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5661B1 - 전관방송 시스템에 부가되는 스피커 스위치 및 제어기 - Google Patents

전관방송 시스템에 부가되는 스피커 스위치 및 제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5661B1
KR101605661B1 KR1020150156049A KR20150156049A KR101605661B1 KR 101605661 B1 KR101605661 B1 KR 101605661B1 KR 1020150156049 A KR1020150156049 A KR 1020150156049A KR 20150156049 A KR20150156049 A KR 20150156049A KR 101605661 B1 KR101605661 B1 KR 1016056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aker
broadcasting
switch
public address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6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문만
정경권
문기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트론
허문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트론, 허문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트론
Priority to KR10201501560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56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5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5661B1/ko
Priority to PCT/KR2016/009633 priority patent/WO201707826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7/00Public address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9/00Monitoring arrangements; Testing arrangements
    • H04R29/007Monitoring arrangements; Testing arrangements for public address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관방송(public address) 시스템에 부가되는 스피커 스위치 및 제어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에 이미 설치된 전관방송 시스템의 구성품인 다수의 종단 스피커의 입력단에, 상기 종단 스피커로 전송되는 오디오 신호를 연결하거나 차단하기 위한 스피커 스위치를 추가적으로 장착하고, 상기 스피커 스위치를 개별 내지는 그룹별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를 중앙통제장비에 추가적으로 설치하여, 중앙통제장비와 종단 스피커 간에 이미 포설된 기존의 방송선로를 통해서 제어신호를 전달함으로써, 상기 스피커 스위치를 제어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스위치는 대역통과필터(band-pass filter), 진폭편이방식(amplitude shift keying, ASK) 복조기(demodulator), 마이크로 제어장치(micro-controller unit, MCU), 릴레이 스위치(relay switch), 의사 부하(dummy load), DIP(dual in-line package) 스위치, 그리고 DC 전력 어댑터(DC power adaptor)를 포함하며, 본 발명에 따른 제어기는 진폭편이방식(ASK) 변조기(modulator), 반송파신호 발생기(carrier signal generator)), 제어신호 발생기(control signal generator), 다수의 버튼 스위치를 구비하는 개별/그룹별 선택기(unit/group selector), 와이파이(Wi-Fi) 모듈, 그리고 외부입력(USB)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해서, 단일 방송선로와 1개의 오디오 전력증폭기(audio power amplifier)로 구성되어 있는 구식의 전관방송 시스템을, 새로운 방송선로의 그룹별 포설과 릴레이 그룹(relay group) 내지는 다수의 오디오 전력증폭기의 추가적인 장치 없이도, 특정 층이나 특정 지역별로 방송할 수 있는 그룹방송이 가능한 진보된 전관방송 시스템으로 개조할 수 있다.
따라서, 방송선로의 대대적인 교체나 새로운 포설공사, 그리고 고가의 추가적인 장치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전관방송 시스템의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전관방송 시스템에 부가되는 스피커 스위치 및 제어기 {Speaker switches and controller attached to public address system}
본 발명은 전관방송(public address) 시스템에 부가되는 스피커 스위치 및 제어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에 이미 설치된 전관방송 시스템의 구성품인 다수의 종단 스피커의 입력단에, 상기 종단 스피커로 전송되는 오디오 신호를 연결하거나 차단하기 위한 스피커 스위치를 추가적으로 장착하고, 상기 스피커 스위치를 개별 내지는 그룹별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를 중앙통제장비에 추가적으로 설치하여, 중앙통제장비와 종단 스피커 간에 이미 포설된 기존의 방송선로를 통해서 제어신호를 전달함으로써, 상기 스피커 스위치를 제어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관방송 시스템은 학교, 아파트, 백화점, 쇼핑몰, 사무실 빌딩 등의 대형 건물이나 놀이공원, 스키장, 스포츠 경기장 등의 넓은 지역에 음악, 안내방송, 비상방송 등의 음성정보를 중앙통제장비에서의 간단한 조작만으로 전달할 수 있는 방송 시스템이다.
초기에는 마이크로폰을 통한 음성과 화재수신반을 통한 비상 음성정보를 방송하는 역할을 담당하였으나, 현재는 라디오 방송, TV음향, CD플레이어, MP3플레이어 등의 다양한 음원(sound source)을 방송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발전되었다.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전관방송 시스템은 전체 건물 또는 전체 지역에 동일한 음성정보를 동시에 전달하는 기능을 갖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중앙통제장비에 구비되는 1개의 오디오 전력증폭기(audio power amplifier), 전체 음성정보 송출지역을 단일 선로로 모두 연결한 방송선로, 그리고 단일 방송선로에 병렬로 연결된 다수의 종단 스피커로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단일 방송선로와 1개의 오디오 전력증폭기로 구성되어 있는 구식의 전관방송 시스템에서는 원하는 특정 층이나 특정 지역에만 음성정보를 송출하고 그 외의 다른 지역은 송출하지 않는 그룹방송이 근본적으로 불가능하다.
그룹방송은 전체 학교에서 각 학년별 방송, 전체 아파트에서 동별 방송, 전체 사무실 빌딩에서 각 부서별 또는 각 회사별 방송, 그리고 비상방송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202) 고시에서 화재 시 층별 경보 방송 등 다양한 경우에서 필요하지만, 건축된 지 비교적 오래된 건물에서는 상기 구식의 전관방송 시스템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방송선로를 그룹별로 새로 포설하고 릴레이 그룹(relay group) 내지는 다수의 오디오 전력증폭기를 추가해야만 그룹방송이 가능하다.
따라서, 단일 방송선로와 1개의 오디오 전력증폭기로 구성되어 있는 구식의 전관방송 시스템을, 새로운 방송선로의 그룹별 포설과 비교적 고가의 릴레이 그룹 내지는 다수의 오디오 전력증폭기의 추가 없이도, 특정 층이나 특정 지역별로 방송할 수 있는 그룹방송이 가능한 진보된 전관방송 시스템으로 개조하기 위한 새로운 장치 및 그 방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현재 그룹방송이 가능한 진보된 또는 최신의 전관방송 시스템이라도 각 그룹 내에서 더 세부적으로 각 종단 스피커를 구별하여 방송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동일한 장치 및 그 방법의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 기존에 이미 설치된 전관방송 시스템의 구성품인 다수의 종단 스피커의 입력단에, 상기 종단 스피커로 전송되는 오디오 신호를 연결하거나 차단하기 위한 스피커 스위치를 추가적으로 장착하고, 상기 스피커 스위치를 개별 내지는 그룹별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를 중앙통제장비에 추가적으로 설치하여, 중앙통제장비와 종단 스피커 간에 이미 포설된 기존의 방송선로를 통해서 상기 스피커 스위치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전달하였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단일 방송선로와 1개의 오디오 전력증폭기로 구성되어 있는 구식의 전관방송 시스템을, 새로운 방송선로의 그룹별 포설과 릴레이 그룹 내지는 오디오 전력증폭기의 추가 없이도, 특정 층이나 특정 지역별로 방송할 수 있는 그룹방송이 가능한 전관방송 시스템으로 개조하기 위한 스피커 스위치 및 제어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큰 비용이 소요되는 방송선로의 새로운 그룹별 포설과 고가의 추가적인 장치 없이도 비교적 간단한 스피커 스위치의 장착과 제어기만 추가하여 그룹방송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하드웨어(hardware)의 구성 때문에 그룹방송이 물리적으로 불가능한 구식의 전관방송 시스템을 저렴한 비용으로 그룹방송이 가능한 진보된 전관방송 시스템으로 개조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스위치는 릴레이 동작신호에 따라 방송선로를 통해 전송되는 오디오 신호를 종단 스피커에 연결하거나 또는 의사 부하(dummy load)에 연결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릴레이 스위치(relay switch), 방송선로를 통해 전달되는 제어신호와 오디오 신호에서 제어신호만을 분리하기 위한 대역통과필터(band-pass filter), 분리된 제어신호로부터 디지털 신호를 추출하기 위한 복조기(demodulator), 추출된 디지털 신호와 해당 스피커 스위치에 할당된 개별/그룹별 아이디(ID)를 비교하여 동일한 아이디(ID)임을 판단하고, 동일한 아이디(ID)인 경우에 명령어 정보에 따라 상기 릴레이 스위치의 동작을 결정하는 릴레이 동작신호를 전달하는 일련의 기능들을 수행하는 마이크로 제어장치(micro-controller unit, MCU), 상기 릴레이 스위치가 종단 스피커를 차단하는 상태에서, 종단 스피커에 전송되는 오디오 신호를 종단(termination)하기 위한 의사 부하, 송출지역에서 종단 스피커가 설치된 위치를 고려하여 상기 스피커 스위치의 개별/그룹별 아이디(ID)를 설정하는 DIP(dual in-line package) 스위치, 상기 대역통과필터, 복조기, 마이크로 제어장치(MCU)에 DC 전원을 공급해 주는 DC 전력 어댑터(DC power adaptor)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어기는 종단 스피커의 개별/그룹별 아이디(ID)를 나타내는 디지털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신호 발생기(control signal generator), 전관방송 시스템의 방송선로를 통해서 제어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반송파(carrier)를 발생하는 반송파신호 발생기(carrier signal generator), 반송파신호에 디지털 신호를 싣기 위한 변조기(modulator), 음성정보를 방송할 종단 스피커를 사용자가 다수의 버튼 스위치를 통해서 개별 내지는 그룹별로 선택하는 개별/그룹별 선택기(unit/group selector), 상기 개별/그룹별 선택기에 구비되는 다수의 버튼 스위치를 다수의 종단 스피커와 개별 내지는 그룹별로 초기 설정하기 위해서, 노트북 또는 무선 단말기 등에 설치된 외부 프로그램과 무선 내지는 유선으로 연결하기 위한 와이파이(Wi-Fi) 모듈과 외부입력(USB)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관방송 시스템에 부가되는 스피커 스위치와 제어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단일 방송선로와 1개의 오디오 전력증폭기의 구성 때문에, 그룹방송이 물리적으로 불가능한 종래의 구식의 전관방송 시스템을 그룹방송이 가능한 진보된 전관방송 시스템으로 개조할 수 있다.
둘째, 그룹방송이 가능한 진보된 전관방송 시스템으로 개조할 때, 큰 비용이 소요되는 방송선로의 새로운 그룹별 포설이나 고가의 장치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개조가 가능하다.
셋째, 구식의 전관방송 시스템이 구비된 건물의 주인이나 관리자가 비상방송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202) 고시와 같이 반드시 준수해야 하는 규정을 지킬 수 있도록 하는 합리적인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관반송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의 전관방송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종래의 전관방송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스위치와 제어기가 부가된 전관방송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스위치에 공급되는 제어신호에 포함된 디지털 정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종래의 전관방송 시스템에 부가되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스위치의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종래의 전관방송 시스템에 부가되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기의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스위치와 제어기가 부가된 전관방송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스위치와 제어기가 부가된 전관방송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스위치의 제품 형상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기의 제품 형상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서,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서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관방송 시스템에 부가되는 스피커 스위치 및 제어기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 기술한 "구식의", "진보된", "최신의"이라는 단어는 하드웨어 구성이 서로 다른 전관방송 시스템을 구분하기 위해 임의적이고 편의적으로 사용한 단어로서, 실제 구식의, 진보된, 또는 최신의 전관방송 시스템을 객관적으로 정의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종래의 전관방송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그림이다.
전관방송 시스템은 학교, 아파트, 백화점, 쇼핑몰, 사무실 빌딩 등의 대형 건물이나 놀이공원, 스키장, 스포츠 경기장 등의 넓은 지역 등과 같은 송출지역(101)에 음악, 안내방송, 비상방송 등의 음성정보를 중앙통제장비(102)의 간단한 조작으로 전달할 수 있는 방송 시스템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관방송 시스템은 전체 건물 또는 전체 지역의 음성정보 송출지역(101)에 동일한 음성정보를 전달하는 기능을 갖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1개의 오디오 전력증폭기(103), 음성정보 송출지역(101) 전체를 단일 선로로 모두 연결한 방송선로(104), 그리고 병렬로 연결된 다수의 종단 스피커(105)로 구성되어 있으며, 마이크로폰(106)을 통한 음성과 화재수신반(107)과 같은 비상방송설비를 통한 비상 음성정보를 방송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중앙통제장비(102)의 오디오 제어장치(108)는 마이크로폰(106)과 화재수신반(107)의 오디오 신호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오디오 신호의 음량 및 음질을 조절하여 오디오 전력증폭기(103)로 보낸다.
그리고, 오디오 전력증폭기(103)는 송출지역(101)에 설치된 다수의 종단 스피커(105)에 모두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서 필요한 전력(각 종단 스피커의 전력 X 종단 스피커의 수)으로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며, 증폭된 오디오 신호는 방송선로(104)를 통해 전송되기 전에 변압기(109)에 의해 전압이 승압(일반적으로 100V)된다.
전관방송 시스템은 전체 건물(101) 또는 전체 지역(101)을 모두 연결한 상당히 긴 길이의 방송선로(104)에 다수의 종단 스피커(105)가 병렬로 연결된 구조이기 때문에, 방송선로(104)의 경로 손실을 줄이고 병렬의 종단 스피커(105)들의 낮은 저항으로 인한 오디오 전력증폭기(103)의 과부하를 방지하기 위해서, 중앙통제장비(102)에서 오디오 신호의 전압을 승압하여 송신하고 각 종단 스피커(105)의 변압기에서 다시 감압하여 오디오 신호를 수신한다.
도 1에 도시한 단일 방송선로(104)와 1개의 오디오 전력증폭기(103)로 구성된 전관방송 시스템은 가장 기본적이고 단순한 구성으로서, 전관방송 시스템이 적용되기 시작한 때부터 비교적 최근까지도 적용된 시스템이며, 대다수의 학교나 오래된 저층의 건물에서는 이러한 구식의 전관방송 시스템이 설치되어 있다.
전체 건물(101) 또는 전체 지역(101)에 상기 구식의 전관방송 시스템이 설치되어 있다 하더라도, 어떤 목적이나 이유에 의해서 특정 층이나 특정 지역에만 음성정보를 방송하고 그 외의 다른 층이나 지역은 방송하지 않는 그룹방송이 요구된다.
상기 그룹방송은 전체 학교에서 각 학년별 방송, 전체 아파트에서 동별 방송, 전체 사무실 빌딩에서 각 부서별 또는 각 회사별 방송, 그리고 비상방송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202) 고시에서 화재 시 층별 경보 방송 등 다양한 경우에서 필요하다.
하지만, 도 1에 도시한 단일 방송선로(104)와 1개의 오디오 전력증폭기(103)로 구성되어 있는 구식의 전관방송 시스템에서는 하드웨어 구성의 한계 때문에, 원하는 특정 층별 또는 지역별로 방송하는 그룹방송이 근본적으로 불가능하다.
따라서, 구식의 전관방송 시스템이 그룹방송을 하기 위해서는, 그룹방송이 물리적으로 가능하도록 그룹별 방송선로를 송출지역에 새롭게 포설하고 릴레이 그룹 내지는 다수의 오디오 전력증폭기를 중앙통제장치에 추가하는 수단이 필요하다.
도 2는 종래의 전관방송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그림으로서, 도 1에 도시한 구식의 전관방송 시스템보다 진보된 전관방송 시스템의 실시예이다.
도 2에 도시한 진보된 전관방송 시스템은 전체 건물 또는 전체 지역의 음성정보 송출지역(201)을 각 층별 내지는 각 지역별(202a,202b,202c,202d)로 나누어서 각각의 층 내지는 지역을 독립적으로 연결하는 각각의 방송선로(203a,203b,203c,203d)를 구성하고, 각각의 그룹별 방송선로(203a,203b,203c,203d)를 중앙통제장비(204)의 주선로(main line)(205)와 연결하거나 차단할 수 있는 다수의 스위치(206a,206b,206c,206d)가 구비된 릴레이 그룹(206)을 포함한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구식의 전관방송 시스템이 마이크로폰(106)을 통한 음성과 화재수신반(107)을 통한 비상 음성정보 만을 방송하는 것에 비해서, 도 2의 진보된 전관방송 시스템은 마이크로폰(207)을 통한 음성과 화재수신반(208)을 통한 비상 음성정보 뿐만 아니라, CD플레이어(209), 카세트 데크(210), 튜너(211), 무선 마이크(212) 등과 같은 다양한 음원을 방송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발전되었다.
그리고, 도 2에 도시한 진보된 전관방송 시스템에 구비된 오디오 전력증폭기(213), 변압기(214), 그리고 오디오 제어장치(215)는 도 1에 도시한 구식의 전관방송 시스템의 오디오 전력증폭기(103), 변압기(109), 오디오 제어장치(108)와 동일한 역할과 기능을 수행한다.
도 2에 도시한 진보된 전관방송 시스템은 그룹방송이 가능한 시스템이기 때문에, 지역(그룹)선택 기기(216)를 구비하고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각각의 스위치(206a,206b,206c,206d)를 연결하거나 차단하여 필요한 그룹(202a,202b,202c,202d)의 방송선로(203a,203b,203c,203d)에만 오디오 신호를 전송한다.
예를 들어, 그룹D(4층/4지역)(202d)에만 음성정보를 방송하고 싶다면, 지역(그룹)선택 기기(216)를 통해서 그룹D(4층/4지역)(202d)의 방송선로(203d)와 연결된 스위치(206d)만 연결시키고 나머지 스위치(206a,206b,206c)는 차단하도록 설정한 다음에, 오디오 제어장치(215)로부터 선택된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전력증폭기(213)와 변압기(214), 그리고 주선로(205)를 통해서 전송하면 그룹D(4층/4지역)(202d)와 연결된 스위치(206d)를 거쳐서 그룹D(4층/4지역)(202d)의 종단 스피커(217a,217b,217c,217d)에만 오디오 신호가 전송된다.
상기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보된 전관방송 시스템은 다양한 음원발생장치(218)의 선택, 지역(그룹)선택 기기(216)의 제어, 오디오 제어장치(215)의 설정, 화재수신반(208)의 자동실행 등 다양한 장치를 모두 제어하거나 설정해야 하기 때문에, 각각의 장치에서 별도로 제어하거나 설정하는 것은 매우 불편하고 복잡하다.
따라서, 별도의 시스템 제어장치(219)를 구비하여 다수의 장치를 각각 제어하거나 설정하며, 사용자는 관리 컴퓨터(220)에 구비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전관방송 시스템의 중앙통제장비(204)를 모두 통제할 수 있다.
하지만, 도 2에 도시한 각 그룹별 방송선로(203a,203b,203c,203d), 1개의 릴레이 그룹(206), 그리고 1개의 오디오 전력증폭기(213)로 구성되어 있는 진보된 전관방송 시스템은 각 그룹별로 방송하는 그룹방송은 가능하지만, 각 그룹별로 동시에 서로 다른 오디오 신호를 방송하는 다원화(multi-channel)방송은 하드웨어 구성의 한계로 인하여 이 역시 근본적으로 불가능하다.
따라서, 도 2에 도시한 그룹방송이 가능한 진보된 전관방송 시스템은 그룹방송과 다원화방송이 모두 가능한 최신의 전관방송 시스템으로 더 발전되었다.
도 3는 종래의 전관방송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그림으로서, 도 2에 도시한 그룹방송이 가능한 진보된 전관방송 시스템보다 더 발전된 그룹방송과 다원화방송이 모두 가능한 최신의 전관방송 시스템의 실시예이다.
도 3에 도시한 최신의 전관방송 시스템은 도 2에 도시한 진보된 전관방송 시스템과 마찬가지로, 전체 건물 또는 전체 지역의 음성정보 송출지역(301)을 각 층별 내지는 각 지역별(302a,302b,302c,302d)로 나누어서 각각의 층 내지는 지역을 독립적으로 연결하는 각각의 방송선로(303a,303b,303c,303d)를 구성한다.
하지만, 도 2에서 도시한 진보된 전관방송 시스템이 릴레이 그룹(206)으로 각 그룹별 방송선로(203a,203b,203c,203d)를 선택하는 것에 비하여, 도 3에 도시한 최신의 전관방송 시스템은 각 그룹별 방송선로(303a,303b,303c,303d)에 별도의 오디오 전력증폭기(304a,304b,304d,304d)와 변압기(305a,305b,305c,305d)를 각각 연결한다.
상기 오디오 전력증폭기(304a,304b,304d,304d) 및 변압기(305a,305b,305c,305d)는 도 1에 도시한 구식의 전관방송 시스템과 도 2에 도시한 진보된 전관방송 시스템의 오디오 전력증폭기(103,213) 및 변압기(109,214)와 동일한 역할과 기능을 수행한다.
도 3에 도시한 최신의 전관방송 시스템에서는 지역(그룹)선택 기기(306)에 의해서 사용자가 선택한 그룹(302a,302b,302c,302d)에 연결된 오디오 전력증폭기(304a,304b,304d,304d)만 동작하고 나머지 오디오 전력증폭기(304a,304b,304d,304d)는 동작하지 않음으로써, 선택된 그룹(302a,302b,302c,302d)에만 방송할 수 있는 그룹방송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그룹D(4층/4지역)(302d)에만 음성정보를 방송하고 싶다면, 지역(그룹)선택 기기(306)를 통해서 그룹D(4층/4지역)(302d)의 방송선로(303d)와 연결된 오디오 전력증폭기(304d)만 동작시키고 나머지 오디오 전력증폭기(304a,304b,304c)는 동작하지 않도록 설정한 다음에, 오디오 제어장치(307)로부터 선택된 오디오 신호를 해당 오디오 전력증폭기(304d)와 변압기(305d), 그리고 방송선로(303d)를 통해서 전송하면, 그룹D(4층/4지역)(302d)의 종단 스피커(308a,308b,308c,308d)에만 오디오 신호가 방송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한 진보된 전관방송 시스템과 마찬가지로 도 3에 도시한 최신의 전관방송 시스템도 마이크로폰(309)을 통한 음성과 화재수신반(310)을 통한 비상 음성정보 뿐만 아니라, CD플레이어(311), 카세트 데크(312), 튜너(313), 무선 마이크(314) 등과 같은 다양한 음원을 방송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시스템 제어장치(315)를 구비하여 다수의 장치를 각각 제어하거나 설정하며, 사용자는 관리 컴퓨터(316)에 구비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전관방송 시스템의 중앙통제장비(317)를 통제할 수 있다.
상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신의 전관방송 시스템은 각각의 그룹(302a,302b,302c,302d)별로 별도의 오디오 전력증폭기(304a,304b,304d,304d)가 독립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각각의 오디오 전력증폭기(304a,304b,304d,304d)는 오디오 제어장치(307)로부터 각각의 오디오 신호를 독립적으로 받을 수 있다.
그러므로, 오디오 제어장치(307)는 시스템 제어장치(315)의 명령에 의해서 각각의 오디오 전력증폭기(304a,304b,304d,304d)에 서로 다른 음원(309,310,311,312,313,314)을 동시에 전달할 수도 있다.
따라서, 도 3에 도시한 최신의 전관방송 시스템은 선택된 그룹에만 방송하는 그룹방송도 가능하고 각 그룹별로 서로 다른 음성정보를 동시에 방송하는 다원화방송도 가능하게 된다.
전관방송 시스템에 의한 다원화방송은 아직까지는 활발하게 요구되고 있지는 않으나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전관방송 시스템에 의한 그룹방송은 다양한 경우에서 요구되고 있으며, 특히 비상방송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202) 고시에 의거한 화재 시 층별 경보 방송은 모든 건물에서 반드시 실시되어야만 한다.
하지만, 도 1에 도시한 단일 방송선로와 1개의 오디오 전력증폭기로 구성되어 있는 구식의 전관방송 시스템은 하드웨어 구성의 한계에 의해서 원하는 특정 층별 또는 지역별로 방송하는 그룹방송은 근본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에, 도 2에 도시한 진보된 전관방송 시스템 내지는 도 3에 도시한 최신의 전관방송 시스템으로 전환해야 하다.
상기 전환 작업은 전체 송출지역을 하나로 연결한 단일 방송선로를 그룹별로 각각 연결된 방송선로로 나누는 포설공사를 반드시 진행해야 하며, 이 포설공사는 전체 건물 또는 전체 지역에 방송선로를 다시 포설해야 하는 작업으로서, 상당히 많은 비용과 노력을 필요로 한다.
그리고, 포설공사와는 별개로 고가의 릴레이 그룹 내지는 다수의 오디오 전력증폭기가 추가되어야 하기 때문에, 방송선로 포설 공사비에 더해서 추가적인 장치 비용이 또 소요된다.
따라서, 도 1에 도시한 단일 방송선로와 1개의 오디오 전력증폭기로 구성되어 있는 구식의 전관방송 시스템을, 새로운 방송선로의 그룹별 포설공사와 고가의 릴레이 그룹 내지는 다수의 오디오 전력증폭기의 추가 없이도, 특정 층이나 특정 지역별로 방송할 수 있는 그룹방송이 가능한 진보된 전관방송 시스템으로 개조하기 위한 새로운 장치 및 그 방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스위치와 제어기가 부가된 전관방송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그림으로서, 종래의 단일 방송선로와 1개의 오디오 전력증폭기로 구성되어 있는 구식의 전관방송 시스템에 부가된 예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스위치(401)는 구식의 전관방송 시스템의 음성정보 송출지역(402)에 있는 다수의 종단 스피커(403)의 입력단에 추가적으로 장착되고, 본 발명에 따른 제어기(404)는 구식의 전관방송 시스템의 중앙통제장비(405)에 추가적으로 설치된다.
상기 스피커 스위치가 추가적으로 장착되는 종단 스피커의 송출지역에서의 위치를 고려하여, 각각의 스피커 스위치는 8비트(bit)의 그룹별 아이디(ID)와 8비트의 개별 아이디가(ID)가 사용자에 의해 부여되어 총 16비트의 스피커 스위치 아이디(ID)를 가지며, 따라서 전체 65,536개의 종단 스피커를 아이디(ID)에 의해 각각 구별하고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그룹별 아이디(ID)를 이용하여 지정된 그룹에 속한 모든 종단 스피커에 오디오 신호를 연결하거나 차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그룹D(4층/4지역)(406d)의 4번째 종단 스피커(407)만을 켜거나 끄고 싶다면, 그 종단 스피커(407)에 연결된 스피커 스위치(408)의 개별/그룹별 아이디(ID)와 개별(스피커)제어 명령어를 제어신호로 전송하면, 그 종단 스피커(407)에 전송되는 오디오 신호를 연결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그룹C(3층/3지역)(406c)의 모든 종단 스피커(409a,409b,409c,409d)를 모두 켜거나 끄고 싶다면, 그 그룹C(3층/3지역)(406c)의 모든 스피커 스위치(410a,410b,410c,410d)가 공통으로 가지는 그룹별 아이디(ID)와 [0000000]의 개별 아이디(ID), 그리고 그룹(스피커)제어 명령어를 제어신호로 전송하면, 그 그룹C(3층/3지역)(406c)에 연결된 모든 종단 스피커(409a,409b,409c,409d)에 전달되는 오디오 신호를 연결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만약 중앙통제실, 로비, 경비실 등과 같이 항상 음성정보가 방송되어도 상관없는 공간의 종단 스피커(411a,411b)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스위치를 부가적으로 장착하지 않음으로써, 제어신호와 상관없이 항상 오디오 신호가 종단 스피커(411a,411b)에 전송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스위치(401)를 제어하기 위하여, 개별/그룹별 아이디(ID)와 명령어를 포함한 제어신호를 다른 새로운 전송선로를 통해서 각 스피커 스위치(401)로 전달한다며, 이 역시 새로운 선로의 포설이 필요하게 되므로 본 발명의 효과를 나타낼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스위치(401) 및 제어기(404)는 개별/그룹별 아이디(ID)와 명령어를 포함한 제어신호를 기존에 이미 포설된 전관방송 시스템의 방송선로(412)를 통해서 전달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여기서, 기존에 이미 포설된 전관방송 시스템의 방송선로(412)는 20Hz로부터 20kHz까지의 주파수를 갖는 오디오 신호가 전송되기 때문에, 동일한 방송선로(412)를 사용하는 제어신호는 오디오 신호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서 20kHz 이상의 주파수를 갖는 반송파신호(carrier signal)를 사용한다.
또한, 특정 그룹(406a,406b,406c,406d)에만 방송하는 그룹방송을 위해서 오디오 신호가 종단 스피커(403)를 통해 방송되기 전에 종단 스피커(403)를 연결하거나 차단해야 하기 때문에, 시간적으로 스피커 스위치(401)의 제어신호는 오디오 신호 이전에 전관방송 시스템의 방송선로(412)를 통해서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스위치(401)에 전달(413)된다.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스위치(401)는 기존에 이미 포설된 전관방송 시스템의 방송선로(412)를 통해서 제어신호를 전달받기 때문에 이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기(404)는 중앙통제장비(405)에 추가적으로 설치되어야 하며, 화재수신반(414)이나 마이크로폰(415)의 다른 음원발생장치와 함께 오디오 제어장치(416)에 연결되어 다른 오디오 신호와 마찬가지로 오디오 전력증폭기(417)와 변압기(418)를 통해서 기존에 포설된 전관방송 시스템의 방송선로(412)에 공급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개별/그룹별 아이디(ID)와 명령어를 나타내는 디지털 신호를 반송파신호에 싣기 위한 디지털 변조방법으로 진폭편이방식(amplitude shift keying, ASK)을 일 실시예(413)로 사용하였으나, 주파수편이방식(frequency shift keying, FSK), 위상편이방식(phase shift keying, PSK), 직교진폭변조(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QAM) 등의 다양한 디지털 변조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스위치에 전달되는 제어신호에 포함된 디지털 정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그림이다.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스위치의 제어신호는 256개의 그룹을 구별할 수 있는 8비트의 그룹별 아이디(ID)(501)와 256개의 종단 스피커를 구별할 수 있는 8비트의 개별 아이디(ID)(502)를 포함하여 총 65,536개의 종단 스피커를 각각 구별하고 제어할 수 있다.
또한, 256개의 서로 다른 동작 명령을 구분할 수 있는 8비트의 명령어(503)를 포함하며, 일 실시예로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다양한 동작 명령(504)을 사전에 정의하여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스위치의 제어신호는 개별/그룹별 ID와 명령어 정보의 시작을 알리는 8비트의 프리앰블(preamble)(505)과 데이터의 오류를 점검하는 8비트의 검사 합(check sum)(506)을 개별/그룹별 아이디(ID)와 명령어 정보 앞뒤에 배치하여, 총 40비트, 총 5바이트(byte)의 디지털 신호를 반송파신호에 실어서 제어신호로서 스피커 스위치에 전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스위치 및 제어기가 기존에 이미 포설된 전관방송 시스템의 방송선로를 통해서 제어신호를 전달받기 위해서, 구비되는 구성품 및 그 동작 원리는 하기 도 6과 도 7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였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스위치의 구성도를 도시한 그림으로서, 전관방송 시스템의 종단 스피커에 부가되는 스피커 스위치의 구성품과 그 동작 원리를 자세히 설명한다.
종단 스피커(601)의 입력단에 추가적으로 장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스위치(602)는 릴레이 스위치(603), 대역통과필터(604), 진폭편이방식(ASK) 복조기(605), 마이크로 제어장치(MCU)(606), 의사 부하(607), 2개의 DIP 스위치(608a,608b), DC 전력 어댑터(609)의 구성품들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된다.
기존에 이미 포설된 전관방송 시스템의 방송선로(610)를 통해서 전달되는 오디오 신호 및 제어신호(611)는 시간적으로 제어신호가 먼저 스피커 스위치(602)에 도착하게 되며, 이 때 제어신호는 진폭편이방식(ASK)에 의해서 변조된 도 5에 도시한 디지털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스위치(602)에 전달된 오디오 신호 및 제어신호(611)는 제어신호의 반송파신호 주파수(fC)를 통과시키는 대역통과필터(604)를 거치면서 오디오 신호는 걸러지고 진폭편이방식(ASK)으로 변조된 제어신호(612)만 통과된다.
상기 진폭편이방식(ASK)으로 변조된 제어신호(612)는 다시 진폭편이방식(ASK) 복조기(605)를 거치면서 개별/그룹별 아이디(ID)와 명령어 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 신호(613)로 변환(복조)되며, 이 디지털 신호(613)가 마이크로 제어장치(MCU)(606)에 입력된다.
마이크로 제어장치(MCU)(606)에서는 2개의 DIP 스위치(608a,608b)를 통해서 미리 설정된 개별/그룹별 아이디(ID)와 입력된 디지털 신호(613)에 포함된 개별/그룹별 아이디(ID)를 비교하여, 두 정보가 동일하다면, 역시 입력된 디지털 신호(613)에 포함된 명령어 정보대로 릴레이 스위치(603)를 작동시키기 위한 릴레이 동작신호(614)를 릴레이 스위치(603)에 공급하게 된다.
상기 릴레이 동작신호(614)에 따라서, 릴레이 스위치(603)는 전관방송 시스템의 방송선로(610)를 통해서 전송되는 오디오 신호를 종단 스피커(601)로 연결하여 송출지역에 방송하거나 또는 의사 부하(607)에 연결하여 오디오 신호를 종단함으로써 송출지역에는 방송되지 못하게 한다.
여기서, 마이크로 제어장치(MCU)(606)에 개별/그룹별 아이디(ID)를 미리 설정하는 방법은 마이크로 제어장치(MCU)(606)에 연결된 8핀의 DIP 스위치(608a,608b) 2개를 각각 설정하여 개별 아이디(ID) 8비트(608b)와 그룹별 아이디(ID) 8비트(608a)를 결정하며. 상기 DIP 스위치(608a,608b)의 설정은 종단 스피커(601)가 송출지역에 설치된 위치에 따라서 사전에 계획된 개별/그룹별 아이디(ID)를 해당 스피커 스위치(602)를 종단 스피커(601)에 추가적으로 설치하는 작업에서 같이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대역통과필터(604), 진폭편이방식(ASK) 복조기(605), 마이크로 제어장치(MCU)(606)에서 필요한 DC 전원(615)은 종단 스피커(601)가 설치된 송출지역 내에 보통 구비되어 있는 AC 전원(616)을 DC 전력 어댑터(609)를 통해서 DC 전원(615)으로 변환하여 사용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기의 구성도를 도시한 그림으로서, 전관방송 시스템의 중앙통제장비에 부가되는 제어기의 구성품과 그 동작 원리를 자세히 설명한다.
중앙통제장비에 추가적으로 설치되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기(701)는 진폭편이방식(ASK) 변조기(702), 반송파신호 발생기(703), 제어신호 발생기(704), 다수의 버튼 스위치(705)가 구비된 개별/그룹별 선택기(706), 와이파이(Wi-Fi) 모듈(707), 외부입력 모듈(708)의 구성품들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어기(701)는 상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재수신반(411)과 마이크로폰(412)과 함께 오디오 제어장치(413)에 연결되어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스위치의 제어신호를 기존에 이미 포설된 전관방송 시스템의 방송선로를 통해서 전달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사용자는 개별/그룹별 선택기(706)에 구비된 다수의 버튼 스위치(705) 중에서 하나를 누름으로써 미리 설정된 개별/그룹별 종단 스피커를 선택하게 되며, 그 선택에 따라 해당 개별/그룹별 아이디(ID)와 명령어 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 코드가 만들어지고 프리앰블 코드와 검사 합 코드를 개별/그룹별 아이디(ID)와 명령어 정보의 앞뒤에 추가하여, 제어신호 발생기(704)에서 전체 디지털 신호(709)가 생성된다.
생성된 디지털 신호(709)를 전관방송 시스템의 방송선로로 통해서 전송하기 위해서, 오디오 신호 주파수(20Hz~20KHz) 이상의 주파수(fC)를 갖는 반송파신호(710)를 반송파신호 발생기(703)에서 생성하고, 이 반송파신호(710)에 디지털 신호(709)를 진폭편이방식(ASK)으로 싣는 작업을 진폭편이방식(ASK) 변조기(702)에서 수행한다.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어기(701)에서 개별/그룹별 아이디(ID)와 명령어 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 신호(709)가 진폭편이방식(ASK) 변조신호(711)로 최종 생성되며, 이 진폭편이방식(ASK)으로 변조된 제어신호(711)는 오디오 제어장치(413)에서 다른 오디오 신호와 순차적으로 합해져서, 기존에 이미 포설된 전관방송 시스템의 방송선로를 통해서 전송(712)된다.
그리고, 개별/그룹별 선택기(706)에 구비된 다수의 버튼 스위치(705)의 각 버튼이 어떤 개별 종단 스피커 또는 어떤 그룹의 종단 스피커들을 선택할 것인지를 사전에 미리 설정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 노트북 또는 무선 단말기 등에 설치된 외부 설정 프로그램(713)과 개별/그룹별 선택기(706)를 연결하고, 사용자가 외부 설정 프로그램(713)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를 간단하게 조작하여 개별/그룹별 선택기(706)의 각 버튼을 설정한다.
상기 노트북 또는 무선 단말기 등의 외부 설정 프로그램(713)과 개별/그룹별 선택기(706) 간의 연결은 와이파이(Wi-Fi) 모듈(707)을 통한 무선 연결과 외부입력(USB) 모듈을 통한 유선(USB 케이블) 연결이 모두 가능하다.
상기 도 4로부터 도 7까지, 단일 방송선로와 1개의 오디오 전력증폭기로 구성되어 있는 구식의 전관방송 시스템을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스위치와 제어기를 이용하여 그룹방송이 가능한 진보된 전관방송 시스템으로 개조하는 방법과 그 동작원리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스위치와 제어기는 기본적으로는 구식의 전관방송 시스템을 그룹방송이 가능하도록 개조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그룹방송이 가능한 진보된 내지는 최신의 전관방송 시스템이라도 더 세분화하여 각 종단 스피커별로 방송이 가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스위치와 제어기가 부가된 전관방송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그림으로서, 종래의 독립적인 다수의 방송선로와 릴레이 그룹으로 구성되어 있는 진보된 전관방송 시스템에 부가된 예이다.
상기 도 2에 도시한 진보된 전관방송 시스템에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스위치(801)와 제어기(802)를 부가하면, 특정 그룹(202d)에 설치되어 있는 각 종단 스피커(217a,217b,217c,217d)를 개별로 제어할 수 있다.
진보된 전관방송 시스템에서 특정 그룹(202d)에 설치되어 있는 각 종단 스피커(217a,217b,217c,217d)의 개별 제어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스위치(801)와 제어기(802)의 구성품들과 그 동작 원리는 상기 도 6과 도 7에서 기술한 바와 기본적으로 동일하지만, 진보된 전관방송 시스템에서는 이미 지역(그룹)선택 기기(217)를 통해서 그룹(202a,202b,202c,202d)의 선택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스위치(801)와 제어기(802)는 개별 아이디(ID) 정보만을 가지고 선택된 그룹(202d)의 종단 스피커(217a,217b,217c,217d)를 개별로 제어하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스위치와 제어기가 부가된 전관방송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그림으로서, 종래의 독립적인 다수의 방송선로와 다수의 오디오 전력증폭기로 구성되어 있는 최신의 전관방송 시스템에 부가된 예이다.
상기 도 3에 도시한 최신의 전관방송 시스템에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스위치(901)와 제어기(902)를 부가하면, 특정 그룹(302d)에 설치되어 있는 각 종단 스피커(308a,308b,308c,308d)를 개별로 제어할 수 있다.
최신의 전관방송 시스템에서도 특정 그룹(302d)에 설치되어 있는 각 종단 스피커(308a,308b,308c,308d)의 개별제어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스위치(901)와 제어기(902)의 구성품들과 그 동작 원리는 상기 도 6과 도 7에서 기술한 바와 기본적으로 동일하지만, 최신의 전관방송 시스템에서도 이미 지역(그룹)선택 기기(306)을 통해서 그룹(302a,302b,302c,302d)의 선택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스위치(901)와 제어기(902)는 개별 아이디(ID) 정보만을 가지고 선택된 그룹(302d)의 종단 스피커(308a,308b,308c,308d)를 개별로 제어하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스위치의 제품 형상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그림이다.
도 10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스위치(1001)는 전관방송 시스템의 종단 스피커(1002)의 입력단(1003)에 부가적으로 장착되어, 기존에 이미 포설된 전관방송 시스템의 방송선로(1004)를 통해서 오디오 신호와 함께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스위치(1001)의 제어신호를 전달받으며, 제어신호는 스피커 스위치(1001)의 제어에 사용되고 오디오 신호는 종단 스피커(1002)에 연결되어 송출지역에 음성정보를 방송하거나 또는 스피커 스위치(1001) 내부의 의사 부하에 연결되어 오디오 신호를 종단한다.
그리고,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설치된 스피커 스위치(1001)의 개별/그룹별 아이디(ID)를 설정하기 위한 2개의 DIP 스위치(1005a,1005b)와 외부 AC 전원과 연결하기 위한 전원선(1006)을 구비한다.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스위치(1007)가 종단 스피커 일체형으로 제작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종단 스피커(1008)와 동일한 함체(housing)를 사용한다는 것 이외에는 구성품들과 그 동작 원리가 도 10a에 도시한 스피커 스위치(1001)와 모두 같기 때문에, 기존에 이미 포설된 전관방송 시스템의 방송선로(1009)와 연결되어 오디오 신호와 제어신호를 전달받기 위한 입력선(1010), 2개의 DIP 스위치(1011a,1011b), 그리고 외부 AC 전원선(1012)을 구비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기의 제품 형상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그림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기(1101)는 전관방송 시스템의 중앙통제장비에 추가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표준랙(standard rack) 장착 구조(1102)로 제작되며,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개별 내지는 그룹별 종단 스피커를 선택할 수 있는 다수의 버튼 스위치(1103), 현재 선택된 버튼을 나타내는 다수의 표시램프(1104), 각 버튼에 설정된 개별 또는 그룹별 종단 스피커를 표시하는 다수의 이름표(1105)를 구비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어기(1101)에 구비된 다수의 버튼 스위치(1103)의 각 버튼이 어떤 개별 종단 스피커 또는 어떤 그룹의 종단 스피커들을 선택할 것인지를 사전에 미리 설정하기 위해서, 노트북 또는 무선 단말기 등에 설치된 외부 설정 프로그램과 내부의 개별/그룹별 선택기 간의 무선 연결을 위한 와이파이(Wi-Fi) 안테나(1106)와 USB 케이블에 의한 유선 연결을 위한 다수의 USB 단자(1107)를 구비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

Claims (6)


  1. 전관방송 시스템에 부가되는 스피커 스위치

    상기 스피커 스위치는 전관방송 시스템의 구성품인 종단 스피커의 입력단에 추가적으로 장착되어

    별도의 제어신호 선로 없이도 기존에 포설된 전관방송 시스템의 방송선로를 통해서 전달되는 상기 스피커 스위치의 제어신호에 따라

    중앙통제장비로부터 전달되는 오디오 신호를 종단 스피커에 공급하여 송출지역에 방송하거나 또는 오디오 신호를 상기 스피커 스위치에 포함되어 있는 의사 부하(dummy load)에 공급하여 송출지역에는 방송하지 않도록 오디오 신호의 경로를 선택하는

    기능을 갖는 스피커 스위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스위치는

    릴레이 동작신호에 따라 방송선로를 통해 전송되는 오디오 신호를 종단 스피커에 연결하거나 또는 의사 부하(dummy load)에 연결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릴레이 스위치(relay switch),

    방송선로를 통해 전달되는 제어신호와 오디오 신호에서 제어신호만을 분리하기 위한 대역통과필터(band-pass filter),

    분리된 제어신호로부터 디지털 신호를 추출하기 위한 복조기(demodulator),

    추출된 디지털 신호와 해당 스피커 스위치에 할당된 개별/그룹별 아이디(ID)를 비교하여 동일한 아이디(ID)임을 판단하고, 동일한 아이디(ID)인 경우에 명령어 정보에 따라 상기 릴레이 스위치의 동작을 결정하는 릴레이 동작신호를 전달하는 일련의 기능들을 수행하는 마이크로 제어장치(micro-controller unit, MCU),

    상기 릴레이 스위치가 종단 스피커를 차단하는 상태에서, 종단 스피커에 전송되는 오디오 신호를 종단(termination)하기 위한 의사 부하,

    송출지역에서 종단 스피커가 설치된 위치를 고려하여, 상기 스피커 스위치의 개별/그룹별 아이디(ID)를 설정하는 DIP(dual in-line package) 스위치,

    상기 대역통과필터, 복조기, 마이크로 제어장치(MCU)에 DC 전원을 공급해 주는 DC 전력 어댑터(DC power adaptor)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스위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50156049A 2015-11-06 2015-11-06 전관방송 시스템에 부가되는 스피커 스위치 및 제어기 KR1016056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6049A KR101605661B1 (ko) 2015-11-06 2015-11-06 전관방송 시스템에 부가되는 스피커 스위치 및 제어기
PCT/KR2016/009633 WO2017078262A1 (ko) 2015-11-06 2016-08-30 전관방송 시스템에 부가되는 스피커 스위치, 제어기 및 무전원 스피커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6049A KR101605661B1 (ko) 2015-11-06 2015-11-06 전관방송 시스템에 부가되는 스피커 스위치 및 제어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5413A Division KR20170054200A (ko) 2016-03-03 2016-03-03 전관방송 시스템에 부가되는 스피커 스위치 및 제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5661B1 true KR101605661B1 (ko) 2016-03-23

Family

ID=55645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6049A KR101605661B1 (ko) 2015-11-06 2015-11-06 전관방송 시스템에 부가되는 스피커 스위치 및 제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566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6271B1 (ko) 2016-03-21 2016-06-01 주식회사 에스트론 전관방송 시스템용 무전원 스피커 스위치
JP2019126001A (ja) * 2018-01-19 2019-07-25 ヤマハ株式会社 スピーカ制御装置および信号供給装置
KR102607096B1 (ko) 2023-08-22 2023-11-29 주식회사 에스에이씨솔루션 재난 및 민방위 경보 수신시 즉시 방송이 가능한 경보 시스템 및 그에 사용되는 단말장치, 그리고 동작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0578B1 (ko) 2007-10-11 2008-10-27 주식회사 케빅 스피커의 상태 감시가 가능한 전관방송 시스템
KR101289754B1 (ko) 2013-02-04 2013-07-26 (주)하이텍영상 비상 방송 감지 기능이 있는 att 스피커 시스템
KR101293244B1 (ko) * 2012-12-28 2013-08-09 주식회사 윈미디텍 소비전력 절감 전관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0578B1 (ko) 2007-10-11 2008-10-27 주식회사 케빅 스피커의 상태 감시가 가능한 전관방송 시스템
KR101293244B1 (ko) * 2012-12-28 2013-08-09 주식회사 윈미디텍 소비전력 절감 전관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89754B1 (ko) 2013-02-04 2013-07-26 (주)하이텍영상 비상 방송 감지 기능이 있는 att 스피커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6271B1 (ko) 2016-03-21 2016-06-01 주식회사 에스트론 전관방송 시스템용 무전원 스피커 스위치
JP2019126001A (ja) * 2018-01-19 2019-07-25 ヤマハ株式会社 スピーカ制御装置および信号供給装置
US11356778B2 (en) 2018-01-19 2022-06-07 Yamaha Corporation Speaker controller, signal supplying device, and speaker system
KR102607096B1 (ko) 2023-08-22 2023-11-29 주식회사 에스에이씨솔루션 재난 및 민방위 경보 수신시 즉시 방송이 가능한 경보 시스템 및 그에 사용되는 단말장치, 그리고 동작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01051B2 (en) Digital audio distribution
KR101017018B1 (ko) 디지털 매트릭스 앰프를 이용한 다원화방송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7986793B2 (en) Automatically reconfigurable stereo speaker system
CN1647582B (zh) 带有gps接收器的扬声器
US20060126862A1 (en) Distributed audio system
KR101605661B1 (ko) 전관방송 시스템에 부가되는 스피커 스위치 및 제어기
WO2010102249A2 (en) Modular multimedia management and distribution system
CN106209286A (zh) 一种嵌入式多通道应急广播系统及控制装置
US20150055781A1 (en) Wireless speaker device and wirelessly multi-channel audio system thereof
CN104041080A (zh) 多通道音频渲染
KR20170054200A (ko) 전관방송 시스템에 부가되는 스피커 스위치 및 제어기
CN202395784U (zh) 高集成智能模块式广播系统
KR102058862B1 (ko) 재난발생시 다원화 음원을 제공하는 방송장치
KR100417495B1 (ko) 매트릭스 회로를 통한 스피커 및 앰프 제어구조를 갖는방송시스템
CN218103136U (zh) 一种无线分区广播系统
EP3386213B1 (en) System, control terminal, control method and program
KR20110138584A (ko) 전관 방송 장치
KR101626271B1 (ko) 전관방송 시스템용 무전원 스피커 스위치
KR20150133124A (ko) 다중 입력 자동 선택 스피커 시스템
KR100817789B1 (ko) Plc 스피커 시스템
JP2013258617A (ja) 放送信号切替装置
JP7275992B2 (ja) 放送管理装置および放送システム
JP2015050690A (ja) ページングシステム
KR101191313B1 (ko) 개별 음원출력 제어가 가능한 다원화 방송 시스템
WO2013128147A1 (en) Wireless mobile telephony public address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