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2995B1 - Tv 기반 비상 대피 방송 방법 - Google Patents

Tv 기반 비상 대피 방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2995B1
KR101992995B1 KR1020180148916A KR20180148916A KR101992995B1 KR 101992995 B1 KR101992995 B1 KR 101992995B1 KR 1020180148916 A KR1020180148916 A KR 1020180148916A KR 20180148916 A KR20180148916 A KR 20180148916A KR 101992995 B1 KR101992995 B1 KR 1019929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cuation
image
display area
segment
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8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민기
신재은
조성빈
장희진
Original Assignee
오픈스택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픈스택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픈스택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489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29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29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29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5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emergency or urgenc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08B27/008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with transmission via TV or radio broadcas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08B7/06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guiding along a path, e.g. evacuation path lighting stri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 내 화재 등 비상상황이 감지되면, TV가 설치된 장소에서부터의 대피 경로를 해당 TV에 출력하되, 대피 경로 맵과 함께, 대피 경로 상에 설치된 CCTV 영상을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TV 기반 비상 대피 방송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a) 상기 화재감지 센서에 의해 화재가 감지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감시 카메라가 촬영한 구간 영상을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단계; (b) 각 TV별 대피안내 영상을 생성하되, 상기 대피안내 영상을 지도표시 영역과 영상표시 영역으로 구분하여, 상기 지도표시 영역에는 대피경로가 나타낸 건물 지도를 표시하고, 상기 영상표시 영역에는 상기 대피경로 상의 구간을 촬영한 구간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및, (c) 각 TV별 대피안내 영상을 각 TV에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하면, 비상상황이 발생되면 대피 경로와, 그 경로 상의 실시간 촬영 CCTV 영상을 즉시에 TV로 출력시켜 줌으로써, 건물 내 거주자가 즉시 자신의 대피로 및 그 상황을 자신이 직접 보고 판단할 수 있고 각자의 판단 하에 골든 타임 내에 대피할 수 있다.

Description

TV 기반 비상 대피 방송 방법 { An emergency guide broadcasting system using televisions }
본 발명은 건물 내 화재 등 비상상황이 감지되면, TV가 설치된 장소에서부터의 대피 경로를 해당 TV에 출력하되, 대피 경로 맵과 함께, 대피 경로 상에 설치된 CCTV 영상을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TV 기반 비상 대피 방송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학교 등과 같은 건물에는 화재경보장치가 필수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화재경보장치는 화재 발생 시에 화재감지센서가 동작되어 자동으로 경보를 울리거나 사람에 의해 비상벨이 눌려지면 경보를 울려 건물에 화재가 발생하였음을 알려주도록 구현된다.
그러나 건물 거주자들은 화재 발생 초기에 신속히 대피하지 못하여 화재로 순식간에 발생되는 유독 가스나 연기 등에 의해 질식되어 인명 피해를 당할 수 있다. 따라서 화재 발생 초기에 신속한 상황 판단과 이를 통한 대피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즉, 골든 타임 내에 신속한 대피가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해, 공공건물, 사무실, 공장 등과 같이 사람이 많이 모이는 장소에는오디오나 TV, 모니터 등을 통한 비상 방송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다. 그러나 기존의 비상 방송 시스템들은 모두 일관적이고 단편적인 대피 방송만을 제공하고 있으므로, 비상 상황에 처한 거주자가 해당 비상 방송을 통해 비상 상황을 인지할 뿐 현재 위치에서 인접한 대피로 및 대피로의 상황 등을 파악하기 위한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하지 않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고자 이동통신 단말기에 직접 지도와 대피로 정보를 제공하는 기술이 제시되고 있다[특허문헌 1]. 상기 선행기술은 화재를 감지하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에서 대피 출구로 안내하는 지도 영상과, 대피 안내 메시지를 전송한다.
또한, 건물 내 비상 방송을 시청할 수 없는 음영 지역의 사용자에 대한 비상 방송이 DMB를 통해 제공되도록 지원하고 사용자 단말에 비상 방송 및 대피 정보를 제공하는 기술이 제시되고 있다[특허문헌 2]. 상기 선행기술은 복수의 채널별 DMB 영상에 비상 방송 정보를 준비하고,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식별하여, 사용자 위치에 해당하는 상황 정보나 비상 DMB방송을 사용자 단말에 전송한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들은 지도 영상이나 대피 안내 메시지를 모두 사용자 단말에 직접 전송하므로, 스마트폰 등 이동단말에 해당 비상대피 어플이 설치되지 않거나 노약자 등 이러한 기능의 사용에 익숙하지 않으면 이러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다.
또한, 이러한 지도 영상이나 대피 안내 메시지는 이미 중앙통제실에서 어느 정도 비상상황을 파악한 이후에 가능하다. 그렇지 않으면 단편적인 대피 방송이나 안내만 제공될 뿐이다. 그러나 중앙통제실에서도 비상상황을 정확하게 판단하기 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따라서 골든 타임 내에 비상 상황과, 대피로, 현재 대피로의 상황 등을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는 기술이 매우 절실하다. 특히, 이동통신단말을 보유해야 하거나 특정 어플이 스마트폰 등에 미리 설치되어야 하는 등 조건 없이, 누구에게나 쉽고 빠르게 전달할 수 있는 수단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482715호(2015.01.15.공고)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861752호(2018.05.28.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건물 내 화재 등 비상상황이 감지되면, TV가 설치된 장소에서부터의 대피 경로를 해당 TV에 출력하되, 대피 경로 맵과 함께, 대피 경로 상에 설치된 CCTV 영상을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TV 기반 비상 대피 방송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화재감지 센서로부터 화재감지 결과를 수신하고, 감시 카메라로부터 구간 영상을 수신하여, 각 실내 구역에 설치된 TV에 대피안내 방송을 송출하는, 비상관리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TV 기반 비상 대피 방송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a) 상기 화재감지 센서에 의해 화재가 감지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감시 카메라가 촬영한 구간 영상을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단계; (b) 각 TV별 대피안내 영상을 생성하되, 상기 대피안내 영상을 지도표시 영역과 영상표시 영역으로 구분하여, 상기 지도표시 영역에는 대피경로가 나타낸 건물 지도를 표시하고, 상기 영상표시 영역에는 상기 대피경로 상의 구간을 촬영한 구간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및, (c) 각 TV별 대피안내 영상을 각 TV에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TV 기반 비상 대피 방송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지도표시 영역에는 건물 내의 실내 구역과 이동 통로를 나타낸 건물지도 상에 대피경로가 표시되되, 상기 대피경로는 다수의 영상 구간으로 구분되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TV 기반 비상 대피 방송 방법에 있어서, 상기 대피경로 상의 감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다수의 구간 영상을, 상기 영상표시 영역에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TV 기반 비상 대피 방송 방법에 있어서, 상기 영상표시 영역에 현재 구간 영상으로 표시되는 구간 영상에 대응되는 영상 구간을 상기 지도표시 영역에서 하이라이팅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TV 기반 비상 대피 방송 방법에 있어서, 상기 영상표시 영역에 구간 영상을 적어도 2개가 표시되는 경우, 현재 구간 영상을 하이라이팅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TV 기반 비상 대피 방송 방법에 있어서, 상기 대피경로가 다수의 영상 구간으로 구분되어 표시될 때, 감시 카메라가 촬영하는 구간과 대피 경로의 구간이 겹치는 구간만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TV 기반 비상 대피 방송 방법에 있어서, 해당 실내 구역에서 대피하는 대피경로가 적어도 2개가 있는 경우, 최단 거리에 의해 각 대피경로의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대피경로 상에 화재가 발생된 실내 구역을 통과하는 경우에는 해당 대피경로의 우선순위를 가장 낮게 낮추고, 우선순위 또는 화재 구역 통과 여부에 따라 각 대피경로의 방송 횟수를 결정하고, 설정된 방송 횟수에 따라 각 대피경로의 방송을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TV 기반 비상 대피 방송 방법에 의하면, 비상상황이 발생되면 대피 경로와, 그 경로 상의 실시간 촬영 CCTV 영상을 즉시에 TV로 출력시켜 줌으로써, 건물 내 거주자가 즉시 자신의 대피로 및 그 상황을 자신이 직접 보고 판단할 수 있고 각자의 판단 하에 골든 타임 내에 대피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TV 기반 비상 대피 방송 방법에 의하면, TV 화면의 비상 방송에서 TV 위치로부터의 대피 경로 및, 경로 상의 CCTV 영상을 순차적으로 표시함으로써, TV 화면의 제한된 크기를 최대로 활용하여 해당 위치의 거주자에게 가장 중요하고 핵심인 대피 정보를 매우 직관적이고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에 대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TV 기반 비상 대피 방송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TV 기반 비상 대피 방송 방법의 방송 화면의 화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피안내 방송을 생성하는 단계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피경로 검색 결과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피안내 방송의 하나의 예시 화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피경로에 따라 일련의 구간 영상을 표시하는 방식을 나타낸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피안내 방송의 다른 예시 화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동일 부분은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구성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은 실내 구역에 설치되어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 센서(10), 건물 내 이동 경로 상에 설치된 감시 카메라(20), 건물 내 실내 구역에 설치된 TV(30), 화재감지 센서(10)와 감시 카메라(20)로부터 화재 감지와 CCTV 영상을 수신하고 화재감지시 대피안내 방송을 TV(30)에 방송하는 비상관리 서버(40)로 구성된다. 또한,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화재감지 센서(10)는 실내 구역에 설치되어, 화재, 연기, 가스, 열 등 위험상항을 감지하는 센서이다. 화재감지 센서(10)는 비상관리 서버(40)과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되어, 감지 결과를 비상관리 서버(40)로 전송한다.
도 1에서, 각 실내 구역 B1, B2, ..., B7에 각각 화재감지 센서 S1, S2, ..., S7이 설치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다음으로, 감시 카메라(20)은 CCTV 카메라, 감시용 IP 카메라, PTZ(Pan??Tilt??Zoom) 카메라 등 감시를 목적으로 가동되는 카메라로서, 건물 내 이동 경로 상에 설치되고, 이동 경로의 구간을 촬영한다. 감시 카메라(20)은 비상관리 서버(40)과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되어, 촬영된 영상(또는 감시 영상)을 실시간으로 비상관리 서버(40)로 전송한다.
도 1에서, 각 통로 구역 B8, B9, B10, B11을 각각 촬영하는 감시 카메라 C1, C3, C2, C4가 설치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다음으로, TV(30)은 통상의 TV, 모니터 등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교실, 사무실 등 실내 구역에 각각 설치된다. TV(30)은 정상 상황일 때에는 정상적인 용도로 활용된다. 예를 들어, 학교 교실에 설치된 TV(30)은 교육 목적의 방송을 출력하거나,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을 수신하여 출력한다. 또한, 쇼핑몰이나 공공 건물인 경우, TV(30)은 상품 광고나 일상적인 안내 정보를 방송할 수 있다.
또한, TV(30)은 비상관리 서버(40)에 연결되어, 비상관리 서버(40)로부터 대피안내 방송을 송출받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TV(30)은 비상관리 서버(40)에 의해 원격으로 제어될 수 있다. 즉, 원격에서 온/오프되거나, 방송 채널이 선택될 수 있다.
또한, TV(30)은 각 실내 구역에 설치되어, 전체적으로, 다수 개의 TV가 설치된다. 따라서 비상관리 서버(40)과 TV(30)은 1:N의 연결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각 TV(10)는 비상관리 서버(40)로부터 자신만의 방송을 수신받는다. 즉, 다수의 TV(30)과 비상관리 서버(40)은 다수의 채널로 연결되어, 각 TV(30)과 비상관리 서버(40) 간에는 1:1의 방송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일정한 공간의 하나의 실내 구역 내에 적어도 2개의 TV(10)가 있는 경우에는, 해당 TV(10)들은 모두 동일한 비상 방송을 수신할 수 있다. 즉, 실내 구역을 단위 실내 구역으로 구분하고, 단위 실내 구역 내에 설치된 TV(10)들은 모두 동일한 비상안내 영상을 수신받는다.
바람직하게는, TV(10)는 IP기반으로 영상을 수신한다. 즉, TV(10)는 고유 IP주소를 보유한다. 그리고 비상관리 서버(40)과 IP 주소를 기반으로 세션을 설정하고, 설정된 세션을 통해 비상안내 방송을 수신한다.
도 1에서, 각 실내 구역 B1, B2, ..., B7에 각각 TV T1, T2, ..., T7(T8)이 설치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특히, 실내 구역 B7에는 TV가 T7, T8 등 2대가 설치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TV T7과 T8는 서로 다른 TV이지만, 동일한 실내 구역 B7에 설치되므로, 동일한 내용의 비상안내 영상을 수신받는다.
다음으로, 비상관리 서버(40)은 화재감지 센서(10)로부터 화재 감지 결과를 수신하고, 감시 카메라(20)로부터 촬영된 이동 경로 상의 구간 영상(촬영된 구간 영상)을 수신하고, 화재가 감지되면 대피 경로 맵과 함께 대피 경로 상의 구간 영상을 실시간으로 각 TV(30)에 방송한다.
비상관리 서버(40)은 화재감지 센서(10)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되어, 화재감지 센서(10)에서 감지된 결과를 수신한다. 또한, 비상관리 서버(40)은 화재감지 센서(10)가 설치된 위치를 사전에 미리 저장해둔다. 저장해둔 위치 정보를 활용하여, 감지결과를 수신하면, 해당 감지 결과가 어느 위치에서 감지된 결과인지를 파악한다.
또한, 비상관리 서버(40)은 감시 카메라(20)과 연결되어, 감시 카메라(20)에서 촬영된 영상(또는 구간 영상)을 실시간으로 수신한다. 바람직하게는, 항상 영상을 수신하지 않고, 화재가 감지되는 등 비상 상황이 발생된 경우에만 해당 감시 카메라(20)로부터 구간 영상을 실시간으로 수신한다.
또한, 비상관리 서버(40)은 감시 카메라(20)의 설치 위치를 사전에 저장하고, 감시 카메라(20)에 의해 촬영되는 구간(촬영 구간)을 사전에 저장하거나, 카메라 변수를 수신하여 촬영 구간을 산출한다. 즉, 촬영 구간은 이동 경로 상의 구간으로서, 카메라는 해당 구간의 영역을 촬영한다.
즉, 감시 카메라(20)의 촬영 각도가 고정된 경우, 촬영 구간은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정보는 사전에 구해지고 저장된다. 이때, 감시 카메라(20)가 촬영하는 구간은 주로 건물 내의 이동 경로 상의 구간이다.
또한, 감시 카메라(20)가 PTZ 카메라 등 회전형인 경우에는 카메라의 촬영 각도와 화각 등 카메라 변수에 따라 촬영 구간이 달라질 수 있다. 이 경우, 카메라의 변수를 수신하여, 감시 카메라가 촬영하는 구간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비상관리 서버(40)은 건물 내 지도(맵)를 구비하고, 각 실내 구역에서 외부로의 대피 경로를 사전에 구하여 저장한다. 이때, 하나의 실내 구역에서 출발하는 대피 경로는 다수 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비상관리 서버(40)은 화재를 감지하면, 각 TV(30)에 대피안내 방송을 송출한다. 이때, TV별 또는 각 실내 구역별 대피안내 방송을 생성하여 송출한다.
특히, 비상관리 서버(40)은 대피 경로가 표시된 지도 영상과 함께, 대피 경로 상의 구간(또는 영역)을 촬영한 영상(또는 구간 영상)을 송출한다. 이때, 지도 영상에 표시되는 대피 경로는 해당 TV(30)이 설치된 실내 구역에서부터 시작되는 대피 경로이다. 또한, 송출되는 영상은 대피 경로 상의 영역을 감시 카메라(20)에 의해 촬영된 영상(구간 영상)이다.
바람직하게는, 대피 경로 상의 구간 영상이 다수 개인 경우, 대피 경로에 따라 순차적으로 구간 영상이 출력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현재 출력 중인 구간 영상에 해당되는 구간을 지도 영상의 대피 경로 상에 하이라이트 시켜 표시한다.
다음으로, 데이터베이스(50)는 화재감지 센서(10)의 위치 등을 저장하는 센서정보DB(51), 감시 카메라(20)의 위치, 변수 등을 저장하는 카메라DB(52), 건물 내 지도, 지도 상의 대피경로 등을 저장하는 대피경로DB(53)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데이터베이스(50)의 구성은 바람직한 일실시예일 뿐이며, 구체적인 장치를 개발하는데 있어서, 접근 및 검색의 용이성 및 효율성 등을 감안하여 데이터베이스 구축이론에 의하여 다른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TV 기반 비상 대피 방송 방법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에서 바와 같이, 먼저, 비상관리 서버(40)는 화재감지 센서의 위치, 감시 카메라의 위치 및 촬영 구간, TV의 위치, 건물 지도, 대피경로 등의 데이터를 사전에 저장한다(S10).
화재감지 센서의 위치는 화재감지 센서(10)가 설치된 위치이다. 특정 화재감지 센서에 의해 화재감지 결과를 수신하면, 해당 화재감지 센서의 위치를 참조하여, 화재발생 위치를 추정한다.
또한, 감시 카메라의 위치는 감시 카메라(20)가 설치된 위치이다.
또한, 감시 카메라의 촬영 구간은 감시 카메라(20)가 촬영하는 구간이다. 즉, 촬영 구간은 감시 카메라의 촬영 영상에서 나타나는 대피경로 상의 구간을 말한다. 감시 카메라가 고정된 경우 촬영 구간이 사전에 정해질 수 있고, 감시 카메라가 고정된 경우 카메라의 변수를 통해 촬영 구간이 산출된다. 후자의 경우, 카메라의 촬영 각도와 화각에 의하여 결정된다. 특히, 이 경우 촬영 구간을 사전에 설정하지 않고, 감시 카메라(20)로부터 카메라 변수(촬영 각도, 화각)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촬영 구간을 산출한다.
또한, TV의 위치는 TV(30)가 설치된 실내 구역이다. 동일한 실내 구역에 설치된 다수의 TV는 동일한 위치에 위치된 것으로 인식된다.
또한, 건물 지도는 건물에 대한 지도로서, 실내 구역과 이동 통로가 나타난 지도이다. 또한, 대피 경로는 건물 지도 상에서 대피가 가능한 이동 경로를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대피 경로는 연속되어 연결된 이동 통로로 표시될 수 있다.
다음으로, 화재감지 센서(10)는 화재를 감지하고(S21), 감지 결과는 비상관리 서버(40)로 전송된다(S22). 바람직하게는, 화재감지 센서(10)는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 범위를 설정하고, 감지값이 해당 범위 내 또는 범위 이상이면, 화재 감지가 되었다는 이벤트를 비상관리 서버(40)에 전송한다. 즉, 정상적인 상황에서는 감지값을 화재감지 센서(10)에 전송하지 않고, 화재가 감지되는 비상 상황에서만 감지값을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비상관리 서버(40)는 화재감지가 검출되는지를 판단한다(S30).
다음으로, 비상관리 서버(40)는 화재가 감지되면, 감시 카메라(20)가 촬영 구간을 영상으로 촬영하여, 감시 카메라(20)의 구간 영상을 실시간으로 수신한다(S42).
다음으로, 비상관리 서버(40)는 각 TV별 대피안내 영상(또는 대피경로 안내 영상)을 생성한다(S50).
다음으로, 비상관리 서버(40)는 TV별 대피안내 영상을 해당 TV(30)에 전송하여 방송한다(S62). 이때, TV(30)가 켜져 있지 않은 경우, 비상관리 서버(40)는 원격으로 온(on) 신호를 전송하여, TV(30)를 온(on)시킨다(S61). 다음으로, 비상관리 서버(40)는 각 TV별 대피안내 영상을 TV(30)로 전송한다(62).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TV 기반 비상 대피 방송 방법의 대피안내 영상의 화면 구성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 TV별 대피안내 영상의 화면(70)은 지도표시 영역(71)과 영상표시 영역(72) 등 적어도 2개의 영역으로 구분된다.
먼저, 지도표시 영역(71)에는 건물 내의 각 실내 구역과 이동 통로들이 표시된다. 특히 지도표시 영역(71)에는 대피경로가 표시된다. 이때, 대피경로는 각 감시 카메라의 영상 구간으로 구분되어 표시된다.
도 3에서는, 실내 구역 B1, B2, ..., B7과, 이동 통로(또는 통로 구역) B8, B9, B10, B11이 표시되고 있다.
또한, 지도표시 영역(71)에는 감시 카메라들이 표시된다. 도 3에서, 통로 구역 B8, B9, B10, B11을 촬영하는 감시 카메라 C1, C3, C2, C4가 표시되고 있다.
다음으로, 영상표시 영역(72)에는 감시 카메라(20)에 의해 촬영된 구간 영상이 표시된다. 영상표시 영역(72)에는 적어도 1개의 구간 영상이 표시된다. 바람직하게는, 대피경로 상에 적어도 2개의 감시 카메라(20)가 설치된 경우, 영상표시 영역(72)에는 최대 3개의 구간 영상이 표시된다.
최대 3개의 구간 영상은 대피경로 상에 이동경로에 따라 순차적인 이동통로를 촬영한 구간 영상이다. 도 3의 예에서, 대피 경로가 B8, B9, B10을 통해 순차적으로 이동하는 경로이면, 이들 이동통로(또는 이동 구역)를 촬영한 감시 카메라 C1, C3, C2의 구간 영상을 표시한다.
대피 경로 상에 2대의 감시 카메라만 설치된 경우, 2개의 영상만 표시된다.
TV(30)의 화면은 표시하는 영상 크기가 제한되어 있다. 따라서 피난 경로에 따라 감시 카메라(20)가 10대, 20대 등 여러 대가 있을 수 있다. 이 모든 영상을 모두 표시할 수 없다. 많은 영상을 표시할수록, 1개의 영상 당 표시되는 면적은 줄어든다. 따라서 최대한 적은 개수의 영상을 표시한다. 그러나 만약 1개의 영상만 표시하면 영상 화면이 클 수 있으나, 현재 영상의 이동 통로의 전후 상황을 한눈에 볼 수 없다. 따라서 대피경로 상에서, 현재 영상과, 현재 영상의 전, 후의 이동 통로의 영상을 함께 보여주면, 대피자에게 가장 효과적으로 대피경로를 보여줄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TV 기반 비상 대피 방송 방법의 대피안내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S50)를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먼저, 해당 실내 구역에서부터 대피하는 대피경로를 모두 검색한다(S51).
도 5의 예에서, 화재가 감지된 실내 영역은 B1이고, 실내 구역 B2에 대한 대피안내 방송을 생성하려고 한다. 이때, 실내 구역 B2에서부터의 대피경로는 R1, R2, R3로서 모두 3개의 경로가 검색된다.
다음으로, 최단 거리에 의해 각 대피경로의 우선순위를 설정한다(S52).
즉, 최단 거리의 대피경로가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가진다. 도 5의 예에서, 최단 거리에 의한 대피경로의 우선순위는 R1, R2, R3이다.
다음으로, 대피경로 상에 화재가 발생된 실내 구역을 통과하는 경우에는 해당 대피경로의 우선순위를 가장 낮게 낮춘다(S53). 따라서 대피경로의 R1의 우선순위는 가장 낮게 부여된다. 따라서 대피경로의 우선순위는 R2, R3, R1으로 변경된다. 도 5의 예에서 실내 구역 B1이 화재발생 구역이고, 대피경로 R1을 지나간다.
다음으로, 우선순위 또는 화재 구역 통과 여부에 따라 각 대피경로의 방송 횟수를 결정한다(S54). 바람직하게는 우선순위가 높을수록 방송 횟수를 높게 설정한다. 예를 들어, 대피경로 R2는 4회, 대피경로 R3는 2회, 대피경로 R1은 1회로 설정한다.
다음으로, 설정된 방송 횟수에 따라 각 대피경로의 방송을 송출한다(S55).
즉, 각 대피경로에 부여된 방송 횟수만큼 방송이 되도록, 3개의 대피경로를 분산하여 방송으로 송출한다. 바람직하게는, 모든 대피경로의 방송횟수의 합계를 해당 대피경로의 방송 횟수로 나눈 값을 해당 대피경로의 방송 주기이다.
다음으로, 각 대피경로마다 설정된 방송 횟수가 모두 방송되면, 다시 방송 횟수를 재설정하고 방송 송출을 반복한다(S56).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TV 기반 비상 대피 방송 방법의 대피안내 영상을 생성하는 세부 형태를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도표시 영역(71)에 대피경로를 표시할 때, 영상표시 영역(72)의 구간 영상과 매치시켜 표시한다.
먼저, 지도표시 영역(71)의 대피경로의 영상 구간과, 영상표시 영역(72)의 구간 영상 간에 서로 매칭되는 것을 동일 색상이나 동일 부호 등을 통해 표시한다. 즉, 서로 매칭되는 영상 구간과 구간 영상을 동일한 색상으로 표시하거나,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또한, 지도표시 영역(71)에 감시 카메라(20)의 설치 위치를 표시하고, 각 감시 카메라와, 이에 매칭되는 해당 감시 카메라의 구간 영상도 서로 동일한 색상이나 부호로 표시한다.
도 6의 예에서, 영상표시 영역(72)의 구간 영상 C1은 감시 카메라 C1에 의해 촬영된 구간 영상이고, 해당 구간 영상의 구간은 지도표시 영역(71)에서 구간 B8에 해당된다. 또한, 해당 감시 카메라 C1의 설치 위치도 영상표시 영역(72)에 표시하한다. 따라서 구간 영상 C1과, 구간 B8을 동일한 색상(파란색)으로 표시하거나, 동일한 부호(B8, C1)로 표시한다. 또한, 감시 카메라 C1도 동일한 색상이나 부호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영상표시 영역(72)의 구간 영상 C3은 감시 카메라 C3에 의해 촬영된 구간 영상이고, 해당 구간 영상의 구간은 지도표시 영역(71)에서 구간 B9에 해당된다. 또한, 해당 감시 카메라 C3의 설치 위치도 영상표시 영역(72)에 표시하한다. 따라서 구간 영상 C3과, 구간 B9를 동일한 색상(녹색)으로 표시하거나, 동일한 부호(B9, C3)로 표시한다. 또한, 감시 카메라 C3도 동일한 색상이나 부호를 부여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영상표시 영역(72)의 구간 영상 C2와, 지도표시 영역(71)의 구간 B10 또는 감시 카메라(C2)를 동일한 색상(노란색)으로 표시하거나, 동일한 부호(B10, C2)로 표시한다.
또한, 영상표시 영역(72)에서 구간 영상을 표시할 때, 대피경로의 이동 순으로 다수의 구간 영상들을 순차적으로 표시한다. 즉, 도 6과 같이, 대피경로의 이동 순서는 구간 B8, B9, B10이다. 따라서 이 순서로 구간 영상을 표시한다. 이때, 현재 표시되는 구간 영상에 대응되는 영상 구간(영상표시 영역)을 하이라이팅 시킨다.
또한, 대피경로 상의 구간 영상의 모든 개수가 영상표시 영역(72)의 구간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개수 보다 같거나 작은 경우, 구간 영상은 영상표시 영역(72)에 모두 표시된다. 다만, 이동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구간 영상과 영상 구간을 동시에 하이라이팅 시킨다. 즉, 지도표시 영역(71)의 영상 구간과, 영상표시 영역(72)의 구간 영상을 동시에 모두 하이라이팅 시킨다.
또한, 대피경로 상의 구간 영상의 모든 개수가 영상표시 영역(72)의 구간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개수 보다 더 많은 경우, 이동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구간 영상을 출력하고, 출력되는 구간 영상과 이에 해당하는 영상 구간을 동시에 하이라이팅 시킨다. 또한, 현재 출력되는 구간 영상의 직전 구간 영상이나 직후 구간 영상을 현재 구간 영상의 앞 또는 후에 표시한다.
예를 들어, 도 7과 같이, 영상표시 영역(72)의 영상표시 영역이 3개이고 대피경로 상의 구간이 B21, B22, B23, B24, B25 인 경우를 설명한다. 이때, 시간 t1에서, 구간 B21과 이에 해당하는 영상을 동시에 하이라이팅 시키고, 나머지 영역에 B22, B23을 표시한다. 그 다음으로 시간 t2에서, 구간 B22와 이에 해당하는 영상을 동시에 하이라이팅 시키고, 특히, 해당 영상을 중앙에 표시하여 하이라이팅 시키고, 그 전후에 B21, B23에 해당하는 영상을 표시한다. 또한, 시간 t3에서, 다음으로, 구간 B23을 중앙에서 하이라이팅 시키고, 그 전후에 B22, B24의 영상을 표시한다. 다음으로, 시간 t4에서, 구간 B24를 중앙에서 하이라이팅 시키고, 그 전후에 B23, B25의 영상을 표시한다. 마지막으로, 시간 t5에서, B25를 하이라이팅 시키고, 그 전에 B23, B24의 영상을 표시한다.
또한,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지도표시 영역(71)에서 감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 구간(또는 촬영 구간)을 표시할 때, 대피경로와 겹치는 부분만 표시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 화재감지 센서 20 : 감시 카메라
30 : TV 40 : 비상관리 서버
50 : 데이터베이스

Claims (7)

  1. 화재감지 센서로부터 화재감지 결과를 수신하고, 감시 카메라로부터 구간 영상을 수신하여, 각 실내 구역에 설치된 TV에 대피안내 방송을 송출하는, 비상관리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TV 기반 비상 대피 방송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화재감지 센서에 의해 화재가 감지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감시 카메라가 촬영한 구간 영상을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단계;
    (b) 각 TV별 대피안내 영상을 생성하되, 상기 대피안내 영상을 지도표시 영역과 영상표시 영역으로 구분하여, 상기 지도표시 영역에는 대피경로가 나타낸 건물 지도를 표시하고, 상기 영상표시 영역에는 상기 대피경로 상의 구간을 촬영한 구간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및,
    (c) 각 TV별 대피안내 영상을 각 TV에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b)단계에서, 상기 지도표시 영역에는 건물 내의 실내 구역과 이동 통로를 나타낸 건물지도 상에 대피경로를 표시하되, 상기 대피경로를, 각 감시카메라의 구간 영상에 대응하는 다수의 영상 구간으로 구분하여 표시하고,
    상기 대피경로 상의 감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다수의 구간 영상을, 상기 대피경로의 이동 순으로, 상기 영상표시 영역에 순차적으로 표시하고,
    상기 대피경로의 각 영상 구간과, 각 감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구간 영상은 서로 매치되고, 상기 지도표시 영역에 대피경로를 표시할 때, 상기 영상표시 영역의 구간 영상과 매치시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 기반 비상 대피 방송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표시 영역에 현재 구간 영상으로 표시되는 구간 영상에 대응되는 영상 구간을 상기 지도표시 영역에서 하이라이팅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 기반 비상 대피 방송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표시 영역에 구간 영상을 적어도 2개가 표시되는 경우, 현재 구간 영상을 하이라이팅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 기반 비상 대피 방송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피경로가 다수의 영상 구간으로 구분되어 표시될 때, 감시 카메라가 촬영하는 구간과 대피 경로의 구간이 겹치는 구간만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 기반 비상 대피 방송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해당 실내 구역에서 대피하는 대피경로가 적어도 2개가 있는 경우, 최단 거리에 의해 각 대피경로의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대피경로 상에 화재가 발생된 실내 구역을 통과하는 경우에는 해당 대피경로의 우선순위를 가장 낮게 낮추고, 우선순위 또는 화재 구역 통과 여부에 따라 각 대피경로의 방송 횟수를 결정하고, 설정된 방송 횟수에 따라 각 대피경로의 방송을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 기반 비상 대피 방송 방법.
KR1020180148916A 2018-11-27 2018-11-27 Tv 기반 비상 대피 방송 방법 KR1019929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8916A KR101992995B1 (ko) 2018-11-27 2018-11-27 Tv 기반 비상 대피 방송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8916A KR101992995B1 (ko) 2018-11-27 2018-11-27 Tv 기반 비상 대피 방송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2995B1 true KR101992995B1 (ko) 2019-06-26

Family

ID=67105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8916A KR101992995B1 (ko) 2018-11-27 2018-11-27 Tv 기반 비상 대피 방송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299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58309A (zh) * 2020-01-15 2020-06-09 上海锵玫人工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城市消防机器人的灭火方法
CN111639825A (zh) * 2020-07-01 2020-09-08 广东工业大学 基于A-Star算法是森林火灾指示逃生路径方法及系统
KR102339731B1 (ko) * 2021-01-11 2021-12-15 정재한 유료방송 서비스 사업자의 재난정보 송출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5796A (ja) * 2003-10-10 2005-04-28 Nohmi Bosai Ltd 防災総合システム
KR20120027969A (ko) * 2010-09-14 2012-03-22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대피 유도 시스템 및 그 처리 방법
KR101482715B1 (ko) 2014-07-01 2015-01-15 김경주 이동통신단말기와 연동된 화재 대피 장치
KR101861752B1 (ko) 2017-11-08 2018-05-28 (주)그린아이티코리아 통합 비상 방송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5796A (ja) * 2003-10-10 2005-04-28 Nohmi Bosai Ltd 防災総合システム
KR20120027969A (ko) * 2010-09-14 2012-03-22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대피 유도 시스템 및 그 처리 방법
KR101482715B1 (ko) 2014-07-01 2015-01-15 김경주 이동통신단말기와 연동된 화재 대피 장치
KR101861752B1 (ko) 2017-11-08 2018-05-28 (주)그린아이티코리아 통합 비상 방송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58309A (zh) * 2020-01-15 2020-06-09 上海锵玫人工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城市消防机器人的灭火方法
CN111639825A (zh) * 2020-07-01 2020-09-08 广东工业大学 基于A-Star算法是森林火灾指示逃生路径方法及系统
CN111639825B (zh) * 2020-07-01 2024-02-23 广东工业大学 基于A-Star算法的森林火灾指示逃生路径方法及系统
KR102339731B1 (ko) * 2021-01-11 2021-12-15 정재한 유료방송 서비스 사업자의 재난정보 송출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2995B1 (ko) Tv 기반 비상 대피 방송 방법
KR101635000B1 (ko)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한 화재감지장치 및 그 시스템
KR100995569B1 (ko) 범죄예방 지능형 씨씨티브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범죄예방 시스템 및 방법
US20050275549A1 (en) Network support for emergency smoke detector/motion detector
KR101993660B1 (ko) 화재감지 및 화재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WO2016002997A1 (ko) 이동통신단말기와 연동된 화재 대피 장치
KR101901335B1 (ko) 사물지능 통신 기반의 엘이디 실내등을 이용한 재난관제 동보시스템
KR101844472B1 (ko) 원격 방재 시스템
KR20110040699A (ko) 산불 자동 감지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731995B1 (ko) 화재 감시용 카메라 장치
JP7249260B2 (ja) 緊急事態通知システム
KR102152123B1 (ko) 상가 화재를 감지 제어하는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된 지능형 휴대 단말의 영상처리시스템
JP2018073227A (ja) 避難誘導システム
KR101466004B1 (ko) 지능형 방범, 방재 및 사후처리 통합 트리플렉스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2091200B1 (ko) IP-PBX를 이용한 SIP 기반 방송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IoT 안내 방송 시스템
KR20150018975A (ko) Ip cctv를 이용한 gps 위치정보 기반의 비상상황 발생 현장 촬영 및 모니터링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비상상황 발생 현장의 촬영 및 모니터링 방법
KR101861752B1 (ko) 통합 비상 방송 시스템 및 방법
JP2006165981A (ja) 無線通信システム
KR101035312B1 (ko) 화면 분할 장치와 그를 이용한 원격 감시 시스템
KR102113527B1 (ko) 열화상 ip cctv 시스템 및 이를 통한 화재 감지 방법
KR102088198B1 (ko) 트리플 디텍터를 이용한 통합화재 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50956B1 (ko) 자동 관제 시스템
KR101599485B1 (ko) 셋탑박스를 기반으로 하는 비상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8148138A (ja) 監視システム
JP2004021604A (ja) 監視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