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5337A - 오분류 방지를 위한 상품분류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오분류 방지를 위한 상품분류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5337A
KR20220025337A KR1020200105898A KR20200105898A KR20220025337A KR 20220025337 A KR20220025337 A KR 20220025337A KR 1020200105898 A KR1020200105898 A KR 1020200105898A KR 20200105898 A KR20200105898 A KR 20200105898A KR 20220025337 A KR20220025337 A KR 202200253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products
classifying
detection uni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5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6472B1 (ko
Inventor
신경채
신현철
공민준
권병훈
김빛찬솔
김언길
송성의
전귀남
Original Assignee
씨제이대한통운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대한통운 (주) filed Critical 씨제이대한통운 (주)
Priority to KR1020200105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6472B1/ko
Publication of KR202200253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53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64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64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07C5/361Processing or control devices therefor, e.g. escort memory
    • B07C5/362Separating or distributor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02Measures preceding sorting, e.g. arranging articles in a stream orient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04Sorting according to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16Sorting according to weight

Abstract

본 발명은 택배 상품들을 분류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컨베이어를 따라 이동되는 상품들이 중첩되어 있는 경우 작업장 내 안전을 도모하기 위해 상기 상품들이 잘못 분류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상품분류방법, 그리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오분류 방지를 위한 상품분류방법 및 시스템{PRODUCT CLASSIFICATION METHOD AND SYSTEM TO PREVENT MISCLASSIFICATION}
본 발명은 택배 상품들을 분류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컨베이어를 따라 이동되는 상품들이 중첩되어 있는 경우 작업장 내 안전을 도모하기 위해 상기 상품들이 잘못 분류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상품분류방법, 그리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자상거래 인프라의 확장 및 비대면 사회화의 본격화는 택배시장의 성장을 가능하게 하는 원동력이 되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는 앞으로도 계속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한편, 택배시장의 성장과 함께 배송의 대상이 되는 물건들 역시 매우 다양해 지고 있는데, 과거에는 주로 상자에 적절히 포장된 작은 부피의 상품들이 배송의 대상이 되었다면 최근에는 대형 가전제품, 해외로부터 직구한 다양한 종류의 제품들, 음식물 등 그 형태가 일정하지 않거나 매우 큰 부피를 가지는 상품들도 배송의 대상이 되어가고 있다.
상품들의 크기, 형태, 재질 등이 다양해짐에 따라 이러한 상품들을 처리하는 택배사업장에서도 이에 대처하기 위해 다양한 시도 내지 보완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 일환으로 대량의 하차된 상품들을 분류(대분류)하는 하차작업장에서는 작업자들의 안전을 보호하기 위해 특히 많은 시도를 하고 있다.
하차작업장에서는 대형 트레일러가 운송한 컨테이너로부터 상품들을 모두 하차시킴과 동시에 이를 각각 분류하는 작업이 이루어지는데, 종래 하차작업장에서는 상품이 오분류가 되면서 작업자가 크게 다치는 경우가 종종 있어 왔다. 예를 들어, 대형 상품 또는 이형(異形) 상품으로 분류가 되었어야 하는 것들이 중소 상품으로 잘못 분류가 되어 운반되는 과정에서 상품들이 컨베이어 또는 슈트를 이탈하여 낙하하는 경우 그 밑에 있는 작업자들이 낙하 상품에 맞아 크게 다치는 경우가 있어 왔다.
이렇게 심각한 문제를 초래할 수 있는 상품 오분류는 특히 컨테이너로부터 컨베이어로 상품들이 투입될 때 2 이상의 상품들이 중첩되어 있을 경우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기본적으로 상품들의 투입을 감지하는 센서의 기능이 둘 이상의 중첩된 상품들을 가려낼 수 없는 기술적 한계에 따른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상품들이 상호 간 중첩된 상태로 투입이 되더라도 작업자 안전을 담보할 수 있는 방향으로 상품들을 분류하는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위의 기술적 문제점을 해소시키는 것 외에도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발명할 수 없는 추가적인 기술요소들을 제공하기 위해 발명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61382호(2008.09.25. 등록)
본 발명은 투입되는 상품들이 중첩된 상태일지라도 상품들을 식별하여 오분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중첩되어 투입되는 상품들에 대한 상품정보를 획득하고, 특히 상품정보에 의해 파악되는 상품의 유형, 그리고 이로부터 결정되는 취급우선순위를 참조하여 취급의 위험도가 더 높은 상품을 기준으로 상품 분류가 이루어지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2개를 초과한 개수의 상품들이 서로 중첩되어 투입된 경우라 할지라도 각 상품들에 대한 상품정보 획득이 가능하게 하고, 이를 통해 오분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품 분류 방법은 제1 상품감지부가 컨베이어를 통하여 이동되는 제1 상품의 진입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진입에 대응하여 제1 인덱스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인덱스에 대응하여 제1 상품 및 상기 제2 상품 - 상기 제2 상품은, 상기 제1 상품감지부의 감지방향에서 바라본 면을 기준으로 제1 상품과 적어도 일부가 중첩된 것임 - 의 상품정보들을 획득하는 단계; 및 획득한 상품정보들에 따라 상기 제1 상품 및 제2 상품을 분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상품정보들을 획득하는 단계 이후, 제2 상품감지부가 컨베이어를 통하여 이동되는 제1 상품의 소팅부 진입을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품 및 제2 상품을 분류하는 단계는, 상기 상품정보와 대응되는 취급우선순위에 따라 분류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상품정보는, 상품의 크기, 부피, 단면적, 형상, 또는 중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품 및 제2 상품을 분류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상품 및 제2 상품의 취급우선순위가 동일할 경우 상기 제1 상품 및 제2 상품의 취급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상품들을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품 및 제2 상품을 분류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상품 및 제2 상품의 취급우선순위가 상이한 경우 순위가 더 높은 취급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상품들을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상품의 취급우선순위는, 이형 상품, 대형 상품, 및 중소형 상품의 순서대로 높은 순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품 분류 방법은 제1 상품감지부가 컨베이어를 통하여 이동되는 제1 상품의 진입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진입에 대응하여 제1 인덱스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인덱스에 대응하여 제1 상품 및 상기 제1 상품 이외의 복수 개의 상품들 - 상기 제1 상품 및 제1 상품 이외의 복수 개의 상품들은, 상품들 상호 간의 중첩영역에 의해 상기 제1 상품감지부에 의해 하나의 상품으로 감지된 것들임 - 의 상품정보들을 획득하는 단계; 획득한 상품정보들에 따라 상기 제1 상품 및 제1 상품 이외의 복수 개의 상품들을 분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품 및 제1 상품 이외의 복수 개의 상품들을 분류하는 단계는, 상기 상품정보와 대응되는 취급우선순위에 따라 분류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상품 및 제1 상품 이외의 복수 개의 상품들을 분류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상품 및 제1 상품 이외의 복수 개의 상품들의 취급우선순위가 동일할 경우 상기 상품들의 취급우선순위에 따라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품 및 제1 상품 이외의 복수개의 상품들을 분류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상품 및 제1 상품 이외의 복수 개의 상품들의 취급우선순위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한 경우 순위가 가장 높은 취급우선순위를 가지는 상품에 따라 상기 상품들을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품분류 시스템은 컨베이어를 통하여 이동되는 제1 상품의 진입을 감지하는 제1 상품감지부; 제1 상품 및 제2 상품 - 상기 제2 상품은, 상기 제1 상품감지부의 감지방향에서 바라본 면을 기준으로 제1 상품과 적어도 일부가 중첩된 것임 - 의 상품정보들을 획득하는 검출부; 획득한 상품정보들에 따라 상기 제1 상품 및 제2 상품을 분류하는 소팅부; 및 상기 제1 상품감지부, 검출부, 및 소팅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상품감지부에 의해 제1 상품의 진입이 감지되면 상기 감지된 진입에 대응하여 제1 인덱스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인덱스에 대응하여 제1 상품 "G 제2 상품의 상품정보들을 획득하도록 검출부를 제어하며, 상기 상품정보들에 따라 제1 상품 및 제2 상품을 분류하도록 소팅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품정보들에 따라 제1 상품 및 제2 상품을 분류하도록 소팅부를 제어하되, 상기 제1 상품 및 제2 상품의 취급우선순위가 동일할 경우 상기 제1 상품 및 제2 상품의 취급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상품들을 분류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품정보들에 따라 제1 상품 및 제2 상품을 분류하도록 소팅부를 제어하되, 상기 제1 상품 및 제2 상품의 취급우선순위가 상이한 경우 순위가 더 높은 취급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상품들을 분류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품을 분류하는 과정에서 오분류를 크게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작업장에서의 작업자 안전을 담보할 수 있게 되는 점에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품을 투입하는 작업자들이 굳이 상품들을 개별 배치하여 투입할 필요가 없게 되므로 분류 작업의 전체 속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2개의 상품들이 중첩된 경우는 물론, 2개를 초과하는 상품들이 중첩되어 투입된 경우라도 각 상품들에 대한 상품정보 획득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오분류 예방 및 작업자 안전성 제고의 효과를 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하차작업장에 설치되어 있는 상품분류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하차작업장에서 2개의 상품들이 중첩되어 투입될 때의 문제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상품을 분류하는 방법이 순서대로 나열된 것이다.
도 4는 검출부 내에서 상품의 투입이 감지되는 순간을 검출부의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검출부에 의해 상품정보 획득이 이루어지는 순간을 검출부의 위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각 상품의 유형에 따라 도출되는 최종적인 분류값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상품을 분류하는 마지막 단계의 세부 과정을 순서에 따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3개 이상의 상품들이 중첩되어 투입될 때의 검출부 모습을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이다.
도 9는 3개 이상의 상품들이 중첩되어 투입될 때의 검출부 모습을 위에서 바라본 모습이다.
본 발명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거나 이용되지 않아야 할 것이다.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포함한 설명은 다양한 응용을 갖는다는 것이 당연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임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보다 잘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도면에 표시되고 아래에 설명되는 기능 블록들은 가능한 구현의 예들일 뿐이다. 다른 구현들에서는 상세한 설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기능 블록들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기능 블록이 개별 블록들로 표시되지만, 본 발명의 기능 블록들 중 하나 이상은 동일 기능을 실행하는 다양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성들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는 표현은 “개방형”의 표현으로서 해당 구성요소들이 존재하는 것을 단순히 지칭할 뿐이며,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나아가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될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및 도 2는 하차작업장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컨테이너로부터 상품들을 투입하는 작업자들, 그리고 투입된 상품들을 대분류하기 위한 상품분류 시스템이 도시되어 있다.
상품분류 시스템을 살펴볼 때, 위 시스템은 크게 제1 상품감지부(110), 검출부(130), 소팅부(150), 및 복수 개의 슈트들(161, 162, 163)을 포함하며, 부가적으로 제2 상품감지부(1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상품감지부(110)는 컨베이어를 통해 투입되는 상품의 진입을 감지하는 구성으로, 상품의 이동경로 중 임의의 지점에 설치되거나 또는 도면에서와 같이 컨베이어의 측면에 설치되어 상품이 지나가는 순간을 감지해 내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상품감지부(110)는 바람직하게는 광센서로 구현될 수 있으나 상기 상품의 진입을 감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구현 수단에는 제한이 없다 할 것이다. 또한, 상기 제1 상품감지부(110)는 반드시 상품의 진입 사실뿐만 아니라 진입하는 상품에 대한 간략한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상품감지부(110)는 상품에 부착된 일련의 코드를 읽거나 또는 상품이 통과하기 시작한 시각 및 통과가 끝난 시각 사이 시간을 기초로 상기 상품의 길이, 크기를 측정해 내는 등 상품에 대한 간략한 정보 획득이 가능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1 상품감지부(110)에 의해 상품의 진입이 감지되면, 제1 상품감지부(110)는 감지신호를 제어부를 향하여 전달하게 되는데, 이 때 제어부는 각 감지신호에 대응하여 하나의 인덱스(index)를 생성하게 된다. 본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인덱스’는 각 상품의 진입에 대응되어 생성되는 것으로서, 향후 상기 상품에 대한 분류처리연산이 이루어질 때 상기 상품에 대한 것임을 식별할 수 있도록 임의로 정의되는 것임을 이해한다. 또한 참고로 앞에서 언급된 제어부는 도면에 따로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상품분류 시스템 전반을 제어하는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하드웨어적으로는 중앙처리유닛(CPU) 및 메모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전제로 할 수 있다. 제어부에 대해서는 뒤에서 더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검출부(130)는 앞서 제1 상품감지부(110)에 의해 임의 상품의 진입이 감지되었을 때 해당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수단이다. 검출부(130)는 RFID 리더, QR 리더, 바코드 스캐너, 카메라, 또는 중량계 등 상품에 대한 어떤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것이라면 그 종류에 제한 없이 상기 검출부(130)를 구현하기 위한 것으로 이용될 수 있다. 다만, 본 상세한 설명에서는 검출부(130) 내에 상기 상품의 모습을 촬영하기 위한 촬영부(131)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전제로 설명하기로 한다.
검출부(130)의 구동은 상기 제1 상품감지부(110)에서의 감지신호가 있을 때에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때 감지신호는 검출부(130)가 제1 상품감지부(110)로부터 직접 수신한 것이거나 또는 제어부가 제1 상품감지부(100)로부터 수신한 뒤 이를 다시 검출부(130)로 전달한 것일 수 있다.
검출부(130)는 구비된 촬영부(131; 도 2 참조)를 통해 컨베이어를 이동 중인 상품들을 촬영할 수 있으며, 이 때 바람직하게는 상품들을 위에서 아래로 바라본 평면도 형태로 촬영할 수 있다. 촬영된 영상으로부터는 상품의 형상 및 크기를 측정할 수 있는데, 이는 현재 상용화 되어 있는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촬영된 영상으로부터는 폐곡면 추출을 통하여 상품의 개수가 파악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도 1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1개 상품에 대한 촬영시에는 당연히 해당 상품에 대한 1개의 폐곡면이 추출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1개 상품이 통과 중임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소팅부(150)는 앞서 획득된 인덱스 및 상기 인덱스에 대응되는 상품정보(들)를 참조하여 상품을 올바른 슈트로 분류하는 구성이다. 소팅부(150)는, 바람직하게는, 방향전환이 가능한 롤러(방향전환롤러)가 복수 개 배치된 휠 소터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방향전환롤러의 회전 각도를 제어함으로써 각 상품들이 복수 개의 슈트들 중 적절한 슈트로 분류되도록 구동된다. 다만, 소팅부(150)가 휠 소터를 포함하여 구현되는 것은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상기 소팅부(150)가 컨베이어를 통해 이동 중인 상품을 분류할 수 있다면 휠 소터 외에 크로스벨트 소터, 트레이 등을 포함한 다른 형태의 구현 태양이라도 무관하다 할 것이다.
제어부는 도면에는 별도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앞서 언급한 제1 상품감지부(110), 검출부(130), 및 소팅부(150)의 구동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구성으로 볼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중앙처리유닛(CPU) 및 메모리를 구비한 하나의 하드웨어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이 때 중앙처리유닛은 컨트롤러(controller),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마이크로 컴퓨터(microcomputer) 등으로도 불릴 수 있다. 또한 중앙처리유닛은 하드웨어(hardware) 또는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데,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구현하는 경우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또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 DSPD(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 PLD(programmable logic device),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으로, 펌웨어나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구현하는 경우에는 위와 같은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또는 함수 등을 포함하도록 펌웨어나 소프트웨어가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플래쉬(flash) 메모리, SRAM(Static RAM),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rive)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도 1의 상품분류 시스템은 추가적으로 제2 상품감지부(1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상품감지부(115)는 상품이 검출부(130)를 통과한 이후 소팅부(150)에 진입하기 직전 상품의 진입을 감지하는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그 구현방식은 앞서 설명한 제1 상품감지부(110)와 유사할 수 있다.
제2 상품감지부(115)는 앞서 제1 상품감지부(110)에 의해 진입이 감지된 상품이 언제 소팅부(150)에 진입하는지, 특히 소팅부(150)의 구동 시점을 결정하기 위하여 참조되는 감지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감지신호를 소팅부(150)에 직접 전달하거나 또는 제어부에 전달함으로써 소팅부(150)의 적절한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 상기 제2 상품감지부(115)는 상품이 소팅부(150)로 진입하는 시점을 감지하는 것뿐만 아니라 진입하는 상품에 대한 간략한 정보를 식별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즉, 앞서 설명한 제1 상품감지부(110)와 마찬가지로 제2 상품감지부(115) 역시 상품에 부착된 일련의 코드를 읽어 내거나 또는 상품의 길이, 크기 등의 정보를 획득하도록 할 수 있다. 이처럼 제2 상품감지부(115)가 상품에 대한 간략한 정보를 추가적으로 획득할 수 있는 경우, 상기 제2 상품감지부(115)에 의해 감지된 상품이 앞서 제1 상품감지부(110)에 의해 감지된 상품과 동일한 것인지 여부를 더 확인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 도 1을 참조하여 상품분류 시스템의 전반적인 개요에 대해 살펴 보았다.
한편,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모습은 하차작업장에서 각각의 상품들이 서로 중첩되지 않은 채 적절한 간격을 유지하며 투입되는 모범적인 예를 도시한 것이다. 즉, 하차작업장에서 2 이상의 작업자(W)들은 컨테이너(C)로부터 상품들을 꺼내어 컨베이어로 투입하고, 이 때 각 작업자(W)들은 가능한 한 상품이 중첩 배치가 되지 않도록, 다시 말해 뒤이어 검출부(130)에서의 원활한 상품정보 획득 및 소팅부(150)에서의 원활한 분류를 위해 상품들이 적정한 간격을 유지한 채 투입되도록 노력한다. 그러나 작업자(W)들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투입되는 상품들 중에는 어쩔 수 없이 중첩 배치되어 투입되는 것들이 존재하는데, 도 2에 이러한 예시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는 작업자(W) 2인이 하차작업을 하고 있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며, 이 와중에 상품 2개를 중첩하여 배치한 사례를 도시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2의 검출부(130) 내부에는 현재 상품A(10A)와 상품B(10B)가 상호 중첩된 채 컨베이어 상에서 이동중인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참고로 상품들이 중첩 배치되어 있다는 것의 의미는 임의의 일측면, 예를 들어 제1 상품감지부(110)가 상품의 진입을 감지하기 위해 바라보는 면 기준으로 두 상품들의 배치에 따른 중첩이 일부라도 존재하는 경우를 의미하는 것이며, 도 2를 기준으로는 상품A(10A)가 상품B(10B)의 측면 중 일부를 가린 채 상호 배열되어 있으므로 양 상품들은 서로 중첩 배치된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한편, 도 2에서와 같이 2개의 상품이 서로 중첩되어 진입하는 경우 제1 상품감지부(110)로서는 1개의 상품이 진입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으며, 별다른 조치 없이 그대로 2개의 상품이 소팅부(150)로 진행 및 분류되면 자칫 큰 사고가 초래될 수 있다. 가령 상품A가 중소형 상품이고, 상품B가 대형 상품인데 두 상품들이 모두 중소형 상품 전용 슈트(162)로 분류되는 경우 대형 상품이 중소형 상품들을 처리하기 위한 라인으로 진입하게 되어 다른 작업자 위로 넘어지거나 또는 작업장 아래로 추락할 염려가 있는 등 큰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위와 같은 문제 상황을 예방하기 위해 본 발명은 도 3에 나열된 것과 같은 단계들을 거쳐 상품분류를 수행한다. 참고로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는 2개의 상품들, 즉 제1 상품 및 제2 상품이 서로 중첩되어 투입된 상황을 가정한 것이며, 특히 컨베이어 상에서 제1 상품이 제2 상품보다 앞서 투입된 상황을 가정한 것임을 먼저 밝힌다.
도 3을 참조할 때, 상품분류 방법은 가장 먼저 제1 상품의 진입을 감지하는 단계(S101)로부터 시작된다. S101 단계는 제1 상품감지부(11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2개의 상품들 중 선두에 있는 제1 상품이 순서 상 더 먼저 진입이 감지될 것이므로 본 단계에서는 제1 상품의 진입만이 감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제2 상품은 제1 상품의 뒤를 이어 진입을 하겠으나 두 개의 상품들은 서로 중칩 배치되어 있으므로 제1 상품감지부(110)로서는 제2 상품의 진입을 별개로 감지할 수 없는 상황임을 이해한다.
참고로 도 4 및 도 5에는 상품A(10A)와 상품B(10B)가 컨베이어 상에서 이동되는 중 제1 상품감지부(110)가 상품A(10A)의 진입을 감지하는 순간이 도시되어 있다. 도 4는 상품들을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 다시 말해 제1 상품감지부(110)가 감지하는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면(面)을 도시한 것이며, 도 5는 상품들을 위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S101 단계 이후, 앞서 감지된 제1 상품의 진입에 대해서는 제1 인덱스가 생성(S102)될 수 있다. 전술하였듯 인덱스는 상품의 각 진입 사실, 또 다른 표현으로는 각 상품의 진입 이벤트를 식별하기 위해 생성되는 것으로, 위 인덱스는 제1 상품감지부(110)의 감지신호 발생에 의해 제어부가 생성하거나 또는 제1 상품감지부(110)가 자체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참고로 인덱스는 소팅부(150)에서의 상품분류 과정에서도 참조되는 것이며, 인덱스의 개수와 소팅부(150)에서의 상품분류 횟수는 동일하게 매칭될 수 있다.
S102단계 이후, 검출부(130)에 의해 제1 상품 및 제2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가 획득(S103)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검출부(130)를 통과하는 제1 상품 및 제2 상품에 대해서는 촬영부(131)가 영상 촬영을 시도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획득되는 영상 또는 이미지로부터 다양한 상품정보들이 획득될 수 있다. 참고로, S103 단계에서 검출부(130)는 애초부터 제1 상품 및 제2 상품을 함께 촬영하고자 구동되는 것은 아님을 이해해야 할 것이며, 검출부(130)로서는 단지 제1 상품감지부(110)로부터의 감지신호 또는 제1 인덱스를 참조하여 현재 진입 중인 제1 상품을 촬영하고자 구동되는 것임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즉, 제2 상품에 대한 촬영은 제1 상품을 촬영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 상품과 중첩 배치되어 있는 제2 상품이 자연스럽게 함께 촬영되는 것임을 이해한다.
한편, S103 단계는 검출부(130)에 의해 촬영된 영상 또는 이미지를 분석해 냄으로써 다양한 상품정보들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촬영된 영상 또는 이미지로부터는 폐곡면을 추출해 냄으로써 진입한 상품의 개수를 파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촬영된 영상 또는 이미지 내에서는 픽셀값들을 활용하여 인접한 픽셀들 간 큰 값 차이를 보이는 점들만을 묶어 경계면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계면에 의해 형성되는 면을 폐곡면으로 보고 하나의 독립된 상품으로 인지할 수 있다. 다른 한편, 제1 상품과 제2 상품 모두를 촬영한 영상 또는 이미지 내에는 뒤따라 오는 제2 상품 전체 형상이 모두 찍히지 못한 경우가 있을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제2 상품의 길이가 길거나 크기 자체가 커서 검출부(130)가 한 번의 촬영을 시도할 때에 화각(FOV) 내에 다 찍히지 못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본 단계에서는 이러한 경우 제2 상품에 대해 정확한 상품정보를 획득할 수 없으므로 제2 상품에 대해서는 무조건적으로 취급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유형으로 분류함으로써 제1 상품 및 제2 상품이 가장 높은 취급우선순위를 가진 상품으로 분류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또한, S103 단계에서는 촬영된 영상 또는 이미지로부터 각 상품의 크기, 단면적, 형상 등 2차원 영상 또는 이미지로부터 분석 가능한 정보들이 획득될 수 있으며, 나아가 검출부(130) 내에 부가적인 수단이 더 구비되었음을 전제로 각 상품의 부피, 중량 등 추가적인 정보를 더 획득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검출부(130) 내에는 컨베이어 상으로 운반되는 상품의 중량을 측정할 수 있는 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로부터 측정된 상품의 중량값, 그리고 앞서 촬영된 영상 또는 이미지로부터 획득한 크기, 길이값 등을 참조하여 해당 상품의 부피를 연산해 낼 수 있다. 도 5에는 검출부(130) 내에서 상품A(10A) 및 상품B(10B)가 평면도로 촬영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으며, 이렇게 촬영된 영상 또는 이미지로부터는 각 상품들의 폐곡면이 선행적으로 추출될 수 있으며, 이 후 각 상품들의 크기, 단면적, 형상 등 다양한 상품정보들이 이미지 분석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참고로 각 상품들에 대한 상품정보는 검출부(130)가 자체적으로 영상 또는 이미지를 분석하여 얻을 수 있거나 또는 검출부(130)가 촬영한 영상 또는 이미지가 제어부에 의해 이미지 분석되어 획득될 수 있다.
한편 S103 단계 이후, 소팅부(150)에서는 상기 인덱스 및 상품정보들을 참조하여 상기 제1 상품 및 제2 상품을 분류(S104)할 수 있다. S104 단계에서 특기할 만한 사항으로, 본 단계에서는 상품의 오분류를 방지하여 안전성을 높이고자 각 상품 별로 취급우선순위가 정해질 수 있는데, 취급우선순위란 각 상품 별로 크기, 길이, 부피, 무게, 또는 형상에 따라 더 주의를 기울여 취급이 되어야 할 것을 정한 기 설정된 순위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품의 크기가 600 X 470 X 380 mm 미만인 상품은 중/소형으로, 600 X 470 X 380 mm 이상인 상품은 대형으로, 1200 X 700 X 560 mm 이상인 상품은 이형(異形)으로 분류할 수 있다고 가정할 때에, 가장 크기가 큰 이형 상품부터 취급 주의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므로 이형 상품, 대형 상품, 중/소형 상품 순으로 취급우선순위가 매겨질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중형 크기 이내 상품 중 종횡비 비율이 3.6 이하인 상품에 대해서는 중/소형 상품으로, 3.6 초과인 상품에 대해서는 이형 상품으로 정의하고, 대형 크기 이내 상품 중 종횡비 비율이 2.8 이하인 상품에 대해서는 대형 상품으로, 2.8 초과인 상품에 대해서는 이형 상품으로 정의한다 가정할 때, 이형 상품, 대형 상품, 중/소형 상품 순으로 취급우선순위가 매겨질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각 상품의 형상 별로 취급우선순위가 매겨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액체 포장 상품은 크기에 따라 대형이나 이형 상품으로, 일반적인 택배포장박스는 크기에 따라 중/소형, 대형, 이형 상품으로, 폴리백 역시 크기에 따라 중/소형, 대형, 이형 상품으로, A4 용지 박스는 크기에 따라 대형이나 이형 상품으로 분류되도록 할 수 있으며 취급우선순위는 이형, 대형, 중/소형 상품 순으로 낮아지게 매길 수 있다. 위 예에서도 볼 수 있듯 취급우선순위는 상품의 크기, 형상, 중량 등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것일 수 있다.
이렇게 각 상품별로 취급우선순위가 정해질 수 있는 경우, S104 단계에서는 두 개 상품들의 취급우선순위를 비교하여 순위가 더 높은 것을 기준으로 두 상품 모두를 분류하게 할 수 있다. 가령 상품A가 중/소형 상품이고 상품B가 대형 상품일 경우에는 상품B의 취급우선순위가 더 높으므로 두 상품 모두를 대형 상품을 취급하는 슈트(161)로 분류되게 할 수 있으며, 또는 상품A가 이형 상품이고 상품B가 대형 상품일 경우에는 상품A의 취급우선순위가 더 높으므로 두 상품 모두를 이형 상품을 취급하는 슈트(163)로 분류되게 할 수 있다.
도 6에는 상품A와 상품B가 각각 어떤 상품으로 분류되는지에 따라 최종적으로 두 개의 상품이 어떤 기준에 따라 분류가 되는지를 정리한 표로, 도 6은 이형 상품의 취급우선순위가 가장 높고, 그 다음 대형 상품, 중/소형 상품 순으로 취급우선순위가 이어지는 걸 전제로 한다. 도 6의 표에서 특기할 만한 점으로는, 상품A 또는 상품B 중 어느 하나가 이형 상품인 경우에는 두 개의 상품들 모두가 무조건적으로 이형 상품 취급을 위한 슈트(163)로 분류가 된다는 점, 그리고 상품A 및 상품B가 모두 중/소형 상품인 경우에만 두 개의 상품이 중/소형 상품 취급을 위한 슈트(162)로 분류가 된다는 점이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안전성 제고라는 발명의 목적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는데, 서로 중첩되어 투입된 두 개의 상품의 경우 인덱스가 하나만 생성되어 분류작업이 한 번만 이루어질 수 밖에 없는 환경에서, 본 발명은 두 상품 중 어느 하나라도 취급의 주의가 필요한 상품이 있는 경우, 나아가 둘 다 취급의 주의가 필요하다 할지라도 그 중에서도 더 높은 수준의 주의가 필요한 상품이 있는 경우에는 취급우선순위가 더 높은 상품을 기준으로 상품분류가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작업장 내 작업자들의 안전을 도모하고자 한 것임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7에는 S104 단계의 세부과정들이 도시되어 있다. 참고로 도 7의 세부과정들은 제어부에 의해 실행되는 거일 수 있다. 도 7을 살펴볼 때, S104 단계는 가장 먼저 인덱스 및 상품정보들을 수신하는 단계(S1041)로부터 시작될 수 있다. 이 때 인덱스는 제1 상품감지부(110)의 상품 감지에 의해 생성된 것이며, 상품정보들은 검출부(130)에 의해 촬영된 영상 또는 이미지로부터 획득된 것일 수 있다.
S1041단계 이후에는 인덱스가 1개인지, 그리고 획득된 상품정보가 2개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042)가 존재할 수 있다. 본 단계는 상호 중첩 배치된 상품들의 투입이 있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만일 인덱스가 1개이고 획득된 상품정보 역시 1개라면 상품들이 적절한 간격을 두고 투입이 된 것이므로 굳이 도 3에서와 같은 분류방법을 활용할 필요 없이 상기 획득된 상품정보에 따라 순리대로 상품분류를 하면 될 것이다.
S1042 단계에서 인덱스가 1개이고 상품정보가 2개 이상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각 상품들에 대한 상품정보들이 동일한 취급우선순위를 가지는지 여부를 판단(S1043)하게 되며, 만일 상품정보들이 모두 동일한 취급우선순위를 가지는 경우에는 해당 취급우선순위에 따라 상품분류를 수행(S1044)하고, 어느 한 상품이라도 취급우선순위가 다를 경우에는 가장 높은 순위의 취급우선순위에 따라 상품분류를 수행(S1045)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2 이상의 상품들이 중첩되어 투입되더라도 오분류를 방지할 수 있게 되며, 결과적으로 작업자들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지금까지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주로 투입된 상품 2개가 중첩 배치되어 투입된 경우를 상정하여 설명하였는데, 중첩 배치된 상품의 개수가 3개 이상일지라도 앞서와 유사한 방식으로 상품분류가 이루어지게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는 3개의 상품(상품A, 상품B, 상품C)들이 상호 간에 중첩 투입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즉, 컨베이어 이동 방향을 기준으로 상품A, 상품B, 상품C의 순서대로 투입되었으나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품B가 상품A 및 상품C와 각각 일부 면적이 중첩되어 투입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역시 상품분류 방법의 가장 첫 번째 단계는 가장 선두에 있는 상품인 상품A(10A)의 진입을 감지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될 수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시스템에서 한 가지 특기할 만한 사항은, 상품의 진입을 감지하기 위한 상품감지부(117)가 도 1이나 도 2에서와 같이 검출부(130)의 내부에 위치한 것이 아니라 검출부(130) 진입 전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는 점이다. 즉, 도 8에 도시된 시스템에서는 검출부(130)로 진입하기 전 상품들의 진입을 감지하도록 상품감지부(117)의 설치위치가 정해질 수 있다.
상기 상품감지부(117)에 의해 투입된 상품의 진입이 감지된 경우 이에 대응되는 하나의 인덱스가 생성될 것이며, 이후에는 검출부(130)에 의해 이동 중인 상품들에 대해 도 9에서와 같은 촬영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8 및 도 9의 실시예에서 검출부(130)는 상대적으로 긴 시간동안 촬영을 하게 함으로써, 또는 2 이상의 촬영을 수행하게 함으로써 검출부(130)를 통과하는 상품들에 대한 여러 개의 스틸 이미지를 획득하게 할 수 있다. 상품이 여러 개이고 상품의 크기가 매우 커서 짧은 촬영부(카메라) 촬영 시간 사이에 모든 상품이 들어간 촬영 이미지를 얻을 수 없는 경우가 있을 수 있는데, 도 8 및 도 9의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경우를 대비하여 검출부(130)로 하여금 비교적 긴 시간, 예를 들어 1초 내지 2초의 시간 동안 끊김 없는 영상을 촬영하게 하거나 또는 위 시간 동안 여러 번의 촬영을 실시하게 함으로써 복수 개의 스틸 이미지를 획득하게 할 수 있다. 이렇게 하는 경우 복수 개의 스틸 이미지들을 대상으로 폐곡선 추출을 하게 할 수 있으며, 이로부터 중첩된 상품의 개수를 더욱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고, 나아가 각 상품들에 대한 정보도 누락 없이 분석 및 획득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기대된다.
한편, 상품들에 대한 상품정보가 획득된 이후 상품을 분류하는 과정은 앞서 도 7에서 설명한 것과 유사하게 진행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상품분류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에 대해 살펴보았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구별되어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특히,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블록도와 순서도에 포함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실행하는 구성들은 상기 구성들 사이의 논리적인 경계를 의미한다. 그러나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의 실시 예에 따르면, 도시된 구성들과 그 기능들은 독립형 소프트웨어 모듈, 모놀리식 소프트웨어 구조, 코드, 서비스 및 이들을 조합한 형태로 실행되며,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 명령어 등을 실행할 수 있는 프로세서를 구비한 컴퓨터에서 실행 가능한 매체에 저장되어 그 기능들이 구현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모든 실시 예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과 그에 대한 기술은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설명하기는 하나, 이러한 기술적 특징을 구현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특정 배열이 분명하게 언급되지 않는 한, 단순히 추론되어서는 안 된다. 즉, 이상에서 기술한 다양한 실시 예들이 존재할 수 있으며, 그러한 실시 예들이 본 발명과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보유하면서 일부 변형될 수 있으므로, 이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또한, 순서도의 경우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가장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것으로서, 도시된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반드시 실행되어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반드시 실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 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아울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본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의해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실시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상품
110 제1 상품감지부 115 제2 상품감지부 117 (기타) 상품감지부
130 검출부 131 촬영부
150 소팅부
161, 162, 163 슈트

Claims (15)

  1. 상품을 분류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상품감지부가 컨베이어를 통하여 이동되는 제1 상품의 진입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진입에 대응하여 제1 인덱스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인덱스에 대응하여 제1 상품 및 상기 제2 상품 - 상기 제2 상품은, 상기 제1 상품감지부의 감지방향에서 바라본 면을 기준으로 제1 상품과 적어도 일부가 중첩된 것임 - 의 상품정보들을 획득하는 단계;
    획득한 상품정보들에 따라 상기 제1 상품 및 제2 상품을 분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상품을 분류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정보들을 획득하는 단계 이후,
    제2 상품감지부가 컨베이어를 통하여 이동되는 제1 상품의 소팅부 진입을 감지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상품을 분류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품 및 제2 상품을 분류하는 단계는,
    상기 상품정보와 대응되는 취급우선순위에 따라 분류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을 분류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정보는,
    상품의 크기, 부피, 단면적, 형상, 또는 중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을 분류하는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품 및 제2 상품을 분류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상품 및 제2 상품의 취급우선순위가 동일할 경우 상기 제1 상품 및 제2 상품의 취급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상품들을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을 분류하는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품 및 제2 상품을 분류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상품 및 제2 상품의 취급우선순위가 상이한 경우 순위가 더 높은 취급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상품들을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을 분류하는 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의 취급우선순위는, 이형 상품, 대형 상품, 및 중소형 상품의 순서대로 높은 순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을 분류하는 방법.
  8. 상품을 분류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상품감지부가 컨베이어를 통하여 이동되는 제1 상품의 진입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진입에 대응하여 제1 인덱스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인덱스에 대응하여 제1 상품 및 상기 제1 상품 이외의 복수 개의 상품들 - 상기 제1 상품 및 제1 상품 이외의 복수 개의 상품들은, 상품들 상호 간의 중첩영역에 의해 상기 제1 상품감지부에 의해 하나의 상품으로 감지된 것들임 - 의 상품정보들을 획득하는 단계;
    획득한 상품정보들에 따라 상기 제1 상품 및 제1 상품 이외의 복수 개의 상품들을 분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상품을 분류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품 및 제1 상품 이외의 복수 개의 상품들을 분류하는 단계는,
    상기 상품정보와 대응되는 취급우선순위에 따라 분류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을 분류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품 및 제1 상품 이외의 복수 개의 상품들을 분류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상품 및 제1 상품 이외의 복수 개의 상품들의 취급우선순위가 동일할 경우 상기 상품들의 취급우선순위에 따라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을 분류하는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품 및 제1 상품 이외의 복수개의 상품들을 분류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상품 및 제1 상품 이외의 복수 개의 상품들의 취급우선순위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한 경우 순위가 가장 높은 취급우선순위를 가지는 상품에 따라 상기 상품들을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을 분류하는 방법.
  12. 상품분류 시스템에 있어서,
    컨베이어를 통하여 이동되는 제1 상품의 진입을 감지하는 제1 상품감지부;
    제1 상품 및 제2 상품 - 상기 제2 상품은, 상기 제1 상품감지부의 감지방향에서 바라본 면을 기준으로 제1 상품과 적어도 일부가 중첩된 것임 - 의 상품정보들을 획득하는 검출부;
    획득한 상품정보들에 따라 상기 제1 상품 및 제2 상품을 분류하는 소팅부; 및
    상기 제1 상품감지부, 검출부, 및 소팅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상품분류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상품감지부에 의해 제1 상품의 진입이 감지되면 상기 감지된 진입에 대응하여 제1 인덱스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인덱스에 대응하여 제1 상품 "G 제2 상품의 상품정보들을 획득하도록 검출부를 제어하며,
    상기 상품정보들에 따라 제1 상품 및 제2 상품을 분류하도록 소팅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분류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품정보들에 따라 제1 상품 및 제2 상품을 분류하도록 소팅부를 제어하되,
    상기 제1 상품 및 제2 상품의 취급우선순위가 동일할 경우 상기 제1 상품 및 제2 상품의 취급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상품들을 분류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분류 시스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품정보들에 따라 제1 상품 및 제2 상품을 분류하도록 소팅부를 제어하되,
    상기 제1 상품 및 제2 상품의 취급우선순위가 상이한 경우 순위가 더 높은 취급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상품들을 분류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분류 시스템.
KR1020200105898A 2020-08-24 2020-08-24 오분류 방지를 위한 상품분류방법 및 시스템 KR1024264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5898A KR102426472B1 (ko) 2020-08-24 2020-08-24 오분류 방지를 위한 상품분류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5898A KR102426472B1 (ko) 2020-08-24 2020-08-24 오분류 방지를 위한 상품분류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5337A true KR20220025337A (ko) 2022-03-03
KR102426472B1 KR102426472B1 (ko) 2022-07-28

Family

ID=80819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5898A KR102426472B1 (ko) 2020-08-24 2020-08-24 오분류 방지를 위한 상품분류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647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1382B1 (ko) 2006-12-28 2008-10-01 주식회사 코로텍소팅시스템 화물 분류방법
KR20170077143A (ko) * 2014-10-29 2017-07-05 파이브스 인트라로지스틱스 에스.피.에이. 분류 기계에 물품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 및 분류 기계
KR20200001161A (ko) * 2018-06-27 2020-01-06 씨제이대한통운 (주) 하차 컨베이어 벨트의 물품 자동 분류 장치 및 시스템
KR20200002383A (ko) * 2018-06-29 2020-01-08 주식회사 가치소프트 일렬 정렬이 불필요한 화물 분류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1382B1 (ko) 2006-12-28 2008-10-01 주식회사 코로텍소팅시스템 화물 분류방법
KR20170077143A (ko) * 2014-10-29 2017-07-05 파이브스 인트라로지스틱스 에스.피.에이. 분류 기계에 물품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 및 분류 기계
KR20200001161A (ko) * 2018-06-27 2020-01-06 씨제이대한통운 (주) 하차 컨베이어 벨트의 물품 자동 분류 장치 및 시스템
KR20200002383A (ko) * 2018-06-29 2020-01-08 주식회사 가치소프트 일렬 정렬이 불필요한 화물 분류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6472B1 (ko) 2022-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84378B1 (en) Profiling pallets and goods in a warehouse environment
US9301626B2 (en) Checkout counter
WO2015145982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物流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記憶媒体
CN105611859B (zh) 用于结账柜台的传送机系统
US8780358B2 (en) Inspec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WO2017051278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identification of products
JPWO2019064802A1 (ja) 荷物仕分けシステム、投影指示装置および荷物仕分け方法
KR101613120B1 (ko) 바코드 검사 시스템
US650835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rienting flexible walled articles
CN112654569A (zh) 用于对能悬挂地输送的运输袋进行检查的装置和方法
EP3067844A1 (en) Delivery processor,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KR102426472B1 (ko) 오분류 방지를 위한 상품분류방법 및 시스템
JP5456793B2 (ja) 段ばらしされた物体の経路を検出する、扁平物体の段ばらしするための装置
US20210335103A1 (en) Commodity information reading apparatus and program
KR102357783B1 (ko) 컨베이어 상에 근접 배치된 상품들의 오분류 방지를 위한 상품분류방법 및 시스템
JP2012516232A5 (ko)
CN104138846A (zh) 分拣系统及分拣方法
US762960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overlapping flat objects with a doubles detector and electronic images of first and second flat sides of an object
WO2012005661A1 (en) A checkout counter
JP3952908B2 (ja) 物体の個別認識方法及び個別認識装置
KR102443470B1 (ko) 상품의 체적값 및 보정된 중량값 기반의 상품 분류 방법 및 시스템
US20230005127A1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containers which have fallen over and/or are damaged in a container mass flow
JP6854854B2 (ja) 検知読取装置、検知読取方法及びプログラム
Böckenkamp et al. A Robust, Real-Time Capable Framework for Fully Automated Order Picking of Pouch-Parceled Goods
SE1050766A1 (sv) Kassadis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