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8377B1 - 스프레드 시트 타입의 공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공정을 관리하는 방법, 이를 이용한 공정 관리 서버 및 특정 작업자 단말 - Google Patents

스프레드 시트 타입의 공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공정을 관리하는 방법, 이를 이용한 공정 관리 서버 및 특정 작업자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8377B1
KR102048377B1 KR1020190047588A KR20190047588A KR102048377B1 KR 102048377 B1 KR102048377 B1 KR 102048377B1 KR 1020190047588 A KR1020190047588 A KR 1020190047588A KR 20190047588 A KR20190047588 A KR 20190047588A KR 102048377 B1 KR102048377 B1 KR 1020483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cific
color
product
management server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7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정석
Original Assignee
고정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정석 filed Critical 고정석
Priority to KR10201900475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83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8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8377B1/ko
Priority to US16/855,208 priority patent/US11288610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4Status monitoring or status determination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05B19/41865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characterised by job scheduling, process planning, material flow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3Document management systems
    • G06F17/246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66Editing, e.g. inserting or deleting
    • G06F40/177Editing, e.g. inserting or deleting of tables; using ruled lines
    • G06F40/18Editing, e.g. inserting or deleting of tables; using ruled lines of spreadshee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6Sequencing of tasks or 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06Q10/0875Itemisation or classification of parts, supplies or services, e.g. bill of mater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G06Q30/0635Processing of requisition or of purchase orde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35Nc in input of data, input till input file format
    • G05B2219/35011Use of spreadshee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02Total factory control, e.g. smart factories,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or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Abstract

스프레드 시트 타입의 공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공정을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제품 오더 리스트와 각각의 제품 오더들에 대응하는 공정 정보를 포함하는 스프레드 시트 타입의 공정 데이터와 자재 현황 데이터가 획득되면, 공정 관리 서버가, 상기 제품 오더 리스트의 상기 각각의 제품 오더들에 대한 우선 순위를 설정하며 상기 각각의 제품 오더들에 대응하는 소요 자재 정보와 상기 공정 정보를 포함하는 공정 테이블을 생성하는 단계; 및 (b) 상기 공정 관리 서버가, 상기 공정 테이블을 관리자 단말 및 작업자 단말들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관리자 단말 및 상기 작업자 단말들로 하여금 상기 공정 테이블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며, 상기 관리자 단말로부터 작업 지시를 위한 특정 제품 오더에 대한 선택 신호가 획득되면 상기 특정 제품 오더에 대응되는 상기 공정 테이블 상의 특정 공정에 대응되는 특정 공정 영역이 제1 색상으로 표시되도록 하며, 상기 특정 공정을 수행하는 작업자에 대응되는 특정 작업자 단말로부터 상기 특정 공정의 작업을 시작하기 위한 상기 특정 공정 영역에 대한 선택 신호가 획득되면 상기 특정 공정 영역이 상기 제1 색상에서 제2 색상으로 변경되도록 하고, 상기 특정 작업자 단말로부터 상기 특정 공정의 작업을 완료하기 위한 상기 특정 공정 영역에 대한 선택 신호가 획득되면 상기 특정 공정 영역이 상기 제2 색상에서 제3 색상으로 변경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이를 이용한 공정 관리 서버 및 특정 작업자 단말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스프레드 시트 타입의 공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공정을 관리하는 방법, 이를 이용한 공정 관리 서버 및 특정 작업자 단말{METHOD FOR MANAGING PROCESSES BY USING PROCESSING DATA WITH A SPREADSHEET TYPE, PROCESS MANAGEMENT SERVER AND SPECIFIC WORKER'S TERMINAL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스프레드 시트 타입의 공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공정을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공정 관리 서버에 관한 것이다.
ICT 기술의 발전에 따라 제4차 산업혁명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스마트 공장 추진에 대한 국가적 지원이 매우 활발한 상황이며, 이미 대기업의 공장에서는 공장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이벤트를 자동으로 관리하여 공장의 생산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스마트 공장 시스템이 이용되고 있다.
스마트 공장 시스템의 대표적인 예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29742호(발명의 명칭: 스마트팩토리 시스템, 2018년 12월 11일 등록, 이하 선행문헌이라 함)에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선행문헌을 비롯한 종래의 공장 관리 시스템은 도입 비용이 너무 비싸서 중소기업들이 도입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대부분의 중소기업의 공장에서는 여전히 종이로 된 작업지시서를 통해 작업지시를 하고 제조 부품과 함께 작업지시서가 이동하므로, 관리자가 생산 현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또한, 종이로 된 작업지시서가 가지는 한계로 인해, 제조 리드타임, 불량률 등을 측정하기 어려우므로 공정을 상세하게 관리하고 개선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겪고 있는 중소기업들에게도 스마트 공장 시스템의 도입 비용보다 훨씬 적은 비용으로 스마트 공장 시스템에 준하는 관리를 받을 수 있도록 해줄 필요성이 증대되는 상황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 공장 시스템의 도입 비용보다 훨씬 적은 비용으로 중소기업들도 스마트 공장 시스템에 준하는 관리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 지시서로서 스프레드 시트 타입의 공정 테이블을 구현하고, 작업자로 하여금 작업자 단말을 통해 공정 테이블을 수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시간으로 작업자의 실적 및 생산 현황을 파악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실시간으로 파악되는 생산 현황을 참조하여 작업자의 작업 대기 시간을 단축하고 공정별 생산성 지표를 향상시키며 관리자의 업무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각각의 제품 오더들에 소요되는 자재를 각각의 제품 오더들의 우선 순위에 따라 카운팅하고, 소요되는 자재가 부족한 제품 오더들의 소요 자재 영역을 특정 색상으로 표시하고, 소요되는 자재의 부족한 개수를 표시하고, 이를 자재 관리자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제품마다 소요되는 자재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자 단말들로 하여금 해당 작업자 각각이 수행하여야 하는 현재 공정과 해당 현재 공정의 이전 공정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함으로써, 각각의 작업자들이 자신이 담당하는 공정에 대한 제품의 진척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특정 공정에 의해 생산되는 특정 제품의 이미지를 기계학습하고, 이를 통해 특정 공정에 의해 생산되는 특정 제품의 개수가 발주량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교차 검증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효과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스프레드 시트 타입의 공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공정을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제품 오더 리스트와 각각의 제품 오더들에 대응하는 공정 정보를 포함하는 스프레드 시트 타입의 공정 데이터와 자재 현황 데이터가 획득되면, 공정 관리 서버가, 상기 제품 오더 리스트의 상기 각각의 제품 오더들에 대한 우선 순위를 설정하며 상기 각각의 제품 오더들에 대응하는 소요 자재 정보와 상기 공정 정보를 포함하는 공정 테이블을 생성하는 단계; 및 (b) 상기 공정 관리 서버가, 상기 공정 테이블을 관리자 단말 및 작업자 단말들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관리자 단말 및 상기 작업자 단말들로 하여금 상기 공정 테이블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며, 상기 관리자 단말로부터 작업 지시를 위한 특정 제품 오더에 대한 선택 신호가 획득되면 상기 특정 제품 오더에 대응되는 상기 공정 테이블 상의 특정 공정에 대응되는 특정 공정 영역이 제1 색상으로 표시되도록 하며, 상기 특정 공정을 수행하는 작업자에 대응되는 특정 작업자 단말로부터 상기 특정 공정의 작업을 시작하기 위한 상기 특정 공정 영역에 대한 선택 신호가 획득되면 상기 특정 공정 영역이 상기 제1 색상에서 제2 색상으로 변경되도록 하고, 상기 특정 작업자 단말로부터 상기 특정 공정의 작업을 완료하기 위한 상기 특정 공정 영역에 대한 선택 신호가 획득되면 상기 특정 공정 영역이 상기 제2 색상에서 제3 색상으로 변경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일례로서, (c) 상기 공정 관리 서버가, 상기 특정 공정 영역이 상기 제2 색상에서 상기 제3 색상으로 변경되도록 한 다음, 상기 특정 공정의 다음 순서인 후속 공정에 대응되는 상기 공정 테이블 상의 후속 공정 영역이 상기 제1 색상으로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일례로서, 상기 공정 관리 서버는, 상기 자재 현황 데이터를 참조하여 상기 제품 오더 리스트의 상기 각각의 제품 오더들에 소요되는 자재를 상기 각각의 제품 오더들의 상기 우선 순위에 따라 카운팅하며 소요 자재가 부족한 소요 자재 부족 제품 오더들에 대응되는 상기 공정 테이블 상의 상기 소요 자재 정보 중 부족 소요 자재 영역을 제4 색상으로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부족 소요 자재 영역에 부족 소요 자재의 개수를 표시하도록 하며, 이를 자재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여 주는 방법.
일례로서, 상기 자재 관리자 단말로부터 업데이트된 자재 현황 데이터가 획득되거나 상기 제품 오더들의 상기 우선 순위가 업데이트될 경우, 상기 공정 관리 서버는, 상기 업데이트된 자재 현황 데이터 또는 상기 업데이트된 우선 순위에 대응하여 상기 각각의 제품 오더들에 소요되는 자재를 재카운팅하며, 재카운팅한 결과를 참조하여 상기 부족 소요 자재 영역 및 상기 부족 소요 자재의 개수를 업데이트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일례로서, 상기 공정 관리 서버는, 상기 제품 오더들의 마감일, 상기 제품 오더들의 비용 및 상기 제품 오더들의 발주량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우선 순위를 설정하며, 상기 관리자 단말로부터 상기 공정 테이블 상의 상기 각각의 제품 오더들 중 순위를 변경하고자 하는 순위 변경 제품 오더가 드래그되어 변경되는 상기 공정 테이블 상의 위치를 참조하여 상기 우선 순위를 업데이트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일례로서, 상기 공정 관리 서버는, 상기 공정 테이블을 상기 작업자 단말들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작업자 단말들로 하여금 상기 공정 테이블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되, 상기 작업자 단말들 각각에 대응되는 작업자 각각이 수행하여야 하는 현재 공정과 상기 현재 공정의 이전 공정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일례로서, 상기 특정 공정 영역이 상기 제1 색상에서 상기 제2 색상으로 변경된 상태에서, 상기 특정 작업자 단말로부터 상기 특정 공정 영역에 대한 선택 신호들이 획득되면, 상기 공정 관리 서버가, 상기 특정 공정 영역에 대한 선택 신호들의 회수를 카운팅하며, 상기 특정 공정 영역에 대한 선택 신호들의 회수가 상기 특정 제품 오더의 발주량에 대응되면 상기 특정 공정 영역이 상기 제2 색상에서 상기 제3 색상으로 변경되도록 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일례로서, 상기 특정 공정 영역이 상기 제1 색상에서 상기 제2 색상으로 변경된 상태에서, 상기 특정 작업자 단말로부터 상기 특정 공정 영역에 대한 선택 신호가 기설정된 시간 동안 획득되지 않을 경우, 상기 공정 관리 서버가, 상기 특정 공정 영역이 상기 제2 색상에서 제5 색상으로 변경되도록 하며 이에 대한 알람 정보를 상기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여 주는 방법이 개시된다.
일례로서, 상기 공정 관리 서버는, 상기 알람 정보를 상기 관리자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관리자 단말로 하여금 상기 특정 작업자 단말과의 음성 통신을 수행하도록 지원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일례로서, 상기 특정 공정 영역이 상기 제1 색상에서 상기 제2 색상으로 변경된 상태에서, 상기 공정 관리 서버가, 상기 특정 공정에 의해 생산되는 특정 제품이 위치하는 스테이지를 촬영하는 이미지 센서의 영상 이미지를 분석하여 상기 특정 제품의 개수를 카운팅하며, 상기 특정 제품의 개수가 상기 특정 제품 오더의 발주량에 대응되면 상기 특정 공정 영역이 상기 제2 색상에서 상기 제3 색상으로 변경되도록 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스프레드 시트 타입의 공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공정을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a) 공정 관리 서버로 제품 오더 리스트와 각각의 제품 오더들에 대응하는 공정 정보를 포함하는 스프레드 시트 타입의 공정 데이터와 자재 현황 데이터를 참조한 상기 제품 오더 리스트의 상기 각각의 제품 오더들에 대한 우선 순위가 설정되고, 상기 각각의 제품 오더들에 대응되는 소요 자재 정보와 상기 공정 정보를 포함하는 공정 테이블이 획득되면, 상기 공정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작업자 단말들 중 특정 공정에 대응되는 특정 작업자 단말이, 상기 특정 공정을 수행하는 특정 작업자가 알 수 있도록 상기 공정 테이블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b) 상기 관리자 단말로부터의 특정 제품 오더에 대한 작업 지시에 대응하여 상기 특정 제품 오더에 대응되는 상기 공정 테이블 상의 특정 공정에 대응되는 특정 공정 영역이 제1 색상으로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특정 작업자 단말이, (i) 상기 특정 작업자가 상기 특정 공정의 작업을 시작하기 위하여 상기 특정 공정 영역을 선택하면, 상기 특정 공정 영역에 대한 선택 신호를 상기 공정 관리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공정 관리 서버로 하여금 상기 공정 테이블 상의 상기 특정 공정 영역을 상기 제1 색상에서 제2 색상으로 변경시키도록 지원하고, (ii) 상기 특정 작업자가 상기 특정 공정의 작업을 완료하기 위하여 상기 특정 공정 영역을 선택하면, 상기 특정 공정 영역에 대한 선택 신호를 상기 공정 관리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공정 관리 서버로 하여금 상기 공정 테이블 상의 상기 특정 공정 영역을 상기 제2 색상에서 제3 색상으로 변경시키도록 지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일례로서, 상기 특정 공정 영역이 상기 제1 색상에서 상기 제2 색상으로 변경된 상태에서, 상기 특정 작업자가 상기 특정 공정의 작업을 완료하기 위하여 상기 특정 공정 영역을 선택할 때마다, 상기 특정 작업자 단말이, 상기 특정 공정 영역에 대한 선택 신호들을 각각 상기 공정 관리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공정 관리 서버로 하여금 i) 상기 특정 공정 영역에 대한 선택 신호들이 상기 공정 관리 서버로 전송되는 회수를 카운팅하도록 하고, ii) 상기 특정 공정 영역에 대한 선택 신호들이 상기 공정 관리 서버로 전송된 회수가 상기 특정 제품 오더의 발주량에 대응되면 상기 공정 테이블 상의 상기 특정 공정 영역을 상기 제2 색상에서 상기 제3 색상으로 변경시키도록 지원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일례로서, 상기 자재 현황 데이터가 참조되어 상기 제품 오더 리스트의 상기 각각의 제품 오더들에 소요되는 자재가 상기 각각의 제품 오더들의 상기 우선 순위에 따라 카운팅되면, 상기 특정 작업자 단말이, 상기 공정 관리 서버로 하여금 상기 공정 테이블 상의 상기 소요 자재 정보 중 소요 자재가 부족한 소요 자재 부족 제품 오더들에 대응되는 부족 소요 자재 영역을 제4 색상으로 표시하도록 지원하고, 상기 부족 소요 자재 영역에 부족 소요 자재의 개수를 표시하도록 지원하며, 이를 자재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도록 지원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스프레드 시트 타입의 공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공정을 관리하는 공정 관리 서버에 있어서,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상기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하기 위해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제품 오더 리스트와 각각의 제품 오더들에 대응하는 공정 정보를 포함하는 스프레드 시트 타입의 공정 데이터와 자재 현황 데이터가 획득되면, (1) 상기 제품 오더 리스트의 상기 각각의 제품 오더들에 대한 우선 순위를 설정하며 상기 각각의 제품 오더들에 대응하는 소요 자재 정보와 상기 공정 정보를 포함하는 공정 테이블을 생성하는 프로세스 및 (2) 상기 공정 테이블을 관리자 단말 및 작업자 단말들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관리자 단말 및 상기 작업자 단말들로 하여금 상기 공정 테이블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며, 상기 관리자 단말로부터 작업 지시를 위한 특정 제품 오더에 대한 선택 신호가 획득되면 상기 특정 제품 오더에 대응되는 상기 공정 테이블 상의 특정 공정에 대응되는 특정 공정 영역이 제1 색상으로 표시되도록 하며, 상기 특정 공정을 수행하는 작업자에 대응되는 특정 작업자 단말로부터 상기 특정 공정의 작업을 시작하기 위한 상기 특정 공정 영역에 대한 선택 신호가 획득되면 상기 특정 공정 영역이 상기 제1 색상에서 제2 색상으로 변경되도록 하고, 상기 특정 작업자 단말로부터 상기 특정 공정의 작업을 완료하기 위한 상기 특정 공정 영역에 대한 선택 신호가 획득되면 상기 특정 공정 영역이 상기 제2 색상에서 제3 색상으로 변경되도록 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상기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하는 공정 관리 서버가 개시된다.
일례로서, 상기 프로세서는, (3) 상기 특정 공정 영역이 상기 제2 색상에서 상기 제3 색상으로 변경되도록 한 다음, 상기 특정 공정의 다음 순서인 후속 공정에 대응되는 상기 공정 테이블 상의 후속 공정 영역이 상기 제1 색상으로 표시되도록 하는 프로세스를 더 수행하는 공정 관리 서버가 개시된다.
일례로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1) 프로세스에서, 상기 자재 현황 데이터를 참조하여 상기 제품 오더 리스트의 상기 각각의 제품 오더들에 소요되는 자재를 상기 각각의 제품 오더들의 상기 우선 순위에 따라 카운팅하며 소요 자재가 부족한 소요 자재 부족 제품 오더들에 대응되는 상기 공정 테이블 상의 상기 소요 자재 정보 중 부족 소요 자재 영역을 제4 색상으로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부족 소요 자재 영역에 부족 소요 자재의 개수를 표시하도록 하며, 이를 자재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여 주는 공정 관리 서버가 개시된다.
일례로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자재 관리자 단말로부터 업데이트된 자재 현황 데이터가 획득되거나 상기 제품 오더들의 상기 우선 순위가 업데이트될 경우, 상기 업데이트된 자재 현황 데이터 또는 상기 업데이트된 우선 순위에 대응하여 상기 각각의 제품 오더들에 소요되는 자재를 재카운팅하며, 재카운팅한 결과를 참조하여 상기 부족 소요 자재 영역 및 상기 부족 소요 자재의 개수를 업데이트하는 공정 관리 서버가 개시된다.
일례로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품 오더들의 마감일, 상기 제품 오더들의 비용 및 상기 제품 오더들의 발주량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우선 순위를 설정하며, 상기 관리자 단말로부터 상기 공정 테이블 상의 상기 각각의 제품 오더들 중 순위를 변경하고자 하는 순위 변경 제품 오더가 드래그되어 변경되는 상기 공정 테이블 상의 위치를 참조하여 상기 우선 순위를 업데이트하는 공정 관리 서버가 개시된다.
일례로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2) 프로세스에서, 상기 공정 테이블을 상기 작업자 단말들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작업자 단말들로 하여금 상기 공정 테이블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되, 상기 작업자 단말들 각각에 대응되는 작업자 각각이 수행하여야 하는 현재 공정과 상기 현재 공정의 이전 공정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공정 관리 서버가 개시된다.
일례로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2) 프로세스에서, 상기 특정 공정 영역이 상기 제1 색상에서 상기 제2 색상으로 변경된 상태에서, 상기 특정 작업자 단말로부터 상기 특정 공정 영역에 대한 선택 신호들이 획득되면, 상기 특정 공정 영역에 대한 선택 신호들의 회수를 카운팅하며, 상기 특정 공정 영역에 대한 선택 신호들의 회수가 상기 특정 제품 오더의 발주량에 대응되면 상기 특정 공정 영역이 상기 제2 색상에서 상기 제3 색상으로 변경되도록 하는 공정 관리 서버가 개시된다.
일례로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2) 프로세스에서, 상기 특정 공정 영역이 상기 제1 색상에서 상기 제2 색상으로 변경된 상태에서, 상기 특정 작업자 단말로부터 상기 특정 공정 영역에 대한 선택 신호가 기설정된 시간 동안 획득되지 않을 경우, 상기 특정 공정 영역이 상기 제2 색상에서 제5 색상으로 변경되도록 하며 이에 대한 알람 정보를 상기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여 주는 공정 관리 서버가 개시된다.
일례로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알람 정보를 상기 관리자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관리자 단말로 하여금 상기 특정 작업자 단말과의 음성 통신을 수행하도록 지원하는 공정 관리 서버가 개시된다.
일례로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2) 프로세스에서, 상기 특정 공정 영역이 상기 제1 색상에서 상기 제2 색상으로 변경된 상태에서, 상기 특정 공정에 의해 생산되는 특정 제품이 위치하는 스테이지를 촬영하는 이미지 센서의 영상 이미지를 분석하여 상기 특정 제품의 개수를 카운팅하며, 상기 특정 제품의 개수가 상기 특정 제품 오더의 발주량에 대응되면 상기 특정 공정 영역이 상기 제2 색상에서 상기 제3 색상으로 변경되도록 하는 공정 관리 서버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스프레드 시트 타입의 공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공정을 관리하는 특정 작업자 단말에 있어서,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상기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하기 위해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공정 관리 서버로 제품 오더 리스트와 각각의 제품 오더들에 대응하는 공정 정보를 포함하는 스프레드 시트 타입의 공정 데이터와 자재 현황 데이터를 참조한 상기 제품 오더 리스트의 상기 각각의 제품 오더들에 대한 우선 순위가 설정되고, 상기 각각의 제품 오더들에 대응되는 소요 자재 정보와 상기 공정 정보를 포함하는 공정 테이블이 획득되면, (1) 상기 특정 공정을 수행하는 특정 작업자가 알 수 있도록 상기 공정 테이블을 디스플레이하는 프로세스 및 (2) 상기 관리자 단말로부터의 특정 제품 오더에 대한 작업 지시에 대응하여 상기 특정 제품 오더에 대응되는 상기 공정 테이블 상의 특정 공정에 대응되는 특정 공정 영역이 제1 색상으로 표시된 상태에서, (i) 상기 특정 작업자가 상기 특정 공정의 작업을 시작하기 위하여 상기 특정 공정 영역을 선택하면, 상기 특정 공정 영역에 대한 선택 신호를 상기 공정 관리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공정 관리 서버로 하여금 상기 공정 테이블 상의 상기 특정 공정 영역을 상기 제1 색상에서 제2 색상으로 변경시키도록 지원하고, (ii) 상기 특정 작업자가 상기 특정 공정의 작업을 완료하기 위하여 상기 특정 공정 영역을 선택하면, 상기 특정 공정 영역에 대한 선택 신호를 상기 공정 관리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공정 관리 서버로 하여금 상기 공정 테이블 상의 상기 특정 공정 영역을 상기 제2 색상에서 제3 색상으로 변경시키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특정 작업자 단말이 개시된다.
일례로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2) 프로세스에서, 상기 특정 공정 영역이 상기 제1 색상에서 상기 제2 색상으로 변경된 상태에서, 상기 특정 작업자가 상기 특정 공정의 작업을 완료하기 위하여 상기 특정 공정 영역을 선택할 때마다, 상기 특정 공정 영역에 대한 선택 신호들을 각각 상기 공정 관리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공정 관리 서버로 하여금 i) 상기 특정 공정 영역에 대한 선택 신호들이 상기 공정 관리 서버로 전송되는 회수를 카운팅하도록 하고, ii) 상기 특정 공정 영역에 대한 선택 신호들이 상기 공정 관리 서버로 전송된 회수가 상기 특정 제품 오더의 발주량에 대응되면 상기 공정 테이블 상의 상기 특정 공정 영역을 상기 제2 색상에서 상기 제3 색상으로 변경시키도록 지원하는 특정 작업자 단말이 개시된다.
일례로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자재 현황 데이터가 참조되어 상기 제품 오더 리스트의 상기 각각의 제품 오더들에 소요되는 자재가 상기 각각의 제품 오더들의 상기 우선 순위에 따라 카운팅되면, 상기 공정 관리 서버로 하여금 상기 공정 테이블 상의 상기 소요 자재 정보 중 소요 자재가 부족한 소요 자재 부족 제품 오더들에 대응되는 부족 소요 자재 영역을 제4 색상으로 표시하도록 지원하고, 상기 부족 소요 자재 영역에 부족 소요 자재의 개수를 표시하도록 지원하며, 이를 자재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도록 지원하는 특정 작업자 단말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스마트 공장 시스템의 도입 비용보다 훨씬 적은 비용으로 중소기업들도 스마트 공장 시스템에 준하는 관리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 지시서로서 스프레드 시트 타입의 공정 테이블을 구현하고, 작업자로 하여금 작업자 단말을 통해 공정 테이블을 수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시간으로 작업자의 실적 및 생산 현황을 파악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실시간으로 파악되는 생산 현황을 참조하여 작업자의 작업 대기 시간을 단축하고 공정별 생산성 지표를 향상시키며 관리자의 업무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각의 제품 오더들에 소요되는 자재를 각각의 제품 오더들의 우선 순위에 따라 카운팅하고, 소요되는 자재가 부족한 제품 오더들의 소요 자재 영역을 특정 색상으로 표시하고, 소요되는 자재의 부족한 개수를 표시하고, 이를 자재 관리자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제품마다 소요되는 자재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자 단말들로 하여금 해당 작업자 각각이 수행하여야 하는 현재 공정과 해당 현재 공정의 이전 공정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함으로써, 각각의 작업자들이 자신이 담당하는 공정에 대한 제품의 진척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특정 공정에 의해 생산되는 특정 제품의 이미지를 기계학습하고, 이를 통해 특정 공정에 의해 생산되는 특정 제품의 개수가 발주량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교차 검증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공정 관리 서버, 관리자 단말, 자재 관리자 단말 및 작업자 단말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이 공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공정을 관리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흐름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공정 테이블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공정 관리 서버(100), 관리자 단말(200), 작업자 단말들(300) 및 자재 관리자 단말(4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공정 관리 서버(100), 관리자 단말(200), 작업자 단말들(300) 및 자재 관리자 단말(400)은 각각 메모리(110, 210, 310-1, 310-2, …, 310-n, 410) 및 프로세서(120, 220, 320-1, 320-2, …, 320-n, 4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이 컴퓨터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을 활용하여 구현될 것이라는 점은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먼저, 공정 관리 서버(100), 관리자 단말(200), 작업자 단말들(300) 및 자재 관리자 단말(400) 각각의 메모리(110, 210, 310-1, 310-2, …, 310-n, 410)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인스트럭션들은 입체 유닛 제어 장치로 하여금 특정의 방식으로 기능하게 하기 위한 컴퓨터 소프트웨어로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인스트럭션들은 도면에 도시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세스들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공정 관리 서버(100), 관리자 단말(200), 작업자 단말들(300) 및 자재 관리자 단말(400) 각각의 프로세서(120, 220, 320-1, 320-2, …, 320-n, 420)는 MPU(Micro Processing Unit) 또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캐쉬 메모리(Cache Memory), 데이터 버스(Data Bus) 등의 하드웨어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운영체제, 특정 목적을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소프트웨어 구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공정 관리 서버(100), 관리자 단말(200), 작업자 단말들(300) 및 자재 관리자 단말(400) 각각의 구성에 의해 스프레드 시트 타입의 공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공정을 관리하는 방법에 대해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설명하겠다.
먼저, 제품 오더 리스트와 각각의 제품 오더들에 대응하는 공정 정보를 포함하는 스프레드 시트 타입의 공정 데이터와 자재 현황 데이터가 획득(S01)되면, 공정 관리 서버(100)가, 제품 오더 리스트의 각각의 제품 오더들에 대한 우선 순위를 설정하며 각각의 제품 오더들에 대응하는 소요 자재 정보와 공정 정보를 포함하는 공정 테이블을 생성(S02)할 수 있다.
여기서, 제품 오더는, 도 3의 테이블에서 각 행에 기재된 제품에 관한 오더들 각각을 의미하고, 제품 오더 리스트는 제품 오더들의 집합에 해당한다. 또한, 소요 자재 정보는 각각의 제품 오더를 완료하기 위해 필요한 자재들의 종류 및 개수를 의미할 수 있다.
일례로, A 제품 1개에 대한 오더 및 B 제품 1개에 대한 오더가 각각 들어온 상황을 가정한다.
먼저, 공정 관리 서버(100)는 A 제품 및 B 제품에 대응하는 공정 정보를 포함하는 스프레드 시트 타입의 공정 데이터와 A 제품 및 B 제품에 대응하는 자재 등을 포함하는 자재 현황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공정 관리 서버(100)는, B 제품에 대해 1 순위, A 제품에 대해 2 순위를 설정하고, A 제품 및 B 제품에 소요되는 자재인 소요 자재 정보와 A 제품 및 B 제품의 공정 정보를 포함하는 공정 테이블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B 제품이 A 제품보다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지므로 공정 테이블 상에서 B 제품에 대한 제품 오더가 기재된 행이 A 제품에 대한 제품 오더가 기재된 행보다 높은 곳에 위치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품의 고유 번호, 수주 날짜 등에 따라 얼마든지 다르게 기재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A 제품 오더에 대응하는 소요 자재 정보로서, a 자재 2개, b 자재 1개, c 자재 2개가 공정 테이블 상에 표시될 수 있고, B 제품 오더에 대응하는 소요 자재 정보로서, a 자재 1개, b 자재 1개, c 자재 3개가 공정 테이블 상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공정 테이블 상에는 A 제품 및 B 제품 각각의 주문자, 각 제품의 크기, 각 제품의 납품 기일 등이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위와 같은 정보를 포함하는 공정 테이블이 생성되면, 공정 관리 서버(100)가, 공정 테이블을 관리자 단말(200) 및 작업자 단말들(300)로 전송함으로써 관리자 단말(200) 및 작업자 단말들(300)로 하여금 공정 테이블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할 수 있으며, 공정 관리 서버(100)가, 관리자 단말(200)로부터 작업 지시를 위한 특정 제품 오더에 대한 선택 신호를 획득(S03)할 수 있다.
일례로, A 제품에 대한 공정이 조립, 도색의 순서로 두 가지 공정을 거친다면, A 제품에 대한 조립 공정을 담당하는 1번 작업자 및 A 제품에 대한 도색 공정을 담당하는 2번 작업자 각각에게 작업자 단말이 배치되고, 이러한 공정을 관리하는 관리자에게는 관리자 단말(200)이 배치되고, 자재 관리자에게는 자재 관리자 단말(400)이 배치된 상태에서, 관리자 단말(200), 자재 관리자 단말(400) 및 작업자 단말들(300)이 공정 관리 서버(100)로부터 공정 테이블을 전송받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공정 관리 서버(100)는, 관리자 단말(200)로부터 작업 지시를 위한 특정 제품 오더에 대한 선택 신호가 획득되면, 특정 제품 오더에 대응되는 공정 테이블 상의 특정 공정에 대응되는 특정 공정 영역이 제1 색상으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S04).
일례로, B 제품이 A 제품보다 우선 순위가 높게 설정되고, B 제품에 대한 공정이 선삭, 보링, 레디얼의 순서로 세 가지 공정을 거쳐야 하고, B 제품에 대해 선삭 공정이 완료된 상태에서, 관리자가 B 제품에 대해 보링을 개시하라는 작업 지시를 위해 B 제품 오더를 선택하면 관리자 단말(200)이 공정 관리 서버(100)로 B 제품 오더에 대한 선택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관리자 단말(200)이 공정 관리 서버(100)로 작업 지시를 위한 특정 제품 오더에 대한 선택 신호를 전송하기 전에, 관리자가 맞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관리자 인증 과정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증 과정을 통해 제3 자가 무단으로 작업 지시를 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누가 어떤 작업 지시를 내렸는지 기록으로 남길 수 있으며, 추가적인 인증 과정을 통해 잘못된 작업 지시를 한번 더 보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공정 관리 서버(100)는 관리자 단말(200), 작업자 단말들(300) 각각에서 디스플레이되는 공정 테이블 상의 B 제품 오더에 대응되는 보링 공정 영역이 제1 색상으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공정 테이블 상의 B 제품 오더에 대응되는 보링 공정 영역이 제1 색상으로 표시되는 것은 관리자 단말(200), 작업자 단말들(300)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자재 관리자 단말(400)에도 B 제품의 보링 공정 영역이 제1 색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다만, 관리자 단말(200)로부터 작업 지시를 위한 특정 제품 오더에 대한 선택 신호가 획득되어야만 특정 공정에 대응되는 특정 공정 영역이 제1 색상으로 표시되는 것은 아니며, 가령, B 제품이 A 제품보다 우선 순위가 높게 설정되고, B 제품에 대한 공정이 선삭, 보링, 레디얼의 순서로 세 가지 공정을 거쳐야 하고, B 제품에 대해 선삭 공정이 완료된 상태에서, 관리자가 B 제품에 대해 보링을 개시하라는 작업 지시를 하지 않더라도, 공정 관리 서버(100)가, 소정의 조건(가령, 시간 조건, 공정 상태 조건 등)에 따라 자동으로 B 제품의 보링 공정 영역이 제1 색상으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특정 공정을 수행하는 작업자에 대응되는 특정 작업자 단말(300-k)로부터 특정 공정의 작업을 시작하기 위한 특정 공정 영역에 대한 선택 신호가 획득되면 특정 공정 영역이 제1 색상에서 제2 색상으로 변경되도록 하고(S05), 특정 작업자 단말(300-k)로부터 특정 공정의 작업을 완료하기 위한 특정 공정 영역에 대한 선택 신호가 획득되면 특정 공정 영역이 제2 색상에서 제3 색상으로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S06).
구체적으로는, 작업 지시를 위해 B 제품의 보링 공정 영역이 제1 색상으로 표시된 후, B 제품의 보링 공정을 수행하는 작업자에게 배치된 작업자 단말로부터 공정 관리 서버(100)로 B 제품의 보링 공정의 작업을 시작하기 위한 보링 공정 영역 선택 신호가 전송될 수 있다. 이처럼, B 제품의 보링 공정의 작업을 시작하기 위한 보링 공정 영역 선택 신호를 획득하면, 공정 관리 서버(100)가, B 제품의 보링 공정 영역이 제1 색상에서 제2 색상으로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담당 작업자가 B 제품의 보링 공정의 작업을 시작하였음을 관리자 단말(200), 작업자 단말들(300) 등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B 제품의 보링 공정을 수행하는 작업자가 B 제품의 보링 공정을 완료하였다는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해당 작업자에게 배치된 작업자 단말이 보링 공정 영역에 대한 선택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처럼, B 제품의 보링 공정을 완료하였다는 신호를 획득하면, 공정 관리 서버(100)가, B 제품의 보링 공정 영역이 제2 색상에서 제3 색상으로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담당 작업자가 B 제품의 보링 공정의 작업을 완료하였음을 관리자 단말(200), 작업자 단말들(300) 등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과정을 거치게 됨으로써, 관리자는 특정 공정이 이루어지는 현장에 직접 가지 않아도 관리자 단말(200)을 통해 특정 제품의 특정 공정 진행 상황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특정 작업자 단말(300-k)이 공정 관리 서버(100)로 특정 공정의 작업을 시작하기 위한 특정 공정 영역에 대한 선택 신호 및 특정 공정의 작업을 완료하기 위한 특정 공정 영역에 대한 선택 신호를 각각 전송하기 전에, 특정 공정을 담당하는 특정 작업자가 맞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인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증 과정을 통해 제3 자가 무단으로 작업 시작 및 작업 완료 보고를 전송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누가 어떤 작업을 수행하였는지 기록으로 남길 수 있으며, 인증 과정을 통해 특정 작업자가 잘못된 신호를 전송하게 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위와 같이 인증 과정을 거쳐, 특정 작업자 단말(300-k)이 공정 관리 서버(100)로 특정 공정의 작업을 시작하기 위한 특정 공정 영역에 대한 선택 신호 및 특정 공정의 작업을 완료하기 위한 특정 공정 영역에 대한 선택 신호를 각각 전송하더라도, 곧바로 특정 공정 영역이 제2 색상 또는 제3 색상으로 변경되도록 하지 않고, 관리자의 확인 과정을 거쳐야만 특정 공정 영역이 제2 색상 또는 제3 색상으로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 만약, 관리자가 소정 시간 동안 응답하지 않는 경우, 자동으로 관리자에 대응되는 모바일 단말로 전화 또는 문자를 송신하도록 하거나 상기 모바일 단말을 통해 알람이 울리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특정 제품의 공정은 복수의 공정이 존재할 수 있으므로, 공정 관리 서버(100)는, 특정 공정 영역이 제2 색상에서 제3 색상으로 변경되도록 한 다음, 특정 공정의 다음 순서인 후속 공정에 대응되는 공정 테이블 상의 후속 공정 영역이 제1 색상으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즉, B 제품은 선삭, 보링, 레디얼 공정을 거쳐 완성된다고 할 때, B 제품의 보링 공정이 완료되어 보링 공정 영역이 제2 색상에서 제3 색상으로 변경된 다음, 공정 관리 서버(100)는, B 제품의 보링 공정의 다음 순서인 레디얼 공정에 대응되는 레디얼 공정 영역이 제1 색상으로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해당 작업자에게 작업 지시를 내릴 수 있다.
한편, 공정 관리 서버(100)는, 자재 현황 데이터를 참조하여 제품 오더 리스트의 각각의 제품 오더들에 소요되는 자재를 각각의 제품 오더들의 우선 순위에 따라 카운팅하며 소요 자재가 부족한 소요 자재 부족 제품 오더들에 대응되는 공정 테이블 상의 소요 자재 정보 중 부족 소요 자재 영역을 제4 색상으로 표시되도록 하고, 부족 소요 자재 영역에 부족 소요 자재의 개수를 표시하도록 하며, 이를 자재 관리자 단말(400)로 전송하여 줄 수 있다.
일례로, B 제품을 완성하기 위해 소요되는 소요 자재가 a 자재 1개, b 자재 1개, c 자재 3개라면, 공정 관리 서버(100)는,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진 제품부터 소요 자재를 카운팅하며, B 제품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소요 자재를 카운팅할 수 있다.
여기서, 공정 관리 서버(100)가, B 제품보다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진 제품들에 대해 우선적으로 소요 자재를 카운팅한 결과 B 제품에 필요한 소요 자재 중 어느 하나라도 부족하게 된다면, 가령, 자재가 a 자재 1개, b 자재 1개, c 자재 1개만 남아있다면 B 제품을 만드는데 있어 c 자재가 2개 필요한 상황이므로, B 제품 오더에 대응되는 공정 테이블 상의 c 자재 영역을 제4 색상으로 표시하고, c 자재 영역에 현재 필요한 자재 개수인 2를 표시할 수 있다. 다만, 위의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가령, B 제품 오더에 대응되는 공정 테이블 상의 c 자재 영역을 제4 색상으로 표시하고, c 자재 영역에 현재 남은 자재 개수인 1을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공정 관리 서버(100)는, B 제품을 완성하는데 필요한 부족 소요 자재 개수를 자재 관리자 단말(4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자재 관리자가 부족한 c 자재를 인지하고, 우선 순위에 따라 타 제품에 대한 작업이 진행되는 동안 B 제품에 필요한 c 자재를 확보함으로써 공정 진행에 차질이 빚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자재 관리자 단말(400)로부터 업데이트된 자재 현황 데이터가 획득되거나 제품 오더들의 우선 순위가 업데이트될 경우, 공정 관리 서버(100)는, 업데이트된 자재 현황 데이터 또는 업데이트된 우선 순위에 대응하여 각각의 제품 오더들에 소요되는 자재를 재카운팅하며, 재카운팅한 결과를 참조하여 부족 소요 자재 영역 및 부족 소요 자재의 개수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다만, 위와 같이 제품 오더들의 우선 순위가 업데이트되더라도 공정 진행 상태는 기존의 진행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도 있다.
일례로, 자재 관리자 단말(400)로 B 제품의 부족 소요 자재 c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고, c 자재가 충분히 확보되면, c 자재 확보 사실이 반영되어 자재 현황 데이터가 업데이트될 수 있다.
그리고, 공정 관리 서버(100)가, 이렇게 업데이트된 자재 현황 데이터를 획득할 경우, 변경된 자재 현황에 맞추어 우선 순위에 따라 소요 자재를 재카운팅할 수 있다.
즉, 부족 소요 자재인 c 자재의 확보로 인해 더 이상 B 제품의 c 자재 영역은 부족 소요 자재 영역이 아니게 되므로, 이렇게 재카운팅한 결과를 참조로 하여, 부족 소요 자재 영역 및 부족 소요 자재의 개수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그리고, 공정 관리 서버(100)는, 관리자 단말(200), 작업자 단말들(300) 등 각각의 단말에서 B 제품의 c 자재 영역이 더 이상 제4 색상으로 표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B 제품의 c 자재의 부족 소요 자재 개수가 2개이고, 추가로 확보된 c 자재의 개수가 1개라면 여전히 B 제품의 c 자재 영역에는 제4 색상이 표시될 것이나, 부족 소요 자재 c의 개수는 기존의 2개에서 업데이트된 자재 현황 데이터에 따라 1개로 변경되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자재가 추가적으로 확보되지 않더라도, 각 제품 오더의 우선 순위가 변경된 경우에는 부족 소요 자재 영역 및 부족 소요 자재 개수가 업데이트 될 수 있다.
일례로, 후순위의 제품 오더인 A제품의 b 자재가 기존에 1개 부족하였더라도, A 제품 오더의 우선 순위가 선순위로 변경되면, A 제품 오더에 우선적으로 자재가 카운팅되므로, A 제품의 b 자재가 더 이상 부족 소요 자재가 아닐 수 있게 되고, 공정 관리 서버(100)는 A 제품의 b 자재에 대응되는 영역을 제4 색상으로 표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공정 관리 서버(100)는, 제품 오더들의 마감일, 제품 오더들의 비용 및 제품 오더들의 발주량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우선 순위를 설정할 수 있으며, 관리자 단말(200)로부터 공정 테이블 상의 각각의 제품 오더들 중 순위를 변경하고자 하는 순위 변경 제품 오더가 드래그되어 변경되는 공정 테이블 상의 위치를 참조하여 우선 순위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일례로, 공정 관리 서버(100)는, 제품 오더들 중에서 개당 순이익이 많은 제품 오더를 우선적으로 완료하기 위하여 제품 오더들의 우선 순위를 설정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예들의 일부로서, 공정 관리 서버(100)는, 제품 오더들 중에서 작업을 완료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모되는 제품 오더에 높은 우선 순위를 설정할 수도 있다.
한편, 관리자가 제품 오더들의 우선 순위를 변경하고자 할 경우, 공정 테이블 상의 각각의 제품 오더들 중에서 순위를 변경하고자 하는 순위 변경 제품 오더의 위치를 드래그 앤 드롭(drag and drop) 방식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다. 이처럼 순위 변경 제품 오더의 위치가 변경될 경우, 공정 관리 서버(100)가 변경된 위치를 참조로 하여 제품 오더들의 우선 순위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그리고, 공정 관리 서버(100)는, 공정 테이블을 작업자 단말들(300)로 전송함으로써 작업자 단말들(300)로 하여금 공정 테이블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되, 작업자 단말들(300) 각각에 대응되는 작업자 각각이 수행하여야 하는 현재 공정과 현재 공정의 이전 공정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할 수 있다.
즉, 공정 관리 서버(100)는, 작업자 단말들(300)로 하여금 작업자 각각이 담당하는 각각의 공정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것에 더하여, 작업자 각각이 담당하는 현재 공정의 이전 공정에 대한 정보도 함께 디스플레이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작업자 각자가 담당하는 현재 공정에 대해 작업 지시가 왔을 때는 물론, 작업 지시가 오기 전이라도 이전 공정의 진행 상황을 보고 작업자 본인이 작업에 들어갈 준비를 할 수 있다.
그리고, 특정 공정 영역이 제1 색상에서 제2 색상으로 변경된 상태에서, 특정 작업자 단말(300-k)로부터 특정 공정 영역에 대한 선택 신호들이 획득되면, 공정 관리 서버(100)가, 특정 공정 영역에 대한 선택 신호들의 회수를 카운팅하며, 특정 공정 영역에 대한 선택 신호들의 회수가 상기 특정 제품 오더의 발주량에 대응되면 특정 공정 영역이 제2 색상에서 제3 색상으로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
일례로, C 제품에 관한 제품 오더가 C 제품 10개의 수량을 요구하는 제품 오더인 경우, C 제품을 10개 생산하기 위해서 선삭 공정을 10회 반복하여야 할 수 있다. 따라서, 담당 작업자의 작업자 단말로부터 선삭 공정을 시작하기 위한 선삭 공정 영역 선택 신호가 획득되어 C 제품에 관한 제품 오더의 선삭 공정 영역이 제2 색상으로 변경된 상태에서, 담당 작업자가 선삭 공정을 완료하기 위한 선삭 공정 영역 선택 신호가 10회 획득되기 전까지는 선삭 공정 영역이 제3 색상으로 변경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통해 관리자 단말(200)은 선삭 공정이 매 회 완료될 때마다 일일히 작업지시를 하지 않아도 되며, 작업자 단말은 선삭 공정이 반복될 때마다 작업을 시작하기 위한 선삭 공정 영역 선택 신호를 일일히 전송하지 않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특정 공정 영역이 제1 색상에서 제2 색상으로 변경된 상태에서, 특정 작업자 단말(300-k)로부터 특정 공정 영역에 대한 선택 신호가 기설정된 시간 동안 획득되지 않을 경우, 공정 관리 서버(100)가, 특정 공정 영역이 제2 색상에서 제5 색상으로 변경되도록 하며 이에 대한 알람 정보를 관리자 단말(200)로 전송하여 줄 수 있다.
일례로, 특정 작업자가 특정 공정을 시작하여 특정 공정 영역이 제2 색상으로 변경된 상태에서, 기설정된 시간 동안 특정 공정 영역에 대한 선택 신호가 획득되지 않을 경우, 특정 공정에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관리자가 체크해야 하는 공정들은 복수 개 존재할 수 있으므로 위와 같은 상황을 인지하여 즉각적으로 조치를 취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특정 공정 영역에 대한 선택 신호가 기설정된 시간 동안 획득되지 않을 경우, 공정 관리 서버(100)는, 특정 공정 영역이 제2 색상에서 제5 색상으로 변경되도록 하고 이에 대한 알람 정보를 관리자 단말(200)로 전송함으로써 특정 공정에 발생한 문제에 대해 즉각적으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공정 관리 서버(100)는, 알람 정보를 관리자 단말(200)로 전송함으로써 관리자 단말(200)로 하여금 특정 작업자 단말(300-k)과의 음성 통신을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공정 테이블에서 색상이 표시되는 방식의 일례를 설명하겠다.
첫 번째 열의 107번 및 108번 주문을 보면, Body 부품에 대해 선삭, 보링 및 레디얼 공정의 작업이 모두 완료되었으므로, 제3 색상으로서 검정색이 표시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109번 주문을 보면, Body 부품에 대해 선삭 및 보링 공정의 작업이 완료되어 검정색이 표시되고 있으나, 특정 작업자 단말로부터 레디얼 공정의 작업을 시작하기 위한 레디얼 공정 영역에 대한 선택 신호가 기설정된 시간 동안 획득되지 않았으므로, 레디얼 공정 영역의 작업자 셀의 색상이 제2 색상인 초록색에서 제5 색상인 빨간색으로 변경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110번 주문을 보면, Body 부품에 대해 선삭 및 보링 공정의 작업이 완료되어 검정색이 표시되어 있고, 레디얼 공정을 수행하는 작업자에 대응되는 특정 작업자 단말로부터 레디얼 공정의 작업을 시작하기 위한 레디얼 공정 영역에 대한 선택 신호가 획득되었으므로, 레디얼 공정 영역의 작업자 셀의 색상이 제1 색상인 노란색에서 제2 색상인 초록색으로 변경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111번 주문을 보면, Body 부품에 대해 선삭 공정의 작업이 완료되어 검정색이 표시되어 있고, 관리자 단말로부터 보링 공정에 대한 작업 지시를 위한 선택 신호가 획득되어 보링 공정 영역의 작업자 셀이 제1 색상인 노란색으로 표시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112번 및 113번 주문을 보면, Body 부품에 대해 선삭 공정 작업 지시를 위한 선택 신호가 획득되어 선삭 공정 영역이 제1 색상인 노란색으로 표시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112번 및 113번 주문은, 현재 Stem 부품에 대한 자재가 부족하므로 해당 자재 영역이 제4 색상인 자주색으로 표시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114번 및 115번 주문을 보면, 현재 Body, Disc 및 Stem 부품에 대한 자재가 모두 부족하여 해당 자재 영역이 제4 색상인 자주색으로 표시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해당 주문에 대해서는 모든 자재가 부족하여 공정을 진행할 수 없는 상황이므로, 관리자 단말로부터 작업 지시를 위한 선택 신호가 획득되지 않게 되며, 따라서 모든 공정 영역이 흰색으로 표시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특정 공정 영역이 제1 색상에서 제2 색상으로 변경된 상태에서, 공정 관리 서버(100)가, 특정 공정에 의해 생산되는 특정 제품이 위치하는 스테이지를 촬영하는 이미지 센서의 영상 이미지를 분석하여 특정 제품의 개수를 카운팅하며, 특정 제품의 개수가 특정 제품 오더의 발주량에 대응되면 특정 공정 영역이 제2 색상에서 제3 색상으로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공정 관리 서버(100)가, 별도의 이미지 분석 장치로 하여금 특정 제품이 위치하는 스테이지에 대한 영상 이미지를 분석하도록 하여 특정 제품의 개수를 카운팅하도록 하고 카운팅된 결과를 공정 관리 서버(100)로 전송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일례로, 공정 관리 서버(100)는, 별도의 이미지 분석 장치로 하여금 특정 공정에 의해 생산되는 특정 제품(중간 제품 또는 완제품 등)의 이미지를 학습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특정 제품이 위치하는 스테이지를 촬영한 이미지를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기법을 활용한 소정의 장치를 통해 학습 및 분석함으로써, 특정 제품이 생산되었는지 여부 및 특정 제품이 몇 개 생산되었는지 등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특정 작업자 단말(300-k)이 특정 공정의 작업을 완료하기 위한 특정 공정 영역에 대한 선택 신호를 공정 관리 서버(100)로 전송하지 않더라도, 소정의 장치가 특정 공정을 거쳐 생산된 중간제품의 이미지 또는 완제품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특정 공정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특정 공정이 완료될 때마다 특정 작업자가 특정 작업자 단말을 조작하지 않고도, 공정 관리 서버(100)가, 특정 공정 영역이 제2 색상에서 제3 색상으로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소정의 장치가 특정 공정을 거쳐 생산된 중간제품의 이미지 또는 완제품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외관상에 드러나는 제품 불량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특정 공정을 통해 생산된 제품이 복수 개인 경우, 소정의 장치가 이미지 세그멘테이션(image segmentation)을 통해 복수 개의 제품이 포함된 이미지를 분석하고, 해당 이미지 내에 특정 공정이 완료된 제품이 몇 개인지 여부, 발주량을 채웠는지 여부, 외관상 드러나는 제품 불량 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특정 제품의 개수가 특정 제품 오더의 발주량에 대응되면 특정 제품 오더가 완료되었다는 것이므로, 공정 관리 서버(100)는, 작업자가 계속해서 특정 제품을 생산하지 않도록, 특정 공정 영역이 제2 색상에서 제3 색상으로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CNN 기술을 이용하여 특정 공정이 진행된 특정 제품의 개수를 카운팅하거나 불량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CNN 기반의 오브젝트 디텍터를 이용할 경우, 특정 제품이 위치하는 스테이지를 촬영하는 이미지 센서로부터의 영상 이미지를 획득하면, 공정 관리 서버(100) 또는 이미지 분석 장치가, 영상 이미지를 컨볼루션 레이어(convolution layer)에 입력시킴으로써 컨볼루션 레이어로 하여금 영상 이미지를 컨볼루션 연산하도록 하여 영상 이미지에 대응되는 피처 맵(feature map)을 출력하도록 한다. 그리고, RPN(Region Proposal Network)에 피처 맵을 통과시켜 ROI(Region Of Interest) 프로포잘(proposal)을 획득하고, 풀링 레이어(Pooling layer)를 이용하여 ROI 프로포잘에 대응되는 피처 맵 상의 영역에 포함된 픽셀 데이터에 대해 Max pooling 또는 Average pooling 중 어느 하나를 적용하여 소정의 크기로 리사이즈시킨 다음, 리사이즈된 피처 맵을 참조하여 피처 벡터를 출력하도록 한다. 이후, 피처 벡터를 FC(Fully Connected) 레이어에 입력하여 신경망 연산을 통해 영상 이미지 상에 위치하는 특정 제품을 디텍션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FC 레이어로부터의 결과를 참조하여 스테이지에 특정 공정이 진행된 특정 제품이 위치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연속적인 동작에 따라 특정 공정이 진행된 특정 제품의 개수를 카운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영상 이미지 상의 디텍션된 특정 제품에 대응되는 정보를 통해 특정 공정이 진행된 특정 제품에 대한 불량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이때, CNN 기반의 오브젝트 디텍터는 FC 레이어로부터의 출력값과 GT(Ground Truth)를 참조하여 로스를 획득하고, 획득된 로스를 이용한 백프로퍼게이션(back propagation)을 통해 학습된 상태일 수 있다.
또한, CNN 기반의 세그멘테이션을 이용할 경우, 특정 제품이 위치하는 스테이지를 촬영하는 이미지 센서로부터의 영상 이미지를 획득하면, 공정 관리 서버(100) 또는 이미지 분석 장치가, 영상 이미지를 CNN의 다중 컨볼루션 레이어를 이용하여 여러 번의 컨볼루션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피처 맵을 획득하고, 피처 맵을 CNN의 다중 디컨볼루션 레이어(deconvolution layer)를 이용하여 여러 번의 디컨볼루션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라벨 이미지를 획득한다. 그리고, 라벨 이미지에 따른 세그멘테이션된 영상 이미지를 참조하여, 특정 공정이 진행된 특정 제품이 스테이지에 위치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연속적인 동작에 따라 특정 공정이 진행된 특정 제품의 개수를 카운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세그멘테이션된 영상 이미지 상의 특정 제품에 대응되는 정보를 통해 특정 공정이 진행된 특정 제품에 대한 불량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이때, CNN 기반의 세그멘테이션은 획득된 라벨 이미지와 GT(Ground Truth)를 참조하여 로스를 획득하고, 획득된 로스를 이용한 백프로퍼게이션을 통해 학습된 상태일 수 있다.
한편, 공정 관리 서버(100)는, 작업자가 실수로 특정 공정 영역을 선택하는 것을 방지하고자, 특정 공정의 이전 공정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이거나 특정 공정에 작업 지시가 내려지지 않은 경우에는, 작업자 단말로 하여금 특정 공정의 작업을 시작하기 위한 특정 공정 영역에 대한 선택 신호를 전송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특정 제품 오더는 공정 테이블 상에서 하나의 행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정 제품 오더에 포함된 특정 제품의 발주량이 복수 개인 경우에는 공정 테이블 상에서 해당 개수만큼 행을 가질 수도 있다.
일례로, 특정 제품 오더의 발주량이 A 제품 10개라면, 이를 특정 작업자 1명이 모두 완료할 수도 있으나, 10명의 작업자가 각자 1개씩 완료하는 경우를 가정할 수 있다. 이처럼, 10명의 작업자가 1개씩 분담할 때, 해당 작업자 각각에 대하여 작업 지시, 작업 개시, 작업 완료에 대응되는 신호가 획득되어야 하므로, 해당 제품 오더는 작업자 각각에 대응되는 행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관리자 단말(200)은 자재 관리자 단말(400)과 구분되는 것으로 도면에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관리자 단말(200)과 자재 관리자 단말(400)은 하나의 장치에 포함될 수도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26)

  1. 스프레드 시트 타입의 공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공정을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제품 오더 리스트와 각각의 제품 오더들에 대응하는 공정 정보를 포함하는 스프레드 시트 타입의 공정 데이터와 자재 현황 데이터가 획득되면, 공정 관리 서버가, 상기 제품 오더 리스트의 상기 각각의 제품 오더들에 대한 우선 순위를 설정하며 상기 각각의 제품 오더들에 대응하는 소요 자재 정보와 상기 공정 정보를 포함하는 공정 테이블을 생성하는 단계; 및
    (b) 상기 공정 관리 서버가, 상기 공정 테이블을 관리자 단말 및 작업자 단말들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관리자 단말 및 상기 작업자 단말들로 하여금 상기 공정 테이블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며, 상기 관리자 단말로부터 작업 지시를 위한 특정 제품 오더에 대한 선택 신호가 획득되면 상기 특정 제품 오더에 대응되는 상기 공정 테이블 상의 특정 공정에 대응되는 특정 공정 영역이 제1 색상으로 표시되도록 하며, 상기 특정 공정을 수행하는 작업자에 대응되는 특정 작업자 단말로부터 상기 특정 공정의 작업을 시작하기 위한 상기 특정 공정 영역에 대한 선택 신호가 획득되면 상기 특정 공정 영역이 상기 제1 색상에서 제2 색상으로 변경되도록 하고, 상기 특정 작업자 단말로부터 상기 특정 공정의 작업을 완료하기 위한 상기 특정 공정 영역에 대한 선택 신호가 획득되면 상기 특정 공정 영역이 상기 제2 색상에서 제3 색상으로 변경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b) 단계에서,
    (I) 상기 특정 공정 영역이 상기 제1 색상에서 상기 제2 색상으로 변경된 상태에서, 상기 특정 작업자 단말로부터 상기 특정 공정 영역에 대한 선택 신호들이 획득되면, 상기 공정 관리 서버가, 상기 특정 공정 영역에 대한 선택 신호들의 회수를 카운팅하며, 상기 특정 공정 영역에 대한 선택 신호들의 회수가 상기 특정 제품 오더의 발주량에 대응되면 상기 특정 공정 영역이 상기 제2 색상에서 상기 제3 색상으로 변경되도록 하는 프로세스; 및
    (II) 상기 특정 공정 영역이 상기 제1 색상에서 상기 제2 색상으로 변경된 상태에서, 상기 공정 관리 서버가, 상기 특정 공정에 의해 생산되는 특정 제품이 위치하는 스테이지를 촬영하는 이미지 센서의 영상 이미지를 분석하여 상기 특정 제품의 개수를 카운팅하며, 상기 특정 제품의 개수가 상기 특정 제품 오더의 발주량에 대응되면 상기 특정 공정 영역이 상기 제2 색상에서 상기 제3 색상으로 변경되도록 하는 프로세스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II) 프로세스에서,
    (i) 상기 이미지 센서로부터의 상기 영상 이미지가 획득되면, 상기 공정 관리 서버는,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기반의 오브젝트 디텍터(object detector)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 이미지를 컨볼루션 레이어(convolution layer)에 입력시킴으로써 상기 컨볼루션 레이어로 하여금 상기 영상 이미지를 컨볼루션 연산하도록 하여 상기 영상 이미지에 대응되는 디텍션 피처 맵(feature map)을 출력하도록 하고, RPN(Region Proposal Network)에 상기 디텍션 피처 맵을 입력시킴으로써 상기 RPN으로 하여금 ROI(Region Of Interest) 프로포잘(proposal)을 출력하도록 하고, 풀링 레이어(Pooling layer)로 하여금 ROI 프로포잘에 대응되는 상기 디텍션 피처 맵 상의 영역에 포함된 픽셀 데이터에 대해 맥스 풀링(Max pooling) 또는 애버리지 풀링(Average pooling)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도록 하여 상기 디텍션 피처 맵을 소정의 크기로 리사이즈시키도록 하고, 풀링 레이어로 하여금 리사이즈된 상기 디텍션 피처 맵을 참조하도록 하여 피처 벡터를 출력하도록 하고, 상기 피처 벡터를 FC(Fully Connected) 레이어에 입력시킴으로써 상기 FC 레이어로 하여금 신경망 연산을 통해 상기 영상 이미지 상에 위치하는 상기 특정 제품을 디텍션 하도록 하고, 상기 FC 레이어로부터의 디텍션 결과를 참조하여 상기 스테이지에 상기 특정 공정이 진행된 상기 특정 제품의 개수를 카운팅하는 서브 프로세스; 및
    (ii) 상기 이미지 센서로부터의 상기 영상 이미지가 획득되면, 상기 공정 관리 서버는, 상기 영상 이미지를 CNN 기반의 다중 컨볼루션 레이어에 입력시킴으로써 상기 다중 컨볼루션 레이어로 하여금 상기 영상 이미지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컨볼루션 연산을 수행하도록 하여 상기 영상 이미지에 대응되는 세그멘테이션 피처 맵을 출력하도록 하고, 상기 세그멘테이션 피처 맵을 CNN 기반의 다중 디컨볼루션 레이어(deconvolution layer)에 입력시킴으로써 상기 다중 디컨볼루션 레이어로 하여금 상기 세그멘테이션 피처 맵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디컨볼루션 연산을 수행하도록 하여 라벨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하고, 상기 라벨 이미지에 따른 세그멘테이션된 상기 영상 이미지를 참조하여 상기 스테이지에 상기 특정 공정이 진행된 상기 특정 제품의 개수를 카운팅하는 서브 프로세스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c) 상기 공정 관리 서버가, 상기 특정 공정 영역이 상기 제2 색상에서 상기 제3 색상으로 변경되도록 한 다음, 상기 특정 공정의 다음 순서인 후속 공정에 대응되는 상기 공정 테이블 상의 후속 공정 영역이 상기 제1 색상으로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공정 관리 서버는, 상기 자재 현황 데이터를 참조하여 상기 제품 오더 리스트의 상기 각각의 제품 오더들에 소요되는 자재를 상기 각각의 제품 오더들의 상기 우선 순위에 따라 카운팅하며 소요 자재가 부족한 소요 자재 부족 제품 오더들에 대응되는 상기 공정 테이블 상의 상기 소요 자재 정보 중 부족 소요 자재 영역을 제4 색상으로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부족 소요 자재 영역에 부족 소요 자재의 개수를 표시하도록 하며, 이를 자재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여 주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재 관리자 단말로부터 업데이트된 자재 현황 데이터가 획득되거나 상기 제품 오더들의 상기 우선 순위가 업데이트될 경우, 상기 공정 관리 서버는, 상기 업데이트된 자재 현황 데이터 또는 상기 업데이트된 우선 순위에 대응하여 상기 각각의 제품 오더들에 소요되는 자재를 재카운팅하며, 재카운팅한 결과를 참조하여 상기 부족 소요 자재 영역 및 상기 부족 소요 자재의 개수를 업데이트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 관리 서버는, 상기 제품 오더들의 마감일, 상기 제품 오더들의 비용 및 상기 제품 오더들의 발주량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우선 순위를 설정하며, 상기 관리자 단말로부터 상기 공정 테이블 상의 상기 각각의 제품 오더들 중 순위를 변경하고자 하는 순위 변경 제품 오더가 드래그되어 변경되는 상기 공정 테이블 상의 위치를 참조하여 상기 우선 순위를 업데이트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공정 관리 서버는, 상기 공정 테이블을 상기 작업자 단말들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작업자 단말들로 하여금 상기 공정 테이블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되, 상기 작업자 단말들 각각에 대응되는 작업자 각각이 수행하여야 하는 현재 공정과 상기 현재 공정의 이전 공정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방법.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특정 공정 영역이 상기 제1 색상에서 상기 제2 색상으로 변경된 상태에서, 상기 특정 작업자 단말로부터 상기 특정 공정 영역에 대한 선택 신호가 기설정된 시간 동안 획득되지 않을 경우, 상기 공정 관리 서버가, 상기 특정 공정 영역이 상기 제2 색상에서 제5 색상으로 변경되도록 하며 이에 대한 알람 정보를 상기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여 주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 관리 서버는, 상기 알람 정보를 상기 관리자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관리자 단말로 하여금 상기 특정 작업자 단말과의 음성 통신을 수행하도록 지원하는 방법.
  10. 삭제
  11. 스프레드 시트 타입의 공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공정을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a) 공정 관리 서버로 제품 오더 리스트와 각각의 제품 오더들에 대응하는 공정 정보를 포함하는 스프레드 시트 타입의 공정 데이터와 자재 현황 데이터를 참조한 상기 제품 오더 리스트의 상기 각각의 제품 오더들에 대한 우선 순위가 설정되고, 상기 각각의 제품 오더들에 대응되는 소요 자재 정보와 상기 공정 정보를 포함하는 공정 테이블이 획득되면, 상기 공정 정보에 대응되는 작업자 단말들 중 특정 공정에 대응되는 특정 작업자 단말이, 상기 특정 공정을 수행하는 특정 작업자가 알 수 있도록 상기 공정 테이블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b) 관리자 단말로부터의 특정 제품 오더에 대한 작업 지시에 대응하여 상기 특정 제품 오더에 대응되는 상기 공정 테이블 상의 특정 공정에 대응되는 특정 공정 영역이 제1 색상으로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특정 작업자 단말이, (i) 상기 특정 작업자가 상기 특정 공정의 작업을 시작하기 위하여 상기 특정 공정 영역을 선택하면, 상기 특정 공정 영역에 대한 선택 신호를 상기 공정 관리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공정 관리 서버로 하여금 상기 공정 테이블 상의 상기 특정 공정 영역을 상기 제1 색상에서 제2 색상으로 변경시키도록 지원하고, (ii) 상기 특정 작업자가 상기 특정 공정의 작업을 완료하기 위하여 상기 특정 공정 영역을 선택하면, 상기 특정 공정 영역에 대한 선택 신호를 상기 공정 관리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공정 관리 서버로 하여금 상기 공정 테이블 상의 상기 특정 공정 영역을 상기 제2 색상에서 제3 색상으로 변경시키도록 지원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b) 단계에서,
    (I) 상기 특정 공정 영역이 상기 제1 색상에서 상기 제2 색상으로 변경된 상태에서, 상기 특정 작업자가 상기 특정 공정의 작업을 완료하기 위하여 상기 특정 공정 영역을 선택할 때마다, 상기 특정 작업자 단말이, 상기 특정 공정 영역에 대한 선택 신호들을 각각 상기 공정 관리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공정 관리 서버로 하여금 i) 상기 특정 공정 영역에 대한 선택 신호들이 상기 공정 관리 서버로 전송되는 회수를 카운팅하도록 하고, ii) 상기 특정 공정 영역에 대한 선택 신호들이 상기 공정 관리 서버로 전송된 회수가 상기 특정 제품 오더의 발주량에 대응되면 상기 공정 테이블 상의 상기 특정 공정 영역을 상기 제2 색상에서 상기 제3 색상으로 변경시키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 및
    (II) 상기 특정 공정 영역이 상기 제1 색상에서 상기 제2 색상으로 변경된 상태에서, 상기 특정 작업자 단말이, 상기 공정 관리 서버로 하여금 상기 특정 공정에 의해 생산되는 특정 제품이 위치하는 스테이지를 촬영하는 이미지 센서의 영상 이미지를 분석하도록 하여 상기 특정 제품의 개수를 카운팅하도록 하고, 상기 특정 제품의 개수가 상기 특정 제품 오더의 발주량에 대응되면 상기 특정 공정 영역을 상기 제2 색상에서 상기 제3 색상으로 변경시키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II) 프로세스에서,
    (i) 상기 이미지 센서로부터의 상기 영상 이미지가 획득되면, 상기 공정 관리 서버는,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기반의 오브젝트 디텍터(object detector)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 이미지를 컨볼루션 레이어(convolution layer)에 입력시킴으로써 상기 컨볼루션 레이어로 하여금 상기 영상 이미지를 컨볼루션 연산하도록 하여 상기 영상 이미지에 대응되는 디텍션 피처 맵(feature map)을 출력하도록 하고, RPN(Region Proposal Network)에 상기 디텍션 피처 맵을 입력시킴으로써 상기 RPN으로 하여금 ROI(Region Of Interest) 프로포잘(proposal)을 출력하도록 하고, 풀링 레이어(Pooling layer)로 하여금 ROI 프로포잘에 대응되는 상기 디텍션 피처 맵 상의 영역에 포함된 픽셀 데이터에 대해 맥스 풀링(Max pooling) 또는 애버리지 풀링(Average pooling)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도록 하여 상기 디텍션 피처 맵을 소정의 크기로 리사이즈시키도록 하고, 풀링 레이어로 하여금 리사이즈된 상기 디텍션 피처 맵을 참조하도록 하여 피처 벡터를 출력하도록 하고, 상기 피처 벡터를 FC(Fully Connected) 레이어에 입력시킴으로써 상기 FC 레이어로 하여금 신경망 연산을 통해 상기 영상 이미지 상에 위치하는 상기 특정 제품을 디텍션 하도록 하고, 상기 FC 레이어로부터의 디텍션 결과를 참조하여 상기 스테이지에 상기 특정 공정이 진행된 상기 특정 제품의 개수를 카운팅하는 서브 프로세스; 및
    (ii) 상기 이미지 센서로부터의 상기 영상 이미지가 획득되면, 상기 공정 관리 서버는, 상기 영상 이미지를 CNN 기반의 다중 컨볼루션 레이어에 입력시킴으로써 상기 다중 컨볼루션 레이어로 하여금 상기 영상 이미지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컨볼루션 연산을 수행하도록 하여 상기 영상 이미지에 대응되는 세그멘테이션 피처 맵을 출력하도록 하고, 상기 세그멘테이션 피처 맵을 CNN 기반의 다중 디컨볼루션 레이어(deconvolution layer)에 입력시킴으로써 상기 다중 디컨볼루션 레이어로 하여금 상기 세그멘테이션 피처 맵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디컨볼루션 연산을 수행하도록 하여 라벨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하고, 상기 라벨 이미지에 따른 세그멘테이션된 상기 영상 이미지를 참조하여 상기 스테이지에 상기 특정 공정이 진행된 상기 특정 제품의 개수를 카운팅하는 서브 프로세스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도록, 상기 특정 작업자 단말이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삭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자재 현황 데이터가 참조되어 상기 제품 오더 리스트의 상기 각각의 제품 오더들에 소요되는 자재가 상기 각각의 제품 오더들의 상기 우선 순위에 따라 카운팅되면, 상기 특정 작업자 단말이, 상기 공정 관리 서버로 하여금 상기 공정 테이블 상의 상기 소요 자재 정보 중 소요 자재가 부족한 소요 자재 부족 제품 오더들에 대응되는 부족 소요 자재 영역을 제4 색상으로 표시하도록 지원하고, 상기 부족 소요 자재 영역에 부족 소요 자재의 개수를 표시하도록 지원하며, 이를 자재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도록 지원하는 방법.
  14. 스프레드 시트 타입의 공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공정을 관리하는 공정 관리 서버에 있어서,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상기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하기 위해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제품 오더 리스트와 각각의 제품 오더들에 대응하는 공정 정보를 포함하는 스프레드 시트 타입의 공정 데이터와 자재 현황 데이터가 획득되면, (1) 상기 제품 오더 리스트의 상기 각각의 제품 오더들에 대한 우선 순위를 설정하며 상기 각각의 제품 오더들에 대응하는 소요 자재 정보와 상기 공정 정보를 포함하는 공정 테이블을 생성하는 프로세스 및 (2) 상기 공정 테이블을 관리자 단말 및 작업자 단말들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관리자 단말 및 상기 작업자 단말들로 하여금 상기 공정 테이블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며, 상기 관리자 단말로부터 작업 지시를 위한 특정 제품 오더에 대한 선택 신호가 획득되면 상기 특정 제품 오더에 대응되는 상기 공정 테이블 상의 특정 공정에 대응되는 특정 공정 영역이 제1 색상으로 표시되도록 하며, 상기 특정 공정을 수행하는 작업자에 대응되는 특정 작업자 단말로부터 상기 특정 공정의 작업을 시작하기 위한 상기 특정 공정 영역에 대한 선택 신호가 획득되면 상기 특정 공정 영역이 상기 제1 색상에서 제2 색상으로 변경되도록 하고, 상기 특정 작업자 단말로부터 상기 특정 공정의 작업을 완료하기 위한 상기 특정 공정 영역에 대한 선택 신호가 획득되면 상기 특정 공정 영역이 상기 제2 색상에서 제3 색상으로 변경되도록 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상기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하되,
    상기 (2) 프로세스에서,
    (I) 상기 특정 공정 영역이 상기 제1 색상에서 상기 제2 색상으로 변경된 상태에서, 상기 특정 작업자 단말로부터 상기 특정 공정 영역에 대한 선택 신호들이 획득되면, 상기 특정 공정 영역에 대한 선택 신호들의 회수를 카운팅하며, 상기 특정 공정 영역에 대한 선택 신호들의 회수가 상기 특정 제품 오더의 발주량에 대응되면 상기 특정 공정 영역이 상기 제2 색상에서 상기 제3 색상으로 변경되도록 하는 프로세스; 및
    (II) 상기 특정 공정 영역이 상기 제1 색상에서 상기 제2 색상으로 변경된 상태에서, 상기 특정 공정에 의해 생산되는 특정 제품이 위치하는 스테이지를 촬영하는 이미지 센서의 영상 이미지를 분석하여 상기 특정 제품의 개수를 카운팅하며, 상기 특정 제품의 개수가 상기 특정 제품 오더의 발주량에 대응되면 상기 특정 공정 영역이 상기 제2 색상에서 상기 제3 색상으로 변경되도록 하는 프로세스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II) 프로세스에서,
    (i) 상기 이미지 센서로부터의 상기 영상 이미지가 획득되면,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기반의 오브젝트 디텍터(object detector)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 이미지를 컨볼루션 레이어(convolution layer)에 입력시킴으로써 상기 컨볼루션 레이어로 하여금 상기 영상 이미지를 컨볼루션 연산하도록 하여 상기 영상 이미지에 대응되는 디텍션 피처 맵(feature map)을 출력하도록 하고, RPN(Region Proposal Network)에 상기 디텍션 피처 맵을 입력시킴으로써 상기 RPN으로 하여금 ROI(Region Of Interest) 프로포잘(proposal)을 출력하도록 하고, 풀링 레이어(Pooling layer)로 하여금 ROI 프로포잘에 대응되는 상기 디텍션 피처 맵 상의 영역에 포함된 픽셀 데이터에 대해 맥스 풀링(Max pooling) 또는 애버리지 풀링(Average pooling)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도록 하여 상기 디텍션 피처 맵을 소정의 크기로 리사이즈시키도록 하고, 풀링 레이어로 하여금 리사이즈된 상기 디텍션 피처 맵을 참조하도록 하여 피처 벡터를 출력하도록 하고, 상기 피처 벡터를 FC(Fully Connected) 레이어에 입력시킴으로써 상기 FC 레이어로 하여금 신경망 연산을 통해 상기 영상 이미지 상에 위치하는 상기 특정 제품을 디텍션 하도록 하고, 상기 FC 레이어로부터의 디텍션 결과를 참조하여 상기 스테이지에 상기 특정 공정이 진행된 상기 특정 제품의 개수를 카운팅하는 서브 프로세스; 및
    (ii) 상기 이미지 센서로부터의 상기 영상 이미지가 획득되면, 상기 영상 이미지를 CNN 기반의 다중 컨볼루션 레이어에 입력시킴으로써 상기 다중 컨볼루션 레이어로 하여금 상기 영상 이미지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컨볼루션 연산을 수행하도록 하여 상기 영상 이미지에 대응되는 세그멘테이션 피처 맵을 출력하도록 하고, 상기 세그멘테이션 피처 맵을 CNN 기반의 다중 디컨볼루션 레이어(deconvolution layer)에 입력시킴으로써 상기 다중 디컨볼루션 레이어로 하여금 상기 세그멘테이션 피처 맵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디컨볼루션 연산을 수행하도록 하여 라벨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하고, 상기 라벨 이미지에 따른 세그멘테이션된 상기 영상 이미지를 참조하여 상기 스테이지에 상기 특정 공정이 진행된 상기 특정 제품의 개수를 카운팅하는 서브 프로세스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 관리 서버.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3) 상기 특정 공정 영역이 상기 제2 색상에서 상기 제3 색상으로 변경되도록 한 다음, 상기 특정 공정의 다음 순서인 후속 공정에 대응되는 상기 공정 테이블 상의 후속 공정 영역이 상기 제1 색상으로 표시되도록 하는 프로세스를 더 수행하는 공정 관리 서버.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1) 프로세스에서,
    상기 자재 현황 데이터를 참조하여 상기 제품 오더 리스트의 상기 각각의 제품 오더들에 소요되는 자재를 상기 각각의 제품 오더들의 상기 우선 순위에 따라 카운팅하며 소요 자재가 부족한 소요 자재 부족 제품 오더들에 대응되는 상기 공정 테이블 상의 상기 소요 자재 정보 중 부족 소요 자재 영역을 제4 색상으로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부족 소요 자재 영역에 부족 소요 자재의 개수를 표시하도록 하며, 이를 자재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여 주는 공정 관리 서버.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자재 관리자 단말로부터 업데이트된 자재 현황 데이터가 획득되거나 상기 제품 오더들의 상기 우선 순위가 업데이트될 경우, 상기 업데이트된 자재 현황 데이터 또는 상기 업데이트된 우선 순위에 대응하여 상기 각각의 제품 오더들에 소요되는 자재를 재카운팅하며, 재카운팅한 결과를 참조하여 상기 부족 소요 자재 영역 및 상기 부족 소요 자재의 개수를 업데이트하는 공정 관리 서버.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품 오더들의 마감일, 상기 제품 오더들의 비용 및 상기 제품 오더들의 발주량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우선 순위를 설정하며, 상기 관리자 단말로부터 상기 공정 테이블 상의 상기 각각의 제품 오더들 중 순위를 변경하고자 하는 순위 변경 제품 오더가 드래그되어 변경되는 상기 공정 테이블 상의 위치를 참조하여 상기 우선 순위를 업데이트하는 공정 관리 서버.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2) 프로세스에서,
    상기 공정 테이블을 상기 작업자 단말들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작업자 단말들로 하여금 상기 공정 테이블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되, 상기 작업자 단말들 각각에 대응되는 작업자 각각이 수행하여야 하는 현재 공정과 상기 현재 공정의 이전 공정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공정 관리 서버.
  20. 삭제
  21.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2) 프로세스에서,
    상기 특정 공정 영역이 상기 제1 색상에서 상기 제2 색상으로 변경된 상태에서, 상기 특정 작업자 단말로부터 상기 특정 공정 영역에 대한 선택 신호가 기설정된 시간 동안 획득되지 않을 경우, 상기 특정 공정 영역이 상기 제2 색상에서 제5 색상으로 변경되도록 하며 이에 대한 알람 정보를 상기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여 주는 공정 관리 서버.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알람 정보를 상기 관리자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관리자 단말로 하여금 상기 특정 작업자 단말과의 음성 통신을 수행하도록 지원하는 공정 관리 서버.
  23. 삭제
  24. 스프레드 시트 타입의 공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공정을 관리하는 특정 작업자 단말에 있어서,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상기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하기 위해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공정 관리 서버로 제품 오더 리스트와 각각의 제품 오더들에 대응하는 공정 정보를 포함하는 스프레드 시트 타입의 공정 데이터와 자재 현황 데이터를 참조한 상기 제품 오더 리스트의 상기 각각의 제품 오더들에 대한 우선 순위가 설정되고, 상기 각각의 제품 오더들에 대응되는 소요 자재 정보와 상기 공정 정보를 포함하는 공정 테이블이 획득되면, (1) 특정 공정을 수행하는 특정 작업자가 알 수 있도록 상기 공정 테이블을 디스플레이하는 프로세스 및 (2) 관리자 단말로부터의 특정 제품 오더에 대한 작업 지시에 대응하여 상기 특정 제품 오더에 대응되는 상기 공정 테이블 상의 상기 특정 공정에 대응되는 특정 공정 영역이 제1 색상으로 표시된 상태에서, (i) 상기 특정 작업자가 상기 특정 공정의 작업을 시작하기 위하여 상기 특정 공정 영역을 선택하면, 상기 특정 공정 영역에 대한 선택 신호를 상기 공정 관리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공정 관리 서버로 하여금 상기 공정 테이블 상의 상기 특정 공정 영역을 상기 제1 색상에서 제2 색상으로 변경시키도록 지원하고, (ii) 상기 특정 작업자가 상기 특정 공정의 작업을 완료하기 위하여 상기 특정 공정 영역을 선택하면, 상기 특정 공정 영역에 대한 선택 신호를 상기 공정 관리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공정 관리 서버로 하여금 상기 공정 테이블 상의 상기 특정 공정 영역을 상기 제2 색상에서 제3 색상으로 변경시키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하되,
    상기 (2) 프로세스에서,
    (I) 상기 특정 공정 영역이 상기 제1 색상에서 상기 제2 색상으로 변경된 상태에서, 상기 특정 작업자가 상기 특정 공정의 작업을 완료하기 위하여 상기 특정 공정 영역을 선택할 때마다, 상기 특정 공정 영역에 대한 선택 신호들을 각각 상기 공정 관리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공정 관리 서버로 하여금 i) 상기 특정 공정 영역에 대한 선택 신호들이 상기 공정 관리 서버로 전송되는 회수를 카운팅하도록 하고, ii) 상기 특정 공정 영역에 대한 선택 신호들이 상기 공정 관리 서버로 전송된 회수가 상기 특정 제품 오더의 발주량에 대응되면 상기 공정 테이블 상의 상기 특정 공정 영역을 상기 제2 색상에서 상기 제3 색상으로 변경시키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 및
    (II) 상기 특정 공정 영역이 상기 제1 색상에서 상기 제2 색상으로 변경된 상태에서, 상기 공정 관리 서버로 하여금 상기 특정 공정에 의해 생산되는 특정 제품이 위치하는 스테이지를 촬영하는 이미지 센서의 영상 이미지를 분석하도록 하여 상기 특정 제품의 개수를 카운팅하도록 하고, 상기 특정 제품의 개수가 상기 특정 제품 오더의 발주량에 대응되면 상기 특정 공정 영역을 상기 제2 색상에서 상기 제3 색상으로 변경시키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II) 프로세스에서,
    (i) 상기 이미지 센서로부터의 상기 영상 이미지가 획득되면, 상기 공정 관리 서버는,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기반의 오브젝트 디텍터(object detector)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 이미지를 컨볼루션 레이어(convolution layer)에 입력시킴으로써 상기 컨볼루션 레이어로 하여금 상기 영상 이미지를 컨볼루션 연산하도록 하여 상기 영상 이미지에 대응되는 디텍션 피처 맵(feature map)을 출력하도록 하고, RPN(Region Proposal Network)에 상기 디텍션 피처 맵을 입력시킴으로써 상기 RPN으로 하여금 ROI(Region Of Interest) 프로포잘(proposal)을 출력하도록 하고, 풀링 레이어(Pooling layer)로 하여금 ROI 프로포잘에 대응되는 상기 디텍션 피처 맵 상의 영역에 포함된 픽셀 데이터에 대해 맥스 풀링(Max pooling) 또는 애버리지 풀링(Average pooling)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도록 하여 상기 디텍션 피처 맵을 소정의 크기로 리사이즈시키도록 하고, 풀링 레이어로 하여금 리사이즈된 상기 디텍션 피처 맵을 참조하도록 하여 피처 벡터를 출력하도록 하고, 상기 피처 벡터를 FC(Fully Connected) 레이어에 입력시킴으로써 상기 FC 레이어로 하여금 신경망 연산을 통해 상기 영상 이미지 상에 위치하는 상기 특정 제품을 디텍션 하도록 하고, 상기 FC 레이어로부터의 디텍션 결과를 참조하여 상기 스테이지에 상기 특정 공정이 진행된 상기 특정 제품의 개수를 카운팅하는 서브 프로세스; 및
    (ii) 상기 이미지 센서로부터의 상기 영상 이미지가 획득되면, 상기 공정 관리 서버는, 상기 영상 이미지를 CNN 기반의 다중 컨볼루션 레이어에 입력시킴으로써 상기 다중 컨볼루션 레이어로 하여금 상기 영상 이미지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컨볼루션 연산을 수행하도록 하여 상기 영상 이미지에 대응되는 세그멘테이션 피처 맵을 출력하도록 하고, 상기 세그멘테이션 피처 맵을 CNN 기반의 다중 디컨볼루션 레이어(deconvolution layer)에 입력시킴으로써 상기 다중 디컨볼루션 레이어로 하여금 상기 세그멘테이션 피처 맵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디컨볼루션 연산을 수행하도록 하여 라벨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하고, 상기 라벨 이미지에 따른 세그멘테이션된 상기 영상 이미지를 참조하여 상기 스테이지에 상기 특정 공정이 진행된 상기 특정 제품의 개수를 카운팅하는 서브 프로세스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도록, 상기 프로세서가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작업자 단말.
  25. 삭제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자재 현황 데이터가 참조되어 상기 제품 오더 리스트의 상기 각각의 제품 오더들에 소요되는 자재가 상기 각각의 제품 오더들의 상기 우선 순위에 따라 카운팅되면, 상기 공정 관리 서버로 하여금 상기 공정 테이블 상의 상기 소요 자재 정보 중 소요 자재가 부족한 소요 자재 부족 제품 오더들에 대응되는 부족 소요 자재 영역을 제4 색상으로 표시하도록 지원하고, 상기 부족 소요 자재 영역에 부족 소요 자재의 개수를 표시하도록 지원하며, 이를 자재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도록 지원하는 특정 작업자 단말.
KR1020190047588A 2019-04-23 2019-04-23 스프레드 시트 타입의 공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공정을 관리하는 방법, 이를 이용한 공정 관리 서버 및 특정 작업자 단말 KR1020483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7588A KR102048377B1 (ko) 2019-04-23 2019-04-23 스프레드 시트 타입의 공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공정을 관리하는 방법, 이를 이용한 공정 관리 서버 및 특정 작업자 단말
US16/855,208 US11288610B2 (en) 2019-04-23 2020-04-22 Method for managing sequential processes by using spreadsheet-type process data, process managing server and specific worker's terminal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7588A KR102048377B1 (ko) 2019-04-23 2019-04-23 스프레드 시트 타입의 공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공정을 관리하는 방법, 이를 이용한 공정 관리 서버 및 특정 작업자 단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8377B1 true KR102048377B1 (ko) 2019-11-25

Family

ID=68730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7588A KR102048377B1 (ko) 2019-04-23 2019-04-23 스프레드 시트 타입의 공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공정을 관리하는 방법, 이를 이용한 공정 관리 서버 및 특정 작업자 단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288610B2 (ko)
KR (1) KR10204837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90397A (zh) * 2019-12-18 2020-05-22 广东省智能制造研究所 一种陶瓷浆料的流转控制方法及浆料管理系统
KR102210614B1 (ko) * 2020-02-12 2021-02-03 주식회사 씨엠엑스 머신러닝에 기반하여 건축물의 공간 상태 정보를 판별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공간 상태 정보 판별 서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4247A (ko) * 2000-10-31 2002-05-09 구자홍 생산 관리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의 운영 방법
KR20090000285A (ko) * 2007-02-15 2009-01-07 주식회사 엠티에스코리아 공정관리 시스템 및 공정관리 방법
KR20120135962A (ko) * 2011-06-08 2012-12-18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워크 프로세스 기반의 신규 제품 및 기술 개발 관리 장치 및 방법
JP2015225440A (ja) * 2014-05-27 2015-12-14 新日本リース株式会社 検収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77577B2 (en) * 2001-01-31 2009-08-18 Dell Products L.P. Pull to customer order demand fulfillment system and method
US20050246240A1 (en) * 2004-05-03 2005-11-03 Padilla Raymund M System and method for business-to-business buying, selling, sourcing and matching of proudcts and services across multiple business partners over the internet
US20060195494A1 (en) * 2005-02-09 2006-08-31 Process Path, Inc. Compiler, system and method for defining, assigning, executing and monitoring processes and tasks in process management applications
US20070033080A1 (en) * 2005-08-04 2007-02-08 Prolify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 discovery related applications
JP6748046B2 (ja) * 2017-09-29 2020-08-26 日立建機株式会社 部品調達システム及び部品調達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4247A (ko) * 2000-10-31 2002-05-09 구자홍 생산 관리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의 운영 방법
KR20090000285A (ko) * 2007-02-15 2009-01-07 주식회사 엠티에스코리아 공정관리 시스템 및 공정관리 방법
KR20120135962A (ko) * 2011-06-08 2012-12-18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워크 프로세스 기반의 신규 제품 및 기술 개발 관리 장치 및 방법
JP2015225440A (ja) * 2014-05-27 2015-12-14 新日本リース株式会社 検収システ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90397A (zh) * 2019-12-18 2020-05-22 广东省智能制造研究所 一种陶瓷浆料的流转控制方法及浆料管理系统
KR102210614B1 (ko) * 2020-02-12 2021-02-03 주식회사 씨엠엑스 머신러닝에 기반하여 건축물의 공간 상태 정보를 판별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공간 상태 정보 판별 서버
KR102260056B1 (ko) * 2020-02-12 2021-06-03 주식회사 씨엠엑스 머신러닝에 기반하여 건축물의 공간 상태 정보를 판별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공간 상태 정보 판별 서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342383A1 (en) 2020-10-29
US11288610B2 (en) 2022-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1007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dashboard for a collaboration work management platform
US10423443B2 (en) Task management interface
CN100458726C (zh) 生产管理装置、生产管理方法以及生产管理系统
US20210018912A1 (en) Robot Management System
US10423669B2 (en) Manufacturing process visualization apparatus and method
JP2008509502A (ja) グラフィック再検査ユーザ設定インタフェース
CN103917708B (zh) 刺绣设计生产管理设备和方法
WO2015179998A1 (zh) 一种制造最佳化的平台及方法
KR102048377B1 (ko) 스프레드 시트 타입의 공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공정을 관리하는 방법, 이를 이용한 공정 관리 서버 및 특정 작업자 단말
JP2008299762A (ja) 生産管理プログラム
US20160155081A1 (en) Process flow header
CN112766655B (zh) 自动化排产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6897858A (zh) 一种工作流处理方法和系统
US11550308B2 (en) Dynamic value stream management
CN106681701A (zh) 一种任务的显示方法和装置
JP2002251603A (ja) 画像処理プログラム作成方法およびそのシステム
US11593739B2 (en)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production management
JP2003513185A (ja) 建設工事の検査を支援する方法および装置
CN112200491B (zh) 一种数字孪生模型构建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1680236A (zh) 菜单显示方法、装置、终端设备及存储介质
CN113673797A (zh) 生产监测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20140195311A1 (en) Method and system for integrating production, quality and repository functions in a computer-based manufacturing system
JP2004139472A (ja) 作業計画立案システム、作業計画立案方法及びプログラム並びに媒体
CN115985069B (zh) 一种自动消防报警设备管理系统及方法
EP4109364B1 (en) Method and device for managing project by using data poin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