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3996B1 - 선박의 전화기를 이용한 방송시스템과 방법 - Google Patents

선박의 전화기를 이용한 방송시스템과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3996B1
KR102323996B1 KR1020210000633A KR20210000633A KR102323996B1 KR 102323996 B1 KR102323996 B1 KR 102323996B1 KR 1020210000633 A KR1020210000633 A KR 1020210000633A KR 20210000633 A KR20210000633 A KR 20210000633A KR 102323996 B1 KR102323996 B1 KR 1023239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peaker
unit
broadcast
al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0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의진
주대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시엠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시엠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시엠알
Priority to KR1020210000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39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39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39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61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local area broadcast, e.g. instore broadcast
    • H04H20/62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local area broadcast, e.g. instore broadcast for transportation systems, e.g. in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5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mobile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5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emergency or urge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35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 H04H60/38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broadcast time or sp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1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in the receiver circu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005Interface circuits for subscriber lines
    • H04M3/007Access interface units for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speech and data, e.g. digital subscriber line [DSL] access interface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의 전화기를 이용한 방송시스템과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선박의 전화기를 이용한 방송시스템에 있어서, 스피커 군 선택부에 의한 스피커 선택신호를 전송받고, 스피커 구동신호 출력부로부터 음성신호와 경보신호를 받아서 신호처리부로 전송하는 제어신호송출부와 음성신호입력부와 경보신호발생부로부터 발생하는 음성신호와 경보신호를 신호증폭기를 통하여 증폭시켜서, 상기 제어신호송출부와 스피커 군으로 전송시키는 스피커 구동신호 출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PA시스템와 상기 제어신호송출부로부터 출력을 받는 신호처리부가 내장되어 있으며, 선박 내에서의 통화를 위한 다수의 전화기가 연결, 형성되어 있는 자동전화교환기와 상기 신호처리부에서 상기 자동전화교환기와 연결된 상기 다수의 전화기를 구동시켜 방송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선박의 전화기를 이용한 방송시스템과 방법 {Broadcasting system and the method using telephone of vessel}
본 발명은 선박의 전화기를 이용한 방송시스템과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선실의 스피커를 설치하지 않고 선실에 실치된 전화기에 내장된 스피커를 이용하여 PA(Public Address)방송을 함으로, 별도의 PA 방송용 스피커를 설치하지 않음으로 인하여 PA 신호증폭기(Amplifier) 용량(Wattage)의 감소 효과 및 PA방송을 위한 케이블 및 스피커 비용과 이를 설치하는 인건비를 절감 할 수 있는 선박의 전화기를 이용한 방송시스템과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페리, 크루즈 또는 여객 운송선, 화물 운송선 또는 상선 등에 설치된 안내 방송(Public Address, 이하, PA) 시스템은 선상에서 경보(퇴선(General Emergency Alarm), 화재, 일반 등), 음성 안내문 또는 음악을 방송하기 위하여 스피커의 네트워크에 오디오 신호를 공급하는 오디오 증폭기를 포함한다.
선상에는 선박 내의 서로 다른 지리적 위치에 대한 예를 들어, 통로에 대한, 선실에 대한, 공공 장소에 대한, 기술실에 대한 각각의 여러가지 유형의 안내방송 시스템이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이들 유형의 장소 각각에 대한 그 자신의 증폭기 및 스피커를 동시에 갖는 선내 지령장치인 PA 시스템이 있다.
이때, 각 구역별 방송 및 경보를 위한 PA 스피커는 선박 Rule에서 요구하는 방송 및 경보 데시벨(Decibel)을 만족하기 위하여 거주구나 기관실, 갑판구역 등에 걸쳐 많은 수량으로 설치된다.
그러나, 선박에서 기관실이나 갑판구역 등의 기계류 공간(Machinery Space)은 엔진 및 펌프와 같은 장비등으로 인하여 소음과 진동이 많이 발생하고 이러한 소음과 진동으로 인하여 PA 스피커를 통한 음성방송의 청취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그리고, 선박 내의 화재 등과 같은 비상상태나 Emergency 상황이 벌어졌을 경우에 선실 등에 있는 사람이 선실 내부 또는 객실에 설치되어 있는 전화기로 전화하였을 경우, 비상상황이 발생하였다는 방송을 미처 듣지를 못해 비상상황에 대처하지 못하여 사고가 일어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12-0015051호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16-0005591호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17-0017966호
따라서, 본 발명은 선박에서 비상방송을 송출하거나 경보방송이 울릴 때, 승객이 일반전화기로 통화하고 있는 도중에는 방송을 듣지 못하게 되는 상황을 해결하여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선박의 전화기를 이용한 방송시스템과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선박의 전화기에 내장된 스피커를 이용한 방송이 이루어지므로, 별도로 스피커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비상상황 등이 발생할 경우에 전화기 내의 스피커를 통해 인지할수 있으므로 전화통화 중에 비상상황임을 숙지하여 적절한 액션을 취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선박의 전화를 이용한 방송시스템과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선실의 스피커를 설치하지 않고 선실에 실치된 전화기에 내장된 스피커를 이용하여 PA방송을 함으로, 별도의 PA 방송용 스피커를 설치하지 않음으로 PA 신호증폭기(Amplifier) 용량(Wattage) 감소 효과, PA방송을 위한 케이블 및 스피커 비용, 이를 설치하는 인건비를 절감 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선박의 전화를 이용한 방송시스템과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선박의 전화기를 이용한 방송시스템에 있어서, 스피커 군 선택부에 의한 스피커 선택신호를 전송받고, 스피커 구동신호 출력부로부터 음성신호와 경보신호를 받아서 신호처리부로 전송하는 제어신호송출부와 음성신호입력부와 경보신호발생부로부터 발생하는 음성신호와 경보신호를 신호증폭기를 통하여 증폭시켜서, 상기 제어신호송출부와 스피커 군으로 전송시키는 스피커 구동신호 출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PA시스템와 상기 제어신호송출부로부터 출력을 받는 신호처리부가 내장되어 있으며, 선박 내에서의 통화를 위한 다수의 전화기가 연결, 형성되어 있는 자동전화교환기와 상기 신호처리부에서 상기 자동전화교환기와 연결된 상기 다수의 전화기를 구동시켜 방송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피커 군 선택부를 통해서 스피커 선택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자동전화교환기를 구동시키기 위하여 Off-hook를 출력하는 Off-hook 출력부와 상기 입력된 스피커 선택신호로부터 일반방송 또는 비상방송의 여부를 구별하여 신호합성출력부로 전송하고, 전화기 내장 스피커를 동작대기 상태로 유지하기 위하여 DTMF 신호를 송출하는 신호변환부와 상기 스피커 구동신호 출력부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오디오 신호를 음성신호 또는 경보신호로 변환하여 신호합성출력부로 송출하는 오디오 신호 동기화부와 상기 신호변환부로부터 변환된 음성신호 또는 경보신호를 전달받으면 상기 음성신호 또는 상기 경보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자동전화교환기로 전달하는 신호합성출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신호합성출력부는 상기 자동전환교환기의 신호처리부에 신호를 인가형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신호송출부는 상기 스피커 군의 선택신호 중에서 선택하여, 해당 선택신호에 해당하는 곳에 설치된 전화기 내장 스피커를 동작대기 상태로 유지하기 위하여 DTMF신호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신호처리부는 상기 제어신호송출부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식별하여, 상기 전화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오디오 신호 동기화부는 상기 제어신호송출부로부터 상기 신호처리부의 신호처리 과정에서 상기 스피커 군과 상기 전화기 내장 스피커 간에 딜레이 타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선박의 전화기를 이용하여 방송을 하는 방법에 있어서, 스피커군 선택신호와 오디오 신호(음성신호 또는 경보신호)를 제어신호송출부가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오디오 신호 및 상기 스피커군 선택신호와 Off-Hook 신호를 자동전화교환기가 인식할 수 있는 신호로 변환시켜 신호처리부로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신호처리부를 통하여 상기 신호가 비상방송인지, 일반방송인지 여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비상방송일 경우에 강제방송을 동작시켜, 통화중인 전화기는 통화차단하고 전화기 내장 스피커를 통하여 방송을 실행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일반 방송일 경우, 통화중인 전화기는 통화를 유지하고, Sleep Mode로 설정된 전화기에는 방송을 실행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선박에서 일반전화기를 이용하여 통화하고 있는 도중에 경보방송이나 비상방송이 송출되었을 경우, 전화통화를 비상 차단하고 상기 일반전화기에 내장된 스피커를 구동시켜 경보방송이나 비상방송을 청취할 수 있으므로, 선박의 방실에 별도의 비상방송 스피커 설치는 물론이고, 상기 스피커를 구동시킬 때 필요한 케이블 등을 설치할 필요가 없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선박의 전화기를 이용한 방송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제어신호송출부를 통해 자동전화교환기로 신호를 전송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자동전화교환기의 신호처리부의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선박의 전화기를 이용하여 방송을 하는 방법의 흐름도.
도 5는 센서부와 스피커군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진단장치의 구성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가 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도 의미하는 것임을 미리 밝혀두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선박의 전화기를 이용한 방송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제어신호송출부를 통해 자동전화교환기로 신호를 전송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3은 자동전화 교환기의 신호처리부의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선박의 전화기를 이용하여 방송을 하는 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5는 센서부와 스피커군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진단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구성은 크게 PA시스템(100)과 자동전화교환기(300)로 크게 나누어진다.
참고로, PA(Public Addressor) 시스템(100)이라는 것은 비상 경보장치의 일종으로서, 선박 내에 비상시에 사용되며, 선박의 입출항시 선교, 선수, 선미 간의 통신수단으로 이용되기도 하는 것으로, 선박의 전 구역에서 선박의 탑승자 모두에게 방송내용을 들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본 발명에서 PA시스템(100)은 입력부(미도시)로부터 안내 방송을 위한 음성신호나 알람신호를 입력받아 스피커 군(群)(140)을 통해 선박에 있는 사람들에게 방송 내용을 전달하는 것이다. 상기 입력부는 음성신호를 받아 전기신호로 바꾸어주는 마이크의 일종이다.
참고로, 상기 스피커 군(140)이란 선박 내에 방송을 내보내도록 선박의 곳곳(선미, 선수, 엔진룸 등)에 설치된 다수개의 스피커(소리를 재생할 때, 전기에너지를 실내나 실외로 방사(放射)되는 음향 신호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장치)들을 의미하는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대로, 본 발명의 선박의 전화기를 이용한 방송시스템(S)의 전체적인 구성은 PA 시스템(100)과 자동전화교환기(300)로 크게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상기 구성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피커 군 선택버튼(141)으로부터 선택하고자 하는 버튼을 누른다. 그러면, 스피커 군 선택부(142)의 모든 스피커 선택신호를 통해서 스피커 구동신호 출력부(190)로 전송된다. 이것은 선실 내부 화장실에 설치된 스피커(미도시)를 비롯하여 선박의 복도 등에 설치된 스피커(미도시)도 모두 다 구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단, 상기 스피커군 선택부(142)는 상기 스피커 선택버튼(141)을 통하여 선실을 선택하였을 경우에만 제어신호 송출부(120)로 직접 전송하게 된다.
또한, 음성신호입력부(160)에서는 음성신호와 경보신호발생부(170)에서는 부저음 등과 같은 경보신호를 각각 신호증폭기(180)를 통하여 증폭시키고, 상기 증폭된 음성신호와 경보신호를 스피커 구동신호 출력부(190)를 통하여 오디오신호(상기 음성신호 또는 상기 경보신호)를 제어신호송출부(120)로 전송도 하고, 상기 스피커 군(140)으로 송출도 하여, 상기 스피커 군(140)은 전기적 신호를 가청신호로 변환하여 사람이 인식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제어신호송출부(120)는 스피커 선택신호와 상기 스피커 구동신호 출력부(190)로부터 송출된 음성신호 또는 경보신호를 전달받으면, 전달받은 음성신호 또는 경보신호를 처리하여 신호처리부(310)로 출력시키는 역할을 한다.
더 나아가, 상기 제어신호송출부(120)는 자동전화교환기(300)를 제어하여 전화기 내장 스피커(330)를 구동시켜 방송할수 있도록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신호처리부(310)는 상기 제어신호송출부(12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식별하여, 상기 자동전화교환기(300)와 연결된 전화기(320)를 제어하는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대로, 상기 자동전화교환기(300)는 신호합성출력부(150)로부터 출력을 수신받는 신호처리부(310)가 내장되어 있으며, 선박 내에서의 통화를 위한 다수의 전화기(320)가 연결,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스피커 군(140)에서 송출된 전기적 신호를 전화기(320) 내장 스피커(330)는 가청신호로 변환하여 인식하도록 한다.
참고로, 상기 전화기 내장 스피커(330)는 전화기의 벨소리 및 핸드프리로 통화할 경우에 사용되는 스피커이다.
도 2는 제어신호송출부(120)를 통해 자동전화교환기(300)로 신호를 전송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시된 대로, 상기 제어신호송출부(120)는 스피커 군 선택부(142)을 통해 스피커 선택신호를 입력받아 자동전화교환기(300)를 구동시키기 위한 OFF-hook(오프- 훅)를 출력하는 Off-Hook 출력부(110)와 상기 스피커 선택신호 중에서 선택하여, 해당 선택신호에 해당하는 곳에 설치된 전화기 내장 스피커(330)를 동작대기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DTMF 신호를 송출하는 신호변환부(115)와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는 오디오 신호 동기화부(130)와 상기 신호변환부(115)로부터 변환된 음성신호 또는 경보신호를 전달받으면 상기 음성신호 또는 상기 경보신호를 처리하여 자동전화교환기(200)로 전달하는 신호합성출력부(150)로 이루어진다.
이를 설명하면, 스피커 군 선택부(142)를 통하여 스피커 선택신호를 입력하여 Off-Hook 출력부(110)에서 Off-Hook 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신호변환(DTMF)부(115)에서는 입력된 스피커 선택신호로부터 일반방송인지 비상방송인지를 구별하여 이를 신호합성출력부(150)로 전송한다. 이때, 전화기(320)는 대기모드로 설정된다.
상기 신호합성출력부(150)를 통하여 스피커 군 선택부(142)의 스피커 선택신호와 오디오 출력신호를 자동전화교환기(300)와 연동 가능한 음성신호 또는 경보신호로 변환시킨다.
상기 변환된 음성신호 또는 경보신호를 상기 신호변환부(115)가 신호합성출력부(150)로 송출하고, 상기 신호합성출력부(150)는 자동전화교환기(300)에 내장된 신호처리부(310)로 신호를 인가하여 전송한다.
그리고, 스피커 구동신호 출력부(190)로부터 오디오 신호(음성신호)를 입력받은 오디오 신호 동기화부(130)는 상기 오디오 신호를 음성신호 또는 경보신호로 변환시켜 역시 신호합성출력부(150)로 송출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오디오 신호 동기화부(13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오디오 신호가 발생하면 코덱(codec)에 맞추어 디코딩하여 음성을 생성하게 되므로, 소리(음성)가 조금씩 딜레이되는 경우가 생기게 되는데, 이렇게 되면 스피커 군(140)에서 나오는 소리와 자동전화교환기(300)와 연결되는 전화기(320)에서 나오는 소리와 일부 차이가 생기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오디오 신호 동기화부(130)는 이러한 차이를 없애기 위하여 스피커 군(140)과 전화기(320)를 동일하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인데 즉, 상기 오디오신호 동기화부(130)는 상기 자동전화교환기(300)로의 신호처리 과정에 있어서 스피커 군(140)과 전화기 내장 스피커(330) 간에 딜레이 타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설명하면, 음성신호입력부(160)를 통해 음성신호를 입력하면 스피커 군(140)에서는 딜레이없이 가청신호가 출력되지만, 자동전화교환기(300)로 다시 음성신호를 디코딩하게 되면 수백ms 늦게 전화기 내장 스피커(330)로 늦게 가청신호가 출력되어 서로 간의 딜레이 타임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수 있다.
즉, 딜레이 타임의 방지를 위해 상기 PA시스템(100)에 연결된 스피커 군(140)의 가청신호를 수백ms 정도 딜레이시켜 상기 스피커군(140)과 상기 전화기 내장 스피커(330)에서 송출되는 가청신호를 동일하게 시작하도록 설정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오디오 신호(음성신호 또는 경보신호)를 상기 신호합성출력부(150)를 거쳐 상기 신호처리부(310)를 통해 자동전화교환기(300)가 입력받게 되면 전화기 내장 스피커(330)에서 상기 오디오 신호를 가청 신호로 변환시켜 송출하므로, 선실 등에서 전화통화를 하는 사람이 이를 듣고 인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자동전화교환기(300)에는 신호합성출력부(150)로부터 수신한 음성신호 또는 경보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부(310) 이외에도, 선박 내의 방실이나 객실에서 선박의 탑승객들이 통화를 위한 다수개의 전화기(320)가 연결, 형성된다.
상기 전화기(320)는 선실이나 일정한 내부 공간에 마련되는 것으로서,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폰이 아닌 유, 무선형태의 일반 전화기를 의미하는 것이다.
더 나아가, 상기 신호처리부(310)는 증폭된 음성신호 또는 경보신호를 상기 자동전화교환기(300)와 연결된 다수개의 전화기(320)로 배분하는 역할도 하는 것이다.
여기서, 유의할 것은 상기 PA 시스템(100)을 통하여 비상방송 또는 경보방송 등을 실행할 경우, 자동전화교환기(200)와 연결된 일부의 전화기(320)의 작동을 off 상태로 선택하여 설정할 수 있는데, 이것은 사람이 없는 갑판이나, 공(空) 선실이거나, 방송하는 곳 등과 같이 방송을 전송시킬 의미가 없는 장소일 경우에는 방송이 송출되지 않도록 off로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선박의 전화기를 이용한 방송시스템(S)의 작동관계에 대하여 도면을 첨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선박의 전화기를 이용한 방송시스템(S)은 먼저, PA시스템(100)의 스피커 군 선택버튼(141)은 선박내 장비나 리모콘(remote controoler)에 설치되며, 송출하고 싶은 스피커 군(선실 등)을 선택한다.
스피커군 선택부(142)는 상기 스피커군 선택버튼(141)에서 선택한 신호를 수신하여 출력 릴레이(미도시)가 작동하여 선택한 스피커 군(140)으로 연결시켜 주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상기 스피커 선택버튼(141)을 눌러서 선실에 방송하고자 할 경우, 선실 전화기 내장 스피커(330), 선실 내의 화장실 스피커, 복도 스피커를 통하여 동시에 방송된다.
그리고, 상기 스피커군 선택부(142)는 송출하고자 하는 스피커 군(140)을 선택하였을 경우에는 스피커 구동신호출력부(190)로 전달한다.
이것은 이를 테면, 선박을 구성하는 선미(船尾), 선수(船首), 엔진룸 등과 같은 장소에 스피커가 형성된 곳은 예로서, 선수는 No.1 스피커 군(140), 선미는 No.2 스피커 군(140)과 같은 방식으로 스피커를 구동하여 방송을 송출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스피커 구동신호출력부(190)는 신호증폭기(180)를 통하여 증폭된 음성신호 또는 경보신호를 선실 이외의 장소인 선실 내부에 있는 화장실 스피커(미도시)를 비롯해서 복도 등에 설치된 스피커(미도시)도 모두 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음성신호 또는 상기 경보신호를 제어신호송출부(120)에도 역시 전송한다.
상기 스피커군 선택부(142)로부터 신호를 수신한 제어신호 송출부(120)는 선실 등의 신호를 받으면 제어신호를 자동전화교환기(300)에 내장된 신호처리부(310)에 출력하여 인가한다.
상기 자동전화교환기(300)는 선박 내에서의 통화를 위한 다수의 전화기(320)가 연결,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신호처리부(310)에서 상기 자동전화교환기(300)와 연결된 상기 전화기(320)를 구동시켜 방송을 실행한다.
도 2를 보면, 선실의 스피커 선택신호를 입력하면 PA시스템(100)의 Off-Hook 출력부(110)를 통하여 Off-Hook 신호를 신호합성출력부(150)로 출력시킨다.
즉, 선실 스피커 선택신호 중에서 임의의 선실(船室: Cabin)을 선택하여 방송할 경우에, 선택신호의 입력을 받아 Off-Hook 출력부(110)를 통해 Off-Hook 신호를 입력받고 전송한다.
동시에, 신호변환부(115)에서도 선택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스피커 군(140)에서의 스피커 선택신호의 선택한 신호에 해당하는 곳(선실 등)에 설치된 전화기(320)에 내장된 전화기 내장 스피커(330)를 동작대기 모드 상태로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DTMF(Dual Tone Multiple Frequency : 2중 톤 다중 주파수) 신호를 송출한다.
상기 신호변환부(115)를 통해 DTMF(Dual Tone Multiple Frequency) 신호를 출력하여 일반방송인지 비상방송인지 구분한다. 비상방송이면, 설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해당하는 전화기(320)의 내장 스피커(330)를 동작대기 모드로 활성화한다.
이와 동시에, 오디오 신호 동기화부(130)를 통하여 오디오 신호를 동기화시킨다.
상기와 같이, 신호합성출력부(150)는 Off- Hook출력부(110)의 Off- Hook 신호와 신호변환부(115)의 DTMF 신호 및 오디오 신호 동기화부(130)에서 동기화된 오디오 신호를 모두 입력받아 순차적으로 자동전화교환기(300)의 신호처리부(310)로 송출한다.
상기 신호처리부(310)에 신호가 전송되면, 방송의 종류(비상방송, 일반방송, 경보방송)를 인식하여 상기 자동전화교환기(300)에 내장된 전화기 내장 스피커(330)를 통하여 인식한 방송의 종류를 송출한다.
따라서, 경보방송이나 비상방송일 경우에 전화기(320)를 들고 통화하는 사람에게도 전화기(320)를 사용하지 않는 사람과 동일하게 방송을 듣고 이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여 비상상황임을 숙지하고, 이에 맞는 적절한 액션을 취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전화기(320)에 내장된 전화기 내장 스피커(330)를 통하여 화재 등과 같은 비상시에 방송하는 비상방송 및 경보방송 등과 같은 알람신호를 출력하게 됨으로 인하여 상기 비상방송이나 Emergency 상황을 송출하는 별도의 스피커 장치 및 스피커를 동작시키기 위한 케이블 포설을 설치하여 고가의 비용이 든다든지, 장소를 차지하게 되는 필요가 없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별도의 스피커가 사용하는 것도 아니고, 선실 등에 설치된 전화기(320)로 출력되므로, 신호 증폭기(180)의 용량도 줄일수 있는 것이다.
또한, 자동전화교환기(300)에 내장, 형성되어 있는 신호처리부(310)는 제어신호송출부(120)의 신호변환부(115)로부터 신호합성출력부(150)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식별하여 상기 자동전화교환기(300)와 연결된 각각의 전화기(320)를 제어하는 것이다. 이하, 상기 신호처리부(310)에서 비상방송과 일반방송을 구분하는 방식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신호처리부(310)의 동작흐름도인데, 도시된 대로 신호처리부(310)는 PA 시스템(100)의 제어신호송출부(120)를 통해 신호를 입력받아 수신된 방송이 비상방송인지, 일반방송인지를 식별 및 구분을 하게 되는 것이다.
만일, 비상방송이 아닌 일반방송일 경우에는 스피커가 동작하지 아니하는 Sleep mode(일반방송일 경우 스피커는 동작하지 않고, 비상방송일 경우에만 스피커를 통한 방송 실행)를 설정해서 야간근무 당직자가 개인 선실에서 휴식을 취할 때, 일반방송시 전화기 내장 스피커(330)를 오프시켜 조용한 상태에서 계속 휴식을 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만일, 비상방송일 경우에는 우선순위를 설정할 수 있게 되는데, 경보방송이나 비상방송이면 강제적인 방송으로 전화기 내장 스피커(330)를 통하여 송출하도록 하는 것이고, 해당 선실의 해당하는 전화기(320)를 선택하여 상기 전화기 내장 스피커(330)를 작동시켜서 해당 전화기(320)를 가지고 통화하는 사람에게 비상상황 등이 발생하였음을 명백하게 인지시켜 주는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방송의 형태는 비상방송, 경보방송, 일반방송의 3가지로 구분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방송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원칙적으로 방송의 우선 순위는 첫째로, 비상방송, 둘째로, 경보방송, 세째로, 일반 방송의 순서이다. 그러나, 상기 우선순위는 자동전화교환기(300)의 설정에 따라 통화의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첫째로, 1.비상방송, 2.경보방송, 3.전화통화, 4.일반방송, 둘째로, 1.비상방송, 2.전화통화, 3.경보방송, 4.일반방송, 셋째로, 1.비상방송, 2.경보방송, 3.일반방송, 4.전화통화의 순서로 서로 방송의 종류와 순서를 변경시켜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전화통화를 하지 않는 전화기(320)는 상기와 같은 우선순위와 무관하게 방송이 가능하지만, 비상방송이나 경보방송이 실행될 경우에는 통화중인 전화기(320)는 중도에 통화가 끊어지고, 상기와 같이 사전에 설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전화기내장 스피커(330)를 통해 방송을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비상방송이나 경보방송이 실행되면, 전화통화와 비상방송이나 경보방송이 동시에 이루어지지 않고, 통화가 잠시 중단되어 비상방송 또는 경보방송을 강제로 실행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선박의 전화기(320)를 이용한 방송시스템(S)을 통한 방송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앞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부분의 설명은 어느 정도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PA시스템(100)의 스피커군 선택부(142)로부터 선실 등의 스피커의 선택신호와 음성입력신호부(160)와 경보신호발생부(170)로부터 증폭된 오디오 신호(음성신호 또는 경보신호)를 스피커구동신호출력부(190)를 통해 제어신호송출부(120)가 수신받게 된다(제1단계).
상기 제1단계는 스피커군 선택버튼(141)을 푸쉬하여 스피커군 선택부(142)를 통하여 스피커 선택신호를 제어신호송출부(120)에 전송하는 것이다. 이때, 선실(船室) 등과 같은 특정구역이 아닌 선실 내부 화장실, 복도, 선미, 선수, 엔진룸 등에 설치된 스피커에 해당할 경우에는 스피커구동신호출력부(190)로 전송하여 스피커 군(140)을 통해 송출한다.
제어신호송출부(120)에서는 상기 오디오 신호 및 상기 스피커 선택신호와 Off-Hook 신호를 자동전화교환기(200)가 인식할 수 있는 신호로 변환하여 신호처리부(310)로 송신한다(제2단계)
신호증폭기(180)를 통하여 증폭되어 가청음으로 출력된 음성신호나 알람신호를 자동전화교환기(300)의 신호처리부(310)에 송신하는 것이다.
상기 신호처리부(310)를 통하여 상기 오디오 신호가 비상방송인지, 일반방송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제3단계).
상기 신호처리부(310)에서는 비상방송(경보방송)인지 일반방송인지를 구분하여, 비상방송이나 경보방송일 경우에는 우선순위로 결정하여 우선순위 설정을 하여 강제방송의 동작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비상방송일 경우의 제4단계에 대한 설명이다.
상기 제3단계에서 비상방송일 경우에 강제방송 동작을 실행하여, 통화중인 전화기는 통화를 차단시키고 전화기 내장 스피커(330)를 통하여 방송을 실행한다(제4단계).
상기 제4단계에서는 비상방송이나 경보방송에 해당하므로 통화중인 전화기(320)의 통화를 강제로 차단시키고, 전화기 내장 스피커(330)를 구동시켜 경보 또는 비상방송을 실행하여 전화통화 중인 사람의 통화를 일시적으로 중단시켜 비상방송을 청취 가능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 일반방송일 경우의 제4단계이다.
상기 제3단계에서 일반 방송일 경우에, 통화중인 전화기(320)에는 방송 실행하지 않고 통화를 유지한다(제4단계). 상기 제4단계에서는 일반방송에 해당하므로 통화중인 전화기(320)는 제어하지 않도록 해서 전화통화에 방해를 주지 않도록 전화통화를 계속 유지시켜 주며, 선실 내부 화장실이나 복도 등의 스피커를 통해서 송출된 방송의 청취 가능한 것이다. 또한, 당직 근무자의 휴식을 위하여 Sleep Mode로 설정된 전화기(320)도 방송을 실행하지 않는다.
상기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선박에서 기관실이나 갑판구역 등의 기계류 공간에 설치된 스피커 군(140)를 통한 화재경보와 같은 비상방송 또는 경보방송을 선실 내의 전화기 내장 스피커(330)를 통하여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선실에 있는 일반전화기(320)를 이용한 전화통화를 할 때, 비상상황이 발생했다 하더라도 그 상황을 분명하게 들을수 있기 때문에, 적합한 조치를 즉각 취할수 있는 선박의 전화기를 이용한 방송시스템(S) 및 방법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스피커 군(140)의 고장 유무를 모니터링하여 고장진단 기능을 갖는 진단장치(500)에 대하여 도 5와 도 6을 첨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센서부(510)와 스피커군(140)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진단장치(500)의 구성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피커부(140)에서 방송신호에 따라 스피커 군(140)이 동작하여 방송을 실시하고, 이와 동시에 센서부(510), 센싱 검출부(520), 입력단(530), 컨트롤러(550), 표시부(560) 및 결과 송신부(570)로 이루어진 진단장치(500)가 동작한다.
참고로, 상기 도 5에 도시된 스피커는 다수개의 스피커 군(140) 중에서 임의의 하나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진단장치(500)의 센서부(510)가 스피커 군(140)의 출력 음압을 검출하여, 검출된 출력 음압은 센싱 검출부(520)를 통해 센싱 결과 신호를 생성한다.
이때, 센싱 결과 신호는 음압 파형 데이터인 것이 효과적이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음파의 고저값 데이터일 수도 있다.
입력단(530)은 신호라인(미도시)을 통해 제공된 안내 방송 신호에 따라 진단장치(500)의 컨트롤러(550)에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진단장치(500)를 동작시킨다.
그리고, 입력된 안내 방송 신호에서 현재 방송되는 안내 방송의 파형 정보를 추출한다. 추출된 파형 정보를 정형화된 기준 신호 정보로 컨트롤러(550)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기준 신호 정보는 입력된 방송 신호의 음파 고저값이다.
상기 컨트롤러(550)는 상기 입력단(530)을 통해 제공된 기준 신호 정보와 센싱 검출부(520)에 의해 센싱된 센싱 결과 정보를 비교하여 스피커부(140)의 고장 유무를 판단한다.
기준 신호 정보 대비 센싱 결과 정보가 총 100%라고 가정하면, 80% 이상 일치하는 경우에는 정상으로 판단하고, 50% 이상일 경우에는 점검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고, 50% 이하일 경우에는 스피커 군(140)에 속한 스피커 중에서 불량이 발생함으로 판단한다. 상기와 같은 %의 수치 결과는 많은 데이터와 실험에 의한 임계적 수치이다.
이때, 파형 정보를 이용하는 경우, 상기 범위에 따라 파형이 왜곡되거나 차이가 발생할 경우에는 정상적인 스피커 군(140)의 동작이 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파의 고저값일 경우, 스피커 출력이 정상적으로 출력되지 않고, 낮게 출력될 수도 있다.
컨트롤러(550)의 판단결과 고장일 경우에는 표시부(560)를 통해 고장이 발생한 스피커 군(140)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여러개의 스피커 군(140)에는 도 5에 도시된 대로, 센서부(510)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센서부(510)에는 각각의 스피커에 일련번호가 기재되어 상기 스피커 군(140)의 여러 스피커 중에서 어느 스피커가 고장인지 바로 알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결과 송신부(570)를 통해 관리부(미도시)에 고장 발생 여부를 통지하여 관리자가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내용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기술한 실시 예는 예시된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PA 시스템 110 : Off hook 출력부
115 : 신호변환부 120 : 제어신호송출부
130 : 오디오신호 동기화부 140 : 스피커 군
141 : 스피커군 선택버튼 142 : 스피커군 선택부
150 : 신호합성출력부 160 : 음성신호입력부
170 : 경보신호발생부 180 : 신호증폭기
190 : 스피커 구동신호출력부 300 : 자동전화교환기
310 : 신호처리부 320 : 전화기
330 : 전화기 내장 스피커 500 : 진단장치
510 : 센서부 520 : 센싱검출부
530 : 입력단 550 : 컨트롤러
560 : 표시부 570 : 결과송신부
S : 선박의 전화기를 이용한 방송시스템

Claims (5)

  1. 스피커 군 선택부에 의한 스피커 선택신호를 전송받고, 스피커 구동신호 출력부로부터 음성신호와 경보신호를 받아서 신호처리부로 전송하는 제어신호송출부를 구비하여, 음성신호입력부와 경보신호발생부로부터 발생하는 음성신호와 경보신호를 신호증폭기를 통하여 증폭시켜서, 상기 제어신호송출부와 스피커 군으로 전송시키는 스피커 구동신호 출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PA시스템; 및
    상기 제어신호송출부로부터 출력을 받는 신호처리부가 내장되어 있으며, 선박 내에서의 통화를 위한 다수의 전화기가 연결, 형성되어 있는 자동전화교환기; 를 포함하는 선박의 전화기를 이용한 방송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PA시스템과 상기 자동전화교환기는,
    상기 신호처리부에 의해 상호 간에 연결하여 상기 전화기를 구동시켜 방송을 실행하고,
    상기 PA시스템의 상기 제어신호송출부는,
    상기 스피커 군 선택부를 통해서 스피커 선택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자동전화교환기를 구동시키기 위하여 Off-hook를 출력하는 Off-hook 출력부;
    상기 입력된 스피커 선택신호로부터 일반방송 또는 비상방송의 여부를 구별하여 신호합성출력부로 전송하고, 전화기 내장 스피커를 동작대기 상태로 유지하기 위하여 DTMF 신호를 송출하는 신호변환부;
    상기 스피커 구동신호 출력부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오디오 신호를 음성신호 또는 경보신호로 변환하여 신호합성출력부로 송출하는 오디오 신호 동기화부;
    상기 신호변환부로부터 변환된 음성신호 또는 경보신호를 전달받으면 상기 음성신호 또는 상기 경보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자동전화교환기로 전달하는 신호합성출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신호합성출력부는 상기 자동전화교환기의 신호처리부에 신호를 인가하여 출력시키며,
    스피커 구동신호 출력부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은 상기 오디오 신호 동기화부는 상기 오디오 신호를 음성신호 또는 경보신호로 변환시켜 신호합성출력부로 송출하며,
    상기 오디오 신호 동기화부는 상기 자동전화교환기의 상기 오디오 신호 처리에 의하여 발생하는 스피커 군과 전화기에 내장된 스피커 간에 딜레이 타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자동전화교환기의 상기 신호처리부는,
    a) 상기 PA 시스템의 제어신호송출부를 통해 신호를 입력받아 수신 방송이 비상방송인지, 일반방송인지를 식별 및 구분하여, 비상방송이나 경보방송일 경우에는 우선순위로 결정하여 우선순위 설정을 하여 강제방송의 동작 기능을 수행하고,
    b) 상기 자동전화교환기에 내장한 전화기 내장 스피커를 통하여 인식한 방송의 종류를 송출하고,
    c) 상기 방송의 종류가 비상방송 또는 경보방송일 경우에는 강제방송 동작을 실행하여, 통화중인 전화기는 통화를 차단시키고 전화기 내장 스피커를 통하여 방송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전화기를 이용한 방송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부는 상기 제어신호송출부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식별하여, 상기 전화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전화기를 이용한 방송시스템.
  4. 삭제
  5. 삭제
KR1020210000633A 2021-01-05 2021-01-05 선박의 전화기를 이용한 방송시스템과 방법 KR1023239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0633A KR102323996B1 (ko) 2021-01-05 2021-01-05 선박의 전화기를 이용한 방송시스템과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0633A KR102323996B1 (ko) 2021-01-05 2021-01-05 선박의 전화기를 이용한 방송시스템과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3996B1 true KR102323996B1 (ko) 2021-11-10

Family

ID=78500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0633A KR102323996B1 (ko) 2021-01-05 2021-01-05 선박의 전화기를 이용한 방송시스템과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399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21850A (ja) * 1994-01-31 1995-08-18 Shimizu Corp 非常放送システム
KR970012660A (ko) * 1995-08-29 1997-03-29 배순훈 호출기능이 구비된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장치 및 호출방법
KR20120015051A (ko) 2010-08-11 2012-02-2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알람 방송 시스템 및 방법
KR101565710B1 (ko) * 2014-09-29 2015-11-04 김홍기 선박용 비상전화장치
KR20160005591A (ko) 2014-07-07 2016-01-15 주식회사에프지일렉트릭 고장진단모듈을 탑재한 선박용 방송시스템 및 고장진단 방법
KR20170017966A (ko) 2017-02-02 2017-02-15 김홍기 해양 구조물 및 선박 방송 시스템의 방송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21850A (ja) * 1994-01-31 1995-08-18 Shimizu Corp 非常放送システム
KR970012660A (ko) * 1995-08-29 1997-03-29 배순훈 호출기능이 구비된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장치 및 호출방법
KR20120015051A (ko) 2010-08-11 2012-02-2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알람 방송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05591A (ko) 2014-07-07 2016-01-15 주식회사에프지일렉트릭 고장진단모듈을 탑재한 선박용 방송시스템 및 고장진단 방법
KR101565710B1 (ko) * 2014-09-29 2015-11-04 김홍기 선박용 비상전화장치
KR20170017966A (ko) 2017-02-02 2017-02-15 김홍기 해양 구조물 및 선박 방송 시스템의 방송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371324A1 (en) Suppression of voice response by device rendering trigger audio
CN110366156B (zh) 通讯处理方法、装置、设备、存储介质及音频管理系统
JP5021933B2 (ja) 集合住宅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EP1139684A1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switching operation mode of portable mobile communication unit
KR101293244B1 (ko) 소비전력 절감 전관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23996B1 (ko) 선박의 전화기를 이용한 방송시스템과 방법
JP3328570B2 (ja) ハンズフリー装置
WO2008079499A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a communication session
JP3010357B1 (ja) スピーカラインの検査装置
KR20120015051A (ko) 선박 알람 방송 시스템 및 방법
US20120149344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mote Notification and Answering of a Visitor at a Dooor
KR20150044555A (ko) 운행모드에 대응하는 비상통화 연결을 하는 원격지 비상통화 시스템
JP3906365B2 (ja) 防災システム
JP2010028686A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4579610B2 (ja) 集合住宅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WO2012096087A1 (ja) 無線通信システム
JP2011049959A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US20230125575A1 (en) Fire panel audio interface
JPH09295575A (ja) 鉄道車両用の非常通報システム
JP7146948B2 (ja) 通話システム、中央制御装置、端末局装置及び通話制御方法
KR102072305B1 (ko) 승강기용 비상 전화기의 설정값 모니터링 방법
JP4392710B2 (ja) ハンズフリーホンシステム
JP2874823B2 (ja) 電話装置
JP6963717B2 (ja) 鉄道車両の火災報知システム
JP6666742B2 (ja) 通信装置および通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