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1940B1 - 중앙 방송과 국부 방송의 통합이 가능한 방송 장치 - Google Patents

중앙 방송과 국부 방송의 통합이 가능한 방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1940B1
KR100671940B1 KR1020060023408A KR20060023408A KR100671940B1 KR 100671940 B1 KR100671940 B1 KR 100671940B1 KR 1020060023408 A KR1020060023408 A KR 1020060023408A KR 20060023408 A KR20060023408 A KR 20060023408A KR 100671940 B1 KR100671940 B1 KR 1006719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ing
signal
broadcast
local
cent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3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병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특수에이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특수에이브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특수에이브이
Priority to KR1020060023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19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1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19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28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broadcast of plural pieces of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61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local area broadcast, e.g. instore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격지로부터의 중앙 방송과 국부 방송에 통합 사용이 가능한 방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중앙 방송 신호와 국부 방송 신호가 동시에 입력될 경우에 중앙 방송 신호가 우선적으로 출력되도록 하는 방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방송 장치는 건물 내의 중앙 통제실 즉 원격지로부터 입력되는 중앙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중앙 방송 입력부와 중앙 방송이 출력되는 스피커가 장착된 해당 국부지역 내에서 자체적으로 입력되는 국부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국부 방송 입력부를 포함하고, 입력되는 중앙 신호의 유/무를 검출하는 신호 검출부와, 중앙 방송 신호와 국부 방송 신호 중 하나를 선택하는 방송 신호 선택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 같은 양상에 따라 중앙 방송과 국부 방송의 통합 사용이 가능하고, 별도의 방송 설비를 추가해야하는 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방송, 전관방송, 국부방송, 중앙방송, 로컬방송

Description

중앙 방송과 국부 방송의 통합이 가능한 방송 장치{Broadcasting Apparatus Capable using for both Main Broadcasting and Local Broadcasting}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전관 방송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중앙 방송 입력부 210: 국부 방송 입력부
220: 신호 검출부 230: 방송 신호 선택부
240: 방송 출력부 245: 바이패스부
250: 전원 공급부 255: 전원 감지부
본 발명은 중앙 방송과 국부 방송에 통합 사용이 가능한 방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중앙 방송 신호와 국부 방송 신호가 동시에 입력될 경우에 중앙 방송 신호가 우선적으로 출력되도록 하는 방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일반적인 중앙방송인 전관 방송 시스템은 학교, 기업체, 빌딩, 아파트 등 공중 설비에 대한 안내방송, 음악방송 등에 사용되는 다목적 방송 시스템이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전관 방송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일반적인 전관 방송 시스템은 음원 발생 장치(100)와 전관 방송 제어 장치(110)와 오디오 매트릭스(120)와 파워 앰프(130)와 릴레이 그룹(1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음원 발생 장치(100)에서 발생한 아날로그 음원은 전관방송 제어장치(110)의 제어 동작에 따라 오디오 매트릭스(120)를 통해 믹싱 및 디지탈 변환되고, 파워 앰프(130)를 통해 증폭되어 릴레이 그룹(140)을 통해 선택된 스피커로 출력되는 동작을 한다. 전관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출원인에 의해 기 출원된 등록 특허 공보 10-0420163호에 이미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전관 방송 시스템의 경우 각 교실 혹은 회의실마다 스피커가 연결되어 있어서, 중앙 통제실 즉 원격지에서 입력되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나 최근 학교의 교실이나 기업체의 회의실에서 자체 활용 용도로 멀티미디어 기기의 이용이 증가하고 있다. 예를들어 학교에서는 한 교실에서 자체적으로 멀티미디어 기기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중앙의 방송실과 별도로 각 회의실 또는 강의실마다 방송 설비를 갖출 경우 많은 투자가 필요하다. 또 이 경우 방송실의 중앙 방송이 국부 방송 설비에 의해 차단되어 예를들면 경보 방송등이 전파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에 이러한 스피커의 통합 사용을 위해서는 별도의 제어용 배선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이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 중앙 방송과 국부 방송에 모두 통합 사용이 가능한 국부 방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원격지의 중앙 방송이 국부 방송에 의해 차단되지 않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은 별도의 제어용 배선 없이 중앙 방송과 국부 방송이 통합 가능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방송 장치는 건물 내의 중앙 통제실 즉 원격지로부터 입력되는 중앙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중앙 방송 입력부와 중앙 방송이 출력되는 스피커가 장착된 해당 국부지역 내에서 자체적으로 입력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국부 방송 입력부를 포함하고, 입력되는 원격 신호의 유/무를 검출하는 신호 검출부와, 신호 검출부의 신호 검출 결과에 따라 방송 출력부를 통해 스피커로 출력할 방송 신호를 결정하는 방송 신호 선택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 같은 양상에 따라 중앙 방송과 국부 방송의 통합 사용이 가능하고, 별도의 방송 설비를 추가함에 따라 발생되는 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신호 검출부와 방송신호 선택부를 포함하여 신호 검출부에서 중앙 방송 신호의 입력이 검출되면 방송 신호 선택부는 국부 방송 신호를 차단하거나, 국부 방송 신호의 볼륨을 줄인다.
본 발명의 이 같은 양상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제어용 배선 없이 중앙 방송 신호에 우선순위를 부여할 수 있기 때문에 구조가 간단해지고 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장치는 전원의 공급여부를 감지하는 전원 감지부와, 공급되는 전원이 없으면 방송 출력부를 중앙 방송 입력부와 바이패스 연결시키는 바이패스부를 포함한다.
이 같은 양상에 따라 국부 방송이 차단된 경우라도 경보 방송 등의 중앙 방송은 가능하여 비상시에 대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실시예들을 통하여 이하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장치는 음원 발생 장치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국부 방송 입력부(210)와, 원격지의 중앙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중앙 방송 입력부(200)와, 원격지로부터 입력되는 중앙 방송 신호를 검출하는 신호 검출부(220)와, 신호 검출부(220)에서 신호가 검출되면 중앙 방송 신호를 우선적으로 선택하는 방송 신호 선택부(230)와, 방송 신호 선택부(230)에서 선택된 방송 신호를 스피커로 출력하는 방송 출력부(240)를 포함한다.
국부 방송 입력부(210)는 건물 일부 지역에서 음원 발생장치로부터 방송 신 호를 수신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건물 일부 지역이라 함은 예를들어 학교 건물 중 하나의 교실이나, 기업체 건물 중 하나의 회의실이 될 수 있다. 즉, 통상적인 전관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신호가 출력될 스피커가 장착된 단위 부분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국부 방송 입력부(210)는 시디플레이어(CD player), 카세트 데크(Cassete Deck), 튜너(Tuner), 무선 마이크(Wireless Mike), 마이크로폰(Microphon), 리모우트 앰프(Remote Amp) 등의 음원 발생장치로부터 입력된 음원을 방송신호로 변환한다. 즉, 입력된 아날로그 음원을 믹싱 및 디지털(Digital) 변환한다.
중앙 방송 입력부(200)는 통상적인 전관 방송 시스템으로부터 중앙 방송 신호를 수신한다. 예를들어 학교 건물의 전관 방송 시스템에 있어서, 원격지는 교무실이나 방송실이 될 수 있다. 이 때에 통상적인 전관 방송 시스템에서 입력되는 음원은 시디플레이어(CD player), 카세트 데크(Cassete Deck), 튜너(Tuner), 무선 마이크(Wireless Mike), 마이크로폰(Microphon), 리모우트 앰프(Remote Amp)등의 음원 발생 장치로부터 입력된다. 그리고 입력된 아날로그 음원을 믹싱(Mixing) 및 디지털(Digital) 변환하고, 릴레이 그룹을 통해 선택된 스피커로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중앙 방송 입력부(200)는 릴레이 그룹을 통해 해당 국부 지역으로 선택된 중앙 방송 신호를 수신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중앙 방송 입력부(200)로 공급되는 오디오 신호는 약 100V의 큰 신호이다. 이 신호를 내부의 전자회로에 적용하기 위해 미소신호로 줄이기 위한 감압 트랜스를 포함한다.
신호 검출부(220)는 DSP(Digital Signal Processing)칩 혹은 OP앰프를 이용한 검파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신호 검출부(220)는 중앙 방송 입력부(20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의 유/무를 검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신호 검출부의 검파 회로는 교류 오디오 신호인 중앙 방송 신호를 직류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예를들어 입력되는 신호가 있으면 하이값을 출력하고, 입력되는 신호가 없으면 로우값을 출력할 수 있다.
방송 신호 선택부(230)는 신호 검출부(220)로부터의 신호 검출 결과에 따라 방송 출력부(240)를 통하여 스피커로 출력할 방송 신호를 선택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방송 신호 선택부(230)는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로 구현될 수 있다. 방송 신호 선택부(230)는 입력되는 국부 방송 입력부(210)와 중앙 방송 입력부(200)로부터 입력되는 방송 신호 중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방송 신호 선택부(230)는 신호 검출부(220)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에 따라 신호의 검출이 없으면 국부 방송 신호를 선택하고, 신호가 검출되면 중앙 방송 신호를 선택한다. 이 경우에 신호 검출부(220)에서 중앙 방송 신호의 신호가 검출되면, 국부 방송 신호는 차단되도록 구현된다. 즉, 중앙 방송 입력부(20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가 없으면 국부 방송 입력부(21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출력하고, 중앙 방송 입력부(20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가 있으면, 중앙 방송 신호가 우선적으로 출력되도록 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방송 신호 선택부(230)는 방송 검출부(220)로부터 중앙 방송 신호의 입력이 검출되면, 국부 방송 신호의 볼륨을 낮추도록 구현될 수 있다. 방송 신호 선택부는 국부 방송 신호의 볼륨을 낮춘 상태에서 입력되는 중앙 방송 신호와 믹싱된 신호가 출력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방송 출력부(240)는 신호 선택부에서 선택된 방송신호를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방송 출력부(240)는 중앙 방송 신호 혹은 국부 방송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증폭하여 가청음으로 출력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적인 양상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장치가 방송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250)를 더 포함하되, 전원 공급부(250)가 전원 공급부(25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감지하는 전원 감지부(255)를 더 포함한다.
전원 공급부(250)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장치에 메인 전원을 공급하는 통상적인 전원 공급 장치이다.
전원 감지부(255)는 전원 공급부(250)로부터 방송 장치에 공급되는 메인 전원을 감지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라 방송 출력부(240)가 전원 감지부(255)에서 감지되는 전원 공급이 없을 때에 중앙 방송 입력부(200)를 방송 출력부(240)로 직접 연결하는 바이패스부(24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이패스부(245)는 릴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바이패스부(245)는 전원 감지부(255)의 전원 감지 결과 전원 공급부(250)에서 전원 공급이 없으면, 중앙 방송 입력부(200)가 방송 출력부(240)로 바이패스 되도록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회로도이 다.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방송 입력부(200)는 그 음원을 중앙 통제실이나 주 방송실등의 원격지로부터 입력되는 중앙 방송 신호를 수신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장치로 입력되는 중앙 방송 입력부(200)는 통상적인 전관 방송 시스템의 출력부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중앙 방송 신호는 이미 릴레이 그룹에서 해당 국부 방송 시스템의 스피커로 출력되도록 스위칭된 상태의 음원임은 자명하다. 그리고 주 방송실의 앰프로부터 출력된 음원에 대하여 임피던스 정합을 위한 임피던스 정합부와 라인 앰프(LA)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임피던스 정합부는 반사 손실이 없도록 양자의 임피던스를 같게하기 위한 것으로, 공지된 구성이다. 라인 앰프는 프리앰프의 일종으로 공지된 구성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라인앰프는 전관 방송 입력부를 통해 입력 입력될 방송 신호를 정리하여 일정한 신호치로 만들고, 신호치의 성질이나 크기를 조절한다.
국부 방송 입력부(210)는 다수개의 입력 핀을 포함하며, 입력 핀을 통하여 입력되는 소스 음원을 증폭하고, 임피던스 정합을 하고, 믹싱하여 스피커로 출력하기에 적합한 형태의 신호가 되도록 처리하여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국부 방송 입력부(210)는 마이크 입력 혹은 시디플레이어등과 같은 음원 발생 장치와 연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외부입력을 포함한다.
신호 검출부(220)는 임피던스 정합부, 증폭부, 검파회로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신호 검출부(220)는 교류 형태의 오디오 신호인 중앙 방송 신호를 증폭하고, 그 신호를 검파회로를 통해 직류 신호로 변환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검파회로는 OP 앰프(Operational Amplifier)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자명한 변형예들을 포괄하도록 해석된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라, 방송 신호 선택부(230)는 국부 방송 신호가 입력되면 국부 방송 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나 국부 방송 신호가 입력되는 도중이라도 중앙 방송 신호의 입력이 있으면, 즉 신호 검출부(220)의 검출 결과에 따라 중앙 방송 신호가 우선적으로 출력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방송 신호 선택부(230)는 범용의 스위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선로 전환용 릴레이나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방송 신호 선택부(230)가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경우에 중앙 방송 신호의 초기 신호는 국부 방송 신호와 함께 약 1초간 믹싱되어 방송되고, 약 1초 후에 국부 방송 신호가 차단되기 때문에 초기 음절의 단절이 생기지 않는 효과가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방송 신호 선택부(230)는 신호 검출부(220)로부터의 입력값에 따라 구동되며, 방송 신호 선택부(230)의 온/오프 상태에 따라 방송 출력부(240)를 통하여 스피커로 출력할 방송 신호를 선택한다. 방송 신호 선택부(230)에서 신호 검출부(220)로부터 입력되는 중앙 방송 신호는 가산기(241) 입력부의 트랜지스터를 통작시켜 국부 방송 신호를 차단하고 중앙 방송 신호를 우선적으로 내보낸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방송 신호 선택부(230)에 포함된 스위치는 신호 검출부(22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값에 따라 온/오프를 수행한다. 평상시 스위치는 온상태로 실제로 국부 방송 신호 입력부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스피커로 출력할 수 있는 상태이다. 그러다가 중앙 방송 신호 입력이 있으면, 신호 검출부(2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하이값을 출력할 것이다. 그러면 방송 신호 선택부(230)의 스위치는 오프가 된다. 도 3의 회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가 오프된 경우에 국부 방송 입력부(210)로부터 입력되는 방송 신호는 차단된다. 그리고 중앙 방송 입력부(200)로부터 입력되는 방송 신호가 출력된다. 중앙 방송 신호의 입력이 유지되는 동안 스위치는 오프 상태를 유지한다.
중앙 방송 신호가 끊어지는 경우에 상술한 바와 같이 신호 검출부(220)는 로우값을 출력한다. 이 경우 방송 신호 선택부(230)의 스위치는 다시 온 상태가 되고 이 경우에는 국부 방송 입력부(210)로부터 입력되는 방송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회로가 연결되는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방송 신호 선택부(230)는 믹서로 구현될 수 있다. 신호 검출부(220)로부터 신호 검출이 있으면 국부 방송 입력부(210)로부터 입력되는 국부 방송 신호의 볼륨은 낮추고, 중앙 방송 신호의 볼륨을 크게하여 믹싱된 방송 신호를 출력한다.
방송 출력부(240)는 가산기(241)와 파워 앰프(242)와 오디오 트랜스를 포함하고, 스피커를 통하여 방송신호를 가청음으로 출력한다. 파워앰프(242)는 메인앰프라고도 하며, 파워 앰프(242)와 오디오 트랜스는 가산기(241)로부터 조절되어 나온 미세한 신호를 받아 스피커를 울려줄 수 있을만한 크기로 증폭시킨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방송 출력부(240)는 방송 신호 선택부(230)에서 선택된 신호를 스피커로 출력한다. 스위치가 온 상태일 경우에는 국부 방송신호와 중앙 방송 신호가 모두 출력될 수 있는 회로가 구성되지만, 사실상 중앙 방송 신호가 없을 때에만 스위치가 온 상태이기 때문에 국부 방송 입력부(210)로부터 입력되는 방송 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중앙 방송 신호의 입력이 있는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국부 방송 입력부(210)로부터의 방송 신호 입력 경로가 차단되거나 그 볼륨이 작아지기 때문에 중앙 방송 입력부(200)로부터 입력되는 방송 신호를 우선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바이패스부(245)는 릴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릴레이는 전자석을 이용하여 접점을 스위칭 하는 장치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전원 공급 장치로부터 전원의 공급이 없으면, 중앙 방송 입력부(200)와 방송 출력부(240)사이에 바이패스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이 같은 양상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르면, 중앙 방송과 국부 방송의 통합 사용이 가능하여 별도의 방송 설비를 추가해야하는 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국부 방송이 차단된 경우라도 경보 방송 등의 중앙 방송은 가능하여 비상시에 대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제어선 없이 중앙 방송 신호에 우선순위를 부여할 수 있기 때문에 구조가 간단해지고 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 같은 자명한 변형예를 포괄하도록 의도된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져야 한다.

Claims (3)

  1. 삭제
  2. 삭제
  3. 음원 발생 장치로부터 국부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국부 방송 입력부와;
    원격지의 중앙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중앙 방송 입력부와;
    상기 중앙 방송 입력부로 입력되는 중앙 방송 신호를 검출하는 신호 검출부와;
    상기 신호 검출부에서 신호가 검출되면 상기 중앙 방송 신호를 우선적으로 선택하는 방송 신호 선택부와;
    전원을 공급하되, 전원의 공급을 감지하는 전원 감지부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부와;
    상기 방송 신호 선택부에서 선택된 방송 신호를 스피커로 출력하되, 파워 앰프와 출력 변압기 및 상기 전원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전원 공급이 없을 때에 상기 중앙 방송 입력부를 상기 방송 출력부로 직접 연결하는 바이패스부를 포함하는 방송 출력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장치.
KR1020060023408A 2006-03-14 2006-03-14 중앙 방송과 국부 방송의 통합이 가능한 방송 장치 KR1006719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3408A KR100671940B1 (ko) 2006-03-14 2006-03-14 중앙 방송과 국부 방송의 통합이 가능한 방송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3408A KR100671940B1 (ko) 2006-03-14 2006-03-14 중앙 방송과 국부 방송의 통합이 가능한 방송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1940B1 true KR100671940B1 (ko) 2007-01-22

Family

ID=38014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3408A KR100671940B1 (ko) 2006-03-14 2006-03-14 중앙 방송과 국부 방송의 통합이 가능한 방송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194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9296B1 (ko) * 2014-05-19 2016-05-18 주식회사 뮤솔버스 다중 입력 자동 선택 스피커 시스템
KR102231422B1 (ko) * 2020-07-21 2021-03-23 정성욱 선택적인 차단 기능을 갖는 방송설비 제어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9296B1 (ko) * 2014-05-19 2016-05-18 주식회사 뮤솔버스 다중 입력 자동 선택 스피커 시스템
KR102231422B1 (ko) * 2020-07-21 2021-03-23 정성욱 선택적인 차단 기능을 갖는 방송설비 제어시스템
KR20220011561A (ko) * 2020-07-21 2022-01-28 정성욱 선택적인 차단 기능을 갖는 방송설비 제어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스피커 제어방법
KR102426918B1 (ko) * 2020-07-21 2022-07-28 정성욱 선택적인 차단 기능을 갖는 방송설비 제어시스템을 이용한 스피커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44892B2 (en) Audio amplification system
US8553902B2 (en) Multi-channel broadcasting system using digital matrix amplifi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2299799B1 (ko) 소비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송 시스템
US20120008801A1 (en) &#34;POSSE&#34; -- an acronym for &#34;Personal OnStage Sound Enhancer&#34;
KR100671940B1 (ko) 중앙 방송과 국부 방송의 통합이 가능한 방송 장치
US20160112574A1 (en) Audio conferencing system for office furniture
KR101067673B1 (ko) 방송장치
KR20170054200A (ko) 전관방송 시스템에 부가되는 스피커 스위치 및 제어기
KR101967617B1 (ko) 지진 감지가 가능한 자동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
KR100908306B1 (ko) 멀티 오디오 믹싱 프리앰프
KR102268600B1 (ko) 자가 진단이 가능한 방송 시스템
KR101619296B1 (ko) 다중 입력 자동 선택 스피커 시스템
US2164960A (en) Combined radio receiving and intercommunication system
JP2004117892A (ja) 携帯カラオケ用アダプタ
JPH1117472A (ja) 音声装置
JP5262017B2 (ja) オーディオ信号出力装置
JP2013258617A (ja) 放送信号切替装置
JPH03141799A (ja) 拡声システム
GB2463924A (en) Wireless table-top conference system uses Balanced Mode loudspeaker
KR20010027064A (ko) 차량용 노래 반주 장치 및 그 방법
BASHIR et al. TESTING AND CONSTRUCTION OF LECTURER’S STAND INTEGRATED WITH THE SOUND SYSTEM
JP2006295233A (ja) モニタ制御装置
JP2006324852A (ja) 入出力切換装置
JP2861026B2 (ja) 放送卓
KR850001791Y1 (ko) 메 가 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