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5614A - 구조개선형 배선차 - Google Patents

구조개선형 배선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5614A
KR20220015614A KR1020200095832A KR20200095832A KR20220015614A KR 20220015614 A KR20220015614 A KR 20220015614A KR 1020200095832 A KR1020200095832 A KR 1020200095832A KR 20200095832 A KR20200095832 A KR 20200095832A KR 20220015614 A KR20220015614 A KR 202200156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door
hinge
storage room
vehic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5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4419B1 (ko
Inventor
최수칠
Original Assignee
최수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수칠 filed Critical 최수칠
Priority to KR10202000958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4419B1/ko
Publication of KR20220015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56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4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44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1/00Service or tea tables, trolleys, or wagons
    • A47B31/001Service or tea tables, trolleys, or wagons with devices for laying, clearing, cleaning, or the like, a t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14Carriers for prepared human foo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1/00Service or tea tables, trolleys, or wagons
    • A47B2031/002Catering trolley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1/00Service or tea tables, trolleys, or wagons
    • A47B2031/003Service or tea tables, trolleys, or wagons with drawers, trays or she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개선형 배선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납실 개폐도어의 힌지구조 및 식판 거치대의 장착구조를 포함한 장치 전반의 구조적 개선을 통해 단체급식 배선작업에서의 장치활용성 증대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한 구조개선형 배선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 식판의 적재를 위한 수납실이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수납실을 여닫는 개폐도어가 외부에 힌지결합되는 차체; 상기 차체의 각 모서리부에 장착되며 상기 개폐도어와 연결된 상태로 상기 개폐도어의 힌지동작을 주관하되, 상기 개폐도어의 개방시 상기 개폐도어가 상기 차체 측면에 대응밀착하는 270°각도의 회전동작을 이루도록 한 힌지수단; 및, 다수 식판의 적재를 위해, 상기 수납실의 각 내벽면에 장착되되, 해체 가능한 착탈식으로 조립결합되는 다수의 거치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구조개선형 배선차{STRUCTURE IMPROVEMENT TYPE CARRIED CAR}
본 발명은 구조개선형 배선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납실 개폐도어의 힌지구조 및 식판 거치대의 장착구조를 포함한 장치 전반의 구조적 개선을 통해 단체급식 배선작업에서의 장치활용성 증대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한 구조개선형 배선차에 관한 것이다.
산업화(産業化, [industrialization)로 인한 경제발전(經濟發展, economic development)과 함께 맞벌이 부부의 증가, 여성의 사회진출 및 핵가족화 등과 같은 우리네 생활환경의 변화로 식생활(食生活, dietary life) 패턴 역시 많은 변화를 가져왔는 바, 그 변화의 중심인 급식·외식산업은 가정식을 대체하면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급식·외식산업의 규모는 1990년 약 18조원에서 2019년 약 136조원으로 7.5배 이상 증가할 만큼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특히나, 단체급식시장은 2019년 16조원에 달할 정도로 시장규모가 커지고 있으며, 학교급식뿐만 아니라 산업체, 실버타운, 사회복지시설, 공공기관 및 병원 등에서 다양하게 발전하는 추세이다.
단체급식(團體給食, institutional food service)의 목적은, 급식을 이용하는 사람들이 고른 영양소를 섭취할 수 있는 식단을 짜고 해당 식단에 맞춰 조리한 음식을 제공, 급식이용자들의 건강을 유지 및 증진시켜 양질의 생산적 활동을 할 수 있게 돕는 것이다.
한편, 대부분의 단체급식은 배선(配膳, 음식물을 피급식자에게 배분하는 것)의 특성상 식판배식(distribute food with food tray)으로 진행되므로, 신속하고 편리하게 배선할 요량으로 다수의 식판을 단번에 적재(積載)·운반 가능한 배선차(配膳車 / 또는 배식차, 배식카트, 식판운반차라 달리 부르기도 함)를 통상적으로 활용한다.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69865호를 통해, 병원, 호텔 등에서 입원환자나 투숙객들에게 공급하는 식판을 다수개 적층하여 운반하는 단체급식용 식판 냉온 배선카가 개시된 바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단체급식용 식판 냉온 배선카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사시도로써, 종래의 단체급식용 식판 냉온 배선카(9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부에 바퀴(910)(910')가 설치되고 양측면에 손잡이(920)가 부착되며, 내부의 식판수납실 각 내벽면에 식판받침대(930)(930')를 일정간격으로 대설하고, 식판수납실의 내부에는 식판받침대(930)(930')의 상하 간격과 일치하는 높이의 누름판을 끼워 붙인 구획판(940)(940')을 적층시켜 내부의 식판수납실이 냉동장치 시스템에 의해 작동되는 냉장실(950)과 가열히터로서 가온되는 온장실(960)로 구획되게 하고, 냉장실(950)과 온장실(960)의 전후면에 열고 닫는 개폐문(970)을 부착하여 구성된다.
종래 기술에 의하면, 바퀴(910)(910')와 손잡이(920)를 설치하여 사람이 밀어서 운반할 수 있고, 식판수납실을 냉장실(950)과 온장실(960)로 구획하여 찬 음식과 더운 음식을 구분해서 수납(적재)함을 통해 입원환자나 투숙객들에게 보다 나은 음식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상기 식판수납실의 개방을 위해 개폐문(970)을 열게 되면 그 개폐문(970)이 180°로 펼쳐지는 구조적 관계상, 상기 개폐문(970)을 열어둘 경우 주변공간이 협소해져 급식담당자의 배선활동을 간섭하는 문제가 있고, 여러 급식이용자들(입원환자, 투숙객)에게 음식을 담은 식판(980)을 가져다주는 반복적인 배선작업에서 급식담당자의 신체부상을 초래함과 더불어 그로 인한 개폐문(970) 파손 등의 문제가 있어 왔다.
또한, 상기 개폐문(970)이 통상의 경첩(hinge)에 의한 단순 힌지구조를 이루는 관계상, 개폐문(970)의 잦은 개폐시 소음발생이 심화될 수밖에 없을 뿐더러 경첩 노후화로 인한 기기고장과 장치수명의 단축을 유발하며 그에 따른 유지보수의 부담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어 왔다.
더하여, 식판의 적재를 위한 상기 식판받침대(930)(930')가 식판수납실의 각 내벽면에 일체로 결합되는 구조적 관계상, 반복적인 배선과정에서 상기 식판수납실에 축적되는 내부오염원(음식물 찌꺼기 등)의 제거를 위한 내부청소(식판수납실 청소)작업에 불편을 초래하여 청결상태를 유지하기가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결국, 개폐문(이하 "개폐도어"라 함)을 포함한 장치 전반에 걸친 구조적 개선을 통해, 급식담당자의 배선작업 편의성을 높이고 작업자(급식담당자) 안전사고의 예방과 장치수명의 단축을 억제함에 더해 청결유지를 위한 내부청소가 수월토록 하여 보다 효율적인 취급, 관리, 운영이 가능하게 하는 배선차의 연구개발이 절실하다.
(문헌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69865호(1999.11.23. 등록) (문헌 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12195호(1997.10.22. 등록) (문헌 3)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50480호(2001.10.04.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수의 식판이 적재되는 수납실 개방/폐쇄의 개폐도어 열림시 그 도어가 치체 측면에 대응밀착되도록 함을 통해, 개폐도어 열림시에도 장치(배선차)의 공간점유율이 최소화되고 그로써 작업자(급식담당자 등)의 작업편의를 도모하는 한편 개폐도어 열림으로 야기되는 안전사고 및 장치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개선형 배선차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개폐도어와 더불어 다수의 식판 적재(적층식 수납)에 필요한 거치수단의 조립결합구조 변경을 통해, 수납실의 청결상태 유지를 위한 장치의 내부청소가 보다 수월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개선형 배선차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작업자 컨틀롤에 의한 장치주행에 필요한 구름수단의 기능개선을 통해, 장치의 직진주행성과 방향전환주행성 및 제자리 360°회전 등 장치주행 전반에 걸친 성능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개선형 배선차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수 식판의 적재를 위한 수납실이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수납실을 여닫는 개폐도어가 외부에 힌지결합되는 차체; 상기 차체의 각 모서리부에 장착되며 상기 개폐도어와 연결된 상태로 상기 개폐도어의 힌지동작을 주관하되, 상기 개폐도어의 개방시 상기 개폐도어가 상기 차체 측면에 대응밀착하는 270°각도의 회전동작을 이루도록 한 힌지수단; 및, 다수 식판의 적재를 위해, 상기 수납실의 각 내벽면에 장착되되, 해체 가능한 착탈식으로 조립결합되는 다수의 거치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체는, 상기 수납실을 내부에 마련한 함체형 구조로써, 상기 개폐도어를 포함하여, 상기 수납실의 하부를 마감하는 하판, 상기 수납실의 상부를 마감하는 상판, 상기 하판 및 상기 상판의 각 모서리부를 수직으로 연결하여 상기 상판을 지탱하는 다수의 수직프레임, 상기 수납실의 측벽을 형성하는 복수의 측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하판 아래에는, 장치운반시 상기 하판과 상기 상판 및 상기 수직프레임과 상기 측판을 주변시설물로부터 이격시키는 베이스플레이트가 더 구성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아래에는, 장치주행에 필요한 구름수단이 장착된다.
더하여, 상기 힌지수단은, 상기 차체의 수직프레임 상측에 배치장착되고 상기 개폐도어의 상측 모서리부를 연결한 상태로, 상기 개폐도어의 힌지동작을 주관하는 제1경첩과, 상기 차체의 베이스플레이트 모서리부 상단에 구비되며 상기 개폐도어의 하측 모서리부를 연결한 상태로, 상기 개폐도어의 힌지동작을 주관하는 제2경첩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거치수단은, 다수 식판의 적재를 위해 상기 수납실 내부에서 상호 일정간격을 두고 종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트레이랙과, 상기 트레이랙들이 일체로 조립결합되며 상기 수납실 내부에서 상기 차체의 수직프레임에 장착되되, 필요시 착탈 가능한 상태로 조립결합되는 복수의 마운트앵글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정해진 위치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상기 마운트앵글을 지지고정하는 다수의 서포트홀더로 구성된다.
더하여, 상기 개폐도어는, 상기 수납실로의 식판 투입과 배출의 편의도모를 위해, 상기 차체의 일측 또는 양측 모두에 선택적으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는, 장치주행 도중 발생할 수 있는 주변시설물과의 충돌에 대응하여 완충작용을 나타내는 바퀴형의 범퍼가 각 모서리부위에 장착된다.
더하여, 상기 구름수단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중앙부 하측에 배치된 상태로 장치의 직선주행을 돕는 2개의 비회전식 주행캐스터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각 모서리부 하측에 배치된 상태로 장치의 방향전환주행을 돕는 4개의 회전식 조향캐스터로 조합된다.
또한, 상기 제1경첩은, 상기 수직프레임의 외단부에 부착결합되는 픽스브래킷과, 상기 픽스브래킷의 상단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개폐도어 힌지동작의 중심을 형성하는 힌지축과, 상기 개폐도어에 부착결합되며 상기 힌지축에 연계조립된 상태로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한 상기 개폐도어의 힌지동작을 안내하는 턴브래킷과, 상기 픽스브래킷과 상기 힌지축 및 상기 턴브래킷에 연계된 상태로 상기 개폐도어의 힌지동작을 제어하는 한편 상기 픽스브래킷과 상기 힌지축 및 상기 턴브래킷 간 마찰손을 억제하는 축받이로 구성된다.
더하여, 상기 제2경첩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모서리부 상단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개폐도어 힌지동작의 중심을 형성하는 힌지축과, 상기 개폐도어에 부착결합되며 상기 힌지축에 연계조립된 상태로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한 상기 개폐도어의 힌지동작을 안내하는 턴브래킷과, 상기 힌지축 및 상기 턴브래킷에 연계된 상태로 개폐도어의 힌지동작을 제어하는 한편 상기 힌지축 및 상기 턴브래킷 간 마찰손을 억제하는 축받이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마운트앵글은, 상기 수직프레임의 일면에 밀착되고 상기 서포트홀더에 지지고정되는 체결부와, 상기 트레이랙의 일면이 밀착결합되는 밀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밀착부에는, 상기 서포트홀더가 삽입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결속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위치마다 절개되며, 상기 결속홈의 절개로 상기 서포트홀더에 걸림되는 구속후크가 형성된다.
더하여, 상기 턴브래킷은, 상기 개폐도어의 모서리부위에 대응하여 밀착결합되는 체결부와, 상기 힌지축이 관통조립되는 힌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힌지부는, 상기 개폐도어를 닫았을 때 상기 차체를 바라보는 일측으로 편향됨으로써, 상기 힌지축의 관통삽입위치가 상기 체결부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편차를 가진다.
또한, 상기 축받이는, 상기 턴브래킷에 끼워맞춤되고 상기 힌지축을 둘러 감싼 상태로 상기 개폐도어 힌지동작시의 상기 턴브래킷 유동을 방지하는 동시에 상기 턴브래킷과 상기 힌지축의 상호마찰을 차단하는 피벗부시와, 상기 힌지축을 둘러 상기 픽스브래킷 상에 안착되고 상기 피벗부시의 바닥면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피벗부시의 부하회전을 유발하여, 상기 턴브래킷에 의한 상기 개폐도어의 회전동작이 일정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픽스브래킷과 상기 턴브래킷의 상호마찰을 차단하는 그라운드패드로 구성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구조개선형 배선차는, 다수의 식판이 적재(적층식 수납)되는 차체 내 수납실의 개방과 폐쇄를 위한 개폐도어가 힌지수단에 의거 차체의 측판에 대응밀착하는 형태로 270°각도의 힌지(개폐)동작을 이루게 됨으로써, 개폐도어 열림시에도 주변공간을 차지하지 않아 좁은 공간에서의 배선작업 능률을 높여주는 효과가 있고, 또한 상기 힌지수단에 의해 개폐도어의 힌지동작이 정밀하고 견고케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장치주행의 구름수단을 구성하는 2개의 비회전식 주행캐스터와 4개의 회전식 조향캐스터에 의해 장치운반이 보사 수월하게 되는 효과가 있고, 하판의 하측에 구비되는 베이스플레이트의 각 모서리부위에 장착된 범퍼가 주변시설물 충돌시의 충격을 흡수(완충)하여 장치 및 주변시설물 파손 등의 피해를 최소화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이와 함께, 수납실을 개방/폐쇄하는 개폐도어 그리고 다수 식판의 적재를 위한 상기 거치수단이 무볼팅(non-bolting) 조립결합구조를 이룸에 따라 차체로부터의 개폐도어 분리와 더불어 수납실의 각 내벽면에 구비(장착)된 거치수단들의 분리가 용이함에 따른 장치활용성 제공은 물론이거니와 청결상태 유지를 위한 상기 수납실 청소가 보다 용이한 효과가 있고, 이러한 각종 효과의 달성으로 단체급식시장이 학교급식뿐만 아니라 산업체, 실버타운, 사회복지시설, 공공기관 및 병원 등에서 다양하게 발전하는 추세에 있는 지금, 편리한 장치사용성 제공에 따른 배선차의 효과적인 취급, 관리, 운영이 가능하고 이로써 격조높은 급식서비스 환경의 조성과 아울러 그에 따른 관련산업의 발전 및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아주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단체급식용 식판 냉온 배선카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사시도.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개선형 배선차의 외부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와 정면도 및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조개선형 배선차에 있어서, 개폐도어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개선형 배선차에 있어서, 개폐도어의 개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개선형 배선차에 있어서, 범퍼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요부사시도.
도 6(a)(b)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개선형 배선차에 있어서, 힌지수단(제1경첩)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와 분해사시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구조개선형 배선차에 있어서, 차체의 수직프레임과 거치수단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요부사시도와 요부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개선형 배선차에 있어서, 거치수단 중 마운트앵글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요부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구조개선형 배선차의 수납실에 식판이 적재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구조개선형 배선차에 있어서, 개폐도어의 개방관계를 나타낸 작동상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첨부도면 중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개선형 배선차의 외부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와 정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조개선형 배선차에 있어서 개폐도어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개선형 배선차에 있어서 개폐도어의 개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개선형 배선차에 있어서 범퍼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요부사시도이며, 도 6(a)(b)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개선형 배선차에 있어서 힌지수단(제1경첩)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와 분해사시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구조개선형 배선차에 있어서 차체의 수직프레임과 거치수단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요부사시도와 요부분해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개선형 배선차에 있어서 거치수단 중 마운트앵글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요부사시도이다.
도 2a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구조개선형 배선차(A)는, 다수 식판의 적층배치식(積層配置式) 수납(이하 "적재"라 함)을 위한 수납실(1a)이 내부에 마련되고 그 수납실(1a)을 여닫는 개폐도어(10)가 외부에 힌지결합되는 차체(1)와, 상기 차체(1)의 각 모서리부에 장착되고 상기 개폐도어(10)와 연결된 상태로 개폐도어(10)의 힌지(개폐)동작을 주관하되 상기 개폐도어(10)의 개방시 그 개폐도어(10)가 차체(1) 측면에 대응밀착하는 270°각도의 회전동작을 이루도록 한 힌지수단(2)과, 다수 식판의 적재를 위해 상기 수납실(1a)의 각 내벽면에 장착되되 필요시 해체 가능한 착탈식(着脫式)으로 조립결합되는 다수의 거치수단(3)을 포함한다.
차체(1)는, 다수의 식판을 단번에 적재할 수 있는 공간부 마련을 위한 것으로, 다수 식판 적재의 상기 수납실(1a)을 마련한 함체형(函體型, box type) 구조를 이루는 한편, 수납실(1a) 개방/폐쇄의 상기 개폐도어(10)를 포함하여, 상기 수납실(1a)의 하부를 마감하는 하판(11)과, 상기 수납실(1a)의 상부를 마감하는 상판(12)과, 상기 하판(11) 및 상판(12)의 각 모서리부를 수직으로 연결하여 상기 상판(12)을 지탱하는 다수의 수직프레임(13)과, 상기 수납실(1a)의 측벽을 형성하는 복수의 측판(14)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판(11) 아래에는 장치(배선차)운반시 상기 하판(11)과 상판(12) 및 수직프레임(13)과 측판(14)을 주변시설물로부터 이격시키는 베이스플레이트(15)가 더 구성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5) 아래에는 장치주행에 필요한 구름수단(16)이 장착된다.
상기 개폐도어(10)는, 수납실(1a)로의 식판 투입과 배출의 편의을 도모하기 위해, 차체(1)의 일측(전방) 또는 양측(전방 및 후방) 모두에 설치할 수 있음이 가능하다.
상기 수직프레임(13)은, 측벽을 형성하는 상기 측판(14)의 조립편의를 고려하여 각파이프 형태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급식담당자(이하 "작업자"라 함)에 의한 장치운반의 편의를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운전핸들(13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5)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주행 도중 발생할 수 있는 주변시설물과의 충돌에 대응한 완충작용을 나타내는 바퀴형의 범퍼(151)가 각 모서리부위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구름수단(16)은, 베이스플레이트(15)의 중앙부 하측에 배치된 상태로 장치의 직선주행을 돕는 2개의 비회전식 주행캐스터(161)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5)의 각 모서리부 하측에 배치된 상태로 장치의 방향전환주행을 돕는 4개의 회전식 조향캐스터(162)로 조합됨이 바람직하다.
힌지수단(2)은, 상기 차체(1) 내 수납실(1a) 개방/폐쇄의 개폐도어(10) 힌지동작을 주관하기 위한 것으로, 도 2b와 도 5 및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1)의 수직프레임(13) 상측에 배치장착되고 상기 개폐도어(10)의 상측 모서리부를 연결한 상태로 개폐도어(10)의 힌지동작을 주관하는 제1경첩(2-1)과, 상기 차체(1)의 베이스플레이트(16) 모서리부 상단에 구비되며 개폐도어(10)의 하측 모서리부를 연결한 상태로 상기 개폐도어(10)의 힌지동작을 주관하는 제2경첩(2-2)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경첩(2-1)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1)의 상기 수직프레임(13) 외단부에 부착결합되는 픽스브래킷(21)과, 상기 픽스브래킷(21)의 상단으로부터 돌출되어 개폐도어(10) 힌지동작의 중심을 형성하는 힌지축(22)과, 상기 개폐도어(10)에 부착결합되며 상기 힌지축(22)에 연계조립된 상태로 그 힌지축(22)을 중심으로 한 개폐도어(10)의 힌지동작을 안내하는 턴브래킷(23)과, 상기 픽스브래킷(21)과 힌지축(22) 및 턴브래킷(23)에 연계된 상태로 개폐도어(10)의 힌지동작을 제어하는 한편 구성요소(픽스브래킷, 힌지축, 턴브래킷)간 마찰손(摩擦損, friction loss)을 억제하는 축받이(24)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픽스브래킷(21)은, "ㄱ"자 형태로 절곡됨에 따라, 상기 수직프레임(13)의 일면에 부착결합되는 체결부(211)와, 상기 힌지축(22)이 거치결합되는 지지부(21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턴브래킷(23)은, 상기 개폐도어(10)의 모서리부위에 대응하여 밀착결합되는 체결부(231)와, 상기 힌지축(22)이 관통조립되는 힌지부(232)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힌지부(232)는 개폐도어(10)를 닫았을 때 차체(1)를 바라보는 일측으로 편향(偏向)됨으로써 상기 힌지축(22)의 관통삽입위치가 상기 체결부(231)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편차(D)를 갖는 바, 이는 상기 개폐도어(10)에 의한 수납실(1a)의 완벽폐쇄는 물론 개폐도어(10)를 열었을 때 그 개폐도어(10)가 상기 차체(1)의 측판(14)에 완벽밀착을 이루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축받이(24)는, 상기 턴브래킷(23)의 힌지부(232)에 끼워맞춤되고 상기 힌지축(22)을 둘러 감싼 상태로 개폐도어(10) 힌지동작시의 상기 턴브래킷(23) 유동을 방지하며 그 턴브래킷(23)과 힌지축(22)의 상호마찰을 차단하는 피벗부시(241)와, 상기 힌지축(22)을 둘러 상기 픽스브래킷(21)의 지지부(212) 상에 안착되고 상기 피벗부시(241)의 바닥면에 밀착된 상태로 피벗부시(241)의 부하회전을 유발하여 상기 턴브래킷(23)에 의한 상기 개폐도어(10)의 회전동작이 일정하도록 제어하며 픽스브래킷(21)과 턴브래킷(23)의 상호마찰을 차단하는 그라운드패드(242)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피벗부시(241)에는, 픽스브래킷(21)과 턴브래킷(23)의 상호마찰을 방지하는 단턱(241-1)이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그라운드패드(242)는, 상기 턴브래킷(23)에 끼워맞춤된 상태로 그 턴브래킷(23)을 따라 회전되는 특성을 감안한 고무 등의 연질소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경첩(2-2)은, 차체(1)의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5) 모서리부 상단으로부터 돌출되어 개폐도어(10) 힌지동작의 중심을 형성하는 힌지축(22')과, 상기 개폐도어(10)에 부착결합되며 상기 힌지축(22')에 연계조립된 상태로 그 힌지축(22')을 중심으로 한 개폐도어(10)의 힌지동작을 안내하는 턴브래킷(23')과, 상기 힌지축(22') 및 턴브래킷(23')에 연계된 상태로 개폐도어(10)의 힌지동작을 제어하는 한편 구성요소(힌지축, 턴브래킷)간 마찰손을 억제하는 축받이(24')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힌지축(22')과 턴브래킷(23') 및 축받이(24')는, 상기 제1경첩(2-1)의 힌지축(22)과 턴브래킷(23) 및 축받이(24)와 구성이 동일한 바, 이들 구성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거치수단(3)은, 다수의 식판을 상기 수납실(1a)에 적재 가능토록 하기 위한 것으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식판의 적재를 위해 수납실(1a) 내부에서 상호 일정간격을 두고 종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트레이랙(31)과, 상기 트레이랙(31)들이 일체로 조립결합되며 상기 수납실(1a) 내부에서 수직프레임(13)에 장착되되 필요시 착탈 가능한 상태로 조립결합되는 복수의 마운트앵글(32)과, 상기 수직프레임(13)의 정해진 위치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상기 마운트앵글(32)을 지지고정하는 다수의 서포트홀더(33)로 구성된다.
상기 트레이랙(31)은, 상기 마운트앵글(32)의 일면에 밀착결합되는 한편 식판의 가장자리 안착거치가 가능한 형태인 "ㄴ"자형 단면구조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운트앵글(32)은, 차체(1)의 상기 수직프레임(13) 일면에 밀착되고 서포트홀더(33)에 지지고정되는 체결부(321)와, 상기 트레이랙(31)의 일면이 밀착결합되는 밀착부(32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밀착부(322)에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포트홀더(33)가 삽입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결속홈(322a)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위치마다 절개되어 있고, 상기 결속홈(322a)의 절개로 상기 서포트홀더(33)에 걸림되는 구속후크(322-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서포트홀더(33)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밀착부(322)의 이탈방지를 위한 복수의 확장테(331)가 둘레면 양측 끝단부로부터 각각 돌출되어 있다.
미 설명부호, (m)은 볼트(bolt)·스크루(screw / 나사) 등과 같이 기계부품을 고정하는데 사용하는 체결부재이고, (t)는 음식(밥, 국, 찬)을 담을 수 있게 오목하게 칸을 나누어 만든 식판(food tray)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되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개선형 배선차(A)의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구조개선형 배선차에 식판이 적재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구조개선형 배선차에 있어서 개폐도어의 개방관계를 나타낸 작동상태도이다.
먼저, 식판배식으로 진행되는 단체급식에서의 신속하고 편리한 배선을 목적하여 다수의 식판을 단번에 적재·운반이 가능한 본 발명의 구조개선형 배선차(A)을 활용한다.
이를 위해, 단체급식 이용자들에게 제공(배선)할 음식을 담은 다수의 식판(t)을 차체(1) 내 수납실(1a)에 적재하는 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체(1)에 힌지결합된 개폐도어(10)를 열어 상기 수납실(1a)을 개방하고, 그 수납실(1a)의 각 내벽면에 구비된 거치수단(3) 중 각각의 트레이랙(31)에 식판(t)을 거치시키는 과정으로 다수의 식판(t)을 적재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최초 수납실(1a)을 폐쇄하도록 닫혀있던 상기 개폐도어(10)를 힌지동작시켜 상기 수납실(1a)이 개방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힌지동작하는 개폐도어(10)는 차체(1)의 각 모서리부에 장착되고 상기 개폐도어(10)와 연결된 힌지수단(2)에 의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체(1)의 측판(14)에 대응밀착하는 상태로 270°각도의 회전동작을 이루게 되므로 공간을 차지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수납실(1a)의 개방을 위한 개폐도어(10)가 상기 차체(1)의 일측(전방) 또는 양측(전방과 후방) 모두에 설치될 수 있는 바, 이를 통해 상기 수납실(1a)로의 식판(t) 투입과 배출의 작업편의성 달성 및 보다 향상된 작업접근성을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개폐도어(10)의 힌지동작을 주관하는 상기 힌지수단(2)의 제1경첩(2-1) 및 제2경첩(2-2)에 구성된 축받이(24)(24')에 의해 개폐도어(10)의 힌지동작이 정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개폐도어(10)의 회전중심을 형성하는 힌지축(22)(22')을 두른 상태로 상기 제1경첩(2-1)의 픽스브래킷(21) 상단과 상기 차체(1)의 베이스플레이트(15) 상단에 각각 안착된 그라운드패드(242)들이 개폐도어(10)의 힌지동작을 안내하는 피벗부시(241)의 부하회전을 유발하고 그에 따라 상기 턴브래킷(23) 회전에 의한 개폐도어(10)의 힌지동작이 정밀하게 제어됨으로써 별도의 잠금장치가 불필요하게 되는 것과 아울러 상기 개폐도어(10) 힌지동작에서의 소음발생 및 구성요소(픽스브래킷, 힌지축, 축받이)간 마찰손이 억제될 수 있는 것이다.
계속해서, 앞서 설명한 과정에 의거 상기 수납실(1a) 안으로 다수의 식판(t)을 적재시킨 다음에는, 상기 차체(1)의 측판(14)과 대응밀착한 상태로 열려있는 개폐도어(10)를 역으로 회전시켜 수납실(1a)이 폐쇄되도록 개폐도어(10)를 닫아 상기 수납실(1a)에 적재된 식판(t)들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한 상태에서 본 발명의 구조개선형 배선차(A)를 배선장소로 운반하게 되는 바, 이러한 장치운반은 상기 차체(1)의 수직프레임(13)에 장착된 운전핸들(131)을 작업자가 손으로 붙잡고 원하는 방향으로 밀거나 끌어당기는 행위를 통해 이룰 수 있으며, 이때의 장치주행은 차체(1)의 베이스플에이트(15) 하측에 장착된 구름수단(16)의 동작(구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상기 구름수단(16) 중 상기 페이스플레이트(15)의 중앙부 하측에 배치된 2개의 비회전식 주행캐스터(161)에 의해 장치의 직진주행과 제자리 360°회전이 가능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5)의 각 모서리부 하측에 배치된 4개의 회전식 조향캐스터(162)에 의해 장치의 방향전환주행이 가능함에 따라 장치주행이 더욱 수월케 된다.
또한, 전술한 바에 따른 장치주행과정에서 주변시설물에 장치가 충돌하는 경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5)의 각 모서리부에 장착된 범퍼(151)가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작용을 나타내게 됨으로써 충돌충격에 따른 피해(장치 및 주변시설물 파손 등)가 최소화될 수 있다.
한편, 작업자의 필요에 따라 상기 개폐도어(10)를 차체(1)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는 바, 상기 힌지수단(2)의 제1,2경첩(2-1)(2-2)을 구성하는 픽스브래킷(21)과 힌지축(22)(22') 및 턴브래킷(23)(23') 그리고 피벗부시(24)(24')가 단순 끼워맞춤의 무볼팅 조립구조이므로, 공구의 이용없이 상기 개폐도어(10)를 들어올리는 행위만으로도 손쉽게 분리해 낼 수 있다.
또한, 배선작업의 지속 및 반복으로 상기 수납실(1a)에 계속적으로 축적되는 오염물질(음식물 찌꺼기, 먼지 등)의 제거를 위한 장치 내부청소를 위해 상기 거치수단(3)을 수납실(1a)로부터 분리해 낼 수 있는 바, 이는 거치수단(3)의 마운트앵글(32)을 들어올려 상기 마운트앵글(32)의 결속홈(322a)에 삽입된 서포트홀더(33)가 분리되어 차체(1)의 수직프레임(13)들로부터 마운트앵글(32)가 해체되도록 함을 통해 다수의 트레이랙(31)을 차체(1)의 내부(수납실)로부터 분리인출함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정리하여, 본 발명의 구조개선형 배선차(A)에 의하면, 수납실(1a)의 개방과 폐쇄를 위한 개폐도어(10)가 상기 힌지수단(2)에 의거 차체(1)의 측판(14)에 대응밀착하는 형태로 270°각도의 힌지(개폐)동작을 이루게 됨으로써, 상기 개폐도어(10) 열림시에도 주변공간을 차지하지 않아 좁은 공간에서의 배선작업 능률을 높여주는 효과가 있고, 또한 힌지수단(2)에 의해 개폐도어(10)의 힌지동작이 정밀하고 견고케 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또한, 구름수단(16)을 구성하는 2개의 비회전식 주행캐스터(161)와 4개의 회전식 조향캐스터(162)에 의해 장치운반이 보사 수월하게 되는 효과, 베이스플레이트(15)의 각 모서리부위에 장착된 범퍼(151)가 주변시설물 충돌시의 충격을 흡수(완충)하여 장치 및 주변시설물 파손 등의 피해를 최소화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수납실(1a)을 개방/폐쇄하는 개폐도어(10) 및 다수 식판(t)의 적재를 위한 상기 거치수단(3)이 무볼팅(non-bolting) 조립결합구조를 이룸에 따라, 차체로부터의 상기 개폐도어(10) 분리와 더불어 수납실(1a)의 각 내벽면에 구비(장착)된 거치수단(3)들의 분리가 용이하게 됨에 따른 장치활용성 제공은 물론이거니와 청결상태 유지를 위한 상기 수납실(1a) 청소가 보다 용이케 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과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A : 배선차, 1 : 차체
1a : 수납실, 2 : 힌지수단
2-1 : 제1경첩, 2-2 : 제2경첩
3 : 거치수단, 10 : 개폐도어
11 : 하판, 12 : 상판
13 : 수직프레임, 14 : 측판,
15 : 베이스플레이트, 16 : 구름수단
21 : 픽스브래킷, 22, 22' : 힌지축
23, 23' : 턴브래킷, 24, 24' : 축받이
31 : 트레이랙, 32 : 마운트앵글
33 : 서포트홀더, 131 : 운전핸들
151 : 범퍼, 161 : 주행캐스터
162 : 조향캐스터, 211, 231, 321 : 체결부
212 : 지지부, 232 : 힌지부
241 : 피벗부시, 241-1 : 단턱
242 : 그라운드패드, 322 : 밀착부
322a : 결속홈, 322-1 : 구속후크
331 : 확장테

Claims (12)

  1. 다수 식판의 적재를 위한 수납실이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수납실을 여닫는 개폐도어가 외부에 힌지결합되는 차체;
    상기 차체의 각 모서리부에 장착되며 상기 개폐도어와 연결된 상태로 상기 개폐도어의 힌지동작을 주관하되, 상기 개폐도어의 개방시 상기 개폐도어가 상기 차체 측면에 대응밀착하는 270°각도의 회전동작을 이루도록 한 힌지수단; 및,
    다수 식판의 적재를 위해, 상기 수납실의 각 내벽면에 장착되되, 해체 가능한 착탈식으로 조립결합되는 다수의 거치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개선형 배선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는, 상기 수납실을 내부에 마련한 함체형 구조로써, 상기 개폐도어를 포함하여, 상기 수납실의 하부를 마감하는 하판, 상기 수납실의 상부를 마감하는 상판, 상기 하판 및 상기 상판의 각 모서리부를 수직으로 연결하여 상기 상판을 지탱하는 다수의 수직프레임, 상기 수납실의 측벽을 형성하는 복수의 측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하판 아래에는, 장치운반시 상기 하판과 상기 상판 및 상기 수직프레임과 상기 측판을 주변시설물로부터 이격시키는 베이스플레이트가 더 구성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아래에는, 장치주행에 필요한 구름수단이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개선형 배선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수단은, 상기 차체의 수직프레임 상측에 배치장착되고 상기 개폐도어의 상측 모서리부를 연결한 상태로, 상기 개폐도어의 힌지동작을 주관하는 제1경첩과,
    상기 차체의 베이스플레이트 모서리부 상단에 구비되며 상기 개폐도어의 하측 모서리부를 연결한 상태로, 상기 개폐도어의 힌지동작을 주관하는 제2경첩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개선형 배선차.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수단은, 다수 식판의 적재를 위해 상기 수납실 내부에서 상호 일정간격을 두고 종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트레이랙과,
    상기 트레이랙들이 일체로 조립결합되며 상기 수납실 내부에서 상기 차체의 수직프레임에 장착되되, 필요시 착탈 가능한 상태로 조립결합되는 복수의 마운트앵글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정해진 위치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상기 마운트앵글을 지지고정하는 다수의 서포트홀더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개선형 배선차.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도어는, 상기 수납실로의 식판 투입과 배출의 편의도모를 위해, 상기 차체의 일측 또는 양측 모두에 선택적으로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개선형 배선차.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는, 장치주행 도중 발생할 수 있는 주변시설물과의 충돌에 대응하여 완충작용을 나타내는 바퀴형의 범퍼가 각 모서리부위에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개선형 배선차.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름수단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중앙부 하측에 배치된 상태로 장치의 직선주행을 돕는 2개의 비회전식 주행캐스터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각 모서리부 하측에 배치된 상태로 장치의 방향전환주행을 돕는 4개의 회전식 조향캐스터로 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개선형 배선차.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경첩은, 상기 수직프레임의 외단부에 부착결합되는 픽스브래킷과,
    상기 픽스브래킷의 상단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개폐도어 힌지동작의 중심을 형성하는 힌지축과,
    상기 개폐도어에 부착결합되며 상기 힌지축에 연계조립된 상태로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한 상기 개폐도어의 힌지동작을 안내하는 턴브래킷과,
    상기 픽스브래킷과 상기 힌지축 및 상기 턴브래킷에 연계된 상태로 상기 개폐도어의 힌지동작을 제어하는 한편 상기 픽스브래킷과 상기 힌지축 및 상기 턴브래킷 간 마찰손을 억제하는 축받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개선형 배선차.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경첩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모서리부 상단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개폐도어 힌지동작의 중심을 형성하는 힌지축과,
    상기 개폐도어에 부착결합되며 상기 힌지축에 연계조립된 상태로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한 상기 개폐도어의 힌지동작을 안내하는 턴브래킷과,
    상기 힌지축 및 상기 턴브래킷에 연계된 상태로 개폐도어의 힌지동작을 제어하는 한편 상기 힌지축 및 상기 턴브래킷 간 마찰손을 억제하는 축받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개선형 배선차.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앵글은, 상기 수직프레임의 일면에 밀착되고 상기 서포트홀더에 지지고정되는 체결부와, 상기 트레이랙의 일면이 밀착결합되는 밀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밀착부에는, 상기 서포트홀더가 삽입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결속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위치마다 절개되며, 상기 결속홈의 절개로 상기 서포트홀더에 걸림되는 구속후크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개선형 배선차.
  11. 제8항 또는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턴브래킷은, 상기 개폐도어의 모서리부위에 대응하여 밀착결합되는 체결부와,
    상기 힌지축이 관통조립되는 힌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힌지부는, 상기 개폐도어를 닫았을 때 상기 차체를 바라보는 일측으로 편향됨으로써, 상기 힌지축의 관통삽입위치가 상기 체결부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편차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개선형 배선차.
  12. 제8항 또는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축받이는, 상기 턴브래킷에 끼워맞춤되고 상기 힌지축을 둘러 감싼 상태로 상기 개폐도어 힌지동작시의 상기 턴브래킷 유동을 방지하는 동시에 상기 턴브래킷과 상기 힌지축의 상호마찰을 차단하는 피벗부시와,
    상기 힌지축을 둘러 상기 픽스브래킷 상에 안착되고 상기 피벗부시의 바닥면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피벗부시의 부하회전을 유발하여, 상기 턴브래킷에 의한 상기 개폐도어의 회전동작이 일정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픽스브래킷과 상기 턴브래킷의 상호마찰을 차단하는 그라운드패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개선형 배선차.
KR1020200095832A 2020-07-31 2020-07-31 구조개선형 배선차 KR1023944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5832A KR102394419B1 (ko) 2020-07-31 2020-07-31 구조개선형 배선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5832A KR102394419B1 (ko) 2020-07-31 2020-07-31 구조개선형 배선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5614A true KR20220015614A (ko) 2022-02-08
KR102394419B1 KR102394419B1 (ko) 2022-05-03

Family

ID=80251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5832A KR102394419B1 (ko) 2020-07-31 2020-07-31 구조개선형 배선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441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2195Y1 (en) 1994-09-22 1996-04-12 Daelyung Co Ltd Door of distributing car for sickroom
KR200169865Y1 (ko) 1999-08-27 2000-02-15 김종섭 단체 급식용 식판 냉온 배선카
KR200247017Y1 (ko) * 2001-06-12 2001-10-17 김종섭 온ㆍ냉 배선카의 개폐문 구조
KR200250480Y1 (ko) 2000-11-21 2001-11-16 주식회사 에이포텍 운반카트의 도어구조
JP3159284U (ja) * 2010-02-25 2010-05-13 エレクター株式会社 配膳車
KR101110613B1 (ko) * 2009-10-23 2012-02-15 이동형 선박용 도어의 마모방지 힌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9284B2 (ja) * 1994-02-03 2001-04-23 キヤノン株式会社 ウエハ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2195Y1 (en) 1994-09-22 1996-04-12 Daelyung Co Ltd Door of distributing car for sickroom
KR200169865Y1 (ko) 1999-08-27 2000-02-15 김종섭 단체 급식용 식판 냉온 배선카
KR200250480Y1 (ko) 2000-11-21 2001-11-16 주식회사 에이포텍 운반카트의 도어구조
KR200247017Y1 (ko) * 2001-06-12 2001-10-17 김종섭 온ㆍ냉 배선카의 개폐문 구조
KR101110613B1 (ko) * 2009-10-23 2012-02-15 이동형 선박용 도어의 마모방지 힌지장치
JP3159284U (ja) * 2010-02-25 2010-05-13 エレクター株式会社 配膳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4419B1 (ko) 2022-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54604A1 (en) Mobile and Reconfigurable Storage Container Device
JP6285432B2 (ja) 航空機ギャレー用の食事カート
US8056910B2 (en) Mobile safety compliance apparatus
US20010050517A1 (en) Modular container/bookshelf moving cart
BRPI0621370A2 (pt) cozinha de bordo e método para servir refeições aos passageiros em uma aeronave
US20090315287A1 (en) Mobile Cart
US2230975A (en) Combination bar and cabinet for doors
US4418969A (en) Bottled chemical handling system
US10427791B2 (en) Meal/beverage trolley convertible to waste trolley
US10640336B2 (en) Beverage container handling and storage system
US20210267367A1 (en) Convertible item
CN106572759A (zh) 用于制冷食品台装置的覆盖装置以及具有这种覆盖装置的食品台装置
KR102394419B1 (ko) 구조개선형 배선차
US11596703B2 (en)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sanitizing assembly
US6106084A (en) Catering cart with vertically moveable insert
WO2000001531A1 (en) Basket with integrally-formed receptacle
US9084498B2 (en) Collapsible food service system
CA2461103A1 (en) Storage and transport system for collapsible tradeshow displays
US7207625B1 (en) Teacher's chair
JP2644187B2 (ja) 給食システム
CN214396827U (zh) 一种用于货运的多功能放置架
US6769751B1 (en) Cabinet storage shelf
DE102020200830B4 (de) Getränkeservierwagen
USRE26587E (en) Milk handling system
JP2000168563A (ja) カート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