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82158A - 무선데이터 단말시스템 제어방법 및 그 단말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데이터 단말시스템 제어방법 및 그 단말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82158A
KR19980082158A KR1019980035455A KR19980035455A KR19980082158A KR 19980082158 A KR19980082158 A KR 19980082158A KR 1019980035455 A KR1019980035455 A KR 1019980035455A KR 19980035455 A KR19980035455 A KR 19980035455A KR 19980082158 A KR19980082158 A KR 199800821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ignal
terminal
voice
rece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5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석영
Original Assignee
정석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석영 filed Critical 정석영
Priority to KR10199800354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82158A/ko
Publication of KR19980082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2158A/ko

Links

Abstract

무선데이터 단말시스템 제어방법 및 그 단말시스템 구성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송신장치를 음성통신과 데이터통신용으로 겸하여 사용토록 하여 시설투자비를 절감하고, 데이터 채널에 음성신호가 혼입되는 것을 제어하여 데이터 전송의 연속성을 보장하는 기술임.

Description

무선데이터 단말시스템 제어방법 및 그 단말시스템
본 발명은 무선데이터 통신용 단말시스템의 제어방법 및 그 구성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송신장치를 음성통신과 데이터 통신에 공통 사용토록 하고, 데이터 채널에 음성신호가 혼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을 확보토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하나의 무선채널로 음성통신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그들 두 신호가 충돌할 경우 특히 데이터 통신이 불가능해 진다는 것은 이 분야 익히 알고 있는 주지의 사실이다.
따라서 음성채널과 데이터 채널은 대부분 분리되도록 설계되며, 부득이한 경우 같은 채널을 사용한다하더라도 데이터 전송과 음성통신에 시차를 두어 통신을 수행하는 실정이다.
음성통신과 데이터 통신에 시차를 두어 동일채널로 공통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데이터 통신을 음성통신보다 자주 사용하지 않을 때 인위적으로 채널의 신호를 감지하여 음성통신을 하거나 또는 중지함으로써 가능한 방법이지만 데이터 통신의 최대 장점인 자동화 전송기능으로 발전되어 트래픽이 증가하면 효율적으로 데이터 통신이 수행되지 못하게 된다.
디지틀 통신기술의 발전과 멀티미디어 통신의 요구 추세는 앞으로 필연적으로 무선망의 데이터 통신 트래픽을 가중시키게 되므로 이에 대비하는 대책을 강구하여야 할 실정이며,
현재까지는 알려진 방법으로는 위와 같이 음성통신용 송수신기와 데이터 통신용 송수신기 및 채널을 별도로 구분하여 음성통신은 필요시 인위적으로 송수신토록 하고, 데이터 통신은 전송시스템간 기계적인 자동화 통신체계로 운용되도록 구성하는 방법이 최선이었다.
그러나 한정된 시스템 설치장소의 이동국에서는 인접장치간의 혼신발생 등으로 무선채널을 별도로 할당하였을지라도 이와 같이 장치를 별도 운용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므로 이동국용 무선데이터 단말장치에 활용될 수 있는 새로운 제어기술을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다른 한편으로 투자비 측면에서는 사설망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초기 투자비가 너무 한꺼번에 많이 소요된다는 점도 무시할 수 없는 문제점이며, 이는 데이터 통신의 확산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데이터 채널에 있어서 음성신호의 혼입을 제어하여 데이터 전송의 연속성을 보장함으로써 하나의 송신장치로 음성 또는 데이터 통신을 겸하여 수행토록 하는 수단을 제공코자 함에 있으며,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음성통신과는 별도로 데이터 수신용 수신기가 기지국의 신호를 상시 측정하여 수신상태를 조절함으로써 데이터 통신을 위한 통신망 링크를 원할히 하는 수단을 제공코자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데이터 통신의 확산을 대비하여 현재 음성통신용으로 사용되는 송수신기에 미리 데이터 통신용 정합기능을 수용함으로써 미래에 발생될 데이터 통신을 위한 투자비를 미리 분산하여 최소화 하고, 서비스 필요시 신속히 단말장치를 추가 구입토록 하여 데이터 통신망 조기구축 여건을 확보코자 함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의 본 발명은 단말국의 송신장치를 음성통신과 데이터통신으로 공통 사용토록 하되 송신장치의 음성신호 채널과 데이터신호 채널의 선택범위가 독립된 주파수대에서 운용되도록 미리 별도 지정하여 단말국의 송수신장치를 음성통신용과 데이터 통신용으로 구분하여 독립적으로 동작하도록 하고, 데이터 채널과 음성채널의 신호간 충돌을 예방함으로써 데이터 통신의 연속성을 보장하는 기술수단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데이터 통신용 단말장치가 기지국의 신호에 추종하여 송/수신상태를 자동 조절함으로써 항상 최량의 상태로 채널 동기화시키는 기술수단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데이터 통신용 단말장치가 없어도 독립적으로 음성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필요에 따라 장치비를 절감할 수 있고, 추후 데이터 통신 기능 추가를 원활토록 하는 단말장치 구성수단을 제공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 일례를 도시한 블럭다이어그램.
제2도 및 제3도는 본 발명 단말시스템 제어방법의 계층구조도 및 흐름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응용프로그램 실시 일례를 도시한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 일례를 도시한 블록다이어그램으로써 데이터 단말장치부를 추가 연결할 수 있되 데이터 단말장치부를 연결하지 않더라도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음성통신 송수신장치부(20)와, 음성통신 송수신장치부(20)에 추가적으로 연결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데이터 단말장치부(30)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음성통신용 송수신장치부(20)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음성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1);
수신기에서 출력되는 전기신호를 음향으로 변환하는 스피커(2);
자유공간으로 전파를 송신 및 자유공간으로 전달되는 전파를 포착하여 송수신기에 공급하는 안테나(3);
제1접점이 수신기(5-2)의 입력단에 연결되고 제2접점이 송신기(5-1)의 출력단에 연결되며, 중앙의 접촉자가 안테나(3)에 연결되어 송신 및 수신동작에 따라 안테나(3)를 송신기(TX out, 5-1) 및 수신기(RX in, 5-2)에 전환 연결하는 Break-In- Relay(4);
저주파입력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신호를 설정된 채널의 무선신호로 증폭/변조하여 안테나(3)로 전송하고, Break-In-Relay(4)를 통하여 안테나(3)로부터 공급되는 설정된 채널의 무선신호를 복조하여 음성신호로 출력되도록 스피커(2)에 연결하며, 설정제어부(7)의 출력신호를 이용하여 송수신기의 설정조건을 조절하는 수단으로 구성되는 무선 송수신장치(5);
데이터 단말장치부(30)와 연결되었을 때 데이터 단말장치부(30)와 정보를 교류함으로써 송수신장치(5)를 데이터 송신용으로 전환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으로 구성되는 인터페이스(8);
송신주파수, 출력설정, 마이크 PTT 등 송수신장치(5)를 조작하기 위한 제어신호의 송출 및 표시장치로 구성되는 통상적인 수동조종회로부(6);
인터페이스(8)에 제1입/출력단이 연결되고 수동조종회로부(6)에 제2입/출력단이 연결되며, 송수신기(5)의 제어부 및 저주파신호 입력단에 제3입/출력단이 연결되어 데이터 단말장치부(30)에서 공급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제1입/출력단 및 제2입/출력단의 신호를 선택하여 제3입/출력단으로 전환 연결하는 수단의 설정제어부(7);
상기 마이크(1)의 출력단을 수동조종회로부(6)에 연결하여서 데이터 단말장치부(30)에 연결된 인터페이스(8)의 제어신호에 따라 송수신기(5)가 독립된 음성통신 및 데이터 단말장치부(30)와 혼합하여 데이터 통신 작용을 수행토록 구성된 것이다.
다음으로 데이터 단말장치부(30)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Break-In-Relay(4)에 입력단이 연결되어 그로부터 공급되는 설정된 채널의 무선신호를 증폭/복조하여 데이터 단말장치(12)에 공급하되 데이터 단말장치(12)의 출력신호를 이용하여 수신조건을 설정하는 수단으로 구성되는 수신기(9);
제1입/출력단이 수신기(9)에 연결되고, 제2입/출력단이 데이터 단말장치(12)에 연결되어 수신기(9)로부터의 복조 출력을 데이터 단말장치(12)에 전달하며, 데이터 단말장치(12)로부터의 제어신호를 수신기(9)에 연결하는 인터페이스(11);
제1입/출력단이 데이터 단말장치(12)에 연결되고, 제2입/출력단이 송수신장치부(20) 및 수신기(9)의 입/출력단에 각각 연결되어 데이터 단말장치(12)에서 전송되는 데이터 정보를 송수신장치부(20)에 연결하고, 수신기(9)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A/D변환하여 데이터 단말장치(12)로 연결하는 수단의 MODEM(10);
입/출력단이 인터페이스(8, 11) 및 MODEM(10)에 연결되어 수신되는 데이터 정보를 저장장치(12-7)에 보관하고, I/O장치(12-2) 및 저장장치(12-7)에 입력된 송신 데이터 정보를 MODEM(10)으로 공급하며, 수신기(9)로부터 출력되는 채널검색 정보를 분석하여 수신기(9)의 설정조건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인터페이스(11)에 공급하고, PTT제어정보와 자신의 데이터 통신상황을 분석하여 음성통신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송수신장치부(20)의 인터페이스(8)에 공급하는 수단으로 마이크로-컴퓨터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수단의 데이터 단말장치(12);
상기 Break-In-Relay(4), 단말장치(12) 및 MODEM(10)의 입/출력단을 송수신장치부(20)의 입/출력단에 유기적으로 연결하여서 데이터 채널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데이터 채널의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기(9)의 설정조건 및 음성송신 기능을 제어토록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은 독립적인 송수신장치부(20)를 이용하여 음성통신을 수행하는 기능과, 송수신장치부(20)와 데이터 단말장치부(30)를 혼합하여 데이터 통신 및 음성통신을 수행하는 기능으로 나누어 진다.
먼저 데이터 단말장치가 구비되지 않을 때 송수신장치부(20)를 음성통신용으로만 사용하는 경우에 대하여 그 작용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 경우의 송수신 작용은 종래의 송수신장치부 작동과 동일한 것으로서, 평상시 안테나(3)를 통하여 포착된 무선채널의 신호는 Break-in-relay(4)를 거쳐 수신기(5-2)에 입력되며, 이를 수신기(5-2)에서 증폭/복조하여 스피커(2)로 출력을 발생한다.
만약 무선채널에서 상대방이 음성으로 호출하는 신호를 수신하였거나 또는 사용자가 상대방을 호출하기 위하여 음성신호를 송신하고자 한다면 사용자는 마이크(1)에 부착된 PTT (Press To Talk) 스위치를 눌러 송수신기를 송신 작동으로 전환한 다음 마이크(1)에 음성신호를 공급하여 음성신호를 송신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송수신장치(5)를 송신(5-1) 또는 수신(5-2)으로 선택 전환하여 사용하는 것은 이동국 등 한정된 장소에 설치되는 안테나(3)를 송신과 수신으로 전환하여 공통으로 사용 및 혼변조 등 혼신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마이크의 PTT 스위치를 누르면 Break-in- relay(4, 이하 BK라 칭함)의 접점이 송신측으로 전환되며, PTT 스위치를 놓으면 BK(4)의 접점이 수신기측으로 전환되도록 하여 이를 수행한다.
음성통신을 위한 송신과 수신채널의 설정은 종래 송수신장치(5)의 전면 조작부위에 설치된 수동조작회로부(6)에서 설정하는 것으로 수동조작회로부(6)에는 일반적으로 수신감도 조정, 음량조정, 송신채널 및 수신채널 설정, 송신출력 조정 및 각종 표시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하여 이와 같은 종래의 송수신장치(5)에 추가된 구성은 설정제어부(7)와 인터페이스(8)로서,
설정제어부(7)의 기능은 종래와 같은 수동조종회로부(6)의 신호를 송수신장치(5)에 연결하거나 인터페이스(8)를 통하여 공급되는 단말장치부(30)의 신호를 송수신장치(5)에 연결하도록 하는 선택적 전환 연결기능을 수행한다.
인터페이스(8)를 통하여 자동적으로 공급되는 데이터 단말장치부(30)의 신호에는 송신기(5-1)의 채널을 설정하는 신호와 송신 데이터 정보가 포함되며, 이에따라 음성통신에 사용되던 송신기(5-1)는 데이터 채널로 전환되어 데이터를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
필요시 이 제어신호에는 송신기의 출력을 조절하는 기능이 포함된다.
인터페이스(8)는 데이터 단말장치부(30)와 연결되는 입/출력단에 아무런 신호도 공급되지 않을 때 즉, 데이터 단말장치부(30)가 연결되지 않고 송수신장치(5)만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경우 Default 값으로 설정제어부(7)가 수동조종회로부(6)와 송수신장치(5)를 연결하여 종래 기능을 그대로 유지토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이 경우 송신기(5-1)는 음성채널로 할당된 범위내에서만 채널의 절체가 가능토록 된다.
다음으로 데이터 단말장치부(30)와 혼합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의 인터페이스(8)를 포함한 송수신 제어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송수신장치부(20)에 입력되는 BK(4) 출력의 일부는 데이터 전용 수신기(9)에도 공급되며, 송수신장치(5-2)의 증폭/복조 작용과 같은 동작을 수행하는 수신기(9)의 출력은 MODEM(10). 데이터 단말장치(12)의 I/O port(12-2), CPU(12-4)에 순차 전달된다.
만약 MODEM(10)에 공급되는 신호가 미약하다면 MODEM(10)은 이 사실을 CPU(12-4)에 알리게 되고 이를 수신한 CPU(12-4)는 I/O port(12-2), 인터페이스(11)을 통하여 수신기(9)의 제어회로에 수신감도를 상승시키도록 명령하며, 신호가 강하여 신호 왜곡이 발생한다면 이와 반대로 수신감도를 하강시키도록 명령하는 제어신호를 수신기(9)에 공급하게 된다.
MODEM(10)을 FFT(Fast Fourier Transform) Algorithm을 이용하는 DSP Chip의 기능으로 구성하면 수신신호를 이용하여 주파수편차, 수신신호 레벨 등을 쉽게 검출할 수 있어 이를 위와 같은 방법으로 Feedback시킴으로서 수신기의 설정조건을 변화시키는 것이다.
이 신호검출 작용을 수행토록 하기 위하여 수신기에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단말장치에 검출 결과신호를 공급하여도 동일한 작용을 수행하며, 주로 수신기의 AGC Threshold Level을 제어하게 된다.
이러한 기능은 수신기를 채널에 동기시키기 위한 기능으로 주로 기지국에서 송신하는 데이터 패킷이나 Slot 신호에 포함된 Pilot 신호를 검출하여 순간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채널이 동기되면 기본적으로 데이터 단말장치부(30)는 기지국에서 방송으로 전송되는 데이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특별한 조작을 하지 않더라도 수신기(9)로부터 복조된 출력이 MODEM(10), I/O port(12-2)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변환되어 CPU(12-4)에 공급되고, CPU (12-4)는 그 신호를 분석 가공하여 저장장치(12-7)에 데이터를 저장하게 된다.
만약 수신된 데이터중 통신채널을 전환하라는 정보가 포함되었다면 CPU(12-4)는 I/O port(12-2), 인터페이스(8, 11)를 이용하여 수신기(9)의 채널과 송신기(5-1)의 채널을 변경토록 제어신호를 명령하게 되며,
이 기능은 패킷데이터로 전송되는 정보를 CPU에서 분석하여 각 인터페이스(8, 11)를 경유하여 송수신장치(5) 및 수신기(9)의 제어회로부를 조정하여 가능토록 하는 것이다.
데이터 통신을 하기 위하여 단말국에서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였을 때에도 기지국에서 송신출력을 조정하라는 명령신호가 수신되었다면 이 역시 같은 과정으로 송수신장치(5)를 제어하는 제어회로부를 구동하여 송신출력을 조정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송수신 환경이 설정되면 수신기(5-2)는 음성신호를 독립적으로 수신하고, 수신기(9)는 데이터 정보를 독립적으로 수신하여 각각 스피커(2)와 데이터단말장치(12)에 출력신호를 공급하게 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선데이터 통신에는 에러를 정정하기 위하여 FEC(Foward Error Control)기술을 포함하게 되지만 위와 같은 방송만이 아니라 ARQ(Automatic Repeat reQuest) 등 효율적인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하여는 송신기(5-1)와 수신기(9)가 하나의 송수신장치로 결합되어 통신상대방과 데이터 및 ACK (or NACK)신호를 번갈아 주고 받는 과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데이터 통신을 수행중에는 송신기(5-1)를 데이터 단말장치(12)가 자유롭게 사용토록할 필요가 있는데 이하 설명하는 것은 이와 같이 송수신장치로 결합되어 운용중인 통상적 데이터 통신 상황에서 사용자가 불시적으로 음성통신을 수행치 못하도록 하는 기능이다.
수신기(9) 또는 수신기(9)와 송신기(5-1)가 결합되어 자신이 방송을 수신하거나 데이터 통신을 수행중이면 CPU(12-4)는 인터페이스(8)에 이를 알리는 제어신호를 송신하게 되는데 이를 수신한 인터페이스(8)는 설정제어부(7)의 제어신호 통로가 인터페이스(8)로만 연결되도록 함과 동시 수동조종회로부(6)를 통하여 데이터 수신 또는 데이터 통신중임을 표시하게 된다.
이와 같은 표시기능은 사용자가 임의로 음성통신을 사용코자할 때 경고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으로서, 그와 같은 상황을 알면서도 위급한 상황 등으로 사용자가 마이크(1)의 PTT스위치를 누른다면 그 PTT신호는 수동조종회로부(6), 설정제어부(7), 인터페이스(8)를 경유하여 CPU(12-4)에 전달되며, 이를 수신한 CPU(12-4)는 그 반대의 경로로 신호를 전송하여 수동조종회로부(6)에 『현재 수행중인 데이터 통신을 무시하고 음성통신용으로 송신장치(5-1)를 전환하여 사용할 것인가?』를 문자 및 Alarm신호로 묻게 되며, 『yes』를 조작하면 다시 CPU(12-4)가 이를 받아 제어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설정제어부(7)를 통하여 수동조종회로부(6)와 송신기(5-1)를 연결하는 것이다.
이후 마이크(1)를 조작하면 송신기(5-1)는 음성통신을 수행하게 되지만 미리 수동으로 설정된 음성 채널로만 음성신호가 전송되므로 데이터 채널에는 혼신을 주지 않게 된다.
이 음성 채널과 데이터 채널은 서로 지정된 별도의 채널로 구성되는 것으로, 음성채널은 인위적으로 설정하고, 데이터 채널은 데이터 단말장치가 자동적으로 설정하거나 또는 인위적으로 설정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송수신장치의 수신기(5-2)는 송신기(5-1)를 데이터 단말장치(12)가 사용중일 때라도 수동으로 설정된 음성채널을 유지하고 있어 데이터 송신을 하지 않는한 독립적으로 음성채널의 신호를 수신하여 스피커(2)로 출력을 전달하게 되므로 2개의 수신기로 음성채널과 데이터채널을 모두 청수(Watch)할 수 있게 된다.
미 설명부호 (12-1)은 키-보드로 각종 데이터를 수동 입력토록 하는 것으로서 단말장치(12)의 조작과 각종 시스템 설정조건 등을 입력토록 하는 것이고, (12-3)은 위 조작상황과 데이터 송수신상황 및 저장된 자료를 검색하여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12-3)의 표시장치는 송수신장치부의 수동조작회로부(6)에도 구비되어 있는데 이는 송수신기 조작 및 설정을 위한 정보와 데이터 통신중 음성신호를 송신코자할 때 발생되는 경고메시지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12-5)와 (12-6)은 CPU(12-4)를 구동하거나 프로그램을 Load하기 위하여 마이크로-컴퓨터를 구성하는 RAM과 ROM이다.
제2도 및 제3도는 본 발명 무선데이터 단말시스템의 제어방법에 대한 계층구조도 및 흐름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제부터 제2도 및 제3도에 의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초기화단계, 채널동기화단계, PTT검출단계, 음성채널 절체단계의 4단계(L0 ~ L3)로 구성된다.
전원을 인가하면 단말장치는 모든 출력을 Clear하고, 설정된 조건을 Load하는 과정을 수행한다.(1000)
이 과정에서는 송수신장치(5) 및 수신기(9)를 수신상태로 유지시키고 설정된 조건 즉 채널번호에 따른 주파수 교정, 지정된 음성채널의 설정, 지정된 데이터 채널의 설정 등 기지국의 데이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초기화 조건(101, 102)으로 단말시스템을 설정한다.
데이터 단말장치는 기지국의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여 무선채널을 동기화 하는 과정을 수행한다.(1001)
이 과정에서는 기지국에서 송신되는 데이터 패킷 또는 Slot 신호를 검출(103)하여 수신기의 감도를 향상(104, 105)시키거나 감소(106, 107)시키는 작용을 수행하며,
또한 이 과정에는 데이터 수신과정에서 기지국으로부터의 명령에 의하여 채널을 절체(108, 109)시키거나 송신출력을 조절(110, 111)시키는 과정이 포함된다.
단말시스템은 데이터 수신과 음성 수신을 독립적으로 수행하며, 데이터 수신 및 데이터 통신중 음성송신을 요구하는지의 여부를 계속 검사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112, 113)
이 과정에서는 우선적으로 송신기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사용자에게 그 사실을 알림과 동시 계속하여 사용자가 음성통신용으로 송신기 사용을 필요로 하는지 검사하게 된다.
데이터 수신 및 데이터 통신중 사용자가 음성송신을 요구하면 단말시스템은 경고메시지를 표시하고 인위적인 재요구에 의하여 송신기가 음성채널로 전환됨으로써 음성신호를 송신하는 과정을 수행한다.(1003)
이 과정에서는 데이터 통신의 사용여부를 데이터 단말장치가 검사하여 미리 사용자에게 그 사실을 알리는 메시지 및 데이터 통신중 임의로 음성을 송신하고자할 때 경고메세지를 표시하는 과정(114, 115)과 위급한 상황에서 강제적으로라도 이를 사용코자 하는 경우(116)에 한하여 데이터 통신을 중지(117)하고 송신기를 음성통신용으로 사용토록 하되 음성신호는 미리 설정된 음성채널 범위에 한하여 송신되도록 작용(118)하게 된다.
이와 같이 송신기가 음성송신용으로 전환되어도 이 과정에서 만약 데이터 방송신호를 수신하는중이라면 음성신호 미송신중에는 데이터 전용 수신기가 계속적으로 수신작동을 지속하게 됨은 물론이다.
따라서 이 과정에는 음성송신 때에 한하여 음성채널로 송신기가 전환되도록 하거나 음성통신으로 사용이 끝났음을 알리는 조작을 하였을 때 데이터 채널로 송신기가 복귀토록 하는 두 가지 수단을 모두 포함한다.
제4도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단말시스템으로 무선패킷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한가지 응용 실시 일례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응용에 대하여는 특별히 상세히 설명하지 않더라도 제4도의 흐름도만으로도 이 분야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으로서 제4도의 흐름도는 위에서 설명한 기지국 제어정보와 단말장치를 이용한 수신채널의 Scan 기능으로 채널을 추적하여 동기시키고, 링크 프로토콜 제어를 통한 무선망 접속 및 데이터 전송을 지원하는 등의 과정이 포함되어 있다.
제4도에 표시된 기호중 PDU는 무선패킷 데이터 통신에서 칭하는 Packet Data Unit를 약어로 표시한 것이다.
신호검출함수, 시스템설정함수 및 채널동기함수는 기지국의 Pilot 신호를 검출하여 수신기의 설정조건을 변경하거나 기지국의 명령신호를 검출하여 송신기의 설정조건을 변경하는 함수이며, 이 함수에는 음성통신의 채널 설정범위 지정, 데이터 채널의 지정, AGC(Automatic Gain Cotrol) 가변범위 및 Threshold Level 설정, 스켈치 설정 등 시스템 설정 조작범위가 포함된다.
데이터통신실행함수 및 PTT검출함수는 채널이 동기된후 기지국으로부터 방송, 통신으로 전달되는 디지틀 정보와 단말국에서 기지국으로 디지를 정보를 전송하기 위하여 Stop Wait 또는 ARQ 등의 이미 알려진 프로토콜로 통신을 수행하는 함수와 그와 같이 통신을 수행중 음성송신을 요구하는 PTT제어신호를 검출하는 함수이다.
음성채널제어함수와 음성통신실행함수는 데이터통신 도중에 음성송신을 요구할 때 이를 경고후 음성통신을 실행에 옮기게 하는 함수이며, 이 함수에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마이크 조작시에 한하여 음성채널로 송신기가 전환설정 되도록 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일례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예를들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13)의 출력을 I/O port(12-2)에 연결하고 자체에 저장된 Map과 혼합하여 단말의 위치를 표시 및 상대방에게 전달하도록 하거나, PC (Personal Computer, 14)를 I/O port(12-2) 또는 Interface(8, 11)의 입/출력단에 직접 연결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는 것이며, 이외에도 각종 센서의 데이터를 입력 또는 전송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단말장치(12)와 Interface(8, 11)를 연결하는 Data bus는 RS-232C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단말장치의 I/O port(12-2)에 Interface를 추가적으로 구성하여 디지틀 및 아나로그 신호를 병렬전송 방식으로 직접 연결할 수도 있는 등 세부적인 구성은 본 발명의 개념으로부터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뿐만아니라 단말장치(12)의 기능을 이용하여 음성통신용 송수신장치(5)의 제어를 Tone 신호와 Tone Detector에 의하여 원격제어하는 것도 가능한 것이지만 이 역시 이로부터 응용실시할 수 있는 범주의 기술에 지나지 않아 설명을 생략하였다.
한편, 외부에 구성된 Break-In-Relay(4)는 종래 음성통신용 송신장치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편의상 외부에 도시한 것이므로 실제에 있어서는 수신기(5-2)와 수신기(9)의 입력단을 병렬 연결하여 구성된다.
이상과 같은 설명으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데이터 채널에 있어서 음성신호의 혼입을 제어하여 혼신을 방지함과 아울러 데이터 전송의 연속성을 보장하면서도 하나의 송신장치로 음성 또는 데이터 통신을 겸하여 수행토록 하여 시설 투자비의 절감은 물론 협소한 장소의 이동국 시설을 효율적으로 활용토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음성통신과 데이터 통신의 두 채널을 상시 청수하게 되므로 한가지 정보를 둘 이상의 신호로 전송하는 멀티미디어 통신환경에 적합한 단말 기능을 확보할 수 있어 방송으로 제공되는 정보서비스 환경에서는 이동국에서도 음성/문자/화상의 복합정보를 동시에 제공받을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된다.
또한 데이터 단말장치가 연결되지 않더라도 독립된 종래의 음성통신 기능으로 운용할 수 있는 음성 송수신 기능은 미래의 데이터통신 확산에 대비하는 미래지향적 데이터통신 확산촉진 대안으로서 저비용 고효율구조의 시스템 구축여건 제공과 데이터 통신망을 조기 구축할 수 있는 여건을 제공하는 등 지대한 효과를 얻게 한다.

Claims (4)

  1. 음성통신용 송수신장치부와 데이터 단말장치부가 결합되어 음성통신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데이터 단말시스템 제어방법에 있어서,
    (1) 전원을 인가하면 단말장치는 모든 출력을 Clear하고, 설정된 조건을 Load하는 과정의 초기화단계;
    (2) 신호검출함수, 시스템설정함수 및 채널동기함수에 의하여 데이터 단말장치가 기지국의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여 무선채널을 동기화 하는 과정의 채널동기화단계;
    (3) 데이터통신실행함수 및 PTT검출함수에 의하여 단말시스템에서 데이터 수신과 음성 수신을 독립적으로 수행하며, 데이터 수신 및 데이터 통신중의 음성송신 요구 여부를 계속 검사하는 과정의 PTT검출단계;
    (4) 음성채널제어함수와 음성통신실행함수에 의하여 데이터 수신 및 데이터 통신중 사용자가 음성송신을 요구하면 경고메시지를 표시 및 인위적인 재요구에 의하여 송신기가 음성채널로 전환됨으로서 음성신호를 송신하는 과정의 음성채널절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데이터 단말시스템 제어방법.
  2. 데이터 단말장치부(30)를 부가적으로 연결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며, 데이터 단말장치를 연결하지 않더라도 독립적으로 음성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무선 송수신장치부(20)의 구성에 있어서,
    음성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1);
    수신기에서 출력되는 전기신호를 음향으로 변환하는 스피커(2);
    자유공간으로 전파를 송신 및 자유공간으로 전달되는 전파를 포착하여 송수신기에 공급하는 안테나(3);
    제1접점이 수신기(5-2)의 입력단에 연결되고 제2접점이 송신기(5-1)의 출력단에 연결되며, 중앙의 접촉자가 안테나(3)에 연결되어 송신 및 수신동작에 따라 안테나(3)를 송신기(5-1) 및 수신기(5-2)에 전환 연결하는 Break-In- Relay(4);
    저주파입력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신호를 설정된 채널의 무선신호로 증폭/변조하여 안테나(3)로 전송하고, Break-In-Relay(4)를 통하여 안테나(3)로부터 공급되는 설정된 채널의 무선신호를 증폭/복조하여 음성신호로 출력되도록 스피커(2)에 연결하며, 설정제어부(7)의 출력신호를 이용하여 송수신기의 설정조건을 조절하는 수단으로 구성되는 무선송수신장치(5);
    데이터 단말장치부(30)와 연결되었을 때 데이터 단말장치부(30)와 정보를 교류함으로써 송수신장치(5)를 데이터 송신용으로 전환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으로 구성되는 인터페이스(8);
    송신주파수, 출력설정, 마이크 PTT 등 송수신장치(5)를 조작하기 위한 제어신호의 송출 및 표시장치로 구성되는 통상적인 수동조종회로부(6);
    인터페이스(8)에 제1입/출력단이 연결되고 수동조종회로부(6)에 제2입/출력단이 연결되며, 송수신장치(5)의 제어부 및 저주파신호 입력단에 제3입/출력단이 연결되어 데이터 단말장치부(30)에서 공급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제1입/출력단 및 제2입/출력단의 신호를 선택하여 제3입/출력단으로 전환 연결하는 수단의 설정제어부(7);
    상기 마이크(1)의 출력단을 수동조종회로부(6)에 연결하여서 데이터 단말장치부(30)에 연결된 인페이스(8)의 제어신호에 따라 송수신장치(5)가 독립된 음성통신 기능으로 동작 및 데이터 단말장치부(30)와 혼합하여 데이터 통신 작용을 수행토록 되며, 데이터 단말장치부(30) 미연결시 독립적으로 음성통신을 수행토록 구성되는 수단을 포함하는 음성 및 데이터 통신용 무선송수신장치.
  3. 마이크(1), 스피커(2), 안테나(3), Break-In-Relay(4), 송수신장치(5), 수동조종회로부(6), 설정제어부(7) 및 인터페이스(8)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독립적 음성통신을 수행하는 송수신장치부(20)에 데이터 단말장치부(30)가 복합적으로 연결되어서 음성통신과 데이터 통신을 혼합 수행토록 되는 데이터 단말장치부(30)의 구성에 있어서,
    Break-In-Relay(4)에 입력단이 연결되어 그로부터 공급되는 설정된 채널의 무선신호를 증폭/복조하여 데이터 단말장치(12)에 공급하되 데이터 단말장치(12)의 출력신호를 이용하여 수신조건을 설정하는 수단으로 구성되는 수신기(9);
    제1입/출력단이 수신기(9)에 연결되고, 제2입/출력단이 데이터 단말장치(12)에 연결되어 수신기(9)로부터의 복조 출력을 데이터 단말장치(12)에 전달하며, 데이터 단말장치(12)로부터의 제어신호를 수신기(9)에 연결하는 인터페이스(11);
    제1입/출력단이 데이터 단말장치(12)에 연결되고, 제2입/출력단이 송수신장치부(20) 및 수신기(9)의 입/출력단에 각각 연결되어 데이터 단말장치(12)에서 전송되는 데이터 정보를 D/A변환하여 송수신장치부(20)에 연결하고, 수신기(9)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A/D변환하여 데이터 단말장치(12)로 연결하는 수단의 MODEM(10);
    입/출력단이 인터페이스(8, 11) 및 수신기(9)의 출력경로에 연결되어 수신되는 데이터 정보를 저장장치(12-7)에 보관하고, I/O장치(12-2) 및 저장장치(12-7)에 입력된 송신 데이터 정보를 MODEM(10)으로 공급하며, 채널검색 정보를 분석하여 수신기(9)의 설정조건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수신기(9)의 인터페이스(11)에 공급하고, PTT제어정보와 자신의 데이터 통신상황을 분석하여 음성통신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송수신장치부(20)의 인터페이스(8)에 공급하는 수단으로 마이크로-컴퓨터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데이터 단말장치(12);
    상기 Break-In-Relay(4), 데이터 단말장치(12) 및 MODEM(10)의 입/출력단을 송수신장치부(20)의 입/출력단에 유기적으로 연결하여서 데이터 채널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데이터 채널의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기(9)의 설정조건 및 음성송신 기능을 제어토록 구성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데이터 단말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데이터 전용 수신기(9)는 음성통신용 수신기(5-2)로 대체 연결하여서 단일 수신기로 통합 구성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데이터 단말시스템.
KR1019980035455A 1998-08-31 1998-08-31 무선데이터 단말시스템 제어방법 및 그 단말시스템 KR199800821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5455A KR19980082158A (ko) 1998-08-31 1998-08-31 무선데이터 단말시스템 제어방법 및 그 단말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5455A KR19980082158A (ko) 1998-08-31 1998-08-31 무선데이터 단말시스템 제어방법 및 그 단말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2158A true KR19980082158A (ko) 1998-11-25

Family

ID=65899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5455A KR19980082158A (ko) 1998-08-31 1998-08-31 무선데이터 단말시스템 제어방법 및 그 단말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8215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6528B1 (ko) * 2001-09-13 2003-09-02 주식회사 거원시스템 음성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 그에 사용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KR100813406B1 (ko) * 2004-03-18 2008-03-12 광인정보통신(주) 무선통신용 원격제어장치
KR20140089628A (ko) 2012-12-31 2014-07-16 (주)지엠티 선박자동식별장치를 활용한 항만운영 스케쥴링 방법 및 그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32825A2 (en) * 1988-03-18 1989-09-20 Motorola, Inc. Cellular data telephone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data
KR970031467A (ko) * 1995-11-02 1997-06-26 구자홍 휴대형 개인 정보 통신 단말기
KR970078059A (ko) * 1996-05-15 1997-12-12 김주용 무전기의 음성 데이타와 변조된 디지탈 데이타를 스위칭하는 장치 및 방법
KR980007060A (ko) * 1998-01-07 1998-03-30 정석영 무선설비의 음성/비음성 통신 제어방법 및 제어장치
KR19990017716A (ko) * 1997-08-25 1999-03-15 구자홍 광대역 데이터 전송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32825A2 (en) * 1988-03-18 1989-09-20 Motorola, Inc. Cellular data telephone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data
KR970031467A (ko) * 1995-11-02 1997-06-26 구자홍 휴대형 개인 정보 통신 단말기
KR970078059A (ko) * 1996-05-15 1997-12-12 김주용 무전기의 음성 데이타와 변조된 디지탈 데이타를 스위칭하는 장치 및 방법
KR19990017716A (ko) * 1997-08-25 1999-03-15 구자홍 광대역 데이터 전송방법 및 장치
KR980007060A (ko) * 1998-01-07 1998-03-30 정석영 무선설비의 음성/비음성 통신 제어방법 및 제어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6528B1 (ko) * 2001-09-13 2003-09-02 주식회사 거원시스템 음성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 그에 사용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KR100813406B1 (ko) * 2004-03-18 2008-03-12 광인정보통신(주) 무선통신용 원격제어장치
KR20140089628A (ko) 2012-12-31 2014-07-16 (주)지엠티 선박자동식별장치를 활용한 항만운영 스케쥴링 방법 및 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37599B1 (en) Booster, monitoring, apparatus, booster system, control method and monitoring method
CN1089511C (zh) 蜂窝无线电系统、中继器和基站
WO2008066926A3 (en) Detection of a multi-mod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t a wlan - wwan network
KR100499291B1 (ko) 위치 결정 수단을 가진 무선 통신 장치 및 시스템
JPH10247874A (ja) 時分割双方向方式携帯電話中継装置
US776111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dicating the kind of current communication service of dual mode mobile terminal
KR19980082158A (ko) 무선데이터 단말시스템 제어방법 및 그 단말시스템
JPH0758689A (ja) 無線電話装置
ES2595578T3 (es) Un sistema de audio digital de una aeronave
KR100915205B1 (ko) 통신 모뎀을 구비하는 무선 중계기 및 상기 무선 중계기의운영 방법
KR102424253B1 (ko) 건축물 내의 무선통신 자동 주파수 제어 시스템
KR100255478B1 (ko) 알에프 방식을 이용한 다중 방송시스템
JP3078980B2 (ja) 信号中継方式
JPS62230233A (ja) 無線電話装置
KR20100002997A (ko) 이동통신 중계기의 안테나 설치 시스템 및 방법
KR20090111538A (ko) 이동통신 시스템을 위한 중계장치
JP2003318799A (ja) 移動無線通信システム
JP2003244030A (ja) ケーブルロス等化方法
KR100528247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원격 제어를 통한 지피에스 장치의 지연 시간 보정 방법
JPH10135900A (ja) 携帯電話中継装置
JP3018987U (ja) 合成基地局装置
JPH02112329A (ja) 自動車用電話装置
JP2010114741A (ja) 無線通信システム
JP2003101467A (ja) 加入者無線アクセス装置のアンテナ方向調整方法
KR20050122437A (ko) 근거리 무선통신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