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5478B1 - 알에프 방식을 이용한 다중 방송시스템 - Google Patents

알에프 방식을 이용한 다중 방송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5478B1
KR100255478B1 KR1019970053555A KR19970053555A KR100255478B1 KR 100255478 B1 KR100255478 B1 KR 100255478B1 KR 1019970053555 A KR1019970053555 A KR 1019970053555A KR 19970053555 A KR19970053555 A KR 19970053555A KR 100255478 B1 KR100255478 B1 KR 1002554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ignals
broadcasting
broadcast
central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3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2495A (ko
Inventor
정광영
Original Assignee
정광영
주식회사미디컴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광영, 주식회사미디컴전자 filed Critical 정광영
Priority to KR1019970053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5478B1/ko
Publication of KR199900324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24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54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54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5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emergency or urge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61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local area broadcast, e.g. instore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65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for broadcast
    • H04H20/67Common-wave systems, i.e. using separate transmitters operating on substantially the same frequenc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장 등의 대단위 건물군 내에 구현되어 구역별 및 전체 방송을 통제함과 아울러 화재 경보 방송을 통제하되 통신 방식은 RF 방식을 이용하여 오디오 신호 및 양방향 통신 신호를 RF 신호로 변환시켜 동일 라인에 화합하여 전송하도록 한 RF 방식을 이용한 다중 방송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각종 음향 기기에서 출력되는 다중의 오디오 신호와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통신 신호를 RF 신호로 변조시켜 동일 라인에 혼합하여 출력하는 중앙 제어부(110)와, 상기 중앙 제어부(110)로부터 출력되는 RF 신호로 변조된 다중 신호를 증폭하여 여러 지역에 설치된 후단의 각 지역 제어부(130)로 전송하는 신호 전송부(120)와, 상기 신호 전송부(120)로부터 전송 받는 RF 신호를 원래의 오디오 신호와 통신 신호로 복조시켜 상기 중앙 제어부(110)의 통제와 방송 우선 순위에 따라 구역 방송 및 중앙 방송을 하되 화재 경보 방송을 최우선함과 아울러 방송 상태를 상기 중앙 제어부(110)로 전송하는 복수의 지역 제어부(130)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알에프 방식을 이용한 다중 방송시스템
본 발명은 RF 방식을 이용한 다중 방송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장 등의 대단위 건물군 내에 구현되어 구역별 및 전체 방송을 통제함과 아울러 화재 경보 방송을 통제하되 통신 방식은 RF 방식을 이용하여 오디오 신호 및 양방향 통신 신호를 RF 신호로 변환시켜 동일 라인에 혼합하여 전송하도록 한 RF 방식을 이용한 다중 방송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장 등의 대단위 건물군 내에는 필요에 따라 구역 방송과 전체 방송 및 화재 경보 방송 등의 각종 방송시스템이 구현되어져 있다.
종래의 이러한 방송시스템은 해당 방송을 제어하는 각종의 단일 방송장치에 의하여 운용되는데 각종 방송을 제어하기 위한 오디오 신호 및 양방향 통신 신호의 전송 라인이 복수의 라인으로 구현되어 각기 라인이 해당 방송을 제어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복수의 라인을 구현하여야함에 따라 번거로움이 가중되고 설치 비용이 증대되었을 뿐만 아니라 추가 증설이 복잡하며 장거리 전송을 함에 있어서 부가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어려울 뿐더러 유지 보수 관리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이러한 각종 단일 방송장치의 통신 방식으로는 PCM 방식이 주로 이용되는데 이 PCM 방식의 특성 및 문제점을 도표에 명기하여 설명하면 아래의 표 1과 같다.
[표 1]
Figure kpo00001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한 것으로서, 공장 등의 대단위 건물군 내에 구현되어 구역별 및 전체 방송을 통제함과 아울러 화재 경보 방송을 통제하되 통신 방식은 RF 방식을 이용하여 오디오 신호 및 양방향 통신 신호를 RF 신호로 변환시켜 동일 라인에 혼합하여 전송하도록 한 RF 방식을 이용한 다중 방송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수단은, 각종 음향 기기에서 출력되는 다중의 오디오 신호와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통신 신호를 RF 신호로 변조시켜 동일 라인에 혼합하여 출력하는 중앙 제어수단과, 이 중앙 제어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RF 신호로 변조된 다중 신호를 증폭하여 여러 지역에 설치된 후단의 각 지역 제어수단으로 전송하는 신호 전송수단과, 이 신호 전송수단으로부터 전송 받은 RF 신호를 원래의 오디오 신호와 통신 신호로 복조시켜 중앙 제어수단의 통제와 방송 우선 순위에 따라 방송을 하되 방송 상태를 중앙 제어수단으로 전송하는 복수의 지역 제어수단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RF 방식을 이용한 다중 방송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중앙 제어부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제3도는 제1도에 도시된 지역 제어부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중앙 제어부 112 : 메인 제어기
113 : 자동방송 송출기 116 : 주파수 혼합기
120 : 신호 전송부 122 : 신호 분배기
130 : 지역 제어부 131 : 주파수 복조기
136 : 원격방송 조절기 139 : 비상 감지기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RF 방식을 이용한 다중 방송시스템의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각종 음향 기기에서 출력되는 다중의 오디오 신호와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통신 신호를 RF 신호로 변조시켜 동일 라인에 혼합하여 출력하는 중앙 제어부(110)와, 상기 중앙 제어부(110)로부터 출력되는 RF 신호로 변조된 다중신호를 증폭하여 여러 지역에 설치된 후단의 각 지역 제어부(130)로 전송하는 신호전송부(120)와, 상기 신호 전송부(120)로부터 전송 받은 RF 신호를 원래의 오디오 신호와 통신 신호로 복조시켜 상기 중앙 제어부(110)의 통제와 방송 우선 순위에 따라 구역 방송 및 중앙 방송을 하되 화재 경보 방송을 최우선함과 아울러 방송 상태를 상기 중앙 제어부(110)로 전송하는 복수의 지역 제어부(130)로 구성되어져 있다.
상기 중앙 제어부(110)는 다중의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MIC)와 튜너(TUNER), 데크(DECK), CD 플레이어 및 차임 등의 음향 기기(111)와,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는 메인 제어기(112)와, 상기 메인 제어기(112)의 통제를 받아 상기 음향 기기를 제어하는 자동방송 송출기(113)와, 상기 자동방송 송출기(113)의 제어에 따라 상기 음향 기기(111)에서 출력하는 오디오 신호를 RF 신호로 변조하는 주파수 변조기(114)와, 상기 메인 제어기(112)의 통신 신호를 RF 신호로 변조하는 중앙 쌍방향 모뎀(115)과, 상기 주파수 변조기(114)와 중앙 쌍방향 모템(115)을 통해 RF 신호로 변조된 다중의 오디오 신호와 통신 신호를 혼합하여 하나의 전송로로 전송하는 주파수 혼합기(116)로 구성되어져 있다.
상기 신호 전송부(120)는 상기 RF 신호를 증폭하여 송신하기 위한 쌍방향 앰프(121)와 복수의 신호분배기(122)로 구성되어져 있다.
상기 지역 제어부(130)는 변조된 상기 RF 신호를 원래의 오디오 신호와 통신 신호로 복조하는 주파수 복조기(131)와, 자체 방송을 선택하기 위한 방송 선택기(132)와, 상기 방송 선택기(132)에 의해 선택된 방송 신호의 음량을 조절하기 위한 음량 조절기(133)와, 상기 음량 조절기(133)에 의해 방송 신호가 스피커로 출력되는 음의 크기를 표시하기 위한 방송레벨 상태기(134)와, 각 지역에 설치되어 방송출력되는 스피커의 온/오프 상태를 감지하는 스피커 상태 감지기(135)와, 상기 주파수 복조기(131)를 통하여 복조된 상기 메인 제어기(112)의 통신 신호에 따라 지역 제어부(130)의 각 부를 제어함과 동시에 자체 방송 상태를 상기 메인제어기(112)로 송신을 하기 위한 원격방송 조절기(136)와, 상기 원격방송 조절기(136)에서 출력되는 방송 상태 신호를 RF 신호로 변조시켜 전송하는 지역 쌍방향 모뎀(137)과, 각 지역별로 수신된 전원의 온/오프 상태를 감시하여 상기 원격방송 조절기(136)로 신호하는 전원 감지기(138)와, 화재 발생을 감지하는 상기 원격방송 조절기(136)로 신호하는 비상 감지기(139)로 구성되어져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 및 작용 효과를 첨부한 도면 제1도 내지 제3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중앙 제어부(110)의 메인 제어기(112)는 제2도의 플로우차트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화 상태에서 지역 제어부(130)를 이루는 각종 장비의 상태를 체크하고자 통신 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면, 이 통신 신호는 쌍방향 모뎀(116)에 의하여 RF 신호로 변조되어 주파수 혼합기(116)를 거쳐 신호 전송부(120)로 전달된다.
이후, RF 신호로 변조된 통신 신호는 쌍방향 앰프(121)를 통해 증폭되어 신호 분배기(122)에 의하여 복수의 지역 중 해당하는 지역의 지역 제어부(130)로 전송된다.
이때, 주파수 복조기(131)는 변조된 RF 신호를 원래의 통신 신호로 복조하여 원격방송 조절기(136)로 출력하게 되고, 원격방송 조절기(136)는 통신 신호에 따라 각종 지역 장비를 제어하여 자체 방송 상태를 체크한 후 방송 상태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그러면, 이 방송 상태 신호를 지역 쌍방향 모뎀(137)이 RF 신호로 변조시켜 신호 분배기(122)와 쌍방향 앰프(121)를 거쳐 중앙 쌍방향 모뎀(115)으로 전송하게 되고, 중앙 쌍방향 모뎀(115)이 변조된 RF 신호를 방송 상태 신호로 복조시켜 메인 제어기(112)로 출력하게 된다.
즉,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중앙 제어부(110)는 지역 제어부(130)를 이루는 지역 장비의 통신 상태와 방송 상태, 채널 상태, 음량 설정상태, 비상접점 상태를 체크하게 된다.
다음으로, 메인 제어기(112)는 자동방송 송출기(113)를 통해 음향 기기(111) 즉, 마이크와 튜너, 데크, CD 플레이어 및 차임 등의 예약 방송을 자동으로 실행하기 위해 요일별 일시별로 예약 방송 상태를 체크하게 된다.
그리고, 음향 기기(111)의 방송 종류 즉, 중앙 일반방송, 중앙 비상방송, 지역 일반방송 및 지역 자체 비상방송 상태를 체크한 후 방송 우선 순위에 따라 방송선택 및 선택된 방송의 음량 크기를 체크하게 된다.
또한, 방송 종류가 선택되면 방송 지역 및 방송 장소를 체크한 후 자동방송 송출기(113)를 제어하여 음향기기(111)로부터 오디오 신호가 출력되게 한다.
그러면, 이 오디오 신호는 주파수 변조기(114)에 의하여 RF 신호로 변조되어 주파수 혼합기(116)를 거쳐 신호 전송부(120)로 전달된다.
이후, RF 신호로 변조된 오디오 신호는 쌍방향 앰프(121)를 통해 증폭되어 신호 분배기(122)에 의하여 복수의 지역 중 해당하는 지역의 지역 제어부(130)로 전송된다.
이 때, 음향 기기(111)로부터 오디오 신호가 출력됨과 동시에 메인 제어기(112)로부터 통신 신호가 출력될 경우에는 주파수 변조기(114)와 중앙 쌍방향 모뎀(115)에 의하여 각각 RF 신호로 변조된 두 신호를 입력받은 주파수 혼합기(116)가 두 신호를 혼합하여 신호 전송부(120)로 전달하므로 하나의 전송로만이 이용되어 다중의 오디오 신호 및 통신 신호를 송출하게 된다.
그러나, 원격방송 조절기(136)로부터 신호 전송부(120)를 통해 전송되는 방송 상태 신호에 비상 감지기(139)에 의해 감지된 지역 비상접점 연결 신호가 포함되어 있거나 중앙 비상접점 연결 신호가 입력되면 비상대피 방송을 우선하여 자동 송출하게 된다. 그리고, 전원 감지기(138)를 통해 각 지역별 전원 온/오프 상태와 스피커 온/오프 상태 및 방송레벨 표시 상태를 체크하게 된다.
한편, 지역 제어부(130)의 원격방송 조절기(136)는 제3도의 플로우차트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화 상태에서 신호 전송부(120)를 거친 메인 제어기(112)의 통신 신호가 입력되면 지역자체 장비의 통신 상태와 지역자체 장비의 방송상태, 지역자체 장비의 채널상태, 지역자체 장비의 음량설정 상태, 지역자체 장비의 전원 온/오프 상태 및, 지역 자체 장비의 비상접점 상태를 체크한다.
그리고, 예약방송과 중앙 일반방송, 중앙 비상방송, 자체 일반방송 및 자체 비상방송 중 메인 제어기(112)에 의하여 선택된 방송 순위에 따라 주파수 복조기(131)를 통해 RF 신호를 오디오 신호로 복조시켜 스피커를 통해 방송을 하게 된다.
그러나, 이때 중앙 비상방송과 자체 일반방송, 자체 비상방송 및 자체 비상접점 등을 체크하여 비상접점 연결시에는 즉시 중앙 제어부(110)의 메인 제어기(112)에 송시하여 비상대피 방송을 우선하여 자동 송출하게 된다.
또한, 원격방송 조절기(136)는 자체 장비 즉, 방송 선택기(132)와 음량 조절기(133), 방송 레벨 상태기(134), 스피커 상태 감지기(135), 전원 감지기(138)의 통신 상태와 방송상태, 채널상태, 음량설정 상태, 전원 옴/오프상태 및 비상접점 상태를 체크하여 메인 제어기(112)에 송신함과 동시에 지역 제어부(130)의 방송선택 상태와 음량 크기 상태, 방송 레벨 상태, 전원 온/오프 상태, 스피커 온/오프 상태 및 비상접점 연결상태를 체크하여 중앙 제어부(110)의 메인 제어기(112)에 송신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통신 방식으로 RF 방식을 이용하여 오디오 신호 및 양방향 통신 신호를 RF 신호로 변환시켜 동일 라인에 혼합하여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종래 기술과 대비하여 설치 비용이 감소될 뿐만 아니라 장거리 전송이 용이함과 아울러 추가 증설 및 유지 보수 관리가 편리한 효과가 있다.
한편, 이러한 RF 방식의 특성 및 장점을 표 1에 명기된 종래 기술과 대비시켜 설명하면 아래의 표 2와 같다.
[표 2]
Figure kpo00002

Claims (2)

  1. 각종 음향 기기에서 출력되는 다중의 오디오 신호와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통신 신호를 알에프(RF) 신호로 변조시켜 동일 라인에 혼합하여 출력하는 중앙 제어수단과, 상기 중앙 제어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RF 신호로 변조된 다중 신호를 증폭하여 여러 지역에 설치된 후단의 각 지역 제어수단으로 전송하는 신호 전송수단과, 상기 신호 전송수단으로부터 전송 받은 RF 신호를 원래의 오디오 신호와 통신 신호로 복조시켜 상기 중앙 제어수단의 통제와 화재경보 방송을 최우선하는 방송 우선 순위에 따라 방송을 하되 방송 상태를 상기 중앙 제어수단으로 전송하는 복수의 지역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에프 방식을 이용한 다중 방송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제어수단은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는 메인 제어기와, 상기 메인 제어기의 통제에 따라 상기 다중의 오디오 신호와 상기 통신 신호가 각각 RF 신호로 변조되면 두 RF 신호를 혼합하여 하나의 전송로로 전송하는 주파수 혼합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에프 방식을 이용한 다중 방송시스템.
KR1019970053555A 1997-10-18 1997-10-18 알에프 방식을 이용한 다중 방송시스템 KR1002554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3555A KR100255478B1 (ko) 1997-10-18 1997-10-18 알에프 방식을 이용한 다중 방송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3555A KR100255478B1 (ko) 1997-10-18 1997-10-18 알에프 방식을 이용한 다중 방송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2495A KR19990032495A (ko) 1999-05-15
KR100255478B1 true KR100255478B1 (ko) 2000-05-01

Family

ID=19523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3555A KR100255478B1 (ko) 1997-10-18 1997-10-18 알에프 방식을 이용한 다중 방송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54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0167B1 (ko) * 2000-02-15 2002-08-24 주식회사 영전 집단블럭 방송시스템
KR20030012952A (ko) * 2001-08-06 2003-02-14 (주)애니컨트롤 네트워크 기반의 디지털 원격 제어 전관 방송 시스템
KR100359926B1 (ko) * 2001-08-10 2002-11-11 주식회사 인터엠 지능형 방송 제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2495A (ko) 199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32057A (en) Cellular radio system repeater and base station
JPH0927807A (ja) 単一チャンネルを利用した多重接続方法
US4015074A (en) Voluntary information transmitting apparatus in a wired television system
US5287547A (en) Transmission and reception system
KR100255478B1 (ko) 알에프 방식을 이용한 다중 방송시스템
JPH06268535A (ja) 衛星通信地球局の送信レベル制御装置
US4427995A (en) Fail-safe CATV system center facility
JPH0816970A (ja) 小規模無線中継装置
JPS6173450A (ja) Catvシステムの通信方式
JP3257137B2 (ja) 映像伝送装置
KR200340349Y1 (ko) 원격 비상방송, 상태감시 및 제어를 제공하는 재방송중계기
KR19980082158A (ko) 무선데이터 단말시스템 제어방법 및 그 단말시스템
KR200345794Y1 (ko) 감시(cctv)시스템
KR100199701B1 (ko) 폐회로 티브이의 다중 전송장치
JPS63252086A (ja) Av玄関システム
JPH02291728A (ja) ヘッドエンド装置
JPH05347580A (ja) 移動通信システム
JP2003069992A (ja) 都道府県防災行政無線システム
JPS62250736A (ja) 緊急放送受信装置
JP2669345B2 (ja) 衛星同報システム
JPH06120917A (ja) Catv告知放送システム
KR20050037802A (ko) 원격 비상방송, 상태감시 및 제어를 제공하는 재방송중계기
Davids A user oriented VHF radio system
JPS62141829A (ja) 双方向有線放送システム
JPH047928A (ja) 情報伝送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1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