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9875A - 승강과 이동이 가능한 하지마비 환자용 자동 승강-이동 체어 장치 - Google Patents

승강과 이동이 가능한 하지마비 환자용 자동 승강-이동 체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9875A
KR20220019875A KR1020200099868A KR20200099868A KR20220019875A KR 20220019875 A KR20220019875 A KR 20220019875A KR 1020200099868 A KR1020200099868 A KR 1020200099868A KR 20200099868 A KR20200099868 A KR 20200099868A KR 20220019875 A KR20220019875 A KR 202200198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seating member
moving
lift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9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3485B1 (ko
Inventor
박성률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998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3485B1/ko
Publication of KR20220019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98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34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34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4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4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 A61G5/041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having a specific drive-type
    • A61G5/042Front wheel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4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 A61G5/041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having a specific drive-type
    • A61G5/045Rear wheel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51Arrangements for stee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56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 A61G5/1059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e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56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 A61G5/107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positioning the whole seat forward or rearwar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56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 A61G5/1072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rotating the whole seat around a vertic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91Cushions, seats or abductio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 A61G5/12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for the b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 A61G5/124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for pelvis or butto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0/00Information related to the kind of patient or his position
    • A61G2200/30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 A61G2200/34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sit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1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pecific control means, e.g. for adjustment or stee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3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지가 마비되거나 불편한 장애인 또는 환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이동하고자 하는 목적지까지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고, 이용 환경에 따라 높이를 승하강시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화장실에서의 용이한 이용을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안전성과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승강과 이동이 가능한 하지마비 환자용 자동 승강-이동 체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장치의 골격을 형성하는 장치 프레임; 상기 장치 프레임을 구성하는 수직 프레임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착석 부재; 상기 착석 부재를 승강 가능하게 구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착석부재 승강 구동수단; 상기 장치 프레임을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이동 구동수단; 상기 장치 프레임과 착석 부재에 구비되는 안전 수단; 상기 착석부재 승강 구동수단과 장치 이동 구동수단 및 안전 수단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모듈; 및 상기 제어 모듈에 작동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배터리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마비 환자용 자동 승강-이동 체어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승강과 이동이 가능한 하지마비 환자용 자동 승강-이동 체어 장치{AUTO LIFTING-MOVING CHAIR APPARATUS FOR PARAPIEGIC CAPABLE OF LIFTING AND MOVING}
본 발명은 하지마비 환자용 자동 승강-이동 체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지가 마비되거나 불편한 장애인 또는 환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이동하고자 하는 목적지까지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고, 이용 환경에 따라 높이를 승하강시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화장실에서의 용이한 이용을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안전성과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승강과 이동이 가능한 하지마비 환자용 자동 승강-이동 체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사람이 편하게 앉은 자세를 유지토록 하거나 책상 높이에 맞추어 앉을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다양한 종류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의자의 전통적인 형태는 사용자의 둔부를 지지하는 좌석과 더불어 등을 기대어 지지할 수 있는 고정된 등받이를 구비한 것이었으나 사용의 편리함을 위해 보다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왔다.
특히, 거동이 불편한 환자나 노약자 또는 장애인의 경우 간병인 또는 부양가족의 도움을 받아서 생활을 하게 된다. 그러나 환자나 노약자의 간병시 환자나 노약자가 이동을 하거나 앉고 일어서는 과정에서 환자나 노약자의 하중에 의해서 간병인 또는 부양가족이 부상을 입는 경우가 빈번하였다.
따라서 최근에는 환자나 노약자가 앉거나 일어서는 것을 보조하는 다양한 승강 의자가 개시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62853호는, 수평프레임의 전후면에 각각 부착된 전면 크로스멤버 및 후면 크로스멤버의 하부에 캐스터를 각각 부착시킨 대차와, 상기 대차의 수평프레임 상부로부터 세로로 부착된 승강지지부재와, 상기 승강지지부재로부터 승강가능하게 결합된 승강프레임과, 상기 승강프레임의 선단으로부터 수평 및 수직으로 회전가능하게 힌지연결된 등받이로 구성된 다용도 의자가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시트의 높낮이를 승강프레임과 승강지지부재의 일측에 부설된 고정돌기 및 요홈에 의한 끼움 결합작용을 이용해 조절하는 매우 복잡한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시트의 높낮이 조절이 매우 복잡하고 불편하며, 시트의 높낮이가 조절되는 상태에서는 상기 요홈으로부터 고정돌기가 이탈됨에 따라 고정력이 해제된 승강프레임이 승강지지부재를 따라 급속으로 하강하여 안전사고를 야기하는 등의 문제점들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등받이를 포함한 시트의 경우 승강지지부재에 의해 대차 측에 단순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무게 중심이 일방향으로 쏠림에 따라 의자가 매우 쉽게 전도되는 문제점과 함께, 상기 등받이의 경우 승강프레임의 일단에 단순 체결되는 구조로 등받이의 안착감이 현저히 떨어지게 되는 등의 또 다른 문제점들이 있다.
또한, 일본공개특허 1995-067739의 경우 좌석의 승강에 더해 등받이의 각도를 조절하여 젖힘 기능까지 부여한 다기능의 의자를 개시하고 있다.
도 1은 일본공개특허 문헌에 개시된 의자의 승강동작 및 젖힘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승강동작(a), 좌석의 각도변화 없이 등받이만 젖히는 형태의 젖힘동작(b), 좌석과 등받이 모두의 각도를 변화시키는 형태의 젖힘동작(c)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르면 젖힘동작시 사용자가 직접 좌석(4)과 등받이(5)를 수동으로 조작해야 하였기 때문에 상당한 불편함이 수반되었다.
또한, 종래의 승강 의자는 단순히 의자의 높낮이 기능에만 한정되어 있어 기능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4-0145717(2014.12.24. 공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62853(2004.09.22.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954780(2010.04.28.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212820(2012.12.18. 공고)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지가 마비되거나 불편한 장애인 또는 환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이동하고자 하는 목적지까지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고, 이용 환경에 따라 높이를 승하강시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며,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상황에 대한 안전 수단을 구비하여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승강과 이동이 가능한 하지마비 환자용 자동 승강-이동 체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장실 사용 시 좌변기에 용이하게 착석할 수 있도록 방향이 전환될 수 있도록 하여, 하지가 불편한 장애인의 화장실 이용을 보다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는, 승강과 이동이 가능한 하지마비 환자용 자동 승강-이동 체어 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장치의 골격을 형성하는 장치 프레임; 상기 장치 프레임을 구성하는 수직 프레임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착석 부재; 상기 착석 부재를 승강 가능하게 구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착석부재 승강 구동수단; 상기 장치 프레임을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이동 구동수단; 상기 장치 프레임과 착석 부재에 구비되는 안전 수단; 상기 착석부재 승강 구동수단과 장치 이동 구동수단 및 안전 수단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모듈; 및 상기 제어 모듈에 작동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배터리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마비 환자용 자동 승강-이동 체어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착석부재 승강 구동수단은, 상기 착석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수단, 및 상기 장치 프레임에 구성되고, 상기 제어 모듈의 제어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지지 수단을 승강 및 하강 가능하게 구동시키는 승강 구동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수단은, 후단부가 상기 승강 구동장치에 결합되고, 양측의 프레임이 단면 "ㄷ"자형으로 형성되는 지지 프레임과, 상측에 상기 착석 부재가 구비되고, 양 가장자리에 구름롤러가 구비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를 따라 전후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 플레이트, 및 상기 이동 플레이트를 선형 구동시키기 위한 선형 구동장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 이동 구동수단은, 상기 장치 프레임의 하단에 구비되는 전방 및 후방 구름 바퀴, 및 상기 제어 모듈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전방 구름 바퀴 또는 후방 구름 바퀴를 정역 회전 구동시키도록 구비되는 구동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승강 구동장치는 유압 실린더로 구성되거나, 스크류 이동 방식으로 구성되며, 상기 안전 수단은, 일단부가 상기 장치 프레임의 전방 일측 수직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는 전방 타측 수직 프레임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는 안전 펜스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안전 수단은, 상기 장치 프레임의 전방 일측 수직 프레임에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는 전방 타측 수직 프레임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는 안전 펜스 부재, 및 상기 안전 펜스 부재의 일단부를 정역 회전 구동시키도록 구비되는 스텝 모터, 및 상기 착석부재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착석 여부를 검출하여 검출신호를 제어 모듈로 전달하는 착석 검출 센서; 및 상기 장치 프레임의 하단부에서 전방으로 인출되고, 다시 후방으로 인입되도록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선형 이동대와, 상기 선형 이동대의 전방단 하부에 구비되어 지면에 접하여 구름 이동하는 지지 구름 바퀴, 및 상기 착석 검출 센서의 검출 신호에 따른 상기 제어 모듈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선형 이동대를 선형 구동시키는 선형 구동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착석부재 승강 구동수단의 승강 및 하강 동작을 제어하는 승강 조작 제어부; 상기 장치 이동 구동수단의 이동을 제어하는 이동 조작 제어부; 상기 승강 조작 제어부와 이동 조작 제어부의 조작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착석부재 승강 구동수단 및 장치 이동 구동수단으로 전달하여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회로부; 상기 착석 검출 센서의 검출신호를 수신하는 착석신호 수신부; 상기 안전 펜스 부재의 스텝 모터를 구동 제어하기 위한 스텝모터 구동 제어부; 및 상기 선형 구동 장치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이동대 구동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착석 부재 및 지지 플레이트는 평면에서 바라볼 때 중심 대칭선을 따라 일단에서 내측으로 소정 길이 절개된 "ㄷ"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착석 부재를 회전 구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착석부재 회전 구동장치부, 및 상기 이동 플레이트를 진퇴 가능하게 구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슬라이딩 구동장치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슬라이딩 구동장치부 및 착석부재 회전 구동장치부를 조작하도록 구성되는 자세 조작 제어부, 및 상기 자제 조작 제어부의 제어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슬라이딩 구동장치부와 착석부재 회전 구동장치부를 구동 제어하는 착석부재 구동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착석부재 회전 구동장치부는 상기 지지 프레임에 구비되며 단부에 기어가 구비되는 정역 구동 모터와, 상기 착석 부재의 하면에 형성되되 180°범위에서 반원링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정역 구동 모터의 기어가 외접하는 반원 랙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강과 이동이 가능한 하지마비 환자용 자동 승강-이동 체어 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본 발명은 하지가 마비되거나 불편한 장애인 또는 환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이동하고자 하는 목적지까지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휠체어와 같이 이동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식탁이나 화장실 등 사용자가 이용하고자 하는 환경에 따라 높이를 승하강시켜 사용자에 따른 적절한 맞춤 높이를 갖는 의자로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이동 시 및 승하강 시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상황을 물리적 구성 및 전자제어적 구성을 통해 안전하게 대비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성과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넷째, 본 발명은 화장실 사용 시 좌변기에 대하여 착석 방향으로 제어되고 착석 및 이동 시 안전 구조를 갖도록 함으로써 좌변기에 용이하게 착석할 수 있도록 하여, 하지가 불편한 장애인이 화장실을 보다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본공개특허 문헌에 개시된 의자의 승강동작 및 젖힘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과 이동이 가능한 하지마비 환자용 자동 승강-이동 체어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과 이동이 가능한 하지마비 환자용 자동 승강-이동 체어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과 이동이 가능한 하지마비 환자용 자동 승강-이동 체어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과 이동이 가능한 하지마비 환자용 자동 승강-이동 체어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과 이동이 가능한 하지마비 환자용 자동 승강-이동 체어 장치의 승강 동작 전후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과 이동이 가능한 하지마비 환자용 자동 승강-이동 체어 장치를 구성하는 선형 이동대가 연장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과 이동이 가능한 하지마비 환자용 자동 승강-이동 체어 장치를 구성하는 좌석부가 전방으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과 이동이 가능한 하지마비 환자용 자동 승강-이동 체어 장치를 구성하는 착석부재가 방향 전환하기 위한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과 이동이 가능한 하지마비 환자용 자동 승강-이동 체어 장치를 좌변기에서 사용하는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과 이동이 가능한 하지마비 환자용 자동 승강-이동 체어 장치를 구성하는 제어 모듈의 구성을 블록화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승강과 이동이 가능한 하지마비 환자용 자동 승강-이동 체어 장치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과 이동이 가능한 하지마비 환자용 자동 승강-이동 체어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과 이동이 가능한 하지마비 환자용 자동 승강-이동 체어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과 이동이 가능한 하지마비 환자용 자동 승강-이동 체어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과 이동이 가능한 하지마비 환자용 자동 승강-이동 체어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과 이동이 가능한 하지마비 환자용 자동 승강-이동 체어 장치의 승강 동작 전후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과 이동이 가능한 하지마비 환자용 자동 승강-이동 체어 장치를 구성하는 선형 이동대가 연장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과 이동이 가능한 하지마비 환자용 자동 승강-이동 체어 장치를 구성하는 좌석부가 전방으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과 이동이 가능한 하지마비 환자용 자동 승강-이동 체어 장치를 구성하는 착석부재가 방향 전환하기 위한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과 이동이 가능한 하지마비 환자용 자동 승강-이동 체어 장치를 좌변기에서 사용하는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과 이동이 가능한 하지마비 환자용 자동 승강-이동 체어 장치를 구성하는 제어 모듈의 구성을 블록화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강과 이동이 가능한 하지마비 환자용 자동 승강-이동 체어 장치는, 도 2 내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장치 프레임(100); 착석 부재(200); 착석부재 승강 구동수단; 장치 이동 구동수단; 안전 수단; 제어 모듈(300); 및 배터리 수단(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승강과 이동이 가능한 하지마비 환자용 자동 승강-이동 체어 장치는,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체어 장치의 골격을 형성하는 장치 프레임(100); 상기 장치 프레임(100)을 구성하는 수직 프레임(110)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착석 부재(200); 상기 착석 부재(200)를 승강 가능하게 구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착석부재 승강 구동수단; 상기 장치 프레임(100)을 이동가능하게 구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장치 이동 구동수단; 상기 장치 프레임(100)과 착석 부재(200)에 구비되어 사용자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하도록 구성되는 안전 수단; 상기 착석부재 승강 구동수단과 장치 이동 구동수단 및 안전 수단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모듈(300); 및 상기 구성부들 중 전력이 필요로 되는 구성부 또는 상기 제어 모듈(300)로 작동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배터리 수단(B);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치 프레임(100)은 체어 장치의 기본 골격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크게 전후좌우의 수직 프레임(110), 및 상기 수직 프레임(100) 간을 연결하고 보강하도록 결합되는 수평 프레임(120)을 포함한다.
상기 장치 프레임(100)은 복수의 수직 프레임(110)과 수평 프레임(120)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설명하고, 도면에 예시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서, 상기 장치 프레임(100) 중 수직 프레임(110)의 일부는 아래 설명되는 착석부재 승강 구동수단의 일 구성요소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상기 장치 프레임(100)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안전 수단의 실시 예(들)이 구성되며, 이 안전 수단은 장치 프레임(100)의 구성부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계속해서, 상기 착석 부재(200)는 사용자가 착석하여 안착되는 구성부로서 아래 설명되는 착석부재 승강 구동수단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착석 부재(200)는 사용자의 엉덩이부가 착석되는 안착부(210), 및 상기 안착부(210)의 일단부에 상방향의 직교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등받이부(22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착석 부재(200)는 안착부(210)의 양측 단부에 팔걸이부가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팔걸이부에는 제어 모듈(300)을 구성하는 제어 조작부가 구성되게 된다.
상기 착석 부재(200)의 안착부(210)는 평면에서 바라볼 때 중심 대칭선을 따라 일단에서 내측으로 소정 길이 절개된 "ㄷ"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등받이부(220)는 생략될 수 있으며, 이는 아래에서 설명되는 다른 장치부와 밀접하게 연계되며 화장실 좌변기의 사용에 연관된다. 이때, 착석자는 장치 프레임(100)를 구성하는 가로 프레임에 의해 착석자의 등 부분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착석 부재(200)에는 안전 수단의 일 실시 형태인 안전 벨트 장치가 구성되며,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설명한다.
다음으로, 상기 착석부재 승강 구동수단은 상기 착석 부재(200)를 지지하는 지지 수단(410), 및 상기 장치 프레임(100)에 구성되고, 상기 제어 모듈(300)의 제어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지지 수단(410)을 승강 및 하강 가능하게 구동시키는 승강 구동장치(42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지지 수단(410)은 후단부가 상기 승강 구동장치(420)에 결합되고, 양측의 프레임이 단면 "ㄷ"자형으로 형성되는 지지 프레임(411)과, 상측에 상기 착석 부재(200)가 구비되고, 양 가장자리에 구름롤러가 구비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411)를 따라 전후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 플레이트(412), 및 상기 이동 플레이트(412)를 선형 구동시키기 위한 선형 구동장치부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 플레이트(412)는 상기 착석부재(200)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아래에서 설명될 전후이동 구동수단에 의해 양측의 지지 프레임(411)을 따라 전후 이동된다.
상기 착석부재 구동장치는 일 실시 예로 유압 실린더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착석부재 구동장치는 다른 실시 예로 스크류 이동 방식으로 승하강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른 실시 예의 착석부재 구동장치는, 상기 수직 프레임(110) 각각의 일측에 형성되는 이송 스크류와, 상기 이송 스크류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 모터와, 상기 이송 스크류에 스크류 결합되고, 일측에 상기 지지 수단(410)이 결합되는 이동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착석부재 구동장치는 랙 앤 피니언 방식으로 승강 및 하강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기어 방식이나 구동 벨트 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상기 착석부재 승강 구동수단은 상기 지지 수단(410)의 안정적인 승강과 하강을 가이드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 수단(410)과 상기 장치 프레임(100)의 수직 프레임(110) 간에 구성되는 가이드 돌기와 가이드 레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착석부재 승강 구동수단은 착석 부재의 하강 최하단 위치 및 착석 부재의 상승 최상단 위치에 대한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리미트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장치 이동 구동수단은, 상기 장치 프레임(100)을 이동가능하게 구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장치 프레임(100)의 하단에 구비되는 한 쌍 씩의 전방 및 후방 구름 바퀴(510), 및 상기 제어 모듈(3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전방 구름 바퀴 또는 후방 구름 바퀴(510)를 정역 회전 구동시키도록 구비되는 구동 모터(미도시)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전방 및 후방의 구름 바퀴(510) 중 전방 구름 바퀴는 공지의 조향 장치(스티어링 장치)가 채용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조향성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착석부재 승강 구동수단의 구동 장치가 구동 모터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방식인 경우, 상기 장치 이동 구동수단은 상기 착석부재 승강 구동수단의 구동 모터의 구동력을 이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착석부재 승강 구동수단과 장치 이동 구동수단은 구동 모터를 공용으로 사용하며, 이때 트랜스미션이 구성되어 제어 신호에 따라 구동력의 전달을 전환시켜 전달시키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안전 수단은 상기 장치 프레임(100)과 착석 부재(200)에 구비되어 사용자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하도록 크게 기계적 구성과 전기제어적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안전 수단은 사용자가 착석부재(210)에 착석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전방으로 넘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안전 펜스 부재(521)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안전 수단은 일단부가 상기 장치 프레임(100)의 수직 프레임(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는 반대편의 수직 프레임(110)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는 안전 펜스 부재(521)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안전 펜스 부재(521)는 자동으로 작동되게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안전 수단은 상기 장치 프레임(100)의 수직 프레임(110)에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는 반대편의 수직 프레임(110)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는 안전 펜스 부재(521), 및 상기 안전 펜스 부재(610)의 일단부를 정역 회전 구동시키도록 구비되는 스텝 모터(미도시), 및 상기 착석부재(200)에 구비(구체적으로는, 착석부재(200)의 안착부(210)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착석 여부를 검출하여 검출신호를 제어 모듈(300)로 전달하는 착석 검출 센서(522)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 모듈(300)은 상기 착석 검출 센서(522)의 검출 유무에 따라 상기 스텝 모터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 구동시켜 안전 페스 부재(521)가 자동으로 폐쇄 방향 또는 개방 방향으로 동작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안전 수단은 상기 착석 부재(200)의 등받이부(200)에 구비되는 안전벨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전 수단은 상기 장치 프레임(100)의 하단부에서 전방으로 인출되고, 다시 후방으로 인입되도록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선형 이동대(530), 및 상기 선형 이동대(530)를 선형 구동시키는 선형 구동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선형 이동대(530)의 전방단 하부에는 지면에 접하여 구름 이동하는 지지 구름 바퀴(531)가 구비된다.
이러한 선형 이동대(530)는 전방으로 이동되어 이루어지는 경우, 사용자가 체어 장치의 상부 측 프레임을 잡고 착석하거나 착석 부재(200)에서 이탈하고자 할 때, 체어 장치의 지지력이 보다 안정적으로 확보되도록 한다.
상기 안전 수단의 선형 이동대(530)와 선형 구동 장치는 제어 모듈(3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유압 실린더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안전 수단의 선형 구동 장치는 사용자의 조작으로 수동으로 구동될 수 있지만, 상기 착석 검출 센서(522)의 검출 신호에 따라 자동으로 구동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서, 상기 선형 구동 장치가 자동 구동되게 구성되는 경우, 상기 착석 검출 센서(522)에 의해 사용자가 착석부재(200)에 이탈하거나 없는 경우, 상기 선형 이동대(530)가 전방으로 연장되게 이동되고, 사용자가 착석부재(200)에 착석하는 때는 선형 이동대(530)가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한다.
또한, 전기제어적 구성으로서의 상기 안전 수단은, 상기 장치 프레임(100)에 구비되는 자이로 센서와, 상기 자이로 센서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선형 이동대(530)를 선형 구동시키는 선형 구동 장치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비상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비상 제어부는 제어 모듈(300)에 구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 모듈(300)은 상기 착석부재 승강 구동수단과 장치 이동 구동수단 및 안전 수단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착석부재 승강 구동수단의 승강 및 하강 동작을 제어하는 승강 조작 제어부(310)와, 상기 장치 이동 구동수단의 이동을 제어하는 이동 조작 제어부(320), 및 상기 승강 조작 제어부(310)와 이동 조작 제어부(320)의 조작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착석부재 승강 구동수단 및 장치 이동 구동수단으로 전달하여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회로부(330)를 포함한다.
상기 승강 조작 제어부(310)와 이동 조작 제어부(320), 그리고 후술하는 자세 조작 제어부(380)는 조이스틱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체어 장치가 상기 안전 수단을 구성하는 착석 검출 센서(522)를 포함하고, 스텝 모터 구동 방식의 안전 펜스 부재(521) 및 선형 이동대(530)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어 모듈(300)은 상기 착석 검출 센서(522)의 검출신호를 수신하는 착석신호 수신부(340)와, 상기 안전 펜스 부재(521)의 스텝 모터를 구동 제어하기 위한 스텝모터 구동 제어부(350)와, 상기 선형 이동대(53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이동대 구동 제어부(360), 및 비상 제어부(370)를 더 포함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배터리 수단(B)은 전력을 필요로 하는 구성부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바람직하게는 충전식 배터리 및/또는 교체형 배터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부가하여 태양광 발전 모듈 및 충전기가 더 구성되어 상기 배터리의 전력을 보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승강과 이동이 가능한 하지마비 환자용 자동 승강-이동 체어 장치는, 하지를 사용하지 못하는 사용자의 화장실 사용 편의를 위하여 좌변기에 대한 착석 자세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구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승강과 이동이 가능한 하지마비 환자용 자동 승강-이동 체어 장치는, 상기 착석 부재(200)를 회전 구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착석부재 회전 구동장치부,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411)을 진퇴 가능하게 구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슬라이딩 구동장치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 모듈(300)은 상기 슬라이딩 구동장치부 및 착석부재 회전 구동장치부를 조작하도록 구성되는 자세 조작 제어부(380), 및 상기 자제 조작 제어부(380)의 제어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슬라이딩 구동장치부와 착석부재 회전 구동장치부를 구동 제어하는 착석부재 구동 제어부(390)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장치 프레임(100)은 상기 착석부재(200)의 회전 반경을 고려한 구조를 갖거나, 상기 착석부재(200)가 장치 프레임(100)에서 회전이 가능한 형상 또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착석부재 회전 구동장치부는 지지 프레임(310)에 구비되며 단부에 기어(611)가 구비되는 정역 구동 모터와, 상기 착석 부재(200)의 하면에 형성되되 180°범위에서 반원링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정역 구동 모터의 기어(611)가 외접(후방 측)하는 반원 랙기어(612)를 포함한다. 상기 정역 구동 모터는 상기 제어 모듈(300)의 착석부재 구동 제어부(390)의 구동 신호를 전달받아 구동한다.
상기한 슬라이딩 구동장치부는 이동 플레이트(412)를 전후 이동시키도록 유압 실린더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유압 실린더는 상기 착석부재 구동 제어부(390)의 구동 신호를 전달받아 구동한다.
도 10에 나타낸 사용 상태도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하지마비 환자용 자동 승강-이동 체어 장치를 좌변기의 좌대 상에 위치하도록 이동시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착석부재 회전 구동장치부와 슬라이딩 구동장치부를 통해, 체어 장치를 좌변기 정면 측에 이동시킨 상태에서, 사용자는 착석부재(200)에서 양반다리 자세로 전환하고, 착석부재(200)를 180°회전시킨 다음, 그 상태에서 사용자는 후방으로 이동하여 좌변기의 좌대에 안착되어 이용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착석부재(200)에서 양반다리 자세로 전환하고, 착석부재(200)를 180°회전시킨 다음, 이동 플레이트(411)를 좌변기의 좌대 상부 측으로 이동시켜 그 상태에서 이동하게 된다. 이는 상기 착석 부재(200)의 안착부(210)와 이동 플레이트(411)를 평면에서 바라볼 때 중심 대칭선을 따라 일단에서 내측으로 소정 길이 절개된 "ㄷ"자 형태로 형성되어 그 상태에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강과 이동이 가능한 하지마비 환자용 자동 승강-이동 체어 장치에 의하면, 하지가 마비되거나 불편한 장애인 또는 환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이동하고자 하는 목적지까지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휠체어와 같이 이동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식탁이나 화장실 등 사용자가 이용하고자 하는 환경에 따라 높이를 승하강시켜 사용자에 따른 적절한 맞춤 높이를 갖는 의자로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 시 및 승하강 시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상황을 물리적 구성 및 전자제어적 구성을 통해 안전하게 대비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성과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며, 화장실 사용 시 좌변기에 대하여 착석 방향으로 제어되고 착석 이동 시 안전 구조를 갖도록 함으로써 좌변기에 용이하게 착석할 수 있도록 하여, 하지가 불편한 장애인이 화장실을 보다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B: 배터리 수단, 100: 장치 프레임
110: 수직 프레임, 120: 수평 프레임
200: 착석 부재, 210: 안착부
220: 등받이부, 300: 제어 모듈
310: 승강 조작 제어부, 320: 이동 조작 제어부
330: 제어 회로부, 340: 착석신호 수신부
350: 스텝모터 구동 제어부, 360: 이동대 구동 제어부
370: 비상 제어부, 380: 자세 조작 제어부
390: 착석부재 구동 제어부, 410: 지지 수단
411: 지지 프레임, 412: 이동 플레이트
420: 승강 구동장치, 510: 구름 바퀴
521: 안전 펜스 부재, 522: 착석 검출 센서
530: 선형 이동대, 531: 지지 구름 바퀴
611: 기어, 612: 반원 랙기어

Claims (7)

  1. 장치의 골격을 형성하는 장치 프레임;
    상기 장치 프레임을 구성하는 수직 프레임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착석 부재;
    상기 착석 부재를 승강 가능하게 구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착석부재 승강 구동수단;
    상기 장치 프레임을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이동 구동수단;
    상기 장치 프레임과 착석 부재에 구비되는 안전 수단;
    상기 착석부재 승강 구동수단과 장치 이동 구동수단 및 안전 수단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모듈; 및
    상기 제어 모듈에 작동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배터리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마비 환자용 자동 승강-이동 체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석부재 승강 구동수단은, 상기 착석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수단, 및 상기 장치 프레임에 구성되고, 상기 제어 모듈의 제어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지지 수단을 승강 및 하강 가능하게 구동시키는 승강 구동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수단은, 후단부가 상기 승강 구동장치에 결합되고, 양측의 프레임이 단면 "ㄷ"자형으로 형성되는 지지 프레임과, 상측에 상기 착석 부재가 구비되고, 양 가장자리에 구름롤러가 구비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를 따라 전후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 플레이트, 및 상기 이동 플레이트를 선형 구동시키기 위한 선형 구동장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 이동 구동수단은, 상기 장치 프레임의 하단에 구비되는 전방 및 후방 구름 바퀴, 및 상기 제어 모듈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전방 구름 바퀴 또는 후방 구름 바퀴를 정역 회전 구동시키도록 구비되는 구동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마비 환자용 자동 승강-이동 체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구동장치는 유압 실린더로 구성되거나, 스크류 이동 방식으로 구성되며,
    상기 안전 수단은, 일단부가 상기 장치 프레임의 전방 일측 수직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는 전방 타측 수직 프레임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는 안전 펜스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마비 환자용 자동 승강-이동 체어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수단은,
    상기 장치 프레임의 전방 일측 수직 프레임에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는 전방 타측 수직 프레임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는 안전 펜스 부재, 및 상기 안전 펜스 부재의 일단부를 정역 회전 구동시키도록 구비되는 스텝 모터, 및 상기 착석부재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착석 여부를 검출하여 검출신호를 제어 모듈로 전달하는 착석 검출 센서; 및
    상기 장치 프레임의 하단부에서 전방으로 인출되고, 다시 후방으로 인입되도록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선형 이동대와, 상기 선형 이동대의 전방단 하부에 구비되어 지면에 접하여 구름 이동하는 지지 구름 바퀴, 및 상기 착석 검출 센서의 검출 신호에 따른 상기 제어 모듈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선형 이동대를 선형 구동시키는 선형 구동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마비 환자용 자동 승강-이동 체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착석부재 승강 구동수단의 승강 및 하강 동작을 제어하는 승강 조작 제어부;
    상기 장치 이동 구동수단의 이동을 제어하는 이동 조작 제어부;
    상기 승강 조작 제어부와 이동 조작 제어부의 조작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착석부재 승강 구동수단 및 장치 이동 구동수단으로 전달하여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회로부;
    상기 착석 검출 센서의 검출신호를 수신하는 착석신호 수신부;
    상기 안전 펜스 부재의 스텝 모터를 구동 제어하기 위한 스텝모터 구동 제어부; 및
    상기 선형 구동 장치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이동대 구동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마비 환자용 자동 승강-이동 체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착석 부재 및 지지 플레이트는 평면에서 바라볼 때 중심 대칭선을 따라 일단에서 내측으로 소정 길이 절개된 "ㄷ"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착석 부재를 회전 구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착석부재 회전 구동장치부, 및 상기 이동 플레이트를 진퇴 가능하게 구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슬라이딩 구동장치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슬라이딩 구동장치부 및 착석부재 회전 구동장치부를 조작하도록 구성되는 자세 조작 제어부, 및 상기 자제 조작 제어부의 제어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슬라이딩 구동장치부와 착석부재 회전 구동장치부를 구동 제어하는 착석부재 구동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마비 환자용 자동 승강-이동 체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착석부재 회전 구동장치부는
    상기 지지 프레임에 구비되며 단부에 기어가 구비되는 정역 구동 모터와, 상기 착석 부재의 하면에 형성되되 180°범위에서 반원링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정역 구동 모터의 기어가 외접하는 반원 랙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마비 환자용 자동 승강-이동 체어 장치.
KR1020200099868A 2020-08-10 2020-08-10 승강과 이동이 가능한 하지마비 환자용 자동 승강-이동 체어 장치 KR1024234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9868A KR102423485B1 (ko) 2020-08-10 2020-08-10 승강과 이동이 가능한 하지마비 환자용 자동 승강-이동 체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9868A KR102423485B1 (ko) 2020-08-10 2020-08-10 승강과 이동이 가능한 하지마비 환자용 자동 승강-이동 체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9875A true KR20220019875A (ko) 2022-02-18
KR102423485B1 KR102423485B1 (ko) 2022-07-22

Family

ID=80495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9868A KR102423485B1 (ko) 2020-08-10 2020-08-10 승강과 이동이 가능한 하지마비 환자용 자동 승강-이동 체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348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6699B1 (ko) * 2023-04-21 2023-06-22 주식회사 엘티에스코리아 환자 운반용 기능성 의자 장치
KR102672935B1 (ko) * 2023-10-27 2024-06-12 건운 주식회사 다기능 자동 보행차
KR102686054B1 (ko) * 2024-03-15 2024-07-17 (주)한국전자기술 자율주행 휠체어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2853Y1 (ko) 2004-06-25 2004-09-22 박승부 다용도 의자
JP2008048760A (ja) * 2006-08-22 2008-03-06 Oita Univ 電動車椅子の座席構造
JP2009279118A (ja) * 2008-05-21 2009-12-03 Sumitomo Electric Ind Ltd 車いす
KR100954780B1 (ko) 2009-10-09 2010-04-2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탈부착 가능한 베드부가 구비된 이동용 리프트 장치
KR100960094B1 (ko) * 2009-10-14 2010-05-3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승강구동모듈이 힌지 결합된 승강의자
KR20120060056A (ko) * 2010-12-01 2012-06-11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리프트 훨체어
KR20120100155A (ko) * 2011-03-03 2012-09-12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시트와 등받이가 움직이는 휠체어
KR101212820B1 (ko) 2010-11-22 2012-12-18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승강의자용 승강 및 젖힘 구조와 이를 구비한 승강의자
KR20140145717A (ko) 2013-06-14 2014-12-24 (주)록키 다용도 의자
KR20160142548A (ko) * 2015-06-03 2016-12-13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높낮이 조절 전동 휠체어
KR20200001098A (ko) * 2018-06-26 2020-01-06 주식회사 랜티스 재활운동을 위한 보행용 스마트 전동휠체어
KR20200069528A (ko) * 2018-12-07 2020-06-17 주식회사 화인로보텍 휠체어 이용자용 탑승장치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2853Y1 (ko) 2004-06-25 2004-09-22 박승부 다용도 의자
JP2008048760A (ja) * 2006-08-22 2008-03-06 Oita Univ 電動車椅子の座席構造
JP2009279118A (ja) * 2008-05-21 2009-12-03 Sumitomo Electric Ind Ltd 車いす
KR100954780B1 (ko) 2009-10-09 2010-04-2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탈부착 가능한 베드부가 구비된 이동용 리프트 장치
KR100960094B1 (ko) * 2009-10-14 2010-05-3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승강구동모듈이 힌지 결합된 승강의자
KR101212820B1 (ko) 2010-11-22 2012-12-18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승강의자용 승강 및 젖힘 구조와 이를 구비한 승강의자
KR20120060056A (ko) * 2010-12-01 2012-06-11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리프트 훨체어
KR20120100155A (ko) * 2011-03-03 2012-09-12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시트와 등받이가 움직이는 휠체어
KR20140145717A (ko) 2013-06-14 2014-12-24 (주)록키 다용도 의자
KR20160142548A (ko) * 2015-06-03 2016-12-13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높낮이 조절 전동 휠체어
KR20200001098A (ko) * 2018-06-26 2020-01-06 주식회사 랜티스 재활운동을 위한 보행용 스마트 전동휠체어
KR20200069528A (ko) * 2018-12-07 2020-06-17 주식회사 화인로보텍 휠체어 이용자용 탑승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6699B1 (ko) * 2023-04-21 2023-06-22 주식회사 엘티에스코리아 환자 운반용 기능성 의자 장치
KR102672935B1 (ko) * 2023-10-27 2024-06-12 건운 주식회사 다기능 자동 보행차
KR102686054B1 (ko) * 2024-03-15 2024-07-17 (주)한국전자기술 자율주행 휠체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3485B1 (ko) 2022-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49408A (en) All purpose wheelchair
EP0907343B1 (en) Support unit
KR102423485B1 (ko) 승강과 이동이 가능한 하지마비 환자용 자동 승강-이동 체어 장치
KR101437374B1 (ko) 가변형 휠체어
KR101891685B1 (ko) 침대 가변형 휠체어
KR20180059516A (ko) 다목적, 다기능 및 재조직 가능한 안락의자 침대
CN109966067B (zh) 一种轮椅
KR20160142548A (ko) 높낮이 조절 전동 휠체어
KR101010010B1 (ko) 전동 휠체어 시트 평행자세 자동조절 장치
US10842692B2 (en) Elevatable and portable wheelchair
KR101623699B1 (ko) 기립 보조 장치
JP2007181639A (ja) 起立補助椅子
KR101545158B1 (ko) 접이식 전동 휠체어
JP2004321630A (ja) 電動車椅子
JP5666670B2 (ja) 補助機構付きチェアー
KR102150594B1 (ko) 휠체어
KR20120100155A (ko) 시트와 등받이가 움직이는 휠체어
KR101462378B1 (ko) 리프트가 구비된 휠체어
KR102461127B1 (ko) 전동휠체어
KR101800553B1 (ko) 노약자 및 장애인 전용 전동의자
CN210903721U (zh) 轮椅
JPH08196573A (ja) 介護移動装置
KR200336152Y1 (ko) 휠체어
KR102581667B1 (ko) 접이식 의료용 휠체어
CN109571511A (zh) 一种辅助起立移位机器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