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1561A - 선택적인 차단 기능을 갖는 방송설비 제어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스피커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선택적인 차단 기능을 갖는 방송설비 제어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스피커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1561A
KR20220011561A KR1020200189767A KR20200189767A KR20220011561A KR 20220011561 A KR20220011561 A KR 20220011561A KR 1020200189767 A KR1020200189767 A KR 1020200189767A KR 20200189767 A KR20200189767 A KR 20200189767A KR 20220011561 A KR20220011561 A KR 202200115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output
unit
transmitted
sp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9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6918B1 (ko
Inventor
정성욱
Original Assignee
정성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성욱 filed Critical 정성욱
Priority to KR1020200189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6918B1/ko
Publication of KR20220011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15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69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69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8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broadcast information itself
    • H04H20/88Stereophonic broadcast systems
    • H04H20/89Stereophonic broadcast systems using three or more audio channels, e.g. triphonic or quadraphon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5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emergency or urge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7/00Public address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12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distributing signals to two or more loudspeak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Input Circuits Of Receivers And Coupling Of Receivers And Audio Equipment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택적인 차단 기능을 갖는 방송설비 제어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스피커 출력차단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통상의 방송설비 장치를 포함하되, 출력장치들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그 필요한 스피커로만 출력 및 불필요한 스피커로는 신호를 차단할 수 있는 콘트롤온오프스위치를 추가 구성하여, 방송 진행 중, 예약방송 등의 신호가 출력될 시, 그 신호가 차단되지 않은 스피커로만 출력될 수 있어 원활한 방송진행이 가능하고, 특정신호(재난방송)가 출력될 시, 신호를 차단한 스피커로의 차단을 해지 및 상기 특정신호를 재외한 모든 신호를 차단하고, 상기 특정신호(재난방송)를 우선순위로 하여 연결된 모든 스피커로 출력될 수 있도록 하는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선택적인 차단 기능을 갖는 방송설비 제어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스피커 제어방법{Broadcasting facility control system with selective blocking function and speaker control method using the system}
본 발명은 선택적인 차단 기능을 갖는 방송설비 제어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스피커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회사, 학교, 집합건물 등에서 방송설비를 이용하여 초빙강사, 강연, 운동장행사 중, 선택적으로 필요한 스피커로만 출력될 수 있도록 하여 예약방송 등이 불필요한 스피커로의 출력을 차단할 수 있어 원활한 방송이 가능하며, 특정신호가 출력되면 차단을 풀어 연결된 모든 스피커로 출력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통상적으로 방송설비는 출력장치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으면 스피커로 출력될 수 있도록 구성되되, 그 설비의 규모가 커짐에 다수의 스피커로의 출력을 자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구성들이 조합된다.
한편, 이러한 다수의 구성 및 다수의 출력장치들, 스피커들 등이 연결 구성됨에 따라 각종 행사장 등에서 방송을 진행 중, 크고 작은 해프닝이 발생하기도 한다.
예를 들면, 대학교의 축제기간일 경우, 학교에 설치된 방송설비를 이용하기 마련인데, 운동장, 강당 등 축제를 위한 교내 공간으로만 출력될 수 있도록 불필요한 곳의 스피커 전원을 꺼놓고 진행하기 마련이다.
그러나, 자칫 스피커의 전원을 꺼야 될 곳을 끄지 않을 경우 그대로 출력되게 됨으로써, 소음 발생 및 기타 다른 문제점들이 야기되고 있으며, 더욱이 축제기간에 이벤트 등이 이루어질 시, 진행의 원활함과 시간절약 등으로 인해 예약기능을 자주 이용하지만, 이러한 경우 더욱더 상기한 문제점들이 생길 수밖에 없다.
우선 종래의 기술들을 살펴보면,
등록번호 10-1088200호(특)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원음을 음성 신호로 변환하는 원음 입력부; 상기 음성 신호를 믹싱시키고, 상기 믹싱된 음성 신호를 기연결된 다수의 포트로 다중 출력하는 믹싱부; 상기 다중 출력된 각각의 음성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입력부와, 상기 다수의 음성 신호를 주파수 변조하는 변조부와, 상기 변조된 다수의 음성 신호 내 각각 기생하는 간섭 신호를 제거하여 다수의 순 음성 신호만을 추출하는 필터부와, 상기 다수의 순 음성 신호를 고주파 증폭시켜 상기 고주파 증폭된 다수의 순 음성 신호의 증폭율을 확인하고, 상기 증폭율을 가변조정하여 상기 고주파 증폭된 다수의 순 음성 신호에 대한 진폭, 주기 또한 위상차를 조율하는 신호 증폭 및 가변부 및 상기 조율된 다수의 순 음성 신호를 다수의 광신호로 각각 변환시키고 상기 다수의 광신호를 외부로 송출하는 광신호 변환 및 송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다중 출력된 다수의 음성 신호를 순차적으로 변조, 필터, 증폭 가변시키고 이로부터 생성된 다수의 순 음성 신호를 다수의 광신호로 변환하여 외부 송출하는 광신호 송신부; 상기 광신호 송신부와 하기 광신호 수신부 간을 연결하며, 상기 광신호 송신부로부터 입력된 다수의 광신호를 상기 광신호 수신부에 그대로 전송하는 광케이블; 및 상기 광케이블로부터 수신된 다수의 광신호를 증폭 조정, 복조, 1차 증폭, 2차 증폭시키고 이로부터 생성된 가청 가능한 다수의 순 음성신호를 방송음으로 표출하는 광신호 수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광신호 송신부는, 좌측단 광신호 송신부 및 우측단 광신호 송신부를 각각 구비하며, 상기 다중 출력된 다수의 음성 신호가 상기 좌측단 광신호 송신부과 우측단 광신호 송신부에 이중 분배됨에 따라, 상기 좌측단 광신호 송신부로부터 생성된 다수의 광신호와 상기 우측단 광신호 송신부로부터 생성된 다수의 광신호를 상기 광케이블에 이중 전송함을 비롯해, 상기 광신호 수신부는, 좌측단 광신호 수신부 및 우측단 광신호 수신부를 각각 구비하며, 상기 좌측단 광신호 송신부로부터 생성된 다수의 광신호와 상기 우측단 광신호 송신부로부터 생성된 다수의 광신호를 상기 좌측단 광신호 수신부 및 우측단광신호 수신부를 이용해 가청 가능한 다수의 좌측단 순 음성신호와 가청 가능한 다수의 우측단 순 음성신호로 각각 생성시켜 스테레오식 방송음으로 표출하는 방송 통신 시스템이다.
등록번호 10-0908413호(특) 영상 및 음원의 방송데이터를 출력하는 TV 및 스피커를 포함하는 각 교실의 방송출력수단과, 영상 및 음원의 방송데이터를 입력받고 가공처리하여 이를 필요로 하는 교실의 상기 방송출력수단으로 전송하는 중앙방송수단과, 카메라 및 마이크를 통해 촬영되는 행사장(예; 강당, 시청각실, 스튜디오실 등)에서의 행사 영상 및 음원의 방송데이터를 입력받고 가공처리하여 이를 상기 중앙방송수단 또는 방송출력수단으로 전송하는 행사장방송수단를 포함하는 교내방송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중앙방송수단은 중앙방송수단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중앙제어부와, 인터넷접속을 통한 방송데이터의 수신 및 원격제어를 위해 상기 중앙제어부와 연결되고 인터넷망에 접속되는 중앙 인터넷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중앙제어부에 연결되고 사용자 조작을 위한 중앙 입력부 및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중앙제어부에 연결되고 교내 소방설비들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화재수신기로부터 화재발생신호를 전송받는 화재수신부와, 상기 중앙제어부에 연결되고 중앙방송수단의 운영을 위한 프로그램 및 방송데이터가 저장되는 중앙 메모리와, 외부의 오디오기기나 비디오기기, 상기 인터넷인터페이스부, 상기 메모리 또는 상기 행사장방송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영상들과 음원들의 방송데이터를 믹싱하는 중앙 A/V믹서와, 상기 중앙 A/V믹서에서 우선 출력할 방송데이터를 선택 제어하는 중앙 우선순위선택부와, 상기 우선순위선택부에서 선택된 방송데이터를 필요로 하는 교실의 상기 방송출력수단으로 전송하는 중앙 매트릭스부를 포함하여 이루어고, 상기 행사장방송수단은 행사장방송수단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행사장제어부와, 인터넷접속을 통한 방송데이터의 수신 및 원격제어를 위해 상기 행사장제어부와 연결되고 인터넷망에 접속되는 행사장 인터넷인터페이스부와, 상기 행사장제어부에 연결되고 사용자 조작을 위한 행사장 입력부 및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행사장제어부에 연결되고 행사장에 설치되어 있는 단독경보형 화재감지기로부터 화재발생신호를 전송받고 이를 상기 중앙방송수단으로 전송하는 행사장 화재송신부와, 상기 행사장제어부에 연결되고 행사장방송수단의 운영을 위한 프로그램 및 방송데이터가 저장되는 행사장 메모리와, 상기 카메라 및 마이크가 촬영하는 행사 영상 및 음원의 방송데이터, 또는 외부의 오디오기기나 비디오기기, 상기 인터넷인터페이스부, 상기 메모리 또는 상기 중앙방송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영상들과 음원들의 방송데이터를 믹싱하는 행사장 A/V믹서와, 상기 A/V믹서에서 우선 출력할 방송데이터를 선택 제어하는 행사장 우선순위선택부와, 상기 행사장 우선순위선택부에서 선택된 방송데이터를 필요로 하는 중앙방송수단이나 교실의 방송출력수단으로 전송하거나 행사장에 설치되어 있는 TV 및 스피커로 출력하는 행사장 매트릭스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방송출력수단은 상기 중앙방송수단 또는 상기 행사장방송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방송데이터의 영상과 음원을 구분하여 각각 TV와 스피커로 출력하는 분배기와, 교실에 설치되어 있는 단독경보형 화재감지기로부터 화재발생신호를 전송받고 이를 상기 중앙방송수단으로 전송하는 교실 화재송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단독경보형 화재감지기는 화재 연기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의 화재 감지시 경보음을 발하는 스피커; 상기 감지부 및 스피커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상기 감지부, 스피커 및 배터리를 내장하는 케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케이스는 천정에 부착되는 하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에 일단이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후크결합되는 상부케이스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케이스는 연기가 유통되는 유통홀이 내외부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고, 내면에 외력에 의해 눌려져 상기 감지부, 스피커 및 배터리의 정상 작동여부르 테스트하기 위한 테스트스위치를 가압하는 가압돌출부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내면 가장자리에 상기 하부케이스의 측벽 내면 및 상면에 접촉되는 'ㄱ'자 형상의 가 이드부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내면에 상기 하부케이스에 장착되어 있는 상기 배터리의 상부면을 눌러주는 누름부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케이스는 내면에 각종 전자소자 및 상기 스피커가 실장되어 있는 PCB를 지지하는 지지부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터리의 전후면과 양측면을 감싸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벽이 돌출 돌출형성되어 있되 어느 한 이탈방지벽에는 배터리의 상부면이 걸리는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감지부는 빛을 발하는 발광소자와, 상기 발광소자가 발하는 빛을 수광하는 수광소자와, 상기 발광소자와 수광소자가 일정각도를 이루며 장착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를 덮는 커버와, 상기 몸체에 구비되고 상기 발광소자와 수광소자가 각각 장착되는 제1장착부와, 제2장착부, 상기 제1장착부와 제2장착부를 연결하며 상기 몸체에 원주상에 일정간격으로 배열되어 연기가 유입되고, 호형상으로 이루어져 내측에 암실을 형성하는 다수의 연기유로판과, 상기 발광소자와 수광소자 사이의 몸체에 구비되어 상기 발광소자의 발산 빛이 직접 상기 수광소자에 입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격벽과, 상기 연기유로판들의 외면에 부착되어 유입되는 연기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여과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연기유로판의 일면에는 상하방향으로 외부 빛의 유입을 차단하는 외부광차단부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커버 내면 가장자리에는 상기 연기유로판에 형성되어 있는 암단턱부에 후크식으로 걸리는 수단턱부와, 상기 제1장착부와 제2장착부의 외면을 덮는 덮개부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원격제어 및 우선순위방송 기능과 행사장방송수단을 구비한 교내방송 시스템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기술은 마스크 또는 각종 출력장치들로부터 출력될 시, 그 출력신호에 따라 최종적으로 연결된 다수의 스피커들로 출력되는 기술로써, 이러한 방송시스템은 행사 등을 진행할 시, 특정인이 방송시스템을 사용 중, 예약 방송이 그대로 스피커로 출력되어, 방송의 혼선을 야기할 수 가 있어, 중요한 행사일 경우 방송사고를 초래할 수밖에 없어, 그 행사를 원활하게 진행이 불가한 기술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해낸 것으로, 학교, 행사장 등에서 방송을 할 시, 통상의 방송설비 장치를 포함하되, 출력장치들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그 필요한 스피커로만 출력 및 불필요한 스피커로는 신호를 차단할 수 있는 콘트롤온오프스위치를 추가 구성하여, 방송 진행 중, 예약방송 등의 신호가 출력될 시, 그 신호가 차단되지 않은 스피커로만 출력될 수 있어 원활한 방송진행이 가능하고, 특정신호(재난방송)가 출력될 시, 신호를 차단한 스피커로의 차단을 해지 및 상기 특정신호를 재외한 모든 신호를 차단하고, 상기 특정신호(재난방송)를 우선순위로 하여 연결된 모든 스피커로 출력될 수 있도록 하는 선택적인 차단 기능을 갖는 방송설비 제어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스피커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 완성해낸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방송설비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예약 또는 임의조작에 의해 오디오믹서부(300)로 신호를 전송하는 제1출력장치(100)들; 사용자의 예약 또는 임의조작에 의해 프로그램익스체인저(400)로 신호를 전송하되, 특정신호를 전송할 시, 상기 프로그램익스체인저(400)와 콘트롤온오프스위치(700)로 각각 전송하는 제2출력장치(200)들; 제1출력장치(100)들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들을 전송받아 프로그램익스체인저(400)로 전송하는 오디오믹서부(300); 상기 오디오믹서부(300), 제2출력장치(200)들, 매트릭스릴레이(50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연결된 각각의 앰프(600)로 전송하는 프로그램익스체인저(400); 상기 프로그램익스체인저(400) 및 하나 이상의 스피커(800)와 연결되고, 상기 제2출력장치(200)의 신호를 콘트롤온오프스위치(700)로부터 전송받되, 전송받은 신호에 따라 프로그램익스체인저(400) 또는 스피커(800)로 단독 또는 각각 그 신호를 전달하는 매트릭스릴레이(500); 상기 프로그램익스체인저(400)로부터 신호를 전송받아 연결된 하나 이상의 스피커(800)로 그 신호를 전달하는 앰프(600)들; 상기 제2출력장치(200)들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매트릭스릴레이(500)로 전송하되, 선택적으로 연결된 하나 이상의 스피커(800)를 차단할 수 있는 차단부(710)가 구성되고, 상기 차단부(710)의 ON/OFF 유무에 따라 제2출력장치(200)들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프로그램익스체인저(400)로 전송하며, 외부 또는 내부에 상기 차단부(710)의 ON/OFF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표시램프(720)가 구성되는 콘트롤온오프스위치(700); 상기 앰프(600)들로부터 신호를 전송받아 그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콘트롤온오프스위치(700)로부터 전송된 신호에 따라 출력이 차단되는 셀렉터(810)를 포함하는 스피커(800)들; 로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로그램익스체인저(400)는, 상기 매트릭스릴레이(500)로부터 전송받은 신호가 설정된 특정신호일 경우, 상기 앰프(600)로 전송중인 모든 신호를 차단하고, 상기 특정신호를 우선순위로 하여 전송하고, 상기 스피커(800)의 셀렉터(810)는 콘트롤온오프스위치(700)로부터 전송된 특정신호를 전송받을 시, 그 특정신호가 스피커(800)로 출력될 수 있도록 차단을 해제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콘트롤온오프스위치(700)에는, 상기 제2출력장치(200)들로부터 전송되는 신호가 설정된 특정신호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판단부(730)와, 상기 특정신호와 대응하는 신호를 사용자가 오프라인에서 설정하는 설정부(740)로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콘트롤온오프스위치(700)에는, 상기 설정부(740)를 원격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원격접속부(750)와, 하나 이상의 스마트폰(900)과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무선통신모듈(760)과, 상기 하나 이상의 스마트폰(900)이 상기 원격접속부(750)와 연결되어 설정부(740)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승인하되, 다수의 스마트폰(900)이 원격접속을 승인받아 원격접속부(750)에 접속된 상태일 경우, 접속한 시간별로 가장 빠른 시간에 승인받은 스마트폰(900)을 우선순위로 하여 원격접속부(750)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승인부(770)와, 상기 하나 이상의 스마트폰(900)이 상기 원격접속부(750)를 제어한 후, 그 제어결과를 원격접속부(750)에 접속된 스마트폰(900)으로 전송하는 결과전송부(78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스마트폰(900)은 상기 무선통신모듈(760)을 통해 콘트롤온오프스위치(700)와 통신하되, 상기 원격접속부(750)와의 연결 및 제어할 수 있는 APP(910)이 설치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콘트롤온오프스위치(700)에는, 상기 승인부(770)로부터 가장 빠른 시간에 승인받은 스마트폰(900)이 제2출력장치(200)들로부터 전송되는 전송신호에 대하여 원하는 조건을 설정한 후 원격접속부(750)로부터 접속을 종료하면, 두 번째 빠른 시간에 승인받은 스마트폰(900)이 원격접속부(750)를 이용하여 조건을 설정하되, 상기 가장 빠른 시간에 승인받은 스마트폰(900)에 의해 변경된 조건을 다른 조건으로 변경할 시, 설정된 시간 또는 범위 이내일 경우 이를 차단하고, 이외일 경우 이를 수용하는 차단 및 수용부(790)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선택적인 차단 기능을 갖는 방송설비 제어시스템을 이용하되, 제2출력장치(200)들로부터 전송되는 신호 및 특정신호에 따라 그 조건을 선택적으로 설정하는 조건설정단계(S100); 콘트롤온오프스위치(700)의 차단부(710)를 ON상태로 하는 차단부 설정단계(S200); 제1, 2출력장치(100, 200)들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스피커로 출력하는 제1출력단계(S300); 상기 스피커로 출력 중 예약 또는 사용자의 임의조작에 의해 상기 제2출력장치(200)들로부터 신호가 전송될 경우, 그 신호를 차단하는 차단단계(S400); 상기 제2출력장치(200)들로 전송받은 신호가 특정신호일 경우, 스피커로 출력중인 모든 신호를 차단하고, 상기 특정신호를 우선순위로 하여 연결된 모든 스피커로 출력하는 제2출력단계(S500);로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출력단계(S500) 후, 하나 이상의 스마트폰(900)으로 상기 조건설정단계(S100)를 원격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방송설비제어시스템과 연결을 요청하는 연결요청단계(S600); 상기 스마트폰(900)의 연결요청에 따라 하나 이상의 스마트폰(900)의 연결을 승인하는 승인단계(S700); 승인받은 스마트폰(900)이 두 개 이상을 경우 승인받은 시간을 우선순위로 하여 원격 제어하는 제어단계(S8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선택적인 차단 기능을 갖는 방송설비 제어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스피커 제어방법에 의하면, 방송설비 제어시스템의 본연의 목적을 그대로 유지함과 동시에, 학교 또는 행사장 등에 설비를 설치하여 사용 시, 연결된 다수의 스피커들 중 필요한 스피커로만 출력이 되도록 하고 불필요한 스피커로 출력이 차단될 수 있게 되어 예약 방송 등이 필요한 곳으로만 출력되어 원활한 방송진행이 가능한 한편, 특정신호(재난방송)를 감지 또는 전송받으면 차단된 것을 자동적으로 해지하여 모든 스피커로 우선순위로 하여 재난방송을 출력토록 하여, 재난방송을 통한 각종 다양한 상황에 대응에 유도 및 도움을 줄 수가 있고, 연동되는 스마트폰을 통해 원격으로 다양한 제어가 가능하여 편리성을 부여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작동전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작동전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
본 발명은 비교적 규모가 큰 회사, 학교, 집합건물 등에서 방송설비를 이용하여 초빙강사, 강연, 운동장행사 중, 선택적으로 필요한 스피커로만 출력될 수 있도록 하여 예약방송 등이 불필요한 스피커로의 출력을 차단할 수 있어 원활한 방송이 가능하며, 특정신호가 출력되면 차단을 풀어 연결된 모든 스피커로 출력될 수 있도록 하는 선택적인 차단 기능을 갖는 방송설비 제어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스피커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5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학교에 설치된 방송설비를 실시 예로써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방송설비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방송설비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예약 또는 임의조작에 의해 오디오믹서부(300)로 신호를 전송하는 제1출력장치(100)들; 사용자의 예약 또는 임의조작에 의해 프로그램익스체인저(400)로 신호를 전송하되, 특정신호를 전송할 시, 상기 프로그램익스체인저(400)와 콘트롤온오프스위치(700)로 각각 전송하는 제2출력장치(200)들; 제1출력장치(100)들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들을 전송받아 프로그램익스체인저(400)로 전송하는 오디오믹서부(300); 상기 오디오믹서부(300), 제2출력장치(200)들, 매트릭스릴레이(50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연결된 각각의 앰프(600)로 전송하는 프로그램익스체인저(400); 상기 프로그램익스체인저(400) 및 하나 이상의 스피커(800)와 연결되고, 상기 제2출력장치(200)의 신호를 콘트롤온오프스위치(700)로부터 전송받되, 전송받은 신호에 따라 프로그램익스체인저(400) 또는 스피커(800)로 단독 또는 각각 그 신호를 전달하는 매트릭스릴레이(500); 상기 프로그램익스체인저(400)로부터 신호를 전송받아 연결된 하나 이상의 스피커(800)로 그 신호를 전달하는 앰프(600)들; 상기 제2출력장치(200)들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매트릭스릴레이(500)로 전송하되, 선택적으로 연결된 하나 이상의 스피커(800)를 차단할 수 있는 차단부(710)가 구성되고, 상기 차단부(710)의 ON/OFF 유무에 따라 제2출력장치(200)들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프로그램익스체인저(400)로 전송하며, 외부 또는 내부에 상기 차단부(710)의 ON/OFF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표시램프(720)가 구성되는 콘트롤온오프스위치(700); 상기 앰프(600)들로부터 신호를 전송받아 그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콘트롤온오프스위치(700)로부터 전송된 신호에 따라 출력이 차단되는 셀렉터(810)를 포함하는 스피커(800)들; 로 구성된다.
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1출력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내에 설치된 방송실마이크, 컴퓨터 음향방송, 라디오튜너, 실외의 운동장마이크, CD플레이어, 강당중계선로, 행사음악송출기, 외부출력 기기 등으로 구성될 수가 있다.
상기 제1출력장치(100)는 기본적으로 음악, 또는 소리를 출력할 수 있는 전자기기들로 구성되어, 최종적으로 출력된 신호를 오디오믹서(300)로 그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제1출력장치(100)는 사용자의 예약 또는 임의조작에 의해 신호를 오디오믹서부(300)로 전송하는 구성이다.
한편, 상기 제2출력장치(200)는 대체적으로 학교의 실내에 위치한 구성들로써, PC음향방송, 교무실R/M방송, 학년실R/M방송, 화재 및 재난방송 등으로 구성될 수가 있다.
여기서, 제2출력장치(200)는 상기 제1출력장치(100)와 유사한 출력장치들로 구성되어 있되, 사용자의 예약 또는 임의조작에 의해 프로그램익스체인저(400)로 신호를 전송하되, 특정신호를 전송할 시, 상기 프로그램익스체인저(400)와 콘트롤온오프스위치(700)로 각각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즉,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되는 신호가 일반적으로 예약방송 등 일반적으로 원하는 곳으로 출력을 하기 위한 각 학급, 학년의 교실에 설치된 스피커들로 출력하는 신호일 경우, 상기 프로그램익스체인저(400)로만 신호를 전송하며, 특정신호(재난방송)일 경우에는 상기 프로그램익스체인저(400)와 콘트롤온오프스위치(700)로 각각 동시에 전송하도록 한다.
이러한, 특정신호(재난방송)를 상기 프로그램익스체인저(400)와 콘트롤온오프스위치(700)에 동시에 각각 전송하는 목적으로는, 재난이 발생할 시 즉각적으로 발생한 재난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시 말해, 학교 내에서 각종 행사가 한창 진행 중일 경우에도, 상기 제2출력장치(20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가 특정신호(재난방송)일 경우, 교내에 설치된 모든 스피커(800)들로 그 신호가 출력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상기 오디오믹서부(300)는 상기 제1출력장치(100)들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들을 전송받아 프로그램익스체인저(400)로 전송하는 구성이다.
상기 오디오믹서부(300)는 통상의 구성임으로써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프로그램익스체인저(400)는, 상기 오디오믹서부(300), 제2출력장치(200)들, 매트릭스릴레이(50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연결된 각각의 앰프(600)로 전송하는 구성으로, 오디오믹서부(30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학교 내에 설치된 앰프(600)로 전송하거나, 제2출력장치(200)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학교 내에 설치된 앰프(600)로 전송하거나, 매트릭스릴레이(500)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학교 내에 설치된 앰프(6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프로그램익스체인저(400)는, 상기 매트릭스릴레이(500)로부터 전송받은 신호가 설정된 특정신호일 경우, 상기 앰프(600)로 전송중인 모든 신호를 차단하고, 상기 특정신호를 우선순위로 하여 전송하고, 하기될 상기 스피커(800)의 셀렉터(810)는 콘트롤온오프스위치(700)로부터 전송된 특정신호를 전송받을 시, 그 특정신호가 스피커(800)로 출력될 수 있도록 차단을 해제하도록 구성된다.
즉, 기본적으로 프로그램익스체인저(400)는 오디오믹서(300) 또는 제2출력장치(200)로부터 직접적인 신호를 전송받아 각 앰프(600)들로 그 신호를 전송하기 마련인데, 이때, 상기 제2출력장치(200)로부터 특정신호가 프로그램익스체인저(400)와 콘트롤온오프스위치(700)로 각각 전달될 경우, 기존의 오디오믹서(300) 또는 제2출력장치(200)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차단하고, 상기 특정신호(재난방송)을 우선순위로 하여 앰프(600)로 전송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매트릭스릴레이(500)는 상기 프로그램익스체인저(400) 및 하나 이상의 스피커(800)와 연결되고, 상기 제2출력장치(200)의 신호를 콘트롤온오프스위치(700)로부터 전송받되, 전송받은 신호에 따라 프로그램익스체인저(400) 또는 스피커(800)로 단독 또는 각각 그 신호를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다시 말해, 상기 매트릭스릴레이(500)는 연결된 다수의 스피커(800)들 중 상기 콘트롤온오프스위치(700)로부터 전송받는 신호에 따라 그 특정 스피커(800)를 차단할 수 있는 신호를 상기 스피커(800)로 전송하도록 하게 된다.
상기 앰프(600)는 학교의 각 교실 또는 방송이 필요한 곳에 설치된 각각의 스피커(800)로 신호를 전송하는 통상의 기술적 구성으로 상기 프로그램익스체인저(400)로부터 신호를 전송받아 연결된 하나 이상의 스피커(800)로 그 신호를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콘트롤온오프스위치(700)는 본 발명의 핵심 구성요소로써,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출력장치(200)들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매트릭스릴레이(500)로 전송하되, 선택적으로 연결된 하나 이상의 스피커(800)를 차단할 수 있는 차단부(710)가 구성되고, 상기 차단부(710)의 ON/OFF 유무에 따라 제2출력장치(200)들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프로그램익스체인저(400)로 전송하며, 외부 또는 내부에 상기 차단부(710)의 ON/OFF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표시램프(720)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컨트롤온오프스위치(700)에는 판단부(730), 설정부(740), 원격접속부(750), 무선통신모듈(760), 승인부(770), 결과전송부(780), 차단 및 수용부(790)가 더 포함 구성된다.
즉, 상기 컨트롤온오프스위치(7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교 등에서 각종 이벤트 등의 행사를 진행 중, 제2출력장치(20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가 불필요한 곳의 스피커(800)로 그 신호가 출력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사용자의 임의적인 조작에 따라 원하는 스피커(800)의 출력을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되되, 상기 제2출력장치(20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가 특정신호(재난방송)일 경우에는, 모든 스피커(800)의 차단을 해지하도록 하여, 상기 프로그램익스체인저(400)에 의해 전송된 신호가 모든 스피커(800)로 전송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차단부(710)는 제2출력장치(20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연결된 스피커(800) 중 차단이 필요한 스피커(800)를 차단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콘트롤온오프스위치(700)의 외측에 버튼 형태로 구성될 수가 있고, 버튼형태로 구성될 시, 원하는 스피커(800)와 연결된 버튼을 선택적으로 선택함으로써, 상기 제2출력장치(20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버튼이 눌려진 차단부(710)와 연결된 스피커(800)로의 신호 전송을 차단할 수가 있다.
상기 표시램프(720)는 콘트롤온오프스위치(700)의 외측에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상기 차단부(710)(버튼)의 ON 또는 OFF 상태인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ON상태와 OFF상태의 색상을 서로 달리 구성할 수가 있다.
상기 판단부(7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출력장치(200)들로부터 전송되는 신호가 설정된 특정신호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판단부(730)의 최종 판단에 따라서 스피커(800)의 차단 및 해제가 결정되게 된다.
상기 설정부(740)는, 상기 특정신호와 대응하는 신호를 사용자가 오프라인에서 설정하도록 구성되는데, 이는 불특정 다수가 부분별한 방송설비 조작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특정신호를 설정하는 구성으로써, 상기 설정부(740)을 통해 특정신호와 대응하는 신호를 설정할 경우, 그 특정신호가 전송될 시, 대응하지 않을 경우 콘트롤온오프스위치(700)가 반응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그 설정조건으로는 다양한 방법들이 적용될 수가 있다.
상기 원격접속부(750)는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설정부(740)를 원격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하기될 스마트폰(900)의 APP(910)과 연동되도록 구성되어, 근거리에서도 편리하게 접속하여 설정부(740)를 조작할 수가 있게 된다.
이러한 원격접속부(750)의 경우 학교이외의 기타 발생하는 일들을 교직원들이 먼저 파악할 경우, 근거리에서 설정부(740)를 조작하여 특정신호의 조건을 변경, 형성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무선통신모듈(760)은 통상적으로 스마트폰(900)과 무선 통신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통상의 구성임으로써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승인부(770)는 상기 하나 이상의 스마트폰(900)이 상기 원격접속부(750)와 연결되어 설정부(740)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승인하되, 다수의 스마트폰(900)이 원격접속을 승인받아 원격접속부(750)에 접속된 상태일 경우, 접속한 시간별로 가장 빠른 시간에 승인받은 스마트폰(900)을 우선순위로 하여 원격접속부(750)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다수의 스마트폰(900)이 원격접속부(750)에 접속하고자 할 때, 모든 접속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되, 동시 접속을 통해, 설정부(730)를 부분별하게 설정 제어하기 못하도록 최초 승인받은 스마트폰(900)에 우선순위를 주도록 하여, 발생할 수 있는 혼동 등을 방지할 수가 있다.
상기 결과전송부(780)는 상기 하나 이상의 스마트폰(900)이 상기 원격접속부(750)를 제어한 후, 그 제어결과를 원격접속부(750)에 접속된 스마트폰(900)으로 전송하도록 하는데, 즉, 사용자가 설정을한 내용이 제대로 설정되었는지 아닌지를 사용자가 파악하도록 하고, 잘못된 설정이 이루어졌을 시, 재차 설정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때, 상기 결과전송을 위한 방법으로는, 설정된 부분을 캡처하여 사진으로 전송 또는, 변경이 이루어졌다는 문자형태의 메시지 등이 될 수가 있고, 변경전 및 변경 후를 표시하는 문자 또는 사진으로 전송되어질 수가 있다.
상기 차단 및 수용부(790)는 상기 승인부(770)로부터 가장 빠른 시간에 승인받은 스마트폰(900)이 제2출력장치(200)들로부터 전송되는 전송신호에 대하여 원하는 조건을 설정한 후 원격접속부(750)로부터 접속을 종료하면, 두 번째 빠른 시간에 승인받은 스마트폰(900)이 원격접속부(750)를 이용하여 조건을 설정하되, 상기 가장 빠른 시간에 승인받은 스마트폰(900)에 의해 변경된 조건을 다른 조건으로 변경할 시, 설정된 시간 또는 범위 이내일 경우 이를 차단하고, 이외일 경우 이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차단 및 수용부(790)의 구성으로 다수의 접속자들의 부분별한 조건 변경 등을 방지토록 할 수가 있다.
한편, 상기 스피커(800)는 상기 앰프(600)들로부터 신호를 전송받아 그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콘트롤온오프스위치(700)로부터 전송된 신호에 따라 출력이 차단되는 셀렉터(810)를 포함하는 스피커(800)로 구성된다.
상기 셀렉터(810)는 실질적으로 콘트롤온오프스위치(70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통해 연결된 스피커(800)의 작동을 차단하는 구성으로써, 상기 스피커(800)의 내부에 포함되게 구성될 수도 있고, 상기 스피커(800)와 앰프(600) 사이에 구성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스피커(800)와 앰프(600) 사이에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상기 스마트폰(900)은 상기 무선통신모듈(760)을 통해 콘트롤온오프스위치(700)와 통신하되, 상기 원격접속부(750)와의 연결 및 제어할 수 있는 APP(910)이 설치되어, 근거리에서 설정부(740)를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있게 되고, 상기 무선통신모듈(760)과의 통신은 스마트폰(900)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음으로, 자체적인 통신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선택적인 차단 기능을 갖는 방송설비 제어시스템을 이용한 스피커 제어방법을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2출력장치(200)들로부터 전송되는 신호 및 특정신호에 따라 그 조건을 선택적으로 설정하는 조건설정단계(S100); 콘트롤온오프스위치(700)의 차단부(710)를 ON상태로 하는 차단부 설정단계(S200); 제1, 2출력장치(100, 200)들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스피커로 출력하는 제1출력단계(S300); 상기 스피커로 출력 중 예약 또는 사용자의 임의조작에 의해 상기 제2출력장치(200)들로부터 신호가 전송될 경우, 그 신호를 차단하는 차단단계(S400); 상기 제2출력장치(200)들로 전송받은 신호가 특정신호일 경우, 스피커로 출력중인 모든 신호를 차단하고, 상기 특정신호를 우선순위로 하여 연결된 모든 스피커로 출력하는 제2출력단계(S50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2출력단계(S500) 후, 하나 이상의 스마트폰(900)으로 상기 조건설정단계(S100)를 원격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방송설비제어시스템과 연결을 요청하는 연결요청단계(S600); 상기 스마트폰(900)의 연결요청에 따라 하나 이상의 스마트폰(900)의 연결을 승인하는 승인단계(S700); 승인받은 스마트폰(900)이 두 개 이상을 경우 승인받은 시간을 우선순위로 하여 원격 제어하는 제어단계(S800);를 더 포함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학교 등에 설치할 경우, 각종 행사를 진행할 시, 불필요한 장소(교장실 등)의 스피커로 음악 등이 출력되지 않도록 특정 스피커를 차단하여 원활한 행사진행이 가능하고, 특정신호(재난방송)가 전송될 시, 모든 출력신호들을 차단하고 상기 특정신호(재난방송)을 우선순위로 하여 모든 스피커의 차단을 해제하고 특정신호(재난방송)이 출력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외부 등 근거리에서도 스마트폰(900)을 이용하여 손쉽게 접근하고 승인받아 사용 및 제어가 가능한 획기적인 발명이다.
100 : 제1출력장치 200 : 제2출력장치 300 : 오디오믹서부
400 : 프로그램익스체이저 500 : 매트릭스릴레이 600 : 앰프
700 : 콘트롤온오프스위치
710 : 차단부 720 : 표시램프 730 : 판단부
740 : 설정부 750 : 원격접속부 760 : 무선통신모듈
770 : 승인부 780 : 결과전송부 790 : 차단 및 수용부
800 : 스피커 810 : 셀렉터 900 : 스마트폰
S100 : 조건설정단계 S200 : 차단부설정단계 S300 : 제1출력단계
S400 : 차단단계 S500 : 제2출력단계 S600 : 연결요청단계
S700 : 승인단계 S800 : 제어단계

Claims (3)

  1. 방송설비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예약 또는 임의조작에 의해 오디오믹서부(300)로 신호를 전송하는 제1출력장치(100)들;
    사용자의 예약 또는 임의조작에 의해 프로그램익스체인저(400)로 신호를 전송하되, 특정신호를 전송할 시, 상기 프로그램익스체인저(400)와 콘트롤온오프스위치(700)로 각각 전송하는 제2출력장치(200)들;
    제1출력장치(100)들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들을 전송받아 프로그램익스체인저(400)로 전송하는 오디오믹서부(300);
    상기 오디오믹서부(300), 제2출력장치(200)들, 매트릭스릴레이(50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연결된 각각의 앰프(600)로 전송하는 프로그램익스체인저(400);
    상기 프로그램익스체인저(400) 및 하나 이상의 스피커(800)와 연결되고, 상기 제2출력장치(200)의 신호를 콘트롤온오프스위치(700)로부터 전송받되, 전송받은 신호에 따라 프로그램익스체인저(400) 또는 스피커(800)로 단독 또는 각각 그 신호를 전달하는 매트릭스릴레이(500);
    상기 프로그램익스체인저(400)로부터 신호를 전송받아 연결된 하나 이상의 스피커(800)로 그 신호를 전달하는 앰프(600)들;
    상기 제2출력장치(200)들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매트릭스릴레이(500)로 전송하되, 선택적으로 연결된 하나 이상의 스피커(800)를 차단할 수 있는 차단부(710)가 구성되고, 상기 차단부(710)의 ON/OFF 유무에 따라 제2출력장치(200)들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프로그램익스체인저(400)로 전송하며, 외부 또는 내부에 상기 차단부(710)의 ON/OFF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표시램프(720)가 구성되는 콘트롤온오프스위치(700);
    상기 앰프(600)들로부터 신호를 전송받아 그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콘트롤온오프스위치(700)로부터 전송된 신호에 따라 출력이 차단되는 셀렉터(810)를 포함하는 스피커(800)들;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익스체인저(400)는,
    상기 매트릭스릴레이(500)로부터 전송받은 신호가 설정된 특정신호일 경우, 상기 앰프(600)로 전송중인 모든 신호를 차단하고, 상기 특정신호를 우선순위로 하여 전송하고,
    상기 스피커(800)의 셀렉터(810)는 콘트롤온오프스위치(700)로부터 전송된 특정신호를 전송받을 시, 그 특정신호가 스피커(800)로 출력될 수 있도록 차단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인 차단 기능을 갖는 방송설비 제어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온오프스위치(700)에는,
    상기 제2출력장치(200)들로부터 전송되는 신호가 설정된 특정신호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판단부(730)와,
    상기 특정신호와 대응하는 신호를 사용자가 오프라인에서 설정하는 설정부(7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인 차단 기능을 갖는 방송설비 제어시스템.
  3. 제 1항 또는 제 2항의 선택적인 차단 기능을 갖는 방송설비 제어시스템을 이용하되,
    제2출력장치(200)들로부터 전송되는 신호 및 특정신호에 따라 그 조건을 선택적으로 설정하는 조건설정단계(S100);
    콘트롤온오프스위치(700)의 차단부(710)를 ON상태로 하는 차단부 설정단계(S200);
    제1, 2출력장치(100, 200)들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스피커로 출력하는 제1출력단계(S300);
    상기 스피커로 출력 중 예약 또는 사용자의 임의조작에 의해 상기 제2출력장치(200)들로부터 신호가 전송될 경우, 그 신호를 차단하는 차단단계(S400);
    상기 제2출력장치(200)들로 전송받은 신호가 특정신호일 경우, 스피커로 출력중인 모든 신호를 차단하고, 상기 특정신호를 우선순위로 하여 연결된 모든 스피커로 출력하는 제2출력단계(S500);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출력단계(S500) 후,
    하나 이상의 스마트폰(900)으로 상기 조건설정단계(S100)를 원격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방송설비제어시스템과 연결을 요청하는 연결요청단계(S600);
    상기 스마트폰(900)의 연결요청에 따라 하나 이상의 스마트폰(900)의 연결을 승인하는 승인단계(S700);
    승인받은 스마트폰(900)이 두 개 이상을 경우 승인받은 시간을 우선순위로 하여 원격 제어하는 제어단계(S8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선택적인 차단 기능을 갖는 방송설비 제어시스템을 이용한 스피커 출력차단방법.
KR1020200189767A 2020-07-21 2020-12-31 선택적인 차단 기능을 갖는 방송설비 제어시스템을 이용한 스피커 제어방법 KR1024269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9767A KR102426918B1 (ko) 2020-07-21 2020-12-31 선택적인 차단 기능을 갖는 방송설비 제어시스템을 이용한 스피커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9982A KR102231422B1 (ko) 2020-07-21 2020-07-21 선택적인 차단 기능을 갖는 방송설비 제어시스템
KR1020200189767A KR102426918B1 (ko) 2020-07-21 2020-12-31 선택적인 차단 기능을 갖는 방송설비 제어시스템을 이용한 스피커 제어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9982A Division KR102231422B1 (ko) 2020-07-21 2020-07-21 선택적인 차단 기능을 갖는 방송설비 제어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1561A true KR20220011561A (ko) 2022-01-28
KR102426918B1 KR102426918B1 (ko) 2022-07-28

Family

ID=7522365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9982A KR102231422B1 (ko) 2020-07-21 2020-07-21 선택적인 차단 기능을 갖는 방송설비 제어시스템
KR1020200189767A KR102426918B1 (ko) 2020-07-21 2020-12-31 선택적인 차단 기능을 갖는 방송설비 제어시스템을 이용한 스피커 제어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9982A KR102231422B1 (ko) 2020-07-21 2020-07-21 선택적인 차단 기능을 갖는 방송설비 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2314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2495B1 (ko) * 2021-09-28 2022-03-10 주식회사 동천아이엔씨 동보장치형 원격 이중화 방송 제어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1940B1 (ko) * 2006-03-14 2007-01-22 주식회사 특수에이브이 중앙 방송과 국부 방송의 통합이 가능한 방송 장치
KR20070103579A (ko) * 2006-04-19 2007-10-24 주식회사 케빅 전관방송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9371A (ko) * 2006-07-24 2008-01-29 주식회사 우리별텔레콤 원격 제어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학교방송 및 시설관리시스템
KR100788875B1 (ko) * 2007-04-30 2007-12-27 한국영상주식회사 원격지 음향장치 제어시스템
KR100956368B1 (ko) * 2009-09-16 2010-05-06 주식회사 클릭전자정보시스템 구내 방송시스템 및 그 방법,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101148203B1 (ko) * 2011-11-25 2012-05-24 주식회사 케빅 지능형 통합 멀티미디어 송출 시스템
KR101649171B1 (ko) * 2016-06-30 2016-08-19 주식회사 지브이코리아 복수의 스피커를 제어하는 원격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1940B1 (ko) * 2006-03-14 2007-01-22 주식회사 특수에이브이 중앙 방송과 국부 방송의 통합이 가능한 방송 장치
KR20070103579A (ko) * 2006-04-19 2007-10-24 주식회사 케빅 전관방송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6918B1 (ko) 2022-07-28
KR102231422B1 (ko) 2021-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75583A (en) Emergency civil defense alarm and communications systems
KR100983334B1 (ko) 무선 방송 시스템 및 스피커 제어 장치
KR101017018B1 (ko) 디지털 매트릭스 앰프를 이용한 다원화방송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20100226100A1 (en) Modular multimedia management and distribution system
KR20080009371A (ko) 원격 제어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학교방송 및 시설관리시스템
KR102426918B1 (ko) 선택적인 차단 기능을 갖는 방송설비 제어시스템을 이용한 스피커 제어방법
JP2008258970A (ja) ワイヤレス音声伝送システム,ワイヤレスマイクロホン,音声送信装置,音声受信装置,撮像装置,記録装置及びオーディオミキサー
KR101148203B1 (ko) 지능형 통합 멀티미디어 송출 시스템
KR102384480B1 (ko) 비상방송 기능을 가진 오디오 매트릭스
KR101649171B1 (ko) 복수의 스피커를 제어하는 원격제어장치
US9905125B2 (en) Remote control with microphone used for pairing the remote control to a system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100908413B1 (ko) 원격제어 및 우선순위방송 기능과 행사장방송수단을 구비한 교내방송 시스템
KR101087290B1 (ko) 네트워크를 이용한 통합 무선제어 시스템
KR100419560B1 (ko) 원 케이블 다중 데이터 송수신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87447B1 (ko) 안전 기능 강화 형 전관 방송 중계기
KR101151626B1 (ko) 통합 제어 장치 및 그를 이용한 통합 제어 시스템
KR101017681B1 (ko) 디지털 네트워크 방송 시스템
KR101755205B1 (ko) 중 고등 학교 방송 및 소방 시스템
KR101594431B1 (ko) 스마트 교실 구축을 위한 융합 종합 방송 시스템
KR102432369B1 (ko) 비상방송제어 시스템
KR101490079B1 (ko) 다중매체의 hd급 디지털 방송 통합전송 제어시스템
KR100944180B1 (ko) 구내 방송 시스템 및 구내용 방송 수신 모듈의 선택적 방송방법
KR100358725B1 (ko) 음향/영상장치의 원격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384478B1 (ko) 음성인식 기능을 이용한 비상방송 제어기
KR100983333B1 (ko) 무선 로컬 방송 시스템 및 무선 헤드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