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6050A - 공조기 및 이것을 이용한 방사 공조 장치 - Google Patents

공조기 및 이것을 이용한 방사 공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6050A
KR20220006050A KR1020217034792A KR20217034792A KR20220006050A KR 20220006050 A KR20220006050 A KR 20220006050A KR 1020217034792 A KR1020217034792 A KR 1020217034792A KR 20217034792 A KR20217034792 A KR 20217034792A KR 20220006050 A KR20220006050 A KR 202200060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ir conditioner
panel
radiation
fram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4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모토하루 오노
유키 다키자와
타카시 후지요시
히데유키 마스미
야스히로 구보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후지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후지타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후지타
Publication of KR202200060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60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24F1/0025Cross-flow or tangential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4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the ceiling or at the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9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ing arrangements
    • F24F1/009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ing arrangements with additional radiant heat-discharging elements, e.g. electric 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 Air-Conditioning Room Units, And Self-Contained Units In General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공조기는, 수평면이 교차되는 일면과 반대 측의 일면에 각각 공기 취입구와 취출구가 배치되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하우징 내에, 열교환기와 크로스 플로우 팬이 일렬로 배열되어 있다. 크로스 플로우 팬은, 그 상반부 측이 열교환기로부터 취출구를 향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된다. 크로스 플로우 팬의 회전에 따른 송풍 동작에는, 하우징 내 공기의 유로인 기내 유로의 굴곡이 필수적이다. 공조기는, 기내 유로의 굴곡을 실현하기 위해 기류 조정부를 설치하여, 비스듬한 하방으로부터 크로스 플로우 팬으로 향하는 기류를 공기 취입구 측에 발생시키고, 크로스 플로우 팬으로부터 비스듬한 하방으로 향하는 기류를 취출구 측에 발생시킨다.

Description

공조기 및 이것을 이용한 방사 공조 장치
[0001] 본 발명은 공조기(空調機) 및 이것을 이용한 방사(放射) 공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0002] 실내공간의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하기 위한 공조 장치로서는, 대류 방식이 이전부터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온도와 습도를 조정한 공조 공기를 실내로 취출(吹出)하고, 대류에 의해 공기 조화를 행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대류 방식은 쾌적성의 측면에서 불만을 야기하기 쉽다.
그 원인 중 하나는, 공기를 대류시켰을 경우, 실내공간에 상하의 온도 분포차가 발생하여, 데워진 공기는 천장 쪽으로 가기 쉽고, 차가워진 공기는 바닥면에 머물기 쉽다는 데에 있다. 건강에도 좋으며 사람이 쾌적하다고 느끼는 두한족열(頭寒足熱)과는 반대의 상태가 되기 때문에, 아무래도 불쾌하게 느껴지게 되는 것이다.
불만을 느끼기 쉬운 또 하나의 원인은, 대류시킨 기류가 인체에 직접 닿는, 이른바 드래프트(draft)라 불리는 현상이 생긴다는 데에 있다. 예컨대 냉방이 켜진 실내에서는, 풍속 0.5m로 체감온도는 3℃ 저하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 때문에 더운 날씨의 야외에서 공조가 이루어지고 있는 실내로 들어가는 등의 경우, 처음에는 쾌적하게 느끼지만, 열이 식은 후에는 오히려 추위를 느끼게 되는 것이다.
또 기류가 직접 몸에 계속해서 닿는 것 자체를 불쾌하게 느끼는 사람도 적지 않다.
[0003] 방사 방식의 공조 장치는, 기류가 몸에 직접 닿지 않는다는 점에서, 대류 방식의 공조 장치가 갖는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한다.
이러한 방사 방식의 공조 장치의 일례로서 특허문헌 1에는, 천장면에 공조기와 방사 패널을 부착한 공조 장치(특허문헌 1에서는 '방사 공조 시스템'이라 부름)가 개시되어 있다.
방사 패널은, 서로 대면하는 투습성(透濕性)을 갖는 방사 패널과 단열 패널의 사이에 바람 길(風路)을 형성하는 구조인 것으로서, 공조기의 취출구에 바람 길의 입구가 대면한다(특허문헌1의 단락 [0025]~[0029], 도 1~도 11 참조). 따라서 공조기의 취출구로부터 취출된 공조 공기는 바람 길에 도입되어, 바람 길 내에서 유통된다. 이로써, 방사 패널의 온도가 제어되며, 방사 냉난방이 행해진다.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2016-217630호
[0005] 특허문헌 1에는, 상하방향으로 높이가 낮은 박형(薄型)의 공조기가 도시되어 있다(문헌 1의 도 1~도 5 참조). 이 공조기에 관하여 특허문헌 1은, '실내공간(1)의 공기를 끌어들여 열매(熱媒) 유체의 상(相)의 변화에 따른 흡열 또는 방열 작용에 의해 냉각 또는 가열하고, 그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를 공조 공기 분출구(211a)에서 분출하도록 되어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문헌 1의 단락 [0027] 참조). 한편 공조기의 내부 구조에 관한 설명은 없어 그 자세한 내용은 불분명하다.
[0006] 공조기의 송풍원(送風源)으로서는, 크로스 플로우 팬(cross-flow fan)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크로스 플로우 팬은, 폭이 넓은 취출구에서도 균등하게 공조 공기를 취출시킬 수 있으며 작동음도 작기 때문에, 공조기의 송풍원으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0007] 이에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공조기에도, 크로스 플로우 팬이 이용되는 것으로 상정된다.
[0008] 그런데 크로스 플로우 팬을 이용하여 정상적인 송풍 동작을 행하게 하기 위해서는, 공기 취입구(取入口)로부터 취출구(吹出口)에 이르는 공조기 내의 공기의 유로(이하 '기내 유로'라고도 부름)를 굴곡시켜야 한다. 이 때문에 기내 유로의 배치를 위한 비교적 넓은 공간이 필요해지고, 또 공기 취입구와 취출구의 레이아웃 상의 제약도 생긴다.
[0009]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박형의 공조기에 크로스 플로우 팬을 이용할 경우에는, 상하방향으로 충분한 높이 치수를 얻기 어려운 공조기의 하우징 내에, 어떻게 기내 유로를 위한 공간을 확보하여 기내 유로를 레이아웃 할지를 고려해야만 한다. 바꿔 말하면, 송풍원으로서 크로스 플로우 팬을 이용하면서, 공조기의 높이 치수를 어떻게 낮출지가 과제인 것이다.
[0010] 본 발명의 과제는, 송풍원으로서 크로스 플로우 팬을 이용한 공조기의 높이 치수를 낮추는 것이다.
[0011] 본 발명의 공조기는, 수평면이 교차되는 일면과 반대 측의 일면에 각각 공기 취입구와 취출구가 배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취입구와 상기 취출구의 사이에 배치된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보다 상기 취출구 측에 배치된 크로스 플로우 팬과, 회전축보다 상방인 영역의 회전방향이 상기 열교환기로부터 상기 취출구를 향한 방향이 되도록 상기 크로스 플로우 팬의 구동원을 구동하는 구동부를 구비하고 있다.
[0012] 본 발명의 공조기는, 수평면이 교차되는 일면과 반대 측의 일면에 각각 공기 취입구와 취출구가 배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공기 취입구와 상기 취출구의 사이에 배치된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보다 상기 취출구 측에 배치된 크로스 플로우 팬과, 회전축보다 상방인 영역의 회전방향이 상기 열교환기로부터 상기 취출구를 향한 방향이 되도록 상기 크로스 플로우 팬의 구동원을 구동하는 구동부와, 비스듬한 하방으로부터 상기 크로스 플로우 팬으로 향하는 기류를 상기 공기 취입구 측에 발생시키고, 상기 크로스 플로우 팬으로부터 비스듬한 하방으로 향하는 기류를 상기 취출구 측에 발생시키는 기류 조정부를 구비하고 있다.
[0013] 본 발명의 방사 공조 장치는, 천장면에 설치되는 상기 공조기와, 상기 공조기의 취출구에 대하여, 이웃하여 천장면에 부착되는 배면 패널과, 상기 공조기와 상기 배면 패널을 합한 면적보다 큰 수평 투영 면적을 갖는 통기성이 있는 방사 패널과, 상기 취출구로부터 공조 공기가 취출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배면 패널과 상기 방사 패널의 사이에 존재하는 한 쌍의 측벽을 구비하고 있다.
[0014] 본 발명에 따르면, 송풍원으로서 크로스 플로우 팬을 이용했다 하더라도, 공조기의 높이 치수를 낮게 할 수가 있다.
[0015] 도 1은 방사 공조 장치 실시의 한 형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는 공조 장치의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공조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4는 공조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5는 공조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6은 공조 장치의 우측면도이다.
도 7은 레일을 비스듬한 상방으로부터 더욱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공조기에 부착되어 있는 레일 및 자석을 비스듬한 하방으로부터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공조 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0은 열교환기 정면도이다.
도 11은 패널 기체를 저면(底面) 방향에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방사 패널의 프레임 바디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방사 패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방사 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15의 (a)는 방사 패널 유닛을 폭방향 단면으로 하여 나타내는 모식도이고, (b)는 방사 공조 장치를 공조 공기의 흐름 방향 단면으로 하여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6의 (a)는 방사 패널의 프레임 바디에 부착되어 있는 슬라이더 및 흡착판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b)는 제2 프레임 바디에 부착되어 있는 연결 핀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슬라이더를 더욱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공조기의 설치 장소에 공조기를 설치한 상태를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9는 공조기와 패널 기체를 설치한 상태를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0은 공조기에 방사 패널을 임시 고정시킨 상태를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1은 공조기에 방사 패널을 임시 고정시킨 상태를 측면에서 본 모식도이다.
도 22는 레일과 슬라이더의 위치 관계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3은 제2 패널을 수평이 되도록 회전시킨 상태를 측면에서 본 모식도이다.
도 24는 레일과 슬라이더의 위치 관계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5는 제2 패널을 수평으로 이동시켜 본 고정을 실시한 상태를 측면에서 본 모식도이다.
도 26은 레일과 슬라이더의 위치 관계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7은 제1 패널을 회전시켜 패널 유지부에 유지시킨 상태를 측면에서 본 모식도이다.
도 28은 레일과 슬라이더의 위치 관계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9는 패널 기체에 방사 패널을 고정한 상태를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0은 제1 패널을 세팅하여 방사 공조 장치의 설치가 완료된 상태를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1은 패널 기체의 변형예를 나타내며 (a)는 정면도, (b)는 저면도, (c)는 다른 평면 형상을 채용한 경우의 저면도이다.
도 32는 패널 기체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3의 (a)~(d)는 천 커버에서의 척 위치의 변화(베리에이션)를 예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34는 방사 공조 장치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0016] 실시의 한 형태를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다음의 항목에 따라 설명한다.
[0017] 1. 방사 공조 장치
(1) 공조기
     (a) 외관
     (b) 내부 구조
       (크로스 플로우 팬의 회전방향)
       (기내 유로의 형상과 크로스 플로우 팬의 배치)
(2) 방사 패널 유닛
     (a) 패널 기체(基體)
     (b) 방사 패널
     (c) 패널 기체에 대한 방사 패널의 탈부착 구조
       (방사 패널의 임시 고정 구조)
       (방사 패널의 본 고정 구조)
       (제1 패널의 유지구조)
       (천 커버에 대한 연구)
[0018] 2. 설치 절차
(1) 공조기의 설치
(2) 패널 기체의 부착
(3) 방사 패널의 부착
     (a) 임시 고정
     (b) 제2 패널의 회전
     (c) 본 고정
     (d) 제1 패널의 유지
(4) 방사 패널의 분리
     (a) 제1 패널의 유지 해제
     (b) 연결부의 연결 해제
     (c) 제2 패널의 회전
     (d) 탈락
[0019] 3. 작용 효과
(1) 결로의 방지 
(a) 결로의 원인
(b) 본 실시형태의 방사 공조 장치
(c) 결로 방지의 원리
(2) 공조기의 박형화
     (a) 크로스 플로우 팬
     (b) 열교환기
(3) 열교환기
(4) 열 방사 면적의 확대
     (a) 폭방향으로의 확대
     (b) 공조기와 겹치는 영역으로의 확대
(5) 숏컷 현상의 방지
(6) 시트의 형상 및 구조로부터 얻어지는 작용 효과
     (a) 열 방사 면적의 확대
     (b) 제조의 용이화
     (c) 불이익의 해소
(7) 방사 패널의 탈부착 작업의 용이화
(8) 시트의 재료 선정의 자유도
(9) 시트의 변형의 억제
(10) 열 효율
(11) 외관상의 특장점
     (a) 미관
     (b) 효용과 미(美)
[0020] 4. 변형예
(1) 방사 공조 장치의 설치 장소
(2) 방사 공조 장치의 설치 상태
(3) 공조기와 배면 패널의 배치
(4) 방사 패널의 구조
(5) 방사 패널의 고정 구조
     (a) 슬라이더의 부착 위치
     (b) 다른 고정 구조
     (c) 제1 패널
(6) 방사 패널의 형태
(7) 측벽
(8) 배출구
(9) 시트의 척 위치의 베리에이션
(10) 방사 공조 장치의 다른 구성예
(11) 기타
[0021] 1. 방사 공조 장치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방사 공조 장치(11)는, 함께 천장면(C)에 설치된 공조기(51)와 방사 패널 유닛(101)으로 이루어진다. 방사 공조 장치(11)는, 실내(R)의 일면에 설치되어 있는 벽면(W)에 치우쳐 배치되어 있다.
[0022] 본 실시형태에서는, 공조기(51) 및 방사 패널 유닛(101)의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우선 수평면을 상정한다. 이 수평면은, 유체물(有體物)로서 존재할 수 있는 수평면이 아닌, 추상적이고 관념적인 가상의 수평면이다.
[0023] 이러한 수평면에 교차되는 일면과 반대측의 일면을 공조기(51)의 배면 및 정면으로 한다. 배면은, 후술하는 공기 취입구(52)가 배치되는 면이다(도 1, 도 3 참조). 정면은, 후술하는 취출구(55)가 배치되는 면이다(도 1, 도 4 참조).
공조기(51)를 정면 측에서 보았을 때, 수평면과 교차하는 면은 측면이다. 우측의 측면은 우측면, 좌측의 측면은 좌측면이 된다.
공조기(51)의 상하의 면에 관해서는, 연직방향 상측의 면은 상면, 연직방향 하측의 면은 하면이다.
공조기(51)를 정면 측에서 보았을 때, 양 측면을 잇는 방향을 횡폭방향(폭방향), 정면과 배면을 잇는 방향을 깊이방향, 상면과 하면을 잇는 방향을 높이방향으로 규정한다. 또 정면 측을 앞쪽, 배면 측을 안쪽이라고도 한다.
[0024]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사 패널 유닛(101)은, 공조기(51)의 정면에 이웃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배치관계를 유지할 때, 방사 패널 유닛(101)의 각각의 면(단부(端部)) 및 방향도, 공조기(51)에 관해 설명한 상기 면 및 방향과 마찬가지로 정의된다. 이와 같이 정의되는 방사 패널 유닛(101)의 면(단부) 및 방향은 일의적(一意的)으로 정해지며, 방사 패널 유닛(101)이 공조기(51)와 이웃하는 도 1에 나타낸 배치관계가 무너졌다 하더라도 달라지는 것은 없다. 
공조기(51)에 준한다는 점에 관해서는, 후술하는 공조기(51)의 하우징(51a), 방사 패널 유닛(101)을 구성하는 패널 기체(基體)(111; 배면 패널(112), 측벽(113)) 및 방사 패널(131; 프레임 바디(體, 132), 천 커버(141))도 방사 패널 유닛(101)과 마찬가지이다. 즉, 방사 패널 유닛(101)이 공조기(51)의 정면에 이웃하는 도 1의 상태일 때, 상기 각 부의 각각의 면(단부) 및 방향도, 공조기(51)에 관해 설명한 상기 면 및 방향과 마찬가지로 정의된다. 이와 같이 정의되는 상기 각 부의 각각의 면(단부) 및 방향은 일의적으로 정해지며, 방사 패널 유닛(101)이 공조기(51)와 이웃하는 도 1에 나타내는 배치관계가 무너졌다 하더라도 달라지는 것은 없다.
[0025] (1) 공조기
천장면(C)은 굽힌 천장(coved ceiling)으로 되어 있으며, 오목부(C1)를 가지고 있다(도 18, 도 19도 참조). 이 오목부(C1)에 끼워지도록, 예컨대 행거 볼트에 의해 공조기(51)는 부착되어 있다(도 18 참조).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조기(51)는, 배면에 형성된 공기 취입구(52)로부터 실내(R)의 공기를 끌어들이고(취입하고), 열교환기(53)에 접촉시킨 후, 크로스 플로우 팬(54)에 의해 취출구(55)로부터 공조 공기로서 내뿜는다(취출한다). 공기 취입구(52)에는 필터(56)가 탈부착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0026] (a) 외관
도 2~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조기(51)의 하우징(51a)은 횡폭, 깊이, 높이의 순으로 치수가 작아지는 박형(薄型) 형상을 가지고 있다.
[0027]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51a)의 배면에 배치된 공기 취입구(52)는, 가로로 긴 직사각형 형상을 한 3곳의 영역이 수평방향으로 병렬되어 있다. 개개의 공기 취입구(52)는 각각의 영역에서 개구되며, 실내(R) 측의 공간이 하우징(51a)의 내부 공간에 이어져 있다.
공기 취입구(52)의 3곳의 영역에는 각각 필터(56)가 부착되어 있다. 이들 필터(56)는, 하면 측에서의 작업으로 빼고 꽂을 수 있도록 하우징(51a)에 부착되어 있다. 하우징(51a)은 배면 측의 영역에, 하방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밀어 넣는 것과 같은 필터(56)의 장착과,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뽑는 것과 같은 필터(56)의 탈락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이 구조는, 필터(56)를 상하방향으로 안내하는 구조와, 공기 취입구(52)를 막는 위치에서 필터(56)를 유지하는 구조를 포함하고 있다.
공기 취입구(52)를 이루는 3곳의 영역은, 하우징(51a)의 우측면에 치우쳐 배치되어 있다(도 2, 도 5 참조). 이 때문에 배면 측에서 보면, 이들 3곳의 영역은 좌측으로 치우쳐 있다.
[0028]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51a)의 정면에 배치된 취출구(55)는, 가로로 긴 직사각형 형상을 한 3곳의 영역이 수평방향으로 병렬되어 있다. 이들 3곳의 영역은, 공기 취입구(52)를 이루는 3곳의 영역과 위치가 맞춰져, 하우징(51a)의 횡폭방향에서의 우측에 치우쳐 배치되어 있다(도 2, 도 5 참조).
[0029] 3곳이라는 취출구(55)의 개수, 취출구(55)의 우측에 치우친 배치는 실시의 한 형태에 불과하다. 실시할 때에는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취출구(55)는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되어 있지 않아도 되고, 혹은 2곳의 영역 또는 4곳 이상의 영역으로 구획되어 있어도 된다. 취출구(55)는 하우징(51a)의 좌측면에 치우쳐 배치되어 있어도 되고, 중앙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공기 취입구(52)와 취출구(55)를 하우징(51a)의 동일한 측면에 치우쳐 배치하는 것도 필수는 아니며, 예컨대 공기 취입구(52)는 좌측으로 치우쳐 배치하고, 취출구(55)는 우측으로 치우쳐 배치하거나 또는 중앙에 배치하는 등의 각종 변경이 가능하다.
[0030] 도 2, 도 4~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취출구(55)는, 하우징(51a)의 정면으로부터 돌출된 형상을 갖는 후드(61)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취출구(55)의 3곳의 영역은, 후드(61) 내에 수직으로 설치된 칸막이 판(62)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취출구(55)를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하지 않을 경우에는, 칸막이 판(62)은 불필요하다.
하우징(51a)의 정면에 이어지는 후드(61) 상면의 근원부 측은, 경사면(63)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경사 형상은, 후드(61)의 외면뿐만 아니라 내면에서도 마찬가지이며(도 9 참조), 경사면(63)에 대응하는 후드(61) 내의 상면에는, 경사진 경사내면(64)이 설치되어 있다.
천장면(C)의 오목부(C1)에 끼워지도록 부착된 공조기(51)는, 천장면(C)과 오목부(C1) 사이의 경계를 이루는 엣지(E)보다, 패널 기체(111) 측으로 후드(61)가 돌출되어 있다. 이 때 후드(61)의 경사면(63)의 경사 형상은, 후술하는 패널 기체(111)와의 원활한 연결에 기여한다.
후드(61)의 경사내면(64)의 경사 형상은, 후술하는 크로스 플로우 팬(54)의 정상적인 동작의 확보에 기여한다.
이들 경사면(63) 및 경사내면(64)의 기여에 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0031] 도 2~도 6,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조기(51)의 하우징(51a)의 양 측면에는 레일(57)이 부착되어 있다. 이들 한 쌍의 레일(57)의 부착 위치는, 하우징(51a)의 후방 측이며 비교적 하방의 위치이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일(57)은, 공조기(51)와 패널 기체(111)의 배열방향(깊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단부(段部; 57a)를 가지고 있다. 단부(57a)는, 패널 기체(111) 측의 높이가 낮고, 공조기(51) 측의 높이는 높게 되어 있다.
좌우 한 쌍의 레일(57)은 방사 공조 장치(11)에 대한 방사 패널 유닛(101)의 부착을 위해 이용된다. 상세한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
[0032] 도 3, 도 5~도 6,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조기(51)의 하우징(51a) 배면의 양단부 측에는 한 쌍의 자석(MG)이 설치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51a)은 배면으로부터 자석 홀더(71)가 돌출되어 있다. 자석(MG)은 자석 홀더(71)의 하면에 부착되어 있다.
좌우 한 쌍의 자석(MG)은, 방사 공조 장치(11)에 대한 방사 패널 유닛(101)의 부착을 위해 이용된다. 상세한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
[0033] (b) 내부 구조
도 9를 참조하면, 하우징(51a)이 배면 측에 구비하는 공기 취입구(52)와 정면 측에 구비하는 취출구(55)는, 수평면이 교차되는 일면과 반대 측의 일면에 각각 배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하우징(51a)은, 공기 취입구(52)와 취출구(55)의 사이에 열교환기(53)가 배치되고, 열교환기(53)보다 취출구(55) 측에 크로스 플로우 팬(54)이 배치되어 있다. 공기 취입구(52)와 열교환기(53)와 크로스 플로우 팬(54)과 취출구(55)는, 깊이방향으로 일직선 상에 설치되어 있다.
크로스 플로우 팬(54)은 회전축(A)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이러한 하우징(51a)의 내부에는, 크로스 플로우 팬(54)의 회전에 따라 공기 취입구(52)로부터 실내(R)의 공기를 끌어들이고, 끌어들인 공기를 열교환기(53)에 접촉시켜 취출구(55)를 통해 뿜어내는 공기의 유로(이하 '기내 유로(81)'라고도 부름)가 형성되어 있다.
[0034] 크로스 플로우 팬(54)은, 막연히 기내 유로(81)에 놓인 것만으로는 원하는 동작, 즉 공기 취입구(52)로부터 공기를 흡인하여 취출구(55)로 토출하는 동작을 행하지 않는다. 이러한 방향의 기류(도 9의 화살표 참조)를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기내 유로(81)가 굴곡되어 있을 것
·기내 유로(81) 내의 정해진 위치에 크로스 플로우 팬(54)이 배치되어 있을 것
·기내 유로(81)의 형상에 맞춘 방향으로 크로스 플로우 팬(54)이 회전할 것
이라는 조건이 갖춰져야만 한다.
이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크로스 플로우 팬(54)을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조와, 이러한 크로스 플로우 팬(54)의 회전에 따라 공기 취입구(52)로부터 취출구(55)로 향하는 기류를 발생시키는 기류 조정부(82)가 마련되어 있다.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0035] (크로스 플로우 팬의 회전방향)
도 2~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조기(51)의 하우징(51a)은 공기 취입구(52) 및 취출구(55)가 우측으로 치우쳐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51a)의 좌측에는, 공기 취입구(52)와 취출구(55)를 잇는 공기의 흐름과 관계없는 공간이 생긴다. 공조기(51)는, 이 공간 내에 전기적인 구조물이 배치되어 있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기적인 구조물은, 크로스 플로우 팬(54)의 구동원인 모터(M)를 구동하는 구동부(DR) 및 제어부(CR)이다. 제어부(CR)는, 구동부(DR)의 동작을 비롯하여 공조기(51)의 모든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CR)에 의해 제어되는 구동부(DR)는, 도 9 중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크로스 플로우 팬(54)을 구동한다. 도 9의 시계방향은, 크로스 플로우 팬(54)의 상반부 측, 즉 회전축(A)보다 상방인 영역의 회전방향을 열교환기(53)로부터 취출구(55)로 향하게 하는 방향이다.
[0036] (기내 유로의 형상과 크로스 플로우 팬의 배치)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열교환기(53)는 연직방향으로 배치된 복수 매의 알루미늄 판(53a)에 냉매관(53b)이 관통되어 있다. 냉매관(53b)의 내부에 냉매를 통과시킴으로써 알루미늄 판(53a)에 냉매의 온도를 열 전도하여, 개개의 알루미늄 판(53a) 사이의 형성된 슬릿(53c)을 통과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정(調溫)하는 구조이다.
본 실시형태의 열교환기(53)는 3층이다. 즉, 1개 단위를 이루는 1층의 열교환기(53) 3개를 직접 배치하였다.
게다가 3층의 열교환기(53)는 경사진 상태로 하우징(51a) 내에 고정되어 있다. 경사방향은 크로스 플로우 팬(54) 측의 면이 하방을 향하는 방향이다.
[0037]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열교환기(53)의 슬릿(53c)을 통과하는 공기는, 열교환기(53)의 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진행한다. 이에 따라 열교환기(53)로부터 비스듬히 하방을 향하는 기류가 발생한다.
기류 조정부(82)는, 열교환기(53)의 면에 직교하여 하방으로 향하는 공기를 하우징(51a) 내의 바닥면을 따르게 하며, 바닥면을 따라 흐른 공기를 크로스 플로우 팬(54)에 의해 빨아들이게 한다. 빨아들여진 공기는, 비스듬한 하방으로부터 크로스 플로우 팬(54)을 향한다.
이와 같은 공기의 흐름을 만들기 위해 공조기(51)는, 크로스 플로우 팬(54) 주변에 2매의 기류 조정판(83)을 설치하여, 열교환기(53)로부터 비스듬히 하방을 향하는 공기의 진행방향을 비스듬히 상방을 향하도록 바꾸고, 크로스 플로우 팬(54)에 비스듬한 하방으로부터 향하는 기류로 변환한다. 2매의 기류 조정판(83)은, 크로스 플로우 팬(54)을 상하방향으로부터 미소(微小)한 틈새를 두고 끼우듯이 배치되어 있으며, 비스듬한 하방으로부터의 기류가 크로스 플로우 팬(54)의 내부에 도입되도록 하고 있다. 
기류 조정부(82)는, 크로스 플로우 팬(54)과 취출구(55)의 사이를, 크로스 플로우 팬(54)으로부터 취출구(55)를 향해 하방으로 경사진 공간을 형성하는 공동(空洞) 부재로 연결한다. 공동 부재로서 이용되는 것은, 상하 2매의 기류 조정판(83) 및 후드(61)이다.
상하 2매의 기류 조정판(83)은, 크로스 플로우 팬(54)보다 취출구(55) 측의 기내 유로(81)를 비스듬히 하방으로 경사지게 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기내 유로(81)는, 크로스 플로우 팬(54)으로부터 비스듬히 하방으로 향하는 기류를 취출구(55)에 발생시킨다.
보다 자세하게는, 기내 유로(81)는, 크로스 플로우 팬(54)에 열교환기(53) 측으로부터 도입된 공기를 90° 굴곡시켜 취출구(55) 측으로 유도하고 있다. 이로써 공기 취입구(52)로부터 공기를 흡인하여, 취출구(55)로 토출하는 크로스 플로우 팬(54)의 동작이 정상적으로 실행된다.
앞에서 설명한 후드(61)의 경사내면(64)은, 비스듬히 하방으로 경사진 형상을 하고 있다. 이러한 형상의 경사내면(64)은, 크로스 플로우 팬(54)보다 취출구(55) 측인 기내 유로(81)의 일부를 이루어, 크로스 플로우 팬(54)의 정상적인 동작의 확보에 기여하고 있다.
[0038] (2) 방사 패널 유닛
방사 패널 유닛(101)은 패널 기체(111)와 방사 패널(131)로 구성되어 있다.
[0039] (a) 패널 기체
도 11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패널 기체(111)는, 직사각형 형상을 한 평판 형상의 배면 패널(112)의 양측 부분으로부터, 한 쌍의 측벽(113)을 세워 올린 형상의 단열 부재이다. 예컨대 발포 스티롤(EPS), 수지, 석고, 우레탄, 글라스 울(glass wool), 락 울(rock wool, 암면) 등을 패널 기체(111)의 재료로서 이용할 수 있다.
한 쌍의 측벽(113)은, 배면 패널(112)의 장변(長邊)방향(폭방향)의 양단부분, 즉 양 측단으로부터 세워지며, 긴 변을 따르는 폭방향으로 약간 돌아 들어가 있다. 이러한 형상에 따라, 한 쌍의 측벽(113)의 일단(一端) 측의 영역과 타단(他端) 측의 영역, 그리고 배면 패널(112)과 대면하는 영역의 3면이 개방되어 있다.
설명의 편의상, 한 쌍의 측벽(113)의 일단 측의 영역을 도입구(114), 타단 측의 영역을 배출구(115), 그리고 배면 패널(112)과 대면하는 영역을 대면 영역(116)이라 부른다. 대면 영역(116)은, 한 쌍의 측벽(113)의 상단면을 포함하는 평면 내의 영역이다.
따라서 패널 기체(111)는, 배면 패널(112)을 기체(基體)로 하며, 이 배면 패널(112)로부터 울타리 형상으로 기립하는 벽부로서의 측벽(113)을 구비하고 있다. 한 쌍의 측벽의 사이에는 도입구(114)와 배출구(115)가 형성된다.
[0040] 패널 기체(111)의 도입구(114)는, 공조기(51)의 취출구(55)에 이어지는 단부 가장자리(端緣)를 향해 경사진 형상을 하고 있다. 이 형상은, 취출구(55)가 선단부에 설치되는 후드(61)의 경사면(63)과 부합된다.
[0041] 이러한 구조의 패널 기체(111)는, 천장면(C)과 오목부(C1) 사이의 경계를 이루는 엣지(E)의 위치에, 도입구(114)를 이루는 단부 가장자리의 위치를 맞추어 천장면(C)에 부착되어 있다. 이에 따라 패널 기체(111)의 도입구(114)에, 공조기(51)가 갖는 후드(61)의 경사면(63)이 위치 맞춤되어, 취출구(55)와 도입구(114)가 연결된다(도 19 참조).
천장면(C)에 대한 패널 기체(111)의 부착 수단은 그 종류를 불문한다. 예컨대 나사 고정, 면(面) 패스너, 접착 테이프, 접착 등의 수단을 채용할 수 있으며, 천장면(C)의 구조에 따라서는 행거 볼트 등의 부착 수단을 채택할 수도 있다.
[0042] 패널 기체(111)에는, 배출구(115)에 위치하도록 한 쌍의 스토퍼(117)가 설치되어 있다. 이로써 배출구(115)는, 폭이 넓은 중앙 측의 한 곳과 폭이 좁은 양측의 두 곳이라는 3곳으로 분산되어 있다. 이들 스토퍼(117)는 배면 패널(112)에 고정된 스토퍼 금구(金具)(119)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스토퍼 금구(119)는 연결구로 기능하는 것으로서, 연결 홈(119a)이 형성되어 있다.
[0043] 이러한 패널 기체(111)는, 예컨대 EPS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따라서 전체가 단열재로서 기능한다.
[0044] (b) 방사 패널
도 12~도 14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방사 패널(131)은 직사각형 형상을 한 프레임 바디(132)에 주머니 형상의 천인 천 커버(141)를 씌움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0045] 프레임 바디(132)는 복수 개의 봉 형상 부재(133)를 연결하여, 보강 및 회전 방지를 위한 리브(rib)를 갖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한 것이다. 봉 형상 부재(133)는, 프레임 바디(132)의 외형을 결정짓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짜여진 외측 프레임(외틀) 부재(133a)로서 일부가 이용되며, 다른 일부는 외측 프레임을 보강하는 보강부재(133b)로서 이용된다. 일례로서, 봉 형상 부재(133)에는 중공(中空) 구조를 갖는 각기둥(角柱) 형상의 알루미늄 파이프가 이용되며, 이들이 수지제의 커넥터로 연결되거나, 비스(bis)로 고정됨으로써 프레임 바디(132)가 구성된다.
다른 일례로서, 봉 형상 부재(133)는 수지에 의해 성형되어 있거나, 카본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프레임 바디(132)는 제1 프레임 바디(134)와 제2 프레임 바디(135)를 구비하고 있다.
제1 프레임 바디(134)는, 공조기(51)와 대면하는 영역에 배치된다. 제1 프레임 바디(134)의 폭은 공조기(51)보다 넓게 설정되어 있다.
제2 프레임 바디(135)는, 그 폭방향 및 깊이방향 모두, 패널 기체(111)의 폭방향 및 깊이방향보다 크고, 깊이방향의 후단(後端) 측은, 공조기(51)의 하면의 깊이방향 후방 부분에까지 이르는 길이로 되어 있다.
제1 프레임 바디(134)는, 제2 프레임 바디(135)의 후단부에 힌지(136)로 연결되며, 제2 프레임 바디(135)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다(도 12~도 13, 도 16 참조). 제1 프레임 바디(134)는, 제2 프레임 바디(135)의 깊이방향의 후단부와 함께, 공조기(51)를 완전히 덮는 크기를 가지고 있다.
[0046] 도 13~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천 커버(141)는 이불 커버와 같은 주머니 형상을 가지고 있다. 네 변이 닫히고, 세 변에 개방 가능한 개방 테두리(開方緣, 142)를 갖는 형상이다. 개방 테두리(142)에는 척(chuck, 143)이 부착되어 있으며, 척(143)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개방 테두리(142)를 개방함으로써, 프레임 바디(132)의 수납이 가능하다. 개방 테두리(142)는 천 커버(141)의 단부보다 약간 안쪽으로 들어간 곳에 위치해 있다.
이러한 천 커버(141)는 천, 즉 섬유를 소재로 하여 형성되며, 통기성과 신축성을 가지고 있다.
천 커버(141)는 그 폭방향 및 깊이방향이 프레임 바디(132)보다 약간 작게 형성되어 있으며, 프레임 바디(132)를 수납했을 때, 팽팽해진 상태를 유지한다.
주머니 형상이라는 천 커버(141)의 형상에 관해서는, 프레임 바디(132)의 폭방향을 감싸는 형상으로 보았을 때, 무단(無斷, endless) 형상으로 볼 수도 있다. 양단이 개방된 무단 형상의 양단을 폐쇄한 형상이 주머니 형상이 되기 때문이다.
[0047] 주머니 형상을 갖는 천 커버(141)는, 실내(R) 측에 노출되는 표면 측의 섬유 소재와, 유로(151)에 면(面)하는 이면(裏面) 측의 섬유 소재의 봉합 구조를 가지고 있다. 설명의 편의상, 표면 측의 섬유소재를 표면섬유(141A)(도 29, 도 30도 참조), 이면 측의 섬유소재를 이면섬유(141B)라고 부른다.
표면섬유(141A)는, 방사 패널(131)이 설치되었을 때에 실내(R) 측에 노출되며, 방사 공조 장치(11)의 외관 양태를 결정한다. 따라서 표면섬유(141A)의 재료를 선정할 때에는 미적 관점이 중요시된다.
이면섬유(141B)는, 공조기(51)의 취출구(55)로부터 취출된 기류가 표면섬유(141A)의 안쪽으로 유도될 때에, 기류에 최대한 저항을 주지 않도록 한다는 관점에서 그 재료가 선정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메쉬(mesh)의 천, 즉 메쉬 소재의 섬유가 이면섬유(141B)로서 사용되고 있다.
도 13,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면섬유(141A)는 배면 패널(112)과 대면하는 이면 측에까지 돌아 들어가 있으며, 이면 측에서 이면섬유(141B)와 봉합되어 있다. 천 커버(141)는, 방사 패널(131)을 패널 기체(111)에 장착했을 때, 한 쌍의 측벽(113)과 위치가 맞춰지도록 봉합 부분(SP)의 위치가 결정되어 있다.
[0048] 프레임 바디(132)에 천 커버(141)를 커버링한 방사 패널(131)은, 제1 프레임 바디(134)와 제2 프레임 바디(135)가 힌지(136)를 지나는 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기 때문에, 천 커버(141)가 씌워진 상태에서도 회전이 가능하다. 따라서 설명의 편의상, 방사 패널(131) 중, 천 커버(141)가 제1 프레임 바디(134)를 덮고 있는 부분을 제1 패널(131A), 천 커버(141)가 제2 프레임 바디(135)를 덮고 있는 부분을 제2 패널(131B)이라 부른다.
제1 패널(131A)은 공조기(51)의 일부와 대면하는 영역을 담당하고 있다.
제2 패널(131B)은 공조기(51)의 나머지 일부와 패널 기체(111)의 전면(全面)에 대면하는 영역을 담당하고 있다.
[0049] 도 1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방사 패널(131)은 패널 기체(111)의 대면 영역(116)에 위치 결정되어 고정된다. 이에 따라 도입구(114)로부터 배출구(115)에 이르는 공간이 구획되며, 이것이 공조 공기의 유로(151)가 된다.
도 15의 (a)에 모식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 바디(132)에 천 커버(141)가 커버링된 상태로 되어 있는 방사 패널(131)은, 표면섬유(141A)에 의한 일면과, 이면섬유(141B)에 의한 반대 측의 면을 갖는 중공(中空)의 형상을 형성하고 있다. 이때 방사 패널(131)은, 천 커버(141)의 이면섬유(141B)가 메쉬 천이므로, 이면 측에 개구부(O)를 가지고 있는 것과 같은 상태를 만들어 내고 있다. 이 때문에 유로(151)를 흐르는 공조 공기는 이면섬유(141B)로부터 자유롭게 방사 패널(131)의 내부로 들어가, 표면섬유(141A)의 내부에 접한다. 이 때문에 원래 통기성을 가지고 있는 표면섬유(141A)는, 방사면(RS)으로서 기능한다.
[0050] 위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방사 패널(131)의 프레임 바디(132)는 공조기(51) 및 패널 기체(111)보다 투영 면적이 크다. 보다 자세하게는, 제1 프레임 바디(134)의 폭은, 공조기(51)보다 넓게 설정되어 있으며, 제2 프레임 바디(135)의 폭 및 깊이는, 패널 기체(111)의 폭방향 및 깊이방향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방사 패널(131)은 공조기(51) 및 패널 기체(111)를 합한 면적보다 큰 수평 투영 면적을 가지고 있다.
이때 도 15의 (a)에 모식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방사 패널(131)은 프레임 바디(132)를 커버링 하는 천 커버(141)에 의해 중공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치수 관계에 따라, 표면섬유(141A) 측의 방사면(RS)은 배면 패널(112)의 폭보다 넓다.
이에 대하여 개구부(O)는, 한 쌍의 측벽(113)의 대향(對向) 간격과 일치하는 배면 패널(112)의 폭보다 좁다. 바꿔 말하면 한 쌍의 측벽(113)은, 공조기(51)의 취출구(55)로부터 공조 공기가 취출되는 방향을 따라서 배면 패널(112)과 방사 패널(131)의 사이에 존재하며, 개구부(O)를 비어져 나오지 않게 사이에 두고 대향되어 있다. 이에 따라 공조 공기의 유로(151)는, 그 폭이 한 쌍의 측벽(113)에 의해 규정되며, 개구부(O)로부터 공조 공기를 외부로 누출하는 일 없이 방사 패널(131)의 내부 공간에 이어져 있다.
[0051] 도 15의 (b)에 모식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방사 패널(131)의 내부 공간에는 프레임 바디(132)의 봉 형상 부재(133)가 위치한다. 이들 봉 형상 부재(133) 중, 공조기(51)에 내장된 열교환기(53)의 연직방향 수직 하방(直下)에는, 제1 프레임 바디(134)의 외측 프레임 부재(133a)와 제2 프레임 바디(135)의 외측 프레임 부재(133a)가 위치한다. 공조기(51)의 하우징(51a)은, 하면이 평평한(flat) 면으로 되어 있으며, 천 커버(141)를 사이에 두고 프레임 바디(132)가 밀착 접촉되어 있다.
하우징(51a)의 하면에 밀착 접촉하는 제1 프레임 바디(134) 및 제2 프레임 바디(135) 중, 제1 프레임 바디(134)에 연결되는 제2 프레임 바디(135)의 외측 프레임 부재(133a)는, 봉 형상의 밀착 접촉 부재(RM)로서 기능한다. 봉 형상의 밀착 접촉 부재(RM)는, 외측 프레임 부재(133a)의 일부이며, 천 커버(141)를 사이에 두고 공조기(51)의 하우징(51a)에 밀착 접촉된다. 밀착 접촉되는 것은 하우징(51a)의 하면이다. 밀착 접촉 부재(RM)가 되는 외측 프레임 부재(133a)의 일부를 하우징(51a)에 밀착 접촉시키기 위한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이러한 밀착 접촉 부재(RM)는, 방사 패널(131)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여, 열교환기(53)보다 공조기(51)의 후방 측(공기 취입구(52) 측)으로 공조 공기가 돌아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0052] (c) 패널 기체에 대한 방사 패널의 탈부착 구조
도 12~도 14 및 도 16의 (a), (b)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프레임 바디(132)에는, 방사 패널(131)을 임시 설치하고 고정하기 위한 구조물로서, 한 쌍의 슬라이더(137), 피(被)연결구로서의 한 쌍의 연결 핀(138), 및 피흡착부재로서의 한 쌍의 흡착판(139)이 설치되어 있다.
[0053] 한 쌍의 슬라이더(137)는, 위에서 기술한 한 쌍의 레일(57)과 협동하여 방사 패널(131)을 임시 고정하기 위한 부품이다.
한 쌍의 연결 핀(138)은, 앞에서 설명한 스토퍼(117)와 협동하여 방사 패널(131)을 본 고정하기 위한 부품이다.
한 쌍의 흡착판(139)은, 후술하는 자석(MG)과 협동하여 방사 패널(131) 중 제1 패널(131A)을 유지하기 위한 부품이다.
[0054] (방사 패널의 임시 고정 구조)
도 2~도 5, 도 7~도 8, 도 12~도 14, 도 16의 (a) 및 도 17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방사 패널(131)의 임시 고정 구조는 한 쌍의 레일(57)과 한 쌍의 슬라이더(137)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한 쌍의 슬라이더(137)는, 제2 프레임 바디(135)의 밀착 접촉 부재(RM)를 이루는 외측 프레임 부재(133a)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고정 위치는, 외측 프레임 부재(133a)의 양단 근방의 위치이다.
슬라이더(137)는, 외측 프레임 부재(133a)에 나사 고정하기 위한 판금(板金, 137a)에 원형 봉 형상의 핀(137b)이 고정되어 있다. 판금(137a)은, 외측 프레임 부재(133a)보다 높은 위치에 핀(137b)이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핀(137b)은 방사 패널(131)의 폭방향, 즉 제1 프레임 바디(134)와 제2 프레임 바디(135)의 회전축의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0055] 한 쌍의 슬라이더(137)가 갖는 핀(137b)의 대향 간격은, 공조기(51)의 하우징(51a)의 횡폭 치수보다 약간 넓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한 쌍의 레일(57)의 상방으로부터 한 쌍의 슬라이더(137)를 유도하여, 그 핀(137b)을 레일(57)에 재치(載置)할 수 있게 된다(도 20, 도 21 참조).
레일(57)에 재치된 핀(137b)은, 레일(57) 위를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핀(137b)은 단부(段部, 57a)를 넘어, 슬라이더(137)의 높이, 바꿔 말하면 방사 패널(131)의 높이를 변동시킨다. 패널 기체(111) 측으로부터 공조기(51) 측으로 슬라이더(137)가 이동하면, 방사 패널(131)은 높은 위치에 위치 결정된다. 공조기(51) 측으로부터 패널 기체(111) 측으로 슬라이더(137)가 이동하면, 방사 패널(131)은 낮은 위치에 위치 결정된다. 높은 위치에 위치 결정된 방사 패널(131)은 천 커버(141)를 사이에 두고 밀착 접촉 부재(RM)가 되는 제2 프레임 바디(135)의 외측 프레임 부재(133a)를 공조기(51)의 하우징(51a)에 밀착 접촉시킨다.
[0056] 도 2~도 5, 도 7~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일(57)의 양단부에는 각각 규제편(規制片, 57b)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규제편(57b)은 레일(57) 위를 슬라이드 이동하는 핀(137b)의 탈락을 방지한다.
[0057] (방사 패널의 본 고정 구조)
도 11~도 14 및 도 16의 (b)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방사 패널(131)의 본 고정 구조는, 한 쌍의 스토퍼(117)와 한 쌍의 연결 핀(138)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한 쌍의 연결 핀(138)은 제2 프레임 바디(135)에 고정되어 있다. 고정 위치는, 제1 프레임 바디(134)에 연결되는 쪽과 반대 측인 외측 프레임 부재(133a)에 연결된 한 쌍의 보강 부재(133b)이다. 이들 보강 부재(133b) 중, 연결 핀(138)은 외측 프레임 부재(133a)의 비교적 가까운 위치에 부착되어 있다.
한 쌍의 연결 핀(138)은, 패널 기체(111)에 설치된 좌우 한 쌍의 스토퍼(117)의 연결 홈(119a)에 끼움 결합하는 스터드(stud)의 형태를 가지고 있다. 연결 홈(119a)은 방사 패널 유닛(101)의 배출구(115)에 위치하며, 실내(R) 측으로 개구되어 있다. 이 때문에 연결 핀(138)은 패널 기체(111)로부터 공조기(51)의 방향을 향하는 방사 패널(131)의 수평 이동에 따라 스토퍼(117)의 연결 홈(119a)에 끼움 결합된다.
따라서 스토퍼(117) 및 연결 핀(138)은, 공조기(51)와 패널 기체(111)의 배열방향(깊이방향)으로의 이동 동작에 따라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CN)를 구성한다.
[0058] (제1 패널의 유지구조)
도 1, 도 3, 도 5, 도 8, 도 12~도 14 및 도 16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패널(131A)의 유지구조는, 한 쌍의 자석(MG; 패널유지부)과 한 쌍의 흡착판(139; 피흡착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한 쌍의 흡착판(139)은, 제1 프레임 바디(134)에 설치된 2개의 보강부재(133b)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고정 위치는, 제1 프레임 바디(134)와 제2 프레임 바디(135)가 동일 면 내에 배치된 상태에서, 슬라이더(137)의 핀(137b)보다 약간 낮아지는 위치이다. 이들 흡착판(139)은, 제1 프레임 바디(134)가 수평으로 기립한 상태에서 평판 형상의 흡착면(139a)을 수평으로 위치시킨다.
한 쌍의 자석(MG)은, 위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공조기(51)의 배면의 양단부 측에 설치되어 하방을 향해 부착되어 있다.
이들 자석(MG)과 흡착판(139)은, 방사 패널(131)이 본 고정된 상태에서 제1 패널(131A)을 수평으로 일으켰을 때, 흡착판(139)의 흡착면(139a)이 자석(MG)에 대면하여, 자력에 의해 흡착되도록 위치 결정되어 있다. 
[0059] (천 커버에 관한 연구)
패널 기체(111)에 대한 방사 패널(131)의 탈부착 구조를 설치함으로써, 방사 패널(131)의 프레임 바디(132)에는 요철이 발생한다. 슬라이더(137), 연결 핀(138) 및 흡착판(139)의 부위가 그것이다.
만약 천 커버(141)가 이들 각 부도 포함하여 프레임 바디(132)를 커버링하는 구조라면, 프레임 바디(132)에 대한 천 커버(141)의 탈부착 작업이 번거로워질 뿐만 아니라, 이들 각 부의 기능을 정상적으로 발휘시킬 수 없게 되고 만다.
이에 천 커버(141)는, 슬라이더(137), 연결 핀(138) 및 흡착판(139)의 부위에 노출용의 개구를 형성하여, 이들 각 부를 노출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노출용의 개구에 대해서는 도시를 생략한다.
[0060] 2. 설치 절차
방사 공조 장치(11)의 설치 절차에 대해 설명한다.
[0061] (1) 공조기의 설치
우선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조기(51)는 굽힌 천장으로 된 천장면(C)에 형성된 오목부(C1)에 설치한다.
미리 오목부(C1)가 형성되어 있다면 이것을 이용하고, 오목부(C1)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면 천장면(C)을 공사하여 오목부(C1)를 제작한다.
[0062] (2) 패널 기체의 부착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천장면(C)에 패널 기체(111)를 부착한다.
패널 기체(111)는, 천장면(C)과 오목부(C1) 사이의 경계를 이루는 엣지(E)에 도입구(114)가 위치하도록 위치가 맞춰져 천장면(C)에 고정된다.
이때 패널 기체(111)의 도입구(114)는, 천장면(C)과 오목부(C1) 사이의 경계를 이루는 엣지(E)를 따라 위치 결정된다. 그 결과, 공조기(51)의 취출구(55)와 패널 기체(111)의 도입구(114)는 위치가 맞춰져, 서로 이어지는 상태가 된다(도 1도 참조할 것).
[0063] (3) 방사 패널의 부착
(a) 임시 고정
우선 방사 패널(131)을 임시 고정한다.
도 20~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조기(51)의 양측부에 설치된 레일(57)에 방사 패널(131)에 설치된 한 쌍의 슬라이더(137)를 근접시켜, 슬라이더(137)를 레일(57)에 재치(載置)함으로써, 방사 패널(131)은 임시 고정된다. 슬라이더(137)는 레일(57)의 앞쪽에 위치하는 낮은 높이의 장소에 재치된다.
임시 고정된 상태의 방사 패널(131)은, 제2 프레임 바디(135)이든 제1 프레임 바디(134)이든 위치가 구속되지 않고, 회전 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다.
[0064] (b) 제2 패널의 회전
도 23~도 24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방사 패널(131)을 임시 고정하였으면, 제2 패널(131B)을 회전시켜 수평으로 한다.
이때 한 쌍의 슬라이더(137)는, 한 쌍의 레일(57)의 낮은 높이의 장소에 재치되어 있다. 제2 패널(131B)의 연결 핀(138)은, 패널 기체(111)의 스토퍼 금구(119)와 간격을 두고 대면하는 상태로 되어 있다.
[0065] (c) 본 고정
도 25~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패널(131B)을 수평으로 하였으면, 그대로의 자세를 유지하면서 제2 패널(131B)을 밀어 넣는다. 즉 방사 패널(131)을 공조기(51)의 방향을 향해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스토퍼 금구(119)의 연결 홈(119a)에 연결 핀(138)이 끼워져, 방사 패널(131)의 본 고정이 이루어진다.
이때 레일(57) 위에서 슬라이더(137)가 슬라이드 이동하며, 단부(段部, 57a)를 넘어 높은 높이의 위치에 자리하게 된다. 이에 따라 방사 패널(131)의 선단 측, 즉 제1 패널(131A)에 연결되는 제2 패널(131B)의 단부(端部) 측이 들어 올려져, 공조기(51)의 하우징(51a)의 하면에 밀어붙여진다. 그 결과, 제2 프레임 바디(135)의 밀착 접촉 부재(RM)가 되는 외측 프레임 부재(133a)가 천 커버(141)를 사이에 두고 하우징(51a)의 하면에 밀착 접촉한다.
제1 패널(131A)은, 방사 패널(131)이 본 고정되었을 때, 힌지(136)에 의해 자유 회전하여 연직방향으로 처진다.
[0066] (d) 제1 패널의 유지
도 27~도 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패널(131A)을 회전시켜 수평으로 한다.
그러면 공조기(51)의 배면에 설치되어 있는 자석(MG)에 제1 패널(131A)에 설치되어 있는 흡착판(139)의 흡착면(139a)이 자력에 의해 흡인되어, 천 커버(141)를 사이에 두고 자석(MG)에 흡착된다. 이로써 제1 패널(131A)이 유지되어, 수평 상태를 유지한다.
제1 패널(131A)이 수평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천 커버(141)는 제1 프레임 바디(134)에 의해 잡아당겨져, 팽팽해진 상태로 유지된다.
이와 같이 하여 방사 패널(131)의 부착 작업이 완료된다.
[0067] (4) 방사 패널의 분리
(a) 제1 패널의 유지 해제
도 2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석(MG)의 자력에 의한 흡착판(139)의 흡인력에 대항하여, 제1 패널(131A)을 회전시킨다.
그러면 도 25~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손을 떼면 제1 패널(131A)은 자유 회전하여 연직방향으로 처진 상태가 된다.
[0068] (b) 연결부의 연결 해제
도 25에 나타낸 상태에서 도 23에 나타낸 상태가 되도록, 제2 패널(131B)을 파지(把持, grip)하여 잡아당긴다. 즉 방사 패널(131)을 공조기(51)로부터 패널 기체(111)의 방향을 향해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스토퍼 금구(119)의 연결 홈(119a)으로부터 연결 핀(138)이 탈락하여, 방사 패널(131)의 본 고정이 해제된다.
이때 레일(57) 위에서 슬라이더(137)가 슬라이드 이동하며, 단부(57a)를 넘어 낮은 높이의 위치에 자리하게 된다. 이에 따라 방사 패널(131)의 선단 측, 즉 제1 패널(131A)에 연결되는 제2 패널(131B)의 단부 측의 위치도 내려가, 공조기(51)의 하우징(51a)의 하면으로부터 멀어진다. 그 결과, 제2 프레임 바디(135)의 밀착 접촉 부재(RM)가 되는 외측 프레임 부재(133a)가 천 커버(141)를 사이에 두고 하우징(51a)의 하면에 밀착 접촉하는 상태도 해제되어, 방사 패널(131)은 임시 고정 상태가 된다.
[0069] (c) 제2 패널의 회전
도 21~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일(57)에 재치되어 있는 슬라이더(137)의 핀(137b)을 시작점으로 하여 제2 패널(131B)을 회전시켜 경사진 상태로 한다.
[0070] (d) 탈락
제2 패널(131B)의 양단을 잡고, 레일(57)로부터 슬라이더(137)를 들어올리듯이 하여 탈락시킨다.
이로써 방사 패널(131)의 분리 작업이 완료된다.
[0071] 3. 작용 효과
공조기(51)를 작동시키면, 취출구(55)로부터 공조 공기가 취출되고, 유로(151)를 지나 도입구(114)로부터 배출구(115)로 흐른다. 그러면 공조 공기에 의해 방사 패널(131)의 온도가 조정된다. 난방시에는 따뜻해지고, 냉방시에는 차가워진다. 이에 따라 실내(R)가 방사 공조된다.
[0072] (1) 결로의 방지
냉방 시에, 본 실시형태의 방사 공조 장치(11)는 방사 패널(131)에 대한 결로의 발생을 억제한다.
그 이유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0073] (a) 결로의 원인
공기 중에는 수분이 기체(수증기)로서 포함되어 있다.
공기가 한계까지 수증기를 포함한 상태는 포화상태라 불리며, 이때의 수증기량을 포화 수증기량이라고 한다. 포화 수증기량은 기온에 의존하여 변동되며, 기온이 높을수록 많아지고 낮을수록 적어진다.
따라서 공기가 차가워져 가면, 기온이 높을 때는 수증기의 형태였던 수분은 결국 포화되어, 액체로 변화한다. 즉 기온의 저하와 함께 포화 수증기량도 적어지기 때문에, 공기를 계속해서 차게 하면 어느 시점에서 수증기가 포화되어 액체로 변하는 것이다.
이 때의 온도를 이슬점 온도라고 한다.
이슬점 온도는 공기중에 포함되는 수증기량에 따라 변동하며, 수증기량이 많을수록 높아지고, 적을수록 낮아진다.
보다 구체적인 현상으로 말하자면, 이슬점 온도를 하회(下廻)함에 따라 포화된 수증기는 응결하여, 물건의 표면에 물방울이 되어 부착된다. 이것이 결로라 불리는 현상이다.
이때 같은 온도를 출발점으로 하여 기온이 내려갔다 하더라도, 포함하고 있는 수증기량이 많을 때보다는 적을 때에 결로의 발생 온도가 낮아진다. 예컨대 25℃의 환경 하에서 기온이 내려가기 시작했을 때, 포화 수증기량의 50%의 수증기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약 14℃에서 결로가 발생하는 반면, 30%의 수증기밖에 포함하지 않을 경우에는 약 6.5℃에서 결로가 발생한다.
[0074] (b) 본 실시형태의 방사 공조 장치
본 실시형태의 방사 공조 장치(11)에서는, 방사 패널(131)에 의해 구획되는 이면 측, 즉 공조기(51)가 배치되는 유로(151) 측에서는, 공조기(51)의 냉방운전에 의해 공기의 건조가 촉진되어, 마른 공기가 유통된다. 공기 취입구(52)로부터 공조기(51)로 유입된 실내(R)의 공기는 열교환기(53)를 통과할 때에 급속하게 차가워져, 공기 중에 포함되는 수증기의 일부가 액화되어 제거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공조 공기의 유로(151)를 빠져나온 공기는, 냉방 운전에 의해 차가워짐에 따라 포화 수증기량이 감소했다 하더라도, 건조에 의해 그 이슬점 온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방사 패널(131)의 이면에 결로가 생기지 않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천 커버(141) 중의 이면섬유(141B)에도, 이면 측으로 돌아 들어간 표면섬유(141A)에도 결로는 발생하지 않는다.
그 한편으로 방사 패널(131)의 표면 측은, 냉방 운전에 의해 차가워져, 실내(R)의 공기를 방사 냉각한다. 이 때문에 방사 패널(131)의 표면에 위치하는 천 커버(141), 즉 표면섬유(141A)는 저온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표면섬유(141A)에 접하는 공기는 이슬점 온도에 가까워져 가게 된다.
이때 표면섬유(141A)에 접해 있는 공기가 이슬점 온도에 도달하면, 그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수증기가 액체로 변하려고 한다.
[0075] (c) 결로 방지의 원리
이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천 커버(141)는 통기성을 가지고 있다.
이 때문에 공조 공기의 유로(151)를 빠져나오는 공기는 천 커버(141)를 지나, 실내(R) 측에 노출되어 있는 표면섬유(141A)의 겉 쪽(表側)으로 누출된다. 그 결과, 표면섬유(141A)의 겉 쪽에서는, 건조한 공기가 층을 이루는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건조한 공기가 층을 이루는 표면섬유(141A)의 겉 쪽에서는, 저하된 표면섬유(141A)의 온도보다 공기의 이슬점 온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결로가 생기지 않는다.
이상의 원리에 의해,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냉방 시에, 다양한 환경에서 방사 패널(131)의 표면에 결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가 있다.
[0076] (2) 공조기의 박형화
(a) 크로스 플로우 팬
공조기(51)는, 송풍원으로서 크로스 플로우 팬(54)을 이용하고 있다. 크로스 플로우 팬(54)을 이용하면, 기내 유로(81)를 굴곡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에, 아무래도 하우징(51a)의 높이가 높아지기 쉽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의 공조기(51)는, 3층의 열교환기(53)의 경사 배치와 한 쌍의 기류 조정판(83)을 포함하는 기류 조정부(82)를 설치하여, 하우징(51a) 내의 한정된 높이 치수 내에서 기내 유로(81)를 굴곡시킨다. 이에 따라 공기취입구(52)와 열교환기(53)와 크로스 플로우 팬(54)과 취출구(55)를 일직선 상에 배치할 수가 있다.
따라서 송풍원으로서 크로스 플로우 팬(54)을 이용하였다 하더라도, 공조기(51)의 높이 치수를 낮게 할 수가 있다. 그 결과, 천장면(C)을 따른 방사 패널(131)로 공조기(51)를 덮어 가리는 방사 공조 장치(11)를 실현할 수가 있다.
[0077] (b) 열교환기
열교환기(53)는, 크로스 플로우 팬(54) 쪽의 면을 비스듬히 하방으로 경사지게 하여, 열교환기(53)를 통과하는 기류를 비스듬히 하방으로 진행시킨다. 그 후 기류는, 상하 한 쌍의 기류 조정판(83)으로 안내되며, 비스듬한 하방으로부터 크로스 플로우 팬(54)을 향하도록 진행방향을 바꾼다. 이러한 이른바 V자 형상의 공기의 흐름은, 열교환기(53)와 크로스 플로우 팬(54) 사이의 약간의 이격(離隔) 거리 내에서, 크로스 플로우 팬(54)을 정상적으로 작동시키는 기류의 생성에 기여한다.
[0078] (3) 열교환기
열교환기(53)는 3층이다. 이에 따라 열교환에 기여하는 알루미늄 판(53a)의 면적을 늘릴 수 있어 높은 열교환 효율을 얻을 수가 있다.
한편, 크로스 플로우 팬(54)에 의해 흡인된 공기는, 열교환기(53)의 알루미늄 판(53a)의 사이에 형성된 슬릿(53c)을 통과한다. 이 때문에 열교환기(53)의 층이 증가하면 그만큼 공기 저항이 증대되어, 취출구(55)로부터의 공조 공기의 취출량을 감소시키게 된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우징(51a) 내에서 열교환기(53)를 경사지게 함으로써 상기한 과제의 해결을 도모하고 있다. 위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공기는 열교환기(53)의 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통과한다. 이 때문에 냉매관(53b)의 개수가 동일하다면, 기류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열교환기(53)를 배치하는 경우보다는, 기류에 대해 경사지게 하는 편이 슬릿(53c)의 면적을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그만큼 공기저항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열교환기(53)의 경사 배치는, 열교환 효율의 향상이라는 또 다른 이점을 가져온다. 기류에 대하여 경사지게 함으로써, 공기가 접촉하는 알루미늄 판(53a)의 면적을 늘릴 수 있기 때문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경사 배치한 3층의 열교환기(53)는, 3가지 효과를 동시에 발생시킨다.
첫 번째는, 열교환기(53)의 하류 측에서 V자 형상의 기류를 생성하는 데에 도움을 주기 때문에, 크로스 플로우 팬(54)을 정상적으로 작동시키는 기류의 생성에 기여하는 효과이다.
두 번째는, 슬릿(53c)을 통과하는 공기에 주는 저항을 줄여, 취출구(55)로부터의 공조 공기의 취출량의 감소를 억제한다는 효과이다.
세 번째는, 공기가 접촉하는 알루미늄 판(53a)의 면적을 늘려, 열교환의 효율을 높인다는 효과이다.
[0079] (4) 열 방사 면적의 확대
(a) 폭방향으로의 확대
도 15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조 공기의 유로(151)는, 패널 기체(111)가 갖는 배면 패널(112)과 방사 패널(131) 사이의 공간에 형성된다. 이때 유로(151)의 폭은, 패널 기체(111)에 설치된 한 쌍의 측벽(113)의 대향 간격에 의해 규정된다.
이때 한 쌍의 측벽(113)의 대향 간격은, 배면 패널(112)의 폭에 의해 결정된다. 한 쌍의 측벽(113)의 대향 간격은, 배면 패널(112)의 폭 이상으로 벌어지지 않는다. 이 때문에 공조 공기의 유로(151)의 폭도, 배면 패널(112)의 폭 이상으로는 넓어지지 않는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중공의 방사 패널(131)을 이용하고 있다. 이 방사 패널(131)은, 공조기의 유로(151)에 접하는 개구부(O)로부터 내부 공간이 확대되며, 개구부(O)와 반대 측의 일면에 방사면(RS)이 형성되어 있다. 방사면(RS)은, 배면 패널(112)의 폭보다 넓은 수평 투영면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한 쌍의 측벽(113)에 의해 규정되는 공조 공기의 유로 폭을 넘어, 방사 패널(131)의 열 방사 영역을 확대할 수가 있다. 그 결과, 실제 사이즈 이상의 열 방사 효율을 얻을 수가 있다.
[0080] (b) 공조기와 겹치는 영역으로의 확대
도 15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공의 방사 패널(131)은, 공조기(51)의 취출구(55)의 위치를 넘어, 공조기(51)와 서로 겹치는 위치에까지 중공 영역을 가지며, 이 영역에도 방사면(RS)이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한층 더 방사 패널(131)의 열 방사 영역을 확대할 수가 있다.
게다가 열 방사 영역의 확대 범위는, 제2 프레임 바디(135)의 외측 프레임 부재(133a)에 의한 밀착 접촉 부재(RM)가 천 커버(141)를 사이에 두고 공조기(51)의 하우징(51a)에 밀착 접촉하는 영역으로 한정된다. 밀착 접촉 부재(RM)는, 공조기(51)에 내장되는 열교환기(53)의 연직방향 수직 하방에 배치되기 때문에, 밀착 접촉 부재(RM)에 이르기까지의 영역이 전면적으로 열 방사 영역으로서 이용되어, 열 방사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가 있다.
[0081] (5) 숏컷 현상의 방지
위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공조기(51)와 서로 겹치는 위치에까지 방사 패널(131)의 중공 영역이 확대되어 있는 구조상, 공조기(51)의 취출구(55)로부터 취출된 공조 공기는 공조기(51)의 배면 측, 즉 공기 취입구(52)가 형성되어 있는 쪽으로 돌아 들어간다. 이때 공조기(51)의 배면에까지 공조 공기가 돌아 들어가면, 공조 공기가 공기 취입구(52)로부터 유입되어, 이른바 숏컷 현상을 일으키게 된다. 이에 따라 공조기(51)의 운전 효율이 저하되므로, 대처가 필요하다.
이 점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프레임 바디(135)의 외측 프레임 부재(133a)에 의한 밀착 접촉 부재(RM)가 공조 공기의 흐름을 저지하여, 숏컷 현상의 발생을 방지한다. 밀착 접촉 부재(RM)는, 방사 패널(131)이 본 고정되었을 때(도 27~도 30 참조), 천 커버(141)를 사이에 두고 공조기(51)의 하우징(51a)에 밀착 접촉하여, 방사 패널(131)의 내부를 지나 공조기(51)의 배면 측을 향하는 공조 공기의 흐름을 방해한다.
나아가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패널(131A)이 수평 상태가 되면(도 27, 도 30 참조), 천 커버(141)는 제1 프레임 바디(134)에 의해 잡아당겨져, 팽팽해진 상태로 유지된다. 이에 따라 방사면(RS)을 이루는 천 커버(141)의 표면섬유(141A)가 밀착 접촉 부재(RM)에 밀착 접촉하여, 밀착 접촉 부재(RM)와 표면섬유(141A)의 사이로부터 공조 공기가 누출되는 것도 방지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숏컷 현상에 의한 공조기(51)의 운전 효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가 있다.
[0082] (6) 시트의 형상 및 구조로부터 얻어지는 작용 효과
천 커버(141)는 프레임 바디(132)를 수납하는 주머니 형상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다음의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a) 열 방사 면적의 확대
그 중 하나는, 방사 패널(131)의 중공화가 용이해진다는 작용 효과이다.
그 결과, 방사면(RS)의 열 방사 면적을 폭방향으로 확대하기도 용이해지고, 공조기(51)와 겹치는 영역에까지 확대하기도 용이해진다.
(b) 제조의 용이화
다른 하나는, 프레임 바디(132)에 대한 부착이 용이하여, 방사 패널(131)의 제조의 용이화를 꾀할 수 있다는 작용효과이다.
(c) 불이익의 해소
한편, 공조 공기가 그 유로(151)로부터 실내(R)에 이르는 동안에 2매의 천 커버(141)를 지나게 되기 때문에, 실내(R) 측의 천 커버(141)를 향하는 공조 공기에 대하여 유로(151) 측의 천 커버(141)는 저항이 된다. 이때 저항이 너무 크면, 천 커버(141)의 실내(R)에 면(面)하는 영역에 건조한 공조 공기의 층을 생성하는 동작에 지장이 생기게 된다.
이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천 커버(141)의 공조 공기의 유로(151)에 면하는 면에 개구부(O)를 형성하고, 이 개구부(O)에 메쉬 천을 설치한다. 
보다 자세하게는, 실내(R) 측에 노출되는 표면 측의 섬유소재(표면섬유(141A))와 배면 패널(112)에 대면하는 이면 측의 섬유소재(이면섬유(141B))의 봉합 구조를 채용하여, 천 커버(141)를 주머니 형상으로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이면섬유(141B)는 천 커버(141)로서의 형체를 이루는 것이어야 할 필요가 없게 되어, 다양한 소재나 형태의 것을 자유롭게 채용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면섬유(141B)에 메쉬 형상의 소재를 이용함으로써, 유로(151)로부터 실내(R) 측의 천 커버(141)로 향하는 공조 공기에 대하여 이면섬유(141B)가 주게 되는 저항의 저감을 도모하고 있다.
게다가 표면섬유(141A)와 이면섬유(141B)의 봉합 부분(SP)은, 측벽(113)과 위치가 맞춰져 있다. 이에 따라 방사 패널(131)을 아래에서 보았을 때, 표면섬유(141A)를 통해 봉합 부분(SP)이 비쳐 보이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0083] (7) 방사 패널의 탈부착 작업의 용이화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방사 패널(131)의 탈부착시에, 비스듬히 기운 상태로 방사 패널(131)을 임시 고정할 수 있다. 그 후 방사 패널(131)을 수평으로 하여, 그대로 이동함으로써 방사 패널(131)을 본 고정할 수가 있다.
이 때문에 방사 패널(131)의 탈부착 작업의 용이화를 도모할 수가 있다.
이때 본 실시형태에서는, 방사 패널(131)이 제1 패널(131A)과 제2 패널(131B)로 나뉘어져 있으며, 방사 패널(131)의 임시 고정 및 본 고정시에는, 방사 패널(131)보다 컴팩트한 제1 패널(131A)에만 신경을 쓰면 된다. 따라서 방사 패널(131)의 탈부착 작업을 한층 용이하게 할 수가 있다.
[0084] (8) 시트의 재료 선정의 자유도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공조기(51)의 취출구(55)에서 취출된 공조공기는 배출구(115)로부터 실내(R)로 도출된다. 즉 천 커버(141)를 통과하여 실내(R)로 의도적으로 공조 공기를 도출시킬 필요가 없다.
이 때문에 천 커버(141)에는, 공조 공기를 통과시키기 위한 특성이 요구되지 않는다.
천 커버(141)에 요구되는 것은, 기본적으로는, 공조 공기의 유로(151)를 빠져나오는 공기를 실내(R) 측으로 누출시키며, 표면섬유(141A)의 겉 쪽에서 건조한 공기의 층을 생성시키는 정도의 통기성뿐이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시트의 재료 선택의 폭을 넓힐 수가 있다.
[0085] (9) 시트 변형의 억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취출구(55)에서 취출된 공조 공기가 유로(151)를 흐르는 방향을 따라 방사 패널(131)의 천 커버(141)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유로(151)를 흐르는 공기는 배출구(115)로부터 배출되기 때문에, 유로(151) 내의 내부압력이 높아지는 일도 없다.
이 때문에 방사 공조 장치(11)의 작동시에, 방사 패널(131)의 천 커버(141)를 휘게 하는 등의 공기의 흐름이나 압력의 상승이 발생하지 않아, 천 커버(141)에 생기는 변형을 최대한 억제할 수가 있다.
[0086] (10) 열효율
패널 기체(111)는 단열성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 배면 패널(112) 및 측벽(113)에 단열부를 설치한 것과 등가(等價)의 상태로 되어 있다.
이로써 유로(151)를 흐르는 공조 공기의 열을 패널 기체(111)에 빼앗기지 않아, 효율적으로 천 커버(141)를 가열 또는 냉각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열효율이 뛰어난 방사 공조 장치(11)를 얻을 수가 있다.
게다가 패널 기체(111) 그 자체가 단열재료에 의해 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단열재를 별도로 준비하여 그것을 패널 기체(111)에 부착하는 등의 번잡함이 없어, 패널 기체(111)의 부품 비용 및 제조 비용의 저감과 제조의 용이화를 도모할 수가 있다.
[0087] (11) 외관상의 특장점
(a) 미관
공조기(51)는 실내(R)의 일면(천장면(C))에 형성된 오목부(C1)에 수납되며, 패널 기체(111)는 실내(R)의 일면에 접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실내(R) 안에서, 방사 공조 장치(11)를 얇고 소형으로 보이도록 할 수가 있다.
게다가 방사 패널(131)은 공조기(51)도 덮고 있고, 주머니 형상의 천 커버(141)의 개구되는 한 변은 척(143)에 의해 닫히므로, 외관상 방사 공조 장치(11)는, 천장면(C) 근처에 배치된 한 장의 방사 패널(131)뿐인 형태로 보인다. 이때 방사 패널(131)은, 섬유소재인 천 커버(141)만 노출된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사람의 감각이나 감성에 익숙한 아름다운 외관을 띈다.
따라서 실내(R)에 설치했을 때에 방해가 되거나 번잡해지거나 하지 않는 세련된 외관 양태의 방사 공조 장치(11)를 얻을 수가 있다.
(b) 효용과 미(美) 
방사 공조 장치(11)가 그 외관상, 천장면(C) 근처에 배치된 한 장의 방사 패널(131)뿐인 형태로 보이는 이유를 더 깊이 생각해 보면, 다음의 세 가지 요인에 따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프레임 바디(132)를 천 커버(141)가 덮는 구조상, 방사 패널(131)은 중공이다.
·방사 패널(131)의 수평 투영 면적은 배면 패널(112)의 폭보다 크다.
·방사 패널(131)의 수평 투영 면적은 공조기(51)와 배면 패널(112)을 합한 면적보다 크다.
이와 같은 방사 패널(131)의 구조 및 각 부의 수평 투영 면적의 대소(大小) 관계는, 앞에서 기술한 열 방사 면적의 확대라는 '효용'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즉 방사 패널(131)이 배면 패널(112)보다 폭이 넓다는 수평 투영 면적의 대소 관계는, 방사면(RS)의 열 방사 면적을 폭방향으로 확대하는 데에 기여한다. 방사 패널(131)이 공조기(51)를 덮고 있다는 수평 투영 면적의 대소 관계는, 방사면(RS)의 열 방사 면적을 공조기(51)와 겹치는 영역에까지 확대하는 데에 기여한다. 그리고 이러한 방사면(RS)의 열 방사 면적의 확대는, 원래 중공이라는 방사 패널(131)의 구조에 의존하고 있다.
이상의 관찰을 통해 방사 공조 장치(11)의 외관상의 미관은, '효용'과 결부된 '미(美)'임을 알 수가 있다.
[0088] 4. 변형예
실시에 있어서는 각종 변형이나 변경이 가능하다.
[0089] (1) 방사 공조 장치의 설치 장소
예컨대 본 실시형태에서는 천장면(C)에 설치하는 방사 공조 장치(11)를 나타내었으나, 실시할 때에는 실내(R)의 다른 일면, 예컨대 벽면(W)(도 1 참조)에 설치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 경우, 벽면(W)에 오목부를 형성해 놓고, 이 오목부에 공조기(51)를 수납하도록 하면, 본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벽면(W)에 방사 패널(131)만 설치되어 있는 것처럼 보이는 평평한 형태의 방사 공조 장치(11)를 실현할 수가 있다.
[0090] (2) 방사 공조 장치의 설치 상태
또한 천장면(C)을 굽힌 천장(coved ceiling)으로 하여, 오목부(C1)에 공조기(51)를 수납하는 일례를 나타내었으나, 이것은 반드시 필수는 아니며, 평탄한 천장면(C) 또는 벽면(W)에 공조기(51)를 설치하도록 해도 된다. 이때 천장면(C) 또는 벽면(W)으로부터 공조기(51)의 취출구(55)가 반대방향으로 이격(離隔)하기 쉬워지지만, 천장면(C) 또는 벽면(W)으로부터 띄워 방사 패널 유닛(101)을 설치함으로써, 그 유로(151)의 입구가 되는 도입구(114)를 취출구(55)에 대면시킬 수가 있다.
공조기(51)를 천장면(C)에 부착하는 수단으로서는, 상기 예시한 행거 볼트로 한정하지 않고 각종 수단을 채용할 수가 있다. 예컨대 나사 등에 의한 체결 구조, 면 테이프를 이용한 체결 구조, 압입(壓入) 끼움 결합 구조 등 각종 변형이 허용된다.
[0091] (3) 공조기와 배면 패널의 배치
본 실시형태에서는, 공조기(51)의 취출구(55)와 패널 기체(111)의 배면 패널(112)을 사이를 두고 이웃하여 배치한다. 실시할 때에 배면 패널(112)은, 공조기(51)의 취출구(55)에 대해 이웃하여 천장면(C)에 부착되어 있으면 된다.
이때 중요한 것은, 취출구(55)에 대하여 패널 기체(111)의 도입구(114)가 이어져 있다는 것(連絡)이다.
여기서 말하는 '이어져 있다는 것(連絡)'은, 취출구(55)로부터 취출되는 공조 공기가 도입구(114)로 안내되는 것이며, 이러한 한에서 취출구(55)와 도입구(114)는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어도 되고, 접하여 배치되어 있거나, 혹은 서로 겹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즉 공조기(51)와 배면 패널(112)은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어도 되고, 접하여 배치되어 있거나, 혹은 서로 겹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0092] (4) 방사 패널의 구조
방사 패널(131)은, 반드시 프레임 바디(132)를 천 커버(141)로 덮은 구조인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프레임 바디(132)에 일본의 전통지(和紙)를 붙인 것이나, 통기성이 있는 보드에 의해 조립된 것 등이어도 된다. 일면에 통기성을 갖는 방사면(RS), 그 반대측의 면에 개구부(O)가 형성된 중공의 것이라면, 각종 재질이나 구조의 방사 패널(131)이 허용된다.
본 실시형태의 방사 패널(131)과 같이 프레임 바디(132)를 천 커버(141)로 덮는 구조를 채용할 경우, 프레임 바디(132) 및 천 커버(141)의 각각의 구조, 형상, 재질 등에 대해 각종 변형이나 변경이 허용된다. 예컨대 프레임 바디(132)를 구성하는 봉 형상 부재(133)의 개수와 배치 위치는, 본 실시형태에서 소개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개수와 배치로 할 수가 있다.
[0093] (5) 방사 패널의 고정 구조
(a) 슬라이더의 부착 위치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프레임 바디(135)에 슬라이더(137)를 부착한 구성예를 예시하였다. 실시할 때에는 이러한 구성으로 한정하지 않고, 슬라이더(137)는 제1 프레임 바디(134)와 제2 프레임 바디(135)의 연결 영역에 설치되어 있으면 된다. 예컨대 제1 프레임 바디(134)에 슬라이더(137)를 부착할 수도 있다. 혹은 제1 프레임 바디(134)와 제2 프레임 바디(135)를 연결하는 부재로서 힌지(136)를 이용하였으나, 이러한 연결부재로서 보다 대형의 것을 이용하고, 이러한 대형의 연결부재에 슬라이더(137)를 부착하도록 해도 된다.
(b) 다른 고정 구조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한 쌍의 슬라이더(137), 한 쌍의 연결 핀(138) 및 한 쌍의 흡착판(139)을 이용하여, 공조기(51)와 패널 기체(111)에 방사 패널(131)을 고정하도록 하였으나, 방사 패널(131)의 고정에 대해서는 다양한 구조를 채택할 수 있다.
예컨대 방사 패널(131)의 중량에 따라서도 다르지만, 자석만으로 이루어지는 고정구조를 채택해도 된다.
(c) 제1 패널
제1 패널(131A)을 고정하는 구조도 자석(MG)으로 한정하지 않고, 예컨대 나사나 볼트에 의한 체결 구조, 면 테이프를 이용한 체결 구조, 압입 끼움 결합 구조 등, 각종 변형이 허용된다.
[0094] (6) 방사 패널의 형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방사 패널(131)로서 평판 형상인 것을 예시하였으나, 실시할 때에는 각종 형태의 것이 허용된다.
예컨대 도 31의 (a)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방사 패널(131)은 정면에서 볼 때 양 측방이 아래로 처진 것과 같은 아치형의 형상이어도 된다. 이때 방사 패널(131)의 평면 형상은 도 31의 (b)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은 직사각형 형상이어도 되고, 도 31의 (c)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은 타원 형상이어도 되며, 각종 형상이 허용된다.
또 방사 패널(131)은, 천장면(C)에 밀착 접촉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도 3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천장면(C)으로부터 매달려 있어도 된다.
[0095] (7) 측벽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한 쌍의 측벽(113)은 배면 패널(112)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기립하는 형태를 예시하였다. 이에 대하여 실시할 때에는, 측벽(113)은 반드시 측부 가장자리로부터 기립하는 것은 아니며, 중심 측으로 치우친 위치에서 기립하는 형태여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한 쌍의 측벽(113)으로서 실현되어 있는 벽부는, 배면 패널(112)로부터 도입구(114)와 배출구(115)를 남기고 울타리 형상으로 기립되어 있다면 모든 형태의 것이 허용된다.
나아가 한 쌍의 측벽(113)은, 배면 패널(112)과 방사 패널(131)의 사이에 존재하기만 한다면, 배면 패널(112)과 일체로 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0096] (8) 배출구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도입구(114)와 대면하는 영역에 배출구(115)를 형성한 일례를 나타내었으나, 실시할 때에는 각종 변형이나 변경이 허용된다. 예컨대 측벽(113)의 일부에 배출구(115)를 형성해도 되며, 이 경우 배출구(115)는 여러 곳에 분산되어 있어도 된다.
[0097] (9) 시트의 척 위치의 베리에이션
천 커버(141)의 척(143)의 위치는, 상기 실시형태와 같은 예컨대 도 33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은 위치뿐만 아니라, 도 33의 (b)와 같이 한 변에 치우친 위치, 도 33의 (c)와 같이 세 변을 둘러싸는 위치, 혹은 도 33의 (d)과 같은 V자 형상 등, 각종의 실시형태가 허용된다.
[0098] (10) 방사 공조 장치의 다른 구성예
도 34는 방사 공조 장치(11)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3에 나타내는 실시형태 및 그 변형예에서는, 패널 기체(111)에 측벽(113)을 설치하고, 이에 따라 배면 패널(112)과 방사 패널(131)의 사이에 유로(151)를 위한 공간을 확보하였다. 이에 대하여 도 34에 나타내는 방사 공조 장치(11)의 방사 패널 유닛(101)은, 방사 패널(131)에 의해 유로(151)를 위한 공간을 확보한다.
따라서 방사 패널(131)은, 평면 형상이 아닌, 입체 형상의 프레임 바디(132)를 설치함으로써, 배면 패널(112)과의 사이의 유로(151)를 위한 공간을 만들도록 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프레임 바디(132)는 정면 및 배면 측에서 볼 때 곡면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으며, 양단 부분이 배면 패널(112)에 연결 고정된다. 이러한 프레임 바디(132)에 대하여, 천 커버(141)는, 실내(R) 쪽으로부터 덮도록 부착되어 있다. 프레임 바디(132)에 대한 천 커버(141)의 고정은, 예컨대 천 커버(141)의 양측 부분을 프레임 바디(132)의 양측 부분에 걸어 고정시키는 등의 수법이 채용된다. 천 커버(141)는 팽팽해진 상태로 프레임 바디(132)에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상, 패널 기체(111)는 측벽(113)을 갖지 않으며, 배면 패널(112)을 주체(主體)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방사 패널 유닛(101)은, 배면 측에 도입구(114)를 형성하고, 정면 측에 배출구(115)를 형성하며, 패널 기체(111)의 배면 패널(112)과 방사 패널(131)의 사이에, 도입구(114)로부터 배출구(115)에 이르는 공조 공기의 유로(151)를 형성한다.
따라서 도 1 내지 도 33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와 공통되는 작용 효과를 나타낸다.
[0099] (11) 기타
그 밖에, 모든 변형이나 변경이 가능하다.
11: 방사 공조 장치
51: 공조기
51a: 하우징
52: 공기 취입구
53: 열교환기
53a: 알루미늄 판
53b: 냉매관
53c: 슬릿
54: 크로스 플로우 팬
55: 취출구
56: 필터
57: 레일
57a: 단부(段部)
57b: 규제편
61: 후드(공동(空洞) 부재)
62: 칸막이 판
63: 경사면
64: 경사내면
71: 자석 홀더
81: 기내 유로
82: 기류 조정부
83: 기류 조정판(공동 부재)
101: 방사 패널 유닛
111: 패널 기체
112: 배면 패널
113: 측벽(벽부)
114: 도입구
115: 배출구
116: 대면 영역
117: 스토퍼
119: 스토퍼 금구(연결구)
119a: 연결 홈
131: 방사 패널
131A: 제1 패널
131B: 제2 패널
132: 프레임 바디
133: 봉 형상 부재
133a: 외측 프레임 부재 (밀착 접촉 부재)
133b: 보강 부재
134: 제1 프레임 바디
135: 제2 프레임 바디
136: 힌지
137: 슬라이더
137a: 판금
137b: 핀
138: 연결 핀(피(被)연결구)
139: 흡착판(피흡착부재)
139a: 흡착면
141: 천 커버(천)
141A: 표면섬유
141B: 이면섬유(메쉬 천)
142: 개방 테두리(開方緣)
143: 척
151: 유로
A: 회전축
C: 천장면
C1: 오목부(천장)
CN: 연결부
CR: 제어부
DR: 구동부
E: 엣지
M: 모터
MG: 자석(패널 유지부)
O: 개구부
R: 실내
RM: 밀착 접촉 부재
RS: 방사면
SP: 봉합 부분
W: 벽면

Claims (15)

  1. 수평면이 교차되는 일면(一面)과 반대 측의 일면에 각각 공기 취입구(取入口)와 취출구(吹出口)가 배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공기 취입구와 상기 취출구의 사이에 배치된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보다 상기 취출구 측에 배치된 크로스 플로우 팬(cross-flow fan)과,
    회전축보다 상방인 영역의 회전방향이 상기 열교환기로부터 상기 취출구를 향한 방향이 되도록 상기 크로스 플로우 팬의 구동원을 구동하는 구동부
    를 구비하는 공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비스듬한 하방으로부터 상기 크로스 플로우 팬으로 향하는 기류를 상기 공기 취입구 측에 발생시키고, 상기 크로스 플로우 팬으로부터 비스듬한 하방으로 향하는 기류를 상기 취출구 측에 발생시키는 기류 조정부를 구비하는,
    공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취입구와 상기 열교환기와 상기 크로스 플로우 팬과 상기 취출구는, 일직선 상에 설치되어 있는,
    공조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크로스 플로우 팬 측의 면이 하방을 향해 경사져 있고,
    상기 기류 조정부는, 상기 열교환기의 면에 직교하여 하방으로 향하는 기류를 상기 하우징 내의 바닥면을 따르게 하며, 비스듬한 하방으로부터 상기 크로스 플로우 팬을 향하게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 조정부는, 상기 크로스 플로우 팬과 상기 취출구의 사이를, 상기 크로스 플로우 팬으로부터 상기 취출구를 향해 하방으로 경사지는 공간을 형성하는 공동(空洞) 부재에 의해 연결하고 있는,
    공조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취입구와 상기 열교환기와 상기 크로스 플로우 팬과 상기 취출구는, 일직선 상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크로스 플로우 팬 측의 면이 하방을 향해 경사져 있으며,
    상기 기류 조정부는, 상기 열교환기의 면에 직교하여 하방으로 향하는 기류를 상기 하우징 내의 바닥면을 따르게 하며, 비스듬한 하방으로부터 상기 크로스 플로우 팬을 향하게 하며, 상기 크로스 플로우 팬과 상기 취출구의 사이를, 상기 크로스 플로우 팬으로부터 상기 취출구를 향해 하방으로 경사지는 공간에 의해 연결하고 있는,
    공조기.
  7. 천장면에 설치되는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공조기와, 
    상기 공조기의 취출구에 대하여, 이웃하여 천장면에 부착되는 배면 패널과,
    상기 공조기와 상기 배면 패널을 합한 면적보다 큰 수평 투영 면적을 갖는 통기성이 있는 방사(放射) 패널과,
    상기 취출구로부터 공조(空調) 공기가 취출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배면 패널과 상기 방사 패널의 사이에 존재하는 한 쌍의 측벽
    을 구비하는 방사 공조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 패널은, 통기성이 있는 방사면을 일면에 가지고, 상기 배면 패널 측에 배치되는 개구부를 상기 방사면과 반대 측의 면에 갖는 중공(中空) 구조를 가지며,
    상기 한 쌍의 측벽은, 상기 개구부를 비어져 나오지 않게 사이에 두고 대향되어 있는,
    방사 공조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 패널은, 프레임 바디에 주머니 형상의 천을 덮은 상태로 설치되어 있는,
    방사 공조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천은 상기 개구부에 메쉬(mesh) 천을 가지고 있는,
    방사 공조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바디는, 상기 공조기 측에 배치되는 제1 프레임 바디와 상기 배면 패널 측에 배치되는 제2 프레임 바디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방사 공조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레임 바디는, 상기 제1 프레임 바디에 연결되는 외측 프레임 부재가, 상기 천을 사이에 두고 상기 공조기의 하우징에 밀착 접촉하는 밀착 접촉 부재로 되어 있는, 
    방사 공조 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바디는, 상기 천을 사이에 두고 상기 공조기의 하우징에 밀착 접촉하는 봉 형상의 밀착 접촉 부재를 구비하는, 
    방사 공조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바디는, 상기 밀착 접촉 부재보다 상기 배면 패널과 반대 측의 위치에서 회전 가능한,
    방사 공조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 접촉 부재는, 상기 공조기에 내장되는 열교환기의 연직방향 수직 하방(直下)에 배치되는,
    방사 공조 장치.
KR1020217034792A 2019-05-08 2019-12-23 공조기 및 이것을 이용한 방사 공조 장치 KR2022000605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088532 2019-05-08
JP2019088532A JP7335723B2 (ja) 2019-05-08 2019-05-08 放射空調装置
PCT/JP2019/050383 WO2020225941A1 (ja) 2019-05-08 2019-12-23 空調機及びこれを用いた放射空調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6050A true KR20220006050A (ko) 2022-01-14

Family

ID=73044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4792A KR20220006050A (ko) 2019-05-08 2019-12-23 공조기 및 이것을 이용한 방사 공조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JP (1) JP7335723B2 (ko)
KR (1) KR20220006050A (ko)
CN (1) CN113661365B (ko)
AU (1) AU2019444144A1 (ko)
SG (1) SG11202110160QA (ko)
TW (1) TWI825253B (ko)
WO (1) WO2020225941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217630A (ja) 2015-05-21 2016-12-22 株式会社フジタ 放射空調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290570C (en) * 1987-10-30 1991-10-15 Toru Ichikawa Automobile air conditioner
JP3214446B2 (ja) * 1988-06-17 2001-10-0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車輌用空気調和装置
JP4367093B2 (ja) 2003-11-06 2009-11-1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輻射パネル構造体および空気調和機
JP3844003B2 (ja) 2005-04-21 2006-11-0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および空気調和機の設置方法
JP2008275231A (ja) * 2007-04-27 2008-11-13 Daikin Ind Ltd 空気調和装置
TWM331643U (en) * 2007-10-26 2008-05-01 Keen Li Nay Electrical Co Ltd The indoor ceiling hidden air conditioning unit with side air intake
AU2010201383B9 (en) * 2009-04-13 2011-06-02 Kimura Kohki Co., Ltd. Heating and cooling unit, and heating and cooling apparatus
JP5107446B2 (ja) * 2011-03-11 2012-12-26 シャープ株式会社 空気調和機
CN205641167U (zh) * 2016-02-26 2016-10-12 汪洋 一种低温辐射板分体式空调器
CN108061372A (zh) * 2017-12-06 2018-05-22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辐射换热器、空调室内机及空调器
CN108758818B (zh) * 2018-07-03 2023-07-11 南华大学 利用气膜换热的固壁辐射对流空调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217630A (ja) 2015-05-21 2016-12-22 株式会社フジタ 放射空調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G11202110160QA (en) 2021-10-28
AU2019444144A1 (en) 2021-10-28
TWI825253B (zh) 2023-12-11
WO2020225941A1 (ja) 2020-11-12
JP2020183837A (ja) 2020-11-12
TW202041814A (zh) 2020-11-16
JP7335723B2 (ja) 2023-08-30
CN113661365B (zh) 2023-07-25
CN113661365A (zh) 2021-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45305B2 (ja) 空気調和機
JPH11118176A (ja) 空気調和機
CN104697053B (zh) 空调器室内机和挡风板
KR20180127223A (ko) 공기조화기
KR101840697B1 (ko) 공기조화기
JP2007132578A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20240020721A (ko) 공기조화기
KR20200119576A (ko) 공기조화기
JP2004361011A (ja) 空気調和機
KR20220006050A (ko) 공조기 및 이것을 이용한 방사 공조 장치
JP2017227398A (ja) 空気調和機
JP6182881B2 (ja) 空気調和機
KR101345961B1 (ko) 실내공기 흡입형 차량용 통풍시트
JP7316080B2 (ja) 放射パネルユニット及び放射空調装置
JP7319810B2 (ja) 放射空調装置、放射パネルの取り付け方法及び取り外し方法
JP6543385B1 (ja) 放射パネルユニット及び放射空調システム
JP6543386B1 (ja) 放射パネル
JP2009136562A (ja) 空調装置付きベッド
KR20060098293A (ko) 환기시스템
JP3218458B2 (ja) 空気調和機
JPH07229635A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2023095403A (ja) 空調機及びこれを用いた放射空調装置
JPH062876A (ja) 空調機
JPH0419377Y2 (ko)
JPH07229647A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