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0635B1 - 팬틸트 및 데이터 인터페이스 기능을 가지는 스피드 돔 카메라 - Google Patents

팬틸트 및 데이터 인터페이스 기능을 가지는 스피드 돔 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0635B1
KR102120635B1 KR1020200037483A KR20200037483A KR102120635B1 KR 102120635 B1 KR102120635 B1 KR 102120635B1 KR 1020200037483 A KR1020200037483 A KR 1020200037483A KR 20200037483 A KR20200037483 A KR 20200037483A KR 102120635 B1 KR102120635 B1 KR 1021206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me camera
module
speed dome
information
nd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7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강희
Original Assignee
이강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강희 filed Critical 이강희
Priority to KR1020200037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06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06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06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5Control of camera direction for changing a field of view, e.g. pan, tilt or based on tracking of objects
    • H04N5/2329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04N23/661Transmitting camera control signals through networks, e.g. control via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H04N5/23206
    • H04N5/2321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larm Systems (AREA)
  • Studio Device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실시예는 팬틸트 및 데이터 인터페이스 기능을 가지는 스피드 돔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스피드 돔 카메라는 감시할 객체를 촬영하는 스피드 돔 카메라부와, 상기 스피드 돔 카메라부의 설치 위치와 각도에 따라 패닝구동하는 팬 구동부, 상기 스피드 돔 카메라부의 설치 위치와 각도에 따라 틸팅구동하는 틸트 구동부, 상기 패닝과 상기 틸팅에 따른 위치와 각도에 대응하여 상기 스피드 돔 카메라부의 포커스를 조절하는 포커스 조절부, 상기 스피드 돔 카메라부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디지털 신호 처리하는 DSP부 및 상기 설치 위치와 각도에 따라 상기 팬 구동부의 패닝구동 동작과 상기 틸트 구동부의 틸팅구동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패닝과 상기 틸팅에 따른 위치와 각도에 대응하여 상기 포커스 조절부의 포커스 조절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DSP부에 의해 처리된 결과를 미리 등록된 중앙감시센터로 제공하여 데이터 인터페이스하는 PLC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이를 통해 스피드 돔 카메라를 사용하여 감시 구역 내의 영상을 기본적으로 스피드 돔 카메라에서 제공하는 촬영 거리에 맞게 촬영하면서, 이에 더하여 스피드 돔 카메라의 제어유닛으로 사용되는 일실시예에 따른 NDI 모듈을 구비한 PLC 컨트롤러에 의해 팬틸트 기능을 통해서 촬영 거리를 넓히는 방식으로 시스템적으로 스피드 돔 카메라의 촬영 범위를 조절한다.
그리고, 또한 이렇게 촬영 범위를 조절하면서 촬영된 다양한 감시 구역 영상을 전술한 일실시예의 PLC 컨트롤러에 의해 카메라 장치 자체에서 중앙감시센터로 제공함으로써, 스피드 돔 카메라를 통해 원격 감시가 된다.

Description

팬틸트 및 데이터 인터페이스 기능을 가지는 스피드 돔 카메라{Speed Dome Camera with pan/tilt and data interface function}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스피드 돔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촬영 거리를 넓혀 장거리 촬영을 하고 원격지의 관리 정보처리장치로 영상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스피드 돔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스피드 돔 카메라는 영상 촬영을 위한 회전 속도 및 자동으로 포커스를 조절하는 동작이 빨라서 각종 감시 시스템에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스피드 돔 카메라는 촬영 가능한 거리가 짧으므로 불법 주정차 단속시스템이나 장거리 촬영을 요구하는 방범 시스템, 산불감시 시스템 및 재난 시스템 등에 적용시 다수 개의 스피드 돔 카메라가 요구로 되기 때문에 그 설치 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반면에, 촬영 거리에 대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대안으로서, 고가의 일반 카메라에 장거리 전동 줌 렌즈를 장착하고 팬틸트 등 부속 장치를 장착하여 이를 감시 카메라로서 사용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전동 줌 렌즈 및 팬틸트를 장착한 일반 카메라의 경우 줌 렌즈 선택에 따라 촬영 거리를 자유롭게 구현할 수 있어서 장거리 촬영에 사용될 수 있으나, 그 설치 비용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촬영 속도가 매우 느린 단점이 있다. 또한 다수 개의 일반 카메라가 시스템에 적용되는 경우 각자 분리형으로 배치되어 자동 조절이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케이블 등의 장애로 인한 고장률이 높은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배경의 관련된 선행기술문헌은 아래의 특허문헌 정도이다.
(특허문헌 1) KR101257944 Y1
(특허문헌 2) KR101600425 Y1
참고적으로, 이러한 특허문헌 1의 기술은 감시 카메라를 필요로 하는 시스템 내에 배치되어 단거리 및 장거리 촬영을 수행하는 스피드 돔 카메라 및 이를 포함하는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특허문헌 2의 기술은 IP서버를 줌 카메라의 회전체 내부에 설치하여 줌 카메라에서 출력되는 고속 고용량 디지털 데이터를 외부 환경에 강한 랜 신호로 변환하여 중앙감시센터에 제공하는 아이피 스피드 돔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개시된 내용은, 스피드 돔 카메라를 사용하여 감시 구역 내의 영상을 스피드 돔 카메라의 기본 촬영 거리에 맞게 촬영하면서, 팬틸트 기능을 통해서 촬영 거리를 넓히는 방식으로 카메라 장치 자체에서 시스템적으로 촬영 범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팬틸트 및 데이터 인터페이스 기능을 가지는 스피드 돔 카메라를 제공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러한 경우 상기 팬틸트 및 데이터 인터페이스 기능을 가지는 스피드 돔 카메라는 이렇게 촬영 범위를 조절하면서 촬영된 다양한 감시 구역 영상을 카메라 장치 자체에서 중앙감시센터로 제공함으로써, 스피드 돔 카메라를 통해 원격 감시가 될 수 있도록 한다.
실시예에 따른 팬틸트 및 데이터 인터페이스 기능을 가지는 스피드 돔 카메라는,
감시할 객체를 촬영하는 스피드 돔 카메라부와, 상기 스피드 돔 카메라부의 설치 위치와 각도에 따라 패닝구동하는 팬 구동부, 상기 스피드 돔 카메라부의 설치 위치와 각도에 따라 틸팅구동하는 틸트 구동부, 상기 패닝과 상기 틸팅에 따른 위치와 각도에 대응하여 상기 스피드 돔 카메라부의 포커스를 조절하는 포커스 조절부, 상기 스피드 돔 카메라부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디지털 신호 처리하는 DSP부 및 상기 설치 위치와 각도에 따라 상기 팬 구동부의 패닝구동 동작과 상기 틸트 구동부의 틸팅구동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패닝과 상기 틸팅에 따른 위치와 각도에 대응하여 상기 포커스 조절부의 포커스 조절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DSP부에 의해 처리된 결과를 미리 등록된 중앙감시센터로 제공하여 데이터 인터페이스하는 PLC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이에 더하여 이러한 경우 상기 PLC 컨트롤러는 PLC 자체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모듈과, 상기 스피드 돔 카메라부의 설치 위치와 각도, 상기 패닝과 상기 틸팅에 따른 위치와 각도 정보, 스피드 돔 카메라의 아날로그 주변환경정보를 포함한 아날로그 정보를 디지털로 변환하는 A/D 모듈, 디지털 유닛의 디지털정보를 아날로그로 변환하는 D/A 모듈, 스피드 돔 카메라의 디지털 주변환경정보를 포함한 디지털 정보를 입력받는 D/I 모듈, 상기 스피드 돔 카메라부의 설치 위치와 각도에 따른 제어신호를 상기 팬 구동부와 상기 틸팅 구동부로 출력하고, 상기 A/D 모듈에 의해 변환된 디지털 위치와 각도 정보에 따른 제어신호를 상기 포커스 조절부로 출력하고,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주변환경정보에 따른 제어신호를 포함한 디지털 정보를 해당되는 미리 등록된 제어대상으로 출력하는 D/O 모듈, 상기 DSP부에 의해 처리된 결과를 NDI데이터로서 미리 등록된 중앙감시센터에 제공하고 상호 간에 데이터 인터페이스하는 NDI 모듈 및 상기 각 모듈을 제어하는 CPU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들에 의하면, 스피드 돔 카메라를 사용하여 감시 구역 내의 영상을 기본적으로 스피드 돔 카메라에서 제공하는 촬영 거리에 맞게 촬영하면서, 이에 더하여 스피드 돔 카메라의 제어유닛으로 사용되는 일실시예에 따른 NDI 모듈을 구비한 PLC 컨트롤러에 의해 팬틸트 기능을 통해서 촬영 거리를 넓히는 방식으로 시스템적으로 스피드 돔 카메라의 촬영 범위를 조절한다.
그리고, 또한 이렇게 촬영 범위를 조절하면서 촬영된 다양한 감시 구역 영상을 전술한 일실시예의 PLC 컨트롤러에 의해 카메라 장치 자체에서 중앙감시센터로 제공함으로써, 스피드 돔 카메라를 통해 원격 감시가 된다.
이에 더하여, 스피드 돔 카메라 장치에서 자체적으로 감시 구역의 이상상태 정보를 네트워킹에 의해 관리자 단말기에 제공함으로써, 스피드 돔 카메라를 통해 원격 이상상태 알림과 감시가 된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팬틸트 및 데이터 인터페이스 기능을 가지는 스피드 돔 카메라가 적용된 시스템을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팬틸트 및 데이터 인터페이스 기능을 가지는 스피드 돔 카메라가 적용된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팬틸트 및 데이터 인터페이스 기능을 가지는 스피드 돔 카메라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팬틸트 및 데이터 인터페이스 기능을 가지는 스피드 돔 카메라의 동작을 순서대로 도시한 플로우 차트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팬틸트 및 데이터 인터페이스 기능을 가지는 스피드 돔 카메라의 주변환경정보 알림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팬틸트 및 데이터 인터페이스 기능을 가지는 스피드 돔 카메라의 주변환경정보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팬틸트 및 데이터 인터페이스 기능을 가지는 스피드 돔 카메라가 적용된 시스템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의 시스템은 불법 주정차와 방범 등의 영상감시를 할 경우, 구역에 설치된 스피드 돔 카메라(100)에서 객체를 예를 들어, 불법 주정차한 차량을 팬틸트에 의해 촬영 거리를 넓히는 방식으로 촬영함으로써, 스피드 돔 카메라의 촬영 거리를 관리자가 원하는 바에 따라 조절한다.
그리고, 일실시예의 시스템은 이렇게 촬영 범위를 조절해가면서 촬영이 될 경우마다, 스피드 돔 카메라(100)에서 그 촬영된 영상을 카메라 장치 자체적으로 미리 등록된 중앙감시센터와 데이터 인터페이스함으로써, 중앙감시센터를 통해 원격 영상감시가 되도록 한다.
상기 스피드 돔 카메라(100)는 영상감시할 구역을 촬영할 경우, 팬틸트 기능에 의해서 예를 들어, 촬영 거리를 넓혀 줌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관리자가 원하는 바에 따라 촬영 범위를 조절하면서 촬영이 된다. 그리고, 이에 더하여 상기 스피드 돔 카메라(100)는 이러한 촬영이 될 경우, 스피드 돔 카메라의 제어유닛으로 사용되는 일실시예에 따른 NDI 모듈을 구비한 PLC 컨트롤러에서 그 촬영된 영상을 카메라 장치 자체적으로 미리 등록된 중앙감시센터와 데이터 인터페이스함으로써, 중앙감시센터를 통해 원격 영상감시가 되도록 한다(전술한 PLC 컨트롤러의 팬틸트 기능과 데이터 인터페이스 기능의 보다 구체적인 동작은 후술함). 따라서, 이를 통해 일실시예는 스피드 돔 카메라를 사용하여 감시 구역 내의 영상을 기본적으로 스피드 돔 카메라에서 제공하는 촬영 거리에 맞게 촬영하면서, 이에 더하여 스피드 돔 카메라의 제어유닛으로 사용되는 일실시예에 따른 NDI 모듈을 구비한 PLC 컨트롤러에 의해 팬틸트 기능을 통해서 촬영 거리를 넓히는 방식으로 시스템적으로 스피드 돔 카메라의 촬영 범위를 조절한다. 그리고, 또한 일실시예는 이렇게 촬영 범위를 조절하면서 촬영된 다양한 감시 구역 영상을 전술한 일실시예의 PLC 컨트롤러에 의해 카메라 장치 자체에서 중앙감시센터로 제공함으로써, 스피드 돔 카메라를 통해 원격 감시가 되도록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스피드 돔 카메라(100)는 전술한 영상을 통해 이상상태를 검출한 경우, 상기한 일실시예의 NDI 모듈을 구비한 PLC 컨트롤러에 의해서 미리 등록된 관리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이상상태 정보를 직접 알림할 수 있는 기능도 수행한다. 따라서, 이를 통해 카메라 장치에서 자체적으로 감시 구역의 이상상태 정보를 네트워킹에 의해 관리자 단말기에 제공함으로써, 스피드 돔 카메라를 통해 원격 이상상태 알림과 감시가 되도록 한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팬틸트 및 데이터 인터페이스 기능을 가지는 스피드 돔 카메라(위의 도 1의 스피드 돔 카메라(100))가 적용된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에 따른 팬틸트 및 데이터 인터페이스 기능을 가지는 스피드 돔 카메라(100)가 적용된 시스템은 스피드 돔 카메라(100-1 ~ 100-n, ... )와, 중앙감시센터(200)를 포함한다.
상기 스피드 돔 카메라(100-1 ~ 100-n, ... )는 다수의 상이한 감시 구역별로 예를 들어, 주정차 구역, 우범지역, 교차로 등에 설치된 것으로, 자신의 감시 구역 영상을 수집하여 자가망을 통해 상기 중앙감시센터(200)에 제공함으로써, 원격 감시가 되도록 한다.
상기 중앙감시센터(200)는 상기 스피드 돔 카메라(100-1 ~ 100-n, ... )로부터 감시 구역의 영상을 수집하고 예를 들어, 딥 러닝 기반으로 학습하여 분석을 해서 관련된 분석결과 등을 방재관리실 혹은 외부연계기관 또는, 스피드 돔 카메라 자체에 제공한다. 이때, 상기 외부연계기관은 경찰서 정보처리장치와, 교통기관 정보처리장치 또는, 긴급구조 정보처리장치, 소방서 정보처리장치 등이다.
부가적으로, 전술한 분석 동작에 대해, 이러한 스피드 돔 카메라(100)가 교차로 등에 설치된 경우에 이루어지는 교통분석 동작을 예로 들어 아래와 같이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중앙감시센터(200)는 다수의 상이한 감시 구역별로 설치된 스피드 돔 카메라별로 감시 영상을 수집하여 빅데이터화하고, 미리 설정된 딥 러닝 기반으로 학습하여, 이렇게 나온 딥 러닝 기반의 학습 결과를 적용해서 상이한 주변 환경 조건별로 예를 들어, 시간대별 또는, 날씨별, 온도별 등으로 교통분석을 한다.
그리고, 이에 더하여 상기 중앙감시센터(200)는 이러한 교통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다수의 상이한 교통요소별로 예를 들어, 신호등 등의 교통정책을 도출한다. 또는, 이러한 교통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교통이상징후 등도 예측한다.
추가적으로, 이러한 중앙관제센터(200)는 차량번호의 문자인식을 통해 불법 주정차한 차량도 인식하여 불법 주정차 차량 등의 원격 감시에도 적용한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팬틸트 및 데이터 인터페이스 기능을 가지는 스피드 돔 카메라(도 1의 스피드 돔 카메라(1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의 스피드 돔 카메라(100)는 스피드 돔 카메라부(101)와, 스피드 돔 카메라의 팬틸트 기능을 구동하기 위한 팬 구동부(102), 틸트 구동부(102), 포커스 조절부(103), DSP부(104) 및 이러한 팬틸트 기능의 제어와 데이터 인터페이스 기능의 수행을 위한 PLC 컨트롤러(105)를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일실시예에 따른 스피드 돔 카메라(100)는 이러한 PLC 컨트롤러(105)에 의해 스피드 돔 카메라의 주변환경 정보를 통합적으로 수집하여 영상 감시에 더해서 카메라 장치 자체에서 또 하나의 객체 감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센서부(106)를 포함한다.
상기 스피드 돔 카메라부(101)는 감시할 구역 구체적으로는 구역 내 객체를 촬영하는 것으로, 일실시예의 팬틸트 기능에 의해 원거리에서도 카메라 자체 기능으로 상하좌우 회전 및 줌인, 줌아웃 기능이 실행되어 객체 예컨대, 사람 등을 정확하게 촬영한다. 참고적으로, 일반적으로 스피드 돔 카메라는 줌 일체형 카메라로서 실내형으로 주로 사용됨에 따라 장거리 촬영이 어려우며, 또한 장거리 촬영시 영상 화질을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스피드 돔 카메라는 카메라 장치 자체에서 지원하는 팬틸트 기능의 구동과 제어를 위한 부분을 구비하여 감시 구역의 장거리 영역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팬 구동부(102)는 관리자가 원하는 상기 스피드 돔 카메라부(101)의 설치 위치와 각도에 따라 예를 들어, 키신호 입력부 또는 조이스틱을 통해 입력되는 설치 위치와 각도에 따라 패닝구동을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스피드 돔 카메라의 위치 및 각도 등이 제어된다.
상기 틸트 구동부(103)는 관리자가 원하는 상기 스피드 돔 카메라부(101)의 설치 위치와 각도에 따라 틸팅구동을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상기 팬 구동부(102)와 연동하여 스피드 돔 카메라의 위치 및 각도 등이 제어되고, 더 나아가 감시 구역 내에서 스피드 돔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위치가 조절된다.
상기 포커스 조절부(104)는 상기 패닝과 상기 틸팅에 따른 위치와 각도에 대응하여 상기 스피드 돔 카메라부(101)의 포커스를 조절한다. 그리고, 상기 포커스 조절부(104)는 스피드 돔 카메라를 제어하여 스피드 돔 카메라의 줌인 및 줌아웃을 제어한다. 또한, 팬틸트를 제어함에 의하여 스피드 돔 카메라의 위치 및 각도가 조절되면, 상기 위치 및 각도에 대응하는 기본 포커스 조절 동작이 수행된다. 이러한 경우, 예를 들어 상기 포커스 조절 동작은 스피드 돔 카메라가 특정 위치로 화면을 이동하는 경우에, 그 특정 위치에 대응하는 팬, 틸트 및 줌 값이 저장되었는지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해당 값이 저장된 경우, 대응하는 포커스 값을 스피드 돔 카메라로 제공한다. 반면, 해당 위치값이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공지된 방법을 통해 해당 위치에 대응하는 포커스 값을 산출하고 스피드 돔 카메라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DSP부(105)는 상기 스피드 돔 카메라부(101)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즉, 감시 구역 영상을 디지털 신호 처리하여 상기 PLC 컨트롤러(106)에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PLC 컨트롤러(106)는 일실시예에 따라 스피드 돔 카메라에 대한 팬틸트 기능의 제어와 데이터 인터페이스 기능의 수행을 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PLC 컨트롤러(106)는 상기 설치 위치와 각도에 따라 상기 팬 구동부(101)의 패닝구동 동작과 상기 틸트 구동부(102)의 틸팅구동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패닝과 상기 틸팅에 따른 위치와 각도에 대응하여 상기 포커스 조절부(103)의 포커스 조절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DSP부(104)에 의해 처리된 결과를 미리 등록된 중앙감시센터(200)로 제공하여 데이터 인터페이스한다. 추가적으로, 이러한 PLC 컨트롤러(106)는 센서부(107) 등으부터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모듈과, 중앙제어부인 CPU모듈, 제어대상으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모듈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PLC 컨트롤러(106)는 이때 추가적으로 PLC 자체에서 NDI 기능을 수행하는 NDI 모듈을 구비해서, 상기 CPU모듈이 이러한 NDI 모듈에 의해 상기 입/출력 모듈과 연동하여 해당되는 제어로직으로부터 NDI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부가적으로, 이와 관련된 부연설명을 하면 다양한 환경에서 사용되는 기존의 PLC 시스템에 대해서는 여러 기능을 가진 모듈이 필요하며, 이에 따라서 PLC 제조 업체는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만족하는 다양한 모듈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디지털 입출력 모듈, 아날로그 입출력모듈, 통신 모듈 등 여러 기능을 가진 모듈이 PLC 시스템에 사용되고, 이러한 다양한 모듈을 통해서 사용자가 원하는 시스템이 구축된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KR101778333 Y1의 기술은 이러한 기술로서 등록받은 발명이며, 구체적으로는 PLC의 출력모듈의 동작상 결함 여부를 진단하기 위한 진단모듈을 구비하는 PLC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전술한 PLC 컨트롤러(106)는 이러한 점들을 이용해서, PLC 컨트롤러에 모듈화되어 일체로 구비된 특정 NDI 모듈로부터 중앙감시센터 등과의 네트워크 기능을 제공하는 PLC 컨트롤러를 제공한다. 그리고, 이를 통해 더 나아가 관리자에 의해 카메라 장치 자체에서 시스템적으로 쉽게 감시와 제어 등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이에 따라, 일실시예에 따른 PLC 컨트롤러(106)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일실시예의 PLC 컨트롤러(106)는 입력모듈 즉, A/D 모듈에 의해 상기 스피드 돔 카메라부(101)의 설치 위치와 각도, 상기 패닝과 상기 틸팅에 따른 위치와 각도 정보, 스피드 돔 카메라의 아날로그 주변환경정보를 포함한 아날로그 정보를 입력받는다. 이러한 PLC 컨트롤러(106)는 이와 다른 입력모듈 즉, D/I 모듈에 의해 스피드 돔 카메라의 디지털 주변환경정보를 포함한 디지털 정보를 입력받아, 이러한 하나의 PLC 컨트롤러를 통해 각종 센서 등의 정보를 통합적으로 입력받는다.
이러한 경우, 상기 A/D 모듈은 상기 스피드 돔 카메라부(101)의 설치 위치와 각도, 상기 패닝과 상기 틸팅에 따른 위치와 각도 정보, 스피드 돔 카메라의 아날로그 주변환경정보를 포함한 아날로그 정보를 디지털로 변환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A/D 모듈은 전술한 센서부(107) 내의 미세 먼지 센서로부터 스피드 돔 카메라 주변의 미세 먼지 정보를 아날로그 주변환경정보로서 입력받는다. 추가적으로, 상기 센서부(107)는 화재감지센서, 미세먼지감지센서, 지진감지센서 등의 각종 아날로그 센서와 디지털 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이와 달리 상기 D/I 모듈은 스피드 돔 카메라 주변의 태양광정보를 디지털 주변환경정보로서 입력받는다.
이러한 경우, 상기 입력모듈은 PLC의 입력모듈로서 I/O카드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계속해서, 상기 PLC 컨트롤러(106)의 출력모듈은 상기 입력모듈을 통해 신호가 입력되어 CPU 모듈에 의해 제어신호가 발생될 시, 제어대상으로 예를 들어, 스피드 돔 카메라의 주변에 설치된 미세 먼지 저감 장치 등으로 상기 제어신호를 전달한다.
이를 위해, 상기 출력모듈은 D/O 모듈을 구비하며, 이러한 D/O 모듈은 상기 스피드 돔 카메라부(101)의 설치 위치와 각도에 따른 제어신호를 상기 팬 구동부(102)와 상기 틸팅 구동부(103)로 출력하고, 상기 A/D 모듈에 의해 변환된 디지털 위치와 각도 정보에 따른 제어신호를 상기 포커스 조절부(104)로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D/O 모듈은 상기 아날로그 주변환경정보에 따른 제어신호를 디지털 정보로서 전술한 미세 먼지 저감 장치로 출력하며, 상기 디지털 주변환경정보에 따른 제어신호를 포함한 디지털 정보를 해당되는 미리 등록된 제어대상으로 출력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PLC 컨트롤러(106)는 예를 들어, 속도 등의 제어를 위해 각종 디지털 유닛의 디지털정보를 아날로그로 변환하는 D/A 모듈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PLC 컨트롤러(106)는 상기 DSP부(105)에 의해 처리된 결과를 즉, 영상 신호를 자체적으로 NDI데이터로서 미리 등록된 중앙감시센터에 제공하고 상호 간에 데이터 인터페이스하는 NDI 모듈을 구비한다.
이러한 경우, 상기 NDI 모듈은 자체 유/무선 통신모듈을 예를 들어, LoRa 모듈을 구비하여 감시 구역의 영상 정보를 중앙감시센터(200)로 제공한다.
또한, 상기 PLC 컨트롤러(106)는 상기 각 모듈을 제어하는 CPU 모듈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CPU 모듈은 상기한 입력모듈 등에 의해 각종 신호가 입력될 시, 미리 설정된 제어 로직에 따라 입력된 신호를 프로세싱하여 상이한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추가적으로, 이러한 PLC 컨트롤러(106)는 전술한 바에 더해, 상기한 PLC의 I/O 카드로부터 수집된 데이터에 대해 지정된 음성으로 알람 등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NDI 모듈은 자체 TTS엔진을 구비하여 PLC의 입력모듈로부터 수집된 데이터에 대해 미리 설정된 데이터별 음성정보에 따라 예를 들어, 음성멘트에 따라 상이하게 음성으로 알람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NDI 모듈은 자체 TTS 엔진을 구비하여 상기 CPU 모듈의 제어에 의해 상기 스피드 돔 카메라의 주변환경 레벨이 미리 설정된 기준 주변환경 레벨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TTS 엔진에 의해 대응하는 음성정보로 변환해서 NDI데이터로 상기 중앙감시센터(200)에 음성 알람을 한다.
또는 다른 예로, 상기 NDI 모듈은 상기 CPU 모듈의 제어에 의해 상기 스피드 돔 카메라의 주변환경 레벨이 미리 설정된 기준 주변환경 레벨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TTS 엔진에 의해 대응하는 음성정보로 변환해서 직접적으로 음성 알람을 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음성멘트는 예를 들어, NDI 모듈 자체에 구비된 플래시 음성메모리에 등록함으로써 된다.
그래서, 이를 통해 PLC의 I/O 카드 등으로부터 수집된 데이터 등에 대해 지정된 음성으로 알람을 한다.
또한, 이에 더하여 상기 PLC 컨트롤러(106)는 전술한 NDI 모듈에 의해서 외부 음성에 대해 노이즈 캔슬링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NDI 모듈은 영상 감시와 관련된 관리자 등의 음성을 입력받아 노이즈 캔슬링을 수행하고 오디오 출력을 함으로써 오디오 NDI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이러한 경우 외부 오디오 입력을 받아 노이즈 캔슬링을 수행하고 NDI 모듈 자체에 구비된 오디오 앰프를 통해 오디오 출력을 함으로써 오디오 NDI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PLC 컨트롤러(106)는 상기 NDI 모듈을 통해 자체적으로 인터넷연결부가 구비되어, 실시간으로 감지되는 감시 구역의 영상 정보를 수신함과 더불어 이상상태를 검출한 경우, 미리 등록된 관리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직접 알림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PLC 컨트롤러(106)는 상기 CPU 모듈이 아래의 동작을 수행한다.
a) 미리 등록된 관리자 단말기가 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된 경우 상기 NDI 모듈로부터 해당되는 무선통신망의 개별 IP 주소로 관리자 단말기와 연결하고, 무선통신망이 연결되지 않은 경우 이동통신데이터 망의 단말기 식별 고유 번호로 관리자 단말기와 연결하여 관리자 단말기와 실시간 연결을 확보하도록 한다.
b) 그래서, 상기 스피드 돔 카메라부의 촬영된 영상 내에서 미리 설정된 이상이미지를 포함한 경우를 포함하여 이상상태를 감지한 경우, 상기 NDI 모듈에 의한 실시간 연결로부터 해당되는 이상상태 정보를 관리자 단말기로 송출함으로써, 관리자에게 알림한다.
다른 예로서 상기 CPU 모듈은 아래의 동작을 수행한다.
a) 상기 CPU 모듈은 미리 등록된 관리자 단말기가 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된 경우 상기 NDI 모듈로부터 해당되는 무선통신망의 개별 IP 주소로 관리자 단말기와 연결하고, 무선통신망이 연결되지 않은 경우 이동통신데이터 망의 단말기 식별 고유 번호로 관리자 단말기와 연결하여 관리자 단말기와 실시간 연결을 확보하도록 한다.
b) 그래서, 상기 스피드 돔 카메라의 주변환경정보와 미리 설정된 기준 주변환경상태를 상이한 주변환경별로 비교해서 이상상태로 판별한 경우, 상기 NDI 모듈에 의한 실시간 연결로부터 해당되는 이상상태 정보를 관리자 단말기로 송출하도록 함으로써, 관리자에게 알림한다.
한편, 이에 더하여 상기 PLC 컨트롤러(106)는 감시 구역 내의 이상상태를 검출한 경우, 관리자에 의해 쉽게 최적화된 객체 감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PLC 컨트롤러(106)는 상기 CPU모듈의 제어에 의해 상기 스피드 돔 카메라부(101)의 촬영된 영상 내에서 미리 설정된 이상이미지를 포함한 경우를 포함하여 이상상태를 감지한 경우, 해당되는 이상상태 UI정보를 팝업하도록 하는 HMI 모듈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NDI 모듈은 상기 CPU 모듈의 제어에 의해 상기 HMI 모듈에 의해 팝업되도록 된 이상상태 UI정보를 NDI데이터로서 미리 등록된 중앙감시센터(200)에 제공하고 상호 간에 데이터 인터페이스한다.
다른 예로서, 상기 HMI 모듈은 상기 CPU모듈의 제어에 의해 상기 스피드 돔 카메라의 주변환경정보와 미리 설정된 기준 주변환경상태를 상이한 주변환경별로 비교해서 이상상태로 판별한 경우, 스피드 돔 카메라의 촬영된 영상 내에서 해당되는 위치에 해당되는 이상상태 UI정보를 팝업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NDI 모듈은 상기 CPU 모듈의 제어에 의해 상기 HMI 모듈에 의해 팝업되도록 된 이상상태 UI정보를 NDI데이터로서 미리 등록된 중앙감시센터(200)에 제공한다.
또한, 이러한 경우 상기 HMI 모듈은 다수의 상이한 스피드 돔 카메라부(101)에 의해 촬영된 영상이 다수개인 경우, HMI 기반에 맵 형태로 팝업하도록 한다.
따라서, 이를 통해 실시예는 감시 구역 내의 이상상태를 검출한 경우, 스피드 돔 카메라에서 일실시예에 따른 PLC 컨트롤러(106)에 의해 관리자를 통해서 쉽게 최적화된 객체 감시를 제공한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팬틸트 및 데이터 인터페이스 기능을 가지는 스피드 돔 카메라의 동작을 순서대로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에 따른 팬틸트 및 데이터 인터페이스 기능을 가지는 스피드 돔 카메라는 먼저 평상시에 불법 주정차와 방범 등의 영상감시를 할 경우, 감시 구역에서 객체를 예를 들어, 불법 주정차한 차량을 스피드 돔 카메라의 기준 촬영 거리에 맞게 촬영하여(S401) 감시 구역의 영상을 수집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일실시예에 따른 스피드 돔 카메라는 예를 들어, 관리자가 원하는 설치 위치와 각도를 지정할 경우(S404), 전술한 일실시예의 PLC 컨트롤러에 의해 카메라 자체에서 시스템적으로 팬틸트를 그 설치 위치와 각도에 따라 구동하고(S405와 S406) 제어함으로써, 스피드 돔 카메라의 촬영 거리를 넓히는 방식으로 촬영하여 다양한 범위의 구역 영상을 수집한다. 이러한 경우, 상기 패닝과 상기 틸팅에 따른 위치와 각도에 대응하여 상기 스피드 돔 카메라의 포커스를 조절한다(S407). 따라서, 이를 통해 스피드 돔 카메라의 줌인 및 줌아웃을 제어한다.
그리고, 이러한 스피드 돔 카메라는 이렇게 촬영 범위를 조절해가면서 촬영이 될 경우마다, 디지털 신호 처리하여(S402) 카메라 장치 자체적으로 미리 등록된 중앙감시센터에 촬영된 영상을 제공하고 데이터 인터페이스함으로써(S403), 관리자를 통해 원격 영상감시가 되도록 한다..
따라서, 이를 통해 일실시예는 스피드 돔 카메라를 사용하여 감시 구역 내의 영상을 기본적으로 스피드 돔 카메라에서 제공하는 촬영 거리에 맞게 촬영하면서, 이에 더하여 스피드 돔 카메라의 제어유닛으로 사용되는 일실시예에 따른 NDI 모듈을 구비한 PLC 컨트롤러에 의해 팬틸트 기능을 통해서 촬영 거리를 넓히는 방식으로 시스템적으로 스피드 돔 카메라의 촬영 범위를 조절한다.
그리고, 또한 일실시예는 이렇게 촬영 범위를 조절하면서 촬영된 다양한 감시 구역 영상을 전술한 일실시예의 PLC 컨트롤러에 의해 카메라 장치 자체에서 중앙감시센터로 제공함으로써, 스피드 돔 카메라를 통해 원격 감시가 되도록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스피드 돔 카메라는 전술한 영상을 통해 이상상태를 검출한 경우, 상기한 일실시예의 NDI 모듈을 구비한 PLC 컨트롤러에 의해서 미리 등록된 관리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이상상태 정보를 직접 알림할 수 있는 기능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스피드 돔 카메라는 주변환경 정보를 수집하여(S408), 이러한 PLC 컨트롤러에 의해 중앙감시센터로 원격 송출함으로써, 관리자에게 신속히 알림한다
따라서, 이를 통해 카메라 장치에서 자체적으로 감시 구역의 이상상태 정보를 네트워킹에 의해 관리자 단말기에 제공함으로써, 스피드 돔 카메라를 통해 원격 이상상태 알림과 감시가 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일실시예는 스피드 돔 카메라가 아래의 특징되는 구성을 구비한다.
즉, 일실시예는 감시할 객체를 촬영하는 스피드 돔 카메라부와, 상기 스피드 돔 카메라부의 설치 위치와 각도에 따라 패닝구동하는 팬 구동부, 상기 스피드 돔 카메라부의 설치 위치와 각도에 따라 틸팅구동하는 틸트 구동부, 상기 패닝과 상기 틸팅에 따른 위치와 각도에 대응하여 상기 스피드 돔 카메라부의 포커스를 조절하는 포커스 조절부, 상기 스피드 돔 카메라부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디지털 신호 처리하는 DSP부 및 상기 설치 위치와 각도에 따라 상기 팬 구동부의 패닝구동 동작과 상기 틸트 구동부의 틸팅구동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패닝과 상기 틸팅에 따른 위치와 각도에 대응하여 상기 포커스 조절부의 포커스 조절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DSP부에 의해 처리된 결과를 미리 등록된 중앙감시센터로 제공하여 데이터 인터페이스하는 PLC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이에 더하여 이러한 경우 상기 PLC 컨트롤러는 PLC 자체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모듈과, 상기 스피드 돔 카메라부의 설치 위치와 각도, 상기 패닝과 상기 틸팅에 따른 위치와 각도 정보, 스피드 돔 카메라의 아날로그 주변환경정보를 포함한 아날로그 정보를 디지털로 변환하는 A/D 모듈, 디지털 유닛의 디지털정보를 아날로그로 변환하는 D/A 모듈, 스피드 돔 카메라의 디지털 주변환경정보를 포함한 디지털 정보를 입력받는 D/I 모듈, 상기 스피드 돔 카메라부의 설치 위치와 각도에 따른 제어신호를 상기 팬 구동부와 상기 틸팅 구동부로 출력하고, 상기 A/D 모듈에 의해 변환된 디지털 위치와 각도 정보에 따른 제어신호를 상기 포커스 조절부로 출력하고,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주변환경정보에 따른 제어신호를 포함한 디지털 정보를 해당되는 미리 등록된 제어대상으로 출력하는 D/O 모듈, 상기 DSP부에 의해 처리된 결과를 NDI데이터로서 미리 등록된 중앙감시센터에 제공하고 상호 간에 데이터 인터페이스하는 NDI 모듈 및 상기 각 모듈을 제어하는 CPU 모듈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를 통해 일실시예는 스피드 돔 카메라를 사용하여 감시 구역 내의 영상을 기본적으로 스피드 돔 카메라에서 제공하는 촬영 거리에 맞게 촬영하면서, 이에 더하여 스피드 돔 카메라의 제어유닛으로 사용되는 일실시예에 따른 NDI 모듈을 구비한 PLC 컨트롤러에 의해 팬틸트 기능을 통해서 촬영 거리를 넓히는 방식으로 시스템적으로 스피드 돔 카메라의 촬영 범위를 조절한다.
그리고, 또한 일실시예는 이렇게 촬영 범위를 조절하면서 촬영된 다양한 감시 구역 영상을 전술한 일실시예의 PLC 컨트롤러에 의해 카메라 장치 자체에서 중앙감시센터로 제공함으로써, 스피드 돔 카메라를 통해 원격 감시가 되도록 한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팬틸트 및 데이터 인터페이스 기능을 가지는 스피드 돔 카메라의 주변환경정보 알림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의 스피드 돔 카메라는 PLC 컨트롤러의 입력 모듈을 통해 DSP에 의한 감시 구역의 영상과 센서부에 의한 주변환경 정보를 입력받은 경우, CPU 모듈의 제어에 의해 감시 구역 내의 이상상태를 검출하여서, NDI 모듈을 통해 이상상태 정보를 미리 등록된 관리자 단말기로 송출함으로써, 관리자에게 신속히 알림한다.
예를 들어, 일실시예의 스피드 돔 카메라는 감시 구역의 영상 내에 흉기를 휘두르는 이상이미지를 포함하는 경우, 카메라 장치 자체에서 범죄발생 정보를 일실시예에 따른 PLC 컨트롤러의 NDI 모듈을 통해 미리 등록된 관리자 단말기로 송출하여 알림한다.
그리고, 다른 예로서, 이러한 스피드 돔 카메라는 주변 미세 먼지 농도가 미리 설정된 미세 먼지 농도보다 초과하는 경우, 카메라 장치 자체에서 대기오염 정보를 일실시예에 따른 PLC 컨트롤러의 NDI 모듈을 통해 미리 등록된 관리자 단말기로 송출하여 알림한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팬틸트 및 데이터 인터페이스 기능을 가지는 스피드 돔 카메라의 주변환경정보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에 따른 팬틸트 및 데이터 인터페이스 기능을 가지는 스피드 돔 카메라는 예를 들어, 주변의 미세먼지 정보가 입력될 시, 카메라영상(여기에서는 배경 영상으로 사용함)과 미세먼지 감시결과를 상호 연동시켜 사용자 인터페이스화함으로써, 미세먼지 정보 등을 포함하여 영상통합계측한다.
예를 들어, 일실시예에 따른 팬틸트 및 데이터 인터페이스 기능을 가지는 스피드 돔 카메라는 미세먼지 정보가 입력될 시, 카메라영상과 미세먼지 양, 양호 등의 미세먼지 상태 정보, 현재온도 정보의 글씨와 그래프, 좌표 등을 상호 연동시켜 사용자 인터페이스화함으로써, 미세먼지 정보 등을 포함하여 영상통합계측한다.
여기서는, ‘스피드 돔 카메라 주변환경 이상’과, 구역정보인 ‘#5’를 알림하는 예이다.
이러한 경우, 이러한 스피드 돔 카메라는 주변환경정보를 각기 미리 설정된 주변 환경 조건별로 예를 들어, 온도와 시간대별로 감시하여 이상상태로 판별한 경우, 상기 NDI 모듈에 의해 중앙감시센터 또는 관리자 단말기에 알림한다.
그래서, 관리자 단말기 등에서 스피드 돔 카메라의 주변환경정보를 관리자에게 영상으로 통합해서 제공한다.
부가적으로, 일실시예에 따른 팬틸트 및 데이터 인터페이스 기능을 가지는 스피드 돔 카메라는 NDI 모듈을 적용한 스피드 돔 카메라의 인증을 수행하여 원격 감시가 선택적으로 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일실시예에 따른 팬틸트 및 데이터 인터페이스 기능을 가지는 스피드 돔 카메라는 NDI 네트워크를 위한 위치기반 인증 시스템이 멀티미디어 방송 다중 송출 서비스 시스템 (eMBMS, evolved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을 통해 셀 내부의 IoT (Cellular internet of things) 단말로 시드 코드(Seed Code)를 전송하도록 한다. 시드코드(seed code)는 위치기반 인증 암호화 시스템 등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단말 암호 생성 알고리즘에서 사용하는 기본 코드이다.
실시예에서 시드 코드는 대칭 키 교환, 비대칭 키 교환, 대칭 키 암호화, 비대칭 키 암호화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선택적 암호화 장치 및 방법은 특정의 암호화 알고리즘 방식에 국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방식으로 시드코드를 확보할 수 있다.
eMBMS (evolved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멀티미디어 방송 다중 송출 서비스) 시스템은 일대 다수를 지원하는 LTE 기반 동영상 전송 서비스이다.
이러한 위치기반 인증 시스템은 NDI 모듈을 적용한 스피드 돔 카메라가 예를 들어, SCEF로부터 요청된 임시 단말그룹 아이디를 전달받아, NDI 네트워크에서 각종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NDI를 적용한 단말유닛에 할당하고, 이러한 NDI 스피드 돔 카메라로 위치기반 인증 암호 생성을 위한 시드 코드를 전송한다.
실시예에서 NDI 스피드 돔 카메라는 센서, 카메라로 사용자의 생체정보 및 위치정보를 수집하고, 기 설치된 암호 생성 알고리즘을 통해 수집된 정보를 이용한 단말 인증 암호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생체정보와 위치정보를 결합하여 단말 버전 위치기반 생체인증 암호를 생성하고, 이를 위치기반 인증 서버에 전송하여 시드 코드 수신 전 NDI 단말 인증을 수행하도록 한다.
따라서, 이를 통해 NDI 단말과 위치인증 서버에서 생체정보와 위치정보를 결합한 암호를 생성하여 이를 통해 단말 인증 후 시드코드를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NDI 네트워크에서의 보안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추가적으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팬틸트 및 데이터 인터페이스 기능을 가지는 스피드 돔 카메라는 전술한 PLC 컨트롤러와는 다른 형태로서, 외부 입출력 포트, 즉, 디지털 입력(Digital Input), 디지털 출력(Digital Output), 아날로그 입력(Analoge Input:4-20mA입력 등) 통신포트를 RS-485 통신포트, RS-232 통신포트, 랜(LAN)포트, 오디오포트 등을 카메라부에서 직접 처리할 수 있는 영상 감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일실시예에 따른 팬틸트 및 데이터 인터페이스 기능을 가지는 스피드 돔 카메라는 외부 계측 기기로부터 각각 아날로그 데이터와 디지털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집부와, 이에 따른 상용의 CPU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수집부는 아날로그 센서의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C 컨버터와, 뷰어소프트웨어와 연동되어 전기적 입력을 받거나 출력으로 외부 센서를 제어하기 위한 GPIO 포트와, 상기 외부 계측기기로부터 디지털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RS485 포트와, 상기 데이터 처리부와의 통신과 상기 뷰어소프트웨어와의 통신을 위한 RS232 포트 및 상기 ADC 컨버터, GPIO 포트, RS485 포트, RS232 포트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처리하고 뷰어소프트웨어의 제어 명령을 수행하는 MCU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통해 외부 입출력 포트, 즉, 디지털 입력(Digital Input), 디지털 출력(Digital Output), 아날로그 입력(Analoge Input:4-20mA입력 등), RS-485 통신포트, RS232 통신포트, 랜(LAN)포트, 오디오(Audio) 포트 등을 카메라부에서 직접 처리하도록 하여 NVR회사마다 다른 사양을 협의할 필요가 없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부 계측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출력(D/O(data out)), 접점 출력, 알람 등을 제어하기 위한 포트, 데이터 입력(D/I(data in)), 아날로그 입력(Analog Input:4-20mA입력 등)은 MCU에서 전처리하여 CPU에 전달하고, RS-485 통신 포트, 랜(LAN)포트, 오디오 포트 등을 두고, 다양한 포트에서 받아들인 외부 입력 데이터를 카메라에서 직접 데이터 트렌드화 하여 관리자가 쉽게 수위, 압력, 온도와 같은 데이터를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외부 시스템를 효율적으로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이러한 경우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팬틸트 및 데이터 인터페이스 기능을 가지는 스피드 돔 카메라는 외부 입출력 포트에 입력된 데이터를 카메라부의 메모리에 직접적으로 데이터베이스(DATABASE)화하여 이를 모니터에 영상으로 표출시 그래프 형식의 데이터 트렌드가 함께 표출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이러한 팬틸트 및 데이터 인터페이스 기능을 가지는 스피드 돔 카메라는 감시구역의 수집된 영상과 함께 처리된 수위, 온도, 압력 등의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데이터는 SD에 데이터베이스로 저장되어 영상과 함께 데이터베이스가 문자 또는 그래프 형식의 데이터 트렌드로 중앙관제센터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화면에 표시되는 내용은 수위, 온도, 압력 등의 각종 상황에 대한 데이터베이스가 영상과 함께 표출되며, 영상에 문자가 표출 될 시 글자의 문구, 문구 값의 단위, 문구의 화면 상 위치, 폰트, 색상 등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경고 시, 표출 문구는 지정된 색으로 깜빡 깜빡거리거나, 글자는 지정된 색으로 가만히 있고 화면 전체가 컬러 또는 흑백의 지정된 색으로 깜빡 깜빡거리는 플리커링(flickering)의 경우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되며, 영상에 각종 상황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그래프 형식의 데이터 트렌드로 표출 할 시 데이터의 문구, 단위, 색깔을 관리자가 설정한대로 표출할 수 있다.
또한 영상에 표출된 트렌드의 바를 원하는 시간에 이동하면 이동된 바가 위치한 트렌드의 시간의 값이 나타나고, 데이터의 확인 후 이동바 위에 위치한 데이터 값은 자동으로 사라지며, 경고 시, 표출 문구는 지정된 색으로 깜빡 깜빡거리거나, 글자는 지정된 색으로 가만히 있고 화면 전체가 컬러 또는 흑백의 지정된 색으로 깜빡 깜빡거리는 플리커링(flickering)의 경우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기능을 포함한다.
상기 영상에 데이터 문자 및 그래프 형식의 데이터 트렌트를 표출 시 표출 방법을 설정하는 프로그램의 방법은 제너럴, 데이터아날로그(Data Analog), 데이터 디지털 입력(Digital Input), 디지털 출력(Digital Output)으로 구성된다.
제너럴에서 일반적인 설정을 하며, 카메라부는 연결된 카메라부의 종류를 선택하는 것이고, 주소(Address)는 선택된 카메라부의 네트워크 주소, 프로토콜(Protocol)은 LS산전, 모드버스(Modbus), 프로피버스(Profibus) 등 카메라부(50)와 맞는 것으로 선택할 수 있으며, 통신(Communication)은 RS-232, RS485, 랜 통신 중 선택을 할 수 있으며 통신포트(Comm. Port)는 통신포트(Common Port) 단자 선택(COM1, COM2, ... , COM10), IP주소는 카메라의 IP 주소, 히스토리(History)의 트렌드(Trend)는 Live 또는 저장된 이전 데이터를 검색할 히스토리(History) 중 선택, 히스토리는 이전 데이터 검색의 날짜 선택, 주기(Period)는 검색 날짜 기간을 선택할 수 있다.
Analog에서는, 인에이블(Enable)은 표출 데이터의 사용 유무, 스트링(String)은 데이터 명칭, 메저(Measure)은 데이터 단위, X축은 화면에 문자를 표시할 X축의 좌표, Y축은 화면에 문자를 표시할 Y축의 좌표, 사이즈(Size)는 문자의 크기, 컬러(Color)는 문자의 색깔, 디스플레이상태(Display Status)는 Text 또는 트렌드(Trend) 중 선택, 최소범위(Range Min)은 데이터의 최소 수치, 최대범위(Range Max)는 데이터의 최고 수치, 디스플레이시간(Display Time)은 트렌드(Trend) 표출 시 트렌드(Trend) 좌표 중 시간 영역 X좌표를 설정한 시간으로 표출한다.
디지털 입력(Digital Input)의 인에이블(Enable)은 표출 데이터의 사용 유무, 스트링(String)은 데이터 명칭, X축은 화면에 문자를 표시할 X축의 좌표, Y축은 화면에 문자를 표시할 Y축의 좌표, 사이즈(Size)는 문자의 크기, 컬러(Color)는 문자의 색깔, 이펙트(Effect)는 경보의 방법(글자의 빠른 깜빡임, 느린 깜빡임, 화면 깜빡임)을 설정하고, 디스플레이상태(Display Status)는 Text 또는 트렌드(Trend) 중 선택, 디스플레이시간(DisplayTime)은 트렌드(Trend) 표출 시 트렌드(Trend) 좌표 중 시간 영역 X좌표를 설정한 시간으로 표출한다.
디지털 출력(Digital Output)의 인에이블(Enable)은 표출 데이터의 사용 유무, 스트링(String)은 데이터 명칭, X축은 화면에 문자를 표시할 X축의 좌표, Y축은 화면에 문자를 표시할 Y축의 좌표, 사이즈(Size)는 문자의 크기, 컬러(Color)는 문자의 색깔, 이펙트(Effect)는 경보의 방법(글자의 빠른 깜빡임, 느린 깜빡임, 화면 깜빡임)을 설정하고, 제어상태(Control Status)는 제어시스템의 제어를 온/오프(ON/OFF) 중 선택하는 프로그램을 관리자 임의로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한다.
100 : (팬틸트 및 데이터 인터페이스 기능을 가지는) 스피드 돔 카메라
101 : 스피드 돔 카메라부 102 : 팬 구동부
103 : 틸트 구동부 104 : 포커스 조절부
105 : DSP부 106 : PLC 컨트롤러
107 : 센서부 200 : 중앙감시센터

Claims (10)

  1. 감시할 객체를 촬영하는 스피드 돔 카메라부;
    상기 스피드 돔 카메라부의 설치 위치와 각도에 따라 패닝구동하는 팬 구동부;
    상기 스피드 돔 카메라부의 설치 위치와 각도에 따라 틸팅구동하는 틸트 구동부;
    상기 패닝과 상기 틸팅에 따른 위치와 각도에 대응하여 상기 스피드 돔 카메라부의 포커스를 조절하는 포커스 조절부;
    상기 스피드 돔 카메라부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디지털 신호 처리하는 DSP부; 및
    상기 설치 위치와 각도에 따라 상기 팬 구동부의 패닝구동 동작과 상기 틸트 구동부의 틸팅구동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패닝과 상기 틸팅에 따른 위치와 각도에 대응하여 상기 포커스 조절부의 포커스 조절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DSP부에 의해 처리된 결과를 미리 등록된 중앙감시센터로 제공하여 데이터 인터페이스하는 PLC 컨트롤러; 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PLC 컨트롤러는,
    PLC 자체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모듈;
    상기 스피드 돔 카메라부의 설치 위치와 각도, 상기 패닝과 상기 틸팅에 따른 위치와 각도 정보, 스피드 돔 카메라의 아날로그 주변환경정보를 포함한 아날로그 정보를 디지털로 변환하는 A/D 모듈;
    디지털 유닛의 디지털정보를 아날로그로 변환하는 D/A 모듈;
    스피드 돔 카메라의 디지털 주변환경정보를 포함한 디지털 정보를 입력받는 D/I 모듈;
    상기 스피드 돔 카메라부의 설치 위치와 각도에 따른 제어신호를 상기 팬 구동부와 상기 틸트 구동부로 출력하고, 상기 A/D 모듈에 의해 변환된 디지털 위치와 각도 정보에 따른 제어신호를 상기 포커스 조절부로 출력하고,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주변환경정보에 따른 제어신호를 포함한 디지털 정보를 해당되는 미리 등록된 제어대상으로 출력하는 D/O 모듈;
    상기 DSP부에 의해 처리된 결과를 NDI데이터로서 미리 등록된 중앙감시센터에 제공하고 상호 간에 데이터 인터페이스하는 NDI 모듈; 및
    상기 각 모듈을 제어하는 CPU 모듈;
    상기 CPU 모듈은,
    a) 미리 등록된 관리자 단말기가 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된 경우 상기 NDI 모듈로부터 해당되는 무선통신망의 개별 IP 주소로 관리자 단말기와 연결하고, 무선통신망이 연결되지 않은 경우 이동통신데이터 망의 단말기 식별 고유 번호로 관리자 단말기와 연결하여 관리자 단말기와 실시간 연결을 확보하도록 해서,
    b) 상기 스피드 돔 카메라부의 촬영된 영상 내에서 미리 설정된 이상이미지를 포함한 경우를 포함하여 이상상태를 감지한 경우, 상기 NDI 모듈에 의한 실시간 연결로부터 해당되는 이상상태 정보를 관리자 단말기로 송출하도록 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팬틸트 및 데이터 인터페이스 기능을 가지는 스피드 돔 카메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CPU모듈의 제어에 의해 상기 스피드 돔 카메라부의 촬영된 영상 내에서 미리 설정된 이상이미지를 포함한 경우를 포함하여 이상상태를 감지한 경우, 해당되는 이상상태 UI정보를 팝업하도록 하는 HMI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NDI 모듈은,
    상기 CPU 모듈의 제어에 의해 상기 HMI 모듈에 의해 팝업되도록 된 이상상태 UI정보를 NDI데이터로서 미리 등록된 중앙감시센터에 제공하고 상호 간에 데이터 인터페이스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팬틸트 및 데이터 인터페이스 기능을 가지는 스피드 돔 카메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HMI 모듈은,
    상기 CPU모듈의 제어에 의해 상기 스피드 돔 카메라의 주변환경정보와 미리 설정된 기준 주변환경상태를 상이한 주변환경별로 비교해서 이상상태로 판별한 경우, 스피드 돔 카메라의 촬영된 영상 내에서 해당되는 위치에 해당되는 이상상태 UI정보를 팝업하도록 하고,
    상기 NDI 모듈은,
    상기 CPU 모듈의 제어에 의해 상기 HMI 모듈에 의해 팝업되도록 된 이상상태 UI정보를 NDI데이터로서 미리 등록된 중앙감시센터에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팬틸트 및 데이터 인터페이스 기능을 가지는 스피드 돔 카메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CPU모듈의 제어에 의해 상기 스피드 돔 카메라의 주변환경정보와 미리 설정된 기준 주변환경상태를 상이한 주변환경별로 비교해서 이상상태로 판별한 경우, 스피드 돔 카메라의 촬영된 영상 내에서 해당되는 위치에 해당되는 이상상태 UI정보를 팝업하도록 하는 HMI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NDI 모듈은,
    상기 CPU 모듈의 제어에 의해 상기 HMI 모듈에 의해 팝업되도록 된 이상상태 UI정보를 NDI데이터로서 미리 등록된 중앙감시센터에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팬틸트 및 데이터 인터페이스 기능을 가지는 스피드 돔 카메라.
  5. 청구항 2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HMI 모듈은
    다수의 상이한 스피드 돔 카메라부에 의해 촬영된 영상이 다수개인 경우, HMI 기반에 맵 형태로 팝업하도록 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팬틸트 및 데이터 인터페이스 기능을 가지는 스피드 돔 카메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NDI 모듈은
    자체 TTS 엔진을 구비하여 상기 CPU 모듈의 제어에 의해 상기 스피드 돔 카메라의 주변환경 레벨이 미리 설정된 기준 주변환경 레벨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TTS 엔진에 의해 대응하는 음성정보로 변환해서 NDI데이터로 상기 중앙감시센터에 음성 알람을 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팬틸트 및 데이터 인터페이스 기능을 가지는 스피드 돔 카메라.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NDI 모듈은
    상기 CPU 모듈의 제어에 의해 상기 스피드 돔 카메라의 주변환경 레벨이 미리 설정된 기준 주변환경 레벨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TTS 엔진에 의해 대응하는 음성정보로 변환해서 직접적으로 음성 알람을 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팬틸트 및 데이터 인터페이스 기능을 가지는 스피드 돔 카메라.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NDI 모듈은
    영상 감시와 관련된 외부 음성을 입력받아 노이즈 캔슬링을 수행하고 오디오 출력을 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팬틸트 및 데이터 인터페이스 기능을 가지는 스피드 돔 카메라.
  9. 삭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CPU 모듈은
    a) 미리 등록된 관리자 단말기가 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된 경우 상기 NDI 모듈로부터 해당되는 무선통신망의 개별 IP 주소로 관리자 단말기와 연결하고, 무선통신망이 연결되지 않은 경우 이동통신데이터 망의 단말기 식별 고유 번호로 관리자 단말기와 연결하여 관리자 단말기와 실시간 연결을 확보하도록 해서,
    b) 상기 스피드 돔 카메라의 주변환경정보와 미리 설정된 기준 주변환경상태를 상이한 주변환경별로 비교해서 이상상태로 판별한 경우, 상기 NDI 모듈에 의한 실시간 연결로부터 해당되는 이상상태 정보를 관리자 단말기로 송출하도록 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팬틸트 및 데이터 인터페이스 기능을 가지는 스피드 돔 카메라.
KR1020200037483A 2020-03-27 2020-03-27 팬틸트 및 데이터 인터페이스 기능을 가지는 스피드 돔 카메라 KR1021206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7483A KR102120635B1 (ko) 2020-03-27 2020-03-27 팬틸트 및 데이터 인터페이스 기능을 가지는 스피드 돔 카메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7483A KR102120635B1 (ko) 2020-03-27 2020-03-27 팬틸트 및 데이터 인터페이스 기능을 가지는 스피드 돔 카메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0635B1 true KR102120635B1 (ko) 2020-06-09

Family

ID=71082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7483A KR102120635B1 (ko) 2020-03-27 2020-03-27 팬틸트 및 데이터 인터페이스 기능을 가지는 스피드 돔 카메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063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22757A (zh) * 2020-10-20 2021-04-09 程涛 一种智能车载安全监测系统
KR102537754B1 (ko) * 2023-03-31 2023-05-31 주식회사 세일시스템 카메라 보드에 plc 제어기능이 내장된 카메라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1721B1 (ko) * 2007-09-19 2008-12-05 장경희 전력선통신제어방식을 이용한 plc ip 카메라 네트워크시스템
KR101052907B1 (ko) * 2011-03-10 2011-07-29 주식회사 하나씨엔에스 확대 컨버터를 포함하는 스피드 돔 카메라 및 이를 포함하는 감시 시스템
KR101820344B1 (ko) * 2017-07-11 2018-02-02 김은주 비상상황전파기능이 포함된 영상감시장치
KR102083167B1 (ko) * 2019-10-18 2020-03-02 비엔시스 주식회사 단일 pcb 기반의 영상통합계측용 무인 선박의 제어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1721B1 (ko) * 2007-09-19 2008-12-05 장경희 전력선통신제어방식을 이용한 plc ip 카메라 네트워크시스템
KR101052907B1 (ko) * 2011-03-10 2011-07-29 주식회사 하나씨엔에스 확대 컨버터를 포함하는 스피드 돔 카메라 및 이를 포함하는 감시 시스템
KR101820344B1 (ko) * 2017-07-11 2018-02-02 김은주 비상상황전파기능이 포함된 영상감시장치
KR102083167B1 (ko) * 2019-10-18 2020-03-02 비엔시스 주식회사 단일 pcb 기반의 영상통합계측용 무인 선박의 제어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22757A (zh) * 2020-10-20 2021-04-09 程涛 一种智能车载安全监测系统
CN112622757B (zh) * 2020-10-20 2023-03-07 程涛 一种智能车载安全监测系统
KR102537754B1 (ko) * 2023-03-31 2023-05-31 주식회사 세일시스템 카메라 보드에 plc 제어기능이 내장된 카메라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215748A1 (en) Automated camera response in a surveillance architecture
US7250853B2 (en) Surveillance system
EP1341383B1 (en) Composite camera system, zoom camera image display control method, zoom camera control method, control program,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KR102131722B1 (ko) IoT 융복합 재난 및 재해 방송 시스템
US9041800B2 (en) Confined motion detection for pan-tilt cameras employing motion detection and autonomous motion tracking
EP1341382A2 (en) Omnidirectional monitoring control system, method and program
EP2492883A1 (en) Integrated system and method for security monitoring and early fire alarming
US20030164877A1 (en) Remote monitoring method and monitor control server
US20090195655A1 (en) Remote control video surveillance apparatus with wireless communication
KR102120635B1 (ko) 팬틸트 및 데이터 인터페이스 기능을 가지는 스피드 돔 카메라
KR101016530B1 (ko) 가로등을 기반으로 하는 감시카메라 관리 시스템
KR20070061213A (ko) 원격조정이 가능한 로봇을 이용한 보안 감시 시스템 및방법
KR101056018B1 (ko) 가로등 통합 지능형 감시 시스템
JP4354391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
KR20150018975A (ko) Ip cctv를 이용한 gps 위치정보 기반의 비상상황 발생 현장 촬영 및 모니터링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비상상황 발생 현장의 촬영 및 모니터링 방법
KR101726315B1 (ko) 이벤트 알림 기능이 있는 네트워크 기반 감시 시스템 및 네트워크 기반 감시 카메라
KR102472369B1 (ko) 긴급도움 요청 음원을 통한 객체 추적시스템 및 추적방법
KR100929921B1 (ko) 유비퀴터스 일체형 보안영상장치 및 시스템
KR100857073B1 (ko) 실시간 원격 감시 시스템
KR101075874B1 (ko) 영상전송장치
KR100902275B1 (ko) 지능형 보안방범을 위한 폐쇄회로티브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16184B1 (ko) 카메라 시스템에서 이벤트 영상 재생 방법
KR200191446Y1 (ko) 산불 감지 시스템
JP2006115080A (ja) 監視カメラ制御装置および監視カメラシステム
KR102378126B1 (ko) Lte망을 이용한 건물 절전 시스템의 원격 고장진단 및 모니터링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