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6199A - 보안 필름 및 이들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보안 필름 및 이들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6199A
KR20170046199A KR1020150143441A KR20150143441A KR20170046199A KR 20170046199 A KR20170046199 A KR 20170046199A KR 1020150143441 A KR1020150143441 A KR 1020150143441A KR 20150143441 A KR20150143441 A KR 20150143441A KR 20170046199 A KR20170046199 A KR 201700461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nsions
film
resin composition
resin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34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40889B1 (ko
Inventor
유호진
오응제
김철호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434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0889B1/ko
Publication of KR201700461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61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08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08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9/0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 B29C39/14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 B29C39/20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9/0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 B29C39/2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39/24Feeding the material into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9/0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 B29C39/2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39/26Moulds or 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 투과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광 투과 필름은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 1 연장부들; 및 상기 제 1 연장부들 옆에 각각 접합되고, 상기 제 1 연장부들과 서로 나란히 연장되는 복수의 제 2 연장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연장부들은 제 1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연장부들은 상기 제 1 수지와 다른 제 2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연장부들의 하면 및 상기 제 2 연장부들의 하면은 캐스팅 롤의 외주면과 접촉되어 형성된다.

Description

보안 필름 및 이들의 제조방법{PRIVACY FILM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ROF}
본 발명은 보안 필름 및 이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노트북이나 PDA 및 휴대폰 등의 휴대용 정보통신기기나 금융기관의 현금인출기 등은 각종 자료와 개인 정보들을 저장 또는 입력하는 것으로서, 해당 기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자료 및 정보의 입력과 확인이 이루어지는 현재,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은 광시야각과 고휘도 향상을 목적으로 그 기술이 발전되고 있기 때문에, 타인이 디스플레이 측면에서 화면을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개인정보와 중요한 자료들이 타인에게 노출되는 보안상의 심각한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용 보안필름이 개발되고 있는데, 본 명세서에서는 하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보안 필름을 제1기형 보안필름이라 정의한다.
제1기형 보안 필름은 필름의 수평방향을 따라 투명한 광투과부와 불투명한 비투과부가 교호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구조를 제조하기 위해 다수의 광투과성 필름과 비투과성 필름을 상호 교호적으로 접착한 후, 소정의 두께로 절단함으로써, 광투과부와 비투과부가 교호적으로 형성된 보안필름으로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보안필름은 각종 디스플레이 장치의 패널전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빛의 측면 출사를 억제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시야각(θ)을 줄임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화면이 타인에게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디스플레이 장치용 보안필름에 있어서는, 제조공정에서 다수의 광투과성 필름과 비투과성 필름을 모두 마련하여 이들의 교호적인 접착 적층 공정 후 절단 공정이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자재 및 제조공정의 증가가 불가피하다. 이에 의해, 보안필름의 생산성 저하와 제품가격 상승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광투과부와 비투과부가 상호 동일하게 보안필름의 두께에 대응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광투과부와 비투과부의 두께를 조절할 수가 없다. 이는 보안필름을 통과하는 빛의 출사각을 조절할 수 없게 되어 결국에는 시야각을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으로 발생된다.
또한, 광투과부와 비투과부를 적층하기 위한 접착제를 필수적으로 사용하게 되며, 수직 절단면을 매끄럽게 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제1기형 방법을 통해 제조된 보안 필름은 비투과 부의 층 내 코팅 균일도 차이에 의해 물성 발현이 불균일 할 수 있으며, 제조 공정이 매우 복잡하다. 이러한 제1기형 방법을 이용하는 특허문헌은 하기와 같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371442호(특허문헌 1)는 루버필름를 구비한 보안필름에 있어서, 상기 루버필름은 ⅰ)투명필름층 및 불투명 접착성 잉크층을 교호 적층 및 열압착하고, ⅱ)상기 불투명 접착성 잉크층의 높이가 상기 투명필름층 두께의 2 내지 30배 범위가 되도록 상기 압착된 적층 필름을 표면과 수직 또는 소정의 각도를 유지하며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과정을 거치며, 상기 보안필름의 최외측의 적어도 일측면에 하드코팅층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필름을 개시하고 있다.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보안 필름 제조 방법에 대한 문제점의 해결 방안으로, 본 명세서에서 제2기형 보안 필름이라 정의하는 방법을 하기에 설명한다.
제2기형 보안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한 특허문헌으로는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753591호(특허문헌 2)에 적어도 일측 판면에 광투과 간격을 두고 다수의 비투과층 형성홈이 형성되어 있는 광투과성 투명필름과, 상기 비투과층 형성홈에 비투과성 잉크로 인쇄된 비투과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필름을 개시하고 있다. 유사하게 국제특허공개 WO 2009-052052호(특허문헌 3)에서는 기재 필름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고 그 패턴에 흑색을 발현할 수 있는 물질을 주입하여 채워 넣는 방식으로 보안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제2기형 방법은 제1기형 방법에 비해서는 균일한 물성 확보가 가능하나 패턴을 찍고 충진하여 경화시킨 후 닦아내는 공정 등이 필요하므로 공정이 복잡해지고, 보호층을 추가로 합지해야 한다는 점에서 제조 단가 절감 효과가 크게 개선되었다고 보기 어렵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371442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753591호 국제특허공개 WO 2009-052052호
본 발명에서는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고, 향상된 광학적 특성을 가지는 보안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의 보안 필름은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 1 연장부들; 및 상기 제 1 연장부들 옆에 각각 접합되고, 상기 제 1 연장부들과 서로 나란히 연장되는 복수의 제 2 연장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연장부들은 투명하고, 상기 제 2 연장부들은 불투명 또는 반투명하고, 상기 제 1 연장부들의 하면 및 상기 제 2 연장부들의 하면은 캐스팅 롤의 외주면과 접촉되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보안 필름의 제조방법은 투명한 제 1 수지 조성물 및 불투명 또는 반투명한 제 2 수지 조성물을 T-다이의 폭 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도록 동시에 압출하는 단계; 및 상기 압출된 제 1 수지 조성물 및 제 2 수지 조성물을 캐스팅 롤을 통하여 캐스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안 필름은 제 1 연장부들 및 제 2 연장부들을 포함한다. 특히, 제 1 연장부들 및 제 2 연장부들은 서로 다른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제 1 연장부들 및 상기 제 2 연장부들은 서로 다른 광학적 특성을 가질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보안 필름은 상기 투과율 차이에 의해서, 모니터의 화면 등에 적용되어, 시야각을 좁힐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안 필름은 상기 제 1 연장부들 및 상기 제 2 연장부들을 공압출 공정에 의해서, 한꺼번에 형성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보안 필름의 하면, 즉, 상기 제 1 연장부들 및 상기 제 2 연장부들의 하면은 캐스팅 롤의 외주면과 직접 또는 간접 접촉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 투과 필름의 상면 및 하면은 절단 공정에 의해서 형성되는 절단면이 아니고, 다이에 의한 압출 공정 및 캐스팅 롤에 의한 제막 공정에 의해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연장부들 및 상기 제 2 연장부들의 상면 및 하면은 전체적으로 고르게 형성되고, 매끈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안 필름은 접착 공정 및 절단 공정을 거치지 않고, 상기 압출 공정 및 제막 공정 등에 의해서, 대량으로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연장부들 및 상기 제 2 연장부들은 공압출 공정에 의해서 형성되기 때문에, 서로 직접 접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보안 필름은 접착제 등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균일한 기계적 특성 및 광학적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광 투과 필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은 T-다이 및 캐스팅롤을 자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제 1 수지 및 제 2 수지가 다이에 공급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광 투과 필름이 제조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층, 연장부 또는 롤 등이 각 층, 연장부 또는 롤 등의 "상(on)"에 또는 "아래(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on)"과 "아래(under)"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개재하여 (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부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면에서의 각 구성요소들의 크기는 설명을 위하여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적용되는 크기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광 투과 필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은 T-다이 및 캐스팅롤을 자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제 1 수지 및 제 2 수지가 다이에 공급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광 투과 필름이 제조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광 투과 필름(10)은 복수의 제 1 연장부들(100) 및 복수의 제 2 연장부들(200)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연장부들(100)은 일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 1 연장부들(100)은 서로 나란히 배치된다. 상기 제 1 연장부들(100)은 실시예에 따른 광 투과 필름(10)이 롤 형태일 때, 실시예에 따른 광 투과 필름(10)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2 연장부들(200)은 상기 제 1 연장부들(100)의 옆에 각각 배치된다. 상기 제 2 연장부들(200)은 상기 제 1 연장부들(100)이 연장되는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 2 연장부들(200)은 서로 나란히 배치된다.
상기 제 1 연장부들(100) 및 상기 제 2 연장부들(200)은 제 1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 1 방향은 기계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제 1 방향은 실시예에 따른 광 투과 필름(10)의 길이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제 1 연장부들(100) 및 상기 제 2 연장부들(200)은 상기 제 2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다. 상기 제 2 방향은 텐터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제 2 방향은 실시예에 따른 광 투과 필름(10)의 폭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제 1 연장부들(100) 및 상기 제 2 연장부들(200)은 서로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연장부들(100) 및 상기 제 2 연장부들(200)은 하나씩 번갈아 가면서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연장부들(100)은 상기 제 2 연장부들(200) 사이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제 2 연장부들(200)은 상기 제 1 연장부들(100) 사이에 배치된다.
도면과 다르게, 실시예에 따른 광 투과 필름(10)은 복수의 제 3 연장부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 연장부들은 각각의 제 1 연장부 및 각각의 제 2 연장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각각의 제 1 연장부, 각각의 제 2 연장부 및 각각의 제 3 연장부가 순서대로 번갈아 가면서, 폭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같은 방식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광 투과 필름(10)은 복수의 제 4 연장부들 및 복수의 제 5 연장부들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연장부들(100)은 상기 제 2 연장부들(200)에 접합된다. 더 자세하게, 상기 제 1 연장부들(100)은 상기 제 2 연장부들(200)에 각각 직접 또는 간접 접합된다. 상기 제 1 연장부들(100)은 상기 제 2 연장부들(200)의 일 측면에 각각 접합된다. 또한, 상기 제 1 연장부들(100)은 상기 제 2 연장부들(200)의 다른 측면에도 각각 접합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연장부들(100) 및 상기 제 2 연장부들(200)이 서로 모여서, 실시예에 따른 광투과 필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연장부들(100)의 상면 및 상기 제 2 연장부들(200)의 상면은 서로 동일한 평면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 1 연장부들(100)의 하면 및 상기 제 2 연장부들(200)의 하면은 서로 동일한 평면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 1 연장부들(100)의 하면 및 상기 제 2 연장부들(200)의 하면은 캐스팅 롤(30)의 외주면과 접촉하여 형성된다. 즉, 상기 제 1 연장부들(100)의 하면 및 상기 제 2 연장부들(200)의 하면은 상기 캐스팅 롤(30)의 외주면에 캐스팅되어 형성된다.
즉, 상기 제 1 연장부들(100)의 상면, 상기 제 2 연장부들(200)의 상면, 상기 제 1 연장부들(100)의 하면 및 상기 제 2 연장부들(200)의 하면은 절단 공정이 아닌, 압출 및 캐스팅 공정에 의해서 형성된다.
상기 제 1 연장부들(100) 및 상기 제 2 연장부들(200)은 서로 다른 광학적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연장부들(100) 및 상기 제 2 연장부들(200)은 서로 다른 투과율 및/또는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1 연장부들(100)은 투명하고, 상기 제 2 연장부들(200)은 불투명 또는 반투명할 수 있다.
상기 제 1 연장부들(100) 및 상기 제 2 연장부들(200)은 서로 다른 기계적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1 연장부들(100) 및 상기 제 2 연장부들(200)은 서로 다른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연장부들(100)은 제 1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연장부들(200)은 제 2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제 1 연장부들(100)은 상기 제 1 수지를 주로 포함하고, 상기 제 2 연장부들(200)은 상기 제 2 수지를 주로 포함할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제 1 연장부들(100)은 상기 제 1 수지를 약 80wt% 이상으로 포함하고, 상기 제 2 연장부들(200)은 상기 제 2 수지를 약 80wt% 이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수지와 상기 제 2 수지는 서로 다르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수지는 제 1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이고, 상기 제 2 수지는 제 2 폴리에스테르 수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수지는 단일 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이고, 상기 제 2 수지는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수지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이고, 상기 제 2 수지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아크릴계 수지 또는 폴리아마이드계 수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수지는 결정성 수지이고, 상기 제 2 수지는 비결정성 수지일 수 있다. 상기 제 1 연장부들(100)의 면 방향 및 두께 방향 위상차가 상대적으로 클 수 있고, 상기 제 2 연장부들(200)은 면 방향 및 두께 방향 위상차가 상대적으로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연장부들(100) 및 상기 제 2 연장부들(200)은 서로 다른 농도로 무기 입자 또는 유기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연장부들(100) 및 상기 제 2 연장부들(200)은 서로 다른 농도로 필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연장부들(100) 및 상기 제 2 연장부들(200)은 서로 다른 농도로 염료 또는 안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제 1 연장부들(100)은 높은 광 투과도를 가지고, 상기 제 2 연장부들(200)은 낮은 광 투과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연장부들(100)은 낮은 헤이즈를 가지고, 상기 제 2 연장부들(200)은 높은 헤이즈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1 연장부들(100)의 폭은 약 1㎛ 내지 약 100㎛이고, 상기 제 2 연장부들(200)의 폭은 약 1㎛ 내지 약 100㎛일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제 1 연장부들(100)의 폭은 약 5㎛ 내지 약 50㎛일 수 있다. 상기 제 2 연장부들(200)의 폭은 약 5㎛ 내지 약 50㎛일 수 있다.
상기 제 1 연장부들(100)의 폭은 상기 제 2 연장부들(200)의 폭보다 더 클 수 있다. 상기 제 1 연장부들(100)의 폭 및 상기 제 2 연장부들(200)의 폭의 비는 약 10:1 내지 약 1.2:1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연장부들(100)은 투명하고, 상기 제 2 연장부들(200)은 반투명 또는 불투명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광 투과 필름(10)은 전체적으로 투과율을 높이면서도, 시야각을 좁혀서, 향상된 보안 효율을 가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광 투과 필름(10)이 두께는 1㎛ 내지 약 1000㎛일 수 있다.
상기 제 1 연장부들(100)의 개수는 100개 내지 100000개이고, 상기 제 2 연장부들(200)의 개수는 100개 내지 100000개일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제 1 연장부들(100)의 개수는 1000개 내지 100000개이고, 상기 제 2 연장부들(200)의 개수는 1000개 내지 100000개일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제 1 연장부들(100)의 개수는 5000개 내지 100000개이고, 상기 제 2 연장부들(200)의 개수는 5000개 내지 100000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따른 광 투과 필름(10)은 일축 연신 필름 또는 이축 연신 필름일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광 투과 필름(10)은 상기 제 1 방향 및/또는 상기 제 2 방향으로 약 1.2배 내지 약 6배 연신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광 투과 필름(10)은 상기 제 1 연장부들(100) 및 상기 제 2 연장부들(200)의 상면 및/또는 하면을 덮는 추가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가층은 하드 코팅, 반사 방지 및/또는 대전 방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광 투과 필름(10)은 다음과 같은 방식에 의해서 제조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T-다이(20)는 다수 개의 제 1 공급부들(310), 다수 개의 제 2 공급부들(320) 및 압출부(330)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공급부들(310) 및 상기 제 2 공급부들(320)은 서로 인접하여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 1 공급부들(310) 및 상기 제 2 공급부들(320)은 서로 교대로 배치된다. 상기 제 1 공급부들(310) 및 상기 제 2 공급부들(320)은 상기 압출부(330)에 각각 수지 조성물을 공급한다.
상기 제 1 공급부들(310)은 상기 압출부(330)로 연결되는 유로를 가진다.
상기 제 1 공급부들(310)의 유로의 내부 높이는 상기 압출부(330)에 가까워질 수 록 더 작아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공급부들(310)의 유로의 내부 폭은 상기 압출부(330)에 가까워질 수 록 더 작아질 수 있다. 즉, 상기 제 1 공급부들(310)의 유로의 내부 단면적은 상기 압출부(330)에 가까워질 수 록 더 작아질 수 있다.
상기 제 2 공급부들(320)은 상기 압출부(330)로 연결되는 유로를 가진다.
상기 제 2 공급부들(320)의 유로의 내부 높이는 상기 압출부(330)에 가까워질 수 록 더 작아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공급부들(320)의 유로의 내부 폭은 상기 압출부(330)에 가까워질 수 록 더 작아질 수 있다. 즉, 상기 제 2 공급부들(320)의 유로의 내부 단면적은 상기 압출부(330)에 가까워질 수 록 더 작아질 수 있다.
상기 제 1 공급부들(310)은 상기 제 1 연장부(100)를 형성하는 제 1 수지 조성물을 상기 압출부(330)에 공급한다. 즉, 상기 제 1 수지 조성물은 상기 제 1 공급부들(310)의 유로를 통하여, 상기 압출부(330)에 공급된다.
상기 제 2 공급부들(320)은 상기 제 2 연장부(200)를 형성하는 제 2 수지 조성물을 상기 압출부(330)에 공급한다. 즉, 상기 제 2 수지 조성물은 상기 제 2 공급부들(320)의 유로를 통하여, 상기 압출부(330)에 공급된다.
상기 압출부(330)는 상기 제 1 공급부들(310) 및 상기 제 2 공급부들(320)에 연결된다. 상기 제 1 공급부들(310)의 유로의 끝 및 상기 제 2 공급부들(320)의 유로의 끝은 상기 압출부(330)의 입구에 연결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공급부들(310)을 통하여 공급된 제 1 수지 조성물 및 상기 제 2 공급부들(320)을 통하여 공급된 제 2 수지 조성물은 상기 압출부(330)에서 합류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제 1 수지 조성물 및 상기 제 2 수지 조성물은 교대로 배치된 상태에서 캐스팅 롤(30)의 외주면에 캐스팅되고, 냉각된다.
이에 따라서, 미연신 시트가 형성된다.
이후, 상기 미연신 시트는 연신 롤(40)의 주속차에 의해서 길이 방향으로 연신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신이 진행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신 롤(40)을 통과한 시트는 텐터(50) 내에서 폭 방향으로 연신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폭 방향으로의 연신이 진행되지 않을 수 있다.
이후, 상기 텐터(50)를 통과한 시트는 열고정되거나, 열고정 공정을 거치지 않을 수 있다.
이후, 상기 열고정 공정을 거치거나, 거치지 않은 시트는 권취롤(60)에 의해서 권취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광 투과 필름(10)은 제 1 연장부들(100) 및 제 2 연장부들(200)을 포함한다. 특히, 제 1 연장부들(100) 및 제 2 연장부들(200)은 서로 다른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제 1 연장부들(100) 및 상기 제 2 연장부들(200)은 서로 다른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특히, 실시예에 따른 광 투과 필름(10)은 상기 굴절률 차이에 의해서, 상기 제 1 연장부들(100) 및 상기 제 2 연장부들(200) 사이의 계면에서 광을 반사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광 투과 필름(10)은 투과되는 광의 직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광 투과 필름(10)은 상기 계면에서의 반사에 의해서, 모니터의 화면 등에 적용되어, 시야각을 좁힐 수 있다. 즉, 실시예에 따른 광 투과 필름(10)은 모니터의 화면에서, 측면으로의 영상을 차단하는 보안 필름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연장부들(100) 및 상기 제 2 연장부들(200)은 모두 투명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광 투과 필름(10)은 향상된 휘도를 구현하면서, 보안 필름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광 투과 필름(10)은 상기 제 1 연장부들(100) 및 상기 제 2 연장부들(200)을 공압출 공정에 의해서, 한꺼번에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실시예에 따른 광 투과 필름(10)의 하면, 즉, 상기 제 1 연장부들(100) 및 상기 제 2 연장부들(200)의 하면은 캐스팅 롤(30)의 외주면과 직접 또는 간접 접촉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광 투과 필름(10)의 상면 및 하면은 절단 공정에 의해서 형성되는 절단면이 아니고, 다이(20)에 의한 압출 공정 및 캐스팅 롤(30)에 의한 제막 공정에 의해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연장부들(100) 및 상기 제 2 연장부들(200)의 상면 및 하면은 전체적으로 고르게 형성되고, 매끈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보안 필름은 접착 공정 및 절단 공정을 거치지 않고, 상기 압출 공정 및 제막 공정 등에 의해서, 대량으로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연장부들(100) 및 상기 제 2 연장부들(200)은 공압출 공정에 의해서 형성되기 때문에, 서로 직접 접합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보안 필름은 접착제 등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균일한 기계적 특성 및 광학적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8)

  1.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 1 연장부들; 및
    상기 제 1 연장부들 옆에 각각 접합되고, 상기 제 1 연장부들과 서로 나란히 연장되는 복수의 제 2 연장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연장부들은 투명하고, 상기 제 2 연장부들은 불투명 또는 반투명하고, 상기 제 1 연장부들의 하면 및 상기 제 2 연장부들의 하면은 캐스팅 롤의 외주면과 접촉되어 형성되는 보안 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장부들 및 상기 제 2 연장부들은 서로 교대로 배치되는 보안 필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장부들의 폭은 1㎛ 내지 100㎛이고, 상기 제 2 연장부들의 폭은 1㎛ 내지 100㎛인 보안 필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장부들의 개수는 1000개 내지 100000개이고,
    상기 제 2 연장부들의 개수는 1000개 내지 100000개이고,
    상기 제 2 연장부들은 상기 제 1 연장부들보다 더 높은 농도로 안료 또는 염료를 포함하는 보안 필름.
  5. 투명한 제 1 수지 조성물 및 불투명 또는 반투명한 제 2 수지 조성물을 T-다이의 폭 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도록 동시에 압출하는 단계; 및
    상기 압출된 제 1 수지 조성물 및 제 2 수지 조성물을 캐스팅 롤을 통하여 캐스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보안 필름의 제조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캐스팅하여 형성된 미연신 필름을 연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보안 필름의 제조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T-다이는
    상기 제 1 수지 조성물 및 상기 제 2 수지 조성물을 압출하는 압출부;
    상기 압출부에 상기 제 1 수지 조성물을 공급하는 다수 개의 제 1 공급부들; 및
    상기 압출부에 상기 제 2 수지 조성물을 공급하는 다수 개의 제 2 공급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공급부들 및 상기 제 2 공급부들은 서로 교대로 배치되는 보안 필름의 제조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급부들의 개수는 1000개 내지 100000개이고,
    상기 제 2 공급부들의 개수는 1000개 내지 100000개인 보안 필름의 제조방법.
KR1020150143441A 2015-10-14 2015-10-14 보안 필름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1017408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3441A KR101740889B1 (ko) 2015-10-14 2015-10-14 보안 필름 및 이들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3441A KR101740889B1 (ko) 2015-10-14 2015-10-14 보안 필름 및 이들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6199A true KR20170046199A (ko) 2017-05-02
KR101740889B1 KR101740889B1 (ko) 2017-05-29

Family

ID=58742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3441A KR101740889B1 (ko) 2015-10-14 2015-10-14 보안 필름 및 이들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08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5698B1 (ko) 2018-01-22 2019-05-0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모트 절연체 패턴을 포함하는 시야각 제어 시트 및 그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59049B2 (ja) * 2002-06-28 2009-04-30 東レ株式会社 積層フィル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0889B1 (ko) 2017-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5068B1 (ko) 액정표시장치, 편광판 및 편광자 보호 필름
US20080186558A1 (en) Two dimensional light control film
US20210223609A1 (en) Anti-peep fil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module
JP6461455B2 (ja) デジタル画像表示装置
US9500872B2 (en) Glass encapsulated polymeric lenticular system for autostereoscopic display
WO2017014051A1 (ja) 積層シート、液晶表示モジュール、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積層シートの製造方法
TWI790561B (zh) 擴散片、背光單元、液晶顯示裝置及資訊機器
JP2007057866A (ja) 反射型巻取式スクリーン及びその製造方法
TWI540043B (zh) Image display device and polyester film
KR101740889B1 (ko) 보안 필름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101740891B1 (ko) 광 투과 필름, 보안 필름 및 이들의 제조방법
CN115494667B (zh) 防窥膜及显示装置
JP5648075B2 (ja) 形状転写樹脂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樹脂シート
JP2017167268A (ja) 積層フロント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6110034A (ja) 覗き見防止用透明フィルムとその製造方法
CN107111037A (zh) 光学片以及包括其的偏光板和液晶显示器
JP2014153427A (ja) 反射スクリーン、反射スクリーンユニット、映像表示システム、反射スクリーンの製造方法
JP2014086387A (ja) 導光板、導光板を備え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および表示装置
KR102540191B1 (ko) 광학체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TWI459042B (zh) 光擴散薄膜積層體
WO2023162358A1 (ja) 複合光拡散シート、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液晶表示装置、及び情報機器
CN117392912A (zh) 一种防窥结构制作方法、防窥膜及其制作方法
CN104820309A (zh) 一种光学组件及其制造方法、偏光片
TW202238234A (zh) 光擴散片、背光單元、液晶顯示裝置以及資訊機器
JP2023126072A (ja) 複合光拡散シート、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液晶表示装置、及び情報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