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9560B1 - 원 케이블 다중 데이터 송수신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원 케이블 다중 데이터 송수신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9560B1
KR100419560B1 KR10-2001-0027481A KR20010027481A KR100419560B1 KR 100419560 B1 KR100419560 B1 KR 100419560B1 KR 20010027481 A KR20010027481 A KR 20010027481A KR 100419560 B1 KR100419560 B1 KR 1004195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data
data signal
amplifier
vo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7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8672A (ko
Inventor
장병화
Original Assignee
가락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락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가락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27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9560B1/ko
Publication of KR200200886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86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9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95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0Adaptations for transmission by electrical cable
    • H04N7/102Circuits therefor, e.g. noise reducers, equalisers, amplif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 가닥의 케이블에 다중 데이터 송수신시스템에 관하 것으로, 다수의 카메라에서 입력되는 영상데이터신호와 다수의 마이크에서 입력되는 음성데이터신호를 변조한 데이터신호와 카메라의 상하/좌우 회전제어, 영상의 확대/축소 및 초점제어, 전원 온/오프제어, 센서 입력제어, 비상신호 발신기 신호 분석제어 등 각종 입/출력제어 데이터신호를 다중 데이터 송수신기와 다중 데이터 송수신기 상이 또는 동축케이블로 직/병렬로 결선 하여 데이터신호를 송수신하며, 영상데이터 신호, 음성데이터신호, 각종 제어데이터신호 및 시스템 구동에 필요한 전원 등을 다중 전송시 카메라, 스피커, 마이크, 센서 또는 각종 데이터의 종류에 관계없이 한 가닥의 동축케이블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다중 데이터 송수신기를 직/병렬 방식으로 결선 하여 설치함으로서 케이블의 양을 줄일 수 있고, 음성을 쌍방향으로 송수신 할 수 있어 양쪽에서 모두가 말하고, 들을 수 있으며, 비상시 비상신호 발생기에 의해 현재의 위급한 상황을 즉시 알릴 수 있어, 긴급상황 발생시 즉시 대처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Description

원 케이블 다중 데이터 송수신시스템 및 그 방법.{One cable multi data transceiver system and a means.}
본 발명은 폐쇄회로 텔레비전(CCTV)의 영상신호의 전송과 제어신호 전송, 음성신호 전송, 전원공급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한 가닥의 동축케이블로 다수의 영상신호, 제어신호, 음성신호, 및 전원 등을 동시에 전송 또는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원 케이블 다중 데이터 송수신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폐쇄회로 텔레비전에서 감시카메라로부터 모니터로 전송되는 영상신호, 상기 카메라의 상하좌우회전 및 피사체의 확대 및 축소, 거리의 원근조절, 각종 전원의 온 오프 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 전원공급은 각각의 영상신호 전송선, 제어신호 전송선 및 전원공급선 등을 통하여 송수신되었다.
이러한 각 영상신호선, 제어신호선, 전원공급선은 각기 개별적으로 포설되거나 혹은 상기 제어신호선과 전원공급선은 1개의 전선으로 동일 포설하되, 상기 영상신호선은 개별 포설되어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며, 현재 사용되고 있는 폐쇄회로 텔레비전의 송수신장치를 도면을 통해 그 일례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폐쇄회로 텔레비전의 다중 송수신장치를 보인 블록도로서,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사체를 촬영하여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다수의 감시카메라(CA1~CAn)와, 상기 감시카메라(CA1~CAn)로부터 입력받은 영상신호를 모니터(1)에 전송하여 디스플레이 시키는 영상제어 중앙기(2)와, 상기 영상제어 중앙기(2)에 소정의 출력을 가함으로서 상기 감시카메라(CA1~CAn)의 하부에 위치한 제어장치(RX1~RXn)를 작동시켜 상기 감시카메라의 방향(좌, 우, 상, 하)의 조절, 피사체의 확대, 축소, 거리조절 및 각종 전원의 온/오프 등을 조절하는 제어신호를출력하는 조작기로 구성된다.
상기 조작기(2)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는 상기 영상 영상제어 중앙기(2)를 거쳐 상기 감시카메라(CA1~CAn)를 조절하는 제어장치(RX1~RXn)에 인가된다. 이때 상기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케이블에 전원공급기가 연결됨으로 상기 제어신호케이블과 전원케이블은 포설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전원 및 제어신호는 하나의 케이블로 전송되지만, 상기 영상신호케이블은 각기 다른 별개의 케이블로 상기 영상제어 중앙기(2)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에는 영상신호를 각 감시카메라(CA1~CAn)에 대응하는 수만큼 포설하여야 되고, 제어신호도 각 제어장치에 대응하는 수만큼 포설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 출원한 특허출원 제1996-002481호의 명세서에 그 구성은 상세하게 서술되어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그 구성을 생략하고 설명한다.
도2에 도시된 폐쇄회로 텔레비전의 다중 송수신장치는 각 감시용 카메라(CA1~CAn)에 영상케이블(ECX1~ECXN)을 통해 입력받아 해당 영상출력을 제어장비(10)에 출력하는 카메라 다중 송신부(30)를 구비하였다.
각 감시용카메라(CA1~CAn)의 수에 관계없이 단일의 영상신호케이블(ECX1~ECXN)로서 상기 감시 카메라(CA1~CAn)의 영상신호를 모니터(MO1~MOn)에 전송할 수 있지만 각 제어신호 및 전원을 공급하는 제어신호 및 전원선은 개별로 포설되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단점으로 인하여 상기 제어신호선 및 전원선이 차지하는 면적이 증가되어 시공 시에 케이블을 포설하기 위한 장소에 난점이 있고, 자재비나 인건비 등이 가증되고 이로 인하여 유지보수 및 관리가 용이하지 못하였고, 신규설치 혹은 증설/이설 등을 하기가 매우 힘이 들며, 신규설치 또는 증설/이설하기 위한 공사비용 상당히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영상시스템의 영상 데이터신호, 마이크 시스템의 음성 데이터신호, 제어시스템의 제어 데이터신호, 시스템구동에 필요한 전원공급 등의 다중 데이터신호 전송 시 카메라의 수, 마이크의 수, 스피커의 수, 제어신호의 수에 관계없이 한 가닥의 동축케이블을 직/병렬 방식의 결선을 이용하여 영상 데이터신호, 음성 데이터신호, 제어 데이터신호, 전원 등을 전송 할 수 있도록 하는 원 케이블 다중 데이터 송수신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원 케이블 다중 데이터 송수신시스템은 감시용 카메라의 영상신호를 모니터에 전송시키고, 상기 감시용 카메라의 위치 및 원근 등을 제어하는 제어신호 및 전원을 전송하는 원 케이블 다중 데이터 송수신시스템에 있어서, 피사체를 촬영하여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다수의 감시용 카메라(C1~Cn); 상기 카메라를 상하좌우 회전을 할 수 있도록 구동하는 드라이브; 상기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S1~Sn); 음성 데이터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 음성 데이터를 받아들이는 마이크; 상기 카메라, 센서, 스피커, 마이크와병렬로 연결하여 상기 데이터신호를 출력하거나 받아들여 이를 제어하고, 또한 비상신호의 발생시 이를 안테나를 통해 무선 수신하는 다수의 다중 데이터 송수신기; 상기 다수의 다중 데이터 송수신기 중 어느 한 다중 데이터 송수신기와 한 가닥의 동축케이블로 연결되어 데이터신호의 송출하거나 받아들여 이를 제어하는 다중 데이터 송수신 중앙제어기; 상기 다중 송수신 중앙제어기와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피사체를 녹화하는 비디오녹화기; 상기 다중 송수신 중앙제어기와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를 통해 인가되는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하는 모니터; 상기 다중 송수신 중앙제어기와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를 상하좌우로 방향을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조작기; 상기 다중 데이터 송수신 중앙제어기와 연결되어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데이터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 상기 중앙제어기와 연결되어 상기 스피커를 통해 상기 피사체에 알릴 수 있도록 음성 데이터신호를 입력하는 마이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다중 송신제어기는 한 가닥의 동축케이블을 통해 직, 병렬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다중 데이터 송수신기는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음성 데이터신호를 증폭하는 제1증폭기; 상기 제1증폭기와 상기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신호를 받아들여 RF신호로 변화시키는 RF변조기; 상기 RF변조기를 통해 변조되어 인가되는 변조신호를 증폭하는 제2증폭기; 상기 제2증폭기를 통해 증폭된 신호와 전원을 결합하여 상기 다중 송수신 중앙제어기에 한 가닥의 동축케이블을 통해 입력하는 제1전력결합기; 상기 제1전력결합기에 전원을 인가받는전원부; 상기 RF변조기에 의해 영상, 음성, 신호를 RF변조시 주파수를 자동으로 세팅하여 신호를 인가하는 제1제어부; 상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데이터 신호가 접점식I/O를 통해 인가되어 이를 상기 다중 데이터 송수신 중앙제어기에 신호를 인가하거나, 또는 상기 다중 데이터 송수신 중앙제어기를 통해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에 의해 상기 카메라의 드라이버를 구동시 킬 수 있도록 제어하는 P/T제어부; 안테나를 통해 인가되는 비상신호를 인가 받아 증폭하는 제3증폭기; 상기 제3증폭기를 통해 증폭된 비상신호를 RF신호로 복조하는 RF복조기; 상기 P/T제어부와 상기 RF복조기를 통해 인가되는 신호를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다중 데이터 송수신 중앙제어기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상기 P/T제어부에 데이터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는 제1I/O제어부; 상기 제1전력결합기를 통해 인가되는 음성 신호를 증폭하는 제4증폭기; 상기 제4증폭기에 의해 증폭된 음성 신호를 변조하는 제1혼합기; 상기 제1혼합기에 입력되어 변조된 신호를 중간주파수 신호로 만들어 내기 위한 제1국부발진기; 상기 제1혼합기를 통해 인가되는 음성 데이터 신호에서 변조된 음성 데이터를 변조하는 음성검파기; 상기 음성검파기를 통해 인가되는 음성 데이터를 특정 카메라의 보이스를 절재하는 시그널 익스체인지; 상기 시그널 익스체인지를 통해 인가되는 음성 데이터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해 특정 음성이 송출되도록 하는 전력증폭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다중 데이터 송수신기는 상기 마이크를 통해 인가되는 음성데이터를 증폭하는 제1증폭기; 상기 제1증폭기와 상기 카메라를 통해 인가되는 음성데이터 또는 영상데이터의 신호를 RF신호로 변조하는 RF변조기; 상기RF변조기를 통해 RF신호로 변조되는 음성데이터와 영상데이터를 제어하는 제1제어부; 상기 RF변조기를 통해 인가되는 RF신호 중 주어진 상부 및 하부차단 주파수의 교류만을 통과시키고 그 이외의 주파수의 교류는 감쇠시키는 제1대역여파기; 상기 제1대역여파기를 통해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를 증폭하는 제6증폭기; 상기 제1제어부에 의해 인가되는 데이터신호를 입력된 신호를 중간주파수 신호로 만들어 내기 위한 제2국부발진기; 상기 제2국부발진기를 통해 인가되는 데이터신호를 증폭하는 제11증폭기; 상기 제6증폭기와 상기 제11증폭기를 통해 증폭되어 인가되는 데이터신호를 혼합하는 제2혼합기; 상기 제2혼합기에서 혼합되어 인가되는 데이터신호를 증폭하는 제2증폭기; 상기 제2증폭기를 통해 증폭된 데이터신호를 한 가닥의 동축케이블을 거쳐 상기 다중 데이터 송수신 중앙제어기로 인가하는 제1전력결합기; 상기 제1전력결합기에 전원을 인가 받는 전원부; 상기 RF변조기에 의해 영상, 음성, 신호를 RF변조시 주파수를 자동으로 세팅하여 신호를 인가하는 제1제어부; 상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데이터 신호가 접점식I/O를 통해 인가되어 이를 상기 다중 데이터 송수신 중앙제어기에 신호를 인가하거나, 또는 상기 다중 데이터 송수신 중앙제어기를 통해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에 의해 상기 카메라의 드라이버를 구동시 킬 수 있도록 제어하는 P/T제어부; 안테나를 통해 인가되는 비상신호를 인가 받아 증폭하는 제3증폭기; 상기 제3증폭기를 통해 증폭된 비상신호를 RF신호로 복조하는 RF복조기; 상기 P/T제어부와 상기 RF복조기를 통해 인가되는 신호를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다중 데이터 송수신 중앙제어기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상기 P/T제어부에 데이터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는 제1I/O제어부; 상기 제1전력결합기를통해 인가되는 음성 신호를 증폭하는 제4증폭기; 상기 제4증폭기에 의해 증폭된 음성 신호를 변조하는 제1혼합기; 상기 제1혼합기에 입력되어 변조된 신호를 중간주파수 신호로 만들어 내기 위한 제1국부발진기; 상기 제1혼합기를 통해 인가되는 음성 데이터 신호에서 변조된 음성 데이터를 변조하는 음성검파기; 상기 음성검파기를 통해 인가되는 음성 데이터를 특정 카메라의 보이스를 절재하는 시그널 익스체인지; 상기 시그널 익스체인지를 통해 인가되는 음성 데이터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해 특정 음성이 송출되도록 하는 전력증폭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다중 데이터 송수신 중앙제어기는 상기 다중 데이터 송신기의 제1전력결합기를 통해 인가되는 다중 데이터(음성데이터, 영상데이터, 동작감지데이터 또는 비상신호 발신데이터) 신호를 한 가닥의 동축케이블을 통해 인가받는 제2전력결합기; 상기 제2전력결합기를 통해 인가되는 다중 데이터 신호가 감시자의 모니터 또는 스피커로 송출되거나, 상기 다중 데이터 송수신기로 데이터신호가 인가될 수 있도록 연결하는 결합기; 상기 결합기를 통해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가 감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 주파수대로 증폭하는 제7증폭기; 상기 제7증폭기를 통해 인가되는 데이터신호를 다수의 채널별로 분배하는 제1분배기; 상기 제1분배기를 통해 분배된 데이터신호를 다수의 제2분배기(D1~Dn); 상기 제2분배기를 통해 인가되는 영상, 음성, 동작감지 데이터 및 비상발신신호를 감지하여 스피커 또는 모니터를 통해 감시자가 상황을 파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를 송출하는 다수의 튜너(T1~Tn); 상기 튜너(T1~Tn)로 인가되는 데이터신호를 자동으로 채널을 설정할 수 있도록 디지털 방식으로 필요 주파수만을 튜닝하는 튜너제어부; 상기 마이크를 통해 인가되는 음성 데이터 신호를 증폭하는 제8증폭기; 상기 제8증폭기에 의해 증폭된 음성 데이터 신호를 변조하는 제2혼합기; 상기 제2혼합기에서 변조된 음성 데이터 신호의 일부를 피드백하여 입력에 가하며, 주파수 특성이 안정화 되도록 하는 제3국부발진기; 상기 제3국부발진기와 상기 제2혼합기를 통해 인가되는 음성 데이터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결합기와 상기 전력결합기를 거쳐 한 가닥의 동축케이블을 통해 상기 다중 데이터 송수신기의 스피커로 송출되도록 하는 제9증폭기; 외부입력기(조작기, 비디오 녹화기)가 연결되어 신호를 인가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2I/O제어부; 상기 제2I/O제어부를 통해 인가되는 외부입력기의 데이터 신호를 주파수 편의 방식으로 변조하여 상기 결합기, 전력결합기를 통해 상기 다중 데이터 송수신기로 데이터 신호를 인가하는 FSK변/복조기; 상기 제2I/O제어부에 데어터신호를 인가받아 특정 영상데이터 또는 음성데이터를 선택하여 별도의 모니터와 스피커로 데이터를 송출하여 감시자가 청취 또는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영상/음성스위처; 상기 결합기에서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를 증폭하는 제10증폭기; 상기 제10증폭기에서 증폭되어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를 모니터에 연결하여 다른 감시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RF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다중 데이터 송수신기의 안테나에 무선으로 비상신호가 인가되어 이를 다중 데이터 송수신 중앙제어기와 모니터를 통해 그 상황을 확인 할 수 있도록 소정 부위에 조작버튼을 형성된 비상신호 발생기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I/O제어부에는 상기 비상신호 발진기에서 인가되는 데이터신호에 의해 미리 설정하여 저장하여둔 음성데이터가 상기 스피커를 동해 송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전력결합기에는 상기 다중 데이터 송수신기가 병렬로 더 연결되어 RF데이터 신호를 입력하는 RF신호입력부; 상기 RF신호 입력부를 통해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를 전력결합기를 통해 상기 다중 데이터 중앙제어기와 데이터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증폭하는 제5증폭기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전력결합기는 상기 제2증폭기를 통해 증폭되어 인가되는 데이터신호 중 필요한 주파수만을 통과시키는 제1직류필터; 상기 제1FSK변/복조부를 통해 인가되는 데이터신호에서 DC전압은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며, 데이터 신호만을 통과시키는 제2직류필터; 상기 제4증폭기를 통해 인가되는 데이터신호에서 DC전압은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며, 데이터 신호만을 통과시키는 제3직류필터; 다른 다중 데이터 송수신기에서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 중 일정 주파수의 이하 신호는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고, 일정 주파수 이상만 통과시키는 제1고역여파기; 상기 제1고역여파기를 통해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에서 DC전압은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며, 데이터 신호만을 통과시키는 제5직류필터; 상기 제5직류필터를 통해 여과된 데이터신호를 증폭하는 제12증폭기; 다른 다중 데이터 송수신기를 통해 인가되는 데이터신호 중 일정 주파수 이하의 주파수 신호는 통과시키고, 일정 주파수 신호 이상은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는 제2저역여파기; 상기 다중 데이터 송수신 중앙제어기를 통해 인가되는 데이터신호를 받아 일정 주파수 이하만을 통과시켜 다른 다중 데이터 송수신기로 그 데이터신호를 인가하는 제1저역여파기; 상기 다중 데이터 송수신 중앙제어기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를 인가 받아 이중 전원을 분리하여 전원부에 인가하는 제3저역여파기; 및 상기 제1직류필터와 상기 제2직류필터와 상기 제3직류필터와 상기 제4직류필터를 거쳐 인가되는 데이터신호의 주파수 대역폭을 다수의 패턴에 의해 결정하며, 결정된 주파수를 한 가닥의 동축케이블을 통해 제2전력결합기에 RF신호를 인가하는 제1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튜너(T1~Tn)는 상기 튜너제어부에 의해 디지털 방식으로 자동 채널을 설정한 데이터신호를 제어하는 제2제어부; 상기 제2제어부를 통해 디지털 방식으로 자동 채널이 설정되어 인가된 데이터 신호에서 중간 주파수 신호를 만들어 내는 국부발진기; 상기 제2분배기를 통해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와 상기 튜너에 의해 자동채널이 설정된 데이터 신호를 혼합하는 제3혼합기; 상기 제3혼합기를 통해 인가된 데이터 신호 중 주어진 상부 및 하부차단 주파수의 교류만을 통과시키고 그 이외의 주파수의 교류는 감쇠시키는 제2대역여파기; 상기 제1대역여파기를 통해 인가되는 데이터신호를 감시자가 스피커를 통해 청취하거나, 모니터를 통해 영상을 볼 수 있도록 복조하는 복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2전력결합기는 상기 다중 데이터 송수신기에 의해 한 가닥의 동축케이블을 통해 인가되는 데이터신호 중 일정주파수 이하만을 통과시키는 제4저역여파기; 상기 제4저역여파기를 통해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 중 일정 주파수 이하만을 통과시키고, 일정 주파수 이상은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는제5저역여파기; 상기 제5저역여파기를 통해 인가되는 데이터신호를 정렬시키고 DC전압은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며, 데이터 신호만을 통과시키는 제7직류필터; 상기 다중 데이터 송수신기에 의해 한 가닥의 동축케이블을 통해 인가되는 데이터신호 중 일정 주파수 이상만을 통과시키는 제2고역여파기; 상기 제2고역여파기를 통해 인가되는 데이터신호에서 DC전압은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며, 데이터 신호만을 통과시키는 제6필터; 상기 제6직류필터를 통해 인가되는 데이터신호를 증폭하는 제13증폭기; 상기 제13증폭기를 통해 인가되는 데이터신호를 정렬시키고 DC전압은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며, 데이터 신호만을 통과시키는 제8직류필터; 다수의 상기 제7직류필터와 다수의 상기 제8직류필터를 통해 인가되는 데이터신호의 주파수 대역폭을 다수의 패턴에 의해 결정하며, 결정된 주파수를 상기 결합기에 인가하는 제2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상신호 발생기는 상기 조작버튼의 조작되면 이를 감지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 인가된 신호를 변조하는 RF변조기; 상기 RF변조기에서 변조된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 상기 RF변조기에 의해 변조되어 증폭된 신호를 상기 다중 데이터 송수신기에 무선으로 신호를 인가하는 안테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는 감시용 카메라의 영상신호를 모니터에 전송시키고, 상기 감시용 카메라의 위치 및 원근 등을 제어하는 제어신호 및 전원을 전송하는 원 케이블 다중 데이터 송수신시스템에 있어서, 다중 데이터 송수신기에 카메라 영상과 마이크 음성이 들어오면 사전에 선택된 채널로 RF신호를 자동 변조하여 다중 데이터 송수신 중앙제어기에 송신하면, 다중 데이터 송수신 중앙제어기는 신호를 분석 및 복조 하여 다량의 채널로 직접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재생하며, 조작기를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특정한 채널을 별도의 모니터로 디스플레이하고, 동시에 음성은 스피커에서 자동으로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다중 데이터 송수신기와 연결된 센서에서 피사체가 감지되면 데이터신호를 분석하여 다중 데이터 송수신 중앙제어기에 데이터를 전송하고, 다중 데이터 송수신 중앙제어기는 인가된 데이터신호를 분석하여 영상모니터 화면에 감지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동시에 음성을 청취할 수 있는 스피커에 자동으로 감지음 및 메시지를 방송하며, 이와 동시에 다발적으로 비디오 녹화기(DVR)에서는 현재상황을 자동으로 녹화하고, 상기 센서에 감지된 피사체를 모니터 및 스피커로 확인되면 조작기로 피사체를 감지한 카메라를 선택하여 카메라 드라이브를 조정하여 감지한 상황을 파악한 뒤 마이크를 통해 방송을 하면 다중 데이터 송수신기와 연결되어 있는 스피커로 방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다중 데이터 송수신기의 안테나를 통해 비상신호 발신기로부터 신호가 인가되면 데이터를 분석한 다음 다중 데이터 송수신기의 제1I/O제어부에 미리 저장해둔 비상경보 사이렌 및 경보 메시지를 자동으로 스피커를 통해 방송하고, 동시에 다중 데이터 송수신 중앙제어기에 비상 데이터를 전송하면, 전송되어온 데이터 신호를 분석하여 영상데이터를 모니터 화면에 비상경보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이와 동시에 음성을 스피커에 자동 비상경보 음 및 메시지를 방송하며, 또한 동시 다발적으로 비디오 녹화기(DVR)에서는 현재상황을 자동으로 녹화하고, 감시자가 비상상황을 모니터 및 스피커를 통해 확인되면 조작기를 조작하여 비상신호를 수신한 다중 데이터 송수신기와 연결된 카메라를 선택하여 정확한 현장상황을 파악한 뒤 마이크 통해 방송을 하면 트랜시버내의 스피커로 송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폐쇄회로 텔레비전의 다중 송수신장치를 보인 블록도.
도 2는 종래의 폐쇄회로 텔레비전의 다중 송수신장치를 보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원 케이블 다중 데이터 송수신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다중 데이터 송신부를 보인 블록도.
도 5는 도4의 제1전력결합기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다중 데이터 송신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다중 데이터 수신부를 보인 블록도.
도 8은 도7의 제2전력결합기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다중 데이터 송수신기 110 : 제1증폭기
111 : RF변조기 112 : 제1제어부
113 : 제2증폭기 114 : 제1전력결합기
114a : 제1직류필터 114b : 제2직류필터
114c : 제3직류필터 114d : 제2저역여파기
114e : 제1저역여파기 114f : 제3저역여파기
114g : 제1고역여파기 114h : 제5직류필터
114i : 제12증폭기 114j : 제4직류필터
114k : 제1결합부 114l : 패턴
115 : 전원부 116 : 제1대역여파기
117 : 제1혼합기 118 : 제11증폭기
119 : 제2국부발진기 120 : 제6증폭기
121 : P/T제어부 122 : 제1I/O제어부
123 : 안테나 124 : 제3증폭기
125 : RF복조기 126 : 제1FSK변/복조기
127 : 제4증폭기 128 : 제1혼합기
129 : 제1국부발진기 130 : 음성검파기
131 : 시그널 익스체인지 132 : 전력증폭기
140 : RF신호입력부 141 : 제5증폭기
150 : 카메라 151 : 드라이브
160 : 센서 170 : 스피커
180 : 마이크 200 : 다중 데이터 송수신 중앙제어기
210 : 제2전력결합기 210a : 제4저역여파기
210b : 제5저역여파기 210c : 제7직류필터
210d : 제2고역여파기 210e : 제6직류필터
210f : 제13증폭기 210g : 제8직류필터
210h : 제2결합부 210i : 패턴
211 : 전원부 220 : 결합기
221 : 제7증폭기 222 : 제1분배기
223 : 제2분배기 224 : 튜너
224a : 제2제어부 224b : 국부발진기
224c : 제3혼합기 224d : 제2대역여파기
224e : 복조기 230 : 튜너제어부
240 : 제2I/O제어부 241 : 제2FSK변/복조기
242 : 영상/음성 스위처 250 : 제8증폭기
251 : 제2혼합기 252 : 제3국부발진기
253 : 제9증폭기 254 : 제10증폭기
255 : RF신호출력부 260 : 모니터
261 : 비디오녹화기(DVR) 270 : 스피커
280 : 마이크 290 : 조작기
300 : 비상신호 발신기 310 : 제어부
320 : RF변조기 330 : 증폭기
340 : 안테나 400 : 동축케이블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원 케이블 다중 데이터 송수신시스템 및 그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원 케이블 다중 데이터 송수신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다중 데이터 송신부를 보인 블록도이고, 도 5는 도4의 제1전력결합기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다중 데이터 송신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블록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다중 데이터 수신부를 보인 블록도이며, 도 8은 도7의 제2전력결합기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3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원 케이블 다중 데이터 송수신시스템은 본 발명에 의한 원 케이블 다중 데이터 송수신시스템은 감시용 카메라의 영상신호를 모니터에 전송시키고, 상기 감시용 카메라의 위치 및 원근 등을 제어하는 제어신호 및 전원을 전송하는 원 케이블 다중 데이터 송수신시스템에 있어서, 피사체를 촬영하여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다수의 감시용 카메라(C1~Cn)(150)와, 상기 카메라(150)를 상하좌우 회전을 할 수 있도록 구동하는 드라이브(151); 상기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S1~Sn)(160)와, 음성 데이터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170)와, 음성 데이터를 받아들이는 마이크(180)와, 상기 카메라(150), 센서(160), 스피커(170), 마이크(180)와 병렬로 연결하여 상기 데이터신호를 출력하거나 받아들여 이를 제어하고, 또한 비상신호의 발생 시 이를 안테나(123)를 통해 무선 수신하는 다수의 다중 데이터 송수신기(100)가 구비된다.
다수의 상기 다중 데이터 송수신기(100) 중 어느 한 다중 데이터 송수신기(100)와 한 가닥의 동축케이블(400)로 연결되어 데이터신호의 송출하거나 받아들여 이를 제어하는 다중 데이터 송수신 중앙제어기(200)와, 상기 다중 송수신 중앙제어기(200)와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150)에 의해 촬영된 피사체를 녹화하는 비디오녹화기(DVR)(261)와, 상기 다중 데이터 송수신 중앙제어기(200)와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150)를 통해 인가되는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하는 모니터(260)와, 상기 다중 데이터 송수신 중앙제어기(200)와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150)를 상하좌우로 방향을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조작기(290)와, 상기 다중 데이터 송수신 중앙제어기(200)와 연결되어 다중 데이터 송수신기(100)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마이크(180)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데이터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270)와, 상기 다중 데이터 송수신 중앙제어기(200)와 연결되어 다중 데이터 송수신기(100)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스피커(170)를 통해 음성 데이터신호가 송출될 수 있도록 음성데이터를 입력하는 마이크(280)로 구성된다.
상기 다중 데이터 송수신기(100)의 안테나(123)에 무선으로 비상신호가 인가되어 이를 다중 데이터 송수신 중앙제어기(200)와 모니터(260)를 통해 그 상황을 확인 할 수 있도록 소정 부위에 조작버튼(미도시)이 형성된 비상신호 발생기(300)가 더 구비되며, 상기 비상신호 발신기(300)는 거주하고 있는 각 가정에 보급하여 이를 소지하여 비상시 비상신호 발신기(300)를 작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비상신호 발생기(300)는 상기 조작버튼이 조작되면 이를 감지하는 제어부(310)와, 상기 제어부(310)에 인가된 신호를 변조하는 RF변조기(320)와, 상기 RF변조기(320)에서 변조된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330)와, 상기 RF변조기(320)에 의해 변조되어 증폭된 신호를 상기 다중 데이터 송수신기(100)에 무선으로 신호를 인가하는 안테나(340)로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다중 데이터 송신제어기(100)는 한 가닥의 동축케이블(400)을 통해 직, 병렬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중 데이터 송수신기(100)는 마이크(180)를 통해 입력된 음성 데이터신호를 증폭하는 제1증폭기(110)와, 상기 제1증폭기(110)와 카메라(150)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신호를 받아들여 RF신호로 변화시키는 RF변조기(111)와, 상기 RF변조기(111)를 통해 변조되어 인가되는 변조신호를 증폭하는 제2증폭기(113)와, 상기 제2증폭기(113)를 통해 증폭된 신호와 전원을 결합하여 상기 다중 데이터 송수신 중앙제어기(200)에 한 가닥의 동축케이블(400)을 통해 입력하는 제1전력결합기(114)와, 상기 제1전력결합기(114)에 전원을 인가받는 전원부(115)와, 상기 RF변조기(111)에 의해 영상과 음성을 RF신호로 변조시 주파수를 자동으로 세팅하여 신호를 인가하는 제1제어부(112)와, 상기 센서(160)에 의해 감지된 데이터 신호가 접점식 I/O를 통해 인가되어 이를 상기 다중 데이터 송수신 중앙제어기(200)에 신호를 인가하거나, 또는 상기 다중 데이터 송수신 중앙제어기(200)를 통해 인가되는데이터 신호에 의해 상기 카메라(150)의 드라이브(151)를 구동 시 킬 수 있도록 제어하는 P/T제어부(121)와, 안테나(123)를 통해 인가되는 비상신호를 인가 받아 증폭하는 제3증폭기(124)와, 상기 제3증폭기(124)를 통해 증폭된 비상신호를 RF신호로 복조하는 RF복조기(125)와, 상기 P/T제어부(121)와 상기 RF복조기(125)를 통해 인가되는 신호를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다중 데이터 송수신 중앙제어기(200)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상기 P/T제어부(121)에 데이터 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카메라(150)의 제어하는 제1I/O제어부(122)와, 상기 제1전력결합기(114)를 통해 인가되는 음성 신호를 증폭하는 제4증폭기(127)와, 상기 제4증폭기(127)에 의해 증폭된 음성 신호를 변조하는 제1혼합기(117)와, 상기 제1혼합기(117)에 입력되어 변조된 신호를 중간주파수 신호로 만들어 내기 위한 제2국부발진기(119)와, 상기 제1혼합기(117)를 통해 인가되는 음성 데이터 신호에서 변조된 음성 데이터를 변조하는 음성검파기(130)와, 상기 음성검파기(130)를 통해 인가되는 음성 데이터를 특정 카메라(150)의 보이스를 절재하는 시그널 익스체인지(131)와, 상기 시그널 익스체인지(131)를 통해 인가되는 음성 데이터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스피커(170)를 통해 특정 음성이 송출되도록 하는 전력증폭기(132)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I/O제어부(122)에는 상기 비상신호 발진기(300)에서 인가되는 데이터신호에 의해 미리 설정하여 저장하여둔 음성데이터가 상기 스피커(170)를 동해 송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전력결합기(114)에는 상기 다중 데이터 송수신기(100)가 병렬로 더 연결되어 RF데이터 신호를 입력하는 다수개의 RF신호입력부(140)와, 상기 RF신호입력부(140)를 통해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를 제1전력결합기(114)를 통해 상기 다중 데이터 송수신 중앙제기(200)와 데이터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증폭하는 제5증폭기(141)가 더 구비된다.
상기 제1전력결합기(114)는 상기 제2증폭기(113)를 통해 증폭되어 인가되는 데이터신호에서 DC전압은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며, 데이터 신호만을 통과시키는 제1직류필터(114a)와, 상기 제1FSK변/복조부(126)를 통해 인가되는 데이터신호에서 필요한 데이터신호만을 통과시키고, DC전압은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는 제2직류필터(114b)와, 상기 제4증폭기(127)를 통해 인가되는 데이터신호에서 DC전압은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며, 데이터 신호만을 통과시키는 제3직류필터(114c)와, 다른 다중 데이터 송수신기(100)에서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 중 일정 주파수의 이하 신호는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고, 일정 주파수 이상만 통과시키는 제1고역여파기(114g)와, 상기 제1고역여파기(114g)를 통해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에서 DC전압은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며, 데이터 신호만을 통과시키는 제5직류필터(114h)와, 상기 제5직류필터(114h)를 통해 여과된 데이터신호를 증폭하는 제12증폭기(114i)와, 다른 다중 데이터 송수신기(100)를 통해 인가되는 데이터신호 중 일정 주파수 이하의 주파수는 통과시키고, 일정 주파수 이상은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는 제2저역여파기(114d)와, 상기 다중 데이터 송수신 중앙제어기(200)를 통해 인가되는 데이터신호를 받아 일정 주파수 이하만을 통과시켜 다른 다중 데이터 송수신기로 그 데이터신호를 인가하는 제1저역여파기(114e)와, 상기 다중 데이터 송수신 중앙제어기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를 인가받아 이중 전원을 분리하여 전원부(115)에 인가하는 제3저역여파기(114f)와, 상기 제1직류필터(114a)와 상기 제2직류필터(114b)와 상기 제3직류필터(114c)와 상기 제4직류필터(114j)를 거쳐 인가되는 데이터신호의 주파수 대역폭을 다수의 패턴(114l)에 의해 결정하며, 결정된 주파수를 한 가닥의 동축케이블(400)을 통해 제2전력결합기(210)에 RF신호를 인가하는 제1결합부(114k)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다중 데이터 송수신 중앙제어기(200)는 상기 다중 데이터 송신기(100)의 제1전력결합기(114)를 통해 인가되는 다중 데이터(음성데이터, 영상데이터, 동작감지데이터 또는 비상신호 발신데이터) 신호를 한 가닥의 동축케이블(400)을 통해 인가 받는 제2전력결합기(210)와, 상기 제2전력결합기(210)를 통해 인가되는 다중 데이터 신호가 감시자의 모니터(260) 또는 스피커(270)로 송출되거나, 상기 다중 데이터 송수신기(100)로 데이터신호가 인가될 수 있도록 연결하여 주는 결합기(220)와, 상기 결합기(220)를 통해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가 감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 주파수대로 증폭하는 제7증폭기(221)와, 상기 제7증폭기(221)를 통해 인가되는 데이터신호를 다수의 채널별로 분배하는 제1분배기(222)와, 상기 제1분배기(222)를 통해 분배된 데이터신호를 다수의 제2분배기(D1~Dn)(223)와, 상기 제2분배기(223)를 통해 인가되는 영상, 음성, 동작감지 데이터 및 비상발신신호를 감지하여 스피커(270) 또는 모니터(260)를 통해 감시자가 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를 송출하는 다수의 튜너(T1~Tn)(224)와, 상기 튜너(T1~Tn)(224)로 인가되는 데이터신호를 자동으로 채널을 설정할 수 있도록 디지털 방식으로 필요 주파수만을 튜닝하는튜너제어부(230)와, 상기 마이크(280)를 통해 인가되는 음성 데이터 신호를 증폭하는 제8증폭기(250)와, 상기 제8증폭기(250)에 의해 증폭된 음성 데이터 신호를 변조하는 제2혼합기(251)와, 상기 제2혼합기(251)에서 변조된 음성 데이터 신호의 일부를 피드백하여 입력에 가하며, 주파수 특성이 안정화 되도록 하는 국부발진기(224b)와, 상기 국부발진기(224b)와 상기 제2혼합기(224c)를 통해 인가되는 음성 데이터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결합기(220)와 상기 제2전력결합기(210)를 거쳐 한 가닥의 동축케이블(400)을 통해 상기 다중 데이터 송수신기와 연결된 스피커(170)로 음성 데이터가 송출되도록 하는 제9증폭기(253)와, 외부입력기(조작기, 비디오 녹화기)가 연결되어 신호를 인가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2I/O제어부(240)와, 상기 제2I/O제어부(240)를 통해 인가되는 외부입력기의 데이터 신호를 주파수 편의 방식으로 변조하여 상기 결합기(220)와 제2전력결합기(210)를 통해 상기 다중 데이터 송수신기(100)로 데이터 신호를 인가하는 제2FSK변/복조기(241)와, 상기 결합기(220)를 통해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를 증폭하는 제10증폭기(254)와, 상기 제10증폭기(254)에서 증폭되어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를 모니터(260)에 연결하여 다른 감시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RF신호출력부(255)로 구성된다.
상기튜너(T1~Tn)(224)는 상기 튜너제어부(230)에 의해 디지털 방식으로 자동 채널을 설정한 데이터신호를 제어하는 제2제어부(224a)와, 상기 제2제어부(224a)를 통해 디지털 방식으로 자동 채널이 설정되어 인가된 데이터 신호에서 중간 주파수 신호를 만들어 내는 국부발진기(224b)와, 상기 제2분배기(223)를 통해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와 상기 튜너제어부(230)에 의해 자동채널이 설정된 데이터 신호를 혼합하는 제3혼합기(224c)와, 상기 제3혼합기(224c)를 통해 인가된 데이터 신호 중 주어진 상부 및 하부차단 주파수의 교류만을 통과시키고 그 이외의 주파수의 교류는 감쇠시키는 제2대역여파기(224d)와, 상기 제2대역여파기(224d)를 통해 인가되는 데이터신호를 감시자가 스피커(270)를 통해 청취하거나, 모니터(260)를 통해 영상을 볼 수 있도록 복조하는 복조기(224e)로 구성된다.
상기 제2전력결합기(210)는 상기 다중 데이터 송수신기(100)에 의해 한 가닥의 동축케이블(400)을 통해 인가되는 데이터신호 중 일정주파수 이하만을 통과시키는 제4저역여파기(210a)와, 상기 제4저역여파기(210a)를 통해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 중 일정 주파수 이하만을 통과시키고, 일정 주파수 이상은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는 제5저역여파기(210b)와, 상기 제5저역여파기(210b)를 통해 인가되는 데이터신호를 정렬시키고 DC전압은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며, 데이터 신호만을 통과시키는 제7직류필터(210c)와, 상기 다중 데이터 송수신기(100)에 의해 한 가닥의 동축케이블(400)을 통해 인가되는 데이터신호 중 일정 주파수 이상만을 통과시키는 제2고역여파기(210d)와, 상기 제2고역여파기(210d)를 통해 인가되는 데이터신호에서 DC전압은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며, 데이터 신호만을 통과시키는 제6필터(210e)와, 상기 제6필터(210e)를 통해 인가되는 데이터신호를 증폭하는 제13증폭기(210f)와, 상기 제13증폭기(210f)를 통해 인가되는 데이터신호를 정렬시키고 DC전압은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며, 데이터 신호만을 통과시키는 제8직류필터(210c)와, 다수의 상기 제7직류필터(210c)와 다수의 상기 제8직류필터(210g)를 통해 인가되는 데이터신호의 주파수 대역폭을 다수의 패턴(210i)에 의해 결정하며, 결정된 주파수를 상기 결합기(220)에 인가하는 제2결합부(210h)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원 케이블 다중 데이터 송수신시스템 및 그 방법의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다중 데이터 송수신기(100)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마이크(180)를 통해 인가되는 음성데이터를 증폭하는 제1증폭기(113)와, 상기 제1증폭기(180)와 상기 카메라(150)를 통해 인가되는 음성데이터 또는 영상데이터의 신호를 RF신호로 변조하는 RF변조기(111)와, 상기 RF변조기(111)를 통해 RF신호로 변조되는 음성데이터와 영상데이터를 제어하는 제1제어부(112)와, 상기 RF변조기(111)를 통해 인가되는 RF신호 중 주어진 상부 및 하부차단 주파수의 교류만을 통과시키고 그 이외의 주파수의 교류는 감쇠시키는 제1대역여파기(116)와, 상기 제1대역여파기(116)를 통해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를 증폭하는 제6증폭기(120)가 구비된다.
상기 제1제어부에 의해 인가되는 데이터신호를 입력된 신호를 중간주파수 신호로 만들어 내기 위한 제2국부발진기(119)와, 상기 제2국부발진기(119)를 통해 인가되는 데이터신호를 증폭하는 제11증폭기(118)와, 상기 제6증폭기(120)와 상기 제11증폭기(119)를 통해 증폭되어 인가되는 데이터신호를 혼합하는 제2혼합기(117)와, 상기 제2혼합기(117)에서 혼합되어 인가되는 데이터신호를 증폭하는 제2증폭기(113)와, 상기 제2증폭기(113)를 통해 증폭된 데이터신호를 한 가닥의 동축케이블(400)을 거쳐 상기 다중 데이터 송수신 중앙제어기(200)로 인가하는 제1전력결합기(114)로 구성된다.
또한, 제6도에 도시된 구성 중 제4도와 중첩되는 구성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그 중첩되는 구성은 상기 비상신호 발신기(300)를 통해 데이터신호가 인가되어 상기 다중 데이터 송수신 중앙제어기(200)로 인가되는 구성과, 센서(160)를 통해 데이터신호가 인가되는 구성과, 상기 카메라(150)의 드라이브(151)로 데이터신호가 인가되는 구성과, 상기 다중 데이터 송수신 중앙제어기(200)에서 인가되어 카메라(150)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스피커(170)를 통해 음성데이터가 송출되는 구성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첩된다.
상기 구성에서 설명한 다수의 카메라(150)를 아파트 또는 건물의 요소에 설치하고, 이를 한 가닥의 동축케이블(400)을 연결하여 상기 카메라(150)가 직렬과 병렬을 병행하여 설치하면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되며, 도3과 같이 배열된 카메라(150)의 형태는 건물의 구조 또는 아파트의 구조에 맞게 설치하므로 그 배열은 유동적이라 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150), 스피커(170), 마이크(180) 및 센서(160)를 상기 다중 데이터 송수신기(100)와 연결하고, 상기 다중 데이터 송수신(100)기는 상기 다중 데이터 송수신 중앙제어기(200)와 한 가닥의 동축케이블(400)을 통해 연결한다.
상기 다중 데이터 송수신기(100)와 상기 다중 데이터 송수신 중앙제어기(200)가 한 가닥의 동축케이블(400)을 통해 연결된 상태에서 감시자가 조작기(290)를 조작하면, 상기 조작기(290)의 데이터신호가 상기 다중 데이터 송수신 중앙제어기(200)의 제2I/O제어부(240)에 입력된다. 이를 상기 다중 데이터 송수신기(100)로 데이터신호를 인가할 수 있도록 제어하여 상기 제2FSK변/복조부(241)로 인가하면, 상기 제2FSK변/복조기(241)에 인가된 데이터 신호를 변조하여 결합기(220)로 인가하고, 상기 결합기(220)로 인가된 데이터신호는 제2전력결합기(210)에서 데이터신호와 전력을 결합하여 상기 다중 데이터 송수신기(100)의 제1전력결합기(114)로 인가된다.
상기 제1전력결합기(114)를 통해 인가된 데이터신호는 제1FSK변/복조기(126)를 통해 데이터신호를 복조하여 제1I/O제어부(122)에 인가하고, 상기 제1I/O제어부서(122)는 복조된 데이터신호를 P/T제어부(121)에 인가한다. 상기 P/T제어부(121)에 인가된 데이터신호는 상기 드라이브(151)에 데이터 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카메라(150)를 상하, 좌우 또는 피사체의 확대 및 축소, 거리의 원근을 조절하여 감시자가 찾고자 하는 장소, 또는 그 현장의 상황을 감시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카메라(150)에 의해 인가되는 영상 데이터 신호를 상기 다중 데이터 송수신기(100)의 RF변조기(111)에 인가되어 데이터 신호를 변조하여 제2증폭기(113)로 인가하면, 상기 제2증폭기(113)는 변조된 데이터신호를 증폭하여 제1전력결합기(114)에 인가한다.
상기 제1전력결합기(114)에 증폭되어 인가된 영상데이터는 한 가닥의 동축케이블(400)을 통해 데이터 신호가 상기 다중 데이터 송수신 중앙제어(200)기로 입력된다.
상기 다중 데이터 송수신 중앙제어기(200)로 입력된 음성 데이터 신호는 제2전력결합기(210)와 결합기(220)를 통해 제7증폭기(221)로 인가되어 데이터신호가 증폭되어 제1분배기(222)로 인가되고, 제1분배기(222)로 인가된 데이터 신호는 다수의 제2분배기(223)로 인가되고, 제2분배기(223)로 인가된 데이터 신호는 다시 다수의 튜너(T1~Tn)(224)로 인가된다. 이때 상기 튜너(T1~Tn)(224)에 인가된 데이터 신호를 자동으로 채널을 설정하는 튜너제어부(230)의 데이터신호가 제2제어부(224a)로 인가된다.
상기 튜너(T1~Tn)(224)로 인가된 데이터 신호는 상기 튜너제어부(230)에 의해 디지털 방식으로 자동 채널을 설정한 데이터신호를 제어하는 제2제어부(224a)를 거쳐 디지털 방식으로 자동 채널이 설정되어 인가된 데이터 신호에서 중간 주파수 신호를 만들어 내는 국부발진기(224b)를 통해 제3혼합기(224c)로 인가된다.
상기 제3혼합기(224c)에 인가된 데이터 신호는 상기 제2분배기(223)를 통해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와 상기 튜너(T1~Tn)(224)에 의해 자동채널이 설정되어 데이터 신호가 혼합되어 제2대역여파기(224d)로 인가되며, 상기 제2대역여파기(224d)에 인가된 데이터 신호 중 주어진 상부 및 하부차단 주파수의 교류만을 통과시키고 그 이외의 주파수의 교류는 감쇠시킨 후 복조기로 데이터 신호를 인가하고, 데이터 신호가 인가된 복조기(224e)에서는 감시자가 모니터(260)를 이용하여 지역의 상황을 파악 수 있도록 복조하여 데이터 신호를 송출한다.
또한, 상기 감시자가 스피커(270)를 통해 감시하고자 하는 지역의 소리를 듣고자 할 경우에는 지역의 소리가 상기 카메라(150)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마이크(180)를 통해 음성 데이터 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음성 데이터 신호는 제1증폭기(110)를 통해 증폭되어 RF변조기(111)로 입력된다. 상기 RF변조기(111)로 입력된 음성 데이터 신호는 변조되어 제2증폭기(113)로 인가되고, 증폭되어 인가된 데이터 신호는 제1전력결합기(114)에 인가되어 상기 음성 데이터 신호와 전력을 결합하여 한 가닥의 동축케이블(400)을 통해 데이터 신호가 상기 다중 데이터 송수신 중앙제어기(200)로 입력된다.
상기 다중 데이터 송수신 중앙제어기(200)로 입력된 음성 데이터 신호는 제2전력결합기(210)와 결합기(220)를 통해 제7증폭기(221)를 거쳐 제1분배기(222)로 인가되며, 제1분배기(222)로 인가된 데이터 신호는 다수의 제2분배기(223)로 인가되고, 제2분배기(223)로 인가된 데이터 신호는 다시 다수의 튜너(T1~Tn)(224)로 인가된다. 이때 상기 튜너(T1~Tn)(224)인가된 데이터 신호는 다시 제2제어부(224a)로 인가된다.
상기 튜너(T1~Tn)(224)로 인가된 데이터 신호는 상기 튜너제어부(230)에 의해 디지털 방식으로 자동 채널을 설정한 데이터신호를 제어하는 제어부(224a)를 거쳐 디지털 방식으로 자동 채널이 설정되어 인가된 데이터 신호에서 중간 주파수 신호 만들어 내는 국부발진기(224b)를 통해 제3혼합기(224c)로 인가된다.
상기 제3혼합기(224c)에 인가된 데이터 신호는 상기 제2분배기(223)를 통해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와 상기 튜너(T1~Tn)(224)에 의해 자동채널이 설정되어 데이터 신호를 혼합하여 제2대역여파기(224d)로 인가되며, 상기 제2대역여파기(224)에 인가된 데이터 신호 중 주어진 상부 및 하부차단 주파수의 교류만을 통과시키고 그 이외의 주파수의 교류는 감쇠시킨 후 복조기(224e)로 데이터 신호를 인가하고, 데이터 신호가 인가된 복조기(224e)에서는 감시자가 스피커(270)를 통해 청취할 수 있도록 복조하여 데이터 신호를 송출한다.
그리고, 건물의 지하 주차장 또는 아파트의 지하주차장과 같이 인적이 한적한 곳에서 괴한에 의해 건물 또는 아파트에 입주하고 있는 입주자가 곤경에 처했을 경우에는 입주할 때 미리 지급한 비상신호 발신기(300)의 버튼을 조작하면, 상기 버튼의 조작에 의한 신호가 제어부(310)에 인가되고, 제어부(310)는 인가된 신호를 RF변조기(320)에 인가하여 그 신호가 RF신호로 변조시킨 후 증폭기(330)와 안테나(340)를 통해 증폭된 신호를 상기 다중 데이터 송수신기(100)의 안테나(123)로 무선 송신한다.
상기 무선 송신에 의해 인가된 비상신호를 제3증폭기(124)를 통해 증폭하고, 증폭한 데이터신호를 RF복조기(125)에 인가하여 비상신호를 복조하며, 복조된 신호를 제1I/O제어부(122)에 비상신호를 인가한다. 이때 상기 제1I/O제어부(122)에는 미리 음성을 메모리하여 상기 비상신호 발진기(300)의 신호가 인가되면, 싸이렌 소리 또는 '긴급상황발생'이라는 음성멘트가 상기 스피커(170)를 통해 송출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1I/O제어부(122)에서는 제1FSK변/복조기(126)에 데이터를 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제1FSK변/복조기(126)는 인가된 데이터 신호를 변조하여 제1전력결합기(114)에 인가하며, 데이터신호를 한 가닥의 동축케이블(400)을 통해 상기 다중 데이터 송수신 중앙제어기에(200)에 인가한다.
상기 다중 데이터 송수신 중앙제어기(200)의 제2전력결합기(210)를 거쳐 결합기(220)를 통해 제7증폭기(221)로 인가된다. 상기 제7증폭기(221)로 인가된 데이터신호를 증폭하여 제1분배기(222)와 제2분배기(223)와 튜너(224)를 거쳐 감시자 청취할 수 있도록 스피커(270)를 통해 비상신호음이 송출된다.
상기 스피커(270)를 통해 비상신호음이 송출되면, 몇 번째 다중 데이터 송수신기(100)에서 의해 비상신호가 송출되었는지를 확인하고, 비상신호가 송출된 카메라(150)를 조작기(290)에 의해 방향설정, 카메라(150)의 렌즈를 통해 피사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확대 및 축소를 하여 현장의 상황을 살핌과 동시에 마이크(180)를 통해 현장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청취할 수 있어 그 상황을 즉시 대처할 수 있게 된다.
한 가닥의 동축케이블(400)을 이용하여 다중 데이터 송수신(100)기 각각마다 직/병렬 방식으로 결선하여 설치함으로써 기존의 제품에 비해 월등히 케이블의 양을 줄일 수 있고, 음성을 쌍방향으로 송수신 할 수 있어 양쪽의 위급한 상황을 즉시 알릴 수 있으며, 감시 효과가 매우 월등한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원 케이블 다중 데이터 송수신시스템 및 그 방법의 효과를 살펴보면, 영상데이터 신호, 음성데이터신호, 각종 제어데이터신호 및 시스템 구동에 필요한 전원 등을 다중 전송시 카메라, 스피커, 마이크, 센서 또는 각종 데이터의 종류에 관계없이 한 가닥의 동축케이블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다중 데이터 송수신기를 직/병렬 방식으로 결선하여 설치함으로서 케이블의 양을 줄일 수 있고, 음성을 쌍방향으로 송수신 할 수 있어 양쪽에서 모두가 말하고, 들을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효과로는 비상시 비상신호 발생기에 의해 현재의 위급한 상황을 즉시 알릴 수 있다. 또한 다중 데이터 송수신 중앙제어기를 별도의 장비가 없이 외부 장비(DVR, 조작기 등)와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어 운영의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으며, 다양한 기능이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설계시공 시 다양한 방법으로 시공할 수 있고, 시공장소와 운영에 제약을 받지 않고 시공을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Claims (15)

  1. 감시용 카메라의 영상신호를 모니터에 전송시키고, 상기 감시용 카메라의 위치 및 원근 등을 제어하는 제어신호 및 전원을 전송하는 원 케이블 다중 데이터 송수신시스템에 있어서,
    피사체를 촬영하여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다수의 감시용 카메라(C1~Cn);
    상기 카메라를 상하좌우 회전을 할 수 있도록 구동하는 드라이브;
    상기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S1~Sn); 음성 데이터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
    음성 데이터를 받아들이는 마이크;
    상기 카메라, 센서, 스피커, 마이크와 병렬로 연결하여 상기 데이터신호를 출력하거나 받아들여 이를 제어하고, 또한 비상신호의 발생시 이를 안테나를 통해 무선 수신하는 다수의 다중 데이터 송수신기;
    상기 다수의 다중 데이터 송수신기 중 어느 한 다중 데이터 송수신기와 한 가닥의 동축케이블로 연결되어 데이터신호의 송출하거나 받아들여 이를 제어하는 다중 데이터 송수신 중앙제어기;
    상기 다중 송수신 중앙제어기와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피사체를 녹화하는 비디오녹화기;
    상기 다중 송수신 중앙제어기와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를 통해 인가되는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하는 모니터;
    상기 다중 송수신 중앙제어기와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를 상하좌우로 방향을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조작기;
    상기 다중 데이터 송수신 중앙제어기와 연결되어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데이터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
    상기 중앙제어기와 연결되어 상기 스피커를 통해 상기 피사체에 알릴 수 있도록 음성 데이터신호를 입력하는 마이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 케이블 다중 데이터 송수신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송신제어기는 한 가닥의 동축케이블을 통해 직, 병렬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 케이블 다중 데이터 송수신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데이터 송수신기는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음성 데이터신호를 증폭하는 제1증폭기;
    상기 제1증폭기와 상기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신호를 받아들여 RF신호로 변화시키는 RF변조기;
    상기 RF변조기를 통해 변조되어 인가되는 변조신호를 증폭하는 제2증폭기;
    상기 제2증폭기를 통해 증폭된 신호와 전원을 결합하여 상기 다중 송수신 중앙제어기에 한 가닥의 동축케이블을 통해 입력하는 제1전력결합기;
    상기 제1전력결합기에 전원을 인가받는 전원부;
    상기 RF변조기에 의해 영상, 음성, 신호를 RF변조시 주파수를 자동으로 세팅하여 신호를 인가하는 제1제어부;
    상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데이터 신호가 접점식I/O를 통해 인가되어 이를 상기 다중 데이터 송수신 중앙제어기에 신호를 인가하거나, 또는 상기 다중 데이터 송수신 중앙제어기를 통해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에 의해 상기 카메라의 드라이버를 구동시 킬 수 있도록 제어하는 P/T제어부;
    안테나를 통해 인가되는 비상신호를 인가 받아 증폭하는 제3증폭기;
    상기 제3증폭기를 통해 증폭된 비상신호를 RF신호로 복조하는 RF복조기;
    상기 P/T제어부와 상기 RF복조기를 통해 인가되는 신호를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다중 데이터 송수신 중앙제어기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상기 P/T제어부에 데이터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는 제1I/O제어부;
    상기 제1전력결합기를 통해 인가되는 음성 신호를 증폭하는 제4증폭기;
    상기 제4증폭기에 의해 증폭된 음성 신호를 변조하는 제1혼합기;
    상기 제1혼합기에 입력되어 변조된 신호를 중간주파수 신호로 만들어 내기 위한 제1국부발진기;
    상기 제1혼합기를 통해 인가되는 음성 데이터 신호에서 변조된 음성 데이터를 변조하는 음성검파기;
    상기 음성검파기를 통해 인가되는 음성 데이터를 특정 카메라의 보이스를 절재하는 시그널 익스체인지;
    상기 시그널 익스체인지를 통해 인가되는 음성 데이터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해 특정 음성이 송출되도록 하는 전력증폭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 케이블 다중 데이터 송수신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데이터 송수신기는 상기 마이크를 통해 인가되는 음성데이터를 증폭하는 제1증폭기;
    상기 제1증폭기와 상기 카메라를 통해 인가되는 음성데이터 또는 영상데이터의 신호를 RF신호로 변조하는 RF변조기;
    상기 RF변조기를 통해 RF신호로 변조되는 음성데이터와 영상데이터를 제어하는 제1제어부;
    상기 RF변조기를 통해 인가되는 RF신호 중 주어진 상부 및 하부차단 주파수의 교류만을 통과시키고 그 이외의 주파수의 교류는 감쇠시키는 제1대역여파기;
    상기 제1대역여파기를 통해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를 증폭하는 제6증폭기;
    상기 제1제어부에 의해 인가되는 데이터신호를 입력된 신호를 중간주파수 신호로 만들어 내기 위한 제2국부발진기;
    상기 제2국부발진기를 통해 인가되는 데이터신호를 증폭하는 제11증폭기;
    상기 제6증폭기와 상기 제11증폭기를 통해 증폭되어 인가되는 데이터신호를 혼합하는 제2혼합기;
    상기 제2혼합기에서 혼합되어 인가되는 데이터신호를 증폭하는 제2증폭기;
    상기 제2증폭기를 통해 증폭된 데이터신호를 한 가닥의 동축케이블을 거쳐 상기 다중 데이터 송수신 중앙제어기로 인가하는 제1전력결합기;
    상기 제1전력결합기에 전원을 인가받는 전원부;
    상기 RF변조기에 의해 영상, 음성, 신호를 RF변조시 주파수를 자동으로 세팅하여 신호를 인가하는 제1제어부;
    상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데이터 신호가 접점식I/O를 통해 인가되어 이를 상기 다중 데이터 송수신 중앙제어기에 신호를 인가하거나, 또는 상기 다중 데이터 송수신 중앙제어기를 통해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에 의해 상기 카메라의 드라이버를 구동시 킬 수 있도록 제어하는 P/T제어부;
    안테나를 통해 인가되는 비상신호를 인가 받아 증폭하는 제3증폭기;
    상기 제3증폭기를 통해 증폭된 비상신호를 RF신호로 복조하는 RF복조기;
    상기 P/T제어부와 상기 RF복조기를 통해 인가되는 신호를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다중 데이터 송수신 중앙제어기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상기 P/T제어부에 데이터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는 제1I/O제어부;
    상기 제1전력결합기를 통해 인가되는 음성 신호를 증폭하는 제4증폭기;
    상기 제4증폭기에 의해 증폭된 음성 신호를 변조하는 제1혼합기;
    상기 제1혼합기에 입력되어 변조된 신호를 중간주파수 신호로 만들어 내기 위한 제1국부발진기;
    상기 제1혼합기를 통해 인가되는 음성 데이터 신호에서 변조된 음성 데이터를 변조하는 음성검파기;
    상기 음성검파기를 통해 인가되는 음성 데이터를 특정 카메라의 보이스를 절재하는 시그널 익스체인지;
    상기 시그널 익스체인지를 통해 인가되는 음성 데이터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해 특정 음성이 송출되도록 하는 전력증폭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 케이블 다중 데이터 송수신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데이터 송수신 중앙제어기는 상기 다중 데이터 송신기의 제1전력결합기를 통해 인가되는 다중 데이터(음성데이터, 영상데이터, 동작감지데이터 또는 비상신호 발신데이터) 신호를 한 가닥의 동축케이블을 통해 인가받는 제2전력결합기;
    상기 제2전력결합기를 통해 인가되는 다중 데이터 신호가 감시자의 모니터 또는 스피커로 송출되거나, 상기 다중 데이터 송수신기로 데이터신호가 인가될 수 있도록 연결하는 결합기;
    상기 결합기를 통해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가 감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 주파수대로 증폭하는 제7증폭기;
    상기 제7증폭기를 통해 인가되는 데이터신호를 다수의 채널별로 분배하는 제1분배기;
    상기 제1분배기를 통해 분배된 데이터신호를 다수의 제2분배기(D1~Dn);
    상기 제2분배기를 통해 인가되는 영상, 음성, 동작감지 데이터 및 비상발신신호를 감지하여 스피커 또는 모니터를 통해 감시자가 상황을 파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를 송출하는 다수의 튜너(T1~Tn);
    상기 튜너(T1~Tn)로 인가되는 데이터신호를 자동으로 채널을 설정할 수 있도록 디지털 방식으로 필요 주파수만을 튜닝하는 튜너제어부;
    상기 마이크를 통해 인가되는 음성 데이터 신호를 증폭하는 제8증폭기;
    상기 제8증폭기에 의해 증폭된 음성 데이터 신호를 변조하는 제2혼합기;
    상기 제2혼합기에서 변조된 음성 데이터 신호의 일부를 피드백하여 입력에 가하며, 주파수 특성이 안정화 되도록 하는 제3국부발진기;
    상기 제3국부발진기와 상기 제2혼합기를 통해 인가되는 음성 데이터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결합기와 상기 전력결합기를 거쳐 한 가닥의 동축케이블을 통해 상기 다중 데이터 송수신기의 스피커로 송출되도록 하는 제9증폭기;
    외부입력기(조작기, 비디오 녹화기)가 연결되어 신호를 인가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2I/O제어부;
    상기 제2I/O제어부를 통해 인가되는 외부입력기의 데이터 신호를 주파수 편의 방식으로 변조하여 상기 결합기, 전력결합기를 통해 상기 다중 데이터 송수신기로 데이터 신호를 인가하는 FSK변/복조기;
    상기 제2I/O제어부에 데이터신호를 인가 받아 특정 영상데이터 또는 음성데이터를 선택하여 별도의 모니터와 스피커로 데이터를 송출하여 감시자가 청취 또는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영상/음성스위처;
    상기 결합기에서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를 증폭하는 제10증폭기;
    상기 제10증폭기에서 증폭되어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를 모니터에 연결하여 다른 감시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RF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 케이블 다중 데이터 송수신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데이터 송수신기의 안테나에 무선으로 비상신호가 인가되어 이를 다중 데이터 송수신 중앙제어기와 모니터를 통해 그 상황을 확인 할 수 있도록 소정 부위에 조작버튼을 형성된 비상신호 발생기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 케이블 다중 데이터 송수신시스템.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I/O제어부에는 상기 비상신호 발진기에서 인가되는 데이터신호에 의해 미리 설정하여 저장하여둔 음성데이터가 상기 스피커를 동해 송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원 케이블 다중 데이터 송수신시스템.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력결합기에는 상기 다중 데이터 송수신기가 병렬로 더 연결되어 RF데이터 신호를 입력하는 RF신호입력부;
    상기 RF신호 입력부를 통해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를 전력결합기를 통해 상기 다중 데이터 중앙제어기와 데이터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증폭하는 제5 증폭기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 케이블 다중 데이터 송수신시스템.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력결합기는 상기 제2증폭기를 통해 증폭되어 인가되는 데이터신호 에서 DC전압은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며, 데이터 신호만을 통과시키는 제1직류필터;
    상기 제1FSK변/복조부를 통해 인가되는 데이터신호에서 DC전압은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며, 데이터 신호만을 통과시키는 제2직류필터;
    상기 제4증폭기를 통해 인가되는 데이터신호에서 DC전압은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며, 데이터 신호만을 통과시키는 제3직류필터;
    다른 다중 데이터 송수신기에서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 중 일정 주파수의 이하 신호는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고, 일정 주파수 이상만 통과시키는 제1고역여파기;
    상기 제1고역여파기를 통해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에서 DC전압은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며, 데이터 신호만을 통과시키는 제5직류필터;
    상기 제5직류필터를 통해 여과된 데이터신호를 증폭하는 제12증폭기;
    다른 다중 데이터 송수신기를 통해 인가되는 데이터신호 중 일정 주파수 이하의 주파수 신호는 통과시키고, 일정 주파수 신호 이상은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는 제2저역여파기;
    상기 다중 데이터 송수신 중앙제어기를 통해 인가되는 데이터신호를 받아 일정 주파수 이하만을 통과시켜 다른 다중 데이터 송수신기로 그 데이터신호를 인가하는 제1저역여파기;
    상기 다중 데이터 송수신 중앙제어기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를 인가 받아 이중 전원을 분리하여 전원부에 인가하는 제3저역여파기; 및
    상기 제1직류필터와 상기 제2직류필터와 상기 제3직류필터와 상기 제4직류필터를 거쳐 인가되는 데이터신호의 주파수 대역폭을 다수의 패턴에 의해 결정하며, 결정된 주파수를 한 가닥의 동축케이블을 통해 제2전력결합기에 RF신호를 인가하는 제1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 케이블 다중 데이터 송수신시스템.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튜너(T1~Tn)는 상기 튜너제어부에 의해 디지털 방식으로 자동 채널을 설정한 데이터신호를 제어하는 제2제어부;
    상기 제2제어부를 통해 디지털 방식으로 자동 채널이 설정되어 인가된 데이터 신호에서 중간 주파수 신호를 만들어 내는 국부발진기;
    상기 제2분배기를 통해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와 상기 튜너에 의해 자동채널이 설정된 데이터 신호를 혼합하는 제3혼합기;
    상기 제3혼합기를 통해 인가된 데이터 신호 중 주어진 상부 및 하부차단 주파수의 교류만을 통과시키고 그 이외의 주파수의 교류는 감쇠시키는 제2대역여파기;
    상기 제1대역여파기를 통해 인가되는 데이터신호를 감시자가 스피커를 통해 청취하거나, 모니터를 통해 영상을 볼 수 있도록 복조하는 복조기를 포함하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원 케이블 다중 데이터 송수신시스템.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력결합기는 상기 다중 데이터 송수신기에 의해 한 가닥의 동축케이블을 통해 인가되는 데이터신호 중 일정주파수 이하만을 통과시키는 제4저역여파기;
    상기 제4저역여파기를 통해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 중 일정 주파수 이하만을 통과시키고, 일정 주파수 이상은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는 제5저역여파기;
    상기 제5저역여파기를 통해 인가되는 데이터신호를 정렬시키고 DC전압은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며, 데이터 신호만을 통과시키는 제7직류필터;
    상기 다중 데이터 송수신기에 의해 한 가닥의 동축케이블을 통해 인가되는 데이터신호 중 일정 주파수 이상만을 통과시키는 제2고역여파기;
    상기 제2고역여파기를 통해 인가되는 데이터신호에서 DC전압은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며, 데이터 신호만을 통과시키는 제6필터;
    상기 제6필터를 통해 인가되는 데이터신호를 증폭하는 제13증폭기;
    상기 제13증폭기를 통해 인가되는 데이터신호를 정렬시키고 DC전압은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며, 데이터 신호만을 통과시키는 제8직류필터;
    다수의 상기 제7직류필터와 다수의 상기 제8직류필터를 통해 인가되는 데이터신호의 주파수 대역폭을 다수의 패턴에 의해 결정하며, 결정된 주파수를 상기 결합기에 인가하는 제2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 케이블 다중 데이터송수신시스템.
  12. 제6항에 있어서,
    비상신호 발생기는 상기 조작버튼의 조작되면 이를 감지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 인가된 신호를 변조하는 RF변조기;
    상기 RF변조기에서 변조된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
    상기 RF변조기에 의해 변조되어 증폭된 신호를 상기 다중 데이터 송수신기에 무선으로 신호를 인가하는 안테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 케이블 다중 데이터 송수신시스템.
  13. 감시용 카메라의 영상신호를 모니터에 전송시키고, 상기 감시용 카메라의 위치 및 원근 등을 제어하는 제어신호 및 전원을 전송하는 원 케이블 다중 데이터 송수신시스템에 있어서,
    병열 연결되는 카메라, 스피커, 마이크및 센서를 조작하여 다중 데이터 송수신기에 영상과 음성신호를 공급하는 단계;
    상기 영상과 음성신호를 다중 데이터 송수신기에 설치되는 변조기에 의해 사전에 선택된 채널로 RF신호를 자동 변조한후 이를 다중 데이터 송수신 중앙제어기에 송신하는 단계;
    송신되는 신호를 다중 데이터 송수신 중앙제어기에서 분석한후 분배기에 의해 다수의 채널별로 분배하고, 이를 복조기로 복조하여 영상신호및 음성신호로 직접 재생하는 단계;
    다수의 채널로 재생되는 영상및 음성신호중 선택적으로 특정한 채널을 조작기에 의해 동작되는 별도의 모니터로 디스플레이하고, 동시에 음성은 스피커에서 자동으로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 케이블 다중 데이터 송수신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데이터 송수신기의 센서에 피사체가 감지될 때 다중 데이터 송수신 중앙제어기는 연결되는 비디오 녹화기(DVR)를 통하여 현재의 상황을 자동으로 녹화하고, 센서에 감지된 피사체가 모니터 및 스피커로서 확인되면 피사체를 감지한 카메라의 드라이브를 조작기로 조정하여 감지한 상황을 파악하고, 마이크를 통해 방송을 하면 다중 데이터 송수신기와 연결되는 스피커로 방송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 케이블 다중 데이터 송수신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데이터 송수신기는, 무선 신호를 인가하는 안테나가 더 구비되어 각 가정에 보급되는 비상신호 발신기로부터 신호가 인가되면 데이터를 분석한 다음 다중 데이터 송수신기의 제1 I/O제어부에 미리 저장해둔 비상경보 사이렌 및 경보 메시지를 스피커를 통해 자동으로 방송하고,
    동시에 다중 데이터 송수신와 연결되는 다중 데이터 중앙제어기는, 비상 데이터를 전송받아 그 신호를 분석 영상데이터를 모니터로서 디스플레이하고, 자동 비상경보음 및 메시지를 스피커로서 방송하며, 연결되는 비디오 녹화기(DVR)에서 현재상황을 자동으로 녹화하고,
    모니터 및 스피커를 통하여 비상상황이 확인되면 감시자가 다중 데이터 송수신기와 연결된 카메라중 비상신호를 수신한 카메라를 조작기로 선택하여 정확한 현장상황을 파악한 뒤 마이크를 통해 방송을 하면 다중 데이터 송수신기와 연결되는 스피커로 방송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 케이블 다중 데이터 송수신방법.
KR10-2001-0027481A 2001-05-19 2001-05-19 원 케이블 다중 데이터 송수신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4195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7481A KR100419560B1 (ko) 2001-05-19 2001-05-19 원 케이블 다중 데이터 송수신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7481A KR100419560B1 (ko) 2001-05-19 2001-05-19 원 케이블 다중 데이터 송수신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8672A KR20020088672A (ko) 2002-11-29
KR100419560B1 true KR100419560B1 (ko) 2004-02-19

Family

ID=27705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7481A KR100419560B1 (ko) 2001-05-19 2001-05-19 원 케이블 다중 데이터 송수신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956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0741B1 (ko) 2009-06-16 2010-04-05 삼성씨씨티비서비스(주) 안정적인 전원공급이 가능한 전원중첩영상전송 시스템
KR101123438B1 (ko) 2010-03-16 2012-03-23 새천년이엔씨 주식회사 감시카메라 시스템
KR101258050B1 (ko) * 2013-02-05 2013-04-24 주식회사 리버스톤미디어 다중화 송수신 장치 구비형의 고화질 cctv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9609B1 (ko) * 2006-06-30 2008-03-04 주식회사 비젼아이트 동축케이블을 이용한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시스템
KR200458131Y1 (ko) * 2010-02-23 2012-01-20 티브이로직(주) 고해상도 디지털 폐쇄회로 티브이 시스템
KR101430145B1 (ko) * 2013-04-26 2014-09-23 에프디제이네트웍스(주) 동축 케이블을 이용한 광대역 초고속 유엔비 홈 네트워크 장치 및 시스템
KR102527660B1 (ko) 2017-12-26 2023-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청정기 및 가전제품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4538U (ko) * 1993-07-12 1995-02-18 삼성종합건설 주식회사 폐쇄회로 텔레비젼 카메라를 이용한 감시시스템
KR970068611A (ko) * 1997-07-09 1997-10-13 박이규 폐쇄회로 텔레비젼의 다중 송수신장치(Multiple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vice for closed circuit television)
KR970059483U (ko) * 1996-04-30 1997-11-10 삼성항공산업주식회사 단일 선로를 이용한 다수 카메라 운용 시스템
KR20000006741A (ko) * 1999-10-29 2000-02-07 김남수 동일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감시방향을 무선으로조정하는 무선 cctv 시스템
KR20000054705A (ko) * 2000-06-19 2000-09-05 이정주 폐쇄회로티브이에서 영상신호와 데이터신호를 송수신하는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4538U (ko) * 1993-07-12 1995-02-18 삼성종합건설 주식회사 폐쇄회로 텔레비젼 카메라를 이용한 감시시스템
KR970059483U (ko) * 1996-04-30 1997-11-10 삼성항공산업주식회사 단일 선로를 이용한 다수 카메라 운용 시스템
KR970068611A (ko) * 1997-07-09 1997-10-13 박이규 폐쇄회로 텔레비젼의 다중 송수신장치(Multiple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vice for closed circuit television)
KR20000006741A (ko) * 1999-10-29 2000-02-07 김남수 동일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감시방향을 무선으로조정하는 무선 cctv 시스템
KR20000054705A (ko) * 2000-06-19 2000-09-05 이정주 폐쇄회로티브이에서 영상신호와 데이터신호를 송수신하는방법 및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0741B1 (ko) 2009-06-16 2010-04-05 삼성씨씨티비서비스(주) 안정적인 전원공급이 가능한 전원중첩영상전송 시스템
KR101123438B1 (ko) 2010-03-16 2012-03-23 새천년이엔씨 주식회사 감시카메라 시스템
KR101258050B1 (ko) * 2013-02-05 2013-04-24 주식회사 리버스톤미디어 다중화 송수신 장치 구비형의 고화질 cctv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8672A (ko) 2002-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75583A (en) Emergency civil defense alarm and communications systems
KR102020471B1 (ko) 유선방식 집합건물 통합관리 시스템
US5101499A (en) Television local wireless transmission and control
US5568205A (en) Camera mounted wireless audio/video transmitter system
JPS633590A (ja) 監視装置
US8358980B2 (en) Wireless audio transfer system, wireless microphone, audio transmitting apparatus, audio receiving apparatus, image pickup apparatus, recording apparatus and audio mixer
KR100419560B1 (ko) 원 케이블 다중 데이터 송수신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48203B1 (ko) 지능형 통합 멀티미디어 송출 시스템
JPH01129686A (ja) 閉回路テレビジョン装置
AR001550A1 (es) Sistema de audio-video para control de acceso a viviendas y similares
KR100227413B1 (ko) 폐쇄회로 텔레비젼의 다중 송수신장치.
US2009029007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mote video production
KR102426918B1 (ko) 선택적인 차단 기능을 갖는 방송설비 제어시스템을 이용한 스피커 제어방법
US4427995A (en) Fail-safe CATV system center facility
KR200186109Y1 (ko) 폐쇄회로 텔레비젼의 다중 송수신장치
KR100270447B1 (ko) 쌍방향 통신이 가능한 학교 방송 장치
RU2250504C1 (ru) Способ многоканального видеоаудионаблюдения и реализующая его интегрированная высокочастотная система
KR200207713Y1 (ko) 동영상/음성 다중화 광통신 모듈
JP3619285B2 (ja) 監視装置
JPH0371737A (ja) 遠方監視光伝送装置
KR100255478B1 (ko) 알에프 방식을 이용한 다중 방송시스템
KR0143937B1 (ko) 쌍방향 케이블 티.브이. 시스템
KR100199701B1 (ko) 폐회로 티브이의 다중 전송장치
KR100378469B1 (ko) 다채널 다지점 무인 감시 제어 장치
JP2634443B2 (ja) モニタ付きインターホ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