2)에서 제1위상차동변조유닛(PDM1∼PDMX)들의 제어신호 위상차동변조기(11)를 작동 제어하여 제어신호 위상차동입력기 상태의 제어신호 위상차동변조기(11)를 제어신호 위상차동출력기 상태로 전환한 후에, 오디오 입력장치(RC1∼RCX)들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제어신호 위상차동변조기(11)들로 출력한다. 상기 오디오 믹서(Mix2)로 입력되는 오디오신호는 제2위상차동변조유닛(PDMa)의 오디오신호 위상차동출력기(13)로 입력되어 UTP전송 오디오신호로 변환된 후에 UTP케이블 접속기(10)로 출력되고, 제2위상차동변조유닛(PDMa)의 제어신호 위상차동변조기(11)로 입력되는 제어신호는 제어신호 위상차동변조기(11)에 의해 UTP전송 제어신호로 변환되어 UTP케이블 접속기(10)로 출력되며, UTP케이블 접속기(10)로 입력되는 UTP전송 제어신호와 UTP전송 오디오신호는 UTP케이블을 통해서 제1오디오 수신장치(RX1)로 출력된다. 상기 각 제1위상차동변조유닛(PDM1∼PDMX)들의 제어신호 위상차동변조기(11)로 입력되는 제어신호는 해당 제어신호 위상차동변조기(11)에 의해 UTP전송 제어신호로 변환되어 해당 UTP케이블 접속기(10)로 출력되고, UTP케이블 접속기(10)로 입력되는 UTP전송 제어신호는 UTP케이블을 통해서 해당 오디오 입력장치(RC1∼RCX)로 출력된다.
상기 메인 제어장치(TI)로부터의 UTP전송 제어신호가 제3위상차동변조유닛(PDMb)의 제어신호 위상차동변조기(11)로 입력되어 잡음이 제거된 제어신호로 복원된 후에 오디오 입력장치(RC1∼RCX)의 중앙처리장치(CPU3)로 입력되면, 중앙처리장치(CPU3)에서 출력유닛(O3)의 작동을 제어하여 통합 방송시스템이 현재 다른 곳에서 사용되고 있다는 것을 인식가능하게 외부로 출력하게 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중앙처리장치(CPU3)에서 출력유닛(03)을 작동 제어하여 통합 방송시스템이 현재 다른 곳에서 사용되고 있다는 것을 인식가능하게 외부로 알리면서, 마이크 작동제어스위치(PSW3)의 작동을 제어하여 마이크 작동제어스위치(PSW3)가 OFF로 유지되도록 해서, 해당 동별 관리실의 관리자가 방송을 위해 제어신호 입력유닛(CI3)을 조작하더라도 마이크(Mic3)를 이용한 방송이 강제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메인 제어장치(TI)로부터의 UTP전송 제어신호와 UTP전송 오디오신호는 UTP케이블을 매개로 하여 직렬로 연결된 오디오 수신장치(RX1∼RXN)들에 순차적으로 전달된다. 상기 메인 제어장치(TI)로부터의 제어신호에는 방송코져 하는 해당 동수나 호수, 즉 고유 어드레스가 부여되어 있어서, 제어신호에 부여된 고유 어드레스에 해당하는 오디오 수신장치(RX1∼RXN)만 선택적으로 작동 제어된다. 상기 메인 제어장치(TI)로부터의 UTP전송 제어신호는 오디오 수신장치(RX1∼RXN)를 구성하는 제4위상차동변조유닛(PDMc)의 UTP케이블 접속기(10)를 통해서 제어신호 위상차동입력기 상태의 제어신호 위상차동변조기(11)로 입력되어 잡음이 제거된 제어신호로 복원된 후에 중앙처리장치(CPU5)로 입력되는 한편, 메인 제어장치(TI)로부터의 UTP전송 오디오신호는 제4위상차동변조유닛(PDMc)의 UTP케이블 접속기(10)를 통해서 오디오신호 위상차동입력기(12)로 입력되어 잡음이 제거된 오디오신호로 복원된 후에 오디오 증폭기(Amp)에 의해 증폭되어 오디오출력 접속제어유닛(SWC2)으로 입력된다. 상기 중앙처리장치(CPU5)에서는 상기 제어신호 위상차동변조기(11)로부터 중앙처리장치(CPU5)로 입력되는 제어신호의 고유 어드레스를 해당 오디오 수신장치(RX1∼RXN)에 부여된 고유 어드레스와 비교하여, 만일 이들 고유 어드레스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어떠한 스피커(S1∼SM)로도 오디오 증폭기(Amp)로부터의 오디오신호가 전달되지 않도록 중앙처리장치(CPU5)에서 오디오출력 접속제어유닛(SWC2)을 작동 제어하고, 만일 이들 고유 어드레스가 일치하는 경우에는, 중앙처리장치(CPU5)에서 오디오출력 접속제어유닛(SWC2)의 작동을 제어하여 오디오 증폭기(Amp)로부터의 오디오신호가 방송코져 하는 해당 스피커(S1∼SM)를 통해서 외부로 출력되도록 한다. 일예로, 아파트 제1동 전체가 선택되었다면 제1오디오 수신장치(RX1)에 연결된 전체 스피커(S1∼SM)를 통해서 오디오가 방송되고, 아파트 제1동 중에서 제1001호와 제1101호가 선택되었다면 제1오디오 수신장치(RX1)에 연결된 전체 스피커(S1∼SM)중에서 제1001호와 제1101호에 설치된 스피커(S1,S101 )를 통해서만 오디오가 방송된다. 또한, 상기 제4위상차동변조유닛(PDMc)의 UTP케이블 접속기(10)를 통해서 입력되는 메인 제어장치(TI)로부터의 UTP전송 제어신호는, 제어신호 위상차동변조기(11)로 입력되면서, 제5위상차동변조유닛(PDMd)의 UTP케이블 접속기(10)로 입력되고, 오디오신호 위상차동입력기(12)로부터의 잡음이 제거된 오디오신호는, 오디오 증폭기(Amp)로 입력되면서, 제5위상차동변조유닛(PDMd)의 오디오신호 위상차동출력기(13)로 입력되어 UTP전송 오디오신호로 변환된 후에 UTP케이블 접속기(10)로 입력되며, 제5위상차동변조유닛(PDMd)의 UTP케이블 접속기(10)로 입력되는 UTP전송 제어신호와 UTP전송 오디오신호는 케이블을 통해서 다음 오디오 수신장치(RX1∼RXN)의 제4위상차동변조유닛(PDMc)의 UTP케이블 접속기(10)로 전송된다. 한편, 상기 중앙처리장치(CPU5)는 제4위상차동변조유닛(PDMc)의 제어신호 위상차동변조기(11)의 작동을 제어하여 제어신호 위상차동입력기 상태의 제어신호 위상차동변조기(11)를 제어신호 위상차동출력기 상태로 전환한 후에, 작동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해당 제어신호 위상차동변조기(11)로 출력한다. 상기 중앙처리장치(CPU5)로부터 제어신호 위상차동변조기(11)로 입력되는 제어신호는, 제어신호 위상차동변조기(11)에 의해 UTP전송 제어신호로 변환된 후에, UTP케 이블 접속기(10)로 출력된다. 이러한, 상기 UTP케이블 접속기(10)로 입력되는 제어신호 위상차동변조기(11)로부터의 UTP전송 제어신호는, 이전 오디오 수신장치(RX1∼RXN)의 제5위상차동변조유닛(PDMd)을 구성하는 UTP케이블 접속기(10)로 전송{2번째 순번 이상의 오디오 수신장치(RX2∼RXN)의 경우}되거나, 메인 제어장치(TI)의 제2위상차동변조유닛(PDMa)으로 전송{제1오디오 수신장치(RX1)의 경우}된다. 상기 오디오 수신장치(RX1∼RXN)로부터 메인 제어장치(TI)의 제2위상차동변조유닛(PDMa)를 구성하는 제어신호 위상차동변조기(11)로 입력되는 제어신호는 제어신호 위상차동입력기 상태의 제어신호 위상차동변조기(11)에 의해 잡음이 제거된 제어신호로 복원된 후에 메인 제어장치(TI)의 중앙처리장치(CPU2)를 통해서 보조 제어장치(SC)의 중앙처리장치(CPU1)로 입력된다. 상기 보조 제어장치(SC)의 중앙처리장치(CPU1)에서는 메인 제어장치(TI)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수신장치(RX1∼RXN)로부터의 제어신호를 매개로 오디오 수신장치(RX1∼RX N)가 정상적으로 작동되고 있는지를 판별한 후에, 판별결과를 출력유닛(O1)을 통해서 가시적으로 외부로 출력하게 되므로, 아파트단지 통합 관리실의 관리자가 출력유닛(O1)을 통해서 오디오 수신장치(RX1'∼RXN')의 작동상태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아파트단지 통합 관리실의 관리자가 보조 제어장치(SC)의 제어신호 입력유닛(CI1)을 조작하여 방송코져하는 동수나 호수에 해당하는 오디오신호 전달경 로를 선택하면, 선택된 동수나 호수에 해당하는 제어신호가 이의 중앙처리장치(CPU1)로부터 메인 제어장치(TI)로 출력되고, 오디오 입력유닛(AI)으로부터의 오디오신호가 오디오 믹서(Mix1)를 통해서 메인 제어장치(TI)로 출력되는데, 메인 제어장치(TI)로 출력되는 오디오신호가 적절한 형태를 이루도록, 제어신호 입력유닛(CI1)을 조작하여 오디오 믹서(Mix1)의 작동을 제어한다. 한편, 상기 출력유닛(O1)은 중앙처리장치(CPU1)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보조 제어장치(SC)가 현재 사용되고 있고, 어떠한 방송경로가 선택되었는지 등의 정보를 인식가능하게 외부로 출력하게 된다.
상기 보조 제어장치(SC)로부터의 오디오신호는 메인 제어장치(TI)의 오디오 믹서(Mix2)를 통해서 제2위상차동변조유닛(PDMa)의 오디오신호 위상차동출력기(13)로 입력되어 UTP전송 오디오신호로 변환된 후에 UTP케이블 접속기(10)를 통해서 UTP케이블로 출력된다. 상기 메인 제어장치(TI)의 중앙처리장치(CPU2)로 보조 제어장치(SC)로부터의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중앙처리장치(CPU2)에서 제2위상차동변조유닛(PDMa)의 제어신호 위상차동변조기(11)를 작동 제어하여 제어신호 위상차동입력기 상태의 제어신호 위상차동변조기(11)를 제어신호 위상차동출력기 상태로 전환한 후에, 방송경로에 해당하는 오디오 수신장치(RX1∼RXN)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제어신호 위상차동변조기(11)로 출력한다. 한편, 상기 메인 제어장치(TI)의 중앙처리장치(CPU2)로 보조 제어장치(SC)로부터의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중앙처리장치(CPU2)에서 제1위상차동변조유닛(PDM1∼PDMX)들의 제어신호 위상 차동변조기(11)를 작동 제어하여 제어신호 위상차동입력기 상태의 제어신호 위상차동변조기(11)를 제어신호 위상차동출력기 상태로 전환한 후에, 각 오디오 입력장치(RC1∼RCX)들의 작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제어신호 위상차동변조기(11)로 출력한다.
상기 보조 제어장치(SC)를 이용한 오디오 방송에 있어서, 메인 제어장치(TI)와 오디오 수신장치(RX1∼RXN) 간의 상호 연계 작동과, 메인 제어장치(TI)와 오디오 입력장치(RC1∼RCX) 간의 상호 연계 작동은, 앞서 설명한 바 있는 오디오 입력장치(RC1∼RCX)를 이용한 오디오 방송과 같거나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와 같이 보조 제어장치(SC)를 이용하여 통합 방송시스템을 관리하게 되면, 아파트단지 통합 관리실의 관리자가 출력유닛(O1)을 통해서 오디오 수신장치(RX1'∼RXN')의 작동상태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아파트단지가 정전되면, 상기 보조 제어장치(SC)를 제외한 다른 구성요소의 경우에는, 비상용 발전기로부터 전원 공급이 이루짐과 동시에 자동으로 빠르게 재작동되지만, 보조 제어장치(SC)의 경우에는, 별도의 전원스위치를 조작해서 수동으로 재작동시켜야 하고, 재작동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화재나 대형사고 등과 같이 정전 후에 빠른 방송을 통한 대처가 요구되는 경우에는, 메인 제어장치(TI)를 직접 이용하여 통합 방송시스템을 빠르고 신속하게 작동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의 작동상태를 설명해 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아파트단지 통합 관리실의 관리자가 메인 제어장치(TI)의 제어신호 입력유닛(CI2)을 구성하는 비상방송스위치(SW1)를 누르게 되면, 중앙처리장치(CPU2)에서 제2위상차동변조유닛(PDMa)의 제어신호 위상차동변조기(11)를 작동 제어하여 제어신호 위상차동입력기 상태의 제어신호 위상차동변조기(11)를 제어신호 위상차동출력기 상태로 전환한 후에, 모든 오디오 수신장치(RX1∼RXN)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제어신호 위상차동변조기(11)로 출력하는 한편, 중앙처리장치(CPU2)에서 제1위상차동변조유닛(PDM1∼PDMX)들의 제어신호 위상차동변조기(11)를 작동 제어하여 제어신호 위상차동입력기 상태의 제어신호 위상차동변조기(11)를 제어신호 위상차동출력기 상태로 전환한 후에, 오디오 입력장치(RC1∼RCX)들의 작동을 정지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제어신호 위상차동변조기(11)들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어신호 입력유닛(CI2)에 의한 작동상태는 중앙처리장치(CPU2)에 의해 작동 제어되는 출력유닛(O2)를 통해서 가시적으로 외부로 출력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마이크기구(MD2)의 마이크 작동제어스위치(PSW2)를 OFF상태에서 ON으로 전환하면, 마이크(Mic2)로부터의 오디오신호가 마이크 작동제어스위치(PSW2)를 통해서 오디오 볼륨스위치(BSW1)로 전달되어 볼륨조절되어진 후, 오디 오 믹서(Mix2)를 통해서 제2위상차동변조유닛(PDMa)의 오디오신호 위상차동출력기(13)로 입력되고, 위상차동출력기(13)로 입력되는 오디오 믹서(Mix2)로부터의 오디오신호는 위상차동출력기(13)에 의해 UTP전송 오디오신호로 변환되어 UTP케이블 접속기(10)를 통해서 UTP케이블로 출력된다.
한편, 상기 메인 제어장치(TI)를 이용한 오디오 방송에 있어서, 메인 제어장치(TI)와 오디오 수신장치(RX1∼RXN) 간의 상호 연계 작동과, 메인 제어장치(TI)와 오디오 입력장치(RC1∼RCX) 간의 상호 연계 작동은, 앞서 설명한 바 있는 오디오 입력장치(RC1∼RCX)를 이용한 오디오 방송이나, 보조 제어장치(SC)를 이용한 오디오 방송과 같거나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와 같이 메인 제어장치(TI)를 이용하여 통합 방송시스템을 직접 통제하게 되면, 아파트단지 통합 관리실의 관리자가 비상시에 아파트단지의 모든 가구로 빠르게 긴급 방송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메인 제어장치(TI)를 통한 긴급 방송은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는데, 일예로 정전되지 않은 정상적인 전원공급상태에서, 보조 제어장치(SC)를 이용한 오디오 방송중이거나, 임의의 오디오 입력장치(RC1∼RCX)를 이용한 오디오 방송중이라도, 메인 제어장치(TI)의 제어신호 입력유닛(CI2)을 조작하여 아파트단지의 모든 가구로 마이크기구(MD2)로부터의 오디오신호를 즉시 비상 방송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범위를 벗 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예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렌발생스위치(SW2), 차임벨발생스위치(SW3)를 제어신호 입력유닛(CI2)에 보강 설치하고, 중앙처리장치(CPU2)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자체 저장된 사이렌이나 차임벨을 오디오 믹서(Mix2)로 출력하는 경고음 발생기(BG)를 메인 처리유닛(MP2)에 보강 설치해서, 사이렌이나 차임벨을 방송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이의 작동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발광다이오드(LED2,LED3)를 출력유닛(O2)에 보강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통합 방송시스템을 별도의 소방시스템과 연계작동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화재가 발생되면 소방시스템으로부터 통합 방송시스템을 구성하는 메인 제어장치(TI)의 중앙처리장치(CPU2)로 비상신호가 출력되고, 메인 제어장치(TI)의 중앙처리장치(CPU2)로 소방시스템으로부터의 비상신호가 입력되면, 메인 제어장치(TI)를 통한 긴급방송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상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오디오 입력장치(RC1∼RCX ; RC)들이 UTP케이블을 매개로 메인 제어장치(TI)에 개별적으로 직접 연결되고, 오디오 수신장치(RX1∼RXN ; RX)들이 UTP케이블을 매개로 메인 제어장치(TI)에 순차적으로 직렬 연결되므로, 통합 방송시스템의 구조가 획기적으로 단순화되고, 배선작업이 편리하게 되어 설치비용이 크게 절감되고, 오디오 입력장치(RC1∼RCX ; RC)와 메인 제 어장치(TI)의 전송길이나, 메인 제어장치(TI)와 오디오 수신장치(RX1∼RXN ; RX)의 전송길이, 또는 오디오 수신장치(RX1∼RXN ; RX)들 간의 전송길이가 길어지더라도, 잡음으로 인한 구성요소들의 오작동이나, 잡음으로 인한 방송 음질의 저하가 크게 억제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오디오신호와, 방송을 위한 오디오신호 전달경로를 메인 제어장치(TI)로 출력하는 다수의 오디오 입력장치(RC1∼RCX ; RC)와 ;
    이들 오디오 입력장치(RC1∼RCX ; RC)와 UTP케이블을 매개로 개별적으로 연결되어, 각 오디오 입력장치(RC1∼RCX ; RC)의 작동을 제어하는 한편, 오디오신호와, 방송을 위한 오디오신호 전달경로를 및, 오디오 수신장치(RX1∼RXN ; RX)의 작동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UTP케이블을 통해 출력하는 메인 제어장치(TI) ;
    메인 제어장치(TI)에 연결되어, 오디오신호와, 방송을 위한 오디오신호 전달경로를 메인 제어장치(TI)로 출력하고, 메인 제어장치(TI)의 작동을 제어하면서, 메인 제어장치(TI)로부터 작동 상태를 입력받아서 각 구성요소들의 작동상태를 가시적으로 외부로 출력하는 보조 제어장치(SC) 및;
    UTP케이블을 매개로 메인 제어장치(TI)에 순차적으로 직렬 연결되어, 메인 제어장치(TI)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서, 메인 제어장치(TI)로부터의 오디오신호를 해당 스피커(S1∼SM)로 출력하고, 작동상태를 메인 제어장치(TI)로 출력하는 다수의 오디오 수신장치(RX1∼RXN ; RX)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방송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제어장치(SC)는,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제어신호 입력유닛(CI1)과 ;
    방송을 위한 오디오신호를 입력하는 오디오 입력유닛(AI) ;
    제어신호 입력유닛(CI1)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오디오 입력유닛(AI)으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신호와, 메인 제어장치(TI)의 작동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메인 제어장치(TI)로 출력하고, 메인 제어장치(TI)로부터 작동 상태를 입력받아서 각 구성요소들의 작동상태를 출력유닛(O1)을 통해서 가시적으로 외부로 출력하는 메인 처리유닛(MP1) 및;
    메인 처리유닛(MP1)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각 구성요소들의 작동상태를 가시적으로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유닛(O1)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방송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제어장치(TI)는, 메인 처리유닛(MP2)과 마이크기구(MD2)로 이루어지되,
    메인 처리유닛(MP2)은,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제어신호 입력유닛(CI2)과 ; 보조 제어장치(SC)로부터의 제어신호와 제어신호 입력유닛(CI2)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오디오 수신장치(RX1∼RXN)의 작동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제2위상차동변조유닛(PDMa)로 출력하는 중앙처리장치(CPU2) ; 중앙처리장치(CPU2)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중앙처리장치(CPU2)의 작동상태를 가시적으로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유닛(O2) ; UTP케이블을 매개로 각 오디오 입력장치(RC1∼RCX ; RC)에 개별적으로 연결되어, 해당 오디오 입력장치(RC1∼RCX ; RC)로부터의 오디오신호를 오디오출력 접속제어유닛(SWC3)으로 전송하고, 해당 오디오 입력장치(RC1∼RCX ; RC)로부터의 제어신호를 중앙처리장치(CPU2)로 전송하는 한편, 중앙처리장치(CPU2)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중앙처리장치(CPU2)로부터의 제어신호를 UTP케이블을 통해서 해당 오디오 입력장치(RC1∼RCX ; RC)로 출력하는 다수의 제1위상차동변조유닛(PDM1∼PDMX) ; 제1위상차동변조유닛(PDM1∼PDMX)들에 개별적으로 연결되고, 중앙처리장치(CPU2)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제1위상차동변조유닛(PDM1∼PDMX)들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신호를 선택적으로 오디오 믹서(Mix2)로 출력하는 오디오출력 접속제어유닛(SWC3) ; 마이크기구(MD2)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신호의 볼륨을 조절하는 오디오 볼륨스위치(BSW1) ; 보조 제어장치(SC)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신호나 오디오 볼륨스위치(BSW1)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신호, 또는 오디오출력 접속제어유닛(SWC3)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신호를 개별적으로 제2위상차동변조유닛(PDMa)로 출력하거나, 이들을 혼합하여 제2위상차동변조유닛(PDMa)로 출력하는 오디오 믹서(Mix2) ; 중앙처리장치(CPU2)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중앙처리장치(CPU2)로부터의 제어신호와, 오디오 믹서(Mix2)로부터의 오디오신호를 각각 UTP전송 제어신호와 UTP전송 오디오신호로 전환하여 UTP케이블로 출력하거나, UTP케이블을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수신장치(RX1∼RXN ; RX)로부터의 UTP전송 제어신호를 제어신호로 복원하여 중앙처리장치(CPU2)로 출력하는 제2위상차동변조유닛(PDMa)로 이루어지고,
    마이크기구(MD2)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를 전기적인 오디오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마이크(Mic2)와, 마이크(Mic2)로부터의 오디오신호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수동형 마이크 작동제어스위치(PSW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방송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입력장치(RC1∼RCX ; RC)는, 메인 처리유닛(MP3)과 마이크(Mic3)로 이루어지되,
    메인 처리유닛(MP3)은,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제어신호 입력유닛(CI3)과 ; 제어신호 입력유닛(CI2)으로부터의 제어신호와, 메인 제어장치(TI)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마이크 작동제어스위치(PSW3)의 작동을 제어하고, 임의의 오디오 수신장치(RX1∼RXN)를 작동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제3위상차동변조유닛(PDMb)으로 출력하는 중앙처리장치(CPU3) ; 중앙처리장치(CPU3)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중앙처리장치(CPU3)의 작동상태를 가시적으로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유닛(O3) ; 마이크(Mic3)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신호 의 볼륨을 조절하는 오디오 볼륨스위치(BSW2) ; 중앙처리장치(CPU3)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오디오 볼륨스위치(BSW2)를 통해서 입력되는 마이크(Mic3)로부터의 오디오신호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마이크 작동제어스위치(PSW3) ; 중앙처리장치(CPU3)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중앙처리장치(CPU3)로부터의 제어신호와, 마이크 작동제어스위치(PSW3)로부터의 오디오신호를 각각 UTP전송 제어신호와 UTP전송 오디오신호로 전환하여 UTP케이블로 출력하거나, UTP케이블을 통해 입력되는 메인 제어장치(TI)로부터의 UTP전송 제어신호를 제어신호로 복원하여 중앙처리장치(CPU2)로 출력하는 제3위상차동변조유닛(PDMb)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방송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수신장치(RX1∼RXN ; RX)는,
    UTP케이블을 통해 입력되는 메인 제어장치(TI)로부터의 UTP전송 제어신호를 제5위상차동변조유닛(PDMd)으로 출력하면서, 이를 제어신호로 복원하여 중앙처리장치(CPU5)로 출력하고, 메인 제어장치(TI)로부터의 UTP전송 오디오신호를 오디오신호로 복원하여 오디오 증폭기(Amp)와 제5위상차동변조유닛(PDMd)으로 출력하며, 중앙처리장치(CPU5)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중앙처리장치(CPU5)로부터의 제어신호를 UTP전송 제어신호로 전환하여 UTP케이블을 통해 메인 제어장치(TI)로 출력하는 제4위상차동변조유닛(PDMc)과 ;
    제4위상차동변조유닛(PDMc)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오디오출력 접속제어유닛(SWC2)의 작동을 제어하고, 작동상태를 알리기 위한 제어신호를 제4위상차동변조유닛(PDMc)으로 출력하는 중앙처리장치(CPU5) ;
    제4위상차동변조유닛(PDMc)으로부터의 오디오신호를 증폭하여 전송손실을 보상하는 오디오 증폭기(Amp) ;
    중앙처리장치(CPU5)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오디오 증폭기(Amp)로부터의 오디오신호를 임의의 스피커(S1∼SM)로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오디오출력 접속제어유닛(SWC2) 및;
    제4위상차동변조유닛(PDMc)로부터의 제어신호를 UTP케이블을 통해 다음 오디오 수신장치(RX1∼RXN ; RX)로 출력하면서, 제4위상차동변조유닛(PDMc)로부터의 오디오신호를 UTP전송 오디오신호로 변환하여 UTP케이블을 통해 다음 오디오 수신장치(RX1∼RXN ; RX)로 출력하는 제5위상차동변조유닛(PDMd)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방송시스템.
KR20030074522A 2003-10-24 2003-10-24 통합 방송시스템 KR1005508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74522A KR100550838B1 (ko) 2003-10-24 2003-10-24 통합 방송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74522A KR100550838B1 (ko) 2003-10-24 2003-10-24 통합 방송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30033365U Division KR200344948Y1 (ko) 2003-10-24 2003-10-24 통합 방송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9129A KR20050039129A (ko) 2005-04-29
KR100550838B1 true KR100550838B1 (ko) 2006-02-10

Family

ID=37241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30074522A KR100550838B1 (ko) 2003-10-24 2003-10-24 통합 방송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08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7670B1 (ko) 2010-04-20 2011-08-18 주식회사 에이디지털미디어 사운드 네트워크 전송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7670B1 (ko) 2010-04-20 2011-08-18 주식회사 에이디지털미디어 사운드 네트워크 전송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9129A (ko) 2005-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47712A1 (en) Scalable, distributed architecture for fully connected network intercom system
US5887067A (en) Audio communication system for a life safety network
US9774966B1 (en) Multi-speaker control from single smart master speaker
CN101095371A (zh) 改进的寻呼系统
KR102307739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출력장치의 제어가 가능한 전관방송 시스템
US11501756B2 (en) Smart speaker system
KR100550838B1 (ko) 통합 방송시스템
KR101965825B1 (ko) 스피커 자가 진단제어 스마트 방송시스템
KR100417495B1 (ko) 매트릭스 회로를 통한 스피커 및 앰프 제어구조를 갖는방송시스템
KR200344948Y1 (ko) 통합 방송시스템
KR102340276B1 (ko) PoE 스위칭 허브를 이용한 IP 네트워크 기반 방송시스템
JP3916754B2 (ja) 自動火災報知システム
CN106788831A (zh) 一种应急广播系统
KR100613417B1 (ko) 통합 방송시스템
KR101927740B1 (ko) AoIP 기반 현장 음향 센터 시스템
KR100671940B1 (ko) 중앙 방송과 국부 방송의 통합이 가능한 방송 장치
US8411875B2 (en) Speaker control via audio connection
JP3553802B2 (ja) 共同住宅用火災報知システム
KR100588483B1 (ko) 단선 스피커 시스템
KR20030012952A (ko) 네트워크 기반의 디지털 원격 제어 전관 방송 시스템
KR100879754B1 (ko) 식별자를 이용한 공중 방송 스피커 시스템
KR100661076B1 (ko) 비상 통제 시스템
KR102152257B1 (ko) 스마트폰 운영체제 기반의 전관방송 시스템용 멀티스피커 컨트롤러
CN116455494A (zh) 广播系统功率放大设备智能检测和备份系统
KR20140005650A (ko) 스피커개별제어기능이 구비된 전관방송출력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