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8991A -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8991A
KR20220008991A KR1020200086911A KR20200086911A KR20220008991A KR 20220008991 A KR20220008991 A KR 20220008991A KR 1020200086911 A KR1020200086911 A KR 1020200086911A KR 20200086911 A KR20200086911 A KR 20200086911A KR 20220008991 A KR20220008991 A KR 202200089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memory cell
unselected
semiconductor layer
resistance ch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6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유민
김세윤
김진홍
소이치로 미즈사키
조영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869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8991A/ko
Priority to US17/306,302 priority patent/US11545224B2/en
Publication of KR20220008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8991A/ko
Priority to US18/058,555 priority patent/US20230086939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6/00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 G11C16/02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electrically programmable
    • G11C16/06Auxiliary circuits, e.g. for writing into memory
    • G11C16/26Sensing or reading circuits; Data output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3/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 G11C13/0002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using resistive RAM [RRAM] elements
    • G11C13/0021Auxiliary circuits
    • G11C13/0023Address circuits or decoders
    • G11C13/0026Bit-line or column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3/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 G11C13/0002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using resistive RAM [RRAM] elements
    • G11C13/000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using resistive RAM [RRAM] elements comprising amorphous/crystalline phase transition cel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3/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 G11C13/0002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using resistive RAM [RRAM] elements
    • G11C13/0021Auxiliary circuits
    • G11C13/0069Writing or programming circuits or metho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3/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 G11C13/0002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using resistive RAM [RRAM] elements
    • G11C13/0021Auxiliary circuits
    • G11C13/0097Erasing, e.g. resetting, circuits or metho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6/00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 G11C16/02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electrically programmable
    • G11C16/04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electrically programmable using variable threshold transistors, e.g. FAMOS
    • G11C16/0408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electrically programmable using variable threshold transistors, e.g. FAMOS comprising cells containing floating gate transistors
    • G11C16/0433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electrically programmable using variable threshold transistors, e.g. FAMOS comprising cells containing floating gate transistors comprising cells containing a single floating gate transistor and one or more separate select transisto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6/00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 G11C16/02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electrically programmable
    • G11C16/06Auxiliary circuits, e.g. for writing into memory
    • G11C16/10Programming or data input circuits
    • G11C16/14Circuits for erasing electrically, e.g. erase voltage switching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6/00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 G11C16/02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electrically programmable
    • G11C16/06Auxiliary circuits, e.g. for writing into memory
    • G11C16/24Bit-line control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6/00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 G11C16/02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electrically programmable
    • G11C16/06Auxiliary circuits, e.g. for writing into memory
    • G11C16/30Power supply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5/00Details of stores covered by group G11C11/00
    • G11C5/06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ng storage elements electrically, e.g. by wiring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63/00Resistance change memory devices, e.g. resistive RAM [ReRAM] devices
    • H10B63/30Resistance change memory devices, e.g. resistive RAM [ReRAM] devices comprising selection components having three or more electrodes, e.g. transistors
    • H10B63/34Resistance change memory devices, e.g. resistive RAM [ReRAM] devices comprising selection components having three or more electrodes, e.g. transistors of the vertical channel field-effect transistor typ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63/00Resistance change memory devices, e.g. resistive RAM [ReRAM] devices
    • H10B63/80Arrangements comprising multiple bistable or multi-stable switching components of the same type on a plane parallel to the substrate, e.g. cross-point arrays
    • H10B63/84Arrangements comprising multiple bistable or multi-stable switching components of the same type on a plane parallel to the substrate, e.g. cross-point arrays arrang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ubstrate, e.g. 3D cell arrays
    • H10B63/845Arrangements comprising multiple bistable or multi-stable switching components of the same type on a plane parallel to the substrate, e.g. cross-point arrays arrang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ubstrate, e.g. 3D cell arrays the switching components being connected to a common vertical conductor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70/00Solid-state devices without a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and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 H10N70/20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e.g. memristors
    • H10N70/24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e.g. memristors based on migration or redistribution of ionic species, e.g. anions, vacanci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70/00Solid-state devices without a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and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 H10N70/20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e.g. memristors
    • H10N70/25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e.g. memristors based on bulk electronic defects, e.g. trapping of electr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70/00Solid-state devices without a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and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 H10N70/801Constructional details of 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 H10N70/821Device geometry
    • H10N70/826Device geometry adapted for essentially vertical current flow, e.g. sandwich or pillar type devi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70/00Solid-state devices without a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and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 H10N70/801Constructional details of 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 H10N70/881Switching materials
    • H10N70/882Compounds of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e.g. chalcogenides
    • H10N70/8828Tellurides, e.g. GeSbT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70/00Solid-state devices without a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and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 H10N70/801Constructional details of 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 H10N70/881Switching materials
    • H10N70/883Oxides or nitri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70/00Solid-state devices without a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and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 H10N70/801Constructional details of 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 H10N70/881Switching materials
    • H10N70/883Oxides or nitrides
    • H10N70/8833Binary metal oxides, e.g. TaOx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11C13/00 for features not covered by this group
    • G11C2213/70Resistive array aspects
    • G11C2213/71Three dimensional arra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11C13/00 for features not covered by this group
    • G11C2213/70Resistive array aspects
    • G11C2213/75Array having a NAND structure comprising, for example, memory cells in series or memory elements in series, a memory element being a memory cell in parallel with an access transist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5/00Details of stores covered by group G11C11/00
    • G11C5/02Disposition of storage elements, e.g. in the form of a matrix array
    • G11C5/025Geometric lay-out considerations of storage- and peripheral-blocks in a semiconductor storage device

Abstract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한다.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는, 수직 적층형 구조로서 제1 내지 제3 메모리 셀이 순차적으로 배열된 메모리 셀 어레이 및 제1 메모리 셀에 제1 비선택 전압을 인가하고, 제3 메모리 셀에 상기 제1 비선택 전압과 다른 제2 비선택 전압을 인가하며, 상기 제2 메모리 셀에 선택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제2 메모리 셀을 선택 메모리 셀로 결정하는 제어 로직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NONVOLATILE MEMOR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본 개시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에 관한다.
반도체 메모리 장치로서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는 전원이 끊어진 상태에서도 정보를 유지하고 있어 전원이 공급되면 다시 저장된 정보를 사용할 수 있는 다수의 메모리 셀들을 포함한다.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일 예로서,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는 휴대폰, 디지털 카메라, 휴대용 정보 단말기(PDA), 이동식 컴퓨터 장치, 고정식 컴퓨터 장치 및 기타 장치에서 사용될 수 있다.
최근에는 때 차세대 뉴로모픽 컴퓨팅(Neuromorphic Computing) 플랫폼 혹은 뉴럴 네트워크(Neural Network)를 형성하는 칩에 3차원(또는 수직형, Vertical) NAND(VNAND)를 사용하는 연구가 진행 중이다.
특히, 고집적 저전력 특성을 가지며, 메모리 셀에 랜덤 엑세스(random access)가 가능한 기술이 요구된다.
정류 특성을 조절할 수 있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는, 수직 적층형 구조로서 제1 내지 제3 메모리 셀이 순차적으로 배열된 메모리 셀 어레이; 상기 제1 메모리 셀에 제1 비선택 전압을 인가하고, 제3 메모리 셀에 상기 제1 비선택 전압과 다른 제2 비선택 전압을 인가하며, 상기 제2 메모리 셀에 선택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제2 메모리 셀을 선택 메모리 셀로 결정하는 제어 로직; 및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에 동작 전압을 인가하는 비트 라인;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 로직은, 상기 제1 메모리 셀에 포함된 반도체층과 상기 제3 메모리 셀에 포함된 반도체층이 서로 다른 페르미 레벨을 갖도록 상기 제1 및 제2 메모리 셀 각각에 상기 제1 및 제2 비선택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비선택 전압과 상기 제2 비선택 전압간의 차는, 상기 제1 비선택 전압과 상기 선택 전압간의 차보다 작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 로직은, 상기 제1 비선택 전압과 상기 제2 비선택 전압간의 차는, 2V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비선택 전압과 상기 제2 비선택 전압은 절대값이 서로 다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비선택 전압과 상기 제2 비선택 전압은 방향이 서로 다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비선택 전압은 0V 이상 7V이하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비선택 전압은 -15V 이상 -8V이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택 전압은, 상기 제1 비선택 전압보다 작고 상기 제2 비선택 전압보다 클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선택 전압의 절대값은, 상기 제1 및 제2 비선택 전압의 절대값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3 메모리 셀은, 상기 비트 라인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멀어지면서 직렬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동작 전압은, 제2 메모리 셀에 데이터를 쓰기 위한 쓰기 전압 또는 상기 제2 메모리 셀에 쓰여진 데이터를 지우기 위한 지우기 전압이고, 상기 쓰기 전압과 상기 지우기 전압은 방향이 다르고 절대값이 같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는, 제 1 방향으로 연장된 반도체층(semiconducting layer); 상기 제 1 방향과 수직한 제 2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서로 교번적으로 배치된 복수의 게이트(gate) 및 복수의 절연체(insulating layer); 상기 복수의 게이트 및 상기 복수의 절연체, 상기 반도체층 사이에서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게이트 절연층; 및 상기 반도체층상에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저항 변화층;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반도체층과 상기 저항 변화층은 병렬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항 변화층은, 상기 반도체층과 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반도체층은 도펀트에 의해 도핑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저항 변화층은, 히스테리시스 특성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항 변화층은, 전이금속 산화물 및 전이 금속 질화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 적층형 구조로 제1 내지 제3 메모리 셀이 순차적으로 배열된 메모리 셀 어레이를 포함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제1 메모리 셀에 제1 비선택 전압을 인가하고, 제3 메모리 셀에 상기 제1 비선택 전압과 다른 제2 비선택 전압을 인가하며, 상기 제2 메모리 셀에 선택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제2 메모리 셀을 선택 메모리 셀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메모리 셀에 쓰기, 지우기 및 읽기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기 위해 메모리 셀 어레이에 동작 전압을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비선택 전압은, 상기 제1 메모리 셀에 포함된 반도체층과 상기 제3 메모리 셀에 포함된 반도체층이 서로 다른 특성을 페르미 레벨을 갖도록 하는 크기일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메모리 장치의 일 구현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메모리 셀 어레이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블록에 대응하는 등가 회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블록에 대응하는 물리적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등가 회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 모드시 선택 메모리 셀과 비선택 메모리 셀의 전류 이동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b는 선택 메모리 셀의 저항 변화층과 비선택 메모리 셀의 반도체층간의 페르미 레벨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은 일 실시예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에서 비선택 전압에 따른 비트 라인의 전류값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8b는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셀의 트랜지스터와 등가의 트랜지스터에서 게이트 전압에 따른 드레인 전류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9a는 비선택 메모리 셀에 동일한 비선택 전압을 인가할 때, 전류 이동과 관련된 도면이다.
도 9b는 도 9a에 도시된 장치와 등가의 저항 변화 소자이다.
도 9c는 도 9b의 저항 변화 소자의 IV 특성을 나타낸다.
도 9d는 도 9c로부터 유추된 반도체층과 저항 변화층의 페르미 레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a는 비선택 메모리 셀에 방향이 서로 다른 비선택 전압을 인가할 때, 전류 이동과 관련된 도면이다.
도 10b는 도 10a에 도시된 장치와 등가의 저항 변화소자이다.
도 10c는 도 10b의 저항 변화 소자의 IV 특성을 나타낸다.
도 10d는 도 10c로부터 유추된 반도체층과 저항 변화층의 페르미 레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층과 저항 변화층의 예시적인 페르미 레벨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다양한 곳에 등장하는 "일부 실시예에서" 또는 "일 실시예에서" 등의 어구는 반드시 모두 동일한 실시예를 가리키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는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의 일부 또는 전부는,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기능 블록들은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에 의해 구현되거나, 소정의 기능을 위한 회로 구성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기능 블록들은 다양한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 블록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매커니즘”, “요소”, “수단” 및 “구성”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연결 선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일 뿐이다.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된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에 의해 구성 요소들 간의 연결이 나타내어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에서, "상부" 나 "상"이라고 기재된 것은 접촉하여 바로 위/아래/좌/우에 있는 것뿐만 아니라 비접촉으로 위/아래/좌/우에 있는 것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오로지 예시를 위한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하여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메모리 시스템(10)은 메모리 콘트롤러(100) 및 메모리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콘트롤러(100)는 메모리 장치(200)에 대한 제어 동작을 수행하며, 일 예로서 메모리 콘트롤러(100)는 메모리 장치(200)에 어드레스(ADD) 및 커맨드(CMD)를 제공함으로써, 메모리 장치(200)에 대한 쓰기(program)(또는 기입), 읽기(read) 및 지우기(erase)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쓰기 동작을 위한 데이터와 읽어진 데이터가 메모리 콘트롤러(100)와 메모리 장치(200) 사이에서 송수신될 수 있다.
메모리 장치(200)는 메모리 셀 어레이(210) 및 전압 발생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셀 어레이(210)는 복수 개의 워드 라인들과 복수 개의 비트 라인들이 교차하는 영역들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메모리 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셀 어레이(210)는 데이터를 비휘발성하게 저장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셀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비휘발성 메모리 셀들로서, 메모리 셀 어레이(210)는 낸드(NAND) 플래시 메모리 셀 어레이(210) 또는 노어(NOR) 플래시 메모리 셀 어레이(210) 등의 플래시 메모리 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메모리 셀 어레이(210)가 플래시 메모리 셀 어레이(210)를 포함하고, 이에 따라 메모리 장치(200)가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임을 가정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상술하기로 한다.
메모리 콘트롤러(100)는 기록/독출 제어부(110), 전압 제어부(120) 및 데이터 판별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기록/독출 제어부(110)는 메모리 셀 어레이(210)에 대한 쓰기/읽기 및 지우기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어드레스(ADD) 및 커맨드(CMD)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전압 제어부(120)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200) 내에서 이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압 레벨을 제어하기 전압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일예로서, 전압 제어부(120)는 메모리 셀 어레이(210)로부터 데이터를 독출하거나, 메모리 셀 어레이(210)에 데이터를 쓰기 위한 워드 라인의 전압 레벨을 제어하기 위한 전압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데이터 판별부(130)는 메모리 장치(200)로부터 독출된 데이터에 대한 판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메모리 셀들로부터 독출된 데이터를 판별하여, 상기 메모리 셀들 중 온 셀(on cell) 및/또는 오프 셀(off cell)의 개수를 판별할 수 있다. 일 동작예로서, 다수의 메모리 셀들에 대해 쓰기가 수행되면, 소정의 읽기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메모리 셀들의 데이터의 상태를 판별함으로써, 모든 셀들에 대해 정상적으로 쓰기가 완료되었는지가 판별될 수 있다.
한편, 메모리 장치(200)는 메모리 셀 어레이(210) 및 제어 로직(220)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메모리 셀 어레이(210)는 비휘발성 메모리 셀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일예로서 메모리 셀 어레이(210)는 플래시 메모리 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플래시 메모리 셀들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컨대 메모리 셀 어레이(210)는 3차원(또는 수직형, Vertical) NAND(VNAND) 메모리 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따른 메모리 장치의 일 구현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 장치(200)의 제어 로직(220)은 전압 발생부 및 로우 디코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셀 어레이(210)는 하나 이상의 스트링 선택 라인들(SSL), 복수 개의 워드 라인)들(WL1~WLm, 노멀 워드 라인 및 더미 워드 라인을 포함) 및 하나 이상의 공통 소스 라인들(CSLs)에 연결될 수 있으며, 또한 복수 개의 비트 라인들(BL1~BLn)에 연결될 수 있다.
전압 발생부(222)는 하나 이상의 워드 라인 전압들(V1~Vi)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상기 워드 라인 전압들(V1~Vi)은 로우 디코더(224)로 제공될 수 있다. 비트 라인들을 통해 쓰기/읽기/지우기 동작을 위한 신호가 메모리 셀 어레이(210)에 인가될 수 있다.
또한, 쓰여질 데이터는 입출력 회로(230)를 통해 메모리 셀 어레이(210)로 제공될 수 있으며, 또한 독출된 데이터는 입출력 회로(230)를 통해 외부(예를 들어, 메모리 컨트롤러)로 제공될 수 있다. 제어 로직(220)은 메모리 컨트롤러(100)의 제어하에 메모리 동작과 관련된 각종 제어신호들을 로우 디코더(224), 전압 발생부(222)로 제공할 수 있다.
로우 디코더(224)의 디코딩 동작에 따라, 워드 라인 전압들(V1~Vi)은 각종 라인(WL)들(SSLs, WL1~WLm, CSLs)에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워드 라인 전압들(V1~Vi)은 스트링 선택 전압, 워드 라인 전압 및 접지 선택 전압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스트링 선택 전압은 하나 이상의 스트링 선택 라인(SSLs)에 제공되고, 워드 라인 전압은 하나 이상의 워드 라인(WL)에 제공되며, 접지 선택 전압은 하나 이상의 공통 소스 라인(CSLs)에 제공될 수 있다.
3은 도 1에 따른 메모리 셀 어레이(210)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메모리 셀 어레이(210)는 복수 개의 메모리 블록들(BLK1~BLKz)을 포함한다. 각 메모리 블록(BLK)은 3차원 구조(또는 수직 구조)를 갖는다. 예를 들면, 각 메모리 블록(BLK)은 제 1 내지 제 3 방향들을 따라 연장된 구조물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각 메모리 블록(BLK)은 제 2 방향을 따라 연장된 복수 개의 셀 스트링들(CSs)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제 1 및 제 3 방향들을 따라 복수 개의 셀 스트링들(CSs)이 제공될 것이다.
각 셀 스트링(CS)은 비트 라인(BL), 스트링 선택 라인(SSL), 워드 라인들(WLs), 그리고 공통 소스 라인(CSL)에 연결된다. 즉, 각 메모리 블록(BLK1~BLKz)은 복수 개의 비트 라인들(BL), 복수 개의 스트링 선택 라인들(SSLs). 복수 개의 워드 라인들(WLs), 그리고 복수 개의 공통 소스 라인(CSLs)에 연결될 것이다. 메모리 블록들(BLK1~BLKz)은 도 4를 참조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블록(BLKi)에 대응하는 등가 회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예시적으로, 도 3의 메모리 셀 어레이(210)의 메모리 블록들(BLK1~BLKz) 중 하나가 도 4에 도시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메모리 블록(BLKi)은 복수 개의 셀 스트링들(CSs)을 포함한다. 복수 개의 셀 스트링들(CSs)은 행 방향 및 열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행들 및 열들을 형성할 수 있다.
각 셀 스트링(CS11~CSkn)은 메모리 셀들(MCs) 및 스트링 선택 트랜지스터(SST)를 포함한다. 각 셀 스트링(CS)의 메모리 셀들(MCs) 및 스트링 선택 트랜지스터(SST)는 높이 방향으로 적층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셀 스트링들(CSs)의 행들은 서로 다른 스트링 선택 라인들(SSL1~SSLk)에 각각 연결된다. 예를 들어, 셀 스트링들(CS11~CS1n)의 스트링 선택 트랜지스터들(SSTs)은 스트링 선택 라인(SSL1)에 공통으로 연결된다. 셀 스트링 (CSk1~CSkn)의 스트링 선택 트랜지스터들(SST)은 스트링 선택 라인(SSLk)에 공통으로 연결된다.
복수 개의 셀 스트링들(CSs)의 열들은 서로 다른 비트 라인들(BL1~BLn)에 각각 연결된다. 예를 들어, 셀 스트링들(CS11~CSk1)의 메모리 셀들 및 스트링 선택 트랜지스터들(SST)은 비트 라인(BL1)에 공통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셀 스트링들(CS1n~CSkn)의 메모리 셀들 및 스트링 선택 트랜지스터들(SST)은 비트 라인(BLn)에 공통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셀 스트링들(CSs)의 행들은 서로 다른 공통 소스 라인들(CSL1~CSLk)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셀 스트링들(CS11~CS1n)의 스트링 선택 트랜지스터들(SST)은 공통 소스 라인(CSL1)에 공통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셀 스트링들(CSk1~CSkn)의 스트링 선택 트랜지스터들(SST)은 공통 소스 라인(CSLk)에 공통으로 연결될 수 있다.
기판(또는 스트링 선택 트랜지스터들(SST))으로부터 동일한 높이에 위치한 메모리 셀들은 하나의 워드 라인(WL)에 공통으로 연결되고,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한 메모리 셀들은 서로 다른 워드 라인들(WL1~WLm)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메모리 블록(BLKi)은 예시적인 것이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도 4에 도시된 메모리 블록(BLKi)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셀 스트링들(CSs)의 행들의 수는 증가 또는 감소될 수 있다. 셀 스트링들(CSs)의 행들의 수가 변경됨에 따라, 셀 스트링들(CSs)의 행들에 연결되는 스트링 선택 라인들의 수, 그리고 하나의 비트 라인에 연결되는 셀 스트링들(CSs)의 수 또한 변경될 수 있다. 셀 스트링들(CSs)의 행들의 수가 변경됨에 따라, 셀 스트링들(CSs)의 행들에 연결되는 공통 소스 라인들의 수 또한 변경될 수 있다.
셀 스트링들(CSs)의 열들의 수는 증가 또는 감소될 수 있다. 셀 스트링들(CSs)의 열들의 수가 변경됨에 따라, 셀 스트링들(CSs)의 열들에 연결되는 비트 라인들의 수, 그리고 하나의 스트링 선택 라인에 연결되는 셀 스트링들(CSs)의 수 또한 변경될 수 있다.
셀 스트링들(CSs)의 높이는 증가 또는 감소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셀 스트링들(CSs) 각각에 적층되는 메모리 셀들의 수는 증가 또는 감소될 수 있다. 셀 스트링들(CSs) 각각에 적층되는 메모리 셀들의 수가 변경됨에 따라, 워드 라인(WL)들의 수 또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셀 스트링들(CSs) 각각에 제공되는 스트링 선택 트랜지스터는 증가될 수 있다. 셀 스트링들(CSs) 각각에 제공되는 스트링 선택 트랜지스터의 수가 변경됨에 따라, 스트링 선택 라인 또는 공통 소스 라인의 수 또한 변경될 수 있다. 스트링 선택 트랜지스터의 수가 증가하면, 스트링 선택 트랜지스터들은 메모리 셀들(MCs)과 같은 형태로 적층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쓰기 및 읽기는 셀 스트링들(CSs)의 행의 단위로 수행될 수 있다. 공통 소스 라인들(CSLs)에 의해 셀 스트링들(CSs)이 하나의 행들의 단위로 선택되고, 스트링 선택 라인들(SSLs)에 의해 셀 스트링들(CSs)이 하나의 행 단위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공통 소스 라인들(CSLs)은 적어도 두 개의 공통 소스 라인들을 하나의 단위로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공통 소스 라인들(CSLs)은 전체를 하나의 단위로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셀 스트링들(CSs)의 선택된 행에서, 쓰기 및 읽기는 페이지의 단위로 수행될 수 있다. 페이지는 하나의 워드 라인(WL)에 연결된 메모리 셀들의 하나의 행일 수 있다. 셀 스트링들(CSs)의 선택된 행에서, 메모리 셀들은 워드 라인들(WLs)에 의해 페이지의 단위로 선택될 수 있다.
한편, 메모리 셀들(MCs) 각각은 트랜지스터와 저항이 병렬로 연결된 회로에 대응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블록에 대응하는 물리적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우선, 기판(501)이 제공된다. 예시적으로, 기판(501)은 제 1 타입 불순물로 도핑된 실리콘 물질을 포함할 것이다. 예를 들면, 기판(501)은 p 타입 불순물로 도핑된 실리콘 물질을 포함할 것이다. 예를 들면, 기판(501)은 p 타입 웰(예를 들면, 포켓 p 웰)일 것이다. 이하에서, 기판(501)은 p 타입 실리콘인 것으로 가정한다. 그러나 기판(501)은 p 타입 실리콘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기판(501)상에 도핑 영역(510)이 제공된다. 예를 들면, 도핑 영역(510)은 기판(501)과 상이한 제 2 타입을 가질 것이다. 예를 들면, 도핑 영역(510)은 n-타입을 가질 것이다. 이하에서, 도핑 영역(510)은 n-타입인 것으로 가정한다. 그러나 도핑 영역(510)은 n-타입인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한 도핑 영역(510)은 공통 소스 라인이 될 수 있다.
기판(501)에는 수평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복수 개의 게이트(531) 및 복수 개의 절연체(532)가 교번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즉, 복수 개의 게이트(531) 및 복수 개의 절연체(532)는 수평방향과 수직인 수직방향을 따라 서로 교차하며 적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이트(531)는 금속 물질 (예를 들어, 구리, 은 등)을 포함하고, 복수 개의 절연체(532)는 실리콘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각 게이트(531)는 워드 라인(WL), 스트링 선택 라인(SSL) 중 하나와 연결된다.
교번적으로 배열된 복수 개의 게이트(531) 및 복수 개의 절연체(532)을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는 필라(pillar)(520)가 제공된다.
필라(520)는 복수 개의 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필라(520)의 최외각층은 게이트 절연층(521)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이트 절연층(521)은 실리콘 산화물(Silicon Oxide)을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절연층(521)은 필라(520)에 콘포말(conformal)하게 증착될 수 있다. 게이트 절연층(521)은 약 1nm 내지 약 15n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게이트 절연층(521)의 내부 면을 따라 반도체층(522)이 콘포말하게 증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반도체층(522)은 실리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반도체층(522)는 Ge, IGZO, GaAs 등의 물질도 포함될 수 있다. 반도체층(522)은 도펀트가 도핑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하여, 게이트(531)에 인가된 전압에 따라 반도체층(522)의 페르미 레벨이 변경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반도체층(522)는 제 1 타입으로 도핑된 실리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반도체층(522)은 기판(501)과 동일한 타입으로 도핑된 실리콘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기판(501)이 p-타입으로 도핑된 실리콘 물질을 포함하는 경우, 반도체층(522) 역시 p-타입으로 도핑된 실리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반도체층(522)은 약 1nm 내지 약 15n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반도체층(522)의 내부면을 따라 저항 변화층(523)이 배치될 수 있다. 저항 변화층(523)은 반도체층(522)과 접하게 배치될 수 있고, 반도체층(522)에 콘포말하게 증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저항 변화층(523)은 인가된 전압에 따라 저항이 달라지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저항 변화층(523)은 게이트(531)에 인가된 전압에 따라 고저항 상태에서 저저항 상태 또는 저저항 상태에서 고저항 상태로 변할 수 있다. 상기한 저항 변화는 저항 변화층(523)의 산소 공공 (Oxygen vacancies)에 의한 현상일 수도 있고, 전자의 트랩/디트랩에 의한 전류 전도 메커니즘의 변화에서 기인하는 현상일 수도 있다.
상기한 저항 변화층(523)은 히스테리시스(hysteresis) 특성을 갖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항 변화층(523)은 전이금속 산화물 또는 전이금속 질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항 변화층(523)은 아연(Zn), 지르코늄(Zr), 하프늄(Hf), 알루미늄(Al), 니켈(Ni), 구리(Cu), 몰리브덴(Mo), 탄탈륨(Ta), 티타늄(Ti), 텅스텐(W), 크롬(Cr), 스트론튬(Sr), 란탄(La), 망간(Mn), 칼슘(Ca), 프라세오디뮴(Praseodymium, Pr) 및 실리콘(Si)을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원소의 산화물 또는 질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저항 변화층(523)은 GeSbTe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저항 변화층(523)는 약 1nm 내지 약 15n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저항 변화층(523)내부에는 절연층(524)이 충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절연층(524)은 실리콘 산화물(Silicon Oxide)을 포함할 수 있다.
반도체층(522) 및 저항 변화층(523)은 도핑 영역(510), 예를 들어 공통 소스 영역과 접할 수 있다.
필라(520) 상에 드레인(540)이 제공될 수 있다. 드레인(540)은 제 2 타입으로 도핑된 실리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드레인(540)은 n 타입으로 도핑된 실리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드레인(540) 상에, 비트 라인(550)이 제공될 수 있다. 드레인(540) 및 비트 라인(550)은 콘택 플러그들(contact plug)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비트 라인(550)은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한편, 도 4와 비교하여 설명하면, 복수 개의 게이트(531), 복수 개의 절연체(532), 게이트 절연층(521), 반도체층(522) 및 저항 변화층(523)은 셀 스트링들(CSs)의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게이트(531), 게이트 절연층(521) 및 반도체층(522)은 트랜지스터의 일 구성요소가 되고, 저항 변화층(523)은 저항이 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랜지스터의 반도체층(522)과 저항 변화층(523)이 직접 접합되어 있어, 저항 변화층(523)은 고저항 또는 저저항 상태를 가질 수 있어, 메모리 셀(MC)에 데이터를 기록될 수 있다. 각 메모리 셀(MC)은 트랜지스터의 반도체층(222)와 저항 변화층(523)이 병렬 연결되어 있으며, 이러한 병렬 구조가 수직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열됨으로서 셀 스트링(CS)이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셀 스트링(CS)의 양단에 각각 공통 소스 라인(510)과 비트 라인(550)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공통 소스 라인(510)과 비트 라인(550)에 전압을 인가됨으로써 복수 개의 메모리 셀(MCs)에 쓰기, 읽기, 지우기 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상변화(phase change) 물질을 이용하여 메모리 블록을 구성하는 대신 저항 변화층(523)을 이용하여 메모리 블록을 구성함으로써, 상변화 물질을 이용함에 따른 열발생, 응력(압력)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메모리 블록을 구성하고, 메모리 블록을 동작시킴으로써, 메모리 블록에 포함된 메모리 셀들을 반복하여 동작시키는 경우에도 인접 메모리 셀 간의 이온(ion) 이동 및 그에 따른 누설 전류, 동작 실패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른 메모리 블록은 차세대 VNAND에서의 메모리 셀 간의 스케일링 이슈(scaling issue)를 해결할 수 있어 집적도(density)를 비약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에 따른 메모리 블록은 칩 형태로 구현되어 뉴로모픽 컴퓨팅 (Neuromorphic Computing) 플랫폼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른 블록은 chip 형태로 구현되어 뉴럴 네트워크(Neural Network)를 구성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등가 회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는 쓰기 모드, 지우기 모드 및 읽기 모드 중 어느 하나로 동작 할 수 있다.
메모리 셀 어레이(700)는 비트 라인(BLs)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복수 개의 메모리 셀(MC)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메모리 셀(MC) 각각은 도 5의 게이트(531), 게이트 절연층(521), 반도체층(522) 및 저항 변화층(523)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메모리 셀(MC) 각각은 선택 메모리 셀과 비선택 메모리 셀로 구분될 수 있다. 선택 메모리 셀은 동작의 대상이 되는 메모리 셀이고, 비선택 메모리 셀은 동작의 대상이 되지 않는 메모리 셀을 의미한다.
동작 모드시, 제어 로직(220)은 복수 개의 스트링 선택 라인(SSLs) 중에서, 선택 메모리 셀(720)과 연결된 스트링 선택 라인(SSL)에 턴-온 전압을 인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로직(220)은 선택 메모리 셀과 연결된 워드 라인(WL)에 선택 전압(Voff)을 인가하며, 비선택 메모리 셀들과 연결된 워드 라인(WL)에 비선택 전압(Von1, Von2)을 인가할 수 있다.
선택 전압(Voff)은 트랜지스터를 턴-오프시키는 전압으로서, 선택 메모리 셀(720)에 포함된 트랜지스터의 반도체층(522)에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하는 전압이라고도 할 수 있다. 비선택 전압(Von1, Von2)은 트랜지스터를 턴-온시키는 전압으로서, 비선택 메모리 셀(710, 730)에 포함된 트랜지스터의 반도체층(522)에 전류가 흐르도록 하는 전압이라고도 할 수 있다.
선택 전압(Voff) 및 비선택 전압(Von1, Von2)은 메모리 셀(MC)을 형성하는 게이트(531), 게이트 절연층(521), 반도체층(522) 및 저항 변화층(523)을 구성하는 물질의 종류, 두께 등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그리고, 복수 개의 비트 라인(BLs) 중 선택 메모리 셀(720)에 연결된 비트 라인(BL)에 동작 전압(Vop)이 인가될 수 있다. 상기한 동작 전압(Vop)은 입출력 회로(240)를 통해 외부, 예를 들어, 메모리 컨트롤러(100)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작 전압(Vop)은 선택 메모리 셀(720)에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쓰기 전압, 선택 메모리 셀(720)에 기록된 데이터를 지우기 위한 지우기 전압 또는 선택 메모리 셀(720)에 기록된 데이터를 읽기 위한 읽기 전압일 수 있다. 동작 전압(Vop)은 동작의 종류, 데이터의 종류, 메모리 셀 어레이(700)의 물리적 성질 등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쓰기 전압은 약 +7V이고, 지우기 전압은 약 -7V이며, 읽기 전압은 약 +5V일 수 있다.
복수 개의 비트 라인(BLs) 중 선택 메모리 셀(720)과 연결되지 않는 비트 라인(BL)은 접지되거나 플로팅(floating)될 수 있다. 선택 메모리 셀(720)과 연결되지 않는 비트 라인(BLs)이 접지되거나 플로팅됨으로써 누설 전류로 인한 전력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제어 로직(220)은 선택 메모리 셀(720)에 대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동작 모드에서, 비선택 메모리 셀(710, 730)은 비선택 전압(Von1, Von2)이 인가됨에 따라 비선택 메모리 셀(710, 730)의 반도체층(522)은 전도성 특성을 갖게 되고, 선택 메모리 셀(720)은 선택 전압(Voff)이 인가됨에 따라 선택 메모리 셀(720)의 반도체층(522b)은 절연 특성을 갖게 된다. 그리하여, 동작 전압(Vop)에 의해 선택 메모리 셀(720)에 전압차가 발생하여, 선택 메모리 셀(720)의 저항 변화층(523b)에 산소 공공의 이동 또는 트랩에 전자가 채워짐으로서 오믹 전도 특성, Hopping, SCLC, Poole-Frenkel과 같은 벌크(bulk) 전도 특성 등에 의해 고저항 상태에서 저저항 상태로 변할 수 있다. 그리하여, 선택 메모리 셀(720)의 저항 변화층(523b)에 전류가 흐르게 됨으로써 선택 메모리 셀(720)의 저항 변화층(523b)에 데이터가 쓰기, 지우기 또는 읽혀질 수 있다.
선택 전압(Voff)은 선택 메모리 셀(720)의 반도체층(522b)이 절연 특성을 갖도록 하는 전압으로써, -5V 내지 0V 일 수 있다. 선택 전압(Voff)은 반도체층(522)의 물질 특성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한편, 비선택 전압(Von1, Von2)은 비선택 메모리 셀(710, 730)의 반도체층(522)에 전도성 특성을 갖도록 하는 전압으로써, 제어 로직(220)은 비선택 메모리 셀(710, 730)의 반도체층(522)이 서로 다른 페르미 레벨을 갖도록 하는 복수 개의 비선택 메모리 셀 중 적어도 두 개의 비선택 메모리 셀(710, 730)에 서로 다른 비선택 전압(Von1, Von2)을 인가할 수 있다.
도 7a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 모드시 선택 메모리 셀과 비선택 메모리 셀의 전류 이동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메모리 블록에 포함된 복수 개의 메모리 셀(MC)들 각각은 도 5에 도시된 게이트(531), 게이트 절연층(521), 반도체층(522) 및 저항 변화층(523)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블록의 메모리 셀(MC)들은 선택 메모리 셀(720)과 비선택 메모리 셀(710, 730)로 구분될 수 있다.
동작 모드시, 제어 로직(220)은 선택 메모리 셀(720)의 게이트(531b)에 선택 전압(Voff)을 인가하고, 비선택 메모리 셀(710, 730)의 게이트(531a, 531c)에 비선택 전압(Von1, Von2)을 인가할 수 있다. 제어 로직(220)은 선택 메모리 셀(720)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영역에 배치된 비선택 메모리 셀(710, 730)에 서로 다른 비선택 전압(Von1, Von2)을 인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로직(220)은 선택 메모리 셀(720)과 비트 라인(BL) 사이에 배치된 제1 비선택 메모리 셀(710)에는 제1 비선택 전압(Von1)을 인가하고, 선택 메모리 셀(720)과 소스 영역 사이에 배치된 제2 비선택 메모리 셀(730)에는 제2 비선택 전압(Von2)을 인가할 수 있다.
제1 비선택 전압(Von1)과 제2 비선택 전압(Von2)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비선택 전압(Von1)과 제2 비선택 전압(Von2)은 방향이 다르거나, 절대값이 다를 수 있다. 또는 제1 비선택 전압(Von1)과 제2 비선택 전압(Von2)의 차는 선택 전압(Voff)과 제1 비선택 전압(Von1)의 차 또는 선택 전압(Voff)과 제2 비선택 전압(Von2)의 차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비선택 전압(Von1)과 제2 비선택 전압(Von2)의 차는 약 2V이상일 수 있다. 또는 제1 비선택 전압(Von1)은 선택 전압(Voff)보다 크고, 제2 비선택 전압(Von2)은 선택 전압보다 작을 수 있다. 제1 및 제2 비선택 전압(Von1, Von1)의 절대값은 선택 전압(Voff)보다 클 수 있다. 이외에도 제1 및 제2 비선택 전압(Von1, Von1)은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포함된 반도체층(522)은 도핑되지 않는 반도체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트랜지스터에 인가되는 비선택 전압(Von1, Von2)의 방향에 따라 페르미 레벨이 전도대에서 가전자대로 다양하게 변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반도체층(522)은 특정 도펀트로 도핑되어 페르미 레벨이 제한적일 수도 있다.
도 7b는 선택 메모리 셀의 저항 변화층과 비선택 메모리 셀의 반도체층간의 페르미 레벨을 도시한 도면이다. 반도체층(522a, 522c)의 페르미 레벨의 폭은 저항 변화층(523b)의 페르미 레벨의 폭보다 작다. 반도체층(522a, 522c)의 페르미 레벨이 전도대, n 타입 특성을 갖는 레벨, p 타입 특성을 갖는 레벨 또는 가전자대일 때, 반도체층(522a, 522c)에 전류가 흐르게 된다. 전도대 또는 n 타입 특성을 갖는 페르미 레벨에서 주로 전자의 이동으로 전류가 흐르고, 가전자대 또는 p 타입 특성을 갖는 페르미 레벨에서 주로 홀의 이동으로 전류가 흐르게 된다.
그리하여 제어 로직(220)은 비선택 메모리 셀(710, 730)의 반도체층(522a, 522c)에 전류가 흐르게 할 수 있는 전압 즉, 반도체층(522a, 522c)의 페르미 레벨이 전도대, n 타입 특성을 갖는 레벨, p 타입 특성을 갖는 레벨 또는 가전자대 중 어느 하나가 되도록 하는 비선택 전압(Von1, Von2)을 인가할 수 있다.
제어 로직(220)은 제1 및 제2 비선택 메모리 셀(710, 730)에 서로 다른 비선택 전압(Von1, Von2)을 인가하여 제1 및 제2 비선택 메모리 셀(710, 730)이 서로 다른 페르미 레벨을 갖게 한다. 선택 메모리 셀(720)의 저항 변화층(523b)과 제1 비선택 메모리 셀(710)의 반도체층(522a)(이하, '제1 반도체층(522a)라고도 칭한다.)간의 장벽 또는 선택 메모리 셀(720)의 제1 비선택 메모리 셀(730)의 반도체층(522c)(이하 '제2 반도체층'라고 칭한다.)간의 장벽 차가 발생할 수 있는 바, 제1 및 제2 반도체층(522a, 522c)의 페르미 레벨을 조절함으로써 상기한 장벽들간의 차이를 줄일 수 있다. 또는 제1 및 제2 반도체층(522a, 522c)의 페르미 레벨을 조절함으로써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가 저전력 구동이 가능하게 한다.
비선택 전압(Von1, Von2)이 양의 전압인 경우, 비선택 전압(Von1, Von2)은 0V 이상 7V이하일 수 있다.
도 8a은 일 실시예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에서 비선택 전압에 따른 비트 라인의 전류값을 측정한 결과이다. 동작 전압(Vop)을 다양하게 설정하고, 선택 전압(Voff)을 약 -4V로 설정한 상태에서 비선택 전압(Von)에 따른 비트 라인(BL)의 전류값을 측정하였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의 비선택 전압(Von)에 비례하여 비트 라인(BL)의 전류도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비선택 전압(Von)이 5V이상인 경우에는 비트 라인(BL)의 전류가 포화 상태이다. 이는 비선택 전압(Von)이 5V이상인 경우, 비선택 메모리 셀에 포함된 반도체층(522)의 페르미 레벨이 전도대(conduction band)에 근접하였음을 예상할 수 있다.
그리고, 비선택 메모리 셀의 비선택 전압(Von)이 0V 이상 5V미만인 경우, 비트 라인(BL)의 전류는 비선택된 전압에 비례함을 알 수 있다. 이는 비선택 메모리 셀에 포함된 반도체층(522)의 페르미 레벨이 n 타입 특성을 가짐을 예상할 수 있다.
비선택 전압(Von)이 음의 전압인 경우, 비선택 전압(Von)은 -15V이상 -8V이하일 수 있다.
도 8b는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셀의 트랜지스터와 등가의 트랜지스터에서 게이트 전압에 따른 드레인 전류를 측정한 결과이다. 다양한 종류의 반도체 물질에서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압에 따른 드레인 전류값을 측정하였다.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랜지스터는 게이트 전압(Gate V)이 약 -5V이하에서 드레인 전류가 정상적으로 측정됨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게이트 전압(Gate V)이 -13V이하인 경우에는 드레인 전류가 포화 상태이다. 이는 게이트 전압(Gate V)이 -13V이하인 경우, 트랜지스터에 포함된 반도체층의 페르미 레벨이 가전자대(valence band)에 근접하였음을 예상할 수 있다.
그리고, 게이트 전압(Gate V)이 -13V이상 -8V이하인 경우,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류의 크기는 게이트 전압의 절대값에 비례함을 알 수 있다. 이는 트랜지스터의 반도체층(522)이 p 타입 특성을 갖는 페르미 레벨임을 예상할 수 있다.
한편, 비선택 메모리 셀에 비선택 전압(Von)을 인가할 때, 제어 로직(220)은 페르미 레벨이 서로 다르도록 서로 다른 비선택 메모리 셀(710, 730)에 서로 다른 비선택 전압(Von1, Von2)을 인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 메모리 셀(720)과 비트 라인(BL)에 사이에 있는 제1 비선택 메모리 셀(710)에는 제1 비선택 전압(Von1)이 인가될 수 있고, 선택 메모리 셀(720)과 소스 라인 사이에 있는 제2 비선택 메모리 셀(730)에는 제2 비선택 전압(Von2)이 인가될 수 있다.
제1 비선택 전압(Von1)은 제1 반도체층(522a)의 페르미 레벨이 전도대, n 타입 특성, p 타입 특성 및 가전자대 중 어느 하나가 되도록 하는 전압일 수 있고, 제2 비선택 전압(Von2)은 제1 비선택 전압(Von1)에 의해 형성된 페르미 레벨과 다른 페르미 레벨이 제2 반도체층(522c)에 형성되도록 하는 전압일 수 있다. 제1 비선택 전압(Von1)은 제1 반도체층(522a)의 페르미 레벨이 n 타입 특성 또는 전도대 특성을 갖도록 하는 전압일 수 있고, 제2 비선택 전압(Von2)은 제2 반도체층(522c)의 페르미 레벨이 p 타입 특성 또는 가전자대 특성을 갖도록 하는 전압일 수 있다. 또는 그 반대일 수 있다. 이외에도 제1 비선택 전압(Von1)과 제2 비선택 전압(Von2)의 크기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동작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 개의 비선택 메모리 셀(710, 730) 중 적어도 두 개에 서로 다른 비선택 전압(Von1, Von2)을 인가함으로써 비선택 메모리 셀(710, 730)에 포함된 반도체층(522)의 페르미 레벨을 조절하기 때문에 비선택 메모리 셀(710, 730)에 포함된 트랜지스터의 스위칭 거동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선택 메모리 셀(710, 730)에 포함된 반도체층(522a, 522c)과 선택 메모리 셀(720)에 포함된 저항 변화층(523b)간 장벽을 높여 전류 흐름을 억제함으로서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저전력 동작을 유도할 수 있고, 저항 변화층(523b)에 인접한 반도체층(522a, 522c)간의 장벽 차이를 줄여 메모리 장치의 자가 정류 현상을 제거할 수도 있다.
도 9a는 비선택 메모리 셀에 동일한 비선택 전압을 인가할 때, 전류 이동과 관련된 도면이고, 도 9b는 도 9a에 도시된 장치와 등가의 저항 변화 소자이다. 그리고, 도 9c는 도 9b의 저항 변화 소자의 IV 특성을 나타내며, 도 9d는 도 9c로부터 유추된 반도체층과 저항 변화층의 페르미 레벨을 나타낸 도면이다.
비선택 메모리 셀(710, 730)에 동일한 비선택 전압이 인가되면, 선택 메모리 셀(720)의 반도체층(522b)을 사이에 두고 비선택 메모리 셀(710, 730)의 반도체층(522)은 동일한 유형의 페르미 레벨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선택 메모리 셀(710, 730)에 양의 비선택 전압(+V1)이 인가되면,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선택 메모리 셀(710, 730)의 반도체층(522a, 522c)은 n 타입의 도펀트가 도핑된 특성을 갖게 된다.
선택 메모리 셀(720)에는 선택 전압(Voff)이 인가되는 바, 선택 메모리 셀(720)의 반도체층(522b)은 절연 특성을 갖는다. 한편, 비트 라인(BL)에 동작 전압(Vop)이 인가되면 선택 메모리 셀(720)의 반도체층(522b)이 절연 특성을 갖는 바, 전류는 선택 메모리 셀(720)의 저항 변화층(523b)을 통해 흐르게 될 것이다.
제1 및 제2 비선택 메모리 셀(710, 730)에 약 +7 V의 전압을 인가되고, 선택 메모리 셀(720)에는 약 -4V의 전압을 인가하였다. 컴플라이언스 전류(compliance current) 설정 없이, 동작 전압(Vop)을 양의 전압쪽으로 15V 스윕(sweep)하여 소자를 셋시키고, 음의 전압쪽으로 -6 V 스윕하여 소자를 리셋시킴으써 IV 특성을 획득하였다.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플라이언스 전류(compliance current) 설정 없이도 소자는 브레이크 다운(break down)이 발생하지 않고 셀프 컴플라이언스(self- compliance) 거동을 수행하면서 안정적으로 스위칭이 일어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양의 전압 그래프와 음의 전압 그래프를 비교하면, 음의 전압 쪽에서 전류 레벨이 월등히 낮아 자가 정류 현상이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자가 정류 현상은 제1 반도체층(522a)과 선택 메모리 셀(720)의 저항 변화층(523b)(이하 '저항 변화층(523b)'라고도 칭한다.)간의 장벽과 제2 반도체층(522c)과 저항 변화층(523b)간의 장벽간에 차이 때문이다.
도 9c의 IV 특성으로부터 저항 변화 소자의 페르미 레벨은 도 9d와 같이 예상될 수 있다. 비트 라인(BL)에 동작 전압(Vop)이 인가되지 않은 경우에는 (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반도체층(522a, 522c)에는 동일한 크기의 페르미 레벨이 형성됨을 예상할 수 있다. 또한, 자가 정류 현상으로 보아 제1 반도체층(522a)과 저항 변화층(523b) 간의 장벽과 제2 반도체층(522c)과 저항 변화층(523b)간의 장벽간에 차이가 있을 것임을 예상할 수 있다. 이는 실험적으로 나타나는 페르미 레벨 피닝 (pinning)으로 인해 나타나는 현상일 수 있다.
비트 라인(BL)에 양의 동작 전압(Vop)이 인가된 경우, (i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반도체층(522c)의 전자는 저항 변화층(523b)과 제2 반도체층(522c)간의 상대적으로 낮은 장벽을 넘어, 저항 변화층(523b)내로 이동하여 저항 변화층(523b)의 트랩 레벨을 채울 수 있다. 트랩 레벨이 채워지면 저항 변화층(523b)과 제1 반도체층(522a)간의 낮은 장벽을 넘어 전자가 제1 반도체층(522a)으로 흐르게 된다. 전하 이동 메커니즘은 space charged limited conduction (SCLC)일 수 있다.
비트 라인(BL)에 음의 동작 전압(Vop)이 인가된 경우, (ii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반도체층(522a)의 전자는 제1 반도체층(522a)과 저항 변화층(523)간의 상대적으로 높은 장벽을 넘어 저항 변화층(523)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전자 이동이 제한적일 수 있다. 그리하여, 고전계 상태에서 F-N 터널링을 통해 전도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동작 전압(Vop)의 방향에 따라 저항 변화층(523b)과 반도체층(522a, 522c)들간의 장벽 차이가 발생하여 전도 메커니즘이 달라질 수 있다,
도 10a는 비선택 메모리 셀에 방향이 서로 다른 비선택 전압을 인가할 때, 전류 이동과 관련된 도면이고, 도 10b는 도 10a에 도시된 장치와 등가의 저항 변화소자이다. 그리고, 도 10c는 도 10b의 저항 변화 소자의 IV 특성을 나타내며, 도 10d는 도 10c로부터 유추된 반도체층과 저항 변화층의 페르미 레벨을 나타낸 도면이다.
비선택 메모리 셀(710, 730)에 서로 다른 방향의 비선택 전압이 인가되면, 선택 메모리 셀(720)의 반도체층(522b)을 사이에 두고 비선택 메모리 셀(710, 730)의 반도체층(522)은 서로 다른 도펀트로 도핑된 반도체 특성을 갖게 된다. 예를 들어,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비선택 메모리 셀(710)에 양의 비선택 전압(+V1)이 인가되고, 제2 비선택 메모리 셀(730)에 음의 비선택 전압(-V2)이 인가될 수 있다. 그러면,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반도체층(522a)은 n 타입의 도펀트가 도핑된 특성을 갖게 되고, 제2 반도체층(522c)은 p타입의 도펀트가 도핑된 특성을 갖게 될 수 있다. 선택 메모리 셀(720)에는 선택 전압(Voff)이 인가되는 바, 선택 메모리 셀(720)의 반도체층(522b)은 절연 특성을 갖는다.
한편, 비트 라인(BL)에 동작 전압(Vop)이 인가되면 선택 메모리 셀(720)의 반도체층(522b)이 절연 특성을 갖는 바, 전류는 선택 메모리 셀(720)의 저항 변화층(523b)을 통해 흐르게 될 것이다.
제1 비선택 메모리 셀(710)에 약 +7 V의 전압을 인가되고, 제2 비선택 메모리 셀(730)에 약 -10V의 전압을 인가하였으며, 선택 메모리 셀(720)에는 약 -4V의 전압을 인가하였다. 컴플라이언스 전류(compliance current) 설정 없이, 동작 전압(Vop)을 양의 전압쪽으로 10V 스윕(sweep)하여 소자를 셋시키고, 음의 전압쪽으로 -10 V 스윕하여 소자를 리셋시킴으써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은 IV 특성을 획득하였다.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플라이언스 전류(compliance current) 설정 없이도 소자는 브레이크 다운(break down)이 발생하지 않고 셀프 컴플라이언스(self- compliance) 거동을 수행하면서 안정적으로 스위칭이 일어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양의 전압 그래프와 음의 전압 그래프를 비교하면, 대칭적인 전류 레벨을 나타내며 자가 정류 특성을 나타내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제1 반도체층(522a)과 저항 변화층(523b)간의 장벽 및 제2 반도체층(522c)과 저항 변화층(523)간의 장벽간의 차이가 별로 없음을 예상할 수 있다. 그리하여, 동작 전압(Vop)의 방향에 상관없이 전도 메커니즘이 동일한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하 이동 메커니즘은 space charged limited conduction (SCLC)일 수 있다.
도 10c의 IV 특성으로부터 저항 변화 소자의 페르미 레벨은 도 10d와 같이 예상될 수 있다. 비트 라인(BL)에 동작 전압(Vop)이 인가되지 않은 경우에는, (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반도체층(522a, 522c)에는 다른 크기의 페르미 레벨이 형성됨을 예상할 수 있다.
비트 라인(BLs=)에 양의 동작 전압(Vop)이 인가된 경우, (i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반도체층(522a)과 저항 변화층(523)간의 장벽 및 저항 변화층(523)과 제2 반도체층(522c)간의 장벽 모두 낮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전자는 제2 반도체층(522c)에서 저항 변화층(523) 및 제1 반도체층(522a)으로 순차적으로 이동하고, 홀은 제1 반도체층(522a)에서 저항 변화층(523) 및 제2 반도체층(522c)으로 순차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비트 라인(BL)에 음의 동작 전압(Vop)이 인가된 경우도, (ii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반도체층(522a)과 저항 변화층(523)간의 장벽 및 저항 변화층(523)과 제2 반도체층(522c)간의 장벽 모두 낮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전자는 제1 반도체층(522a)에서 저항 변화층(523) 및 제2 반도체층(522c)으로 순차적으로 이동하고, 홀은 제2 반도체층(522c)에서 저항 변화층(523) 및 제1 반도체층(522a)으로 순차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층과 저항 변화층의 예시적인 페르미 레벨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로직(220)은 제1 비선택 메모리 셀(710)에 제1 반도체층(522a)의 페르미 레벨이 전도대가 되도록 제1 비선택 전압(Von1)을 인가하고, 제2 비선택 메모리 셀(730)에 제2 반도체층(522c)의 페르미 레벨이 n 타입 도펀트 특성을 갖도록 제2 비선택 전압(Von2)을 인가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비선택 전압(Von2)의 페르미 레벨 차가 작음으로써 반도체 소자는 약한 정류(rectifying) 거동이 가능하다. 제1 반도체층(522a)과 제2 반도체층(522c)의 페르미 레벨은 서로 반대일 수도 있다. 또는 제1 반도체층(522a)은 가전자대의 페르미 레벨을 갖고, 제2 반도체층(522c)의 페르미 레벨은 p 타입 도펀트 특성을 갖도록 비선택 전압(Von1, Von2)이 인가될 수 있음도 물론이다.
제1 반도체층(522a)과 제2 반도체층(522c)에는 서로 다른 종류의 전하가 주 캐리어가 되도록 제1 및 제2 반도체층(522a, 522c)에 페르미 레벨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로직(220)은 제1 반도체층(522a)의 페르미 레벨이 전도대가 되도록 제1 비선택 전압(Von1)을 인가하고, 제2 반도체층(522c)의 페르미 레벨이 가전자대가 되도록 제2 비선택 전압(Von2)을 인가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반도체층(522a, 522c)의 페르미 레벨의 차가 클수록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는 강한 정류(rectifying) 거동이 가능할 수 있다.
반도체층(522a, 522c)들과 저항 변화층(523)간의 장벽이 크도록 비선택 메모리 셀(710, 730)에 비선택 전압(Von1, Von2)을 인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로직(220)은 제1 반도체층(522a)의 페르미 레벨이 가전자대가 되도록 제1 비선택 전압(Von1)을 인가하고, 제2 반도체층(522c)의 페르미 레벨이 p 타입 특성이 되도록 제2 비선택 전압(Von2)을 인가할 수 있다. 제1 반도체층(522a)과 저항 변화층(523)의 장벽 및 제2 반도체층(522c)과 저항 변화층(523)의 장벽이 크면 반도체층(522)들에서 저항 변화층(523)으로 캐리어 이동이 어려워지는 바, 저전력 구동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비선택 전압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저전력 구동이 가능하고 자가 정류 현상을 제거할 수 있다. 비선택 전압은 동작 모드에 따라서도 다르게 조절될 수 있음도 물론이다.
전술한 본 명세서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명세서의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Claims (20)

  1. 수직 적층형 구조로서 제1 내지 제3 메모리 셀이 순차적으로 배열된 메모리 셀 어레이;
    상기 제1 메모리 셀에 제1 비선택 전압을 인가하고, 제3 메모리 셀에 상기 제1 비선택 전압과 다른 제2 비선택 전압을 인가하며, 상기 제2 메모리 셀에 선택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제2 메모리 셀을 선택 메모리 셀로 결정하는 제어 로직; 및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에 동작 전압을 인가하는 비트 라인;을 포함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로직은,
    상기 제1 메모리 셀에 포함된 반도체층과 상기 제3 메모리 셀에 포함된 반도체층이 서로 다른 특성을 페르미 레벨을 갖도록 상기 제1 및 제2 메모리 셀 각각에 상기 제1 및 제2 비선택 전압을 인가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선택 전압과 상기 제2 비선택 전압간의 차는,
    상기 제1 비선택 전압과 상기 선택 전압간의 차보다 작은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로직은,
    상기 제1 비선택 전압과 상기 제2 비선택 전압간의 차는,
    2V이상인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선택 전압과 상기 제2 비선택 전압은 절대값이 서로 다른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선택 전압과 상기 제2 비선택 전압은 방향이 서로 다른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선택 전압은 0V 이상 7V이하인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비선택 전압은 -15V 이상 -8V이하인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전압은,
    상기 제1 비선택 전압보다 작고 상기 제2 비선택 전압보다 큰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전압의 절대값은,
    상기 제1 및 제2 비선택 전압의 절대값보다 작은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메모리 셀은,
    상기 비트 라인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멀어지면서 직렬 연결된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전압은,
    상기 제2 메모리 셀에 데이터를 쓰기 위한 쓰기 전압 또는 상기 제2 메모리 셀에 쓰여진 데이터를 지우기 위한 지우기 전압이고,
    상기 쓰기 전압과 상기 지우기 전압은 방향이 다르고 절대값이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는,
    제 1 방향으로 연장된 반도체층(semiconducting layer);
    상기 제 1 방향과 수직한 제 2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서로 교번적으로 배치된 복수의 게이트(gate) 및 복수의 절연체(insulating layer);
    상기 복수의 게이트 및 상기 복수의 절연체, 상기 반도체층 사이에서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게이트 절연층; 및
    상기 반도체층상에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저항 변화층;을 포함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층과 상기 저항 변화층은 병렬 연결된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 변화층은,
    상기 반도체층과 접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층은
    도펀트에 의해 도핑되지 않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17.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 변화층은,
    히스테리시스 특성을 갖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18.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 변화층은,
    전이금속산화물 및 전이 금속 질화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19. 수직 적층형 구조로 제1 내지 제3 메모리 셀이 순차적으로 배열된 메모리 셀 어레이를 포함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메모리 셀에 제1 비선택 전압을 인가하고, 제3 메모리 셀에 상기 제1 비선택 전압과 다른 제2 비선택 전압을 인가하며, 상기 제2 메모리 셀에 선택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제2 메모리 셀을 선택 메모리 셀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메모리 셀에 쓰기, 지우기 및 읽기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기 위해 메모리 셀 어레이에 동작 전압을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동작 방법.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비선택 전압은,
    상기 제1 메모리 셀에 포함된 반도체층과 상기 제3 메모리 셀에 포함된 반도체층이 서로 다른 특성을 페르미 레벨을 갖도록 하는 크기인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200086911A 2020-07-14 2020-07-14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220008991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6911A KR20220008991A (ko) 2020-07-14 2020-07-14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US17/306,302 US11545224B2 (en) 2020-07-14 2021-05-03 Nonvolatile memor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US18/058,555 US20230086939A1 (en) 2020-07-14 2022-11-23 Nonvolatile memor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6911A KR20220008991A (ko) 2020-07-14 2020-07-14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8991A true KR20220008991A (ko) 2022-01-24

Family

ID=79292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6911A KR20220008991A (ko) 2020-07-14 2020-07-14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11545224B2 (ko)
KR (1) KR20220008991A (ko)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50438B2 (en) * 2002-07-05 2005-02-01 Aplus Flash Technology, Inc. Combination nonvolatile memory using unified technology with byte, page and block write and simultaneous read and write operations
JP2008251059A (ja) 2007-03-29 2008-10-16 Toshiba Corp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およびそのデータ消去方法
KR20100011292A (ko) 2008-07-24 2010-02-03 삼성전자주식회사 수직 스트링 상변화 메모리 소자
JP5508944B2 (ja) 2010-06-08 2014-06-04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記憶装置
WO2012033533A1 (en) * 2010-09-09 2012-03-15 Aplus Flash Technology, Inc. Compact flotox-based combo nvm design without sacrificing endurance cycles for 1-die data and code storage
US9224474B2 (en) * 2013-01-09 2015-12-29 Macronix International Co., Ltd. P-channel 3D memory array and methods to program and erase the same at bit level and block level utilizing band-to-band and fowler-nordheim tunneling principals
US8942043B2 (en) * 2013-03-04 2015-01-27 Sandisk Technologies Inc. Non-volatile storage with process that reduces read disturb on end wordlines
KR102027443B1 (ko) * 2013-03-28 2019-11-04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불휘발성 메모리소자 및 그 동작방법
KR20150121399A (ko) * 2014-04-18 2015-10-29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전하 트랩층을 갖는 불휘발성 메모리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2248267B1 (ko) * 2014-04-30 2021-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그것을 포함하는 저장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및 읽기 방법들
US9286987B1 (en) * 2014-09-09 2016-03-15 Sandisk Technologies Inc. Controlling pass voltages to minimize program disturb in charge-trapping memory
JP2017054567A (ja) * 2015-09-10 2017-03-16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記憶装置
KR102620562B1 (ko) * 2016-08-04 2024-01-03 삼성전자주식회사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US9966136B2 (en) 2016-09-09 2018-05-08 Toshiba Memory Corporatio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including variable resistance element
US10269570B2 (en) * 2017-01-05 2019-04-23 SK Hynix Inc. Memory device and method relating to different pass voltages for unselected pages
US10699767B2 (en) * 2017-02-28 2020-06-30 SK Hynix Inc. Memor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180119998A (ko) * 2017-04-26 2018-11-05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전압 생성 회로를 포함하는 메모리 장치
TWI745602B (zh) 2017-06-29 2021-11-11 韓商愛思開海力士有限公司 執行編程操作的非揮發性記憶體裝置及其操作方法
KR102427327B1 (ko) * 2017-07-25 2022-08-01 삼성전자주식회사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 그것의 동작 방법,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저장 장치
KR20190023893A (ko) * 2017-08-30 2019-03-08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US10340017B2 (en) * 2017-11-06 2019-07-02 Macronix International Co., Ltd. Erase-verify method for three-dimensional memories and memory system
JP2019169207A (ja) * 2018-03-22 2019-10-03 東芝メモリ株式会社 半導体記憶装置
US10643720B2 (en) * 2018-05-23 2020-05-05 Sandisk Technologies Llc Bit line voltage control for damping memory programming
US10510413B1 (en) * 2018-08-07 2019-12-17 Sandisk Technologies Llc Multi-pass programming with modified pass voltages to tighten threshold voltage distributions
JP2020102287A (ja) * 2018-12-21 2020-07-02 キオクシア株式会社 半導体記憶装置
KR20200099024A (ko) * 2019-02-13 2020-08-21 삼성전자주식회사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를 포함하는 스토리지 장치, 그리고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동작 방법
US10832778B1 (en) * 2019-06-28 2020-11-10 Sandisk Technologies Llc Negative voltage wordline methods and systems
US10950311B2 (en) * 2019-06-28 2021-03-16 Sandisk Technologies Llc Boosting read scheme with back-gate bias
US11342006B2 (en) * 2019-10-28 2022-05-24 Sandisk Technologies Llc Buried source line structure for boosting read scheme
JP2022061591A (ja) * 2020-10-07 2022-04-19 キオクシア株式会社 記憶装置
KR20220055023A (ko) * 2020-10-26 2022-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프로그램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020437A1 (en) 2022-01-20
US11545224B2 (en) 2023-01-03
US20230086939A1 (en) 2023-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55363B1 (en)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20200056877A (ko)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US20150162082A1 (en) Memor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memory device
KR20210091583A (ko) 메모리 셀 스트링을 포함하는 수직형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US8498156B2 (en) Memory cell structures and methods
KR20210014497A (ko)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JP2000223677A (ja) Nand型フラッシュメモリ素子のプログラム方法
US8675381B2 (en) Transistor having an adjustable gate resistance and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20220011005A (ko) 메모리 셀 스트링을 포함하는 수직형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CN114497055A (zh) 半导体存储器装置
US11574677B2 (en) Nonvolatile memory device with vertical string including semiconductor and resistance change layer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20230121581A1 (en) Variable resistance memory device
KR20220008991A (ko)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220110395A (ko)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
US11744088B2 (en) Memory device
CN113096715B (zh) 3d存储器及其控制方法
JP2020047324A (ja) 半導体記憶装置及び半導体記憶装置の制御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