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8378A - 색상 변환 어셈블리, 표시 패널 및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색상 변환 어셈블리, 표시 패널 및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8378A
KR20220008378A KR1020227000045A KR20227000045A KR20220008378A KR 20220008378 A KR20220008378 A KR 20220008378A KR 1020227000045 A KR1020227000045 A KR 1020227000045A KR 20227000045 A KR20227000045 A KR 20227000045A KR 20220008378 A KR20220008378 A KR 202200083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light
hole
barrier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0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얀 왕
Original Assignee
청두 비스타 옵토일렉트로닉스 씨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청두 비스타 옵토일렉트로닉스 씨오., 엘티디. filed Critical 청두 비스타 옵토일렉트로닉스 씨오.,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220008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83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483Containers
    • H01L33/486Containers adapted for surface moun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50Wavelength conversion elements
    • H01L33/507Wavelength conversion elements the elements being in intimate contact with parts other than the semiconductor body or integrated with parts other than the semiconductor bod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5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5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 H01L27/153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in a repetitive configuration, e.g. LED bars
    • H01L27/156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in a repetitive configuration, e.g. LED bars two-dimensional arra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50Wavelength conversion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58Optical field-shap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58Optical field-shaping elements
    • H01L33/60Reflective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4Optical design
    • F21V7/08Optical design with elliptical curvatur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33/00Details relating to devices covered by the group H01L33/00 but not provided for in its subgroups
    • H01L2933/0008Processes
    • H01L2933/0033Processes relating to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33/00Details relating to devices covered by the group H01L33/00 but not provided for in its subgroups
    • H01L2933/0008Processes
    • H01L2933/0033Processes relating to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2933/0041Processes relating to semiconductor body packages relating to wavelength conversion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33/00Details relating to devices covered by the group H01L33/00 but not provided for in its subgroups
    • H01L2933/0008Processes
    • H01L2933/0033Processes relating to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2933/0058Processes relating to semiconductor body packages relating to optical field-shap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원은 색상 변환 어셈블리, 표시 패널 및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색상 변환 어셈블리는 광변환층을 포함하고, 광변환층은 옹벽층을 포함하며, 옹벽층 내에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이 설치되고, 관통홀은 광변환층의 입광측으로부터 출광측으로의 제1 방향에서 옹벽층을 관통하며, 광변환층은 적어도 하나의 광변환 유닛을 더 포함하며, 각 광변환 유닛은 하나의 관통홀 내에 설치되고, 광변환 유닛은 입사광을 입사광과 다른 파장 범위의 출사광으로 변환하며, 여기서, 옹벽층은 제1 방향에 따라 적층 설치되는 2층 이상의 배리어층을 포함하여, 관통홀의 중심으로 출사광이 수렴되도록 한다. 본원의 실시예에 따른 색상 변환 어셈블리, 표시 패널 및 제조 방법은, 표시 패널의 컬러화 표시 수요를 충족할 수 있으며, 또한 서로 다른 시야각에서 표시 패널에 색편차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색상 변환 어셈블리, 표시 패널 및 제조 방법
본원은 2019년 7월 11일에 제출된 발명의 명칭이 "색상 변환 어셈블리, 표시 패널 및 제조 방법"인 중국 특허 출원 제201910625722.9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본원의 전체 내용을 여기에 참조로 원용한다.
본원은 표시 기술 분야, 특히 색상 변환 어셈블리, 표시 패널 및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Liquid Crystal Display, LCD) 패널,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표시 패널 및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디바이스를 이용한 표시 패널 등 평면 표시 패널은 화질이 높고, 전력을 절약하며, 본체가 얇으며, 적용 범위가 넓은 등 장점을 가지기에, 휴대폰, 텔러비전, 개인 정보 단말기,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컴퓨터, 데스크톱 컴퓨터 등 다양 소비형 전자 제품에 널리 적용되어, 표시 장치의 주류가 되었다.
표시 패널은 다양한 컬러화 방식을 통해 컬러 패턴을 서포트하는 표시를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양자점(Quantum Dot, QD)이 있는 광변환층을 추가하여 컬러화를 구현할 수 있는 바, 이러한 방식은 컬러화 수요를 충족할 수는 있지만, 광변환층의 구조 설계가 불합리하여, 표시 패널이 컬러화 표시할 때 서로 다른 시야각에서 색편차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원의 실시예는 색상 변환 어셈블리, 표시 패널 및 제조 방법을 제공하여, 표시 패널의 컬러화 수요를 충족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또한 서로 다른 시야각에서 표시 패널에 색편차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양태에 있어서, 본원 실시예의 색상 변환 어셈블리에 따르면, 광변환층을 포함하고, 광변환층은 옹벽층과 적어도 하나의 광변환 유닛을 포함하며, 옹벽층 내에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이 설치되고, 관통홀은 상기 광변환층의 입광측으로부터 출광측으로의 제1 방향에서 옹벽층을 관통하며, 각 광변환 유닛은 하나의 관통홀 내에 설치되고, 광변환 유닛은 입사광을 입사광과 다른 파장 범위의 출사광으로 변환하며, 여기서, 옹벽층은 제1 방향에 따라 적층 설치되는 2층 이상의 배리어층을 포함하여, 관통홀의 중심으로 출사광이 수렴되도록 한다.
다른 일 양태에서, 본원 실시예의 표시 패널에 따르면, 복수의 발광 유닛 및 격벽을 포함하고 또한 서로 인접하는 발광 유닛이 격벽에 의해 서로 분리되어 설치되는 발광층과; 상술한 색상 변환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색상 변환 어셈블리는 발광층에 설치되고, 각 발광 유닛은 하나의 관통홀에 대향되게 설치된다.
또 다른 일 양태에서, 본원 실시예의 표시 패널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발광층이 형성된 구동 백플레인을 제공하는 단계로서, 발광층은 복수의 발광 유닛과 격벽을 포함하고 또한 서로 인접하는 발광 유닛은 격벽에 의해 서로 분리되어 설치되는 단계와; 발광층에 색상 변환 어셈블리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발광층에 색상 변환 어셈블리를 형성하는 단계는, 발광층에 옹벽층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옹벽층은 각 발광 유닛에 대응되는 관통홀을 가지고, 옹벽층은 2층 이상의 적층 설치되는 배리어층을 포함하여, 관통홀의 중심을 향해 출사광이 수렴되도록 하는 단계와; 옹벽층을 성형하는 과정 또는 성형한 후에, 적어도 일부 관통홀 내에 광변환 유닛을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원 실시예의 색상 변환 어셈블리, 표시 패널 및 제조 방법에 따르면, 광변환 유닛을 통해 입사광을 입사광과 다른 파장 범위의 출사광으로 변환하여, 표시 패널의 풀 컬러 표시를 구현할 수 있다. 동시에, 옹벽층이 적층 설치되는 2층 이상의 배리어층을 포함하므로, 서로 다른 각도의 입사광이 상응한 배리어층에서 반사된 후의 출사광을 모두 대응되는 관통홀 중심으로 수렴시키며, 상이한 출사광의 광로 차이를 감소시키고, 나아가 서로 다른 시야각에서 표시 패널에 색편차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특징, 장점 및 기술적 효과를 설명한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의 색상 변환 어셈블리의 구조 평면도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의 색상 변환 어셈블리의 부분 구조 단면도이다.
도 3a는 본원의 일 실시예의 광변환층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3b는 본원의 일 실시예의 한 층 배리어층의 부분 구조 평면도이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의 광변환층의 관통홀 형상 개략도이다.
도 5는 본원의 다른 일 실시예의 광변환층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본원의 또 다른 일 실시예의 광변환층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은 본원의 일 실시예의 광산란층의 부분 구조 단면도이다.
도 8은 본원의 다른 일 실시예의 광산란층의 부분 구조 단면도이다.
도 9는 본원의 또 다른 일 실시예의 광산란층의 부분 구조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원의 일 실시예의 표시 패널의 부분 구조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원의 일 실시예의 표시 패널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2는 본원의 일 실시예의 표시 패널의 제조 방법 흐름도이다.
도 13a 내지 도 13s는 본원의 일 실시예의 표시 패널의 제조 방법의 각 단계에 대응되는 구조 개략도이다.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도면은 실제 축척으로 그려지지 않았다.
이하에서는 본원의 각 양태의 특징 및 예시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는 바, 본원의 목적, 기술적 해결 수단 및 장점을 보다 명확하게 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 및 특정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원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에서 설명되는 특정 실시예들은 단지 본원을 설명하기 위해 구성된 것일 뿐, 본원을 제한하기 위해 구성된 것이 아님은 이해해야 할 바이다. 당업자는 본원의 이러한 특정 세부사항 중 일부 세부상이 필요 없이도 실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대한 하기 설명은 단지 본원의 예를 보여줌으로써 본원의 더 나은 이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원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원의 실시예에 따른 색상 변환 어셈블리, 표시 패널 및 제조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도 2 및 도 3a를 함께 참조하면, 본원의 실시예에 따르면, 광변환층(30)을 포함하는 색상 변환 어셈블리(100)가 제공되고, 광변환층(30)은 옹벽층(31) 및 적어도 하나의 광변환 유닛(32)을 포함한다. 옹벽층(31) 내에는 관통홀(312)이 구비되고, 관통홀(312)은 광변환층(30)의 입광측으로부터 출광측으로의 제1 방향(X)에서 옹벽층(31)을 관통한다.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312) 내에는 적어도 하나의 광변환 유닛(32)이 설치되고, 광변환 유닛(32)은 입사광을 입사광과 다른 파장 범위의 출사광으로 변환할 수 있다. 그 중, 옹벽층(31)은 제1 방향(X)에 따라 적층 설치되는 2층 이상의 배리어층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일부 선택적인 예에서, 2층 이상의 배리어층은 배리어층(31a), 배리어층(31b) 및 배리어층(31c)을 포함하여, 관통홀(312)의 중심으로 출사광을 수렴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광변환 유닛(32)의 개수는 1개, 2개 또는 그 이상일 수 있고, 관통홀(312)의 개수도 1개, 2개 또는 그 이상일 수 있다. 광변환 유닛(32)의 개수는 관통홀(312)의 개수 이하일 수 있는 바, 즉, 각 관통홀(312) 내에 하나의 광변환 유닛(32)이 설치되거나, 또는 일부 관통홀(312) 내에만 광변환 유닛(32)이 설치될 수 있다.
본원의 실시예에 따른 색상 변환 어셈블리(100)는, 광변환 유닛(32)을 통해 입사광을 입사광과 다른 파장 범위의 출사광으로 변환하여, 색상 변환 어셈블리(100)가 적용된 표시 패널의 풀 컬러 표시를 구현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옹벽층(31)은 적층 설치되는 2층 이상의 배리어층(31a, 31b, 31c)을 포함하므로, 서로 다른 각도의 입사광이 상응한 배리어층에서 반사된 후의 출사광을 모두 대응되는 관통홀(312)의 중심으로 수렴시켜 시준을 달성할 수 있다. 즉, 출사광은 모두 대략 제1 방향(X)에 따라 출사될 수 있고, 이는 서로 다른 출사각의 광선의 광로 차이를 감소시키고, 나아가 서로 다른 시야각에서 표시 패널에 색편차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원의 실시예에 따른 색상 변환 어셈블리(100)는 마이크로 발광 표시 기술에 적용될 수 있으며, 물론, LCD 표시 기술 분야 및 OLED 표시 기술 분야 등 기술 분야에 적용될 수도 있다. 본원 실시예의 색상 변환 어셈블리(100)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마이크로 발광 다이오드 표시 기술 분야에 적용된 경우를 예로 설명한다.
선택적으로, 제1 방향(X)에서, 색상 변환 어셈블리(100)의 옹벽층(31)에 포함된 배리어층의 층수는, 입사광의 각도 및 반사 수요에 따라 설정할 수 있는 바, 출사광이 관통홀(312)의 중심을 향해 수렴되여 출사될 수 있고, 서로 다른 출사각의 광선의 광로 차이를 감소시키는 수요를 더욱 잘 보장할 수 있으면 된다.
선택적으로, 입사광을 발생시키는 발광 소자는 청색광 마이크로 발광 다이오드 칩을 사용할 수 있고, 컬러화 표시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광변환 유닛(32)은 적색 변환 유닛 및 녹색 변환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적색 변환 유닛은 그 대응되는 발광 소자의 광선을 적색광으로 변환하여 적색 서브 화소를 형성하고, 녹색 변환 유닛은 그 대응되는 발광 소자의 광선을 녹색광으로 변환하여 녹색 서브 화소를 형성하며, 적어도 일부 개수의 발광 유닛의 상측에 광변환 유닛(32)을 설치하지 않을 수도 있어, 발광 소자의 원래 색상을 유지하여 청색 서브 화소를 형성할 수 있다.
그 중, 적색 변환 유닛은 적색광을 발생시키는 축광 재료를 포함하는 바, 예를 들어 적색 양자점과 포토레지스트가 혼합되어 형성되는 재료 또는 적색 유기 축광 재료와 포토레지스트가 혼합되어 형성되는 재료를 포함한다. 녹색 변환 유닛은 녹색광을 발생시키는 축광 재료를 포함하는 바, 예를 들어 녹색 양자점과 포토레지스트가 혼합되어 형성되는 재료 또는 녹색 유기 축광 재료와 포토레지스트가 혼합되어 형성되는 재료를 포함한다. 그 중 포토레지스트는 네거티브 포토레지스트이며, 양자점의 성분은 ZnS, ZnO, CdS, InP 등 무기 나노 입자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옹벽층(31)의 2층 이상의 배리어층(31a, 31b, 31c)에서, 각 배리어층(31a, 31b, 31c)에는 모두 제1 방향(X)으로 관통하고 또한 각 발광 소자에 대향되게 설치되는 수용 홈(311a)이 설치되고, 각 배리어층(31a, 31b, 31c)에 대향되게 설치되는 수용 홈(311a)은 함께 관통홀(312)을 형성한다.
광변환 유닛(32)은 임의의 한 층의 배리어층(31a, 31b, 31c)의 수용 홈(311a) 내에 충진되고 또한 상기 층의 배리어층(31a, 31b, 31c)의 관통홀(312)을 향한 표면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방향(X)에서, 광변환 유닛(32)의 사이즈는 그 것이 위치하는 배리어층의 사이즈 이하일 수 있다. 일부 다른 예에서, 또한, 그 것이 위치하는 배리어층의 사이즈를 초과하여 다음 한 층의 배리어층으로 위로 및/또는 아래로 연장될 수 있는 바, 입사광으로부터 출사광으로의 색상 변환 수요를 충족할 수 있으면 된다.
선택적으로, 광변환 유닛(32)은, 광변환층(30)의 입광측에 근접하게 설치되는 최하부 한 층의 배리어층(31a) 내에 위치하고, 또한 관통홀(312) 바닥 부분의 중심점 위치 또는 초점 위치에 위치할 수 있어, 광변환 유닛(32)이 상응한 입사광에 대한 광변환율을 향상시키고, 광선 누출의 리스크를 감소시킨다.
선택적으로, 제1 방향(X)에서, 광변환 유닛(32)의 사이즈는 관통홀(312)의 깊이보다 작다. 표시 패널의 컬러화 표시 수요를 보장하고, 출사광의 수렴 수요를 보장하는 기초상에서, 색상 변환 어셈블리(100) 성형이 용이하게 되고, 비용이 절감된다.
선택적으로, 제1 방향(X)에서, 2층 이상의 배리어층의 관통홀(312) 중심을 향한 집광 성능이 점진적으로 증가되는 추세가 있어, 출사광을 관통홀(312) 중심으로 수렴하는 효과를 더 쉽게 충족시킬 수 있다.
도 3a, 3b 및 4를 참조하면, 일부 선택적인 예에서, 상응한 출사광의 수렴 효과를 보장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제1 방향(X)에서, 2층 이상의 배리어층의 관통홀(312)을 향한 표면의 광반사각이 점진적으로 증가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배리어층(31a)의 관통홀(312)을 향한 표면의 광반사각(M1)은 배리어층(31b)의 관통홀(312)을 향한 표면의 광반사각(M2)보다 작으며, 배리어층(31b)의 관통홀(312)을 향한 표면의 광반사각(M2)은 배리어층(31c)의 관통홀(312)을 향한 표면의 광반사각(M3)보다 작다. 상술한 설치를 통해, 출사광에 대한 옹벽층(31)의 수렴 효과를 최적화할 수 있으므로, 출사광이 제1 방향(X)에 더욱 근접한 방향에 따라 출사하도록 할 수 있고, 서로 다른 출사광 사이의 광로 차이를 더욱 감소시키고, 표시 효과를 보장할 수 있다.
설명해야 할 점은, 전술 및 후술의 광반사각은, 출사광과 그 상응한 법선 사이의 협각을 나타낸다.
선택적으로, 관통홀(312)의 광변환층(30)에 근접한 입광측 일단의 개구 면적은 관통홀(312)의 광변환층(30)에 근접한 출광측 일단의 개구 면적보다 작다. 상술한 설치를 통해, 서로 다른 입사각의 입사광에 대한 반사 효과가 더 잘 보장되어, 서로 다른 각도의 입사광이 광변환층(30)에 의해 반사된 후, 모두 관통홀의 중심으로 수렴될 수 있어 출사광의 시준 출사의 수요를 충족하는데 더 유리하다.
본원의 상술한 각 실시예에 따른 색상 변환 어셈블리(100)에서, 그 옹벽층(31)은 출사광에 대한 수렴 수요를 충족할 수 있는 한, 다양한 구조적 형태를 채택할 수 있다.
도 3a, 도 3b 및 도 4를 계속하여 참조하면, 일부 선택적인 예에서, 각 층의 배리어층(31a, 31b, 31c)의 관통홀(312)을 향한 표면에서, 입광측 일단에 근접한 반경 방향 사이즈는, 출광측 일단에 근접한 반경 방향의 사이즈보다 작아, 각 층의 배리어층(31a, 31b, 31c)의 관통홀(312)을 향한 표면이 모두 원뿔형을 나타내도록 한다.
각 층의 배리어층(31a, 31b, 31c)의 관통홀(312)을 향한 표면은 모두 폐쇄된 환형 표면이고, 제1 방향(X)에서의 투영은 환형 구조일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원형 환형 구조 또는 다각형 환형 구조일 수 있다. 다각형 환형 구조인 경우, 입광측 일단에 근접한 반경 방향 사이즈는, 해당 일단이 제1 방향(X)에서 투영된 내접원 또는 외접원의 반경 사이즈를 의미한다. 마찬가지로, 출광측 일단에 근접한 반경 방향 사이즈는, 해당 일단이 제1 방향(X)에서 투영된 내접원 또는 외접원의 반경 방향 사이즈를 의미한다.
이해를 돕기 위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리어층(31a)을 예로 들면, 베리어층(31a)의 관통홀(312)을 향한 표면은 폐쇄된 환형면이고, 배리어층(31a)의 제1 방향(X)에서의 투영은 원환형 구조이며, 배리어층(31a)의 관통홀(312)을 향한 표면에서, 입광측 일단에 근접한 반경 방향 사이즈는 D1이고, 출광측 일단에 근접한 반경 방향 사이즈는 D2이며, D1은 D2보다 작다.
상술한 설치를 통해, 그 표면에 조사되는 입사광에 대한 각 층 배리어층(31a, 31b, 31c)의 시준 출사 수요를 보장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방향(X)에서, 서로 인접하는 2층의 배리어층의 관통홀(312)을 향한 표면은 천이면에 의해 연결되고, 또한 서로 인접하는 2층의 배리어층의 관통홀(312)을 향한 표면은 천이면과 교차하여 설치되고, 둘러싸여 형성되는 관통홀(312)의 측벽 전체는 계단식 통형을 나타낸다. 옹벽층(31)이 상술한 구조적 형태를 가지도록 함으로써, 성형이 용이함과 동시에 옹벽층(31)의 각 관통홀(312)과 대향하는 표면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호형 반사면을 나타내도록 하거나, 또는 옹벽층(31)의 각 관통홀(312)과 대향한 표면이 반사 컵 구조를 나타내도록 하여, 출사광에 대해 더욱 나은 수렴 시준 효과를 갖는다.
선택적으로, 제1 방향(X)에서, 서로 인접하는 2층의 배리어층의 관통홀(312)을 향한 표면과 수평면의 협각이 순차적으로 증가한다. 즉,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도 α가 각도 β보다 작고, 각도 β가 각도 γ보다 작으므로, 집광 효과를 최적화하여, 출사광을 시준하는 목적을 달성한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옹벽층(31)의 전술한 구조적 형태는 단지 선택적인 실시 형태일 뿐, 일부 다른 예에서, 옹벽층(31)의 각 층 배리어층(31a, 31b, 31c)의 관통홀(312)을 향한 표면은 여전히 원뿔형일 수 있다. 제1 방향(X)에서, 서로 인접하는 2층의 배리어층의 관통홀(312)을 향한 표면과 수평면의 협각이 동일하고, 2층 이상의 배리어층의 관통홀(312)을 향한 표면이 제1 방향(X)에 따라 수미상접(즉, 연속적으로 연결됨)되고, 둘러싸여 형성되는 관통홀(312)의 측벽 전체는 평활한 원뿔형을 나타내며, 마찬가지로 출사광에 대한 수렴 효과를 충족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각 층 옹벽층(31)의 관통홀(312)을 향한 표면은 모두 호형면이고, 그 중 제1 방향(X)에서, 서로 인접하는 호형면의 접선과 수평면의 협각은 순차적으로 증가한다. 즉, 각 층 옹벽층(31)의 관통홀(312)을 향한 표면은 호형면일 수 있고, 각 호형면은 관통홀(312)의 축 방향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외부로 돌출되며, 그 중 제1 방향(X)에서, 측벽으로 둘러싸여 형성되는 관통홀(312)의 단면적은 점진적으로 증가한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 층 배리어층(31a, 31b, 31c)의 관통홀(312)을 향한 표면은 모두 호형면일 수 있으며, 제1 방향(X)에서, 서로 인접하는 호형면의 접선과 수평면의 협각은 순차적으로 증가하며, 즉 각도 w는 각도 y보다 작고, 각도 y는 각도 z보다 작다. 즉, 각 층 배리어층(31a, 31b, 31c)의 관통홀(312)을 향한 표면은 모두 호형면일 수 있고, 각 호형면은 관통홀(312)의 축방향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외부로 돌출되며, 그 중 제1 방향(X)에서, 측벽으로 둘러싸여 형성되는 관통홀(312)의 단면적은 점진적으로 증가한다. 상술한 설치를 통해, 발광 유닛(21)의 각 각도의 출사광의 수렴 수요를 충족시키고, 표시 패널의 표시 효과를 최적화하고, 색편차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 및 후술의 수평면은 제1 방향(X)에 수직인 평평한 평면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사술한 각 실시예에 따른 색상 변환 어셈블리(100)에서, 광변환층(30)은 반사층(40)을 더 포함한다. 반사층(40)은 각 배리어층(31a, 31b, 31c)의 관통홀(312)을 향한 표면에 설치된다. 반사층(40)을 설치함으로써, 각 배리어층(31a, 31b, 31c)의 관통홀(312)을 향한 표면을 완전히 덮을 수 있어, 발광 유닛(21)의 광선에 대한 반사율을 개선하여, 광선에 대한 수렴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광선이 가능한 수직 방향 또는 제1 방향(X)으로 출사하도록 하여, 색상 변환 어셈블리(100)가 적용된 표시 패널에 색편차 현상이 발생하는 확률을 더욱 감소시킨다. 구체적으로 실시할 때, 반사층(40)은 금속층일 수 있다.
이해할수 있는 바와 같이, 본원의 실시예에 따른 색상 변환 어셈블리(100)는, 반사층(40)의 설치를 통해 입사광의 반사율을 향상시키는 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부 다른 실시예에서, 옹벽층(31)의 각 배리어층(31a, 31b, 31c)은 서로 다른 반사율을 갖는 반사 재료로 구성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2층 이상의 배리어층(31a, 31b, 31c)의 관통홀(312) 중심을 향한 집광 성능이 점진적으로 증가되는 경향을 가지도록 하는 수요를 충족하며, 광선에 대한 수렴 및 시준 수요를 더 잘 충족한다.
선택적으로, 본원의 상술한 각 실시예에 따른 색상 변환 어셈블리(100)는 평탄화층(50a, 50b, 50c)을 더 포함한다. 평탄화층(50a, 50b, 50c)은 관통홀(312)에 충진되고 또한 광변환층(30)을 덮으며, 평탄화층(50a, 50b, 50c)의 설치를 통해, 광변환층(30)의 발광층(20)으로부터 멀어지는 일측을 평탄하게 하여, 표시 패널에서의 색상 변환 어셈블리(100)의 적용에 유리하고, 동시에 2층 이상의 배리어층(31a, 31b, 31c)의 성형에 더 유리하다.
선택적으로, 본원의 상술한 각 실시예에 따른 색상 변환 어셈블리(100)는 브래그 반사층(70)을 더 포함하고, 브래그 반사층(70)은 광변환층(30)의 출광측에 위치하며, 브래그 반사층(70)의 광변환층(30)에서의투영은 일부 광변환 유닛(32)을 덮는다.
본원의 실시예에 따른 색상 변환 어셈블리(100)는, 브래그 반사층(70)의 설치를 통해, 광변환층(30)에서 출사되는 광선이 브래그 반사층(70)에 의해 반사 및 투과되어 풀 컬러 표시를 보다 잘 구현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입사광의 발광 소자가 청색광 마이크로 발광 다이오드인 경우를 예로 하면, 광변환층(30)에 의해 변환된 적색광과 녹색광은 브래그 반사층(70)을 통해 투과하여 나갈수 있으나, 광변환 유닛(32)에 대향되게 설치되어 변환되지 않은 청색광은 브래그 반사층(70)에 의해 반사될 수 있어, 표시 패널의 컬러화 표시 효과를 더 잘 보장한다.
도 2 및 도 7 내지 도 9를 함께 참조하면, 선택적으로, 본원의 상술한 각 실시예에 따른 색상 변환 어셈블리(100)는 광산란층(80)을 더 포함한다. 광산란층은 브래그 반사층(70)의 광변환층(30)으로부터 멀어지는 일측에 위치하며, 광산란층(80)은 마이크로 렌즈 및 산란 입자층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일부 다른 예에서, 광산란층(80)의 발광층(20)을 향한 표면은 요철면이다. 광산란층(80)의 설치를 통해, 광변환층(30)에 의해 수렴된 광선을 다시 산란시킬 수 있고, 표시 패널의 시야각을 증가시킬 수 있다. 브래그 반사층(70)과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광산란층(80)의 브래그 반사층(70)과을 향한 일측에 평탄화층(81)을 설치할 수 있다.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전술한 설명은 모두 입사광에 대응되는 발광 유닛이 청색광 마이크로 발광다이오드 칩을 사용하는 경우로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는 선택적인 양태이고, 일부 다른 예에서, 입사광에 대응되는 발광 유닛자외선 마이크로 발광 다이오드일 수도 있는바, 이때 각 관통홀(312) 내에는 모두 광변환 유닛(32)을 설치할 수 있다. 복수의 광변환 유닛(32)은 적색 변환 유닛, 녹색 변환 유닛 및 청색 변환 유닛을 포함하며, 마찬가지로 색상 변환 어셈블리(100)의 컬러화 표시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원의 실시예에 따른 색상 변환 어셈블리(100)에서, 적어도 일부 개수의 발광 유닛(21)들에서 출사되는 광선이 광변환 유닛(32)에 도달한 후, 광변환 유닛(32)에 의해 변환될 수 있으므로, 색상 변환 어셈블리(100)의 각 표시 영역은 3개의 서로 다른 색상의 서브 화소를 적어도 포함하여, 컬러화 표시를 구현할 수 있다.
동시에, 옹벽층(31)은 두께 방향(X)에 따라 적층 설치되는 2층 이상의 배리어층(31a, 31b, 31c)을 포함하고, 발광층(20)으로부터 발광층(2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2층 이상의 배리어층(31a, 31b, 31c)의 관통홀(312) 중심을 향한 집광 성능이 점진적으로 증가되는 경향을 가지며, 발광 유닛(21)에서 출사되는 서로 다른 각도의 광선이 상이한 집광 성능의 배리어층(31a, 31b, 31c)에 의해 반사되어, 모두 대응되는 관통홀(312) 중심에 수렴될 수 있도록 하여, 서로 다른 출사각의 광선의 광로 차이를 감소시켜, 서로 다른 시야각에서 존재하는 표시 패널의 색편차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을 함께 참조하면, 본원의 실시예는 표시 패널을 더 제공하고, 표시 패널은 발광층(20) 및 상술한 각 실시예의 색상 변환 어셈블리(100)를 포함하며, 발광층(20)은 복수의 발광 유닛(21)과 격벽(22)을 포함하며, 서로 인접하는 발광 유닛(21)은 격벽(22)에 의해 서로 분리되어 설치된다. 색상 변환 어셈블리(100)는 발광층(20)에 설치되고, 각 발광 유닛(21)은 색상 변환 어셈블리(100)의 하나의 관통홀(312)과 대향되게 설치된다. 발광 유닛(21)에서 출사되는 광선은 색상 변환 어셈블리(100)의 입사광으로 사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표시 패널은 발광층(20)의 색상 변환 어셈블리(100)로부터 멀어지는 일측에 설치되는 구동 백플레인(10)을 더 포함할 수 있고, 구동 백플레인(10)은 베이스 기판 및 베이스 기판에 설치되는 구동 회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동 회로는 박막 트랜지스터 등 디바이스로 구성될 수 있으며, 구동 백플레인(10)은 어레이 기판이라고도 한다.
발광층(20)에 포함된 격벽(22)은 광선을 흡수하는 블랙 매트릭스일 수 있고, 격벽(22)은 복수의 수용부를 정의하며, 선택적으로, 수용부는 역 사다리꼴 구조일 수 있고, 물론, 상대적으로 수직인 가장자리를 가지는 직사각형 단면 구조를 가질 수도 있는바, 여기서는 구체적으로 제한하지 않으며, 인접하는 발광층(20)에 대한 차단 효과를 발휘할 수 있으면 된다. 수용부의 측벽에는 반사층이 형성되고, 반사층은 금속 등 광반사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발광 유닛(21)은 어레이로 분포될 수 있고, 어레이로 분포되는 복수의 발광 유닛(21)은 수용부 내에 설치되고 또한 각각 구동 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구동 회로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서로 인접하는 발광 유닛 사이에는 격벽(22)이 설치되어, 발광 유닛(21)에서 출사되는 광선의 상로 크로스토크를 방지할 수 있다. 격벽(22)의 수용부를 향한 측벽에는 반사층이 설치되어 있어, 발광 유닛(21)의 광반사를 향상시켜 두께 방향(X)에 따른 출광율을 향상시키고, 측면으로부터의 광선 누출/광선 혼합을 절감하며, 낮은 광선 이용율과 색상 혼합 등 리스크의 발생을 방지한다.
발광 유닛(21)은 마이크로 발광 다이오드 칩일 수 있으며, 일부 선택적인 예에서, 발광 유닛(21)은 청색광 마이크로 발광 다이오드 칩일 수 있으며, 각 수용부에는 하나의 발광 유닛(21)이 설치되어 있으며, 물론, 수용부와 발광 유닛(21) 사이의 사이즈 비율에 따라, 2개 이상의 발광 유닛(21)을 설치할 수도 있는바, 여기서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광변환층(30)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발광층(20)의 구동 백플레인(10)으로부터 멀어지는 일측에 평탄화층(23)을 설치하여, 발광층(20)이 평탄화 표면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색상 변환 어셈블리(100)를 더 잘 보호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색상 변환 어셈블리(100)의 발광층(20)으로부터 멀어지는 일측에 커버 플레이트(60)를 더 설치하고, 색상 변환 어셈블리(100)는 커버 플레이트(60)와 발광층(20) 사이에 협지된다.
본원의 상술한 각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은, 상술한 각 실시예의 색상 변환 어셈블리(100)를 포함하기에, 자체의 컬러화 표시 수요를 충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출사광에 대한 수렴 기능을 가지며, 서로 다른 출사각의 광선의 광로 차이를 감소하고, 나아가 서로 다른 시야각에서의 표시 패널의 색편차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2를 참조하면, 본원의 실시예는 표시 패널의 제조 방법을 더 제공하는 바, 상기 표시 패널의 제조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S100에 있어서, 발광층(20)이 형성된 구동 백플레인(10)을 제공하고, 발광층(20)은 어레이로 분포되는 복수의 발광 유닛(21) 및 격벽(22)을 포함하며, 서로 인접하는 발광 유닛(21)은 격벽(22)에 의해 서로 분리되어 설치된다.
S200에 있어서, 발광층(20)에 색상 변환 어셈블리(100)를 형성하는 바, 해당 단계는, 발광층(20)에 옹벽층(31)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옹벽층(31)은 각 발광 유닛(21)에 대응되는 관통홀(312)을 가지고, 옹벽층은 2층 이상의 적층 설치되는 배리어층을 포함하여, 관통홀(312)의 중심을 향해 출사광이 수렴되도록 하는 단계와; 옹벽층(31)을 성형하는 과정 또는 성형한 후에, 적어도 일부 관통홀(312) 내에 광변환 유닛(32)을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도 13a 내지 도 13s를 참조하면, 도 13a 내지 도 13s는 본원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제조 방법의 각 단계에 대응되는 구조 개략도를 나타낸다.
S100에서, 도 13a 내지 도 1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구동 백플레인(10)을 취하는 바, 이는 유리판일 수 있으며, 구동 백플레인(10)에는 이미 구동 회로가 제조되어 있고, 백플레인에 예를 들어 청색 발광 다이오드와 같은 발광 유닛(21)을 제조하여, 도 13a에 도시된 구조를 형성한다.
다음으로, 구동 백플레인(10)에 격벽(22)을 제조하는 바, 이는 광선을 흡수하는 블랙 매트릭스 또는 반사층(40)이 구비된 배리어 구조일 수 있으며, 인쇄 또는 포토리소그래피에 의해 제조될 수 있고, 반사층(40)은 금속 증착 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도13b 및 도 13c에 도시된 구조를 형성한다.
S200에서, 도 1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층(20)에 대해 평탄화 처리를 수행하는 바, 구체적으로 인쇄 또는 스핀코팅등 방식으로, 격벽(22) 및 발광 유닛(21)에 평탄화층(23)을 형성할 수 있으며, 나아가 발광층(20)에 평탄화 표면을 형성하여, 도 13d에 도시된 구조를 형성한다.
또한, 도 13e 내지 도 13n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단계는 구체적으로 다음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평탄화 표면에 제1층 배리어층(31a)을 형성하고, 제1층 배리어층(31a)은 각 발광 유닛(21)과 대향되게 설치되는 수용홈(311a)을 구비하며, 도 13e에 도시된 구조를 형성한다. 광선에 대한 반사 효과를 보장하기 위해, 제1층 배리어층(31a)의 자체의 수용홈(311a)과 대향하는 표면에 반사층(40)을 설치하여, 도 13f에 도시된 구조를 형성한다.
제1층 배리어층(31a)의 복수의 수용홈(311a) 내에 광변환 유닛(32)을 형성하고, 광변환 유닛(32)은 적색 변환 유닛(321) 및 녹색 변환 유닛(32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최종적으로 형성된 적색 및 녹색 화소에 각각 대응된다. 적색 및 녹색 변환 유닛은 적색 또는 녹색 양자점이 도핑된 포토레지스트 또는 잉크일 수 있으며, 이는 인쇄 공정 또는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이어서 제1층 배리어층(31a) 및 광변환 유닛(32)을 평탄화하여, 광변환층(30)의 제1층 평탄화층(50a)을 성형하며, 나아가 도 13g 및 도 13h에 도시된 구조를 형성한다.
평탄화된 제1층 배리어층(31a)에 제2층 배리어층(31b)을 형성하고, 구체적으로 제1층 평탄화층(50a)에 제2층 배리어층(31b)을 형성하며, 제2층 배리어층(31b)은 각 발광 유닛(21)과 대향되게 설치되는 수용홈(311a)을 구비하며, 제2층 배리어층(31b)에 평탄화를 수행하여, 광변환층(30)의 제2층 평탄화층(50b)을 성형하여, 도 13i 및 도 13k에 도시된 구조를 형성한다. 마찬가지로, 광선의 반사 효과를 보장하기 위해, 제2층 배리어층(31b)의 자체 수용홈(311a)과 대향하는 표면에 반사층(40)을 설치하여, 도 13j에 도시된 구조를 형성한다.
제n층 배리어층의 설치 및 평탄화가 완료될 때까지, 마지막 한 층의 평탄화된 상기 배리어층에, 발광 유닛(21)과 대향되게 설치되는 수용홈(311a)을 구비한 다음 한 층의 배리어층을 설치하고 평탄화하는 상술한 단계를 반복하는 바, n은 3 이상이다. 예를 들어, 일부 선택적인 예에서, 제2층 배리어층(31b)에 계속하여 제3층 배리어층(31c)을 형성할 수 있고, 그에 대해 평탄화를 수행하여 평탄화층(50c)을 성형하여, 도 13l 내지 도 13n에 도시된 구조를 형성한다.
그 중, 각 층 배리어층(31a, 31b, 31c)의 동일한 발광 유닛(21)과 대향되게 설치되는 수용홈(311a)은 함께 하나의 관통홀(312)을 형성하고, 둘러싸여 형성되는 각 관통홀(312)의 측벽은 원뿔형, 계단식 통형 또는 평활한 호형 통형일 수 있다. 형상에 관계없이, 모두 대략 호형의 반사 컵 형상을 나타낼 수 있으며, 이는 발광층(20)으로부터 발광층(20)에서 멀어지는 방향에서, 2층 이상의 배리어층이 관통홀(312) 중심을 향해 집광하는 성능이 점진적으로 증가되는 경향을 충족할 수 있다. 발광 유닛(21)의 광선에 대한 수렴 및 시준 수요를 보장할 수 있다.
상술한 각 층 배리어층(31a, 31b, 31c)을 성형할 때, 상기 배리어층(31a, 31b, 31c)이 평탄화되기 전에, 각각의 수용홈(311a)과 대향하는 표면에 모두 반사층(40)을 설치할 수 있는 바, 금속 증착 공정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도 13o 내지 도 13r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하나의 커버 플레이트(60)를 취하는 바, 이는 유리판일 수 있으며, 도 13o에 도시된 구조를 형성한. 광선을 더 잘 산란시키기 위해, 선택적으로, 먼저 커버 플레이트(60)에 광산란층(80)을 형성하고, 광산란층(80)은 마이크로 렌즈, 요철면, 또는 산란 입자층 등일 수 있으며, 나노 임프린트, 표면 부식, 접착제 코팅, 포토리소그래피 등 공정을 거쳐 제조될 수 있다. 또한 광산란층(80)을 평탄화하는 바, 구체적으로는, 평탄화층(81)을 설치하여 도 13p 및 도 13q에 도시된 구조를 형성하고, 평탄화된 광산란층(80)에 브래그 반사층(70)을 형성하여, 커버 플레이트 어셈블리(200)를 형성할 수 있으며, 즉 도 13r에 도시된 구조를 형성한다.
또한, 도 13s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플레이트 어셈블리(200)는 색상 변환 어셈블리(100)와 매칭될 수 있는바, 구체적으로는, 접착제를 충진하여 접합하여, 브래그 반사층(70)이 광변환층(30)과 커버 플레이트(60)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여, 표시 패널을 형성할 수 있다.
본원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제조 방법에서, 제조된 표시 패널은 컬러화 표시 수요를 충족함과 동시에, 색편차 문제를 극복할 수 있다. 동시에, 광변환층(30)의 복수의 배리어층(31a, 31b, 31c)을 적층 방식으로 제조 및 성형하기에, 광선에 대한 반사, 수렴 및 시준 수요를 보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표시 패널의 제조 및 성형이 용이하게 되어, 대중화 사용이 용이하게 된다.
본원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원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며, 그 중의 구성요소는 균등물로 대체될 수 있다. 특히, 구조적 충돌이 없는 한, 다양한 실시예에서 언급된 다양한 기술적 특징은 임의의 방식으로 조합될 수 있다. 본원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특정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 내에 속하는 모든 기술 방안을 포함한다.

Claims (20)

  1. 색상 변환 어셈블리에 있어서,
    광변환층을 포함하고, 상기 광변환층은 옹벽층과 적어도 하나의 광변환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옹벽층 내에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이 설치되고, 상기 관통홀은 상기 광변환층의 입광측으로부터 출광측으로의 제1 방향에서 상기 옹벽층을 관통하며,
    각 상기 광변환 유닛은 하나의 상기 관통홀 내에 설치되고, 상기 광변환 유닛은 입사광을 상기 입사광과 다른 파장 범위의 출사광으로 변환하며,
    여기서, 상기 옹벽층은 상기 제1 방향에 따라 적층 설치되는 2층 이상의 배리어층을 포함하여, 상기 관통홀의 중심으로 상기 출사광이 수렴되도록 하는, 색상 변환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의 상기 입광측과 근접한 개구 면적은 상기 관통홀의 상기 출광측과 근접한 개구 면적보다 작은, 색상 변환 어셈블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에서, 2층 이상의 상기 배리어층의 상기 관통홀을 향한 표면의 광반사각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가지는, 색상 변환 어셈블리.
  4. 제1항에 있어서,
    각 층의 상기 배리어층의 상기 관통홀을 향한 표면은 모두 호형면이고,
    여기서, 상기 제1 방향에서, 서로 인접하는 상기 호형면의 접선과 수평면의 협각은 순차적으로 증가하는, 색상 변환 어셈블리.
  5. 제1항에 있어서,
    각 층의 상기 배리어층의 상기 관통홀을 향한 표면에서, 상기 입광측에 근접하는 일단의 반경 방향 사이즈를 상기 출광측에 근접한 일단의 반경 방향 사이즈보다 작게 함으로써, 각 층의 상기 배리어층의 관통홀을 향한 표면이 모두 원뿔형을 나타내도록 하고,
    여기서, 상기 제1 방향에서, 서로 인접하는 2층의 상기 배리어층의 관통홀을 향한 표면과 수평면의 협각은 동일하거나 순차적으로 증가하는, 색상 변환 어셈블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에서, 2층 이상의 상기 배리어층의 관통홀을 향한 표면은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색상 변환 어셈블리.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에서, 서로 인접하는 2층의 상기 배리어층의 관통홀을 향한 표면은 천이면에 의해 연결되고, 서로 인접하는 2층의 상기 배리어층의 상기 관통홀을 향한 표면은 천이면과 교차되게 설치되며, 둘러싸여 형성되는 상기 관통홀의 측벽 전체는 계단식 통형을 나타내는, 색상 변환 어셈블리.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변환층은 반사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반사층은 각 상기 배리어층의 관통홀을 향한 표면에 설치되는, 색상 변환 어셈블리.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상기 배리어층은 상이한 반사율을 갖는 반사 재료로 구성되는, 색상 변환 어셈블리.
  10.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변환층은 평탄화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평탄화층은 상기 관통홀에 충진되는, 색상 변환 어셈블리.
  11.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색상 변환 어셈블리는 브래그 반사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브래그 반사층은 상기 광변환층의 상기 출광측에 위치하며, 상기 브래그 반사층의 상기 광변환층에서의 투영은 각 상기 광변환 유닛을 덮는, 색상 변환 어셈블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색상 변환 어셈블리는 광산란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광산란층은 상기 브래그 반사층의 상기 광변환층으로부터 멀어지는 일측에 위치하는, 색상 변환 어셈블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광산란층은 마이크로 렌즈 및 산란 입자층 중 어느 하나인, 색상 변환 어셈블리.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광산란층의 상기 광변환층과 대향하는 표면은 요철면인, 색상 변환 어셈블리.
  15.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변환 유닛은 상기 입광측 근처에 설치되는 상기 배리어층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관통홀의 중심점 위치 또는 초점 위치에 위치하는, 색상 변환 어셈블리.
  16.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에서, 상기 광변환 유닛의 사이즈는 상기 관통홀의 깊이보다 작은, 색상 변환 어셈블리.
  17. 표시 패널에 있어서,
    복수의 발광 유닛 및 격벽을 포함하고 또한 서로 인접하는 상기 발광 유닛이 상기 격벽에 의해 서로 분리되어 설치되는, 발광층과;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의 색상 변환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색상 변환 어셈블리는 상기 발광층에 설치되고, 각 상기 발광 유닛은 하나의 상기 관통홀에 대향되게 설치되는, 표시 패널.
  18. 표시 패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발광층이 형성된 구동 백플레인을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발광층은 복수의 발광 유닛과 격벽을 포함하고 또한 서로 인접하는 상기 발광 유닛은 상기 격벽에 의해 서로 분리되어 설치되는 단계와;
    상기 발광층에 색상 변환 어셈블리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층에 색상 변환 어셈블리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발광층에 옹벽층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옹벽층은 각 발광 유닛에 대응되는 관통홀을 가지고, 상기 옹벽층은 2층 이상의 적층 설치되는 배리어층을 포함하여, 상기 관통홀의 중심을 향해 출사광이 수렴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옹벽층을 성형하는 과정 또는 성형한 후에, 적어도 일부 상기 관통홀 내에 광변환 유닛을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의 제조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층에 색상 변환 어셈블리를 형성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상기 구동 백플레인에 제1층 상기 배리어층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제1층 상기 배리어층은 각 상기 발광 유닛과 대향되게 설치되는 수용홈을 구비하는 단계와;
    제1층 상기 배리어층의 복수의 상기 수용홈에 광변환 유닛를 형성하고, 제1층 상기 배리어층 및 상기 광변환 유닛을 평탄화하는 단계와;
    평탄화된 제1층 상기 배리어층에, 각 상기 발광 유닛과 대향되게 설치되는 수용홈을 구비한 제2층 상기 배리어층을 형성하고, 제2층 상기 배리어층을 평탄화하는 단계와;
    제n층 상기 배리어층의 설치 및 평탄화가 완료될 때까지, 마지막 한 층의 평탄화된 상기 배리어층에, 상기 발광 유닛과 대향되게 설치되는 수용홈을 구비한 다음 한 층의 배리어층을 설치하고 평탄화하는 상술한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로서, n은 3 이상인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의 제조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커버 플레이트를 제공하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 광산란층을 형성하고 평탄화하며, 평탄화된 광산란층에 브래그 반사층을 형성하여, 커버 플레이트 어셈블리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커버 플레이트 어셈블리와 색상 변환 어셈블리를 매칭시켜, 상기 브래그 반사층이 광변환층과 커버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시 패널의 제조 방법.
KR1020227000045A 2019-07-11 2020-03-23 색상 변환 어셈블리, 표시 패널 및 제조 방법 KR2022000837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0625722.9A CN112216774A (zh) 2019-07-11 2019-07-11 色彩转换组件、显示面板及制作方法
CN201910625722.9 2019-07-11
PCT/CN2020/080676 WO2021004090A1 (zh) 2019-07-11 2020-03-23 色彩转换组件、显示面板及制作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8378A true KR20220008378A (ko) 2022-01-20

Family

ID=74048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0045A KR20220008378A (ko) 2019-07-11 2020-03-23 색상 변환 어셈블리, 표시 패널 및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220008378A (ko)
CN (1) CN112216774A (ko)
WO (1) WO20210040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13552A (zh) * 2021-03-24 2021-07-13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WO2023089565A1 (en) * 2021-11-18 2023-05-25 Hyperlume, Inc. Micro-led display co-packaged with optics and method of fabrication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52150A1 (en) * 2002-10-01 2006-07-13 Herbert Boerner Electroluminescent display with improved light outcoupling
US9196653B2 (en) * 2009-07-30 2015-11-2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ixelated LED
TWI439779B (zh) * 2010-06-24 2014-06-01 Prime View Int Co Ltd 顯示裝置、雷射轉印方法及雷射轉印色板
CN102064171A (zh) * 2010-10-22 2011-05-18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发光二极管装置
CN202058783U (zh) * 2011-05-13 2011-11-30 华中科技大学 一种led封装反光杯
KR20130040519A (ko) * 2011-10-14 2013-04-24 삼성전자주식회사 발광소자 모듈
JP6345266B2 (ja) * 2014-03-10 2018-06-20 オスラム オプト セミコンダクターズ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波長変換素子、波長変換素子を含む発光半導体コンポーネント、波長変換素子の製造方法、および波長変換素子を含む発光半導体コンポーネントの製造方法
EP2919284B1 (en) * 2014-03-14 2019-07-03 Citizen Electronics Co., Ltd. Light emitting apparatus
CN103925523B (zh) * 2014-04-02 2016-06-1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背光模组及显示装置
KR102244461B1 (ko) * 2014-06-17 2021-04-26 루미리즈 홀딩 비.브이. 인광체-변환형 led들에 대한 반사기 컵들의 어레이를 포함하는 플래시 모듈
KR102416470B1 (ko) * 2015-12-21 2022-07-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효율 향상을 위한 표시패널, 표시장치 및 표시패널을 제조하는 방법
KR102263041B1 (ko) * 2016-02-26 2021-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컬러를 구현할 수 있는 발광 소자
WO2017191714A1 (ja) * 2016-05-06 2017-11-09 シャープ株式会社 バックライト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表示装置
CN107403791B (zh) * 2016-05-18 2020-04-10 光宝光电(常州)有限公司 发光显示器以及形成发光显示器的方法
CN107507845A (zh) * 2016-06-14 2017-12-22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
CN106206871A (zh) * 2016-08-03 2016-12-07 纳晶科技股份有限公司 发光器件的制备方法与发光器件
KR102553630B1 (ko) * 2016-08-11 2023-07-10 삼성전자주식회사 발광소자 패키지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11980B1 (ko) * 2016-12-14 2023-12-08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컬러를 구현할 수 있는 발광 소자
US10546979B2 (en) * 2017-05-31 2020-01-28 Innolux Corporation Display device and lighting apparatus
CN109755355B (zh) * 2017-11-02 2021-12-07 深圳光峰科技股份有限公司 波长转换元件及其制备方法
CN108257949B (zh) * 2018-01-24 2020-02-07 福州大学 可实现光效提取和色彩转换微米级led显示装置及制造方法
CN108573992A (zh) * 2018-05-08 2018-09-25 业成科技(成都)有限公司 显示面板、制备方法及应用该显示面板的电子装置
TWI683157B (zh) * 2018-10-19 2020-01-2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顯示面板及其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216774A (zh) 2021-01-12
WO2021004090A1 (zh) 2021-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20570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572718B1 (ko) 컬러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7580181B2 (en) Display
US20210341653A1 (en) Color conversion component and display device
CN113394351B (zh)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0323353A (zh) Oled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10244428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212517209U (zh) 显示面板和电子装置
KR20210153134A (ko) 표시 패널, 표시 장치 및 표시 패널의 제조 방법
KR20220008378A (ko) 색상 변환 어셈블리, 표시 패널 및 제조 방법
CN114068843A (zh) 显示面板和显示装置
KR20220012995A (ko) 색상 변환 어셈블리, 표시 패널 및 표시 장치
KR20210157401A (ko) 색상 변환 어셈블리 및 표시 패널
US11402685B2 (en) Display substr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display apparatus
US20210273024A1 (en) Color conversion assembly, display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of color conversion assembly
CN115377320A (zh) 显示面板和显示装置
US20140077195A1 (e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package structu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oncavity on substrate
CN116569671A (zh) 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US20240030194A1 (en) Display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of display panel
US11957022B2 (en) Display panel having intra-substrate filler configuration, method of manufacturing such a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WO2023195239A1 (ja) 表示装置
WO2022266837A1 (zh) 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214476125U (zh) 显示面板和显示装置
US20230378404A1 (en) Light emitting device with improved radiation distribution and method of making thereof
US20240040841A1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