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5047A - 전기 플러그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기 플러그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5047A
KR20220025047A KR1020227003140A KR20227003140A KR20220025047A KR 20220025047 A KR20220025047 A KR 20220025047A KR 1020227003140 A KR1020227003140 A KR 1020227003140A KR 20227003140 A KR20227003140 A KR 20227003140A KR 20220025047 A KR20220025047 A KR 202200250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plug connector
contact element
housing
insertion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3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올리버 도블러
Original Assignee
노이트릭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이트릭 아게 filed Critical 노이트릭 아게
Publication of KR202200250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50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01R13/05Resilient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1Resilient sockets co-operating with pins having a circular transverse s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5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 H01R13/17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with spring member on the pi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58Contacts spaced along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01R13/05Resilient pins or blades
    • H01R13/052Resilient pins or blades co-operating with sockets having a circular transverse s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01R13/08Resiliently-mounted rigid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5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6Pin or blade contacts for sliding co-operation on one side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7/00Coupling part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플러그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전기 플러그 커넥터는 하우징(1)을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 안에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접촉 핀(8, 9, 101)이 있는 상보적인 플러그 커넥터(5, 10)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삽입 개구(2, 3) 및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31)가 배치되어 있다. 접촉 핀(8, 9, 101)의 경로 밖으로 탄성적으로 편향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 요소(13, 14)가 하우징(1) 내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상보적인 플러그 커넥터가 없을 때에는 상기 삽입 개구 내로 적어도 일부가 돌출한다. 접촉 핀(8, 9)을 향하는 접촉 요소(13, 14)의 측면 에지(132, 142)는, 삽입하는 중에 측면 에지의 전방 섹션(133, 143)에서 접촉 요소(13, 14)의 편향 방향에서 보았을 때 접촉 핀(8, 9)과 함께 예각을 형성한다. 케이블 플러그 커넥터(5)가 완전히 삽입되면, 접촉 요소(13, 14)의 평면 접촉 섹션(134, 144)은 횡단 방향으로 상기 측면 에지(132, 142)와 인접하는 방식으로 접촉 핀(8, 9)과 접촉한다.

Description

전기 플러그 커넥터
본 발명은 하우징을 구비하는 전기 플러그 커넥터로, 하우징에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접촉 핀을 구비하는 상보적 플러그 커넥터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삽입 개구 및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가 배치되어 있고, 삽입 개구에서 접촉 핀의 경로 밖으로 탄성적으로 편향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평평한 전기 접촉 요소가 하우징 내에 장착되고, 상보적 플러그 커넥터가 없을 때 삽입 개구 내로 돌출하는 전기 플러그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플러그 커넥터는 일반적으로 오디오 분야, 특히 라우드스피커 플러그로 사용되고, 일부는 전기 장치의 전원 공급용 플러그로도 사용된다. 본 발명은 특히 상보적 플러그 부분과 전기 전도성 플러그 연결을 설정하도록 설계된 전기 플러그 연결의 플러그 수용 부분에 관한 것으로, 전기 접점은 양쪽 플러그 커넥터에 배열된다. 플러그 수용 부분은 섀시 플러그라고도 하는 빌트-인 플러그 소켓으로 설계되는 경우가 많다. 이들은 예를 들어 AT 387 871 B1에서 알려진 바와 같이 측벽에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접촉 요소가 제공되는 전기 플러그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환형 삽입 개구를 가지고 있다. 이 접촉 요소는 플러그 연결부의 플러그형 정합 플러그의 접촉 요소에 의해 접촉될 수 있으며, 정합 플러그는 플러그 수용부의 환형 삽입 개구에 플러깅 하기 위한 환형 플러그 연장부를 갖는다.
또한, 환형 삽입 개구에 추가하여 중앙 삽입 개구를 구비하고, 측벽에 전기 접촉 요소를 갖는 섀시 플러그 소켓이 알려져 있다. 플러그 연결부의 대응하는 정합 플러그에는 환형 플러그 연장부 외에 중앙 삽입 구멍에 꽂기 위한 중앙 핀-형 플러그 연장부가 있다. 이러한 플러그 커넥터는 특히 라우드스피커 플러그로 널리 사용된다.
또한, 플러그 연결, 특히 잭 플러그에 의해 플러그 부분이 형성된 라우드스피커와 증폭기 사이의 케이블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플러그 연결이 알려져 있다. 잭 플러그는 예를 들어 US 5911601 A 및 US 5527190 A에 설명되어 있으며, 이들은 본 명세서에 인용된다.
예를 들어 라우드스피커와 증폭기를 연결하기 위해 라우드스피커(및/또는 증폭기)의 대응 섀시 플러그 소켓에 연결되는 두 가지 표준의 케이블 플러그가 널리 사용된다. 이들 케이블 플러그 중 한 가지 유형은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중앙 핀-형 플러그 연장부와 이를 둘러싸는 환형 플러그 연장부를 가지며, 이 표준들 중 다른 하나에서는 잭 플러그가 케이블 플러그로 제공된다. 두 시스템 모두에 사용하기 위해 수행되어야 하는 배선 작업과 관련하여 그리고 부품과 관련된 추가 노력과 비용을 피하기 위해, AT 410 865 B1은 이러한 서로 다른 유형의 플러그에 대한 접점의 일반적인 극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전환 장치를 제안했다.
한편, EP 1503463 A1에는 소켓 하우징과 전기 플러그 연결의 통합 소켓이 알려져 있으며, 이는 중앙 삽입 개구 및 중앙 삽입 개구를 둘러싸고 격벽에 의해 중심 삽입 개구에 대해 구분되는 환형 삽입 개구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전기 접촉 요소가 존재하며, 여기서 중앙 플러그 연장부는 중앙 삽입 개구에 삽입 가능하고, 정합 플러그의 환형 플러그 연장부는 환형 삽입 개구에 삽입 가능하며, 중앙 플러그 연장부 상에 배치되어 있는 제1 전기 정합 접촉 요소는 제1 접촉 요소에 접촉 가능하고, 환형 플러그 연장부 상에 배열된 제2 전기 정합 접촉 요소는 제2 전기 접촉 요소에 접촉 가능하다. 대안적으로, 잭 플러그는 정합 플러그로서 중앙 삽입 개구에 삽입될 수 있고, 잭 플러그의 샤프트와 샤프트의 자유 단부에 배열된 잭 플러그의 접촉 팁은 전기적으로 접촉 가능하다.
EP 1401056 A1은 특히 오디오 분야를 위한 전기 플러그 연결의 플러그 수용 부분을 개시하며, 그 하우징은 내측과 외측이 있는 격벽에 의해 경계가 지어진 중앙 수용 공간, 및 격벽을 둘러싸는 환형 수용 공간을 가지고 있으며, 두 수용 공간들은 상보적인 정합 플러그를 위한 삽입 개구를 형성한다. 격벽의 내측과 외측 모두에 전기 플러그 접점이 배열되어 있으며, 이들은 금속성의 스트립 모양의 몸체를 가지고, 고정 영역과 고정 영역으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자유 단부에서 접촉 영역을 구비하며, 접촉 영역과 고정 영역 사이에 위치한 탄성(springy) 영역을 구비한다. 오디오 분야 특히 라우드스피커 플러그에서 이들 플러그 수용 부분의 통상적인 적용 분야에서, 부분적으로 전기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플러그 수용 부분의 적용 분야에서, 상대적으로 고전류가 전달될 수 있어야 하며, 낮은 전달 저항이 주용하며, 이 경우에서 플러그 접촉이 충분한 힘으로 그의 정합 접촉에 대해 압박될 수 있도록, 한편으로는 매우 우수한 전도성 및 다른 한편으로는 우수한 스프링 특성이 요구된다. 제안된 접촉 요소는 고정 영역과 고정 영역으로부터 돌출하며 접촉 영역 및 스프링 영역을 구비하는 자유 암을 가지며, 접촉 영역은 만곡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자유 암을 강화하기 위해, 벌지, 및 벌지 반대편에 있는 스트립-형 몸체의 측면에 대응하는 함몰부가 형성되며, 여기서 스트립-형 몸체의 스프링 영역은 단면에서 보았을 때 벌지 영역 및/또는 함몰부 영역에서 만곡되도록 설계된다. 이에 따라서 스프링 특성은 긍정적인 영향을 받고, 접촉할 때 벌지는 모든 방향에서 좋은 스타트-업 기울기를 보장한다.
JP H0878081 A 및 US 2001014560 A1은 자동차 충전기 플러그용 원형 플러그 및/또는 원형 단면을 갖는 핀용 크림프 접점에 사용되는 플러그 소켓을 보여준다.
두 장치의 접촉 요소는 대략 원통형이며, 펀칭에 의해 분리된 다수의 기다란 웹들이 중앙 슬리브 영역에 배열되어 있다. 웹들은 웹들의 길이 방향 연장부를 따라 회전한다.
JP H0878081 A에 따르면, 웹은 중앙 섹션에서 약간 넓어져서, 회전할 때에 접촉 에지가 플러그 핀의 수용 영역으로 돌출된다. 삽입될 때, 플러그 핀은 웹의 초기 회전에 대해 부분적으로 다시 웹을 회전시키며, 플러그 핀과 웹 사이의 접촉은 웹의 접촉 에지에 의해 항상 유지된다.
그러나 US 2001014560 A1은 길이방향 연장부를 따라 길이 방향 축으로부터 측 방향으로 편향되고 접촉 요소가 완성될 때 핀을 위한 삽입 개구 내로 돌출되어 핀과 접촉 에지를 형성하는 웹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플러그 커넥터 및 그 접촉 요소의 단순한 구조를 가지는 우수한 전기적 접촉에 의해 양호한 스타트-업 기울기 및 고전류의 전달성을 달성하는 것이었다.
이 목적은 청구항에 따른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접촉 요소가 설-형상이도록 설계되고, 접촉 핀을 향하는 접촉 요소의 측면 에지가 접촉 핀을 향하는 전면 섹션에서, 삽입하는 중에 접촉 요소의 편향 방향에서 볼 때 접촉 핀의 경로와 예각을 둘러싸는 것을 추가로 특징으로 한다. 기하학적 의미에서 접촉 핀의 경로와 접촉 요소의 접촉 지점에 대한 접선은 동일한 평면 내에 위치하지 않기 때문에 스큐 라인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에 접촉 핀을 삽입할 때, 일반적으로 둥근 구조로 설계된 그 전방 단부는 먼저 하우징의 접촉 요소의 측면 에지와 접촉하고, 더 삽입되어 측면 에지를 따라 슬라이딩하면 접촉 요소를 정지 위치 밖으로 탄성적으로 편향시킨다. 한 쌍의 가위의 절단 인선의 원리와 유사한 슬라이딩을 통한 이러한 상대적인 움직임은 접촉 핀의 전방 섹션이 접촉 요소의 평평한 면에 닿을 때까지 발생한다. 그런 다음 접촉 핀은 상보적 플러그 커넥터의 접촉 요소의 종축을 가로지르는 회전에 의해 접촉 요소의 측면 에지에서 평평한 면을 향해 더 앞으로 밀어지거나 이동할 수 있다(예를 들어 플러그 연결의 베이오넷-타입 잠금 장치의 일부로). 상보적 플러그 커넥터가 완전히 삽입되면, 접촉 요소의 편평한 접속 섹션이 횡 방향 즉 접촉 요소의 길이 방향 중심축을 횡단하는 방향으로 측면 에지를 따르는 접촉 핀과 접촉하여 최적의 전기적 접촉을 보장한다.
접촉 요소가 편향 방향에 대해 볼록한 곡률을 가지고, 접촉 핀과 접촉 요소 사이의 부드러운 기계적 접촉뿐만 아니라 유리한 힘 곡선 및/또는 저항 곡선을 초래하는 실시형태가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접촉 요소의 만곡된 섹션의 정점 영역은, 상보적 플러그 커넥터가 완전히 삽입될 때 접촉 핀의 최전방 섹션 영역에 위치된다. 이것은 접촉 핀에 대한 접촉 요소의 최적의 압입(press-on) 효과와, 두 개의 전기 접촉 사이에 가능한 최대의 접촉 표면의 존재를 제공한다.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는 접촉 요소가 접촉 핀을 향하는 방향으로 볼록한 곡률을 갖는 것을 제공한다. 이와 관련하여, 이 제2 곡률은 접촉 요소의 길이방향 축에 대해 가로지르는 곡률이며, 접촉 핀과 접촉하게 되는 측면 에지에만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러나 이 곡률은 또한 양쪽 측면 에지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는 측면 에지 사이의 평면에 수직으로 만곡된 및/또는 초승달 모양의 접촉 요소로 이어진다.
상보적 플러그 커넥터가 완전히 삽입될 때, 곡률의 정점 영역이 접촉 핀의 최전방 섹션 영역에 위치하는 것이 다시 유리한다. 직선 경로를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에 접촉 핀을 삽입하는 경우에도, 접촉 요소의 접촉 섹션은 접촉 핀의 전방 섹션과 최적으로 접촉하게 된다. 플러그 연결의 설정을 완료하기 위해, 예를 들어 플러그 연결을 단단히 잠그기 위해 접촉 요소의 측면 곡률에 대한 상보적 플러그 커넥터의 회전이 이루어지는 경우 이 이점이 증폭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의 특히 유리한 실시형태는, 접촉 핀과 협력하는 접촉 요소의 전방 섹션이 접촉 핀을 향하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접촉 요소의 길이방향 축에 대한 원주 방향 및 접촉 핀의 경로를 향한 방향으로의 이러한 회전은 한편으로 접촉 핀을 하우징 내부에 삽입할 때 접촉 요소의 부드럽고 안정적인 편향을 용이하게 하고, 또한 접촉 요소의 길이 방향 및/또는 그 가로 방향으로 접촉 요소의 표면 상으로의 접촉 핀의 슬라이딩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접촉 핀과 접촉 요소의 모든 상대 위치에서 그리고 언제나 최적의 접촉을 보장한다.
이와 관련하여, 접선 섹션의 회전이 접촉 요소의 전방 단부 직전까지 꾸준히 증가하는 변형이 바람직하다.
접촉 핀과 접촉하는 접촉 요소의 측면 에지가 곡률을 갖도록 설계하는 대신, 회전된 전면 섹션을 갖는 접촉 요소가 접촉 요소의 길이 방향 중심과 평행하게 연장하는 접촉 핀과 협력하는 측면 에지에 의해 접촉 핀의 경로에 대해 원하는 곡률 및 접촉 요소의 편향 방향에서 볼 때, 접촉 요소의 회전에 의해 수행되는 접촉 핀의 경로와 측면 에지 사이에 예각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의해, 접촉 핀의 삽입 과정에서의 힘 곡선 및 접촉 요소의 편향이 여전히 매끄러우면서, 직선 측면 에지만이 필요하기 때문에 접촉 요소가 보다 용이하게 생성될 수 있다.
기본 버전의 도움으로 설명된 전기 플러그 커넥터의 구조에 대한 바람직한 적용은, 라우드스피커 및/또는 증폭기의 대응하는 빌트-인 플러그 소켓 내로 삽입되는, 2가지 표준의 플러그 커넥터용 라우드스피커와 증폭기를 연결하기 위한 플러그 커넥터용 하우징이다. 케이블 플러그의 한 유형은 중앙의 핀 모양의 플러그 연장부와 이를 둘러싸는 환형 플러그 연장부가 있는 반면, 전형적인 잭 플러그가 케이블 플러그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하우징은 중앙 삽입 개구 및 외부 환형 삽입 개구를 가지며, 외부 삽입 개구는 바람직하게는 동축으로 중앙 삽입 개구를 둘러싸고, 삽입 개구의 원주의 일부에 걸쳐 적어도 연장되는 동일한 동축의 원통형 격벽에 의해 중앙 삽입 개구로부터 구획되며, 가이드는 상보적 플러그 커넥터가 링-형상 삽입 개구로 회전-프리 삽입을 보장하고, 플러그 커넥터의 중심 축 주위로 후속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유형의 하우징은, 제1 접촉 요소가 삽입 개구의 축과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원통형 격벽의 외측 영역에 배열되고, 하우징의 중심 종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만곡되며, 하우징의 중심 종축을 향하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편향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관련하여, 접촉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삽입 측에 가장 가까운 단부에서 삽입 방향에 대해 동축으로 안내되며, 여기서 제1 접촉 요소의 접촉 표면은 단부 섹션들 즉 하우징 상에 형성된 접촉 요소의 단부와 하우징 종축에 대해 동축으로 안내되는 타 단부 사이에 위치한다.
이러한 플러그 커넥터의 유리한 실시형태는 삽입 개구의 축에 대해 플러그 커넥터의 반대쪽에 배열되고, 하우징의 중앙 길이방향 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만곡되며, 하우징의 중심 종축을 향하는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편향될 수 있는 2개의 접촉 요소를 구비한다.
제2 유형의 상보적 플러그 커넥터와 접촉할 수 있도록, 적어도 제2 접촉 요소가 중앙 삽입 개구에 배열되고, 하우징의 중앙 종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편향될 수 있다.
작은 치수를 갖는 구조뿐만 아니라 재료 및 중량 절감은 플러그 커넥터의 변형을 허용하며, 이는 중앙 삽입 개구와 그로부터 구별되는 환형 삽입 개구를 분리하는 격벽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공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대안적으로 또는 그에 대한 추가로서, 격벽에는 또한 적어도 하나의 홈-형 리세스가 제공될 수 있다. 공동 및/또는 홈에는 접촉 요소 중 적어도 하나가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각각 접촉 요소 중 하나를 수용하는 2개의 홈 또는 공동이 제공된다. 격벽은 또한 접촉 요소를 수용하거나, 플러그 연결이 이루어지는 동안에 또는 플러그 연결이 이루어진 후에 접촉 핀들 또는 상보적 플러그 커넥터의 유사한 접촉 요소가 정지하는 영역 내로 접촉 요소가 돌출할 수 있게 하는, 개구나 홈을 구비하는 중공-원통형 링으로 설계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플러그 커넥터는 이전 단락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소위 "섀시 소켓"으로 설계되며, 여기서 이들의 하우징은 플레이트, 하우징 벽 등에 삽입될 수 있고, 플레이트, 하우징 벽 등에 장착하기 위해 삽입 측에 돌출 플랜지를 구비하는 소켓-형 하우징으로 설계된다. 전기 접촉 요소는 소켓-형 하우징의 베이스에서 상보적 플러그 커넥터용 삽입 개구 반대편인 후방 단부에 정의된다.
잭 플러그가 있는 적용을 위한 유리한 실시형태는 또한 중앙 삽입 개구는 잭 플러그를 수용하게 구성되고, 샤프트의 자유 단부에 배치된 잭 플러그의 접촉 팁 및 잭 플러그의 샤프트용 접촉 요소가 존재하고, 제1 접촉 요소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접촉 러그와 제2 접촉 요소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접촉 러그를 포함하되, 제1 접촉 러그에 의해 잭 플러그의 접촉 팁이 접촉될 수 있고, 제2 접촉 러그에 의해 잭 플러그의 샤프트가 접촉될 수 있으며, 정합 플러그가 삽입될 때 제1 접촉 요소가 정합 플러그의 제1 정합 접촉 요소와 접촉하도록 하기 위해 환형 플러그 연장부로부터 하우징의 중심 종축을 향하는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는, 제1 접촉 요소와 협력하는 푸시 요소가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에 나타낸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추가 이점 및 세부사항을 설명한다.
이들은 각각 매우 단순화하여 개략적으로 표현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에 대한 바람직한 예시적인 실시형태로서의 섀시 플러그 소켓을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섀시 플러그 소켓과 플러그 연결을 하기 위한 케이블 플러그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1의 섀시 플러그 소켓과 다른 플러그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잭 플러그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1의 소켓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소켓을 관통하는 수직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섹션에 수직인, 횡 방향의 도 1의 소켓을 관통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7은 VII-VII 방향으로, 도 1의 소켓을 관통하는 종축에 수직인 단면도이다.
도 8은 VIII-VIII 방향으로, 도 1의 소켓을 관통하는 종축에 수직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1의 섀시 플러그 소켓의 분해도이다.
도 10은 케이블 플러그의 플러그 핀과의 전기적 접촉을 확립하기 위한 접촉 요소의 제1 실시형태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접촉 요소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접촉 요소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라인 XIII-XIII의 높이에서 도 10의 접촉 요소를 관통하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케이블 플러그의 플러그 핀과의 전기적 접촉을 확립하기 위한 접촉 요소의 다른 실시형태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접촉 요소의 측면도이다.
도 16은 도 14의 접촉 요소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라인 XVII-XVII의 높이에서 도 14의 접촉 요소를 관통하는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6의 라인 XVII-XVII의 높이에서 도 14의 접촉 요소를 관통하는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6의 라인 XVII-XVII의 높이에서 도 14의 접촉 요소를 관통하는 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16의 선 XVII-XVII의 높이에서 도 14의 접촉 요소를 관통하는 단면도이다.
발명의 설명에서 사용되고 있는 상부에서, 하부에서, 측면에서와 같이 위치를 나타내는 설명은 직접 설명되고 묘사된 도면을 나타내며,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 이들 위치에 대한 설명도 유사하게 새로운 위치로 바뀌어야 한다.
예시적인 실시형태는 상정 가능한 실시형태의 변형을 보여주며,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은 그 특정 예시된 실시형태의 변형으로 제한되지 않고 오히려 개별 실시형태의 변형의 다양한 조합이 가능하고 이러한 가능성이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기술적 교시에 기인하는 변형의 범위는 이 기술 분야의 당업자의 능력 내에 있다. 마지막으로, 형태의 문제로, 구조의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 요소들이 부분적으로 축척에 맞춰 묘사되지 않았거나 및/또는 크기가 확대 및/또는 축소되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은 섀시 소켓으로도 호칭되는 빌트-인 플러그 소켓의 바람직한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도움으로 설명되며, 전형적인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플러그 소켓이 도 1에서 사시도로 표현되어 있다. 플러그 소켓은 도 2에 표시된 유형의 정합 플러그와 대안적으로 도 3에 표시된 유형의 잭 플러그와 전기 플러그 연결을 설정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에 도시된 빌트-인 플러그 소켓 형태의 전기 플러그 커넥터는, 내부에 중앙 삽입 개구(2) 및 외부 환형 삽입 개구(3)가 존재하는 하우징(1)을 구비한다. 하우징(1)은 전기 절연성 재료로 제작되거나, 접촉 요소(13, 14)에 대해 전기적으로 절연된다. 이와 관련하여, 외부 삽입 개구(3)는 중앙 삽입 개구(2)를 바람직하게는 동축으로 둘러싸고, 두 삽입 개구들(2, 3)은 또한 바람직하게는 동축의 원통형 격벽(4)에 의해 서로로부터 분리된다. 격벽(4)은 삽입 개구들(2, 3) 원주의적어도 일부에 걸쳐, 바람직하게는 원주의 절반 이상에 걸쳐 연장된다. 공지된 방식으로, 외부 환형 삽입 개구(3) 내에 상보적 플러그 연결부(도 2 참조)의 회전-프리(rotation-free) 삽입을 보장하고, 특히 플러그 연결을 기계적으로 고정하기 위해 플러그 커넥터의 중심축에 대한 후속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가이드(31)가 제공될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의 이러한 실시형태는 예를 들어 두 가지 유형의 케이블 플러그를 사용하여 라우드-스피커와 증폭기를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케이블 플러그(도 2 참조) 타입은 케이블 플러그 하우징(5)과 중앙 플러그 다월 핀(6)을 가지되, 적어도 하나의 접촉 핀(9)이 다월 핀(6)의 원통형 외부 측면에 배치된다. 이 중앙 플러그 다월 핀(6)은 원통형 및/또는 환형 플러그 연장부(7)에 의해 어느 정도의 거리에서 둘러싸여 있으며, 환형 플러그 연장부(7)의 내부 측면에는 일반적으로 접촉 핀(8)이 또한 배치되어 있다. 다른 한편으로, 하우징(10)에서 하나의 접촉 핀(101)이 돌출하고 있는 전형적인 잭 플러그(도 3 참조)와의 연결이 가능하다.
빌트-인 플러그 커넥터의 기본 버전은 한 가지 유형의 케이블 플러그 커넥터에만 연결 가능성을 제공한다. 이와 관련하여,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접촉 핀이 장착된 상보적 케이블 플러그 커넥터를 위한 삽입 개구 및 가이드가 제공된다. 아래에 설명된 모든 특징들은 단순화된 방식으로 이러한 기본 버전에도 유사하게 적용된다.
장착 구멍(12)이 있는 접촉 플랜지(11)에 의해, 빌트-인 플러그 커넥터가 제어 패널 내에, 기기 등의 벽 내에 설치 및 고정될 수 있다.
전기 전도성 연결을 위해, 각각의 케이블 플러그 커넥터의 접촉 핀(8, 9)의 경로 밖으로 탄성적으로 편향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편평한, 스트립-형 또는 설-형 전기 접촉 요소(13, 14)가 각 삽입 개구(2, 3)에 대해 하우징(1) 내에 고정된다. 여기서, 이 경로는 삽입 개구(2, 3)에서 접촉 핀(8, 9)이 이동하는 경로이다. 전기 전도성 바람직하게는 금속 재료로 만들어진 이 접촉 요소(13, 14)는 적어도 상보적 플러그 커넥터가 없는 경우에는 각각의 삽입 개구(2, 3) 내로 적어도 일부가 돌출한다. 상보적 플러그 커넥터 및/또는 그 접촉 핀(8, 9)을 삽입 개구(2, 3)에 삽입하는 중에, 접촉 요소(13, 14)는 하우징(1)에서 접촉 가능하며, 이에 의해 케이블 플러그 커넥터와 빌트-인 플러그 커넥터 사이의 전기 전도성 연결이 이루어진다. 삽입 개구(2, 3)의 반대편인 하우징(1)의 후면 위에서, 접촉 요소(13, 14)가 바깥쪽으로 안내되고 후면에서 접촉 러그(131, 141)를 형성한다.
도 9의 분해도는 상보적 케이블 플러그 커넥터를 위한 삽입 측 반대쪽에서 하우징(1)이 폐쇄되고 바람직하게는 후방 벽(15)에 의해 밀봉되는 것을 보여준다. 후방 벽(15)에서 돌출된 다월 핀들은 하우징(1)을 향하거나 또는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요소(151)는 하우징(1)에 대해 후방 벽(15)을 안내하고 배향하는 역할을 하며, 언더컷이 있는 관련 실시형태의 경우에는, 후방 벽(15)을 하우징(1)에 잠그기 위한 수단으로도 사용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후방 벽(15)은 또한 접착, 용접, 바람직하게는 초음파 용접, 볼트 체결 등에 의해 하우징과 결합될 수 있다. 후방 벽(15)의 개구(152)에 의해, 접촉 러그(131, 141)가 외부로 안내된다.
중앙 삽입 개구(2)와 그로부터 구별되는 환형 삽입 개구(3)를 분리하는 격벽(4)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공이 되도록 설계된다. 이에 대한 대안 또는 추가로서, 격벽(4)에는 또한 적어도 하나의 홈-형 리세스가 제공될 수 있다. 공동 및/또는 홈에, 접촉 요소들(13, 14) 중 적어도 하나가 배열되고, 격벽(4) 내부에 수용된 접촉 요소들(13, 14)은 하우징(1)의 종축과 평행하게 배향된 리세스들(41, 42)을 통해 삽입 개구(2, 3) 내로 돌출한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이 접촉 요소들(13, 14) 중 하나를 수용하는 두 개의 홈 또는 공동이 제공된다. 격벽(4)은 중공-원통형 링으로도 설계될 수 있다. 이는, 접촉 요소들(13, 14)을 수용하거나 또는 플러그 연결이 이루어지는 중에 또는 플러그 연결이 이루어진 후에 접촉 핀들이나 상보적 플러그 커넥터의 유사한 접촉 요소들이 안착하게 되는 영역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하는 개구(41, 42)를 구비한다.
중앙 삽입 개구(2) 내로 돌출하는 접촉 요소(13)는 잭 플러그(10)의 접촉 핀(101)을 수용하기 위해 하우징(1)의 중앙 종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편향될 수 있다.
그러나 하우징(1)의 중심 종축을 향하는 방향으로 또한 제공된 탄성 편향성에 더하여, 내부로부터 외부의 환형 삽입 개구(3)로 돌출하는 외부 접촉 요소(14)는 케이블 플러그 커넥터의 접촉 핀에 대한 좋은 스타트-업 기울기와 우수한 전기 접촉으로 인해 고전류를 전달할 수 있는 방식으로도 설계된다. 이를 위해, 전방 섹션(143)에서 접촉 핀(8)을 향하는, 케이블 플러그 커넥터(이를 위해, 도 14 내지 도 20 참조)의 접촉 핀(8)을 향하는 접촉 요소(14)의 측면 에지(142)가, 접촉 요소(14)의 편향 방향으로 보았을 때 삽입하는 중에 접촉 핀(8)의 경로와 예각을 형성하게 제공된다. 기하학적 의미에서 접촉 핀(8)의 경로와 접촉 요소(14)의 접촉 지점에 대한 접선은, 이들이 동일한 평면 내에 위치하지 않기 때문에 스큐 라인(skew line)이다. 본 발명에 따라 하우징(1) 내로 접촉 핀(8)을 삽입할 때, 일반적으로 둥근 구조로 설계된 그 전방 단부는 먼저 하우징(1)의 접촉 요소(14)의 측면 에지(142)와 접촉하고, 더 삽입되어 측면 에지(142)를 따라 슬라이딩 하면, 정지 위치로부터 탄성적으로 편향된다. 한 쌍의 가위의 절단 인선의 원리와 유사하게 미끄러지는 이 상대적인 움직임은 접촉 핀(8)의 앞부분이 접촉 요소(14)의 평평한 상측(144) 위로 올라갈 때까지 발생한다. 그런 다음 접촉 핀(8)은 전방으로 더 밀어지거나 상보적 플러그 커넥터(예를 들어 플러그 연결의 베이오넷 타입의 잠금의 일부로)의 회전에 의해 접촉 요소의 편평한 면(144)을 향해 접촉 요소의 측면 에지(142)로부터 횡방향으로 접촉 요소(14)의 종축으로 멀어질 수 있다. 상보적 플러그 커넥터가 완전히 삽입될 때, 접촉 요소(14)의 평평한 접촉 섹션(145)은 측면 에지(142)를 따라 접촉 핀(8)과 접촉하고, 최적의 전기 접촉을 보장한다. 이와 관련하여, 접촉 요소(14)는 전방 편향 가능 섹션(146)에서 편향 방향에 대해 볼록한 곡률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접촉 요소(14)의 만곡된 섹션(146)의 정점 영역은, 최적의 접촉을 보장하기 위해 상보적 플러그 커넥터가 완전히 삽입될 때 접촉 핀의 최전방 섹션의 영역에 위치된다. 이것은 접촉 핀(8)에 대한 접촉 요소(14)의 최적의 압입(press-on) 효과 및 2개의 전기 접촉 사이에 가능한 최대 접촉 표면의 존재를 제공한다. 접촉 요소(14)의 바람직한 예시적인 실시형태는 또한 접촉 핀(8)을 향한 방향으로 볼록한 곡률을 가지며, 이는 케이블 플러그 커넥터를 빌트-인 플러그 커넥터에 삽입할 때, 특히 플러그 커넥터에 대해 유리하다. 케이블 플러그 커넥터의 접촉 핀(8)이 먼저 만곡되고 탄성적으로 편향될 수 있는 섹션(146)의 길이방향 중심의 약간 바깥쪽에 위치한다(도 16에서, 접촉 요소(14))와 대략 평행하지만 그 길이방향 중심보다 약간 위에; 도 17 내지 도 20에서 도면 평면에 수직이고 당분간 접촉 요소(14)의 만곡된 섹션(146)의 왼쪽에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접촉 핀(8)은 먼저 한 쌍의 가위의 측면과 유사하게, 접촉 요소(14)의 측면 에지(142)를 따라 안내되고, 그렇게 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일반적으로 접촉 요소(14)의 최대로 편향 가능한 지점에서- 케이블 플러그 커넥터의 접촉 핀(8)의 전방 섹션이 접촉 요소(14)의 만곡된 섹션(146)의 편평한 면(144) 위로 연장할 때까지 만곡된 섹션(146)을 더 편향시킨다. 일반적으로 이후에 플러그 연결을 잠그기 위해 케이블 플러그 커넥터와 빌트-인 플러그 커넥터가 상대적으로 회전한다. 도 16에서, 이러한 이동은 접촉 핀(8)이 접촉 요소(14)에 대략 평행하게 이루어지며, 도면 평면에서 아래로 만곡된 섹션(146)의 길이 방향 중심을 향해 이루어지고, 도 17 내지 도 20에서, 접촉 핀(8)은 도면 평면에 수직으로 되고, 접촉 요소(14)의 평평한 표면(144) 위로 오른쪽으로 호 섹션을 따라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이동되어 접촉 영역(145)에 최종적으로 안착하게 될 것이다.
모든 경우에서 편향 방향과 평행하게 만곡되어 있고, 케이블 플러그 커넥터의 접촉 핀(8)을 향해 지향되는 접촉 요소(14)의 섹션(146)의 전면 섹션에서의 이 제2 곡률은, 접촉 요소(14)의 종축을 가로지르고, 섹션(146)의 편향 방향에 수직인 곡률이다. 또한 접촉 핀(8)에 더 가까운 하나의 측면 모서리(142)에만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플러그 연결이 확립될 때, 이 측면 모서리(142)는 먼저 케이블 플러그의 접촉 핀(8)과 접촉하게 된다. 그러나 측면의 제2 곡률은 양쪽 측면 에지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는 편향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편향 가능한 섹션(146)의 낫(sickle) 모양을 유도한다.
측면 곡률의 정점 영역(147)은 바람직하게는 접촉 요소(14)의 전방 단부와 만곡된 섹션(146)의 영역(145) 사이의 곡선 섹션(146)의 최전방 부분에 위치하며, 플러그 커넥터가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 그 평평한 표면 상에 접촉 핀(8)의 최전방 섹션이 위치한다. 따라서, 접촉 핀(8)은 케이블 플러그 커넥터의 삽입 시에 측면 에지(142)를 따라 활주할 수 있고, 여기서 접촉 핀(8)과 접촉 요소(14), 특히 그것의 만곡 섹션(146) 사이의 접촉 지점은 더 시프트되고, 접촉 핀(8)과 케이블 플러그 커넥터의 중심축 사이의 가상의 연결 라인으로부터 가장 먼 거리로부터 상기 연결 라인을 향해 이동하게 된다. 빌트-인 플러그 커넥터의 하우징(1)에 대한 케이블 플러그 커넥터의 회전 과정에서, 접촉 요소(14)의 접촉 영역(145)의 길이 방향 중심은 유리하게는 연결 라인으로 이동하고, 접촉 핀(8)과 접촉 영역(145)은 접촉 표면 및 접촉력 모두와 관련하여 최적의 접촉으로 서로 접한다.
접촉 핀(8)이 접촉 요소(14) 위로 매끄럽고 가위 모양으로 미끄러지는 것에 대한 전술한 이점은 접촉 요소(14)의 전면 섹션이 케이블 플러그 커넥터의 접촉 핀(8)과 먼저 접촉하고, 접촉하는 만곡된 섹션(146)의 종축 주위로 회전하는 접촉 요소(14)의 실시형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두 구조적 피처들은 또한 접촉 요소(14) 내에서 함께 실현될 수 있으며, 접촉 요소(14)의 대응 실시형태가 도면들에 또한 도시되어 있다. 접촉 핀(8)을 향하는 만곡되고 편향 가능한 섹션(146)의 전방 영역에서의 회전은 도 17 내지 도 20에서 특히 잘 볼 수 있다.
접촉 핀(8)과 접촉하는 접촉 요소(14)의 측면 에지(142)는 -접촉 요소(14)의 전방 섹션의 편향 방향으로의 돌출부에서- 또한 전면 섹션이 자체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설계되었다는 점에서 접촉 핀(8)의 경로에 대해 만곡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회전 범위는 또한 바람직하게는 접촉 요소(14)의 편향 가능한 섹션(146)의 길이를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가장 큰 회전은 케이블 플러그 커넥터의 접촉 핀(8)과 가장 먼저 접촉하는 영역인 최전방 영역에 제공된다. 도 17은 도 16의 XVII-XVII 라인을 따라, 이 지점 직전에 접촉 요소(17)의 길이 방향에 대해 횡단면을 도시하여 접촉 요소의 강하게 회전된 섹션이 접촉 핀(8)의 방향에서 볼 수 있도록 한다.
도 18의 다음 단면도는 도 16의 XVIII-XVIII 선을 따라 전방 단부에서 약간 더 멀리 떨어진 위치에서 만들어졌으며, 이 위치에서의 회전은 이미 도 17에서보다 훨씬 덜 강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접촉 요소(14)의 편향 방향으로의 돌출부에서, 측면 에지(142)는 종방향 중심축으로부터 약간 더 멀리 위치하는데, 이는 접촉 요소의 전방 섹션(146)의 실제 곡률에 대응할 것이기 때문이다.
접촉 요소(14)의 만곡된 섹션(146)의 정점에서, 곡률은 도 16의 선 XIX-XIX를 따른 단면을 보여주는 도 19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미 매우 작다. 그 바로 뒤에, 접촉 요소(15)의 이 섹션은 -접촉 러그(141)를 향하는 방향으로 오프셋 되어- 평평하고 후방 벽(15)에 정의된 섹션(149)에 대해 회전하지 않아 평행한 섹션으로 전이된다. 그런 다음 편향 가능한 섹션(146)의 다음 섹션은 회전 없이 곡률의정점에서 계속해서 후방 벽(15)에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평평한 판형 섹션(149)까지 이어지며, 이 섹션(149)으로 전환된다. 이 지점이 도 16의 XX-XX 선을 따라 만들어진 도 20의 단면도에 표시되어 있다. 요약하면, 회전은 접선 섹션에서 접촉 요소의 전방 단부 바로 직전까지 꾸준히 증가한다고 말할 수 있다.
이미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편향 가능 섹션(146)이 자체 길이 방향 축에 대해 회전하면 하우징(1)에 삽입된 케이블 플러그 커넥터의 접촉 핀(8)의 접촉 지점에 대한 공간 경로가 생성되며, 이 경로는, 접촉 핀(8)의 반경 방향 외부에 있지만 접촉 요소(14)의 편향 방향으로 보았을 때, 접촉 핀(8)의 길이 방향 중심축으로부터 더 큰 측 방향 거리로부터 편향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고, 접촉 핀(8)의 중심축과 교차하는 연결 라인과 일치하게(congruency) 이어진다. 따라서, 접촉 핀(8)의 경로에 대해 원하는 곡률은 이 돌출부에서 발생한다. 전술한 경로를 따른 각각의 접촉 지점에서, 측면 에지(142)에 대한 접선은 접촉 핀(8)의 길이방향 중심축 및/또는 섹션(149) 및/또는 접촉 러그(141)의 길이 방향 중심축에 의해 지정되는 접촉 핀(14)의 길이방향 중심축에 대해 기울어져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접촉 요소(14)의 편향 가능 섹션(146)의 최전방 섹션(148)은 하우징(1), 특히 격벽(4)의 가이드 구조에서 하우징(1)의 길이방향 축에 평행하게 변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가이드 섹션으로서 구성된다. 접촉 요소(14)의 최전방 단부 섹션(148)의 길이 방향을 횡단하는 방향으로의 움직임은, 격벽(4) 내 리세스의 단부에서 또는 격벽(4) 내에 정교하게 형성된 홈의 단부에서 일반적으로 백 형상이고 접촉 요소(14)를 수용하는 가이드 구조에 의해 방지된다. 하우징(1) 위의 단부 섹션(148)의 지지 지점에서, 길이 방향으로의 이동 즉 하우징(1)의 메인 종축 방향으로의 이동이 있을 것이며, 접촉 요소(14)가 접촉 핀에 의해 밀려나기 때문에 하우징(1)의 삽입 개구 및/또는 하우징(1)의 가시적 표면 방향으로 전방으로 이동한다.
2개의 전기 접촉 요소들이 주로 길이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이동하고 그리고 이 길이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약간만 이동하는 전기 접촉을 설정하기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은 복잡한 실시형태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따라서 특히 케이블 플러그 커넥터의 중앙 다월 핀(6)이 제공되는 중앙 삽입 개구(2)에서의 접촉은,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플러그 커넥터의 적어도 하나의 접촉 핀(9)이 그 외벽에 장착되되 바람직하게는 2개의 대향하는 접촉 핀(9)이 장착된 경우에 접촉은 더 단순한 형상을 갖는 접촉 요소(13)로 달성될 수 있다. 중앙 삽입 개구(2)를 위한 이러한 접촉 요소(13)가 도 10 내지 도 13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접촉 표면(135)이 본질적으로 접촉 요소(13)의 볼록하게 만곡된 섹션(136)의 가장 높은 지점 위에 위치한다는 것을 또한 알 수 있다.
접촉 요소(13)는 또한 도 11에서 명확하게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접촉 요소(14)와 유사한 편향성 방향에 대해 볼록하게 구부러진 탄성적으로 편향 가능한 설-형(tongue-shaped) 섹션(136)을 또한 갖는다. 케이블 플러그 커넥터가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적어도 이 만곡 섹션(136)은 격벽(4)의 수용 구조로부터 삽입 개구 내로 그리고 삽입될 접촉 핀(9)의 경로 내로 돌출한다. 접촉 요소(13)의 단부 섹션(138)은 또한 바람직하게는 빌트-인 플러그 커넥터의 길이방향 축과 평행하게 안내되고, 삽입 개구(2) 내로 삽입될 때 접촉 요소(13)의 최전방 섹션에서 측면 에지(132)는 접촉 요소(13)의 길이방향 중심축에 대해 비스듬히 그리고 접촉 핀(9)의 경로에 대해 비스듬하게 연장한다.
케이블 플러그 커넥터의 접촉 요소(9)와 빌트-인 플러그 커넥터의 접촉 요소(13)의 길이방향 축에 대해 횡단 방향으로의 상대적으로 더 작은 이동으로 인해 리바운드 섹션(136)의 회전이 필요하지 않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기본적인 작업 및 프로세스는 지금까지 설명한 특징에 해당한다.
또한 빌트-인 플러그 커넥터의 중앙 삽입 개구(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인 잭 플러그의 접촉 핀(101)과 플러그 연결을 설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접촉 핀(101)의 샤프트와의 접촉 영역 외에, 접촉 요소(13)는 잭 플러그의 접촉 핀(101)의 자유 단부에 위치한 접촉 팁(102)을 위한 접촉 영역을 또한 구비한다. 이를 위해, 바람직하게는 삽입 개구(3) 내로 외측으로 돌출하는 접촉 요소(14)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접촉 러그 및 내부 삽입 개구(2) 내부로 돌출하는 접촉 요소(13)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접촉 러그가 제공된다. 제1 접촉 러그에 의해 잭 플러그의 접촉 팁(102)이 접촉될 수 있고, 제2 접촉 러그에 의해 잭 플러그의 접촉 요소(101)의 샤프트가 접촉될 수 있다. 더욱이, 유리하게는, 접촉 요소(14)와 협력하는 푸시 요소가 존재한다. 이것은 삽입 시에 케이블 플러그 커넥터의 접촉 핀(9)과 접촉 요소(14)를 접촉시키기 위해 하우징(1)의 중심 종축을 향하는 방향으로 환형 플러그 연장부에 의해 변위된다.
1 하우징(housing)
2 중앙 삽입 개구(central insertion opening)
3 외부 삽입 개구(outer insertion opening)
4 격벽(partition wall)
5 케이블 커넥터(cable connector)
6 다월 핀(dowel pin)
7 원통형 플러그 연장부(cylindrical plug extension)
8 접촉 핀(contact pin)
9 접촉 핀(contact pin)
10 잭 플러그(jack plug)
11 장착 플랜지(mounting flange)
12 장착 구멍(mounting bore)
13 접촉 요소(contact element)
14 접촉 요소(contact element)
15 후방 벽(rear wall)
31 가이드(guide)
41 개구(opening)
42 개구(opening)
101 접촉 핀(contact pin)
102 접촉 팁(contact tip)
131 접촉 러그(contact lug)
132 측면 에지(lateral edge)
133 측면 에지가 비스듬한 섹션(section with oblique lateral edge)
135 접촉 핀이 있는 접촉 영역(contact region with contact pin)
136 곡선의 탄력 있는 섹션(curved, springy section)
138 가이드 단부 섹션(guided end section)
139 정의된 섹션(defined section)
141 접촉 러그(contact lug)
142 측면 에지(lateral edge)
143 측 방향으로 만곡된 섹션(laterally curved section)
144 평평한 상측(flat upper side)
145 접촉 핀이 있는 접촉 영역(contact region with contact pin)
146 곡선의 탄력 있는 섹션(curved, springy section)
147 측면 곡률의 정점 영역(apex region of the lateral curvature)
148 가이드 단부 섹션(guided end section)
149 정의된 섹션(defined section)
151 안내 및 잠금용 요소(element for guiding and locking)
152 접촉 러그용 리세스(recess for contact lug)

Claims (13)

  1. 하우징(1)을 구비하는 전기 플러그 커넥터로, 하우징(1)에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접촉 핀(8, 9, 101)을 구비하는 상보적 플러그 커넥터(5, 10)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삽입 개구(2, 3) 및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31)가 배치되어 있고, 삽입 개구(2, 3)에서 접촉 핀(8, 9, 101)의 경로 밖으로 탄성적으로 편향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평평한 전기 접촉 요소(13, 14)가 하우징(1) 내에 장착되어 있고, 상보적 플러그 커넥터가 없을 때 삽입 개구 내로 돌출하는, 전기 플러그 커넥터에 있어서,
    접촉 요소(13, 14)는 설-형 디자인을 갖고, 접촉 핀(8, 9)을 향하는 접촉 요소(13, 14)의 측면 에지(132, 142)는, 접촉 핀을 향하는 전방 섹션(133, 143)에서, 접촉 요소(13, 14)의 편향 방향으로 보았을 때 삽입하는 중에 접촉 핀(8, 9)의 경로와 예각을 에워싸고, 상보적 플러그 커넥터(5)가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 횡 방향으로 측면 에지(132, 142)와 인접하는 접촉 요소(13, 14)의 평평한 접촉 섹션(134, 144)이 접촉 핀(8, 9)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접촉 요소(13, 14)는 편향 방향에 대해 볼록한 곡률을 가지고, 바람직하기로는 상보적 플러그 커넥터가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 접촉 핀(8, 9)의 최전방 섹션 영역 내에 정점 영역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 커넥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접촉 요소(14)는 접촉 핀(8)을 향하는 방향으로 볼록한 곡률을 가지고, 바람직하기로는 상보적 플러그 커넥터(5)가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 접촉 핀(8)의 최전방 섹션 영역 내에 정점 영역(147)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 커넥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접촉 핀(8)과 협력하는 접촉 요소(14)의 전방 섹션(143)이 접촉 핀(8)을 향하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제1 접촉 요소(14)의 전방 단부(148) 바로 직전까지 접선 섹션(145)으로부터 회전이 꾸준히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 커넥터.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접촉 핀(8)과 협력하는 측면 에지(142)가 접촉 요소(14)의 길이 방향 중심과 평행하게 연장하고, 접촉 요소(14)의 편향 방향으로 보았을 때, 접촉 요소(14)의 전방 섹션의 회전에 의해 접촉 핀(8)의 경로와 측면 에지(142) 사이에 예각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 커넥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우징(1)은 중앙 삽입 개구(2) 및 외부 환형 삽입 개구(3)를 구비하고, 상기 외부 환형 삽입 개구(3)는 바람직하게는 동축으로 중앙 삽입 개구(2)를 둘러싸며, 동축의 원통형 격벽(4)에 의해 중앙 삽입 개구(2)와 구별되고, 가이드(31)는 상보적 플러그 커넥터(5)의 환형 삽입 개구(3) 내로의 회전-프리 삽입을 보장하며, 플러그 커넥터(1, 5)의 중심 축 주위로 후속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플러그 커넥터에 있어서, 제1 접촉 요소(14)는 원통형 격벽(4)의 외측 영역에서 삽입 개구(2, 3)의 축과 평행하게 연장하고, 하우징(1)의 중심 종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만곡되어 있으며, 하우징(1)의 중심 종축을 향하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편향될 수 있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 커넥터.
  8. 제7항에 있어서, 접촉 요소(14)는 삽입 측에서 가장 가까운 단부(148)에서 삽입 방향에 대해 동축으로 안내되고, 제1 접촉 요소(14)의 접촉 면(145)이 단부 섹션들(148, 149)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 커넥터.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2개의 접촉 요소(14)가 삽입 개구(2)의 축에 대해 격벽(4)의 반대편에 배치되어 있고, 하우징(1)의 중심 종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만곡되어 있으며, 하우징(1)의 중심 종축을 향하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편향될 수 있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 커넥터.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제2 접촉 요소(13)가 중앙 삽입 개구(2) 내에 배치되고, 하우징(1)의 중심 종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편향될 수 있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 커넥터.
  11. 제7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앙 삽입 개구(2)와 그로부터 구별되는 환형 삽입 개구(3)를 분리시키는 격벽(4)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공이고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홈-형 리세스가 제공되어 있으며, 접촉 요소들(13, 14) 중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기로는 접촉 요소들(13, 14) 모두가 공동 또는 홈-형 리세스 내에 배치되고, 접촉 면들(135, 145)이 공동 또는 홈-형 리세스 밖으로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 커넥터.
  12. 제7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우징(1)이 플레이트, 하우징 벽 등에 삽입될 수 있는 소켓-형상 하우징으로 설계되고, 플레이트, 하우징 벽 등에 장착되기 위해 삽입 측에 돌출 플랜지(11)를 구비하며, 전기 접촉 요소들(13, 14)이 소켓-형상 하우징(1)의 베이스 위에서 후방 단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 커넥터.
  13. 제7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앙 삽입 개구(2)는 잭 플러그(10)를 수용하게 구성되고, 샤프트(101)의 자유 단부에 배치된 잭 플러그(10)의 접촉 팁(102) 및 잭 플러그(10)의 샤프트용 접촉 요소가 존재하고, 제1 접촉 요소(14)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접촉 러그와 제2 접촉 요소(13)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접촉 러그를 포함하되, 제1 접촉 러그에 의해 잭 플러그(10)의 접촉 팁(102)이 접촉될 수 있고, 제2 접촉 러그에 의해 잭 플러그(10)의 샤프트(101)가 접촉될 수 있으며, 정합 플러그가 삽입될 때 제1 접촉 요소(14)가 정합 플러그의 제1 정합 접촉 요소와 접촉하도록 하기 위해 환형 플러그 연장부로부터 하우징(1)의 중심 종축을 향하는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는, 제1 접촉 요소(14)와 협력하는 푸시 요소가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 커넥터.
KR1020227003140A 2019-08-07 2020-07-31 전기 플러그 커넥터 KR2022002504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TA50701/2019A AT522822B1 (de) 2019-08-07 2019-08-07 Elektrischer Steckverbinder
ATA50701/2019 2019-08-07
PCT/EP2020/025351 WO2021023396A1 (de) 2019-08-07 2020-07-31 Elektrischer steckverbind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5047A true KR20220025047A (ko) 2022-03-03

Family

ID=72148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3140A KR20220025047A (ko) 2019-08-07 2020-07-31 전기 플러그 커넥터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220399667A1 (ko)
EP (1) EP4010949B1 (ko)
JP (1) JP7300058B2 (ko)
KR (1) KR20220025047A (ko)
CN (1) CN114207950B (ko)
AT (1) AT522822B1 (ko)
AU (1) AU2020325929A1 (ko)
BR (1) BR112022000221A2 (ko)
CA (1) CA3148485A1 (ko)
MX (1) MX2022000610A (ko)
WO (1) WO20210233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28936A (zh) * 2022-03-30 2022-06-14 菲尼克斯亚太电气(南京)有限公司 具有插针固定结构的连接器壳体
CN117220104B (zh) * 2023-11-09 2024-03-22 得力集团有限公司 一种插座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387871B (de) 1987-03-09 1989-03-28 Neutrik Ag Elektrische steckverbindung
DE4414012C1 (de) 1994-04-22 1995-06-14 Neutrik Ag Klinkenstecker
JP3400561B2 (ja) * 1994-09-06 2003-04-28 矢崎総業株式会社 雌型端子
DE19712915C2 (de) 1997-03-27 2001-01-25 Neutrik Ag Schaan Klinkenstecker
JP4212189B2 (ja) * 1999-07-12 2009-01-2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乾式分析方法及び乾式分析要素
US6358104B2 (en) * 2000-01-10 2002-03-19 Delphi Technologies, Inc. High current terminal
AT410865B (de) 2001-05-25 2003-08-25 Weingarnter Bernhard Dipl Ing Steckeraufnahmeteil in form eines chassissteckers
DE10243479A1 (de) 2002-09-19 2004-03-25 Neutrik Aktiengesellschaft Steckerkontakt für elektrische Steckverbindungen
DE10334650B4 (de) 2003-07-28 2005-06-30 Neutrik Aktiengesellschaft Einbausteckerbuchse
JP4020885B2 (ja) * 2004-04-27 2007-12-1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カード用コネクタ及びこれに用いるカード用コンタクト端子
CN1832267A (zh) * 2005-03-10 2006-09-13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端子
DE102006048014A1 (de) * 2006-10-09 2008-04-10 Neutrik Aktiengesellschaft XLR-Kabelsteckverbinder
JP5083847B1 (ja) * 2011-06-07 2012-11-2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ンタクトエレメント及びコネクタ
CN204156154U (zh) * 2014-10-20 2015-02-11 宁波欧科瑞连接器有限公司 用于防止使用松动导致接触不良的母插针
JP5896009B1 (ja) * 2014-12-12 2016-03-30 第一精工株式会社 コネクタ端子
DE202015006807U1 (de) * 2015-09-29 2015-10-27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Kontaktlamellenteil sowie Steckverbinder mit Kontaktlamellentei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544473A (ja) 2022-10-19
BR112022000221A2 (pt) 2022-02-22
MX2022000610A (es) 2022-03-11
CN114207950B (zh) 2023-12-29
US20220399667A1 (en) 2022-12-15
AT522822B1 (de) 2021-12-15
AT522822A1 (de) 2021-02-15
EP4010949A1 (de) 2022-06-15
CA3148485A1 (en) 2021-02-11
WO2021023396A1 (de) 2021-02-11
AU2020325929A1 (en) 2022-03-24
CN114207950A (zh) 2022-03-18
EP4010949B1 (de) 2023-08-30
JP7300058B2 (ja) 2023-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73382B2 (ja) 遊動型電子コネクタ
US7717755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contacts
TWI431875B (zh) 電連接器及其端子
EP3082197A1 (en) Connector
CN102106043A (zh) 插座式触头
JP6290391B2 (ja) プラグインコネクタ
JP2017084625A (ja) コネクタ
KR20220025047A (ko) 전기 플러그 커넥터
US20080076303A1 (en) Electrical connector
US8491332B1 (en) Slim C5/C6 coupler
JP2019029216A (ja) 雌端子
JP6085709B2 (ja) 雌端子構造
EP2028729A1 (en) Connector for jack
JP2013118102A (ja) 雌端子構造
KR20010062350A (ko) 전기 커넥터
TWI701875B (zh) 插頭連接器及其組合
JP2014143023A (ja) メス型端子及びコネクタ
CN108155502B (zh) 连接端子及连接器
CN113285265B (zh) 电连接器及电连接器组合
CN220106966U (zh) 导电端子、线缆连接器及连接器组件
CN217387552U (zh) 电连接器
CN219226685U (zh) 电连接器、电子设备和设备附件
CN221596899U (zh) 一种磁吸端子连接器
CN210723586U (zh) 端子插固式电源连接器结构
US11909138B2 (en) Terminal assembly including flat surface formed and aligned for achieving flat contact with mating tab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