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3135A - 헤드레스트 모듈 - Google Patents
헤드레스트 모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23135A KR20220023135A KR1020200104681A KR20200104681A KR20220023135A KR 20220023135 A KR20220023135 A KR 20220023135A KR 1020200104681 A KR1020200104681 A KR 1020200104681A KR 20200104681 A KR20200104681 A KR 20200104681A KR 20220023135 A KR20220023135 A KR 2022002313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stay
- moving body
- mounting base
- plate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0452 restrain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1174 ascend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08000028373 Neck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OAICVXFJPJFONN-UHFFFAOYSA-N Phosphorus Chemical compound [P] OAICVXFJPJFON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3011 ma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65—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providing a fore-and-aft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occupant's hea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 B60N2/0232—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1—Minimizing space with more compact designs or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테이; 상기 스테이에 결합되는 마운팅 베이스; 상기 마운팅 베이스에 대해 상기 스테이가 이루는 평면에 교차하는 전후 방향을 따라 상대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전후 이동 바디; 및 상기 전후 이동 바디를 상기 전후 방향을 따라 구동하는 전후 구동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전후 구동 유닛은, 상기 마운팅 베이스 및 상기 전후 이동 바디 중 하나에 설치되는 제1 모터; 상기 제1 모터에 연동되어 편심 회전하는 편심회전 유닛; 및 상기 마운팅 베이스 및 상기 전후 이동 바디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고, 상기 편심회전 유닛의 편심 회전을 상기 전후 방향을 따른 상기 전후 이동 바디의 이동으로 전환하는 제1 전환 유닛을 포함하는, 헤드레스트 모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동차에 사용되는 헤드레스트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헤드레스트(Head rest)는 시트(Seat)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탑승자의 머리 높이에 맞게 승강 및 회전 조작하여 머리 받침대로도 사용되는 것이다. 헤드레스트는 또한 차량의 후면 충돌시 탑승자의 머리를 받쳐서 목 부상을 방지하기도 한다.
최근에는 헤드레스트가 목 부상을 방지하기 위한 기능이나 머리 받침대 이외에도, 그의 배면에 영상 시청용 모니터 등이 부착되는 대상물로서 사용되기도 한다. 이 경우, 헤드레스트는 후방 탑승자가 차량 내에서 영상물 시청을 위해 전/후 방향으로 직선 운동시킬 수 있도록 제작되고 있다.
그런데, 헤드레스트를 직선 운동시키기 위한 구성은 부품수가 많아서 그 구조가 복잡하고 제작 공정도 까다로운 편이다. 또한, 헤드레스트는 그러한 구성을 채용함에 의해 슬림화에도 한계가 있다. 자율주행차 시대가 본격화됨에 의해, 자동차의 실내 공간은 업무 공간, 또는 휴식 공간이 되어 가고 있는 현실을 감안하면, 실내 공간에서 많은 부피를 차지하는 시트, 나아가 헤드레스트의 슬림화는 절실한 요구 사항이기도 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헤드레스트의 위치 조절 기능을 제공하면서도, 기존보다 슬림화하여 자율주행차 시대에 요구되는 실내 공간의 극대화에 부응할 수 있는, 헤드레스트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헤드레스트 모듈은, 스테이; 상기 스테이에 결합되는 마운팅 베이스; 상기 마운팅 베이스에 대해 상기 스테이가 이루는 평면에 교차하는 전후 방향을 따라 상대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전후 이동 바디; 및 상기 전후 이동 바디를 상기 전후 방향을 따라 구동하는 전후 구동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전후 구동 유닛은, 상기 마운팅 베이스 및 상기 전후 이동 바디 중 하나에 설치되는 제1 모터; 상기 제1 모터에 연동되어 편심 회전하는 편심회전 유닛; 및 상기 마운팅 베이스 및 상기 전후 이동 바디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고, 상기 편심회전 유닛의 편심 회전을 상기 전후 방향을 따른 상기 전후 이동 바디의 이동으로 전환하는 제1 전환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편심회전 유닛은, 구동 접촉면을 외주면으로서 구비하는 캠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전환 유닛은, 상기 구동 접촉면과 접촉되는 피동 접촉면을 내주면으로서 구비하고, 상기 캠을 수용하는 구속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 접촉면은, 원형 단면을 가지고, 상기 피동 접촉면은, 상기 구동 접촉면과 접촉되며 서로 평행한 한 쌍의 대응 접촉면을 포함하고, 상기 대응 접촉면은, 상기 전후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배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마운팅 베이스는, 상기 전후 방향을 따라 제1 폭을 가지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를 상기 스테이에 결합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후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폭 보다 큰 제2 폭을 가지는 결합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모터는, 상기 제2 폭에서 상기 제1 폭을 뺀 장착 공간을 차지하도록 상기 플레이트에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플레이트는,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모터는, 상기 개구부에 삽입된 채로 상기 플레이트에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플레이트는, 관통홀을 구비하는 장착 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후 구동 유닛은, 상기 제1 모터를 관통한 채로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어 상기 장착 브라켓에 고정되는 고정 피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테이는, 서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 유닛은, 상기 플레이트의 양단부 각각에 연결되고, 상기 스테이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한 쌍의 클램핑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클램핑부 각각은,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 중 인접한 하나를 중심으로 서로 마주하는 제1 대응 영역과 제2 대응 영역; 및 상기 제1 대응 영역과 상기 제2 대응 영역을 연결하는 연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후 이동 바디는, 상기 전후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가이드 핀을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 및 상기 결합 유닛 중 하나는, 상기 가이드 핀이 관통 삽입되는 가이드 홀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핀이 상기 가이드 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전후 이동 바디는 상기 전후 구동 유닛의 작동에 의해 상기 전후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마운팅 베이스를 상기 전후 방향에 교차하는 승강 방향을 따라 승강 구동하는 승강 구동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승강 구동 유닛은, 상기 마운팅 베이스 및 상기 스테이 중 하나에 설치되는 제2 모터; 상기 제2 모터에 연동되어 회전하도록 배치되는 회전 유닛; 및 상기 마운팅 베이스 및 상기 스테이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고, 상기 회전 유닛의 회전을 상기 승강 방향을 따른 상기 마운팅 베이스 및 상기 전후 이동 바디의 이동으로 전환하는 제2 전환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 유닛은, 수나사산을 구비하는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전환 유닛은, 상기 수나사산에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산을 구비하는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테이는, 상기 마운팅 베이스에 결합되는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을 연결하는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너트는, 상기 지지 프레임을 수용하는 수용홈을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는, 상기 지지 프레임 중 상기 수용홈에 수용된 부분을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 모듈에 의하면, 스테이에 마운팅 베이스가 결합되고 마운팅 베이스에 대해서는 전후 이동 바디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게 배치된 상태에서 전후 구동 유닛은 전후 이동 바디를 전후 방향으로 구동하는데, 그는 제1 모터에 의해 편심 회전하는 편심회전 유닛을 가지고 편심회전 유닛에 대응해서는 제1 전환 유닛이 구비되어 편심회전 유닛의 편심 회전을 전후 방향을 따른 전후 이동 바디의 이동으로 전환하게 되어서, 헤드레스트가 전후 방향으로 위치 조절되게 하면서도 전후 방향을 따르는 헤드레스트의 폭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한다. 이는 자율주행차 시대에 요구되는 실내 공간의 극대화에 부응하는 것으로서 의미가 크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모듈(100)에 대한 조립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헤드레스트 모듈(100)에 대한 분해 사이도이며,
도 3은 도 2에서 헤드레스트 모듈(100)의 요부만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헤드레스트 모듈(100)의 요부 간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간략형의 개념도이며,
도 5는 도 2에서 전후 구동 유닛(160)과 승강 구동 유닛(170)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요부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를 반대 방향에서 바라본 요부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2에서 전후 구동 유닛(160)의 요부의 작동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의 헤드레스트 모듈(100)에 대한 분해 사이도이며,
도 3은 도 2에서 헤드레스트 모듈(100)의 요부만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헤드레스트 모듈(100)의 요부 간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간략형의 개념도이며,
도 5는 도 2에서 전후 구동 유닛(160)과 승강 구동 유닛(170)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요부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를 반대 방향에서 바라본 요부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2에서 전후 구동 유닛(160)의 요부의 작동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모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모듈(100)에 대한 조립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헤드레스트 모듈(100)은 헤드레스트의 기구적 구성의 대부분을 이룬다. 이러한 헤드레스트 모듈(100)에 쿠션이 더해진 후에, 최종적으로 외피가 씌워진다면, 그것이 헤드레스트가 된다. 이러한 헤드레스트는 자동차의 시트 백(미도시)의 상측에 위치하여, 착석자의 머리를 받치는 구성이 된다. 헤드레스트는 전후 방향(F 및 B)을 따라 그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헤드레스트는 또한 시트 백에 대해 승강 방향(V)으로 위치가 조절될 수도 있다.
헤드레스트 모듈(100)은, 구체적으로, 스테이(110)와, 전후 이동 바디(150)를 포함한다. 나아가, 헤드레스트 모듈(100)이 전동 구동되는 경우에는 조작기(18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스테이(110)는 시트백에 결합되는 베이스 프레임(111)을 포함한다. 베이스 프레임(111)은 대체로 서로 평행한 한 쌍으로 구비되어, 승강 방향(V)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111)의 상부는 전후 이동 바디(15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전후 이동 바디(150)는 스테이(110)의 일 부분을 내장한 채로, 스테이(110)에 대해 전후 방향(F 및 B)을 따라 상대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전후 방향(F 및 B)은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111)이 이루는 평면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전후 이동 바디(150)는 쿠션으로 감싸지고 또한 외피에 의해 최종 마감되어, 사용자의 머리를 받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조작기(180)는 사용자로부터 이동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이동 명령은, 구체적으로, 전후 이동 바디(150)를 전후 방향(F 및 B)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명령이거나, 전후 이동 바디(150)를 승강 방향(V)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명령일 수 있다. 이러한 이동은, 후술할 전후 구동 유닛(160) 및 승강 구동 유닛(170, 이상 도 2 참조)의 작동에 따라 이루어진다.
이상의 헤드레스트 모듈(100)에 대한 구체적 구성은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헤드레스트 모듈(100)에 대한 분해 사이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헤드레스트 모듈(100)의 요부만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헤드레스트 모듈(100)의 요부 간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간략형의 개념도이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헤드레스트 모듈(100)은, 앞서 언급한 스테이(110) 및 전후 이동 바디(150)에 더하여, 플레이트(120), 결합 유닛(130), 전후 구동 유닛(160), 그리고 승강 구동 유닛(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테이(110)는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111)을 가질 수 있다.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111)은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111)에서 절곡된 방향을 따라서는 지지 프레임(115)이 연장될 수 있다.
플레이트(120)는 스테이(110), 구체적으로는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111) 간의 영역에 대응하는 사이즈,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에 따라, 플레이트(120)는 대체로 직사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120)는 하나의 온전한 형태의 판재이거나, 본 실시예와 같이 전후 구동 유닛(160)과 승강 구동 유닛(170), 구체적으로 그의 모터 장착을 위한 개구부(121)나 절곡부(125)를 가진 판재일 수도 있다. 플레이트(120)는 전후 방향(F 및 B)을 따라 제1 폭(W1)을 가진다. 플레이트(120)는 금속 소재가 프레스 가공되어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 제1 폭(W1)에도 불구하고 전후 구동 유닛(160) 등을 지지하기 위한 충분한 강성을 갖게 된다.
결합 유닛(130)은 플레이트(120)를 스테이(110), 구체적으로는 베이스 프레임(111)에 결합시키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결합 유닛(130)은 플레이트(120)의 양단부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결합 유닛(130)이 플레이트(120)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으로 구비되는 경우에, 그들 한 쌍은 서로 간에 이격 배치될 수 있다. 결합 유닛(130)은 플레이트(120)와 연결되어 스테이(110)에 결합되고, 또한 전후 구동 유닛(160) 및 승강 구동 유닛(170)이 장착되는 대상이 된다. 그에 따라, 결합 유닛(130) 및 플레이트(120)는 마운팅 베이스로 통칭될 수도 있다.
결합 유닛(130)은, 구체적으로 베이스 프레임(111)을 감싸는 형태의 클램핑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클램핑부는 스테이(110)에 연관되어 서로 대응하도록 배치되는 제1 대응 영역(131)과 제2 대응 영역(132)을 가질 수 있다. 제1 대응 영역(131) 및 제2 대응 영역(132)은, 구체적으로, 베이스 프레임(111)을 중심으로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대응 영역(131) 및 제2 대응 영역(132)은 서로 평행한 것으로 예시되나, 서로 간에 경사지게 배열될 수도 있다. 제1 대응 영역(131)과 제2 대응 영역(132)은 연결 영역(133)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연결 영역(133)은 제1 대응 영역(131) 및 제2 대응 영역(132)에 대해 수직한 평면인 것으로 예시되나, 그는 곡면 등의 다른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결합 유닛(130)은 플레이트(120)와 단일 부재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원판의 중앙부를 프레스 가공하여 플레이트(120) 부분을 성형한 후에, 상기 원판의 가장 자리 부분을 벤딩 가공하여 결합 유닛(130)이 성형될 수 있다.
제1 대응 영역(131) 및 제2 대응 영역(132) 중 적어도 하나는 스테이(110)에 접촉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대응 영역(131)의 제1 접촉부(131a)와 제2 대응 영역(132)의 제2 접촉부(132b)가 베이스 프레임(111)에 접촉된 경우에, 플레이트(120)는 스테이(110)에 대해 2점 지지될 수 있다. 그에 의해, 스테이(110)에 대한 플레이트(120)의 피칭(pitching)이 제한되어, 그들 간의 안정적인 결합 및 상대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1 접촉부(131a) 및 제2 접촉부(132b)는 베이스 프레임(111)에 대해 승강 방향(V)을 따라 연장되는 선 접촉을 하거나, 일정 부분 면 접촉을 하는 것일 수 있다.
결합 유닛(130)은 전후 방향(F 및 B)을 따라 제2 폭(W2)을 가진다. 제2 폭(W2)은 제1 대응 영역(131)과 제2 대응 영역(132) 간의 폭으로서, 본 실시예서는 연결 영역(133)의 폭에 대응하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제2 폭(W2)은 플레이트(120)의 제1 폭(W1) 보다 큰 것이다.
결합 유닛(130)은 제1 가이드 홀(135), 나아가 제2 가이드 홀(136)을 더 가질 수 있다. 제1 가이드 홀(135)과 제2 가이드 홀(136)은 상기 클램핑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가이드 홀(135)이 제1 대응 영역(131)에 형성되는 것이라면, 제2 가이드 홀(136)은 제2 대응 영역(132)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이드 홀(135) 및 제2 가이드 홀(136)은 서로 대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상과 달리, 제2 가이드 홀(136)은 구비되지 않고 제1 가이드 홀(135)만이 구비될 수도 있다. 나아가, 제1 가이드 홀(135)은 제1 대응 영역(131)이 아닌 플레이트(120)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결합 유닛(130)은 베이스 프레임(111)에 대해 승강 방향(V)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전후 이동 바디(150)는 가이드 핀(151)과, 몸체(155 및 156)를 가질 수 있다.
가이드 핀(151)은 전후 방향(F 및 B)을 따라 배열되고, 제1 가이드 홀(135){및 제2 가이드 홀(136)}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가이드 핀(151)은 베이스 프레임(111)에 접촉한 채로 전후 방향(F 및 B)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가이드 핀(151)은 베이스 프레임(111)에 접촉되는 제3 접촉부(151a)를 가지게 된다. 제3 접촉부(151a)는 앞서 설명한 제1 및 제2 접촉부(131a 및 132a)와 함께, 베이스 프레임(111)에 대해 3점 지지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나아가, 한 쌍의 가이드 핀(151)이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111)의 외측에서 베이스 프레임(111)에 접촉됨에 의해, 스테이(110)에 대한 플레이트(120)의 롤링(rolling)이 제한될 수 있다.
몸체(155 및 156)는 플레이트(120), 결합 유닛(130), 전후 구동 유닛(160) 등을 감싸는 부분이다. 몸체(155 및 156)는 구체적으로, 제1 몸체(155)와 제2 몸체(156)로 나뉘어 그들이 체결 부재(159)에 의해 서로 체결된 형태가 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 핀(151)은 제1 몸체(155)에 결합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제1 몸체(155)와 일체로 사출 성형된 것일 수 있다. 체결 부재(159)는 제2 몸체(156) 측에서 가이드 핀(151)에 삽입된 채로 제1 몸체(155)에 결합되어, 가이드 핀(151)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전후 구동 유닛(160)은 전후 이동 바디(150)를 전후 방향(F 및 B)을 따라 구동하기 위한 구성이다. 전후 구동 유닛(160)은 플레이트(120)에 장착되어, 앞서 설명한 ΔW에 의한 장착 공간을 차지할 수 있다. 전후 구동 유닛(160)은 전동 구동을 위한 제1 모터(161) 등의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승강 구동 유닛(170)은 플레이트(120) 및 결합 유닛(130)을 승강 방향(V)을 따라 구동하기 위한 구성이다. 승강 구동 유닛(170)은 전후 구동 유닛(160)과 같이 플레이트(120)에 장착되고, 역시 ΔW에 의한 장착 공간을 차지할 수 있다. 승강 구동 유닛(170) 역시 전동 구동을 위한 제2 모터(171) 등의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승강 구동 유닛(170) 및 전후 구동 유닛(160)은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는 자신의 신체 사이즈에 최적화하기 위하여, 조작기(180)를 조작하여 전후 이동 바디(150)의 위치를 조절하고자 할 수 있다.
먼저, 사용자가 전후 방향(F 및 B)의 위치를 조작하고자 하는 경우에, 조작기(180)에 대한 조작에 의해 전후 구동 유닛(160)이 작동하면, 가이드 핀(151)은 제1 가이드 홀(135){및 제2 가이드 홀(136)}에 삽입된 상태에서 몸체(155 및 156)는 전후 방향(F 및 B)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전후 구동 유닛(160)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른 시간 동안 작동하여, 몸체(155 및 156)가 전후 방향(F 및 B)을 따라 사용자가 의도한 위치에서 멈추게 한다. 이러한 작동 중에, 플레이트(120) 및 결합 유닛(130)은 전후 방향(F 및 B)을 따라 이동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승강 방향(V)의 위치를 조작하고자 하는 경우에, 조작기(180)에 대한 조작에 의해 승강 구동 유닛(170)이 작동하면, 결합 유닛(130)이 베이스 프레임(111)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클램핑하는 상태에서 플레이트(120) 및 결합 유닛(130) 그리고 전후 이동 바디(150)는 승강 방향(V)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승강 구동 유닛(170)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른 시간 동안 작동하여, 플레이트(120) 및 결합 유닛(130)이 승강 방향(V)을 따라 사용자가 의도한 위치에서 멈추게 한다.
이상과 같이 전후 구동 유닛(160) 및 승강 구동 유닛(170) 등을 채용한 경우라도, 그들은 ΔW에 의한 장착 공간을 차지하여 설치되므로, 헤드레스트 모듈(100)의 전후 방향(F 및 B)을 따른 폭을 증가시키는 정도는 크지 않게 된다. 구체적으로, 제1 폭(W1)은 1.5 mm일 때, 제2 폭(W2)은 15.8 mm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그들 간의 차(ΔW)는 14.3 mm가 된다. 이러한 ΔW는 헤드레스트 모듈(100)의 전체 폭이 작아지게 하는 요소가 된다. 구체적으로, 본 헤드레스트 모듈(100)의 전후 방향(F 및 B)을 따르는 전체 폭은 전후 이동 바디(150)의 폭으로서, 전후 구동 유닛(160) 및 승강 구동 유닛(170)을 채용함에도, 75 mm 정도에 불과함을 확인하였다.
이상에서 전후 구동 유닛(160) 및 승강 구동 유닛(170)의 구체적 구성은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5는 도 2에서 전후 구동 유닛(160)과 승강 구동 유닛(170)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요부의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전후 구동 유닛(160)은, 제1 모터(161)에 더하여, 편심회전 유닛(164)과 제1 전환 유닛(167,168, 도 2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편심회전 유닛(164)은 제1 모터(161)에 연동되어 편심 회전하는 구성으로서, 구체적으로 캠일 수 있다. 상기 캠은 대체로 원판형 부재(164a)와 그의 중심에서 벗어나 연결되는 입력축(164b)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입력축(164b)은 제1 모터(161)의 출력축에 맞물려 회전하게 되는데, 그들이 서로 교차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경우에는 그들의 연동을 위해 베벨 기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원판형 부재(164a)의 외주면은 구동 접촉면(165)이 될 수 있다.
제1 전환 유닛(167,168)은 편심회전 유닛(164)의 편심 회전을 전후 이동 바디(150)의 전후 방향(F 및 B)을 따른 이동으로 전환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제1 전환 유닛(167,168)은 편심회전 유닛(164)과 맞물려서 작동하게 된다. 제1 전환 유닛(167,168)은, 구체적으로, 전후 이동 바디(150)의 몸체(155 및 156)에 형성되는 구속 공간일 수 있다. 상기 구속 공간은 상기 캠을 수용하며, 그의 내주면은 구동 접촉면(165)과 접촉되는 피동 접촉면(169, 도 7 참조)을 이룰 수 있다.
승강 구동 유닛(170)은, 제2 모터(171)에 더하여, 회전 유닛(174)과 제2 전환 유닛(177)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 유닛(174)은 제2 모터(171)에 연동되어 회전하는 구성으로서, 구체적으로 샤프트일 수 있다. 상기 샤프트는 승강 방향(V)을 따라 베이스 프레임(111)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샤프느는 제2 모터(171)의 출력축에 맞물려 회전하게 되는데, 그들이 서로 교차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경우에는 그들의 연동을 위해 베벨 기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에는 수나사산(175)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전환 유닛(177)은 회전 유닛(174)의 회전을 상기 마운팅 베이스 및 전후 이동 바디(150)의 승강 방향(V)을 따르는 이동으로 전환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제2 전환 유닛(177)은 수나사산(175)에 나사 결합하는 암나사산(미도시)을 구비하는 너트일 수 있다. 상기 너트는 지지 프레임(115)에 결합되는데, 이는 그의 측방으로 개방된 수용홈(178)에 지지 프레임(115)이 수용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 상태에서 상기 너트는 지지 프레임(115)에 대해 용접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샤프트는 지지 프레임(115) 중 수용홈(178)에 수용된 부분에 형성되는 관통홀(116, 도 3 참조)을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너트가 지지 프레임(115)에 결합됨에도 불구하고, 그 결합에 따라 전후 방향(F 및 B)을 따라 전체 폭이 증가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 전후 구동 유닛(160)의 제1 모터(161)와 제1 전환 유닛(167,168)은 서로 반대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해, 제1 모터(161)가 전후 이동 바디(150)에 설치되고, 제1 전환 유닛(167,168)이 상기 마운팅 베이스에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유사하게, 승강 구동 유닛(170)의 경우에도, 제2 모터(171)가 스테이(110)에 설치되고, 제2 전환 유닛(177)이 상기 마운팅 베이스에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도 6은 도 5를 반대 방향에서 바라본 요부의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제1 모터(161) 및 제2 모터(171)는 플레이트(120)에 대해 강인한 결합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플레이트(120)의 개구부(121)에 제1 모터(161)가 삽입된 상태에서, 그 개구부(121)의 측방에는 장착 브라켓(127)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장착 브라켓(127)은 제1 모터(161)가 개구부(121)를 관통하여 돌출되는 방향을 따라 돌출되기에, 제1 모터(161)의 측면 중 일부분에 대응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고정 피스(169)는 장착 브라켓(127)의 관통홀 및 제1 모터(161)의 관통홀을 관통하여 장착 브라켓(127)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 피스(169)는 장착 브라켓(127) 및 제1 모터(161)를 관통하는 볼트와, 그 볼트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결합 구조에 의해, 제1 모터(161)는 플레이트(120)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나아가, 제2 모터(171) 역시 제1 모터(161)와 동일한 결합 구조에 의해 플레이트(120)에 결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은 도 2에서 전후 구동 유닛(160)의 요부의 작동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전후 구동 유닛(160)에 있어서, 편심회전 유닛(164)의 구동 접촉면(165)이 원형 단면을 가지는 경우에, 제1 전환 유닛(167,168)은 그를 수용하는 공간으로서 그의 내주면인 피동 접촉면(169)은 대체로 트랙형 단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달리, 피동 접촉면(169)은 직사각형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피동 접촉면(169)은, 구체적으로, 서로 평행한 한 쌍의 대응 접촉면(169a)을 가질 수 있다. 대응 접촉면(169a)은 구동 접촉면(165)과 접촉되어, 구동 접촉면(165)의 편심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힘을 받게 된다. 여기서, 대응 접촉면(169a)은 전후 방향(F 및 B)에 교차하는 교차 방향(T)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교차 방향(T)은 스테이(110)의 지지 프레임(115)이 연장하는 방향에 평행한 방향일 수 있다.
이렇게 피동 접촉면(169)이 교차 방향(T)을 따라 배치됨에 의해, 전후 방향(F 및 B)을 따라 헤드레스트 모듈(100)의 전체 폭이 증가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헤드레스트 모듈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0: 헤드레스트 모듈
110: 스테이
120: 플레이트 130: 결합 유닛
150: 전후 이동 바디 160: 전후 구동 유닛
170: 상승 구동 유닛 180: 조작기
120: 플레이트 130: 결합 유닛
150: 전후 이동 바디 160: 전후 구동 유닛
170: 상승 구동 유닛 180: 조작기
Claims (12)
- 스테이;
상기 스테이에 결합되는 마운팅 베이스;
상기 마운팅 베이스에 대해 상기 스테이가 이루는 평면에 교차하는 전후 방향을 따라 상대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전후 이동 바디; 및
상기 전후 이동 바디를 상기 전후 방향을 따라 구동하는 전후 구동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전후 구동 유닛은,
상기 마운팅 베이스 및 상기 전후 이동 바디 중 하나에 설치되는 제1 모터;
상기 제1 모터에 연동되어 편심 회전하는 편심회전 유닛; 및
상기 마운팅 베이스 및 상기 전후 이동 바디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고, 상기 편심회전 유닛의 편심 회전을 상기 전후 방향을 따른 상기 전후 이동 바디의 이동으로 전환하는 제1 전환 유닛을 포함하는, 헤드레스트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회전 유닛은,
구동 접촉면을 외주면으로서 구비하는 캠을 포함하는, 헤드레스트 모듈.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환 유닛은,
상기 구동 접촉면과 접촉되는 피동 접촉면을 내주면으로서 구비하고, 상기 캠을 수용하는 구속 공간을 포함하는, 헤드레스트 모듈.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접촉면은, 원형 단면을 가지고,
상기 피동 접촉면은, 상기 구동 접촉면과 접촉되며 서로 평행한 한 쌍의 대응 접촉면을 포함하고,
상기 대응 접촉면은, 상기 전후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헤드레스트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베이스는,
상기 전후 방향을 따라 제1 폭을 가지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를 상기 스테이에 결합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후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폭 보다 큰 제2 폭을 가지는 결합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모터는,
상기 제2 폭에서 상기 제1 폭을 뺀 장착 공간을 차지하도록 상기 플레이트에 장착되는, 헤드레스트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모터는,
상기 개구부에 삽입된 채로 상기 플레이트에 장착되는, 헤드레스트 모듈.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관통홀을 구비하는 장착 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후 구동 유닛은,
상기 제1 모터를 관통한 채로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어 상기 장착 브라켓에 고정되는 고정 피스를 더 포함하는, 헤드레스트 모듈.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는,
서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 유닛은,
상기 플레이트의 양단부 각각에 연결되고, 상기 스테이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한 쌍의 클램핑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클램핑부 각각은,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 중 인접한 하나를 중심으로 서로 마주하는 제1 대응 영역과 제2 대응 영역; 및
상기 제1 대응 영역과 상기 제2 대응 영역을 연결하는 연결 영역을 포함하는는, 헤드레스트 모듈.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 이동 바디는,
상기 전후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가이드 핀을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 및 상기 결합 유닛 중 하나는,
상기 가이드 핀이 관통 삽입되는 가이드 홀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핀이 상기 가이드 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전후 이동 바디는 상기 전후 구동 유닛의 작동에 의해 상기 전후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형성되는, 헤드레스트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베이스를 상기 전후 방향에 교차하는 승강 방향을 따라 승강 구동하는 승강 구동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승강 구동 유닛은,
상기 마운팅 베이스 및 상기 스테이 중 하나에 설치되는 제2 모터;
상기 제2 모터에 연동되어 회전하도록 배치되는 회전 유닛; 및
상기 마운팅 베이스 및 상기 스테이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고, 상기 회전 유닛의 회전을 상기 승강 방향을 따른 상기 마운팅 베이스 및 상기 전후 이동 바디의 이동으로 전환하는 제2 전환 유닛을 포함하는, 헤드레스트 모듈.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유닛은,
수나사산을 구비하는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전환 유닛은,
상기 수나사산에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산을 구비하는 너트를 포함하는, 헤드레스트 모듈.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는,
상기 마운팅 베이스에 결합되는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을 연결하는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너트는,
상기 지지 프레임을 수용하는 수용홈을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는,
상기 지지 프레임 중 상기 수용홈에 수용된 부분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헤드레스트 모듈.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04681A KR102421468B1 (ko) | 2020-08-20 | 2020-08-20 | 헤드레스트 모듈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04681A KR102421468B1 (ko) | 2020-08-20 | 2020-08-20 | 헤드레스트 모듈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23135A true KR20220023135A (ko) | 2022-03-02 |
KR102421468B1 KR102421468B1 (ko) | 2022-07-18 |
Family
ID=80815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04681A KR102421468B1 (ko) | 2020-08-20 | 2020-08-20 | 헤드레스트 모듈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21468B1 (ko)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70346U (ja) * | 1992-03-02 | 1993-09-24 | 高島屋日発工業株式会社 | ランバーサポート機構 |
JPH0686607U (ja) * | 1993-06-08 | 1994-12-20 | アラコ株式会社 | 車両用シートのヘッドレスト装置 |
JPH0898736A (ja) * | 1994-09-29 | 1996-04-16 | Aisin Seiki Co Ltd | ヘッドレスト装置 |
KR20070009086A (ko) * | 2005-07-15 | 2007-01-18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차량용 시트의 헤드 레스트 및 그 제어방법 |
KR101769342B1 (ko) * | 2016-04-26 | 2017-08-21 | 주식회사 우보테크 |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
KR101784154B1 (ko) * | 2016-10-18 | 2017-10-11 | 현대다이모스(주) | 헤드레스트 장치 |
JP2017210057A (ja) * | 2016-05-24 | 2017-11-30 | トヨタ紡織株式会社 | ヘッドレスト |
-
2020
- 2020-08-20 KR KR1020200104681A patent/KR10242146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70346U (ja) * | 1992-03-02 | 1993-09-24 | 高島屋日発工業株式会社 | ランバーサポート機構 |
JPH0686607U (ja) * | 1993-06-08 | 1994-12-20 | アラコ株式会社 | 車両用シートのヘッドレスト装置 |
JPH0898736A (ja) * | 1994-09-29 | 1996-04-16 | Aisin Seiki Co Ltd | ヘッドレスト装置 |
KR20070009086A (ko) * | 2005-07-15 | 2007-01-18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차량용 시트의 헤드 레스트 및 그 제어방법 |
KR101769342B1 (ko) * | 2016-04-26 | 2017-08-21 | 주식회사 우보테크 |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
JP2017210057A (ja) * | 2016-05-24 | 2017-11-30 | トヨタ紡織株式会社 | ヘッドレスト |
KR101784154B1 (ko) * | 2016-10-18 | 2017-10-11 | 현대다이모스(주) | 헤드레스트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21468B1 (ko) | 2022-07-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506011B2 (en) | Vehicle seat and vehicle seat assembling method | |
KR102576172B1 (ko) | 차량용 시트 스위블 장치 | |
JP3814270B2 (ja) | 車両用自動開閉装置 | |
CN102442232A (zh) | 用于交通工具座椅的可运动头部保护装置 | |
JP7436858B2 (ja) | 電動スライドレール及び電動スライドレールを備えた乗物用シート | |
KR101870345B1 (ko) |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 |
KR20190053448A (ko) | 자동차의 전동식 슬라이딩 콘솔 | |
KR101987030B1 (ko) | 자동차의 전동식 슬라이딩 콘솔 | |
US10589650B2 (en) | Headrest device | |
CN110316086A (zh) | 车辆、车载显示终端系统及其控制方法 | |
US10266089B2 (en) | Headrest | |
JP6647409B2 (ja) | 車両用シート | |
KR102421468B1 (ko) | 헤드레스트 모듈 | |
JP5076685B2 (ja) | 車両用シート | |
KR102435907B1 (ko) | 헤드레스트 모듈 | |
US10293727B2 (en) | Headrest | |
KR102154755B1 (ko) | 헤드레스트 모듈 및 그에 사용되는 스테이 유닛 | |
KR102445092B1 (ko) | 헤드레스트 어셈블리 | |
KR102419986B1 (ko) | 헤드레스트 모듈 | |
KR102419987B1 (ko) | 헤드레스트 모듈 | |
KR100699053B1 (ko) | 헤드레스트 전·후진장치 | |
US5375915A (en) | Seat structure for a land motor vehicle | |
KR102419989B1 (ko) | 헤드레스트 어셈블리 | |
KR102333282B1 (ko) | 헤드레스트 모듈 | |
KR20200037211A (ko) | 차량용 시트 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