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1943A - 빛의 흡광부와 빛의 반사부에 의해 형성된 무늬모양을 포함한 플라스틱 판넬 - Google Patents

빛의 흡광부와 빛의 반사부에 의해 형성된 무늬모양을 포함한 플라스틱 판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1943A
KR20220021943A KR1020200101641A KR20200101641A KR20220021943A KR 20220021943 A KR20220021943 A KR 20220021943A KR 1020200101641 A KR1020200101641 A KR 1020200101641A KR 20200101641 A KR20200101641 A KR 20200101641A KR 20220021943 A KR20220021943 A KR 202200219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plastic panel
sheet
layer
thin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1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6093B1 (ko
Inventor
윤정훈
김형삼
Original Assignee
(주)바이오스마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바이오스마트 filed Critical (주)바이오스마트
Priority to KR1020200101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6093B1/ko
Publication of KR20220021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19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60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60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a sequence of laminating steps, e.g. by adding new layers at consecutive laminat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8Net structure, e.g. spaced apart filaments bonded at the crossing p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3Opt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10Inorganic fibres
    • B32B2262/103Metal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1/00Decorative or ornamental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004Cutting, tearing or severing, e.g. bursting; Cutter details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성 플라스틱 판넬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외부에서 빛이 들어올 경우 그 빛을 모두 투과시키는 투명한 재질의 박막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제 1 박막 시트층과; 외부에서 들어온 빛을 반사시키고, 가는 섬유사로 구성되어 있으며, 가로 씨줄과 세로 씨줄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로 씨줄과 상기 세로 씨줄에 의해 빈 공간을 형성하고 있는 망사층과; 상기 망사층의 바로 아래쪽에 위치하고, 상기 망사층의 빈공간을 통하여 들어온 빛을 흡수하게 되며, 불투명한 재질의 박막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제 2 시트층; 을 포함하고 있으며,
외부에서 입사된 빛이, 상기 망사층의 상기 가로씨줄과 상기 세로씨줄의 표면에서 반사되는 표면반사 빛과, 상기 가로씨줄과 상기 세로씨줄의 측면에서 반사되는 측면반사 빛과, 상기 망사층의 빈 공간을 통과하여 상기 제 2 시트층에 흡수되어 사라지게 되는 빛으로 나누어 구분되어지고;
상기 표면반사 빛과 상기 측면반사 빛이 서로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상기 망상구조를 입체적인 형상으로 만들어주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빛의 흡광부와 빛의 반사부에 의해 형성된 무늬모양을 포함한 플라스틱 판넬{Plastic panel including pattern by light absorbing part and light reflecting part}
본 발명은 소정의 무늬모양을 포함하고 있는 플라스틱 판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소정의 무늬모양을 빛의 흡광부와 빛의 반사부에 의해 형성하고, 그 무늬모양을 플라스틱 판넬의 내부에 형성함으로써, 외부의 자극이나 긁힘에도 영향을 받지 않는 플라스틱 판넬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플라스틱 판넬을 다양한 모습으로 존재하고 있다.
가장 일반적인 것으로는 단일의 플라스틱 원료를 이용하여 단일의 판재로 압출하여 제조되고 있다. 이러한 판재형 플라스틱 판넬은 건축물의 자재로 사용되거나, 공장이나 사무실의 실내 장식용도로 사용되기도 하고, 학습용 도구로 사용되기도 한다.
플라스틱 판넬이 사출성형기에 의해 소정의 형태를 가지고 사출되어 제작되기도 한다. 이러한 사출형 플라스틱 판넬은 가늘고 긴 평판의 형태를 가지고 있지 않으며, 평판의 형태로 제조될 수 없는 특수한 형태의 판넬 제품에 적합하다.
한편, 플라스틱 판넬이 다수의 박막 필름에 의해 합지된 채로 압착가공되어 형성되기도 한다. 이러한 플라스틱 판넬은 비교적 그 두께가 얇으면서도 견고하고 내구성이 양호한 플라스틱 시트 제품으로 적합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플라스틱 판넬은 그 용도가 여러가지 방면으로 개발되어지고 있고, 그로 인하여, 다양한 제품들로 그 적용분야가 확장되어지고 있다.
오늘날 플라스틱 판넬의 적용분야를 예시해 보면, 건축물의 내부 인테리어용 벽체 판넬, 가전 제품의 표면 장식용 판넬, 플라스틱 카드에 대한 적용, 화장품 용기 및 그 뚜껑 제품에 대한 응용, 핸드폰과 같은 전자제품의 악세사리용 응용 제품 등에 널리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플라스틱 판넬의 용도가 다양해지면서, 플라스틱 패널에 관한 가공기술이 증가하고 있다.
플라스틱 판넬에 소정의 모양이나 형상을 형성함으로써, 플라스틱 판넬의 가치를 높이고자 하는 기술은, 금일 현재에 이르기 까지 플라스틱 판넬의 표면에 각종 인쇄방식이나 전사방식 또는 금장 도금이나 금속 증착방식을 적용하고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공개공보 제 10-2018-0098512호 (공개일 : 2018. 9. 4.); 특허공보 제10-1607045호 (공고일: 2016. 3. 28); 특허공보 제10-2029809호 (공고일: 2019. 11. 11); 특허공보 제10-1938268호 (공고일: 2019. 4. 11).
본 발명은 종래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플라스틱 판넬의 가치를 더욱 향상시키기 위하여, 플라스틱 판넬에 빛이 입사되었을 경우, 그 빛을 흡수한 영역과 그 빛을 반사하는 영역으로 구분하고, 빛의 반사 영역에서 소정의 무늬 모양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플라스틱 판넬에 형성된 무늬에 의한 기능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플라스틱 판넬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플라스틱 판넬은, 외부에서 빛이 들어올 경우 그 빛을 모두 투과시키는 투명한 재질의 박막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제 1 박막 시트층과; 외부에서 들어온 빛을 반사시키고, 가는 섬유사로 구성되어 있는 가로 씨줄과 세로 씨줄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로 씨줄과 상기 세로 씨줄에 의해 빈 공간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시 제 1 박막 시트층을 통하여 들어온 빛이 상기 가로씨줄과 상기 세로씨줄 및 상기 빈 공간에 의해 서로 반사되거나 통과하여 사라짐으로써 소정의 모양을 형성하게 되는 망사층과; 상기 망사층의 바로 아래쪽에 위치하고, 상기 망사층의 빈공간을 통하여 들어온 빛을 흡수하게 되며, 불투명한 재질의 박막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제 2 시트층; 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 1 박막 시트층과 상기 망사층의 사이에 인쇄 시트층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 2 시트층의 아래쪽에 보조 시트층을 더욱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플라스틱 판넬은, 제 1 박막 시트와 망사 시트와 제 2 박막 시트를 각각의 권취로울러에서 풀어서 서로 평평하게 이동시키는 준비 단계(S 210)와; 상기 제 1 박막 시트와 망사 시트와 제 2 박막 시트를 예비 롤러단에서 순서대로 예비 합지시켜주는 순서 배열 공급단계(S 220)와; 순서 배열 공급단계에서 예비 합지된 3겹 시트를 평행하게 투입하여 가열가압 롤러단에 의해 단일 플라스틱 판넬의 형태로 연속적으로 뽑아내는 연속판넬 형성단계(S 230)와; 연속적인 형태로 합지된 연속판넬을 일정한 간격으로 절단하여 제품화하는 완성단계(S 240); 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플라스틱 판넬(100)은, 통상적인 방식으로 가열 가압하여 제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플라스틱 시트의 내부에서 빛이 반사되거나 흡수됨으로 인하여 소정의 모양을 형성하게 되고, 그 모양은 플라스틱 제품의 내부에서 선명한 형태로 나타나게 되므로, 플라스틱 판넬의 사용 용도를 널리 확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플라스틱 내부에 형성된 모양이 빛의 흡수부와 빛의 반사부로 완벽하게 분리된 상태에서 이루어진 것이므로, 통상적으로 외부에 존재하는 망사의 형태에 비하여, 훤씬 선명하고 강렬한 인상을 주고 있어서, 다양한 영역으로 그 사용 분야를 확대해 갈 것으로 여겨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플라스틱 판넬의 모양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플라스틱 판넬의 연속적인 제조방법에 관한 개략도를 제시한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플라스틱 판넬을 이용하여 화장품 용기 분야에 적용한 사례를 나타낸 것으로, 화장품 용기의 뚜껑에 적용하기 위한 샘플들을 사진 자료로 제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이고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구체적인 수치 또는 구체적인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 있어서, 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것으로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창작될 수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플라스틱 판넬(100)은, 외부에서 빛이 들어올 경우 그 빛을 모두 투과시키는 투명한 재질의 박막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제 1 박막 시트층(11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 1 박막 시트층(110)은 가장 위쪽에 존재하는 플라스틱층으로서, 이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외력으로부터 그 내부의 구성부분들을 보호해주게 된다.
상기 제 1 박막 시트층(110)은 외부에서 들어온 빛이 그대로 투과될 수 있는 투명한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중요하다. 투명한 재질로서는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렌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아크릴 수지, 또는 이들의 공중합 수지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박막 시트층(110)은 박막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적으로 0.05 밀리미터 내지 1.0 밀리미터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 좋다. 0.05 밀리미터에 비하여 더 얇은 막을 사용할 경우, 실제의 제조과정에서 연속공정으로 운전하기 곤란하고, 또한 상대적으로 고액의 플라스틱 재질을 사용해야 하므로,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바람직스럽지 못하다. 한편, 1.0 밀리미터 이상의 두께를 사용할 경우에는 역시 연속공정에서 가압 접착이 곤란한 점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플라스틱 판넬(100)은, 상기 제 1 박막 시트층(110)의 아래쪽에 외부에서 들어온 빛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거나 선택적으로 반사시키는 망사층(12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망사층(120)은 가늘게 형성된 섬유사로 구성되어 있고, 그 섬유사는 가로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가로씨줄(10)과, 상기 가로씨줄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세로씨줄(20)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로씨줄(10)과 상기 세로씨줄(20)은 서로 교차하여 지나가면서 전체적으로 망상 구조를 형성하게 되고, 또한, 상기 가로씨줄(10)과 상기 세로씨줄(20)이 교차하면서 그들과 인접한 다른 가로씨줄과 세로씨줄에 의하여 빈 공간(30)을 형성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망사층(120)이 외부에서 육안으로 관찰하였을 경우, 통상적인 망사형태를 이루고 있는 것이지만, 이것을 플라스틱 내부에 고정시킬 경우, 평면상으로 활짝 펼쳐지게 되고, 상기 가로씨줄(10)과 상기 세로씨줄(20)이 교차하면서 그 내부에 빈 공간(30)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가로씨줄(10)과 상기 세로씨줄(20)이 빛을 반사하는 능력을 높이기 위하여, 금속재질의 금장색으로 도포하거나 섬유사 자체를 금속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재질로서는 금, 은, 동을 포함한 금속성 물질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의한 플라스틱 판넬(100)은, 상기 망사층(120)의 바로 아래쪽에 위치한 제 2 시트층(13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 2 시트층(130)은 불투명한 재질의 플라스틱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망사층의 빈공간(30)을 통하여 들어온 빛을 흡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빛의 흡수를 위해서는, 가능한 한 블랙 계통의 색상이 적당하다. 다만, 전체적인 색상에 기본적인 바탕색을 부여하고자 할 경우, 불투명한 재질에 특정한 색상을 가미할 수 있다. 특정한 색상으로는 블루, 분홍, 오렌지, 보라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제 2 시트층(130)은 박막의 플라스틱 시트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약간의 두께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는 최종 제품의 용도에 따라 선택적인 두께를 형성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제 1 박막 시트층(110)과 상기 망사층(120)의 사이에 인쇄 시트층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쇄시트층은 최종 제품에 디자인적인 요소를 더욱 가미하거나, 최종 제품의 브랜드를 플라스틱 판넬의 내부에 포함시키고자 할 경우에 유용하다.
상기 인쇄시트층은 그 시트의 표면에 전사방식이나, 디지털 인쇄방식, 실크인쇄방식 등으로 특정한 문자 또는 그림을 형성한 다음, 상기 제 1 시트층(110)과 상기 망사층(120)의 사이에 위치시키고, 이들을 서로 합지시켜서 완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 2 시트층(130)의 아래쪽에 보조 시트층을 더욱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 시트층은 전체 제품의 적용 분야 및 적용 제품에 따라 그 두께를 조절하거나 제품의 보강판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요소들로 이루어진 플라스틱 판넬(100)은, 외부에서 빛이 들어올 경우, 그 빛이 상기 제 1 시트층(110)을 통과하여 내려가게 된다.
상기 제 1 시트층(110)을 통과하여 입사된 빛은 상기 망사층(120)에 이르게 되면, 상기 가로씨줄(10)과 상기 세로씨줄(20)로 입사된 빛은 그 표면에서 반사되어지게 되지만, 상기 빈 공간(30)으로 입사된 빛은 반사되지 않고 계속 직진하게 된다.
이때, 상기 빈 공간부(30)에서 직진된 빛은 상기 제 2 시트층(130)에 이르게 될 경우, 상기 제 2 시트층(130)에서 흡수되어지고, 외부로 전혀 반사되지 않으며, 그대로 사라지게 된다.
한편, 상기 가로씨줄(10)과 상기 세로씨줄(20)로 입사된 빛이 그 표면에서 반사되어지게 되는 반면에, 상기 빈 공간부(30)로 입사된 빛은 사라지게 되므로, 관찰자의 시야에서는 상기 가로씨줄(10)과 상기 세로씨줄(20)에 의하여 형성된 망상 모양이 현저하게 드러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망사층(120)은 플라스틱 판넬(100)의 내부에서 일종의 입체적인 망상구조를 형성하면서, 그 입체적인 망상구조를 관찰자의 시야에 그대로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외부에서 들어온 빛이 상기 망사층(120)의 구조에 의해 서로 다르게 반사되거나 통과하여 없어짐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것이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외부에서 입사된 빛은 상기 망사층(120)의 구조에 의해 최소한 3개 형태로 달리 나타나게 된다.
먼저, 상기 망사층(120)의 가로씨줄(10)에 도달한 빛(L1)은 그의 표면에서 반사되어지게 된다.
그 다음, 상기 세로씨줄(20)에 도달한 빛(L2)은, 상기 가로씨줄(10)과 교차하여 배열되어 있어서 그 빛이 상방향에서 직각으로 입사되지 않는 한, 상기 세로씨줄(20)의 측면에 도달하게 되고, 그 측면에서 반사되어지게 되는데, 그 반사각도는 필연적으로 상기 가로씨줄(10)에서 반사되는 각도와는 다르게 된다. 이것을 달리 간단하게 표현한다면, 상기 가로씨줄(10)에 도달한 빛(L1)은 그 표면에서 반사되어지는 반면, 상기 세로씨줄(20)에 도달한 빛(L2)은 그의 측면에서 반사되어지는 것으로 요약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그 반대로 뒤집어서 설명할 수도 있다.
그 다음, 상기 빈 공간부(30)로 입사된 빛(L3)의 경로이다. 이 빛(L3)은 상기 망사층(120)을 그대로 통과하게 되고, 어떠한 반사광을 발생하지 않으며, 그대로 그 아래에 존재하는 제 2 시트층(130)으로 입사되어지고, 그곳에서 흡수되어 사라지게 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있어서, 외부에서 입사된 빛이 상기 제 1 시트층(110)을 통과한 다음, 상기 망사층(120)에서는 상기 가로씨줄(10)과 상기 세로씨줄(20)에 의하여 그 표면에서 반사되어 나가는 표면 반사광(L1)과, 그 측면에서 반사되어 나가는 측면 반사광(L2)과, 빈 공간부(30)를 그대로 통과하여 지나가는 투과광(L3)으로 나누어지게 되고, 상기 제 2 시트층(130)에서는 상기 빈 공간부(30)를 통과하여 입사된 빛(L3)을 완전히 흡수하여 사라지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정을 거쳐서, 상기 표면 반사광(L1)과 상기 측면 반사광(L2) 및 상기 투과광(L3)의 조합에 의하여, 상기 망사층(120)에 의하여 형성된 망상구조를 입체적인 형상으로 만들어주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이 망상구조를 입체적인 형상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반드시 상기 가로씨줄(10)과 상기 세로씨줄(20)의 측면에서 반사되는 빛이 존재하여야만 가능한 것인 바, 상기 빈 공간부(30)가 존재하지 않게 될 경우 , 망상구조의 입체적인 형상이 불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플라스틱 판넬(100)은 연속식 공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연속식 공정을 개념화하여 제공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플라스틱 판넬(100)의 제조방법은, 제 1 박막 시트와 망사 시트와 제 2 박막 시트를 각각의 권취로울러에서 풀어서 서로 평평하게 이동시키는 준비 단계(S 210)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은 투명박막시트 권취로울러(R1)에서 제 1 박막 시트를 풀어내고, 망사시트 권취로울러(R2)에서 망사 시트를 풀어내며, 불투명시트 권취로울러(R3)에서 제 2 박막 시트를 풀어낸다. 상기 제 1 박막 시트와 상기 망사 시트와 상기 제 2 박막 시트를 위에서 아래쪽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된 상태로 평평하게 진행시킨다.
본 발명에 의한 플라스틱 판넬(100)의 제조방법은, 상기 제 1 박막 시트와 망사 시트와 제 2 박막 시트를 예비 롤러단(150)에서 순서대로 예비 합지시켜주는 순서 배열 공급단계(S 22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예비 롤러단(150)은 상하 방향으로 다수의 롤러를 배열하고, 상하 방향의 롤러 사이에 상기 제 1 박막 시트와 망사 시트와 제 2 박막 시트를 투입한다. 상기 예비 롤러단(150)은, 한편으로는 상기 시트들을 서서히 끌어주면서, 잡아당기고,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시트들을 안전하고 평탄한 상태로 다음 단계로 이동하도록 해준다.
본 발명에 의한 플라스틱 판넬(100)의 제조방법은, 상기 순서 배열 공급단계(S 220)에서 예비 합지된 3겹 시트를 평행하게 투입하여 가열가압 롤러단(160)에 의해 단일 플라스틱 판넬의 형태로 연속적으로 뽑아내는 연속 판넬 형성단계(S 23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가열가압 롤러단(160)은 역시 상하방향으로 다수의 롤러를 배열하고, 상하 방향의 롤러 사이로 상기 예비 합지된 3겹 시트를 통과시켜 주면서, 상기 제 1 박막 시트와 망사 시트와 제 2 박막 시트를 고온 열에 의해 합지되어지도록 해준다. 상기 가열가압 롤러단(160)은 다수의 롤러들을 배열하고, 무한궤도형 더블컨베어벨트 시스템으로 가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요한 경우, 상기 제 1 박막 시트와 망사 시트의 사이 및 상기 망사 시트와 제 2 박막 시트의 사이에 접착제 성분을 미리 분사하여 줌으로써, 상기 가열가압 롤러단(160)에 의한 합지작업을 원만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가열가압 롤러단(160)을 통과하여 나온 플라스틱 합지시트는 위에서 아래쪽 방향으로, 제 1 박막 시트층(110)과 망사 시트층(120) 및 제 2 박막 시트층(130)을 형성하게 되고, 이들은 연속적인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플라스틱 판넬(100)의 제조방법은, 연속적인 형태로 합지된 연속 판넬을 일정한 간격으로 절단하여 제품화하는 완성단계(S 240); 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완성단계(S 240)는 절단기(170)에 의해 일정한 길이만큼 자동공정으로 연속적인 형태의 합지 판넬을 절단하게 되고, 이로써 일정한 길이의 기능성 플라스틱 판넬(100)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플라스틱 판넬(100)은, 통상적인 단품식 제조 공정으로 가열 가압하여 제조될 수도 있다.
단품식 제조공정의 경우, 상기 제 1 박막 시트와 망사 시트와 제 2 박막 시트를 순차적으로 적층식으로 배열한 다음, 이들을 고온 고압을 압착하면서 합지시키는 방식이며, 이러한 방식은 통상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치게 되면, 본 발명에 의한 기능성 플라스틱 판넬(100)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기능성 플라스틱 판넬(100)은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예시할 경우, 최종목적으로 하는 용도에 따라, 적절한 크기와 모양으로 절단한 다음, 건축물의 내부 인테리어용 벽체 판넬, 가전 제품의 표면 장식용 판넬, 플라스틱 카드에 대한 적용, 화장품 용기 및 그 뚜껑 제품에 대한 응용, 핸드폰과 같은 전자제품의 악세사리용 응용 제품 등에 사용될 수 있다.
첨부도면 3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기능성 플라스틱 판넬(100)을 이용하여 화장품 용기의 뚜껑에 적용하고자 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이 경우, 일반적인 망사의 경우와, 본 발명에 의한 기능성 플라스틱 판넬의 내부에 존재함으로 인하여 나타나는 모양에 현저한 차이점이 존재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기능성 플라스틱 판넬(100)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구체화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모든 특징이 위에서 언급한 항목에만 적용되는 것이라고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명세서의 기재내용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을 것이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100 : 기능성 플라스틱 판넬 (본 발명)
110 : 제 1 박막 시트층, 120 : 망사 시트층,
130 : 제 2 박막 시트층, 150 : 예비 롤러단,
160 : 가열가압 롤러단, 170 : 절단기.

Claims (5)

  1. 외부에서 빛이 들어올 경우 그 빛을 모두 투과시키는 투명한 재질의 박막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제 1 박막 시트층과;
    외부에서 들어온 빛을 반사시키거나 통과시키고, 가는 섬유사로 구성되어 있는 가로씨줄과 세로씨줄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로씨줄과 상기 세로씨줄에 의해 빈 공간부를 형성하고 있는 망사층과;
    상기 망사층의 바로 아래쪽에 위치하고, 상기 망사층의 빈공간부를 통하여 들어온 빛을 흡수하게 되며, 불투명한 재질의 박막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제 2 시트층; 을
    포함하고 있으며,
    외부에서 입사된 빛이, 상기 망사층의 상기 가로씨줄과 상기 세로씨줄의 표면에서 반사되는 표면 반사빛과, 상기 가로씨줄과 상기 세로씨줄의 측면에서 반사되는 측면 반사빛과, 상기 망사층의 빈 공간부를 통과하여 상기 제 2 시트층에 흡수되어 사라지게 되는 투과빛으로 나누어 구분되어지고;
    상기 표면 반사빛과 상기 측면 반사빛 및 상기 투과빛이 서로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상기 망사층의 망상구조를 입체적인 형상으로 만들어주는 것; 을
    특징으로 한, 기능성 플라스틱 판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씨줄과 상기 세로씨줄은 금장색으로 도포하여 사용되거나 섬유사 자체를 금속사로 형성하여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기능성 플라스틱 판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박막 시트층과 상기 망사층의 사이에 인쇄 시트층을 더욱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기능성 플라스틱 판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시트층의 아래쪽에 보조 시트층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기능성 플라스틱 판넬.
  5. 제 1 박막 시트와 망사 시트와 제 2 박막 시트를 각각의 권취로울러에서 풀어서 서로 평평하게 이동시키는 준비 단계(S 210)와;
    상기 제 1 박막 시트와 망사 시트와 제 2 박막 시트를 예비 롤러단에서 순서대로 예비 합지시켜주는 순서 배열 공급단계(S 220)와;
    순서 배열 공급단계에서 예비 합지된 3겹 시트를 평행하게 투입하여 가열가압 롤러단에 의해 단일 플라스틱 판넬의 형태로 연속적으로 뽑아내는 연속 판넬 형성단계(S 230)와;
    연속적인 형태로 합지된 연속 판넬을 일정한 간격으로 절단하여 제품화하는 완성단계(S 240); 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플라스틱 판넬의 제조방법.

KR1020200101641A 2020-08-13 2020-08-13 빛의 흡광부와 빛의 반사부에 의해 형성된 무늬모양을 포함한 플라스틱 판넬 KR1023960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1641A KR102396093B1 (ko) 2020-08-13 2020-08-13 빛의 흡광부와 빛의 반사부에 의해 형성된 무늬모양을 포함한 플라스틱 판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1641A KR102396093B1 (ko) 2020-08-13 2020-08-13 빛의 흡광부와 빛의 반사부에 의해 형성된 무늬모양을 포함한 플라스틱 판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1943A true KR20220021943A (ko) 2022-02-23
KR102396093B1 KR102396093B1 (ko) 2022-05-11

Family

ID=80495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1641A KR102396093B1 (ko) 2020-08-13 2020-08-13 빛의 흡광부와 빛의 반사부에 의해 형성된 무늬모양을 포함한 플라스틱 판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6093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5050A (ko) * 2001-02-05 2002-08-13 김완종 공조용 덕트 커버시트의 제조 방법 및 커버시트.
KR20040044792A (ko) * 2002-11-22 2004-05-31 (주)오픈티비넷 투사형 스크린 및 그의 제조방법
JP2014016394A (ja) * 2012-07-06 2014-01-30 Hiraoka & Co Ltd 多種視覚表示構造体
KR101607045B1 (ko) 2009-12-17 2016-03-28 비와이디 컴퍼니 리미티드 표면 금속화 방법, 플라스틱 제품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플라스틱 제품
KR20160109778A (ko) * 2015-03-13 2016-09-21 코나씨 주식회사 탄소섬유시트 장식이 포함된 플라스틱카드의 제조방법
KR20170055594A (ko) * 2015-11-11 2017-05-22 옴니시스템 주식회사 입체 플라스틱카드의 제조방법
KR20180098512A (ko) 2018-08-27 2018-09-04 주식회사 쎄코 패턴 마스크를 이용한 진공증착 코팅방법
KR101938268B1 (ko) 2016-09-20 2019-04-11 (주)승보산업 플라스틱의 금속제 코팅을 위한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수득된 플라스틱 가공품
KR102029809B1 (ko) 2017-08-30 2019-11-11 코나엠 주식회사 금속이 진공증착된 플라스틱카드의 제조방법 및 금속이 진공증착된 플라스틱카드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5050A (ko) * 2001-02-05 2002-08-13 김완종 공조용 덕트 커버시트의 제조 방법 및 커버시트.
KR20040044792A (ko) * 2002-11-22 2004-05-31 (주)오픈티비넷 투사형 스크린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607045B1 (ko) 2009-12-17 2016-03-28 비와이디 컴퍼니 리미티드 표면 금속화 방법, 플라스틱 제품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플라스틱 제품
JP2014016394A (ja) * 2012-07-06 2014-01-30 Hiraoka & Co Ltd 多種視覚表示構造体
KR20160109778A (ko) * 2015-03-13 2016-09-21 코나씨 주식회사 탄소섬유시트 장식이 포함된 플라스틱카드의 제조방법
KR20170055594A (ko) * 2015-11-11 2017-05-22 옴니시스템 주식회사 입체 플라스틱카드의 제조방법
KR101938268B1 (ko) 2016-09-20 2019-04-11 (주)승보산업 플라스틱의 금속제 코팅을 위한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수득된 플라스틱 가공품
KR102029809B1 (ko) 2017-08-30 2019-11-11 코나엠 주식회사 금속이 진공증착된 플라스틱카드의 제조방법 및 금속이 진공증착된 플라스틱카드
KR20180098512A (ko) 2018-08-27 2018-09-04 주식회사 쎄코 패턴 마스크를 이용한 진공증착 코팅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6093B1 (ko) 2022-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47183B1 (en) Lamellar polymeric body and method of production
US5568316A (en) Formable reflective multilayer body
EP0627990B1 (en) Multilayer polymeric reflective bodies for decorative and security applications
US4162343A (en) Multilayer light-reflecting film
US5122906A (en) Thick/very thin multilayer reflective polymeric body
US4310584A (en) Multilayer light-reflecting film
CN101767511B (zh) 光学防伪元件及带有该防伪元件的产品
TW302331B (ko)
CN101479105A (zh) 多层光学薄膜及其制备方法以及具有该多层光学薄膜的交易卡
US20030075264A1 (en) Method for producing a continuous sheet having optical functions
CA2057818A1 (en) Polymeric reflective body with multiple layer types
CN112673290B (zh) 光学膜
CA2498737C (en) Object identifying medium using multi-layer thin-film
KR102396093B1 (ko) 빛의 흡광부와 빛의 반사부에 의해 형성된 무늬모양을 포함한 플라스틱 판넬
JPH04299329A (ja) 両面レンチキュラーシートの製造方法
TW592975B (en) Decorative iridescent film
US2982178A (en) Multi-layer light polarizing structure
JP2016110034A (ja) 覗き見防止用透明フィルムとその製造方法
CN212684940U (zh) 一种具有变色彩虹纹的复合片材
JP6069930B2 (ja) カード
CN104441879A (zh) 彩虹膜
US20040005445A1 (en) Colored multi-layer films and decorative articles made therefrom
KR101740891B1 (ko) 광 투과 필름, 보안 필름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20170046199A (ko) 보안 필름 및 이들의 제조방법
CN1062128A (zh) 全息光栅树脂夹层透光玻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