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8151A - 공기청정기 - Google Patents

공기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8151A
KR20220008151A KR1020200086390A KR20200086390A KR20220008151A KR 20220008151 A KR20220008151 A KR 20220008151A KR 1020200086390 A KR1020200086390 A KR 1020200086390A KR 20200086390 A KR20200086390 A KR 20200086390A KR 20220008151 A KR20220008151 A KR 202200081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member
housing
air
hole
actu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6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수
권선덕
남유영
김재홍
배준형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863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8151A/ko
Publication of KR20220008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81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5Electronic processing for selecting an operating mo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24F11/745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the air flow rate increasing with an increase of air-current or wind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24F11/77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by controlling the speed of venti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3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electric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팬 회전속도 조절 이외의 별도의 유량조절수단을 가지며, 저소음 모드로 운전될 때에도 향상된 공기청정성능을 발휘하는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로 흡입된 외부공기를 여과하는 필터부; 상기 하우징 내로 외부공기가 유입되어 상기 필터부를 통과하도록 송풍력을 제공하는 팬을 포함하는 송풍부; 외부공기가 상기 하우징 내로 유입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개폐되도록 형성되는 흡기부; 및 일반모드 및 상기 일반 모드보다 많은 양의 공기가 정화되는 부스팅 모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작동 모드가 설정되도록 상기 흡기부 및 상기 송풍부를 제어하며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일반 모드에서 상기 커버부재가 상기 폐쇄 위치에 위치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를 제어하고, 상기 부스팅 모드에서 상기 커버부재가 상기 개방 위치에 위치되록 상기 액츄에이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기청정기{Air Purifier}
본 발명은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팬 회전속도 조절 이외의 별도의 유량조절수단을 가지며, 저소음 모드로 운전될 때에도 향상된 공기청정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청정기는 오염된 외부 공기를 강제로 내부로 흡입하여 여과한 후, 여과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장치로서, 근래에 대기오염 및 건강에 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그 사용이 늘고 있다.
이러한 공기청정기는 외부공기를 공기청정기의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송풍부 및 공기 중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나 세균 등을 필터링 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필터부재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공지의 공기청정기는 가정이나 사무실과 같은 실내공간에서 오염된 공기를 강제 흡입하여 집진 여과한 후 정화된 공기를 실내로 재순환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한국 공개특허 10-2018-0126217호는 종래의 공기청정기를 개시한다. 상기 공기청정기는 실내에 사람이 있는지를 감지하고, 실내의 공기질을 측정하여 공기의 질이 좋을 때에는 풍향이 인체를 향하도록 제어하고, 풍량이 감소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공기청정기는 측정된 실내의 공기질이 나쁠 때에는 풍향이 인체를 향하지 않도록 제어하고 풍량이 증가되도록 제어하여 나쁜 공기가 인체로 직접 향하지 않도록 하면서 공기정화성능을 증가시킨다. 또한, 상기 공기청정기는 이러한 풍량의 제어가 팬의 회전속도 제어에 의하여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송풍량 제어수단이 팬의 회전속도에 한정될 경우, 보다 큰 송풍량이나 공기청정성능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크기가 큰 팬 및 모터를 구비해야 하였다. 이와 같이, 크기가 큰 팬 및 모터를 구비한 공기정청기는 전체적으로 부피가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 10-2018-0049666호는 실내에 설치되는 공기청정기를 개시한다. 상기 공기청정기는 단일한 공기흡입부와 수직방향의 제1공기토출부 및 수평방향의 제2공기토출부 및 유로전환판과 에어가이드 블레이드가 구비된다. 상기 공기청정기는 송풍팬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공기정화필터에서 여과시킨 후, 토출되는 공기가 상방을 향하도록 하는 제1공기토출부와 수평방향을 향하도록 하는 제2공기토출부 중 어느 하나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실내 공기순환의 효율을 증대시킨다.
그런데, 상기 공기청정기가 설치되는 실내에서는 대부분의 먼지들이 실내 바닥에 내려앉아 있는데, 종래의 공기청정기는 공기청정기 주변 바닥의 먼지들을 흡입하여 여과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공기청정기 주변 실내 바닥의 먼지를 제거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공기청정기 주변의 실내 바닥의 먼지는 사람의 움직임 등에 따라 다시 재비산되어 실내공기를 오염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 10-2012-0073924호는 공기청정기의 제어방법을 개시한다. 이러한 공기청정기 제어 방법은 공기청정기 주변부의 조도를 측정하고 조도 범위에 따라서 민감도를 설정하는 민감도 설정 과정, 공기청정기 주변부의 소음을 측정하고 소음 범위에 따라서 최대 팬 RPM을 설정하는 최대 팬 RPM 설정 과정 및 상기 설정된 민감도를 기준으로 오염도를 판정하고 상기 설정된 최대 팬 RPM 이하의 팬 동작 RPM으로 상기 공기청정기를 동작시키는 운전 과정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공기청정기 제어방법은 저소음 모드로 동작될 때는 팬의 최고 RPM이 설정되고, 그 이상으로는 회전되지 않는데, 이러한 방법은 팬의 최고 RPM으로 회전될 때 흡입되는 공기의 유량이 최대흡입공기유량이 되므로, 팬의 최고 RPM에 의하여 공기청정성능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공기청정기 제어방법은 팬의 속도를 증가시켜야만 공기청정성능이 향상되므로, 저소음 상태를 유지하면서 공기청정성능을 향상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 10-2018-0126217호 한국 공개특허 10-2018-0049666호 한국 공개특허 10-2012-0073924호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팬의 회전속도 제어 이외의 추가적인 유량조절수단을 구비할 수 있어 제어의 용이성을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크기가 커지지 않으면서도 공기청정성능이 향상될 수 있어 공간효율성을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공기청정기가 설치된 주변의 실내 바닥에 쌓인 먼지도 흡입해 제거함으로써, 먼지의 재비산을 최대한 억제하고 실내의 공기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취침 등을 위한 저소음 모드로 운전될 때에도 팬의 회전속도에 공기청정성능이 제한되지 아니하여 팬이 저회전속도로 회전되면서도 공기청정성능을 증가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만족도를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저소음 모드를 유지하면서도 강력한 공기청정성능을 발휘할 수 있어 공기청정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로 흡입된 외부공기를 여과하는 필터부; 상기 하우징 내로 외부공기가 유입되어 상기 필터부를 통과하도록 송풍력을 제공하는 팬을 포함하는 송풍부; 외부공기가 상기 하우징 내로 유입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는 흡기부; 및 복수의 작동 모드가 설정되도록 상기 흡기부 및 상기 송풍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이고, 상기 흡기부는, 상기 하우징에 소정 넓이로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외부와 내부를 연통시킬 수 있는 관통구; 상기 관통구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 또는 상기 관통구의 적어도 일부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에 위치될 수 있으며, 외부공기를 상기 하우징 내로 유입시킬 수 있는 커버부재 흡입홀을 구비하는 커버부재; 및 상기 커버부재가 상기 폐쇄 위치 또는 상기 개방 위치에 위치되도록 상기 커버부재에 외력을 제공하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작동 모드는 일반 모드 및 상기 일반 모드보다 많은 양의 공기가 정화되는 부스팅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일반 모드에서 상기 커버부재가 상기 폐쇄 위치에 위치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를 제어하고, 상기 부스팅 모드에서 상기 커버부재가 상기 개방 위치에 위치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를 제어하며, 상기 커버부재가 상기 폐쇄 위치에 있을 때 흡입되는 외부공기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커버부재 흡입홀을 통해 상기 하우징 내로 유입되고, 상기 커버부재가 상기 개방 위치에 있을 때 흡입되는 외부공기 중 일부는 상기 커버부재 흡입홀을 통과하지 않고 상기 커버부재를 우회한 후 상기 관통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 내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로 흡입된 외부공기를 여과하는 필터부; 상기 하우징 내로 외부공기가 유입되어 상기 필터부를 통과하도록 송풍력을 제공하는 팬을 포함하는 송풍부; 외부공기가 상기 하우징 내로 유입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는 흡기부; 및 복수의 작동 모드가 설정되도록 상기 흡기부 및 상기 송풍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이고, 상기 흡기부는, 외부공기가 상기 하우징 내로 유입되도록 상기 하우징 외부와 상기 하우징 내부를 연통 상태로 유지하는 주 흡기부; 및 상기 하우징의 외면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외부공기가 상기 하우징 내로 유입되도록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보조 흡기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흡기부는 상기 하우징에 소정 넓이로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외부와 내부를 연통시키는 관통구; 상기 관통구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 또는 상기 관통구의 적어도 일부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에 위치될 수 있는 커버부재; 및 상기 커버부재가 상기 폐쇄 위치나 상기 개방 위치에 위치되도록 상기 커버부재에 외력을 제공하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작동 모드는 일반 모드 및 상기 일반 모드보다 많은 양의 공기가 정화되는 부스팅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일반 모드에서 상기 커버부재가 상기 폐쇄 위치에 위치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를 제어하고, 상기 부스팅 모드에서 상기 커버부재가 상기 개방 위치에 위치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를 제어하며, 상기 커버부재가 상기 폐쇄 위치에 있을 때 흡입되는 외부공기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주 흡기부를 통해 상기 하우징 내로 유입되고, 상기 커버부재가 상기 개방 위치에 있을 때 흡입되는 외부공기중 일부는 상기 주 흡기부를 통해 상기 하우징 내로 유입되고, 나머지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보조 흡기부의 상기 관통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 내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작동 모드는 정화되는 공기의 양이 상기 일반 모드보다는 많고 상기 부스팅 모드 보다는 적은 세미 부스팅 모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폐쇄 위치와 상기 개방 위치 사이의 반개방 위치에 위치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시 세미 부스팅 모드에서 상기 커버부재가 상기 반개방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에 설치되어, 상기 외부공기가 상기 관통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 내로 유입될 때 상기 외부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보조 필터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에 있어서, 상기 흡기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하우징의 외측면 양측에 한 쌍으로 형성되거나, 상기 하우징의 후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의 하측 모서리부는 상기 하우징이 놓여진 바닥면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는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관통구에 대응하는 사각 형상 판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가 상기 관통구의 상단을 중심으로 피벗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커버부재의 상단부와 상기 관통구의 상단부 사이에 커버부재 회전축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커버부재를 피벗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재는, 일단이 상기 구동 모터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힌지부재; 및 일단이 상기 제1힌지부재의 타단에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커버부재의 하측단에 힌지결합된 제2힌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커버부재가 상기 개방 위치에 위치될 때 상기 커버부재가 상기 하우징이 놓여진 바닥면에 대해서 수직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관통구를 개폐하도록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회전각도 및 회전방향이 제어되는 구동모터; 일단이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며, 상기 일단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외측을 향하여 연장된 타단은 상기 커버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암; 상기 관통구의 내측면 양측 중 적어도 어느 일측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의 외측 및 상측을 향하여 만곡된 호를 이루는 가이드 레일; 및 상기 커버부재의 상기 암의 타단과 힌지결합된 부분의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과 접하는 측면에 돌출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커버부재가 상기 암에 의해 이동될 때,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되도록 구비되는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작동 모드는 정화되는 공기의 양이 상기 일반 모드보다 적은 저소음 모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저소음 모드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버부재가 상기 폐쇄 위치 또는 상기 개방 위치에 위치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를 제어하고, 상기 팬의 회전속도가 상기 일반 모드에서의 상기 팬의 회전속도보다 느리도록 상기 팬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작동 모드는 정화되는 공기의 양이 상기 부스팅 모드보다 많은 긴급 부스팅 모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긴급 부스팅 모드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버부재가 상기 개방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를 제어하고, 상기 팬의 회전속도가 상기 부스팅 모드에서의 상기 팬의 회전속도보다 빠르도록 상기 팬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버부재가 제1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팬의 최대회전속도에 의해 상기 흡기부로 흡입되는 공기의 유량보다 더 많은 공기 유량의 흡입이 요구될 경우, 상기 커버부재가 제2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공기청정기는, 관통구 및 커버부재가 구비되어 팬의 회전속도 제어 이외의 유량조절수단을 구비하므로, 부스팅 모드시에 상기 관통구가 개방되어 상기 팬의 회전속도가 고정된 상태에서도 흡입되는 유량을 증가시킬 수 있어 공기청정성능을 제어하는 제어의 용이성이 개선되는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흡입유량을 추가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는 관통구 및 커버부재가 구비됨으로써 용량이 큰 팬 및 모터를 구비할 필요없이 공기청정성능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동일한 크기의 공기청정기에서도 공기청정성능을 증가시킬 수 있어 공간효율성이 개선되는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관통구가 측면 하측부에 마련되고, 커버부재가 하측을 향하여 개방되어 실내 바닥에 쌓인 먼지도 흡입함으로써 먼지의 재비산을 최대한 방지하여 실내 공기질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공기청정기가 설치된 주변의 바닥면 측의 공기를 흡입함으로써 실내공기의 대순환을 이룰 수 있어 공기정화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취침이나 학습 등 조용한 환경을 위한 저소음모드로 운전될 때에도 상기 관통구를 개방하여 충분한 흡입유량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팬이 저회전속도로 회전될 때에도 향상된 공기청정성능을 발휘할 수 있어 사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팬의 회전속도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관통구 및 커버부재를 개방하여 흡입유량을 증대시키거나 조절 할 수 있으므로, 저소음 모드를 유지하면서도 공기청성능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커버부재가 폐쇄위치에 위치되었을 때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커버부재가 개방위치에 위치되었을 때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커버부재가 폐쇄위치에 위치되었을 때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커버부재가 개방위치에 위치되었을 때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커버부재가 폐쇄위치에 위치되었을 때, 커버부재 및 액츄에이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커버부재가 개방위치에 위치되었을 때 커버부재 및 액츄에이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커버부재가 개방되는 개도 및 그에 따른 흡입유량의 증가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9의 (a)는 커버부재의 개도가 20도 일 때를 도시한 도면;
도 9의 (b)는 커버부재의 개도가 40도 일 때를 도시한 도면;
도 9의 (c)는 커버부재의 개도가 60도 일 때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관통구 및 커버부재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0의 (a)는 커버부재가 폐쇄위치에 있을 때를 도시한 도면;
도 10의 (b)는 커버부재가 개방위치에 있을 때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커버부재가 폐쇄위치에 있을 때를 도시한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커버부재가 개방위치에 있을 때를 도시한 단면도 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단어와 용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고,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발명자가 용어와 개념을 정의할 수 있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해당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해당 구성은 본 발명의 출원시점에서 이를 대체할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가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설명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전방", "후방", "상부" 또는 "하부"에 있다는 것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와 바로 접하여 "전방", "후방",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연결"되어 있다는 것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로 직접 연결되는 것뿐만 아니라 간접적으로 서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커버부재가 폐쇄위치에 위치되었을 때의 단면도이며, 도 3은 상기 커버부재가 개방위치에 위치되었을 때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 필터부(120), 송풍부(130), 흡기부(14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은 공기청정기의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필터부(120)는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 구비되며, 먼지를 여과하는 필터(1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필터(122)는 하나의 필터(122)로 구성되어 장착되거나 또는 복수개의 필터(122)로 구성되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필터(122)가 복수개 장착될 때에는 각 필터(122)는 서로 다른 크기의 먼지를 여과하도록 구비되거나 또는 서로 다른 성분을 여과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같은 여과능력을 가지는 필터(122)가 복수개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송풍부(130)는 상기 하우징(110)의 외부의 외부공기가 상기 하우징(110) 내로 유입되어 상기 필터부(120)를 통과하면서 여과된 후 상기 하우징(110) 외부로 배출되도록 송풍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상기 송풍부(130)는 송풍력을 발생시키는 팬(132) 및 상기 팬(132)을 회전시키는 모터(1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기부(14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구(142), 커버부재(144) 및 액츄에이터(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통구(142)는 상기 하우징(110)에 소정 넓이로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킬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144)는 상기 관통구(142)를 열어 개방하거나 닫아 폐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144)는 상기 관통구(142)의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를 폐쇄하는 폐쇄위치 또는 상기 관통구(142)를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를 개방하는 개방위치에 선택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커버부재(144)는 상기 폐쇄위치와 개방위치의 사이의 임의의 위치에 위치되도록 그 개도가 제어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때, 상기 커버부재(144)에는 외부공기가 상기 하우징(1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커버부재(144)를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커버부재 흡입홀(14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액츄에이터(150)는 상기 커버부재(144)가 상기 폐쇄위치나 개방위치에 위치되도록 상기 커버부재(144)를 이동시키는 외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송풍부(130)와 흡기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60)는 사용자의 입력 또는 별개로 구비된 센서(162)로부터 측정되는 주변 공기의 상태에 따라 최적의 공기청정성능이 발휘될 수 있도록 상기 송풍부(130) 및 흡기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센서(162)는 상기 하우징(110)에 흡입되는 공기의 질을 측정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하우징(110)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110)에 흡입되는 외부공기에 포함된 먼지의 양이나 종류 및 온도, 습도, 유해가스의 존재여부 또는 유해가스의 성분 등의 질을 측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60)가 사용자의 입력 또는 상기 센서(162)로부터 측정되거나 감지되는 주변 상황에 따라 상기 송풍부(130)의 팬(132) 회전속도 등을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흡기부(140)의 상기 액츄에이터(150)를 제어하여 커버부재(144)의 개폐여부 및 개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144)가 폐쇄위치에 위치되어 상기 관통구(142)가 닫힌 상태에서는 흡입되는 외부공기의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가 상기 커버부재(144)에 형성된 커버부재 흡입홀(146)을 통해 상기 하우징(1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부재 흡입홀(146)은 상기 커버부재(144)에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110)의 다른 부분에는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별도의 홀이 형성되지 아니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상기 커버부재 흡입홀(146)외의 별도의 외부공기 유입을 위한 홀이 상기 커버부재(144)가 아닌 상기 하우징(110)의 다른 개소에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144)가 개방위치에 위치되어 상기 관통구(142)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흡입되는 외부공기 중 일부는 상기 커버부재 흡입홀(146)을 통과한 후 개방된 상기 관통구(142) 전체를 통해 상기 하우징 내부로 유입되고, 흡입되는 외부공기 중 상기 커버부재 흡입홀(146)을 통해 유입되는 외부공기를 제외한 나머지 중 일부 또는 전부는 상기 커버부재 흡입홀(146)을 통과하지 않고 상기 커버부재(144)를 우회하여 직접 개방된 상기 관통구(142) 전체를 통해 상기 하우징(1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어부(160)가 상기 커버부재(144)의 개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관통구(142)로 직접 유입되는 외부공기의 유량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144)가 폐쇄위치에 위치되어 외부공기가 상기 복수개의 커버부재 흡입홀(146)을 통해 유입될 때에는 흡입되는 외부공기와 상기 커버부재 흡입홀(146)과의 마찰로 인해 저항손실이 발생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버부재(144)가 개방위치에 위치되어 외부공기가 상기 관통구(142)로 직접 유입될 때에는 상기 관통구(142)의 개구면적 전체가 흡입면적이 될 것이므로 흡입면적 자체가 증가하고 외부공기가 유입될 때 발생되는 저항손실이 외부공기가 커버부재 흡입홀(146)만을 통해 유입될 때 보다 줄어들 수 있어 상기 팬(132)의 회전속도가 동일하다고 하더라도 흡입되는 공기의 양이 증가될 수 있다.
이렇게 흡입되는 공기의 양이 증가되면 자연적으로 상기 필터부(120)를 거쳐 여과된 후 상기 하우징(110)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양도 증가되어 공기청정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상기 커버부재가 폐쇄위치에 위치되었을 때의 단면도이며, 도 6은 상기 커버부재가 개방위치에 위치되었을 때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공기청정기의 흡기부(240)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 흡기부(250) 및 보조 흡기부(26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설명하지 아니한 다른 구성요소는 전술한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동일한 명칭 및 도면부호를 부여한다.
상기 주 흡기부(250)는 상기 하우징(110) 외부의 공기가 상기 하우징(110) 내로 유입되도록 상기 하우징(110)의 외부와 내부를 연통상태로 유지하도록 형성되는 복수개의 하우징 흡입홀(25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흡입홀(252)은 상기 하우징(110)의 표면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110)의 외부와 내부를 연통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외부공기는 상기 하우징 흡입홀(252)을 통해 상기 하우징(110)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하우징 흡입홀(252)은 외부공기가 상기 하우징(110) 내부로 흡입되는 통로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하우징(110) 내부가 외부에서 노출되지 않도록 시각적으로 가려주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하우징 흡입홀(252)은 그 크기와 개수가 고정적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보조 흡기부(260)는 관통구(262), 커버부재(264) 및 액츄에이터(2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통구(262)는 상기 주 흡기부(250)와는 별개로 상기 하우징(110)에 소정 넓이로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110)의 외부와 내부를 연통시키도록 개구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264)는 상기 관통구(262)를 열어 개방하거나 닫아 폐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264)는 상기 관통구(262)의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를 폐쇄하는 폐쇄위치 또는 상기 관통구(262)를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를 개방하는 개방위치에 선택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커버부재(264)는 상기 폐쇄위치와 개방위치의 사이의 임의의 위치에 위치되도록 그 개도가 제어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커버부재(264)에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커버부재 흡입홀(265)이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액츄에이터(270)는 상기 커버부재(264)가 상기 폐쇄 위치나 개방위치에 위치되도록 상기 커버부재(264)를 이동시키는 외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주 흡기부(250)와 보조 흡기부(260)는 상기 하우징(110)의 서로 다른면에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하며, 상기 주 흡기부(250)와 보조 흡기부(260)가 상기 하우징(110)의 같은 면에 형성될 수 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제어부(160)는 사용자의 입력 또는 별개로 구비된 센서(162)로부터 측정되는 주변 공기의 상태에 따라 최적의 성능이 발휘될 수 있도록 상기 송풍부(130) 및 흡기부(24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60)가 사용자의 입력 또는 상기 센서로부터 측정되거나 감지되는 주변 상황에 따라, 상기 송풍부(130)의 팬 회전속도 등을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흡기부(240)의 상기 액츄에이터(270)를 제어하여 커버부재(264)의 개폐여부 및 개도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264)가 폐쇄위치에 위치되어 상기 보조 흡기부(260)의 관통구(262)가 닫힌 상태에서는 외부공기의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가 상기 주 흡기부(250)의 하우징 흡입홀(252)로서 상기 하우징(110)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커버부재(264)가 개방위치에 위치되어 상기 보조 흡기부(260)의 상기 관통구(262)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흡입되는 외부공기 중 일부는 상기 주 흡기부(250)의 하우징 흡입홀(252)을 통해 상기 하우징(110) 내부로 유입되고, 나머지 중 적어도 일부 또는 나머지 전부가 보조 흡기부(260)의 관통구(262)를 통해 상기 하우징(1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외부공기가 복수개의 하우징 흡입홀(252)을 통해 유입될 때에 흡입되는 외부공기와 상기 하우징 흡입홀(252)의 테두리 내주면과의 마찰로 인한 저항손실이 발생될 수 있는데, 상기 관통구(262)가 추가로 개방됨으로써 총 흡입면적이 증가됨은 물론 외부공기가 흡입될 때 발생되는 저항손실이 줄어들 수 있어 상기 팬의 회전속도가 동일하다고 하더라도 흡입되는 공기의 양이 증가될 수 있다. 이렇게 흡입되는 공기의 양이 증가되면 자연적으로 상기 필터부(120)를 거쳐 여과된 후 상기 하우징(110)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양도 증가되어 공기청정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커버부재(264)에 전술한 커버부재 흡입홀(265)이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커버부재(264)에 상기 커버부재 흡입홀(265)이 형성된 경우, 상기 커버부재(264)가 폐쇄된 상태에는 외부공기가 상기 주 흡기부(250)의 하우징 흡입홀(252)과 함께 상기 커버부재(264)의 커버부재 흡입홀(265)을 통해 외부공기가 상기 하우징(110) 내부로 유입되며, 상기 커버부재(264)가 개방위치에 위치되어 상기 보조 흡기부(260)의 상기 관통구(262)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외부공기가 상기 주 흡기부(250)의 하우징 흡입홀(252)과 함께 보조 흡기부(260)의 관통구(262)를 통해 상기 하우징(1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60)는 여러 가지의 작동 모드로 상기 송풍부(130) 및 흡기부(2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작동 모드는 사용자의 입력 등에 의해 선택되거나 또는 상기 센서(162)로부터 측정되는 주변 공기의 상태에 따라 자동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작동 모드는 일반 모드, 부스팅 모드, 세미 부스팅 모드 및 저소음 모드 및 긴급 부스팅 모드를 포함 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60)는 선택된 작동 모드에 따라 상기 송풍부(130) 및 흡기부(24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일반모드는, 상기 커버부재(264)가 폐쇄위치에 위치되어 상기 관통구(262)가 폐쇄된 상태에서 작동되는 모드로서, 사용자의 입력 또는 상기 센서(162)로부터 측정되는 주변공기의 상태에 따라 상기 팬의 회전수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하우징(110)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을 제어하는 작동모드이다. 상기 하우징(110)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을 제어함으로써 정화되는 공기의 양, 즉 공기정화량을 제어할 수 있다. 물론,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어부(160)에 입력된 설정이나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일반모드에서도 상기 커버부재(264)가 개방위치에 위치되어 상기 관통구(262)가 개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부스팅 모드는, 상기 일반 모드일 때보다 더 큰 공기정화량을 발휘하는 모드로서, 실내 공기의 질이 나쁘다거나 또는 빠른 시간내에 실내공기를 정화시켜야 할 필요가 있을 때 자동 또는 수동적으로 선택되는 작동 모드일 수 있다. 상기 부스팅 모드일 때는 상기 커버부재(264)가 개방위치에 위치되어 상기 관통구(262)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110) 외부공기가 흡입되어 상기 필터부(120)에서 여과된 후 배출됨으로써 상기 일반 모드에 비하여 보다 많은 양의 공기를 정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스팅 모드에서는 상기 팬의 회전속도가 필요에 따라 상기 일반 모드일 때 보다 빠르게 회전되어 보다 많은 양의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다. 물론, 상기 제어부(160)에 입력된 설정이나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팬의 회전속도는 증가하지 않을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세미 부스팅 모드는 공기정화량이 상기 일반 모드보다는 많고 상기 부스팅 모드보다는 적도록 운전되는 작동 모드일 수 있다. 이러한 세미 부스팅 모드는 사용자의 입력 또는 상기 센서로부터 측정되는 주변공기의 상태에 따라 작동될 수 있다. 상기 세미 부스팅 모드에서는 상기 커버부재(264)가 반개방 위치에 위치될 수 있고,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세미 부스팅 모드에서 상기 커버부재(264)가 상기 반개방 위치에 위치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270)를 제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반개방 위치는 상기 폐쇄위치와 상기 개방위치 사이의 임의의 지점일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상기 폐쇄위치와 개방위치 사이의 반개방 위치가 제어될 수 있다. 즉, 상기 커버부재(264)의 개도가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저소음 모드는 수면 또는 공부나 음악감상 등 조용한 환경을 구현해야 할 필요가 있으며, 실내의 공기의 질이 일정 수준 이상이어서 요구되는 공기정화량이 높지 않을 때 작동되는 작동 모드일 수 있다. 물론, 실내 공기의 질에 상관없이 조용한 환경이 필요한 경우 최소의 소음으로서 적절한 공기정화량을 발휘하도록 운전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커버부재(264)가 상기 폐쇄 위치 또는 상기 개방위치 또는 반개방 위치에 위치되어 상기 커버부재(264)의 개도가 조절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27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팬의 회전속도가 상기 일반 모드일 때 보다 느리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소음 모드 중에 공기정화량을 변화시키고 싶을 때에는 상기 팬의 회전속도를 변화 시키기 보다는 상기 커버부재(264)의 개도를 조절하여 상기 하우징(110)의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량을 제어함으로써 공기정화량을 변화시킬 수 있다.
상기 긴급 부스팅 모드는 공기정화량이 상기 부스팅 모드보다 더 많도록 상기 송풍부(130) 및 흡기부(240)가 제어되는 작동 모드로서, 실내 공기의 질이 매우 나쁘다거나 또는 긴급하게 빠른 시간내에 실내공기를 정화시켜야 할 필요가 있을 때 또는 상기 센서(162)에서 검출된 유해가스 성분 중에 유독한 성분이 검출되었을 때 자동 또는 수동적으로 선택되는 작동 모드일 수 있다. 상기 긴급 부스팅 모드에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커버부재(264)가 상기 개방 위치에 위치 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270)를 제어하며, 상기 팬의 회전속도가 상기 부스팅 모드일 때 보다 더 크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커버부재(264)를 개방 위치로 위치하여 상기 하우징(110)의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는 부분의 면적을 증가시키면서, 상기 팬의 회전속도를 증가시켜 흡입력 또한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공기정화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부스팅 모드나 긴급 부스팅 모드에서, 상기 커버부재(264)가 제1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팬의 최대회전속도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의 유량보다 더 많은 공기유량이 요구될 때는 상기 커버부재(264)를 제2위치로 더욱 개방할 수 있다. 즉, 공기의 질이 매우 나쁘다던가 또는 최대한 신속하게 공기의 질을 개선시킬 필요가 있을 때 등 강력한 공기정화성능이 요구될 때 등 상기 팬이 최대 회전속도로 회전되고 있음에도 이보다 더 큰 공기 흡입유량이 요구될 때에는 상기 커버부재(264)의 개도를 현재의 제1위치보다 더 큰 개도의 제2위치로 더욱 개방함으로써 외부공기가 흡입되는 흡입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공기 흡입유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위치는 현재상태의 상기 커버부재(264)의 위치이며, 상기 제2위치는 상기 제1위치보다 더 큰 개도의 상기 커버부재(264)의 위치이다.
한편, 상기 관통구(262)에는 보조 필터 부재(26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조 필터 부재(266)는 상기 필터부(120)와는 별개로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110) 외부의 공기가 상기 관통구(262)를 통해 상기 하우징(110) 내로 유입될 때, 유입되는 외부공기에 포함된 먼지나 머리카락 등의 비교적 큰 크기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보조 필터 부재(266)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하우징(110) 내에 먼지나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보조 필터 부재(266)는 비교적 큰 크기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것으로서, 작은 크기의 이물질은 상기 하우징(110) 내로 유입될 수 있으나, 이러한 작은 크기의 이물질은 상기 하우징(110) 내에 구비된 필터부(120)에 의해 여과될 수 있다.
상기 관통구(262)와 커버부재(264)는 상기 하우징(110)의 양 측면에 한 쌍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하우징(110)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하우징(110)의 양 측면 중 어느 한 측면에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며,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하우징(110)의 전면에 배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때, 상기 관통구(262)와 커버부재(264)는 그 하측 모서리부가 상기 하우징(110)의 하측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이는 상기 관통구(262)를 통해 유입되는 되는 공기가 먼지 등이 쌓인 바닥면과 인접한 위치에서 흡입되도록 하여 상기 하우징(110)이 놓여진 바닥면 인근에 공기의 기류를 형성함으로써 바닥면에 쌓인 먼지가 공기의 기류와 함께 상기 관통구(262)를 통해 흡입되어 여과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바닥면에 쌓인 먼지가 여과됨으로써 실내로 재비산 되는 먼지의 양이 그만큼 줄어들어 실내 공기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실내공기가 바닥면 인근에서 흡입되므로, 공기가 높은 위치에서 흡입되는 공기청정기에 비하여 실내공기의 대순환을 이룰 수 있어 실내 공기의 공기청정효과를 더욱 제고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관통구(262)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관통구(262)를 개폐하는 커버부재(264) 또한 상기 관통구(262)에 대응하는 형태로 사각의 판 부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관통구(262)가 원형이나 삼각형 또는 마름모 꼴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부재(264) 또한 상기 관통구(262)를 덮어 폐쇄하거나 또는 개방 하는 것이 가능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버부재(264)는 상기 관통구(262)의 상단을 중심으로 피벗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커버부재(264)의 상단부와 상기 관통구(262)의 상단부 사이에 상기 커버부재(264)를 상기 관통구(262)에 피벗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커버부재 회전축(268)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버부재(264)는 그 상단부가 상기 커버부재 회전축(268)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관통구(262)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264)의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커버부재(264)의 개도가 조절되며 외부공기가 흡입되는 흡입면적이 조절될 수 있다.
도 7은 상기 커버부재(264)가 폐쇄위치에 위치되었을 때, 커버부재(264) 및 액츄에이터(270)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상기 커버부재(264)가 개방위치에 위치되었을 때 커버부재(264) 및 액츄에이터(27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부재(264)는 액츄에이터(270)에 의해 구동되는데, 상기와 같은 액츄에이터(27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272), 제1힌지부재(274) 및 제2힌지부재(27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272)는 상기 커버부재(264)를 피벗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송풍부(130)의 모터(134)와는 별도로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160)에 의해 그 회전각도 및 회전방향등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272)의 회전축에는 제1힌지부재(274)가 결합된다. 상기 제1힌지부재(274)는 그 일단이 상기 구동모터(272)의 회전축에 결합되며, 상기 제1힌지부재(274)는 상기 구동모터(272)의 회전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제1힌지부재(274)의 타단에는 제2힌지부재(276)의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2힌지부재(276)의 타단은 상기 커버부재(264)에 힌지결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액츄에이터(270)는 상기 커버부재(264)의 하측을 상기 하우징(110)의 외측으로 밀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2힌지부재(276)의 타단은 상기 커버부재(264)의 하측단에 힌지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60)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272)가 회전되면 상기 제1힌지부재(274) 및 제2힌지부재(276) 또한 회전되어 상기 커버부재(264)의 하단을 상기 하우징(110) 외측으로 밀어내며, 상기 커버부재(264)는 상기 커버부재 회전축(168)을 중심으로 회전면서 상기 커버부재(264)의 하측이 개방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외부공기가 상기 커버부재(264)의 하측으로부터 유입될 수 있으며, 흡입구가 수평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 공기청정기에 비교하여 보다 더 실내 공기의 대순환을 이룰 수 있다. 또한, 하측의 공기를 흡입할 때 바닥면에 쌓인 먼지도 같이 흡입함으로써 실내공기 청정효과를 제고할 수 있다. 이 때, 상기와 같은 커버부재(264)가 개방되는 정도는 상기 제어부(16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아래 표 1은 상기 팬의 분당 회전수 별로 상기 커버부재(264)를 20도의 열림각도로 개방하였을 때와 상기 커버부재(264)를 닫았을 때의 공기청정능력의 증감을 실험한 결과이다. 상기 공기청정능력은 공기를 정화할 수 있는 면적(평수)로 기재하였다.
팬의 분당회전수 공기청정면적(평) 커버부재 개폐여부
1300 20.4
1300 22.4
1400 22.7
1400 24.2
<표 1> 팬의 분당회전수별 커버부재 개폐여부에 따른 공기정화능력의 변화
표 1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팬의 분당 회전수가 1300~1400 범위에서, 상기 커버부재(264)를 20도 열림각도로 개방하였을 때, 공기정화능력이 대략 10%정도 향상됨을 알 수 있다.
도 9는 상기 커버부재(264)가 개방되는 개도 및 그에 따른 흡입유량의 증가를 실험하여 나타낸 결과 이며, 도 9의 (a)는 상기 커버부재(264)의 개도가 20도 일 때를 도시하였고, 도 9의 (b)는 상기 커버부재(264)의 개도가 40도 일 때를 도시하였으며, 도 9의 (c)는 상기 커버부재(264)의 개도가 60도 일 때를 도시하였다. 본 실험은 상기 송풍부(130)의 팬의 회전속도는 고정한 채로 상기 커버부재(264)가 개방되는 각도를 조절하여 실험하였다.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부재(264)의 열림각도가 20도 일 때, 흡입면적은 약 30%가 증가하였고, 흡입유량은 10%가 증대되었다.
또한,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부재(264)의 열림각도가 40도일 때, 흡입면적은 약 50%가 증가하였고, 흡입유량은 15%가 증대되었다.
그리고, 도 9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부재(264)의 열림각도가 60도 일 때, 흡입면적은 약 70%가 증가하였고, 흡입유량은 20%가 증대되었다.
이 때, 상기 열림각도는 상기 커버부재(264)가 상기 관통구(262)를 완전히 폐쇄하였 때를 기준으로 상대각도를 측정한 것이며, 상기 흡입면적은 상기 하우징(110)의 외부공기가 흡입되는 상기 공기청정기 전체의 주 흡기부(250)와 보조 흡기부(260)의 흡입을 위해 개구된 흡입면적의 총합을 뜻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입유량은 상기 주 흡기부(250)와 보조 흡기부(260)로 흡입되는 공기의 총 흡입유량을 뜻할 수 있으며, 상기 흡입유량 증가폭은 상기 주 흡기부(250)로만 외부공기를 흡기할 때 와 비교하여 보조 흡기부(260)를 개방하였을 때의 흡입유량 증가폭을 상기 커버부재(264)의 열림각도별로 비교한 것이다.
흡입된 공기는 모두 상기 필터부(120)를 거쳐 모두 공기청정기 외부로 배출될 것이므로, 상기 흡입유량이 증가하는 것은 결국 공기청정기의 전체 공기청정성능이 증가하는 것을 뜻할 수 있다. 이 때, 공기청정기의 공기청정성능이 증가함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264)를 개방시키는 것 외에 추가적으로 팬의 회전속도를 증가시킨다던가 하는데 소모되는 에너지가 없으므로, 결국 최소한의 에너지 투입으로 공기청정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짐을 알 수 있다. 더불어, 팬의 회전속도를 증가시키지 않아도 공기청정성능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동일한 공기청정성능을 발휘하는데 소요되는 전력을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발생되는 소음 또한 줄어들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물론, 상기 흡입면적은 상기 커버부재(264)의 형태 및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상기 송풍부(130)의 팬의 회전속도가 변화하지 않아도 흡입면적이 증가되었을 때 흡입유량이 증가되어 공기청정성능이 향상됨은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액츄에이터(270)에 의해 상기 커버부재(264)가 피벗 힌지 방식으로 개방되었으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커버부재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개폐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하지 아니한 다른 구성요소는 전술한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동일한 명칭 및 도면부호를 부여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통구(340) 및 커버부재가 구비되는 공기청정기의 관통구(340) 및 커버부재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0의 (a)는 커버부재가 폐쇄위치에 있을 때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의 (b)는 커버부재가 개방위치에 있을 때를 도시한 도면이다. 즉, 커버부재(350)는 바닥면에 대해서 수직을 유지 하면서 상기 관통구(340)로부터 외측방향 또는 내측방향으로 이동된 후에 수직 또는 수평이동함으로써 상기 관통구(340)를 개폐할 수 있으며, 액츄에이터(360)가 상기 커버부재(350)가 바닥면에 대해서 수직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관통구(340)를 개폐하도록 상기 커버부재(350)을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커버부재(350)가 폐쇄위치에 있을 때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2는 커버부재(350)가 개방위치에 있을 때를 도시한 단면도 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360)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361), 암(365), 가이드 레일(367) 및 슬라이더(36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350)는 상기 관통구(340)를 개폐 시키기 위하여 판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361)는 상기 제어부(160)의 제어에 의해 그 회전각도 및 회전방향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암(365)은 일단이 상기 구동모터(361)의 회전축에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암(365)은 호 형태를 이루도록 상기 암(365)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하우징(110)의 외측 및 상측을 향하여 만곡되게 연장될 수 있으며, 타단은 상기 커버부재(350)의 후면의 상측에 힌지결합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암(365)은 반드시 호의 형태를 이룰 필요는 없으며, 필요에 따라 직선 형태로 형성되거나 또는 절곡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가이드 레일(367)은 상기 관통구(340)의 내측 양측에 구비되어 후술할 슬라이더(369)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레일(367)은 상기 하우징의 외측 및 상측을 향하도록 만곡된 호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가이드 레일(367)은 상기 암(365)의 상기 커버부재(350)의 후면 상측에 힌지결합된 타단이 상기 구동모터(361)의 회전에 의해 이동되는 경로와 평행한 경로의 호를 이룰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369)는 상기 커버부재(350)의 하측 양 단으로부터 상기 관통구(340)의 내주면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그 끝단이 상기 가이드 레일(367)에 삽입되어, 상기 커버부재(350)가 상기 암(365)에 의해 이동될 때 상기 슬라이더(369) 또한 상기 가이드 레일(367)을 따라 이동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부재(350)가 상기 하우징의 관통구(340)를 폐쇄하고 있다가 상기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의 외측 및 상측으로 호를 그리면서 이동되어 상기 관통구(340)를 개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가 상기 구동모터(361)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커버부재(350)가 상기 하우징(110)의 외측으로 돌출되면서 상측으로 이동되는 이동량을 제어할 수 있어 상기 관통구(340)를 적절한 개도로 개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10: 하우징 120: 필터부
122: 필터 130: 송풍부
132: 팬 134: 모터
140: 흡기부 142: 관통구
144: 커버부재 146: 커버부재 흡입홀
150: 액츄에이터 160: 제어부
162: 센서 240: 흡기부
250: 주 흡기부 252: 하우징 흡입홀
260: 보조 흡기부 262: 관통구
264: 커버부재 266: 보조 필터 부재
268: 커버부재 회전축 270: 액츄에이터
272: 구동모터 274: 제1힌지부재
276: 제2힌지부재 340: 관통구
350: 커버부재 360: 액츄에이터
361: 구동모터 365: 암
367: 가이드 레일 369: 슬라이더

Claims (14)

  1.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로 흡입된 외부공기를 여과하는 필터부;
    상기 하우징 내로 외부공기가 유입되어 상기 필터부를 통과하도록 송풍력을 제공하는 팬을 포함하는 송풍부;
    외부공기가 상기 하우징 내로 유입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는 흡기부; 및
    복수의 작동 모드가 설정되도록 상기 흡기부 및 상기 송풍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이고,
    상기 흡기부는
    상기 하우징에 소정 넓이로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외부와 내부를 연통시킬 수 있는 관통구;
    상기 관통구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 또는 상기 관통구의 적어도 일부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에 위치될 수 있으며, 외부공기를 상기 하우징 내로 유입시킬 수 있는 커버부재 흡입홀을 구비하는 커버부재; 및
    상기 커버부재가 상기 폐쇄 위치 또는 상기 개방 위치에 위치되도록 상기 커버부재에 외력을 제공하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작동 모드는 일반 모드 및 상기 일반 모드보다 많은 양의 공기가 정화되는 부스팅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일반 모드에서 상기 커버부재가 상기 폐쇄 위치에 위치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를 제어하고, 상기 부스팅 모드에서 상기 커버부재가 상기 개방 위치에 위치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를 제어하며,
    상기 커버부재가 상기 폐쇄 위치에 있을 때 흡입되는 외부공기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커버부재 흡입홀을 통해 상기 하우징 내로 유입되고,
    상기 커버부재가 상기 개방 위치에 있을 때 흡입되는 외부공기 중 일부는 상기 커버부재 흡입홀을 통과한 후 상기 관통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 내로 유입되고, 나머지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커버부재 흡입홀을 통과하지 않고 상기 커버부재를 우회한 후 상기 관통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2.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로 흡입된 외부공기를 여과하는 필터부;
    상기 하우징 내로 외부공기가 유입되어 상기 필터부를 통과하도록 송풍력을 제공하는 팬을 포함하는 송풍부;
    외부공기가 상기 하우징 내로 유입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는 흡기부; 및
    복수의 작동 모드가 설정되도록 상기 흡기부 및 상기 송풍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이고,
    상기 흡기부는
    외부공기가 상기 하우징 내로 유입되도록 상기 하우징 외부와 상기 하우징 내부를 연통 상태로 유지하는 주 흡기부; 및
    상기 하우징의 외면 일측에 형성되며, 외부공기가 상기 하우징 내로 유입되도록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보조 흡기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흡기부는
    상기 하우징에 소정 넓이로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외부와 내부를 연통시키는 관통구;
    상기 관통구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 또는 상기 관통구의 적어도 일부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에 위치될 수 있는 커버부재; 및
    상기 커버부재가 상기 폐쇄 위치나 상기 개방 위치에 위치되도록 상기 커버부재에 외력을 제공하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작동 모드는 일반 모드 및 상기 일반 모드보다 많은 양의 공기가 정화되는 부스팅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일반 모드에서 상기 커버부재가 상기 폐쇄 위치에 위치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를 제어하고, 상기 부스팅 모드에서 상기 커버부재가 상기 개방 위치에 위치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를 제어하며,
    상기 커버부재가 상기 폐쇄 위치에 있을 때 흡입되는 외부공기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주 흡기부를 통해 상기 하우징 내로 유입되고,
    상기 커버부재가 상기 개방 위치에 있을 때 흡입되는 외부공기 중 일부는 상기 주 흡기부를 통해 상기 하우징 내로 유입되고, 나머지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보조 흡기부의 상기 관통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 내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작동 모드는 정화되는 공기의 양이 상기 일반 모드보다는 많고 상기 부스팅 모드 보다는 적은 세미 부스팅 모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폐쇄 위치와 상기 개방 위치 사이의 반개방 위치에 위치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시 세미 부스팅 모드에서 상기 커버부재가 상기 반개방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에 설치되어, 외부공기가 상기 관통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 내로 유입될 때 외부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보조 필터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하우징의 외측면 양측에 한 쌍으로 형성되거나, 상기 하우징의 후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의 하측 모서리부는 상기 하우징이 놓여진 바닥면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는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관통구에 대응하는 사각 형상 판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가 상기 관통구의 상단을 중심으로 피벗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커버부재의 상단부와 상기 관통구의 상단부 사이에 커버부재 회전축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커버부재를 피벗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재는
    일단이 상기 구동 모터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힌지부재; 및
    일단이 상기 제1힌지부재의 타단에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커버부재의 하측단에 힌지결합된 제2힌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커버부재가 상기 개방 위치에 위치될 때 상기 커버부재가 상기 하우징이 놓여진 바닥면에 대해서 수직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관통구를 개폐하도록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회전각도 및 회전방향이 제어되는 구동모터;
    일단이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며, 상기 일단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외측을 향하여 연장된 타단은 상기 커버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암;
    상기 관통구의 내측면 양측 중 적어도 어느 일측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의 외측 및 상측을 향하여 만곡된 호를 이루는 가이드 레일; 및
    상기 커버부재의 상기 암의 타단과 힌지결합된 부분의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과 접하는 측면에 돌출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커버부재가 상기 암에 의해 이동될 때,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되도록 구비되는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작동 모드는 정화되는 공기의 양이 상기 일반 모드보다 적은 저소음 모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저소음 모드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버부재가 상기 폐쇄 위치 또는 상기 개방 위치에 위치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를 제어하고, 상기 팬의 회전속도가 상기 일반 모드에서의 상기 팬의 회전속도보다 느리도록 상기 팬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작동 모드는 정화되는 공기의 양이 상기 부스팅 모드보다 많은 긴급 부스팅 모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긴급 부스팅 모드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버부재가 상기 개방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를 제어하고, 상기 팬의 회전속도가 상기 부스팅 모드에서의 상기 팬의 회전속도보다 빠르도록 상기 팬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버부재가 제1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팬의 최대회전속도에 의해 상기 흡기부로 흡입되는 공기의 유량보다 더 많은 공기 유량의 흡입이 요구될 경우, 상기 커버부재가 제2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KR1020200086390A 2020-07-13 2020-07-13 공기청정기 KR202200081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6390A KR20220008151A (ko) 2020-07-13 2020-07-13 공기청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6390A KR20220008151A (ko) 2020-07-13 2020-07-13 공기청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8151A true KR20220008151A (ko) 2022-01-20

Family

ID=80053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6390A KR20220008151A (ko) 2020-07-13 2020-07-13 공기청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08151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3924A (ko) 2010-12-27 2012-07-05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적응적 공기 청정기 제어 방법
KR20180049666A (ko) 2016-11-03 2018-05-11 코웨이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KR20180126217A (ko) 2017-05-17 2018-11-27 코웨이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3924A (ko) 2010-12-27 2012-07-05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적응적 공기 청정기 제어 방법
KR20180049666A (ko) 2016-11-03 2018-05-11 코웨이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KR20180126217A (ko) 2017-05-17 2018-11-27 코웨이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6258B1 (ko) 슬림형 공기처리장치
CN111365806A (zh) 空气净化单元和包括空气净化单元的空气清洁/通风装置
JP2009250504A (ja) 加湿機能付空気清浄機
JP2009250596A (ja) 加湿機能付空気清浄機
KR20120017374A (ko) 가습공기청정기
JP4987103B2 (ja) 空気調節機
KR20120016901A (ko) 환기유로를 구비한 벽걸이용 공기청정기
JP4983531B2 (ja) 空気清浄機
JP6022724B1 (ja) 空気清浄機および扇風機として機能する装置
KR101013379B1 (ko) 공기청정기
JP2000055424A (ja) 空気清浄機
KR100502615B1 (ko) 창문형 환기장치
KR20220008151A (ko) 공기청정기
JP2005061655A (ja) 加湿機能付空気清浄機
JP6135630B2 (ja) 空気清浄機
JP2007021353A (ja) 空気清浄機
JP2002291660A (ja) 電気掃除機
KR102203710B1 (ko) 공기 청정기
KR100674272B1 (ko) 환기 청정 장치
KR101407977B1 (ko) 댐퍼장치
JPH01118049A (ja) 喫煙用フード装置
KR101284962B1 (ko) 가습공기청정기
JP4378119B2 (ja) 空気清浄機
JP3788374B2 (ja) 換気装置
JPH07120037A (ja) 換気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