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5907B1 - 헤드레스트 모듈 - Google Patents

헤드레스트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5907B1
KR102435907B1 KR1020200101489A KR20200101489A KR102435907B1 KR 102435907 B1 KR102435907 B1 KR 102435907B1 KR 1020200101489 A KR1020200101489 A KR 1020200101489A KR 20200101489 A KR20200101489 A KR 20200101489A KR 102435907 B1 KR102435907 B1 KR 1024359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stay
plate
coupling unit
base fram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14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21101A (ko
Inventor
신강목
최일항
신시경
신창용
윤대환
Original Assignee
(주)디앤엠솔루션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앤엠솔루션즈 filed Critical (주)디앤엠솔루션즈
Priority to KR10202001014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5907B1/ko
Publication of KR20220021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11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59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59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65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providing a fore-and-aft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occupant's 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09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나란히 배치되는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을 구비하는 스테이;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이 이루는 평면에 교차하는 전후 방향을 따라 제1 폭을 가지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를 상기 스테이에 결합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후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폭 보다 큰 제2 폭을 가지는 결합 유닛; 상기 전후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가이드 핀을 구비하는 전후 이동 바디; 및 상기 제2 폭에서 상기 제1 폭을 뺀 장착 공간을 차지하도록 상기 플레이트에 장착되고, 상기 전후 이동 바디를 상기 전후 방향을 따라 구동하는 전후 구동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 및 상기 결합 유닛 중 하나는 그에 관통 형성되는 제1 가이드 홀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핀이 상기 제1 가이드 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전후 이동 바디는 상기 전후 구동 유닛의 작동에 의해 상기 전후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형성되는, 헤드레스트 모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헤드레스트 모듈{HEAD REST MODULE}
본 발명은 자동차에 사용되는 헤드레스트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헤드레스트(Head rest)는 시트(Seat)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탑승자의 머리 높이에 맞게 승강 및 회전 조작하여 머리 받침대로도 사용되는 것이다. 헤드레스트는 또한 차량의 후면 충돌시 탑승자의 머리를 받쳐서 목 부상을 방지하기도 한다.
최근에는 헤드레스트가 목 부상을 방지하기 위한 기능이나 머리 받침대 이외에도, 그의 배면에 영상 시청용 모니터 등이 부착되는 대상물로서 사용되기도 한다. 이 경우, 헤드레스트는 후방 탑승자가 차량 내에서 영상물 시청을 위해 전/후 방향으로 직선 운동시킬 수 있도록 제작되고 있다.
그런데, 헤드레스트를 직선 운동시키기 위한 구성은 부품수가 많아서 그 구조가 복잡하고 제작 공정도 까다로운 편이다. 또한, 헤드레스트는 그러한 구성을 채용함에 의해 슬림화에도 한계가 있다. 자율주행차 시대가 본격화됨에 의해, 자동차의 실내 공간은 업무 공간, 또는 휴식 공간이 되어 가고 있는 현실을 감안하면, 실내 공간에서 많은 부피를 차지하는 시트, 나아가 헤드레스트의 슬림화는 절실한 요구 사항이기도 하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필요한 부품수를 줄이고 제조 공정은 단순화할 수 있는, 헤드레스트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헤드레스트의 위치 조절 기능을 제공하면서도, 기존보다 슬림화하여 자율주행차 시대에 요구되는 실내 공간의 극대화에 부응할 수 있는, 헤드레스트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헤드레스트 모듈은, 서로 나란히 배치되는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을 구비하는 스테이;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이 이루는 평면에 교차하는 전후 방향을 따라 제1 폭을 가지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를 상기 스테이에 결합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후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폭 보다 큰 제2 폭을 가지는 결합 유닛; 상기 전후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가이드 핀을 구비하는 전후 이동 바디; 및 상기 제2 폭에서 상기 제1 폭을 뺀 장착 공간을 차지하도록 상기 플레이트에 장착되고, 상기 전후 이동 바디를 상기 전후 방향을 따라 구동하는 전후 구동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 및 상기 결합 유닛 중 하나는 그에 관통 형성되는 제1 가이드 홀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핀이 상기 제1 가이드 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전후 이동 바디는 상기 전후 구동 유닛의 작동에 의해 상기 전후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른 헤드레스트 모듈은, 스테이; 상기 스테이가 이루는 평면에 교차하는 전후 방향을 따라 제1 폭을 가지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를 상기 스테이에 결합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후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폭 보다 큰 제2 폭을 가지는 결합 유닛; 및 상기 전후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가이드 핀을 구비하는 전후 이동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 및 상기 결합 유닛 중 하나는 그에 관통 형성되는 제1 가이드 홀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핀이 상기 제1 가이드 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전후 이동 바디는 상기 전후 방향을 따라 이동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른 헤드레스트 모듈은, 서로 나란히 배치되는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을 구비하는 스테이; 상기 스테이가 이루는 평면에 교차하는 전후 방향을 따라 제1 폭을 가지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를 상기 스테이에 결합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후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폭 보다 큰 제2 폭을 가지는 결합 유닛; 및 상기 전후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가이드 핀을 구비하는 전후 이동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 유닛은, 상기 플레이트의 양단부 각각에 연결되고,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 각각에 대응하는 한 쌍의 클램핑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클램핑부 각각은,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 중 대응하는 것을 가운데 두고 서로 마주하도록 위치하는 제1 대응 영역과 제2 대응 영역; 및 상기 제1 대응 영역과 상기 제2 대응 영역을 연결하고,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 중 인접한 것과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연결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클램핑부 간의 간격은, 상기 한 쌍의 클램핑부 중 하나의 상기 연결 영역이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 중 하나와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 중 하나를 중심으로 상기 플레이트가 회전 될때 상기 한 쌍의 클램핑부 중 다른 하나가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 중 다른 하나와 간섭되지 않는 범위에서 결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 모듈에 의하면, 스테이에 플레이트가 결합 유닛으로 결합되고, 전후 이동 바디가 플레이트 및 결합 유닛 중 하나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 핀의 안내를 통해 전후 이동되게 구성됨에 의해, 전체적으로 소요되는 부품수를 획기적으로 줄이고 제조 공정도 단순화할 수 있다.
나아가, 전후 방향을 따라서 플레이트는 제1 폭을 가지고 결합 유닛은 그보다 큰 제2 폭을 가짐에 의해 제2 폭에서 제1 폭을 뺀 장착 공간이 확보되고, 그러한 장착 공간을 활용하도록 플레이트에 전후 구동 유닛 등이 장착됨에 의해서는, 플레이트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하여 헤드레스트 모듈을 전체적으로 슬림화할 수 있다. 이러한 헤드레스트 모듈은 자율주행차에 적용됨에 따라서는, 승객의 탑승 공간을 극대화하고자 하는 요구에 부응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모듈(100)에 대한 조립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헤드레스트 모듈(100)에 대한 분해 사이도이며,
도 3은 도 2에서 헤드레스트 모듈(100)의 요부만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헤드레스트 모듈(100)의 요부 간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간략형의 개념도이며,
도 5는 도 1의 헤드레스트 모듈(100)의 전후 방향(F 및 B)을 따른 폭을 종래의 헤드레스트 모듈과 비교한 개념도이고,
도 6 내지 도 9는 도 4의 결합 유닛(130)의 변형예에 따른 결합 유닛(130A 내지 130D)을 각각 보인 간략형의 개념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모듈(200)의 요부에 대한 부분 분해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헤드레스트 모듈(200)의 조립 과정을 보인 부분 분해 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모듈(300)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모듈(400)을 보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모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모듈(100)에 대한 조립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헤드레스트 모듈(100)은 헤드레스트의 기구적 구성의 대부분을 이룬다. 이러한 헤드레스트 모듈(100)에 쿠션이 더해진 후에, 최종적으로 외피가 씌워진다면, 그것이 헤드레스트가 된다. 이러한 헤드레스트는 자동차의 시트 백(미도시)의 상측에 위치하여, 착석자의 머리를 받치는 구성이 된다. 헤드레스트는 전후 방향(F 및 B)을 따라 그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헤드레스트는 또한 시트 백에 대해 승강 방향(V)으로 위치가 조절될 수도 있다.
헤드레스트 모듈(100)은, 구체적으로, 스테이(110)와, 전후 이동 바디(150)를 포함한다. 나아가, 헤드레스트 모듈(100)이 전동 구동되는 경우에는 조작기(18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스테이(110)는 시트백에 결합되는 베이스 프레임(111)을 포함한다. 베이스 프레임(111)은 대체로 서로 평행한 한 쌍으로 구비되어, 승강 방향(V)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111)의 상부는 전후 이동 바디(15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전후 이동 바디(150)는 스테이(110)의 일 부분을 내장한 채로, 스테이(110)에 대해 전후 방향(F 및 B)을 따라 상대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전후 방향(F 및 B)은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111)이 이루는 평면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전후 이동 바디(150)는 쿠션으로 감싸지고 또한 외피에 의해 최종 마감되어, 사용자의 머리를 받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조작기(180)는 사용자로부터 이동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이동 명령은, 구체적으로, 전후 이동 바디(150)를 전후 방향(F 및 B)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명령이거나, 전후 이동 바디(150)를 승강 방향(V)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명령일 수 있다.
이상의 헤드레스트 모듈(100)에 대한 구체적 구성은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헤드레스트 모듈(100)에 대한 분해 사이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헤드레스트 모듈(100)의 요부만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헤드레스트 모듈(100)의 요부 간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간략형의 개념도이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헤드레스트 모듈(100)은, 앞서 언급한 스테이(110) 및 전후 이동 바디(150)에 더하여, 플레이트(120), 결합 유닛(130), 전후 구동 유닛(160), 그리고 승강 구동 유닛(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테이(110)는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111)을 가질 수 있다.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111)은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111)에서 절곡된 방향을 따라서는 지지 프레임(115)이 연장될 수 있다.
플레이트(120)는 스테이(110), 구체적으로는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111) 간의 영역에 대응하는 사이즈,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에 따라, 플레이트(120)는 대체로 직사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120)는 하나의 온전한 형태의 판재이거나, 본 실시예와 같이 전후 구동 유닛(160)과 승강 구동 유닛(170)의 장착을 위한 개구부(121)나 절곡부(125)를 가진 판재일 수도 있다. 플레이트(120)는 전후 방향(F 및 B)을 따라 제1 폭(W1)을 가진다. 플레이트(120)는 금속 소재가 프레스 가공되어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 제1 폭(W1)에도 불구하고 전후 구동 유닛(160) 등을 지지하기 위한 충분한 강성을 갖게 된다.
결합 유닛(130)은 플레이트(120)를 스테이(110), 구체적으로는 베이스 프레임(111)에 결합시키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결합 유닛(130)은 플레이트(120)의 양단부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결합 유닛(130)이 플레이트(120)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으로 구비되는 경우에, 그들 한 쌍은 서로 간에 이격 배치될 수 있다.
결합 유닛(130)은, 구체적으로 베이스 프레임(111)을 감싸는 형태의 클램핑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클램핑부는 스테이(110)에 연관되어 서로 대응하도록 배치되는 제1 대응 영역(131)과 제2 대응 영역(132)을 가질 수 있다. 제1 대응 영역(131) 및 제2 대응 영역(132)은, 구체적으로, 베이스 프레임(111)을 중심으로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대응 영역(131) 및 제2 대응 영역(132)은 서로 평행한 것으로 예시되나, 서로 간에 경사지게 배열될 수도 있다. 제1 대응 영역(131)과 제2 대응 영역(132)은 연결 영역(133)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연결 영역(133)은 제1 대응 영역(131) 및 제2 대응 영역(132)에 대해 수직한 평면인 것으로 예시되나, 그는 곡면 등의 다른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연결 영역(133)이 곡면인 것은 도 6 등에서 예시된다. 이러한 결합 유닛(130)은 플레이트(120)와 단일 부재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원판의 중앙부를 프레스 가공하여 플레이트(120) 부분을 성형한 후에, 상기 원판의 가장 자리 부분을 벤딩 가공하여 결합 유닛(130)이 성형될 수 있다.
제1 대응 영역(131) 및 제2 대응 영역(132) 중 적어도 하나는 스테이(110)에 접촉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대응 영역(131)의 제1 접촉부(131a)와 제2 대응 영역(132)의 제2 접촉부(132b)가 베이스 프레임(111)에 접촉된 경우에, 플레이트(120)는 스테이(110)에 대해 2점 지지될 수 있다. 그에 의해, 스테이(110)에 대한 플레이트(120)의 피칭(pitching)이 제한되어, 그들 간의 안정적인 결합 및 상대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1 접촉부(131a) 및 제2 접촉부(132b)는 베이스 프레임(111)에 대해 승강 방향(V)을 따라 연장되는 선 접촉을 하거나, 일정 부분 면 접촉을 하는 것일 수 있다.
결합 유닛(130)은 전후 방향(F 및 B)을 따라 제2 폭(W2)을 가진다. 제2 폭(W2)은 제1 대응 영역(131)과 제2 대응 영역(132) 간의 폭으로서, 본 실시예서는 연결 영역(133)의 폭에 대응하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제2 폭(W2)은 플레이트(120)의 제1 폭(W1) 보다 큰 것이다.
결합 유닛(130)은 제1 가이드 홀(135), 나아가 제2 가이드 홀(136)을 더 가질 수 있다. 제1 가이드 홀(135)과 제2 가이드 홀(136)은 상기 클램핑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가이드 홀(135)이 제1 대응 영역(131)에 형성되는 것이라면, 제2 가이드 홀(136)은 제2 대응 영역(132)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이드 홀(135) 및 제2 가이드 홀(136)은 서로 대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상과 달리, 제2 가이드 홀(136)은 구비되지 않고 제1 가이드 홀(135)만이 구비될 수도 있다. 나아가, 제1 가이드 홀(135)은 제1 대응 영역(131)이 아닌 플레이트(120)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결합 유닛(130)은 베이스 프레임(111)에 대해 승강 방향(V)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전후 이동 바디(150)는 가이드 핀(151)과, 몸체(155 및 156)를 가질 수 있다.
가이드 핀(151)은 전후 방향(F 및 B)을 따라 배열되고, 제1 가이드 홀(135){및 제2 가이드 홀(136)}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가이드 핀(151)은 베이스 프레임(111)에 접촉한 채로 전후 방향(F 및 B)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가이드 핀(151)은 베이스 프레임(111)에 접촉되는 제3 접촉부(151a)를 가지게 된다. 제3 접촉부(151a)는 앞서 설명한 제1 및 제2 접촉부(131a 및 132a)와 함께, 베이스 프레임(111)에 대해 3점 지지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나아가, 한 쌍의 가이드 핀(151)이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111)의 외측에서 베이스 프레임(111)에 접촉됨에 의해, 스테이(110)에 대한 플레이트(120)의 롤링(rolling)이 제한될 수 있다.
몸체(155 및 156)는 플레이트(120), 결합 유닛(130), 전후 구동 유닛(160) 등을 감싸는 부분이다. 몸체(155 및 156)는 구체적으로, 제1 몸체(155)와 제2 몸체(156)로 나뉘어 그들이 체결 부재(159)에 의해 서로 체결된 형태가 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 핀(151)은 제1 몸체(155)에 결합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제1 몸체(155)와 일체로 사출 성형된 것일 수 있다. 체결 부재(159)는 제2 몸체(156) 측에서 가이드 핀(151)에 삽입된 채로 제1 몸체(155)에 결합되어, 가이드 핀(151)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전후 구동 유닛(160)은 전후 이동 바디(150)를 전후 방향(F 및 B)을 따라 구동하기 위한 구성이다. 전후 구동 유닛(160)은 플레이트(120)에 장착되어, 앞서 설명한 ΔW에 의한 장착 공간을 차지할 수 있다. 전후 구동 유닛(160)은 전동 구동을 위한 모터(161)와, 모터(161)의 회전 출력을 몸체(155 및 156)를 전후 방향(F 및 B)을 따라 밀거나 당기는 힘으로 전환하는 구성(165)을 가진다. 전환을 위한 구성(165)은 모터(161)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캠과, 그 캠에 대응하는 몸체(155 및 156)의 수용홈일 수 있다.
승강 구동 유닛(170)은 플레이트(120) 및 결합 유닛(130)을 승강 방향(V)을 따라 구동하기 위한 구성이다. 승강 구동 유닛(170)은 전후 구동 유닛(160)과 같이 플레이트(120)에 장착되고, 역시 ΔW에 의한 장착 공간을 차지할 수 있다. 승강 구동 유닛(170) 역시 전동 구동을 위한 모터(171)와, 모터(171)의 회전 출력을 플레이트(120) 및 결합 유닛(130)를 승강 방향(V)을 따라 밀거나 당기는 힘으로 전환하는 구성(175)을 가진다. 전환을 위한 구성(175)는 모터(171)에 연동되어 회전하는 스크류(175)와, 지지 프레임(115)에 설치되어 스크류(175)와 나사 결합되는 너트 블럭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는 자신의 신체 사이즈에 최적화하기 위하여, 조작기(180)를 조작하여 전후 이동 바디(150)의 위치를 조절하고자 할 수 있다.
먼저, 사용자가 전후 방향(F 및 B)의 위치를 조작하고자 하는 경우에, 조작기(180)에 대한 조작에 의해 전후 구동 유닛(160)이 작동하면, 가이드 핀(151)은 제1 가이드 홀(135){및 제2 가이드 홀(136)}에 삽입된 상태에서 몸체(155 및 156)는 전후 방향(F 및 B)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전후 구동 유닛(160)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른 시간 동안 작동하여, 몸체(155 및 156)가 전후 방향(F 및 B)을 따라 사용자가 의도한 위치에서 멈추게 한다. 이러한 작동 중에, 플레이트(120) 및 결합 유닛(130)은 전후 방향(F 및 B)을 따라 이동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승강 방향(V)의 위치를 조작하고자 하는 경우에, 조작기(180)에 대한 조작에 의해 승강 구동 유닛(170)이 작동하면, 결합 유닛(130)이 베이스 프레임(111)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클램핑하는 상태에서 플레이트(120) 및 결합 유닛(130) 그리고 전후 이동 바디(150)는 승강 방향(V)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승강 구동 유닛(170)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른 시간 동안 작동하여, 플레이트(120) 및 결합 유닛(130)이 승강 방향(V)을 따라 사용자가 의도한 위치에서 멈추게 한다.
이상과 같이 전후 구동 유닛(160) 및 승강 구동 유닛(170) 등을 채용한 경우라도, 그들은 ΔW에 의한 장착 공간을 차지하여 설치되므로, 헤드레스트 모듈(100)의 전후 방향(F 및 B)을 따른 폭을 증가시키는 정도는 크지 않게 된다.
또한, 전후 구동 유닛(160) 및 승강 구동 유닛(170), 나아가 조작기(180)를 채용하지 않는 경우라면, 사용자는 자신의 힘에 의해 전후 이동 바디(150)를 전후 방향(F 및 B) 또는 승강 방향(V)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 경우에는, 해당 방향들을 따라 전후 이동 바디(150)를 특정 위치에서 멈추기 위한 락킹 수단(도시하지 않음)이 추가될 수 있다. 락킹 수단은 톱니 형태의 제1 구조물과 그 톱니 형태에 맞물리는 폴(pawl) 형태의 제2 구조물을 갖는 구성 등으로서 다양하게 알려져 있는 바, 별도로 설명하지는 않는다. 나아가, 이러한 락킹 수단 역시 플레이트(120)에 설치될 수 있어서, 그를 채용하더라도 ΔW에 의해 헤드레스트 모듈(100)의 폭의 증가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헤드레스트 모듈(100)에 있어서, 그의 폭이 저감되는 정도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도 1의 헤드레스트 모듈(100)의 전후 방향(F 및 B)을 따른 폭을 종래의 헤드레스트 모듈과 비교한 개념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a)는 본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모듈(100)에 관한 것이고, (b)는 종래의 헤드레스트 모듈(100')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헤드레스트 모듈(100')은 구체적으로, 한국 특허 제2122712호에 따른 것이다. 한국 특허 제2122712호(2020년 06월 09일 등록)는 헤드레스트의 두께(폭)을 저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최신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모듈(100)에서, 제1 폭(W1)은 1.5mm일 때, 제2 폭(W2)은 15.8mm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그들 간의 차(ΔW)는 14.3mm가 된다. 이러한 ΔW는 헤드레스트 모듈(100)의 전체 폭이 작아지게 하는 요소가 된다. 구체적으로, 본 헤드레스트 모듈(100)의 전후 방향(F 및 B)을 따르는 전체 폭(L1)은 전후 이동 바디(150)의 폭으로서, 52mm가 됨을 확인하였다.
그에 대비하여, 종래의 헤드레스트 모듈(100')은 미들커버(120'){특허 제2122712호에서는 참조번호 200으로 표시되어 있음} 등의 폭에 의해, 전체 폭(L2)은 82mm임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대비로부터, 본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모듈(100)은 종래의 헤드레스트 모듈(100')에 비해 그 폭이 40% 가량 대폭 저감되어, 확실한 슬림화를 달성할 수 있게 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앞선 결합 유닛(130)의 다양한 변형예에 대해 도 6 내지 도 9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9는 도 4의 결합 유닛(130)의 변형예에 따른 결합 유닛(130A 내지 130D)을 각각 보인 개념도이다.
도 6를 참조하면, 결합 유닛(130A)에 있어서, 가이드 핀(151)은 베이스 프레임(111)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가이드 핀(151)은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111) 각각의 내측에서 베이스 프레임(11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역시 스테이(110)에 대한 플레이트(120)의 롤링(rolling)을 제한하게 된다.
이를 위해, 제1 가이드 홀(135) 및 제2 가이드 홀(136)은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111) 사이의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결합 유닛(130B)은 탄성체(137)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탄성체(137)는 스테이(110)와 상기 클램핑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클램핑부가 스테이(110)에 밀착하게 한다.
구체적으로, 탄성체(137)는 상기 클램핑부 중 제1 대응 영역(131) 및 제2 대응 영역(132) 중 적어도 하나와 베이스 프레임(111)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체(137)가 제1 대응 영역(131)과 베이스 프레임(111) 사이에 개재된다. 그에 의해, 제2 대응 영역(132)은 베이스 프레임(111)에 직접적으로 밀착하게 되고, 제1 대응 영역(131)은 탄성체(137)를 통해서 베이스 프레임(111)에 간접적으로 밀착하게 된다.
도 8을 참조하면, 결합 유닛(130C)은 다른 탄성체(138)를 가질 수 있다. 탄성체(138)는, 전후 이동 바디(150), 구체적으로 그의 몸체(155 및 156)에 지지된 채로 상기 클램핑부를 스테이(110)를 향한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에 의해, 제1 대응 영역(131) 및 제2 대응 영역(132) 중 하나는 베이스 프레임(111)에 밀착될수 있다. 본 실시예서는 제2 대응 영역(132)은 베이스 프레임(111)에서 다소 이격되나, 제1 대응 영역(131)이 베이스 프레임(111)에 확실히 밀착된 형태가 예시된다.
도 9을 참조하면, 결합 유닛(130D)은 지지 블럭(139)을 구비할 수 있다. 지지 블럭(139)은 제1 대응 영역(131)과 제2 대응 영역(132) 사이에 개재되는 블럭이다. 구체적으로, 지지 블럭(139)은 제1 대응 영역(131) 및 제2 대응 영역(132)과 베이스 프레임(111) 사이에, 또는 베이스 프레임(111)과 가이드 핀(151) 사이의 공간을 차지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 블럭(139)은 그를 통해 제1 대응 영역(131) 및 제2 대응 영역(132)과 베이스 프레임(111) 간의 간접적 접촉을 유도하거나, 가이드 핀(151)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게 된다. 베이스 프레임(111)이나 가이드 핀(151)과의 상대 이동을 감안하여, 지지 블럭(139)은 윤활성이 우수한 재질로 성형될 수 있다.
다음으로, 다른 형태의 헤드레스트 모듈(200)에 대해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모듈(200)의 요부에 대한 부분 분해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헤드레스트 모듈(200)의 조립 과정을 보인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서는, 편의상, 앞선 실시예의 헤드레스트 모듈(100) 중에서 스테이(110), 플레이트(120), 결합 유닛(130), 및 가이드 핀(151)에 대응하는 구성만을 도시하며, 앞선 실시예의 나머지 구성에 대응하는 구성은 생략한다.
먼저, 도 10를 참조하면, 결합 유닛(230)은 한 쌍으로 구비되어서, 플레이트(220)의 양단부에 각각 연결된다. 각 결합 유닛(230)은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211) 중 대응하는 것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결합 유닛(230)은, 앞선 실시예와 동일하게, 베이스 프레임(211)을 가운데 두고서 서로 마주는 제1 대응 영역(231) 및 제2 대응 영역(232)을 가지고, 또한 그들을 연결하는 연결 영역(233)을 가진다.
연결 영역(233)은 베이스 프레임(211)과 이격되어 이격 공간(234)을 형성하게 된다. 이격 공간(234)에는 지지 블럭(241)이 삽입될 수 있다. 지지 블럭(241)은 각 결합 유닛(230)에서의 이격 공간(234)에 삽입되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플레이트(220) 및 결합 유닛(230)이 도면상 좌우로 흔들리지 않도록 한다.
지지 블럭(241)은 지지홀(242)을 가질 수 있다. 지지홀(242)은 전후 방향(F 및 B)을 따라 연장하고, 또한 베이스 프레임(211)을 향해 개방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에 의해, 지지홀(242)에 삽입된 가이드 핀(251)은 베이스 프레임(211)과 접촉될 수 있다. 지지 블럭(241)은 윤활성이 우수한 소재로 형성되어, 가이드 핀(251)에의 슬라이딩이 매끄럽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한 쌍의 클램핑부 간의 간격, 구체적으로 좌우의 제2 대응 영역(232) 간의 간격은 다음의 기준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그에 관해, 도 11을 참조하면, 한 쌍의 클램핑부 중 하나의 연결 영역(233a)이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211) 중 인접한 것(211a)과 접촉된 상태에서, 그(211a)를 중심으로 플레이트(220) 및 결합 유닛(230)이 회전 방향(R)을 따라 회전될 수 있다. 이 경우, 한 쌍의 클램핑부 중 다른 하나의 제2 대응 영역(232)은 다른 베이스 프레임(211b)과 간섭하지 않는 범위 내에 위치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클램핑부 중 다른 하나의 제2 대응 영역(232)의 자유단(232')은 인접한 베이스 프레임(211b)과 간섭되지 않는 지점까지만 연결 영역(233b)으로부터 돌출 되어야 한다.
이러한 구성은, 스테이(210)와 결합 유닛(230)[및 플레이트(220)] 간의 조립 시에 유용하다.
그들의 조립을 위해서는, 결합 유닛(230)을 승강 방향(V)을 따라 위에서 아래로 내리면서, 스테이(210)가 제1 대응 영역(231)과 제2 대응 영역(232) 사이로 삽입되게 하면 된다. 그러나, 베이스 프레임(211)과 지지 프레임(215) 간의 연결 부분이 변형되어 튀어 나온 경우에는, 그에 의해 위와 같은 삽입이 불가능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한 쌍의 결합 유닛(230) 중 하나에만 베이스 프레임(211a)을 삽입한 상태에서, 해당 결합 유닛(230)의 연결 영역(233a)이 베이스 프레임(211a)에 닿은 채로 플레이트(220) 및 결합 유닛(230)을 회전 방향(R)을 따라 회전시킬 수 있다. 그러한 회전을 통해, 플레이트(220)가 다른 베이스 프레임(211b)에도 접촉하게 되면, 플레이트(220)를 도면상 좌우로 이동시켜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211)이 한 쌍의 결합 유닛(230)에 대응되는 상태가 되게 할 수 있다. 이후에, 이격 공간(234)에 지지 블럭(241)을 삽입하고, 지지홀(242)에 가이드 핀(251)을 삽입할 수 있다.
다음으로, 또 다른 형태의 헤드레스트 모듈(300)에 대해 도 12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모듈(300)을 보인 사시도이다. 본 도면 역시, 편의상, 앞선 실시예의 헤드레스트 모듈(100) 중에서 스테이(110), 플레이트(120), 및 결합 유닛(130)에 대응하는 구성만을 도시하며, 앞선 실시예의 나머지 구성에 대응하는 구성은 생략한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헤드레스트 모듈(300)에 있어서, 스테이(310)는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311)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311)은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또한 서로 이격 배치된다.
이러한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311)은 플레이트(320) 및 결합 유닛(330)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플레이트(320) 및 결합 유닛(330)은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311) 사이에 배치된다. 나아가, 결합 유닛(330)에서 연결 영역(333) 은 베이스 프레임(311)과 접촉되고 그에 용접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스테이(310)는 앞선 실시예의 지지 프레임(115, 도 2 참조)에 해당하는 요소를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나아가, 결합 유닛(330)은 베이스 프레임(311)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고, 플레이트(320)는 여전히 전후 방향(F 및 B)을 따라 얇은 폭을 가지게 된다.
다음으로, 또 다른 형태의 헤드레스트 모듈(400)에 대해 도 13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모듈(400)을 보인 사시도이다. 본 도면 역시, 편의상, 앞선 실시예의 헤드레스트 모듈(100) 중에서 스테이(110), 플레이트(120), 결합 유닛(130), 및 가이드 핀(451)에 대응하는 구성만을 도시하며, 앞선 실시예의 나머지 구성에 대응하는 구성은 생략한다.
본 도면을참조하면, 스테이(410)는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411)을 가질 수 있다.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411)의 연장 방향과 다른 방향을 따라서는 지지 프레임(415)이 연장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415)은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411)을 연결하는 것으로 예시되나, 이와 달리 지지 프레임(415)은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411) 각각에서 연장하되 서로 만나지 않는 한 쌍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플레이트(420)는 앞선 실시예들의 플레이트(120,220,320)에 비하여 전후 방향(F 및 B)을 따르는 축을 중심으로 90°회전된 형태로 배열된다. 플레이트(420)의 일 단부에 연결된 결합 유닛(430)은 지지 프레임(415)을 감싸도록 결합된다. 가이드 핀(451)은 지지 프레임(415)을 기준으로 결합 유닛(430)의 연결 영역(433)의 반대 측에 배치된다. 그에 의해, 제1 대응 영역(431), 제2 대응 영역(432), 연결 영역(433), 그리고 가이드 핀(451)이 지지 프레임(415)의 원주 방향을 따르는 4 지점에 대해 접촉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플레이트(420) 및 결합 유닛(430), 나아가 가이드 핀(451)이 결합되는 전후 이동 바디(150, 도 1 참조)는 지지 프레임(415)의 연장 방향을 따르는 축을 중심으로 틸팅(T)될 수 있다.
나아가, 가이드 핀(451) 및 그가 결합되는 전후 이동 바디(150)는 여전히 플레이트(420)를 관통하는 방향[전후 방향(F 및 B)]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헤드레스트 모듈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0,200,300,400: 헤드레스트 모듈 110,210,310,410: 스테이
120,220,320,420: 플레이트 130,230,330,430: 결합 유닛
150: 전후 이동 바디 160: 전후 구동 유닛
170: 상승 구동 유닛 180: 조작기

Claims (24)

  1. 서로 나란히 배치되는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을 구비하는 스테이;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이 이루는 평면에 교차하는 전후 방향을 따라 제1 폭을 가지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를 상기 스테이에 결합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후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폭 보다 큰 제2 폭을 가지는 결합 유닛;
    상기 전후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가이드 핀을 구비하는 전후 이동 바디; 및
    상기 제2 폭에서 상기 제1 폭을 뺀 장착 공간을 차지하도록 상기 플레이트에 장착되고, 상기 전후 이동 바디를 상기 전후 방향을 따라 구동하는 전후 구동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 및 상기 결합 유닛 중 하나는 그에 관통 형성되는 제1 가이드 홀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핀이 상기 제1 가이드 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전후 이동 바디는 상기 전후 구동 유닛의 작동에 의해 상기 전후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핀은,
    상기 스테이와 접촉하면서 상기 전후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는, 헤드레스트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핀은,
    상기 한 쌍의 가이드 프레임 모두의 내측 및 외측 중 하나에 접촉되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스테이에 대한 상기 플레이트의 롤링을 제한하는, 헤드레스트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유닛은,
    상기 플레이트의 양단부 각각에 연결되고, 상기 스테이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한 쌍의 클램핑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클램핑부 각각은,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 중 인접한 하나를 중심으로 서로 마주하는 제1 대응 영역과 제2 대응 영역; 및
    상기 제1 대응 영역과 상기 제2 대응 영역을 연결하는 연결 영역을 포함하는, 헤드레스트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대응 영역과 상기 제2 대응 영역은,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과 접촉되게 배치되어, 상기 스테이에 대한 상기 플레이트의 피칭을 제한하는, 헤드레스트 모듈.
  5. 스테이;
    상기 스테이가 이루는 평면과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를 상기 스테이에 결합시키도록 구성되는 결합 유닛; 및
    상기 평면과 교차하는 전후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가이드 핀을 구비하는 전후 이동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 및 상기 결합 유닛 중 하나는 그에 관통 형성되는 제1 가이드 홀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핀이 상기 제1 가이드 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전후 이동 바디는 상기 전후 방향을 따라 이동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핀은,
    상기 스테이와 접촉하면서 상기 전후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는, 헤드레스트 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전후 방향을 따라 제1 폭을 가지고,
    상기 결합 유닛은, 상기 전후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폭 보다 큰 제2 폭을 갖는, 헤드레스트 모듈.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는,
    서로 나란히 배치되는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핀은,
    상기 한 쌍의 가이드 프레임 모두의 내측 및 외측 중 하나에 접촉되는 한 쌍으로 구비되는, 헤드레스트 모듈.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유닛은,
    상기 플레이트의 양단부 각각에 연결되고 서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으로 구비되는, 헤드레스트 모듈.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유닛은,
    상기 스테이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클램핑부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핑부는,
    상기 스테이에 연관되어 서로 대응하도록 배치되는 제1 대응 영역과 제2 대응 영역; 및
    상기 제1 대응 영역과 상기 제2 대응 영역을 연결하는 연결 영역을 포함하는는, 헤드레스트 모듈.
  10. 삭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유닛은,
    상기 제1 대응 영역과 제2 대응 영역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스테이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체를 더 포함하는, 헤드레스트 모듈.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유닛은,
    상기 전후 이동 바디에 지지된 채로 상기 클램핑부를 상기 스테이를 향한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 대응 영역과 제2 대응 영역 중 하나를 상기 스테이에 밀착시키는 탄성체를 더 포함하는, 헤드레스트 모듈.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유닛은,
    상기 제1 대응 영역과 제2 대응 영역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스테이 사이에 개재되는 지지 블럭을 더 포함하는, 헤드레스트 모듈.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는,
    서로 나란히 배치되는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대응 영역과 상기 제2 대응 영역은,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 중 대응하는 것을 가운데 두고 서로 마주하도록 위치하며,
    상기 클램핑부는,
    상기 플레이트의 양단부 각각에 연결되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클램핑부 각각의 상기 연결 영역은,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 중 인접한 것과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클램핑부 간의 간격은, 상기 한 쌍의 클램핑부 중 하나의 상기 연결 영역이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 중 하나와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 중 하나를 중심으로 상기 플레이트가 회전 될때 상기 한 쌍의 클램핑부 중 다른 하나가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 중 다른 하나와 간섭되지 않는 범위에서 결정되는, 헤드레스트 모듈.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유닛은,
    상기 연결 영역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 사이에 개재되는 지지 블럭을 더 포함하는, 헤드레스트 모듈.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블럭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을 향한 방향으로 개방된 지지홀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핀은,
    상기 지지홀에 삽입된 채로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접촉되도록 배치되는, 헤드레스트 모듈.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는,
    베이스 프레임;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연장 방향과 다른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 유닛은,
    상기 지지 프레임에 상기 지지 프레임의 연장 방향을 따르는 축을 중심으로 틸팅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헤드레스트 모듈.
  23. 서로 나란히 배치되는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을 구비하는 스테이;
    상기 스테이가 이루는 평면에 교차하는 전후 방향을 따라 제1 폭을 가지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를 상기 스테이에 결합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후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폭 보다 큰 제2 폭을 가지는 결합 유닛; 및
    상기 전후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가이드 핀을 구비하는 전후 이동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 유닛은,
    상기 플레이트의 양단부 각각에 연결되고,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 각각에 대응하는 한 쌍의 클램핑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클램핑부 각각은,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 중 대응하는 것을 가운데 두고 서로 마주하도록 위치하는 제1 대응 영역과 제2 대응 영역; 및
    상기 제1 대응 영역과 상기 제2 대응 영역을 연결하고,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 중 인접한 것과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연결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클램핑부 간의 간격은, 상기 한 쌍의 클램핑부 중 하나의 상기 연결 영역이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 중 하나와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 중 하나를 중심으로 상기 플레이트가 회전 될때 상기 한 쌍의 클램핑부 중 다른 하나가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 중 다른 하나와 간섭되지 않는 범위에서 결정되는, 헤드레스트 모듈.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유닛은,
    상기 연결 영역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 사이에 개재되는 지지 블럭을 더 포함하는, 헤드레스트 모듈.
KR1020200101489A 2020-08-13 2020-08-13 헤드레스트 모듈 KR1024359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1489A KR102435907B1 (ko) 2020-08-13 2020-08-13 헤드레스트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1489A KR102435907B1 (ko) 2020-08-13 2020-08-13 헤드레스트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1101A KR20220021101A (ko) 2022-02-22
KR102435907B1 true KR102435907B1 (ko) 2022-08-24

Family

ID=80493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1489A KR102435907B1 (ko) 2020-08-13 2020-08-13 헤드레스트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590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9169A (ja) * 1999-11-30 2001-06-05 Aisin Seiki Co Ltd ヘッドレスト装置
KR101585850B1 (ko) 2015-02-27 2016-01-15 (주)현대기업 파워 헤드레스트 장치
KR101784154B1 (ko) * 2016-10-18 2017-10-11 현대다이모스(주) 헤드레스트 장치
KR102087002B1 (ko) 2019-07-04 2020-03-10 주식회사 현대공업 자동차 헤드레스트 반자동 전후방 위치 조절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01770Y2 (ja) * 1993-06-08 1999-12-06 アラコ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のヘッドレスト装置
KR19990004311U (ko) * 1997-07-01 1999-02-05 박병재 헤드 레스트 스테이 이탈방지 구조물
KR101870345B1 (ko) * 2016-10-14 2018-06-22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9169A (ja) * 1999-11-30 2001-06-05 Aisin Seiki Co Ltd ヘッドレスト装置
KR101585850B1 (ko) 2015-02-27 2016-01-15 (주)현대기업 파워 헤드레스트 장치
KR101784154B1 (ko) * 2016-10-18 2017-10-11 현대다이모스(주) 헤드레스트 장치
KR102087002B1 (ko) 2019-07-04 2020-03-10 주식회사 현대공업 자동차 헤드레스트 반자동 전후방 위치 조절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1101A (ko) 2022-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06011B2 (en) Vehicle seat and vehicle seat assembling method
US7182404B2 (en) Seat which can be converted into a couchette with a deformable armrest
EP2179886A1 (en) Seat back frame and vehicle seat
GB2230695A (en) Headrest arrangement
US11110823B2 (en) Seat track mechanism for vehicle
US10589650B2 (en) Headrest device
KR101987030B1 (ko) 자동차의 전동식 슬라이딩 콘솔
KR102435907B1 (ko) 헤드레스트 모듈
KR102421468B1 (ko) 헤드레스트 모듈
KR102154755B1 (ko) 헤드레스트 모듈 및 그에 사용되는 스테이 유닛
KR102445092B1 (ko) 헤드레스트 어셈블리
KR102419987B1 (ko) 헤드레스트 모듈
KR102419986B1 (ko) 헤드레스트 모듈
KR102419988B1 (ko) 헤드레스트 모듈
JPH0721153Y2 (ja) 車両用シート
US5375915A (en) Seat structure for a land motor vehicle
JP2008273445A (ja) 車両用ヘッドレスト傾動装置
JP3695161B2 (ja) 自動車用ヘッドレスト構造
KR102419989B1 (ko) 헤드레스트 어셈블리
KR102333282B1 (ko) 헤드레스트 모듈
JP4784477B2 (ja) 車両用シート
JP2746071B2 (ja) 車両用シートのヘッドレスト装置
US11192482B2 (en) Headrest assembly including locking arrangement reducing BSR
JPH037215Y2 (ko)
JP2009129629A (ja) パワーシートの操作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