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6689B1 - 원격 진단을 제공받거나 자가 진단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방송시스템 - Google Patents

원격 진단을 제공받거나 자가 진단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방송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6689B1
KR101816689B1 KR1020170048627A KR20170048627A KR101816689B1 KR 101816689 B1 KR101816689 B1 KR 101816689B1 KR 1020170048627 A KR1020170048627 A KR 1020170048627A KR 20170048627 A KR20170048627 A KR 20170048627A KR 101816689 B1 KR101816689 B1 KR 1018166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e
input
output
management module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8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헌
신주철
Original Assignee
동광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광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광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48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66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6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66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12Arrangements for observation, testing or troubleshoo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29Arrangements for monitoring broadcast services or broadcast-related services
    • H04H60/32Arrangements for monitoring conditions of receiving stations, e.g. malfunction or breakdown of receiving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5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monitoring, identification or recognition covered by groups H04H60/29-H04H60/54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k-1 내지 제k-nk 말단 개별 장치 및 상기 제k-1 내지 제k-nk 말단 개별 장치를 관리하기 위한 제k 관리 모듈(k는 1 이상 m 이하의 정수)을 포함하는 방송시스템이 원격 진단을 제공받거나 자가 진단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자신을 구성하는 m 개의 관리 모듈 및 각각의 관리 모듈에 속하는 말단 개별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생성되는 실질 데이터 및 속성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획득하는 단계; 및 (b) (i) 획득된 상기 실질 데이터 및 상기 속성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외부의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서버로 하여금 상기 방송시스템으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실질 데이터 및 상기 속성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맵으로서 작성하여 관리하도록 지원하고 상기 작성된 맵에 따라 상기 방송시스템을 원격으로 진단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 및 (ii) 획득된 상기 실질 데이터 및 상기 속성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맵으로서 작성하여 관리하고 상기 작성된 맵에 따라 자가 진단하는 프로세스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방송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송시스템에 이상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이상 상황에 대해 신속하고 정확하게 원인을 파악할 수 있으며, 전문적인 대응이 가능하도록 원격으로 지원할 수 있다.

Description

원격 진단을 제공받거나 자가 진단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방송시스템{METHOD FOR RECEIVING REMOTE DIAGNOSIS OR PERFORMING SELF DIAGNOSIS AND BROADCASTING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원격 진단을 제공받거나 자가 진단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방송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k-1 내지 제k-nk 말단 개별 장치 및 상기 제k-1 내지 제k-nk 말단 개별 장치를 관리하기 위한 제k 관리 모듈(k는 1 이상 m 이하의 정수)을 포함하는 방송시스템이 원격 진단을 제공받거나 자가 진단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자신을 구성하는 m 개의 관리 모듈 및 각각의 관리 모듈에 속하는 말단 개별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생성되는 실질 데이터 및 속성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획득하는 단계; 및 (b) (i) 획득된 상기 실질 데이터 및 상기 속성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외부의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서버로 하여금 상기 방송시스템으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실질 데이터 및 상기 속성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맵으로서 작성하여 관리하도록 지원하고 상기 작성된 맵에 따라 상기 방송시스템을 원격으로 진단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 및 (ii) 획득된 상기 실질 데이터 및 상기 속성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맵으로서 작성하여 관리하고 상기 작성된 맵에 따라 자가 진단하는 프로세스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방송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공서, 교육시설, 공공시설, 기업체, 상업시설, 주거시설, 및 선박 등의 시설에는, 시설 전체를 대상으로 오디오 방송, 비디오 방송 및 공지 방송 등의 다양한 방송을 송출하는 전관 방송시스템이 설치된다. 이러한 방송시스템은, 음원 및 영상 등의 소스가 입력되는 입력장비, 입력받은 소스를 가공하고 조절하는 제어장비, 신호를 증폭시키는 증폭장비, 가공된 소스를 시설의 사용자들에게 제공하는 출력장비, 각 장비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장비 등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다양한 장비들이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복잡한 구성을 가지기 때문에, 방송시스템에 이상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이에 대해 신속하고 정확하게 원인을 파악하기 쉽지 않은 실정이다. 또한, 방송시스템이 설치되어 있는 시설의 관리자는, 발생한 이상 상황에 대해 전문적인 조치를 취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방송시스템에 이상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이상 상황에 대해 신속하고 정확하게 원인을 파악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방송시스템에 이상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이상 상황에 대해 전문적인 대응이 가능하도록 원격으로 지원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표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제k-1 내지 제k-nk 말단 개별 장치 및 상기 제k-1 내지 제k-nk 말단 개별 장치를 관리하기 위한 제k 관리 모듈(k는 1 이상 m 이하의 정수)을 포함하는 방송시스템이 원격 진단을 제공받거나 자가 진단하는 방법에 있어서, (a) 방송시스템이, 자신을 구성하는 m 개의 관리 모듈 및 각각의 관리 모듈에 속하는 말단 개별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생성되는 실질 데이터 및 속성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획득하는 단계; 및 (b) 상기 방송시스템이, (i) 획득된 상기 실질 데이터 및 상기 속성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외부의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서버로 하여금 상기 방송시스템으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실질 데이터 및 상기 속성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맵으로서 작성하여 관리하도록 지원하고 상기 작성된 맵에 따라 상기 방송시스템을 원격으로 진단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 및 (ii) 획득된 상기 실질 데이터 및 상기 속성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맵으로서 작성하여 관리하고 상기 작성된 맵에 따라 자가 진단하는 프로세스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제k-1 내지 제k-nk 말단 개별 장치 및 상기 제k-1 내지 제k-nk 말단 개별 장치를 관리하기 위한 제k 관리 모듈(k는 1 이상 m 이하의 정수)을 포함하되, 원격 진단을 제공받거나 자가 진단하는 방송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방송시스템을 구성하는 m 개의 관리 모듈 및 각각의 관리 모듈에 속하는 말단 개별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생성되는 실질 데이터 및 속성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획득하는 통신부; 및 (i) 획득된 상기 실질 데이터 및 상기 속성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상기 통신부를 통해 외부의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서버로 하여금 상기 방송시스템으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실질 데이터 및 상기 속성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맵으로서 작성하여 관리하도록 지원하고 상기 작성된 맵에 따라 상기 방송시스템을 원격으로 진단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 및 (ii) 획득된 상기 실질 데이터 및 상기 속성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맵으로서 작성하여 관리하고 상기 작성된 맵에 따라 자가 진단하는 프로세스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방송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송시스템에 이상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이상 상황에 대해 신속하고 정확하게 원인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방송시스템에 이상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이상 상황에 대해 전문적인 대응이 가능하도록 원격으로 지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진단을 제공받거나 자가 진단하는 방송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진단을 제공받거나 자가 진단하는 방송시스템이 포함된 전체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타입 1에 포함되는 말단 개별 장치 또는 관리 모듈의 이상 상황을 판단하는 조건 및 이에 대한 대응방안을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타입 2에 포함되는 말단 개별 장치 또는 관리 모듈의 이상 상황을 판단하는 조건 및 이에 대한 대응방안을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타입 3에 포함되는 말단 개별 장치 또는 관리 모듈의 이상 상황을 판단하는 조건 및 이에 대한 대응방안을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타입 4에 포함되는 말단 개별 장치 또는 관리 모듈의 이상 상황을 판단하는 조건 및 이에 대한 대응방안을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타입 5에 포함되는 말단 개별 장치 또는 관리 모듈의 이상 상황을 판단하는 조건 및 이에 대한 대응방안을 나타낸 예시도.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진단을 제공받거나 자가 진단하는 방송시스템(100)의 구성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원격 진단을 제공받거나 자가 진단하는 방송시스템(100)은 관리 모듈로서 스마트 컨트롤러(110), 메인 컨트롤러(오디오 매트릭스)(120), 비디오 매트릭스(130), CDP 백업 시스템(140), 리모트 익스팬더(150), 파워 앰프 백업 시스템(160), 스피커 셀렉터(170), 전원 분배기(180), 사용자 단말기(190) 등 중 적어도 일부, 및 각각의 관리 모듈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말단 개별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복수의 실시예 중 하나를 나타낸 것으로, 필요에 따라 다양한 구성으로 변경될 수 있다. 참고로, 방송시스템(100)은 기타 제어 장치(가령, 제어 컴퓨터, 제어 서버, 제어 단말 등으로 불리울 수도 있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스마트 컨트롤러(110)는 프로세서(111) 및 통신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2)는, 방송시스템(100)을 구성하는 m 개의 관리 모듈 및 각각의 관리 모듈에 속하는 말단 개별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생성되는 실질 데이터 및 속성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획득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실질 데이터 또는 속성 데이터는 유선 경로 및 무선 경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통하여 획득될 수 있다.
한편, 데이터를 획득하는 주기로서, 예시적으로, 데이터를 24시간 동안 실시간으로 획득하거나, 소정의 방송이 송출되는 시간 동안 획득하거나, 방송이 송출되지 않고 있을 때 점검을 위해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획득하는 경우 등을 상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1)는, 획득된 실질 데이터 및 속성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통신부(112)를 통해 외부의 서버(200)로 전송함으로써, 서버(200)로 하여금 방송시스템(100)으로부터 전송받은 실질 데이터 및 속성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맵으로서 작성하여 관리하도록 지원하고, 작성된 맵에 따라 방송시스템(100)을 원격으로 진단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 및 획득된 실질 데이터 및 속성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맵으로서 작성하여 관리하고 작성된 맵에 따라 자가 진단하는 프로세스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외부의 서버(200)를 통해 원격 진단을 받거나, 방송시스템(100)의 프로세서(111) 자신이 직접 방송시스템(100)을 자가 진단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의 서버(200)를 통해 원격 진단을 받는 경우, 프로세서(111)는, 서버(200)에 의해 진단된 결과를 통신부(112)를 통해 획득하여 방송시스템(100)의 이상 상황 또는 이상 의심 상황(가령, 당장은 방송시스템(100)을 운영하는데 문제가 없지만, 향후 문제를 일으킬 수도 있는 현상이 발생하는 상황)을 판단할 수 있으며, 자가 진단하는 경우, 서버(200)를 통하지 않고 방송시스템(100)의 프로세서(111) 자체에서 이상 상황 또는 이상 의심 상황을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실질 데이터는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음원이나 영상 등의 오디오 소스 자체 또는 비디오 소스 자체를 의미한다.
또한, 속성 데이터는 오디오 모니터링 데이터, 비디오 모니터링 데이터, 전원 모니터링 데이터, 통신 모니터링 데이터, 장비 상태 모니터링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오디오 모니터링 데이터는 오디오 신호의 유무, 오디오 신호의 입출력 상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비디오 모니터링 데이터는 비디오 신호의 유무, 비디오 신호의 입출력 상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는데, 예시적으로, 오디오 신호의 데시벨 값이나, 비디오 신호의 입력 값 대비 출력 값의 증감 정도, 임피던스 값과 같은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원 모니터링 데이터는, 전원 상태, 전류 상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통신 모니터링 데이터는 통신 신호의 유무, 통신 신호의 입출력 상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장비 상태 모니터링 데이터는 온도 상태, 각 부품의 동작 상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기술의 발전 및 다양한 장비 구성에 따라, 속성 데이터가 다양한 모니터링 데이터를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메인 컨트롤러(오디오 매트릭스)(120)는, 방송시스템(100)을 구성하는 다양한 장비들과 연결되어 신호를 주고 받으며, 각종 방송 및 기능을 제어하고 음원을 편집 및 송출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프리앰프(믹서), 리모트 앰프 등의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가령, 다양한 음원 믹싱, 우선 순위 방송 설정, 및 구역마다의 별도 방송 송출 등이 가능하며, 오디오 신호의 세기에 따라 앰프의 용량을 조절하여 과부하를 사전에 방지하는 등의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비디오 매트릭스(130)는, 카메라(131), DVD Player(132), 모니터(133), 프로젝터(134), 모듈레이터(135) 등의 다양한 영상 장비와 연결되어 신호를 주고받으며 영상 신호의 입출력 및 편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데, 예시적으로, 영상에 자막을 입히거나 영상의 해상도를 편집하여 송출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비디오 매트릭스(130)가 메인 컨트롤러(오디오 매트릭스)(120)와는 별도로 구성된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메인 컨트롤러(오디오 매트릭스)(120)에 포함되어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CDP 백업 시스템(140)은 하나 이상의 CDP(CD Player)(141~143)를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서, CDP 2(142) 및 CDP 3(143)은 CDP 1(141)의 예비 장치일 수 있다. 가령, 학교에서 수능 시험이 치러지고 있을 때, 듣기 시험을 위해 CDP 1(141)에서 CD가 재생되고 있는 상태에서, CDP 2(142) 및 CDP 3(143)이 동일한 내용이 들어있는 CD를 CDP 1(141)과 동시에 재생하고 있다가, CDP 1(141)에서 재생되는 음원이 소정의 시간 동안 지연되거나 일정 횟수 이상 끊기는 등의 이상 상황이 발생하면, CDP 백업 시스템(140) 또는 프로세서(111)가 CDP 1(141)에 이상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CDP 2(142)로 채널을 전환하여 CDP 2(142)의 음원이 송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CDP 1(141)에서 CD(이하, CD #1)를 특정 시점(가령, CD #1 음원의 시작 부분인 0분 0초)부터 재생시키고, 재생되는 CD #1을 소정의 스피커를 통해 출려시키며, CD #1이 재생되기 시작한 후 소정의 시간(가령, 5초)이 흐른 뒤, CDP 2(142)에서 CD #1과 동일한 CD(이하, CD #2)를 1) CD #1을 재생하기 시작했던 특정 시점(0분 0초)과 같은 제1 시점(0분 0초), (2) CD #1이 현재 재생되고 있는 제2 시점(0분 5초), (3) 제1 시점과 제2 시점 사이의 시점 중 어느 하나의 시점(0분 0초~0분 5초 사이)부터 재생시키다가, CD #1이 상기 소정의 시간(5초)보다 적은 설정값의 시간(가령, 3초)동안 스피커에서 출력되지 않으면, 이를 CDP 1이나 CD #1에 이상 상황이 생긴 것으로 간주하고 CD #2가 출력되도록 CDP 2(142)로 스위칭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CDP 1(141)에서 CD #1를 0분 0초부터 재생시키고, 이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시키며, CD #1dl 재생되기 시작하고부터 5초가 흐른 뒤, CDP 2(142)에서 CD #2를 0분 0초부터 재생시키고, CD #2가 재생되기 시작하고부터 5초 뒤, CDP 3(143)에서 CD #1 및 CD #2와 동일한 CD(이하, CD #3)를 0분 0초부터 재생시킬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CD #1이 1분 0초부터 미리 설정되어있는 3초의 설정값동안 스피커에서 출력되지 않을 경우, CD #2가 출력되도록 CDP 2(142)로 스위칭하면, CD #2가 0분 58초부터 출력될 것이다.
한편, 방송시스템(100)은, CDP(141~143) 외에도, 라디오 방송을 재생하는 튜너(121), MP3 음원을 재생하는 MP3 Player(122) 등의 다양한 음원 입력장비를 구비할 수 있다.
다음으로, 리모트 익스팬더(150)는, 하나 이상의 리모트 마이크(151~153)와 연결되어 목소리 등의 음원을 입력받을 수 있으며, 방송시스템(100)을 구성하는 주요 장비들과는 달리 원격지에 위치할 수도 있다.
한편, 파워 앰프 백업 시스템(160)은 각 파워 앰프(161~165)로부터 입수되는 실질 데이터 또는 속성 데이터를 취합 및 분석하여, 특정 파워 앰프(가령, 164)에 이상 상황 또는 이상 의심 상황 발생 시, 예비 앰프(166)로 전환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이상 상황 판단 및 예비 앰프(166)로의 전환 명령은 파워 앰프 백업 시스템(160)뿐만 아니라, 외부의 서버(200)에서도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스피커 셀렉터(170)는, 복수의 구역에 설치된 스피커(171~175)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필요에 따라 특정 종류의 스피커나 특정 구역의 스피커들을 그룹으로 설정하여 제어하도록 지원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전원 분배기(180)는, 복수의 관리 모듈 및 말단 개별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전원 분배기(180)가 설치되는 시설에서 AC 전원을 공급받아, 다른 장치들로 AC 전원(181) 또는 DC 전원(182)을 공급할 수 있으며, 향후에 다른 형태의 전원을 공급받거나 공급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여기서, 전원 분배기(180)의 전원이 꺼져있더라도, 사용자 단말기(190)나 외부의 서버(200) 등의 다른 시스템에서 원격으로 전원 분배기(180)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각 관리 모듈 및 말단 개별 장치는, 별도의 배터리 및 AC/DC 변환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원 분배기(180) 외에 다른 공급원에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는 단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기(190)는, 터치 스크린(191)과 같은 소정의 입력부 및 표시부를 포함하여, 다양한 음원 및 영상을 멀티로 제어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사용자 단말기(190)는 방송시스템(100)에 포함된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외부에 위치한 컴퓨터 또는 모바일 기기에 설치되는 응용프로그램으로 제공될 수도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닐 것이다.
한편, 방송시스템(100)은 자동 레벨 컨트롤러(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오디오 신호의 출력을 적정 레벨로 유지함으로써, 다양한 음원 소스의 출력 차이에 따른 오디오 신호의 출력 레벨의 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목소리의 크기가 다른 마이크 사용자 A, B가 있다고 할 때, 마이크 사용자 A가 마이크를 통해 방송을 한 후, 마이크 사용자 B가 마이크 사용자 A보다 작은 목소리로 방송을 할 경우, 자동 레벨 컨트롤러는 마이크 사용자 A에 의해 입력된 음원을 마이크 사용자 B에 의해 입력된 음원의 레벨에 자동으로 맞추어 출력시킬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속성 데이터는, 외장형 센서 및 내장형 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을 참조하면, 말단 개별 장치 및 관리 모듈의 외부에 설치되는 외장형 센서, 및 말단 개별 장치 및 관리 모듈의 내부에 설치되는 내장형 센서로 구분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나, 도 1에 도시된 각 센서들의 구분을 외장형 센서와 내장형 센서로 구분하는 것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구분할 수 있을 것이다.
가령, 도 1에 도시된 각 센서들의 구분을 제1 센서 및 제2 센서로 구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여기서, 제1 센서는, 각각의 말단 개별 장치의 내부, 입력단 및 출력단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는 센서를 의미하고, 제2 센서는, 각각의 관리 모듈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는 센서를 의미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 속성 데이터는, 제1 센서 및 제2 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고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1 센서 및 제2 센서(또는, 외장형 센서 및 내장형 센서)는, 각각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구현될 수 있을 것이며, 전류 센서, 오디오 센서, 비디오 센서, 온도 센서 등 방송시스템(100)의 이상 상황 진단에 필요한 다양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각각의 말단 개별 장치 및 각각의 관리 모듈 중 적어도 일부는 톤 발생기를 더 구비할 수 있는데, 톤 발생기는 소정의 파형을 발생시켜 방송시스템(100)을 구성하는 회로 곳곳을 진단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톤 발생기에 의해 정현파와 같은 소정의 파형이 발생되면, 해당 파형이 전송되는 특정 경로에 위치한 제1 센서 및 제2 센서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획득되는 속성 데이터를 취합하여 분석함으로써 특정 경로 중 이상 상황 또는 이상 의심 상황이 발생된 지점을 판단하거나, 취합된 속성 데이터를 통신부(112)를 통해 외부의 서버(200)로 전송하여 서버(200)로 하여금 분석하도록 지원함으로써, 특정 경로 중 이상 상황 또는 이상 의심 상황이 발생된 지점을 판단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예시적으로, 오디오 매트릭스(120)와 리모트 마이크(151~153) 입력단을 점검하는 경우, 리모트 마이크(151~153)에 내장된 톤 발생기에서 1kHz의 파형을 발생시켜 리모트 마이크(151~153) 자체를 점검하고, LAN을 통하여 리모트 익스팬더(150)에 전송된 신호를 분석하여 LAN 통신경로의 이상 유무를 확인한 후, 오디오 매트릭스(120)로 전송된 신호를 분석하여 오디오 매트릭스(120)와 연결된 라인과 입력계통의 문제점을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오디오 매트릭스(120)와 CDP(141~143) 입력단을 점검하는 경우, CDP(141~143)에 내장된 톤 발생기에서 1kHz의 파형을 발생시켜 CDP(141~143) 자체를 점검하고, CDP 백업 시스템(140)에 전송된 신호를 분석하여 전송선로 및 CDP 백업 시스템(140)의 이상 유무를 확인한 후, 오디오 매트릭스(120)로 전송된 신호를 분석하여 오디오 매트릭스(120)와 연결된 라인과 입력계통의 이상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오디오 매트릭스(120)와 파워 앰프 백업 시스템(160)의 출력단을 점검하는 경우, 오디오 매트릭스(120)에 내장된 톤 발생기에서 1kHz의 파형을 발생시켜 오디오 매트릭스(120) 자체의 기능을 점검하고, 파워 앰프 백업 시스템(160)에 전송된 신호를 분석하여 전송선로 및 파워 앰프 백업 시스템(160)의 이상 유무를 확인한 후, 스피커 셀렉터(170)에 전송된 신호를 분석하여 전송선로 및 출력계통의 이상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스피커 셀렉터(170)에 연결된 스피커 회로는 릴레이를 차단함으로써 외부 스피커(171~175)로는 음이 출력되지 않도록 하여 점검을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스피커 셀렉터(170)와 스피커 라인의 임피던스를 점검하는 경우, 메인 컨트롤러(오디오 매트릭스)(120) 혹은 파워앰프 백업시스템(160)에 내장된 톤 발생기에서 1kHz의 파형을 발생시켜 파워 앰프 백업 시스템(160)를 통해 출력함으로써 스피커 셀렉터(170) 자체 및 모든 릴레이의 동작 상태를 점검하고, 모든 스피커 라인에 전송된 신호의 분석 및 임피던스 측정(가령, 전류를 측정함으로써 임피던스를 추정)을 통해 전송선로의 이상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모든 스피커(171~175)로 실제 소리를 출력하여 점검하기 때문에, 시설 내 인원이 적은 시간대에 제한적인 실행주기로 점검을 하게 된다.
또한, 제1 센서 및 제2 센서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획득되는 말단 개별 장치 또는 관리 모듈에 입력되는 특정 신호의 입력 레벨 값, 및 말단 개별 장치 또는 관리 모듈에서 출력되는 특정 신호의 출력 레벨 값의 차이가 임계치를 벗어나면, 이상 상황 또는 이상 의심 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0dB의 신호가 메인 컨트롤러(오디오 매트릭스)(120)에 입력되어 10dB의 신호가 출력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경우, 10dB이 아닌 5dB의 신호가 출력되면, 이상 상황 또는 이상 의심 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한편, 방송시스템(100)에 설치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중 특정 소프트웨어에서 이상 상황 또는 이상 의심 상황이 발생되면, 프로세서(111)는, 해당 상황마다 정의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체 대응 명령 중 적어도 일부가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지원하고, 자체 대응 명령을 통해 해당 상황이 해결되지 않으면, 외부의 서버(200)를 통해 원격 대응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11) 자체 및 서버(200)를 통한 대응은, 인공지능을 통해 자동으로 이루어지거나, 방송시스템(100)의 관리자 또는 외부에서 파견되는 엔지니어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방송시스템(100)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중 특정 하드웨어에서 이상 상황 또는 이상 의심 상황이 발생되면, 프로세서(111)는, 해당 상황마다 정의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체 대응 명령 중 적어도 일부가 실행되도록 지원하고, 자체 대응 명령을 통해 해당 상황이 해결되지 않으면, 외부의 서버(200)를 통해 원격 대응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11) 자체 및 서버(200)를 통한 대응은 인공지능에 의해, 이상 상황이 발생된 장비를 예비 장비로 전환하거나 자동으로 장비를 교체하는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방송시스템(100)의 관리자 또는 외부에서 파견되는 엔지니어에 의해서도 대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진단을 제공받거나 자가 진단하는 방송시스템(100)이 포함된 전체시스템(1000)의 구성의 예시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체시스템(1000)은, 하나 이상의 방송시스템(100A, 100B, 100C, …), 서버(200), 재난 정보 서버(300), 단말기(4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부의 서버(200)는, 유무선 통신을 통해 하나 이상의 방송시스템(100A, 100B, 100C, …)을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방송시스템(100A, 100B, 100C, …)은 관공서, 교육시설, 공공시설, 기업체, 상업시설, 주거시설, 및 선박 등의 시설에 설치될 수 있으며, 서버(200)의 프로세서(210)가 각 시설의 방송시스템(100A, 100B, 100C, …)으로부터 서버(200)의 통신부(220)를 통해 전송받은 실질 데이터 및 속성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맵으로서 작성하여 관리함으로써, 작성된 맵에 따라 각 방송시스템(100A, 100B, 100C, …)을 원격으로 진단하고, 유지보수를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서버(200)의 프로세서(210)는, 외부의 재난 정보 서버(300)로부터 지진, 황사, 미세먼지, 태풍, 호우, 오존주의보, 자외선주의보, 화재, 폭발, 붕괴, 유출사고, 전쟁 등의 재난 상황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면, 각 방송시스템(100A, 100B, 100C, …)이 구축되어 있는 시설에 해당 정보에 대한 안내 방송이 송출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해당 재난 상황으로 인해 시설 또는 시설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이 받는 피해를 줄일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지진이 발생한 경우에는, 방송시스템이 구축된 시설과 진원지와의 거리, 지진의 강도 및 횟수 등에 따라 적절한 피난 유도 방송이 송출되도록 하고, 미세먼지가 심한 경우에는, 창문을 닫고 바깥 활동을 자제하도록 권고하는 등의 방송이 송출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서버(200)의 프로세서(210)는, 소정의 단말기(400)에 설치되는 응용 프로그램을 통하여 방송시스템(100A, 100B, 100C, …)에 대한 운영 정보가 실시간으로 확인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는데, 단말기(400)는 외부에서도 이용 가능한 모바일 단말기 혹은 컴퓨터일 수 있다.
여기서, 운영 정보는, 각 방송시스템(100A, 100B, 100C, …)에 설치되는 소프트웨어 및 방송시스템(100A, 100B, 100C, …)을 구성하는 하드웨어 각각의 상태,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에 대한 이상 상황 접수 및 접수된 이상 상황에 대한 지원 현황, 각 방송시스템(100A, 100B, 100C, …)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방송 상황, 각 방송시스템(100A, 100B, 100C, …)의 외부에서 원격으로 방송 제어 또는 방송 송출이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특정 하드웨어에 이상이 생겨 단말기(400)의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이상 상황 접수를 한 경우, 서버(200)의 프로세서(210)는,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접수된 내용 및 서버(200)의 프로세서(210)가 관리하고 있는 맵의 내용을 참조로 하여, 엔지니어를 파견하는 등의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방송시스템(100A, 100B, 100C, …)이 설치된 시설에서 실시간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방송을 단말기(400)를 통해 제어하거나, 단말기(400) 자체에서 직접 원격으로 방송을 송출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7을 참조로 하여, 타입 1 내지 타입 5에 포함되는 말단 개별 장치 또는 관리 모듈의 이상 상황을 판단하는 조건, 및 이에 대한 대응방안의 예시를 설명하도록 한다. 참고로, 이하에서 설명하는 말단 개별 장치 또는 관리 모듈의 타입 분류는, 본 발명의 복수의 실시예 중 일부를 나타낸 것으로, 방송시스템(100)에 따라 다양한 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 타입 별 이상 상황을 판단하는 조건 및 이에 대한 대응방안 또한 일부 예시를 나타낸 것으로,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아래의 설명에서는 방송시스템(100)의 프로세서(111)가 이상 상황을 판단하고 이에 대응하는 것으로 상정하였지만, 서버(200)의 프로세서(210) 또한 해당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타입 1은 파워 앰프 백업 시스템(160), 파워 앰프(161~166), 메인 컨트롤러(오디오 매트릭스)(120), 프리앰프(미도시; 메인 컨트롤러(오디오 매트릭스)(120)에 포함될 수 있음), 스피커 셀렉터(170), 비디오 매트릭스(130) 등의 이상 상황을 판단하기 위한 조건에 대한 카테고리를 의미할 수 있다.
타입 1에 포함되는 말단 개별 장치 또는 관리 모듈 각각의 이상 상황 또는 이상 의심 상황을 판단하는 조건의 요소가, 전원 분배기에서의 전원 출력인 제1 출력(PD Power), 말단 개별 장치 또는 관리 모듈로의 전원 입력인 제1 입력(AC/DC Power),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의 신호 입력인 제2 입력(Audio/Video In),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의 신호 출력인 제2 출력(Audio/Video Out)의 유무 여부를 포함할 때, 통신부(112)를 통해 획득한 요소 각각의 상태가 제1 출력 있음, 제1 입력 있음, 제2 입력 있음, 제2 출력 있음 상태이면, 프로세서(111)는, 정상 상황인 것으로 판단하고, 획득한 요소 각각의 상태가 정상 상황 외의 상태를 나타내면, 프로세서(111)는, 이상 상황 또는 이상 의심 상황인 것으로 판단하거나 판단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획득한 요소 각각의 상태가 제1 출력 있음, 제1 입력 있음, 제2 입력 있음, 제2 출력 없음 상태이면, 프로세서(111)는, 말단 개별 장치 또는 관리 모듈을 예비 말단 개별 장치 또는 예비 관리 모듈로 전환하거나 전환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 방송시스템(100)과 유무선으로 연결된 소정의 표시부(가령, 방송시스템(100)에 포함된 단말기, 서버(200)에 포함된 단말기, 모바일 단말기 등)에 이상 상황 또는 이상 의심 상황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전송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 및 말단 개별 장치 또는 관리 모듈의 전원 스위치의 상태를 체크하거나 체크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획득한 요소 각각의 상태가 제1 출력 있음, 제1 입력 있음, 제2 입력 없음, 제2 출력 없음 상태이면, 프로세서(111)는, 말단 개별 장치 또는 관리 모듈에 신호를 입력시키는 선행 말단 개별 장치 또는 선행 관리 모듈의 신호 출력 상태를 체크하거나 체크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가령, 파워 앰프(161~166) 또는 파워 앰프 백업 시스템(160)의 경우, 프리앰프의 출력을 체크하고, 메인 컨트롤러(오디오 매트릭스)(120)의 경우 음원 소스를 출력시키는 장치를 체크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획득한 요소 각각의 상태가 제1 출력 있음, 제1 입력 없음, 제2 입력 있음, 제2 출력 없음 상태이면, 프로세서(111)는, 말단 개별 장치 또는 관리 모듈에 전원을 입력시키는 전원 라인을 체크하거나 체크하도록 지원하며, 획득한 요소 각각의 상태가 제1 출력 없음, 제1 입력 없음, 제2 입력 있음, 제2 출력 없음 상태이면, 프로세서(111)는, 전원을 출력하는 전원 분배기(180)의 상태를 체크하거나 체크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면, 타입 2는 CDP(141~143), 튜너(121), MP3 Player(122), DVD Player(132)와 같이 음원 및 영상 등의 이상 상황을 판단하기 위한 조건에 대한 카테고리를 의미할 수 있다.
타입 2에 포함되는 말단 개별 장치 또는 관리 모듈 각각의 이상 상황 또는 이상 의심 상황을 판단하는 조건의 요소가, 전원 분배기에서의 전원 출력인 제1 출력(PD Power), 말단 개별 장치 또는 관리 모듈로의 전원 입력인 제1 입력(AC/DC Power),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 출력인 제2 출력(Audio/Video Out)의 유무 여부를 포함할 때, 통신부(112)를 통해 획득한 요소 각각의 상태가 제1 출력 있음, 제1 입력 있음, 제2 출력 있음 상태이면, 프로세서(111)는, 정상 상황인 것으로 판단하고, 획득한 요소 각각의 상태가 정상 상황 외의 상태를 나타내면, 프로세서(111)는, 이상 상황 또는 이상 의심 상황인 것으로 판단하거나 판단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획득한 요소 각각의 상태가 제1 출력 있음, 제1 입력 있음, 제2 출력 없음 상태이면, 프로세서(111)는, 말단 개별 장치 또는 관리 모듈을 예비 말단 개별 장치 또는 예비 관리 모듈로 전환하거나 전환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 및 말단 개별 장치 또는 관리 모듈의 전원 스위치의 상태를 체크하거나 체크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획득한 요소 각각의 상태가 제1 출력 있음, 제1 입력 없음, 제2 출력 없음 상태이면, 프로세서(111)는, 말단 개별 장치 또는 관리 모듈에 전원을 입력시키는 전원 라인을 체크하거나 체크하도록 지원하며, 획득한 요소 각각의 상태가 제1 출력 없음, 제1 입력 없음, 제2 출력 없음 상태이면, 프로세서(111)는, 전원을 출력하는 전원 분배기(180)의 상태를 체크하거나 체크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면, 타입 3은 리모트 익스팬더(150), 리모트 앰프(미도시; 리모트 마이크(151~153) 또는 리모트 익스팬더(150) 등에 포함될 수 있음)의 이상 상황을 판단하기 위한 조건에 대한 카테고리를 의미할 수 있다.
타입 3에 포함되는 말단 개별 장치 또는 관리 모듈 각각의 이상 상황 또는 이상 의심 상황을 판단하는 조건의 요소가, 말단 개별 장치 또는 관리 모듈로의 전원 입력인 제1 입력(AC/DC Power),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의 신호 입력인 제2 입력(Audio/Video In),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의 신호 출력인 제1 출력(Audio/Video Out), 통신 연결인 제1 연결(Comm)의 유무 여부를 포함할 때, 통신부(112)를 통해 획득한 요소 각각의 상태가 제1 입력 있음, 제2 입력 있음, 제1 출력 있음, 제1 연결 있음 상태이면, 프로세서(111)는, 정상 상황인 것으로 판단하고, 획득한 요소 각각의 상태가 정상 상황 외의 상태를 나타내면, 프로세서(111)는, 이상 상황 또는 이상 의심 상황인 것으로 판단하거나 판단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획득한 말단 개별 장치 또는 관리 모듈이 이상 상황 또는 이상 의심 상황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프로세서(111)는, 말단 개별 장치 또는 관리 모듈의 전원 스위치의 상태를 체크하거나 체크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 및 방송시스템과 유무선으로 연결된 소정의 표시부에 이상 상황 또는 이상 의심 상황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전송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면, 타입 4는 전원 분배기(180) 등의 이상 상황을 판단하기 위한 조건에 대한 카테고리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시스템(100)에 포함된 전원 분배기(180)의 이상 상황 또는 이상 의심 상황을 판단하는 조건의 요소가, 전원 분배기(180)로의 전원 입력인 제1 입력(AC In),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말단 개별 장치 또는 관리 모듈로의 AC 전원 출력인 제1 출력(AC Out),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말단 개별 장치 또는 관리 모듈로의 DC 전원 출력인 제2 출력(DC Out)의 유무 여부를 포함할 때, 통신부(112)를 통해 획득한 요소 각각의 상태가 제1 입력 있음, 제1 출력 있음, 제2 출력 있음 상태이면, 프로세서(111)는, 정상 상황인 것으로 판단하고, 획득한 요소 각각의 상태가 정상 상황 외의 상태를 나타내면, 프로세서(111)는, 이상 상황 또는 이상 의심 상황인 것으로 판단하거나 판단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전원 분배기(180)가 이상 상황 또는 이상 의심 상황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프로세서(111)는, 말단 개별 장치 또는 관리 모듈의 전원 스위치의 상태를 체크하거나 체크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 및 방송시스템(100)과 유무선으로 연결된 소정의 표시부에 이상 상황 또는 이상 의심 상황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전송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면, 타입 5는 스피커 라인, 스마트 컨트롤러(110) 등의 이상 상황을 판단하기 위한 조건에 대한 카테고리를 의미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스피커 라인에 쇼트가 발생하면, 쇼트된 라인만 자동으로 차단되도록 하고, 관련 스피커의 동작 상태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스피커 라인의 연결이 끊어지거나, 스피커 라인의 임피던스 값이 소정의 임계치를 벗어나면, 방송시스템(100)과 유무선으로 연결된 소정의 표시부에 이상 상황 또는 이상 의심 상황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전송하도록 지원하고, 관련 스피커의 동작 상태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스마트 컨트롤러(110)가 다운되는 경우, 방송시스템(100)의 원격 진단이 이루어질 수 없으므로, 외부의 서버(200)로 관련 데이터를 송출하고, 방송시스템(100)과 유무선으로 연결된 소정의 표시부에 이상 상황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하여, 서버(200)에 의한 원격 모니터링 및 보수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0 : 전체시스템 100 : 방송시스템
110 : 스마트 컨트롤러 111 : 프로세서
112 : 통신부 120 : 메인 컨트롤러(오디오 매트릭스)
130 : 비디오 매트릭스 140 : CDP 백업 시스템
150 : 리모트 익스팬더 160 : 파워 앰프 백업 시스템
170 : 스피커 셀렉터 180 : 전원 분배기
190 : 사용자 단말기 200 : 서버
210 : 프로세서 220 : 통신부
300 : 재난 정보 서버 400 : 단말기

Claims (32)

  1. 제k-1 내지 제k-nk 말단 개별 장치 및 상기 제k-1 내지 제k-nk 말단 개별 장치를 관리하기 위한 제k 관리 모듈(k는 1 이상 m 이하의 정수)을 포함하는 방송시스템이 원격 진단을 제공받거나 자가 진단하는 방법에 있어서,
    (a) 방송시스템이, 자신을 구성하는 m 개의 관리 모듈 및 각각의 관리 모듈에 속하는 말단 개별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생성되는 실질 데이터 및 속성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획득하는 단계; 및
    (b) 상기 방송시스템이, (i) 획득된 상기 실질 데이터 및 상기 속성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외부의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서버로 하여금 상기 방송시스템으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실질 데이터 및 상기 속성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맵으로서 작성하여 관리하도록 지원하고 상기 작성된 맵에 따라 상기 방송시스템을 원격으로 진단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 및 (ii) 획득된 상기 실질 데이터 및 상기 속성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맵으로서 작성하여 관리하고 상기 작성된 맵에 따라 자가 진단하는 프로세스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방송시스템은, 상기 (i) 프로세스를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 실질 데이터 및 상기 속성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분석한 결과를 상기 서버로부터 획득함으로써, 상기 방송시스템의 이상 상황 또는 이상 의심 상황을 판단하고,
    상기 속성 데이터는, 상기 각각의 말단 개별 장치의 내부, 입력단 및 출력단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는 제1 센서, 및 상기 각각의 관리 모듈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는 제2 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획득되며,
    상기 각각의 말단 개별 장치 및 상기 각각의 관리 모듈 중 적어도 일부는 톤 발생기를 더 구비하되, 상기 방송시스템은, 상기 톤 발생기에 의해 소정의 파형이 발생되면, 상기 소정의 파형이 전송되는 특정 경로에 위치한 상기 제1 센서 및 상기 제2 센서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획득되는 상기 속성 데이터를 취합하여 분석하거나 상기 서버로 하여금 분석하도록 지원함으로써, 상기 특정 경로 중 이상 상황 또는 이상 의심 상황이 발생된 지점을 판단하되,
    상기 말단 개별 장치 또는 상기 관리 모듈 각각의 이상 상황 또는 이상 의심 상황을 판단하는 조건의 요소가, 전원 분배기에서의 전원 출력인 제1 출력, 상기 말단 개별 장치 또는 상기 관리 모듈로의 전원 입력인 제1 입력,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의 신호 입력인 제2 입력,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의 신호 출력인 제2 출력의 유무 여부를 포함할 때, 상기 방송시스템은, 상기 요소 각각의 상태가 상기 제1 출력 있음, 상기 제1 입력 있음, 상기 제2 입력 있음, 상기 제2 출력 있음 상태이면, 정상 상황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요소 각각의 상태가 정상 상황 외의 상태를 나타내면, 상기 이상 상황 또는 상기 이상 의심 상황인 것으로 판단하거나 판단하도록 지원하되, 상기 요소 각각의 상태가 상기 제1 출력 있음, 상기 제1 입력 있음, 상기 제2 입력 있음, 상기 제2 출력 없음 상태이면, 상기 말단 개별 장치 또는 상기 관리 모듈을 예비 말단 개별 장치 또는 예비 관리 모듈로 전환하거나 전환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 상기 방송시스템과 유무선으로 연결된 소정의 표시부에 상기 이상 상황 또는 상기 이상 의심 상황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전송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 및 상기 말단 개별 장치 또는 상기 관리 모듈의 전원 스위치의 상태를 체크하거나 체크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며, 상기 요소 각각의 상태가 상기 제1 출력 있음, 상기 제1 입력 있음, 상기 제2 입력 없음, 상기 제2 출력 없음 상태이면, 상기 말단 개별 장치 또는 상기 관리 모듈에 신호를 입력시키는 선행 말단 개별 장치 또는 선행 관리 모듈의 신호 출력 상태를 체크하거나 체크하도록 지원하고, 상기 요소 각각의 상태가 상기 제1 출력 있음, 상기 제1 입력 없음, 상기 제2 입력 있음, 상기 제2 출력 없음 상태이면, 상기 말단 개별 장치 또는 상기 관리 모듈에 전원을 입력시키는 전원 라인을 체크하거나 체크하도록 지원하며, 상기 요소 각각의 상태가 상기 제1 출력 없음, 상기 제1 입력 없음, 상기 제2 입력 있음, 상기 제2 출력 없음 상태이면, 전원을 출력하는 상기 전원 분배기의 상태를 체크하거나 체크하도록 지원하고,
    상기 말단 개별 장치 또는 상기 관리 모듈 각각의 이상 상황 또는 이상 의심 상황을 판단하는 조건의 요소가, 전원 분배기에서의 전원 출력인 제1 출력, 상기 말단 개별 장치 또는 상기 관리 모듈로의 전원 입력인 제1 입력,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 출력인 제2 출력의 유무 여부를 포함할 때, 상기 방송시스템은, 상기 요소 각각의 상태가 상기 제1 출력 있음, 상기 제1 입력 있음, 상기 제2 출력 있음 상태이면, 정상 상황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요소 각각의 상태가 정상 상황 외의 상태를 나타내면, 상기 이상 상황 또는 상기 이상 의심 상황인 것으로 판단하거나 판단하도록 지원하되, 상기 요소 각각의 상태가 상기 제1 출력 있음, 상기 제1 입력 있음, 상기 제2 출력 없음 상태이면, 상기 말단 개별 장치 또는 상기 관리 모듈을 예비 말단 개별 장치 또는 예비 관리 모듈로 전환하거나 전환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 및 상기 말단 개별 장치 또는 상기 관리 모듈의 전원 스위치의 상태를 체크하거나 체크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며, 상기 요소 각각의 상태가 상기 제1 출력 있음, 상기 제1 입력 없음, 상기 제2 출력 없음 상태이면, 상기 말단 개별 장치 또는 상기 관리 모듈에 전원을 입력시키는 전원 라인을 체크하거나 체크하도록 지원하며, 상기 요소 각각의 상태가 상기 제1 출력 없음, 상기 제1 입력 없음, 상기 제2 출력 없음 상태이면, 전원을 출력하는 상기 전원 분배기의 상태를 체크하거나 체크하도록 지원하며,
    상기 말단 개별 장치 또는 상기 관리 모듈 각각의 이상 상황 또는 이상 의심 상황을 판단하는 조건의 요소가, 상기 말단 개별 장치 또는 상기 관리 모듈로의 전원 입력인 제1 입력,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의 신호 입력인 제2 입력,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의 신호 출력인 제1 출력, 통신 연결인 제1 연결의 유무 여부를 포함할 때, 상기 방송시스템은, 상기 요소 각각의 상태가 상기 제1 입력 있음, 상기 제2 입력 있음, 상기 제1 출력 있음, 상기 제1 연결 있음 상태이면, 정상 상황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요소 각각의 상태가 정상 상황 외의 상태를 나타내면, 상기 이상 상황 또는 상기 이상 의심 상황인 것으로 판단하거나 판단하도록 지원하되, 상기 말단 개별 장치 또는 상기 관리 모듈이 상기 이상 상황 또는 상기 이상 의심 상황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말단 개별 장치 또는 상기 관리 모듈의 전원 스위치의 상태를 체크하거나 체크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 및 상기 방송시스템과 유무선으로 연결된 소정의 표시부에 상기 이상 상황 또는 상기 이상 의심 상황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전송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고,
    상기 방송시스템에 포함된 전원 분배기의 이상 상황 또는 이상 의심 상황을 판단하는 조건의 요소가, 상기 전원 분배기로의 전원 입력인 제1 입력,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말단 개별 장치 또는 상기 관리 모듈로의 AC 전원 출력인 제1 출력,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말단 개별 장치 또는 상기 관리 모듈로의 DC 전원 출력인 제2 출력의 유무 여부를 포함할 때, 상기 방송시스템은, 상기 요소 각각의 상태가 상기 제1 입력 있음, 상기 제1 출력 있음, 상기 제2 출력 있음 상태이면, 정상 상황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요소 각각의 상태가 정상 상황 외의 상태를 나타내면, 상기 이상 상황 또는 상기 이상 의심 상황인 것으로 판단하거나 판단하도록 지원하되, 상기 전원 분배기가 상기 이상 상황 또는 상기 이상 의심 상황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말단 개별 장치 또는 상기 관리 모듈의 전원 스위치의 상태를 체크하거나 체크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 및 상기 방송시스템과 유무선으로 연결된 소정의 표시부에 상기 이상 상황 또는 상기 이상 의심 상황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전송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시스템은, 상기 제1 센서 및 상기 제2 센서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획득되는 상기 말단 개별 장치 또는 상기 관리 모듈에 입력되는 특정 신호의 입력 레벨 값, 및 상기 말단 개별 장치 또는 상기 관리 모듈에서 출력되는 특정 신호의 출력 레벨 값의 차이가 임계치를 벗어나면, 이상 상황 또는 이상 의심 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시스템은 소정의 기능을 가지는 특정 말단 개별 장치 및 하나 이상의 예비 특정 말단 개별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특정 말단 개별 장치가 수행하는 기능의 특성에 따라,
    상기 특정 말단 개별 장치에서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는 도중에 상기 특정 말단 개별 장치에 이상 상황 또는 이상 의심 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특정 말단 개별 장치 대신 상기 예비 특정 말단 개별 장치로 전환하여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거나,
    상기 특정 말단 개별 장치가 상기 소정의 기능을 수행할 때 상기 예비 특정 말단 개별 장치가 상기 소정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다가, 상기 특정 말단 개별 장치에 이상 상황 또는 이상 의심 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특정 말단 개별 장치 대신 상기 예비 특정 말단 개별 장치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모듈이, 상기 특정 말단 개별 장치의 상기 이상 상황 또는 상기 이상 의심 상황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시스템은 소정의 기능을 가지는 특정 말단 개별 장치, 하나 이상의 예비 특정 말단 개별 장치, 및 출력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특정 말단 개별 장치를 통해 소정의 음원 또는 영상을 포함하는 제1 소스를 상기 제1 소스의 특정 시점부터 재생시키고, 재생되는 상기 제1 소스를 상기 출력 장치를 통해 출력시키며, 상기 제1 소스의 재생이 시작되고부터 소정의 시간이 흐른 뒤, 상기 예비 특정 말단 개별 장치를 통해 상기 제1 소스와 동일한 제2 소스를 (1) 상기 제1 소스의 상기 특정 시점과 같은 제1 시점, (2) 상기 제1 소스가 재생되고 있는 제2 시점, (3) 상기 제1 시점과 상기 제2 시점 사이의 시점 중 어느 하나의 시점부터 재생시키다가,
    상기 특정 말단 개별 장치에서 재생되고 있는 상기 제1 소스가 상기 소정의 시간보다 적은 설정값의 시간 동안 상기 출력 장치에서 출력되지 않으면, 상기 예비 특정 말단 개별 장치로 전환하여 상기 예비 특정 말단 개별 장치에서 재생되고 있던 상기 제2 소스를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실질 데이터 또는 상기 속성 데이터는 유선 경로 또는 무선 경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통하여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질 데이터는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속성 데이터는 오디오 모니터링 데이터, 비디오 모니터링 데이터, 전원 모니터링 데이터, 통신 모니터링 데이터, 장비 상태 모니터링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되,
    상기 오디오 모니터링 데이터는, 오디오 신호의 유무, 오디오 신호의 입출력 상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비디오 모니터링 데이터는, 비디오 신호의 유무, 비디오 신호의 입출력 상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전원 모니터링 데이터는, 전원 상태, 전류 상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통신 모니터링 데이터는 통신 신호의 유무, 통신 신호의 입출력 상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장비 상태 모니터링 데이터는 온도 상태, 각 부품의 동작 상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시스템은 자동 레벨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여, 상기 자동 레벨 컨트롤러는, 오디오 신호의 출력을 적정 레벨로 유지함으로써, 다양한 음원 소스의 출력 차이에 따른 상기 오디오 신호의 출력 레벨의 변화를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시스템은,
    자신에 설치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중 특정 소프트웨어에서 이상 상황 또는 이상 의심 상황이 발생되면, 해당 상황마다 정의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체 대응 명령 중 적어도 일부가 실행되도록 지원하고, 상기 자체 대응 명령을 통해 해당 상황이 해결되지 않으면, 상기 서버를 통해 원격 대응 명령을 수신하며,
    자신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중 특정 하드웨어에서 이상 상황 또는 이상 의심 상황이 발생되면, 해당 상황마다 정의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체 대응 명령 중 적어도 일부가 실행되도록 지원하고, 상기 자체 대응 명령을 통해 해당 상황이 해결되지 않으면, 상기 서버를 통해 원격 대응 명령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k-1 내지 제k-nk 말단 개별 장치 및 상기 제k-1 내지 제k-nk 말단 개별 장치를 관리하기 위한 제k 관리 모듈(k는 1 이상 m 이하의 정수)을 포함하는 방송시스템이 원격 진단을 제공받거나 자가 진단하는 방법에 있어서,
    (a) 방송시스템이, 자신을 구성하는 m 개의 관리 모듈 및 각각의 관리 모듈에 속하는 말단 개별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생성되는 실질 데이터 및 속성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획득하는 단계; 및
    (b) 상기 방송시스템이, (i) 획득된 상기 실질 데이터 및 상기 속성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외부의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서버로 하여금 상기 방송시스템으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실질 데이터 및 상기 속성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맵으로서 작성하여 관리하도록 지원하고 상기 작성된 맵에 따라 상기 방송시스템을 원격으로 진단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 및 (ii) 획득된 상기 실질 데이터 및 상기 속성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맵으로서 작성하여 관리하고 상기 작성된 맵에 따라 자가 진단하는 프로세스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말단 개별 장치 또는 상기 관리 모듈 각각의 이상 상황 또는 이상 의심 상황을 판단하는 조건의 요소가, 전원 분배기에서의 전원 출력인 제1 출력, 상기 말단 개별 장치 또는 상기 관리 모듈로의 전원 입력인 제1 입력,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의 신호 입력인 제2 입력,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의 신호 출력인 제2 출력의 유무 여부를 포함할 때, 상기 방송시스템은, 상기 요소 각각의 상태가 상기 제1 출력 있음, 상기 제1 입력 있음, 상기 제2 입력 있음, 상기 제2 출력 있음 상태이면, 정상 상황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요소 각각의 상태가 정상 상황 외의 상태를 나타내면, 상기 이상 상황 또는 상기 이상 의심 상황인 것으로 판단하거나 판단하도록 지원하되, 상기 요소 각각의 상태가 상기 제1 출력 있음, 상기 제1 입력 있음, 상기 제2 입력 있음, 상기 제2 출력 없음 상태이면, 상기 말단 개별 장치 또는 상기 관리 모듈을 예비 말단 개별 장치 또는 예비 관리 모듈로 전환하거나 전환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 상기 방송시스템과 유무선으로 연결된 소정의 표시부에 상기 이상 상황 또는 상기 이상 의심 상황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전송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 및 상기 말단 개별 장치 또는 상기 관리 모듈의 전원 스위치의 상태를 체크하거나 체크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며, 상기 요소 각각의 상태가 상기 제1 출력 있음, 상기 제1 입력 있음, 상기 제2 입력 없음, 상기 제2 출력 없음 상태이면, 상기 말단 개별 장치 또는 상기 관리 모듈에 신호를 입력시키는 선행 말단 개별 장치 또는 선행 관리 모듈의 신호 출력 상태를 체크하거나 체크하도록 지원하고, 상기 요소 각각의 상태가 상기 제1 출력 있음, 상기 제1 입력 없음, 상기 제2 입력 있음, 상기 제2 출력 없음 상태이면, 상기 말단 개별 장치 또는 상기 관리 모듈에 전원을 입력시키는 전원 라인을 체크하거나 체크하도록 지원하며, 상기 요소 각각의 상태가 상기 제1 출력 없음, 상기 제1 입력 없음, 상기 제2 입력 있음, 상기 제2 출력 없음 상태이면, 전원을 출력하는 상기 전원 분배기의 상태를 체크하거나 체크하도록 지원하고,
    상기 말단 개별 장치 또는 상기 관리 모듈 각각의 이상 상황 또는 이상 의심 상황을 판단하는 조건의 요소가, 전원 분배기에서의 전원 출력인 제1 출력, 상기 말단 개별 장치 또는 상기 관리 모듈로의 전원 입력인 제1 입력,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 출력인 제2 출력의 유무 여부를 포함할 때, 상기 방송시스템은, 상기 요소 각각의 상태가 상기 제1 출력 있음, 상기 제1 입력 있음, 상기 제2 출력 있음 상태이면, 정상 상황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요소 각각의 상태가 정상 상황 외의 상태를 나타내면, 상기 이상 상황 또는 상기 이상 의심 상황인 것으로 판단하거나 판단하도록 지원하되, 상기 요소 각각의 상태가 상기 제1 출력 있음, 상기 제1 입력 있음, 상기 제2 출력 없음 상태이면, 상기 말단 개별 장치 또는 상기 관리 모듈을 예비 말단 개별 장치 또는 예비 관리 모듈로 전환하거나 전환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 및 상기 말단 개별 장치 또는 상기 관리 모듈의 전원 스위치의 상태를 체크하거나 체크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며, 상기 요소 각각의 상태가 상기 제1 출력 있음, 상기 제1 입력 없음, 상기 제2 출력 없음 상태이면, 상기 말단 개별 장치 또는 상기 관리 모듈에 전원을 입력시키는 전원 라인을 체크하거나 체크하도록 지원하며, 상기 요소 각각의 상태가 상기 제1 출력 없음, 상기 제1 입력 없음, 상기 제2 출력 없음 상태이면, 전원을 출력하는 상기 전원 분배기의 상태를 체크하거나 체크하도록 지원하며,
    상기 말단 개별 장치 또는 상기 관리 모듈 각각의 이상 상황 또는 이상 의심 상황을 판단하는 조건의 요소가, 상기 말단 개별 장치 또는 상기 관리 모듈로의 전원 입력인 제1 입력,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의 신호 입력인 제2 입력,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의 신호 출력인 제1 출력, 통신 연결인 제1 연결의 유무 여부를 포함할 때, 상기 방송시스템은, 상기 요소 각각의 상태가 상기 제1 입력 있음, 상기 제2 입력 있음, 상기 제1 출력 있음, 상기 제1 연결 있음 상태이면, 정상 상황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요소 각각의 상태가 정상 상황 외의 상태를 나타내면, 상기 이상 상황 또는 상기 이상 의심 상황인 것으로 판단하거나 판단하도록 지원하되, 상기 말단 개별 장치 또는 상기 관리 모듈이 상기 이상 상황 또는 상기 이상 의심 상황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말단 개별 장치 또는 상기 관리 모듈의 전원 스위치의 상태를 체크하거나 체크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 및 상기 방송시스템과 유무선으로 연결된 소정의 표시부에 상기 이상 상황 또는 상기 이상 의심 상황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전송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고,
    상기 방송시스템에 포함된 전원 분배기의 이상 상황 또는 이상 의심 상황을 판단하는 조건의 요소가, 상기 전원 분배기로의 전원 입력인 제1 입력,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말단 개별 장치 또는 상기 관리 모듈로의 AC 전원 출력인 제1 출력,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말단 개별 장치 또는 상기 관리 모듈로의 DC 전원 출력인 제2 출력의 유무 여부를 포함할 때, 상기 방송시스템은, 상기 요소 각각의 상태가 상기 제1 입력 있음, 상기 제1 출력 있음, 상기 제2 출력 있음 상태이면, 정상 상황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요소 각각의 상태가 정상 상황 외의 상태를 나타내면, 상기 이상 상황 또는 상기 이상 의심 상황인 것으로 판단하거나 판단하도록 지원하되, 상기 전원 분배기가 상기 이상 상황 또는 상기 이상 의심 상황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말단 개별 장치 또는 상기 관리 모듈의 전원 스위치의 상태를 체크하거나 체크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 및 상기 방송시스템과 유무선으로 연결된 소정의 표시부에 상기 이상 상황 또는 상기 이상 의심 상황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전송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제k-1 내지 제k-nk 말단 개별 장치 및 상기 제k-1 내지 제k-nk 말단 개별 장치를 관리하기 위한 제k 관리 모듈(k는 1 이상 m 이하의 정수)을 포함하되, 원격 진단을 제공받거나 자가 진단하는 방송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방송시스템을 구성하는 m 개의 관리 모듈 및 각각의 관리 모듈에 속하는 말단 개별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생성되는 실질 데이터 및 속성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획득하는 통신부; 및
    (i) 획득된 상기 실질 데이터 및 상기 속성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상기 통신부를 통해 외부의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서버로 하여금 상기 방송시스템으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실질 데이터 및 상기 속성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맵으로서 작성하여 관리하도록 지원하고 상기 작성된 맵에 따라 상기 방송시스템을 원격으로 진단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 및 (ii) 획득된 상기 실질 데이터 및 상기 속성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맵으로서 작성하여 관리하고 상기 작성된 맵에 따라 자가 진단하는 프로세스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i) 프로세스를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 실질 데이터 및 상기 속성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분석한 결과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서버로부터 획득함으로써, 상기 방송시스템의 이상 상황 또는 이상 의심 상황을 판단하고,
    상기 속성 데이터는, 상기 각각의 말단 개별 장치의 내부, 입력단 및 출력단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는 제1 센서, 및 상기 각각의 관리 모듈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는 제2 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획득되며,
    상기 각각의 말단 개별 장치 및 상기 각각의 관리 모듈 중 적어도 일부는 톤 발생기를 더 구비하되, 상기 톤 발생기에 의해 소정의 파형이 발생되면, 상기 소정의 파형이 전송되는 특정 경로에 위치한 상기 제1 센서 및 상기 제2 센서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획득되는 상기 속성 데이터를 취합하여 분석하거나, 상기 취합된 속성 데이터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서버로 하여금 분석하도록 지원함으로써, 상기 특정 경로 중 이상 상황 또는 이상 의심 상황이 발생된 지점을 판단하되,
    상기 말단 개별 장치 또는 상기 관리 모듈 각각의 이상 상황 또는 이상 의심 상황을 판단하는 조건의 요소가, 전원 분배기에서의 전원 출력인 제1 출력, 상기 말단 개별 장치 또는 상기 관리 모듈로의 전원 입력인 제1 입력,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의 신호 입력인 제2 입력,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의 신호 출력인 제2 출력의 유무 여부를 포함할 때, 상기 통신부를 통해 획득한 상기 요소 각각의 상태가 상기 제1 출력 있음, 상기 제1 입력 있음, 상기 제2 입력 있음, 상기 제2 출력 있음 상태이면, 상기 프로세서는, 정상 상황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획득한 상기 요소 각각의 상태가 정상 상황 외의 상태를 나타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상 상황 또는 상기 이상 의심 상황인 것으로 판단하거나 판단하도록 지원하되, 상기 통신부를 통해 획득한 상기 요소 각각의 상태가 상기 제1 출력 있음, 상기 제1 입력 있음, 상기 제2 입력 있음, 상기 제2 출력 없음 상태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말단 개별 장치 또는 상기 관리 모듈을 예비 말단 개별 장치 또는 예비 관리 모듈로 전환하거나 전환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 상기 방송시스템과 유무선으로 연결된 소정의 표시부에 상기 이상 상황 또는 상기 이상 의심 상황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전송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 및 상기 말단 개별 장치 또는 상기 관리 모듈의 전원 스위치의 상태를 체크하거나 체크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며, 상기 통신부를 통해 획득한 상기 요소 각각의 상태가 상기 제1 출력 있음, 상기 제1 입력 있음, 상기 제2 입력 없음, 상기 제2 출력 없음 상태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말단 개별 장치 또는 상기 관리 모듈에 신호를 입력시키는 선행 말단 개별 장치 또는 선행 관리 모듈의 신호 출력 상태를 체크하거나 체크하도록 지원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획득한 상기 요소 각각의 상태가 상기 제1 출력 있음, 상기 제1 입력 없음, 상기 제2 입력 있음, 상기 제2 출력 없음 상태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말단 개별 장치 또는 상기 관리 모듈에 전원을 입력시키는 전원 라인을 체크하거나 체크하도록 지원하며, 상기 통신부를 통해 획득한 상기 요소 각각의 상태가 상기 제1 출력 없음, 상기 제1 입력 없음, 상기 제2 입력 있음, 상기 제2 출력 없음 상태이면, 상기 프로세서는, 전원을 출력하는 상기 전원 분배기의 상태를 체크하거나 체크하도록 지원하고,
    상기 말단 개별 장치 또는 상기 관리 모듈 각각의 이상 상황 또는 이상 의심 상황을 판단하는 조건의 요소가, 전원 분배기에서의 전원 출력인 제1 출력, 상기 말단 개별 장치 또는 상기 관리 모듈로의 전원 입력인 제1 입력,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 출력인 제2 출력의 유무 여부를 포함할 때, 상기 통신부를 통해 획득한 상기 요소 각각의 상태가 상기 제1 출력 있음, 상기 제1 입력 있음, 상기 제2 출력 있음 상태이면, 상기 프로세서는, 정상 상황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획득한 상기 요소 각각의 상태가 정상 상황 외의 상태를 나타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상 상황 또는 상기 이상 의심 상황인 것으로 판단하거나 판단하도록 지원하되, 상기 통신부를 통해 획득한 상기 요소 각각의 상태가 상기 제1 출력 있음, 상기 제1 입력 있음, 상기 제2 출력 없음 상태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말단 개별 장치 또는 상기 관리 모듈을 예비 말단 개별 장치 또는 예비 관리 모듈로 전환하거나 전환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 및 상기 말단 개별 장치 또는 상기 관리 모듈의 전원 스위치의 상태를 체크하거나 체크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며, 상기 통신부를 통해 획득한 상기 요소 각각의 상태가 상기 제1 출력 있음, 상기 제1 입력 없음, 상기 제2 출력 없음 상태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말단 개별 장치 또는 상기 관리 모듈에 전원을 입력시키는 전원 라인을 체크하거나 체크하도록 지원하며, 상기 통신부를 통해 획득한 상기 요소 각각의 상태가 상기 제1 출력 없음, 상기 제1 입력 없음, 상기 제2 출력 없음 상태이면, 상기 프로세서는, 전원을 출력하는 상기 전원 분배기의 상태를 체크하거나 체크하도록 지원하며,
    상기 말단 개별 장치 또는 상기 관리 모듈 각각의 이상 상황 또는 이상 의심 상황을 판단하는 조건의 요소가, 상기 말단 개별 장치 또는 상기 관리 모듈로의 전원 입력인 제1 입력,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의 신호 입력인 제2 입력,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의 신호 출력인 제1 출력, 통신 연결인 제1 연결의 유무 여부를 포함할 때, 상기 통신부를 통해 획득한 상기 요소 각각의 상태가 상기 제1 입력 있음, 상기 제2 입력 있음, 상기 제1 출력 있음, 상기 제1 연결 있음 상태이면, 상기 프로세서는, 정상 상황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획득한 상기 요소 각각의 상태가 정상 상황 외의 상태를 나타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상 상황 또는 상기 이상 의심 상황인 것으로 판단하거나 판단하도록 지원하되, 상기 통신부를 통해 획득한 상기 말단 개별 장치 또는 상기 관리 모듈이 상기 이상 상황 또는 상기 이상 의심 상황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말단 개별 장치 또는 상기 관리 모듈의 전원 스위치의 상태를 체크하거나 체크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 및 상기 방송시스템과 유무선으로 연결된 소정의 표시부에 상기 이상 상황 또는 상기 이상 의심 상황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전송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고,
    상기 방송시스템에 포함된 전원 분배기의 이상 상황 또는 이상 의심 상황을 판단하는 조건의 요소가, 상기 전원 분배기로의 전원 입력인 제1 입력,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말단 개별 장치 또는 상기 관리 모듈로의 AC 전원 출력인 제1 출력,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말단 개별 장치 또는 상기 관리 모듈로의 DC 전원 출력인 제2 출력의 유무 여부를 포함할 때, 상기 통신부를 통해 획득한 상기 요소 각각의 상태가 상기 제1 입력 있음, 상기 제1 출력 있음, 상기 제2 출력 있음 상태이면, 상기 프로세서는, 정상 상황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획득한 상기 요소 각각의 상태가 정상 상황 외의 상태를 나타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상 상황 또는 상기 이상 의심 상황인 것으로 판단하거나 판단하도록 지원하되, 상기 전원 분배기가 상기 이상 상황 또는 상기 이상 의심 상황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말단 개별 장치 또는 상기 관리 모듈의 전원 스위치의 상태를 체크하거나 체크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 및 상기 방송시스템과 유무선으로 연결된 소정의 표시부에 상기 이상 상황 또는 상기 이상 의심 상황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전송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시스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 및 상기 제2 센서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획득되는 상기 말단 개별 장치 또는 상기 관리 모듈에 입력되는 특정 신호의 입력 레벨 값, 및 상기 말단 개별 장치 또는 상기 관리 모듈에서 출력되는 특정 신호의 출력 레벨 값의 차이가 임계치를 벗어나면, 상기 프로세서는, 이상 상황 또는 이상 의심 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시스템.
  22. 제17항에 있어서,
    소정의 기능을 가지는 특정 말단 개별 장치 및 하나 이상의 예비 특정 말단 개별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특정 말단 개별 장치가 수행하는 기능의 특성에 따라,
    상기 특정 말단 개별 장치에서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는 도중에 상기 특정 말단 개별 장치에 이상 상황 또는 이상 의심 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특정 말단 개별 장치 대신 상기 예비 특정 말단 개별 장치로 전환하여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거나,
    상기 특정 말단 개별 장치가 상기 소정의 기능을 수행할 때 상기 예비 특정 말단 개별 장치가 상기 소정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다가, 상기 특정 말단 개별 장치에 이상 상황 또는 이상 의심 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특정 말단 개별 장치 대신 상기 예비 특정 말단 개별 장치로 전환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시스템.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모듈이, 상기 특정 말단 개별 장치의 상기 이상 상황 또는 상기 이상 의심 상황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시스템.
  24. 제17항에 있어서,
    소정의 기능을 가지는 특정 말단 개별 장치, 하나 이상의 예비 특정 말단 개별 장치, 및 출력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 또는 상기 관리 모듈이,
    상기 특정 말단 개별 장치를 통해 소정의 음원 또는 영상을 포함하는 제1 소스를 상기 제1 소스의 특정 시점부터 재생시키고, 재생되는 상기 제1 소스를 상기 출력 장치를 통해 출력시키며, 상기 제1 소스의 재생이 시작되고부터 소정의 시간이 흐른 뒤, 상기 예비 특정 말단 개별 장치를 통해 상기 제1 소스와 동일한 제2 소스를 (1) 상기 제1 소스의 상기 특정 시점과 같은 제1 시점, (2) 상기 제1 소스가 재생되고 있는 제2 시점, (3) 상기 제1 시점과 상기 제2 시점 사이의 시점 중 어느 하나의 시점부터 재생시키다가,
    상기 특정 말단 개별 장치에서 재생되고 있는 상기 제1 소스가 상기 소정의 시간보다 적은 설정값의 시간 동안 상기 출력 장치에서 출력되지 않으면, 상기 예비 특정 말단 개별 장치로 전환하여 상기 예비 특정 말단 개별 장치에서 재생되고 있던 상기 제2 소스를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시스템.
  25.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실질 데이터 또는 상기 속성 데이터는 유선 경로 또는 무선 경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통하여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시스템.
  26.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실질 데이터는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속성 데이터는 오디오 모니터링 데이터, 비디오 모니터링 데이터, 전원 모니터링 데이터, 통신 모니터링 데이터, 장비 상태 모니터링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되,
    상기 오디오 모니터링 데이터는, 오디오 신호의 유무, 오디오 신호의 입출력 상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비디오 모니터링 데이터는, 비디오 신호의 유무, 비디오 신호의 입출력 상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전원 모니터링 데이터는, 전원 상태, 전류 상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통신 모니터링 데이터는 통신 신호의 유무, 통신 신호의 입출력 상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장비 상태 모니터링 데이터는 온도 상태, 각 부품의 동작 상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시스템.
  27. 제17항에 있어서,
    자동 레벨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여, 상기 자동 레벨 컨트롤러는, 오디오 신호의 출력을 적정 레벨로 유지함으로써, 다양한 음원 소스의 출력 차이에 따른 상기 오디오 신호의 출력 레벨의 변화를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시스템.
  2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시스템에 설치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중 특정 소프트웨어에서 이상 상황 또는 이상 의심 상황이 발생되면, 상기 프로세서는, 해당 상황마다 정의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체 대응 명령 중 적어도 일부가 실행되도록 지원하고, 상기 자체 대응 명령을 통해 해당 상황이 해결되지 않으면, 상기 서버를 통해 원격 대응 명령을 수신하며,
    상기 방송시스템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중 특정 하드웨어에서 이상 상황 또는 이상 의심 상황이 발생되면, 상기 프로세서는, 해당 상황마다 정의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체 대응 명령 중 적어도 일부가 실행되도록 지원하고, 상기 자체 대응 명령을 통해 해당 상황이 해결되지 않으면, 상기 서버를 통해 원격 대응 명령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시스템.
  29. 제k-1 내지 제k-nk 말단 개별 장치 및 상기 제k-1 내지 제k-nk 말단 개별 장치를 관리하기 위한 제k 관리 모듈(k는 1 이상 m 이하의 정수)을 포함하되, 원격 진단을 제공받거나 자가 진단하는 방송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방송시스템을 구성하는 m 개의 관리 모듈 및 각각의 관리 모듈에 속하는 말단 개별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생성되는 실질 데이터 및 속성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획득하는 통신부; 및
    (i) 획득된 상기 실질 데이터 및 상기 속성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상기 통신부를 통해 외부의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서버로 하여금 상기 방송시스템으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실질 데이터 및 상기 속성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맵으로서 작성하여 관리하도록 지원하고 상기 작성된 맵에 따라 상기 방송시스템을 원격으로 진단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 및 (ii) 획득된 상기 실질 데이터 및 상기 속성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맵으로서 작성하여 관리하고 상기 작성된 맵에 따라 자가 진단하는 프로세스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되,
    상기 말단 개별 장치 또는 상기 관리 모듈 각각의 이상 상황 또는 이상 의심 상황을 판단하는 조건의 요소가, 전원 분배기에서의 전원 출력인 제1 출력, 상기 말단 개별 장치 또는 상기 관리 모듈로의 전원 입력인 제1 입력,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의 신호 입력인 제2 입력,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의 신호 출력인 제2 출력의 유무 여부를 포함할 때, 상기 통신부를 통해 획득한 상기 요소 각각의 상태가 상기 제1 출력 있음, 상기 제1 입력 있음, 상기 제2 입력 있음, 상기 제2 출력 있음 상태이면, 상기 프로세서는, 정상 상황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획득한 상기 요소 각각의 상태가 정상 상황 외의 상태를 나타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상 상황 또는 상기 이상 의심 상황인 것으로 판단하거나 판단하도록 지원하되, 상기 통신부를 통해 획득한 상기 요소 각각의 상태가 상기 제1 출력 있음, 상기 제1 입력 있음, 상기 제2 입력 있음, 상기 제2 출력 없음 상태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말단 개별 장치 또는 상기 관리 모듈을 예비 말단 개별 장치 또는 예비 관리 모듈로 전환하거나 전환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 상기 방송시스템과 유무선으로 연결된 소정의 표시부에 상기 이상 상황 또는 상기 이상 의심 상황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전송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 및 상기 말단 개별 장치 또는 상기 관리 모듈의 전원 스위치의 상태를 체크하거나 체크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며, 상기 통신부를 통해 획득한 상기 요소 각각의 상태가 상기 제1 출력 있음, 상기 제1 입력 있음, 상기 제2 입력 없음, 상기 제2 출력 없음 상태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말단 개별 장치 또는 상기 관리 모듈에 신호를 입력시키는 선행 말단 개별 장치 또는 선행 관리 모듈의 신호 출력 상태를 체크하거나 체크하도록 지원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획득한 상기 요소 각각의 상태가 상기 제1 출력 있음, 상기 제1 입력 없음, 상기 제2 입력 있음, 상기 제2 출력 없음 상태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말단 개별 장치 또는 상기 관리 모듈에 전원을 입력시키는 전원 라인을 체크하거나 체크하도록 지원하며, 상기 통신부를 통해 획득한 상기 요소 각각의 상태가 상기 제1 출력 없음, 상기 제1 입력 없음, 상기 제2 입력 있음, 상기 제2 출력 없음 상태이면, 상기 프로세서는, 전원을 출력하는 상기 전원 분배기의 상태를 체크하거나 체크하도록 지원하고,
    상기 말단 개별 장치 또는 상기 관리 모듈 각각의 이상 상황 또는 이상 의심 상황을 판단하는 조건의 요소가, 전원 분배기에서의 전원 출력인 제1 출력, 상기 말단 개별 장치 또는 상기 관리 모듈로의 전원 입력인 제1 입력,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 출력인 제2 출력의 유무 여부를 포함할 때, 상기 통신부를 통해 획득한 상기 요소 각각의 상태가 상기 제1 출력 있음, 상기 제1 입력 있음, 상기 제2 출력 있음 상태이면, 상기 프로세서는, 정상 상황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획득한 상기 요소 각각의 상태가 정상 상황 외의 상태를 나타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상 상황 또는 상기 이상 의심 상황인 것으로 판단하거나 판단하도록 지원하되, 상기 통신부를 통해 획득한 상기 요소 각각의 상태가 상기 제1 출력 있음, 상기 제1 입력 있음, 상기 제2 출력 없음 상태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말단 개별 장치 또는 상기 관리 모듈을 예비 말단 개별 장치 또는 예비 관리 모듈로 전환하거나 전환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 및 상기 말단 개별 장치 또는 상기 관리 모듈의 전원 스위치의 상태를 체크하거나 체크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며, 상기 통신부를 통해 획득한 상기 요소 각각의 상태가 상기 제1 출력 있음, 상기 제1 입력 없음, 상기 제2 출력 없음 상태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말단 개별 장치 또는 상기 관리 모듈에 전원을 입력시키는 전원 라인을 체크하거나 체크하도록 지원하며, 상기 통신부를 통해 획득한 상기 요소 각각의 상태가 상기 제1 출력 없음, 상기 제1 입력 없음, 상기 제2 출력 없음 상태이면, 상기 프로세서는, 전원을 출력하는 상기 전원 분배기의 상태를 체크하거나 체크하도록 지원하며,
    상기 말단 개별 장치 또는 상기 관리 모듈 각각의 이상 상황 또는 이상 의심 상황을 판단하는 조건의 요소가, 상기 말단 개별 장치 또는 상기 관리 모듈로의 전원 입력인 제1 입력,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의 신호 입력인 제2 입력,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의 신호 출력인 제1 출력, 통신 연결인 제1 연결의 유무 여부를 포함할 때, 상기 통신부를 통해 획득한 상기 요소 각각의 상태가 상기 제1 입력 있음, 상기 제2 입력 있음, 상기 제1 출력 있음, 상기 제1 연결 있음 상태이면, 상기 프로세서는, 정상 상황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획득한 상기 요소 각각의 상태가 정상 상황 외의 상태를 나타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상 상황 또는 상기 이상 의심 상황인 것으로 판단하거나 판단하도록 지원하되, 상기 통신부를 통해 획득한 상기 말단 개별 장치 또는 상기 관리 모듈이 상기 이상 상황 또는 상기 이상 의심 상황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말단 개별 장치 또는 상기 관리 모듈의 전원 스위치의 상태를 체크하거나 체크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 및 상기 방송시스템과 유무선으로 연결된 소정의 표시부에 상기 이상 상황 또는 상기 이상 의심 상황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전송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고,
    상기 방송시스템에 포함된 전원 분배기의 이상 상황 또는 이상 의심 상황을 판단하는 조건의 요소가, 상기 전원 분배기로의 전원 입력인 제1 입력,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말단 개별 장치 또는 상기 관리 모듈로의 AC 전원 출력인 제1 출력,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말단 개별 장치 또는 상기 관리 모듈로의 DC 전원 출력인 제2 출력의 유무 여부를 포함할 때, 상기 통신부를 통해 획득한 상기 요소 각각의 상태가 상기 제1 입력 있음, 상기 제1 출력 있음, 상기 제2 출력 있음 상태이면, 상기 프로세서는, 정상 상황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획득한 상기 요소 각각의 상태가 정상 상황 외의 상태를 나타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상 상황 또는 상기 이상 의심 상황인 것으로 판단하거나 판단하도록 지원하되, 상기 전원 분배기가 상기 이상 상황 또는 상기 이상 의심 상황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말단 개별 장치 또는 상기 관리 모듈의 전원 스위치의 상태를 체크하거나 체크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 및 상기 방송시스템과 유무선으로 연결된 소정의 표시부에 상기 이상 상황 또는 상기 이상 의심 상황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전송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시스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KR1020170048627A 2017-04-14 2017-04-14 원격 진단을 제공받거나 자가 진단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방송시스템 KR1018166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8627A KR101816689B1 (ko) 2017-04-14 2017-04-14 원격 진단을 제공받거나 자가 진단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방송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8627A KR101816689B1 (ko) 2017-04-14 2017-04-14 원격 진단을 제공받거나 자가 진단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방송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6689B1 true KR101816689B1 (ko) 2018-01-11

Family

ID=61004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8627A KR101816689B1 (ko) 2017-04-14 2017-04-14 원격 진단을 제공받거나 자가 진단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방송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668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0932B1 (ko) * 2019-07-12 2020-08-07 강석봉 Ai를 이용하는 방송제어 및 최적 대피로를 구현하는 재난 방송시스템
KR102245742B1 (ko) * 2019-10-23 2021-04-27 이정우 실시간 오디오 앰프 디텍터 기술을 이용한 무중단 음향 장치
KR102268600B1 (ko) * 2020-11-19 2021-06-24 (주)에스엔케이미디어 자가 진단이 가능한 방송 시스템
KR102469178B1 (ko) * 2022-04-14 2022-11-22 동광전자 주식회사 머신러닝에 기반하여 전관방송시스템에 포함되는 디바이스 각각으로부터 획득되는 상태 정보를 학습함으로써 디바이스의 오류를 검출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오류검출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5996B1 (ko) * 2005-09-08 2007-11-15 권영현 비상신호에 따라 비상음원을 출력하는 앰프를 갖는 방송시스템
KR101325415B1 (ko) * 2013-03-11 2013-11-04 새서울정보통신 주식회사 전관방송용 앰프의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5996B1 (ko) * 2005-09-08 2007-11-15 권영현 비상신호에 따라 비상음원을 출력하는 앰프를 갖는 방송시스템
KR101325415B1 (ko) * 2013-03-11 2013-11-04 새서울정보통신 주식회사 전관방송용 앰프의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0932B1 (ko) * 2019-07-12 2020-08-07 강석봉 Ai를 이용하는 방송제어 및 최적 대피로를 구현하는 재난 방송시스템
KR102245742B1 (ko) * 2019-10-23 2021-04-27 이정우 실시간 오디오 앰프 디텍터 기술을 이용한 무중단 음향 장치
KR102268600B1 (ko) * 2020-11-19 2021-06-24 (주)에스엔케이미디어 자가 진단이 가능한 방송 시스템
KR102469178B1 (ko) * 2022-04-14 2022-11-22 동광전자 주식회사 머신러닝에 기반하여 전관방송시스템에 포함되는 디바이스 각각으로부터 획득되는 상태 정보를 학습함으로써 디바이스의 오류를 검출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오류검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6689B1 (ko) 원격 진단을 제공받거나 자가 진단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방송시스템
JP4232032B2 (ja) 音響装置および音響装置を用いた監視方法
KR100788875B1 (ko) 원격지 음향장치 제어시스템
KR101972136B1 (ko) 스피커 선로 체크 기능을 이용한 안전한 비상 방송 장치
KR102307739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출력장치의 제어가 가능한 전관방송 시스템
KR101821173B1 (ko) 오디오 디텍트를 통한 스마트 방송 시스템
KR101760818B1 (ko) 장애상황별 대응이 가능한 무선 전환 비상 방송 시스템 및 방법
CN108347288B (zh) 一种灾害预警广播的故障检测方法及检测系统
JP2011146842A (ja) 緊急通報システム
KR101835365B1 (ko) 스피커 자동점검 원격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16690B1 (ko) 하나 이상의 방송시스템에 원격 진단을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KR102145771B1 (ko) 실시간 라인점검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502921B1 (ko) 스피커 및 방송라인 테스터장치
DE202016008374U1 (de) System zum Notfallmanagement, Client
CN111148008A (zh) 一种有线广播系统的检测系统和方法
KR102245742B1 (ko) 실시간 오디오 앰프 디텍터 기술을 이용한 무중단 음향 장치
KR101017681B1 (ko) 디지털 네트워크 방송 시스템
JP3473803B2 (ja) スピーカ検査装置
JP6628264B1 (ja) 音声緊急情報報知装置
KR101284058B1 (ko) Pll 회로를 이용한 전관방송 시스템
KR101992293B1 (ko) 실시간 검출이 가능한 디지털앰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동전환 방송시스템
KR100852711B1 (ko) 자가 진단이 가능한 음향 장치
US12003927B2 (e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and reporting speaker health
US20220337965A1 (e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and reporting speaker health
KR102431569B1 (ko) 유선통신 기반 센서링 스피커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