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2247A - 닭간 및 식용곤충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반려동물 기능성 사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닭간 및 식용곤충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반려동물 기능성 사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2247A
KR20220022247A KR1020200103184A KR20200103184A KR20220022247A KR 20220022247 A KR20220022247 A KR 20220022247A KR 1020200103184 A KR1020200103184 A KR 1020200103184A KR 20200103184 A KR20200103184 A KR 20200103184A KR 20220022247 A KR20220022247 A KR 202200222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feed composition
composition
obesity
companion anim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3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2777B1 (ko
Inventor
이혜경
이수비
Original Assignee
이혜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혜경 filed Critical 이혜경
Priority to KR1020200103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2777B1/ko
Priority to PCT/KR2020/016890 priority patent/WO2022039329A1/ko
Publication of KR20220022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22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27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27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2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80Food processing, e.g. use of renewable energies or variable speed drives in handling, conveying or stacking
    • Y02P60/87Re-use of by-products of food processing for fodder produ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Zo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닭간 (chicken liver) 및 식용곤충 (edible insects)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반려동물 기능성 사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더욱 상세하게는 닭간 (chicken liver) 및 식용곤충 (edible insects)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이 반려동물에 대해 비만 개선 효과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여 이를 기능성 사료 조성물로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Description

닭간 및 식용곤충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반려동물 기능성 사료 조성물{Companion animal functional feed composition comprising chicken liver and edible insects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닭간 (chicken liver) 및 식용곤충 (edible insects)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반려동물의 기능성 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닭간 (chicken liver) 및 식용곤충 (edible insects)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반려동물 기능성 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닭간 (chicken liver) 및 식용곤충 (edible insects)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개선 효과를 가지는 기능성 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고령화, 저출산 및 이혼 등으로 1~2인 독립 가정 수가 증가하면서 국내 애견시장은 2000년 이후 매년 15~20%의 성장세를 기록 중이며, 애완동물 인구가 1000만명에 도래하였다. 또한, 최근에는 애완동물에 대한 인식이 함께 살아가는 가족의 일원이라는 '반려동물'로 바뀌면서 반려동물에 아낌없이 투자하는 사람들이 많아졌다. 따라서, 반려동물과 관련된 시장은 앞으로는 예전과 달리 경기나 소득에 크게 영향받지 않고 계속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현재 반려동물 사료 시장은 3,400억 대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반려동물 사료의 소비 경향은 크게 천연원료 및 기능성 추구로 나눌 수 있다. 천연 원료 경향은 반려동물을 가족처럼 기르기 시작하면서, 반려동물에게도 사람과 마찬가지로 유기농 또는 사람도 먹을 수 있는 건강한 원료를 사용한 사료를 찾는 경향을 의미한다. 기능성 추구 경향은 반려동물을 오랫동안 건강하게 키우기 위해 반려동물의 질병을 예방하는 기능성 제품을 추구하는 것을 뜻한다.
이러한 반려동물 사료의 소비 경향은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식용곤충 (edible insects)은 성분함량과 효능 측면에서 다른 식품군에 비해 뛰어나다. 통상적으로 식용곤충은 50 내지 70%에 달하는 높은 단백질 함유량을 보유하고 있고, 필수 아미노산, 불포화지방산, 무기질, 비타민 등의 영양성분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다. 이러한 식용곤충의 가치에 주목하여 세계 각국에서는 곤충을 식용 소재로 하여 일반식품, 기능성식품, 의약용, 가축사료 및 구호식 등의 제품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곤충의 단백질 함량이 소고기나 돼지고기에 비해 월등하게 많다는 점을 이용해 가공식품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식용곤충을 이용한 가공식품에 관한 연구는 영양학적 관점에서 대상 실험곤충의 영양성분 함량 및 조성에 관한 초기단계의 학술적 연구에 머무르고 있으며, 식용 곤충을 원료로 사용하여 가공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독특한 맛과 향으로 인해 보편적인 가공식품의 소재로 활용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여러 가지 식용곤충을 주성분인 닭간과 혼합하였을 경우 비만 개선 효과에 대해서 실험을 진행하였다.
한편, 반려동물의 비만에 대해서는 예전부터 심각한 문제가 되어 있다. 미국의 경우 강아지는 54%, 고양이는 59%가 비만 상태인 것으로 조사되었고, 우리나라 역시 반려동물의 약 40%가 과체중 또는 비만 상태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고양이는 비만일 경우 당뇨병, 관절염 위험이 5배 이상 증가된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반려동물은 산책과 같은 운동으로 비만 관리를 하기는 어렵다. 운동을 하여도 에너지 소모가 적기 때문이다. 또한, 비만인 반려동물의 살을 빼는 운동을 시킬 때 주의해야 하는 것이 관절이다. 무리한 운동은 관절에 악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따라서, 반려동물은 식이조절을 통해 다이어트를 해야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인식한 본 발명자들은 닭간 (chicken liver) 및 식용곤충 (edible insects)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이 반려동물에 대해 비만 개선 효과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98206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닭간 (chicken liver) 및 식용곤충 (edible insects)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반려동물 기능성 사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더욱 상세하게는 닭간 및 식용곤충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이 반려동물에 대해 비만 개선 효과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여 이를 기능성 사료 조성물로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닭간 및 식용곤충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반려동물 비만 개선용 기능성 사료 조성물에서, 상기 식용곤충은 동애등에 또는 굼벵이인 것인, 반려동물 비만 개선용 기능성 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은 톳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상기 식용곤충에 갈색거저리 및 벼메뚜기 중 어느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상기 닭간 또는 식용곤충은 각각 동결건조 분말 또는 추출물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에 닭, 오리, 소, 돼지, 양, 타조, 캥거루 및 말 중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고기 분말; 및 곡류 분말, 두류 분말, 서류 분말, 채소류 분말, 견과 종실류 분말, 어류 분말 및 무기질 분말 중 1종 이상; 을 포함하는 기본 사료 조성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곡류는 쌀, 보리, 현미, 밀, 메밀, 조, 수수, 옥수수, 귀리, 호밀, 율무, 기장, 피, 퀴노아, 트리티케일 및 아마씨 중 1종 이상이고, 상기 두류는 대두, 강남콩, 완두콩, 검정콩 및 병아리콩 중 1종 이상이며, 상기 서류는 감자, 고구마, 토란, 마, 카사바, 및 곤약 중 1종 이상이고, 상기 채소류는 배추, 양배추, 브로콜리, 상추, 양상추, 시금치, 들깻잎, 쑥갓, 아욱, 근대, 머위, 무, 양파, 마늘, 당근, 생강, 연근, 우엉, 도라지, 더덕, 비트, 순무, 파스닢, 야콘, 취나물, 고춧잎, 참나물, 케일, 청경채, 갓, 냉이, 치커리, 앤디브 및 파슬리 중 1종 이상이며, 상기 견과 종실류는 밤, 호두, 은행, 잣, 땅콩, 아몬드, 피칸, 케슈너트, 개암, 마카다미아, 피스타치오, 도토리, 참깨, 면실, 해바라기씨, 호박씨, 들깨, 올리브, 달맞이꽃씨, 목화씨, 유채 (카놀라)씨, 팜 및 홍화씨 중 1종 이상이고, 상기 어류 분말은 연어, 명태, 황태, 삼치, 송어, 정어리, 대구, 꽁치, 청어, 멸치, 까나리, 전갱이 및 고등어 중 1종 이상이고, 상기 무기질은 난황, 난각, 비타민, 칼슘 및 미네랄 중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은 일반 사료, 계절용 사료, 생간식 사료, 또는 간식 사료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닭간, 굼벵이, 동애등에 및 톳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반려동물 비만 개선용 기능성 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은 닭, 오리, 소, 돼지, 양, 타조, 캥거루 및 말 중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고기 분말; 및 곡류 분말, 두류 분말, 서류 분말, 채소류 분말, 견과 종실류 분말, 어류 분말 및 무기질 분말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기본 사료 조성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은 닭, 오리, 소, 돼지, 양, 타조, 캥거루 및 말 중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고기 분말; 및 곡류 분말, 두류 분말, 서류 분말, 채소류 분말, 견과 종실류 분말, 어류 분말 및 무기질 분말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기본 사료 조성물 총 100 중량부 기준으로,
닭간의 건조 분말 1.9 내지 2.1 중량부; 굼벵이의 건조 분말 0.9 내지 1.1 중량부; 동애등에의 건조 분말 0.9 내지 1.1 중량부; 및 톳의 건조 분말 0.9 내지1.1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닭간 (chicken liver) 및 식용곤충 (edible insects)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반려동물 기능성 사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더욱 상세하게는 닭간 (chicken liver) 및 식용곤충 (edible insects)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이 반려동물에 대해 유효성분 구성 조합에 따른 체중 및 체지방율 감소량 평가, 유효성분 혼합비에 따른 체중 및 체지방율 감소량 평가 및 대변 냄새 평가를 통해 비만 개선 효과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여 이를 기능성 사료 조성물로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능성 사료 조성물 제조방법을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은 닭간 및 식용곤충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반려동물 비만 개선용 기능성 사료 조성물에서, 상기 식용곤충은 동애등에 또는 굼벵이인 것인, 반려동물 비만 개선용 기능성 사료 조성물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닭간, 굼벵이, 동애등에 및 톳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반려동물 비만 개선용 기능성 사료 조성물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현예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 구현 예는 본 발명에 대한 예시로 제시되는 것으로, 당업자에게 주지 저명한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은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기재 및 그로부터 해석되는 균등 범주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특정 물질의 농도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는 '%'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경우, 고체/고체는 (w/w) %, 고체/액체는 (w/v) %, 그리고 액체/액체는 (v/v) %이다.
본 발명에서 “반려동물”이란, 애완동물과 같은 의미로서, 사람과 함께 더불어 살아가며 심리적으로 안정감과 친밀감을 주는 동물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개, 고양이 등의 포유류, 조류, 파충류, 어류, 곤충류를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개 또는 고양이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닭간”은, 영양이 풍부하여 한방에서도 그 약효를 인정하고 있다. 한방에서는 닭간을 시력이 나빠지고 눈병이 잘 생기거나 간 기능 이상으로 근육이 위축되거나 쉽게 피로해질 때 섭취하면 도움이 된다고 권장하고 있다. 실제로 닭간에는 각종 비타민과 무기질이 풍부하고, 특히 눈에 좋은 비타민 A를 많이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현대 의학으로도 매우 합리적인 처방이라고 편가된다.
본 발명의 “굼벵이”는, 풍뎅이, 하늘소와 같은 딱정벌레목의 애벌레나 매미의 애벌레를 통칭하는 단어이다. 애벌레 시기에는 부엽토 등을 먹으며 살기 때문에 간혹 초가집의 지붕 위의 지푸라기 등지에 알을 까는 경우가 있다. 그런 경우는 지붕 고칠 때 자주 털린다. 보통 기름에 볶거나 구워서 먹지만 날로 먹기도 한다. 또 퇴비더미에 숨어 있기도 한다. 전 세계 온대, 열대 지방에서는 여러 종류의 굼벵이가 사는데 지역 원주민의 중요한 단백질 공급원이 되고 있다. 특히 흰점박이꽃무지 굼벵이는 약재로도 쓰이며, 이 때는 제조라고 부른다. 동양 최고의 의서 중 하나인 동의보감 탕액편에 거기에 대한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 성질은 약간 차고 맛이 짜며 독이 있는 약재로 주로 악혈 (惡血), 어혈 (瘀血), 비기 (痺氣), 눈의 군살, 눈을 뜨고도 못 보는 증세, 백막 (白膜), 뼈가 부스러지거나 삔 부상, 쇠에 다쳐 속이 막힌 증세 등을 치료하며 유즙 (乳汁)도 잘 나오게 한다고 적혀 있다.
본 발명의 “갈색거저리”는 딱정벌레목 거저리과의 곤충으로, 갈색쌀거저리 라고도 불리며 한국을 비롯하여 전 세계에 분포한다. 알, 유충, 번데기, 성충의 시기를 거치는 완전변태를 하는 곤충이며 현재 국내에 대량생산하고 있는 사육농가가 형성되어 있다. 유충기간은 약 10주이나 인공 사육할 때에는 약 2주 정도이다. 갈색거저리는 다른 곤충들과 달리 변태기간이 비교적 짧기 때문에 애완용으로 많이 사육되며, 갈색거저리의 유충은 밀웜 (mealworm)이라 하여 먹이곤충으로 이용되는데 이는 동물 중에서 단백질 함량이 높고 성장이 빠르며 번식률이 매우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또한 적응력이 강하고 사육기술을 익히기가 쉬워 공장에서 사육하거나 분산 사육이 가능해 집중 가공에 적합하며, 겨울철에도 번식을 하므로 계절에 관계없이 4계절 사육할 수 있다. 상기 갈색거저리 애벌레는 보통 밀웜으로 불리던 곤충으로 식용 곤충으로 알려지기 이전에 곤충을 주식으로 하는 반려동물의 먹이로 제공되어 왔다. 시중에 판매하는 새우맛 과자와 비슷한 맛이 나며 현재 국내에서 가장 많이 식품원료로 사용되고 있다. 영양 성분은 단백질과 불포화지방산이 많은데 특히 지방은 심혈관질환 예방에 효과가 있는 불포화지방산이 75%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그리고 무기질 중 인과 철, 비타민 B3와 B5가 풍부해 영양가치가 크다.
본 발명의 “벼메뚜기”는 예로부터 영양 간식으로 즐겨 먹던 식용곤충으로 볶아서 먹으면 고소한 맛이 일품이다. 단백질 함량이 100g당 67.8g으로 매우 높으며 감기, 소아 경기, 허약 체질, 파상풍, 백일해, 해수 등에 좋다고 기록되어 있다.
본 발명의 “동애등에”는 몸 길이 13 내지 20mm이며 전체적인 색상은 흑색이다. 얼굴은 흑갈색으로 길이가 매우 짧으며 앞이마는 작고 뚜렷이 융기했으며 황색을 띤다. 더듬이는 흑갈색이고, 어깨의 혹과 옆 가장자리 융기선은 황갈색이며 날개는 흑색을 띤다. 작은방패판은 짧고 뒷가장자리는 둔각이다. 날개는 크고 흐리며 다리는 가늘고 긴 형태로 흑색을 띤다. 가운뎃다리 발목마디 기부 (基部) 2마디와 앞다리 종아리마디의 기부 (基部)는 황적색이다.
본 발명의 “톳”은 바닷말의 일종으로, 갈색말 무리에 속한다. 칼슘, 요오드, 철, 마그네슘 등이 매우 풍부하다.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서 암초 위에 살고 있다.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서 식용으로 이용되고 있다. 특히 일본에서 아주 선호했으며, 수세기 전부터 먹어왔다. 일본 음식점과 웰빙의 영향으로, 영국과 북아메리카 등지에서도 수입해서 먹고 있다. 고기등 육류와 함께먹으면 고기에 부족한 식이섬유를 보충해주기 때문에 영양에도 좋고 맛도 좋을 뿐 아니라 신선한 톳이 육류의 느끼함을 없애준다. 톳이 성장기 어린이들에게 특별히 좋은 이유는 철분, 칼슘, 요오드 등 무기질이 풍부하기 때문이다. 몸안의 철분은 체내의 영양흡수율이 겨우 10%밖에 되지 않을 정도로 낮아서 항상 부족하기 쉬운 영양소이므로 톳을 이용해 톳유부영양밥이나 톳멸치볶음 같은 음식을 만들면 훌륭한 건강식이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동결건조”는, 수용액이나 물을 포함하는 시료를 동결하고 그 온도의 수증기압 이하로 감압하여 물을 승화시켜 건조하는 방법이다. 이것에 사용되는 동결건조기는 미리 동결한 시료를 넣는 시료건조실, 진공펌프 또는 확산펌프, 양자의 중간에 두어 승화해온 수증기를 응결하여 없애는 냉각덧 (또는 condenser) 등으로 구성된다. 동결건조는 저온에서 일어나기 때문에 열에 의한 시료의 변질이 적고 또한 건조 후 시료의 수용해성이 좋기 때문에 수용액의 농축에도 적합하다. 또한, 동결건조를 하면 함수 상태 또는 수용액 내에서 불안정한 생물학적 활성이 있는 시료를 장기간 안정적으로 보존할 수 있다. 각종 혈액제제, 효소제품, 바이러스나 세균백신 (홍역백신, 두창 백신, BCG 등), 그 밖의 생물학적 제제에 널리 이용되며, 바이러스주 · 세균주의 보존에도 사용된다. 또한 동결건조 과정에서 생물학적 활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어, 알부민, 젤라틴, 아미노산, 당 등의 안정제 첨가를 고려하고 있다. 동결건조가 어려운 예로는 생폴리오바이러스가 잘 알려져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다만, 상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에 대한 예시로 제시되는 것으로, 당업자에게 주지 저명한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은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재 및 그로부터 해석되는 균등 범주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다.
<제조예 1> 비만 개선의 기능성 유효성분 건조 분말 준비
1.1 닭간을 이용한 건조 분말 준비
시중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닭간을 세척 한 후 동결건조를 시켜, 이를 잘게 분쇄하여 닭간 동결건조 분말을 획득하였다.
1.2 굼벵이를 이용한 건조 분말 준비
시중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굼벵이를 세척 한 후 동결건조를 시켜, 이를 잘게 분쇄하여 굼벵이 동결건조 분말을 획득하였다.
1.3 갈색거저리를 이용한 건조 분말 준비
시중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갈색거저리를 세척 한 후 동결건조를 시켜, 이를 잘게 분쇄하여 갈색거저리 동결건조 분말을 획득하였다.
1.4 벼메뚜기를 이용한 건조 분말 준비
시중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벼메뚜기를 세척 한 후 동결건조를 시켜, 이를 잘게 분쇄하여 벼메뚜기 동결건조 분말을 획득하였다.
1.5 동애등에를 이용한 건조 분말 준비
시중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동애등에를 세척 한 후 동결건조를 시켜, 이를 잘게 분쇄하여 동애등에 동결건조 분말을 획득하였다.
1.6 톳을 이용한 건조 분말 준비
시중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톳을 세척 한 후 동결건조를 시켜, 이를 잘게 분쇄하여 톳 동결건조 분말을 획득하였다.
<제조예 2> 기본 사료 조성물의 준비 (대조군으로 사용)
고기 분말로서 분쇄 오리육 40 중량부 기준;
곡류 분말로서 쌀가루 10 중량부, 오트밀 분말 5 중량부, 현미 분말 5 중량부, 보리 분말 5 중량부, 아마씨 분말 1 중량부;
두류 분말로서 병아리콩 분말 7 중량부;
서류 분말로서 고구마 전분 5 중량부;
야채류 분말로서 익힌 당근 분말 5 중량부, 브로콜리 분말 1 중량부, 양배추 분말 1 중량부;
어류 분말로서 연어유 5 중량부, 황태 분말 2 중량부;
무기질 분말로서 난각 분말 2.5 중량부, 탄산칼슘 0.1 중량부, 복합비타민 0.1 중량부;
기타 성분으로서 프락토올리고당 0.1 중량부, 아미노산 0.1 중량부, 염화콜린 0.1 중량부, 가수분해단백질 0.1 중량부; 를 교반기를 이용하여 반죽하여, 기본 사료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상기 기본 사료 조성물은 대조군으로 사용이 되었으며, 제조예 1의 비만 개선의 기능성 유효성분을 성분별로 대조군에 포함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로 사용하였다. 따라서, 대조군으로 사용된 사료 조성물은 일반적인 모든 사료가 가능할 것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3> 반려동물 비만 개선의 기능성 사료 조성물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에서 준비한 비만 개선의 기능성 유효성분의 건조 분말과 제조예 2에서 준비한 기본 사료 조성물을 하기 표 1의 함량비로 혼합한 후, 절단된 반죽을 100℃의 찜기에서 1시간 동안 열처리하고, 열처리된 반죽을 성형하여 적절한 크기로 절단하여 사료를 제조하였다.
여기서, 하기 표 1의 비만 개선 효과의 기능성 유효성분의 함량은 기본 사료 조성물 100 중량부 기준 첨가되는 함량을 기재하였다. 대조군은 기본 사료 조성물로만 제조한 사료를 사용하였다.
닭간 굼벵이 갈색거저리 벼메뚜기 동애등에
대조군 - - - - - -
실시예 1 2 1 - - - -
실시예 2 2 - - - 1 -
실시예 3 2 1 - - 1 -
실시예 4 2 1 1 - - -
실시예 5 2 1 - 1 - -
실시예 6 2 1 - - 1 1
실시예 7 2 1 - 1 1 1
실시예 8 2 1 1 - 1 1
실시예 9 2 1 1 1 1 1
비교예 1 2 - - - - -
비교예 2 - 1 - - - -
비교예 3 - - 1 - - -
비교예 4 - - - 1 - -
비교예 5 - - - - 1 -
비교예 6 - - - - - 1
비교예 7 2 - - 1 - 1
비교예 8 2 - 1 - - 1
비교예 9 2 - 1 1 - 1
<실험예 1> 유효성분 구성 조합에 따른 체중 및 체지방율 감소량 평가
실험동물로서 4~6세의 건강한 애완견 (미니어처 슈나우져)을 사용하였으며, 각 샘플당 3마리에 대하여 실험을 진행하였고, 그 평균치를 결과로서 하기 표 2에 기재하였다.
구체적으로, 가로 30cm 세로 60cm 높이 30cm의 애완견 우리에서 사육하였으며, 실험을 진행하는 동안에는 따로 운동은 시키지 않았다. 사료의 섭취방법은 1일 2회씩, 4주 동안 매일 170g의 자유급식으로 하였고, 실험실시 0, 2, 4주 후에 체중과 체지방율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0주 2주 4주
체중(kg) 체지방율(%) 체중(kg) 체지방율(%) 체중(kg) 체지방율(%)
대조군 6.6 18.8 6.8 19.4 7.2 20.6
실시예 1 6.8 19 6.8 18.9 6.7 18.7
실시예 2 6.9 19.1 6.8 18.9 6.7 18.8
실시예 3 6.7 18.8 6.5 18.4 6.3 18.1
실시예 4 7.1 20.7 6.9 20.3 6.7 20
실시예 5 7 20.6 6.9 20.3 6.6 19.8
실시예 6 7 19.7 6.6 18.6 6.3 18.1
실시예 7 6.8 19.3 6.5 18.8 6.2 18.2
실시예 8 6.9 19.6 6.6 19.1 6.3 18.6
실시예 9 7.1 20.6 6.7 19.6 6.3 19
 
비교예 1 6.9 19.4 6.9 19.4 6.9 19.3
비교예 2 6.8 19.1 6.8 19.2 6.9 19.4
비교예 3 7.1 20.7 7.2 20.9 7.2 21
비교예 4 7 19.6 7 19.7 7 19.6
비교예 5 6.6 19.1 6.7 19.6 6.9 20.4
비교예 6 6.7 19.6 6.9 20.1 7.2 20.8
비교예 7 6.8 19.3 6.8 19.2 6.8 19.3
비교예 8 6.9 19.9 6.9 19.9 7 20.1
비교예 9 6.6 18.8 6.5 18.6 6.6 18.7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예 1 내지 6에 따르면, 닭간, 굼벵이, 갈색거저리, 벼메뚜기, 동애등에, 톳 단독 샘플의 비만 개선 효과는 미미하거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교예 7 내지 9에 따르면, 굼벵이를 제외한 닭간, 벼메뚜기 및 톳 (비교예 7), 닭간, 갈색거저리 및 톳 (비교예 8), 닭간, 갈색거저리, 벼메뚜기 및 톳 (비교예 9)의 혼합 샘플에서도 비만 개선 효과는 미미하거나,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1 내지 3에 따르면, 닭간과 굼벵이, 닭간과 동애등에 또는 닭간과 굼벵이, 동애등에를 혼합한 샘플에서는 유의미한 비만 개선 효과가 관찰되었고, 특히 이 중에서 실시예 3의 닭간과 굼벵이, 동애등에를 혼합한 샘플에서 우수한 비만 개선 효과가 관찰되었다.
실시예 3의 유의미한 결과에 근거하여, 닭간과 굼벵이 또는 동애등에의 조합이 비만 개선 효과에 유의미함을 확인하였고, 추가적으로 닭간과 굼벵이를 포함하여 갈색거저리 (실시예 4), 닭간과 굼벵이를 포함하여 벼메뚜기 (실시예 5), 닭간과 굼벵이, 동애등에를 포함하여 톳 (실시예 6)의 비만 개선 효과를 평가한 결과, 실시예 4 및 5는 실시예 3과 유사한 비만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반면에, 실시예 6은 비만 개선 효과에 현저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실시예 6의 현저히 우수한 비만 개선 효과 결과에 근거하여, 실시예 6의 구성인 닭간, 굼벵이, 동애등에 및 톳에 각각 벼메뚜기 (실시예 7), 갈색거저리 (실시예 8), 갈색거저리 및 벼메뚜기 (실시예 9)를 더 포함하여 비만 개선 효과를 평가한 결과, 표 2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실시예 6과 유사한 비만 개선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고, 따라서, 닭간, 굼벵이, 동애등에 및 톳의 조합 (실시예 6)이 비만 개선에 현저한 효과가 있는 유효성분의 조합임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유효성분 혼합비에 따른 체중 및 체지방율 감소량 평가
상기 실험예 1을 통해서, 실시예 6의 샘플 (닭간, 굼벵이, 동애등에 및 톳)이 체중 및 체지방 감소 효율이 가장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실험예 2에서는 상기 실험예 1의 실시예 6 구성요소의 최적 혼합비를 알아보기 위한 다음과 같은 실험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A3, B3, C3 및 D3은 상기 실험예 1의 실시예 6의 결과를 그대로 인용하였고, 나머지 하기 표 3의 실시예 샘플들은 실험동물로서 4~6세의 건강한 애완견 (미니어처 슈나우져)를 각각 1마리씩 사용하였다.
중량부
닭간 굼벵이 동애등에
실시예 A1 1.8 1 1 1
실시예 A2 1.9 1 1 1
실시예 A3 2 1 1 1
실시예 A4 2.1 1 1 1
실시예 A5 2.2 1 1 1
실시예 B1 2 0.8 1 1
실시예 B2 2 0.9 1 1
실시예 B3 2 1 1 1
실시예 B4 2 1.1 1 1
실시예 B5 2 1.2 1 1
실시예 C1 2 1 0.8 1
실시예 C2 2 1 0.9 1
실시예 C3 2 1 1 1
실시예 C4 2 1 1.1 1
실시예 C5 2 1 1.2 1
실시예 D1 2 1 1 0.8
실시예 D2 2 1 1 0.9
실시예 D3 2 1 1 1
실시예 D4 2 1 1 1.1
실시예 D5 2 1 1 1.2
  0주 2주 4주
체중(kg) 체지방율(%) 체중(kg) 체지방율(%) 체중(kg) 체지방율(%)
실시예 A1 6.7 19 6.6 18.7 6.5 18.3
실시예 A2 6.9 19.6 6.5 18.8 6.3 18.4
실시예 A3 7 19.7 6.6 18.6 6.3 18.1
실시예 A4 7 20.3 6.6 19.3 6.4 18.9
실시예 A5 6.9 20 6.8 19.6 6.7 19.3
실시예 B1 6.7 18.9 6.6 18.7 6.5 18.4
실시예 B2 7.1 21.7 6.7 20.7 6.4 20
실시예 B3 7 19.7 6.6 18.6 6.3 18.1
실시예 B4 6.8 19.6 6.5 18.8 6.2 18.3
실시예 B5 7 20 6.9 19.7 6.7 19.2
실시예 C1 7.1 21.6 6.9 21.1 6.8 20.7
실시예 C2 6.9 19.9 6.6 18.9 6.3 18.4
실시예 C3 7 19.7 6.6 18.6 6.3 18.1
실시예 C4 7 20.1 6.7 19.2 6.4 18.4
실시예 C5 6.7 18.6 6.5 18.2 6.4 17.8
실시예 D1 7 18.8 6.8 18.3 6.6 18
실시예 D2 7.1 22.6 6.6 21.7 6.3 20.9
실시예 D3 7 19.7 6.6 18.6 6.3 18.1
실시예 D4 7.2 23.7 6.8 22.9 6.4 21.9
실시예 D5 7 19.8 6.7 19.5 6.6 19.3
상기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A1~A5 중에서는 실시예 A2~A4 샘플에서 비만 개선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고, 실시예 B1~B5 중에서는 실시예 B2~B4 샘플에서 비만 개선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시예 C1~C5 중에서는 실시예 C2~C4 샘플에서 비만 개선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고, 실시예 D1~D5 중에서는 실시예 D2~D4 샘플에서 비만 개선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내용을 토대로 종합적으로 판단한 결과, 기본 사료 조성물 100 중량부 기준으로,
닭간 분말 1.9 내지 2.1 중량부, 굼벵이 분말 0.9 내지 1.1 중량부, 동애등에 분말 0.9 내지 1.1 중량부, 톳 분말 0.9 내지 1.1 중량부를 포함하는 실시예 샘플에서 비만 개선 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대변 냄새 평가
상기 실험예 1을 실시할 때 각 동물 개체에서 발생한 대변을 수집하였고, 사료를 급여하기 전과 4주 후의 대변 냄새를 설문조사하였다. 평가는 10점 척도로서 냄새가 전혀 안나는 것을 0점, 냄새가 가장 많이 나는 것을 10점으로 평가하였다.
급여 전 변의 냄새 급여 4주 후 변의 냄새
대조군 7 7
실시예 1 7 8
실시예 2 7 6
실시예 3 6 5
실시예 4 7 6
실시예 5 7 6
실시예 6 7 4
실시예 7 7 6
실시예 8 6 4
실시예 9 7 6
비교예 1 7 6
비교예 2 6 7
비교예 3 7 7
비교예 4 7 6
비교예 5 6 5
비교예 6 7 6
비교예 7 7 5
비교예 8 7 5
비교예 9 7 5
상기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예 1의 닭간은 대변 냄새 개선 효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고,
비교예 2의 굼벵이는 대변 냄새를 더욱 악화시키는 것으로 확인되며,
비교예 3의 갈색거저리는 대변 냄새에 별 영향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고,
비교예 4의 벼메뚜기는 대변 냄새 개선 효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며,
비교예 5의 동애등에는 대변 냄새 개선 효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고,
비교예 6의 톳은 대변 냄새 개선 효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며,
특히 실시예 6 (닭간, 굼벵이, 동애등에 및 톳)과 실시예 8 (닭간, 굼벵이, 갈색거저리, 동애등에 및 톳)의 대변 냄새 개선 효능이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 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닭간 및 식용곤충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반려동물 비만 개선용 기능성 사료 조성물에서, 상기 식용곤충은 동애등에 또는 굼벵이인 것인, 반려동물 비만 개선용 기능성 사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톳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비만 개선용 기능성 사료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갈색거저리 및 벼메뚜기 중 어느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비만 개선용 기능성 사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닭간 또는 식용곤충은 각각 동결건조 분말 또는 추출물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비만 개선용 기능성 사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닭, 오리, 소, 돼지, 양, 타조, 캥거루 및 말 중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고기 분말; 및
    곡류 분말, 두류 분말, 서류 분말, 채소류 분말, 견과 종실류 분말, 어류 분말 및 무기질 분말 중 1종 이상;
    을 포함하는 기본 사료 조성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비만 개선용 기능성 사료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곡류는 쌀, 보리, 현미, 밀, 메밀, 조, 수수, 옥수수, 귀리, 호밀, 율무, 기장, 피, 퀴노아, 트리티케일 및 아마씨 중 1종 이상이고,
    상기 두류는 대두, 강남콩, 완두콩, 검정콩 및 병아리콩 중 1종 이상이며,
    상기 서류는 감자, 고구마, 토란, 마, 카사바, 및 곤약 중 1종 이상이고,
    상기 채소류는 배추, 양배추, 브로콜리, 상추, 양상추, 시금치, 들깻잎, 쑥갓, 아욱, 근대, 머위, 무, 양파, 마늘, 당근, 생강, 연근, 우엉, 도라지, 더덕, 비트, 순무, 파스닢, 야콘, 취나물, 고춧잎, 참나물, 케일, 청경채, 갓, 냉이, 치커리, 앤디브 및 파슬리 중 1종 이상이며,
    상기 견과 종실류는 밤, 호두, 은행, 잣, 땅콩, 아몬드, 피칸, 케슈너트, 개암, 마카다미아, 피스타치오, 도토리, 참깨, 면실, 해바라기씨, 호박씨, 들깨, 올리브, 달맞이꽃씨, 목화씨, 유채(카놀라)씨, 팜 및 홍화씨 중 1종 이상이고,
    상기 어류 분말은 연어, 명태, 황태, 삼치, 송어, 정어리, 대구, 꽁치, 청어, 멸치, 까나리, 전갱이 및 고등어 중 1종 이상이고,
    상기 무기질은 난황, 난각, 비타민, 칼슘 및 미네랄 중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비만 개선용 기능성 사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일반 사료, 계절용 사료, 생간식 사료, 또는 간식 사료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비만 개선용 기능성 사료 조성물.
  8. 닭간, 굼벵이, 동애등에 및 톳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반려동물 비만 개선용 기능성 사료 조성물에서,
    상기 조성물은 갈색거저리 및 벼메뚜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조성물은 일반 사료, 계절용 사료, 생간식 사료, 또는 간식 사료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비만 개선용 기능성 사료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닭, 오리, 소, 돼지, 양, 타조, 캥거루 및 말 중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고기 분말; 및
    곡류 분말, 두류 분말, 서류 분말, 채소류 분말, 견과 종실류 분말, 어류 분말 및 무기질 분말 중 1종 이상;
    을 포함하는 기본 사료 조성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비만 개선용 기능성 사료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닭, 오리, 소, 돼지, 양, 타조, 캥거루 및 말 중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고기 분말; 및 곡류 분말, 두류 분말, 서류 분말, 채소류 분말, 견과 종실류 분말, 어류 분말 및 무기질 분말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기본 사료 조성물 총 100 중량부 기준으로,
    닭간의 건조 분말 1.9 내지 2.1 중량부; 굼벵이의 건조 분말 0.9 내지 1.1 중량부; 동애등에의 건조 분말 0.9 내지 1.1 중량부; 및 톳의 건조 분말 0.9 내지1.1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비만 개선용 기능성 사료 조성물.
KR1020200103184A 2020-08-18 2020-08-18 닭간 및 식용곤충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반려동물 기능성 사료 조성물 KR1024727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3184A KR102472777B1 (ko) 2020-08-18 2020-08-18 닭간 및 식용곤충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반려동물 기능성 사료 조성물
PCT/KR2020/016890 WO2022039329A1 (ko) 2020-08-18 2020-11-26 닭간 및 식용곤충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반려동물 기능성 사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3184A KR102472777B1 (ko) 2020-08-18 2020-08-18 닭간 및 식용곤충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반려동물 기능성 사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2247A true KR20220022247A (ko) 2022-02-25
KR102472777B1 KR102472777B1 (ko) 2022-12-02

Family

ID=80322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3184A KR102472777B1 (ko) 2020-08-18 2020-08-18 닭간 및 식용곤충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반려동물 기능성 사료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72777B1 (ko)
WO (1) WO202203932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7652B1 (ko) * 2022-06-02 2023-09-12 농업회사법인 자연이랑 주식회사 동에등애를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사료첨가제 조성물
KR102663311B1 (ko) * 2022-12-20 2024-05-08 전북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 천마를 포함하는 사료 첨가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5592A (ko) * 2006-03-20 2006-06-14 허정수 한약재를 이용한 다이어트용 애완견 사료첨가제 조성물
KR20120016962A (ko) * 2010-08-17 2012-02-27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톳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성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US20170202244A1 (en) * 2014-10-01 2017-07-20 Omnigen Research, Llc Compositions and combinations for use as food supplements for animals
KR101982068B1 (ko) 2018-01-31 2019-05-24 주식회사 바이오피이드 애완동물용 닭고기 사료의 제조방법
KR20190069769A (ko) * 2017-12-12 2019-06-20 농업회사법인 푸디웜 주식회사 곤충단백질을 이용한 애완동물용 사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애완동물용 사료의 제조방법
KR102029027B1 (ko) * 2018-12-05 2019-10-07 박기환 곤충 분말을 이용하여 육류를 대체한 반려동물용 사료
KR20210079877A (ko) * 2019-12-20 2021-06-30 주식회사 봄프렌즈 다이어트 기능성 개과 동물용 사료 조성물
KR20220022246A (ko) * 2020-08-18 2022-02-25 이혜경 닭간 및 미꾸라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반려동물 기능성 사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42077A (ko) * 2016-06-16 2017-12-27 주식회사 화남인터내셔날 애완동물용 다이어트 사료의 제조방법
KR101985910B1 (ko) * 2016-12-29 2019-06-04 주식회사 알파벳 벼메뚜기를 이용한 동물 사료용 조성물
KR102072645B1 (ko) * 2017-03-10 2020-02-03 최종철 애완동물용 사료 첨가제
CN107307216A (zh) * 2017-08-10 2017-11-03 董莉 一种保健猫粮
KR102133815B1 (ko) * 2020-02-14 2020-07-14 이혜경 애완동물의 건강관리를 위한 곤충 분말을 포함하는 간식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5592A (ko) * 2006-03-20 2006-06-14 허정수 한약재를 이용한 다이어트용 애완견 사료첨가제 조성물
KR20120016962A (ko) * 2010-08-17 2012-02-27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톳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성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US20170202244A1 (en) * 2014-10-01 2017-07-20 Omnigen Research, Llc Compositions and combinations for use as food supplements for animals
KR20190069769A (ko) * 2017-12-12 2019-06-20 농업회사법인 푸디웜 주식회사 곤충단백질을 이용한 애완동물용 사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애완동물용 사료의 제조방법
KR101982068B1 (ko) 2018-01-31 2019-05-24 주식회사 바이오피이드 애완동물용 닭고기 사료의 제조방법
KR102029027B1 (ko) * 2018-12-05 2019-10-07 박기환 곤충 분말을 이용하여 육류를 대체한 반려동물용 사료
KR20210079877A (ko) * 2019-12-20 2021-06-30 주식회사 봄프렌즈 다이어트 기능성 개과 동물용 사료 조성물
KR20220022246A (ko) * 2020-08-18 2022-02-25 이혜경 닭간 및 미꾸라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반려동물 기능성 사료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7652B1 (ko) * 2022-06-02 2023-09-12 농업회사법인 자연이랑 주식회사 동에등애를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사료첨가제 조성물
KR102663311B1 (ko) * 2022-12-20 2024-05-08 전북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 천마를 포함하는 사료 첨가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39329A1 (ko) 2022-02-24
KR102472777B1 (ko) 2022-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usyoka et al. Utilization of the earthworm, Eisenia fetida (Savigny, 1826) as an alternative protein source in fish feeds processing: A review
Peiretti Amaranth in animal nutrition: A review
KR102472778B1 (ko) 닭간 및 미꾸라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반려동물 기능성 사료 조성물
KR102021659B1 (ko) 개과 동물용 사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75645B1 (ko) 모노소듐 글루타메이트를 포함하는 곤충용 사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곤충의 사육방법, 그 사육방법으로 사육되어 가바 함량이 증진된 곤충 및 이를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
KR101997365B1 (ko) 농업부산물을 활용한 갈색거저리 전용 사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갈색거저리의 사육방법
KR102339408B1 (ko) 식용 및 사료곤충이 첨가된 애완동물용 간식의 제조 방법
KR102472777B1 (ko) 닭간 및 식용곤충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반려동물 기능성 사료 조성물
Fanatico et al. Sustainable fish and invertebrate meals for methionine and protein feeds in organic poultry production
Obeng et al. Proximate composition of housefly (Musca domestica) maggots cultured on different substrates as potential feed for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KR101956516B1 (ko) 닭사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406792B1 (ko) 다이어트 기능성 개과 동물용 사료 조성물
KR101761377B1 (ko) 닭 사료 및 그 제조방법
KR101963185B1 (ko) 굼벵이 사육용 사료 조성물 및 굼벵이 사육 방법
KR102384324B1 (ko) 구기자를 포함한 동결건조 애완동물간식
KR102398960B1 (ko) 천연항생제를 함유하는 동애등에 유충용 사료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사육한 곤충을 포함하는 가축, 어패류 또는 반려동물 사료용 조성물
KR102046071B1 (ko) 갈색거저리를 포함하는 식이 알러지 저감용 사료조성물 및 이의 용도
Kalita et al. Supplementation of four non-conventional aquatic weeds to the basal diet of Catla catla and Cirrhinus mrigala fingerlings: Effect on growth, protein utilization and body composition of fish
KR102595963B1 (ko) 크레아틴 및 옥타코사놀을 포함하는 기능성 사료 조성물
JP2016202178A (ja) 肉用牛の飼育方法
Odedeyi Nutritive values of the carcass of African catfish (Clarias gariepinus) fingerlings fed raw and steam-heated Moringa oleifera diets
Dabai et al. Growth performance and carcass characteristics of finisher broiler chickens served carrot leaf extract as a supplementary source of vitamins and minerals
Hindatu et al. The use of tadpole meal as a substitute for fish meal diets of Clarias gariepinus fingerlings
Dawood et al. Environmental health enhancement by recycling poultry processing waste into protein ingredient in common carp Cyprinus carpio L. diets
CN107712423A (zh) 一种改善笼养鸡肉质的鸡饲料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