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4626A - 표시 제어 장치, 제어 방법, 정보 처리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표시 제어 장치, 제어 방법, 정보 처리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4626A
KR20220024626A KR1020227001584A KR20227001584A KR20220024626A KR 20220024626 A KR20220024626 A KR 20220024626A KR 1020227001584 A KR1020227001584 A KR 1020227001584A KR 20227001584 A KR20227001584 A KR 20227001584A KR 20220024626 A KR20220024626 A KR 202200246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display control
display
information
or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1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야 후지모토
Original Assignee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024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46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05B19/41865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characterised by job scheduling, process planning, material flow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20Drawing from basic elements, e.g. lines or circles
    • G06T11/206Drawing of charts or graph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5Programmable logic controllers, e.g. simulating logic interconnections of signals according to ladder diagrams or function charts
    • G05B19/054Input/outpu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10Plc systems
    • G05B2219/12Plc mp multi processor system
    • G05B2219/1215Master slave system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31From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till monitoring
    • G05B2219/31391Administration tasks and factory control tas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02Total factory control, e.g. smart factories,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or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오더(order)의 수가 많아져도 시인성(視認性)이 저하되지 않는 표시 방법에 의해, 작업 공정의 실시 상황을 오더마다 표시 가능한 갠트 차트를 표시시킨다. Web 서버(10)는, 제품(Ar)마다의, 복수의 작업 공정(Pr)의 각각의 완료에 필요로 한 작업 시간(Ot)을 나타내는 블록(Bl)에, 제품(Ar)을 포함하는 오더(Or)를 식별 가능한 색을 부여한 갠트 차트를 표시시킨다.

Description

표시 제어 장치, 제어 방법, 정보 처리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본 발명은, 제품마다의, 복수의 작업 공정의 각각의 완료에 필요로 한 작업 시간을 나타내는 갠트 차트(gantt chart)를 표시 장치에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 장치 등에 관한 것이다.
종래, 공장 등의 생산 현장에서의 작업 공정의 실시 상황을, 갠트 차트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파악하고 검토하고자 하는 시도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하기에 게재된 특허문헌 1에는, 주문품을 완성시키는데 필요한 복수의 공정을 관리하는 갠트 차트에 있어서, 어떤 공정에서의 작업의 종료 시점과, 다음 공정에서의 작업의 착수 시점을 선으로 연결하여 표시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 2009-37587호 공보」
그러나,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완성시켜야 할 주문품이 늘어나면, 종료 시점과 착수 시점을 연결하는 선이 늘어나 갠트 차트의 시인성(視認性)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상기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작업 공정의 실시 상황을 오더(order)마다 표시 가능한 갠트 차트를, 오더의 수가 많아져도 시인성이 저하되지 않는 표시 방법에 의해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 장치 등을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표시 제어 장치는, 제품마다의, 복수의 작업 공정의 각각의 완료에 필요로 한 작업 시간을 나타내는 갠트 차트를 표시 장치에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 장치로서, 각각이 같은 종류의 하나 이상의 상기 제품을 포함하는, 복수의 오더의 각각을 식별하는 식별부와, 상기 작업 시간을 나타내는 블록에, 상기 제품을 포함하는 상기 오더를 식별 가능한 색으로서, 상기 복수의 작업 공정에서 공통인 색을 부여하여,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시키는 제1 표시 제어부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표시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제품마다의, 복수의 작업 공정의 각각의 완료에 필요로 한 작업 시간을 나타내는 갠트 차트를 표시 장치에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각각이 같은 종류의 하나 이상의 상기 제품을 포함하는, 복수의 오더의 각각을 식별하는 식별 단계와, 상기 작업 시간을 나타내는 블록에, 상기 제품을 포함하는 상기 오더를 식별 가능한 색으로서, 상기 복수의 작업 공정에서 공통인 색을 부여하여,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시키는 제1 표시 제어 단계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하면, 작업 공정의 실시 상황을 오더마다 표시 가능한 갠트 차트를, 오더의 수가 많아져도 시인성이 저하되지 않는 표시 방법에 의해 표시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표시 제어 장치의 주요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표시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관리 시스템의 전체 개요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천정(天井) 카메라가 생성하는 기초 촬상 데이터의 이미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표시 제어 장치가 실행하는 처리의 전체 개요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1의 표시 제어 장치가 실행하는 갠트 차트 표시 처리의 일 예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1의 표시 제어 장치가 표시시키는 갠트 차트의 개요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오더마다의 강조 표시 처리, 및 상세 정보의 표시 처리가 실행된 경우의 표시 화상의 이미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의 표시 제어 장치가 표시시키는 공정 정보 일람의 이미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종래까지의 갠트 차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실시형태 1〕
이하, 본 발명의 일 측면에 관한 실시형태(이하, 「본 실시형태」라고도 표기함)를, 도 1 내지 도 9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 도면 중 동일 또는 상당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Web 서버(10)를 표시 제어 장치의 전형 예로서 설명을 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N」, 「M」, 「n」, 「m」은 각각 「2 이상의 정수」를 나타내고, 「W」, 「X」, 「Y」, 「Z」, 「w」, 「x」, 「y」, 「z」는 각각 「1 이상의 정수」를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Web 서버(10)에 대한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우선, 「제품」, 「작업 공정」, 「오더」, 및 「작업 시간」 등의 용어에 대해 정리해 둔다.
§1. 적용 예
(제품 및 작업 공정에 대해)
공장 등의 생산 현장인 작업 현장(WS)에서는, 각종 제품(Ar)이 복수의 작업 공정(Pr)을 거쳐 완성되고(즉, 생산되고), 예를 들어, 작업 공정(Pr(1), Pr(2), Pr(3), …Pr(n))을 거쳐 제품(Ar)이 완성된다. 이하, 「작업 공정」은 「공정」이라고도 약기(略記)하며, 복수의 작업 공정(Pr(1), Pr(2), Pr(3), …Pr(n))의 각각은, 예를 들어, 「도장(塗裝)」 공정, 「주요 워크(work)의 조립」 공정, 「주요 워크의 본체(本體)에의 조립」 공정, 「검사」 공정 등이다.
작업 공정(Pr)에 대해, 복수의 작업 공정(Pr)의 각각을 구별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부호에 「(1)」, 「(2)」, 「(3)」, …, 「(n)」 등의 첨자를 부여하여 구별한다. 예를 들어, 「작업 공정(Pr(1))」, 「작업 공정(Pr(2))」, 「작업 공정(Pr(3))」, …, 「작업 공정(Pr(n))」이라고 기재하여 구별한다. 복수의 작업 공정(Pr)의 각각을 특별히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는 단지 「작업 공정(Pr)」이라고 부른다.
(오더에 대해)
제품(Ar)의 효율적인 관리 등의 목적으로부터, 작업 현장(WS)에서 제품(Ar)은 「오더(Or)」 단위로 관리되고 있다. 「오더(Or)」란, 「소정 수의, 같은 종류의 제품(Ar)의 세트」이며, 따라서, 오더(Or)에는, 같은 종류의 제품(Ar)이 소정 수 포함되어 있다.
예를 들어, 상세는 후술하지만, 도 8에는, 제품 번호(식별 정보)가 「123456789-1」에서부터 「123456789-7」에 이르기까지인 7개의 제품(Ar)의 각각에 대해, 생산 관리에 유용한 정보(상세 정보, 「공정 정보(Pi)」라고도 부름)가 나타나 있다. 이들 「123456789-1」에서부터 「123456789-7」에 이르기까지인 7개의 제품(Ar)은, 종류가 「123456789」로 공통되어 있고, 이들 7개의 제품(Ar)의 세트는, 「오더(Or)」의 일 예이다.
(작업에 대해)
작업 공정(Pr)에서는, 작업자(Pe) 및 기기(40) 중 적어도 한쪽에 의해 작업(Op)이 수행되고, 복수의 작업 공정(Pr)의 각각에는, 복수의 작업(Op)의 각각이 대응되어 있다. 예를 들어, 작업 공정(Pr(1))에서는, 작업자(Pe) 및 기기(40) 중 적어도 한쪽에 의해 작업(Op(1))이 수행되고, 작업 공정(Pr(2))에서는, 작업자(Pe) 및 기기(40) 중 적어도 한쪽에 의해 작업(Op(2))이 수행된다. 마찬가지로, 작업 공정(Pr(n))에서는, 작업자(Pe) 및 기기(40) 중 적어도 한쪽에 의해 작업(Op(n))이 수행된다.
(제품, 작업 공정, 작업의 관계에 대해)
지금까지 설명해 온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제품(Ar(Y))은, 작업 공정(Pr(1), Pr(2), Pr(3), …, Pr(n))의 n개의 공정을 거쳐 완성된다. 마찬가지로, 예를 들어, 제품(Ar(Z))은, 작업 공정(Pr(2), Pr(3), Pr(4), …, Pr(m))의 「m-1」개의 공정을 거쳐 완성된다.
여기서, 복수의 제품(Ar)의 각각에 대해, 완성에 이르기까지 필요한 복수의 작업 공정(Pr)이 미리 결정되어 있고, 동일한 하나의 작업 공정(Pr)이, 서로 종류가 다른 복수의 제품(Ar)의 각각의 완성에 필요한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종류가 「a」인 제품(Ar(Y))과, 종류가 「b」인 제품(Ar(Z))은, 각각 완성에 이르기까지 작업 공정(Pr(x))을 거칠 필요가 있다』는 사태가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제품(Ar(Y))에 대해 작업 공정(Pr(x))에서 실행되는 작업(Op(Y, x))」과, 「제품(Ar(Z))에 대해 작업 공정(Pr(x))에서 실행되는 작업(Op(Z, x))」은, 동일해도 되고, 달라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품(Ar(Y))을 완성시키기에 이르기까지 필요로 하는 복수의 작업 공정(Pr) 중 하나를 작업 공정(Pr(x))이라고 나타내는 경우가 있고, 제품(Ar(Y))에 대해, 작업 공정(Pr(x))에서 실행되는 작업(Op)을 작업(Op(Y, x))이라고 나타내는 경우가 있다.
(작업 영역 및 작업 시간에 대해)
작업 현장(WS)은 복수의 작업 영역(Oa)을 포함하고, 복수의 작업 공정(Pr)의 각각은 복수의 작업 영역(Oa)의 각각에 대응되어 있다. 예를 들어, 작업 공정(Pr(1))의 작업(Op(1))은 작업 영역(Oa(1))에서 수행되고, 즉, 작업 공정(Pr(1))은 작업 영역(Oa(1))에 대응되어 있다. 또한, 작업 공정(Pr(2))의 작업(Op(2))은 작업 영역(Oa(2))에서 수행되고, 즉, 작업 공정(Pr(2))은 작업 영역(Oa(2))에 대응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작업 공정(Pr(n))의 작업(Op(n))은 작업 영역(Oa(n))에서 수행되고, 즉, 작업 공정(Pr(n))은 작업 영역(Oa(n))에 대응되어 있다.
그래서, 「작업자(Pe)가, 작업 영역(Oa)에의 체재(滯在)를 개시하기 시작한 시각(체재 개시 시각)에서부터 작업 영역(Oa)에의 체재를 끝낸 시각(체재 종료 시각)에 이르기까지의 시간」은, 「작업 영역(Oa)에 대응하는 작업 공정(Pr)을 완료하는데 필요로 한 작업 시간(Ot)」이라고 간주할 수 있다. 특히, 「작업자(Pe)는, 작업 영역(Oa)에 체재 중, 작업(Op)을 수행하고 있다」라고 예상할 수 있는 경우, 「작업 영역(Oa)의, 작업자(Pe)의 체재 개시 시각에서부터 체재 종료 시각에 이르기까지의 시간」은, 「작업 영역(Oa)에 대응하는 작업 공정(Pr)을 완료하는데 필요로 한 작업 시간(Ot)」에 일치한다.
(기기 및 작업 시간에 대해)
복수의 작업 공정(Pr)의 각각은 복수의 기기(40)의 각각에 대응되어 있다. 예를 들어, 작업 공정(Pr(1))의 작업(Op(1))은 기기(40(1))를 이용하여 수행되고, 즉, 작업 공정(Pr(1))은 기기(40(1))에 대응되어 있다. 또한, 작업 공정(Pr(2))의 작업(Op(2))은 기기(40(2))를 이용하여 수행되고, 즉, 작업 공정(Pr(2))은 기기(40(2))에 대응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작업 공정(Pr(n))의 작업(Op(n))은 기기(40(n))를 이용하여 수행되고, 즉, 작업 공정(Pr(n))은 기기(40(n))에 대응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제품(Ar(Y))에 대해, 작업 공정(Pr(x))에 대응하는 기기(40(x))는 작업(Op(Y, x))을 실행하며, 마찬가지로 제품(Ar(Z))에 대해, 작업 공정(Pr(w))에 대응하는 기기(40(w))는 작업(Op(Z, w))을 실행한다.
따라서, 제품(Ar)에 대해, 「작업 공정(Pr)에 있어서, 『작업 공정(Pr)에 대응하는 기기(40)가 실행한 작업(Op)』의 개시 시각에서부터 종료 시각에 이르기까지의 시간」은, 제품(Ar)의 「작업 공정(Pr)을 완료하는데 필요로 한 작업 시간(Ot)」이라고 간주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품(Ar(Y))에 대해, 작업 공정(Pr(x))을 완료하는데 필요로 한 작업 시간(Ot)을 작업 시간(Ot(Y, x))이라고 나타내는 경우가 있고, 즉, 작업(Op(Y, x))의 실행에 필요로 한 시간을 작업 시간(Ot(Y, x))이라고 나타내는 경우가 있다.
(관리 시스템(1)의 개요)
Web 서버(10)를 포함하는 관리 시스템(1)은, 작업 현장(WS)에서 완성되는(생산되는), 복수의 제품(Ar)의 각각에 대해, 그 공정 정보(Pi)를 가시화하는 시스템이다. 특히 관리 시스템(1)은, 「제품(Ar)에 대해, 작업 공정(Pr)을 완료하는데 필요로 한 작업 시간(Ot)」을 나타내는 블록(Bl)을, 「제품(Ar)을 포함하는 오더(Or)를 식별 가능한 색」으로 착색한 갠트 차트를 표시한다. 이하, 관리 시스템(1)의 개요를 도 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2는 Web 서버(10)를 포함하는 관리 시스템(1)의 전체 개요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관리 시스템(1)은 Web 서버(10)와 표시 장치(20)를 포함한다. 관리 시스템(1)은, 나아가,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30) 및 정보 처리 장치(50) 중 적어도 한쪽을 포함해도 되고, 또한, 공정 정보 DB(Database), 이벤트 관리 장치(70) 등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표시 장치(20)는, Web 서버(10)의 제어에 따라 화상을 표시하는 장치로서, PC(Personal Computer) 등에 의해 실현된다. 표시 장치(20)는, Web 서버(10)의 제어에 따라, 예를 들어, 갠트 차트, 및 기초 촬상 데이터(BI)로부터 추출된 동영상 등을 표시하며, 공정 정보(Pi) 등의 가시화를 실현한다. Web 서버(10)가 표시 장치(20)에 표시시키는 갠트 차트는, 작업 공정(Pr)을 세로축에, 시간을 가로축에 취하고, 제품(Ar)마다, 복수의 작업 공정(Pr)의 각각의 완료에 필요로 한 작업 시간(Ot)을, 블록(Bl)에 의해 표현한 것이다. 블록(Bl)은, 「제품(Ar)마다의, 작업 공정(Pr)에서 실행된 작업(Op)」의, 개시 시각과 종료 시각을 둘러싸는 직사각형 테두리로서, 「제품(Ar)마다의, 작업 공정(Pr)을 완료하는데 필요로 한 작업 시간(Ot)」을 나타내고 있다.
Web 서버(10)는, 표시 장치(20)를 제어하여, 원하는 화상을 표시 장치(20)에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 장치로서, 특히, 갠트 차트, 및 기초 촬상 데이터(BI)로부터 추출한 동영상 등을 표시 장치(20)에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 장치이다.
Web 서버(10)는, 예를 들어 공정 정보 DB 등(더 구체적으로, PLC(30))으로부터, 제품(Ar)에 관한 작업 공정(Pr)마다의 공정 정보(Pi)를 취득하고, 취득한 공정 정보(Pi)를 이용하여, 「제품(Ar)마다의, 작업 공정(Pr)을 완료하는데 필요로 한 작업 시간(Ot)」을 특정한다. 또한, Web 서버(10)는, 정보 처리 장치(50)와 접속되어 있어도 되고, 「제품(Ar)마다의, 작업 공정(Pr)을 완료하는데 필요로 한 작업 시간(Ot)」을 특정하는데 정보 처리 장치(50)로부터 취득한 공정 정보(Pi)를 이용해도 된다.
Web 서버(10)는, 취득한 공정 정보(Pi)를 이용하여 특정한, 「제품(Ar)마다의, 작업 공정(Pr)을 완료하는데 필요로 한 작업 시간(Ot)」을 블록(Bl)에 의해 표현한 갠트 차트를, 표시 장치(20)에 표시시킨다. 예를 들어, Web 서버(10)는, 「제품(Ar(Y))의, 작업 공정(Pr(x))을 완료하는데 필요로 한 작업 시간(Ot(Y, x))」을 블록(Bl(Y, x))에 의해 표현한 갠트 차트를, 표시 장치(20)에 표시시킨다.
또한, Web 서버(10)는, 정보 처리 장치(50)로부터 「천정 카메라(60)가 생성한 기초 촬상 데이터(BI)」를 취득한다. Web 서버(10)는, 사용자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정보 처리 장치(50)로부터 취득한 기초 촬상 데이터(BI)의 일부를, 동영상 데이터로서 추출하고, 추출한 동영상 데이터를 재생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동영상을, 표시 장치(20)에 표시시킨다.
(공정 정보 DB 및 이벤트 관리 장치)
도 2에서, Web 서버(10)에는, 제어 네트워크와도 사내(社內) LAN과도 다른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MES라고도 불리는 공정 정보 DB 등이 접속되어 있다. 공정 정보 DB는, 「PLC(30)를 마스터로 하고, 기기(40)를 슬레이브로 하는 마스터 슬레이브 제어 시스템」에, 사내 LAN을 통해 접속되어 있고, PLC(30)는, 복수의 제품(Ar)의 각각의 공정 정보(Pi)를 공정 정보 DB에 저장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예에서는, MES로서의 공정 정보 DB에, 작업 현장(WS)에서 발생한 각종 이벤트를 감시하고 관리하는 이벤트 관리 장치(70)가 사내 LAN을 통해 접속되어 있다. 단, 이벤트 관리 장치(70)가 사내 LAN을 통해 공정 정보 DB에 접속되어 있는 것은 필수가 아니며, 이벤트 관리 장치(70)는 마련하지 않아도 된다. 사내 LAN에는, MES에 더하여, 도시하지 않은 ERP(Enterprise Resources Planning), WMS(Warehouse Management System) 등이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PLC 및 기기)
PLC(30)는, 기기(40)를 슬레이브로 하는 마스터 슬레이브 제어 시스템에서의 마스터이며, 즉, 마스터 슬레이브 제어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로서, 복수의 기기(40)의 각각과 제어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PLC(30)는, 제어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전송을 관리하고 있다는 의미로 「마스터」라고 불린다. 「마스터」 및 「슬레이브」는, 제어 네트워크 상의 데이터 전송의 제어 기능에 착안하여 정의되는 것이며, 각 장치 사이에서 어떠한 정보가 송수신되는지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PLC(30)는, 예를 들어, 센서 등의 입력 디바이스(계측 디바이스)인 기기(40)로부터, 계측 결과 등을 입력 데이터로서 취득하고, 미리 내장된 사용자 프로그램에 따라, 취득한 입력 데이터를 이용한 연산 처리를 실행한다. PLC(30)는, 상기 연산 처리를 실행하여, 예를 들어, 액추에이터 등의 출력 디바이스인 기기(40)에의 제어 내용을 결정하고, 결정한 제어 내용에 대응하는 제어 데이터를, 출력 디바이스인 기기(40)에 출력한다. PLC(30)는, 복수의 기기(40)의 각각으로부터의 입력 데이터의 취득과, 복수의 기기(40)의 각각에의 제어 데이터의 출력을, 소정의 주기(제어 주기)로 반복하여 실행한다.
기기(40)는, 작업 현장(WS)에서 복수의 작업 공정(Pr)을 실시하는데 이용되며, 라인 컨트롤러(line controller)로서의 PLC(30)에 의해 제어된다. 관리 시스템(1)에 있어서, 기기(40)는, PLC(30)를 마스터로 하는 마스터 슬레이브 제어 시스템에서의 슬레이브이다. 기기(40)는, 소정의 제어 주기마다 반복하여 입력 데이터를 PLC(30)로 송신하는 입력 디바이스이거나, 또는, 소정의 제어 주기마다 반복하여 제어 데이터를 PLC(30)로부터 수신하고, 수신한 제어 데이터에 따라 동작하는 출력 디바이스이다. 구체적으로, 기기(40)는, 기기(40)는, 예를 들어, 입력 데이터로서, PLC(30)에 검지 결과 등을 송신하는 입력 디바이스로서의 센서이어도 되고, 판독 결과를 송신하는 바코드 리더(bar code reader)이어도 되고, 검사 결과를 송신하는 검사기(테스터)이어도 된다. 또한, 기기(40)는, 복수의 입력 디바이스가 접속된 PT(Programmable Terminal)이어도 된다. 나아가, 기기(40)는, 나사 조임, 피킹(picking) 등을 실행하는 출력 디바이스로서의 로봇 등이어도 된다.
즉, PLC(30)는, 마스터 슬레이브 제어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여 제품(Ar)을 생산하고, 구체적으로, 기기(40)를 제어하여, 제품(Ar)의 완성에 필요한 작업(Op)을 기기(40)에 실행시키며, 예를 들어, 오더(Or) 단위로, 기기(40)에 작업(Op)을 실행시킨다.
마스터 슬레이브 제어 시스템에서의 마스터로서의 PLC(30)는, 예를 들어 소정의 제어 주기마다 반복하여 슬레이브인 기기(40)에, 「제품(Ar)을 완성시키는데 필요한 작업(Op)을 기기(40)에 실행시키는 제어 데이터」를 출력한다.
기기(40)는, 예를 들어 소정의 제어 주기마다 반복하여 PLC(30)로부터 제어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제어 데이터에 따라, 제품(Ar)을 완성시키는데 필요한 작업(Op)을 실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기기(40)의 각각은, 제품(Ar)을 완성시키는데 필요한 복수의 작업 공정(Pr)의 각각에 대응되어 있다. 기기(40)는, 실행한 작업(Op)의 내용 및 결과 등을 나타내는 정보(작업 정보(Oi))를, 예를 들어 소정의 제어 주기마다 반복하여 PLC(30)로 송신한다.
예를 들어, 기기(40(x))는, 제품(Ar(Y))을 완성시키는데 필요한 복수의 작업 공정(Pr) 중 하나인 작업 공정(Pr(x))에 대응되어 있고, 작업(Op(Y, x))을 실행한다. 기기(40(x))는, 실행한 작업(Op(Y, x))의 내용 및 결과 등을 나타내는 작업 정보(Oi(Y, x))를, 예를 들어 소정의 제어 주기마다 반복하여 PLC(30)로 송신한다. 작업 정보(Oi(Y, x))에는, 작업(Op(Y, x))의 실행시에 에러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PLC(30)는, 예를 들어 소정의 제어 주기마다 반복하여 슬레이브인 기기(40)로부터, 기기(40)가 실행한 작업(Op)의 내용 및 결과 등을 나타내는 작업 정보(Oi)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PLC(30)는, 「작업 공정(Pr(x))에 있어서, 기기(40(x))가 제품(Ar(Y))에 대해 실행한 작업(Op(Y, x))의 내용 및 결과 등을 나타내는 작업 정보(Oi(Y, x))」를, 기기(40(x))로부터 제어 주기로 반복하여 수신한다.
예를 들어, 기기(40(x))가 검사기인 경우, PLC(30)는, 작업(Op(Y, x))인 검사 작업의 대상인 제품(Ar(Y))의 식별 정보, 검사 결과, 및 검사 작업의 개시 시각, 종료 시각 등을 작업 정보(Oi(Y, x))로서, 기기(40)로부터 취득한다. 또한, 기기(40(x))가 나사 조임을 실행하는 로봇(robot)인 경우, PLC(30)는, 기기(40(x))가 제품(Ar(Y))에 대해 실행한 작업(Op(Y, x))의 개시 시각, 종료 시각, 제품(Ar(Y))의 식별 정보, 나사 조임 횟수 등을 작업 정보(Oi(Y, x))로서 취득한다.
PLC(30)는, 작업 공정(Pr)에서 기기(40)가 실제로 실행한 작업(Op)의 내용 및 결과를 나타내는 작업 정보(Oi)를, 기기(40)로부터 소정의 주기로 반복하여 수신하고, 수신한 작업 정보(Oi)를 공정 정보(Pi)로서 공정 정보 DB 등으로 송신한다(즉, 전송한다). 또한, PLC(30)는, 기기(40)로부터 소정의 주기로 반복하여 수신한 작업 정보(Oi)를 이용하여 생성한 정보를, 공정 정보(Pi)로서 공정 정보 DB 등으로 송신한다.
PLC(30)는, 예를 들어, 기기(40)로부터 수신한 작업 정보(Oi)에 의해, 이하의 공정 정보(Pi)를 생성한다. 즉, PLC(30)는, 작업 공정(Pr)에 대응하는 기기(40)가 작업(Op)의 실행을 개시한 시각(개시 시각), 완료한 시각(종료 시각), 작업(Op)의 대상이 된 제품(Ar)의 식별 정보, 작업(Op)의 실행시에 에러 발생의 유무 등을 나타내는 공정 정보(Pi)를 생성한다. PLC(30)는, 생성한 공정 정보(Pi)를, 공정 정보 DB 등으로 송신한다.
또한, PLC(30)는, 「기기(40)에 작업(Op)을 실행시킴으로써 완성되는 제품(Ar)」을 오더(Or) 단위로 관리하며, 「기기(40)로부터 수신한 작업 정보(Oi)에서 나타나는 제품(Ar)」이 포함되는 오더(Or)를 나타내는 공정 정보(Pi)를 생성한다. PLC(30)는 생성한 공정 정보(Pi)를 공정 정보 DB 등으로 송신한다.
따라서, PLC(30)가, 기기(40(x))로부터 수신한 작업 정보(Oi(Y, x))에 기초하여 생성하고 공정 정보 DB 등으로 송신하는 공정 정보(Pi(Y, x))에는, 예를 들어, 이하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즉, 공정 정보(Pi(Y, x))에는, 제품(Ar(Y))의 완성에 필요로 하는 작업 공정(Pr(x))에 대해, 제품(Ar(Y))의 식별 정보, 작업(Op(Y, x))의 개시 시각, 종료 시각, 에러 발생의 유무, 「제품(Ar(Y))을 포함하는 오더(Or)」의 식별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정보 처리 장치 및 천정 카메라)
도 2에서, Web 서버(10)에는,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정보 처리 장치(50)가 접속되어 있고, 정보 처리 장치(50)로부터 송신된 기초 촬상 데이터(BI) 등은, Web 서버(10), 또는, Web 서버(10)에 접속하는 도시하지 않은 동영상 저장 서버에 저장된다.
정보 처리 장치(50)는, PC 등에 의해 실현되며, 천정 카메라(60)로부터, 작업 현장(WS)의 전체를 촬상한 촬상 데이터인 기초 촬상 데이터(BI)를 취득하고, 취득한 기초 촬상 데이터(BI)를 저장하고 관리한다.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장치(50)는, 천정 카메라(60)로부터 취득한 기초 촬상 데이터(BI)를, Web 서버(10), 또는, Web 서버(10)에 접속하는 도시하지 않은 동영상 저장 서버로 송신하고, 기초 촬상 데이터(BI)를 Web 서버(10) 등에 저장한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50)는, 천정 카메라(60)로부터 취득한 기초 촬상 데이터(BI)에 대해 화상 해석을 실행하여, 작업 공정(Pr)마다, 작업 공정(Pr)에 대응하는 작업 영역(Oa)에 존재한 작업자(Pe)의 체재 기간(Do)을 특정해도 된다.
구체적으로, 정보 처리 장치(50)는, 우선, 기초 촬상 데이터(BI)에 대해 화상 해석을 실행하고, 작업 현장(WS)에 작업자(Pe)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하여, 작업 현장(WS)에 작업자(Pe)가 존재한다고 판정하면, 작업 현장(WS)에 존재하는 작업자(Pe)의 작업자 ID를 특정한다. 그리고, 정보 처리 장치(50)는, 「작업 공정(Pr(x))에 대응하는 작업 영역(Oa(x))에 지금까지 존재하지 않았던 작업자(Pe(z))」가 작업 영역(Oa(x))에 존재하게 된 것을 확인한 시각(=체재 개시 시각(Tos(x, z)))을 특정한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50)는, 작업 영역(Oa(x))에 지금까지 존재하였던 작업자(Pe(z))가 작업 영역(Oa(x))에 존재하지 않게 된 것을 확인한 시각(=체재 종료 시각(Toe(x, z)))을 특정한다. 정보 처리 장치(50)는, 작업 공정(Pr(x))에 대해, 즉, 작업 영역(Oa(x))에 대해, 체재 개시 시각(Tos(x, z))에서부터 체재 종료 시각(Toe(x, z))에 이르기까지의 기간인, 작업자(Pe(z))의 체재 기간(Do(x, z))을 산출한다.
정보 처리 장치(50)는, 작업 공정(Pr)마다, 즉, 작업 영역(Oa)마다 특정한(산출한) 작업자(Pe)의, 체재 개시 시각(Tos), 체재 종료 시각(Toe), 및 체재 기간(Do)을 나타내는 정보를, 공정 정보(Pi)로서 Web 서버(10)에 통지해도 된다.
천정 카메라(60)는, 광역 촬상 카메라로서, 작업 현장(WS)의 전체를 부감(俯瞰)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며, 예를 들어, 작업 현장(WS)의 천정에 예를 들어 1대 설치되며, 작업 현장(WS)의 전체를 촬상한 촬상 데이터인 기초 촬상 데이터(BI)를 생성한다. 천정 카메라(60)는, 생성한 기초 촬상 데이터(BI)를, 예를 들어 USB(Universal Serial Bus) 케이블인 통신 케이블을 통해 정보 처리 장치(50)로 출력한다.
도 3은 천정 카메라(60)가 생성하는 기초 촬상 데이터(BI)의 이미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정보 처리 장치(50)는, 천정 카메라(60)로부터, 도 3에 예시하는 기초 촬상 데이터(BI)를 취득한다. 정보 처리 장치(50)는, 취득한 기초 촬상 데이터(BI)에 대해 화상 해석을 실행하고, 복수의 작업 공정(Pr)의 각각에 대응하는 작업 영역(Oa(x))에 대해, 작업자(Pe)의 체재 기간(Do)을 특정한다.
(작업 시간에 대해)
지금까지 도 2를 이용하여 설명해 온 바와 같이, Web 서버(10)는, 공정 정보 DB 등으로부터, PLC(30)가 출력한 공정 정보(Pi)를 취득한다. 그리고, Web 서버(10)는, 취득한 공정 정보(Pi)를 이용하여, 제품(Ar)마다 작업 공정(Pr)에서 기기(40)가 실행한 작업(Op)의 동작시간을 특정한다. Web 서버(10)는, 제품(Ar)마다 특정한, 작업(Op)의 동작시간을, 「제품(Ar)마다의, 작업 공정(Pr)을 완료하는데 필요로 한 작업 시간(Ot)」이라고 간주한다. 예를 들어, Web 서버(10)는, 공정 정보 DB로부터, 제품(Ar(Y))의 완성에 필요로 하는 작업 공정(Pr(x))에 대해, 작업 공정(Pr(x))에 대응하는 기기(40(x))가 실행한 작업(Op(Y, x))의 개시 시각 및 종료 시각을 나타내는 공정 정보(Pi(Y, x))를 취득한다. Web 서버(10)는, 취득한 공정 정보(Pi(Y, x))를 이용하여, 제품(Ar(Y))에 대해, 작업 공정(Pr(x))에서 기기(40(x))가 실행한 작업(Op(Y, x))의 동작시간을 특정한다. Web 서버(10)는, 제품(Ar(Y))에 대해 특정한 작업(Op(Y, x))의 동작시간을, 제품(Ar(Y))의 「작업 공정(Pr(x))의 완료에 필요로 한 작업 시간(Ot(Y, x))」이라고 간주한다.
Web 서버(10)는, 「제품(Ar)마다의, 작업 공정(Pr)을 완료하는데 필요로 한 작업 시간(Ot)」에, 「작업 공정(Pr)에 대응하는 작업 영역(Oa)에 대한, 작업자(Pe)의 체재 기간(Do)」을 고려해도 된다. 예를 들어, Web 서버(10)는, 정보 처리 장치(50)로부터 취득한 공정 정보(Pi(x))를 이용하여, 작업 공정(Pr(x))에 대응하는 작업 영역(Oa(x))에 대해, 작업자(Pe)의 체재 기간(Do(x))을 특정한다. Web 서버(10)는, 「제품(Ar(Y))에 대해, 작업 공정(Pr(x))에서 기기(40(x))가 실행한 작업(Op(Y, x))의 동작시간」이, 「작업 영역(Oa(x))에 대한, 작업자(Pe)의 체재 기간(Do(x))」에 포함되는 경우, 이하의 처리를 실행해도 된다. 즉, Web 서버(10)는, 「작업(Op(Y, x))의 동작시간」에 중복되는 「작업 영역(Oa(x))에 대한, 작업자(Pe)의 체재 기간(Do(x))」을, 「제품(Ar)마다의, 작업 공정(Pr)을 완료하는데 필요로 한 작업 시간(Ot)」에 동일하다고 간주해도 된다. 즉, Web 서버(10)는, 작업(Op(Y, x))의 동작시간을 포함하는 「작업 영역(Oa(x))에 대한, 작업자(Pe)의 체재 기간(Do(x))」을, 제품(Ar(Y))의 「작업 공정(Pr(x))의 완료에 필요로 한 작업 시간(Ot(Y, x))」이라고 간주해도 된다.
(실시 상황에 관한 그 밖의 정보에 대해)
Web 서버(10)는, 공정 정보 DB 등으로부터, PLC(30)가 출력한 공정 정보(Pi)를 취득하고, 제품(Ar)마다의 「작업 공정(Pr)의 완료에 필요로 한 작업 시간(Ot)」을 특정하며, 나아가, 공정 정보(Pi)로부터 이하의 정보를 특정해도 된다.
예를 들어, Web 서버(10)는, Web 서버(10)는, 공정 정보(Pi(Y, x))로부터, 제품(Ar(Y))의 완성에 필요로 하는 작업 공정(Pr(x))에 대해, 작업 공정(Pr(x))에 대응하는 기기(40(x))가 실행한 작업(Op(Y, x))에 에러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특정한다. 나아가, Web 서버(10)는, 공정 정보(Pi(Y, x))로부터, 제품(Ar(Y))의 식별 정보, 및 제품(Ar(Y))이 포함되는 오더(Or)를 특정한다.
(갠트 차트에 대해)
Web 서버(10)는, 공정 정보(Pi)를 이용하여 취득한, 「제품(Ar)마다의, 작업 공정(Pr)의 완료에 필요로 한 작업 시간(Ot)」을 블록(Bl)으로 나타내는 갠트 차트를, 표시 장치(20)에 표시시킨다. Web 서버(10)가 표시 장치(20)에 표시시키는 갠트 차트에 대해, 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종래까지의 갠트 차트와 대비한다.
도 9는, 종래까지의 갠트 차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종래까지의 갠트 차트에서도, 「제품(Ar)에 대해, 작업 공정(Pr)을 완료하는데 필요로 한 작업 시간(Ot)」은, 블록(Bl)에 의해 나타나 있다.
여기서, 종래까지의 갠트 차트에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블록(Bl)이 모두 같은 색으로 표시되어 있다. 그 때문에, 종래까지의 갠트 차트에서는, 제품(Ar)이 완성에 이르기까지 거친 복수의 작업 공정(Pr)의 각각에서의 실시 상황(구체적으로, 작업 시간(Ot))의 파악이 곤란하고, 제품(Ar)마다의, 완성까지에 이르기까지의 경위의 파악이 곤란하다. 종래까지의 갠트 차트는, 복수의 제품(Ar)의 각각의, 작업 공정(Pr)의 완료에 필요로 한 작업 시간(Ot)을 나타내는 블록(Bl)이 모두 같은 색으로 표시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사이클 타임(cycle time), 택트 타임(tact time), 준비 시간(setup time) 등을 직관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곤란하다. 또한, 사용자는, 복수의 블록(Bl)을 모두 같은 색으로 표시하는 종래까지의 갠트 차트에서는, 제품(Ar)마다 보틀넥(bottleneck)이 되어 있는 작업 공정(Pr)을 발견하는 것이 곤란하다.
이에 반해, Web 서버(10)가 표시 장치(20)에 표시시키는 갠트 차트에 있어서, 「제품(Ar)마다의, 작업 공정(Pr)을 완료하는데 필요로 한 작업 시간(Ot)」을 나타내는 블록(Bl)은, 일정 주기마다 색 구분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Web 서버(10)가 표시 장치(20)에 표시시키는 갠트 차트에 있어서, 복수의 블록(Bl)의 각각은, 「제품(Ar)을 포함하는 오더(Or)를 식별 가능한 색」으로 착색되어 있다. 특히, Web 서버(10)는, 복수의 블록(Bl)의 각각을, 「제품(Ar)을 포함하는 오더(Or)를 식별 가능한 색」으로서, 복수의 작업 공정(Pr)에서 공통인 색에 의해 착색한 갠트 차트를, 표시 장치(20)에 표시시킨다.
Web 서버(10)는, 「제품(Ar)마다의, 작업 공정(Pr)을 완료하는데 필요로 한 작업 시간(Ot)」을 나타내는 블록(Bl)의 색을, 「블록(Bl)에 대응하는 제품(Ar)이 포함되는 오더(Or)」마다 바꾼 갠트 차트를, 표시 장치(20)에 표시시킨다. 즉, Web 서버(10)는, 「제품(Ar)마다의, 완성까지에 이르기까지의 경위」를, 「제품(Ar)이 포함되는 오더(Or)」마다 색 구분하여 가시화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Web 서버(10)가 표시 장치(20)에 표시시키는 갠트 차트에 의해, 제품(Ar)마다의(더 정확하게는, 오더(Or)마다의), 준비 시간 등의 실시 상황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사용자는, Web 서버(10)가 표시 장치(20)에 표시시키는 갠트 차트에 의해, 제품(Ar)마다 보틀넥이 되어 있는 작업 공정(Pr)을 용이하게 발견하고, 즉, 제품(Ar)이 어느 작업 공정(Pr)에서 체류되어 있는지 등을 일견(一見)하여 확인할 수 있다.
특히, 기기(40)가 실행한 작업(Op)이 작업자(Pe)의 수조립 작업을 수반하는 경우, 및 소량 다품종의 제품(Ar)을 생산하는 경우에, 작업 시간(Ot)이 오더(Or)마다 색 구분된 갠트 차트는, 사용자가 제품(Ar)의 공정 관리를 오더 단위로 수행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실시 상황을 촬상한 동영상의 재생에 대해)
Web 서버(10)는, 나아가, 작업 현장(WS)의 전체를 촬상한 촬상 데이터인 기초 촬상 데이터(BI)로부터, 사용자가 원하는 제품(Ar)에 대해, 그 제품(Ar)이 완성에 이르기까지의, 복수의 작업 공정(Pr)의 각각의 실시 상황을 촬상한 동영상 데이터를 추출하여 재생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예를 들어, Web 서버(10)가 표시 장치(20)에 표시시키는 갠트 차트로부터, 신경이 쓰이는 제품(Ar)을 발견하면, 그 제품(Ar)이 완성에 이르기까지의 동영상 데이터를 Web 서버(10)에 표시시켜 상세를 확인할 수 있다.
§2. 구성 예
지금까지, 도 2를 이용하여 관리 시스템(1) 등의 개요를 설명해 왔다. 도 1 등을 이용하여 Web 서버(10)의 상세를 설명해 가기 전에, Web 서버(10)에 대한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Web 서버(10)의 개요를 이하와 같이 정리해 둔다.
즉, Web 서버(10)(표시 제어 장치)는, 제품(Ar)마다의, 복수의 작업 공정(Pr)의 각각의 완료에 필요로 한 작업 시간(Ot)을 나타내는 갠트 차트를 표시 장치(20)에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 장치로서, 식별부(130)와, 제1 표시 제어부(141)를 구비하고 있다. 식별부(130)는, 각각이 같은 종류의 하나 이상의 제품(Ar)을 포함하는, 복수의 오더(Or)의 각각을 식별한다. 제1 표시 제어부(141)는, 제품(Ar)마다의, 복수의 작업 공정(Pr)의 각각의 완료에 필요로 한 작업 시간(Ot)을 나타내는 블록(Bl)에, 제품(Ar)을 포함하는 오더(Or)를 식별 가능한 색으로서, 복수의 작업 공정(Pr)에서 공통인 색을 부여하여, 표시 장치(20)에 표시시킨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Web 서버(10)는, 제품(Ar)마다의 작업 시간(Ot)을 나타내는 블록(Bl)에, 제품(Ar)을 포함하는 오더(Or)를 식별 가능한 색으로서, 복수의 작업 공정(Pr)에서 공통인 색을 부여하여, 갠트 차트를 표시 장치(20)에 표시시킨다.
사용자는, 제품(Ar)마다의 작업 시간(Ot)(실시 상황)이, 복수의 작업 공정(Pr)에 공통인, 오더(Or)마다의 색에 의해 나타난 갠트 차트에 의해, 복수의 작업 공정(Pr)에서의, 오더(Or)마다의 실시 상황을 일견하여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Web 서버(10)는, 작업 공정(Pr)의 실시 상황을 오더(Or)마다 표시 가능한 갠트 차트를, 색 구분이라는, 오더(Or)의 수가 많아져도 시인성이 저하되지 않는 표시 방법에 의해 표시 장치(20)에 표시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Web 서버(10)는, 갠트 차트에 있어서, 오더(Or)를 식별 가능한 색이 부여된, 복수의 블록(Bl)을, 서로 식별 가능한 상태로, 표시 장치(20)에 표시시키는 제2 표시 제어부(142)를 더 구비하고 있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Web 서버(10)는, 갠트 차트에 있어서, 오더(Or)를 식별 가능한 색이 부여된, 복수의 블록(Bl)을, 서로 식별 가능한 상태로, 표시 장치(20)에 표시시킨다.
따라서, Web 서버(10)는, 작업 공정(Pr)의 실시 상황이 오더(Or)마다 색 구분된 갠트 차트에, 각각이 제품(Ar)마다의 작업 시간(Ot)을 나타내는, 복수의 블록(Bl)을, 서로 식별 가능한 상태로 표시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Web 서버(10)는, 복수의 오더(Or) 중에서, 특정의 오더(Or(x))를 선택하는 사용자 조작이 있으면, 이하의 2가지 처리 중 어느 하나를 실행하는 제3 표시 제어부(143)를 더 구비하고 있다. 즉, 제3 표시 제어부(143)는, (A) 특정의 오더(Or(x))에 포함되는 제품(Ar)에 관한 갠트 차트만을 표시 장치(20)에 표시시킨다. 또는, 제3 표시 제어부(143)는, (B) 특정의 오더(Or(x))에 포함되는 제품(Ar)에 관한 갠트 차트를, 특정의 오더(Or(x)) 이외의 오더(Or)에 포함되는 제품(Ar)에 관한 갠트 차트에 대해 강조하여, 표시 장치(20)에 표시시킨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Web 서버(10)는, 특정의 오더(Or(x))를 선택하는 사용자 조작을 접수하면, 이하의 2가지 처리 중 어느 하나를 실행한다. 즉, Web 서버(10)는, (A) 특정의 오더(Or(x))에 포함되는 제품(Ar)에 관한 갠트 차트만을 표시 장치(20)에 표시시킨다. 또는, Web 서버(10)는, (B) 특정의 오더(Or(x))에 포함되는 제품(Ar)에 관한 갠트 차트를, 특정의 오더(Or(x)) 이외의 오더(Or)에 포함되는 제품(Ar)에 관한 갠트 차트에 대해 강조하여, 표시 장치(20)에 표시시킨다.
따라서, Web 서버(10)는, 사용자가 원하는 임의의 오더(Or(x))에 대해, 그 오더(Or(x))에 포함되는 복수의 제품(Ar)의 각각의 작업 시간(Ot)을 나타내는 갠트 차트를, 다른 갠트 차트로부터 구별한 상태로 표시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Web 서버(10)는, 제4 표시 제어부(144)를 더 구비하고 있다. 제4 표시 제어부(144)는, 갠트 차트의 복수의 작업 공정(Pr)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의 작업 공정(Pr(x))에 대해, 복수의 블록(Bl(x)) 중에서 특정의 블록(Bl(Y, x))을 선택하는 사용자 조작이 있으면, 이하의 처리를 실행한다. 즉, 제4 표시 제어부(144)는, (A) 특정의 블록(Bl(Y, x))에 의해 나타나는 작업 시간(Ot(Y, x))의 개시 시각 및 종료 시각과, (B) 특정의 블록(Bl(Y, x))에 의해 나타나는 작업 시간(Ot(Y, x))에서 에러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와, (C) 특정의 블록(Bl(Y, x))에 대응하는 제품(Ar)인 지정 제품(Ar(Y))을 식별하는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지정 제품(Ar(Y))에 관한 상세 정보를, 표시 장치(20)에 표시시킨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Web 서버(10)는, 갠트 차트에서의 특정의 작업 공정(Pr(x))에 대해, 특정의 블록(Bl(Y, x))을 선택하는 사용자 조작이 있으면, 특정의 블록(Bl(Y, x))에 대응하는 지정 제품(Ar(Y))에 관한 상세 정보를, 표시 장치(20)에 표시시킨다.
여기서, 지정 제품(Ar(Y))에 관한 상세 정보에는, (A) 작업 시간(Ot(Y, x))의 개시 시각 및 종료 시각과, (B) 작업 시간(Ot(Y, x))에서 에러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와, (C) 지정 제품(Ar(Y))을 식별하는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다.
따라서, Web 서버(10)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임의의 작업 공정(Pr(x))에서의, 사용자가 선택한 임의의 블록(Bl(Y, x))에 대해, 그 블록(Bl(Y, x))에 대응하는 제품(Ar(Y))에 관한 상세 정보를, 표시 장치(20)에 표시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Web 서버(10)는 제5 표시 제어부(145)를 더 구비하고 있다. 제4 표시 제어부(144)에 의해 지정 제품(Ar(Y))에 관한 상세 정보가 표시 장치(20)에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추가 정보의 표시를 요구하는 사용자 조작이 있으면, 제5 표시 제어부(145)는, 이하의 처리를 실행한다. 즉, 제5 표시 제어부(145)는, 지정 제품(Ar(Y))이 포함되는 오더(Or)가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제품(Ar)의 각각의 상세 정보를, 일람 형식으로 표시 장치(20)에 표시시킨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Web 서버(10)는, 상기 추가 정보의 표시를 요구하는 사용자 조작이 있으면, 지정 제품(Ar(Y))이 포함되는 오더(Or)가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제품(Ar)의 각각의 상기 상세 정보를, 일람 형식으로 표시 장치(20)에 표시시킨다.
따라서, Web 서버(10)는, 「『사용자가 선택한 블록(Bl(Y, x))에 대응하는 지정 제품(Ar(Y))』이 포함되는 오더(Or)가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제품(Ar)」의 각각의 상세 정보를, 사용자가 일견하여 확인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Web 서버(10)는, 갠트 차트에 있어서, 에러가 발생한 작업 시간(Ot)을 나타내는 블록(Bl)을 강조하여, 표시 장치(20)에 표시시키는 제6 표시 제어부(146)를 더 구비하고 있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Web 서버(10)는, 갠트 차트에 있어서, 에러가 발생한 작업 시간(Ot)을 나타내는 블록(Bl)을 강조하여, 표시 장치(20)에 표시시킨다.
따라서, Web 서버(10)는, 갠트 차트에 있어서, 에러가 발생한 작업 시간(Ot)을 나타내는 블록(Bl)을 강조 표시시켜, 「에러가 발생한 작업 시간(Ot)을 사용자가 일견하여 확인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지금까지 개요를 설명한 Web 서버(10)에 대해, 다음에, 그 구성의 상세에 대해 도 1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고, 그 후, Web 서버(10)가 실행하는 처리에 대해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서 설명해 간다.
(표시 제어 장치의 상세)
도 1은 관리 시스템(1)에 포함되는, Web 서버(10) 등의 주요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Web 서버(10)는, 기능 블록으로서, 취득부(110)와, 기억부(120)와, 식별부(130)와, 표시 제어부(140)와, 접수부(150)를 구비하고 있다. Web 서버(10)는, 위에서 설명한 각 기능 블록에 더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의 제품(Ar)의 완성에 이르기까지의 작업 공정(Pr)의 실시 상황을 촬상한 동영상 데이터를, 기초 촬상 데이터(BI)로부터 추출하는 추출부 등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그러나, 기재의 간결성을 담보(擔保)하기 위해, 본 실시형태에 직접 관계가 없는 구성은 설명 및 블록도에서 생략되어 있다. 단, 실시의 실정에 따라, Web 서버(10)는 이러한 생략된 구성을 구비해도 된다.
취득부(110), 식별부(130), 표시 제어부(140) 및 접수부(150)는, 예를 들어, CPU(central processing unit) 등이, ROM(read only memory), NVRAM(non-Volatile random access memory) 등으로 실현된 기억 장치(기억부(120))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도시하지 않은 RAM(random access memory) 등에 독출하여 실행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이하에 우선, Web 서버(10)에서의 취득부(110), 식별부(130), 표시 제어부(140) 및 접수부(150)에 대해 설명한다.
취득부(110)는, 공정 정보 DB 등으로부터, PLC(30)가 출력한 공정 정보(Pi)를 취득하며, 구체적으로, 복수의 제품(Ar)의 각각의, 복수의 작업 공정(Pr)의 각각에서의 실시 상황 등을 나타내는 공정 정보(Pi)를 취득한다. 예를 들어, 취득부(110)는, 제품(Ar(Y))의, 작업 공정(Pr(x))에 관한 공정 정보(Pi(Y, x))를 취득한다. 취득부(110)는, 취득한 공정 정보(Pi(Y, x))를, 기억부(120)의 제품 관리 테이블(121)에 저장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취득부(110)가 공정 정보 DB 등으로부터 취득하는 공정 정보(Pi(Y, x))에는, 제품(Ar(Y))의, 작업 공정(Pr(x))의 실시 상황 등을 나타내는 각종 정보가 포함되어 있고, 예를 들어, 이하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즉, 공정 정보(Pi(Y, x))에는, 「작업 공정(Pr(x))에 대응하는 기기(40(x))가, 제품(Ar(Y))에 대해 실행한 작업(Op(Y, x))의, 개시 시각 및 종료 시각」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공정 정보(Pi(Y, x))에는, 「작업 공정(Pr(x))에 대응하는 기기(40(x))가, 제품(Ar(Y))에 대해 실행한 작업(Op(Y, x))에 대해, 에러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나아가, 공정 정보(Pi(Y, x))에는, 제품(Ar(Y))의 식별 정보, 및 「제품(Ar(Y))을 포함하는 오더(Or)의 식별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취득부(110)는, 또한, 정보 처리 장치(50)로부터 공정 정보(Pi)를 취득해도 되고, 구체적으로, 작업 공정(Pr(x))에 관한 공정 정보(Pi(x))를 취득해도 된다. 취득부(110)는, 취득한 공정 정보(Pi(x))를, 기억부(120)의 제품 관리 테이블(121)에 저장해도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취득부(110)가 정보 처리 장치(50)로부터 취득하는 공정 정보(Pi(x))에는, 작업 공정(Pr(x))에 대응하는 작업 영역(Oa(x))에 대해, 작업자(Pe)의 체재 개시 시각(Tos(x)) 및 체재 종료 시각(Toe(x)) 등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취득부(110)는, 나아가, 정보 처리 장치(50)로부터 기초 촬상 데이터(BI)를 취득하고, 취득한 기초 촬상 데이터(BI)를, 기억부(120)의 촬상 데이터 테이블(도시생략)에 저장한다.
식별부(130)는, 복수의 오더(Or)의 각각을 식별하며, 구체적으로, 복수의 제품(Ar)의 각각에 대해, 제품(Ar)이 포함되는 오더(Or)를 특정하며, 제품(Ar)마다 제품(Ar)과 그 제품(Ar)을 포함하는 오더(Or)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를 생성한다. 제품(Ar)마다의, 「제품(Ar)과 그 제품(Ar)을 포함하는 오더(Or)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는 「대응 오더 관리 정보」라고도 불린다.
구체적으로, 식별부(130)는, 기억부(120)의 제품 관리 테이블(121)을 참조하여, 「제품(Ar(Y))을 포함하는 오더(Or)의 식별 정보」를 특정하고, 특정한 오더(Or)의 식별 정보와 제품(Ar(Y))의 식별 정보를 대응시킨 대응 오더 관리 정보를 생성한다.
식별부(130)는, 생성한 대응 오더 관리 정보를, 기억부(120)의 대응 오더 관리 테이블(122)에 저장한다.
표시 제어부(140)는, 표시 장치(20)에 표시시키는 화상을 제어하며, 제1 표시 제어부(141), 제2 표시 제어부(142), 제3 표시 제어부(143), 제4 표시 제어부(144), 제5 표시 제어부(145), 및 제6 표시 제어부(146)를 포함한다.
제1 표시 제어부(141)는, 「제2 표시 제어부(142)에 의해, 갠트 차트에서 서로 식별 가능한 상태로 표현된 복수의 블록(Bl)」의 각각에, 블록(Bl)에 대응하는 제품(Ar)을 포함하는 오더(Or)를 식별 가능한 색을 부여하여, 표시 장치(20)에 표시시킨다. 즉, 제1 표시 제어부(141)는, 「제품(Ar)을 완성시키기까지 필요로 하는 복수의 작업 공정(Pr)의 각각에서의 작업 시간(Ot)」을 나타내는 복수의 블록(Bl)의 전부에, 제품(Ar)을 포함하는 오더(Or)를 식별 가능한 색을 부여하여, 표시 장치(20)에 표시시킨다.
예를 들어, 제품(Ar(Y))이, 복수의 작업 공정(Pr(1), Pr(2), Pr(3), …, Pr(n))을 거쳐 완성되는 경우, 갠트 차트에는, 제품(Ar(Y))에 대해, 이하의 정보가 나타난다. 즉, 「제품(Ar(Y))의, 작업 공정(Pr(1), Pr(2), Pr(3), …, Pr(n))의 각각의 작업 시간(Ot)」은, 갠트 차트에 있어서, 블록(Bl(Y, 1), Bl(Y, 2), Bl(Y, 3), …, Bl(Y, n))으로 표현된다.
여기서, 제1 표시 제어부(141)는, 블록(Bl(Y, 1), Bl(Y, 2), Bl(Y, 3), …, Bl(Y, n))의 전부에, 「제품(Ar(Y))을 포함하는 오더(Or)」를 식별 가능한, 같은 색을 부여하여, 표시 장치(20)에 표시시킨다.
제2 표시 제어부(142)는, 기억부(120)의 제품 관리 테이블(121)을 참조하여, 「제품(Ar)마다의, 작업 공정(Pr)을 완료하는데 필요로 한 작업 시간(Ot)」을 특정한다. 구체적으로, 제2 표시 제어부(142)는, 제품 관리 테이블(121)에 저장된 공정 정보(Pi(Y, x))로부터, 제품(Ar(Y))의, 작업 공정(Pr(x))의 완료에 필요로 한 작업 시간(Ot(Y, x))을 특정한다.
예를 들어, 제품(Ar(Y))이, 복수의 작업 공정(Pr(1), Pr(2), Pr(3), …, Pr(n))을 거쳐 완성되는 경우, 제2 표시 제어부(142)는, 우선, 제품 관리 테이블(121)을 참조하여, 이하의 공정 정보(Pi)를 취득한다. 즉, 제2 표시 제어부(142)는, 제품 관리 테이블(121)을 참조하여, 공정 정보(Pi(Y, 1), Pi(Y, 2), Pi(Y, 3), …, Pi(Y, n))를 취득한다. 제2 표시 제어부(142)는, 공정 정보(Pi(Y, 1), Pi(Y, 2), Pi(Y, 3), …, Pi(Y, n))의 각각으로부터, 작업(Op(Y, 1), Op(Y, 2), Op(Y, 3), …, Op(Y, n))의 각각의 개시 시각 및 종료 시각을 파악한다. 제2 표시 제어부(142)는, 작업(Op(Y, 1), Op(Y, 2), Op(Y, 3), …, Op(Y, n))의 각각의 개시 시각 및 종료 시각으로부터, 제품(Ar(Y))에 대해, 작업 공정(Pr)마다의 작업 시간(Ot)을 특정한다. 즉, 제2 표시 제어부(142)는, 작업(Op(Y, 1), Op(Y, 2), Op(Y, 3), …, Op(Y, n))의 각각의 개시 시각 및 종료 시각으로부터, 작업 시간(Ot(Y, 1), Ot(Y, 2), Ot(Y, 3), …, Ot(Y, n))의 각각을 특정한다.
제2 표시 제어부(142)는, 「제품(Ar)마다의, 작업 공정(Pr)을 완료하는데 필요로 한 작업 시간(Ot)」의 특정시에, 「작업 공정(Pr)에 대응하는 작업 영역(Oa)에 대한, 작업자(Pe)의 체재 기간(Do)」을 고려해도 된다. 예를 들어, 제2 표시 제어부(142)는, 제품 관리 테이블(121)을 참조하여, 정보 처리 장치(50)가 출력한 공정 정보(Pi)를 취득한다. 제2 표시 제어부(142)는, 정보 처리 장치(50)가 출력한 공정 정보(Pi(x))로부터, 작업 공정(Pr(x))에 대응하는 작업 영역(Oa(x))에 대해, 작업자(Pe)의 체재 기간(Do(x))을 특정한다. 제2 표시 제어부(142)는, 「제품(Ar(Y))에 대해, 작업 공정(Pr(x))에서 기기(40(x))가 실행한 작업(Op(Y, x))의 동작시간」이, 「작업 영역(Oa(x))에 대한, 작업자(Pe)의 체재 기간(Do(x))」에 포함되는 경우, 이하의 처리를 실행해도 된다. 즉, 제2 표시 제어부(142)는, 「작업(Op(Y, x))의 동작시간」에 중복되는 「작업 영역(Oa(x))에 대한, 작업자(Pe)의 체재 기간(Do(x))」을, 「제품(Ar)마다의, 작업 공정(Pr)을 완료하는데 필요로 한 작업 시간(Ot)」으로서 특정해도 된다. 즉, 제2 표시 제어부(142)는, 작업(Op(Y, x))의 동작시간을 포함하는 「작업 영역(Oa(x))에 대한, 작업자(Pe)의 체재 기간(Do(x))」을, 제품(Ar(Y))의 「작업 공정(Pr(x))의 완료에 필요로 한 작업 시간(Ot(Y, x))」으로서 특정해도 된다.
제2 표시 제어부(142)는, 특정한 「제품(Ar(Y))의, 작업 공정(Pr(x))의 완료에 필요로 한 작업 시간(Ot(Y, x))」을, 블록(Bl(Y, x))에 의해 표현한 갠트 차트를, 표시 장치(20)에 표시시킨다. 특히, 제2 표시 제어부(142)는, 복수의 블록(Bl)의 각각을 식별 가능한 상태로 표현한 갠트 차트를, 표시 장치(20)에 표시시킨다.
예를 들어, 「제품(Ar(1), Ar(2), Ar(3), …, Ar(n))의 각각의, 작업 공정(Pr(x))의 완료에 필요로 한 작업 시간(Ot)」을 나타내는 갠트 차트를, 제2 표시 제어부(142)는, 이하와 같이 표시 장치(20)에 표시시킨다. 즉, 「제품(Ar(1), Ar(2), Ar(3), …, Ar(n))의 각각의, 작업 공정(Pr(x))에서의 작업 시간(Ot)」을, 제2 표시 제어부(142)는, 블록(Bl(1, x), Bl(2, x), Bl(3, x), …, Bl(n, x))에 의해 표현한다. 특히, 제2 표시 제어부(142)는, 블록(Bl(1, x), Bl(2, x), Bl(3, x), …, Bl(n, x))의 각각을 식별 가능한 상태로 표현한 갠트 차트를, 표시 장치(20)에 표시시킨다.
제3 표시 제어부(143)는, 접수부(150)로부터 통지된 특정의 오더(Or(z))에 대해, 이하의 2가지 처리 중 어느 하나를 실행한다. 즉, 제3 표시 제어부(143)는, 오더(Or(z))에 포함되는 제품(Ar)의 실시 상황을 나타내는 갠트 차트만을, 표시 장치(20)에 표시시킨다. 또는, 제3 표시 제어부(143)는, 오더(Or(z))에 포함되는 제품(Ar)의 실시 상황을 나타내는 갠트 차트를, 오더(Or(z)) 이외의 오더(Or)에 포함되는 제품(Ar)의 실시 상황을 나타내는 갠트 차트에 대해 강조하여, 표시 장치(20)에 표시시킨다.
구체적으로, 제3 표시 제어부(143)는, 오더(Or(z))에 포함되는 제품(Ar)의 실시 상황을 나타내는 갠트 차트만의 표시를, 또는, 오더(Or(z))에 포함되는 제품(Ar)의 실시 상황을 나타내는 갠트 차트의 강조 표시를, 제2 표시 제어부(142)에 지시한다.
우선, 제3 표시 제어부(143)는, 대응 오더 관리 테이블(122)을 참조하여, 오더(Or(z))에 포함되는 제품(Ar)을 특정한다. 예를 들어, 제3 표시 제어부(143)는, 대응 오더 관리 테이블(122)을 참조하여, 오더(Or(z))에 제품(Ar(z0), Ar(z1), Ar(z2), …, Ar(zn))이 포함되는 것을 특정한다. 제3 표시 제어부(143)는, 특정한 제품(Ar(z0), Ar(z1), Ar(z2), …, Ar(zn))을 제2 표시 제어부(142)에 통지한다. 그리고, 제3 표시 제어부(143)는, 특정한 이들 제품(Ar)의 실시 상황을 나타내는 갠트 차트만의 표시를, 또는, 이들 제품(Ar)의 실시 상황을 나타내는 갠트 차트의 강조 표시를, 제2 표시 제어부(142)에 지시한다.
제4 표시 제어부(144)는, 접수부(150)로부터 통지된 특정의 블록(Bl(Y, x))에 대응하는 제품(Ar(Y))의 상세 정보를, 제품 관리 테이블(121)을 참조하여 취득하고, 취득한 제품(Ar(Y))의 상세 정보를, 표시 장치(20)에 표시시킨다.
「블록(Bl(Y, x))에 대응하는 제품(Ar(Y))」의 상세 정보에는, 이하의 3가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다. 즉, 「블록(Bl(Y, x))에 대응하는 제품(Ar(Y))」의 상세 정보에는, (A) 블록(Bl(Y, x))에 대응하는 작업 시간(Ot(Y, x))의 개시 시각 및 종료 시각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블록(Bl(Y, x))에 대응하는 제품(Ar(Y))」의 상세 정보에는, (B) 작업 시간(Ot(Y, x))에 있어서 에러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나아가, 「블록(Bl(Y, x))에 대응하는 제품(Ar(Y))」의 상세 정보에는, (C) 제품(Ar(Y))의 식별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제5 표시 제어부(145)는, 「사용자가, 특정의 블록(Bl(Y, x))에 대해, 추가 정보의 표시를 요구하고 있음」을 접수부(150)로부터 통지받으면, 이하의 처리를 실행한다. 즉, 제5 표시 제어부(145)는, 블록(Bl(Y, x))에 대응하는 제품(Ar(Y))이 포함되는 오더(Or)가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제품(Ar)의 각각의 상세 정보를, 일람 형식으로 표시 장치(20)에 표시시킨다.
예를 들어, 블록(Bl(Y0, x))에 관한 추가 정보의 요구에 대해, 제5 표시 제어부(145)는, 우선, 대응 오더 관리 테이블(122)을 참조하여, 블록(Bl(Y0, x))에 대응하는 제품(Ar(Y0))이 포함되는 오더(Or(Y))를 특정한다. 그리고, 제5 표시 제어부(145)는, 더욱 대응 오더 관리 테이블(122)을 참조하여, 오더(Or(Y))가 제품(Ar(Y0), Ar(Y1), Ar(Y2), …, Ar(Yn))을 포함하는 것을 특정한다. 제5 표시 제어부(145)는, 제품 관리 테이블(121)을 참조하여, 제품(Ar(Y0), Ar(Y1), Ar(Y2), …, Ar(Yn))의 각각의 상세 정보를 취득한다. 제5 표시 제어부(145)는, 취득한 「제품(Ar(Y0), Ar(Y1), Ar(Y2), …, Ar(Yn))의 각각의 상세 정보」를, 일람 형식으로 표시 장치(20)에 표시시킨다.
제6 표시 제어부(146)는, 제품 관리 테이블(121)을 참조하여, 에러가 발생한 작업 시간(Ot)을 특정하고, 특정한 「에러가 발생한 작업 시간(Ot)」을 나타내는 블록(Bl)을 강조한 갠트 차트를, 표시 장치(20)에 표시시킨다.
접수부(150)는, 사용자 조작을 접수하고, 접수한 사용자 조작의 내용을 표시 제어부(140)에 통지한다. 예를 들어, 접수부(150)는, 「표시 장치(20)에 표시되어 있는 갠트 차트에 대해, 특정의 오더(Or(z))를 선택하는」 사용자 조작을 접수하면, 선택된 특정의 오더(Or(z))를, 제3 표시 제어부(143)에 통지한다. 또한, 예를 들어, 접수부(150)는, 「표시 장치(20)에 표시되어 있는 갠트 차트에 대해, 특정의 블록(Bl(Y, x))을 선택하는」 사용자 조작을 접수하면, 선택된 특정의 블록(Bl(Y, x))을, 제4 표시 제어부(144)에 통지한다. 나아가, 예를 들어, 접수부(150)는, 「특정의 블록(Bl(Y, x))에 대해, 추가 정보의 표시를 요구하는」 사용자 조작을 접수하면, 이를 제5 표시 제어부(145)에 통지한다.
기억부(120)는, Web 서버(10)가 사용하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억 장치이다. 또, 기억부(120)는, Web 서버(10)가 실행하는 (1) 제어 프로그램, (2) OS 프로그램, (3) Web 서버(10)가 갖는 각종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및 (4) 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에 독출하는 각종 데이터를 비-일시적으로 기억해도 된다. 상기 (1)~(4)의 데이터는,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플래시(flash) 메모리,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등록상표)(Electrically EPROM), HDD(Hard Disc Drive) 등의 비휘발성 기억 장치에 기억된다. Web 서버(10)는, 도시하지 않은 일시 기억부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일시 기억부는, Web 서버(10)가 실행하는 각종 처리의 과정에서, 연산에 사용하는 데이터 및 연산 결과 등을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이른바 워킹(working) 메모리이며, RAM(Random Access Memory) 등의 휘발성 기억 장치로 구성된다. 어느 데이터를 어느 기억 장치에 기억할지에 대해서는, Web 서버(10)의 사용 목적, 편리성, 비용, 또는 물리적인 제약 등으로부터 적절히 결정된다. 기억부(120)는 추가로, 제품 관리 테이블(121) 및 대응 오더 관리 테이블(122)을 저장하고 있다.
제품 관리 테이블(121)에는, PLC(30)로부터 공정 정보 DB로 출력되며, 취득부(110)에 의해 공정 정보 DB로부터 취득된 공정 정보(Pi)가 저장된다. 구체적으로, 제품 관리 테이블(121)에는, 복수의 제품(Ar)의 각각의, 복수의 작업 공정(Pr)의 각각에서의 실시 상황 등을 나타내는 공정 정보(Pi)가 저장된다.
제품(Ar(Y))의 작업 공정(Pr(x))에 관한 공정 정보(Pi(Y, x))에는, 작업 공정(Pr(x))에서 실행된 작업(Op(Y, x))의 개시 시각 및 종료 시각과, 작업(Op(Y, x))에 대해, 에러 발생의 유무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또한, 제품(Ar(Y))의 작업 공정(Pr(x))에 관한 공정 정보(Pi(Y, x))에는 추가로, 제품(Ar(Y))의 식별 정보와, 「제품(Ar(Y))을 포함하는 오더(Or)」의 식별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제품 관리 테이블(121)에는, 나아가, 취득부(110)가 정보 처리 장치(50)로부터 취득한 공정 정보(Pi)가 저장되어도 된다.
대응 오더 관리 테이블(122)에는, 식별부(130)에 의해, 복수의 제품(Ar)의 각각의, 「제품(Ar)과 그 제품(Ar)을 포함하는 오더(Or)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대응 오더 관리 정보」가 저장된다.
§3. 동작 예
(처리의 전체 개요)
도 4는 Web 서버(10)가 실행하는 처리의 전체 개요를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Web 서버(10)(특히, 표시 제어부(140))가 실행하는 처리는, 「갠트 차트 표시 처리」, 「오더마다의 강조 표시 처리」, 「상세 정보의 표시 처리」, 「일람 정보의 표시 처리」, 및 「동영상의 표시 처리」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이하, 각 처리에 대해 설명해 간다.
(갠트 차트 표시 처리)
접수부(150)는, 제조 라인에 대해, 「전체(모든 제조 라인)」 또는 「특정의 제조 라인」을 지정하는 사용자 조작을 접수한다(S110). 작업 현장(WS)에 제조 라인이 복수 존재하고 있는 경우, 사용자는 Web 서버(10)에 「특정의 제조 라인」을 지정하고, 지정한 제조 라인에 포함되는 작업 공정(Pr)에 대한 갠트 차트를 표시하도록 지시해도 된다. 또한, 작업 공정(Pr)의 수가 방대한 경우, 사용자는, 특정의 작업 공정(Pr)의 조합을 제조 라인으로서 선택하고, Web 서버(10)에, 선택한 제조 라인에 포함되는 작업 공정(Pr)에 대한 갠트 차트를 표시하도록 지시해도 된다.
또한, 접수부(150)는, 표시시키는 갠트 차트에 대해, 시간 범위를 지정하는 사용자 조작을 접수한다(S120). 통상, 시간 범위는 「날짜」가 지정되지만, 작업 상황에 대해 더 상세한 확인을 원하는 등의 경우, 사용자는 「시간」을 지정하여, 즉, 「시간 범위」를 지정하여, 지정한 시간 범위의 갠트 차트를 표시하도록, Web 서버(10)에 지시한다.
표시 제어부(140)는, S110 및 S120에서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갠트 차트를 표시 장치(20)에 표시시키고, 즉, 「갠트 차트 표시 처리」를 실행한다(S130). 표시 제어부(140)가 실행하는 「갠트 차트 표시 처리」에 대해, 상세는 도 5를 이용하여 후술하지만, Web 서버(10)가 표시 장치(20)에 표시시키는 갠트 차트의 이미지를, 도 6을 이용하여 설명해 둔다.
도 6은 Web 서버(10)가 표시 장치(20)에 표시시키는 갠트 차트의 개요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표시 제어부(142)는, 「제품(Ar)마다의, 작업 공정(Pr)을 완료하는데 필요로 한 작업 시간(Ot)」을 나타내는 복수의 블록(Bl)을, 복수의 블록(Bl)의 각각을 식별 가능한 상태로 표현한 갠트 차트를, 표시 장치(20)에 표시시킨다. 예를 들어, 도 6에 예시하는 갠트 차트에 있어서, 「공정 1(작업 공정(Pr(1)))」에는, 16개의 블록(Bl)이 서로 구별된 상태로 표시되어 있다. 공정 1에서의 16개의 블록(Bl)의 각각은, 예를 들어, 제품(Ar(1))에서부터 제품(Ar(16))에 이르기까지의 각각의, 작업 공정(Pr(1))의 완료에 필요로 한 작업 시간(Ot)을 나타내고 있다.
도 6에 예시하는 갠트 차트에 있어서, 복수의 블록(Bl)은, 각각 대응하는 제품(Ar)을 포함하는 오더(Or)를 식별 가능한 색에 의해 착색되어 있다. 예를 들어, 공정 1 및 2에서의 1번째에서부터 3번째에 이르기까지의 블록(Bl), 공정 3 및 4에서의 1번째에서부터 4번째에 이르기까지의 블록(Bl), 공정 5 및 6에서의 1번째에서부터 5번째에 이르기까지의 블록(Bl)에는, 오더(Or(a))를 식별 가능한, 같은 색이 부여되어 있다. 이는, 이들 블록(Bl)에 대응하는 제품(Ar)이 모두 오더(Or(a))에 포함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공정 1 및 2에서의 4번째에서부터 10번째에 이르기까지의 블록(Bl), 공정 3 및 4에서의 5번째부터 11번째까지의 블록(Bl), 공정 5 및 6에서의 6번째에서부터 12번째에 이르기까지의 블록(Bl)에는, 오더(Or(b))를 식별 가능한, 같은 색이 부여되어 있다. 이는, 이들 블록(Bl)에 대응하는 제품(Ar)이 모두 오더(Or(b))에 포함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마찬가지로, 공정 1 및 2에서의 11번째 이후의 블록(Bl), 공정 3 및 4에서의 12번째 이후의 블록(Bl), 공정 5 및 6에서의 13번째 이후의 블록(Bl)에는, 오더(Or(c))를 식별 가능한, 같은 색이 부여되어 있다. 이는, 이들 블록(Bl)에 대응하는 제품(Ar)이 모두 오더(Or(c))에 포함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즉, 제1 표시 제어부(141)는, 「갠트 차트에서 서로 식별 가능한 상태로 표현된 복수의 블록(Bl)」의 각각에, 블록(Bl)에 대응하는 제품(Ar)을 포함하는 오더(Or)를 식별 가능한, 복수의 작업 공정(Pr)에서 공통의 색을 부여하여 표시시킨다.
(오더마다의 강조 표시 처리)
접수부(150)는, 「사용자로부터의 오더(Or)의 지정이 있었는지」를 판정하고(S140), 접수부(150)가 오더(Or(x))를 지정하는 사용자 조작을 접수하면(S140에서 Yes), 제3 표시 제어부(143)는, 이하의 처리를 실행한다. 즉, 제3 표시 제어부(143)는, 지정된 오더(Or(x))의 갠트 차트를 하이라이트 표시시키거나, 또는, 지정된 오더(Or(x))의 갠트 차트만을 표시시킨다(S150).
(상세 정보의 표시 처리)
접수부(150)는, 「사용자로부터의, 특정의 작업 공정(Pr(x))의, 특정의 블록(Bl(Y, x))의 지정이 있었는지」를 판정한다(S160). 접수부(150)가 특정의 블록(Bl(Y, x))을 지정하는 사용자 조작을 접수하면(S160에서 Yes), 제4 표시 제어부(144)는 이하의 처리를 실행한다. 즉, 제4 표시 제어부(144)는 블록(Bl(Y, x))에 대응하는 제품(Ar(Y))의 상세 정보를 표시시킨다(S170).
도 7은 오더마다의 강조 표시 처리, 및 상세 정보의 표시 처리가 실행된 경우의 표시 화상의 이미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에 예시한 갠트 차트와 비교하여, 도 7에서는, 오더(Or(b))의 갠트 차트(즉, 오더(Or(b))에 포함되는 제품(Ar)의 실시 상황을 나타내는 갠트 차트)가 강조 표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오더(Or(b))의 갠트 차트만이 하이라이트(highlight) 표시되고, 오더(Or(a) 및 Or(c))의 갠트 차트는 하이라이트 표시되지 않았다.
도 6에 예시한 갠트 차트에 있어서, 「오더(Or(b))를 선택하는」 사용자 조작이 있으면, 제3 표시 제어부(143)는 이하의 처리를 실행한다. 즉, 제3 표시 제어부(143)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더(Or(b))의 갠트 차트를, 오더(Or(a) 및 Or(c))의 갠트 차트에 대해 강조하여, 표시 장치(20)에 표시시킨다.
도 7에서는 나아가, 공정 3(작업 공정(Pr(3)))의 6번째 블록(Bl(6, 3))에 대응하는 제품(Ar(6))의 상세 정보가, 갠트 차트에 대해 중첩 표시되어 있다. 즉, 블록(Bl(6, 3))에 대응하는 제품(Ar(6))에 대해, 작업 공정(Pr(3))의 완료에 필요로 한 작업 시간(Ot)이 「9:15:10」에서부터 「9:16:15」에 이르기까지였던 것이 나타나 있다. 또한, 블록(Bl(6, 3))에 대응하는 제품(Ar(6))의 식별 정보가 「123456789-3」인 것이 나타나 있다. 여기서, 「블록(Bl(6, 3))에 대응하는 제품(Ar(6))이 포함되는 오더(Or(b))」의 식별 정보는 「123456789」라는 상세 정보도 판독할 수 있다. 나아가, 블록(Bl(6, 3))에 대응하는 제품(Ar(6))에 대해, 「현재 표시되어 있는 상세 정보가, 공정 3(작업 공정(Pr(3)))의 실시 상황을 나타내는 정보인 것」, 「작업 공정(Pr(3)) 동안에 『장치 에러는 발생하지 않은』 것」도 나타나 있다.
(일람 정보의 표시 처리)
접수부(150)는, 「사용자로부터 추가 정보의 요구가 있었는지」를 판정한다(S180). 접수부(150)가 특정의 블록(Bl(Y, x))에 대한 추가 정보를 요구하는 사용자 조작을 접수하면(S180에서 Yes), 제5 표시 제어부(145)는, 이하의 처리를 실행한다. 즉, 제5 표시 제어부(145)는, 블록(Bl(Y, x))에 대응하는 제품(Ar(Y))이 포함되는 오더(Or)에 대해, 공정 정보를 일람 표시시킨다(S190). 구체적으로, 제5 표시 제어부(145)는, 블록(Bl(Y, x))에 대응하는 제품(Ar(Y))이 포함되는 오더(Or)가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제품(Ar)의 각각의 상세 정보를, 일람 형식으로 표시 장치(20)에 표시시킨다.
도 8은, Web 서버(10)(특히, 제5 표시 제어부(145))가 표시 장치(20)에 표시시키는 공정 정보 일람의 이미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에 예시하는 화상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추가 정보를 요구하는 사용자 조작(예를 들어, 클릭)을 접수하면, 제5 표시 제어부(145)는 도 8에 예시하는 공정 정보 일람을 표시 장치(20)에 표시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7에는, 공정 3(작업 공정(Pr(3)))의 6번째 블록(Bl(6, 3))에 대응하는 제품(Ar(6))의 상세 정보가 표시되어 있다. 즉, 「블록(Bl(6, 3))에 대응하는 제품(Ar(6))의 식별 정보는, 『123456789-3』이다」라는 상세 정보가 표시되어 있다. 또한, 「블록(Bl(6, 3))에 대응하는 제품(Ar(6))은, 식별 정보가 『123456789』인 오더(Or(b))에 포함된다」는 상세 정보가 표시되어 있다.
따라서, 제5 표시 제어부(145)는, 식별 정보가 「123456789-3」인 제품(Ar)의 추가 정보로서, 「식별 정보가 『123456789』인 오더(Or(b))」에 포함되는 제품(Ar)의 상세 정보를, 일람 형식으로 표시 장치(20)에 표시시킨다.
구체적으로, 제5 표시 제어부(145)는, 우선, 대응 오더 관리 테이블(122)을 참조하여, 오더(Or(b))에 포함되는 제품(Ar)의 식별 정보가 「123456789-1」내지 「123456789-7」인 것을 특정한다. 제5 표시 제어부(145)는, 다음에, 제품 관리 테이블(121)을 참조하여, 식별 정보가 「123456789-1」내지 「123456789-7」인 7개의 제품(Ar)의 각각에 대해, 작업 공정(Pr(3))의 실시 상황을 나타내는 상세 정보를 취득한다. 그리고, 제5 표시 제어부(145)는, 취득한, 「식별 정보가 『123456789-1』 내지 『123456789-7』인 7개의 제품(Ar)의 각각의, 작업 공정(Pr(3))의 실시 상황을 나타내는 상세 정보」를, 도 8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일람 형식으로 표시시킨다.
도 8에 예시하는 공정 정보 일람의 1단째에는, 식별 정보가 「123456789-1」인 제품(Ar)의, 작업 공정(Pr(3))의 실시 상황을 나타내는, 이하의 정보가 표시되어 있다. 식별 정보가 「123456789-1」인 제품(Ar)의, 작업 공정(Pr(3))의 완료에 필요로 한 작업 시간(Ot)이 「9:12:10」에서부터 「9:12:30」에 이르기까지이며, 즉, 「20」인 것, 그 동안에 에러는 없었던 것이 나타나 있다.
또한, 도 8에 예시하는 공정 정보 일람의 2단째에는, 식별 정보가 「123456789-2」인 제품(Ar)의, 작업 공정(Pr(3))의 실시 상황을 나타내는, 이하의 정보가 표시되어 있다. 식별 정보가 「123456789-2」인 제품(Ar)의, 작업 공정(Pr(3))의 완료에 필요로 한 작업 시간(Ot)이 「9:13:35」에서부터 「9:13:55」에 이르기까지이며, 즉, 「20」인 것, 그 동안에 에러는 없었던 것이 나타나 있다.
마찬가지로, 도 8에 예시하는 공정 정보 일람의 7단째에는, 식별 정보가 「123456789-7」인 제품(Ar)의, 작업 공정(Pr(3))의 실시 상황을 나타내는, 이하의 정보가 표시되어 있다. 식별 정보가 「123456789-7」인 제품(Ar)의, 작업 공정(Pr(3))의 완료에 필요로 한 작업 시간(Ot)이 「9:20:40」에서부터 「9:21:00」에 이르기까지이며, 즉, 「20」인 것, 그 동안에 에러가 있었던 것이 나타나 있다.
(동영상의 표시 처리)
접수부(150)는, 「사용자로부터의, 특정의 제품(Ar(Y))의, 특정의 작업 공정(Pr(x))에 대해, 동작 재생의 요구가 있었는지」를 판정한다(S210). 접수부(150)가 「특정의 제품(Ar(Y))의, 특정의 작업 공정(Pr(x))에 대한, 동작 재생의 요구」를 접수하면(S210에서 Yes), 표시 제어부(140)는, 이하의 처리를 실행한다. 즉, 표시 제어부(140)는, 제품(Ar(Y))의, 특정의 작업 공정(Pr(x))의 실시 상황을 촬상한 동영상 데이터를, 촬상 데이터 테이블의 기초 촬상 데이터(BI)로부터 추출하고, 추출한 동영상 데이터를, 표시 장치(20)에 표시시킨다(S220).
예를 들어, 도 8에 예시하는 공정 정보 일람의 3번째의, 식별 정보가 「123456789-3」인 제품(Ar)의, 작업 공정(Pr(3))의 실시 상황에 대해, 동작 재생을 요구하는 사용자 조작이 있으면, 표시 제어부(140)는 이하의 처리를 실행한다. 즉, 표시 제어부(140)는, 식별 정보가 「123456789-3」인 제품(Ar)의, 작업 공정(Pr(3))의 완료에 필요로 한 작업 시간(Ot)인 「9:15:10」에서부터 「9:16:15」에 이르기까지의 동영상 데이터를, 기초 촬상 데이터(BI)로부터 추출한다. 표시 제어부(140)는, 기초 촬상 데이터(BI)로부터 추출한, 「9:15:10」에서부터 「9:16:15」에 이르기까지의 동영상 데이터를, 표시 장치(20)에 표시시킨다.
(갠트 차트 표시 처리의 상세)
도 5는 Web 서버(10)가 실행하는 「갠트 차트 표시 처리」의 일 예를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제2 표시 제어부(142)는, 제품 관리 테이블(121)을 참조하여, 제품(Ar)마다의, 복수의 작업 공정(Pr)의 각각에서의 작업(Op)의 개시 시각 및 작업 종료 시각을 취득한다(S131). 또한, 제1 표시 제어부(141)는, 복수의 제품(Ar)의 각각에 대해, 제품(Ar)이 포함되는 오더(Or)를 특정하고, 즉, 복수의 오더(Or)의 각각을 식별한다(S133).
제2 표시 제어부(142)는, 제품(Ar)마다의, 복수의 작업 공정(Pr)의 각각에서의 작업 시간(Ot)을 나타내는 블록(Bl)을, 복수의 블록(Bl)의 각각을 식별 가능한 상태로 표시시킨다(S135). 제1 표시 제어부(141)는, 「제2 표시 제어부(142)에 의해, 갠트 차트에서 서로 식별 가능한 상태로 표현된 복수의 블록(Bl)」의 각각을, 「블록(Bl)에 대응하는 제품(Ar)」을 포함하는 오더(Or)를 식별 가능한 색으로 착색하여 표시시킨다(S137). 또한, 제6 표시 제어부(146)는, 에러가 발생한 작업 시간(Ot)을 나타내는 블록(Bl)을 강조 표시시킨다(S139). 도 6에 예시하는 갠트 차트에 있어서, 「공정 3(작업 공정(Pr(3)))」의 11번째 블록(Bl(11, 3))은 점멸 표시되어 있다. 이는, 이 점멸 표시되어 있는 블록(Bl(11, 3))에 대응하는 작업 시간(Ot(11, 3))에 있어서, 에러가 발생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갠트 차트 표시 처리에 대한 정리)
지금까지 도 5를 참조하면서 설명해 온 Web 서버(10)가 실행하는 갠트 차트 표시 처리(바꾸어 말하면, Web 서버(10)의 제어 방법)는 이하와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즉, Web 서버(10)의 제어 방법은, 제품(Ar)마다의, 복수의 작업 공정(Pr)의 각각의 완료에 필요로 한 작업 시간(Ot)을 나타내는 갠트 차트를 표시 장치(20)에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이다. Web 서버(10)의 제어 방법은, 식별 단계(S133)와, 제1 표시 제어 단계(S137)를 포함하고 있다. 식별 단계는, 각각이 같은 종류의 하나 이상의 제품(Ar)을 포함하는, 복수의 오더(Or)의 각각을 식별하며, 구체적으로, 갠트 차트에 표시된 블록(Bl(Y, x))에 대응하는 제품(Ar(Y))에 대해, 제품(Ar(Y))이 포함되는 오더(Or)를 특정한다.
제1 표시 제어 단계는, 「제품(Ar)마다의, 작업 공정(Pr)의 완료에 필요로 한 작업 시간(Ot)」을 나타내는 블록(Bl)에, 제품(Ar)을 포함하는 오더(Or)를 식별 가능한 색으로서, 복수의 작업 공정(Pr)에서 공통인 색을 부여하여, 표시 장치(20)에 표시시킨다. 구체적으로, 제1 표시 제어 단계는, 블록(Bl(Y, x))에, 「블록(Bl(Y, x))에 대응하는 제품(Ar(Y))이 포함되는 오더(Or)」를 식별 가능한 색으로서, 복수의 작업 공정(Pr)에서 공통인 색을 부여하여, 표시 장치(20)에 표시시킨다. 즉, 제1 표시 제어 단계는, 제품(Ar(Y))의 완성에 이르기까지 필요한 복수의 작업 공정(Pr)의 각각에서의 작업 시간(Ot)을 나타내는 복수의 블록(Bl(Y))을, 모두 제품(Ar(Y))이 포함되는 오더(Or)를 식별 가능한 색으로 착색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Web 서버(10)의 제어 방법은, 제품(Ar)마다의 작업 시간(Ot)을 나타내는 블록(Bl)에, 제품(Ar)을 포함하는 오더(Or)를 식별 가능한 색으로서, 복수의 작업 공정(Pr)에서 공통인 색을 부여하여, 갠트 차트를 표시 장치(20)에 표시시킨다.
사용자는, 제품(Ar)마다의 작업 시간(Ot)(실시 상황)이, 복수의 작업 공정(Pr)에 공통인, 오더(Or)마다의 색에 의해 나타난 갠트 차트에 의해, 복수의 작업 공정(Pr)에서의, 오더(Or)마다의 실시 상황을 일견하여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Web 서버(10)의 제어 방법은, 작업 공정(Pr)의 실시 상황을 오더(Or)마다 표시 가능한 갠트 차트를, 색 구분이라는, 오더(Or)의 수가 많아져도 시인성이 저하되지 않는 표시 방법에 의해 표시 장치(20)에 표시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4. 변형 예
지금까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관한 표시 제어 장치를 Web 서버(10)에 의해 실현하는 예를 설명하였지만, 표시 제어 장치를 Web 서버에 의해 실현하는 것은 필수가 아니며, PC(Personal Computer) 등에 의해 실현해도 된다. 예를 들어, 취득부(110), 식별부(130), 표시 제어부(140), 및 접수부(150)를, PC의 CPU(CenTral Processing Unit)를 이용하여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해도 된다. 단, 본 발명의 일 측면에 관한 표시 제어 장치, 및 표시 제어 장치에 접속하는 도시하지 않은 동영상 저장 서버 등, 각종 DB(Database)에 걸리는 부하를 고려하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관한 표시 제어 장치는 Web 서버에 의해 실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금까지, Web 서버(10)를, 도 2에 예시하는 관리 시스템(1)에 있어서, 공정 정보 DB 및 정보 처리 장치(50)로부터 구별되는 장치로서 실현하는 예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Web 서버(10)는 공정 정보 DB 및 정보 처리 장치(50) 중 적어도 한쪽과 일체로 실현해도 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관한 표시 제어 장치는, 「제품(Ar)마다의, 복수의 작업 공정(Pr)의 각각의 완료에 필요로 한 작업 시간(Ot)」을 나타내는 복수의 블록(Bl)에, 제품(Ar)을 포함하는 오더(Or)를 식별 가능한 색을 부여하여 표시시킬 수 있으면 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관한 표시 제어 장치를, 어떠한 장치로서 실현할지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소프트웨어에 의한 실현 예〕
Web 서버(10)의 기능 블록(구체적으로, 취득부(110), 식별부(130), 표시 제어부(140), 및 접수부(150))은, 집적 회로(IC 칩) 등에 형성된 논리 회로(하드웨어)에 의해 실현해도 되고, CPU(CenTral Processing Unit)를 이용하여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해도 된다.
후자의 경우, Web 서버(10)는, 각 기능을 실현하는 소프트웨어인 프로그램의 명령을 실행하는 CPU, 상기 프로그램 및 각종 데이터가 컴퓨터(또는 CPU)로 판독 가능하게 기록된 ROM(Read Only Memory) 또는 기억 장치(이들을 「기록매체」라고 부름), 상기 프로그램을 전개하는 RAM(Random Access Memory) 등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컴퓨터(또는 CPU)가 상기 프로그램을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판독하여 실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된다. 상기 기록매체로서는, 「일시적이 아닌 유형의 매체」, 예를 들어, 테이프, 디스크, 카드, 반도체 메모리, 프로그래머블한 논리 회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이 프로그램을 전송 가능한 임의의 전송 매체(통신 네트워크나 방송파 등)를 통해 상기 컴퓨터에 공급되어도 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프로그램이 전자적인 전송에 의해 구현화된, 반송파에 매립된 데이터 신호의 형태로도 실현될 수 있다.
(부기 사항)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표시 제어 장치는, 제품마다의, 복수의 작업 공정의 각각의 완료에 필요로 한 작업 시간을 나타내는 갠트 차트를 표시 장치에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 장치로서, 각각이 같은 종류의 하나 이상의 상기 제품을 포함하는, 복수의 오더의 각각을 식별하는 식별부와, 상기 작업 시간을 나타내는 블록에, 상기 제품을 포함하는 상기 오더를 식별 가능한 색으로서, 상기 복수의 작업 공정에서 공통인 색을 부여하여,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시키는 제1 표시 제어부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상기 표시 제어 장치는, 상기 제품마다의 상기 작업 시간을 나타내는 블록에, 상기 제품을 포함하는 상기 오더를 식별 가능한 색으로서, 상기 복수의 작업 공정에서 공통인 색을 부여하여, 상기 갠트 차트를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시킨다.
사용자는, 제품마다의 작업 시간(실시 상황)이, 상기 복수의 작업 공정에 공통인, 오더마다의 색에 의해 나타난 상기 갠트 차트에 의해, 상기 복수의 작업 공정에서의, 오더마다의 실시 상황을 일견하여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표시 제어 장치는, 상기 작업 공정의 실시 상황을 오더마다 표시 가능한 상기 갠트 차트를, 색 구분이라는, 오더의 수가 많아져도 시인성이 저하되지 않는 표시 방법에 의해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표시 제어 장치는, 상기 갠트 차트에 있어서, 상기 오더를 식별 가능한 색이 부여된, 복수의 상기 블록을, 서로 식별 가능한 상태로,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시키는 제2 표시 제어부를 더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상기 표시 제어 장치는, 상기 갠트 차트에 있어서, 상기 오더를 식별 가능한 색이 부여된, 복수의 상기 블록을, 서로 식별 가능한 상태로,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시킨다.
따라서, 상기 표시 제어 장치는, 작업 공정의 실시 상황이 오더마다 색 구분된 상기 갠트 차트에, 각각이 상기 제품마다의 상기 작업 시간을 나타내는, 복수의 상기 블록을, 서로 식별 가능한 상태로 표시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표시 제어 장치는, 상기 복수의 오더 중에서, 특정의 오더를 선택하는 사용자 조작이 있으면, (A) 상기 특정의 오더에 포함되는 상기 제품에 관한 상기 갠트 차트만을,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시키거나, 또는, (B) 상기 특정의 오더에 포함되는 상기 제품에 관한 상기 갠트 차트를, 상기 특정의 오더 이외의 오더에 포함되는 상기 제품에 관한 상기 갠트 차트에 대해 강조하여,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시키는 제3 표시 제어부를 더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상기 표시 제어 장치는, 상기 특정의 오더를 선택하는 사용자 조작을 접수하면, 이하의 처리를 실행한다. 즉, 상기 표시 제어 장치는, (A) 상기 특정의 오더에 포함되는 상기 제품에 관한 상기 갠트 차트만을,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시킨다. 또는, 상기 표시 제어 장치는, (B) 상기 특정의 오더에 포함되는 상기 제품에 관한 상기 갠트 차트를, 상기 특정의 오더 이외의 오더에 포함되는 상기 제품에 관한 상기 갠트 차트에 대해 강조하여,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시킨다.
따라서, 상기 표시 제어 장치는, 사용자가 원하는 임의의 오더에 대해, 그 오더에 포함되는 복수의 상기 제품의 각각의 상기 작업 시간을 나타내는 상기 갠트 차트를, 다른 상기 갠트 차트로부터 구별한 상태로 표시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표시 제어 장치는, 상기 갠트 차트의 상기 복수의 작업 공정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의 작업 공정에 대해, 복수의 상기 블록 중에서 특정의 블록을 선택하는 사용자 조작이 있으면, (A) 상기 특정의 블록에 의해 나타나는 상기 작업 시간의 개시 시각 및 종료 시각과, (B) 상기 특정의 블록에 의해 나타나는 상기 작업 시간에서 에러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와, (C) 상기 특정의 블록에 대응하는 상기 제품인 지정 제품을 식별하는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지정 제품에 관한 상세 정보를,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시키는 제4 표시 제어부를 더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상기 표시 제어 장치는, 상기 갠트 차트에서의 상기 특정의 작업 공정에 대해, 상기 특정의 블록을 선택하는 사용자 조작이 있으면, 상기 특정의 블록에 대응하는 상기 지정 제품에 관한 상세 정보를,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시킨다.
여기서, 상기 지정 제품에 관한 상세 정보에는, (A) 상기 특정의 블록에 의해 나타나는 상기 작업 시간의 개시 시각 및 종료 시각과, (B) 상기 특정의 블록에 의해 나타나는 상기 작업 시간에서 에러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와, (C) 상기 지정 제품을 식별하는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다.
따라서, 상기 표시 제어 장치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임의의 작업 공정에서의, 사용자가 선택한 임의의 블록에 대해, 그 블록에 대응하는 제품에 관한 상기 상세 정보를,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표시 제어 장치는, 상기 제4 표시 제어부에 의해 상기 지정 제품에 관한 상기 상세 정보가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추가 정보의 표시를 요구하는 사용자 조작이 있으면, 상기 지정 제품이 포함되는 상기 오더가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상기 제품의 각각의 상기 상세 정보를, 일람 형식으로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시키는 제5 표시 제어부를 더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상기 표시 제어 장치는, 상기 추가 정보의 표시를 요구하는 사용자 조작이 있으면, 상기 지정 제품이 포함되는 상기 오더가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상기 제품의 각각의 상기 상세 정보를, 일람 형식으로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시킨다.
따라서, 상기 표시 제어 장치는, 「『사용자가 선택한 블록에 대응하는, 상기 지정 제품』이 포함되는 상기 오더가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상기 제품」의 각각의 상기 상세 정보를, 사용자가 일견하여 확인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표시 제어 장치는, 상기 갠트 차트에 있어서, 에러가 발생한 상기 작업 시간을 나타내는 상기 블록을 강조하여,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시키는 제6 표시 제어부를 더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상기 표시 제어 장치는, 상기 갠트 차트에 있어서, 에러가 발생한 상기 작업 시간을 나타내는 상기 블록을 강조하여,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시킨다.
따라서, 상기 표시 제어 장치는, 상기 갠트 차트에 있어서, 에러가 발생한 작업 시간을 나타내는 블록을 강조 표시시켜, 「에러가 발생한 작업 시간을 사용자가 일견하여 확인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표시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제품마다의, 복수의 작업 공정의 각각의 완료에 필요로 한 작업 시간을 나타내는 갠트 차트를 표시 장치에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각각이 같은 종류의 하나 이상의 상기 제품을 포함하는, 복수의 오더의 각각을 식별하는 식별 단계와, 상기 작업 시간을 나타내는 블록에, 상기 제품을 포함하는 상기 오더를 식별 가능한 색으로서, 상기 복수의 작업 공정에서 공통인 색을 부여하여,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시키는 제1 표시 제어 단계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제품마다의 상기 작업 시간을 나타내는 블록에, 상기 제품을 포함하는 상기 오더를 식별 가능한 색으로서, 상기 복수의 작업 공정에서 공통인 색을 부여하여, 상기 갠트 차트를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시킨다.
사용자는, 제품마다의 작업 시간(실시 상황)이, 상기 복수의 작업 공정에 공통인, 오더마다의 색에 의해 나타난 상기 갠트 차트에 의해, 상기 복수의 작업 공정에서의, 오더마다의 실시 상황을 일견하여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작업 공정의 실시 상황을 오더마다 표시 가능한 상기 갠트 차트를, 색 구분이라는, 오더의 수가 많아져도 시인성이 저하되지 않는 표시 방법에 의해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한 각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항에 나타낸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며, 다른 실시형태에 각각 개시된 기술적 수단을 적절히 조합하여 얻어지는 실시형태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10 Web 서버(표시 제어 장치)
20 표시 장치
130 식별부
141 제1 표시 제어부
142 제2 표시 제어부
143 제3 표시 제어부
144 제4 표시 제어부
145 제5 표시 제어부
146 제6 표시 제어부
Ar 제품
Bl 블록
Or 오더
Ot 작업 시간
Pr 작업 공정
S133 식별 단계
S137 제1 표시 제어 단계

Claims (9)

  1. 제품마다의, 복수의 작업 공정의 각각의 완료에 필요로 한 작업 시간을 나타내는 갠트 차트를 표시 장치에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 장치로서,
    각각이 같은 종류의 하나 이상의 상기 제품을 포함하는, 복수의 오더의 각각을 식별하는 식별부; 및
    상기 작업 시간을 나타내는 블록에, 상기 제품을 포함하는 상기 오더를 식별 가능한 색으로서, 상기 복수의 작업 공정에서 공통인 색을 부여하여,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시키는 제1 표시 제어부;를 구비하는, 표시 제어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갠트 차트에 있어서, 상기 오더를 식별 가능한 색이 부여된, 복수의 상기 블록을, 서로 식별 가능한 상태로,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시키는 제2 표시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표시 제어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오더 중에서, 특정의 오더를 선택하는 사용자 조작이 있으면,
    (A) 상기 특정의 오더에 포함되는 상기 제품에 관한 상기 갠트 차트만을,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시키거나, 또는, (B) 상기 특정의 오더에 포함되는 상기 제품에 관한 상기 갠트 차트를, 상기 특정의 오더 이외의 오더에 포함되는 상기 제품에 관한 상기 갠트 차트에 대해 강조하여,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시키는 제3 표시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표시 제어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갠트 차트의 상기 복수의 작업 공정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의 작업 공정에 대해, 복수의 상기 블록 중에서 특정의 블록을 선택하는 사용자 조작이 있으면,
    (A) 상기 특정의 블록에 의해 나타나는 상기 작업 시간의 개시 시각 및 종료 시각과, (B) 상기 특정의 블록에 의해 나타나는 상기 작업 시간에서 에러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와, (C) 상기 특정의 블록에 대응하는 상기 제품인 지정 제품을 식별하는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지정 제품에 관한 상세 정보를,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시키는 제4 표시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표시 제어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4 표시 제어부에 의해 상기 지정 제품에 관한 상기 상세 정보가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추가 정보의 표시를 요구하는 사용자 조작이 있으면,
    상기 지정 제품이 포함되는 상기 오더가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상기 제품의 각각의 상기 상세 정보를, 일람 형식으로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시키는 제5 표시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표시 제어 장치.
  6. 청구항 2, 청구항 4 및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갠트 차트에 있어서, 에러가 발생한 상기 작업 시간을 나타내는 상기 블록을 강조하여,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시키는 제6 표시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표시 제어 장치.
  7. 제품마다의, 복수의 작업 공정의 각각의 완료에 필요로 한 작업 시간을 나타내는 갠트 차트를 표시 장치에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각각이 같은 종류의 하나 이상의 상기 제품을 포함하는, 복수의 오더의 각각을 식별하는 식별 단계; 및
    상기 작업 시간을 나타내는 블록에, 상기 제품을 포함하는 상기 오더를 식별 가능한 색으로서, 상기 복수의 작업 공정에서 공통인 색을 부여하여,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시키는 제1 표시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표시 제어 장치로서 컴퓨터를 기능시키기 위한 정보 처리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각 부로서 컴퓨터를 기능시키기 위한 정보 처리 프로그램.
  9. 청구항 8에 기재된 정보 처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227001584A 2019-08-07 2020-02-28 표시 제어 장치, 제어 방법, 정보 처리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KR2022002462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145457A JP2021026601A (ja) 2019-08-07 2019-08-07 表示制御装置、制御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JP-P-2019-145457 2019-08-07
PCT/JP2020/008508 WO2021024528A1 (ja) 2019-08-07 2020-02-28 表示制御装置、制御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4626A true KR20220024626A (ko) 2022-03-03

Family

ID=74502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1584A KR20220024626A (ko) 2019-08-07 2020-02-28 표시 제어 장치, 제어 방법, 정보 처리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245872A1 (ko)
EP (1) EP4012524A1 (ko)
JP (1) JP2021026601A (ko)
KR (1) KR20220024626A (ko)
CN (1) CN114127650A (ko)
WO (1) WO20210245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75940B2 (ja) * 2019-07-08 2023-05-18 オムロン株式会社 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7587A (ko) 2007-10-12 2009-04-16 세메스 주식회사 기판 지지 유닛 및 이를 이용한 기판 처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66441A (ja) * 1995-08-30 1997-03-11 Asahi Chem Ind Co Ltd 生産計画立案修正支援システム
JP3526516B2 (ja) * 1997-08-11 2004-05-17 鐘康 鈴木 生産工程スケジューラ
EP1649381A4 (en) * 2003-07-10 2011-09-07 Computer Ass Think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PROJECTS
JP2007087421A (ja) * 2006-11-30 2007-04-05 Hitachi East Japan Solutions Ltd 作業計画立案システム及び作業計画立案プログラム
JP5166908B2 (ja) * 2007-07-06 2013-03-21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スケジュール管理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9025851A (ja) * 2007-07-17 2009-02-05 Fujitsu Ltd 作業管理装置及び作業管理方法
JP5001887B2 (ja) * 2008-03-17 2012-08-15 株式会社 日立東日本ソリューションズ 関連工程表示装置、関連工程表示方法及び関連工程表示プログラム
EP2224384A1 (en) * 2009-02-25 2010-09-01 Siemens Aktiengesellschaft Method and system for scheduling a manufacturing process
JP5741080B2 (ja) * 2011-03-09 2015-07-01 富士通株式会社 表示プログラム、表示方法、および、表示装置
US9818076B2 (en) * 2014-06-02 2017-11-14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Visual resource allocation system
JP6717572B2 (ja) * 2015-06-22 2020-07-01 株式会社ブロードリーフ 作業分析システム及び作業分析方法
JP2017120453A (ja) * 2015-12-28 2017-07-06 キヤノン株式会社 計画管理システム及び方法及び記録媒体
JP6845738B2 (ja) * 2016-09-01 2021-03-24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スケジュール修正支援装置および方法
JP2019023821A (ja) * 2017-07-24 2019-02-14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7587A (ko) 2007-10-12 2009-04-16 세메스 주식회사 기판 지지 유닛 및 이를 이용한 기판 처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026601A (ja) 2021-02-22
CN114127650A (zh) 2022-03-01
EP4012524A1 (en) 2022-06-15
WO2021024528A1 (ja) 2021-02-11
US20220245872A1 (en) 2022-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57477B2 (en) Work data management system and work data management method
CN107924173B (zh) 监视装置、监视系统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20090271726A1 (en) Providing Convenient Entry Points for Users in the Management of Field Devices
JP7272128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WO2016170603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20220024626A (ko) 표시 제어 장치, 제어 방법, 정보 처리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US11593739B2 (en)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production management
KR101431995B1 (ko) 설비 관리 장치, 화면 표시 방법, 및 기록 매체
JP2020077216A (ja) 製造の管理を支援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JP2020205027A (ja) データ抽出装置、データ抽出装置の制御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CN111065979A (zh) 成套设备监视装置以及分散控制系统
CN103034917A (zh) 一种物料跟踪系统设计装置及方法
JP7178303B2 (ja) 作業管理システム及び作業管理方法
KR102048377B1 (ko) 스프레드 시트 타입의 공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공정을 관리하는 방법, 이를 이용한 공정 관리 서버 및 특정 작업자 단말
WO2020250501A1 (ja) データ抽出装置、データ抽出装置の制御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WO2018142688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US20170308073A1 (en) Diagnostic tool and diagnostic method for determining an interruption in a plant
KR101916771B1 (ko) 모니터링 장치 관리 방법
CN110739249A (zh) 一种半导体设备的监控方法、装置及系统
JP6746003B2 (ja) 管理装置、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1819506A (zh) 信息处理装置、控制方法和程序
US20180167281A1 (en) Cross entity association change assessment system
WO2023181804A1 (ja) 作業分析装置および作業分析方法
JP6400232B1 (ja) プログラマブル表示器およびデータ取得方法
KR102236911B1 (ko) 하네스 제조 공정의 비전검사 자동화와 스마트 운용관리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