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4792A - 투사형 스크린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투사형 스크린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4792A
KR20040044792A KR1020020072968A KR20020072968A KR20040044792A KR 20040044792 A KR20040044792 A KR 20040044792A KR 1020020072968 A KR1020020072968 A KR 1020020072968A KR 20020072968 A KR20020072968 A KR 20020072968A KR 20040044792 A KR20040044792 A KR 200400447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weft
screen
image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2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31421B1 (ko
Inventor
김덕균
Original Assignee
(주)오픈티비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오픈티비넷 filed Critical (주)오픈티비넷
Priority to KR10200200729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1421B1/ko
Publication of KR20040044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47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1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14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03B21/60Projection screens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surface
    • G03B21/62Translucent screens
    • G03B21/625Lenticular translucent scree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36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within the volume of the element
    • G02B5/024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within the volume of the element by means of dispersed parti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73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 G02B5/0278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used in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Abstract

본 발명은 두께를 현격히 줄이고, 휘도를 증가시키면서 어느 정도 시야각을 더 증가시키기 위해 열가소성수지, 유리섬유 또는 광섬유 등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과형스크린 또는 반사형스크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투사형 스크린 및 그의 제조방법은 섬유의 한쪽을 경사, 다른 한쪽을 위사로 제직하여 프로젝터로부터 투사되는 영상을 위사방향과 경사방향으로 확산시키는 확산시트, 위사와 경사로 제직된 상기 확산시트의 섬유간극을 투명한 열가소성수지를 사용하여 메우고 위사와 경사의 섬유사이로 투과층을 형성하는 투과시트, 상기 확산시트와 투과시트를 기준으로 입사광측에 적층되는 집광시트, 위사방향과 경사방향으로 확산 또는 투과되는 영상을 화면전체로 확산시켜 맺히게 하는 출광측에 적층되는 반투막시트, 상기 반투막시트에 맺히는 영상을 출광측의 조도에 의한 관람자 방향으로 난반사를 차단하여 영상의 명암비를 증가시키는 블랙마크(Black Mark)로 이루어짐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투사형 스크린 및 그의 제조방법{Projection screen and fabrication thereof}
본 발명은 투사형 스크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두께를 현격히 줄이고, 휘도를 증가시키면서 어느 정도 시야각을 더 증가시키기 위해 열가소성수지섬유, 유리섬유 또는 광섬유 등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식의 프로젝터에 주로 사용되는 투과형스크린 또는 반사형스크린에 관한 것이다.
종래 반사형스크린은 편광섬유를 영상관람자측에 많은 부분을 노출시키고 비편광섬유를 이면에 많은 부분을 노출시키는 방법으로 제직시켜 영상관람자측의 조도를 차단하는 편광필터로서의 기능이 높여진 필름스크린(제품명: 울트라매트)이 있는데 스크린 좌측 또는 우측 한쪽에 관람자측의 광원이 일을 경우 편광필터 기능으로 인하여 좌우 시청방향에 따라 영상이 현격한 차이를 보이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후면 투사식의 프로젝터에 사용되는 투과형스크린은, 기본적으로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아크필판재의 전 후면에 광학적 기능을 갖춘 렌티큘러렌즈와 프레널렌즈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를 구현하기 위해 아크릴판재의 두께가 얇은 박막이 될 수 없었다.
영상원(source of televised pictures), 투사광(projector optics) 및 스크린을 일반적으로 구성하는 투사형 TV수상기는 공지되어 있다. 액정표시기를 사용하는 투사형 TV수상기의 수요는 현재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그 투사형 TV수상기는 영사장치에 의해 투사되는 영상이 확대되기 때문에 그 투사영상의 해상도(resolution)가 낮아 그 투사영상을 시청자(viewer)가 보기에 어려운 결점이 있다.
그 투사영상의 해상도 및/또는 콘트라스트(contrast)는 시청자 위치쪽 외광(external rays of light)이 스크린에 반사되므로 그 투사형 TV수상기가 밝은 실내에서 사용될 때 더 낮아진다. 따라서, 그 스크린의 관시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여러 가지의 시도가 있었다.
예로서,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소62-266980호,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소64-77085호 및 일본국 공개실용신안공보 평3-5147호를 예시할 수 있다.
위에 인용한 특허문헌에서 알려진 여러 가지 시도에 의하면, 제 1편광방향을 가진 제 1편광막(first polarizing film)과제 1편광막과 제 1편광방향에 수직으로 배치한 제 2편광방향을 가진 제2편광막을 사용하였다. 제 1편광막은 TV시청자 위치쪽에 대향하는 스크린 전면에 배치되고 제 2편광막은 실내조명램프 등의 실내조명용 광원주위에 배치되어 그 실내조명용 광원에서 발사되어 제 2편광막에 의해 편광되는 광이 제 1편광막에 의해 흡수됨으로써 보기 쉬운 투사영상을 제공한다.
또, 현재 사용 중에 있는 투사형 칼라 TV수상기의 대부분은 부피가 크고 중량이 무거운 음극선관(CRT)을 구성하는 칼라영상투사장치를 사용하였으나, 그 음극선관 대신에 액정표시장치(LCD)의 사용이 최근의 경향이다. 60인치 이상의 스크린 크기에 대해서는 그 영상투사장치용으로 액정표시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유리하다. 그러나, 일광 등의 외광과 실내조명등에서 나오는 외광은 일반적으로 편광되지 아니하며 액정표시장치에서 나오는 투사광은 직선편광이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평2-267536호 에서는 특정방향에서 편광되는 투사광만을 투과할 수 있는 편광막을 스크린에 설정함으로써 투사광의 특정편광방향과 다른 편광방향을 가진 외광을 스크린에 흡수하며, 이것에 의해 그 투사영상의 콘트라스트(contrast) 저하를 억제하며 밝은 환경에서도 선명한 투사영상을 구성하도록 한 기술을 제안하였다.
위에 설명한 종래의 기술에 의한 편광막은 요오드 또는 벤지딘, 디아니시딘, 톨리딘, 또는 스틸벤 등의 2색성 유기색소(organic dichroic dyes)로 흡착시킨 폴리비닐알콜올등 폴리머로된 연신필름(stretched film)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크기가 큰 스크린에 쓰이는 표면적이 비교적 큰 편광막을 제조할 때 필요로 하는 표면적을 갖도록 필요로 하는 방향으로 그 필름을 연신하기가 쉽지 않다. 다수의 작은 편광막을 접합하여 필요로 하는 표면적을 갖도록 할 때 작은 편광막의 접합부분의 존재로 인하여 투사되는 영상의 화질(image quality)을 저하시킨다. 또, 시야각(viewing angle) 조절용으로 필요로 하는 미세한 요철구조(fine indentations)를 그 종래의 편광막에 설정하기가 어렵다.
필름이 아니고 섬유로 구성된 편광부재는 예로서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소51-149919호와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소63-275787호에 기재되어 있다. 이 인용공개특허공보에서 기재된 편광부재는 의류에만 전용되며, 영사용 스크린에 관련된 응용에 대해서는 암시한 바 없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91-215829호, 91-215830호에는 섬유로 구성된 영사용 스크린에 대하여 공고하고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평5-197026호에서는 편광 렌즈어레이 기능을 구비한 편광직포로 스크린을 형성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있다.
상기한 종래 투과형스크린에 있어서는, 전 후면의 렌티큘러렌즈와 프레넬렌즈의 구조에 따라 좌우의 시야각이 작아지고, 단관의 투사광원이 사용되는 경우 투영되는 영상도 매우 세밀하게 됨에 따라 영상표현이 더욱 악화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두께가 두꺼워지고 무게가 무거워 취급상에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기존의 반사형스크린과 투과형스크린의 기술은 서로 상이함을 알 수 있다. 제품의 적용기술 뿐만 아니라 제품의 형태 또한 다를 수밖에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종래 기술과 다른 방법으로 휘도, 명암비 및 시야각을 증가시키고, 투과형스크린 기술과 반사형스크린 기술을 통합하여 모두 필름형태로 제작할 수 있게 하여 다양한 형태의 스크린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전혀 다른 분야의 제품에 적용하여 다용도 기능의 제품으로 응용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도 1은 선행기술에 의한 반사형스크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선행기술에 의한 투과형스크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투과형스크린의 층구조를 표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반사형스크린의 층구조를 표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a는 위사와 경사가 수직으로 제직된 확산시트의 세부구조를 표시한 표면도이다.
도 5b는 위사와 경사가 소정의 각도로 제직된 확산시트의 세부구조를 표시한 표면도이다.
도 6a는 위사와 경사가 수직으로 제직된 확산시트를 경사방향에 수직으로 단면하여 표시한 단면도이다.
도 6b는 위사와 경사가 수직으로 제직된 확산시트를 위사방향에 수직으로 단면하여 표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스크린에서의 빛의 투과, 반사 및 굴절에 관한 원리도이다.
도 8a는 위사와 경사가 수직으로 제직된 확산시트의 섬유간극을 열가소성수지로 가압하여 적층한 확산시트의 섬유구조의 변형을 경사방향에 수직으로 단면하여 표시한 단면도이다.
도 8b는 위사와 경사가 수직으로 제직된 확산시트의 섬유간극을 열가소성수지로 가압하여 적층한 확산시트의 섬유구조의 변형을 위사방향에 수직으로 단면하여 표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인쇄된 블랙마크를 표시한 표면도이다.
도 10은 투과형스크린의 세부구조를 표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반사형스크린의 세부구조를 표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중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 편광직포 2. 수지층
3. 금속층 4. 접착제
5. 보강용시트 11. 비편광섬유
12. 편광섬유 20. 투과형 스크린
21. 렌티큘러 렌즈 시트 21a. 렌티큘러 렌즈
22. 투명 평활층 24. 차광층
31,32. 확산시트 33. 투과시트
34. 접착제 35. 집광시트
36. 반투막시트 37. 블랙마크
41,42. 확산시트 43. 투과시트
44. 접착제 45. 반사시트
46. 반투막시트 47. 차단시트
51. 투과광 52. 굴절광
53. 반사광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투과형스크린의 경우, 섬유의 한쪽을 경사, 다른 한쪽을 위사로 제직하여 프로젝터로부터 투사되는 영상을 위사방향과 경사방향으로 확산시키는 확산시트, 위사와 경사로 제직된 상기 확산시트의 섬유간극을 투명한 열가소성수지를 사용하여 메우고 위사와 경사의 섬유사이로 투과층을 형성하는 투과시트, 상기 확산시트와 투과시트를 기준으로 입사광측에 적층되는 집광시트, 위사방향과 경사방향으로 확산 또는 투과되는 영상을 화면전체로 확산시켜 맺히게 하는 출광측에 적층되는 반투막시트, 상기 반투막시트에 맺히는 영상을 출광측의 조도에 의한 관람자 방향으로 난반사를 차단하여 영상의 명암비를 증가시키는 블랙마크(Black mark)로 구성된다. 또한 반사형스크린의 경우, 상기 확산시트와 투과시트를 기준으로 출광측 반대 방향에 반사율이 높은 반사시트, 상기 반사시트로 투과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시트로 이루어지며 입사광측의 블랙마크를 적용하지 않는 투사형 스크린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투사형 스크린에서 투과형스크린은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입사광측과 출광측이 스크린의 서로 다른 면이고, 반사형스크린은 도 4와 같이 입사광측과 출광측이 동일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투과형스크린의 층구조를 표시하는 사시도이다.
섬유의 한쪽을 경사, 다른 한쪽을 위사로 제직하여 프로젝터로부터 투사되는 영상을 위사방향과 경사방향으로 확산시키는 확산시트, 위사와 경사로 제직된 상기 확산시트의 섬유간극을 투명한 열가소성수지를 사용하여 메우고 위사와 경사의 섬유사이로 투과층을 형성하는 투과시트, 상기 확산시트와 투과시트를 기준으로 입사광측에 적층되는 집광시트, 위사방향과 경사방향으로 확산 또는 투과되는 영상을 화면전체로 확산시켜 맺히게 하는 출광측에 적층되는 반투막시트, 상기 반투막시트에 맺히는 영상을 출광측의 조도에 의한 관람자 방향으로 난반사를 차단하여 영상의 명암비를 증가시키는 블랙마크로 구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반사형스크린의 층구조를 표시하는 사시도이다.
섬유의 한쪽을 경사, 다른 한쪽을 위사로 제직하여 프로젝터로부터 투사되는 영상을 위사방향과 경사방향으로 확산시키는 확산시트, 위사와 경사로 제직된 상기 확산시트의 섬유간극을 투명한 열가소성수지를 사용하여 메우고 위사와 경사의 섬유사이로 투과층을 형성하는 투과시트, 상기 확산시트와 투과시트를 기준으로 입사광측에 적층되는 반투막시트, 위사방향과 경사방향으로 확산 또는 투과되는 영상을 화면전체로 전반사시키는 반사시트, 상기 반사시트로 투과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시트로 구성된다.
상기 투과형스크린과 반사형스크린은 종래 기술과 다른 방법의 확산시트 및 투과시트를 구비하여 영상의 휘도를 증가시키고, 시야각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단일 공정으로 투과와 반사가 모두 가능한 스크린을 제조할 수 있어서 원료비의 절감을 가져와 경쟁력 있는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에 의한 위사와 경사가 수직으로 제직된 확산시트의 세부구조를 표시한 표면도이다.
확산시트는 같은 재질의 유리섬유나 광섬유 등을 사용하여 세틴방식으로 짜여져 있다. 상기 섬유를 위사와 경사의 두께의 비를 틀리게 하여 투과, 반사 및 굴절의 비율을 조절하였다.
상기 두께의 비는 바람직하게는 위사보다 경사의 두께의 더 크게 하여 위사와 경사의 비가 3:4 또는 9:16 로 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도 5b는 본 발명에 의한 동일한 두께의 위사와 경사가 소정의 각도로 제직된 확산시트의 세부구조를 표시한 표면도이다.
확산시트는 직조시 소정의 각도를 줌으로써 영상의 휘도를 화면 구석까지 균일하게 확산시키는 효과가 있다.
상기 소정의 각도는 바람직하게는 45°로 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도 6a, 6b는 본 발명에 의한 위사와 경사가 수직으로 제직된 확산시트를 경사방향에 수직(6a), 위사방향에 수직(6b)으로 단면하여 표시한 단면도이다.
상기 도 5a 및 도 6에서 볼 수 있듯이 위사와 경사의 두께의 위사보다 경사의 두께를 더 크게 하여 확산시트면의 단위 확산시트면에 있어서 상하, 좌우의 표면곡률을 틀리게 함으로써 영상광의 수직시야각은 상대적으로 작아지고, 수평시야각은 꽤 커진다.
상기 두께의 비는 바람직하게는 위사와 경사의 두께비는 3:4 또는 9:16으로 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그 확산시트의 길이방향에 수직인 수평방향에서 비교적 큰 시야각이 얻어짐과 동시에 조명도의 불균일한 분포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스크린에서의 빛의 투과, 반사 및 굴절에 관한 도면이다.
프로젝터(Projector)를 통하여 입사된 빛(이미지정보)은 도 7과 같이 확산시트에서 투과, 반사, 굴절된다. 통합된 확산시트/투과시트의 기본구조는 유리섬유, 광섬유를 직조한 구조이다. 직조시에 섬유의 겹치는 비에 따라서 입사된 빛이 투과, 반사 및 구절의 광학특성이 다름을 알 수 있다. 그림에서 두 섬유가 겹치도록 직조된 면에서 입사빛은 반사된다. 하지만 겹쳐지지 않거나 상대적으로 완만하게 겹쳐진 면에서 입사빛은 곧바로 투과되거나 섬유층에서 굴절되었다가 투과된다. 투과 및 반사의 비율은 섬유를 직조시에 겹치는 면적의 비로서 조절된다. 촘촘히 직조하면 반사 빛이 많아지고 느슨히 직조하면 투과빛이 많아진다.
도 8a는 본 발명에 의한 위사와 경사가 수직으로 제직된 확산시트의 섬유간극을 열가소성수지로 가압하여 적층한 확산시트와 투과시트가 통합된 섬유구조의 변형을 표시한 경사방향에 수직, 도 8b는 위사방향에 수직으로 단면하여 표시한 단면도이다.
프로젝터로부터 투사되는 영상을 위사방향과 경사방향으로 확산시키도록 섬유가 겹치도록 직조한 확산시트(31,32)에 상기 위사방향의 확산시트(32)와 경사방향의 확산시트(31)의 섬유간극과 전 후면을 소정의 두께로 투명한 열가소성수지를 사용하여 메우고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로 구성된 투과시트(33)는 상기 확산시트를 열가소성수지용액에 침지시킨 후, 확산시트를 건조시켜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투과시트에 열압착을 가함으로써 확산시트사이의 간극을 줄이고 동일한 굴절율을 가질 수 있다.
도 9는 인쇄된 블랙마크의 패턴을 표시한 표면도이다.
블랙마크(37)는 자외선에 노출될 수 있으므로 자외선에 의한 변색을 없애기 위하여 UV잉크를 사용하여 스퀴즈 방식 또는 롤 방식으로 도트인쇄를 하여 형성하고, 상기 반투막시트에 맺히는 영상을 출광측의 조도에 의한 관람자 방향으로 난반사를 차단하여 영상의 명암비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블랙마크의 인쇄에 있어서 도 9와 같이 직사각형 모양의 균일한 패턴모양으로 인쇄를 할 수도 있고, 또한 균일한 벌집모양 등으로 균일한 패턴의 모양으로 인쇄할 수 있다.
그러나 블랙마크는 투과형의 휘도를 전체적으로 약간 감소시키는 역효과를 갖게된다. 그러므로 스크린의 휘도를 급격히 감소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최적화 조건으로 인쇄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인쇄방법으로 도트인쇄 착지점을 작게 하고 착지점 위에 재차 도트 인쇄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상기 인쇄방법은 휘도를 급격히 감소시키지 않으면서 명암비를 증가시키는 방법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투과형스크린의 세부구조를 표시한 단면도이다.
섬유의 한쪽을 경사, 다른 한쪽을 위사로 제직하여 프로젝터로부터 투사되는 영상을 위사방향과 경사방향으로 확산시키는 확산시트(31,32), 위사와 경사로 제직된 상기 확산시트의 섬유간극을 투명한 열가소성수지를 사용하여 메우고 위사와 경사의 섬유사이로 투과층을 형성하는 투과시트(33), 상기 확산시트와 투과시트를 기준으로 입사광측에 적층되는 집광시트(35), 상기 투과시트와 집광시트 접착을 하게 하는 접착제(34), 위사방향과 경사방향으로 확산 또는 투과되는 영상을 화면전체로 확산시켜 맺히게 하는 출광측에 적층되는 반투막시트(36), 상기 투과시트와 반투막시트의 접착을 하게 하는 접착제(34), 상기 반투막시트에 맺히는 영상을 출광측의 조도에 의한 관람자 방향으로 난반사를 차단하여 영상의 명암비를 증가시키는 블랙마크(37)로 구성된다.
또한 그 제조방법에 있어서, 동일 재질의 섬유를 이용 일측을 경사, 타측을 위사로 프로젝터로부터 투사되는 영상을 위사방향과 경사방향으로 확산시키는 확산시트를 제직하는 단계, 상기 확산시트를 열가소성수지에 침지하여 섬유간극을 메우고, 열압착하여 소정의 두께로 투과층을 형성하는 투과시트를 만드는 단계, 상기 투과시트의 양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접착제 일측 면에 집광시트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접착제 타측 면에 위사방향과 경사방향으로 확산 또는 투과되는 영상을 화면전체로 확산시켜 맺히게 하는 반투막시트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반투막시트 상단에 난반사를 차단하여 영상의 명암비를 증가시키는 블랙마크를 형성하는 단계로 투사형스크린을 제조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반사형스크린의 세부구조를 표시한 단면도이다.
섬유의 한쪽을 경사, 다른 한쪽을 위사로 제직하여 프로젝터로부터 투사되는 영상을 위사방향과 경사방향으로 확산시키는 확산시트(41,42), 위사와 경사로 제직된 상기 확산시트의 섬유간극을 투명한 에폭시수지를 사용하여 메우고 있어서 위사와 경사의 섬유사이로 투과층을 형성하는 투과시트(43), 위사방향과 경사방향으로 확산 또는 투과되는 영상을 화면전체로 전반사시키는 반사율이 높은 반사시트(45), 상기 투과시트와 반사시트의 접착을 하게 하는 접착제(44), 상기 반사시트를 통하여 전반사된 영상을 확산시트와 투과시트를 통하여 영상을 맺히게 하는 입사광측에 적층되는 반투막시트(46), 상기 반투막시트와 투과시트의 접착을 하게 하는 접착제(44), 상기 반사시트로 빛이 투과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시트(47), 상기 차단시트와 반사시트의 접착을 하게 하는 접착제(44)로 구성된다.
또한 그 제조방법에 있어서, 동일 재질의 섬유를 이용 일측을 경사, 타측을 위사로 프로젝터로부터 투사되는 영상을 위사방향과 경사방향으로 확산시키는 확산시트를 제직하는 단계, 상기 확산시트를 열가소성수지에 침지하여 섬유간극을 메우고, 열압착하여 소정의 두께로 투과층을 형성하는 투과시트를 만드는 단계, 상기 투과시트의 양면에 제 1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제 1접착제 일측 면에 반사율이 높은 반사시트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반사시트에 제 2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제 2접착제 측면에 반사시트로 투과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시트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접착제 타측 면에 위사방향과 경사방향으로 확산 또는 투과되는 영상을 화면전체로 확산시켜 맺히게 하는 반투막시트를 형성하는 단계로 반사형스크린을 제조한다.
상기와 같은 반사형스크린과 투과형스크린의 제조에 있어서 확산시트와 투과시트의 제조공정이 단일 공정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원료비의 절감을 가져와 경쟁력 있는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투사형 스크린은 종래기술과 다른 방법인 확산시트 및 투과시트를 구비하여 영상의 휘도를 증가시키고, 시야각을 더욱 증가시킬 뿐만아니라, 블랙마크에 의해 관람자 방향으로 난반사를 차단하여 영상의 명암비를 증가시키는 투과형스크린을 제공한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투과형스크린에 있어서 위사방향과 경사방향으로 확산 또는 투과되는 영상을 화면전체로 확산시켜 맺히게 하는 출광측에 적층되는 반투막시트를 반사시트로 대체함으로서 휘도를 증가시키면서도 좌우 시야각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반사형스크린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같이 투과형스크린 기술과 반사형스크린 기술을 통합하여 모두 두께가 얇은 필름형태의 투과형스크린과 반사형스크린을 제작할 수 있게 한다. 뿐만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스크린을 제공하고 전혀 다른 분야의 제품에 쉽게 접목시킬 수 있어서 다용도 기능의 제품으로 응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13)

  1. 투과형스크린에 있어서,
    섬유의 일측을 경사, 타측을 위사로 제직하여 프로젝터로부터 투사되는 영상을 위사방향과 경사방향으로 확산시키는 확산시트(31,32);
    위사와 경사로 제직된 상기 확산시트의 섬유간극을 투명한 에폭시수지를 사용하여 메우고 위사와 경사의 섬유사이로 투과층을 형성하는 투과시트(33);
    상기 확산시트와 투과시트를 기준으로 입사광측에 적층되는 집광시트(35);
    상기 투과시트와 집광시트를 접착시키는 접착제(34);
    위사방향과 경사방향으로 확산 또는 투과되는 영상을 화면전체로 확산시켜 맺히게 하고 출광측에 적층되는 반투막시트(36);
    상기 투과시트와 반투막시트를 접착시키는 접착제(34); 및
    상기 출광측의 조도에 의해 관람자 방향으로 형성되는 난반사를 차단하여 상기 반투막시트에 맺히는 영상의 명암비를 증가시키는 블랙마크(37)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스크린.
  2. 반사형스크린에 있어서,
    섬유의 일측을 경사, 타측을 위사로 제직하여 프로젝터로부터 투사되는 영상을 위사방향과 경사방향으로 확산시키는 확산시트(41,42);
    위사와 경사로 제직된 상기 확산시트의 섬유간극을 투명한 에폭시수지를 사용하여 메우고 위사와 경사의 섬유사이로 투과층을 형성하는 투과시트(43);
    위사방향과 경사방향으로 확산 또는 투과되는 영상을 화면전체로 전반사 시키는 반사시트(45);
    상기 투과시트와 반사시트를 접착시키는 접착제(44);
    상기 전반사된 영상이 다시 확산시트와 투과시트를 통하여 입사광측에 적층되는 반투막시트(46);
    상기 투과시트와 반투막시트를 접착시키는 접착제(44);
    상기 반사시트로 투과되는 빛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시트(49); 및
    상기 차단시트와 투과시트를 접착시키는 접착제(4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스크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시트는 같은 재질의 열가소성수지섬유 또는 유리섬유 또는 광섬유를 사용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스크린.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시트는 위사와 경사의 큰 시야각이 얻어짐과 동시에 조명도의 불균일한 분포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소정의 두께비를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스크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두께비는 이상적으로 위사와 경사의 두께비가 3:4 또는 9:16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스크린.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시트는 위사와 경사가 수직으로 제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스크린.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시트는 위사와 경사가 영상의 휘도를 화면 구석까지 균일하게 하기 위하여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제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스크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각도는 이상적으로 45°의 각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스크린
  9. 투과형스크린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동일 재질의 섬유를 이용하여 일측을 경사, 타측을 위사로하고 프로젝터로부터 투사되는 영상을 위사방향과 경사방향으로 확산시키는 확산시트를 제직하는 단계;
    상기 확산시트를 열가소성수지에 침지하여 섬유간극을 메우고 열압착하여 소정의 두께로 투과층을 형성하는 투과시트를 만드는 단계;
    상기 투과시트의 양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접착제 일측 면에 집광시트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접착제 타측 면에 위사방향과 경사방향으로 확산 또는 투과되는 영상을 화면전체로 확산시켜 맺히게 하는 반투막시트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반투막시트 상단에 난반사를 차단하여 영상의 명암비를 증가시키는 블랙마크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스크린의 제조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마크는 UV잉크를 사용하여 스퀴즈 방식 또는 롤 방식으로 도트 인쇄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스크린의 제조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마크는 균일한 패턴모양으로 인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스크린의 제조방법.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마크는 인쇄방법으로 도트인쇄 착지점을 작게 하고 착지점 위에 재차 도트 인쇄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스크린의 제조방법.
  13. 반사형스크린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동일 재질의 섬유를 이용하여 일측을 경사, 타측을 위사로하고 프로젝터로부터 투사되는 영상을 위사방향과 경사방향으로 확산시키는 확산시트를 제직하는 단계;
    상기 확산시트를 열가소성수지에 침지하여 섬유간극을 메우고 열압착하여 소정의 두께로 투과층을 형성하는 투과시트를 만드는 단계;
    상기 투과시트의 양면에 제 1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제 1접착제 일측 면에 반사율이 높은 반사시트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반사시트에 제 2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제 2접착제 측면에 반사시트로 투과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시트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접착제 타측 면에 위사방향과 경사방향으로 확산 또는 투과되는 영상을 화면전체로 확산시켜 맺히게 하는 반투막시트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스크린의 제조방법.
KR1020020072968A 2002-11-22 2002-11-22 투과형 및 반사형 영상 스크린과 그의 제조방법 KR1006314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2968A KR100631421B1 (ko) 2002-11-22 2002-11-22 투과형 및 반사형 영상 스크린과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2968A KR100631421B1 (ko) 2002-11-22 2002-11-22 투과형 및 반사형 영상 스크린과 그의 제조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4937U Division KR200305229Y1 (ko) 2002-11-22 2002-11-22 투사형 스크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4792A true KR20040044792A (ko) 2004-05-31
KR100631421B1 KR100631421B1 (ko) 2006-10-16

Family

ID=37340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2968A KR100631421B1 (ko) 2002-11-22 2002-11-22 투과형 및 반사형 영상 스크린과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142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2992B1 (ko) * 2004-11-25 2009-02-12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광 확산 시트 및 투과형 스크린
KR20220021943A (ko) * 2020-08-13 2022-02-23 (주)바이오스마트 빛의 흡광부와 빛의 반사부에 의해 형성된 무늬모양을 포함한 플라스틱 판넬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40835U (ko) * 1987-04-27 1989-03-10
JP2762675B2 (ja) * 1990-04-19 1998-06-0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スクリーン
JPH0731233Y2 (ja) * 1991-06-07 1995-07-19 丸山工業株式会社 映写用スクリーン
JP3047575B2 (ja) * 1991-11-28 2000-05-29 凸版印刷株式会社 反射型映写スクリーン
JP3318378B2 (ja) * 1992-12-29 2002-08-26 株式会社クラレ 反射型スクリーン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2992B1 (ko) * 2004-11-25 2009-02-12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광 확산 시트 및 투과형 스크린
KR20220021943A (ko) * 2020-08-13 2022-02-23 (주)바이오스마트 빛의 흡광부와 빛의 반사부에 의해 형성된 무늬모양을 포함한 플라스틱 판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1421B1 (ko) 2006-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9879B1 (ko) 투영 스크린 및 그 제조 방법과 이러한 스크린을 구비하는 칼라 텔레비젼 투영 시스템
EP1403696B1 (en) Rear projection screen using a light-guide faceplate and diffusing means
US6535333B1 (en) Optical system with reduced color shift
US7212339B2 (en) Transmissive screen and rear projection type image display apparatus using same
JP5098262B2 (ja) 反射型スクリーン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205945B2 (ja) 高コントラスト前面投影ディスプレイパネル及び高コントラスト前面投影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製造方法
JP2008076523A (ja) 反射型スクリーン
KR20050007125A (ko) 화면
KR100660786B1 (ko) 투과형 스크린
JP2001005103A (ja) 背面投射型スクリーンとその製造方法及び背面投射型ディスプレイ
EP0818708A1 (en) Rear projection screen, its manufacturing method, and video display monitor thereof
US20050207017A1 (en) Polarized light beaded rear projection screen
KR100553887B1 (ko) 수직 및 수평으로 광시야각을 갖는 영상표시용 스크린 및이를 구비하는 프로젝션 텔레비전
KR100631421B1 (ko) 투과형 및 반사형 영상 스크린과 그의 제조방법
JP2002139799A (ja) 背面投影用スクリーン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305229Y1 (ko) 투사형 스크린
JPH11344769A (ja) 背面投写型スクリーン及び光拡散部材の製造方法
JP2004240159A (ja) スクリーン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7025207A (ja) フレネルレンズ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透過型スクリーン
JP2002207253A (ja) 光拡散シートおよび背面投射型スクリーン
JP4867167B2 (ja) 透過型スクリーンおよび背面投射型ディスプレイ装置
JPH10339915A (ja) 背面投射スクリーンとその製造方法と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JPS59202446A (ja) 透過型スクリ−ン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907491B2 (ja) 透過型スクリーンおよび透過型スクリーンアセンブリー
Wu P‐63: Design and Fabrication of Wide‐Viewing‐Angle Ambient Light Rejection Front Projection Scre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