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6469A -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그라프트 공중합체 - Google Patents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그라프트 공중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6469A
KR20220006469A KR1020210087924A KR20210087924A KR20220006469A KR 20220006469 A KR20220006469 A KR 20220006469A KR 1020210087924 A KR1020210087924 A KR 1020210087924A KR 20210087924 A KR20210087924 A KR 20210087924A KR 20220006469 A KR20220006469 A KR 202200064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ecular weight
graft copolymer
polymerization
weight
di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7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태영
채주병
정유성
김종범
김인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CN202180005874.4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4555663B/zh
Priority to US17/769,817 priority patent/US20220380507A1/en
Priority to PCT/KR2021/008557 priority patent/WO2022010222A1/ko
Priority to EP21836797.7A priority patent/EP4029889A4/en
Publication of KR202200064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6469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7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monomers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as defined in group C08F36/00
    • C08F279/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monomers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as defined in group C08F36/00 on to polymers of conjugated dienes
    • C08F279/04Vinyl aromatic monomers and nitriles as the only mono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01Processes of polymerisation characterised by special features of the polymerisation apparatus use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38Polymerisation using regulators, e.g. chain terminating agents, e.g. telomeris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raft Or Block Polym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응기에 제1 분자량 조절제, 디엔계 고무질 중합체, 비닐 방향족계 단량체, 및 비닐 시아나이드계 단량체를 일괄 투입하여 중합을 개시하는 단계; 및 중합 개시 후, 상기 반응기에 제2 분자량 조절제, 비닐 방향족계 단량체 및 비닐 시나이드계 단량체를 연속 투입하여 중합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분자량 조절제는 알킬 스티렌계 다이머 및 머캅탄계 화합물을 40.0:60.0 내지 70.0:30.0의 중량비로 포함하고, 상기 제1 분자량 조절제와 제2 분자량 조절제의 중량비는 5.0:95.0 내지 25.0:75.0인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및 그라프트 공중합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그라프트 공중합체{METHOD FOR PREPARING GRAFT COPOLYMER AND GRAFT COPOLYMER PREPARED BY THE METHOD}
[관련출원과의 상호인용]
본 발명은 2020년 7월 8일에 출원된 한국 특허 출원 제10-2020-0084052호에 기초한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며, 해당 한국 특허 출원의 문헌에 개시된 모든 내용을 본 명세서의 일부로서 포함한다.
[기술분야]
본 발명은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그라프트 공중합체에 관한 것으로서, 표면 특성, 내충격성 및 가공성이 모두 우수한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 그라프트 공중합체에 관한 것이다.
디엔계 고무질 중합체에,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비닐 방향족계 단량체 및 비닐 시아나이드계 단량체 등의 단량체를 그라프트 중합하여 제조한 디엔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디엔계 고무질 중합체의 우수한 고무 특성으로 인해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충격보강제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디엔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내충격성, 내화학성, 가공성이 우수하여 사무용 기기, 전기·전자 부품, 자동차 내장재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디엔계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내충격성, 가공성 및 표면 특성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많은 연구가 있었다. 하지만, 디엔계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내충격성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디엔계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 또는 그라프트율을 증가시키면, 가공성 및 표면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디엔계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가공성 및 표면 특성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디엔계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그라프트율을 감소시키면, 오히려 내충격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디엔계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과 그라프트율은 유지하면서, 내충격성, 가공성 및 표면 특성이 모두 우수한 디엔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제조하고자 하는 연구가 지속되고 있다.
KR2039031B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표면 특성, 내충격성 및 가공성이 모두 우수한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반응기에 제1 분자량 조절제, 디엔계 고무질 중합체, 비닐 방향족계 단량체, 및 비닐 시아나이드계 단량체를 일괄 투입하여 중합을 개시하는 단계; 및 중합 개시 후, 상기 반응기에 제2 분자량 조절제, 비닐 방향족계 단량체 및 비닐 시나이드계 단량체를 연속 투입하여 중합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분자량 조절제는 알킬 스티렌계 다이머 및 머캅탄계 화합물을 40.0:60.0 내지 70.0:30.0의 중량비로 포함하고, 상기 제1 분자량 조절제와 제2 분자량 조절제의 중량비는 5.0:95.0 내지 25.0:75.0인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비닐 방향족계 단량체 단위 및 비닐 시아나이드계 단량체 단위가 그라프트된 디엔계 고무질 중합체를 포함하고, 중량평균분자량이 70,000 내지 80,000 g/mol 이하이고, 그라프트율이 32 내지 40 %이고, 분자량 분포가 2.0 이하인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을 따르면,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그라프트율 및 중량평균분자량을 적정 수준으로 유지하면서 분자량 분포를 낮출 수 있다. 이로 인해, 표면 특성, 내충격성 및 가공성이 우수한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디엔계 고무질 중합체’는 디엔계 단량체, 또는 디엔계 단량체와 비닐 방향족계 단량체를 가교 중합하여 제조한 합성 고무를 의미할 수 있다.
디엔계 단량체는 1,3-부타디엔, 이소프렌, 클로로프렌 및 피페릴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고, 이 중 1,3-부타디엔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엔계 고무질 중합체의 평균입경은 50 내지 500 ㎚,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400 ㎚일 수 있다. 상술한 조건을 만족하면, 내충격성 및 표면 특성이 우수한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비닐 방향족계 단량체’는 스티렌, α-메틸 스티렌, p-메틸 스티렌, 2,4-디메틸 스티렌, 4-플루오로스티렌, 4-클로로스티렌, 2-클로로스티렌, 4-브로모스티렌 및 2-브로모스티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비닐 방향족계 단량체로는 스티렌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비닐 시아나이드계 단량체’는 아크릴로니트릴, 2-메틸아크릴로니트릴, 2-에틸아크릴로니트릴 및 2-클로로아크릴로니트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비닐 시아나이드계 단량체로는 아크릴로니트릴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알킬 스티렌계 다이머’는 α-메틸 스티렌 다이머, p-메틸 스티렌 다이머 및 2,4-디메틸 스티렌 다이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알킬 스티렌계 다이머로는 α-메틸 스티렌 다이머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머캅탄계 화합물’은 t-도데실 머캅탄, n-도데실 머캅탄 및 n-옥틸 머캅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머캅탄계 화합물로는 t-도데실 머캅탄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중합전환율’은 하기 식으로 산출되는 중합전환율을 의미할 수 있다.
중합전환율(%)= {(중합 완료 시까지 투입된 단량체의 총 중량)-(중합 완료 시까지 미반응된 단량체의 총 중량)}/(중합 완료 시까지 투입된 단량체의 총 중량) × 100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그라프트율’은 그라프트 공중합체 분말 1 g을 아세톤 50 ㎖에 24 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녹인 후, 원심 분리하여 상등액과 침전물을 분리하고, 침전물을 50 ℃의 열풍 건조기로 12 시간 동안 건조한 후, 수득된 건조물의 중량을 측정하고, 하기 수학식 1에 의거하여 계산할 수 있다:
[수학식 1]
그라프트율(%) = {(그라프트된 단량체 혼합물의 공중합물의 중량1)) / (디엔계 고무질 중합체의 중량2))} × 100
1) 그라프트된 단량체 혼합물의 공중합물의 중량 = (건조물의 중량) - (디엔계 고무질 중합체의 중량)
2) 디엔계 고무질 중합체의 중량 = 이론상 투입된 디엔계 고무질 중합체의 중량(고형분 기준) 또는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적외선 분광법으로 분석하여 측정한 디엔계 고무질 중합체의 중량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은 그라프트율 측정방법에서 기재된 상등액을 건조한 건조물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 용액에 녹인 후, 1 ㎛ 필터를 통해 걸러낸 뒤,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표준 PS(standard polystyrene) 시료에 대한 상대 값으로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분자량 분포’는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수평균분자량에 대한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의 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수평균분자량은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 측정방법에서 기재된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중합’은 현탁 중합, 유화 중합 및 괴상 중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의미할 수 있다. 이 중 표면 특성 및 내충격성이 모두 우수한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제조할 수 있는 유화 중합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디엔계 고무질 중합체, 비닐 방향족계 단량체 및 비닐 시아나이드계 단량체의 합’은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 시 투입되는 디엔계 고무질 중합체, 비닐 방향족계 단량체 및 비닐 시아나이드계 단량체의 총 합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디엔계 고무질 중합체의 평균입경’은 동적 광산란법(dynamic light scattering)에 의해 측정되는 입도분포에 있어서의 산술 평균입경, 구체적으로는 산란강도 평균입경을 의미할 수 있다. 디엔계 고무질 중합체의 평균입경은 Nicomp 380 장비(제품명, 제조사: PSS Nicomp)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혼탁액 내 불용분의 평균입경’은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아세톤에 녹이고 교반한 후, 원심분리로 아세톤에 녹지 않은 불용분을 크기 별로 분류한 후 광산란법으로 측정한 값일 수 있다. 상세하게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압출 및 사출하여 제조한 시편 0.2 g을 아세톤 50 ㎖에 녹이고, 20 시간 동안 교반한 후 아세톤에 녹지 않은 불용분을 입도분석기(CPS Instruments 社의 UHR 18000)로 원심분리하여 크기 별로 분류한 후 광산란법으로 측정한 값일 수 있다.
1.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은 반응기에 제1 분자량 조절제, 디엔계 고무질 중합체, 비닐 방향족계 단량체, 및 비닐 시아나이드계 단량체를 일괄 투입하여 중합을 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반응기에 제2 분자량 조절제, 비닐 방향족계 단량체 및 비닐 시나이드계 단량체를 연속 투입하여 중합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분자량 조절제는 알킬 스티렌계 다이머 및 머캅탄계 화합물을 40.0:60.0 내지 70.0:30.0의 중량비로 포함하고, 상기 제1 분자량 조절제와 제2 분자량 조절제의 중량비는 5.0:95.0 내지 25.0:75.0이다.
본 발명자들은 중합을 수행하는 단계에서 제2 분자량 조절제에 포함된 알킬 스티렌계 다이머 및 머캅탄계 화합물의 중량비를 특정 비율로 조절하여 연속 투입하고, 제1 분자량 조절제와 제2 분자량 조절제의 중량비를 특정 비율로 조절하면, 중량평균분자량, 그라프트율 및 분자량 분포가 적절하게 조절되어 표면 특성, 내충격성 및 가공성이 모두 우수한 그라프트 공중합체가 제조되는 것을 알아내었고, 이에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1) 중합의 개시
먼저, 반응기에 제1 분자량 조절제, 디엔계 고무질 중합체, 비닐 방향족계 단량체, 및 비닐 시아나이드계 단량체를 일괄 투입하여 중합을 개시한다.
알킬 스티렌계 다이머는 머캅탄계 화합물보다 그라프트율을 적정 수준으로 유지하면서 분자량 분포를 낮출 수 있다. 이에 제1 분자량 조절제로 알킬 스티렌계 다이머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분자량 조절제를 상기 디엔계 고무질 중합체, 비닐 방향족계 단량체 및 비닐 시아나이드계 단량체의 합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0.1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3 내지 0.08 중량부로 투입할 수 있다. 상술한 범위를 만족하면,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그라프트율 및 중량평균분자량을 적정 수준으로 유지하면서 분자량 분포를 낮출 수 있으므로,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내충격성이 보다 개선될 수 있다.
상기 중합은 유화제, 개시제, 활성화제 및 수계 용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존재 하에 개시될 수 있다.
상기 개시제는 라디칼 개시제로서 라디칼 개시제로서는 소듐 퍼설페이트, 포타슘 퍼설페이트, 암모늄 퍼설페이트, 하이드로퍼옥사이드, t-부틸 퍼옥사이드, t-부틸 하이드로퍼옥사이드, 큐멘 하이드로퍼옥사이드, p-멘탄하이드로 퍼옥사이드, 디-t-부틸 퍼옥사이드, t-부틸 쿠밀 퍼옥사이드, 아세틸 퍼옥사이드, 이소부틸 퍼옥사이드, 옥타노일 퍼옥사이드, 디벤조일 퍼옥사이드, 3,5,5-트리메틸헥산올 퍼옥사이드, t-부틸 퍼옥시 이소부틸레이트, 아조비스 이소부티로니트릴, 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아조비스 시클로헥산카르보니트릴 및 아조비스 이소 낙산(부틸산) 메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고, 이 중 하이드로퍼옥사이드가 바람직하다.
상기 개시제는 상기 디엔계 고무질 중합체, 비닐 시아나이드계 단량체 및 비닐 방향족계 단량체의 합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1 내지 1.00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10 내지 0.800 중량부로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범위를 만족하면, 그라프트 중합의 중합 안정성을 향상시키면서도, 그라프트 공중합체 분말 내 개시제의 잔류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개시제와 함께 개시 반응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활성화제가 더 투입될 수 있다. 상기 활성화제는 소듐 포름알데히드 설폭실레이트, 소듐 에틸렌디아민 테트라아세테이트, 황산철(Ⅱ), 덱스트로즈, 테트라소듐 피로포스페이트, 소듐 피로포스페이트 언하이드로스 및 소듐 설페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고, 이 중 테트라소듐 피로포스페이트, 황산철(Ⅱ) 및 소듐 알데히드 설폭실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 바람직하다.
상기 활성화제는 상기 디엔계 고무질 중합체, 비닐 시아나이드계 단량체 및 비닐 방향족계 단량체의 합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1 내지 0.50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10 내지 0.300 중량부로 투입될 수 있다. 상술한 범위를 만족하면, 그라프트 중합의 중합 안정성을 향상시키면서도, 그라프트 공중합체 분말 내 활성화제의 잔류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유화제는 소듐 디시클로헥실 설포석시네이트, 소듐 도데실 설페이트, 소듐 도데실 벤젠 설포네이트, 소듐 옥타데실 설페이트, 소듐 올레익 설페이트, 칼륨 도데실 설페이트 및 칼륨 옥타데실 설페이트, 포타슘 로지네이트 및 소듐 로지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유화제는 상기 디엔계 고무질 중합체, 비닐 시아나이드계 단량체 및 비닐 방향족계 단량체의 합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5 내지 2.0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30 내지 1.50 중량부로 투입될 수 있다. 상술한 범위를 만족하면, 그라프트 중합의 중합 안정성을 향상시키면서도, 원하는 평균입경을 갖는 그라프트 공중합체 분말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수계 용매는 이온교환수 또는 순수일 수 있다.
2) 중합의 수행
이어서, 상기 반응기에 제2 분자량 조절제, 비닐 방향족계 단량체 및 비닐 시나이드계 단량체를 연속 투입하여 중합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2 분자량 조절제는 알킬 스티렌계 다이머 및 머캅탄계 화합물을 40.0:60.0 내지 70.0:30.0의 중량비로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41:59 내지 65:35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조건을 만족하면,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분자량 분포 및 유리전이온도를 낮춤으로써 표면 특성, 내충격성 및 가공성이 모두 우수한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제조할 수 있다. 상술한 범위 미만이면,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 및 분자량 분포가 높아지므로,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표면 특성 및 가공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범위를 초과하면,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중합전환율이 저하되므로 제조 효율이 저하되었다. 또한,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그라프트율이 낮아져,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표면 특성 및 내충격성이 저하되었다.
상기 제2 분자량 조절제를 상기 디엔계 고무질 중합체, 비닐 방향족계 단량체 및 비닐 시아나이드계 단량체의 합 100 중량부에 대하여, 0.2 내지 0.7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0.6 중량부로 투입할 수 있다. 상술한 조건을 만족하면,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 및 입자분산도를 낮아지므로,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내충격성 및 표면 특성이 개선될 수 있다.
상기 제1 분자량 조절제와 제2 분자량 조절제의 중량비는 5.0:95.0 내지 25.0:75.0, 바람직하게는 8.0:92.0 내지 22.0:78.0일 수 있다. 상술한 조건을 만족하면,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내충격성 및 가공성이 개선될 수 있다. 상술한 조건 미만이거나 초과하면,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최종 중합전환율이 저하되고,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그라프트율, 중량평균분자량, 내충격성 및 표면특성이 현저하게 저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분자량 조절제 내 알킬 스티렌계 다이머 및 머캅탄계 화합물의 중량비가 상술한 중량비를 만족하되, 상기 제1 및 제2 분자량 조절제가 상술한 중량비를 만족하지 않으면,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최종 중합전환율, 그라프트율, 중량평균분자량, 내충격성 및 표면특성이 현저하게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분자량 조절제가 상술한 중량비를 만족하되, 상기 제2 분자량 조절제 내 알킬 스티렌계 다이머 및 머캅탄계 화합물의 중량비가 상술한 중량비를 만족하지 않으면,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표면특성이 현저하게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분자량 조절제 내 알킬 스티렌계 다이머 및 머캅탄계 화합물의 중량비와 상기 제1 및 제2 분자량 조절제의 중량비를 모두 만족하지 않으면,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최종 중합전환율, 그라프트율, 중량평균분자량, 내충겨성 및 표면특성이 모두 현저하게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제2 분자량 조절제를 연속 투입하면, 일괄 투입하는 것 대비, 그라프트율 및 중량평균분자량을 조절하기 용이하여, 원하는 그라프트율 및 중량평균분자량을 갖는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제2 분자량 조절제의 연속 투입 개시 시점은 중합전환율이 10 % 이하인 시점,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 %인 시점일 수 있다. 상술한 조건을 만족하면, 중합 전파 단계에서부터 제2 분자량 조절제가 투입되므로 제2 분자량 조절제로 인한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상기 제2 분자량 조절제의 연속 투입 종료 시점은 중합전환율이 80 내지 97 %인 시점,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95 %인 시점일 수 있다. 상술한 조건을 만족하면, 중합 안정성을 개선시키고, 중합전환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중합을 개시하는 단계에서 투입되는 비닐 방향족계 단량체와, 상기 중합을 수행하는 단계에서 투입되는 비닐 방향족계 단량체의 중량비는 10.0:90.0 내지 35.0:65.0, 바람직하게는 15.0:85.0 내지 30.0:70.0일 수 있다. 상술한 조건을 만족하면, 중합 안정성이 개선되면서, 중합 전반에 걸쳐 조성이 균일한 그라프트 공중합체가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중합을 개시하는 단계에서 투입되는 비닐 시아나이드계 단량체와, 상기 중합을 수행하는 단계에서 투입되는 비닐 시아나이드계 단량체의 중량비는 10.0:90.0 내지 35.0:65.0, 바람직하게는 15.0:85.0 내지 30.0:70.0일 수 있다. 상술한 조건을 만족하면, 중합 안정성이 개선되면서, 중합 전반에 걸쳐 조성이 균일한 그라프트 공중합체가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중합은 유화제, 개시제, 활성화제 및 수계 용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존재 하에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유화제, 개시제, 활성화제 및 수계 용매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바와 같다.
2. 그라프트 공중합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비닐 방향족계 단량체 단위 및 비닐 시아나이드계 단량체 단위가 그라프트된 디엔계 고무질 중합체를 포함하고, 중량평균분자량이 70,000 내지 80,000 g/mol 이하이고, 그라프트율이 32 내지 40 %이고, 분자량 분포가 2.0 이하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중량평균분자량이 72,000 내지 80,000 g/mol이고, 그라프트율이 32 내지 39 %이고, 분자량 분포가 1.7 이하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중량평균분자량이 75,000 내지 80,000 g/mol이고, 그라프트율이 35 내지 39 %이고, 분자량 분포가 1.6 이하일 수 있다. 상술한 조건을 만족하면,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내충격성, 표면 특성 및 가공성이 모두 우수해진다.
한편, 상기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는 -100 내지 -90 ℃, 바람직하게는 -95 내지 -90 ℃일 수 있다. 상술한 조건을 만족하면,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내충격성이 보다 개선될 수 있다.
상기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디엔계 고무질 중합체에 그라프트 되지 않고, 비닐 방향족계 단량체 단위 및 비닐 시아나이드계 단량체 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그라프트 공중합체일 수 있다.
3.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가공성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비닐 방향족계 단량체 단위 및 비닐 시아나이드계 단량체 단위를 포함하는 비그라프트 공중합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상기 그라프트 공중합체과 비그라프트 공중합체를 10:90 내지 40:60, 바람직하게는 20:80 내지 30:70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범위를 만족하면, 가공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비그라프트 공중합체는 비닐 방향족계 단량체 단위 및 비닐 시아나이드계 단량체 단위를 60.0:40.0 내지 80.0:20.0, 바람직하게는 65.0:35.0 내지 75.0:25.0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조건을 만족하면, 가공성 및 내화학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비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비그라프트 공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계산되는 입자분산도가 5 이하,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일 수 있다:
[수학식 1]
입자분산도(Np) = (혼탁액 내 불용분의 평균입경)3/(디엔계 고무질 중합체의 평균입경)3
상기 수학식 1에서
상기 혼탁액 내 불용분의 평균입경은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아세톤에 녹이고 교반한 후, 아세톤에 녹지 않은 불용분을 원심분리하여 크기 별로 분류한 후 광산란법으로 측정한 값이고,
상기 디엔계 고무질 중합체의 평균입경은 중합 시 투입된 디엔계 고무질 중합체를 동적 광산란법으로 측정한 값이다.
상기 입자분산도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내에 그라프트 공중합체가 비그라프트 공중합체(매트릭스 공중합체)에 분산된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값이 작을수록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분산도가 우수한 것을 나타낸다. 상술한 값을 만족하면, 표면 특성이 우수한 성형품을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1
<그라프트 공중합체>
이온교환수 100.0 중량부, 부타디엔 고무질 중합체 라텍스(평균입경: 300㎚) 58.0 중량부(고형분 기준), 스티렌 7.5 중량부, 아크릴로니트릴 2.5 중량부, 포타슘 올레이트 0.10 중량부, 테트라부틸하이드로퍼옥사이드 0.050 중량부, 덱스트로즈 0.080 중량부, 테트라소듐 피로포스페이트 0.050 중량부 및 황산철(Ⅱ) 0.001 중량부 및 하기 표 1에 기재된 함량으로 제1 분자량 조절제를 포함하는 제1 혼합 용액을 준비하였다.
또한, 이온교환수 12.0 중량부, 스티렌 24.0 중량부, 아크릴로니트릴 8.0 중량부, 포타슘 올레이트 0.20 중량부, 테트라부틸하이드로퍼옥사이드 0.10 중량부, 및 하기 표 1에 기재된 함량으로 제2 분자량 조절제를 포함하는 제2 혼합 용액을 준비하였다.
또한, 덱스트로즈 0.040 중량부, 테트라소듐 피로포스페이트 0.030 중량부 및 황산철(Ⅱ) 0.0005 중량부를 포함하는 제3 혼합 용액을 준비하였다.
질소 충진된 중합반응기에 상기 제1 혼합 용액을 일괄 투입한 후, 50 ℃에서 중합을 개시하였다. 상기 중합반응기를 70 ℃로 승온하고 상기 제2 혼합용액을 연속 투입하면서 2 시간 동안 중합하여 중합전환율이 92 %인 시점에 도달하였다. 이어서, 상기 중합반응기에 상기 제3 혼합 용액을 일괄 투입한 후, 1 시간 동안 80 ℃로 승온하였고, 중합을 종료하여 그라프트 공중합체 라텍스를 수득하였다. 상기 그라프트 공중합체 라텍스에 산화방지제(LATON 社의 OW500) 0.4 중량부를 투입하고, 황산 2.0 중량부로 응집하였다. 그 후, 탈수 및 열풍 건조하여 수분이 1 중량% 미만인 그라프트 공중합체 분말을 제조하였다.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
상기 제조된 그라프트 공중합체 분말 30 중량부 및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비그라프트 공중합체(엘지화학 社의 92HR) 70 중량부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내지 7 및 비교예 1 내지 10
상기 실시예 1에서, 하기 표 1 내지 표 5에 기재된 함량으로 제1 분자량 조절제 및 제2 분자량 조절제를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그라프트 중합체 분말 및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실시예 및 비교예의 그라프트 공중합체 라텍스 또는 분말의 물성을 하기에 기재된 방법으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 내지 표 5에 기재하였다.
(1) 중합전환율(%): 하기 식으로 산출하였다.
중합전환율(%)= {(중합 완료 시까지 투입된 단량체의 총 중량)-(중합 완료 시까지 미반응된 단량체의 총 중량)}/(중합 완료 시까지 투입된 단량체의 총 중량) × 100
(2) 그라프트율(%): 그라프트 공중합체 분말 1 g을 아세톤 50 ㎖에 24 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녹인 후, 원심 분리하여 상등액과 침전물을 분리하고, 침전물을 50 ℃의 열풍 건조기로 12 시간 건조한 후, 수득된 건조물의 중량을 측정하고, 하기 수학식 1에 의거하여 계산하였다:
[수학식 1]
그라프트율(%) = {(그라프트된 단량체 혼합물의 공중합물의 중량1)) / (디엔계 고무질 중합체의 중량2))} × 100
1) 그라프트된 단량체 혼합물의 공중합물의 중량 = (건조물의 중량) - (디엔계 고무질 중합체의 중량)
2) 디엔계 고무질 중합체의 중량 = 이론상 투입된 디엔계 고무질 중합체의 중량(고형분 기준) 또는 제1 공중합체를 적외선 분광법으로 분석하여 측정한 디엔계 고무질 중합체의 중량
(3) 중량평균분자량(g/mol): 그라프트율 측정방법에서 기재된 상등액을 건조한 건조물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 용액에 녹인 후, 1 ㎛ 필터를 통해 걸러낸 뒤,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표준 PS(standard polystyrene) 시료에 대한 상대 값으로 측정하였다.
(4) 분자량 분포: 수평균분자량(Mn)에 대한 중량평균분자량(Mw)의 비(Mw/Mn)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수평균분자량도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 측정방법에서 기재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5) 유리전이온도(℃): 그라프트 공중합체 분말을 200 ℃에서 압축 프레스로 필름화한 뒤, 동적기계분석기(DMA) 장비로 측정하였다.
실험예 2
실시예 및 비교예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압출 및 사출하여 시편을 제조하고, 시편의 물성을 하기에 기재된 방법으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 내지 표 5에 기재하였다.
(1) 입자분산도(Np): 하기 식으로 입자분산도를 산출하였다.
입자분산도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내에 그라프트 공중합체가 비그라프트 공중합체에 분산된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값이 작을수록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분산도가 우수한 것을 나타낸다.
입자분산도(Np) = (혼탁액 내 불용분의 평균입경)3/(디엔계 고무질 중합체의 평균입경)3
상기 혼탁액 내 불용분의 평균입경은 시편 0.2 g을 아세톤 50 ㎖에 녹이고 20 시간 동안 천천히 교반한 후, 아세톤에 녹지 않은 불용분을 입도분석기(CPS Instruments 社의 UHR 18000)로 원심분리하여 크기 별로 분류한 후 광산란법으로 측정하였다.
상기 디엔계 고무질 중합체의 평균입경은 중합 시 투입된 디엔계 고무질 중합체를 Nicomp 380 장비(제품명, 제조사: PSS Nicomp)를 이용하여 동적 광산란법으로 측정하였다.
(2) 유동지수(Melt Flow Index, g/10 min): ASTM D1238에 의거하여 220 ℃, 10 ㎏ 조건 하에서 측정하였다.
(3) 아이조드 충격강도(㎏·㎝/㎝, 1/4 Inch): ASTM D265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4) 표면 돌기(개): 1 ㎡ 당 시편 내 존재하는 돌기 중 돌기 크기가 50 ㎛ 이상인 것만 세었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제1 분자량 조절제 AMSD 0.05 0.05 0.05 0.05
제2 분자량 조절제 AMSD 0.14 0.15 0.35 0.45
TDDM 0.20 0.20 0.20 0.20
AMSD:TDDM
(중량비)
약 41.2:58.8 약 42.9:57.1 약 63.6:36.4 약 69.2:30.8
제1 및 제2 분자량 조절제의 중량비 약 12.8:87.2 약 12.5:87.5 약 8.3:91.7 약 7.1:92.9
그라프트
공중합체
중합전환율 97.3 97.8 97.7 95.2
그라프트율 39 38 37 33
중량평균분자량 78,000 77,000 75,000 73,000
분자량 분포 1.6 1.5 1.5 1.7
유리전이온도 -90 -90 -93 -95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유동지수 21 21 22 23
입자분산도 3.9 3.8 2.7 2.5
아이조드 충격강도 32 33 33 31
표면 돌기 1,350 1,300 1,100 1,000
AMSD: α-메틸 스티렌 다이머
TDDM: t-도데실 머캅탄
구분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제1 분자량 조절제 AMSD 0.10 0.10 0.04
제2 분자량 조절제 AMSD 0.15 0.30 0.35
TDDM 0.20 0.20 0.40
AMSD:TDDM
(중량비)
약 42.9:57.1 60.0:40.0 약 46.7:53.3
제1 및 제2 분자량 조절제의 중량비 약 22.2:77.8 약 16.7:83.3 약 5.1:94.9
그라프트
공중합체
중합전환율 97.7 97.6 97.2
그라프트율 37 36 32
중량평균분자량 76,000 74,000 72,000
분자량 분포 1.5 1.3 1.5
유리전이온도 -91 -94 -93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유동지수 22 23 24
입자분산도 3.5 2.5 2.2
아이조드 충격강도 33 33 32
표면 돌기 1,200 1,000 1,000
AMSD: α-메틸 스티렌 다이머
TDDM: t-도데실 머캅탄
구분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제1 분자량 조절제 AMSD 0 0 0 0
제2 분자량 조절제 AMSD 0.40 0 0 0
TDDM 0.20 0.10 0.20 0.30
AMSD:TDDM
(중량비)
약 66.7:33.3 - - -
제1 및 제2 분자량 조절제의 중량비 - - - -
그라프트 공중합체 중합전환율 97.7 98.2 97.8 97.5
그라프트율 38 48 40 35
중량평균분자량 77,000 93,000 81,000 68,000
분자량 분포 2.1 2.1 2.2 2.3
유리전이온도 -90 -87 -87 -87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유동지수 21 17 20 21
입자분산도 10 37 18 16
아이조드 충격강도 31 32 32 27
표면 돌기 1,700 8,500 4,700 4,000
AMSD: α-메틸 스티렌 다이머
TDDM: t-도데실 머캅탄
구분 비교예 5 비교예 6 비교예 7 비교예 8
제1 분자량 조절제 AMSD 0.05 0.05 0.03 0.03
제2 분자량 조절제 AMSD 0.12 0.60 0.60 0.12
TDDM 0.20 0.20 0.45 0.40
AMSD:TDDM
(중량비)
37.5:62.5 75.0:25.0 약 57.1:42.9 약 23.1:76.9
제1 및 제2 분자량 조절제의 중량비 약 13.5:86.5 약 5.9:94.1 약 2.8:97.2 약 5.5:94.5
그라프트 공중합체 중합전환율 97.6 93.1 92.5 97.3
그라프트율 38 31 28 37
중량평균분자량 81,000 72,000 65,000 79,000
분자량 분포 2.2 1.8 1.8 2.2
유리전이온도 -85 -87 -87 -84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유동지수 19 22 24 20
입자분산도 25 20 17 17
아이조드 충격강도 30 27 22 29
표면 돌기 6,200 5,000 4,300 4,200
AMSD: α-메틸 스티렌 다이머
TDDM: t-도데실 머캅탄
구분 비교예 9 비교예 10
제1 분자량 조절제 AMSD 0.34 0.30
제2 분자량 조절제 AMSD 0.20 0.40
TDDM 0.60 0.40
AMSD:TDDM
(중량비)
약 25.0:75.0 50.0:50.0
제1 및 제2 분자량 조절제의 중량비 약 29.8:70.2 약 27.3:72.7
그라프트 공중합체 중합전환율 94.7 93.0
그라프트율 29 30
중량평균분자량 67,000 68,000
분자량 분포 2.0 2.0
유리전이온도 -86 -87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유동지수 23 23
입자분산도 16 13
아이조드 충격강도 23 24
표면 돌기 4,200 4,500
AMSD: α-메틸 스티렌 다이머
TDDM: t-도데실 머캅탄
상기 표 1 내지 표 5를 참조하면, 제2 분자량 조절제로 α-메틸 스티렌 다이머 및 t-도데실 머캅탄을 40.0:60.0 내지 70.0:30.0의 중량비로 투입하고, 제1 분자량 조절제와 제2 분자량 조절제의 중량비가 5.0:95.0 내지 25.0 내지 75.0인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7의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중량평균분자량이 73,000 내지 78,000 g/mol이었고, 그라프트율이 32 내지 39 %이고, 분자량 분포가 1.7 이하이고, 유리전이온도가 -90 내지 -95 ℃이었다. 이러한 특성을 갖는 그라프트 공중합체로 제조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7의 시편은 유동지수가 적절하여 가공성이 우수하고, 입자분산도가 낮아 표면 돌기가 적게 형성되었으며 이로 인해 표면 특성도 우수하였고, 내충격성도 우수하였다.
하지만, 제1 분자량 조절제를 투입하지 않는 비교예 1의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그라프트율이 38 %, 중량평균분자량이 77,000 g/mol, 분자량 분포가 2.1이고, 유리전이온도가 -90 ℃이었다. 비교예 1의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분자량 분포가 높으므로, 이로 제조된 시편의 입자분산도가 높아 표면 돌기가 많이 형성되어 표면 특성이 저하되었다.
또한, 제1 분자량 조절제를 투입하지 않고, 제2 분자량 조절제로 α-메틸 스티렌 다이머를 투입하지 않은 비교예 2 및 비교예 3의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그라프트율, 중량평균분자량, 분자량 분포 및 유리전이온도가 높았다. 그리고 이러한 특성을 갖는 그라프트 공중합체로 제조된 비교예 2 및 비교예 3의 시편은 입자분산도가 우수하지 못하여 표면 돌기가 많이 형성되었으며 이로 인해 표면 특성이 저하되었다.
제1 분자량 조절제를 투입하지 않고, 제2 분자량 조절제로 α-메틸 스티렌 다이머를 투입하지 않고 t-도데실 머캅탄을 과량으로 투입한 비교예 4의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중량평균분자량이 낮고, 분자량 분포 및 유리전이온도가 높았다. 이러한 특성을 갖는 그라프트 공중합체로 제조된 시편은 입자분산도가 우수하지 못하여 표면 돌기가 많이 형성되었으며, 이로 인해 표면 특성이 저하되었다. 그리고 내충격성도 저하되었다.
또한, 제2 분자량 조절제로 α-메틸 스티렌 다이머 및 t-도데실 머캅탄을 37.0:63.0의 중량비로 투입한 비교예 5의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중량평균분자량, 분자량 분포 및 유리전이온도가 높았다. 이러한 특성을 갖는 그라프트 공중합체로 제조된 시편은 입자분산도가 우수하지 못하여 표면 돌기가 많이 형성되었으며, 이로 인해 표면 특성이 저하되었다.
제2 분자량 조절제로 α-메틸 스티렌 다이머 및 t-도데실 머캅탄을 75:25의 중량비로 투입한 비교예 6의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그라프트율 및 유리전이온도가 낮았다. 이러한 특성을 갖는 그라프트 공중합체로 제조된 시편은 입자분산도가 우수하지 못하여 표면 돌기가 많이 형성되었으며, 이로 인해 표면 특성이 저하되었다. 또한, 내충격성도 저하되었다.
제1 및 제2 분자량 조절제의 중량비가 약 2.8:97.2인 비교예 7의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그라프트율 및 중량평균분자량이 낮고 유리전이온도는 높았다. 이러한 특성을 갖는 그라프트 공중합체로 제조된 시편은 입자분산도가 우수하지 못하여 표면 돌기가 많이 형성되었으며, 이로 인해 표면 특성이 저하되었다. 또한, 내충격성도 저하되었다.
제2 분자량 조절제로 α-메틸 스티렌 다이머 및 t-도데실 머캅탄을 약 23.1:76.9의 중량비로 투입한 비교예 8의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중량평균분자량, 분자량 분포 및 유리전이온도가 높았다. 이러한 특성을 갖는 그라프트 공중합체로 제조된 시편은 입자분산도가 우수하지 못하여 표면 돌기가 많이 형성되었으며, 이로 인해 표면 특성이 저하되었다.
제2 분자량 조절제로 α-메틸 스티렌 다이머 및 t-도데실 머캅탄을 약 25.0:75.0의 중량비로 투입하고, 제1 및 제2 분자량 조절제의 중량비가 약 29.8:70.2인 비교예 9의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중량평균분자량이 낮고 유리전이온도가 높았다. 이러한 특성을 갖는 그라프트 공중합체로 제조된 시편은 입자분산도가 우수하지 못하여 표면 돌기가 많이 형성되었으며, 이로 인해 표면 특성이 저하되었다. 또한, 내충격성도 저하되었다.
제2 분자량 조절제로 α-메틸 스티렌 다이머 및 t-도데실 머캅탄을 50.0:50.0의 중량비로 포함하고, 제1 및 제2 분자량 조절제의 중량비가 약 27.3:72.7인 비교예 10의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중량평균분자량이 낮고 유리전이온도가 높았다. 이러한 특성을 갖는 그라프트 공중합체로 제조된 시편은 입자분산도가 우수하지 못하여 표면 돌기가 많이 형성되었으며, 이로 인해 표면 특성이 저하되었다. 또한 내충격성도 저하되었다.

Claims (11)

  1. 반응기에 제1 분자량 조절제, 디엔계 고무질 중합체, 비닐 방향족계 단량체, 및 비닐 시아나이드계 단량체를 일괄 투입하여 중합을 개시하는 단계; 및
    중합 개시 후, 상기 반응기에 제2 분자량 조절제, 비닐 방향족계 단량체 및 비닐 시나이드계 단량체를 연속 투입하여 중합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분자량 조절제는 알킬 스티렌계 다이머 및 머캅탄계 화합물을 40.0:60.0 내지 70.0:30.0의 중량비로 포함하고,
    상기 제1 분자량 조절제와 제2 분자량 조절제의 중량비는 5.0:95.0 내지 25.0:75.0인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분자량 조절제는 알킬 스티렌계 다이머와 머캅탄계 화합물을 41.0:59.0 내지 65.0:35.0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인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분자량 조절제를 상기 디엔계 고무질 중합체, 비닐 방향족계 단량체 및 비닐 시아나이드계 단량체의 합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0.15 중량부로 투입하는 것인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분자량 조절제를 상기 디엔계 고무질 중합체, 비닐 방향족계 단량체 및 비닐 시아나이드계 단량체의 합 100 중량부에 대하여, 0.20 내지 0.70 중량부로 투입하는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분자량 조절제는 알킬 스티렌계 다이머인 것인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분자량 조절제의 연속 투입 개시 시점은 중합전환율이 10 % 이하인 시점이고,
    상기 제2 분자량 조절제의 연속 투입 종료 시점은 중합전환율이 80 내지 97 %인 시점인 것인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합을 개시하는 단계에서 투입되는 비닐 방향족계 단량체와, 상기 중합을 수행하는 단계에서 투입되는 비닐 방향족계 단량체의 중량비는 10.0:90.0 내지 35.0:65.0인 것인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합을 개시하는 단계에서 투입되는 비닐 시아나이드계 단량체와, 상기 중합을 수행하는 단계에서 투입되는 비닐 시아나이드계 단량체의 중량비는 10.0:90.0 내지 35.0:65.0인 것인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9. 비닐 방향족계 단량체 단위 및 비닐 시아나이드계 단량체 단위가 그라프트된 디엔계 고무질 중합체를 포함하고,
    중량평균분자량이 70,000 내지 80,000 g/mol 이하이고,
    그라프트율이 32 내지 40 %이고,
    분자량 분포가 2.0 이하인 그라프트 공중합체.
  10. 청구항 9에 따른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계산되는 입자분산도가 5 이하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수학식 1]
    입자분산도(Np) = (혼탁액 내 불용분의 평균입경)3/(디엔계 고무질 중합체의 평균입경)3

    상기 수학식 1에서,
    상기 혼탁액 내 불용분의 평균입경은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아세톤에 녹이고 교반한 후, 아세톤에 녹지 않은 불용분을 원심분리하여 크기 별로 분류한 후 광산란법으로 측정한 값이고,
    상기 디엔계 고무질 중합체의 평균입경은 중합 시 투입된 디엔계 고무질 중합체를 동적 광산란법으로 측정한 값이다.
KR1020210087924A 2020-07-08 2021-07-05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그라프트 공중합체 KR20220006469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180005874.4A CN114555663B (zh) 2020-07-08 2021-07-06 制备接枝共聚物的方法和通过该方法制备的接枝共聚物
US17/769,817 US20220380507A1 (en) 2020-07-08 2021-07-06 Method of preparing graft copolymer and graft copolymer prepared by the same
PCT/KR2021/008557 WO2022010222A1 (ko) 2020-07-08 2021-07-06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그라프트 공중합체
EP21836797.7A EP4029889A4 (en) 2020-07-08 2021-07-06 METHOD FOR PREPARING A GRAFTED COPOLYMER AND GRAFTED COPOLYMER PREPARED BY THE PREPARATION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84052 2020-07-08
KR1020200084052 2020-07-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6469A true KR20220006469A (ko) 2022-01-17

Family

ID=80051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7924A KR20220006469A (ko) 2020-07-08 2021-07-05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그라프트 공중합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0646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9838A (ko) 2022-09-20 2024-03-27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9031B1 (ko) 2016-12-09 2019-11-01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가소성 수지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사출 성형품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9031B1 (ko) 2016-12-09 2019-11-01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가소성 수지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사출 성형품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9838A (ko) 2022-09-20 2024-03-27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658946A (en) Production of rubber-modified vinylaromatic polymers
JP2014527570A (ja) アクリロニトリル−アクリレート−スチレングラフト共重合体、及びそれを含む熱可塑性樹脂組成物
KR20090047063A (ko) 광택성과 충격강도, 백색도가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제조방법
CN107306496B (zh) 橡胶状聚合物、其制备方法、接枝共聚物以及热塑性树脂组合物
KR102207173B1 (ko)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성형품
KR102278035B1 (ko)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및 열가소성 수지 성형품
KR102237633B1 (ko) 내열 수지 조성물
US10752754B2 (en) Heat-resistant resin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KR20220006469A (ko)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그라프트 공중합체
CN111065682B (zh) 基体共聚物、接枝共聚物和热塑性树脂组合物
KR20090020851A (ko) 블로우 성형성 및 도장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N114555663B (zh) 制备接枝共聚物的方法和通过该方法制备的接枝共聚物
CN111116832B (zh) 聚丁二烯接枝共聚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2212039B1 (ko) 공액 디엔계 중합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US11214645B2 (en) Method for preparing graft copolymer and thermoplastic resin molded article
KR102210030B1 (ko) 내열 수지 조성물
KR102674487B1 (ko)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KR102016469B1 (ko) 내충격성 및 외관이 우수한 아크릴계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KR102511428B1 (ko) 디엔계 고무질 중합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그라프트 중합체의 제조방법
KR20220154910A (ko) 그라프트 중합체의 제조방법
KR20220010255A (ko)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상기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20230016539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20230172109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20220122290A (ko) 아크릴계 응집제 및 이를 이용한 그라프트 중합체의 제조방법
TW202407032A (zh) 熱塑性樹脂組成物,彼之製備方法及使用彼製造之膜製物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