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3699B1 - 기립 보조 장치 - Google Patents

기립 보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3699B1
KR101623699B1 KR1020160005315A KR20160005315A KR101623699B1 KR 101623699 B1 KR101623699 B1 KR 101623699B1 KR 1020160005315 A KR1020160005315 A KR 1020160005315A KR 20160005315 A KR20160005315 A KR 20160005315A KR 101623699 B1 KR101623699 B1 KR 1016236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armrest
standing
belt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5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은경
Original Assignee
진은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은경 filed Critical 진은경
Priority to KR1020160005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36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36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36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4Standing-up or sitting-down aid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06Attachment of buckle to strap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arm-res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7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 A47C7/725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illumination, e.g.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bstract

본 발명은 기립 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팔걸이부에 구비되는 벨트, 벨트와 연결되는 좌석부를 이용하여 기립이 어려운 중환자, 노약자 또는 장애인들의 기립을 보다 안전하게 도와 줄 수 있는 기립 보조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기립 보조 장치{STANDING ASSIST DEVICE}
본 발명은 기립 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거동이 불편한 환자, 노약자 장애인등의 기립을 보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립 보조 장치는 거동이 불편한 중증환자, 노약자 또는 장애인등과 같이 본인 스스로 앉거나 일어서기가 불편한 사람들의 기립 및 착석을 보조하는 장치로 고정되어 있는 자석부가 상하 이동되어 사용자가 기립할 수 있게 도와주는 장치이다.
이러한 종래의 기립 보조 장치는 사용자가 착석하는 좌석부가 고정되어 있어 정확하게 착석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 좌석부에서 낙상 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기립 보조 장치는 보관을 용이하게 만드는 접이식 구조를 제공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기립 보조 장치의 보관 및 관리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108664호에 개시되어 있는 기립 보조 장치는 고정된 상부프레임 및 방석부 구성을 구비하기 때문에 정확하게 착석을 하지 못하는 경우 낙상 사고가 빈번히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61072호에 개시되어 있는 보조기구 부착 착좌장치는 고정된 좌부유닛을 제공하기 때문에 힘이약한 노약자의 경우 정확하게 착석하지 못하는 경우 낙상 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108664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6107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립 보조 장치의 좌석부를 벨트로 고정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함으로써, 낙상 위험을 낮춰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기립 보조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구동부의 일단과 타단에 마련되는 힌지 구성을 이용함으로써, 기립 보조 장치의 보관 및 관리를 보다 용이하게 만드는 기립 보조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기립 보조 장치에 있어서, 팔걸이부, 일단이 상기 팔걸이부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팔걸이부를 상하 이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의 타단과 연결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 상부에 마련되는 지지부홈, 상기 팔걸이부 하부와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벨트 및 상기 벨트와 연결되는 좌석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와 상기 지지부는 힌지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가 상기 지지부홈에 위치될 수 있도록 구비되며, 상기 팔걸이부와 상기 구동부는 힌지 연결되어 회전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립 보조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좌석부를 지지하는 벨트를 구비하기 때문에 정확하게 착석하지 않는 사용자가 좌석부 밖으로 이탈(낙상)되어 발생될 수 있는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구동부의 이단과 타단에 마련되는 힌지를 이용하여 접이식으로 구비할 수 있어 기립 보조 장치의 보관 및 관리를 보다 용이하게 만드는 장점이 있다.
또한, 벨트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성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의 체격에 따라 맞춤형 기립 보조 장치를 제공할 수 있께 만드는 효과가 있다.
한편, 등받이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편안하게 기대어 기립 보조 장치를 이용할 수 있고, 응급 시 사용자 등받이를 180도로 이동시킴으로써, 사용자(환자)의 이송을 보다 간소하게 만드는 장점이 있다.
게다가, 이동 수단 및 전원공급부를 구비함으로써, 혼자 거동이 불편한 중증 환자의 경우 원하는 위치로 간소하게 이동할 수 있게 만드는 기립 보조 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립 보조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립 보조 장치를 다른 각도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의 회전 과정을 나타낸 사시오디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팔걸이, 구동부 및 지지부의 힌지 이동 과정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권취부를 이용하여 벨트를 권취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부를 구비하는 기립 보조 장치를 구동부를 이용하여 승하강 되는 과정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클을 포함하는 기립 보조 장치를 나타낸 그림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립 보조 장치(1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도 1을 기준으로 설명하고 도 1에 도시되지 않는 구성은 별도로 참조도면을 표시하였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기립 보조 장치(100)는 팔걸이부(10), 구동부(20), 지지부(30), 지지부홈(35), 벨트(40) 및 좌석부(50)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팔걸이부(10)는 사용자(환자)가 팔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팔걸이부(10)는 바 형태로 2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후술할 등받이(110)와 결합되어 “ㄷ” 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팔걸이부(10)는 후술할 입력부(80)가 구비되어 구동부(20), 권취부(70), 이동수단(90) 등의 동작에 필요한 입력을 실시할 수 있다.
구동부(20)는 일단이 팔걸이부(10) 하부에 구비되어 팔걸이부(10)를 상하 이동시키도록 마련된다. 구동부(20)는 엑추에이터(actuator)로 마련될 수 있으며, 보다 더 상세하게는 공압, 유압, 모터를 이용하는 실린더로 형성될 수 있다. 구동부(20)는 팔걸이부(10)를 상하 이동시켜 거동이 불편한 환자, 노약자 또는 장애인들의 기립을 도와 줄 수 있게 만든다. 구동부(20)는 후술할 전원공급부(95)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부(20)를 동작시킬 수 있고, 구동에 대한 제어는 입력부(80)를 통하여 제어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구동부(20)의 일단은 팔걸이부(10)와 힌지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고, 구동부(20)의 타단은 지지부(30)와 힌지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힌지 연결된 부분을 중심으로 회전 이동될 수 있게 만들어 기립 보조 장치(100)를 접이식으로 보관할 수 있게 만든다. 또한 힌지 연결된 부분은 핀 또는 고리 등의 고정수단을 구비하여 힌지 연결된 부분이 임의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지지부(30)는 구동부(20)의 타단과 연결된다. 지지부(30)는 팔걸이부(10) 및 구동부(20)를 지지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ㄷ”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30)는 사용자가 후술할 좌석부(50)에 착석할 수 있는 공간 구동부, 팔걸이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지지부홈(35)은 지지부(30) 상부에 마련된다. 지지부홈(35)은 구동부(20)가 위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여 구동부(20)가 지지부(30)와 힌지 연결된 부분을 기점으로 회전 이동시 구동부(20)가 위치될 수 있게 만들어 구동부(2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지지부홈(35)을 구비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직관적으로 접이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는 정보를 인지할 수 있게 만든다.
벨트(40)는 팔걸이부(10) 하부와 연결된다. 벨트(40)는 하나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4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벨트(40)는 평벨트로 형성될 수 있다. 벨트(40)는 후술할 좌석부(50)와 연결될 수 있게 형성되어 좌석부(50) 및 착석한 사용자를 지지할 수 있게 만든다. 벨트(40)로 좌석부(50)를 지지하는 경우 좌석부(50)가 완전 고정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정확하게 좌석부(50)에 착석을 하지 않아도 무게 중심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만들어 좌석부(50)로 이탈되어 발생되는 낙상 사고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지면으로 좌석부(50)를 밀착시킬 수 있게 만들어 낮은 턱에도 문제가 발생되는 중증환자가 보다 간소하게 좌석부(50)에 착석할 수 있게 만들 수 있다.
좌석부(50)는 벨트(40)와 연결된다. 좌석부(50)는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좌석부(50)는 천 재질로 구비되어 사용자가 보다 부드럽게 착석을 할 수 있게 만들며, 기립 보조 장치(100)가 승강 또는 하강하는 경우 사용자의 신체 부위 예를 들면 둔부를 감싸주어 보다 안정적으로 착석할 수 있게 만든다. 또한, 정확하게 착석하지 않는 경우에도 천 재질로 마련되어 중심 이동이 편하기 때문에 낙상 사고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좌석부(50)는 사각형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서, 도 2 및 도 5를 참고하면, 권취부(70)는 벨트(40)와 연결되어 벨트(40)를 권취하고 팔걸이부(10) 하부에 마련되도록 구비된다. 권취부(70)는 벨트(40)를 권취하여 벨트(40)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만든다. 즉 권취부(70)는 팔걸이부(10) 하부에 벨트(40) 개수와 같은 개수로 구비되어 벨트(40)를 권취할 수 있게 만들어 벨트(4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만든다. 이는 벨트(4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만들어 사용자의 체형에 맞춰 보다 편안하게 기립 보조 장치(100)를 이용할 수 있게 만드는 장점이 있다. 즉 본 발명은 구동부(20) 및 권취부(70)를 이용하여 좌석부(50)의 높이를 2가지 방법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체형에 맞춰 기립 보조 장치(100)를 이용할 수 있게 만든다. 보다 상세하게는 권취부(70)는 모터를 더 구비하여 모터의 회전력으로 인하여 권취부(70)를 자동으로 권취시킬 수 있게 만들 수 있으며 모터는 전원공급부(95) 및 입력부(80)와 연결되어 전원공급 및 제어를 수행할 수 있게 만든다. 본 발명은 구동부(20) 및 팔걸이부(10)가 접이식으로 구비되기 때문에 사용자(환자)가 좌석부(50)에 보다 간소하게 착석을 할 수 있게 만든다. 또한, 간병인이 사용자를 기립 보조 장치(100)에 위치시킬 때 팔걸이부(10)가 지면과 가깝게 위치(팔걸이부 및 구동부를 접어)시켜 사용자(환자)가 보다 간소하게 좌석부(50)에 착석할 수 있게 만드는 효과가 있다. 팔걸이부(10)가 높은 위치에 위치되어 있는 경우, 간병인은 팔걸이부(10)로 인하여 사용자(환자)를 정 위치에 위치시키기 어려우나 팔걸이부(10)를 지면 방향으로 접이식으로 구비함으로써, 간병인이 쉽게 사용자를 좌석부(50)에 위치시킬 수 있게 만들어 간병인과 사용자 모두 보다 간소하게 기립 보조 장치(100)를 이용할 수 있게 만든다. 이후 구동부(20) 및 팔걸이부(10)를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켜 기립 보조 장치(100)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기립하는 것을 보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구동부(20)뿐만 아니라 권취부(5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기립을 도와줄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서, 입력부(80)는 팔걸이부(10)에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입력부(80)는 팔걸이부(10) 상부면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간소하게 기립 보조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게 만든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입력부(80)는 버튼방식으로 구비되어 힘이 약한 노약자도 간소하게 이용할 수 있게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서, 이동수단(90)은 지지부(30) 하부에 마련되고, 이동수단(9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95)를 더 포함하여 마련될 수 있다. 전원공급부(95)는 지지부(30)에 마련되어 이동수단(90), 구동부(20) 또는 권취부(7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동수단(90)은 지지부(30) 하부에 4개로 마련되어 기립 보조 장치(100)를 이동시킬 수 있으며, 입력부(80)의 제어로 인하여 각각의 이동수단(90)이 독립적으로 구동되어 방향전환을 실시할 수 있게 만든다. 이는 거동이 불편한 중증 환자, 노약자 또는 장애인의 경우 기립을 보조하는 것뿐만 아니라 근거리를 기립 보조 장치(100)에 의지하여 이동할 수 있어 기립 보조 장치(100)의 사용 효율성을 보다 좋게 만드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서, 도 3을 참고하면, 등받이(110)는 팔걸이부(10)에 마련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등받이는(110) 2개의 바 형태로 마련되는 팔걸이부(10)의 일단과 힌지 연결되어 180도 수평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등받이(110)는 사용자가 좌석부(50)를 이용하여 착석할 때 보다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사용자의 등을 받쳐줄 수 있게 만드는 장점이 있다. 또한, 등받이(110)를 180도 수평 회전이 이동하도록 구비함으로써, 응급 상황에서 사용자를 긴급하게 후송할 시 등받이(110)를 회전 이동시켜 사용자를 기립 보조 장치(100)에서 쉽게 이탈될 수 있게 만들어 응급조치를 보다 신속하게 실시할 수 있게 만든다. 등받이(110)와 팔걸이부(10)는 핀이나 고리와 같은 수단을 이용하여 임의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구비될 수 있다. 등받이(110)를 구비하는 팔걸이부(10)는 “ㄷ” 자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서, 손잡이(120)는 등받이(110)에 마련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손잡이(120)는 등받이(110) 상부에 마련된다. 사용자에게 도움을 주는 간병인이 기립 보조 장치(100)의 손잡이(120)를 이용하여 기립 보조 장치(100)를 이동시킬 수 있게 만든다. 또한, 손잡이(120)는 기립 보조 장치(100) 사용자가 중심을 잡는 보조 수단으로 이용되어 기립 시 사용자가 보다 안전하게 기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만드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러한 손잡이(120)를 이용하여 간병인이 중증 환자, 노약자 또는 장애인과 같은 사용자를 기립 보조 장치(100)에 탑승시킨 상태로 이동시킬 수 있어 보다 효율적으로 기립 보조 장치(100)를 이용할 수 있게 만든다. 손잡이(120)는 등받이(110)에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등받이(110)는 손잡이(120)가 위치될 수 있는 홈을 구비하고 손잡이(120)는 등받이(110)에 마련되는 홈과 체결되어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간소하게 손잡이(120)를 체결하여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만든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서, 도 6을 참고하면, 조명부(130)는 팔걸이부(10) 하부에 마련된다. 조명부(130)는 노인들이 어두운 곳에서 기립 보조 장치(100)를 잘 확인하지 못하여 기립 보조 장치(100)와 충돌 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또한, 어두운 장소에서도 좌석부(50)에 보다 정확하게 착석할 수 있게 만들어 보다 안전하게 기립 보조 장치(100)를 이용할 수 있고, 다른 사람들의 눈에 쉽게 뛰기 때문에 제품의 이용을 보다 간편하게 만드는 장점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조명부(130)는 적외선 센서를 구비하여 기립 보조 장치(100) 인근으로 사용자가 접근하는 경우에 자동으로 조명부(130)가 발광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적외선 센서는 특정 영역 안에서 움직임이 감지되면 조명부(130)가 발광할 수 있게 만들어 별도의 제어가 없이 기립 보조 장치(100) 인근으로 사용자가 접근하면 발광되어 사용을 간편하게 만든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서, 도 7을 참고하면, 버클(410)은 좌석부(50)에 구비되어 벨트(40)와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즉 버클(410)을 이용하여 좌석부(50)는 벨트(40)와 체결되거나 필요시 벨트(40)와 체결을 해제할 수 있게 만들어 보다 사용 효율을 좋게 만드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침대에 누워있는 환자를 기립 보조 장치(100)로 이송하는 경우에 버클(410)을 구비하는 좌석부(50)와 벨트(40)의 체결을 해제한 다음 환자의 둔부에 좌석부(50)를 위치시킨다. 기립 보조 장치(100)에 마련되는 등받이(110)를 180도 회전하여 사용자가 어느 전방 또는 후방 방향으로든지 이동될 수 있게 만든 다음 기립 보조 장치(100)를 환자가 누워있는 침대와 밀착시켜 좌석부(50)와 벨트(40)를 체결한다. 벨트(40)와 연결되는 권취부(70)를 이용하여 좌석부(50)를 견인할 수 있어 적은 수의 간병인과 보다 적은 힘으로 환자를 기립 보조 장치(100)에 위치시킬 수 있게 만들어 기립 보조 장치(100)의 이용 효율성을 좋게 만든다. 일반적으로 거동이 불편한 환자의 경우 일반인 3명 이상이 동원되어야지만 환자를 이동 시킬 수 있었으나, 본 발명을 이용하면 적은 수의 간병인으로 보다 적인 힘을 드려 침대에 위치하고 있는 환자가 기립 보조 장치(100)를 이용할 수 있게 만들어 환자를 돌보는 일에 소요되는 인력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요지와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10 : 팔걸이부, 20 : 구동부,
30 : 지지부, 35 : 지지부홈,
40 : 벨트, 50 : 좌석부,
70 : 권취부, 80 : 입력부,
90 : 이동수단, 95 : 전원공급부,
100 : 기립 보조 장치,
110 : 등받이, 120 : 손잡이,
130 : 조명부,
410 : 버클.

Claims (9)

  1. 팔걸이부(10);
    일단이 상기 팔걸이부(10)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팔걸이부(10)를 상하 이동시키는 구동부(20);
    상기 구동부(20)의 타단과 연결되는 지지부(30);
    상기 지지부(30) 상부에 마련되는 지지부홈(35);
    상기 팔걸이부(10) 하부와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벨트(40) 및
    상기 벨트(40)와 연결되는 좌석부(50)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20)와 상기 지지부(30)는 힌지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20)가 상기 지지부홈(35)에 위치될 수 있도록 구비되며,
    상기 팔걸이부(10)와 상기 구동부(20)는 힌지 연결되어 회전 이동되고,
    상기 벨트(40)와 연결되어 상기 벨트(40)를 권취하고 상기 팔걸이부(10) 하부에 마련되는 권취부(70)를 더 포함하며,
    상기 권취부(70)는 상기 벨트(40)를 권취하여 벨트(40) 길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립 보조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팔걸이부(10)에 구비되는 입력부(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립 보조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부(50)는 천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립 보조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30) 하부에 마련되는 이동수단(90) 및
    상기 이동수단(9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9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립 보조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팔걸이부(10)에 마련되는 등받이(11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등받이(110)는 팔걸이부(10) 일단과 힌지 연결되어 180도 수평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립 보조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110)에 마련되는 손잡이(1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립 보조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팔걸이부(10) 하부에 마련되는 조명부(1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립 보조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부(50)는 상기 벨트(40)와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만드는 버클(410)을 더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립 보조 장치.
KR1020160005315A 2016-01-15 2016-01-15 기립 보조 장치 KR1016236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5315A KR101623699B1 (ko) 2016-01-15 2016-01-15 기립 보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5315A KR101623699B1 (ko) 2016-01-15 2016-01-15 기립 보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3699B1 true KR101623699B1 (ko) 2016-05-23

Family

ID=56104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5315A KR101623699B1 (ko) 2016-01-15 2016-01-15 기립 보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369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4649A (ko) 2018-11-29 2020-06-08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능동 및 수동 겸용 기립 보조 장치
CN112206111A (zh) * 2020-10-29 2021-01-12 马文强 一种护理用上床辅助装置
KR20210073159A (ko) * 2019-12-10 2021-06-18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보행보조기
KR20210103133A (ko) * 2020-02-13 2021-08-23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다용도 기립 보조테이블
KR102658572B1 (ko) 2022-02-03 2024-04-19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휠체어용 기립보조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58386A (ja) * 2012-02-02 2013-08-19 Fuji Mach Mfg Co Ltd 起立動作支援ロボッ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58386A (ja) * 2012-02-02 2013-08-19 Fuji Mach Mfg Co Ltd 起立動作支援ロボット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4649A (ko) 2018-11-29 2020-06-08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능동 및 수동 겸용 기립 보조 장치
KR20210073159A (ko) * 2019-12-10 2021-06-18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보행보조기
KR102295864B1 (ko) * 2019-12-10 2021-08-30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보행보조기
KR20210103133A (ko) * 2020-02-13 2021-08-23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다용도 기립 보조테이블
KR102381738B1 (ko) * 2020-02-13 2022-03-31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다용도 기립 보조테이블
CN112206111A (zh) * 2020-10-29 2021-01-12 马文强 一种护理用上床辅助装置
KR102658572B1 (ko) 2022-02-03 2024-04-19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휠체어용 기립보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11044A (en) Patient transfer walker
KR101623699B1 (ko) 기립 보조 장치
US20060162069A1 (en) Lifting and transfer apparatus
US6880186B2 (en) Arrangement in a bed for a disabled person, and a bed provided with the said arrangement
JPH06142144A (ja) 病人移送装置
JPH09570A (ja) 姿勢変換装置および姿勢変換方法
JP2007181639A (ja) 起立補助椅子
JP2000140029A (ja) 自立用の椅子
JP6302769B2 (ja) 離着座補助装置
KR101545158B1 (ko) 접이식 전동 휠체어
JP2003180754A (ja) 車椅子
US7661696B1 (en) Wheeled chair
JP2006325868A (ja) 起立移動補助装置
KR101462378B1 (ko) 리프트가 구비된 휠체어
KR20110121168A (ko) 재활치료 환자를 위한 다기능 전동식 보행기
US11071664B2 (en) Wheelchair for transferring a patient to an automobile
KR20190052370A (ko) 침대 및 욕조 기능을 갖는 휠체어
KR102423485B1 (ko) 승강과 이동이 가능한 하지마비 환자용 자동 승강-이동 체어 장치
JPH08196573A (ja) 介護移動装置
JP4202199B2 (ja) 電動車椅子
JPH09168566A (ja) 車椅子
JP2021094356A (ja) 介護用補助装置
JP2001129032A (ja) 介護補助装置
US20080143075A1 (en) Therapeutic wheelchair system
JP2020075084A (ja) 肢体不自由者用の用便介助トイ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