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3244B1 - 소비전력 절감 전관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소비전력 절감 전관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3244B1
KR101293244B1 KR1020120157113A KR20120157113A KR101293244B1 KR 101293244 B1 KR101293244 B1 KR 101293244B1 KR 1020120157113 A KR1020120157113 A KR 1020120157113A KR 20120157113 A KR20120157113 A KR 20120157113A KR 101293244 B1 KR101293244 B1 KR 1012932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broadcasting
equipment
mode
broadca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7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홍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윈미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윈미디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윈미디텍
Priority to KR10201201571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32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32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32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61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local area broadcast, e.g. instore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5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emergency or urge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02Arrangements for generating broadcast information; Arrangements for generating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generation of broadcast information and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 H04H60/04Studio equipment; Interconnection of studio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소비전력 절감 전관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비전력 절감 전관 방송 시스템은, 복수의 음원 소스를 포함하며 구내 방송 영역 내에 분산 설치된 다수의 스피커들을 통해 방송하는 중앙 시스템; 및 상기 방송을 위해 설치되는 다양한 방송 장비를 시스템 유지를 위한 항시 전원 장비와 방송 모드에 따라 선택적으로 동작하는 스위치 전원 장비로 구분하고 상기 방송 모드 별 시나리오에 따라 사용하지 않는 장비에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전원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전원 제어부는 소정 시간 구간에 예약된 유휴 방송 모드 시 상기 항시 전원 장비로 공급되는 전압을 최소 동작 전압으로 낮추어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소비전력 절감 전관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PUBLIC ADDRESS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ELECTRIC POWER CONSUMPTION}
본 발명은 소비전력 절감 전관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탄소자원의 고갈 및 환경보호를 위한 에너지 절약 정책이 우리나라뿐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시행되고 있으며 그로 인해 전자제품의 개발에서도 막대한 개발비용을 들여 에너지 절약을 위한 제품을 개발 하고 있다.
이를 태면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가전제품이나 조명과 같은 전자제품들에는 에너지효율 등급을 표시하도록 제도화하고 있어 유지비용을 고려하는 소비자의 관심도도 높아지고 있다.
한편, 전관 방송 시스템(Public Address)은 아파트 단지, 학교, 관공서, 대형빌딩, 항만, 공항, 쇼핑몰 등에 설치된 여러 개의 스피커를 중앙 시스템에서 제어하는 구내 방송 설비를 의미한다.
전관 방송을 위해서는 지역/지점별로 스피커로 연결되어 전원 및 음성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케이블이 포설되고, 중앙 시스템에서 방송을 위한 음원을 입력하는 장비와 이를 각 지역별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기 위한 앰프(AMP) 등 다양한 전자 장비가 설비된다.
그러나, 기존의 전관방송 시스템(Public Address)은 기능 및 구성상 소비전력이 절약 보다는 사용자의 편리성 및 장비들과의 호환성 등을 이유로 시스템이 대형화 되면서 오히려 전력 소비가 증가 하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방송의 종류에는 개별 방송, 그룹 방송 및 전체방송 등이 있으며, 전체 방송을 제외하고는 필요 없는 장비에는 전원이 투입될 필요가 없는 반면에 기존의 전관 방송 시스템에서는 이를 구분하지 않고 전체 장비에 전원이 인가되는 단점이 있다. 예컨대, 학교 내 방송에서 1학년(또는 1층)에 방송을 하는 경우 2학년(또는 2층) 및 3학년(또는 3층) 관련 방송 장비에 까지 전원이 투입될 필요가 없으나, 방송 개시를 위해 전체 장비에 전원을 인가함으로써 불필요하게 전력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전관 방송 시스템에서도 에너지 절약 정책에 맞게 다양한 방송 성능은 유지하면서도 소비전력을 줄이 수 있는 방안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한편, 특허문헌 한국공개특허 제2006-0116597호에는 원라인 다중전송 전관방송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으나,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 한국등록특허 제2006-0116597호 (2006.11.15. 공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전관 방송에 필요한 다양한 방송 시스템 성능을 유지하면서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는 소비전력 절감 전관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소비전력 절감 전관 방송 시스템은, 복수의 음원 소스를 포함하며 구내 방송 영역 내에 분산 설치된 다수의 스피커들을 통해 방송하는 중앙 시스템; 및 상기 방송을 위해 설치되는 다양한 방송 장비를 시스템 유지를 위한 항시 전원 장비와 방송 모드에 따라 선택적으로 동작하는 스위치 전원 장비로 구분하고 상기 방송 모드 별 시나리오에 따라 사용하지 않는 장비에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전원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전원 제어부는 소정 시간 구간에 예약된 유휴 방송 모드 시 상기 항시 전원 장비로 공급되는 전압을 최소 동작 전압으로 낮추어 공급하는 것을 특징한다.
또한, 상기 중앙 시스템은, 상기 유휴 방송 모드, 개별 방송 모드, 그룹 방송 모드, 전체 방송 모드, 예약 방송 모드, 비상 방송 모드 및 문자 방송(TTS)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방송 모드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치 전원 장비는, 오토 블로워, 모니터, 튜너, 음원 소스 장비, 믹서, 스피커 셀렉터, 앰프, 송신 인터페이스 장비 및 수신 리시버 장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 시스템은, 복수의 음원 소스와 연결된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믹싱 처리하는 입력부; 각 스피커를 연결하는 복수의 릴레이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방송 모드에 따라 상기 릴레이 스위치를 작동하여 출력 대상 스피커를 그룹핑(Grouping)하는 모드 설정부; 타이머를 이용하여 예약 방송을 설정하되, 상기 모드 설정부와 연동하여 방송 모드 별 상황에 부합되는 장비의 동작을 위한 예약시간을 스케줄링하는 예약 설정부; 각 지점에 분산 설치되어 있는 센서로부터 화재, 지진, 해일 중 적어도 하나의 비상상태를 감지하는 상태 감지부; 주기적 혹은 비주기적으로 방송 장비 및 스피커에 테스트 신호를 전송하고 그 응답신호를 수신하여 통신 선로 점검 및 장비의 고장을 진단하는 송수신부; 건물의 설계 데이터와 건물 내에 설치된 상기 스피커의 위치정보 및 고유식별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및 상기 방송 모드별 소비전력 절감을 위한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전원 제어부로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송수신부는, 2선식 통신 선로를 통해 오디오 신호, 데이터 신호 및 전원을 합성하여 전송하고 각 장비와 연동할 수 있도록 양방향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송수신부는, 원격지에 분산 설치된 다수의 수신 장비를 제어 및 종합 관리하되, 통신 선로 및 장비의 진단 시 특정 장비와 통신이 정상적으로 이루어 지지 않으면 유지 보수를 위해 해당 장비 또는 통신 선로의 이상발생 이벤트를 상기 제어부로 알리거나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드 설정부는, 다국적 비상 안내 멘트를 제공하며, 건물의 화재가 발생된 층과 바로 위층으로 대피 방법을 안내하는 직상발화 방송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 제어부는, 타이머 동작에 따라 예약된 상기 유휴 방송 모드 진입 시 상기 항시 전원 장비의 DC24V 전압을 DC20V 전압으로 낮추어 공급하고, 상기 유휴 방송 모드가 해제되면 정상적인 DC24V 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 제어부는, 상기 중앙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개별 방송 모드 또는 그룹 방송 모드로 전환하는 제어 데이터를 수신하면, 설정된 채널 정보를 분석하여 필요한 스위치 전원 장비에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소비전력 절감 전관 방송 시스템의 소비전력 절감 방법은, a) 소정 시간 구간 동안에 이루어지는 유휴 방송 모드 조건을 예약 설정하는 단계; b) 타이머를 체크하여 현재 시간이 상기 유휴 방송 모드 조건을 충족하여 상기 유휴 방송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 c) 방송 시스템 유지를 위한 항시 전원 장비로 공급되는 정상 전압을 최소 동작 전압으로 낮추어 공급하고, 방송 모드에 따라 선택적으로 동작하는 스위치 전원 장비의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 및 d) 상기 타이머를 체크하여 현재 시간이 상기 유휴 방송 모드가 해제되면 상기 항시 전원 장비로 상기 정상 전압을 공급하고, 상기 스위치 전원 장비의 전원 차단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c) 단계는, 상기 유휴 방송 모드 진입에 따른 상기 항시 전원 장비에 공급되는 전압을 DC24V에서 DC20V로 낮추어서 공급하고, 상기 d) 단계는, 상기 유휴 방송 모드 해제에 따른 상기 항시 전원 장비에 공급되는 전압을 상기 DC24V의 상기 정상 전압으로 높여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 단계와 d) 단계 사이에, c-1) 센서로부터 비상 신호를 감지하면 상기 센서의 설치정보를 통해 비상 발생 지역을 파악하는 단계; c-2) 비상 발생에 따른 유휴 방송 모드를 해제하고 상기 비상 발생 지역을 기준으로 하는 지역별 방송을 위한 비상 방송 채널을 설정하는 단계; c-3) 상기 항시 전원 장비에 상기 정상 전압을 공급하고, 상기 채널 설정에 따른 상기 스위치 전원 장비에 선택적인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 및 c-4) 상기 비상 방송 모드가 해제되면 상기 유휴 방송 모드를 재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2) 단계는, 상기 비상 발생 지역 및 그 인접 지역의 직상발화 방송을 안내하는 제1 방송과 상기 비상 발생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는 타지역에 비상 발생을 알리는 제2 방송을 포함하는 다원화 방송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d) 단계 이후에, e) 개별 또는 그룹 방송 모드 입력에 따른 채널 설정 및 그룹핑을 수행하는 단계; f) 개별 또는 그룹 방송 모드로의 전환에 따른 상기 채널 정보를 분석하여 연결에 필요한 스위치 전원 장비에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 및 g) 상기 개별 또는 그룹 방송 지역의 스피커를 통해 방송을 송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e) 단계는, 각 스피커에 장착된 센서 정보에 기초하여 주변에 인적이 없어 오프(OFF) 상태인 스피커의 채널은 상기 그룹핑 대상에서 제외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에 따르면 방송이 없는 대기 상황에서의 사용하지 않은 스위치 전원 장비에서의 전력 소비를 예방할 뿐 아니라 유휴 방송 모드 시에는 항시 전원 장비에 대한 절전 기능을 더욱 강화함으로써 전관 방송 시스템의 운용에 따른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그리고, 소비전력을 절감하는 유휴 방송 모드 상태에서도 비상 방송 모드뿐 아니라 필요 시 다른 방송 모드로의 전환이 가능하여 소비전력을 절감하면서도 원활한 방송 시스템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개별 또는 그룹 방송 모드에서 채널사용에 필요한 장비에만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하고 사용하지 않는 장비에 대한 전원 공급을 차단함으로써 불필요한 장비에 대한 소비 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비전력 절감 전관 방송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중앙 시스템(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장비들의 유휴 방송 모드에서 전체 방송 모드로의 전환 시 전원 인가 상태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개별 방송 모드에서의 방송 장비에 대한 전원 제어 방법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휴 방송 모드에 따른 소비전력 절감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상 방송 모드에 따른 소비전력 절감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개별/그룹 방송 모드에 따른 소비전력 절감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전관 방송 시스템에 포함되는 방송 장비의 세부 구성의 명칭은 "모듈"로 지칭하여 상위 구성(예; 시스템, …부)과 구별되도록 기재하였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비전력 절감 전관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비전력 절감 전관 방송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첨부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관 방송 시스템은 크게 중앙 시스템(100), 전원 제어부(200), 전원부(210), 항시 전원 장비(310), 스위치 전원 장비(320) 및 스피커(10)를 포함한다.
중앙 시스템(100)은 복수의 음원 소스를 포함하며 구내 방송 영역 내에 분산 설치된 다수의 스피커(10)들을 통한 개별 방송, 그룹 방송, 전체 방송, 비상 방송, 예약 방송, 원격 방송, TTS 방송 및 RX-TX 방송 중 적어도 하나의 방송 모드를 제공한다.
이처럼 중앙 시스템(100)이 제공하는 다양한 방송 모드를 간단히 정의 하면 아래와 같다.
개별 방송 모드는 한 개의 지역을 방송하는 방법이고, 그룹 방송 모드는 여러 개의 지역을 묶어서 방송하는 방법이며, 전체 방송 모드는 지역의 구분 없이 전체 지역에 방송하는 방법이다.
비상 방송 모드는 화재와 같은 비상상황을 감지하는 센서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해당 지역 및 미리 설정된 지역에 대피 관련 안내 방송을 제공하는 것이다.
예약 방송 모드는 학교 수업 시작 및 종료 안내, 점심시간, BGM 방송 등 주기적으로 방송할 내용과 지역을 설정하여 주간 단위로 방송하는 것이다.
원격 방송 모드는 주 방송 시스템(예; 중앙 시스템)과 거리가 떨어진 곳에서 원격의 리모트 단말기를 이용하여 주 방송 시스템을 통해 방송 하는 방법이다.
TTS 방송 모드는 컴퓨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환경에서 문자를 음성으로 변환시켜 방송하는 것을 말하며 예약시간에 맞추어 예약 방송처럼 동작할 수 있는 방송 방법이다.
RX-TX 방송 모드는 주 방송 시스템이 설치된 건물이나 다른 건물 사이에 설치되는 배선 비용을 줄이기 위하여 데이터와 오디오 전원을 사용하여 로컬지역에 있는 방송장비를 제어하면서 방송을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중앙 시스템(100)은 서로 다른 음원(N개)를 서로 다른 지역(M개)에 방송할 수 있는 음원의 수를 가지고 여러 개의 음원을 출력제어를 통해 서로 다른 지역으로 방송하는 다원화 방송을 지원한다. 예컨대, 서로 다른 음원 6개를 서로 다른 지역으로 방송하는 것을 6원화 방송을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전원 제어부(200)는 전관 방송을 위해 설치되는 다양한 방송 장비(300)를 24시간 전원을 필요로 하는 항시 전원 장비(Unswiched Device, 310)와 방송 모드에 따라 사용시에만 선택적으로 전원이 인가되는 스위치 전원 장비(Swiched Device, 320)로 구분하여 저장하고 방송을 하지 않는 시간에는 스위치 전원 장비(320)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한다.
전관 방송 시스템에서는 항시 방송 준비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항시 전원을 공급하는 장비가 다수로 존재한다. 예컨대, 전원 제어부(200)는 모드 별 방송을 제어하기 위해 항상 전원을 공급해야 하는 항시 전원 장비(310) 및 앰프와 같이 특정한 방송 모드 시에만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해도 되는 스위치 전원 장비(320)로 구분하여 연결한다.
전원부(210)는 전력선을 통해 전원 제어부(200)로 메인 전원을 공급한다.
방송 장비(300)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항시 전원 장비(310) 및 스위치 전원 장비(320)을 포함한다.
항시 전원 장비(310)는 전관 방송 시스템을 운용하기 위해 가동상태를 유지해야만 하는 최소한의 장비로 항시 전원이 공급(ON)된다.
스위치 전원 장비(320)는 방송 목적 및 방송 모드에 따라 선택적으로 동작하는 장비로 유휴상태에서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고(OFF), 필요 시에만 전원공급(ON) 되는 장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중앙 시스템(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첨부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중앙 시스템(100)은 오디오 입력부(110), 모드 설정부(120), 예약 설정부(130), 상태 감지부(140), 송수신부(150), 데이터베이스부(160) 및 제어부(170)를 포함하며, 하나의 서버로 구성되거나 각부의 장치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동되는 시스템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오디오 입력부(110)는 CDP(Compact Disk Player), 튜너(Tuner), 리모트 앰프(Remote AMP) 및 마이크(Mike)와 같은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믹싱(Mixing) 처리한다.
모드 설정부(120)는 건물 내 설치된 각 스피커(10)를 연결하는 복수의 릴레이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방송 모드에 따라 릴레이 스위치를 작동(ON/OFF)하여 출력 대상 스피커(10)를 그룹핑(Grouping)한다.
예컨대, 모드 설정부(120)는 평상시에는 건물 단위 또는 건물의 층 단위로 릴레이 그룹을 설정할 수 있으며, 건물 내 화재가 발생한 비상상태에서는 화재발생지역(Area)에 설치된 스피커(10)들을 선택적으로 그룹핑하여 그룹핑된 스피커(10)를 통해 비상안내방송을 송출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모드 설정부(120)는 한국어, 영어, 중국어 및 일본어 등의 다국적 비상 안내 멘트를 제공하며, 특별히 화재가 발생된 해당 층과 바로 위층으로 대피방법을 안내하는 직상발화 방송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비상 상황이 발생된 층(지역) 및 인접 층(지역)으로 위험상황을 알리고 원활한 대피를 위해 설정된 안내 멘트를 각 층(지역)에 맞게 방송할 수 있다. 가령, 상기 안내 멘트는 음성 조합을 통해 "1층에 화재가 발생했습니다. 동쪽 비상구로 대피하여 주시기 바랍니다."라는 멘트로 1층에서의 화재 발생 하였음을 1층 및 2층으로 알려 사람들이 비상 상황을 인식하고 대피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예약 설정부(130)는 타이머를 이용하여 시보 방송(예; 학교 수업 종소리) 및 예약방송을 설정하고, 모드 설정부(120)와 연동하여 상기 방송 모드 별 상황에 부합되는 장비의 동작을 위한 예약 시간을 스케줄링 할 수 있다.
또한, 시설물 마다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예약 설정부(130)는 일반적으로 24시간 방송을 하지 않으므로, 심야와 같이 방송 예정이 없는 시간대에는 비상방송과 같은 일부 기능만 수행할 수 있도록 항시 전원 장비(310)만을 가동하고 스위치 전원 장비(320)의 전원을 차단하도록 하는 유휴 방송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상태 감지부(140)는 건물 내의 각 지점에 분산 설치되어 있는 각종 센서(미도시)로부터 화재, 지진, 해일 등의 비상상태를 감지한다. 이 때, 상기 센서는 스피커(10)에 내장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스피커(10)에는 주변에 사람이 존재하는 것을 감지하는 센서(예; 동작 감시 센서)를 장착될 수 있으며, 상태 감지부(140)는 센서가 장착된 스피커(10)와 통신하여 인적이 없는 곳에 설치된 스피커(10)를 자동으로 오프(OFF)시켜 전력 소비가 많은 앰프의 소비전력을 절감시킬 수 있다.
송수신부(150)는 상시 주기적 혹은 비주기적으로 방송 장비(300) 및 스피커(10)에 테스트 신호를 전송하고 그 응답신호를 수신하여 통신 선로 점검 및 장비의 고장을 진단한다.
송수신부(150)는 하나의 송신부(TX)에서 원격지에 분산 설치된 다수의 수신부(RX)를 제어 및 종합 관리하되, 통신 선로 및 장비의 진단 시 특정 장비와 통신이 정상적으로 이루어 지지 않으면 유지 보수를 위해 해당 장비 또는 통신 선로의 이상발생 이벤트를 제어부(170)로 알리거나 디스플레이(미도시)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송수신부(150)는 2선식 통신 선로를 통해 오디오 신호, 데이터 신호 및 전원을 합성하여 각 장비와 연동할 수 있도록 양방향 통신을 지원함으로써 데이터 신호선 및 전원선을 별도로 구성하지 않고도 각 장비에 대한 전원 공급 및 제어가 가능하다.
데이터베이스부(160)는 전관 방송 시스템의 운용을 위한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한다. 특히, 데이터베이스부(160)는 건물의 설계 데이터와 건물 내에 설치된 스피커(10)들의 위치정보 및 고유식별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한다. 그리고, 비상 상황 발생시 비상 안내를 위해 각 스피커(10)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대피 알고리즘을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유휴 방송, 개별방송, 그룹방송, 전체방송, 예약방송 및 비상방송 중 적어도 하나의 방송 모드를 제공하기 위한 상기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그에 따른 소비전력 절감을 위한 제어 데이터(제어 신호)을 전원 제어부(200)로 전달한다.
이 때, 전원 제어부(200)로 전달되는 상기 제어 데이터에는 상기한 방송 모드 별 가동되는 스피커(10)들의 그룹핑(Grouping) 정보와 이들을 연결하기 위한 스위치 전원 장비(320)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장비들의 유휴 방송 모드에서 전체 방송 모드로의 전환 시 전원 인가 상태를 나타낸다.
첨부된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장비(300)들 중 좌측에 도트블록으로 표시된 EMERGENCY PANEL, REMOTE AMP, 배터리 차져 및 전원 분배기는 항시 전원 장비(310)이고 그 외의 도트블록으로 표시되지 않은 것은 스위치 전원 장비(320)를 나타낸다. 여기서, SPEAKER SELECTOR ①, POWER AM ②, RX RECEIVER ③ 과 같은 스위치 전원 장비(320)의 경우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전원 제어부(200)는 좌측과 같이 방송을 하지 않는 유휴 방송 모드에는 방송 시스템 유지를 위해 필요한 항시 전원 장비(310)에만 전원을 인가하고, 사용하지 않는 스위치 전원 장비(320)로는 전원을 공급하지 않는다.
이 때, 전원 제어부(200)는 평상시 DC24V로 동작하는 항시 전원 장비(310)는 최소 동작 전압인 DC20V로 전압을 낮추어 원활한 방송 시스템을 유지하면서도 전력을 절감시킬 수 있다. 그리고, 예약 설정부(130)의 타이머 동작에 따라 유휴 방송 모드가 해제되면 정상적인 DC24V의 전압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전원 제어부(200)는 유휴 방송 모드 상태에서 전체 방송 모드 또는 비상 방송 모드로 전환하는 제어 데이터를 수신하면, 우측과 같이 모든 방송 장비(300)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한편, 앞선 배경기술에서도 언급했듯이 기존에는 전체 방송 이외에 개별 방송이나 그룹 방송과 같은 경우 사용하지 않는 장비에는 전원이 투입될 필요가 없는 데 반해 이를 구분하지 않고 전체 방송 장비에 전원이 인가되어 전력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도 4를 통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개별 방송 모드에 따른 전력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개별 방송 모드에서의 방송 장비에 대한 전원 제어 방법을 나타낸다.
첨부된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원 제어부(200)가 좌측의 유휴 방송 모드 시 항시 전원 장비(310)에만 전원을 공급하는 것은 상기 도 3을 통해 설명하였으므로 생략한다.
이 때, 전원 제어부(200)는 유휴 방송 모드 상태에서 개별 방송 모드(또는, 그룹 방송 모드)로 전환하는 제어 데이터를 수신하면, 해당 채널 정보를 분석하여 필요한 스위치 전원 장비(320)에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전원 제어부(200)는 항시 전원 장비(310)에도 정상적인 전원을 공급한다.
한편, 아래의 5도 내지 도 7를 통하여 상기한 본 발명의 전관 방송 시스템의 구성을 바탕으로 특정 방송 모드별 다양한 소비전력 절감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휴 방송 모드에 따른 소비전력 절감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첨부된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중앙 시스템(100)은 전관 방송 시스템이 가동된 상태에서의 심야 시간대와 같은 일정 구간 동안에 이루어지는 유휴 방송 모드 조건을 설정한다(S101, S102).
중앙 시스템(100)은 타이머를 체크하여 현재 시간이 유휴 방송 모드 진입 조건을 충족하면(S103; 예), 전원 제어부(200)에 유휴 방송 모드 진입을 알리는 제어 데이터를 전송한다. 반면, 상기 유휴 방송 모드 진입 조건을 충족하지 않으면 유휴 방송 모드 진입 시까지 대기 한다(S103).
전원 제어부(200)는 상기 유휴 방송 모드 진입에 따라 시스템 유지와는 상관없이 사용하지 않는 스위치 전원 장비(320)로의 전원 공급을 중단(OFF)하고(S104), 항시 전원 장비에 공급되는 정상 전압(DC24V)을 최소 동작 전압(DC20V)으로 낮추어서 공급한다(S105).
이후에 일정 시간이 경과하여, 중앙 시스템(100)은 타이머를 체크하여 현재 시간이 유휴 방송 모드 해제 조건을 충족하면(S106; 예), 항시 전원 장비(310)에 정상적인 전압(DC24V)를 공급한다(S107). 다만, 상기 유휴 방송 모드가 해제되더라도 별도의 방송 모드가 개시되지 않는 대기 상태에서는 스위치 전원 장비(320)의 전원 오프(OFF)상태를 계속 유지한다(S108).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방송이 없는 대기 상황에서의 사용하지 않은 스위치 전원 장비에서의 전력 소비를 예방할 뿐 아니라 유휴 방송 모드 시에는 항시 전원 장비에 대한 절전 기능을 더욱 강화함으로써 전관 방송 시스템의 운용에 따른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음,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상 방송 모드에 따른 소비전력 절감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첨부된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상 방송 모드에 따른 소비전력 절감 방법은 상기 도 5의 유휴 방송 모드 중에 발생되는 시나리오를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즉, 상기 S105 단계 이후의 유휴 방송 모드 상태에서(S201), 중앙 시스템(100)은 센서로부터 비상 신호를 감지하면, 그 설치정보를 통해 비상 상황 발생 위치를 파악한다(S202). 예컨대, 특정 지역에 설치된 화재 센서로부터 비상 신호를 수신하면 해당 지역에 화재 발생된 것을 파악할 수 있으며, 이하, 화재 발생 상황인 것으로 가정하여 계속 설명한다.
중앙 시스템(100)은 화재 발생에 따른 유휴 방송 모드를 해제하고 화재 발생지역을 기준으로 하는 지역별 비상 방송 모드를 설정한다(S203).
여기서, 지역별 비상 방송 모드라 함은 예를 들어, 건물에 화재가 발생된 층(발생 지역)과 그 인접 층(인접 지역)에 대피안내를 위한 제1 방송과 화재와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층(지역) 별로 안내되는 제2 방송으로 다원화 방송이 가능한 것을 의미한다. 이 때, 상기 제1 방송이 상기 제2 방송보다 우선되며 각 지역별 안내 멘트 음원 및 채널을 자동으로 설정된다.
또한, 중앙 시스템(100)은 항시 전원 장비(310)에 정상적인 전압(DC24V)를 공급하고(S204), 상기 채널 설정에 따른 스위치 전원 장비(320)에도 전원을 공급한다(S205).
그리고, 중앙 시스템(100)은 화재 발생 지역 및 주변 지역에 차별된 다원화 방송을 송출한다(S206).
이러한 비상 방송 모드는 화재 진압이 완료될 때까지 지속되며(S207; 아니오), 이후에 화재 진압이 완료 되면, 중앙 시스템(100)은 비상 방송 모드를 해제한다(S207; 예).
전원 제어부(200)는 상기 비상 방송 모드 해제에 따른 스위치 전원 장비(320)로의 전원 공급을 중단(OFF)하고(S208), 항시 전원 장비(310)에 공급되는 전압(DC 24V)을 최소 동작 전압(DC20V)으로 낮추어서 공급하여(S209), 이전의 유휴 방송 모드를 재개한다(S210).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소비전력을 절감하는 유휴 방송 모드 상태에서도 비상 방송 모드뿐 아니라 필요 시 다른 방송 모드로의 전환이 가능하여 원활한 방송 시스템 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음,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개별/그룹 방송 모드에 따른 소비전력 절감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첨부된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개별 또는 그룹(이하, 편의상 '개별/또는'으로 칭함) 방송 모드에 따른 소비전력 절감 방법은 상기 도 5의 S108 단계 이후에 발생되는 시나리오를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중앙 시스템(100)은 운영자로부터 개별/그룹 방송 모드를 설정을 입력 받으면(S301), 입력된 개별/그룹 지역을 확인하여 채널 설정 및 그룹핑을 수행한다(S302).
이 때, 중앙 시스템(100)은 스피커(10)에 장착된 센서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인적이 없어 오프(OFF) 상태인 스피커(10)의 채널은 상기 그룹핑 대상에서 제외시킬 수 있다(S303). 이 때, 스피커(10)의 오프는 주변에 방송을 청취할 사람이 없는 상태이므로 스피커(10)측면에서의 유휴 상태로 볼 수 있으며 불필요한 방송을 생략할 수 있다.
전원 제어부(200)는 중앙 시스템(100)으로부터 개별/그룹 방송 모드로 전환되는 제어 데이터를 수신하면, 해당 채널 정보를 분석하여 필요한 스위치 전원 장비(320)에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한다(S304). 이 때, 항시 전원 장비(310)로도 전원이 공급됨은 자명하다.
그리고, 중앙 시스템(100)은 개별/그룹 방송 지역의 스피커를 통해 방송을 송출한다(S305).
이후, 전원 제어부(200)는 개별/그룹 방송 모드가 해제되면(S306), 전원을 공급하던 스위치 전원 장비(320)로의 전원 공급을 중단(OFF)하고(S307), 다시 방송 대기 모드로 복귀한다(S308).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개별 또는 그룹 방송 모드에서 채널사용에 필요한 장비에만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하고 사용하지 않는 장비에 대한 전원 공급을 차단함으로써 불필요한 장비에 대한 소비 전력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상에서 설명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중앙 시스템 110: 오디오 입력부
120: 모드 설정부 130: 예약 설정부
140: 상태 감지부 150: 송수신부
160: 데이터베이스부 170: 제어부
200: 전원 제어부 210: 전원부
300: 방송 장비 310: 항시 전원 장비
320: 스위치 전원 장비 10: 스피커

Claims (15)

  1. 소비전력 절감 전관 방송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음원 소스를 포함하며 구내 방송 영역 내에 분산 설치된 다수의 스피커들을 통해 방송하는 중앙 시스템; 및
    상기 방송을 위해 설치되는 다양한 방송 장비를 시스템 유지를 위한 항시 전원 장비와 방송 모드에 따라 선택적으로 동작하는 스위치 전원 장비로 구분하고 상기 방송 모드 별 시나리오에 따라 사용하지 않는 장비에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전원 제어부를 포함하며, 소정 시간 구간에 예약된 유휴 방송 모드 시 상기 항시 전원 장비로 공급되는 전압을 최소 동작 전압으로 낮추어 공급하는 전원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중앙 시스템은, 개별 또는 그룹 방송 모드 입력에 따른 채널 설정 및 그룹핑을 수행하고, 상기 전원 제어부는 상기 개별 또는 그룹 방송 모드로의 전환에 따른 채널 정보를 분석하여 연결에 필요한 스위치 전원 장비에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중앙 시스템은 상기 개별 또는 그룹 방송 지역의 스피커를 통해 방송을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비전력 절감 전관 방송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시스템은,
    상기 유휴 방송 모드, 개별 방송 모드, 그룹 방송 모드, 전체 방송 모드, 예약 방송 모드, 비상 방송 모드 및 문자 방송(TTS)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방송 모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비전력 절감 전관 방송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전원 장비는,
    오토 블로워, 모니터, 튜너, 음원 소스 장비, 믹서, 스피커 셀렉터, 앰프, 송신 인터페이스 장비 및 수신 리시버 장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비전력 절감 전관 방송 시스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시스템은,
    복수의 음원 소스와 연결된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믹싱 처리하는 입력부;
    각 스피커를 연결하는 복수의 릴레이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방송 모드에 따라 상기 릴레이 스위치를 작동하여 출력 대상 스피커를 그룹핑(Grouping)하는 모드 설정부;
    타이머를 이용하여 예약 방송을 설정하되, 상기 모드 설정부와 연동하여 방송 모드 별 상황에 부합되는 장비의 동작을 위한 예약시간을 스케줄링하는 예약 설정부;
    각 지점에 분산 설치되어 있는 센서로부터 화재, 지진, 해일 중 적어도 하나의 비상상태를 감지하는 상태 감지부;
    주기적 혹은 비주기적으로 방송 장비 및 스피커에 테스트 신호를 전송하고 그 응답신호를 수신하여 통신 선로 점검 및 장비의 고장을 진단하는 송수신부;
    건물의 설계 데이터와 건물 내에 설치된 상기 스피커의 위치정보 및 고유식별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및
    상기 방송 모드별 소비전력 절감을 위한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전원 제어부로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소비전력 절감 전관 방송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부는,
    2선식 통신 선로를 통해 오디오 신호, 데이터 신호 및 전원을 합성하여 전송하고 각 장비와 연동할 수 있도록 양방향 통신을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비전력 절감 전관 방송 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부는 원격지에 분산 설치된 다수의 수신 장비를 제어 및 종합 관리하되, 통신 선로 및 장비의 진단 시 특정 장비와 통신이 정상적으로 이루어 지지 않으면 유지 보수를 위해 해당 장비 또는 통신 선로의 이상발생 이벤트를 상기 제어부로 알리거나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는 소비전력 절감 전관 방송 시스템.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설정부는,
    다국적 비상 안내 멘트를 제공하며, 건물의 화재가 발생된 층과 바로 위층으로 대피 방법을 안내하는 직상발화 방송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비전력 절감 전관 방송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제어부는,
    타이머 동작에 따라 예약된 상기 유휴 방송 모드 진입 시 상기 항시 전원 장비의 DC24V 전압을 DC20V 전압으로 낮추어 공급하고, 상기 유휴 방송 모드가 해제되면 정상적인 DC24V 전압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비전력 절감 전관 방송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제어부는,
    상기 중앙 시스템으로부터 개별 방송 모드 또는 그룹 방송 모드로 전환하는 제어 데이터를 수신하면, 설정된 채널 정보를 분석하여 필요한 스위치 전원 장비에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소비전력 절감 전관 방송 시스템.
  10. 소비전력 절감 전관 방송 시스템의 소비전력 절감 방법에 있어서,
    a) 소정 시간 구간 동안에 이루어지는 유휴 방송 모드 조건을 예약 설정하는 단계;
    b) 타이머를 체크하여 현재 시간이 상기 유휴 방송 모드 조건을 충족하여 상기 유휴 방송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
    c) 방송 시스템 유지를 위한 항시 전원 장비로 공급되는 정상 전압을 최소 동작 전압으로 낮추어 공급하고, 방송 모드에 따라 선택적으로 동작하는 스위치 전원 장비의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
    d) 상기 타이머를 체크하여 현재 시간이 상기 유휴 방송 모드가 해제되면 상기 항시 전원 장비로 상기 정상 전압을 공급하고, 상기 스위치 전원 장비의 전원 차단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
    e) 개별 또는 그룹 방송 모드 입력에 따른 채널 설정 및 그룹핑을 수행하는 단계;
    f) 개별 또는 그룹 방송 모드로의 전환에 따른 상기 채널 정보를 분석하여 연결에 필요한 스위치 전원 장비에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 및
    g) 상기 개별 또는 그룹 방송 지역의 스피커를 통해 방송을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소비전력 절감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유휴 방송 모드 진입에 따른 상기 항시 전원 장비에 공급되는 전압을 DC24V에서 DC20V로 낮추어서 공급하고,
    상기 d) 단계는, 상기 유휴 방송 모드 해제에 따른 상기 항시 전원 장비에 공급되는 전압을 상기 DC24V의 상기 정상 전압으로 높여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비전력 절감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와 d) 단계 사이에,
    c-1) 센서로부터 비상 신호를 감지하면 상기 센서의 설치정보를 통해 비상 발생 지역을 파악하는 단계;
    c-2) 비상 발생에 따른 유휴 방송 모드를 해제하고 상기 비상 발생 지역을 기준으로 하는 지역별 방송을 위한 비상 방송 채널을 설정하는 단계;
    c-3) 상기 항시 전원 장비에 상기 정상 전압을 공급하고, 상기 채널 설정에 따른 상기 스위치 전원 장비에 선택적인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 및
    c-4) 상기 비상 방송 모드가 해제되면 상기 유휴 방송 모드를 재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소비전력 절감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c-2) 단계는,
    상기 비상 발생 지역 및 그 인접 지역의 직상발화 방송을 안내하는 제1 방송과 상기 비상 발생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는 타지역에 비상 발생을 알리는 제2 방송을 포함하는 다원화 방송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함하는 소비전력 절감 방법.
  14. 삭제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각 스피커에 장착된 센서 정보에 기초하여 주변에 인적이 없어 오프(OFF) 상태인 스피커의 채널은 상기 그룹핑 대상에서 제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비전력 절감 방법.
KR1020120157113A 2012-12-28 2012-12-28 소비전력 절감 전관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932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7113A KR101293244B1 (ko) 2012-12-28 2012-12-28 소비전력 절감 전관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7113A KR101293244B1 (ko) 2012-12-28 2012-12-28 소비전력 절감 전관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3244B1 true KR101293244B1 (ko) 2013-08-09

Family

ID=49219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7113A KR101293244B1 (ko) 2012-12-28 2012-12-28 소비전력 절감 전관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3244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5661B1 (ko) * 2015-11-06 2016-03-23 주식회사 에스트론 전관방송 시스템에 부가되는 스피커 스위치 및 제어기
KR101626271B1 (ko) * 2016-03-21 2016-06-01 주식회사 에스트론 전관방송 시스템용 무전원 스피커 스위치
WO2017078262A1 (ko) * 2015-11-06 2017-05-11 주식회사 에스트론 전관방송 시스템에 부가되는 스피커 스위치, 제어기 및 무전원 스피커 스위치
KR101926781B1 (ko) * 2018-07-20 2018-12-07 주식회사 젠프로 건물 진동 감지를 통한 건물 붕괴 예방 대피 자동 방송 시스템
KR20190086827A (ko) * 2018-01-15 2019-07-24 소리콤(주) 음성인식을 이용한 통합 av 로컬방송 시스템
KR102004454B1 (ko) * 2019-03-08 2019-07-26 주식회사 젠프로 스피커 단락 회선 제어 장치
KR102107150B1 (ko) * 2020-01-14 2020-05-06 박영민 스피커와 앰프에 연결되는 ac/dc 전원 절체 절전형 전원 분배기 시스템
KR102268600B1 (ko) * 2020-11-19 2021-06-24 (주)에스엔케이미디어 자가 진단이 가능한 방송 시스템
KR102607096B1 (ko) * 2023-08-22 2023-11-29 주식회사 에스에이씨솔루션 재난 및 민방위 경보 수신시 즉시 방송이 가능한 경보 시스템 및 그에 사용되는 단말장치, 그리고 동작방법
KR102633023B1 (ko) * 2023-08-03 2024-02-02 국제시스템(주) 매트릭스 다원화 방송을 이용한 소비전력 제어 시스템
KR102633018B1 (ko) * 2023-08-03 2024-02-02 국제시스템(주) 매트릭스 기반의 다원화 방송 제어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4631A (ko) * 2000-09-26 2002-04-01 강대현 전자 기기용 전력 절감 장치 및 그 전력 절감 방법
KR100972814B1 (ko) * 2009-02-23 2010-07-28 제이디미디어 주식회사 전관방송시스템의 증폭단에서 대기 모드시 소비전류 저감방법 및 그 저감장치
KR100972816B1 (ko) 2010-02-18 2010-07-28 제이디미디어 주식회사 전원분배기를 이용한 음향방송시스템의 오프모드 상태에서의 대기전력 절감 제어방법
KR20110090707A (ko) * 2010-02-04 2011-08-10 네트인텔리젠스 주식회사 스마트 전력 절감 지원 스위칭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4631A (ko) * 2000-09-26 2002-04-01 강대현 전자 기기용 전력 절감 장치 및 그 전력 절감 방법
KR100972814B1 (ko) * 2009-02-23 2010-07-28 제이디미디어 주식회사 전관방송시스템의 증폭단에서 대기 모드시 소비전류 저감방법 및 그 저감장치
KR20110090707A (ko) * 2010-02-04 2011-08-10 네트인텔리젠스 주식회사 스마트 전력 절감 지원 스위칭 장치 및 방법
KR100972816B1 (ko) 2010-02-18 2010-07-28 제이디미디어 주식회사 전원분배기를 이용한 음향방송시스템의 오프모드 상태에서의 대기전력 절감 제어방법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5661B1 (ko) * 2015-11-06 2016-03-23 주식회사 에스트론 전관방송 시스템에 부가되는 스피커 스위치 및 제어기
WO2017078262A1 (ko) * 2015-11-06 2017-05-11 주식회사 에스트론 전관방송 시스템에 부가되는 스피커 스위치, 제어기 및 무전원 스피커 스위치
KR101626271B1 (ko) * 2016-03-21 2016-06-01 주식회사 에스트론 전관방송 시스템용 무전원 스피커 스위치
KR20190086827A (ko) * 2018-01-15 2019-07-24 소리콤(주) 음성인식을 이용한 통합 av 로컬방송 시스템
KR102142182B1 (ko) * 2018-01-15 2020-08-06 소리콤(주) 음성인식을 이용한 통합 av 로컬방송 시스템
KR101926781B1 (ko) * 2018-07-20 2018-12-07 주식회사 젠프로 건물 진동 감지를 통한 건물 붕괴 예방 대피 자동 방송 시스템
KR102004454B1 (ko) * 2019-03-08 2019-07-26 주식회사 젠프로 스피커 단락 회선 제어 장치
KR102107150B1 (ko) * 2020-01-14 2020-05-06 박영민 스피커와 앰프에 연결되는 ac/dc 전원 절체 절전형 전원 분배기 시스템
KR102268600B1 (ko) * 2020-11-19 2021-06-24 (주)에스엔케이미디어 자가 진단이 가능한 방송 시스템
KR102633023B1 (ko) * 2023-08-03 2024-02-02 국제시스템(주) 매트릭스 다원화 방송을 이용한 소비전력 제어 시스템
KR102633018B1 (ko) * 2023-08-03 2024-02-02 국제시스템(주) 매트릭스 기반의 다원화 방송 제어 시스템
KR102607096B1 (ko) * 2023-08-22 2023-11-29 주식회사 에스에이씨솔루션 재난 및 민방위 경보 수신시 즉시 방송이 가능한 경보 시스템 및 그에 사용되는 단말장치, 그리고 동작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3244B1 (ko) 소비전력 절감 전관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07319B1 (ko) 화재지역 통지용 방송 장치
US9147325B2 (en) Emergency communication system
KR20180043462A (ko) 터널 라디오 방송의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KR20090027391A (ko) 원격 방재 관리 시스템
KR102103542B1 (ko) 스피커 선로의 실시간 독립적 감시가 가능한 전관 방송 시스템
KR102058862B1 (ko) 재난발생시 다원화 음원을 제공하는 방송장치
KR101537232B1 (ko) 지하 재방송장치
KR101017681B1 (ko) 디지털 네트워크 방송 시스템
KR100883906B1 (ko) 학교 방송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20100012093U (ko) 119 화재 알림 장치
KR20120015051A (ko) 선박 알람 방송 시스템 및 방법
KR102480569B1 (ko) 디지털 화재관제 Rx/Tx 방송설비
JP6143923B1 (ja) 防災無線システム
JP2011175554A (ja) 自動火災報知設備の動作試験装置及び動作試験方法
KR102323996B1 (ko) 선박의 전화기를 이용한 방송시스템과 방법
KR102607096B1 (ko) 재난 및 민방위 경보 수신시 즉시 방송이 가능한 경보 시스템 및 그에 사용되는 단말장치, 그리고 동작방법
KR100879754B1 (ko) 식별자를 이용한 공중 방송 스피커 시스템
KR102571860B1 (ko) 양방향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전관방송 시스템 및 방법
CN218387516U (zh) 多功能便携式应急广播发射机
KR101520774B1 (ko)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오디오 방송 장치, 오디오 수신 장치 및 오디오 방송 시스템
KR200372406Y1 (ko) 통합 통신 시스템
KR102633018B1 (ko) 매트릭스 기반의 다원화 방송 제어 시스템
KR102633023B1 (ko) 매트릭스 다원화 방송을 이용한 소비전력 제어 시스템
KR102588122B1 (ko) 전관방송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