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7722B1 - 전면형 자가진단 시스템부를 적용한 p.a.파워앰프용 착탈식 통신모듈 - Google Patents

전면형 자가진단 시스템부를 적용한 p.a.파워앰프용 착탈식 통신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7722B1
KR100867722B1 KR1020080034080A KR20080034080A KR100867722B1 KR 100867722 B1 KR100867722 B1 KR 100867722B1 KR 1020080034080 A KR1020080034080 A KR 1020080034080A KR 20080034080 A KR20080034080 A KR 20080034080A KR 100867722 B1 KR100867722 B1 KR 1008677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diagnosis
fuse
unit
ampl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4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수
Original Assignee
(주)전전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전전사 filed Critical (주)전전사
Priority to KR10200800340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77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77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77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12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distributing signals to two or more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20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면형 자가진단 시스템부를 적용한 P.A.파워앰프용 착탈식 통신모듈에 관한 것으로, 별도의 모니터와 제어컴퓨터를 필요로 하는 비독립적 앰프점검 시스템의 비경제적 요소를 해결하고, 수동점검 시 앰프를 랙 케비넷으로부터 분리하거나 옮겨내어 점검 실시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하기 위하여, 6개 중요점검 요소를 상시 진단하는 자가진단 시스템과 보호덮개가 제공되는 전면표시부를 앰프에 탑재하고, 컴퓨터나 전문가의 도움이 없이도 본 발명에서 지정한 6개 중요점검 요소의 이상 유무를 사용자(점검자)가 전면형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논리적 결과 여부로 쉽게 판독할 수 있도록 하고 그 결과가 플러그인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포트를 제공하여 필요시 별도의 착탈식 통신모듈을 통해 원격정보전달 및 수집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그 결과, 제어컴퓨터와 모니터와 같은 불필요한 주변 기기의 수요를 줄이고 앰프의 이상 유무를 사용자(점검자)가 신속하고도 부작용 없이 쉽게 판독하여 대처할 수 있게 되고, 필요한 경우 착탈식 통신모듈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스템 구성 시에 선택의 폭을 넓히고 사용자, 점검자 및 수요처에 보다 많은 편익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퍼블릭어드레스 파워앰프, 전면형, 자가진단시스템, 착탈식, 통신모듈

Description

전면형 자가진단 시스템부를 적용한 P.A.파워앰프용 착탈식 통신모듈{Front type self diagnosis system and communication module for P.A power amp}
본 발명은 전면형 자가진단 시스템부를 적용한 P.A.파워앰프용 착탈식 통신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공공기관, 아파트, 공항, 항만, 교육기관, 공공건물 등의 음향장치 중 핵심이 되는 파워앰프의 대중적 주요 자가진단을 컴퓨터나 모니터를 구비함이 없이 독립적이고 효과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전면형 자가진단 시스템부를 적용한 P.A.파워앰프용 착탈식 통신모듈이다.
본 분야에 있어서, 제어컴퓨터 또는 수신용 컴퓨터를 이용한 앰프의 이상 발생 모니터링 및 이에 관한 제어기술은 상용화되어 있다. 그 일례로 국내등록특허 제10-0587966호(2006.06.08)에는 "중앙관제방식의 파워앰프장치”가 제시되어 있는데, 상기 기술에서는 동 효과를 얻기 위해 반드시 1식의 전용 모니터와 컴퓨터를 필요로 한다.
통상적으로, 퍼블릭어드레스(Public Address Power Amplifier; 이하, 'P.A'라고도 함)시스템에 있어서 대규모의 설비에 대하여는 컴퓨터를 활용한 고장감시 및 앰프 제어가 적용되는 추세이나, 대다수 중소규모의 P.A시스템에서는 경제적인 이유와 비효율성 등으로 중앙제어장치 또는 컴퓨터 고장감시시스템을 적용하지 않고 있다.
그 한 가지 예로 앰프의 고장점검에 관한 등록실용신안 제20-0424421호(2006.08.14)에는 "퍼블릭어드레스 파워앰프의 점검부 전면배치구조”가 제시되어 있다. 상기 실용신안건의 초록에는, “입력신호를 점검하기 위한 입력신호단자부와, 직류 및 교류 전원의 공급상태를 점검하기 위한 전원단자부와, 출력신호의 상태를 점검하기 위한 출력신호단자부를 장치의 전면부에 배치하는 구조를 구현함으로써”라 기술되어 있다.
상기 고안기술은 점검 실시자(기술자)가 수동점검 시 편익을 제공하는 것으로 입력과 전원과 출력 세가지를 점검자가 계측기기를 가지고 점검을 실시하는 것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이는 상시 자가진단의 상태가 아니고, 전문기술이 없는 사용자가 앰프의 이상 유무를 파악하는데 아무런 도움을 제공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이처럼, 종래의 P.A시스템의 구성에 있어서는 앰프의 소요수량이 10대 이하의 중, 소규모의 대다수시스템에서도 고장감시시스템이 필요한 경우 반드시 컴퓨터와 모니터를 부설해야만 했다. 대규모 시스템에서의 효율적인 고장감시를 위해 컴퓨터와 모니터를 갖추는 데에는 그 효율성에 있어 타당한 경우가 있으나, 현실적으로는 대다수가 10대 이하의 앰프의 시스템이 주류(90%)를 이루고 있어 예산의 낭비문제와 효과대비 가동전력낭비 등의 경제적 문제로 말미암아 컴퓨터방식의 고장감시 시스템을 적용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종래의 P.A시스템의 수동 점검 시에는 앰프를 랙 케비넷으로부터 탈거 한 뒤, 내부를 열고 들여다보며 일일이 점검을 실시해 왔다. 이러한 탈거과정은 P.A시스템에 대한 수시 점검을 매우 번거롭게 하는 과정으로서, 이러한 번거로움 때문에 점검자체가 기피되어온 것이 현실이며, 경비측면과 시간측면에서도 효율성이 낮았다.
또한, P.A시스템은 앰프 단독으로 사용하지 않고 여러 가지 유관기기와 수용가의 다수 스피커선로, 또는 제어케이블과 유선 상으로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잦은 앰프탈거는 접속부위나 접속점의 전기적 이완이나 접속불량을 유발할 수 있어 이차적인 고장 등을 유발할 수도 있기 때문에 점검실시에 부담을 안고 꼭 필요한 경우에만 실시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전문지식이나 기술이 없는 불특정 다수인이 육안으로 쉽게 앰프의 주요부분의 고장유무를 확인할 수 없었다는 한계가 있었다. 즉, 종래에는 수동점검 시 전용 계측장비가 필요하고, 그 계측수치가 정상범위 이내인지를 비교분석 한 후 고장의 유무를 판단 내렸으므로, 앰프 주요부분에 대한 고장유무의 확인 및 그에 대한 처치가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자가진단시스템을 겸한 착탈식 통신모듈을 적용할 수 있는 전용포트가 제공되지 않아 중규모 이상의 시스템에 자유롭게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모니터와 제어컴퓨터를 필요로 하는 비독립적 앰프점검 시스템의 비경제적 요소를 해결할 수 있는 전면형 자가진단 시스템부를 적용한 P.A.파워앰프용 착탈식 통신모듈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동점검 및 진단 시 앰프를 랙 케비넷으로부터 일일이 분리하거나 옮겨내어 점검 실시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부작용을 해결할 수 있는 퍼블릭어드레스 파워앰프용 전면형 자가진단 시스템을 적용한 착탈식 통신모듈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문지식이나 기술이 없이도 육안으로 쉽게 앰프의 주요부분의 고장유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퍼블릭어드레스 파워앰프용 전면형 자가진단 시스템을 적용한 착탈식 통신모듈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착탈식 통신모듈을 적용할 수 있는 전용포트를 제공하여 필요시 중규모 이상의 시스템에 자유롭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퍼블릭어드레스 파워앰프용 전면형 자가진단 시스템을 적용한 착탈식 통신모듈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면형 자가진단 시스템을 적용한 P.A.파워앰프용 착탈식 통신모듈은, 별도의 컴퓨터나 제어장치를 구비함이 없이 독립된 퍼블릭 어드레스 파워앰프 내부장치가 스스로 6개점검요소(과열,냉각계통,비상전원,비상전원퓨즈,상용전원,상용전원퓨즈)에 대한 자가진단을 실행하고, 그 6개 점검요소의 이상유, 무를 전면 점검부 상에 논리적으로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며, 착탈식 통신모듈을 통하여 6개 점검요소의 자가진단 결과치를 논리레벨이나 데이터로 외부 전송 또는 제어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자가진단의 6개검검요소의 보다 상세한 설명으로는 앰프 내부의 과열 경고 여부를 판단하는 과열 진단부, 냉각(FAN & 구동회로)계통의 점검 경고 여부를 판단하는 냉각계통 진단부, 비상전원(B전원)전압의 저하 여부와 부재 여부를 판단하는 비상전원 진단부, 비상전원(B전원)퓨즈의 단선 여부를 판단하는 비상전원 퓨즈 진단부, 상용전원(A전원)전압의 저하 여부를 판단하는 상용전원 진단부, 및 상용전원(A전원)퓨즈의 단선 여부를 판단하는 상용전원 퓨즈 진단부 등 총 6가지의 요소로 구성하게 된다.
착탈식 통신모듈은 자가진단시스템부의 상시점검에서 얻어진 6개의 자가진단결과의 데이터를 입력받아 외부로 전송할 수 있게 하고 외부로부터 1개 신호를 받아 접점신호 등을 제어 받을 수 있도록 하고 개별 어드레스를 1개 ~ 128개까지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컨트롤 출력부, 제1직렬통신부(RXD), 제2직렬통신부(TXD)와 어드레스 제어스위치로 구성되는 착탈식 통신모듈을 탑재하는 것으로써 과제를 해결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면형 자가진단 시스템부를 적용한 P.A.파워앰프용 착탈식 통신모듈에 따르면, 스탠드 얼론의 자가진단 시스템을 적용함으로써 독립적 실시간 점검이 가능하게 되어 유지보수 측면에서의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구조적으로 전면덮개를 채용하여 디스플레이부를 보호하고 공구 없이 덮개를 탈거 또는 부착할 수 있으며 점검확인을 위해 P.A앰프 내부를 분해하거나 랙 시스템을 옮길 필요가 없어지며, 능동형 조명효과로 어두운 곳에서도 용이하게 육안으로 자가진단결과를 단순 논리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점검실시에 있어 부작용이 없으며 상태파악에 전문기술을 요하지 않아 사용자가 상시 점검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자가진단을 위하여 반드시 별도의 컴퓨터가 필요치 않게 되어 중, 소규모의 대다수 P.A시스템에 적용하기에 경제적인 측면이 있고, 대규모 P.A시스템에 적용할 필요가 있는 경우만 착탈식 통신모듈을 선택하여 적용함으로써, 필요한 관리 및 제어를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카테고리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면형 자가진단 시스템부(1)를 적용한 P.A.파워앰프용 착탈식 통신모듈(2)이 도시되어 있다.
도 2에는 상기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자가진단 전면표시 디스플레이부(202)가 도시되어 있다.
도 3a 및 도 3b에는 각각 디스플레이 덮개가 덮힌 상태와 열린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4a 내지 도 4f에는 자가진단 시스템 회로 및 개요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a 및 도 5b에는 각각 착탈식 통신모듈의 외형도 및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퍼블릭어드레스 파워앰프용 전면형 자가진단 시스템부(1)는 자가진단 실시부(100) 및 전면 자가진단 표시부(200)로 구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자가진단 실시부(100)는 과열 진단부(102), 냉각계통 진단부(104), 비상전원 진단부(106), 비상전원 퓨즈 진단부(108), 상용전원 진단부(110), 상용전원 퓨즈 진단부(112) 및 버퍼/드라이버(114)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 자가진단 표시부(200)는 과열 경고부(204), 냉각계통 경고부(206), 비상전원 경고부(208), 비상전원 퓨즈 경고부(210), 상용전원 경고부(212), 상용전원 퓨즈 경고부(214)로 구성된 자가진단 전면표시 디스플레이부(202) 및 능동형 조명부(216)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착탈식 통신모듈(2)은 컨트롤 출력부(300), 제1직렬통신부(RXD)(302), 제2직렬통신부(TXD)(304) 및 어드레스 제어스위치(306)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P.A 파워앰프용 전면형 자가진단 시스템부(1)를 통해 구현되는 기술내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과열 경고 여부를 판단한다.
P.A시스템의 앰프에 있어서 과열은 기기 내부의 문제가 있는 경우와 부하 측의 과부하 및 쇼트 등에 기인하는데, 과열을 미리 경고함으로써 기기의 소손을 막고 그 원인제거에 동기를 부여한다.
이러한 과열 경고 진단 방법에는 도 4a에 도시되어 있는 과열 진단부(102)의 감열소자(써미스터)(401)와 OP앰프(402)가 이용된다. 그리고, 상기 앰프의 내부 온도가 80도(오차 10%이내)이상에서 H레벨(도 4a에서는 '논리출력' 이 high 인 것을 나타냄)로 인식되도록 구성하는데, H레벨의 경우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자가진단 전면표시 디스플레이부(202)의 과열 경고부(204)가 점등되어 과열경고를 표출한다. 그리고, 온도가 정상일 때 스스로 복귀한다. 여기에서 H레벨(디지털논리레벨의 Positive 전압생성: 0.6V~5V이하)이란, 해당 조건이 충족되어 논리출력이 발생(ON)하는 경우의 전위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하에서도 마찬가지로 적용하여 설명한다.
둘째, 냉각(FAN & 구동회로)계통의 점검 경고 여부를 판단한다.
P.A시스템의 앰프에 있어서 냉각성능은 기기의 수명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므로, 사용자가 냉각상태의 이상 유무를 알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기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냉각(FAN & 구동회로)계통 점검방법은 냉각용 팬의 쇼트(과전류), 냉각용 팬의 회로전기적 개방, 냉각용 팬의 물리적 걸림, 팬 구동회로의 이상 등을 모두 진단하여 한가지로 표출하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은 도 4b에 도시되어 있는 냉각 계통 진단부(104)를 통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냉각 계통의 이상 유무는, 냉각팬의 전기회로적 단락, 개방, 팬 걸림. 팬 구동회로 고장과 같은 오류가 모두 H레벨로 인식되도록 구성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데, H레벨의 경우 상기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자가진단 전면표시 디스플레이부(202)의 냉각 계통 경고부(206)가 점등되어 냉각 계통 경고를 표출하고, 문제가 해결되면 스스로 복귀한다.
셋째, 비상전원(B전원)전압의 저하 여부와 부재 여부를 판단한다.
P.A시스템의 앰프에 있어서 비상전원인 직류전원은 현행 소방법에 의한 필수요건인 바, 공급비상전원전압의 세기는 앰프의 실효출력에 밀접한 영향을 끼친다. 그리고, 비상전원인 배터리 성능저하나 전원공급계통상 이상으로 전원공급이 중단되거나 성능이 저하되면 비상방송에 상당한 지장을 초래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비상전원의 진단범위는 전원전압의 저하여부와 비상공급전원의 재, 부재의 두 가지 범위에서 복합 진단하도록 구성한다.
이러한 비상전원 진단방법은, 도 4c에 도시되어 있는 비상전원 진단부(106)의 비상전원기준전압용 제너다이오드(601)와 OP앰프비교기(602)를 사용하여 24V 미만이 되면 H레벨을 논리 출력하고, 비상공급전원의 재, 부재의 진단도 겸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비상전원이 없는 경우에도 H레벨을 논리 출력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B전원의 이상 유무는, 전원전압이 24V(오차 10%이내)미만에서 H레벨로 인식되도록 구성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데, H레벨의 경우 상기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자가진단 전면표시 디스플레이부(202)의 비상전원 경고부(208)가 점등되어 전압부족경고 및 비상전원부재정보를 표출하게 된다. 이때 전원이 정상화되면 스스로 복귀한다.
넷째, 비상전원(B전원)퓨즈의 단선 여부를 판단한다.
비상전원(B전원)퓨즈는 직류전원계통의 과전류에 용단되도록 구성한 것으로 비상전원용 배터리로부터 제공되는 무제한의 과 전류량을 일정 제한하고 P.A시스템의 앰프에 있어서는 출력라인의 쇼트나 과부하 등에 용단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용단 시 그 이상여부를 표출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판독하고 대처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비상전원(B전원)퓨즈용단 진단방법은, 도 4d에 도시되어 있는 비상전원 퓨즈 진단부(108)의 퓨즈(701) 용단 시 양단에 형성되는 직류전압(702)을 이용하고 출력버퍼(703)를 통해 간단히 논리레벨을 취하는 방법으로 한다. 이 방법은 평상시 전류(전력)를 소비하지 않는 기법으로 본 발명에 적용된다.
그리고, H레벨의 경우 상기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자가진단 전면표시 디스플 레이부(202)의 비상전원 퓨즈경고부(210)가 점등되어 직류퓨즈 용단정보를 표출한다. 이때는 퓨즈를 새로 교체하여야 복귀한다.
다섯째, 상용전원(A전원)전압의 저하 여부를 판단한다.
P.A시스템의 앰프에 있어서 공급 상용전원전압의 세기는 앰프의 실효출력에 밀접한 영향을 끼친다. 전력을 다루는 기기이므로 통상 라인전류는 수 암페어에서 수십 암페어에 이르므로 상당하는 전압강하가 발생한다. 이에 따르는 전원전압의 저하는 앰프성능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하므로 상용전원전압을 진단하여 전력공급회사의 규정전압 이하(207V)를 정점으로 그 이상 여부를 표출하도록 한다.
이러한 상용전원전압 진단방법은, 도 4e에 도시되어 있는 상용전원 진단부(110)의 기준전압용 제너다이오드(801)와 OP앰프비교기(802), 1차와 2차 전원 간 절연을 위한 트랜스(803)로 주변회로를 구성하고 전원전압이 207V 미만 상태일 때 그 비례전압을 비교하여 H레벨을 논리 출력한다.
그리고, H레벨의 경우 상기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자가진단 전면표시 디스플레이부(202)의 상용전원 경고부(212)가 점등되어 전압부족경고를 표출한다. 이때 전압이 회복되면 스스로 복귀한다.
여섯째, 상용전원(A전원)퓨즈의 단선 여부를 판단한다.
도 4f에 도시되어 있는 상용전원 퓨즈 진단부(112)의 상용전원(A전원)퓨즈(901)는 직류전원부를 포함한 교류전원계통까지의 해당 과전류를 보호하게 되는 것으로써 기기의 안전상 1차적으로 중요한 부분이며 P.A시스템의 앰프에 있어서는 출력라인의 쇼트나 과부하 등에 용단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용단 시 그 이상여 부를 표출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판독하고 대처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상용전원(A전원)퓨즈 용단 진단방법은, 용단 시 퓨즈양단에 형성되는 교류 상용전압(903)을 이용하되 이를 포토커플러(902)로 절연하여 작동, 버퍼출력(904)토록 함으로써 논리레벨을 취하는 방법으로 한다. 이 방법은 평상시 전류(전력)를 소비하지 않는 기법으로서 본 발명에 적용된다.
그리고, H레벨의 경우 상기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자가진단 전면표시 디스플레이부(202)의 상용전원 퓨즈 경고부(214)가 점등되어 퓨즈용단정보를 표출한다. 이때는 퓨즈를 새로 교체하여야 복귀한다.
한편, 상기 전면 자가진단 표시부(200)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P.A시스템의 앰프에 있어서, 상기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자가진단 전면표시 디스플레이부(202)의 자가진단 결과를 나타내는 6개의 표시등(LED램프, 218)은 동 전면의 신호레벨미터와 혼동되거나 식별이 혼란스럽지 않도록 자가진단결과 확인 시에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 덮개(400)를 열어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덮개(400)는 전면 자가진단 표시부(200)의 능동형 조명장치(216)가 덮개에 연동되어 작동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점검자측에 밝은 환경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덮개(400)는 별도의 공구 없이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캡티브(Captive)(402)를 돌려 착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면 사용자(점검자)가 앰프를 탈거하거나 랙 시스템을 옮기지 않고 상시 자가진단결과를 덮개를 열고 확인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정상상태에서의 레벨미터와 구별되는 점검구역이 전면에 확보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착탈식 통신모듈(2)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대규모 P.A시스템에 있어서 앰프의 점검상태정보를 원격지에 송출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모듈을 필요시 선택하여 부착하고, 불필요 시 탈거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착탈식 통신모듈을 적용할 수 있는 전용포트는 총 일곱 개로 하여 앰프내부에서 제공되도록 하며 작동은 자가진단표시기 LED램프와 병렬 작동하도록 하되 논리레벨로 절연출력하고 중 여섯 개는 자가진단의 논리레벨출력으로 하며 나머지 한 개는 제어신호입력으로 한다.
도 5a 및 도 5b에는 각각 상기 착탈식 통신모듈(2)의 외형도 및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a 및 도 5b를 살펴보면, 참조부호 (300)은 컨트롤 출력부(논리레벨), 참조부호 (302)은 제1직렬통신부(RXD), 참조부호 (304)은 제2직렬통신부(TXD)로서, 참조부호 (306)으로 표시된 어드레스 선택스위치를 1~128 개소 택일하여 IP를 지원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퍼블릭어드레스 파워앰프용 전면형 자가진단 시스템을 적용한 착탈식 통신모듈에 의하면, 구조적으로 전면덮개를 채용하여 디스플레이부를 보호하고 공구 없이 덮개를 탈거 또는 부착할 수 있으며 점검확인을 위해 P.A앰프 내부를 분해하거나 랙 시스템을 옮길 필요가 없어지며, 능동형 조명효과로 어두운 곳에서도 용이하게 육안으로 자가진단결과를 단순 논리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점검실시에 있어 부작용이 없으며 상태파악에 전문기술을 요하지 않아 사용자가 상시 점검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자가진단을 위하여 반드시 별도의 컴퓨터가 필요치 않게 되어 중, 소규모의 대다수 P.A시스템에 적용하기에 경제적인 측면이 있고, 대규모 P.A시스템에 적용할 필요가 있는 경우만 착탈식 통신모듈을 선택하여 적용함으로써, 공공기관, 아파트 공항, 항만, 교육기관, 공공건물 등에서 사용되는 파워앰프 관리 및 제어를 독립적이고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퍼블릭어드레스 파워앰프용 전면형 자가진단 시스템을 적용한 착탈식 통신모듈을 나타낸다.
도 2는 자가진단 전면표시 디스플레이부를 나타낸다.
도 3a 및 도 3b는 디스플레이 덮개 구조도를 나타낸다.
도 4a 내지 도 4f는 자가진단 시스템 회로 및 개요도를 나타낸다.
도 5a 및 도 5b는 각각 착탈식 통신모듈의 외형도 및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자가진단 실시부 200: 자가진단 표시부
102: 과열 진단부 104: 냉각계통 진단부
106: 비상전원 진단부 108: 비상전원 퓨즈 진단부
110: 상용전원 진단부 112: 상용전원 퓨즈 진단부
114: 버퍼/드라이버 202: 자가진단 전면표시 디스플레이부
204: 과열 경고부 206: 냉각계통 경고부
208: 비상전원 경고부 210: 비상전원 퓨즈 경고부
212: 상용전원 경고부 214: 상용전원 퓨즈 경고부
216: 능동형 조명부 300: 컨트롤 출력부
302: 제1직렬통신부(RXD) 304: 제2직렬통신부(TXD)
306: 어드레스 제어스위치

Claims (16)

  1. 별도의 컴퓨터나 제어장치를 구비함이 없이 독립된 퍼블릭 어드레스 파워앰프 자체에서 아래 각 진단부의 자가진단을 실시하고, 그 이상 유무를 논리적으로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며, 착탈식 통신모듈을 통하여 논리레벨이나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 또는 제어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되, 각 진단부는 앰프 내부의 과열 경고 여부를 판단하는 과열 진단부, 냉각(FAN & 구동회로)계통의 점검 경고 여부를 판단하는 냉각계통 진단부, 비상전원(B전원)전압의 저하 여부와 부재 여부를 판단하는 비상전원 진단부, 비상전원(B전원)퓨즈의 단선 여부를 판단하는 비상전원 퓨즈 진단부, 상용전원(A전원)전압의 저하 여부를 판단하는 상용전원 진단부, 및 상용전원(A전원)퓨즈의 단선 여부를 판단하는 상용전원 퓨즈 진단부로 구성되는 자가진단 시스템부와;
    상기 6개의 진단부(과열, 냉각계통, 비상전원, 비상전원 퓨즈, 상용전원, 상용전원 퓨즈)에서 데이터를 받아 외부로 전송할 수 있고 외부의 1개 신호를 받아 접점신호를 제어 받을 수 있도록 하고 개별 어드레스를 1개 ~ 128개까지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컨트롤 출력부, 제1직렬통신부(RXD), 제2직렬통신부(TXD)와 어드`레스 제어스위치로 구성되는 착탈식 통신모듈;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면형 자가진단 시스템부를 적용한 P.A.파워앰프용 착탈식 통신모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앰프 내부의 과열 여부는, 앰프의 내부온도가 80도(오차 10%이내)이상에서 H레벨로 인식되도록 구성하여 디스플레이 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면형 자가진단 시스템부를 적용한 P.A.파워앰프용 착탈식 통신모듈.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앰프 내부의 과열 여부는, 상기 과열 진단부의 써미스터의 저항 값 변화로 OP앰프를 구동하여 논리 출력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면형 자가진단 시스템부를 적용한 P.A.파워앰프용 착탈식 통신모듈.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계통의 이상 유무는, 냉각팬의 전기회로적 단락, 개방, 팬 걸림. 팬 구동회로 고장과 같은 오류가 모두 H레벨로 인식되도록 구성하여 디스플레이 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면형 자가진단 시스템부를 적용한 P.A.파워앰프용 착탈식 통신모듈.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계통의 이상 유무는, 상기 냉각계통 진단부의 과전류진단, 회로개방진단, 물리적걸림진단, 기기온도진단이 복합 진단되어 디스플레이 표출 드라이버를 통해 한가지로 표출되며, 냉각팬 구동드라이버에 의해 과전류진단, 회로개방진단, 물리적걸림진단이 수행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면형 자가진단 시스템부를 적용한 P.A.파워앰프용 착탈식 통신모듈.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전원의 이상 유무는, 전원전압이 24V(오차 10%이내)미만에서 H레벨로 인식되도록 구성하여 디스플레이 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면형 자가진단 시스템부를 적용한 P.A.파워앰프용 착탈식 통신모듈.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B전원의 이상 유무는, 상기 비상전원 진단부의 비상전원기준전압용 제너다이오드와 OP앰프비교기를 사용하여 24V 미만이 되면 H레벨이 논리 출력되도록 하고, 비상공급 전원의 재, 부재의 진단도 겸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비상전원이 없는 경우에도 H레벨이 논리 출력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면형 자가진단 시스템부를 적용한 P.A.파워앰프용 착탈식 통신모듈.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전원 퓨즈의 단선 여부는, 직류퓨즈가 단선 되었을 경우에 H레벨로 인식되도록 구성하여 디스플레이 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면형 자가진단 시스템부를 적용한 P.A.파워앰프용 착탈식 통신모듈.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전원 퓨즈의 단선 여부는, 상기 비상전원 퓨즈 진단부의 퓨즈 양단의 전압으로 한 개의 능동소자를 거쳐 논리출력 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면형 자가진단 시스템부를 적용한 P.A.파워앰프용 착탈식 통신모듈.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전원전압의 저하 여부는, 상용 교류전원 전압이 207V 미만일 경우에 H레벨로 인식되도록 구성하여 디스플레이 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면형 자가진단 시스템부를 적용한 P.A.파워앰프용 착탈식 통신모듈.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A전원전압의 저하 여부는, 상기 상용전원 진단부의 상용전원의 전압에 비례하는 절연형 트랜스와 기준전압 제공용 소자와 OP앰프비교기로 구성되어 논리 출력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면형 자가진단 시스템부를 적용한 P.A.파워앰프용 착탈식 통신모듈.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용전원의 퓨즈 단선 여부는, 교류퓨즈가 단선 되었을 경우에 H레벨로 인식되도록 구성하여 디스플레이 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면형 자가진단 시스템부를 적용한 P.A.파워앰프용 착탈식 통신모듈.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상용전원의 퓨즈 단선 여부는, 상기 상용전원 퓨즈 진단부의 교류전원퓨즈 단선 시 생성되는 전압이 절연형 포토커플러를 통해 버퍼출력소자를 거쳐 논리 출력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면형 자가진단 시스템부를 적용한 P.A.파워앰프용 착탈식 통신모듈.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앰프 내부의 과열 경고, 냉각(FAN & 구동회로)계통의 점검 경고, 비상전원(B전원)전압의 저하 여부와 부재 여부, 비상전원(B전원)퓨즈의 단선 여부, 상용전원(A전원)전압의 저하 여부, 상용전원(A전원)퓨즈의 단선 여부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는 앰프 전면에 배치되며, 별도의 덮개가 제공되는 구조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면형 자가진단 시스템부를 적용한 P.A.파워앰프용 착탈식 통신모듈.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 내부의 조명부는 능동형으로서, 상기 덮개가 본체로부터 분리되었을 때에 점등이 되고 덮개가 체결되면 소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면형 자가진단 시스템부를 적용한 P.A.파워앰프용 착탈식 통신모듈.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식 통신모듈은 필요시에만 적용할 수 있도록 앰프 내부 또는 후면에서 착탈할 수 있도록 하고, 어드레스 제어스위치는 후면에서 조작 가능하도록 구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면형 자가진단 시스템부를 적용한 P.A.파워앰프용 착탈식 통신모듈.
KR1020080034080A 2008-04-14 2008-04-14 전면형 자가진단 시스템부를 적용한 p.a.파워앰프용 착탈식 통신모듈 KR1008677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4080A KR100867722B1 (ko) 2008-04-14 2008-04-14 전면형 자가진단 시스템부를 적용한 p.a.파워앰프용 착탈식 통신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4080A KR100867722B1 (ko) 2008-04-14 2008-04-14 전면형 자가진단 시스템부를 적용한 p.a.파워앰프용 착탈식 통신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7722B1 true KR100867722B1 (ko) 2008-11-10

Family

ID=40283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4080A KR100867722B1 (ko) 2008-04-14 2008-04-14 전면형 자가진단 시스템부를 적용한 p.a.파워앰프용 착탈식 통신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772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2814B1 (ko) * 2009-02-23 2010-07-28 제이디미디어 주식회사 전관방송시스템의 증폭단에서 대기 모드시 소비전류 저감방법 및 그 저감장치
KR20220101790A (ko) 2021-01-12 2022-07-19 주식회사 아모센스 무선통신 모듈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49497A (ja) * 1995-11-21 1997-06-06 Yamaha Corp スピーカ検査装置
JP2000261895A (ja) 1999-03-09 2000-09-22 Yahata Denki Sangyo Kk 鉄道等車両用の車内放送自己診断機構
KR20050047601A (ko) * 2003-11-18 2005-05-2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a 시스템의 오디오 앰프단 채널 점검 장치
KR20070103579A (ko) * 2006-04-19 2007-10-24 주식회사 케빅 전관방송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49497A (ja) * 1995-11-21 1997-06-06 Yamaha Corp スピーカ検査装置
JP2000261895A (ja) 1999-03-09 2000-09-22 Yahata Denki Sangyo Kk 鉄道等車両用の車内放送自己診断機構
KR20050047601A (ko) * 2003-11-18 2005-05-2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a 시스템의 오디오 앰프단 채널 점검 장치
KR20070103579A (ko) * 2006-04-19 2007-10-24 주식회사 케빅 전관방송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2814B1 (ko) * 2009-02-23 2010-07-28 제이디미디어 주식회사 전관방송시스템의 증폭단에서 대기 모드시 소비전류 저감방법 및 그 저감장치
KR20220101790A (ko) 2021-01-12 2022-07-19 주식회사 아모센스 무선통신 모듈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332951B (zh) 电流互感器二次侧开路保护系统
KR100867722B1 (ko) 전면형 자가진단 시스템부를 적용한 p.a.파워앰프용 착탈식 통신모듈
CN109830764B (zh) 具异常检测功能的电池模块与蓄电装置及其操作方法
KR101510676B1 (ko) 수배전반용 지능형 방전감시 영상시스템
KR20150047649A (ko) 비상전원용 배터리 관리 시스템
JP2936301B2 (ja) 発光ダイオードを用いた信号灯の断線検知装置
CN101783252B (zh) 自动转换开关电器以及判断和处理其故障的方法
CN109064699A (zh) 蓄电池电气火灾监控系统
KR101652835B1 (ko) Oltc탭 선택기 접속부 소손 감시장치
KR100602011B1 (ko) 지능형 전자식 전력량계의 네트워크 시스템
JP7145141B2 (ja) 電源装置
CN210324480U (zh) 一种公交车的消防控制巡检通信系统
CN209373753U (zh) 一种电气火灾监控设备
CN202204899U (zh) 一种火灾预防检测仪
KR200390706Y1 (ko) 통신용 정류기의 관리시스템
CN210775690U (zh) 一种防雷器在线检测电路及防雷器
CN201607483U (zh) 具远端环境侦控电度表
CN214669511U (zh) 一种消防设备电源故障自检测装置
CN208537035U (zh) 高压非接触测温系统
CN212989526U (zh) 一种智能pt在线测控装置
CN211478575U (zh) 电池包测试装置及设备
KR100750858B1 (ko) 무정전 교환용 시험용 단자대
CN217281756U (zh) 一种智慧用电监控系统
CN205281728U (zh) 一种变电站监测报警装置
CN220399612U (zh) 一种服务器电源检测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5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