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2048A - 적층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적층 편광 필름의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적층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적층 편광 필름의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2048A
KR20220022048A KR1020217007634A KR20217007634A KR20220022048A KR 20220022048 A KR20220022048 A KR 20220022048A KR 1020217007634 A KR1020217007634 A KR 1020217007634A KR 20217007634 A KR20217007634 A KR 20217007634A KR 20220022048 A KR20220022048 A KR 202200220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active energy
energy ray
laminated polarizing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7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츠야 야마사키
히로키 구보타
히데히토 스즈키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022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20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32B37/1284Application of adhes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8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cooling meth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008Electrical discharge treatment, e.g. corona, plasma treatment;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41/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or monitoring lamination processes; Safety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3Opt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2Bonding of a preformed macromolecular material to the same or other solid material such as metal, glass, leather, e.g. using adhesiv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32B2037/1253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curable adhes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2038/0052Other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32B2038/0076Curing, vulcanising, cross-link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lasma & Fu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과제) 색상 등의 광학 특성을 일정한 범위로 수습할 수 있는 적층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등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편광자를 포함하는 필름 (11) 과 다른 필름 (12, 13) 을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를 개재하여 첩합하고, 활성 에너지선 조사 장치 (56) 로부터 활성 에너지선을 상기 접착제에 조사하여 경화시킴으로써, 적층 편광 필름 (1) 을 제작하는 적층 편광 필름 제작 공정을 포함하고, 활성 에너지선 조사 장치는, 활성 에너지선 조사원 (56a) 과, 그 활성 에너지선 조사원을 수용하는 케이싱 (56b) 을 구비하고, 적층 편광 필름 제작 공정에 있어서, 케이싱의 내부 온도의 변화가 일정 범위 내로 수습되도록, 케이싱의 내부를 냉각하는 냉매의 공급량 및/또는 냉매의 온도를 제어한다.

Description

적층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적층 편광 필름의 제조 장치
본 발명은, 편광자를 포함하는 필름과 다른 필름을 접착제를 개재하여 첩합 (貼合) 함으로써 적층 편광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 및 그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적층 광학 필름의 색상 등의 광학 특성을 일정한 범위로 수습할 수 있는 적층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액정 표시 장치나 편광 선글래스 등의 구성 재료로서, 편광자를 포함하는 적층 편광 필름이 사용되고 있다. 적층 편광 필름으로는, 예를 들어, 요오드 등의 이색성 물질로 염색한 편광자와 이 편광자를 보호하는 보호 필름을 포함하는 적층 필름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적층 편광 필름은,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및 2 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보호 필름에 광 경화형 접착제와 같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를 도공하여 접착제층을 형성하고, 그 접착제층을 개재하여 보호 필름과 편광자를 접착함으로써 얻어진다.
특허문헌 1, 2 에는, 자외선 등의 활성 에너지선을 상기 접착제에 조사하여 경화시키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2-007080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8-092186호
그러나, 활성 에너지선을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에 연속적으로 조사하여 적층 편광 필름을 연속적으로 제조하면, 적층 편광 필름의 색상 (예를 들어, 평행 b 값) 등의 광학 특성이,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 개시시에 얻어지는 (초기에 제조되는) 적층 편광 필름에 비해 변화하는 경우가 있는 것을 알게 되었다. 적층 편광 필름에는, 요구 사양에 따른 안정적인 광학 특성이 요구되기 때문에, 광학 특성이 일정한 범위로 수습되도록 제조하는 것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적층 광학 필름의 색상 등의 광학 특성을 일정한 범위로 수습할 수 있는 적층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자들은, 적층 편광 필름의 색상 (구체적으로는, 평행 b 값) 이 변화하는 원인에 대해사 예의 검토를 거듭하였다. 구체적으로는, 활성 에너지선 조사 장치가, 케이싱 내에 활성 에너지선 조사원 (源) 이 수용되고, 이 케이싱 내부에 냉매 (구체적으로는, 공기) 를 공급하여 케이싱 내부를 냉각하고, 냉각에 사용된 후의 냉매를 케이싱으로부터 배출하는 구성일 때, 적층 편광 필름의 색상이 변화하는 경우가 있었기 때문에, 이 장치를 사용하여 예의 검토를 거듭하였다.
그 결과, 먼저, 도 7(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를 개시하고 나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배기 온도 (배출되는 냉매로서의 공기의 온도) 가 서서히 상승하고 있는 것을 알았다.
그리고, 도 7(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기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평행 b 값도 상승하는 경향이 있는 것을 알았다. 즉, 배기 온도와 평행 b 값이 정 (正) 의 상관 관계를 갖는 것을 알았다. 본 발명자들의 추측으로는, 배기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케이싱의 내부 온도도 상승하고, 나아가서는 활성 에너지선이 조사되는 편광자의 분위기 온도도 상승하는 결과, 편광자의 광학 특성이 변화하고, 이것에 의해 적층 편광 필름의 평행 b 값의 값이 상승하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상기 지견에 근거하여, 본 발명자들은, 케이싱의 내부 온도의 변화가 일정 범위 내로 수습되도록, 케이싱의 내부를 냉각하는 냉매의 공급량 및/또는 냉매의 온도를 제어하면, 평행 b 값 등의 적층 광학 필름의 광학 특성의 변화를 일정한 범위로 수습할 수 있는 것에 생각이 미쳐,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즉,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편광자를 포함하는 필름과 다른 필름을 각각 반송하고, 이들의 반송 과정에서 상기 편광자를 포함하는 필름 및 상기 다른 필름 중 적어도 일방에,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를 도공하는 접착제 도공 공정과, 상기 편광자를 포함하는 필름과 상기 다른 필름을 상기 접착제를 개재하여 첩합하고, 또한, 활성 에너지선 조사 장치로부터 활성 에너지선을 상기 접착제에 조사하여 경화시킴으로써, 적층 편광 필름을 제작하는 적층 편광 필름 제작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활성 에너지선 조사 장치는, 활성 에너지선 조사원과, 그 활성 에너지선 조사원을 수용하는 케이싱을 구비하고, 상기 적층 편광 필름 제작 공정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내부 온도의 변화가 일정 범위 내로 수습되도록, 상기 케이싱의 내부를 냉각하는 냉매의 공급량 및/또는 상기 냉매의 온도를 제어하는, 적층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케이싱의 내부 온도의 변화가 일정 범위 내로 수습되도록 제어하기 때문에, 케이싱의 내부 온도 (활성 에너지선이 조사되는 편광자의 분위기 온도) 와 상관을 갖는 적층 광학 필름의 색상 등의 광학 특성의 변화를 일정한 범위로 수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케이싱의 내부를 냉각하는 냉매의 공급량 및 냉매의 온도의 쌍방을 제어하는 경우에는, 쌍방을 동시에 미리 설정한 소정의 변경량마다 변경하는 제어를 채용해도 되고, 어느 일방을 사양상 등의 한계까지 변경하고, 그럼에도 케이싱의 내부 온도의 변화가 일정 범위 내로 수습되지 않을 때에, 타방을 변경하는 제어를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층 편광 필름 제작 공정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내부 온도의 변화의 절대값이 5 ℃ 이내가 되도록, 상기 냉매의 공급량 및/또는 상기 냉매의 온도를 제어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층 편광 필름 제작 공정에 있어서, 상기 적층 편광 필름의 평행 b 값의 변화의 절대값이 0.2 이내가 되도록, 상기 케이싱의 내부를 냉각하는 냉매의 공급량 및/또는 상기 냉매의 온도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편광자를 포함하는 필름과 다른 필름을 각각 반송하는 반송 장치와, 상기 편광자를 포함하는 필름 및 상기 다른 필름 중 적어도 일방에,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를 도공하는 접착제 도공 장치와, 상기 접착제를 개재하여 맞붙여진 상기 편광자를 포함하는 필름 및 상기 다른 필름 사이의 상기 접착제에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키는 활성 에너지선 조사 장치와, 상기 활성 에너지선 조사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활성 에너지선 조사 장치는, 활성 에너지선 조사원과, 그 활성 에너지선 조사원을 수용하는 케이싱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케이싱의 내부 온도의 변화가 일정 범위 내로 수습되도록, 상기 케이싱의 내부를 냉각하는 냉매의 공급량 및/또는 상기 냉매의 온도를 제어하는, 적층 편광 필름의 제조 장치로도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적층 광학 필름의 색상 등의 광학 특성을 일정한 범위로 수습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관련된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적층 편광 필름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관련된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적층 편광 필름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관련된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적층 편광 필름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관련된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적층 편광 필름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적층 편광 필름의 제조 장치의 구성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은, 도 5 에 나타내는 활성 에너지선 조사 장치, 및 제어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은, 배기 온도의 변화와 평행 b 값의 변화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적층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적층 편광 필름의 제조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하한치 X ∼ 상한치 Y」로 나타내는 수치 범위는, 하한치 X 이상 상한치 Y 이하를 의미한다. 상기 수치 범위가 별개로 복수 기재되어 있는 경우, 임의의 하한치와 임의의 상한치를 선택하여, 「임의의 하한치 ∼ 임의의 상한치」를 설정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또, 각 도면은 참고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각 도면에 나타낸 부재 등의 치수, 축척 및 형상은, 실제의 것과는 상이한 경우가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적층 편광 필름]
먼저, 본 발명에 관련된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적층 편광 필름의 구성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 도 4 는, 본 발명에 관련된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적층 편광 필름 (1) 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에 나타내는 구성예의 적층 편광 필름 (1) 은, 제 2 필름 (12) 과, 접착제층 (31) 과, 제 1 필름 (11) 과, 접착제층 (32) 과, 제 3 필름 (13) 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있다.
도 2 에 나타내는 구성예의 적층 편광 필름 (1) 은, 제 2 필름 (12) 과, 접착제층 (31) 과, 제 1 필름 (11) 과, 접착제층 (32) 과, 제 3 필름 (13) 과, 접착제층 (33) 과, 제 4 필름 (14) 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있다.
도 3 에 나타내는 구성예의 적층 편광 필름 (1) 은, 제 1 필름 (11) 과, 접착제층 (31) 과, 제 2 필름 (12) 과, 접착제층 (32) 과, 제 3 필름 (13) 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있다.
도 4 에 나타내는 구성예의 적층 편광 필름 (1) 은, 제 1 필름 (11) 과, 접착제층 (31) 과, 제 2 필름 (12) 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있다.
단, 본 발명에 관련된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적층 편광 필름은, 도 1 ∼ 도 4 의 구성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각 구성예의 적층 편광 필름에, 추가로, 제 5 필름 등의 임의의 다른 필름이 1 개 또는 복수 적층되어 있어도 된다.
<제 1 필름>
제 1 필름 (11) 은, 편광자를 포함하는 필름이다.
편광자는, 특정한 하나의 방향으로만 진동하는 광 (편광) 을 투과시키고, 그 이외의 방향으로 진동하는 광을 차단하는 성질을 갖는 광학 소자를 말한다. 본 발명의 편광자는, 유연한 필름형상이다.
제 1 필름 (11) 은, 편광자를 포함하고 있으면 된다.
예를 들어, 제 1 필름 (11) 은, 편광자 자체여도 되고, 편광자와 임의의 필름이 적층 일체화되어 있는 필름이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제 1 필름 (11) 으로는, 예를 들어, 이색성 물질에 의해 염색된 친수성 폴리머 필름 (예를 들어, 이색성 물질에 의해 염색된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등), 혹은, 이색성 물질에 의해 염색된 친수성 폴리머 필름과 임의의 필름이 적층 일체화된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이색성 물질에 의해 염색된 친수성 폴리머 필름이, 편광자에 상당한다.
<제 2 필름, 제 3 필름, 제 4 필름 등>
제 2 필름 (12), 제 3 필름 (13) 및 제 4 필름 (14) 등의 다른 필름 (제 1 필름 이외의 필름) 은, 모두 편광자를 포함하지 않는 필름이다.
제 2 필름 (12) 은, 제 1 필름 (11) 의 편면에 접착제층 (31) 을 개재하여 접착된다 (도 1 ∼ 도 4 참조).
제 3 필름 (13) 은, 필요에 따라서, 제 1 필름 (11) 의 다른 일방의 편면에 접착제층 (32) 을 개재하여 접착된다 (도 1 및 도 2 참조). 또, 제 3 필름 (13) 은, 필요에 따라서, 제 2 필름 (12) 등에 접착제층 (32) 을 개재하여 접착된다 (도 3 참조).
제 4 필름 (14) 등의 다른 필름은, 필요에 따라서, 제 3 필름 (13) 등에 접착제층 (33) 을 개재하여 접착된다 (도 2 참조).
제 2 필름 (12), 제 3 필름 (13) 및 제 4 필름 (14) 등의 다른 필름으로는, 임의의 광학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광학 필름으로는, 종래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보호 필름, 위상차 필름, 안티글레어 필름, 휘도 향상 필름, 시야각 향상 필름, 투명 도전성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제 2 필름 (12), 제 3 필름 (13) 및 제 4 필름 (14) 등의 다른 필름은, 각각 독립적으로, 보호 필름, 위상차 필름, 안티글레어 필름, 휘도 향상 필름, 시야각 향상 필름, 투명 도전성 필름 등에서 선택되는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제 2 필름 (12) 으로는, TAC 필름 등의 보호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3 필름 (13) 이 제 1 필름 (11) 의 편면에 접착되는 경우에는, 제 3 필름 (13) 으로서 보호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제층>
접착제층은, 접착제의 고화층으로서, 2 개의 필름 사이에 개재하여, 그 2 개의 필름을 접착하는 층이다.
제 1 필름과 제 2 필름의 층간의 접착제층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로 구성된다.
제 1 필름과 제 2 필름의 층간 이외의 필름의 층간의 접착제층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혹은, 그 이외의 접착제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접착제층 중, 적어도 제 1 필름과 다른 필름의 층간의 접착제층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모든 접착제층이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각 적층 편광 필름 (1) 의 경우, 접착제층 (31) 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로 구성되어 있고, 접착제층 (32) 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및 도 4 에 나타내는 각 적층 편광 필름 (1) 의 경우, 접착제층 (31) 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로 구성되어 있다. 도 2 에 나타내는 적층 편광 필름 (1) 의 경우, 접착제층 (33) 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혹은, 그 이외의 접착제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로 구성된다. 또, 도 3 에 나타내는 적층 편광 필름 (1) 의 경우, 접착제층 (32) 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혹은, 그 이외의 접착제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로 구성된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 및 접착제층의 상세한 것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적층 편광 필름의 제조 장치]
다음으로, 본 발명에 관련된 적층 편광 필름의 제조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적층 편광 필름의 제조 장치는, 편광자를 포함하는 필름과 다른 필름을 각각 반송하는 반송 장치와, 상기 편광자를 포함하는 필름 및 상기 다른 필름 중 적어도 일방에,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를 도공하는 접착제 도공 장치와, 상기 접착제를 개재하여 맞붙여진 상기 편광자를 포함하는 필름 및 상기 다른 필름 사이의 상기 접착제에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키는 활성 에너지선 조사 장치와, 상기 활성 에너지선 조사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한다. 상기 활성 에너지선 조사 장치는, 활성 에너지선 조사원과, 그 활성 에너지선 조사원을 수용하는 케이싱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케이싱의 내부 온도의 변화가 일정 범위 내로 수습되도록, 상기 케이싱의 내부를 냉각하는 냉매의 공급량 및/또는 상기 냉매의 온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적층 편광 필름의 제조 장치는, 편광자를 포함하는 필름을 제조한 후, 그 필름에 다른 필름을 연속적으로 접착하는 형식이어도 되고, 혹은, 편광자를 포함하는 필름을 별도로 준비해 두고, 그 필름에 다른 필름을 접착하는 형식이어도 된다. 전자의 형식은, 편광자를 포함하는 필름의 제조로부터 다른 필름을 접착하여 적층 편광 필름을 얻을 때까지의 일련의 공정을 하나의 제조 라인 상에서 실시하는 형식이고, 후자의 형식은, 편광자를 포함하는 필름의 제조를 하나의 제조 라인 상에서 실시하고, 그 필름에 다른 필름을 접착하여 적층 편광 필름을 얻는 공정을 다른 제조 라인 상에서 실시하는 형식이다.
본 발명에 관련된 제조 장치는, 편광자를 포함하는 필름의 제조로부터 적어도 제 2 필름을 접착하여 적층 편광 필름을 얻기까지의 일련의 공정을 하나의 제조 라인 상에서 실시하는 롤 투 롤 형식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5 는,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적층 편광 필름의 제조 장치의 구성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에 나타내는 제조 장치는, 도 1 에 나타내는 구성예의 적층 편광 필름 (1) 을 제조하는 장치이다. 즉, 제 2 필름 (12)/접착제층 (31)/제 1 필름 (11)/접착제층 (32)/제 3 필름 (13), 의 층 구성을 갖는 적층 편광 필름을 제조하는 장치이다.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제조 장치 (9) 는, 편광자를 포함하는 제 1 필름 (11) 을 제작하는 편광자 제작 존 (4) 과, 그 제 1 필름 (11) 에 제 2 필름 (12) 및 제 3 필름 (13) 을 접착하는 필름 적층 존 (5) 을 적어도 갖는다.
편광자 제작 존 (4) 은, 미처리의 필름 원단 (1a) 이 감겨진 제 1 롤부 (41) 와, 필름 원단 (1a) 을 반송하는 반송 장치 (42) 와, 처리부와, 건조 장치 (43) 를 갖는다. 처리부는, 미처리의 필름 원단 (1a) 을 처리하여, 필름 원단 (1a) 을 편광자를 포함하는 제 1 필름 (11) 으로 변화시키는 부분이다. 처리부는, 필름의 반송 방향 상류측에서부터 순서대로, 예를 들어, 팽윤 처리조 (4A) 와, 염색 처리조 (4B) 와, 가교 처리조 (4C) 와, 연신 처리조 (4D) 와, 세정 처리조 (4E) 를 갖는다.
필름 적층 존 (5) 은, 제 1 필름 (11), 제 2 필름 (12) 및 제 3 필름 (13) 을 반송하는 반송 장치 (51) 와, 제 2 필름 (12) 이 감겨진 제 2 롤부 (52) 와, 제 3 필름 (13) 이 감겨진 제 3 롤부 (53) 와, 그라비아 롤 (61) 을 갖는 접착제 도공 장치 (54) 와, 닙 롤 (7) 을 갖는 첩합부 (55) 와, 제 1 필름 (11) 과 다른 필름 사이의 접착제에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키는 활성 에너지선 조사 장치 (56) 와, 활성 에너지선 조사 장치 (56) 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 (58) (도 5 에는 도시 생략. 후술하는 도 6 참조) 와, 제조된 적층 편광 필름을 감아서 취하는 권취 롤부 (57) 를 갖는다.
(1) 편광자 제작 존
<미처리의 필름 원단 및 반송 장치>
제 1 롤부 (41) 에는, 미처리의 필름 원단 (1a) 이 감겨져 있다. 필름 원단 (1a) 은, 가이드 롤러 등을 구비하는 반송 장치 (42) 에 의해, 처리부로 반송된다. 도 5 에 나타내는 백색 화살표는, 반송되는 필름의 반송 방향 (진행 방향) 을 나타낸다.
필름 원단 (1a) 은, 장척 띠형상 (帶狀) 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장척 띠형상은, 길이 방향의 길이가 폭 방향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의 길이보다 충분히 큰 장방형 형상을 의미한다. 장척 띠형상의 길이 방향의 길이는, 예를 들어, 10 m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50 m 이상이다.
필름 원단 (1a) 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이색성 물질에 의한 염색성이 우수하다는 점에서, 바람직하게는 친수성 폴리머 필름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등) 을 포함하는 필름이 사용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친수성 폴리머 필름이 사용된다. 친수성 폴리머 필름을 포함하는 필름으로는, 친수성 폴리머 필름과 비친수성 폴리머 필름이 적층된 필름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비친수성 폴리머 필름의 표면 및/또는 이면에 친수성 폴리머 필름이 적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비친수성 폴리머 필름의 표면 및/또는 이면에 적층되는 친수성 폴리머 필름은, 두께 수 ㎛ 정도의 박막상이어도 된다.
친구성 폴리머 필름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종래 공지된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친수성 폴리머 필름으로는,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 (PVA) 계 필름, 부분 포르말화 PVA 계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필름,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계 필름, 이들의 부분 비누화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또, 이들 외에도, PVA 의 탈수 처리물이나 폴리염화비닐의 탈염산 처리물 등의 폴리엔 배향 필름, 연신 배향된 폴리 비닐렌계 필름 등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특히 이색성 물질에 의한 염색성이 우수한 점에서, PVA 계 폴리머 필름이 바람직하다.
PVA 계 폴리머 필름의 원료 폴리머로는, 예를 들어, 아세트산비닐을 중합한 후에 비누화한 폴리머, 아세트산비닐에 대해 소량의 불포화 카르복실산이나 불포화 술폰산 등의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를 공중합한 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PVA 계 폴리머의 중합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물에 대한 용해도의 점 등에서, 500 ∼ 10000 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 ∼ 6000 이다. 또, PVA 계 폴리머의 비누화도는, 75 몰%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98 몰% ∼ 100 몰% 이다.
미처리의 필름 원단 (1a) 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15 ㎛ ∼ 110 ㎛ 이다.
<팽윤 처리조>
팽윤 처리조 (4A) 는, 팽윤 처리액이 수용된 처리조이다. 팽윤 처리액은, 필름 원단 (1a) 을 팽윤시킨다. 팽윤 처리액으로는, 예를 들어, 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물에, 글리세린이나 요오드화칼륨 등의 요오드 화합물을 적당량 첨가한 물을 팽윤 처리액으로 해도 된다. 글리세린을 첨가하는 경우, 그 농도는 5 중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요오드화칼륨 등의 요오드 화합물을 첨가하는 경우, 그 농도는 10 중량% 이하가 바람직하다.
<염색 처리조>
염색 처리조 (4B) 는, 염색 처리액이 수용된 처리조이다. 염색 처리액은, 필름 원단 (1a) 을 염색한다. 염색 처리액으로는, 유효 성분으로서 이색성 물질을 함유하는 용액을 들 수 있다. 이색성 물질로는, 요오드, 유기 염료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염색 처리액으로서, 요오드를 용매에 용해시킨 용액을 사용할 수 있다. 용매로는, 물이 일반적으로 사용되지만, 물과 상용성이 있는 유기 용매가 추가로 첨가되어도 된다. 염색 처리액 중의 요오드의 농도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0.01 중량% ∼ 10 중량% 인 것이 바람직하고, 0.02 중량% ∼ 7 중량% 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고, 0.025 중량% ∼ 5 중량%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염색 효율을 한층 더 향상시키기 위해서, 필요에 따라서, 염색 처리액에 요오드 화합물을 첨가해도 된다. 요오드 화합물은, 분자 내에 요오드와 요오드 이외의 원소를 함유하는 화합물이고, 예를 들어, 요오드화칼륨, 요오드화리튬, 요오드화나트륨, 요오드화아연, 요오드화알루미늄, 요오드화납, 요오드화구리, 요오드화바륨, 요오드화칼슘, 요오드화주석, 요오드화티탄 등을 들 수 있다.
<가교 처리조>
가교 처리조 (4C) 는, 가교 처리액이 수용된 처리조이다. 가교 처리액은, 염색된 필름 원단 (1a) 을 가교한다. 가교 처리액으로는, 유효 성분으로서 붕소 화합물을 함유하는 용액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교 처리액으로는, 붕소 화합물을 용매에 용해시킨 용액을 사용할 수 있다. 용매로는, 물이 일반적으로 사용되지만, 물과 상용성이 있는 유기 용매가 추가로 첨가되어도 된다. 붕소 화합물로는, 붕산, 붕사 등을 들 수 있다. 가교 처리액 중의 붕소 화합물의 농도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 중량% ∼ 10 중량% 인 것이 바람직하고, 2 중량% ∼ 7 중량% 가 보다 바람직하고, 2 중량% ∼ 6 중량%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균일한 광학 특성을 갖는 편광자가 얻어지는 점에서, 필요에 따라서, 가교 처리액에 요오드 화합물을 첨가해도 된다.
<연신 처리조>
연신 처리조 (4D) 는, 연신 처리액이 수용된 처리조이다.
연신 처리액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유효 성분으로서 붕소 화합물을 함유하는 용액을 사용할 수 있다. 연신 처리액으로는, 예를 들어, 붕소 화합물, 및 필요에 따라서, 각종 금속염, 아연 화합물 등을 용매에 용해시킨 용액을 사용할 수 있다. 용매로는, 물이 일반적으로 사용되지만, 물과 상용성이 있는 유기 용매가 추가로 첨가되어도 된다. 연신 처리액 중의 붕소 화합물의 농도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 중량% ∼ 10 중량% 인 것이 바람직하고, 2 중량% ∼ 7 중량% 가 보다 바람직하다. 필름에 흡착시킨 요오드의 용출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필요에 따라서, 연신 처리액에, 요오드 화합물을 첨가해도 된다.
<세정 처리조>
세정 처리조 (4E) 는, 세정 처리액이 수용된 처리조이다. 세정 처리액은, 연신 후의 필름 원단 (1a) 을 세정한다. 세정 처리액은, 필름 원단 (1a) 에 부착된 염색 처리액이나 가교 처리액 등의 처리액을 세정하기 위한 처리액이다. 세정 처리액으로는, 대표적으로는, 이온 교환수, 증류수, 순수 등의 물이 사용된다.
<건조 장치>
건조 장치 (43) 는, 세정 처리조 (4E) 의 하류측에 형성되어 있다. 건조 장치 (43) 는, 처리 후의 필름을 건조하기 위해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5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처리부는, 팽윤 처리조 (4A), 염색 처리조 (4B), 가교 처리조 (4C), 연신 처리조 (4D) 및 세정 처리조 (4E) 를 갖지만, 이 중의 1 개 또는 2 개의 처리조를 생략해도 된다. 한편, 처리부는, 추가로 조정 처리조 (도시 생략) 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조정 처리조는, 조정 처리액이 수용된 처리조이다. 이 조정 처리조는, 가교 처리조 (4C) 와 연신 처리조 (4D) 의 사이, 또는, 연신 처리조 (4D) 와 세정 처리조 (4E) 의 사이에 형성된다. 조정 처리액은, 필름의 색상 조정 등을 위한 용액으로, 유효 성분으로서 요오드 화합물을 함유하는 용액을 사용할 수 있다.
세정 후의 필름 원단 (1a) 을 건조 장치 (43) 로 건조하여 얻어지는 필름이, 편광자를 포함하는 제 1 필름 (11) 이다.
(2) 필름 적층 존
<반송 장치>
필름 적층 존 (5) 에 있어서의 반송 장치 (51) 는, 가이드 롤러 등을 구비한다. 반송 장치 (51) 는, 장척 띠형상의 편광자를 포함하는 제 1 필름 (11) 을, 첩합부 (55) 등의 하류측으로 반송한다. 또, 반송 장치 (51) 는, 제 1 필름 (11) 에 적층하는 장척 띠형상의 제 2 필름 (12) 및 제 3 필름 (13) 을 첩합부 (55) 등의 하류측으로 반송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제조 장치 (9) 는, 장척 띠형상의 제 2 필름 (12) 이 감겨진 제 2 롤부 (52) 와, 장척 띠형상의 제 3 필름 (13) 이 감겨진 제 3 롤부 (53) 를 갖는다. 제 2 롤부 (52) 의 제 2 필름 (12) 및 제 3 롤부 (53) 의 제 3 필름 (13) 은, 각각 독립적으로, 반송 장치 (51) 에 의해 각 롤부 (52, 53) 로부터 첩합부 (55) 등의 하류측으로 반송된다.
<접착제 도공 장치>
접착제 도공 장치 (54) 는, 그라비아 롤 (61) 에 의해 필름에 접착제를 도포한다. 접착제 도공 장치 (54) 는, 첩합부 (55) 의 상류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 5 에 나타내는 제조 장치 (9) 에 있어서는, 접착제 도공부 (54) 는, 편광자를 포함하는 제 1 필름 (11) 의 편면측, 그 제 1 필름 (11) 의 다른 일방의 편면측, 제 2 필름 (12) 의 편면측 및 제 3 필름 (13) 의 편면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접착제 도공 장치 (54) 로 제 1 필름 (11) 의 편면에 접착제를 도공하고 또한 제 2 필름 (12) 의 편면에 접착제를 도공하고, 양 접착제층이 대면하도록 하여 제 1 필름 (11) 과 제 2 필름 (12) 을 첩합함으로써, 제 1 필름 (11) 과 제 2 필름 (12) 의 층간에 기포가 생기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접착제 도공 장치 (54) 로 제 1 필름 (11) 의 편면에 접착제를 도공하고 또한 제 3 필름 (13) 의 편면에 접착제를 도공하고, 양 접착제층이 대면하도록 하여 제 1 필름 (11) 과 제 3 필름 (13) 을 첩합함으로써, 제 1 필름 (11) 과 제 3 필름 (13) 의 층간에 기포가 생기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단, 제 1 필름 (11) 및 제 2 필름 (12) 중 적어도 어느 일방의 편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면 제 1 필름 (11) 과 제 2 필름 (12) 을 접착할 수 있으므로, 제 1 필름 (11) 의 편면측에 배치된 접착제 도공 장치 (54) 및 제 2 필름 (12) 의 편면측에 배치된 접착제 도공 장치 (54) 중, 어느 일방은 생략해도 된다. 마찬가지로, 제 1 필름 (11) 및 제 3 필름 (13) 중 적어도 어느 일방의 편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면 제 1 필름 (11) 과 제 3 필름 (13) 을 접착할 수 있으므로, 제 1 필름 (11) 의 편면측에 배치된 접착제 도공 장치 (54) 및 제 3 필름 (13) 의 편면측에 배치된 접착제 도공 장치 (54) 중, 어느 일방은 생략해도 된다.
접착제 도공 장치 (54) 는, 그라비아 롤 (61) 과, 그라비아 롤 (61) 에 대향 배치된 백업 롤 (62) 과, 접착제가 저장 보관된 용기 (63) 와, 닥터 블레이드 (64) 를 갖는다. 또한, 제 1 필름 (11) 의 편면측 및 다른 일방의 편면측에 배치된 접착제 도공 장치 (54, 54) 에 대해서는, 백업 롤이 생략되고, 각 그라비아 롤 (61, 61) 이 제 1 필름 (11) 을 사이에 끼워 대향 배치되어 있다.
그라비아 롤 (61) 은, 표면에 복수의 셀 (접착제가 유입되는 오목부) 이 형성되어 있다. 그라비아 롤 (61) 은, 그 표면이 용기 (63) 내에 저장 보관된 접착제에 접촉하도록 축 둘레로 회전한다 (그라비아 롤 (61) 의 회전 방향을 화살표로 나타낸다). 회전에 수반하여, 그라비아 롤 (61) 의 셀을 포함하는 표면에 접착제가 부착되고, 여분의 접착제는, 닥터 블레이드 (64) 에 의해 용기 (63) 내로 긁혀 떨어진다. 셀 내에 접착제가 유입된 그라비아 롤 (61) 이 제 1 필름 (11) 등에 접촉함으로써, 셀 내의 접착제가 제 1 필름 (11) 등의 편면에 전사된다. 이와 같이 하여, 그라비아 롤 (61) 로부터 제 1 필름 (11) 등의 각 필름의 편면에, 각각 접착제가 빈틈없이 도공된다.
<접착제>
그라비아 롤 (61) 로 도공하는 접착제로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가 사용된다. 요컨대, 접착제 도공 장치 (54) 의 용기 (63) 내에는, 미경화의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가 들어가 있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로는, 종래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는, 일반적으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 및 중합 개시제를 함유하고, 필요에 따라서, 각종 첨가제를 함유한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은, 전자선 경화성, 자외선 경화성, 가시광선 경화성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또,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은, 경화의 메커니즘의 관점에서는,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과 카티온 중합성 화합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로는, (메트)아크릴로일기, 비닐기 등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의 라디칼 중합성의 관능기를 갖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또, 단관능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또는 2 관능 이상의 다관능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또, 이들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은, 1 종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로는,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아미드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아미드 유도체,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로서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을 사용하는 경우의 중합 개시제는, 활성 에너지선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된다. 자외선 또는 가시광선에 의해 접착제를 경화시키는 경우에는, 자외선 개열 또는 가시광선 개열의 중합 개시제가 사용된다. 이와 같은 중합 개시제로는, 예를 들어, 벤조페논계 화합물, 방향족 케톤 화합물, 아세토페논계 화합물, 방향족 케탈계 화합물, 방향족 술포닐클로라이드계 화합물, 티오크산톤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카티온 중합성 화합물로는, 분자 내에 카티온 중합성 관능기를 1 개 갖는 단관능 카티온 중합성 화합물, 분자 내에 카티온 중합성 관능기를 2 개 이상 갖는 다관능 카티온 중합성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카티온 중합성 관능기로는, 에폭시기, 옥세타닐기, 비닐에테르기 등을 들 수 있다. 에폭시기를 갖는 카티온 중합성 화합물로는, 지방족 에폭시 화합물, 지환식 에폭시 화합물, 방향족 에폭시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옥세타닐기를 갖는 카티온 중합성 화합물로는, 3-에틸-3-하이드록시메틸옥세탄, 1,4-비스[(3-에틸-3-옥세타닐)메톡시메틸]벤젠, 3-에틸-3-(페녹시메틸)옥세탄 등을 들 수 있다. 비닐에테르기를 갖는 카티온 중합성 화합물로는, 2-하이드록시에틸비닐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비닐에테르, 4-하이드록시부틸비닐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로서 카티온 중합성 화합물을 사용하는 경우, 카티온 중합 개시제가 배합된다. 이 카티온 중합 개시제는, 가시광선, 자외선, 전자선 등의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 카티온종 또는 루이스산을 발생하고, 카티온 중합성 화합물의 에폭시기 등과 중합 반응을 개시한다. 카티온 중합 개시제로는, 광산 발생제와 광염기 발생제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380 ㎚ ∼ 450 ㎚ 의 가시광선을 포함하는 광에 의해 경화시키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과 중합 개시제를 함유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는, 예를 들어, 특허문헌 2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8-092186호) 에 개시되어 있으며, 본 발명의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로서, 특허문헌 2 에 기재된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지면의 형편상, 특허문헌 2 의 기재를 옮겨 기재하는 것을 생략하지만, 특허문헌 2 의 접착제에 관한 기재를 본 명세서에 그대로 도입하는 것으로 한다.
<첩합부>
첩합부 (55) 에는, 1 쌍의 닙 롤 (7, 7) 이 구비되어 있다.
접착제층을 개재하여 첩합된 제 1 필름 (11) 과 제 2 필름 (12) 및 제 3 필름 (13) 으로 이루어지는 적층 필름은, 닙 롤 (7, 7) 에 삽입 통과되고, 가압된다.
<활성 에너지선 조사 장치 및 제어 장치>
활성 에너지선 조사 장치 (56) 는, 닙 롤 (7, 7) 에 의해 가압된 적층 필름에 대해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는 장치이다. 활성 에너지선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의 경화성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된다. 활성 에너지선으로는, 전자선, 자외선, 가시광선 등을 들 수 있다.
또, 활성 에너지선 조사 장치 (56) 는,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층체의 양면측에 각각 배치되어, 적층체의 양면측으로부터 각각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 은, 활성 에너지선 조사 장치 (56) 및 제어 장치 (58) 의 구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은, 각 구성 요소의 내부를 적절히 투시한 상태로 도시하고 있다.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활성 에너지선 조사 장치 (56) 는, 활성 에너지선 조사원 (56a) 과, 활성 에너지선 조사원 (56a) 을 수용하는 케이싱 (56b) 을 구비한다.
또, 활성 에너지선 조사 장치 (56) 는, 활성 에너지선 조사원 (56a) 으로부터 방출된 활성 에너지선 (도 6 에 있어서 파선으로 도시) 을 적층 필름측으로 반사하여 집광하는 반사경 (56c) 과, 활성 에너지선을 투과시키는 광학창 (56d) 과, 적층 필름을 투과한 활성 에너지선을 활성 에너지선 조사원 (56a) 측으로 반사시키는 반사판 (56e) 을 구비한다. 케이싱 (56b) 의 일방의 단부 (端部) (적층 필름 측의 단부) 는 개구되어 있지만, 그 개구가 광학창 (56d) 에 의해 폐색됨으로써, 활성 에너지선 조사원 (56a) 및 반사경 (56c) 은, 밀폐 공간에 수용되어 있다.
케이싱 (56b) 및 광학창 (56d) 에 의해 구획되는 상기 밀폐 공간에는, 케이싱 (56b) 내부를 냉각하기 위한 냉매가 공급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냉매로서 공기가 사용되고 있지만,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밖의 기체나, 물 등의 액체를 냉매로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활성 에너지선 조사 장치 (56) 는, 케이싱 (56b) 내부에 연통되어, 케이싱 (56) 내부에 냉매로서의 공기를 공급하는 공급관 (56f) 과, 케이싱 (56b) 내부에 연통되어, 케이싱 (56b) 내부로부터 냉매로서의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관 (56g) 을 구비한다. 공급관 (56f) 에는, 공급관 (56f) 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급기팬 (56h) 이 접속되어 있다. 배출관 (56g) 에는, 배출관 (56g) 을 통해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기팬 (56i) 가 접속되어 있다.
급기팬 (56h) 및 배기팬 (56i) 으로는, 쇼와 전기사 제조의 전동 송풍기 (KSB 시리즈) 를 사용할 수 있다.
공급관 (56f) 에는, 공급하는 공기를 냉각하기 위한 열교환기 (56j) 가 장착되어 있다. 열교환기 (56j) 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내부에 냉각수 (예를 들어 7 ℃ 정도) 를 유통시키는 냉각 코일을 구비한 열교환기를 사용할 수 있고, 이 냉각 코일을 예를 들어 공급관 (56f) 의 외면에 둘러 감아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배출관 (56g) 에는, 배출관 (56g) 에 흐르는 공기의 온도 (배기 온도) 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계 (56k) 가 장착되어 있다. 온도계 (56k) 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열전쌍이나 서미스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배출관 (56g) 에 흐르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고 있지만,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케이싱 (56b) 내부에 온도계 (56k) 를 배치하여, 케이싱 (56b) 의 내부를 직접 측정해도 된다.
제어 장치 (58) 는, 활성 에너지선 조사 장치 (56) 에 형성된 급기팬 (56h), 열교환기 (56j) 의 유량 조정 밸브 (도시 생략) 및 온도계 (56k) 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어 장치 (58) 는, 케이싱 (56b) 의 내부 온도 (구체적으로는, 케이싱 (56b) 의 내부 온도와 동등하다고 생각되는 배기 온도) 의 변화가 일정 범위 내로 수습되도록, 케이싱 (56b) 의 내부를 냉각하는 공기의 공급량 (급기 풍량) 및/또는 공기의 온도 (급기 온도) 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장치 (58) 에는, 온도계 (56k) 로 측정한 배기 온도가 연속적으로 입력되고, 제어 장치 (58) 는, 이 온도계 (56k) 로 측정한 배기 온도의 변화가 일정 범위 내로 수습되도록, 급기팬 (56h) 의 회전 주파수 및/또는 열교환기 (56j) 의 냉각 코일 내에 흐르는 냉각수의 유량인 냉각수량 (구체적으로는 열교환기 (56j) 가 구비하는 유량 조정 밸브의 개도) 을 제어 (피드백 제어) 한다. 바람직하게는 제어 장치 (58) 는, 배기 온도의 변화의 절대값이 5 ℃ 이내가 되도록, 보다 바람직하게는 2 ℃ 이내가 되도록, 급기팬 (56h) 의 회전 주파수 및/또는 열교환기 (56j) 의 냉각수량을 제어한다. 또한, 급기팬 (56h) 의 회전 주파수를 높임으로써, 급기 풍량도 증가하게 된다.
[적층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다음으로, 본 발명에 관련된 적층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편광자를 포함하는 필름의 제조 공정>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처리의 필름 원단 (1a) 을 제 1 롤부 (41) 로부터 인출하여, 반송 장치 (42) 에 의해 필름 원단 (1a) 을 팽윤 처리조 (4A) 로 반송한다. 팽윤 처리조 (4A) 내의 가이드 롤러 (42) 에 의해 필름 원단 (1a) 을 반송하면서, 필름 원단 (1a) 을 팽윤 처리액에 침지함으로써, 필름 원단 (1a) 이 팽윤된다. 팽윤 처리액의 온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20 ℃ ∼ 45 ℃ 이다. 필름 원단 (1a) 을 팽윤 처리액에 침지하는 시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5 초 ∼ 300 초이다. 다음으로, 팽윤 후의 필름 원단 (1a) 을 염색 처리조 (4B) 내의 염색 처리액에 침지함으로써, 필름 원단 (1a) 이 이색성 물질에 의해 염색된다. 염색 처리액의 온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20 ℃ ∼ 50 ℃ 이다. 필름 원단 (1a) 을 염색 처리액에 침지하는 시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5 초 ∼ 300 초이다. 염색 후의 필름 원단 (1a) 을 가교 처리조 (4C) 내의 가교 처리액에 침지함으로써, 필름 원단 (1a) 의 이색성 물질이 가교된다. 가교 처리액의 온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25 ℃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40 ℃ ∼ 70 ℃ 이다. 필름 원단 (1a) 을 가교 처리액에 침지하는 시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5 초 ∼ 800 초이다.
가교 후의 필름 원단 (1a) 을, 연신 처리조 (4D) 의 연신 처리액 중에 있어서 가이드 롤러에 의해 반송하면서 연신한다. 연신 처리액의 온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40 ℃ ∼ 90 ℃ 이다. 연신 배율은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설정할 수 있는데, 총연신 배율은, 예를 들어, 2 배 ∼ 7 배이고, 바람직하게는 4.5 배 ∼ 6.8 배이다. 총연신 배율은, 필름 원단 (1a) 의 최종적인 연신 배율을 의미한다. 연신 후의 필름 원단 (1a) 을, 세정 처리조 (4E) 내의 세정 처리액에 침지함으로써, 필름 원단 (1a) 이 세정된다. 세정 처리액의 온도는, 예를 들어, 5 ℃ ∼ 50 ℃ 이다. 세정 시간은, 예를 들어, 1 초 ∼ 300 초이다.
세정 후의 필름 원단 (1a) 을, 건조 장치 (43) 로 건조함으로써, 편광자를 포함하는 제 1 필름 (11) 이 얻어진다. 얻어진 제 1 필름 (11) 은, 계속해서 필름 적층 존 (5) 에 반송된다.
<접착제 도공 공정>
편광자를 포함하는 장척 띠형상의 제 1 필름 (11) 은, 반송 장치 (51) 에 의해 첩합부 (55) 에 반송된다. 반송 과정에서, 제 1 필름 (11) 의 양면에, 그라비아 롤 (61) 에 의해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가 도공된다. 그라비아 롤 (61) 로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를 도공함으로써, 제 1 필름 (11) 의 양면에, 각각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로 이루어지는 접착제층이 형성된다.
한편, 제 2 롤부 (52) 로부터 장척 띠형상의 제 2 필름 (12) 이 인출되고, 반송 장치 (51) 에 의해 첩합부 (55) 에 반송된다. 마찬가지로, 제 3 롤부 (53) 로부터 장척 띠형상의 제 3 필름 (13) 이 인출되고, 반송 장치 (51) 에 의해 첩합부 (55) 에 반송된다. 각각의 반송 과정에서, 제 2 필름 (12) 의 편면 및 제 3 필름 (13) 의 편면에, 각각 그라비아 롤 (61) 에 의해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가 도공된다. 그라비아 롤 (61) 로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를 도공함으로써, 제 2 필름 (12) 의 편면 및 제 3 필름 (13) 의 편면에, 각각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로 이루어지는 접착제층이 형성된다.
접착제층의 도공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지나치게 작으면, 필름의 접착 강도가 저하되고, 지나치게 크면, 적층 편광 필름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지나치게 커진다. 이러한 관점에서, 제 1 필름 (11), 제 2 필름 (12) 및 제 3 필름 (13) 에 형성하는 접착제층의 도공 두께는, 각각 독립적으로, 0.1 ㎛ ∼ 5 ㎛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도공시의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의 점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지나치게 작거나 또는 크면, 접착제의 도공 불균일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는, 25 ℃ 에서의 점도가 1 mPa·s ∼ 100 mPa·s 로 조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25 ℃ 에서의 점도가 10 mPa·s ∼ 50 mPa·s 로 조정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서 사용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는, 무용제 타입이고, 이와 같은 무용제 타입의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에 대해서는, 증점제 등의 점성 조정제를 조정함으로써, 상기한 바람직한 범위의 점도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도는, 이른바 하겐푸아죄유 (Hagen-Poiseuille) 의 법칙을 측정 원리로 하는 세관 (細管) 식 연속 점도계에 의해 측정 가능하다.
또한 도공시의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는, 표면장력이 50 mN/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5 mN/m ∼ 45 mN/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표면장력을 갖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를 사용함으로써, 접착제가 그라비아 롤 (61) 의 셀로부터 제 1 필름 (11) 등으로 양호하게 이행되게 된다 (접착제가 양호하게 전사되게 된다).
또한, 상기 표면장력은, 이른바 현적법 (懸滴法) (팬던트 드롭법) 에 의해 측정 가능하다.
그리고, 도공시의 제 1 필름 (11), 제 2 필름 (12) 및 제 3 필름 (13) 의 각 반송 속도 (라인 속도) 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지나치게 빠르면, 기포를 일으킬 우려가 있고, 지나치게 느리면, 적층 편광 필름의 생산 효율이 저하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도공시의 제 1 필름 (11), 제 2 필름 (12) 및 제 3 필름 (13) 의 각 반송 속도는, 15 m/분 ∼ 40 m/분이 바람직하고, 또한 20 m/분 ∼ 35 m/분이 보다 바람직하다.
<적층 편광 필름 제작 공정>
접착제층 (미경화의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 이 형성된 제 1 필름 (11), 제 2 필름 (12) 및 제 3 필름 (13) 은, 각각 독립적으로, 첩합부 (55) 에 반송된다. 제 1 필름 (11) 에 형성된 접착제층과 제 2 필름 (12) 에 형성된 접착제층을 대면시키고, 또한, 제 1 필름 (11) 에 형성된 접착제층과 제 3 필름 (13) 에 형성된 접착제층을 대면시키면서, 이들 필름은, 닙 롤 (7, 7) 사이에 삽입 통과된다. 닙 롤 (7) 을 통과함으로써, 제 1 필름 (11), 제 2 필름 (12) 및 제 3 필름 (13) 이 첩합되고, 제 2 필름/미경화의 접착제층/제 1 필름/미경화의 접착제층/제 3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적층 필름이 얻어진다.
이 적층 필름에 대해, 활성 에너지선 조사 장치 (56) 에 의해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함으로써,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가 경화되고, 제 2 필름 (12)/경화 후의 접착제층/제 1 필름 (11)/경화 후의 접착제층/제 3 필름 (13) 으로 이루어지는 적층 편광 필름 (1) 이 얻어진다. 또한,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로 이루어지는 접착제층은, 경화 전 (도공시) 의 두께와 경화 후의 두께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된다.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활성 에너지선 조사 장치 (56) 에 의해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고 있는 동안, 제어 장치 (58) 는, 온도계 (56k) 로 측정한 배기 온도의 변화가 일정 범위 내로 수습되도록 (케이싱 (56b) 의 내부 온도의 변화가 일정 범위 내로 수습되도록), 케이싱 (56b) 의 내부를 냉각하는 냉매의 공급량 (급기팬 (56h) 의 회전 주파수) 및/또는 냉매의 온도 (열교환기 (56j) 의 냉각수량) 를 제어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적층 편광 필름은, 권취 롤부 (57) 에 감겨진다.
<변형예>
상기한 제조 방법에서는, 제 2 필름 (12)/경화 후의 접착제층/제 1 필름 (11)/경화 후의 접착제층/제 3 필름 (13) 으로 이루어지는 적층 편광 필름 (도 1 에 나타내는 적층 편광 필름 (1)) 을 제조하는 경우를 예시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한 적층 편광 필름의 하류측에, 그라비아 롤을 갖는 접착제 도공 장치를 배치하고, 적층 편광 필름의 편면 및/또는 제 4 필름의 편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첩합하고 또한 접착제층을 경화시킴으로써, 예를 들어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제 2 필름 (12)/경화 후의 접착제층/제 1 필름 (11)/경화 후의 접착제층/제 3 필름 (13)/경화 후의 접착제층/제 4 필름 (14) 으로 이루어지는 적층 편광 필름 (1) 을 얻을 수도 있다. 또, 상기한 제조 방법에 있어서의 제 3 필름 (13) 의 제 1 필름 (11) 에 대한 첩합을 생략함으로써, 도 3 및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제 1 필름 (11) 의 편면에 다른 필름이 적층되어 있지 않은 적층 편광 필름 (1) 을 얻을 수 있다.
또, 상기한 제조 방법에서는, 제 1 필름 (11) 의 양면에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를 도공하고, 제 2 필름 (12) 및 제 3 필름 (13) 의 각 편면에도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를 도공하여, 접착제층이 서로 마주 보도록 하여 첩합하고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 1 필름 (11) 의 편면 또는 제 2 필름 (12) 의 편면의 어느 일방에만,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를 도공하여 접착제층을 형성하고, 이 접착제층을 개재하여 제 1 필름 (11) 과 제 2 필름 (12) 을 첩합해도 된다. 마찬가지로, 제 1 필름 (11) 의 편면 또는 제 3 필름 (13) 의 편면의 어느 일방에만,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를 도공하여 접착제층을 형성하고, 이 접착제층을 개재하여 제 1 필름 (11) 과 제 3 필름 (13) 을 첩합해도 된다.
[적층 편광 필름의 용도 등]
본 발명에 관련된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적층 편광 필름은, 대표적으로는, 액정 표시 장치나 유기 표시 장치 등의 디스플레이의 광학 필름으로서 사용된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된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적층 편광 필름은, 전술한 디스플레이에 사용되는 경우로 한정되지 않고, 디스플레이 이외의 용도에 사용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이외의 용도로는, 광학 기기, 건축물, 의료·식품 분야 등을 들 수 있다. 적층 편광 필름이 광학 기기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그 적층 편광 필름은, 예를 들어, 편광 렌즈, 투명 전파 차단 필름 등으로 가공된다. 적층 편광 필름이 전자 디바이스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그 적층 편광 필름은, 예를 들어, 조광창용 필름 등으로 가공된다. 적층 편광 필름이 의료·식품 분야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그 적층 편광 필름은, 예를 들어, 광열화 방지 필름 등으로 가공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설명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서술한다. 단,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 재료]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
54.48 중량% 의 1,9-노난디올디아크릴레이트, 10 중량% 의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아미드 및 30 중량% 의 아크릴로일모르폴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 과, BYK 사 제조 「BYK-UV3570」를 0.52 중량% (기포 억제제) 와, 3 중량% 의 IRGACURE 907 및 2 중량% 의 KAYACURE DETX-S (중합 개시제) 를 혼합하고, 3 시간 교반함으로써,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를 얻었다.
<편광자를 포함하는 제 1 필름>
평균 중합도 2400, 비누화도 99.9 몰% 의 두께 45 ㎛ 의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을, 30 ℃ 의 온수 중에 60 초간 침지하여 팽윤시켰다. 이어서, 요오드/요오드화칼륨 (중량비 = 0.5/8) 의 농도 0.3 % 의 수용액에 침지하여, 3.5 배까지 연신시키면서 필름을 염색하였다. 그 후, 65 ℃ 의 붕산에스테르 수용액 중에서, 토탈 연신 배율이 6 배가 되도록 연신을 실시하였다. 연신 후에, 40 ℃ 의 건조 장치로 3 분간 건조를 실시하여, 장척 띠형상의 폴리비닐알코올계 편광자 (두께 18 ㎛) 를 얻었다. 이 폴리비닐알코올계 편광자를 제 1 필름으로 하였다.
<제 2 필름 및 제 3 필름>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0-284840호의 제조예 1 에 기재된 이미드화 MS 수지 100 중량부 및 트리아진계 자외선 흡수제 (아데카사 제조, 상품명 : T-712) 0.62 중량부를, 2 축 혼련기로 220 ℃ 에서 혼합하여, 수지 펠릿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수지 펠릿을, 100.5 ㎪, 100 ℃ 에서 12 시간 건조시키고, 단축의 압출기로 다이스 온도 270 ℃ 에서 T 다이로부터 압출하여 필름상으로 성형하였다 (두께 160 ㎛). 그리고, 당해 필름을, 그 반송 방향으로 150 ℃ 의 분위기하에 연신하고 (두께 80 ㎛), 이어서 수성 우레탄 수지를 함유하는 접착 용이제를 도포한 후, 필름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150 ℃ 의 분위기하에 연신하여, 두께 40 ㎛ (투습도 58 g/㎡/24h) 의 투명 아크릴 필름을 얻었다. 이 투명 아크릴 필름을 제 2 필름으로 하였다.
제 3 필름으로는, 두께 52 ㎛ 의 고리형 폴리올레핀 필름 (닛폰 제온사 제조) 을 사용하였다.
<활성 에너지 조사원>
활성 에너지 조사 장치가 구비하는 활성 에너지 조사원으로서, 파장 범위 380 ㎚ ∼ 450 ㎚ 의 가시광선을 포함하는 활성 에너지선을 방출하는 갈륨 봉입 메탈 할라이드 램프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1]
도 5 에 나타내는 접착제 도공 장치 (54) 의 용기 (63) 에 상기한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를 저장 보관하였다. 상기한 제 1 필름, 제 2 필름 및 제 3 필름을, 반송 장치 (51) 에 의해 각각 25 m/분의 속도로 반송하면서, 그라비아 롤 (61) 에 의해 제 1 필름의 양면, 제 2 필름의 편면 및 제 3 필름의 편면에, 빈틈없이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를 도공하여, 도공 두께 약 0.7 ㎛ 의 접착제층을 각각 형성한 후, 닙 롤 (7, 7) 에 통과시켜, 제 2 필름/미경화의 접착제층/제 1 필름/미경화의 접착제층/제 3 필름의 적층 필름을 얻었다. 그 적층 필름의 양면으로부터 상기한 활성 에너지선원을 구비하는 활성 에너지 조사 장치 (56) 로부터 방출된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여 접착제층을 경화시킴으로써, 연속적으로 적층 편광 필름을 제작하였다. 상기한 활성 에너지선 조사 장치 (56) 를 약 12 시간 연속적으로 가동시켜 장척 띠형상의 적층 편광 필름을 제작하였다.
활성 에너지선 조사 장치 (56) 로부터 접착제층에 대해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를 개시할 때에는, 열교환기 (56j) 를 구동시키지 않고, 도 6 에서는 도시를 생략한 온도계로 급기 온도 (공급관 (56f) 에 흐르는 공기의 온도) 를 측정한 결과 실온 (20 ℃) 이었다. 또,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 개시시에는, 급기팬 (56h) 의 회전 주파수는 15 Hz 로 하였다. 그리고, 활성 에너지선 조사 장치 (56) 를 약 12 시간 연속적으로 가동시켰을 때에, 제어 장치 (58) 에 의해, 케이싱 (56b) 의 내부 온도 (온도계 (56k) 로 측정한 배기 온도) 의 변화의 절대값이 5 ℃ 이내로 수습되도록, 급기팬 (56h) 의 회전 주파수를 제어하였다. 열교환기 (56j) 는 구동하지 않는 그대로 하였다.
[실시예 2]
활성 에너지선 조사 장치 (56) 를 약 12 시간 연속적으로 가동시켰을 때에, 제어 장치 (58) 에 의해, 케이싱 (56b) 의 내부 온도 (온도계 (56k) 로 측정한 배기 온도) 의 변화의 절대값이 2 ℃ 이내로 수습되도록, 열교환기 (56j) 의 냉각수량을 제어 (급기 온도를 제어)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적층 편광 필름을 연속적으로 제작하였다. 또한, 급기팬 (56h) 의 회전 주파수는 15 Hz 그대로 하였다.
[실시예 3]
활성 에너지선 조사 장치 (56) 를 약 12 시간 연속적으로 가동시켰을 때에, 제어 장치 (58) 에 의해, 케이싱 (56b) 의 내부 온도 (온도계 (56k) 로 측정한 배기 온도) 의 변화의 절대값이 2 ℃ 이내로 수습되도록, 급기팬 (56h) 의 회전 주파수 및 열교환기 (56j) 의 냉각수량의 쌍방을 제어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적층 편광 필름을 연속적으로 제작하였다.
또한, 급기팬 (56h) 의 회전 주파수 및 열교환기 (56j) 의 냉각수량의 쌍방을 제어함에 있어서는, 급기팬 (56h) 의 회전 주파수 및 열교환기 (56j) 의 냉각수량의 쌍방을 동시에 미리 설정한 소정의 변경량마다 변경하는 제어를 실시하였다.
[비교예 1]
활성 에너지선 조사 장치 (56) 를 약 12 시간 연속적으로 가동시켰을 때에, 제어 장치 (58) 에 의한 제어를 실시하지 않았던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적층 편광 필름을 연속적으로 제작하였다.
[배기 온도의 변화 및 평행 b 값의 평가]
실시예 1 ∼ 3 및 비교예 1 에 있어서 활성 에너지선 조사 장치 (56) 를 약 12 시간 연속적으로 가동시켰을 때의 배기 온도의 변화와, 실시예 1 ∼ 3 및 비교예 1 에서 얻어진 적층 편광 필름의 평행 b 값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또한, 평행 b 값은, 장척 띠형상의 적층 편광 필름의 선단부 (초기에 제조되는 부분) 와 후단부 (약 12 시간의 가동 후에 제조되는 부분) 를 절단하고, 선단부 및 후단부의 각각에 대해 얻어진 각 2 장의 시험편을, 서로의 편광 방향이 평행하게 되도록 하여 배치하고, 적분구가 달린 분광 광도계 (닛폰 분광 제조, V7100) 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b 값은, 헌터 Lab 표색계에 있어서의 b 값을 의미한다. 표 1 에 나타내는 「평행 b 값 (초기값)」은, 적층 편광 필름의 선단부를 절단하여 얻어진 2 장의 시험편에 대해 얻어진 평행 b 값을 의미하고, 「평행 b 값 (12 시간 연속 가동 후)」는, 적층 편광 필름의 후단부를 절단하여 얻어진 2 장의 시험편에 대해 얻어진 평행 b 값을 의미한다.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 3 에 의하면, 활성 에너지선 조사 장치 (56) 의 약 12 시간의 연속적인 가동 중, 배기 온도의 변화의 절대값을 5 ℃ 이내 (실시예 2, 3 은 2 ℃ 이내) 로 수습할 수 있었다. 이 결과, 평행 b 값의 변화의 절대값을 0.2 이내 (실시예 2, 3 은 0.1 이내) 로 수습할 수 있었다.
이에 비해, 비교예 1 에 의하면, 제어 장치 (58) 에 의한 제어를 실시하지 않은 결과, 배기 온도의 변화의 절대값이 10 ℃ (10 ℃ 상승) 가 되고, 이것에 수반하여, 평행 b 값의 변화의 절대값도 0.5 (0.5 상승) 가 되었다.
1 : 적층 편광 필름
11 : 편광자를 포함하는 필름 (제 1 필름)
12 : 다른 필름 (제 2 필름)
13 : 다른 필름 (제 3 필름)
4 : 편광자 제작 존
5 : 필름 적층 존
9 : 적층 편광 필름의 제조 장치
56 : 활성 에너지선 조사 장치
56a : 활성 에너지선 조사원
56b : 케이싱
56h : 급기팬
56k : 온도계
58 : 제어 장치

Claims (4)

  1. 편광자를 포함하는 필름과 다른 필름을 각각 반송하고, 이들의 반송 과정에서 상기 편광자를 포함하는 필름 및 상기 다른 필름 중 적어도 일방에,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를 도공하는 접착제 도공 공정과,
    상기 편광자를 포함하는 필름과 상기 다른 필름을 상기 접착제를 개재하여 첩합하고, 또한, 활성 에너지선 조사 장치로부터 활성 에너지선을 상기 접착제에 조사하여 경화시킴으로써, 적층 편광 필름을 제작하는 적층 편광 필름 제작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활성 에너지선 조사 장치는, 활성 에너지선 조사원과, 그 활성 에너지선 조사원을 수용하는 케이싱을 구비하고,
    상기 적층 편광 필름 제작 공정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내부 온도의 변화가 일정 범위 내로 수습되도록, 상기 케이싱의 내부를 냉각하는 냉매의 공급량 및/또는 상기 냉매의 온도를 제어하는, 적층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편광 필름 제작 공정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내부 온도의 변화의 절대값이 5 ℃ 이내가 되도록, 상기 냉매의 공급량 및/또는 상기 냉매의 온도를 제어하는, 적층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편광 필름 제작 공정에 있어서, 상기 적층 편광 필름의 평행 b 값의 변화의 절대값이 0.2 이내가 되도록, 상기 케이싱의 내부를 냉각하는 냉매의 공급량 및/또는 상기 냉매의 온도를 제어하는, 적층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4. 편광자를 포함하는 필름과 다른 필름을 각각 반송하는 반송 장치와,
    상기 편광자를 포함하는 필름 및 상기 다른 필름 중 적어도 일방에,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를 도공하는 접착제 도공 장치와,
    상기 접착제를 개재하여 맞붙여진 상기 편광자를 포함하는 필름 및 상기 다른 필름 사이의 상기 접착제에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키는 활성 에너지선 조사 장치와,
    상기 활성 에너지선 조사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활성 에너지선 조사 장치는, 활성 에너지선 조사원과, 그 활성 에너지선 조사원을 수용하는 케이싱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케이싱의 내부 온도의 변화가 일정 범위 내로 수습되도록, 상기 케이싱의 내부를 냉각하는 냉매의 공급량 및/또는 상기 냉매의 온도를 제어하는, 적층 편광 필름의 제조 장치.
KR1020217007634A 2019-06-17 2020-05-28 적층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적층 편광 필름의 제조 장치 KR2022002204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112068A JP2020204700A (ja) 2019-06-17 2019-06-17 積層偏光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積層偏光フィルムの製造装置
JPJP-P-2019-112068 2019-06-17
PCT/JP2020/021096 WO2020255665A1 (ja) 2019-06-17 2020-05-28 積層偏光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積層偏光フィルムの製造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2048A true KR20220022048A (ko) 2022-02-23

Family

ID=73838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7634A KR20220022048A (ko) 2019-06-17 2020-05-28 적층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적층 편광 필름의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2020204700A (ko)
KR (1) KR20220022048A (ko)
CN (1) CN112770909A (ko)
TW (1) TW202101043A (ko)
WO (1) WO2020255665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07080A (ja) 2010-06-25 2012-01-12 Toyo Ink Sc Holdings Co Ltd 偏光板形成用光硬化性接着剤及び偏光板
JP2018092186A (ja) 2018-02-16 2018-06-14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6844B2 (ja) * 1996-05-31 2001-06-18 ウシオ電機株式会社 ディスクの貼り合わせ装置
JP2003020452A (ja) * 2001-06-19 2003-01-24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紫外線活性化型接着フィルムを用いた基材接着方法及び紫外線照射装置
JP2003246970A (ja) * 2001-12-21 2003-09-05 Sekisui Chem Co Ltd 光反応性接着剤で接着された接着構造体の製造装置及び接着構造体の製造方法
JP2006198803A (ja) * 2005-01-18 2006-08-03 Konica Minolta Photo Imaging Inc 光照射装置
JP2007144301A (ja) * 2005-11-28 2007-06-14 Konica Minolta Opto Inc 紫外線硬化樹脂層の硬化方法及び紫外線照射装置
CN100533186C (zh) * 2006-05-16 2009-08-26 日东电工株式会社 偏振片及使用了该偏振片的图像显示装置
JP4965488B2 (ja) * 2008-03-17 2012-07-04 ハリソン東芝ライティング株式会社 紫外線照射装置
JP5773685B2 (ja) * 2011-02-28 2015-09-02 京セラ株式会社 光照射モジュールおよび印刷装置
JP5632313B2 (ja) * 2011-03-15 2014-11-26 リンテック株式会社 光照射装置および光照射方法
KR20140088540A (ko) * 2011-10-07 2014-07-10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편광판의 제조 방법
JP6154128B2 (ja) * 2012-12-20 2017-06-28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板の製造方法
JP6081244B2 (ja) * 2013-03-14 2017-02-1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16088042A (ja) * 2014-11-11 2016-05-23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帯電防止性遮熱フィルム及び帯電防止性遮熱フィルム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07080A (ja) 2010-06-25 2012-01-12 Toyo Ink Sc Holdings Co Ltd 偏光板形成用光硬化性接着剤及び偏光板
JP2018092186A (ja) 2018-02-16 2018-06-14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770909A (zh) 2021-05-07
WO2020255665A1 (ja) 2020-12-24
JP2020204700A (ja) 2020-12-24
TW202101043A (zh) 2021-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6035579A (ja) 偏光板
KR20220022048A (ko) 적층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적층 편광 필름의 제조 장치
KR20210010348A (ko) 적층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편광자용의 건조 장치 및 편광자의 제조 장치
CN112241036B (zh) 偏振膜的制造方法及偏振膜的制造装置
JP7305473B2 (ja) 偏光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偏光フィルムの製造装置
TWI837379B (zh) 偏光薄膜之製造方法及偏光薄膜之製造裝置
TWI816974B (zh) 積層偏光膜之製造方法及積層偏光膜之製造裝置
TWI801549B (zh) 偏光件的製造方法
WO2021100249A1 (ja) 偏光フィルムの製造方法、偏光フィルムの製造装置及び制御システム
WO2021100423A1 (ja) 光学積層体の製造方法、接着剤塗工装置及び光学積層体の製造装置
WO2021100253A1 (ja) 偏光子の製造方法
WO2021095304A1 (ja) 積層偏光フィルムの製造方法
CN111316147A (zh) 偏振膜保护用层叠体及其制造方法
CN110356025B (zh) 偏振片的制造方法
TWI801548B (zh) 偏光件的製造方法
CN110361804B (zh) 偏振片的制造方法
CN109975908B (zh) 偏光薄膜的制造方法和偏光薄膜的制造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