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2683A - 하이브리드 차량의 연료펌프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차량의 연료펌프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2683A
KR20220022683A KR1020200103919A KR20200103919A KR20220022683A KR 20220022683 A KR20220022683 A KR 20220022683A KR 1020200103919 A KR1020200103919 A KR 1020200103919A KR 20200103919 A KR20200103919 A KR 20200103919A KR 20220022683 A KR20220022683 A KR 202200226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pump
engine
fuel
controller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3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부열
전현도
김탁군
이보성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039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22683A/ko
Priority to US17/237,817 priority patent/US20220056858A1/en
Priority to DE102021111998.7A priority patent/DE102021111998A1/de
Priority to CN202110525335.5A priority patent/CN114076043A/zh
Publication of KR202200226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26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33/00Controlling delivery of fuel or combustion-ai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D33/003Controlling the feeding of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 Failure or leakage prevention; Diagnosis or detection of failure; Arrangement of sensors in the fuel system; Electric wiring; Electrostatic discharge
    • F02D33/006Controlling the feeding of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 Failure or leakage prevention; Diagnosis or detection of failure; Arrangement of sensors in the fuel system; Electric wiring; Electrostatic discharge depending on engine operating conditions, e.g. start, stop or ambient condi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30Controlling fuel injection
    • F02D41/3082Control of electrical fuel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9/00Controlling engines, such controlling being peculiar to the devices driven thereby, the devices being other than parts or accessories essential to engine operation, e.g. controlling of engines by signals external thereto
    • F02D29/02Controlling engines, such controlling being peculiar to the devices driven thereby, the devices being other than parts or accessories essential to engine operation, e.g. controlling of engines by signals external thereto peculiar to engines driving vehicles; peculiar to engines driving variable pitch prope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60W10/06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including control of combustion eng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60W10/08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including control of electric propulsion units, e.g. motors or gen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3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auxiliary equipment, e.g. air-conditioning compressors or oil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0/00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 B60W20/40Controlling the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prime movers, e.g. for transition between prime m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4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 F02M37/08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electrically driv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4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 F02D41/042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stopping the eng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4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 F02M37/08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electrically driven
    • F02M2037/085Electric circuit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4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 F02M37/08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electrically driven
    • F02M2037/085Electric circuits therefor
    • F02M2037/087Controlling fuel pressure val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2Hybri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ybrid Electric Vehicle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차량의 연료펌프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연료펌프 제어기와 전원의 연결을 제어하는 연료펌프 릴레이의 빈번한 온/오프 작동을 방지하고 연료펌프 릴레이의 내구성능을 확보하도록 한 하이브리드 차량의 연료펌프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하이브리드 차량의 연료펌프 제어 장치 {Device for controlling fuel pump of hybrid electric vehicle}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차량의 연료펌프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연료펌프 제어기와 전원의 연결을 제어하는 연료펌프 릴레이의 빈번한 온/오프 작동을 방지하고 연료펌프 릴레이의 내구성능을 확보하도록 한 하이브리드 차량의 연료펌프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이브리드 차량은 연비 증대를 위해 연료펌프 제어기가 탑재되며, 연료펌프는 엔진 제어기가 연료펌프 릴레이의 작동을 제어함에 의해 온/오프 된다. 상기 연료펌프 릴레이는 연료펌프 제어기와 전원 간에 전기적 연결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종래의 하이브리드 차량은 엔진 구동이 정지될 때 엔진 제어기가 연료펌프 릴레이를 오프시킴으로써 연료펌프 제어기에 전원 공급이 중단되고 그에 따라 연료펌프가 오프된다.
이러한 하이브리드 차량은 통상적으로 주행 중 연비 증대를 위해 엔진이 빈번하게 온/오프 되는데, 그에 따른 연료펌프의 작동 제어를 위해 연료펌프 릴레이의 온/오프 작동이 빈번하게 초래되어 연료펌프 릴레이의 내구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한편, 상기 연료펌프 제어기는 EMI(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및 EMC(Electro Magnetic Compatibility) 대응을 위해 통상적으로 대용량의 캐패시터를 적용하고 있다. 이러한 연료펌프 제어기는 턴온 시 순간적으로 상기 캐패시터의 충전에 의한 돌입전류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 연료펌프 제어기의 돌입전류는 연료펌프의 정상 작동 시 통전되는 전류 및 연료펌프 모터의 기동 시 통전되는 전류보다 매우 높은 전류이기 때문에 연료펌프 릴레이의 내구에 악영향을 끼친다.
이와 같은 연료펌프 제어기의 특성에 의해 연료펌프 릴레이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물론이고 연료펌프 릴레이가 파손되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연료펌프 릴레이의 접점부 손상에 따른 파손이 발생하고 있으며, 그에 따른 연료펌프의 지속적인 작동 및 배터리의 방전이 초래되어 결과적으로 시동 불가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엔진이 시동된 이후 연료펌프 제어기가 연료펌프를 직접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연료펌프 제어기와 전원의 연결을 제어하는 연료펌프 릴레이의 빈번한 온/오프 작동을 방지하고 연료펌프 릴레이의 내구성능을 확보하도록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연료펌프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엔진과 모터를 주행 동력원으로 이용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연료펌프 제어 장치로서, 연료펌프 모터의 작동에 의해 엔진으로 연료를 공급하게 되는 연료펌프; 엔진이 시동될 때 연료펌프 모터와 전원의 연결을 제어하는 연료펌프 릴레이를 온 작동시키는 엔진 제어기; 상기 연료펌프 릴레이의 온 작동 시 상기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온 되고, 엔진이 시동된 이후 정지될 때 연료펌프 모터에 인가되는 전력의 공급을 중단시켜서 연료펌프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연료펌프 제어기;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연료펌프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연료펌프 제어 장치는, 상기 연료펌프 제어기가 연료펌프 모터에 인가되는 전력의 공급을 중단시킬 때, 상기 연료펌프 릴레이의 온 상태가 유지된다. 상기 연료펌프 릴레이는 엔진이 오프될 때 엔진 제어기에 의해 오프된다. 즉, 상기 엔진 제어기는 엔진이 오프될 때 상기 연료펌프 릴레이를 오프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료펌프 제어기는, 엔진 시동 이후 차량의 누적주행거리가 정해진 임계거리 이하이면 정해진 설정시간 동안 연료펌프를 강제로 구동시키고, 상기 누적주행거리가 상기 임계거리를 초과하면 연료펌프와 엔진을 연결하는 연료라인의 실측연료압력이 목표연료압력을 추종하도록 연료펌프의 연료토출압력을 제어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료펌프 제어기는, 엔진 시동 이후 엔진 제어기로부터 수신되는 엔진 상태(status) 정보에 따라 연료펌프 모터에 인가되는 전력을 제어하여서 연료펌프를 작동시키거나 또는 정지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료펌프 제어기는, 엔진 시동 이후 엔진은 정지되고 모터만 주행 동력원으로 이용하는 전기차 모드에 차량이 진입하면, 정해진 시간이 지난 뒤에 연료펌프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료펌프 제어기는, 차량이 전기차 모드로 주행하는 중에 엔진 제어기로부터 엔진 상태 정보 또는 목표연료압력 정보가 미수신되면 연료펌프의 연료토출압력을 정해진 기본압력값으로 일정하게 제어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료펌프 제어기는, 차량이 전기차 모드로 주행하는 중에 연료펌프와 엔진을 연결하는 연료라인의 잔압이 정해진 임계압력 미만이면 연료펌프를 구동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료펌프 제어기는, 엔진 상태가 정지 모드에서 비정지 모드로 천이될 때 연료펌프 모터에 전력을 인가시켜 연료펌프를 작동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료펌프 제어기는, 엔진이 구동되는 중에 엔진 제어기로부터 엔진 상태 정보가 미수신되면 연료펌프의 연료토출압력을 정해진 기준압력값으로 고정시켜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의 연료펌프 제어 장치에 의하면, 엔진이 시동된 이후 오프되기 전까지 연료펌프 제어기가 연료펌프를 직접 구동시키거나 정지시킴으로써 연료펌프 릴레이가 엔진 상태에 따라 빈번하게 온/오프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연료펌프 릴레이의 내구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의 연료펌프 제어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펌프 릴레이와 연료펌프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펌프 제어 장치의 연료압력 제어 방식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펌프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에 표현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쉽게 설명하기 위해 도식화된 도면으로 실제로 구현되는 형태와 상이할 수 있다.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의 연료펌프 제어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펌프 릴레이와 연료펌프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펌프 제어 장치는, 엔진과 구동모터를 주행 동력원으로 이용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연료펌프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이 시동될 때 연료펌프 릴레이(10)를 온 작동시키는 엔진 제어기(30)와, 상기 연료펌프 릴레이(10)가 온 될 때 차량 전원(50)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온 되는 연료펌프 제어기(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원(50)은 연료펌프 릴레이(10)의 온 작동 시 연료펌프 모터(25)에 구동전력을 공급하여 연료펌프의 연료 펌핑 작동을 가능하게 하는 배터리일 수 있다. 상기 연료펌프는 연료펌프 모터(25)의 작동에 의해 엔진으로 연료를 압송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연료펌프 릴레이(10)와 연료펌프 모터(25)는 필터(23)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필터(23)는 연료펌프 모터(25)에 공급되는 전력의 노이즈 성분을 제거하도록 구성된다.
엔진 제어기(30)는, 컨트롤 릴레이(40)의 작동을 제어하는 릴레이 제어부(33)와, 엔진 상태(status) 정보 및 목표연료압력 정보를 연료펌프 제어기(20)에 제공하는 펌프 제어부(3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컨트롤 릴레이(40)는 연료펌프 릴레이(10)의 온/오프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릴레이다.
엔진 제어기(30)는 드라이버(32)를 통해 엔진 상태 정보 및 목표연료압력 정보를 연료펌프 제어기(20)에 전송할 수 있다.
연료펌프 제어기(20)는, 펌프 제어부(31)에서 전송되는 정보를 기반으로 연료펌프 모터(25)의 작동을 제어하는 모터 제어부(21)와, 상기 모터 제어부(21)와 펌프 제어부(31) 간에 통신을 수행하는 캔 트랜시버(CAN Transceiver)(22) 및 상기 필터(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모터 제어부(21)는, 연료펌프 릴레이(10)와 직렬로 연결된 스위칭 모듈(24)의 작동을 제어하여서, 연료펌프 모터(25)와 전원(50)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거나 또는 연료펌프 모터(25)와 전원(50) 간에 연결을 차단시킬 수 있다.
상기 스위칭 모듈(24)은 서로 직렬 연결된 제1 스위칭 소자(24a)와 제2 스위칭 소자(24b)로 구성될 수 있다. 연료펌프 모터(25)는 제1 스위칭 소자(24a) 또는 제2 스위칭 소자(24b)에 병렬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료펌프 모터(25)는 제1 스위칭 소자(24a)에 병렬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스위칭 소자(24a)가 오프 되고 제2 스위칭 소자(24b)가 온 되면 연료펌프 모터(25)에 전력이 공급되고, 제1 스위칭 소자(24a)와 제2 스위칭 소자(24b)가 모두 온 되면 연료펌프 모터(25)에 전력 공급이 중단된다.
상기 연료펌프 제어기(20)는, 엔진이 시동된 이후 엔진 제어기(30)로부터 전송되는 엔진 상태(status) 정보에 따라 연료펌프 모터(25)의 온/오프를 제어한다. 즉, 연료펌프 제어기(20)는 엔진이 시동된 이후 엔진 상태에 따라 연료펌프 모터(25)를 구동시키거나 또는 정지(stop)시킨다.
구체적으로 연료펌프 제어기(20)는, 엔진이 시동된 이후 정지될 때 연료펌프 모터(25)에 인가되는 전원(50)의 전력 공급을 중단시켜서 연료펌프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상기의 엔진이 시동된 이후 정지될 때, 엔진 제어기(30)는 연료펌프 릴레이(10)를 오프 시키지 않는다. 다시 말해, 연료펌프 제어기(20)가 연료펌프 모터(25)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시킬 때, 연료펌프 릴레이(10)는 온 상태가 유지된다. 엔진 제어기(30)는 상기 엔진이 오프될 때 연료펌프 릴레이(10)를 오프시킨다.
예를 들어, 하이브리드 차량은 전기차(Electric Vehicle, EV) 모드로 주행 시 엔진이 정지된다. 하이브리드 차량은 전기차 모드로 주행 시 엔진과 모터 중 모터의 동력만 이용하여 주행하게 된다. 즉, 하이브리드 차량은 전기차 모드에 진입 시 엔진은 정지되고 모터만 구동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연료펌프 릴레이(10)는 엔진 시동이 걸릴 때 엔진 제어기(30)에 의해 온 된 이후 엔진이 오프되기 전까지는 온 상태가 유지되며, 차량이 전기차(EV) 모드에 진입하여 엔진이 정지되는 경우 연료펌프의 작동이 정지되더라도 연료펌프 릴레이(10)는 온 상태가 유지된다.
이에 따라 연료펌프 제어기(20)는, 엔진이 정지되는 전기차 모드에서도 연료펌프의 작동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연료펌프의 연료압력 제어에 유리한 이점이 있다.
또한 차량이 전기차 모드에 진입하여 엔진이 정지될 때, 엔진과 연료펌프를 연결하는 연료라인의 잔압 유지를 위해 연료펌프는 소정 시간이 경과한 뒤에 정지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연료펌프 제어기(20)는, 엔진이 정지(stop) 상태로 천이되어 엔진 구동이 정지될 때 상기 연료라인의 잔압을 일정압력 이상으로 유지시키기 위해, 정해진 시간(예를 들어, 약 0.5초)이 지난 뒤에 연료펌프 모터(25)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또한 연료펌프 제어기(20)는, 엔진이 시동되는 초기에 연료펌프와 엔진을 연결하는 연료라인 내 연료압력 및 연료펌프로부터 엔진으로 공급되는 연료압력을 정해진 기본압력(예를 들어, 5bar)까지 상승시키기 위해 정해진 시간(예를 들어, 약 2초) 동안 연료펌프 모터(25)를 강제로 구동시킨다.
그리고 연료펌프 제어기(20)는, 차량의 누적주행거리가 정해진 임계거리 이하인 경우에도 연료펌프 모터(25)를 정해진 설정시간(예를 들어, 약 30초) 동안 강제로 구동시킨다.
좀더 말해, 연료펌프 제어기(20)는, 차량의 누적주행거리가 상기 임계거리 이하인 경우 엔진이 최초 시동된 상태라고 판단하고, 상기 연료라인 내 공기를 제거하기 위해 연료펌프 모터(25)를 상기 설정시간 동안 강제로 구동시킨다 .
상기 임계거리는 차량이 제조공장 내부에 있는 상태이거나 제조공장에서 출하되고 있는 상태라고 판단되는 거리값으로 정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임계거리는 5km이거나 또는 5km 내외의 거리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연료펌프 제어기(20)는, 차량의 누적주행거리가 상기 임계거리를 초과하면 실측연료압력이 목표연료압력을 추종하도록 상기 연료펌프의 연료토출압력을 가변 제어하게 된다. 연료펌프 제어기(20)는, 연료펌프 모터(25)의 작동을 제어하여서 연료펌프가 토출하는 연료압력(즉, 연료토출압력)을 제어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연료펌프는 엔진의 연료소모량을 추종하여 연료토출압력 및 연료토출유량이 가변 제어될 수 있다. 연료토출압력은 엔진 상태에 따라 가변 제어될 수 있으며, 연료토출유량은 엔진의 실제 연료소모량과 안전유량에 따라 가변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안전유량은 엔진의 실제 연료소모량에 대한 일정 비율값으로 정해질 수 있다.
상기 연료펌프의 연료토출압력은 연료라인의 실측연료압력이 엔진 제어기(30)의 목표연료압력을 추종하도록 피드백 제어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연료펌프 모터(25)의 속도는 상기 연료라인의 실측연료압력이 엔진 제어기(30)의 목표연료압력을 추종하도록 피드백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실측연료압력은 연료펌프가 엔진측으로 토출하는 연료압력을 연료라인에서 실제로 측정한 연료압력값이다. 상기 실측연료압력은 연료펌프와 엔진을 연결하는 연료라인에 설치된 압력센서를 통해 검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목표연료압력은 엔진 작동 조건에 따라 엔진 제어기(30)에서 정해지는 연료압력값이다.
한편 상기 연료펌프 제어기(20)는, 엔진이 시동된 이후 엔진 상태(status) 정보 및 목표연료압력 정보에 따라 연료펌프 모터(25)에 인가되는 전력을 제어하여서 연료펌프의 작동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연료펌프 제어기(20)는, 엔진 상태가 정지(stop) 모드로 천이될 때 정해진 기준시간이 지난 후에 연료펌프 모터(25)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엔진이 상기 정지 모드로 천이되어 차량이 전기차 모드로 주행하는 중에, 엔진 제어기(30)로부터 엔진 상태 정보 또는 목표연료압력 정보가 미수신되는 경우, 엔진 제어기(30)와 연료펌프 제어기(20) 간에 통신 타임아웃 에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연료펌프 제어기(20)는, 전기차 모드로 주행하는 중에 엔진 상태 정보 또는 목표연료압력 정보가 미수신되는 경우, 엔진이 재구동되는 것을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연료펌프 제어기(20)는, 엔진 제어기(30)로부터 엔진 상태 정보 또는 목표연료압력 정보가 미수신되는 경우, 도 4와 같이 연료펌프의 연료토출압력을 기본압력값(예를 들어, 5bar)으로 고정시켜 일정하게 제어한다.
상기 기본압력값은, 연료펌프의 가혹 작동 조건을 기준으로 정해질 수 있으며, 사전 실험 및 평가 등을 통해 도출된 압력값으로 정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연료펌프 제어기(20)는, 차량이 전기차 모드로 주행하는 중에 연료라인의 잔압을 모니터링하여 연료라인의 잔압이 정해진 임계압력 미만이면 상기 연료라인의 잔압이 상기 임계압력 이상이 될 때까지 연료펌프 모터(25)에 전력을 인가시켜 연료펌프를 구동시킬 수 있다.
아울러 연료펌프 제어기(20)는, 엔진 상태가 정지 모드에서 비정지 모드로 천이될 때 연료펌프 모터(25)에 전력을 인가시켜 연료펌프를 작동시킨다.
상기 비정지 모드는 정지 모드를 제외한 엔진 상태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비정지 모드는 스타트(start) 모드와 아이들 스피드(idle speed) 모드와 파트 로드(part load) 모드와 풀 로드(pull load) 모드 및 연료 컷오프(fuel cut off) 모드 중에 어느 하나의 모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타트 모드는 전기차 모드로 주행 중 구동모터의 구동력 이상의 동력이 요구될 때 엔진 시동을 걸기 위해 엔진을 회전시키는 상태이다. 상기 아이들 스피드 모드는 전기차 모드 및 운전자 요구동력과 상관없이 냉각수온 상승, 차량 실내난방, 엔진 상태 유지 등의 필요에 의해 엔진을 아이들 회전속도(RPM)로 구동시키는 상태이다. 상기 파트 로드 모드는 가속페달의 작동량에 따른 운전자 요구동력이 구동모터의 동력과 엔진의 동력으로 충족되는 상태이다. 즉, 상기 파트 로드 모드는 엔진이 구동모터와 함께 구동되는 상태이다. 상기 풀 로드 모드는 엔진 동력과 구동모터 동력을 100% 사용하는 상태이다. 예를 들어, 가속페달이 풀(FULL)로 밟혀 가속페달의 개도량이 100% 인 경우, 상기 풀 로드 모드로 주행하게 된다. 상기 연료 컷오프 모드는 엔진에 대한 연료 공급이 차단된 상태이다.
그리고 상기 연료펌프 제어기(20)는, 비정지 모드로 엔진이 구동되는 중에 엔진 제어기(30)로부터 엔진 상태 정보가 미수신되면, 연료펌프의 연료토출압력을 기본압력값(예를 들어, 5bar)으로 고정시켜 제어한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하이브리드 차량의 연료펌프 제어 방법을 일례로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연료펌프 제어 방법이 도 4에 도시된 순서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엔진 제어기(30)가 연료펌프 릴레이(10)를 온 작동시키면(S100), 연료펌프 제어기(20)에 전원(50)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전력이 공급된다(S110).
연료펌프 제어기(20)는, 연료펌프 릴레이(10)를 통해 전원(50)과 연결되는 초기 시점에 엔진 제어기(30)와 통신이 개시되기 전까지 소정 시간 동안 스위칭 모듈(24)을 작동시켜 연료펌프 모터(25)에 전력을 인가하여 연료펌프를 구동시킨다(S120). 이때 상기 연료펌프는 미리 설정된 압력값(예를 들어, 5bar)으로 구동된다.
모터 제어부(21)가 전원(50)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작동하기 시작하면, 연료펌프 모터(25)는 모터 제어부(21)에 의해 제어된다.
모터 제어부(21)는, 전력을 공급받아 작동되면 캔 트랜시버(22)의 웨이크업(wake up) 신호를 엔진 제어기(30)에 전송하고(S130), 엔진 제어기(30)의 펌프 제어부(31)로부터 엔진 상태 정보 및 목표연료압력 정보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한다(S140).
엔진 제어기(30)는 캔 트랜시버(22)의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하면 모터 제어부(21)와 통신이 가능한 상태임을 인지하고, 연료펌프 제어기(20)의 모터 제어부(21)에 엔진 상태 정보 또는 목표연료압력 정보를 전송한다.
모터 제어부(21)는 일정 시간 내에 엔진 상태 정보 또는 목표연료압력 정보가 미수신되면 연료펌프의 연료토출압력을 정해진 기본압력값(예를 들어, 5bar)으로 고정시켜 일정하게 제어한다(S150).
그리고 모터 제어부(21)가 엔진 상태 정보 또는 목표연료압력 정보를 정상적으로 수신한 것으로 판단되면, 엔진 제어기(30)는 오도미터(Odometer)로부터 수신한 누적주행거리 정보를 저장되어 있는 임계거리(예를 들어, 5km) 정보와 비교한다(S160).
엔진 제어기(30)는 누적주행거리 정보와 임계거리 정보를 비교한 결과를 모터 제어부(21)에 전송한다. 엔진 제어기(30)는 누적주행거리 정보와 임계거리 정보를 비교한 결과 대신 엔진의 최초 시동 여부의 정보를 모터 제어부(21)에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모터 제어부(21)는, 누적주행거리가 상기 임계거리를 초과하는 것으로 인지되면, 연료펌프 모터(25)를 작동시켜 연료펌프의 가변 압력 제어를 시작한다(S170).
상기 연료펌프 모터(25)가 작동되는 중에, 엔진이 비정지 모드에서 정지 모드로 천이되는지를 판단한다(S180).
연료펌프 제어기(20)는, 엔진이 비정지 모드에서 정지 모드로 천이되면 연료펌프 모터(25)를 정해진 시간(예를 들어, 0.52초)이 지난 뒤에 정지시킨다(S190).
그리고 상기 엔진이 정지 모드로 천이되어 차량이 전기차 모드로 주행하는 중에, 엔진 상태 정보 또는 목표연료압력 정보가 정상적으로 수신되는지를 판단한다(S200).
엔진 상태 정보 또는 목표연료압력 정보가 미수신되는 경우, 연료펌프 제어기(20)는 연료펌프의 연료토출압력을 정해진 기본압력값(예를 들어, 5bar)으로 고정시켜 제어한다(S210).
연료펌프 제어기(20)는, 엔진 제어기(30)로부터 엔진 상태 정보 또는 목표연료압력 정보가 미수신되는 경우, 엔진 상태 정보 또는 목표연료압력 정보가 통신 타임아웃으로 인해 미수신되거나 또는 캔 트랜시버(22)의 접속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캔 트랜시버(22)를 통한 정보 수신에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연료펌프 제어기(20)는, 상기 엔진이 정지 모드로 천이되어 차량이 전기차 모드로 주행하는 중에, 엔진이 정지 모드에서 비정지 모드로 천이되는지를 판단한다(S220). 엔진이 정지 모드에서 비정지 모드로 천이되면 엔진의 구동을 위해 연료펌프를 다시 작동시킨다(S230).
상기 엔진이 비정지 모드로 천이되어 차량이 엔진 구동 모드로 주행하는 중에, 엔진 상태 정보 또는 목표연료압력 정보가 정상적으로 수신되는지를 판단한다(S240).
캔 통신 타임아웃 등으로 인해 연료펌프 제어기(20)가 엔진 제어기(30)로부터 엔진 상태 정보 또는 목표연료압력 정보를 미수신하는 경우, 정상적인 연료펌프의 제어가 불가하므로, 연료펌프의 연료토출압력을 기본압력값(예를 들어, 5bar)으로 고정시켜 제어한다(S250).
이와 같이 연료펌프가 제어되는 중에 엔진이 오프되면, 엔진 제어기(30)가 연료펌프 릴레이(10)를 오프시킨다(S260).
한편 모터 제어부(21)는, 상기 S160 단계에서 누적주행거리가 상기 임계거리 이하인 것으로 인지되면, 연료라인의 공기 빼기를 위해 연료펌프 모터(25)를 정해진 설정시간(예를 들어, 약 30초) 동안 강제로 구동시킨다(S172).
다음, 모터 제어부(21)는 엔진 제어기(3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기반으로 엔진 상태가 정지 모드인지를 판단한다(S174). 모터 제어부(21)는, 엔진 상태가 비정지 모드인 것으로 판단되면, 강제로 구동 중인 연료펌프 모터(25)의 작동을 유지시킨다(S176).
그리고 상기 엔진이 비정지 모드에서 정지 모드로 천이되어 차량이 전기차 모드에 진입하게 되면, 연료펌프를 정지시키고(S190) 엔진 상태 정보 또는 목표연료압력 정보가 정상적으로 수신되는지를 판단한다(S200).
연료펌프 제어기(20)는, 상기 엔진 상태 정보 또는 목표연료압력 정보가 미수신되는 경우, 연료펌프의 연료토출압력을 정해진 기본압력값(예를 들어, 5bar)으로 고정시켜 제어한다(S210).
또한 상기 모터 제어부(21)는, 상기 S172 단계에서 엔진 상태가 정지 모드인 것으로 판단되면, 강제로 구동 중인 연료펌프 모터(25)에 대한 전력 공급을 중단시킴으로써 연료펌프의 작동을 정지시킨다(S178).
다음 모터 제어부(21)는, 엔진 제어기(3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기반으로 엔진이 정지 모드에서 비정지 모드로 천이되는지를 판단한다(S220).
엔진이 정지 모드에서 비정지 모드로 천이되면 엔진의 구동을 위해 연료펌프 모터(25)에 전력을 인가시켜 연료펌프를 다시 작동시킨다(S230).
상기 엔진이 비정지 모드로 천이되어 차량이 엔진 구동 모드로 주행하는 중에, 연료펌프 제어기(20)가 엔진 제어기(30)로부터 엔진 상태 정보를 미수신하는 경우, 연료펌프의 연료토출압력을 기본압력값(예를 들어, 5bar)으로 고정시켜 제어한다(S250).
이와 같이 연료펌프가 제어되는 중에 엔진이 오프되면, 엔진 제어기(30)가 연료펌프 릴레이(10)를 오프시킨다(S260).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는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일 뿐이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10 : 연료펌프 릴레이
20 : 연료펌프 제어기
21 : 모터 제어부
22 : 캔 트랜시버
24 : 스위칭 모듈
24a : 제1 스위칭 소자
24b : 제2 스위칭 소자
25 : 연료펌프 모터
30 : 엔진 제어기
31 : 펌프 제어부
32 : 드라이버
33 : 릴레이 제어부
40 : 컨트롤 릴레이
50 : 전원

Claims (11)

  1. 엔진과 모터를 주행 동력원으로 이용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연료펌프 제어 장치로서,
    연료펌프 모터의 작동에 의해 엔진으로 연료를 공급하게 되는 연료펌프;
    엔진이 시동될 때 연료펌프 모터와 전원의 연결을 제어하는 연료펌프 릴레이를 온 작동시키는 엔진 제어기;
    상기 연료펌프 릴레이의 온 작동 시 상기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온 되고, 엔진이 시동된 이후 정지될 때 연료펌프 모터에 인가되는 전력의 공급을 중단시켜서 연료펌프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연료펌프 제어기;
    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연료펌프 제어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료펌프 제어기가 연료펌프 모터에 인가되는 전력의 공급을 중단시킬 때, 상기 연료펌프 릴레이는 온 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연료펌프 제어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엔진 제어기는 엔진이 오프될 때 상기 연료펌프 릴레이를 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연료펌프 제어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료펌프 제어기는, 엔진 시동 이후 차량의 누적주행거리가 정해진 임계거리 이하이면 정해진 설정시간 동안 연료펌프를 강제로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연료펌프 제어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연료펌프 제어기는, 엔진 시동 이후 차량의 누적주행거리가 상기 임계거리를 초과하면, 연료펌프와 엔진을 연결하는 연료라인의 실측연료압력이 목표연료압력을 추종하도록 연료펌프의 연료토출압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연료펌프 제어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료펌프 제어기는, 엔진 시동 이후 엔진 제어기로부터 수신되는 엔진 상태(status) 정보에 따라 연료펌프 모터에 인가되는 전력을 제어하여서 연료펌프를 작동시키거나 또는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연료펌프 제어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연료펌프 제어기는, 엔진 시동 이후 엔진은 정지되고 모터만 주행 동력원으로 이용하는 전기차 모드에 차량이 진입하면, 정해진 시간이 지난 뒤에 연료펌프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연료펌프 제어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연료펌프 제어기는, 차량이 전기차 모드로 주행하는 중에 엔진 제어기로부터 엔진 상태 정보 또는 목표연료압력 정보가 미수신되면 연료펌프의 연료토출압력을 정해진 기본압력값으로 일정하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연료펌프 제어 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연료펌프 제어기는, 차량이 전기차 모드로 주행하는 중에 연료펌프와 엔진을 연결하는 연료라인의 잔압이 정해진 임계압력 미만이면 연료펌프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연료펌프 제어 장치.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연료펌프 제어기는, 엔진 상태가 정지 모드에서 비정지 모드로 천이될 때 연료펌프 모터에 전력을 인가시켜 연료펌프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연료펌프 제어 장치.
  11.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연료펌프 제어기는, 엔진이 구동되는 중에 엔진 제어기로부터 엔진 상태 정보가 미수신되면 연료펌프의 연료토출압력을 정해진 기준압력값으로 고정시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연료펌프 제어 장치.
KR1020200103919A 2020-08-19 2020-08-19 하이브리드 차량의 연료펌프 제어 장치 KR20220022683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3919A KR20220022683A (ko) 2020-08-19 2020-08-19 하이브리드 차량의 연료펌프 제어 장치
US17/237,817 US20220056858A1 (en) 2020-08-19 2021-04-22 Apparatus for controlling fuel pump of hybrid electric vehicle
DE102021111998.7A DE102021111998A1 (de) 2020-08-19 2021-05-07 Vorrichtung zum steuern der kraftstoffpumpe eines hybrid-elektrofahrzeugs
CN202110525335.5A CN114076043A (zh) 2020-08-19 2021-05-11 控制混合动力电动车辆的燃油泵的装置及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3919A KR20220022683A (ko) 2020-08-19 2020-08-19 하이브리드 차량의 연료펌프 제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2683A true KR20220022683A (ko) 2022-02-28

Family

ID=80112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3919A KR20220022683A (ko) 2020-08-19 2020-08-19 하이브리드 차량의 연료펌프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20056858A1 (ko)
KR (1) KR20220022683A (ko)
CN (1) CN114076043A (ko)
DE (1) DE102021111998A1 (ko)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53739B1 (en) * 1999-12-17 2001-07-03 Daimlerchrysler Corporation Dual function fuel supply module
KR100610074B1 (ko) * 2004-04-29 2006-08-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엘피아이 연료펌프 진단 시스템
JP4407827B2 (ja) * 2005-08-08 2010-02-03 株式会社デンソー 筒内噴射式の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5060219B2 (ja) * 2007-09-06 2012-10-3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制御装置
JP5281301B2 (ja) * 2008-03-06 2013-09-04 矢崎総業株式会社 フューエルポンプ制御装置
JP2010007477A (ja) * 2008-06-24 2010-01-14 Denso Corp 燃料ポンプ駆動装置
JP5234431B2 (ja) * 2009-04-23 2013-07-10 株式会社デンソー 筒内噴射式内燃機関の燃圧制御装置
JP2011038444A (ja) * 2009-08-07 2011-02-24 Honda Motor Co Ltd 燃料供給システム
JP2011038452A (ja) * 2009-08-10 2011-02-24 Honda Motor Co Ltd 燃料供給システム
JP5306162B2 (ja) * 2009-12-17 2013-10-02 愛三工業株式会社 燃料ポンプ制御装置
JP2011149368A (ja) * 2010-01-22 2011-08-04 Yazaki Corp 装置固有データの記憶方法及び装置固有の補正値の記憶方法
KR101316475B1 (ko) * 2011-12-01 2013-10-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Gdi엔진의 저압연료펌프 제어방법
KR20140102490A (ko) * 2013-02-14 2014-08-22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Lpg를 연료로 사용하는 isg 적용 차량의 이그니션 장치
JP2015021417A (ja) * 2013-07-18 2015-02-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FR3013395B1 (fr) * 2013-11-19 2015-12-11 Renault Sas Procede et systeme d'alimentation en gazole d'un vehicule automobile.
JP6486007B2 (ja) * 2014-02-19 2019-03-20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6287610B2 (ja) * 2014-06-13 2018-03-0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燃料制御装置及び車両用燃料制御方法
KR101674591B1 (ko) * 2015-03-24 2016-11-10 만도헬라일렉트로닉스(주) 연료펌프 제어장치
KR101886529B1 (ko) * 2016-12-12 2018-09-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드웨어 웨이크 업 주기제어방식 엔진 시동성 개선 방법 및 차량
JP6541759B2 (ja) * 2017-12-05 2019-07-1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燃料ポンプの制御装置
JP6992484B2 (ja) * 2017-12-19 2022-01-13 株式会社デンソー 燃料ポンプ制御装置
JP2019152162A (ja) * 2018-03-05 2019-09-12 株式会社デンソー 燃料供給システム
JP7074003B2 (ja) * 2018-09-25 2022-05-24 株式会社デンソー 燃料ポンプ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056858A1 (en) 2022-02-24
CN114076043A (zh) 2022-02-22
DE102021111998A1 (de) 2022-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7865B1 (ko) 차량의 전원제어장치
JP5489270B2 (ja) ハイブリット車両の可変電圧制御方法
CN102575632B (zh) 用于控制机动车中动力装置的自动切断和接通过程的方法
JP4179290B2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電動オイルポンプ駆動制御装置
KR102000771B1 (ko) 운송 수단 내연 기관의 자동 재시동 중 적어도 하나의 기기의 전력 공급을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1566752B1 (ko)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제어 방법 및 제어 시스템
JPH10184505A (ja) 内燃機関を始動するための始動装置
US20180233943A1 (en) Power supply system for vehicle
US7941254B2 (en) Hybrid vehicle control device
JP6097023B2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エンジン停止状態判断システム及び方法
CN103085814B (zh) 手动挡汽车起停控制系统
KR102076432B1 (ko) 차량용 전원 제어 방법, 차량용 전원 제어 장치
JP6860424B2 (ja) 電動車両の制御装置
KR20090062339A (ko) 전기자동차의 디씨-디씨 컨버터 고장 진단 방법
CN110985260A (zh) 增程器启动控制方法、设备、增程式电动汽车和存储介质
JP2015120462A (ja) 車両の制御装置
KR20220022683A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연료펌프 제어 장치
JP3707650B2 (ja) 電気自動車用電源装置
EP2781436B1 (en) Power steering device of vehicle
JP7454469B2 (ja) 車両の電源システム
KR20100063348A (ko) 배터리 통합냉각시스템의 냉각팬모터 고장 검출방법
CN105339650A (zh) 用于运行带有配备启停功能的内燃机的机动车的方法
EP3093483B1 (en) Engine starting device
CN106314159A (zh) 一种继电器的控制方法、装置及汽车
US9714653B2 (en) Electric vehicle and control method for electric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