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7673B1 - 방송장치 - Google Patents

방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7673B1
KR101067673B1 KR1020100097383A KR20100097383A KR101067673B1 KR 101067673 B1 KR101067673 B1 KR 101067673B1 KR 1020100097383 A KR1020100097383 A KR 1020100097383A KR 20100097383 A KR20100097383 A KR 20100097383A KR 101067673 B1 KR101067673 B1 KR 1010676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ource
broadcasting device
speaker
source signal
re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7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철
차보영
Original Assignee
차보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보영 filed Critical 차보영
Priority to KR10201000973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76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76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76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09Arrangements for device control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Arrangements for control of broadcast-related services
    • H04H60/11Arrangements for counter-measures when a portion of broadcast information is unavailab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61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local area broadcast, e.g. instore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02Arrangements for generating broadcast information; Arrangements for generating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generation of broadcast information and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 H04H60/04Studio equipment; Interconnection of studi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무선수신기, 무선마이크, 파워앰프, 음원재생장치, 회로절체기, 축전지, 실별콘트롤러를 포함하는 실별방송장치 및 무선마이크, 스피커, 구내방송장치로 구성되어, 구내방송장치로 부터 음원신호를 실별방송장치내 회로절체기에서 최초로 인입받아 실별콘트롤러와 스피커로 선택 배선연결 및 인입선로를 차단하여 구내방송장치로 부터 음원신호를 차단하는 회로절체기이다.
구내방송장치로 부터 전송된 음원신호를 회로절체기를 통해 실별콘트롤러로 입력되면, 음원신호의 입력레벨을 측정하여 기준레벨 이하로 수신될 경우 파워앰프를 거쳐 스피커를 통해 재생하며, 음원신호의 입력레벨이 기준레벨 이상으로 수신될 경우 파워앰프를 거치지 않고 바로 스피커를 통해 재생한다.
무선마이크를 통해 발생된 음원신호는 무선수신기를 통해 수신되어 실별방송장치내 파워앰프를 통해 증폭되어 스피커를 통해 방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장치이다.

Description

방송장치 { The broadcasting system }
본 발명은 수학능력시험 및 각종 국가고시 시험을 치르는 학교 내 구내방송장치 및 방송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히, 수학능력시험에는 외국어 영역과 국어 영역에 듣기평가 시험이 있어 듣기평가 문제를 학교 내 구내방송장치를 통해 각 교실별로 방송을 하거나, 라디오를 통해 EBS 교육방송을 수신하여 교실 내 수험생에게 듣기평가 문제를 방송하였다.
그러나, 구내방송장치의 고장, 정전, 스피커의 고장, 스피커 선로의 불량, 스피커 선로의 단락 또는 단선 등에 의해 구내방송이 불가능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각 교실별로 라디오(카세트라디오)를 추가로 지급하고 있는 실정이다.
전자칠판, 교탁과 멀티미디어를 결합한 전자교탁 등의 강의용 멀티미디어 방송장치가 있어왔다.
또한, 과거 서울중앙지법 민사34단독 김우정 판사는 2009학년도 수능시험에 응시했던 학생과 부모가 서울시를 상대로 낸 손해배상 청구 소송에서 “서울시는 조 군에게 200만 원, 부모에게는 50만 원씩 배상하라”고 판결했다고 13일 밝혔다. 조 군은 서울의 한 고등학교에서 수능시험을 보던 중 3교시 외국어 듣기평가를 앞두고 방송시설이 고장 나 필기평가 중간에 듣기평가를 보게 됐다. 조 군은 “감독관들이 사과방송을 하느라 시험 시간을 허비하고 복도를 뛰어다니면서 소리를 치기도 했다”며 소송을 냈다. 재판부는 “서울시는 방송시설 고장을 방지하고 돌발상황에 잘 대처할 의무가 있다”고 밝혔다.
또한, 서울 강남구 구정고등학교에서 수능 언어영역 듣기평가를 진행하던 중 전체 40여개 교실 가운데 3분에 1가량의 교실에서 듣기방송에 심한 잡음이 섞여나왔다. 이에 따라 해당교실에서 시험을 치르던 수험생들에게 잡음이 섞여 나왔던 4문항을 다시 들려주는 한편 시험시간을 재방송 시간만큼인 5분 가량 연장했다. 서울시교육청 관계자는 "갑자기 방송 선로에 문제가 생겨 잡음이 섞여나온 것 같다"며 "학교장 등 관리, 감독 책임자들 간 협의하에 규정에 따라 사고를 처리했다"고 밝혔다.
상기와 같이 듣기평가 시험 중 발생하는 방송사고는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란 TTL이나 CMOS IC들은 정해진 특성대로만 움직이는 데 비해 마이크로프로세서는 프로세서내에 프로그램을 주입해서 자신이 원하는 동작 특성을 구현할 수 있는 것으로, 컴퓨터의 CPU처럼 명령을 내릴 수 있기도 하고 특정 명령을 받을 수 있는 것으로 입력된 제어명령(프로그램)에 따라 제어를 하는 주요 구성요소로써, 제어프로그램이 입력되는 연산장치, 데이터등이 저장되는 메모리를 포함하여 입출력핀에 제어선이 배선되어 제어명령의 입출력 및 제어가 가능하다.
영어의 경우 우리말에 없는 소리도 있고 th[ð /θ]의 발음은 우리말의 어떤 소리 보다도 높은 주파수에 해당되기 때문에 한국어 자음보다는 듣기가 유난히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자음은 모음에 비해 고주파에 해당하는데, 영어는 자음 구조가 많은 특성이 있으며, 한국어의 주파수가 대부분 500Hz~1,500Hz의 저주파수 음역대를 가지는 반면, 영어는 3,000Hz~5,000Hz 혹은 10,000Hz 이상의 고주파수 음역대를 갖고 있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듣기에 어려움이 있으며 여자 목소리로 녹음된 경우에 특히 안 들리는 것도 여자 목소리가 고주파이기 때문이다.
학교 내에서 수학능력시험, 국가고시시험을 치를 수 있는 방송장비 및 시스템으로 고장 및 장애별로 대응 가능한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평상시에는 강의용 앰프로 활용이 가능하며, 특히 외국어 학습용으로 영어에서 th 발음이 명확히 방송될 수 있는 강의용 앰프 기능을 갖는다.
구내방송장치의 장애요인 및 고장원인별로 대응 가능한 것으로, 고장발생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파워앰프 휴즈단락, 파워앰프 증폭트랜지스터의 소손, 선로이상, 스피커 고장, 음원재생장치 고장, 전원계통 이상 등 장애발생 원인별로 대응하며, 평상시에는 강의용 앰프로 활용 가능하게 한다.
평상시에는 th[ð /θ] 발음이 명확하게 방송되는 외국어 강의용 앰프로 활용이 가능하면서, 수학능력시험, 국가고시 시험 때 듣기평가 방송을 방송하는 것으로, 여러 형태의 고장 발생에 따라 대응 가능한 방송장치 및 방송시스템이다.
도 1은 교실내 설치되는 실별방송장치의 간략한 계통도
도 2는 구내방송장치와 실별방송장치의 간략한 구성도
도면을 참조로 청구항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삭제
통합콘트롤러는 무접점계전기를 포함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성되어 음원재생장치(카세트데크(Double Cassette Deck), 씨디플레이어(CD Player), 라디오(Stereo Tuner) 중 어느 하나)를 통해서 발생된 음원신호를 무접점계전기의 접점 선택(SSR, 트라이악과 같은 무접점계전기로 입력신호에 대해 출력 접점을 선택할 수 있는 무접점계전기)에 의해 프리앰프, 파워앰프를 거쳐 증폭된 음원신호를 전송선로(동축케이블, HIV케이블, UTP케이블, 광케이블 등)를 통해 원격지의 실별방송장치내 회로절체기에 입력되거나 또는 무접점계전기의 접점 선택에 의해 프리앰프만 거쳐 전송선로를 통해 원격지의 실별방송장치내 회로절체기로 입력을 선택하는 통합콘트롤러이다.
일 예로, A회로는 '씨디플레이어-무접점계전기 A접점-프리앰프-파워앰프-전송선로'로 B회로는 '씨디플레이어-무접점계전기 B접점-프리앰프-전송선로'로 회로구성을 무접점계전기의 출력접점(A/B접점)에 따라 회로 구성이 달라지는 것으로 파워앰프의 고장 유무에 따라 전송선로를 바꿀 수 있어 파워앰프의 고장에 대비한다.
구내방송장치내 음원재생장치(카세트데크(Double Cassette Deck), 씨디플레이어(CD Player), 라디오(Stereo Tuner) 중 어느 하나)를 통해 발생된 음원신호를 전송선로를 통해 원격지의 실별방송장치내 회로절체기에서 최초로 인입받아, 회로절체기는 무접점계전기로 구성되어 실별콘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스피커로 배선연결 또는 무접점계전기로 인입선로를 차단(OFF)하여 구내방송장치로 부터 음원신호를 차단하는 회로절체기(무접점계전기)이다.
일 예로, 회로절체기는 실별콘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회로절체기-실별콘트롤러-스피커'로 배선연결 또는 무접점계전기로 인입선로를 차단(OFF)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스위치로 구내방송장치의 고장으로 방송이 중단되거나, 잡음이 발생할 경우 실별방송장치로 방송을 전환하기 위함이다.
구내방송장치로 부터 전송된 음원신호가 회로절체기를 통해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성된 실별콘트롤러로 입력되면, 음원신호의 입력레벨(입력 신호전압)을 측정(레벨미터, 고역통과필터로 측정)하여 기준레벨(관리자 입력 기준 신호전압) 이하로 수신될 경우 파워앰프를 거쳐 스피커를 통해 방송하며, 음원신호의 입력레벨이 기준레벨 이상으로 수신될 경우 파워앰프를 거치지 않고 바로 스피커를 통해 방송한다.
일 예로, 입력레벨(신호입력전압)을 5mV를 관리자 입력 기준값으로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성된 실별콘트롤러에 저장될 경우, 입력레벨을 레벨미터로 측정하여 기준레벨(관리자 입력 기준 신호전압) 이하로 수신될 경우 파워앰프를 거쳐 스피커를 통해 방송하거나, 입력레벨이 기준레벨(관리자 입력 기준 신호전압) 이하로 수신될 경우 파워앰프를 거쳐 스피커를 통해 방송하는 것으로 구내방송장치의 파워앰프고장 및 선로의 단선, 선로이상에 대비하기 위함이다.
구내방송장치로 부터 전송된 음원신호를 회로절체기를 통해 스피커로 입력되면 스피커를 통해 바로 방송한다.
회로절체기로 구내방송장치로 부터 입력 전송선로를 차단할 경우 구내방송장치의 음원신호가 차단된다.
무선마이크를 통해 발생된 음원신호는 무선수신기를 통해 수신되어 실별방송장치내 파워앰프를 통해 증폭되어 스피커를 통해 방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장치이다.
일 실시 예로, 무선수신기, 무선마이크, 파워앰프, 음원재생장치, 회로절체기, 축전지, 실별콘트롤러를 포함하는 실별방송장치 및 무선마이크, 스피커, 구내방송장치로 구성된다.
구내방송장치로 부터 음원신호를 실별방송장치내 회로절체기에서 최초로 인입받아 실별콘트롤러와 스피커로 선택 배선연결 및 인입선로를 차단하여 구내방송장치로 부터 음원신호를 차단하는 회로절체기이다.
구내방송장치로 부터 전송된 음원신호를 회로절체기를 통해 실별콘트롤러로 입력되면, 음원신호의 입력레벨을 측정하여 기준레벨 이하로 수신될 경우 파워앰프를 거쳐 스피커를 통해 재생하며, 음원신호의 입력레벨이 기준레벨 이상으로 수신될 경우 파워앰프를 거치지 않고 바로 스피커를 통해 재생한다.
무선마이크를 통해 발생된 음원신호는 무선수신기를 통해 수신되어 실별방송장치내 파워앰프를 통해 증폭되어 스피커를 통해 방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방송장치이다.
일 실시 예로, 상기에서 실별방송장치내 고주파확장증폭기(High Frequency Amplifier), th[ð/θ]발음 보상버튼을 추가로 구성하여 th[ð/θ] 발음 보상버튼 작동시 3.5KHz~4.8KHz 음역대를 +8.5dB 음역보상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장치이다.
일 실시 예로, 실별방송장치는 데크플레이어가 2개로 카세트데크 2개를 시차를 두어 동시에 재생하나, 출력은 2개의 데크 중 1개만 출력이 가능한 출력선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장치이다.
시차는 관리자가 프로그램 입력한 시간 값으로 일 예로 A B 카세트데크 2개의 시차가 5분일 경우 A 카세트데크가 수능 듣기평가 방송을 진행하고 있으나, 중간에 A 카세트데크에 이상이 발생할 경우 출력선택부를 통해 B 카세트데크로 전환하면 A 카세트데크의 방송 내용의 5분전 방송이 이어서 방송된다.
상기 기능은 수능 방송에 문제가 생겼을 경우 자동으로 문제 발생 전으로 되돌리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2개의 데크가 시차를 두고 2개 방송 중 1개의 방송만 방송하다 필요에 따라 몇 분 전으로 되돌리는 기능이며, th[ð/θ] 발음 보상버튼 작동시 3.5KHz~4.8KHz 음역대를 +8.5dB 음역보상 역시 종래의 선행기술에서 찾아볼 수 없는 기능으로 신규성과 진보성에 지대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의 매우 주요한 특징이다.
일 실시 예로, 음원재생장치, 프리앰프, 파워앰프, 통합콘트롤러를 포함하는 구내방송장치 및 무선수신기, 파워앰프, 음원재생장치, 회로절체기, 축전지, 실별콘트롤러 및 출력선택부 및 시차를 두고 동시에 재생되는 2개의 카세트데크를 포함하는 실별방송장치, 무선마이크, 스피커로 구성되어, 통합콘트롤러는 무접점계전기를 포함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성되어 음원재생장치를 통해서 발생된 음원신호를 무접점계전기의 접점 선택에 의해 프리앰프, 파워앰프를 거쳐 전송선로를 통해 원격지의 실별방송장치내 회로절체기에 입력 또는 무접점계전기의 접점 선택에 의해 프리앰프만 거쳐 전송선로를 통해 원격지의 실별방송장치내 회로절체기로 입력을 선택하는 통합콘트롤러이다.
구내방송장치내 음원재생장치를 통해 발생된 음원신호를 전송선로를 통해 원격지의 실별방송장치내 회로절체기에서 최초로 인입받아, 회로절체기는 무접점계전기로 구성되어 실별콘트롤러와 스피커로 배선연결 또는 인입선로를 차단하여 구내방송장치로 부터 음원신호를 차단하는 회로절체기이다.
구내방송장치로 부터 전송된 음원신호가 회로절체기를 통해 실별콘트롤러로 입력되면, 음원신호의 입력레벨을 측정하여 기준레벨 이하로 수신될 경우 파워앰프를 거쳐 스피커를 통해 방송하며, 음원신호의 입력레벨이 기준레벨 이상으로 수신될 경우 파워앰프를 거치지 않고 바로 스피커를 통해 방송한다.
구내방송장치로 부터 전송된 음원신호를 회로절체기를 통해 스피커로 입력되면 스피커를 통해 바로 방송한다.
회로절체기로 구내방송장치로 부터 입력 전송선로를 차단할 경우 구내방송장치의 음원신호가 차단된다.
무선마이크를 통해 발생된 음원신호는 무선수신기를 통해 수신되어 실별방송장치내 파워앰프를 통해 증폭되어 스피커를 통해 방송된다.
실별방송장치는 데크플레이어가 2개로 카세트데크 2개를 시차를 두어 동시에 재생하나, 출력은 2개의 데크 중 1개만 출력이 가능한 출력선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장치이다.

Claims (5)

  1. 음원재생장치, 프리앰프, 파워앰프, 통합콘트롤러를 포함하는 구내방송장치 및 무선수신기, 파워앰프, 음원재생장치, 회로절체기, 축전지, 실별콘트롤러 및 출력선택부 및 시차를 두고 동시에 재생되는 2개의 카세트데크를 포함하는 실별방송장치, 무선마이크, 스피커로 구성되어, 통합콘트롤러는 무접점계전기를 포함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성되어 음원재생장치를 통해서 발생된 음원신호를 무접점계전기의 접점 선택에 의해 프리앰프, 파워앰프를 거쳐 전송선로를 통해 원격지의 실별방송장치내 회로절체기에 입력 또는 무접점계전기의 접점 선택에 의해 프리앰프만 거쳐 전송선로를 통해 원격지의 실별방송장치내 회로절체기로 입력을 선택하는 통합콘트롤러이며; 구내방송장치내 음원재생장치를 통해 발생된 음원신호를 전송선로를 통해 원격지의 실별방송장치내 회로절체기에서 최초로 인입받아, 회로절체기는 무접점계전기로 구성되어 실별콘트롤러와 스피커로 배선연결 또는 인입선로를 차단하여 구내방송장치로 부터 음원신호를 차단하는 회로절체기이며; 구내방송장치로 부터 전송된 음원신호가 회로절체기를 통해 실별콘트롤러로 입력되면, 음원신호의 입력레벨을 측정하여 기준레벨 이하로 수신될 경우 파워앰프를 거쳐 스피커를 통해 방송하며, 음원신호의 입력레벨이 기준레벨 이상으로 수신될 경우 파워앰프를 거치지 않고 바로 스피커를 통해 방송하며; 구내방송장치로 부터 전송된 음원신호를 회로절체기를 통해 스피커로 입력되면 스피커를 통해 바로 방송하며; 회로절체기로 구내방송장치로 부터 입력 전송선로를 차단할 경우 구내방송장치의 음원신호가 차단되며; 무선마이크를 통해 발생된 음원신호는 무선수신기를 통해 수신되어 실별방송장치내 파워앰프를 통해 증폭되어 스피커를 통해 방송 및 카세트데크가 2개인 더블데크플레이어를 적용한 종래의 공지된 기술에 있어서,
    실별 방송장치에 한정하여;
    실별방송장치는 카세트데크 2개를 시차를 두어 동시에 재생하나, 출력은 2개의 데크 중 1개만 출력이 가능한 출력선택부 및 고주파확장증폭기, th[ð /θ]발음 보상버튼을 추가로 구성하여 th[ð/θ] 발음 보상버튼 작동시 3.5KHz~4.8KHz 음역대를 +8.5dB 음역보상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00097383A 2010-10-06 2010-10-06 방송장치 KR1010676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7383A KR101067673B1 (ko) 2010-10-06 2010-10-06 방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7383A KR101067673B1 (ko) 2010-10-06 2010-10-06 방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7673B1 true KR101067673B1 (ko) 2011-09-27

Family

ID=44957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7383A KR101067673B1 (ko) 2010-10-06 2010-10-06 방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767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1489B1 (ko) 2011-11-30 2013-01-14 주식회사 인켈피에이 자동 어드레싱 기법을 이용한 플러그인 타입 디지털 전관방송 시스템
KR101469064B1 (ko) * 2014-05-14 2014-12-04 가락전자 주식회사 방송선로의 실시간 분석 시스템 및 방법
KR101626497B1 (ko) 2015-01-08 2016-06-01 (주)에어사운드 음향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866278B1 (ko) * 2014-11-26 2018-06-11 이병욱 다중제어 음향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4298A (ko) * 2004-01-08 2005-07-18 정보통신연구진흥원 외국어 발음 평가 시스템 및 외국어 발음 평가 방법
KR20080004867A (ko) * 2006-07-07 2008-01-10 동광전자 주식회사 모듈형 양방향 구내 방송장치
KR100923438B1 (ko) * 2009-01-23 2009-10-27 주식회사 미주산전 파워앰프내 절체장치를 구비한 구내방송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4298A (ko) * 2004-01-08 2005-07-18 정보통신연구진흥원 외국어 발음 평가 시스템 및 외국어 발음 평가 방법
KR20080004867A (ko) * 2006-07-07 2008-01-10 동광전자 주식회사 모듈형 양방향 구내 방송장치
KR100923438B1 (ko) * 2009-01-23 2009-10-27 주식회사 미주산전 파워앰프내 절체장치를 구비한 구내방송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1489B1 (ko) 2011-11-30 2013-01-14 주식회사 인켈피에이 자동 어드레싱 기법을 이용한 플러그인 타입 디지털 전관방송 시스템
KR101469064B1 (ko) * 2014-05-14 2014-12-04 가락전자 주식회사 방송선로의 실시간 분석 시스템 및 방법
KR101866278B1 (ko) * 2014-11-26 2018-06-11 이병욱 다중제어 음향시스템
KR101626497B1 (ko) 2015-01-08 2016-06-01 (주)에어사운드 음향 제어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radley et al. The intelligibility of speech in elementary school classrooms
CN100431342C (zh) 隐藏字幕控制装置及其所用的方法
McCarthy Sound systems: design and optimization: modern techniques and tools for sound system design and alignment
Leavitt et al. Speech degradation as measured by the Rapid Speech Transmission Index (RASTI)
DK2165531T3 (en) Audio Animation System
KR101067673B1 (ko) 방송장치
Prodi et al. Investigating listening effort in classrooms for 5-to 7-year-old children
US8553902B2 (en) Multi-channel broadcasting system using digital matrix amplifi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Sörqvist et al. High second‐language proficiency protects against the effects of reverberation on listening comprehension
Palmer Hearing and listening in a typical classroom
Larsen et al. The effect of room acoustics and sound-field amplification on word recognition performance in young adult listeners in suboptimal listening conditions
US3817144A (en) Group teaching system for musical instruments
Duran et al. Acoustic design criteria for higher-education learning environments
US3224115A (en) Automatic muting system
Tristan Hernandez et al. Evaluation of acoustic quality in university facilities
KR100671940B1 (ko) 중앙 방송과 국부 방송의 통합이 가능한 방송 장치
Favrot et al. Validation of a loudspeaker-based room auralization system using speech intelligibility measures
US3045065A (en) Intercommunication system
Nielsen Depth perception-finding a design goal for sound reproduction systems
JP3213723B2 (ja) コードレスヘッドホンを用いた試験用リスニングシステム
DiGiovanni et al. Auditory stroop using spatial stimuli
JP2005352047A (ja) 学習装置
JP4930015B2 (ja) 音響装置
JP2016202443A (ja) 社会性能力検査方法及び社会性能力検査システム
Leist et al. Effects of binaural classroom noise scenarios on primary school children's speech perception and listening comprehens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