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2715B1 - 이동통신단말기와 연동된 화재 대피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단말기와 연동된 화재 대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2715B1
KR101482715B1 KR1020140082112A KR20140082112A KR101482715B1 KR 101482715 B1 KR101482715 B1 KR 101482715B1 KR 1020140082112 A KR1020140082112 A KR 1020140082112A KR 20140082112 A KR20140082112 A KR 20140082112A KR 101482715 B1 KR101482715 B1 KR 1014827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evacuation
fire
mobile communication
wire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2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주
Original Assignee
김경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주 filed Critical 김경주
Priority to KR10201400821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2715B1/ko
Priority to PCT/KR2014/006198 priority patent/WO2016002997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27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2715B1/ko
Priority to JP2015122936A priority patent/JP2016015133A/ja
Priority to US14/744,026 priority patent/US20160007179A1/en
Priority to EP15001877.8A priority patent/EP2963626A1/en
Priority to CN201510367083.2A priority patent/CN105243763A/zh
Priority to TW104120961A priority patent/TW201602971A/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08B7/06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guiding along a path, e.g. evacuation path lighting strip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08B7/062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indicating emergency ex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geographic loc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3/1008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 G08B3/1016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G08B3/1025Paging receivers with audible signalling details
    • G08B3/1033Paging receivers with audible signalling details with voice message aler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4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alarm systems, e.g. fire, police or burglar alarm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50Connection management for emergency connec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03Address allocation methods and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건물 내 복수개 마련되어, 건물 내 진입한 이동통신단말기와 무선 접속하여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전화번호를 수신하는 무선 AP; 상기 무선 AP로부터 전화번호를 제공받아 관리 대상 단말기로서 등록하며, 건물 내 무선 AP들의 설치 지점 및 건물 내 전자 지도를 상기 무선 AP를 통하여 상기 관리 대상 단말기에 전송하고, 화재 감지시에 상기 관리 대상 단말기들에게 화재 발생 위치와 함께 대피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는 화재 경보기; 및 상기 건물 내 무선 AP들의 설치 지점 및 건물 내 전자 지도를 수신하여 저장하며, 상기 대피 안내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대피 출구로 안내하는 지도 영상 및 대피 음성을 출력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무선 AP에 무선 접속하여 이동통신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전송하며 상기 건물 내 무선 AP들의 설치 지점 및 건물 내 전자 지도를 수신하는 AP 접속 모듈; 상기 화재 경보기로부터 수신한 건물 내 무선 AP들의 설치 지점 및 건물 내 전자 지도를 저장하는 전자 지도 저장 메모리; 적어도 세 개 이상의 무선 AP의 전파 수신 강도를 감지하여, 이동통신단말기의 건물 내 위치를 파악하는 위치 파악부; 및 상기 대피 안내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건물 내 전자 지도에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건물 내 위치를 기준으로 인접한 대피 출구를 파악하여 대피 방향을 안내하는 지도 영상 및 대피 음성을 출력하는 대피 안내부;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화재 발생 시에 건물 내의 사람들이 소지한 휴대폰에 대피 안내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사람들을 안전하게 대피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화재 발생 시에 대피 경로를 네비게이션 형태로 표시해줌으로써, 사람들이 대피 경로를 즉각 인지하여 신속한 대피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와 연동된 화재 대피 장치{Apparatus for mobile phone based fire evacuation}
본 발명은 화재 대피 장치로서, 건물 내에서 화재 등의 비상 상황 발생시에 외부로 대피하도록 안내하는 화재 대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학교 등과 같은 건물에는 화재경보장치가 필수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화재경보장치는 화재발생 시에 화재감지센서가 동작되어 자동으로 경보를 울리거나 사람에 의해 비상벨이 눌려지면 경보를 울려 건물에 화재가 발생하였음을 알려주도록 구현된다.
스프링 쿨러와 같은 화재진화장치는 화재가 발생하였을 경우 바로 동작되지 않고 화재발생이 어느 정도 진행된 후에야 작동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건물 거주자들은 화재 발생 초기에 신속히 대피하지 못하여 화재로 순식간에 발생되는 유독 가스나 연기 등에 의해 질식되어 인명 피해를 당하는 것이다.
따라서 공공건물, 사무실, 공장 등과 같이 사람이 많이 모이는 장소에는 화재에 의한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화재경보장치를 설치하도록 법적으로 의무화하고 있다. 화재 발생 시에 화재경보장치가 스프링 쿨러 등의 화재진화장치를 동작시켜 화재를 진압하도록 하고 있다.
만약 화재경보장치가 화재진화장치를 작동시키지 못할 경우, 화재경보의 작동에 의해 건물 내 사람들을 대피시켜야한다. 그런데 화재가 발생 시에 안전 대피 경로의 위치 및 방법을 건물 내 대피하는 기존의 방법은, 싸이렌 등의 경보음 또는 비상 조명등을 출력하는 것에 불과하였다. 경보음이 발생되면 사람들이 건물 내의 여러 개의 비상구 중에서 한 곳의 비상구로만 몰리게 되어, 대피를 효율적으로 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건물 내의 투숙객에게 안전 대피 경로를 안내하는 것에 한계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10-2012-0114759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화재 발생 시에 사람들을 안전하게 대피시키도록 하는 화재 대피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화재 발생 시에 사람들을 안전하게 분산시켜 출입구 방향으로 유도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건물 내에서 화재 발생 시에 대피 경로를 네비게이션해 주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건물 내 복수개 마련되어, 건물 내 진입한 이동통신단말기와 무선 접속하여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전화번호를 수신하는 무선 AP; 상기 무선 AP로부터 전화번호를 제공받아 관리 대상 단말기로서 등록하며, 건물 내 무선 AP들의 설치 지점 및 건물 내 전자 지도를 상기 무선 AP를 통하여 상기 관리 대상 단말기에 전송하고, 화재 감지시에 상기 관리 대상 단말기들에게 화재 발생 위치와 함께 대피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는 화재 경보기; 및 상기 건물 내 무선 AP들의 설치 지점 및 건물 내 전자 지도를 수신하여 저장하며, 상기 대피 안내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대피 출구로 안내하는 지도 영상 및 대피 음성을 출력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무선 AP에 무선 접속하여 이동통신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전송하며 상기 건물 내 무선 AP들의 설치 지점 및 건물 내 전자 지도를 수신하는 AP 접속 모듈; 상기 화재 경보기로부터 수신한 건물 내 무선 AP들의 설치 지점 및 건물 내 전자 지도를 저장하는 전자 지도 저장 메모리; 적어도 세 개 이상의 무선 AP의 전파 수신 강도를 감지하여, 이동통신단말기의 건물 내 위치를 파악하는 위치 파악부; 및 상기 대피 안내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건물 내 전자 지도에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건물 내 위치를 기준으로 인접한 대피 출구를 파악하여 대피 방향을 안내하는 지도 영상 및 대피 음성을 출력하는 대피 안내부; 를 포함한다.
상기 화재 경보기는, 상기 무선 AP로부터 전화번호를 제공받아 관리 대상 단말기로 등록하는 관리 대상 단말기 등록부; 화재 발생 위치, 연기 흐름 방향과 함께 화재 발생을 감지하는 화재 감지부; 상기 화재 발생이 감지된 경우에, 상기 관리 대상 단말기들에게 대피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부; 및 상기 무선 AP들이 설치된 건물 내부의 지도인 전자 지도와, 건물 내에 설치된 무선 AP들의 설치 지점에 대한 정보도 함께 등록된 전자 지도 DB;를 포함한다.
상기 관리 대상 단말기로 등록된 이 후에 무선 접속이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끊긴 경우, 상기 관리 대상 단말기 등록부에서의 관리 대상 단말기의 등록을 삭제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화재 감지부는, 상기 화재 발생 위치에 있는 무선 AP에 무선 접속된 이동통신단말기에게 현장 영상을 촬영할 것을 요청하여, 촬영되는 현장 영상을 전송받아 화재 진화 센터에 중계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화재 경보기는, 무선 AP에 무선 접속한 이동통신단말기의 개수를 확인하여, 건물 내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 분포를 파악하는 관리 대상 단말기 분포 파악부;를 포함한다.
상기 메시지 전송부는, 상기 건물 내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 분포를 상기 대피 안내 메시지와 함께 건물 내 관리 대상 단말기에게 전송하며, 상기 대피 안내부는, 복수의 건물 내 대피 출구 중에서, 상기 건물 내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 분포가 가장 적은 대피 출구를 최우선으로 하여 안내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시지 전송부는, 상기 화재 발생 위치, 연기 흐름 방향을 상기 대피 안내 메시지와 함께 건물 내 관리 대상 단말기에게 전송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대피 안내부는, 복수의 건물 내 대피 출구 중에서, 상기 연기 흐름 방향이 향하는 방향에 있는 대피 출구 중에서, 상기 화재 발생 위치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대피 출구로 안내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화재 발생 시에 건물 내의 사람들이 소지한 휴대폰에 대피 안내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사람들을 안전하게 대피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화재 발생 시에 대피 경로를 네비게이션 형태로 표시해 줌으로써, 사람들이 대피 경로를 즉각 인지하여 신속한 대피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와 연동된 화재 대피 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경보기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건물 내부에 무선 AP가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의 와이파이 신호 세기를 이용한 실내 측위 맵 매칭의 예시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화재 대피 네비게이션이 구동되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다.
이하,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발명의 목적, 작용 효과를 포함하여 기타 다른 목적들, 특징점들, 그리고 동작상의 이점들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서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하기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와 연동된 화재 대피 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경보기의 구성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구성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화재 대피 장치는 건물 내에 설치된 복수개의 무선 AP(100), 화재 경보기(200), 이동통신단말기(300)를 구비한다.
무선 AP(10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물 내 복수개 마련되어, 건물 내 진입한 이동통신단말기(300)와 무선 접속하여 이동통신단말기(300)로부터 전화번호를 수신한다. 무선 AP(100)(Access Point)는 이동통신단말기(300)와의 와이파이(Wi-Fi;Wireless Fidelity, Wireless Lan) 무선 접속을 수행하도록 무선 LAN(WLAN)에서 기지국 역할을 하는 소출력 무선기기 무선 접속 장치로서, 일정 거리 안에서 무선 인터넷을 할 수 있는 근거리 통신망을 구현하는 장치이다. 따라서 무선 AP(100)는 유선과 무선을 잇는 브릿지 역할을 하게 되며, AP는 유선망을 무선망으로 확장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이동통신단말기(300)와 무선 AP(100)간에 와이파이(Wi-Fi) 무선 접속을 하게 되면, 이동통신단말기(300)는 가입자 식별 정보를 통하여 이동통신단말기(300)의 전화번호를 획득할 수 있다. 가입자 식별 정보는 3G, 4G 이동통신단말기(300)의 유심(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에 등록 저장되어 있다. 이동통신단말기(300)와 무선 AP(100)간에 와이파이 무선 접속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면 이동통신단말기(300)는 무선 AP(100)에 가입자 식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무선 AP(100)는 자신에게 와이파이 무선 접속한 이동통신단말기(300)들의 전화번호를 포함한 가입자 식별 정보를 접속 리스트로서 관리하게 된다. 또한 이밖에 이동통신단말기(300)에 미리 화재 대피 어플리케이션의 프로그램이 구동되도록 하여, 화재 대피 어플리케이션이 무선 AP(100)의 무선 접속을 인지하면 이동통신단말기(300)의 전화번호만을 전송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화재 경보기(200)는 무선 AP(100)로부터 전화번호를 제공받아 관리 대상 단말기로서 등록하며, 건물 내 무선 AP(100)들의 위치 및 건물 내 전자 지도를 무선 AP(100)를 통하여 관리 대상 단말기에 전송하고, 화재 감지시에 관리 대상 단말기들에게 화재 발생 위치와 함께 대피 안내 메시지를 전송한다. 화재 경보기(200)는 관리 대상 단말기 등록부(210), 화재 감지부(220), 메시지 전송부(230), 전자 지도 DB(240)를 포함한다. 또한 화재 경보기(200)는 관리 대상 단말기 분포 파악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관리 대상 단말기 등록부(210)는 무선 AP(100)로부터 전화번호를 제공받아 관리 대상 단말기로 등록한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한 무선 제1AP가 건물 내로 진입한 제1이동통신단말기(300)와 와이파이 무선 접속을 하게 되면, 제1이동통신단말기(300)로부터 전화번호를 수신하게 되고, 수신된 전화번호는 관리 대상 단말기 등록부(210)로 제공되어 관리 대상 단말기로서 등록된다. 마찬가지로 건물 내로 진입한 제2이동통신단말기(300)가 있는 경우 이와 와이파이 무선 접속한 무선 제2AP는 제2이동통신단말기(300)의 전화번호를 수신하여 관리 대상 단말기로서 등록된다. 참고로, 관리 대상 단말기 등록부(210)는, 주기적으로 무선 AP(100)에 무선 접속하여, 무선 AP(100)에 무선 접속한 이동통신단말기(300)의 전화번호를 접속 리스트에서 읽어와서 관리 대상 단말기로서 등록할 수 있다.
관리 대상 단말기로 등록된 이후에 무선 접속이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끊긴 경우, 관리 대상 단말기 등록부(210)에서 무선 접속이 끊긴 이동통신단말기(300)에 대한 관리 대상 단말기 등록을 삭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물 내 무선 제1AP에 와이파이 무선 접속한 제1이동통신단말기(300)가 건물 밖으로 이동하거나 건물 내 다른 구역으로 이동한 경우 와이파이 무선 접속은 끊어지게 되고, 무선 제1AP는 무선 접속이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계속 끊어진 상태가 되는 경우, 무선 제1AP는 접속 리스트에서 제1이동통신단말기(300)를 삭제한다. 관리 대상 단말기는 주기적으로 접속 리스트를 읽어와서 제1이동통신단말기(300)가 접속 리스트에서 삭제되었음을 파악하고, 제1이동통신단말기(300)의 관리 대상 단말기 등록을 삭제할 수 있다.
참고로 건물 내에 진입한 사용자가 이동함에 따라 제1이동통신단말기(300)가 이동하는 경우, 최초 무선 접속한 무선 제1AP와 무선 접속이 끊어지고 다른 무선 제2AP에 와이파이 무선 접속함으로써, 무선 제2AP의 접속 리스트에 제1이동통신단말기(300)가 포함됨으로써, 결과적으로 화재 경보기(200)의 관리 대상 단말기로서의 등록이 계속적으로 유지되어 지속될 수 있다.
화재 감지부(220)는 화재 발생 위치, 연기 흐름 방향과 함께 화재 발생을 감지한다. 화재 발생을 감지하는 것은 두 가지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나는 화재 경보기(200) 자체적으로 열감지 센서, 연기감지 센서를 두어서 화재 발생 사실을 감지하는 것이다. 일정 온도 이상의 열이 감지되거나 일정 연기량 이상의 연기가 감지되는 경우 화재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한다. 이때, 열분포 위치, 연기량 등을 감지하여 화재 발생 위치, 연기 흐름 방향을 함께 감지할 수 있다. 화재 발생을 감지하는 나머지 다른 하나의 방식은, 건물 내 곳곳에 설치된 복수의 화재 감지 센서를 별도로 두어서 각각의 화재 감지 센서로부터 화재 발생 사실을 제공받는 것이다. 화재 감지 센서는 열감지, 연기감지 등을 할 수 있으며, 고유 아이디를 가지고 건물 곳곳에 설치되어 있어, 화재 발생 위치, 연기 흐름 방향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화재 감지부(220)는, 화재 발생 위치에 있는 무선 AP(100)에 무선 접속된 이동통신단말기(300)에게 현장 영상을 촬영할 것을 요청하여, 촬영되는 현장 영상을 전송받아 화재 진화 센터(예컨대, 119센터)에 중계한다. 예를 들어, A지점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 화재 감지부(220)는 A지점에 있는 무선 AP(100)에 무선 접속한 이동통신단말기(300)에서 구동되는 화재 대피 어플리케이션에 요청하여, 화재 현장 영상을 촬영하도록 요청한다. 이동통신단말기(300)에서 구동되는 화재 대피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조작이 없더라도 카메라를 구동시켜 영상을 촬영하여 화재 경보기(200)의 화재 감지부(220)로 전송한다. 화재 감지부(220)는 수신되는 화재 현장 영상을 화재 진화 센터에 전송하여 화재 진화 작업에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메시지 전송부(230)는, 화재 발생이 감지된 경우에, 관리 대상 단말기들에게 대피 안내 메시지를 전송한다. 화재가 감지된 경우, 관리 대상 단말기로서 등록된 이동통신단말기(300)들에게 화재 발생하였으니 대피하라는 안내 메시지를 발송한다. 예를 들어, 관리 대상 단말기로서 010-1234-5678의 전화번호를 가지는 제1이동통신단말기, 010-1111-8765의 전화번호를 가지는 제2이동통신단말기가 등록된 경우, 메시지 전송부(230)는 010-1234-5678, 010-1111-8765의 전화번호로서 이동통신망(400;3G,4G)을 통하여 대피 안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밖에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외부의 이동통신망(400)을 거치지 않고, 다른 실시예로서 무선 AP(100)의 접속 리스트에 등록된 단말기들에게 무선 AP(100)를 통하여 직접 대피 안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메시지 전송부(230)는 대피 안내 메시지 이외에 화재 발생 위치, 연기 흐름 방향을 관리 대상 단말기에 함께 전송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화재 발생 위치 및 연기 흐름 방향은 이동통신단말기(300)에서 화재 대피 방향을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메시지 전송부(230)는, 이러한 건물 내 이동통신단말기(300)의 위치 분포를 대피 안내 메시지와 함께 건물 내 관리 대상 단말기로 등록된 이동통신단말기(300)에게 전송하여, 관리 대상 단말기로 등록된 이동통신단말기(300)들도 건물 내 이동통신단말기(300)들의 위치 분포를 알 수 있도록 한다.
전자 지도 DB(240)는 무선 AP(100)들이 설치된 건물 내부의 지도인 전자 지도를 저장하여 등록한 데이터베이스이다. 전자 지도 DB(240)는 화재 경보기(200) 제품 제조 시에 건물의 전자 지도가 등록될 수 있으며, 수시로 업데이트 가능하도록 한다. 아울러 전자 지도 DB(240)에는 건물 내에 설치된 무선 AP(100)들의 설치 지점에 대한 정보도 함께 등록되어 있다.
관리 대상 단말기 분포 파악부(250)는, 무선 AP(100)에 무선 접속한 이동통신단말기(300)의 개수를 확인하여, 건물 내 이동통신단말기(300)의 위치 분포를 주기적으로 파악한다. 예를 들어, 건물 내 A지점에 위치한 무선 제1AP에 와이파이 무선 접속한 이동통신단말기(300)가 30개 있으며, B지점에 위치한 무선 제2AP에 와이파이 무선 접속한 이동통신단말기(300)가 2개 있으며, C지점에 위치한 무선 제3AP에 와이파이 무선 접속한 이동통신단말기(300)가 5개 있는 경우, A지점에 이동통신단말기(300)가 몰려있는 위치 분포를 파악할 수 있다. 이는 A지점에 사람들이 많이 몰려 있는 상태임을 알 수 있다.
한편, 이동통신단말기(300)는, 건물 내 무선 AP(100)들의 위치 및 건물 내 전자 지도를 수신하여 저장하며, 상기 대피 안내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대피 출구로 안내하는 지도 영상 및 대피 음성을 출력한다. 이동통신단말기(300)는, 영상 처리부(330), RF부(315), 데이터처리부(310), 오디오처리부(320), 입력부(350), 표시부(340), AP 접속 모듈(360), 전자 지도 저장 메모리(370), 위치 파악부(380), 대피 안내부(390)를 포함한다.
영상 처리부(330)는 카메라 센서(미도시)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 데이터를 발생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별도의 모듈로 구현될 수도 있지만 CPU에서 영상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영상 처리부(330)는 카메라 센서 또는 데이터처리부(310)로부터 전달되는 영상 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처리하며, 영상 프레임을 표시부(340)의 특성 및 크기에 맞춰 출력한다. 또한 영상 처리부(330)는 영상코덱을 구비하며, LCD등의 표시부(340)에 표시되는 영상 프레임을 설정된 방식으로 압축하거나, 압축된 영상 프레임을 원래의 영상 프레임으로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영상코덱은 JPEG 코덱, MPEG4 코덱, Wavelet 코덱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센서는 영상을 촬영하며 촬영된 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CCD 이미지 센서로서, 카메라 센서를 통해 촬영된 영상은 영상 처리부(330)(ISP;Image Signal Processor)로 전송된다.
RF부(315)는 CDMA와 같은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RF부(315)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데이터처리부(310)는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상기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 등을 구비한다. 즉, 데이터처리부(310)는 모뎀(MODEM) 및 코덱(CODEC)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코덱은 패킷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을 구비한다.
오디오처리부(320)는 데이터처리부(310)의 오디오 코덱에서 출력되는 수신 오디오신호를 스피커(322)를 통해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321)로부터 발생되는 송신 오디오신호를 데이터처리부(310)의 오디오 코덱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입력부(350)는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숫자 키들 및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 키로서 동작한다. 이러한 기능키로는 스피커(322) 온/오프 버튼, 음량조절버튼이 구비된다.
표시부(340)는 LCD, OLED 등의 디스플레이창으로서, 화재 대피 안내와 함께 건물 내 전자 지도를 표시하며, 대피 안내 경로를 표시한다.
AP 접속 모듈(360)은, 무선 AP(100)에 무선 접속하여 무선 접속한 이동통신단말기(300)의 전화번호를 전송하며 건물 내 무선 AP(100)들의 설치 지점 및 건물 내 전자 지도를 수신한다. 화재 경보기(200)로부터 건물 내 전자 지도를 수신하며, 아울러 건물 내에 설치된 무선 AP(100)들의 설치 지점의 정보를 수신한다. 참고로, 이동통신단말기(300)에는 화재 대피 어플리케이션의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어, 화재 대피 어플리케이션의 프로그램이 구동되어 AP 접속 모듈(360)을 통하여 건물 내 전자 지도 및 무선 AP 설치 지점 정보를 화재 경보기(200)에 요청하여, 수신할 수 있다. 무선 AP(100)의 접속이 이루어지면, 화재 경보기(200)의 고유 웹 IP 주소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러한 화재 경보기(200)의 고유 웹 IP 주소에 접속하여 인증 과정을 거친 후 전자 지도 및 무선 AP 설치 지점 정보를 수신받을 수 있다.
전자 지도 저장 메모리(370)는, 화재 경보기(200)로부터 수신한 건물 내 무선 AP(100)들의 설치 지점 및 건물 내 전자 지도를 저장한다. 이러한 전자 지도 저장 메모리(370)는 SSD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 플래시메모리(Flash Memory), CF카드(Compact Flash Card), SD카드(Secure Digital Card), SM카드(Smart Media Card), MMC 카드(Multi-Media Card)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한 모듈로서 장치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고, 별도의 장치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다.
위치 파악부(380)는, 적어도 세 개 이상의 무선 AP(100)의 전파 수신 강도를 감지하여, 이동통신단말기(300)의 건물 내 위치를 파악한다. 위성항법장치(GPS)를 이용하는 기존의 GPS 위치 파악 수단이 건물 내부에서는 GPS 수신이 어려워 위치 파악 수단으로 활용할 수 없어 와이파이 접속 포인트를 활용하여 위치를 파악한다.
건물 내부에 설치된 무선 AP(100)를 활용하여 이동통신단말기(300) 위치를 측정하는 실내 측위 맵 매칭(Map-Matching) 기술을 적용하는데, 이동통신단말기(300)의 주변에 있는 무선 AP(100)의 신호 세기를 파악하여 건물 내 이동통신단말기(300) 위치를 파악한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단말기(300)가 제1무선 AP(100a), 제2무선 AP(100b), 제3무선 AP(100c)의 주파수 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범위에 있다고 할 때, 각각의 무선 AP(100)의 신호 세기를 측정한다. 각 무선 AP(100)와 이동통신단말기(300)간의 거리에 따라서 각 무선 AP(100)의 신호 세기가 다르게 된다. 따라서 이동통신단말기(300)는 건물 내 무선 AP(100)의 설치 지점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각 무선 AP(100)의 신호 세기를 삼각 측량에 적용함으로써, 이동통신단말기(300)의 건물 내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대피 안내부(390)는, 화재 경보기(200)로부터 대피 안내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건물 내 전자 지도에서 이동통신단말기(300)의 건물 내 위치를 기준으로 인접한 대피 출구를 파악하여 대피 방향을 안내하는 지도 영상 및 대피 음성을 출력한다. 예를 들어, 제1이동통신단말기(300)가 제3비상구에 인접해 있는 경우, 제1이동통신단말기(300)의 현재 위치에서 제1출입구를 향하는 방향을 안내한다. 예를 들어, "오른쪽 방향에 있는 3번 비상구로 대피하세요", "왼쪽 방향에 있는 3번 비상구"로 대피하세요"와 같은 대피 안내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네비게이션처럼 대피 방향을 안내할 수 있는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지도상에서 현재 위치를 표시하고 3번 비상구 방향으로의 진행 방향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이동함에 따라서 대피 방향으로의 안내 방향도 실시간으로 반영되어 네비게이션 형태로 표시되도록 한다.
또한 대피 안내부(390)는 대피 안내 시에, 복수의 건물 내 대피 출구 중에서, 건물 내 이동통신단말기(300)의 위치 분포가 가장 적은 대피 출구(비상구)를 최우선으로 하여 안내한다. 예를 들어, 건물 내에 제1비상구, 제2비상구, 제3비상구가 있는 경우, 제1비상구 근처에 사람이 많이 몰려 있고 제2,3비상구 근처에 사람이 적은 경우, 제1비상구 근처에 있는 사람들일지라도 제2비상구 또는 제3비상구 방향으로 대피 안내를 한다. 제1비상구에 많은 사람들이 몰릴 경우, 혼잡으로 인해 대피가 어려워질 수 있으므로 사람이 적은 비상구 방향으로 안내한다.
또한 대피 안내부(390)는, 복수의 건물 내 대피 출구 중에서, 연기 흐름 방향이 향하는 방향에 있는 대피 출구 중에서, 화재 발생 위치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대피 출구로 안내한다. 연기가 흐르는 방향의 역방향은 화재가 발생한 지점에 해당되기 때문에, 화재 발생 지점에서 벗어나는 연기 흐름 방향으로 대피 방향을 안내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으로,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한 것이다.
100:무선 AP 200:화재 경보기
210:관리 대상 단말기 등록부 220:화재 감지부
230:메시지 전송부 240:전자 지도 DB
250:관리 대상 단말기 분포 파악부 300:이동통신단말기
330:영상 처리부 360:AP 접속 모듈
370:전자 지도 저장 메모리 380:위치 파악부
390:대피 안내부

Claims (8)

  1. 건물 내 복수개 마련되어, 건물 내 진입한 이동통신단말기와 무선 접속하여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전화번호를 수신하는 무선 AP;
    상기 무선 AP로부터 전화번호를 제공받아 관리 대상 단말기로서 등록하며, 건물 내 무선 AP들의 설치 지점 및 건물 내 전자 지도를 상기 무선 AP를 통하여 상기 관리 대상 단말기에 전송하고, 화재 감지시에 상기 관리 대상 단말기들에게 화재 발생 위치와 함께 대피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는 화재 경보기; 및
    상기 건물 내 무선 AP들의 설치 지점 및 건물 내 전자 지도를 수신하여 저장하며, 상기 대피 안내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대피 출구로 안내하는 지도 영상 및 대피 음성을 출력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무선 AP에 무선 접속하여 이동통신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전송하며 상기 건물 내 무선 AP들의 설치 지점 및 건물 내 전자 지도를 수신하는 AP 접속 모듈;
    상기 화재 경보기로부터 수신한 건물 내 무선 AP들의 설치 지점 및 건물 내 전자 지도를 저장하는 전자 지도 저장 메모리;
    적어도 세 개 이상의 무선 AP의 전파 수신 강도를 감지하여, 이동통신단말기의 건물 내 위치를 파악하는 위치 파악부; 및
    상기 대피 안내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건물 내 전자 지도에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건물 내 위치를 기준으로 인접한 대피 출구를 파악하여 대피 방향을 안내하는 지도 영상 및 대피 음성을 출력하는 대피 안내부;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와 연동된 화재 대피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재 경보기는,
    상기 무선 AP로부터 전화번호를 제공받아 관리 대상 단말기로 등록하는 관리 대상 단말기 등록부;
    화재 발생 위치 및 연기 흐름 방향과 함께 화재 발생을 감지하는 화재 감지부;
    상기 화재 발생이 감지된 경우에, 상기 관리 대상 단말기들에게 대피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부; 및
    상기 무선 AP들이 설치된 건물 내부의 지도인 전자 지도와, 건물 내에 설치된 무선 AP들의 설치 지점에 대한 정보도 함께 등록된 전자 지도 DB;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와 연동된 화재 대피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관리 대상 단말기로 등록된 이후에 무선 접속이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끊긴 경우, 상기 관리 대상 단말기 등록부에서의 관리 대상 단말기의 등록을 삭제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와 연동된 화재 대피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화재 감지부는,
    상기 화재 발생 위치에 있는 무선 AP에 무선 접속된 이동통신단말기에게 현장 영상을 촬영할 것을 요청하여, 촬영되는 현장 영상을 전송받아 화재 진화 센터에 중계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대피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재 경보기는,
    무선 AP에 무선 접속한 이동통신단말기의 개수를 확인하여, 건물 내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 분포를 파악하는 관리 대상 단말기 분포 파악부;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와 연동된 화재 대피 장치.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전송부는, 상기 건물 내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 분포를 상기 대피 안내 메시지와 함께 건물 내 관리 대상 단말기에게 전송하며,
    상기 대피 안내부는, 복수의 건물 내 대피 출구 중에서, 상기 건물 내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 분포가 가장 적은 대피 출구를 최우선으로 하여 안내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와 연동된 화재 대피 장치.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전송부는, 상기 화재 발생 위치 및 연기 흐름 방향을 상기 대피 안내 메시지와 함께 건물 내 관리 대상 단말기에게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와 연동된 화재 대피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대피 안내부는, 복수의 건물 내 대피 출구 중에서, 상기 연기 흐름 방향이 향하는 방향에 있는 대피 출구 중에서, 상기 화재 발생 위치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대피 출구로 안내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와 연동된 화재 대피 장치.
KR1020140082112A 2014-07-01 2014-07-01 이동통신단말기와 연동된 화재 대피 장치 KR1014827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2112A KR101482715B1 (ko) 2014-07-01 2014-07-01 이동통신단말기와 연동된 화재 대피 장치
PCT/KR2014/006198 WO2016002997A1 (ko) 2014-07-01 2014-07-10 이동통신단말기와 연동된 화재 대피 장치
JP2015122936A JP2016015133A (ja) 2014-07-01 2015-06-18 移動通信端末機と連動した火災避難装置
US14/744,026 US20160007179A1 (en) 2014-07-01 2015-06-19 Fire alarm apparatus interworking with mobile phone
EP15001877.8A EP2963626A1 (en) 2014-07-01 2015-06-25 Fire alarm apparatus interworking with mobile phone
CN201510367083.2A CN105243763A (zh) 2014-07-01 2015-06-29 与移动通信终端机联动的消防疏散装置
TW104120961A TW201602971A (zh) 2014-07-01 2015-06-29 與移動通信終端機聯動的消防疏散裝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2112A KR101482715B1 (ko) 2014-07-01 2014-07-01 이동통신단말기와 연동된 화재 대피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2715B1 true KR101482715B1 (ko) 2015-01-15

Family

ID=52589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2112A KR101482715B1 (ko) 2014-07-01 2014-07-01 이동통신단말기와 연동된 화재 대피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60007179A1 (ko)
EP (1) EP2963626A1 (ko)
JP (1) JP2016015133A (ko)
KR (1) KR101482715B1 (ko)
CN (1) CN105243763A (ko)
TW (1) TW201602971A (ko)
WO (1) WO2016002997A1 (ko)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2991A (ko) * 2015-04-15 2016-10-25 권창환 경로 안내 방법, 서버 및 시스템
KR101745887B1 (ko) * 2015-05-21 2017-06-12 최낙훈 화재 경보 장치
KR101766747B1 (ko) * 2015-08-27 2017-08-1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실내 대피경로 화면표시 방법
KR20170101636A (ko) * 2016-02-29 2017-09-06 팅크웨어(주) 재난 안전 지도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783002B1 (ko) 2017-05-04 2017-09-28 (주)온담엔지니어링 건축물의 화재 대피 안내 시스템
KR101817914B1 (ko) 2017-08-01 2018-01-12 (주)토문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무선 통신 및 위치 추적 기능을 갖는 화재 감지 시스템
KR101831752B1 (ko) 2016-08-24 2018-02-26 정병찬 화재 경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화재 경보 방법
KR101825706B1 (ko) * 2017-09-12 2018-03-22 박희석 중계기를 활용한 건 위험 상황 대책 시스템
KR101870168B1 (ko) * 2018-01-02 2018-07-23 단효진 화재경보시스템
KR101895726B1 (ko) * 2017-07-25 2018-09-05 주식회사 목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발화 지점을 검출할 수 있는 소방 지원 장치
KR101915756B1 (ko) 2017-03-14 2018-11-06 (주)케이엠에스 화재 발생시 대피 경로를 안내하는 화재감시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92995B1 (ko) 2018-11-27 2019-06-26 오픈스택 주식회사 Tv 기반 비상 대피 방송 방법
KR20190106636A (ko) * 2018-03-06 2019-09-18 (주) 임베디드 솔루션 재난 상황 표시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998064B1 (ko) * 2019-01-21 2019-10-01 (주)그립 비상시 자율적으로 IoT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IoT 게이트웨이 장치 및 그 방법
KR20210042652A (ko) 2019-10-10 2021-04-20 윤성호 대피 경로 안내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60723B2 (en) * 2015-06-25 2018-01-02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ethod of notification of fire evacuation plan in floating crowd premises
US11062574B2 (en) * 2016-01-22 2021-07-13 Tyco Fire & Security Gmbh Strobe notification appliance and emergency lighting appliance with directional information
US10121357B2 (en) 2016-02-16 2018-11-06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ystems and methods of location based awareness of life safety sensors
SE540862C2 (en) * 2016-04-13 2018-12-04 South Coast Eng Ab Cable with sensor device and alarm unit
JP6485428B2 (ja) * 2016-10-06 2019-03-20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管理システム、管理装置、管理方法および管理プログラム
US11297470B2 (en) * 2017-01-17 2022-04-05 Qualcomm Incorporated User location aware smart event handling
JP6849461B2 (ja) * 2017-02-03 2021-03-24 清水建設株式会社 防災時通信区画構成建築物及び防災時通信区画構成方法
CN108469756A (zh) * 2017-02-23 2018-08-31 开利公司 用于建筑物的控制系统和控制方法
WO2018203229A1 (en) * 2017-05-01 2018-11-08 Tyco Fire & Security Gmbh System and method for aiding with reporting an emergency and subsequent evacuation procedures
KR101844472B1 (ko) * 2017-05-10 2018-04-02 김경수 원격 방재 시스템
CN107067626A (zh) * 2017-06-19 2017-08-18 安徽鼎信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智能楼宇消防安全及应急系统
WO2019069248A1 (en) * 2017-10-03 2019-04-11 Al Shimmari Faisal Mohammed Ali Mohammed SYSTEM AND DEVICE FOR ASSISTANCE TO RESCUE AND EMERGENCY ASSISTANCE PERSONNEL
US11308773B2 (en) 2017-11-16 2022-04-19 Carrier Corporation Virtual assistant based emergency evacuation guiding system
TWI637362B (zh) * 2017-11-28 2018-10-01 南開科技大學 火災救援系統及其方法
US10667115B2 (en) 2017-12-21 2020-05-26 Autronica Fire & Security As Integrated wireless beacon in fire alarm devices for indoor localization
US10609670B2 (en) * 2018-03-21 2020-03-31 Combain Mobile AB Method and system for locating a position of a movable device
CN108388752B (zh) * 2018-03-22 2020-06-05 中国科学院计算技术研究所 一种适用于应急撤离的群体仿真方法
GB2574602B (en) * 2018-06-11 2021-07-28 Arm Ip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indicating evacuation routes
CN109147241A (zh) * 2018-08-02 2019-01-04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应急信息处理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09816912A (zh) * 2018-12-29 2019-05-28 湖南汇博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火灾疏散方法、装置及可读存储介质
US11189141B2 (en) * 2019-05-24 2021-11-30 Charles Armpriester Universal threat awareness management system for occupant safety
US11176788B2 (en) * 2019-12-12 2021-11-16 Johnson Controls Fire Protection LP Emergency notification system and method
AU2021200002A1 (en) * 2020-01-05 2021-07-22 Mitchell Lee Lewis Safety corridor arrangement
US11594847B2 (en) 2020-04-30 2023-02-28 Kevin O'Rourke Wireless monitoring of electrical connector
EP3907718B1 (en) * 2020-05-05 2024-07-24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ethod and system for commission, inspection, and maintenance of a connected fire alarm system
US10991216B1 (en) * 2020-12-04 2021-04-27 Khaled Alali Auditory and visual guidance system for emergency evacuation
CN113313895B (zh) * 2021-07-04 2022-12-13 杭州晶志康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楼宇逃生自适应导向系统及其控制方法
US12008890B2 (en) * 2021-10-22 2024-06-11 Tyco Fire & Security Gmbh Fire alarm speaker circuits for dual-purpose spaces
US20240029544A1 (en) * 2022-07-25 2024-01-25 Siemens Industry, Inc. Fire safety device address and location verification
US12131624B2 (en) * 2022-08-25 2024-10-29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aintenance prediction for devices of a fire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0405A (ko) * 2008-09-10 2010-03-18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실시간 위치 추적 방법 및 시스템
KR101034387B1 (ko) * 2010-09-28 2011-05-16 주식회사 창성에이스산업 화재 발생시 대피 유도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74542B1 (ko) * 2009-09-22 2012-08-16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동 단말, 이동 단말의 위치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83896B1 (ko) * 2012-12-14 2013-07-16 (주)위니텍 실내 측위용 비콘 모듈을 구비한 화재 감지기 및 피난 유도등과 이를 이용한 실내 측위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8873A (ko) * 2003-04-14 2004-10-20 (주)극동네트워크 건물 화재 예방을 위한 원격 통합 자동 감시 시스템
JP2007060370A (ja) * 2005-08-25 2007-03-08 Sumitomo Electric Ind Ltd 携帯型通信端末、避難路表示システムおよび危険報知装置
JP4992272B2 (ja) * 2006-03-30 2012-08-08 富士通株式会社 呼制御サーバ
JP4339896B2 (ja) * 2007-01-31 2009-10-0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端末
US8401515B2 (en) * 2010-01-22 2013-03-1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 routing
US20110195687A1 (en) * 2010-02-10 2011-08-1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 of emergency response instructions
KR101141740B1 (ko) * 2010-04-27 2012-05-04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위치기반정보를 이용한 대피경로안내시스템 및 그 방법
JP6105839B2 (ja) * 2011-10-19 2017-03-29 能美防災株式会社 火災報知設備
KR101368535B1 (ko) * 2011-10-20 2014-03-06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지도기반의 실시간 재난정보서비스 운용방법
CN102512772A (zh) * 2011-11-29 2012-06-27 上海兰力福电子有限公司 物联网型消防应急照明疏散指示逃生与维护系统及方法
KR101324849B1 (ko) * 2012-02-17 2013-11-01 이진석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인명구조 시스템 및 방법
CN104584091A (zh) * 2012-05-25 2015-04-29 Abb研究有限公司 从工业工厂的厂房将用户引导到安全地点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0405A (ko) * 2008-09-10 2010-03-18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실시간 위치 추적 방법 및 시스템
KR101174542B1 (ko) * 2009-09-22 2012-08-16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동 단말, 이동 단말의 위치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34387B1 (ko) * 2010-09-28 2011-05-16 주식회사 창성에이스산업 화재 발생시 대피 유도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83896B1 (ko) * 2012-12-14 2013-07-16 (주)위니텍 실내 측위용 비콘 모듈을 구비한 화재 감지기 및 피난 유도등과 이를 이용한 실내 측위 시스템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6040B1 (ko) * 2015-04-15 2017-04-11 권창환 경로 안내 방법, 서버 및 시스템
KR20160122991A (ko) * 2015-04-15 2016-10-25 권창환 경로 안내 방법, 서버 및 시스템
KR101745887B1 (ko) * 2015-05-21 2017-06-12 최낙훈 화재 경보 장치
KR101766747B1 (ko) * 2015-08-27 2017-08-1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실내 대피경로 화면표시 방법
KR20170101636A (ko) * 2016-02-29 2017-09-06 팅크웨어(주) 재난 안전 지도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534381B1 (ko) * 2016-02-29 2023-05-22 팅크웨어(주) 재난 안전 지도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831752B1 (ko) 2016-08-24 2018-02-26 정병찬 화재 경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화재 경보 방법
KR101915756B1 (ko) 2017-03-14 2018-11-06 (주)케이엠에스 화재 발생시 대피 경로를 안내하는 화재감시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83002B1 (ko) 2017-05-04 2017-09-28 (주)온담엔지니어링 건축물의 화재 대피 안내 시스템
KR101895726B1 (ko) * 2017-07-25 2018-09-05 주식회사 목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발화 지점을 검출할 수 있는 소방 지원 장치
KR101817914B1 (ko) 2017-08-01 2018-01-12 (주)토문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무선 통신 및 위치 추적 기능을 갖는 화재 감지 시스템
KR101825706B1 (ko) * 2017-09-12 2018-03-22 박희석 중계기를 활용한 건 위험 상황 대책 시스템
KR101870168B1 (ko) * 2018-01-02 2018-07-23 단효진 화재경보시스템
KR20190106636A (ko) * 2018-03-06 2019-09-18 (주) 임베디드 솔루션 재난 상황 표시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2188782B1 (ko) * 2018-03-06 2020-12-14 (주) 임베디드 솔루션 재난 상황 표시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992995B1 (ko) 2018-11-27 2019-06-26 오픈스택 주식회사 Tv 기반 비상 대피 방송 방법
KR101998064B1 (ko) * 2019-01-21 2019-10-01 (주)그립 비상시 자율적으로 IoT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IoT 게이트웨이 장치 및 그 방법
KR20210042652A (ko) 2019-10-10 2021-04-20 윤성호 대피 경로 안내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63626A1 (en) 2016-01-06
CN105243763A (zh) 2016-01-13
TW201602971A (zh) 2016-01-16
JP2016015133A (ja) 2016-01-28
WO2016002997A1 (ko) 2016-01-07
US20160007179A1 (en) 2016-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2715B1 (ko) 이동통신단말기와 연동된 화재 대피 장치
US11495117B2 (en) Security monitoring and control
US10349227B2 (en) Personal safety system
US9198225B2 (en) Ad-hoc surveillance network
US2017026309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hreat monitoring
KR101321447B1 (ko) 네트워크를 통한 현장 모니터링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KR20180095958A (ko) 도어 프리 기능을 갖는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
KR101629549B1 (ko) 피난경로 제공 방법, 사용자 단말, 및 피난경로 제공 서버
KR101767444B1 (ko) 단독 경보형 감지기 연계된 화재 알림 시스템
KR20120044747A (ko) 알에프아이디를 이용한 비상 알림시스템
US982637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20160162985A1 (en) Occupancy monitoring for a remote short term housing rental
KR20160029055A (ko) 피난경로 제공 방법, 사용자 단말, 및 피난경로 제공 서버
KR20180045443A (ko) 인터넷 프로토콜망을 이용한 유무선 마을방송 시스템
KR101605746B1 (ko)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신고 시스템
KR102250572B1 (ko) 단말의 위치 측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80095957A (ko)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
KR101202292B1 (ko)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공간기반 방범방재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20080069160A (ko) 폐쇄회로 티브이 카메라를 이용한 위험알림 통신시스템
KR101547947B1 (ko) 모바일폰을 이용한 위급상황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2257007A (ja) 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及び方法、サーバ装置
JP2004139505A (ja) 防犯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