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7002B1 - 자동차 헤드레스트 반자동 전후방 위치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헤드레스트 반자동 전후방 위치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7002B1
KR102087002B1 KR1020190080754A KR20190080754A KR102087002B1 KR 102087002 B1 KR102087002 B1 KR 102087002B1 KR 1020190080754 A KR1020190080754 A KR 1020190080754A KR 20190080754 A KR20190080754 A KR 20190080754A KR 102087002 B1 KR102087002 B1 KR 1020870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oving plate
coupled
headrest
rotating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0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현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공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공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공업
Priority to KR10201900807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70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7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70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65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providing a fore-and-aft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occupant's 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88Head-rests with arrangements for protecting against abnormal g-forces, e.g. by displacement of the head-re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좌석 등받이 상단에 설치되는 헤드레스트(90)의 위치를 전후 방향으로 조절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스테이(91)에 고정된 고정판(10)에 이동판(20)이 전후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되, 이동판(20) 측판(22)에는 다수의 결합치(23), 상승턱(24) 및 하강판(25)을 형성하고, 고정판(10)의 측벽(12) 내측에는 상기 결합치(23)에 결합되는 회동편(30)을 설치한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자동차 헤드레스트(90)의 원활하고 안정적인 전후방 이동이 가능함과 동시에, 견고한 고정 상태 유지 역시 가능하며, 헤드레스트(90) 전후방 이동 장치 전체 구성의 단순화 및 간소화 효과와 더불어, 소형화 효과 역시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헤드레스트 반자동 전후방 위치 조절 장치{SEMIAUTOMATIC SLIDE APPARATUS FOR HAEDREST OF CAR}
본 발명은 자동차 좌석 등받이 상단에 설치되는 헤드레스트(90)의 위치를 전후 방향으로 조절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스테이(91)에 고정된 고정판(10)에 이동판(20)이 전후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되, 이동판(20) 측판(22)에는 다수의 결합치(23), 상승턱(24) 및 하강판(25)을 형성하고, 고정판(10)의 측벽(12) 내측에는 상기 결합치(23)에 결합되는 회동편(30)을 설치한 것이다.
자동차 좌석의 등받이 상단부 설치되어 탑승자의 머리를 후방에서 지지하는 헤드레스트(90)는 안락한 승차감을 제공하는 기본적 기능과 더불어, 자동차의 급출발 또는 후방 추돌시 경추부 또는 후두부 부상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이를 위하여 적절한 위치 설정이 필요하다.
즉, 헤드레스트(90)의 높이가 지나치게 높거나 낮은 경우는 물론, 헤드레스트(90)가 탑승자의 후두부에서 지나치게 멀리 떨어져 있을 경우, 헤드레스트(90)에 의한 지지 효과가 급감될 수 밖에 없는 바, 탑승자의 체격 및 체형에 따른 헤드레스트(90) 위치의 조절이 필요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헤드레스트(90)는 자동차 좌석 등받이 상단부에 결합되는 봉상(棒狀)의 스테이(91)에 설치되는데, 스테이(91)를 좌석 등받이에 삽입 또는 인발함으로써 헤드레스트(90)의 높이는 쉽게 조절이 가능한 반면, 헤드레스트(90)의 전후방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헤드레스트(90)에 수평 방향의 이동 및 고정이 가능한 장치가 내장될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헤드레스트(90) 전후방 위치 조절 장치 관련 종래기술로는 특허 제577413호 등을 들 수 있다.
특허 제577413호를 비롯한 종래의 헤드레스트(90) 전후방 위치 조절 장치는 기본적으로 링크 구조를 가지는 장치로서, 구조가 복잡할 뿐 아니라 작동상 다양한 문제점을 야기한다.
우선, 종래 헤드레스트(90) 전후방 위치 조절장치에 내장되는 링크는 경사를 이루는 다수의 봉체 또는 판체가 힌지 연결되어 구성되는 것으로, 헤드레스트(90)의 전, 후방측 이동 스트로크(stroke)를 확보하기 위하여, 링크를 구성하는 봉체 또는 판체의 크기가 커질 수 밖에 없으며, 특히 전체 장치의 상하 방향 크가가 커질 수 밖에 없다.
즉, 헤드레스트(90)의 실제 이동은 소폭의 수평 왕복이라 하여도, 이를 수행하기 위한 링크의 운동은 호형(弧形) 경로의 회전 운동인 바, 헤드레스트(90)의 수평 방향 스트로크를 월등하게 상회하는 길이의 링크 봉체 또는 판체가 적용될 수 밖에 없으며, 이들 봉체 또는 판체의 작동 자세 역시 기립(起立) 내지 기립에 근사한 방향일 수 밖에 없으므로, 헤드레스트(90)에 내장되는 위치 조절 장치의 소형화에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는 것이다.
특히, 최근 자동차에 다양한 부가 기능이 부여되고 각종 사양이 고급화됨에 따라, 좌석의 헤드레스트(90)에도 통풍 장치 또는 멀티미디어 기기 등의 내장물이 추가되고 있는데, 전술한 종래 헤드레스트(90) 위치 조절 장치의 헤드레스트(90)내 공간 잠식은 헤드레스트(90)의 기능 다변화에 있어서도 심각한 장애 요소로 작용할 수 밖에 없다.
또한, 후방 지지체인 헤드레스트(90)의 기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위치의 조절과 더불어 조절된 위치의 견고한 유지가 필요한데, 종래기술에서는 이러한 고정 및 고정 해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링크를 구성하는 봉체 또는 판체의 회전을 단속하는 방식이 적용될 수 밖에 없는 바, 전체 구성이 복잡화됨은 물론 견고한 지지에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었다.
특히,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링크 고정 및 해제 과정에서 헤드레스트(90) 본체를 비롯한 전체 구성의 경도(傾倒)가 수반될 수 밖에 없는 바, 헤드레스트(90)의 수평 위치 조절 전후 헤드레스트(90)의 각도 역시 일일이 조절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자동차 헤드레스트(90) 전후방 위치 조절 장치의 기본 기능인 원활한 수평 왕복 기능 및 견고한 고정 기능을 충실하게 수행하면서도, 전체 구성을 단순화 및 간소화하고, 간편한 사용자 조작이 가능함은 물론 전체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도록 창안된 것으로, 자동차 헤드레스트(90)에 내장되고, 자동차 좌석 등받이에 하단부가 결합되는 스테이(91)의 상단부에 연결되는 전후방 위치 조절 장치에 있어서, 후방이 개방된 상자형 판체로서 양 측단부에는 측벽(12)이 형성되고 전방에는 전벽(11)이 형성된 고정판(10)이 측벽(12) 하단부가 스테이(91) 상단에 고정되어 설치되고, 전방이 개방된 상자형 판체로서 양 측단부에는 측판(22)이 형성되고 후방에는 후판(21)이 형성된 이동판(20)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판(10)에 설치되되, 이동판(20)의 측판(22)에는 전후 방향으로 절개된 활동공(27)이 형성되고, 고정판(10)의 측벽(12)에는 활동봉(17)이 결합되며, 상기 활동공(27)에 활동봉(17)이 자유롭게 활동가능하도록 결합되고, 고정판(10)의 전벽(11)과 이동판(20)의 후판(21) 사이에는 구동스프링(50)이 설치되며, 이동판(20)의 일측 측판(22) 상단부에는 다수의 결합치(23)가 형성되되, 결합치(23)의 전면(前面)과 후면(後面)에는 각각 완경사면 및 급경사면이 형성되고, 최 후방 결합치(23) 후방에는 상승턱(24)이 형성되며, 최 전방 결합치(23) 상부에는 경사면이 형성된 하강판(25)이 형성되고, 고정판(10)의 측벽(12)에 결합되는 편축(31)이 후단부에 형성되고 전단부에는 하측으로 돌출된 첨부(32)가 형성된 회동편(30)이 고정판(10)의 측벽(12) 내부에 설치되고, 회동편(30)의 첨부(32) 상부에는 호형스프링(40)의 일단이 결합되고 호형스프링(40)의 타단은 측벽(12)에 결합되어, 회동편(30)의 첨부(32)가 결합치(23) 사이에 결합됨에 따라 이동판(20)의 이동이 억제되고, 이동판(20)을 전진시킴에 따라 회동편(30)의 첨부(32)가 결합치(23) 표면을 따라 활동하면서 회동편(30)이 상방으로 회전되고, 이동판(20)의 전진이 계속됨에 따라 회동편(30)의 첨부(32)가 결합치(23) 정부(頂部)를 통과하면 호형스프링(40)의 탄발력에 의하여 회동편(30)이 하방으로 회전되며, 이동판(20)의 전진이 계속되어 회동편(30)의 첨부(32)가 상승턱(24) 상단면에 진입하면 호형스프링(40)의 탄발력에 의하여 회동편(30)이 상방으로 회전됨과 동시에, 구동스프링(50)의 탄발력에 의하여 이동판(20)이 후퇴하고, 이동판(20)의 하강판(25)이 회동편(30)에 도달함에 따라 회동편(30)의 상면이 하강판(25)에 의하여 하방으로 회전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레스트 반자동 전후방 위치 조절 장치이다.
또한, 상기 측판(22)에는 활동공(27)의 외곽을 따라 측벽(12)측으로 돌출되는 활동대(60)가 설치되고, 활동대(60)의 내부에는 활동봉(17)이 자유롭게 활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활동대(60)의 외측 단은 측벽(12)에 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레스트 반자동 전후방 위치 조절 장치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자동차 헤드레스트(90)의 원활하고 안정적인 전후방 이동이 가능함과 동시에, 견고한 고정 상태 유지 역시 가능하며, 헤드레스트(90) 전후방 이동 장치 전체 구성의 단순화 및 간소화 효과와 더불어, 소형화 효과 역시 얻을 수 있다.
특히, 별도의 조작 수단 없이도 직관적인 조작만으로 편리한 사용이 가능한 바, 사용자 편의성을 제고할 수 있으며, 전체 구성을 간소화함에 따라 제조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또한, 종래기술 대비 획기적인 소형화가 가능하므로 위치 조절 장치로 인한 헤드레스트(90)내 공간 잠식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로써 헤드레스트(90) 기능을 다변화할 수 있는 다양한 구성을 추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의 후퇴 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전진 상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부분절단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전진 방식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의 후퇴 방식 설명도
도 8은 활동대가 적용된 본 발명 일 실시예 정면도
도 9는 도 8 실시예의 이동판 하부 구성 발췌 분해 사시도
본 발명의 상세한 구성 및 작동 방식을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고정판(10)과 이동판(20) 등으로 구성되는 본 발명은 헤드레스트(90)에 내장되며, 스테이(91)의 상단에 고정판(10)이 접합되는 방식으로 설치된다.
도 1에서와 같이, 자동차 좌석 등받이에 하단부가 결합되는 스테이(91)의 상단부에는 헤드레스트(90)가 설치되는데, 스테이(91)가 좌석 등받이에 삽입 또는 인발됨에 따라 헤드레스트(90)는 하강 또는 상승되며, 본 발명의 고정판(10)이 스테이(91)에 고정된 상태에서 이동판(20)이 전진 또는 후퇴함에 따라 헤드레스트(90) 본체 역시 전진 또는 후퇴된다.
즉, 본 발명의 헤드레스트(90) 전후방 위치 조절 장치에서는 고정판(10)은 스테이(91)에 고정되고, 이동판(20)은 헤드레스트(90) 본체에 결속되어, 이동판(20)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헤드레스트(90)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헤드레스트(90) 전후방 위치 조절 장치는 헤드레스트(90)의 이동 또는 고정 상태를 조작하는 버튼 또는 레버 등 별도의 조작 수단이 배제된 것으로, 사용자가 인력(人力)으로 헤드레스트(90)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면 이동판(20)이 이동되면서 헤드레스트(90) 역시 전진하되, 헤드레스트(90) 및 이동판(20)의 외력에 의한 후방측 이동은 강력하게 억제되며, 헤드레스트(90)가 최 전방측 지점까지 전진된 후, 비로소 자동으로 최 후방측 지점까지 후퇴되는 방식으로 작동된다.
따라서, 수평상 임의의 지점에 정지된 헤드레스트(90)를 사용자가 전진시키고자 할 경우, 헤드레스트(90)를 전방측으로 뒤에서 밀거나 앞에서 당기는 방식으로 간편하게 이동시킬 수 있으며, 반대로 헤드레스트(90)를 당 시점 위치에서 후방에 위치한 소기의 위치로 이동시키고자 할 경우 일단 최 전방측 지점까지 전진시켜 자동 후퇴를 유도한 후 소기의 지점으로 전진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본 발명을 사용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은 전방 이동은 수동으로 수행되고 후방 복귀는 자동으로 진행되는 반자동 위치 조절 장치로서, 수동 조작되는 헤드레스트(90)의 전방 이동시에는 간헐적 정지가 가능하되, 임의 지점에서의 후방 이동은 억제되며, 최 전방 도달시 헤드레스트(90)가 최 후방으로 자동 복귀되는데, 이러한 전방 이동, 간헐 정지 및 자동 복귀 작동은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고정판(10), 이동판(20), 회동편(30) 및 구동스프링(50) 등의 구성을 통하여 달성된다.
우선, 도 2 및 도 3은 헤드레스트(90)에 내장되는 본 발명 장치를 발췌하여 도시한 것으로, 도 2는 이동판(20)의 최 후방 후퇴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 3은 이동판(20)의 최 전방 전진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이들 도면을 통하여, 본 발명 장치의 외관 및 스테이(91)와의 접합 방식 등을 확인함과 동시에, 본 발명의 전진 및 후퇴 상태별 이동판(20)과 고정판(10)간 위치 관계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내부 구조 및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각 요소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것으로, 이들 도면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고정판(10)과, 전후 이동이 가능하도록 고정판(10)에 결합되는 이동판(20)과, 이동판(20)의 이동을 단속하는 회동편(30)과, 이동판(20)에 탄발력을 부여하는 구동스프링(50) 등으로 구성된다.
도 4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고정판(10)은 후방이 개방된 상자형 판체로서 양 측단부에는 측벽(12)이 형성되고 전방에는 전벽(11)이 형성되며, 고정판(10)의 측벽(12) 하단부가 스테이(91) 상단에 고정되는 방식으로 설치된다.
즉,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고정판(10)은 양측의 측벽(12) 하단부가 스테이(91) 상단부에 접합, 고정되는 구성으로서, 양측 측벽(12)의 상단부가 수평 판체로 연결되어 역U자형 횡단면을 가지며, 양측 측벽(12) 상단을 연결하는 수평 판체의 전단(前端)에는 수직 벽체인 전벽(11)이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하부와 후방이 개방된 상자 형태를 가진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고정판(10)은 T자형으로 재단된 단일 판체의 양 측단부 하측으로 절곡하고, 전단부 역시 하측으로 절곡하는 극히 간단한 공정만으로 제작이 가능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판(10)을 구성하는 측벽(12) 전단(前端)과 전벽(11)의 측단 사이는 후술할 이동판(20)의 측판(22) 두께 이상의 거리로 이격되어, 도 5에서와 같은 고정판(10)과 이동판(20)의 결합시, 이동판(20)의 측판(22)이 고정판(10)의 측벽(12)과 전벽(11) 사이에 투입된다.
본 발명을 구성하는 이동판(20)은 전방이 개방된 상자형 판체로서 양 측단부에는 측판(22)이 형성되고 후방에는 후판(21)이 형성되어, 도 5에서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판(10)에 설치된다.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판(20)은 양측 측판(22)이 수평 판체로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U자형 횡단면을 가지며, 양측 측판(22)을 연결하는 수평 판체의 후단(後端)에는 수직 판체인 후판(21)이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상부와 전방이 개방된 상자 형태를 가진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이동판(20)을 구성하는 측판(22)이 단일 판체로 구성되지 않고, 측판(22)을 구성하는 전체 판체가 상부 판체와 하부 판체로 분할 제작된 후 상호 접합되는 방식이 적용되고 있는데, 이로써 양측 측판(22)의 상측 판체를 수평으로 연결하는 구획판(29)이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구획판(29)은 후술할 구동스프링(50)을 안정적으로 수용하는 기능과 더불어, 전체 이동판(20) 구조를 보강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동판(20)의 종방향 즉, 전후 방향 이동의 유도는 이동판(20)에 형성된 활동공(27)에, 고정판(10)에 고정된 활동봉(17)이 결합됨으로써 수행되는데,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이동판(20)의 측판(22)에는 전후 방향으로 절개된 활동공(27)이 형성되고, 고정판(10)의 측벽(12)에는 활동봉(17)이 결합되며, 상기 활동공(27)에 활동봉(17)이 자유롭게 활동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동판(20)의 하부에 종방향으로 절개 형성되는 활동공(27)은 활동봉(17)의 직경과 상하 폭이 일치하는 수평 장공(長孔)으로서,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부 이동판(20)과 하부 이동판(20)이 분할 제작된 후 접합되는 경우, 하부 이동판(20)의 측판(22)에 활동공(27)이 형성되고, 이동판(20)의 안정적인 지지 및 원활한 전후 활동을 유도할 수 있도록 활동공(27)이 양측 측판(22)에 형성되며, 한쌍의 활동봉(17)이 상호 이격된 상태로 결합된다.
즉,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이동판(20)은 단일 U자형 횡단면 판체가 아니라, 2개의 U자형 횡단 판체를 상, 하로 적층 접합하여 구성된 것으로, 측판(22)을 구성하는 상부 판체에는 이동판(20)의 전후 방향 수평 이동을 단속하는 후술할 결합치(23) 등의 수단이 구성되고, 측판(22)을 구성하는 하부 판체에는 활동공(27) 등 이동판(20)의 원활하고 안정적인 전후 이동을 유도하는 수단이 구성되는 것이다.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고정판(10)의 전벽(11)과 이동판(20)의 후판(21) 사이에는 구동스프링(50)이 설치되는데, 여기서 구동스프링(50)은 코일스프링으로서, 이로써 고정판(10)의 전벽(11)과 이동판(20)의 후판(21) 사이에는 이들 전벽(11)과 후판(21)을 상호 이격시키는 방향의 팽창 탄발력이 상시 작용하게 된다.
또한, 이동판(20)의 일측 측판(22) 상단부에는 다수의 결합치(23)가 형성되고, 이들 결합치(23) 배열부의 최 후방측 및 최 전방측에는 각각 상승턱(24) 및 하강판(25)이 형성되어, 이들 결합치(23), 상승턱(24) 및 하강판(25)과, 고정판(10)의 측벽(12) 내측에 장착되는 회동편(30)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전술한 전방 이동, 간헐 정지 및 자동 복귀 작동이 수행된다.
도 4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결합치(23)는 이동판(20)의 일측 측판(22) 상단에 종향향으로 반복 배열되는 거치형(鋸齒形) 구성으로서, 도 6에서와 같이, 결합치(23)의 전면(前面)과 후면(後面)에는 각각 완경사면 및 급경사면이 형성되고, 배열된 다수 결합치(23)의 정부(頂部)는 동일한 높이를 가진다.
결합치(23)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형성되는 완경사면 및 급경사면에 있어서 완경사면은 결합치(23) 하단을 지나는 수평선과 완경사면이 이루는 각도가 예각인 경사면이고, 급경사면은 결합치(23) 하단을 지나는 수평선과 급경사면이 이루는 각도가 직각 또는 직각에 근사한 각도를 이루는 경사면이다.
또한, 도 4 및 도 6에서와 같이, 최 후방 결합치(23) 후방에는 상승턱(24)이 형성되는데, 상승턱(24)의 상단면은 결합치(23)의 정부보다 상측에 위치하며, 최 전방 결합치(23) 상부에는 삼각형 형태의 하강판(25)이 형성되는데, 후방측으로 돌출된 판체인 하강판(25)의 저면에는 경사면이 형성된다.
한편, 고정판(10)의 측벽(12) 내부에는 결합치(23)에 결합되어 이동판(20)의 후퇴를 간헐적으로 억제하는 회동편(30)이 설치되는데, 회동편(30)은 고정판(10)의 측벽(12)에 결합되는 편축(31)이 후단부에 형성되고 전단부에는 하측으로 돌출된 첨부(32)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또한, 회동편(30)에 상황에 따라 적절한 방향으로 탄발력을 가하는 호형스프링(40)이 설치되는데, 호형스프링(弧形 spring)(40)은 그 사전적 의미에서와 같이 호형(弧形)의 스프링으로서, 회동편(30)의 첨부(32) 상부에 호형스프링(40)의 일단이 결합되고 호형스프링(40)의 타단은 측벽(12)에 결합된다.
즉, 도 4에서와 같이, 고정판(10)의 측벽(12)에는 축공(13)이 형성되어, 상기 회동편(30)의 편축(31)이 축공(13)에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측벽(12)의 축공(13) 전방측에는 지지공(14)이 형성되고 회동편(30)의 편축(31) 전방에는 결합공(34)이 형성되어, 호형스프링(40)의 일 단부는 횡단면상 고정판(10)의 중심측인 내측으로 절곡되어 회동편(30)의 결합공(34)에 결합되고, 호형스프링(40)의 타 단부는 외측으로 절곡되어 측벽(12)의 지지공(14)에 내측에서 외측으로 결합된다.
도 6 및 도 7은 전술한 구성의 본 발명 헤드레스트(90) 전후방 위치 조절 장치의 작동 방식을 설명한 것으로, 이들 도면에서와 같이, 이동판(20)의 측판(22)에 형성된 결합치(23), 상승턱(24) 및 하강판(25)과, 고정판(10)의 측벽(12)에 설치된 회동편(30)의 상호 작용을 통하여 전방 이동, 간헐 정지 및 자동 복귀 작동이 수행된다.
우선, 도 6의 상부 도면은 이동판(20)이 최 후방 지점으로 후퇴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동 도면의 하부 도면은 이동판(20)이 최 전방측의 정지 지점에 정지하는 순간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의 상부 도면에서와 같이, 양단이 각각 회동편(30) 및 고정판(10)의 측벽(12)에 결합된 호형스프링(40)이 회동판을 하측으로 회전시키는 탄발력을 발휘함에 따라, 회동편(30)의 첨부(32)가 측판(22) 전단부(前端部) 하강판(25) 직하부에 형성된 수직면에 밀착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이로써 구동스프링(50)의 탄발력에도 불구하고 이동판(20)의 후퇴가 강력하게 억제될 수 있다.
도 6의 상부 도면과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헤드레스트(90)를 전방으로 강제 이동시키면 헤드레스트(90)와 연결된 이동판(20)이 구동스프링(50)의 탄발력을 극복하고 전진하게 되는데, 이때 회동편(30)의 첨부(32)가 결합치(23)의 완경사면을 따라 활동(sliding)되면서 회동편(30)이 편축(31)을 축으로 상향 회전하고 그에 따라 호형스프링(40) 역시 압축 변형된다.
즉, 사용자가 이동판(20)을 인위적으로 전진시킴에 따라 구동스프링(50)의 탄발력이 극복되면서 이동판(20)이 전진되고, 그에 따라 결합치(23)의 전방 완경사면이 회동편(30)의 첨부(32)를 상승시키며, 이로써 호형스프링(40)의 탄발력이 극복되면서 회동편(30)이 회전되는 것이다.
이후, 이동판(20)의 전진이 계속되어 회전된 회동편(30)의 첨부(32)가 결합치(23)의 정부를 통과하면 호형스프링(40)의 탄발력으로 회동편(30)이 하방 회전되고 그에 따라 회동편(30)의 첨부(32)가 결합치(23) 사이의 공간으로 투입됨으로써 회동편(30)이 이동전 결합되었던 결합치(23) 직후에 위치한 결합치(23)에 결합된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 회동편(30)과 결합치(23)의 결합은 결합치(23) 간격을 추종하며 간헐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 6의 하부에는 전술한 과정을 반복하며 이동판(20)이 전진하다가 회동편(30)이 최 후방 결합치(23) 배후에 결합되면서 이동판(20)이 최 전방측의 정지 지점에 정지하는 순간을 도시한 것이다.
이동판(20)이 인력(人力)에 의하여 전진하는 전술한 과정 전반에 걸쳐 구동스프링(50)은 이동판(20)을 후퇴시키는 방향의 탄발력을 지속적으로 가하고 있으며 호형스프링(40)은 회동편(30)을 하방 회전시키는 탄발력을 지속적으로 가하고 있는데, 후술할 이동판(20)의 자동 후방 복귀시 구동스프링(50)의 작용은 차치하더라도, 이러한 상시 탄발력 작용은 위치 조절 작동중은 물론 평시 사용중의 본 발명 장치의 작동 안정성에 기여한다.
평상시 사용 상태에서는 헤드레스트(90) 본체 및 이동판(20)의 정지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필요가 있는데 이는 단순히 이동판(20)의 이동이 억제되는 것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불필요한 유격(裕隔) 형성 및 이로 인한 진동 억제를 포함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일단 회동편(30)이 결합치(23) 사이에 결합되면 구동스프링(50)의 탄발력에 의하여 회동편(30)이 결합치(23) 배후면에 강력하게 밀착되는 바, 일체의 유격이 형성되지 않으며 더불어 미세한 요동 내지 진동도 유발되지 않는다.
또한, 헤드레스트(90)의 전후 위치를 조절하는 상황 즉, 이동판(20)이 이동하는 상황에서도 회동편(30)에 상시 작용하는 호형스프링(40)의 하향 탄발력을 통하여, 회동편(30)의 첨부(32)가 결합치(23)를 비롯한 측판(22) 상단면에 긴밀한 밀착상태를 유지하면서 활동되는 바, 위치 조절 작동시에도 진동 및 충격이 최소화될 수 있는 것이다.
이렇듯, 사용자가 헤드레스트(90)를 전방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이동판(20)이 전진하고, 전진 과정에서 단계적으로 정지되되, 이동판(20)의 후퇴는 강력하게 억제되는데, 만일 사용자가 헤드레스트(90)를 현 위치에서 후방으로 이동시키고자 할 경우, 본 발명에서는 도 7에서와 같이, 일단 헤드레스트(90)를 최대한 전진시켜 이동판(20)을 최 전방측 지점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자동으로 후퇴 복귀시킨 후, 재차 전진시키는 방식으로 소기의 희망 위치로 헤드레스트(90)를 이동시키게 된다.
즉, 도 7의 상부 도면에서와 같이, 회동편(30)이 최 후방측 결합치(23) 배후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이동판(20)의 전진이 계속되어 회동편(30)의 첨부(32)가 상승턱(24) 상단면에 진입하면 호형스프링(40)의 탄발력에 의하여 회동편(30)이 상방으로 회전됨과 동시에, 동 도면의 하부 도면에서와 같이, 구동스프링(50)의 탄발력에 의하여 이동판(20)이 후퇴하는 것이다.
도 7의 상부도면에서 가상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이동판(20)의 전진이 지속되어 회동편(30)의 첨부(32)가 상승턱(24)에 진입하면, 회동편(30)이 추가로 상방 회전되면서 호형스프링(40)과 회동편(30)간 연결점이 편축(31) 중심축의 상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호형스프링(40)의 탄발력이 회동편(30)을 상측으로 회전시키는 방향으로 전환되어 작용하게 되고, 그에 따라 동 도면의 상부도면에서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편(30)이 상측으로 완전히 회전되면서 결합치(23)는 물론 상승턱(24) 등 측판(22) 상단부의 결합 관련 구성으로부터 완전히 이탈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듯, 회동편(30)이 결합치(23) 및 상승턱(24)으로부터 완전히 이탈되면 구동스프링(50)의 탄발력 억제 구조가 해제되므로 도 7의 하부 도면에서와 같이 구동스프링(50)이 팽창 복원되면서 이동판(20)이 신속하게 후퇴하여 전술한 도 6의 상부 도면에서와 같은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이렇듯, 이동판(20)이 최 후방측 지점으로 후퇴 복귀된 상태에서는 이후의 전진 작동시 회동편(30)의 기능을 회복하기 위하여 회동편(30) 역시 원래의 하강 상태로 복귀될 필요가 있는데, 이는 측판(22) 전단부 상측에 형성된 하강판(25)이 수행하게 된다.
즉, 도 7의 하부 도면에서와 같이, 이동판(20)이 후퇴를 계속하여 이동판(20)의 하강판(25)이 회동편(30)에 도달함에 따라 회동편(30)의 상면이 하강판(25) 저면의 경사면에 접하면서 회동편(30)이 편축(31)을 축으로 하방으로 회전되는 것으로, 일단 회동편(30)과 호형스프링(40)간 결합점이 편축(31) 중심축 하측으로 이동되면, 편축(31)을 기준으로 하는 호형스프링(40)의 탄발력 작용 방향이 재차 전환됨에 따라 회동편(30)의 결합치(23) 결합 상태가 강력하게 유지될 수 있다.
한편,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 이동판(20)의 전후 이동 과정에서 야기될 수 있는 측방 요동을 억제할 수 있도록 활동대(活動帶)(60)를 도입한 것으로, 도 8에서와 같이, 이동판(20)의 원활한 전후 이동을 보장할 수 있도록 이동판(20)과 고정판(10)간 충분한 이격 상태는 유지하되, 활동봉(17)이 결합되는 고정판(10) 하부 내측면 및 이동판(20) 하부 외측면 사이에 윤택한 표면을 가지는 고강도 합성수지 등으로 제작된 활동대(60)를 삽입하는 것이다.
도 9에서와 같이, 측판(22)에는 활동공(27)의 외곽을 따라 측벽(12)측으로 돌출되는 활동대(60)를 설치하고, 활동대(60)의 내부에는 활동봉(17)이 자유롭게 활동 가능하도록 결합하며, 활동대(60)의 외측 단은 측벽(12)에 밀착되도록 구성한다.
즉, 본 발명의 활동대(60)는 측판(22)에 형성된 활동공(27) 내주면과 활동공(27) 주변부의 측판(22) 표면을 띠 형태로 피복하는 구성인 동시에, 활동대(60)의 최측 단이 측벽(12) 내부면에 안착되는 구성인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활동대(60)는 이동판(20)과 고정판(10)간 불필요한 마찰을 억제하는 기능과 더불어, 활동봉(17)과 이동판(20)의 측판(22)간 직접 접촉을 방지하고, 활동봉(17)의 마찰을 경감시키는 기능도 수행한다.
이렇듯, 본 발명은 간소한 구성으로도 헤드레트스(90)의 원활하고 안정적인 전후 위치 조절이 가능할 뿐 아니라, 별도의 조작 수단 없이도 간편하고 직관적인 사용자 조작이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은 전후 방향 이동 경로상의 최소한의 공간 만으로도 구성 및 작동이 가능한 바, 링크를 구성하는 봉체 또는 판체의 회전 공간 및 기립 상태 링크의 수용 공간이 필요한 종래기술에 비하여, 헤드레스트(90)내 공간 잠식을 최소화할 수 있다.
10 : 고정판
11 : 전벽
12 : 측벽
13 : 축공
14 : 지지공
17 : 활동봉
20 : 이동판
21 : 후판
22 : 측판
23 : 결합치
24 : 상승턱
25 : 하강판
27 : 활동공
29 : 구획판
30 : 회동편
31 : 편축
32 : 첨부
34 : 결합공
40 : 호형스프링
50 : 구동스프링
60 : 활동대
90 : 헤드레스트
91 : 스테이

Claims (2)

  1. 자동차 헤드레스트(90)에 내장되고, 자동차 좌석 등받이에 하단부가 결합되는 스테이(91)의 상단부에 연결되는 전후방 위치 조절 장치에 있어서,
    후방이 개방된 상자형 판체로서 양 측단부에는 측벽(12)이 형성되고 전방에는 전벽(11)이 형성된 고정판(10)이 측벽(12) 하단부가 스테이(91) 상단에 고정되어 설치되고;
    전방이 개방된 상자형 판체로서 양 측단부에는 측판(22)이 형성되고 후방에는 후판(21)이 형성된 이동판(20)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판(10)에 설치되되, 고정판(10)의 측벽(12) 전단(前端)과 전벽(11)의 측단 사이가 이격되어 이동판(20)의 측판(22)이 고정판(10)의 측벽(12)과 전벽(11) 사이에 투입되며;
    이동판(20)의 측판(22)에는 전후 방향으로 절개된 활동공(27)이 형성되고, 고정판(10)의 측벽(12)에는 활동봉(17)이 결합되며, 상기 활동공(27)에 활동봉(17)이 자유롭게 활동가능하도록 결합되고;
    고정판(10)의 전벽(11)과 이동판(20)의 후판(21) 사이에는 팽창 탄발력이 상시 작용하는 코일스프링인 구동스프링(50)이 설치되며, 이동판(20)의 일측 측판(22) 상단부에는 다수의 결합치(23)가 형성되되, 결합치(23)의 전면(前面)과 후면(後面)에는 각각 완경사면 및 급경사면이 형성되고, 최 후방 결합치(23) 후방에는 상승턱(24)이 형성되며, 최 전방 결합치(23) 상부에는 경사면이 형성된 하강판(25)이 형성되고;
    고정판(10)의 측벽(12)에 결합되는 편축(31)이 후단부에 형성되고 전단부에는 하측으로 돌출된 첨부(32)가 형성된 회동편(30)이 고정판(10)의 측벽(12) 내부에 설치되고;
    회동편(30)의 첨부(32) 상부에는 호형스프링(40)의 일단이 결합되고 호형스프링(40)의 타단은 측벽(12)에 결합되어;
    회동편(30)의 첨부(32)가 결합치(23) 사이에 결합됨에 따라 이동판(20)의 이동이 억제되고, 이동판(20)을 전진시킴에 따라 회동편(30)의 첨부(32)가 결합치(23) 표면을 따라 활동하면서 회동편(30)이 상방으로 회전되고, 이동판(20)의 전진이 계속됨에 따라 회동편(30)의 첨부(32)가 결합치(23) 정부(頂部)를 통과하면 호형스프링(40)의 탄발력에 의하여 회동편(30)이 하방으로 회전되며;
    이동판(20)의 전진이 계속되어 회동편(30)의 첨부(32)가 상승턱(24) 상단면에 진입하면 호형스프링(40)의 탄발력에 의하여 회동편(30)이 상방으로 회전됨과 동시에, 구동스프링(50)의 탄발력에 의하여 이동판(20)이 후퇴하고, 이동판(20)의 하강판(25)이 회동편(30)에 도달함에 따라 회동편(30)의 상면이 하강판(25)에 의하여 하방으로 회전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레스트 반자동 전후방 위치 조절 장치.
  2. 삭제
KR1020190080754A 2019-07-04 2019-07-04 자동차 헤드레스트 반자동 전후방 위치 조절 장치 KR1020870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0754A KR102087002B1 (ko) 2019-07-04 2019-07-04 자동차 헤드레스트 반자동 전후방 위치 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0754A KR102087002B1 (ko) 2019-07-04 2019-07-04 자동차 헤드레스트 반자동 전후방 위치 조절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7002B1 true KR102087002B1 (ko) 2020-03-10

Family

ID=69801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0754A KR102087002B1 (ko) 2019-07-04 2019-07-04 자동차 헤드레스트 반자동 전후방 위치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70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1101A (ko) * 2020-08-13 2022-02-22 (주)디앤엠솔루션즈 헤드레스트 모듈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3596Y1 (ko) * 2006-06-01 2006-08-08 다이모스(주) 차량용 시트의 탑승자 목 부상 방지 타입 헤드레스트
KR20100034555A (ko) * 2008-09-24 2010-04-01 최순봉 차량용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KR101310623B1 (ko) * 2012-09-21 2013-09-24 서천(주)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수평위치조절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3596Y1 (ko) * 2006-06-01 2006-08-08 다이모스(주) 차량용 시트의 탑승자 목 부상 방지 타입 헤드레스트
KR20100034555A (ko) * 2008-09-24 2010-04-01 최순봉 차량용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KR101310623B1 (ko) * 2012-09-21 2013-09-24 서천(주)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수평위치조절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1101A (ko) * 2020-08-13 2022-02-22 (주)디앤엠솔루션즈 헤드레스트 모듈
KR102435907B1 (ko) 2020-08-13 2022-08-24 (주)디앤엠솔루션즈 헤드레스트 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28237A (en) Shock absorber for a back rest of a chair
US5860703A (en) Vehicle seat including a headrest, and a headrest for a vehicle seat
CN107380025B (zh) 车辆座椅
JP5347142B2 (ja) 椅子
US5076645A (en) Armrest for vehicle seat
JP6892356B2 (ja) チャイルドシート及びそのサイドプロテクション幅の調整機構
JPH09276072A (ja) ヘッドレスト装置
US20040119324A1 (en) Vehicle seat having a movable head restraint
JP2019206229A (ja) ヘッドレスト及び車両用シート
US5567009A (en) Rocking/reclining chair having limit means and noise suppression means
KR102087002B1 (ko) 자동차 헤드레스트 반자동 전후방 위치 조절 장치
RU2662881C1 (ru) Узел подголовника (варианты)
JP2013503686A (ja) 頭部保持具
CN111516574B (zh) 汽车座椅用头枕的前后位置调节装置
US6942293B2 (en) Neck rest for the back rest of automobile seats, in particular rear seats
JP2003072448A (ja) 飲料容器ホルダ
CN215502094U (zh) 一种隐藏式座椅脚踏装置
US1562658A (en) Vehicle seat
KR101972509B1 (ko) 헤드레스트 조절장치
JP2898177B2 (ja) ヘッドレスト装置
JPS6312770Y2 (ko)
KR20120032201A (ko)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CN219680147U (zh) 一种用于追背椅的后部安装结构
KR960004712Y1 (ko)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수평이동장치
JP2967152B2 (ja) 椅子用脚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