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3579A - 전관방송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관방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3579A
KR20070103579A KR1020060035327A KR20060035327A KR20070103579A KR 20070103579 A KR20070103579 A KR 20070103579A KR 1020060035327 A KR1020060035327 A KR 1020060035327A KR 20060035327 A KR20060035327 A KR 20060035327A KR 20070103579 A KR20070103579 A KR 200701035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audio
input
switching means
power ampl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5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병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빅
Priority to KR1020060035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103579A/ko
Publication of KR20070103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3579A/ko

Links

Landscapes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관방송 시스템용 출력선택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관방송 시스템의 릴레이 그룹에 비해 출력포트수가 상대적으로 적은 파워 앰프 후단에 간단한 스위치 조작에 의해 오디오 입출력 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전관방송 시스템용 출력선택장치를 구현함에 의해 건물내에서 실배치가 변경되더라도, 복잡한 사용자에 의한 배선 작업없이 간단한 스위치 조작만으로 오디오 입출력 방향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관방송 시스템용 출력선택장치{Output selection apparatus for Public Address System}
본 발명은 전관방송 시스템용 출력선택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관방송 시스템의 오디오 출력 선택 기술에 관련된다.
도 1 은 종래의 전관방송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전관방송 시스템(100)은 제어부(110)와, 오디오 믹서(120)와, 파워 앰프(130)와, 릴레이 그룹(1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어부(110)는 오디오 신호에 대한 입·출력 제어 및 볼륨제어, 스피커의 선택제어를 포함하는 장치 전반을 제어한다.
상기 오디오 믹서(120)는 다수의 음원발생장치 예컨데, CD 플레이어, 카세트 데크, 튜너, 유/무선 마이크, 마이크로폰, 리모우트 앰프 등으로부터 각각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지정된 입력포트를 통해 각각 입력받거나 또는 메모리에 저장된 경보음, 시보음, 사용자 녹음 등을 독출하고, 이를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믹싱(Mixing)하여 선택된 출력포트를 통해 출력한다.
상기 파워 앰프(130)는 상기 오디오 믹서(120)의 출력포트에 다수 연결되어, 상기 오디오 믹서(120)의 각 출력포트로부터 출력되는 믹싱(Mixing)된 오디오 신호를 각각 증폭하여 출력한다.
상기 릴레이 그룹(140)은 상기 각 파워 앰프(130)로부터 출력된 증폭된 오디오 신호를 선택된 다수의 스피커로 분배하여 출력한다.
예컨데, 각 학년이 3개반으로 이루어진 고등학교의 전관방송 시스템(100)을 예로 들어보자. 상기 오디오 믹서(120)의 각 입력포트에는 CD 플레이어, 카세트 데크, 튜너, 유/무선 마이크, 마이크로폰, 리모우트 앰프 등의 음원발생장치가 연결된다. 한편, 상기 오디오 믹서(120)의 각 출력포트에는 예컨데, 각 학년별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3개의 각 학년용 파워 앰프(130)가 연결된다.
상기 3개의 파워 앰프(130)는 각각 상기 릴레이 그룹(140)의 입력포트와 연결되고, 상기 릴레이 그룹(140)의 출력포트는 각 학년의 각반 교실에 설치된 9개의 스피커와 연결된다.
이렇게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제어부(110)에 의해 오디오 신호에 대한 입·출력 제어 및 볼륨제어, 스피커의 선택제어가 이루어지게 된다. 예컨데, 사용자가 상기 제어부(110)를 조작하여 CD 플레이어에 의해 재생되는 음악과 함께 방송 멘트를 1학년 각 반에 설치된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1 학년 전체에 대한 음악방송을 수행한다 가정한다.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CD 플레이어와 유/무선 마이크로부터 출력되어 오디오 신호는 상기 오디오 믹서(120)의 입력포트를 통해 입력되고, 오디오 믹서(120)에 의해 믹싱(Mixing)되어, 1학년용 파워 앰프(130)와 연결된 출력포트를 통해 출력된다.
1학년용 파워 앰프(130)와 연결된 오디오 믹서(120)의 출력포트로부터 출력된 믹싱된 신호는 1학년용 파워 앰프(130)를 통해 증폭되어, 상기 릴레이 그룹(140)의 입력포트를 통해 릴레이 그룹(140)으로 입력된다. 그러면, 상기 릴레이 그룹(140)은 1학년용 파워 앰프(130)로부터 입력된 증폭된 신호를 분배하여 그 출력포트에 연결된 1학년 각반의 스피커로 출력함으로써 1학년 전체에 대한 음악방송을 수행한다.
그런데, 학교에서는 신학기에 건물내에서 반의 실배치가 바뀌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건물내에서 실배치가 변경되는 경우, 종래의 전관방송 시스템은 상기 릴레이 그룹(140)의 입/출력 포트에 연결되는 배선 작업을 새로이 해야만 했다. 그런데, 입/출력 포트에 연결되는 배선이 수십 혹은 수백개일 경우 수작업으로 배선 작업을 하는 작업자가 헷갈려서 배선을 잘못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배선 작업없이 간단한 스위치 조작에 의해 전관방송 시스템의 오디오 입출력 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연구를 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취지하에 발명된 것으로, 전관방송 시스템의 릴레이 그룹에 비해 출력포트수가 상대적으로 적은 파워 앰프 후단에 간단한 스위치 조작에 의해 오디오 입출력 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전관방송 시스템용 출력선택장치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전관방송 시스템용 출력선택장치는 전관방송 시스템의 파워 앰프와 릴레이 그룹 사이에 구현되어 간단한 스위치 조작에 의해 오디오 입출력 방향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전관방송 시스템용 출력선택장치는 전관방송 시스템의 파워 앰프와 다수의 스피커 사이에 구현되어 간단한 스위치 조작에 의해 오디오 입출력 방향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원발명은 전관방송 시스템의 릴레이 그룹에 비해 출력포트수가 상대적으로 적은 파워 앰프 후단에 간단한 스위치 조작에 의해 오디오 입출력 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전관방송 시스템용 출력선택장치를 구현함에 의해 복잡한 배선 작업없이 스위치 조작만으로 간편하게 오디오 입출력 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종래의 수작업에 따른 배선 오류를 방지하기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릴레이 그룹(140)과 스피커 사이에, 상기 릴레이 그룹(140)의 출력포트와 동수의 입력포트 및 상기 스피커와 동수의 출력포트를 가지도록 M×N 배열의 연결라인을 형성하되, 상기 M×N 배열의 연결라인 각각에 해당 입력포트와 출력포트간을 연결 또는 개방하는 스위칭 수단을 구비한 M×N 오디오 매트릭스(150)를 삽입 연결하는 구성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상기에서 M은 M×N 오디오 매트릭스의 입력포트 수(=릴레이 그룹의 출력포트 수), N은 M×N 오디오 매트릭스의 출력포트 수(=스피커 수)이다.
이렇게 구성함에 의해 사용자는 건물내에서 실배치가 변경되는 경우, M×N 오디오 매트릭스의 스위칭 수단 예컨데, 스위치 등을 조작하여 상기 릴레이 그룹(140)의 입/출력포트에 연결되는 배선을 수작업하지 않고도 간단한 스위치 조작을 통해 배선 가능하다. 그런데, 이 경우 M×N 오디오 매트릭스가 M개의 입력 포트와, N개의 출력포트 및 M×N개의 스위칭 수단을 구비하여야 하므로, 부피가 크고 제작 단가가 매우 비싸며, 많은 스위칭 수단 예컨데, 스위치가 필요하므로 조작이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전관방송 시스템의 릴레이 그룹에 비해 출력포트수가 상대적으로 적은 파워 앰프 후단에 간단한 스위치 조작에 의해 오디오 입출력 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오디오 매트릭스를 구비한 전관방송 시스템용 출력선택장치에 대한 연구를 하게 되었다.
도 3a 는 본 발명에 따른 전관방송 시스템용 출력선택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럭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따른 전관방송 시스템용 출력선택장치는 P×Q 배열의 연결라인을 형성하되, 상기 P×Q 배열의 연결라인 구간 각각에 파워 앰프의 각 출력을 릴레이 그룹의 입력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입력되도록 하는 스위칭 수단을 구비한 P×Q 오디오 매트릭스(240)를 파워 앰프(230)와 릴레이 그룹(250) 사이에 구현함에 의해 복잡한 배선 작업없이 스위치 조작만으로 간편하게 오디오 입출력 방향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한 실시예이다.
이 실시예에 따른 전관방송 시스템(200)은 제어부(210)와, 오디오 믹서(220)와, 파워 앰프(230)와, 오디오 매트릭스(240)와, 릴레이 그룹(2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어부(210)는 오디오 신호에 대한 입·출력 제어 및 볼륨제어, 스피커의 선택제어를 포함하는 장치 전반을 제어한다.
상기 오디오 믹서(220)는 다수의 음원발생장치 예컨데, CD 플레이어, 카세트 데크, 튜너, 유/무선 마이크, 마이크로폰, 리모우트 앰프 등으로부터 각각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지정된 입력포트를 통해 각각 입력받거나 또는 메모리에 저장된 경보음, 시보음, 사용자 녹음 등을 독출하고, 이를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믹싱(Mixing)하여 선택된 출력포트를 통해 출력한다.
상기 파워 앰프(230)는 상기 오디오 믹서(220)의 출력포트에 다수 연결되어, 상기 오디오 믹서(220)의 각 출력포트로부터 출력되는 믹싱(Mixing)된 오디오 신호를 각각 증폭하여 출력한다.
상기 P×Q 오디오 매트릭스(240)는 상기 파워 앰프(230)와 릴레이 그룹(250)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파워 앰프의 출력 수(P)와 동수의 입력포트 및 상기 릴레이 그룹의 입력 수(Q)와 동수의 출력포트를 가지도록 P×Q 배열의 연결라인을 형성하되, 상기 P×Q 배열의 연결라인 구간 각각에 해당 입력포트와 출력포트간을 연결 또는 개방하는 스위칭 수단(241)을 구비한다. 이 때, 상기 스위칭 수단(241)은 사용자에 의해 온/오프 조작되는 스위치(도면 도시 생략)인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제어부(210)를 통해 소프트웨어적으로 조작되도록 구현할 수 도 있다.
상기 릴레이 그룹(250)은 각 파워 앰프(230)로부터 출력된 증폭된 오디오 신호를 상기 P×Q 오디오 매트릭스(240)의 출력포트에 연결된 다수의 스피커로 분배하여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예컨데, 각 학년이 3개반으로 이루어진 고등학교의 전관방송 시스템(200)을 예로 들어보자. 상기 오디오 믹서(220)의 각 입력포트에는 CD 플레이어, 카세트 데크, 튜너, 유/무선 마이크, 마이크로폰, 리모우트 앰프 등의 음원발생장치가 연결된다. 한편, 상기 오디오 믹서(220)의 각 출력포트에는 예컨데, 각 학년별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3개의 각 학년용 파워 앰프(230)가 연결된다.
상기 3개의 파워 앰프(230)는 각각 3×9 오디오 매트릭스(240)의 입력포트와 연결되고, 3×9 오디오 매트릭스(240)의 출력포트 각각은 릴레이 그룹(250)의 9개의 입력포트와 연결되고, 상기 릴레이 그룹(140)의 출력포트는 각 학년의 각반 교실에 설치된 9개의 스피커와 연결된다.
이 때, 상기 3×9 오디오 매트릭스(240)의 스위칭 수단(241)은 도 3a 에 도시한 바와 같이, 1학년용 파워 앰프와 연결되는 P1 라인과 연결되는 Q개의 스위칭 수단중, 1학년 각반의 스피커와 연결되는 릴레이 그룹(250)의 입력포트와 연결되는 Q1, Q2, Q3 라인이 만나는 위치의 스위칭 수단만 온(ON)되고 나머지는 오프(OFF)되어 있다.
한편, 2학년용 파워 앰프와 연결되는 P2 라인과 연결되는 Q개의 스위칭 수단중, 2학년 각반의 스피커와 연결되는 릴레이 그룹(250)의 입력포트와 연결되는 Q4, Q5, Q6 라인이 만나는 위치의 스위칭 수단만 온(ON)되고 나머지는 오프(OFF)되어 있다.
한편, 3학년용 파워 앰프와 연결되는 P3 라인과 연결되는 Q개의 스위칭 수단중, 3학년 각반의 스피커와 연결되는 릴레이 그룹(250)의 입력포트와 연결되는 Q7, Q8, Q9 라인이 만나는 위치의 스위칭 수단만 온(ON)되고 나머지는 오프(OFF)되어 있다.
이렇게 연결된 상태에서, 새학기가 되어 1학년 2반과 2학년 1반의 실배치가 서로 바뀌었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오디오 매트릭스(240)가 구비되지 않은 종래의 경우, 릴레이 그룹(250)의 출력단자에 연결되는 스피커중 1학년 2반에 연결된 스피커와 2학년 1반에 연결된 스피커를 바꾸어 배선해야 한다.
그런데, 만약 실배치되는 수가 무수히 많다고 가정하면, 릴레이 그룹(250)의 출력단자에 연결되는 스피커에 대한 배선을 무수히 변경해야 하고, 때에 따라서는 파워 앰프(230)와 릴레이 그룹(250)간의 배선도 다시해야만 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사용자의 수동작업에 의한 배선 작업은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크고, 배선 오류가 발생할 경우 재배선 작업해야 하므로, 매우 불편하고 번거로웠다.
그러나, 파워 앰프(230)와 릴레이 그룹(250) 사이에 P×Q 오디오 매트릭스(240)를 채용한 경우, 사용자에 의한 배선 작업없이 간단한 스위치 조작이나 소프트웨어 조작을 통해 오디오 입출력 방향을 변경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3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3×9 오디오 매트릭스(240)의 스위칭 수단을 다음과 같이 온/오프함에 의해 사용자에 의한 배선 작업없이 오디오 입출력 방향을 변경할 수 있게 된다.
1학년용 파워 앰프와 1학년 2반의 스피커가 연결되는 P1 라인과 Q2 라인이 만나는 위치의 오디오 매트릭스(240)의 스위칭 수단을 오프(OFF) 시키고, 1학년용 파워 앰프와 2학년 1반의 스피커가 연결되는 P1 라인과 Q4 라인이 만나는 위치의 오디오 매트릭스(240)의 스위칭 수단을 온(ON) 시킨다.
또한, 2학년용 파워 앰프와 1학년 2반의 스피커가 연결되는 P2 라인과 Q2 라인이 만나는 위치의 오디오 매트릭스(240)의 스위칭 수단을 온(ON) 시키고, 2학년용 파워 앰프와 2학년 1반의 스피커가 연결되는 P2 라인과 Q4 라인이 만나는 위치의 오디오 매트릭스(240)의 스위칭 수단을 오프(OFF) 시킨다.
따라서, 이렇게 함에 의해 비록 1학년 2반과 2학년 1반이 서로 실배치가 변경되었다 하더라도, 복잡한 사용자에 의한 배선 작업없이 간단한 스위치 조작만으로 오디오 입출력 방향을 변경되므로, 정상적인 전관 방송이 수행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도 3a 및 도 3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P×Q 오디오 매트릭스(240)의 각 출력포트와 연결되는 P개의 스위칭 수단은 반드시 1개 이하만 스위칭 온(ON)되어야만 한다. 그 이유는 상기 P×Q 오디오 매트릭스(240)의 각 출력포트와 연결되는 P개의 스위칭 수단중 두개 이상이 온(ON)될 경우 즉, 두개 이상의 파워 앰프로부터 오디오 신호가 입력되어 하나의 출력포트로 출력될 경우 파워 앰프 출력단들이 서로 쇼트가 발생하여 파워 앰프가 파손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사용자의 실수로 상기 P×Q 오디오 매트릭스(240)의 각 출력포트와 연결되는 P개의 스위칭 수단중 두개 이상이 온(ON)될 수 도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예컨데, 도 5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출력중 배타적으로 하나만 출력 선택되도록 하는 선택회로를 구현함에 의해 위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5 는 상기한 선택회로로서 출력선택에 대해 우선순위를 가진 P×Q 오디오 매트릭스(240)의 스위칭 수단(241)의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P×Q 오디오 매트릭스의 각 출력과 연결되는 P개의 스위칭 수단이 다수의 출력중 배타적으로 하나만 출력 선택되도록 구현하여 사용자가 스위칭 수단을 2개 이상 온(ON)시킬 경우에도, 반드시 하나의 파워 앰프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신호가 P×Q 오디오 매트릭스(240)의 출력포트로 출력되도록 한다.
도 5 를 참조해보면, 상기 P×Q 오디오 매트릭스의 각 출력포트와 연결되는 P개의 스위칭 수단이 온(ON)시에는 해당 스위칭 수단에 대응하는 P×Q 오디오 매트릭스의 입력포트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포트측으로 출력하고, 오프(OFF)시에는 하나의 타 스위칭 수단에 대응하는 P×Q 오디오 매트릭스의 입력포트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포트측으로 출력하여 반드시 하나의 파워 앰프로부터 입력된 신호만이 P×Q 오디오 매트릭스의 출력포트를 통해 출력되게 된다.
구체적으로, P×Q 오디오 매트릭스의 출력포트중 Q1 에는 3개의 입력포트(P1,P2,P3)와 각각 연결되는 3 스위칭 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그 중 입력포트 P3 및 P1 에 연결되는 스위칭 수단은 온(ON)되어 있고, P2에 연결되는 스위칭 수단은 오프(OFF)되어 있다. 그런데, 입력포트 P3 및 P1에 연결되는 스위칭 수단이 온(ON) 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스위치 구조에 따라 입력포트 P3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는 출력포트 Q1을 통해 출력되나, 입력포트 P1으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는 출력포트 Q1을 통해 출력되지 않는다. 즉, 입력포트 P3에 연결되는 스위칭 수단은 입력포트 P1에 연결되는 스위칭 수단에 대해 우선 순위를 갖는다.
한편, P×Q 오디오 매트릭스의 출력포트중 Q2 에는 3개의 입력포트(P1,P2,P3)와 각각 연결되는 3 스위칭 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그 중 입력포트 P3 및 P2 에 연결되는 스위칭 수단은 온(ON)되어 있고, P1에 연결되는 스위칭 수단은 오프(OFF)되어 있다. 그런데, 입력포트 P3 및 P2에 연결되는 스위칭 수단이 온(ON) 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스위치 구조에 따라 입력포트 P3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는 출력포트 Q2을 통해 출력되나, 입력포트 P2으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는 출력포트 Q2를 통해 출력되지 않는다. 즉, 입력포트 P3에 연결되는 스위칭 수단은 입력포트 P2에 연결되는 스위칭 수단에 대해 우선 순위를 갖는다.
한편, P×Q 오디오 매트릭스의 출력포트중 Q3 에는 3개의 입력포트(P1,P2,P3)와 각각 연결되는 3 스위칭 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그 중 입력포트 P2 및 P1 에 연결되는 스위칭 수단은 온(ON)되어 있고, P3에 연결되는 스위칭 수단은 오프(OFF)되어 있다. 그런데, 입력포트 P2 및 P1에 연결되는 스위칭 수단이 온(ON) 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스위치 구조에 따라 입력포트 P2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는 출력포트 Q3을 통해 출력되나, 입력포트 P1으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는 출력포트 Q3를 통해 출력되지 않는다. 즉, 입력포트 P2에 연결되는 스위칭 수단은 입력포트 P1에 연결되는 스위칭 수단에 대해 우선 순위를 갖는다.
도 4a 는 본 발명에 따른 전관방송 시스템용 출력선택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럭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따른 전관방송 시스템용 출력선택장치는 P×Q 배열의 연결라인을 형성하되, 상기 P×Q 배열의 연결라인 구간 각각에 파워 앰프의 각 출력을 다수의 스피커 입력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입력되도록 하는 스위칭 수단을 구비한 P×Q 오디오 매트릭스(340)를 파워 앰프(330)와 다수의 스피커 사이에 구현함에 의해 복잡한 배선 작업없이 스위치 조작만으로 간편하게 오디오 입출력 방향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한 실시예이다.
이 실시예에 따른 전관방송 시스템(300)은 제어부(310)와, 오디오 믹서(320)와, 파워 앰프(330)와, 오디오 매트릭스(3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어부(310)는 오디오 신호에 대한 입·출력 제어 및 볼륨제어, 스피커의 선택제어를 포함하는 장치 전반을 제어한다.
상기 오디오 믹서(320)는 다수의 음원발생장치 예컨데, CD 플레이어, 카세트 데크, 튜너, 유/무선 마이크, 마이크로폰, 리모우트 앰프 등으로부터 각각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지정된 입력포트를 통해 각각 입력받거나 또는 메모리에 저장된 경보음, 시보음, 사용자 녹음 등을 독출하고, 이를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믹싱(Mixing)하여 선택된 출력포트를 통해 출력한다.
상기 파워 앰프(330)는 상기 오디오 믹서(320)의 출력포트에 다수 연결되어, 상기 오디오 믹서(320)의 각 출력포트로부터 출력되는 믹싱(Mixing)된 오디오 신호를 각각 증폭하여 출력한다.
상기 P×Q 오디오 매트릭스(340)는 상기 파워 앰프(330)와 다수의 스피커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파워 앰프의 출력 수(P)와 동수의 입력포트 및 상기 스피커 수(Q)와 동수의 출력포트를 가지도록 P×Q 배열의 연결라인을 형성하되, 상기 P×Q 배열의 연결라인 구간 각각에 해당 입력포트와 출력포트간을 연결 또는 개방하는 스위칭 수단(341)을 구비한다.
이 때, 상기 스위칭 수단(341)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스위치(도면 도시 생략) 또는 상기 제어부(310)를 통해 소프트웨어적으로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온/오프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10)를 통해 소프트웨어 적으로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온/오프되도록 구현시, 본 발명에 따른 전관방송 시스템용 출력선택장치가 디먹스(35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먹스(Demultiplexer)(350)는 상기 제어부(310)로부터의 제어신호를 선택(SELECT)된 스위칭 수단으로 출력한다. 즉, 상기 P×Q 오디오 매트릭스(340)의 각 출력포트와 연결되는 P개의 스위칭 수단(341)은 반드시 하나만 온(ON)되어야 하며, 디먹스(350)는 소자 특성상 입력선으로부터 입력된 2진 정보를 2n개의 출력선중 하나로 출력하므로, 상기 디먹스(350)를 이용해 제어부(310)로부터 출력되는 스위칭 제어신호를 상기 P×Q 오디오 매트릭스(340)의 각 출력포트와 연결되는 P개의 스위칭 수단(341)중 어느 하나(SELECT에 의해 선택)로 출력함으로써 스위칭 수단(341)이 온/오프 제어되게 된다. 도 4a 및 도 4b 에서는 편의상 디먹스의 2n개의 출력선을 하나의 점선으로 표시한다.
예컨데, 각 학년이 3개반으로 이루어진 고등학교의 전관방송 시스템(300)을 예로 들어보자. 상기 오디오 믹서(320)의 각 입력포트에는 CD 플레이어, 카세트 데크, 튜너, 유/무선 마이크, 마이크로폰, 리모우트 앰프 등의 음원발생장치가 연결된다. 한편, 상기 오디오 믹서(320)의 각 출력포트에는 예컨데, 각 학년별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3개의 각 학년용 파워 앰프(330)가 연결된다.
상기 3개의 파워 앰프(330)는 각각 3×9 오디오 매트릭스(340)의 입력포트와 연결되고, 3×9 오디오 매트릭스(340)의 출력포트 각각은 각 학년 각 반의 9개의 스피커와 연결된다.
이 때, 상기 3×9 오디오 매트릭스(340)의 스위칭 수단(341)은 도 3a 에 도시한 바와 같이, 1학년용 파워 앰프와 연결되는 P1 라인과 연결되는 Q개의 스위칭 수단중, 1학년 각반의 스피커와 연결되는 Q1, Q2, Q3 라인이 만나는 위치의 스위칭 수단만 온(ON)되고 나머지는 오프(OFF)되어 있다.
한편, 2학년용 파워 앰프와 연결되는 P2 라인과 연결되는 Q개의 스위칭 수단중, 2학년 각반의 스피커와 연결되는 Q4, Q5, Q6 라인이 만나는 위치의 스위칭 수단만 온(ON)되고 나머지는 오프(OFF)되어 있다.
한편, 3학년용 파워 앰프와 연결되는 P3 라인과 연결되는 Q개의 스위칭 수단중, 3학년 각반의 스피커와 연결되는 Q7, Q8, Q9 라인이 만나는 위치의 스위칭 수단만 온(ON)되고 나머지는 오프(OFF)되어 있다.
이렇게 연결된 상태에서, 새학기가 되어 1학년 2반과 2학년 1반의 실배치가 서로 바뀌었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오디오 매트릭스(340)가 구비되지 않은 종래의 경우, 도 1 에 도시한 릴레이 그룹의 출력단자에 연결되는 스피커중 1학년 2반에 연결된 스피커와 2학년 1반에 연결된 스피커를 바꾸어 배선해야 한다.
그런데, 만약 실배치되는 수가 무수히 많다고 가정하면, 릴레이 그룹의 출력단자에 연결되는 스피커에 대한 배선을 무수히 변경해야 하고, 때에 따라서는 파워 앰프와 릴레이 그룹간의 배선도 다시해야만 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사용자의 수동작업에 의한 배선 작업은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크고, 배선 오류가 발생할 경우 재배선 작업해야 하므로, 매우 불편하고 번거로웠다.
그러나, 파워 앰프(330)와 스피커 사이에 릴레이 그룹 일체형의 P×Q 오디오 매트릭스(340)를 채용한 경우, 사용자에 의한 배선 작업없이 간단한 스위치 조작 또는/및 소프트웨어 조작을 통해 오디오 입출력 방향을 변경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4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3×9 오디오 매트릭스(340)의 스위칭 수단을 다음과 같이 온/오프함에 의해 사용자에 의한 배선 작업없이 오디오 입출력 방향을 변경할 수 있게 된다.
1학년용 파워 앰프와 1학년 2반의 스피커가 연결되는 P1 라인과 Q2 라인이 만나는 위치의 오디오 매트릭스(340)의 스위칭 수단을 오프(OFF) 시키고, 1학년용 파워 앰프와 2학년 1반의 스피커가 연결되는 P1 라인과 Q4 라인이 만나는 위치의 오디오 매트릭스(340)의 스위칭 수단을 온(ON) 시킨다.
또한, 2학년용 파워 앰프와 1학년 2반의 스피커가 연결되는 P2 라인과 Q2 라인이 만나는 위치의 오디오 매트릭스(340)의 스위칭 수단을 온(ON) 시키고, 2학년용 파워 앰프와 2학년 1반의 스피커가 연결되는 P2 라인과 Q4 라인이 만나는 위치의 오디오 매트릭스(340)의 스위칭 수단을 오프(OFF) 시킨다.
따라서, 이렇게 함에 의해 비록 1학년 2반과 2학년 1반이 서로 실배치가 변경되었다 하더라도, 복잡한 사용자에 의한 배선 작업없이 간단한 스위치 조작만으로 오디오 입출력 방향을 변경되므로, 정상적인 전관 방송이 수행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도 4a 및 도 4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P×Q 오디오 매트릭스(340)의 각 출력포트와 연결되는 P개의 스위칭 수단은 반드시 1개 이하만 스위칭 온(ON)되어야만 한다. 그 이유는 상기 P×Q 오디오 매트릭스(340)의 각 출력포트와 연결되는 P개의 스위칭 수단중 두개 이상이 온(ON)될 경우 즉, 두개 이상의 파워 앰프로부터 오디오 신호가 입력되어 하나의 출력포트로 출력될 경우 파워 앰프 출력단들이 서로 쇼트가 발생하여 파워 앰프가 파손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사용자의 실수로 상기 P×Q 오디오 매트릭스(340)의 각 출력포트와 연결되는 P개의 스위칭 수단중 두개 이상이 온(ON)될 수 도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예컨데, 도 5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출력중 배타적으로 하나만 출력 선택되도록 하는 선택회로를 구현함에 의해 위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5 는 상기한 선택회로로서 출력선택에 대해 우선순위를 가진 P×Q 오디오 매트릭스(340)의 스위칭 수단(341)의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P×Q 오디오 매트릭스의 각 출력과 연결되는 P개의 스위칭 수단이 다수의 출력중 배타적으로 하나만 출력 선택되도록 구현하여 사용자가 스위칭 수단을 2개 이상 온(ON)시킬 경우에도, 반드시 하나의 파워 앰프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신호가 P×Q 오디오 매트릭스(240)의 출력포트로 출력되도록 한다.
도 5 를 참조해보면, 상기 P×Q 오디오 매트릭스의 각 출력포트와 연결되는 P개의 스위칭 수단이 온(ON)시에는 해당 스위칭 수단에 대응하는 P×Q 오디오 매트릭스의 입력포트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포트측으로 출력하고, 오프(OFF)시에는 하나의 타 스위칭 수단에 대응하는 P×Q 오디오 매트릭스의 입력포트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포트측으로 출력하여 반드시 하나의 파워 앰프로부터 입력된 신호만이 P×Q 오디오 매트릭스의 출력포트를 통해 출력되게 된다.
구체적으로, P×Q 오디오 매트릭스의 출력포트중 Q1 에는 3개의 입력포트(P1,P2,P3)와 각각 연결되는 3 스위칭 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그 중 입력포트 P3 및 P1 에 연결되는 스위칭 수단은 온(ON)되어 있고, P2에 연결되는 스위칭 수단은 오프(OFF)되어 있다. 그런데, 입력포트 P3 및 P1에 연결되는 스위칭 수단이 온(ON) 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스위치 구조에 따라 입력포트 P3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는 출력포트 Q1을 통해 출력되나, 입력포트 P1으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는 출력포트 Q1을 통해 출력되지 않는다. 즉, 입력포트 P3에 연결되는 스위칭 수단은 입력포트 P1에 연결되는 스위칭 수단에 대해 우선 순위를 갖는다.
한편, P×Q 오디오 매트릭스의 출력포트중 Q2 에는 3개의 입력포트(P1,P2,P3)와 각각 연결되는 3 스위칭 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그 중 입력포트 P3 및 P2 에 연결되는 스위칭 수단은 온(ON)되어 있고, P1에 연결되는 스위칭 수단은 오프(OFF)되어 있다. 그런데, 입력포트 P3 및 P2에 연결되는 스위칭 수단이 온(ON) 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스위치 구조에 따라 입력포트 P3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는 출력포트 Q2을 통해 출력되나, 입력포트 P2으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는 출력포트 Q2를 통해 출력되지 않는다. 즉, 입력포트 P3에 연결되는 스위칭 수단은 입력포트 P2에 연결되는 스위칭 수단에 대해 우선 순위를 갖는다.
한편, P×Q 오디오 매트릭스의 출력포트중 Q3 에는 3개의 입력포트(P1,P2,P3)와 각각 연결되는 3 스위칭 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그 중 입력포트 P2 및 P1 에 연결되는 스위칭 수단은 온(ON)되어 있고, P3에 연결되는 스위칭 수단은 오프(OFF)되어 있다. 그런데, 입력포트 P2 및 P1에 연결되는 스위칭 수단이 온(ON) 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스위치 구조에 따라 입력포트 P2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는 출력포트 Q3을 통해 출력되나, 입력포트 P1으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는 출력포트 Q3를 통해 출력되지 않는다. 즉, 입력포트 P2에 연결되는 스위칭 수단은 입력포트 P1에 연결되는 스위칭 수단에 대해 우선 순위를 갖는다.
그러므로, 위와 같이함에 의해 본 발명은 전관방송 시스템의 릴레이 그룹에 비해 출력포트수가 상대적으로 적은 파워 앰프 후단에 간단한 스위치 조작에 의해 오디오 입출력 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전관방송 시스템용 출력선택장치를 구현함에 의해 건물내에서 실배치가 변경되었다 하더라도, 복잡한 사용자에 의한 배선 작업없이 간단한 스위치 조작만으로 오디오 입출력 방향을 변경할 수 있으므로, 상기에서 제시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전관방송 시스템용 출력선택장치는 전관방송 시스템의 릴레이 그룹에 비해 출력포트수가 상대적으로 적은 파워 앰프 후단에 설치되어, 복잡한 사용자에 의한 배선 작업없이 간단한 스위치 조작만으로 오디오 입출력 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의해 참조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이러한 기재로부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괄되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도 1 은 종래의 전관방송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2 는 개선된 전관방송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3a 는 본 발명에 따른 전관방송 시스템용 출력선택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럭도
도 3b 는 건물의 실배치 변경시 도 3a 에 도시한 전관방송 시스템용 출력선택장치의 오디오 매트릭스의 스위칭 수단 온/오프 변경을 도시한 도면
도 4a 는 본 발명에 따른 전관방송 시스템용 출력선택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럭도
도 4b 는 건물의 실배치 변경시 도 4a 에 도시한 전관방송 시스템용 출력선택장치의 오디오 매트릭스의 스위칭 수단 온/오프 변경을 도시한 도면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전관방송 시스템용 출력선택장치의 오디오 매트릭스의 개선된 스위칭 수단의 구조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200, 300 : 전관방송 시스템 110, 210, 310 : 제어부
120, 220, 320 : 오디오 믹서 130, 230, 330 : 파워 앰프
140, 250 : 릴레이 그룹 150, 240, 340 : 오디오 매트릭스
241, 341 : 스위칭 수단 350 : 디먹스

Claims (6)

  1. P×Q 배열의 연결라인을 형성하되, 상기 P×Q 배열의 연결라인 구간 각각에 파워 앰프의 각 출력을 릴레이 그룹의 입력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입력되도록 하는 스위칭 수단을 구비한 P×Q 오디오 매트릭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관방송 시스템용 출력선택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P×Q 오디오 매트릭스의 각 출력과 연결되는 P개의 스위칭 수단이 온(ON)시에는 반드시 하나만 온(ON)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관방송 시스템용 출력선택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P×Q 오디오 매트릭스의 각 출력과 연결되는 P개의 스위칭 수단이:
    다수의 출력중 배타적으로 하나만 출력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관방송 시스템용 출력선택장치.
  4. P×Q 배열의 연결라인을 형성하되, 상기 P×Q 배열의 연결라인 구간 각각에 파워 앰프의 각 출력을 다수의 스피커의 입력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입력되도록 하는 스위칭 수단을 구비한 P×Q 오디오 매트릭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관방송 시스템용 출력선택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관방송 시스템용 출력선택장치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를 선택된 스위칭 수단으로 출력하는 디먹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관방송 시스템용 출력선택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P×Q 오디오 매트릭스의 각 출력과 연결되는 P개의 스위칭 수단이:
    다수의 출력중 배타적으로 하나만 출력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관방송 시스템용 출력선택장치.
KR1020060035327A 2006-04-19 2006-04-19 전관방송 시스템 KR200701035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5327A KR20070103579A (ko) 2006-04-19 2006-04-19 전관방송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5327A KR20070103579A (ko) 2006-04-19 2006-04-19 전관방송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3579A true KR20070103579A (ko) 2007-10-24

Family

ID=38817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5327A KR20070103579A (ko) 2006-04-19 2006-04-19 전관방송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103579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7722B1 (ko) * 2008-04-14 2008-11-10 (주)전전사 전면형 자가진단 시스템부를 적용한 p.a.파워앰프용 착탈식 통신모듈
KR101408982B1 (ko) * 2013-11-28 2014-06-17 주식회사 케빅 확장형 오디오 매트릭스 장치
KR101408980B1 (ko) * 2013-11-28 2014-06-17 주식회사 케빅 확장형 오디오 매트릭스 장치
KR101416959B1 (ko) * 2013-11-28 2014-07-09 주식회사 케빅 확장형 오디오 매트릭스 장치의 터치 스크린 장치
KR101651598B1 (ko) 2015-09-17 2016-08-26 주식회사 원캐스트 크로스토크 잡음을 제거한 오디오 시스템 및 크로스토크 잡음 제거 방법
KR102231422B1 (ko) * 2020-07-21 2021-03-23 정성욱 선택적인 차단 기능을 갖는 방송설비 제어시스템
KR102620654B1 (ko) 2023-05-30 2024-01-03 국제시스템(주) 매트릭스 다원화 방송을 적용한 우선순위 방송 시스템
KR102633023B1 (ko) 2023-08-03 2024-02-02 국제시스템(주) 매트릭스 다원화 방송을 이용한 소비전력 제어 시스템
KR102633018B1 (ko) 2023-08-03 2024-02-02 국제시스템(주) 매트릭스 기반의 다원화 방송 제어 시스템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7722B1 (ko) * 2008-04-14 2008-11-10 (주)전전사 전면형 자가진단 시스템부를 적용한 p.a.파워앰프용 착탈식 통신모듈
KR101408982B1 (ko) * 2013-11-28 2014-06-17 주식회사 케빅 확장형 오디오 매트릭스 장치
KR101408980B1 (ko) * 2013-11-28 2014-06-17 주식회사 케빅 확장형 오디오 매트릭스 장치
KR101416959B1 (ko) * 2013-11-28 2014-07-09 주식회사 케빅 확장형 오디오 매트릭스 장치의 터치 스크린 장치
KR101651598B1 (ko) 2015-09-17 2016-08-26 주식회사 원캐스트 크로스토크 잡음을 제거한 오디오 시스템 및 크로스토크 잡음 제거 방법
KR102231422B1 (ko) * 2020-07-21 2021-03-23 정성욱 선택적인 차단 기능을 갖는 방송설비 제어시스템
KR20220011561A (ko) * 2020-07-21 2022-01-28 정성욱 선택적인 차단 기능을 갖는 방송설비 제어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스피커 제어방법
KR102620654B1 (ko) 2023-05-30 2024-01-03 국제시스템(주) 매트릭스 다원화 방송을 적용한 우선순위 방송 시스템
KR102633023B1 (ko) 2023-08-03 2024-02-02 국제시스템(주) 매트릭스 다원화 방송을 이용한 소비전력 제어 시스템
KR102633018B1 (ko) 2023-08-03 2024-02-02 국제시스템(주) 매트릭스 기반의 다원화 방송 제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103579A (ko) 전관방송 시스템
KR100505535B1 (ko) 스피커의 출력제어장치
JPH04114576A (ja) 画面合成機能を備えた電子機器の音声出力回路
US8059839B2 (en) Mixing system
KR101558203B1 (ko) 다중음원 혼합장치 및 확장형 매트릭스장치를 이용한 통합 디지털 방송 시스템
US20140193004A1 (en) Effect applying apparatus and effect applying method
US8014531B2 (en) Stereo/monaural switching circuit and integrated circuit having the same
JP4747830B2 (ja) オーディオ装置及び出力切替え方法
KR101416959B1 (ko) 확장형 오디오 매트릭스 장치의 터치 스크린 장치
KR20130060781A (ko) 파워앰프와 스피커간의 풀 매트릭스 방식을 이용한 다중화 방송 시스템
JP2006050195A (ja) Avアンプ
JPH0622398A (ja) 音響コントロール装置
KR100671940B1 (ko) 중앙 방송과 국부 방송의 통합이 가능한 방송 장치
KR100393397B1 (ko) 멀티 입출력 제어시스템
KR100917713B1 (ko) 비디오매트릭스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전관방송시스템
JP2003110513A (ja) 放送装置
JP2000339938A (ja) コンポーネント選択制御システム
JP3715819B2 (ja) 切換機能付オーディオ・システム
KR200477095Y1 (ko) 비상방송용 기기의 설치구조
JP5370210B2 (ja) ミキサー
KR200427297Y1 (ko) 양방향 구내 방송용 제어장치
US20100079205A1 (en) Multi-Channel Amplifier
KR200294299Y1 (ko) 스피커의 출력제어장치
KR101408982B1 (ko) 확장형 오디오 매트릭스 장치
US20150261855A1 (en) Audio system and audio signal process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801 Dismissal of trial

Free format text: REJECTION OF TRIAL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70703

Effective date: 200710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