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5395A - 축전 장치 - Google Patents

축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5395A
KR20220005395A KR1020210084451A KR20210084451A KR20220005395A KR 20220005395 A KR20220005395 A KR 20220005395A KR 1020210084451 A KR1020210084451 A KR 1020210084451A KR 20210084451 A KR20210084451 A KR 20210084451A KR 20220005395 A KR20220005395 A KR 202200053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torage
contact piece
contact
storage modul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4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세이야 이시쿠라
Original Assignee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005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53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3Cooling or keeping co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4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ells
    • H01M10/647Prismatic or flat cells, e.g. pouch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6Solid parts with flow channel passages or pipes for heat exchan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6Solid parts with flow channel passages or pipes for heat exchange
    • H01M10/6557Solid parts with flow channel passages or pipes for heat exchange arranged between the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6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xchange fluid
    • H01M10/6561Gases
    • H01M10/6563Gases with forced flow, e.g. by blow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18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2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casings or racks
    • H01M50/227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33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 H01M50/2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adapted for protecting batteries from their environment, e.g. from corro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33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 H01M50/24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adapted for protecting batteries against vibrations, collision impact or swel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58Modular batteries; Casings provided with means for assemb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8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spacing elements or positioning means within frames, racks or packs
    • H01M50/291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spacing elements or positioning means within frames, racks or pack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8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spacing elements or positioning means within frames, racks or packs
    • H01M50/293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spacing elements or positioning means within frames, racks or pack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축전 장치는, 수용 케이스(2)와, 수용 케이스(2) 내에 배치된 복수의 축전 셀(20)을 포함하는 축전 모듈(3A, 3B)과, 복수의 축전 셀(20)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수지 프레임(21)를 구비하고, 각각의 수지 프레임(21)에는, 수용 케이스(2)의 내주면과 접촉함과 함께 탄성 변형하도록 형성된 접촉편(38, 39)이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축전 장치{POWER STORAGE DEVICE}
본 개시는, 축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각종 축전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17-050121호 공보에 기재된 축전 장치는, 수용 케이스와, 수용 케이스 내에 배치된 복수의 축전 셀과, 각 축전 셀 사이에 배치된 수지 프레임을 구비한다.
수지 프레임은, 축전 셀 사이에 배치되는 프레임 본체와, 프레임 본체의 하부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를 포함한다. 축전 셀의 배열 방향에 있어서, 각 제1 연결부끼리가 연결되어 있고, 마찬가지로, 제2 연결부끼리가 연결되어 있다.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는, 축전 셀의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수용 케이스의 저면에는 제1 연결부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제1 시일 부재와, 제2 연결부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제2 시일 부재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 사이에 냉각풍 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냉각 통로 내를 냉각풍이 흐름으로써, 각 축전 셀이 냉각된다.
상기 축전 장치에 있어서, 축전 장치에 상하 방향의 진동이 생기면, 연결부를 통하여, 각 축전 셀로 진동이 전파된다. 축전 셀 내에는 전극체가 수용되어 있으며, 축전 셀에 가해진 진동에 의해 전극체가 손상되고, 축전 셀이 열화될 우려가 있다.
본 개시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축전 장치에 가해진 진동이 축전 셀로 전파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축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에 관한 축전 장치는, 수용 케이스와, 수용 케이스 내에 배치된 복수의 축전 셀을 포함하는 축전 모듈과, 복수의 축전 셀간에 배치된 복수의 수지 프레임을 구비하고, 각각의 수지 프레임에는, 수용 케이스의 내주면과 접촉함과 함께 탄성 변형하도록 형성된 접촉편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축전 장치에 의하면, 축전 장치가 진동하였을 때, 접촉편이 탄성 변형함으로써, 축전 셀로 전달되는 진동 에너지를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수용 케이스의 저면에는 상방을 향하여 개구되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축전 모듈은, 오목부의 개구부를 폐색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축전 모듈이 오목부의 개구부를 폐색함으로써, 냉각풍이 유통하는 냉각 통로가 형성되어 있고, 접촉편은, 내주면 중 개구부의 개구 에지부와 인접하는 부분과 접촉하도록 형성되었다.
상기 축전 장치에 의하면, 접촉편은 축전 셀에 의해 수용 케이스의 내표면에 압박된다. 이에 의해, 수용 케이스의 내표면과, 접촉편의 접촉압이 커지고, 접촉편에 의한 시일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축전 셀은, 배열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마련되어 있고, 배열 방향에 있어서, 축전 모듈의 양단은 수용 케이스에 고정되어 있고, 배열 방향의 중앙에 위치하는 수지 프레임에 형성된 접촉편의 탄성 계수는, 배열 방향의 일단측에 위치하는 수지 프레임에 형성된 접촉편의 탄성 계수보다도 높다.
배열되는 축전 셀에 있어서, 배열 방향의 중앙이 진폭이 커지는 진동 형태에 있어서, 중앙에 있어서의 접촉편이 변형하기 어렵기 때문에, 중앙측에 있어서의 진폭이 커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수지 프레임은, 축전 셀의 하면에 배치되는 저판과, 저판에 형성된 연결부를 포함하고, 인접하는 수지 프레임의 연결부끼리가 연결되어 있고, 접촉편은, 저판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고, 접촉편은 연결부보다도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연결부는, 수용 케이스의 내주면으로부터 떨어져 있다.
상기 축전 장치에 의하면, 각 연결부를 접속함으로써, 수지 프레임끼리가 연결된다. 이에 의해, 각 수지 프레임에 형성된 접촉편간에 간극이 형성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시일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상기 및 다른 목적, 특징, 국면 및 이점은, 첨부의 도면과 관련하여 이해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축전 장치(1)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축전 장치(1)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3은 축전 장치(1)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축전 셀(20) 및 수지 프레임(21)을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5는 수지 프레임(21)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6은 접촉편(38) 및 그의 주위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접촉편(38)의 제1 변형예인 접촉편(58A) 및 그의 주위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하는 구성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9는 접촉편(38)의 제2 변형예인 접촉편(58B) 및 그의 주위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수지 프레임(21)의 변형예인 수지 프레임(66)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1은 축전 셀(20) 및 수지 프레임(66)을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1을 사용하여,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축전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하는 구성 중 동일하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축전 장치(1)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축전 장치(1)는, 수용 케이스(2)와, 축전 모듈(3A, 3B)과, 송풍기(4)와, 전지 ECU(5)와, 정션 박스(6)와, 브래킷(7)과, 회로 기판(8)을 구비한다.
수용 케이스(2)는, 케이스 본체(10)와, 천장판(11)을 포함한다. 케이스 본체(10)는,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 본체(10)는, 저판(12)과, 둘레벽(13)을 포함한다. 둘레벽(13)은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저판(12)의 외주연부로부터 상방으로 상승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둘레벽(13)은, 단부벽(14, 15)과, 측벽(16, 17)을 포함한다. 단부벽(14)은 길이 방향 D1의 일단에 위치하고 있고, 단부벽(15)은 길이 방향 D1의 타단에 위치하고 있다. 측벽(16)은 폭 방향 W의 일단에 위치하고 있고, 측벽(17)은 폭 방향 W의 타단에 위치하고 있다.
송풍기(4)는 단부벽(15)의 외측에 마련되어 있다. 단부벽(15)에는 도시하지 않은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개구부를 통하여 송풍기(4)로부터 수용 케이스(2) 내에 냉각풍이 공급되어 있다.
브래킷(7)은, 단부벽(14)의 외측면측에 고정되어 있고, 브래킷(7)은 단부벽(14)의 외측면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전지 ECU(5) 및 정션 박스(6)는, 브래킷(7)의 상면에 마련되어 있다.
회로 기판(8)은, 축전 모듈(3A, 3B)의 상면측에 배치되어 있다. 회로 기판(8)에는, 축전 모듈(3A, 3B)에 마련된 온도 센서 등이 접속되어 있다.
도 2는, 축전 장치(1)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며, 도 3은, 축전 장치(1)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2에 있어서는, 브래킷(7)과, 전지 ECU(5)와, 정션 박스(6)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도 3을 참조하여, 수용 케이스(2)의 저판(12)에는, 오목부(40) 및 오목부(41)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40) 및 오목부(41)는, 길이 방향 D1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40)에는 상방을 향하여 개구되는 개구부(48)가 형성되어 있고, 오목부(41)에는 상방을 향하여 개구되는 개구부(49)가 형성되어 있다. 저판(12) 중, 오목부(40) 및 오목부(41)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볼록부(43)가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43)의 상면에는 칸막이판(42)이 형성되어 있다. 칸막이판(42)은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형성됨과 함께, 길이 방향 D1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측벽(16)과, 개구부(48)의 개구 에지부는, 서로 폭 방향 W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고, 측벽(16)과, 개구부(48)의 개구 에지부 사이에는, 평탄면인 적재면(44)이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칸막이판(42)과, 개구부(48)의 개구 에지부 사이에는 적재면(45)이 형성되어 있다.
칸막이판(42)과, 개구부(49)의 개구 에지부와의 사이에 적재면(46)이 형성되어 있고, 측벽(17)과, 개구부(49)의 개구 에지부와의 사이에도 적재면(47)이 형성되어 있다.
축전 모듈(3A)은, 개구부(48)를 폐색하도록 마련되어 있고, 축전 모듈(3A)은 적재면(44) 및 적재면(45)에 배치되어 있다. 축전 모듈(3B)은, 개구부(49)를 폐색하도록 마련되어 있고, 축전 모듈(3B)은, 적재면(46) 및 적재면(47)에 배치되어 있다.
축전 모듈(3A)이 개구부(48)를 폐색함으로써 냉각 통로(50)가 형성되어 있고, 축전 모듈(3B)이 개구부(49)를 폐색함으로써 냉각 통로(5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냉각 통로(50, 51)에는, 송풍기(4)로부터 공급되는 냉각풍이 흐르고 있다.
축전 모듈(3B)은, 축전 모듈(3A)과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주로 축전 모듈(3A)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에 있어서, 축전 모듈(3A)은, 길이 방향(배열 방향) D1로 배열되는 복수의 축전 셀(20)과, 복수의 수지 프레임(21)과, 엔드 플레이트(22, 23)를 포함한다.
길이 방향 D1에 있어서, 엔드 플레이트(22)는 축전 모듈(3A)의 일단에 마련되어 있고, 엔드 플레이트(23)는 축전 모듈(3A)의 타단에 마련되어 있다.
엔드 플레이트(22)는 단부벽(14)에 밀착되어 있고, 엔드 플레이트(23)는 단부벽(15)에 밀착되어 있다.
축전 모듈(3A)은 단부벽(14) 및 단부벽(15)에 의해 압박되어 있고, 축전 모듈(3A)은 단부벽(14) 및 단부벽(15) 사이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단부벽(14)과 엔드 플레이트(22)의 사이 또는 단부벽(15)과 엔드 플레이트(23)의 사이에 심 등의 스페이서를 삽입하여, 축전 모듈(3A)에 가해지는 구속력을 확보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축전 모듈(3A)의 양단은 고정되어 있는 한편, 축전 모듈(3A)의 단부간에 위치하는 부분은, 수용 케이스(2)에 고정되어 있지 않다. 즉, 축전 모듈(3A)은 수용 케이스(2)에 양단 고정되어 있다.
도 4는, 축전 셀(20) 및 수지 프레임(21)을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축전 셀(20)은, 케이스(24)와, 전극체(25)를 포함한다. 케이스(24)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전극체(25)는, 전해액과 함께 케이스(24) 내에 수용되어 있다. 케이스(24)는, 길이 방향 D1로 얇은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24)는, 상면과, 저면(31)과, 주면(32, 33)을 포함한다. 주면(32) 및 주면(33)은 길이 방향 D1로 배열되어 있다. 수지 프레임(21)은, 축전 셀(20)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도 5는, 수지 프레임(21)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수지 프레임(21)은, 주벽(34)과, 측벽(35, 36)과, 저벽(37)과, 접촉편(38, 39)을 포함한다.
주벽(34)은, 축전 셀(20)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주벽(34)에는 안내 리브(60)가 형성되어 있다. 측벽(35, 36)은 케이스(24)의 측면에 배치되어 있다. 측벽(35)에는 간극(61)이 형성되어 있고, 측벽(36)에도 간극(62)이 형성되어 있다. 저벽(37)은, 축전 셀(20)의 저면(31)에 배치되어 있다. 저벽(37)에는 간극(63)이 형성되어 있다.
접촉편(38, 39)은, 저벽(37)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접촉편(38) 및 접촉편(39)은 폭 방향 W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고, 간극(63)은 접촉편(38) 및 접촉편(39)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접촉편(39)은, 접촉편(38)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접촉편(38)에 대해 설명한다.
도 4에 있어서, 접촉편(38)은 길이 방향 D1로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길이 방향 D1로 인접하는 수지 프레임(21)에 있어서, 서로의 접촉편(38)이 근접해 있다.
도 6은, 접촉편(38) 및 그의 주위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접촉편(38)은, 저벽(37)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을 향함에 따라, 오목부(40)의 개구부(48)에 접근하도록 경사져 있다. 접촉편(38)의 하단부는 적재면(44)에 접촉하고 있다. 접촉편(38)에는, 수지 프레임(21) 및 축전 셀(20)의 하중이 가해지고 있어, 탄성 변형되고 있다. 이 때문에, 접촉편(38)의 하단부는 적재면(44)에 밀착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접촉편(38)의 판 두께는 저벽(37)의 판 두께의 절반보다도 두껍고, 접촉편(38)의 판 두께는 저벽(37)의 판 두께의 배보다도 작다.
접촉편(38)이 적재면(44)에 접촉한 상태에 있어서, 적재면(44)과, 저벽(37)의 하면과의 사이의 거리는, 측벽(16) 및 측벽(35)의 사이의 거리보다도 크다.
도 2에 있어서, 축전 장치(1)는, 길이 방향 D1의 일단측에 마련된 수지 프레임(21A)과, 길이 방향 D1의 타단측에 마련된 수지 프레임(21B)과, 길이 방향 D1의 중앙에 마련된 수지 프레임(21C)을 포함한다.
수지 프레임(21A)은, 접촉편(38A, 39A)을 포함하고, 수지 프레임(21B)은, 접촉편(38B, 39B)을 포함한다. 수지 프레임(21C)은, 접촉편(38C, 39C)을 포함한다.
접촉편(38C)의 탄성 계수는, 접촉편(38A, 38B)의 탄성 계수보다도 높다. 즉, 접촉편(38C)은 접촉편(38A, 38B)보다도 변형되기 어렵게 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접촉편(38C)의 판 두께를 접촉편(38A, 38B)의 판 두께보다도 두껍게 함으로써, 접촉편(38C)의 탄성 계수가 접촉편(38A, 38B)의 탄성 계수보다도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수지 프레임(21C)의 재질과, 수지 프레임(21A, 21B)의 재질을 다르게 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마찬가지로, 접촉편(39C)의 탄성 계수도, 접촉편(39A, 39B)의 탄성 계수보다도 높다.
길이 방향 D1로 배열되는 접촉편(38, 39)의 탄성 계수를, 길이 방향 D1에 있어서 축전 모듈(3A, 3B)의 중앙을 향함에 따라, 커지도록 형성해도 된다.
(냉각 작용의 설명)
상기와 같이 구성된 축전 장치(1)에 있어서, 축전 모듈(3A, 3B)을 냉각하는 경우에는 송풍기(4)가 구동된다. 송풍기(4)가 구동되면, 냉각 통로(50, 51) 내에 냉각풍이 흐른다.
도 4 및 도 5에 있어서, 냉각풍은 간극(63)으로부터, 축전 셀(20) 및 수지 프레임(21) 사이로 들어간다. 간극(63)으로부터 들어간 냉각풍은 안내 리브(60)에 의해, 간극(61) 및 간극(62)으로 안내된다. 이와 같이, 축전 셀(20) 및 수지 프레임(21)의 사이를 냉각풍이 흐르는 것으로 축전 셀(20)을 냉각할 수 있다.
도 5에 있어서, 접촉편(38)이 적재면(44)에 접촉함과 함께, 접촉편(39)이 적재면(45)에 접촉하고 있고, 냉각 통로(50) 내를 흐르는 냉각풍이 냉각 통로(50)로부터 누설되는 것이 억제되어 있다. 접촉편(38, 39)은 탄성 변형되어 있으며, 접촉편(38, 39)의 하단부는 적재면(44, 45)에 밀착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접촉편(38, 39)의 시일성이 높아지고 있다.
그리고,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접하는 접촉편(38)의 사이의 간극은 작기 때문에, 냉각풍이 접촉편(38)의 사이에서 누설되는 것이 억제되어 있다. 접촉편(39)도 접촉편(38)과 마찬가지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접촉편(39)에 의해서도 냉각풍의 누설이 억제되어 있다.
또한, 냉각 통로(51)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축전 모듈(3B)의 접촉편에 의해, 냉각 통로(51)로부터 냉각풍이 누설되는 것이 억제되어 있다.
(진동 억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축전 장치(1)는, 예를 들어 차량 등에 탑재되어 있고, 수용 케이스(2)는, 예를 들어 차량의 프론트 패널 등에 고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차량이 주행함으로써, 차량의 진동이 축전 장치(1)에 가해지는 경우가 있다.
축전 장치(1)가 진동함으로써, 축전 모듈(3A, 3B)이 수용 케이스(2)에 대해 진동한다.
도 3에 있어서, 축전 모듈(3A)이 상하 방향으로 진동하면, 접촉편(38)이 탄성 변형함으로써, 축전 모듈(3A)의 진동 에너지가 접촉편(38)을 변형하는 에너지로 소비된다. 이에 의해, 축전 모듈(3A)에 발생하는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축전 모듈(3A)의 진동이 억제됨으로써, 축전 셀(20)에 가해지는 진동도 억제된다. 축전 셀(20)의 진동이 억제됨으로써, 축전 셀(20)의 전극체(25)가 손상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축전 모듈(3B)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축전 모듈(3B)의 진동이 억제되고, 축전 모듈(3B)에 있어서도 전극체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접촉편(38)의 판 두께는 저벽(37)의 판 두께의 절반보다도 두껍고, 접촉편(38)의 판 두께는 저벽(37)의 판 두께의 배보다도 작다. 저벽(37)은 축전 셀(20)을 지지하기 위해,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접촉편(38)의 두께를 저벽(37)의 두께의 절반보다도 얇게 하면, 축전 모듈(3A)이 진동하면, 접촉편(38)이 균열될 우려가 있다. 또한, 접촉편(38)의 판 두께를 저벽(37)의 판 두께 배보다도 두껍게 하면, 접촉편(38)이 탄성 변형되기 어려워진다. 그 결과, 수용 케이스(2)로부터 축전 모듈(3A)에 진동이 전해지기 쉬워진다.
도 2에 있어서, 축전 모듈(3A)은 수용 케이스(2)에 양단 고정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 때문에, 길이 방향 D1에 있어서, 축전 모듈(3A)의 중앙에 있어서의 진폭이, 축전 모듈(3A)의 양단에 있어서 생기는 진폭보다도 커지기 쉽다.
한편, 접촉편(38C, 39C)의 탄성 계수는, 38A, 38B, 39A, 39B보다도 높다. 이 때문에, 축전 모듈(3A)의 중앙에 있어서, 진폭이 커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특히, 길이 방향 D1로 배열되는 복수의 접촉편(38, 39)의 탄성 계수는, 축전 모듈(3A)의 양단으로부터 중앙을 향함에 따라 높아진다.
이에 의해, 축전 모듈(3A)이 진동하였을 때, 축전 모듈(3A)의 전체 길이에 걸쳐, 진폭을 작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축전 모듈(3B)에 있어서도, 축전 모듈(3A)과 마찬가지로 진동이 억제되어 있다.
또한, 축전 모듈(3A, 3B)의 고유 진동수와, 축전 모듈(3A, 3B)에 가해지는 진동수에 의해, 축전 모듈(3A, 3B)의 진동 형태는 다르다. 그 때문에, 예를 들어 축전 모듈(3A)에 가해지는 진동수에 따라서는, 축전 모듈(3A, 3B)은, 진동 양태가, 진폭의 안티노드가 둘 생기는 양태(「노드」 「안티 노드」 「노드」 「안티 노드」 「노드」)가 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진동 양태에 대응하기 위해, 안티 노드가 되는 부분의 접촉편(38, 39)의 탄성 계수를, 노드가 되는 부분의 접촉편(38, 39)의 탄성 계수보다도 높게 하도록 해도 된다.
(변형예 1)
도 7은, 접촉편(38)의 제1 변형예인 접촉편(58A) 및 그의 주위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접촉편(58A)은, 저벽(37)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접촉편(58A)의 하단부는 적재면(44)에 접촉하고 있다.
접촉편(58A)은, 접촉편(58A)에 가해지는 하중이 커지면, 좌굴되도록 탄성 변형된다. 이와 같이, 접촉편(58A)에 있어서도, 접촉편(58A)이 탄성 변형됨으로써, 수용 케이스(2)로부터 축전 모듈(3)로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촉편(58A)이 삽입되는 삽입 홈(65)을 적재면(44)에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삽입 홈(65)은 길이 방향 D1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삽입 홈(65)에는, 접촉편(58A)의 하단부가 삽입되기 때문에, 냉각 통로(50A)를 통하는 냉각풍이 냉각 통로(50A)의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변형예 2)
도 9는, 접촉편(38)의 제2 변형예인 접촉편(58B) 및 그의 주위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접촉편(58B)은, 소위, 스프링 형상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판 형상 부재를 복수회, 되접어서 변형시킴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이 접촉편(58B)은, 하중을 받으면 상하 방향 및 가로 방향으로 탄성 변형된다. 그리고, 접촉편(58B)의 하단부는 적재면(44)에 접촉하고 있다.
예를 들어, 되접는 횟수나 절곡 각도 등을 조정함으로써, 접촉편(58B)의 탄성 계수를 조정할 수 있다.
(변형예 3)
도 10은, 수지 프레임(21)의 변형예인 수지 프레임(66)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며, 도 11은, 수지 프레임(66)의 일부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수지 프레임(66)은 저벽(37)에 연결부(70, 71)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연결부(70, 71) 이외에 있어서는, 수지 프레임(66)의 구성과 수지 프레임(21)의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연결부(70) 및 연결부(71)는 저벽(37)에 형성되어 있고, 연결부(70) 및 연결부(71)는 폭 방향 W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간극(63)은 연결부(70) 및 연결부(71)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연결부(71)는 연결부(7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주로, 연결부(7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에 있어서, 연결부(70)는, 본체(72) 및 돌출부(73)를 포함한다. 돌출부(73)는, 길이 방향 D1에 있어서, 본체(72)의 일단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길이 방향 D1에 있어서, 본체(72)의 타단에는, 오목부(74)가 형성되어 있다.
길이 방향 D1에 인접하는 연결부(70)에 있어서, 한쪽 연결부(70)의 돌출부(73)가, 다른 쪽 연결부(70)의 오목부(74)에 삽입되어 있다. 이에 의해 인접하는 연결부(70)끼리 연결된다. 연결부(71)도 연결부(70)와 마찬가지로 형성되어 있고, 길이 방향 D1에 인접하는 연결부(71)끼리도 연결되어 있다. 이에 의해, 길이 방향 D1에 인접하는 수지 프레임(66)끼리 연결된다.
수지 프레임(66)에 있어서, 접촉편(38)은 연결부(70)보다도 측벽(35)측에 형성되어 있고, 접촉편(39)은 연결부(71)보다도 측벽(36)측에 형성되어 있다.
접촉편(38, 39)의 하단부는 연결부(70, 71)보다도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즉, 연결부(70, 71)는, 적재면(44, 45)에 접촉하고 있지 않다. 이 때문에, 도 11에 도시하는 예에 있어서도, 접촉편(38, 39)은 탄성 변형되어 있고, 접촉편(38, 39)은 적재면(44, 45)에 밀착되어 있다.
도 11에 도시하는 예에 있어서는, 수지 프레임(66)끼리가 연결됨으로써, 각 수지 프레임(66)이 상대적으로 위치 어긋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각 수지 프레임(66)의 접촉편(38)끼리의 사이에 큰 간극이 형성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각 접촉편(39)의 사이에 큰 간극이 형성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접촉편(38, 39)의 시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금회 개시된 실시 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며, 제한적인 것은 아니라고 생각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 의해 나타내는 기술적 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나고, 청구범위와 균등의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Claims (4)

  1. 수용 케이스와,
    상기 수용 케이스 내에 배치된 복수의 축전 셀을 포함하는 축전 모듈과,
    상기 복수의 축전 셀간에 배치된 복수의 수지 프레임을
    구비하고,
    각각의 상기 수지 프레임에는, 상기 수용 케이스의 내주면과 접촉함과 함께 탄성 변형하도록 형성된 접촉편이 형성된, 축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케이스의 저면에는 상방을 향하여 개구되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축전 모듈은, 상기 오목부의 개구부를 폐색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축전 모듈이 상기 오목부의 상기 개구부를 폐색함으로써, 냉각풍이 유통하는 냉각 통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접촉편은, 상기 내주면 중 상기 개구부의 개구 에지부와 인접하는 부분과 접촉하도록 형성된, 축전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축전 셀은, 배열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마련되어 있고,
    상기 배열 방향에 있어서, 상기 축전 모듈의 양단은 상기 수용 케이스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배열 방향의 중앙에 위치하는 상기 수지 프레임에 형성된 접촉편의 탄성 계수는, 상기 배열 방향의 일단측에 위치하는 상기 수지 프레임에 형성된 접촉편의 탄성 계수보다도 높은, 축전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수지 프레임은, 상기 축전 셀의 하면에 배치되는 저판과, 상기 저판에 형성된 연결부를 포함하고,
    인접하는 상기 수지 프레임의 상기 연결부끼리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접촉편은, 상기 저판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고,
    상기 접촉편은 상기 연결부보다도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수용 케이스의 내주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축전 장치.
KR1020210084451A 2020-07-06 2021-06-29 축전 장치 KR2022000539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116304A JP2022014124A (ja) 2020-07-06 2020-07-06 蓄電装置
JPJP-P-2020-116304 2020-07-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5395A true KR20220005395A (ko) 2022-01-13

Family

ID=79167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4451A KR20220005395A (ko) 2020-07-06 2021-06-29 축전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20006149A1 (ko)
JP (1) JP2022014124A (ko)
KR (1) KR20220005395A (ko)
CN (1) CN11390404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73228B2 (ja) * 2022-02-01 2023-11-02 株式会社大都技研 遊技台
JP7305215B1 (ja) * 2022-02-01 2023-07-10 株式会社大都技研 遊技台
JP7368870B2 (ja) * 2022-02-01 2023-10-25 株式会社大都技研 遊技台
JP7305216B1 (ja) * 2022-02-01 2023-07-10 株式会社大都技研 遊技台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73387B2 (ja) * 2011-06-23 2015-02-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電源装置
JP5944178B2 (ja) * 2012-02-22 2016-07-05 株式会社東芝 電池ユニット
JP5365715B2 (ja) * 2012-03-12 2013-12-11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池パック
JP6238106B2 (ja) * 2013-04-08 2017-11-29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モジュール、蓄電装置及び風路接続部材
JP6287384B2 (ja) * 2013-04-08 2018-03-07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装置
JP6562297B2 (ja) * 2015-07-07 2019-08-21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装置、及びスペーサ
JP6477366B2 (ja) * 2015-09-01 2019-03-0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パック
JP6536497B2 (ja) * 2016-06-30 2019-07-0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パック
JP6717189B2 (ja) * 2016-12-22 2020-07-0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蓄電装置
JP7087663B2 (ja) * 2017-08-22 2022-06-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蓄電モジュール
CN207116553U (zh) * 2017-08-31 2018-03-16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固定架、电池单元以及电池模组
CN109428019A (zh) * 2017-08-31 2019-03-05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框体以及电池模组
JP7002270B2 (ja) * 2017-09-29 2022-01-2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バッテリパック
KR102640329B1 (ko) * 2018-10-19 2024-02-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CN209119184U (zh) * 2018-11-21 2019-07-16 万向一二三股份公司 一种电动汽车电池模组减震固定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904046A (zh) 2022-01-07
US20220006149A1 (en) 2022-01-06
JP2022014124A (ja) 2022-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05395A (ko) 축전 장치
KR102162968B1 (ko) 확장형 배터리 모듈 구조를 갖는 배터리 팩
KR101909215B1 (ko) 전지 서브 모듈 캐리어, 전지 서브 모듈, 전지 시스템 및 자동차
US10804510B2 (en) Battery pack including a fixing member
JP5208548B2 (ja) バッテリパック、バッテリパックの梱包方法および組立て方法
US20220140428A1 (en) Battery module having module housing of thin plate typ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US20120086176A1 (en) Seal structure using gasket
US8835043B2 (en) Battery pack
US20210167340A1 (en) Battery module
US10535850B2 (en) In-vehicle battery pack
US20220029238A1 (en) Battery Module with Double Fixing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17103158A (ja) 電池パック
KR20160109155A (ko) 배터리 팩
KR20180132338A (ko) 배터리 팩과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WO2016189745A1 (ja) バッテリーケース、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および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JP4581177B2 (ja) 電源装置
US20220376341A1 (en) Battery modu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215600464U (zh) 电池箱体及电池包、车辆
US20220407193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battery module
JP7149253B2 (ja) 蓄電装置
JP7154382B2 (ja) バッテリーパック及びそれを含む自動車
US20220166100A1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JP6820558B2 (ja) 蓄電池モジュール
KR20220033855A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US20230020679A1 (en) Power storag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