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8064B1 - 비상시 자율적으로 IoT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IoT 게이트웨이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비상시 자율적으로 IoT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IoT 게이트웨이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8064B1
KR101998064B1 KR1020190007460A KR20190007460A KR101998064B1 KR 101998064 B1 KR101998064 B1 KR 101998064B1 KR 1020190007460 A KR1020190007460 A KR 1020190007460A KR 20190007460 A KR20190007460 A KR 20190007460A KR 101998064 B1 KR101998064 B1 KR 1019980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ot
iot gateway
emergency situation
emergency
gatew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7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연규
진영철
Original Assignee
(주)그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그립 filed Critical (주)그립
Priority to KR10201900074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80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80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80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02Mechanical actuation
    • G08B13/08Mechanical actuation by opening, e.g. of door, of window, of drawer, of shutter, of curtain, of blin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undesired emission of substances, e.g. pollution alar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54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network fault recovery
    • H04L41/0668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network fault recovery by dynamic selection of recovery network elements, e.g. replacement by the most appropriate element after fail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05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by checking availability
    • H04L43/0811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by checking availability by checking connectiv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oxic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비상 상황 발생 시 스스로 IoT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IoT 게이트웨이 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한 기술이 제공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연결 끊김을 감지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IoT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복수의 IoT 디바이스 중 네트워크 끊김 모니터링 대상으로 지정된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IoT 디바이스 관리부, 상기 획득된 상태 정보를 분석하여 비상 상황 발생 여부를 스스로 판단하는 비상 상황 판단부, 상기 비상 상황의 발생으로 판단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IoT 게이트웨이에 저장된 비상 상황 대응 시나리오 정보에 따른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 포함한다.

Description

비상시 자율적으로 IoT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IoT 게이트웨이 장치 및 그 방법{DEVICE FOR AUTONOMOUSLY CONTROLLING IOT DEVICES IN AN EMERGENCY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비상 상황 발생 시 스스로 IoT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IoT 게이트웨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외부의 명령을 받지 않고 스스로 비상 상황 발생을 판단하고, 최적의 IoT 디바이스 제어를 통해 비상 상황에 대처하는 IoT 게이트웨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IoT(Internet of Things) 디바이스간 게이트웨이 역할을 하는 IoT 게이트웨이는 복수의 IoT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IoT 허브는 사용자에게 IoT 환경의 변화를 실시간으로 알려줌으로써 다양한 재난 상황(예를 들어, 화재, 누수 및 침범)에 대해 사용자가 빠르게 대처할 수 있도록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IoT 허브가 사용자에게 신속히 정보 전달을 해주더라도 비상 상황에 대응하는 최종적인 시간은 사용자의 반응 시간에 종속적일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사용자 또는 외부 서버의 개입 없이 자율적으로 비상 상황에 대응하는 IoT 허브에 대한 기술의 제공이 요구된다.
한국공개특허 10-2018-0129376 A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외부의 입력 없이 스스로 비상 상황을 판단하는 IoT 게이트웨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비상 상황 발생시 최적의 방법으로 IoT 디바이스를 스스로 제어하는 IoT 게이트웨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 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게이트웨이는 네트워크 연결 끊김을 감지하는 것에 응답하여, IoT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복수의 IoT 디바이스 중 네트워크 끊김 모니터링 대상으로 지정된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IoT 디바이스 관리부, 비상 상황이 발생한 경우, 상기 IoT 게이트웨이에 저장된 비상 상황 대응 시나리오 정보에 따른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게이트웨이는 상기 획득된 IoT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를 분석하여 비상 상황 발생 여부를 스스로 판단하는 비상 상황 판단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판단부가 비상 상황의 발생으로 판단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IoT 게이트웨이에 저장된 비상 상황 대응 시나리오 정보에 따른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출력부는, 상기 끊김을 감지한 네트워크와 별개로 구축된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획득한 IoT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 및 네트워크 연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기기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출력부는, 상기 사용자기기로부터 비상 상황 대응 여부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기기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IoT 디바이스 관리부는, 상기 IoT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모션 센서, 도어락(Door Lock)및 도어(Door)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비상 상황 판단부는, 상기 모션 센서에서 동작이 감지되는 경우 및 도어락과 도어 센서의 상태가 문이 열린것으로 감지된 경우 비상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출력부는, 상기 IoT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카메라 및 경보기를 작동하고 도어락을 잠그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IoT 디바이스 관리부는, 상기 IoT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가스 센서, 일산화탄소 센서, 온도 센서 또는 연기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비상 상황 판단부는, 상기 가스 센서에서 지정된 수치 이상 유해가스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일산화탄소 센서에서 지정된 수치 이상 일산화탄소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온도 센서에서 지정된 온도 이상이 감지 되는 경우 또는 상기 연기 센서에서 연기가 감지되는 경우 비상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출력부는, 상기 IoT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카메라, 경보기 및 가스락을 작동하고 도어락을 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IoT 디바이스 관리부는, 상기 IoT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습도 센서 및 누수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비상 상황 판단부는, 상기 습도 센서에서 지정된 습도 이상의 수치가 감지되는 경우 또는 상기 누수 센서에서 누수가 감지되는 경우 비상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출력부는, 상기 IoT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카메라 및 경보기를 작동하고 도어락을 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IoT 게이트웨이의 전원 끊김을 감지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IoT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복수의 IoT 디바이스 중 전원 끊김 모니터링 대상으로 지정된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IoT 디바이스 관리부, 비상 상황의 발생이 발생한 경우, 상기 IoT 게이트웨이에 기 저장된 비상 상황 대응 시나리오 정보에 따른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고, 배터리로부터 제공된 비상 전원으로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게이트웨이는 상기 획득된 상태 정보를 분석하여 비상 상황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비상 상황 판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판단부가 상기 비상 상황의 발생으로 판단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IoT 게이트웨이에 기 저장된 비상 상황 대응 시나리오 정보에 따른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배터리로부터 제공된 비상 전원으로 작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IoT 디바이스 관리부는, 상기 IoT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IoT 디바이스 중 상기 전원 끊김 모니터링 대상으로 지정된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가 아닌 IoT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끊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IoT 디바이스 관리부는, 상기 IoT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모션 센서, 도어락(Door Lock) 및 도어(Door)센서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비상 상황 판단부는, 상기 모션 센서에서 동작이 감지되는 경우 및 도어락과 도어 센서의 상태가 문이 열린것으로 감지된 경우 비상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출력부는, 상기 IoT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카메라 및 경보기를 작동하고 도어락을 잠그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IoT 게이트웨이는 IoT 게이트웨이 장치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의 상태정보를 분석하여 비상 상황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비상상황 판단부; 상기 판단부가 비상 상황의 발생으로 판단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IoT 게이트웨이에 기 저장된 비상 상황 대응 시나리오 정보에 따른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상시 디바이스 제어 방법은 네트워크 연결 끊김을 감지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IoT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복수의 IoT 디바이스 중 네트워크 끊김 모니터링 대상으로 지정된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비상 상황이 발생한 경우, 상기 IoT 게이트웨이에 저장된 비상 상황 대응 시나리오 정보에 따른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IoT 게이트웨이는 IoT 디바이스 제어 프로그램이 로드 되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로드된 디바이스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디바이스 제어 프로그램은, 네트워크 연결 끊김을 감지하는 것에 응답하여, IoT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복수의 IoT 디바이스 중 네트워크 끊김 모니터링 대상으로 지정된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인스트럭션(instruction), 비상 상황이 발생한 경우, 상기 IoT 게이트웨이에 저장된 비상 상황 대응 시나리오 정보에 따른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인스트럭션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연결 중단 시 IoT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복수개의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에 대한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IoT 게이트웨이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상시 IoT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복수개의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IoT 게이트웨이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연결 중단 시 IoT 게이트웨이에 의해 수행되는 복수개의 디바이스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일부 동작을 자세히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연결 중단 시 외부 침입이 발생이 감지되는 경우 IoT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복수개의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IoT 게이트웨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연결 중단 시 사용자기기로부터 IoT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복수개의 디바이스 제어 여부를 수신 받는 IoT 게이트웨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연결 중단 시 화재 발생이 감지된 경우 IoT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복수개의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IoT 게이트웨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연결 중단 시 누수 발생이 감지된 경우 IoT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복수개의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IoT 게이트웨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연결 중단 시 누수 발생이 감지된 경우 IoT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특정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IoT 게이트웨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원 끊김 발생시 IoT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복수개의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에 대한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원 끊김 발생시 IoT 게이트웨이에 의해 수행되는 복수개의 디바이스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원 끊김이 발생한 경우 외부 침입 발생 시 IoT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특정 디바이스와의 연결만 유지하는 IoT 게이트웨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원 끊김이 발생한 경우 외부 침입이 발생 시 사용자기기로부터 IoT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복수개의 디바이스 제어 여부를 수신 받는 IoT 게이트웨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네트워크 연결이 중단된 경우 IoT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복수개의 디바이스가 IoT 게이트웨이에 의해 제어되는 시스템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한다.
IoT 게이트웨이(100)는 상기 IoT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복수개의 디바이스(e.g. 도어락, 감시카메라, 온도센서)의 네트워크 연결의 허브(Hub)역할 및 상기 복수개의 디바이스로의 데이터 송수신의 게이트웨이 역할을 한다. 따라서 IoT 게이트웨이는 IoT 허브일 수 있고 IoT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복수개의 디바이스는 IoT 디바이스일 수 있다. 또한 IoT 게이트웨이는 상기 복수개의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연결을 위해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된다.
IoT 게이트웨이(100)는 복수개의 데이터 수집 대상 IoT 디바이스(10, 11, 12, 13)와 연결될 수 있고, 복수개의 데이터 수집 및 제어 대상 IoT 디바이스(14, 15, 16, 17)와 연결될 수도 있으며, 복수개의 제어 대상 IoT 디바이스와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데이터 수집 대상 IoT 디바이스(10, 11, 12, 13)는 예를 들어 개폐여부를 모니터링하는 도어센서, 지정된 공간에서 발생하는 움직임을 감지하는 모션센서, 가연성 및 유독성 가스를 감지하는 가스센서, 일산화탄소를 감지하는 일산화탄소 센서,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는 온습도 센서, 지면의 물기를 감지하는 누수 센서 및 연기를 감지하는 연기센서가 포함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데이터 수집 대상 IoT 디바이스는 이에 한하지 않고 데이터를 생성하는 다양한 센서 및 디바이스일 수 있음에 유의한다.
상기 데이터 수집 및 제어 대상 IoT 디바이스(14, 15, 16)로는 예를 들어 감시카메라, 도어락 및 가스락이 포함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데이터 수집 및 제어 대상 IoT 디바이스는 이에 한하지 않고 데이터를 생성하고, 제어 가능한 다양한 센서 및 디바이스일 수 있음에 유의한다.
상기 제어 대상 IoT 디바이스(17)는 예를 들어 경보기, 메시지 송신기가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제어 가능한 다양한 센서 및 디바이스 일 수 있음에 유의한다.
IoT 게이트웨이(100)와 외부 네트워크의 연결이 끊기는 경우, IoT 게이트웨이의 연결망 외부에 존재하는 사용자 및 서버에서는 상기 IoT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복수개의 디바이스(10, 11, 12, 13, 14, 15, 16, 17)의 상태 정보를 알 수 없고, 특히 외부 침입, 화재, 누수 등 비상 상황 발생시 빠른 대응을 할 수 없어 문제가 된다. 특히, 네트워크 연결이 끊김이 비상 상황과 동시에 발생할 가능성이 크므로 외부에서 비상 상황에 대한 대응을 하기는 더욱 힘들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 끊김을 감지한 IoT 게이트웨이(100)는 IoT 게이트웨이(100)에 연결된 복수개의 디바이스(10, 11, 12, 13, 14, 15, 16, 17)의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비상 상황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란, 디바이스에서 출력되는 출력 데이터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온습도 센서에서는 측정되는 온도 및 습도값, 도어센서에서는 개폐여부, 모션 센서에서는 지정된 공간에 움직임이 존재하는지 여부 및 상기 움직임에 대한 좌표값이 출력될 수 있다.
비상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IoT 게이트웨이(100)에 연결된 복수개의 디바이스(14, 15, 16, 17)는 미리 설계된 비상 상황 대응 시나리오에 따라 지정된 상태로 제어될 수 있다.
비상 상황 대응 시나리오는 다양한 비상 상황에 따라 다르게 생성된 시나리오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센서의 값이 지정된 수치 이상인 경우 지정된 디바이스를 지정된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이에 한하지 않고 본 실시예에 따른 비상 대응 시나리오는 1인 가족 및 노약자를 위한 정책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독거노인의 경우 사용자 본인에게 비상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외부로 이와 같은 상황을 알릴 수 없어 비상 상황 대응에 대한 골든 타임을 놓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한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게이트웨이가 집안 내부에 사람이 존재함에도 지정된 시간 이상 모션센서에서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거나, 지정된 시간 이상 전기 사용량, 수도 사용량, 가스 사용량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외부에 이상상황이 발생하였음을 알릴 수 있다.
또한 1인 가족의 집에 설치된 IoT 게이트웨이는 사람이 집 내부에 사용자가 존재하지 않음에도 모션센서에서 움직임이 감지되거나 지정된 수치 이상의 전기 사용량이 감지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상기 상태정보를 알림으로써, 외부 침입이 의심되는 상황에 대한 경보를 사용자에게 미리 제공할 수 있다.
이 외의 화재,누수 등 다양한 비상 상황에 따른 디바이스 제어 시나리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이하 도 6 내지 도 10에서 후술한다.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IoT 게이트웨이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IoT 게이트웨이(100)는 IoT 디바이스 관리부(111), 비상 상황 판단부(112), 출력부(115), 비상 상황 탐지 정책 DB(113) 및 비상 상황 대응 시나리오 DB(114)를 포함하고, 인터페이스(110), 무선 통신 연결부(116) 및 비상 전원 제어부(117)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을 명확히 설명하기 위해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IoT 게이트웨이는 통상의 IoT 허브가 포함하는 구성을 모두 포함함을 유의한다.
IoT 디바이스 관리부(111)는 IoT 게이트웨이(100)에 연결된 디바이스를 모니터링하고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센서로부터 문의 개폐여부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고, 도어락의 상태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도어락의 잠김상태 또는 해정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디바이스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할 수도 있고, 지정된 주기에 따라 데이터를 수집할 수도 있으며, 지정된 수치 이상의 데이터만 수집할 수도 있다.
비상 상황 탐지 정책 DB(113)는 IoT 디바이스 관리부(111)에서 수집해야 하는 데이터 및 디바이스 정보 또는 수집 대상 데이터의 기준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침입 발생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수집해야 하는 데이터는 모션센서, 도어센서, 도어락으로부터 수집할 수 있다는 정보 및 각각의 디바이스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데이터 중 수집 대상 데이터를 선별하는 기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비상 상황 판단부(112)는 상기 IoT 디바이스 관리부(111)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비상 상황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비상 상황 대응 시나리오 DB(114)에 저장된 비상 상황에 상응하는 데이터와 IoT 디바이스 관리부(111)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비교하여 비상 상황 발생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비상 상황 대응 시나리오 DB(114)는 비상 상황에 상응하는 데이터 정보 및 각 비상 상황별 제어 대상 디바이스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락이 해정되어 있고 모션센서에서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외부 침입이 발생한 경우의 디바이스 상태 정보 중 하나로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외부 침입이 발생한 경우 도어락, 경보기 및 카메라를 제어해야 한다는 시나리오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15)는 비상 상황 대응 시나리오 DB(114)에 저장된 시나리오에 상응하는 디바이스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연결부(116)는 IoT 게이트웨이와 외부 주네트워크와의 연결 끊긴 경우 사용자기기 또는 서버에 네트워크의 연결 상태 및 비상 상황 발생 여부를 송신하기 위해 보조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주 네트워크는 상시 연결되는 네트워크로 예를 들어 유선 연결 또는 AP를 통한 무선 연결을 포함할 수 있다. 보조 네트워크는 주 네트워크와의 연결이 중단되는 경우 상기 연결 중단 여부 및 비상 상황 발생 여부를 외부로 송신하기 위해 일시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LTE 모듈, cat M등을 포함할 수 있다.
비상 전원 제어부(117)는 IoT 게이트웨이의 전원이 끊기는 경우 지정된 시나리오에 따른 디바이스 제어를 수행하기 위해 IoT 게이트웨이가 배터리로부터 비상 전원을 공급받도록 비상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비상 전원은 배터리의 스펙에 따라 상기 배터리 사용기간, 횟수 및 방법이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 용량이 큰 경우 오랜 시간 IoT 게이트웨이를 사용할 수 있고,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디바이스 제어와 관련된 신호를 여러 번 출력할 수 있고,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를 여러 번 획득하여 달라지는 상황에 대하여 다른 대응 시나리오를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배터리 용량이 큰 경우 일정 주기를 두고 상기 과정을 반복 수행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110)는 IoT 게이트웨이에서 비상 상황을 판단하는 민감도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민감도에 따라 IoT 게이트웨이가 비상 상황을 판단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량 및 제어 대상 디바이스의 개수가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높은 민감도로 설정된 IoT 게이트웨이는 비상 상황 판단을 위해 필요로 하는 디바이스 상태 정보가 많고, 비상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제어하고자 하는 디바이스의 개수가 많을 수 있다. 반면, 낮은 민감도로 설정된 IoT 게이트웨이는 비상 상황 판단을 위해 필요로 하는 디바이스 상태 정보가 적고, 비상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제어하고자 하는 디바이스의 개수가 적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노인 또는 어린이만 집안 내부에 존재하는 경우, 낮은 민감도로 설정된 IoT 게이트웨이는 평소보다 더 적은량의 가스 사용량의 감지에 응답하여 IoT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IoT 디바이스의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IoT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복수개의 디바이스의 연결 상태가 원활하지 못한 경우 IoT 게이트웨이는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디바이스의 개수에 맞추어, 상기 상태 정보를 획득 가능한 디바이스만으로 비상 상황을 판단할 수 있도록 상기 민감도를 스스로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상기 민감도는 고정값으로 지정될 수도 있음에 유의한다. 각각의 비상 상황 에 대한 민감도에 따른 IoT 게이트웨이의 동작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이하 각 실시예에서 자세히 후술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상시 IoT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복수개의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IoT 게이트웨이(100)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스토리지(15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40) 및 시스템 버스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620)에 로드 되어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131, 132, 133, 134)은 프로세서(120)를 통하여 실행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0)는 IoT 게이트웨이와 외부 네트워크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IoT 게이트웨이와 사용자기기 또는 외부 서버와도 통신할 수 있으며, IoT 디바이스 정보를 송신할 수 있고, 비상 상황 대응 시나리오 DB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수신된 정보는 스토리지(150)에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스토리지(150)는 비상 상황시 디바이스 상태 정보 정책 DB(151) 및 비상 상황 대응 시나리오 DB(152)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은, IoT 디바이스 상태 정보 획득 인스트럭션(131), 비상 상황 발생 여부 판단 인스트럭션(132)을 포함할 수 있고, IoT 디바이스 제어 신호 출력 인스트럭션(133)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IoT 디바이스 상태 정보 획득 인스트럭션(131)은 IoT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비상 상황 발생 여부 판단 인스트럭션(132)은 상기 획득한 디바이스 상태 정보와 비상 상황시 디바이스 상태 정보 정책 DB(151)를 이용하여 비상 상황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IoT 디바이스 제어 신호 출력 인스트럭션(133)은 비상 상황 발생 여부 판단 인스트럭션(132)에 의해 판단된 비상 상황에 대해 비상 상황 대응 시나리오(134)에 따라 IoT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IoT 게이트웨이와 외부 네트워크간 연결 중단시 IoT 게이트웨이에 의해 수행되는 복수개의 디바이스 제어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계 S101에서 IoT 게이트웨이는 외부 네트워크 및 복수개의 IoT 디바이스와 연결된다.
단계 S103에서 IoT 게이트웨이와 외부 네트워크간 연결 끊김이 감지 되는 경우 단계 S105에서 지정된 횟수만큼 외부 네트워크와 재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이후, 단계 S107에서 IoT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복수개의 IoT 디바이스 상태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단계 S108에서 상기 획득한 복수개의 IoT 디바이스 상태정보를 분석하여 비상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비상 상황은 예를 들어 외부 침입, 화재, 누수 상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109에서 지정된 비상 상황 대응 시나리오에 따라 지정된 IoT 디바이스가 제어될 수 있다. 제어되는 IoT 디바이스는 상기 단계 S107에서 상태정보를 획득하는 디바이스와 상이하나,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는 동일할 수도 있음에 유의한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계에 따라 IoT 게이트웨이가 사용자기기 또는 외부 서버로부터 IoT 디바이스 제어 여부에 대한 명령을 수신 받아 상기 IoT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단계 S110에서 IoT 게이트웨이는 IoT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 상기 상태 정보를 통해 판단한 비상 상황인지 여부 및 외부 네트워크와의 연결이 중단되었다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사용자 기기 또는 외부 서버에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IoT 게이트웨이는 주 네트워크와 상이한 보조 네트워크(e.g. LTX, cat M)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단계 S111에서 상기 단계 S120에서 송신한 정보에 대한 응답을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현재 상황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외부 서버 또는 사용자기기로부터 비상 상황 대응 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비상 상황 대응 여부에 대한 정보란, 비상 상황에 대응하여 지정된 비상 상황 시나리오대로 IoT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복수개의 디바이스를 제어할 것 인지 여부 또는 제어 대상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이에 한하지 않고 외부에서 입력 받는 다양한 피드백 정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112에서 IoT 게이트웨이는 상기 단계 S111에서 외부 서버 및 사용자기기에서 수신한 정보를 이용하여 비상 상황에 대응할 것 인지 여부를 스스로 판단할 수 있다. 비상 상황에 대한 대응 여부는 기 저장된 정책에 따라 IoT 게이트웨이의 판단에 더 큰 가중치를 두어 판단될 수 있고, 사용자기기 또는 외부 서버의 피드백에 더 큰 가중치를 두어 판단될 수도 있음에 유의한다.
단계 S113에서 기 저장된 비상 상황 대응 시나리오에 따라 IoT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복수개의 디바이스들이 제어될 수 있다. 구체적인 제어 방법에 대하여 이하 도 6내지 도 10에서 상세히 후술한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연결 중단 시 외부 침입이 발생이 감지되는 경우 IoT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복수개의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IoT 게이트웨이 장치를 설명한다.
IoT 게이트웨이(100)는 도어센서, 모션센서 및 도어락의 상태정보를 이용하여 외부 침입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비상 상황은 예를 들어 도어센서 및 도어락의 상태정보 확인 결과, 문이 잠겨 있어야 하는 시간에 문이 열려 있는 경우 또는 문이 열렸던 기록이 존재하지 않는데 모션 센서에서 사람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등 외부 침입이 의심되는 디바이스 상태 정보가 획득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침입과 관련된 비상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IoT 게이트웨이(100)는 비상 상황 대응 시나리오에 따라 지정된 디바이스 제어 출력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지정된 디바이스는 IoT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디바이스로 예를 들어 카메라, 경보기 및 도어락을 포함할 수 있다. 비상 상황 대응 시나리오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는 카메라 작동이 활성화 되고 경보기가 울릴 수 있으며 도어락이 잠길 수 있다. 경제적인 컴퓨팅 작업을 위해 IoT 게이트웨이는 카메라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 도어락이 열려 있는 경우에 한하여 상기 디바이스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카메라는 상시 작동되는 감시카메라와 상이한 별도 구비된 카메라일 수 있다.
하지만 발생 가능한 다양한 상황에 대하여 일괄적인 대응 시나리오를 적용하여 동일한 디바이스를 동일한 상태로 제어한다면 외부 침입이 없으나 유사한 센서 정보가 획득된 경우에도 상기 시나리오에 따라 디바이스가 제어된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도 7을 참조할 때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6와 동일한 상황에서 사용자기기(210)로부터 비상 상황 대응 시나리오에 따른 디바이스 제어 여부에 대한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상기 사용자기기와의 통신은 외부 서버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IoT 게이트웨이에 의해 먼저 비상 상황 대응 시나리오에 따른 디바이스 제어가 수행되고, 사후적으로 사용자 기기로부터 입력 은 명령에 따른 디바이스 제어가 추후에 수행될 수 있다.
IoT 게이트웨이(100)와 사용자기기(210)간 통신은 IoT 게이트웨이장치에 상시 연결되는 주 네트워크와 상이한 보조 네트워크이다. 상기 보조 네트워크는 데이터 사용량 및 시간에 따라 요금이 부과될 수 있으므로 최소한의 데이터만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보조 네트워크는 예를 들어 LTE, cat M등의 무선 통신으로 주 네트워크의 연결이 중단되어도 외부와 통신할 수 있는 네트워크임에 유의한다.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연결 중단 시 화재 발생이 감지된 경우 IoT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복수개의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IoT 게이트웨이 장치를 설명한다.
IoT 게이트웨이는 상기 IoT 게이트웨이 장치에 연결된 가스센서, 일산화탄소센서, 온도센서 및 연기센서의 상태정보를 이용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화재 발생으로 판단되는 경우는 지정된 수치 이상의 가스, 일산화탄소 또는 연기가 측정되거나 지정된 온도 이상의 온도가 감지되는 경우일 수 있다.
IoT 게이트웨이는 민감도에 따라 비상 상황 여부에 대한 판단을 달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재 발생에 예민한 사업장의 경우 일반적인 다른 사업장보다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온도 및 가스수치 임계값을 낮게 설정하여 IoT 게이트웨이가 화재 발생을 예민하게 감지하도록 할 수 있다. 반면 기본적으로 사업장에서 열을 많이 이용하기 때문에 화재 발생 감지 기준이 둔감 해야 하는 사업장의 경우 상기 온도 및 가스수치 임계값을 높게 설정하여 평상시보다 훨씬 높은 수치의 온도 또는 가스 수치값이 측정되는 경우에 한하여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IoT 게이트웨이(100)는 상기 IoT 게이트웨이여 연결된 가스락, 카메라, 경보기 및 도어락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출력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oT 게이트웨이는 가스락, 카메라 및 경보기를 작동하고 도어락을 해정할 수 있다. 상기 시나리오는 화재가 발생한 장소 내부에 사람이 갇히지 않기 위함이다. 하지만 다른 비상 상황 대응 시나리오에서는, 사람이 존재하지 않는 사업장의 경우 외부에 존재하는 사람을 보호하거나, 더 이상의 화재 확산을 막기 위해 의도적으로 도어락을 잠글 수도 있다.
도 9를 참조하여 누수가 발생한 상황에서의 IoT 게이트웨이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IoT 게이트웨이(100)에 연결된 누수센서 및 습도센서에서 지정된 수치 이상의 습도가 측정되는 경우 누수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IoT 게이트웨이(100)는 상기 누수 발생이 판단된 경우 상기 IoT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카메라, 경보기 및 도어락을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중복 서술을 피하기 위해 상기 복수개의 디바이스 방법 및 사용자기기로부터의 제어 명령 수신에 대하여는 서술하지 않으나, 이미 설명한 바와 유사한 구조로 동작함에 유의한다.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연결 중단 시 누수 발생이 감지된 경우 IoT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특정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IoT 게이트웨이 장치를 설명한다.
비상 상황에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문제로 인해, 비상 상황 판단을 위해 수집해야 하는 디바이스의 상태정보를 모두 수집할 수 없는 경우가 빈번하게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IoT 게이트웨이는 디바이스 수집 정도와 관련된 민감도에 따라 수집된 개수의 디바이스 상태정보를 이용하여 비상 상황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높은 단계에서는 누수센서 및 습도센서에서 모두 지정된 수치 이상의 습도가 측정되는 경우에 한하여 IoT 게이트웨이가 비상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지만, 낮은 단계에서는 누수센서에서만 지정된 수치 이상의 습도가 측정되는 경우도 비상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습도센서의 설비문제로 IoT 게이트웨이와의 연결이 끊긴 경우(201), IoT 게이트웨이의 디바이스 수집 정도와 관련된 민감도를 낮게 설정하여 누수 센서의 상태 정보만으로도 비상 상황 대응 시나리오에 따른 디바이스가 제어될 수 있다.
상기 단계 설정은 사용자가 직접 할 수 있고, IoT 게이트웨이가 상기 IoT 게이트웨이와 연결된 다양한 디바이스와의 연결상태에 따라 스스로 조절할 수도 있다.
또한, IoT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제어 대상 디바이스와의 연결이 끊긴 경우(202) IoT 게이트웨이는 스스로 연결이 끊긴 제어 대상 디바이스로의 제어 신호는 출력하지 않을 수 있다.
이하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원 끊김 발생시 IoT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복수개의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에 대한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한다.
IoT 게이트웨이(100)의 주전원이 끊기면 IoT 게이트웨이와 연결된 복수개의 디바이스(10, 11, 12, 13, 14, 15, 16, 17)제어가 불가능해 지므로, 이후 발생하는 다양한 재난 상황에 대응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예를 들어 IoT 게이트웨이의 주전원이 끊김에 따라 도어락이 해정된 경우 외부 침입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IoT 게이트웨이는 배터리로부터 획득한 보조전원을 이용하여 비상 상황 여부를 판단하고, 기 지정된 시나리오대로 상기 IoT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복수개의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상세한 설명은 이하 도 12내지 도 14에서 후술한다.
이하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원 끊김 발생시 IoT 게이트웨이에 의해 수행되는 복수개의 디바이스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단계 S201에서 IoT 게이트웨이에 복수개의 IoT 디바이스를 연결할 수 있다.
단계 S202에서 IoT 게이트웨이와 주전원의 연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단계 S203에서 IoT 게이트웨이의 배터리로부터 보조전원을 획득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단계 S204에서 상기 획득한 보조전원을 이용하여 IoT게이트웨이에 연결된 디바이스로부터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단계 S205에서 상기 획득한 디바이스 상태정보를 이용하여 비상 상황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206에서 지정된 비상 상황 대응 시나리오에 따라 IoT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복수개의 디바이스 제어 출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IoT 게이트웨이가 획득한 보조전원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 단계 S204 및 S205를 수행하지 않고, 보조전원이 부족한 상황에 상응하는 대응 시나리오에 따라 단계 S206이 수행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원 끊김이 발생한 경우 외부 침입 발생 시 IoT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특정 디바이스와의 연결만 유지하는 IoT 게이트웨이 장치를 설명한다.
배터리를 포함하는 IoT 게이트웨이(100)가 사용할 수 있는 보조전원의 경제적인 사용을 위해 IoT 게이트웨이는 비상 상황 판단을 위해 상태 정보를 획득해야 하는 디바이스 및 제어 대상 디바이스와의 연결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발생한 비상 상황과 필수적인 관련이 없는 디바이스들과의 연결은 해제(203)될 수 있다. 상기 해제되는 디바이스는 이미 설명한바와 같이 단계별로 다르게 지정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
예를 들어 IoT 게이트웨이의 주전원이 끊긴 경우, 보조전원이 부족해 외부 침입여부에 대한 판단을 할 수 없는 경우 IoT 게이트웨이는 보안을 위해 카메라, 경보기를 작동하고 도어락을 잠금상태로 유지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하지만, 외부침입이 발생하지 않았고, 사람이 내부에 존재하는 상황에서 주전원이 끊겼다는 이유로 도어락을 잠그는 경우 사람이 갇히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원 끊김이 발생한 경우 외부 침입이 발생 시 사용자기기로부터 IoT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복수개의 디바이스 제어 여부를 수신 받는 IoT 게이트웨이 장치를 설명한다.
IoT 게이트웨이(100)는 주전원이 끊긴 상태 및 IoT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디바이스의 상태정보 및 보조 전원 등에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기기(210)로 송신할 수 있다. 사용자기기(210)로부터 수신한 디바이스 제어 여부에 대한 명령 수행은 이미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중복 서술은 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기기에서 도어락에 대한 제어 신호는 IoT게이트웨이로부터 출력되지 않도록 명령이 수신된 경우(204) IoT 게이트웨이의 주전원이 끊긴 상황에서 사람이 내부에 갇히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된 컴퓨터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프로그램은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1 컴퓨팅 장치로부터 제2 컴퓨팅 장치에 전송되어 상기 제2 컴퓨팅 장치에 설치될 수 있고, 이로써 상기 제2 컴퓨팅 장치에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컴퓨팅 장치 및 상기 제2 컴퓨팅 장치는, 서버 장치, 클라우드 서비스를 위한 서버 풀에 속한 물리 서버, 데스크탑 피씨와 같은 고정식 컴퓨팅 장치를 모두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프로그램은 DVD-ROM, 플래시 메모리 장치 등의 기록매체에 저장된 것일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8)

  1.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IoT 디바이스 제어 신호를 수신 받는 IoT 게이트웨이가 상기 외부 네트워크 연결 끊김을 감지하는 것에 응답하여, IoT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복수의 IoT 디바이스 중 네트워크 끊김 모니터링 대상으로 지정된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IoT 디바이스 관리부;
    상기 획득된 IoT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를 분석하여 비상 상황 발생 여부를 스스로 판단하는 비상 상황 판단부; 및
    상기 비상 상황 판단부가 비상 상황의 발생으로 판단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 네트워크와 별개로 구축된 보조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비상 상황 발생 여부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기기에 송신하는 것과, 상기 IoT 게이트웨이에 저장된 비상 상황 대응 시나리오 정보에 따른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수행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게이트웨이.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사용자기기로부터 비상 상황 대응 여부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기기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게이트웨이.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IoT 디바이스 관리부는,
    상기 IoT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모션 센서, 도어락(Door Lock)및 도어(Door)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비상 상황 판단부는,
    상기 모션 센서에서 동작이 감지되는 경우 및 도어락과 도어 센서의 상태가 문이 열린것으로 감지된 경우 비상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게이트웨이.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IoT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카메라 및 경보기를 작동하고 도어락을 잠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게이트웨이.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IoT 디바이스 관리부는,
    상기 IoT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가스 센서, 일산화탄소 센서, 온도 센서 또는 연기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비상 상황 판단부는,
    상기 가스 센서에서 지정된 수치 이상 유해가스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일산화탄소 센서에서 지정된 수치 이상 일산화탄소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온도 센서에서 지정된 온도 이상이 감지 되는 경우 또는 상기 연기 센서에서 연기가 감지되는 경우 비상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게이트웨이.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IoT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카메라, 경보기 및 가스락을 작동하고 도어락을 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게이트웨이.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IoT 디바이스 관리부는,
    상기 IoT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습도 센서 및 누수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비상 상황 판단부는,
    상기 습도 센서에서 지정된 습도 이상의 수치가 감지되는 경우 또는 상기 누수 센서에서 누수가 감지되는 경우 비상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게이트웨이.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IoT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카메라 및 경보기를 작동하고 도어락을 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게이트웨이.
  11. 외부 전원을 이용하여 동작하는 IoT 게이트웨이가 상기 외부 전원 끊김을 감지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IoT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복수의 IoT 디바이스 중 전원 끊김 모니터링 대상으로 지정된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IoT 디바이스 관리부;
    상기 획득된 상태 정보를 분석하여 비상 상황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비상 상황 판단부;및
    상기 판단부가 상기 비상 상황의 발생으로 판단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지 않는 별도의 보조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비상 상황에 발생 여부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기기에 송신하는 것과, 상기 IoT 게이트웨이에 기 저장된 비상 상황 대응 시나리오 정보에 따른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전원과 상이한 별도로 구비된 배터리로부터 제공된 비상 전원으로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게이트웨이.
  12. 삭제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IoT 디바이스 관리부는,
    상기 IoT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IoT 디바이스 중 상기 전원 끊김 모니터링 대상으로 지정된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가 아닌 IoT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게이트웨이.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IoT 디바이스 관리부는,
    상기 IoT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모션 센서, 도어락(Door Lock) 및 도어(Door)센서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비상 상황 판단부는,
    상기 모션 센서에서 동작이 감지되는 경우 및 도어락과 도어 센서의 상태가 문이 열린것으로 감지된 경우 비상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게이트웨이.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IoT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카메라 및 경보기를 작동하고 도어락을 잠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게이트웨이.
  16. 삭제
  17.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IoT 디바이스 제어 신호를 수신 받는 IoT 게이트웨이가 상기 외부 네트워크 연결 끊김을 감지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IoT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복수의 IoT 디바이스 중 네트워크 끊김 모니터링 대상으로 지정된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IoT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를 분석하여 비상 상황 발생 여부를 스스로 판단하는 단계;
    판단부가 비상 상황의 발생으로 판단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 네트워크와 별개로 구축된 보조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비상 상황 발생 여부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기기에 송신하는 것과, 상기 IoT 게이트웨이에 저장된 비상 상황 대응 시나리오 정보에 따른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상시 디바이스 제어 방법.
  18. IoT 디바이스 제어 프로그램이 로드 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로드된 디바이스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디바이스 제어 프로그램은,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IoT 디바이스 제어 신호를 수신 받는 IoT 게이트웨이가 상기 외부 네트워크 연결 끊김을 감지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IoT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복수의 IoT 디바이스 중 네트워크 끊김 모니터링 대상으로 지정된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인스트럭션(instruction);
    상기 획득된 IoT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를 분석하여 비상 상황 발생 여부를 스스로 판단하는 인스트럭션;
    판단부가 비상 상황의 발생으로 판단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 네트워크와 별개로 구축된 보조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비상 상황 발생 여부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기기에 송신하는 것과, 상기 IoT 게이트웨이에 저장된 비상 상황 대응 시나리오 정보에 따른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인스트럭션을 포함하는,
    IoT 게이트웨이.

KR1020190007460A 2019-01-21 2019-01-21 비상시 자율적으로 IoT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IoT 게이트웨이 장치 및 그 방법 KR1019980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7460A KR101998064B1 (ko) 2019-01-21 2019-01-21 비상시 자율적으로 IoT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IoT 게이트웨이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7460A KR101998064B1 (ko) 2019-01-21 2019-01-21 비상시 자율적으로 IoT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IoT 게이트웨이 장치 및 그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9747A Division KR20200090599A (ko) 2019-07-03 2019-07-03 비상시 자율적으로 IoT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IoT 게이트웨이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8064B1 true KR101998064B1 (ko) 2019-10-01

Family

ID=68207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7460A KR101998064B1 (ko) 2019-01-21 2019-01-21 비상시 자율적으로 IoT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IoT 게이트웨이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806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6606B1 (ko) 2020-08-06 2021-03-11 주식회사 글로쿼드텍 홈 게이트웨이 장치, 센서 단말 및 그것의 수행 방법
KR102235233B1 (ko) 2020-07-21 2021-04-02 주식회사 글로쿼드텍 Iot 게이트웨이 장치, 다용도 센서 단말 및 그것의 수행 방법
KR20210105276A (ko) * 2020-02-18 2021-08-26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스마트 홈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WO2021246607A1 (ko) * 2020-06-02 2021-12-09 주식회사 티오이십일콤즈 IoT 디바이스 자율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율 제어 방법
KR20230029384A (ko) 2021-08-24 2023-03-03 씽스케어주식회사 실시간 프로그래밍이 가능한 IoT 장치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1111A (ko) * 2008-07-14 2008-08-01 금 황 방범방재 시스템 및 방범방재 단말기
KR101482715B1 (ko) * 2014-07-01 2015-01-15 김경주 이동통신단말기와 연동된 화재 대피 장치
KR20170098520A (ko) * 2016-02-22 2017-08-30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니터링 기능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와, 모니터링 장치 및 이의 운영 방법
KR101796054B1 (ko) * 2016-09-02 2017-12-01 (주)유비쿼터스통신 Ip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 화재 감지 시스템
KR20180129376A (ko) 2017-05-26 2018-12-05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사물인터넷 지원 스마트 게이트웨이 및 그것의 vpn 터널링 실시간 속도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1111A (ko) * 2008-07-14 2008-08-01 금 황 방범방재 시스템 및 방범방재 단말기
KR101482715B1 (ko) * 2014-07-01 2015-01-15 김경주 이동통신단말기와 연동된 화재 대피 장치
KR20170098520A (ko) * 2016-02-22 2017-08-30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니터링 기능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와, 모니터링 장치 및 이의 운영 방법
KR101796054B1 (ko) * 2016-09-02 2017-12-01 (주)유비쿼터스통신 Ip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 화재 감지 시스템
KR20180129376A (ko) 2017-05-26 2018-12-05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사물인터넷 지원 스마트 게이트웨이 및 그것의 vpn 터널링 실시간 속도 제어 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5276A (ko) * 2020-02-18 2021-08-26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스마트 홈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KR102343324B1 (ko) * 2020-02-18 2021-12-27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스마트 홈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WO2021246607A1 (ko) * 2020-06-02 2021-12-09 주식회사 티오이십일콤즈 IoT 디바이스 자율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율 제어 방법
KR102235233B1 (ko) 2020-07-21 2021-04-02 주식회사 글로쿼드텍 Iot 게이트웨이 장치, 다용도 센서 단말 및 그것의 수행 방법
KR20220011567A (ko) 2020-07-21 2022-01-28 주식회사 텍쎈 Iot 게이트웨이 장치, 다용도 센서 단말 및 그것의 수행 방법
KR20220127783A (ko) 2020-07-21 2022-09-20 주식회사 텍쎈 Iot 게이트웨이 장치, 다용도 센서 단말 및 그것의 수행 방법
KR102226606B1 (ko) 2020-08-06 2021-03-11 주식회사 글로쿼드텍 홈 게이트웨이 장치, 센서 단말 및 그것의 수행 방법
KR20220018402A (ko) 2020-08-06 2022-02-15 주식회사 텍쎈 홈 게이트웨이 장치, 센서 단말 및 그것의 수행 방법
KR20230029384A (ko) 2021-08-24 2023-03-03 씽스케어주식회사 실시간 프로그래밍이 가능한 IoT 장치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8064B1 (ko) 비상시 자율적으로 IoT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IoT 게이트웨이 장치 및 그 방법
EP3093827B1 (en) Automatic reporting of prognosis data from wireless mesh sensors to cloud
JP6786395B2 (ja) 人物認証及び追跡システム
US9514636B2 (en) Premises management system with prevention measures
US8085147B2 (en) Security system including audio alarm detection
US20160358457A1 (en) Detecting destruction of an automation system component
US20090289787A1 (en) Residential security cluster with associated alarm interconnects
KR100979783B1 (ko) Wsn 기반 상황인지 엔진
KR102501053B1 (ko) 복합 화재 감지기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재 감시 시스템
EP3418994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false alarms during alarm sensitivity threshold changes in fire alarm systems
KR102079805B1 (ko) 인공지능 기술을 탑재한 화재 경보 시스템 및 방법
US11477230B2 (en) Home automation risk assessment and mitigation via machine learning
KR101906880B1 (ko) 무선랜 파라미터 동요에 기초한 모션 감지 방법
US20160300477A1 (en) Wireless alarm system
KR102299704B1 (ko) 재난환경 메타데이터 연계를 통한 스마트 딥러닝 영상감시 시스템
WO2018133992A1 (en) Management of federated systems
CN117079398A (zh) 智慧消防检测和预警系统
KR20230012086A (ko) 스마트 안부 확인 서비스 방법
KR20200090599A (ko) 비상시 자율적으로 IoT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IoT 게이트웨이 장치 및 그 방법
WO2023107700A1 (en) On-premises communication bridges for premises security systems
CN102262395A (zh) 多重危害检测及控制系统及其方法
US20220128467A1 (en) Detecting and Monitoring Gas Leaks in an Industrial Setting
Debnath et al. IoT Based Smart Home and Office Fire Notification Alert System
Azim Wireless and autonomous safety-critical system utilizing feedback
TWI712994B (zh) 具消防警示的門禁系統及消防警示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