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2395A - 흡착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흡착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2395A
KR20220002395A KR1020217037781A KR20217037781A KR20220002395A KR 20220002395 A KR20220002395 A KR 20220002395A KR 1020217037781 A KR1020217037781 A KR 1020217037781A KR 20217037781 A KR20217037781 A KR 20217037781A KR 20220002395 A KR20220002395 A KR 202200023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orption
adsorption
cylindrical rotor
region
sea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7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츠야 가가타
츠토무 스기우라
다이키 고노
Original Assignee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002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23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D53/06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moving adsorbents, e.g. rotating be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38Removing components of undefined structure
    • B01D53/44Organic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1Solid phase processes
    • B01D53/83Solid phase processes with moving react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paration Of Gases By Adsorption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이 흡착 처리 장치의 시일체(40)는, 원통상 로터의 회전 방향으로 병설되는 복수의 시일 부재(430)와, 복수의 시일 부재(430)를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 부재(411)를 포함하고, 시일체(40)는, 복수의 시일 부재(430)가 흡착 영역(R2)과 탈착 영역(R1)을 칸막이하도록, 원통상 로터(90)가 회전할 때 칸막이체(20)에 접동하면서 접촉 가능하도록, 탈착 입구 경로 부재(4) 및 탈착 출구 경로 부재(5)에 설치되고, 복수의 시일 부재(430) 중의 칸막이체(20)에 접촉 접동하는 시일 부재(430)에 의해, 흡착 영역(R2)과 탈착 영역(R1)이 기밀적으로 구획되는, 흡착 처리 장치.

Description

흡착 처리 장치
본 발명은 흡착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VOC를 포함하는 공장 배기 가스를 흡착 농축에 의해 처리하는 경우, 그 배기 가스에는 VOC 이외에 흡착 성능을 저하시키는 가스상 물질이 포함되는 경우가 있다. 흡착 성능이 저하된 흡착체는, 교환이 필요하게 된다.
디스크형 흡착 처리 장치에 구비되는 흡착체는, 특수 일체 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제조 비용이 비교적 고가가 된다. 또한, 이 흡착체를 교환할 때에는, 전체적으로 교환할 필요가 생겨 교환 작업에 노동력이 소요된다.
한편, 실린더형 흡착 처리 장치에 구비되는 복수의 흡착체는, 각각 정형(定型)을 갖고 있기 때문에 그 제조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 흡착체를 교환할 때에는, 부분적으로 교환할 수 있기 때문에, 교환 작업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가스상 물질 이외의 요인에 있어서도 흡착 성능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고, 예를 들어 그 요인의 하나로서, 미스트, 분진을 들 수 있다. 미스트, 분진이 피처리 유체에 포함되는 경우에는, 이들에 의해 흡착재의 눈막힘이 발생한다.
디스크형 흡착 처리 장치에 있어서는, 흡착 구획과 탈착 구획을 구획하는 시일 부재가 흡착체에 직접 접촉한 상태에서, 흡착체가 회전한다. 이 때문에, 피처리 유체에 포함되는 미스트, 분진을 시일 부재에 의해 흡착체에 압박하는 것이 되고, 흡착체의 눈막힘을 조장시키는 경우가 있다.
한편, 실린더형 흡착 처리 장치에 있어서는, 흡착 구획과 탈착 구획을 구획하는 시일 부재는 흡착체에 직접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미스트, 분진에 의한 흡착체의 눈막힘을 조장할 일이 없다.
이상과 같이, 흡착 성능을 고려하면, 흡착체에 영향을 주는 물질을 포함하는 피처리 유체를 처리하는 경우에는, 실린더형 흡착 처리 장치는, 디스크형 흡착 처리 장치보다도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실린더형 흡착 처리 장치가, 국제 공개 제2017/006785호(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국제 공개 제2017/006785호 공보
근년, 흡착 처리 장치에 있어서는, 대형화에 수반하여 당해 흡착 처리 장치를 구성하는 부재도 커지고 있다. 이 때문에, 상술한 시일 부재 등의 소모재에 관해서는,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는 것이 요구된다.
상기 특허문헌 1에 있어서는, 피접동 부재에 접동하는 시일 부재를 교환할 수 있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시일 부재는, 회전 구동하는 회전체측의 전체 둘레에 마련되기 때문에, 시일 부재의 장착, 교환에는 아직 많은 작업 공정수가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시일 부재의 장착 등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구성을 구비하는 흡착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에 기초하는 흡착 처리 장치는, 공기 유로를 갖는 흡착체와 공기 유로가 없는 칸막이체가 교호로 배치되고, 축 둘레로 회전 가능한 환상 형상의 원통상 로터와, 상기 원통상 로터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흡착체에 피처리 가스를 상기 흡착체에 통기시키고, 함유하는 유기 용제가 상기 흡착체에 흡착된 청정 가스를 상기 원통상 로터의 내측으로부터 배기시키는 흡착 영역과, 상기 원통상 로터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흡착체에 가열 가스를 통기시키고, 상기 흡착체로부터 상기 유기 용제가 탈착된 농축 가스를 상기 원통상 로터의 외측으로부터 배기시키는 탈착 영역과, 상기 원통상 로터가 상기 축 둘레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원통상 로터의 둘레 방향으로 상기 흡착 영역으로부터 상기 탈착 영역으로 이행하는 회전 기구와, 상기 흡착 영역과 상기 탈착 영역을 칸막이하는 시일체와, 상기 탈착 영역의 상기 가열 가스를 통기시키는 경로를 형성하는 탈착 입구 경로 부재와, 상기 탈착 영역의 상기 농축 가스를 통기시키는 경로를 형성하는 탈착 출구 경로 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시일체는, 상기 원통상 로터의 회전 방향으로 병설되는 복수의 시일 부재와, 복수의 상기 시일 부재를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시일체는, 복수의 상기 시일 부재가, 상기 흡착 영역과 상기 탈착 영역을 칸막이하도록, 상기 원통상 로터가 회전할 때 상기 칸막이체에 접동하면서 접촉 가능하도록, 상기 탈착 입구 경로 부재 및 상기 탈착 출구 경로 부재에 설치되고, 복수의 상기 시일 부재 중 상기 칸막이체에 접촉 접동하는 상기 시일 부재에 의해, 상기 흡착 영역과 상기 탈착 영역이 기밀적으로 구획된다.
다른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칸막이체는, 상기 시일 부재의 접촉면이 상기 시일 부재측으로 팽출되는 형상이다.
다른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시일체는, 상기 탈착 입구 경로 부재 및 상기 탈착 출구 경로 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이 흡착 처리 장치에 따르면, 시일 부재의 장착 등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구성을 구비하는 흡착 처리 장치의 제공을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실시 형태의 흡착 처리 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 중의 II-II선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원통상 로터의 요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시일체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내측 시일체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시일 부재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외측 시일체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다른 형태의 칸막이체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다른 실시 형태의 흡착 처리 장치의 외관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실시 형태의 흡착 처리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 형태 및 실시예에 있어서, 개수, 양 등에 언급하는 경우, 특히 기재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반드시 그 개수, 양 등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동일한 부품, 상당 부품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붙여, 중복되는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도면에 있어서는, 실제의 치수 비율에 따라 도시하고 있지 않고, 구조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구조가 명확해지도록 비율을 변경하여 도시하고 있는 개소가 있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흡착 처리 장치의 종단면도, 도 2는, 도 1에서의 II-II선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원통상 로터의 요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흡착 처리 장치(1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흡착 처리 장치(100)는, 처리실(1) 내에 공급된 대풍량의 피처리 유체 F1에 포함되는 피처리 물질을 후술하는 흡착체(30)를 사용하여 흡착 제거하고, 청정화된 청정 공기 F2를 배출한다. 흡착 처리 장치(100)는, 흡착 제거된 피처리 물질이 흡착된 흡착체(30)에 소량의 가열 유체 F3을 분사함으로써, 당해 흡착체(30)로부터 피처리 물질을 탈착시키고 농축 유체 F4로서 배출한다.
피처리 물질의 흡착 처리는, 후술하는 원통상 로터(90)의 흡착 영역 R2(도 3 참조)에서 행해진다. 흡착 영역 R2는, 흡착 영역에 상당한다. 피처리 물질의 탈착 처리는, 후술하는 원통상 로터(90)의 탈착 영역 R1(도 3 참조)에서 행해진다.
원통상 로터(90)에는, 원통상 로터(90)를 통축 C 둘레로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기구 M1이 마련되어 있다. 원통상 로터(90)가 통축 C 둘레로 회전함으로써, 탈착 영역 R1을 통과하여 흡착 영역 R2에 위치하는 흡착체(30)에 대해 흡착 처리가 행해져, 흡착 처리 후에 흡착 영역 R2를 통과하여 탈착 영역 R1에 위치하는 흡착체(30)에 대해 탈착 처리가 행해진다. 이와 같이, 흡착 처리 장치(100)에 있어서는, 흡착 처리 및 탈착 처리가 연속적으로 실시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흡착 처리 장치(100)는, 회전체로서의 원통상 로터(90), 제1 유로 형성 부재(2), 입구부측 유로 형성 부재로서의 내주측 유로 형성 부재(4) 및 출구부측 유로 형성 부재로서의 외주측 유로 형성 부재(5)를 구비한다.
원통상 로터(90)는, 처리실(1) 내에 설치된다. 원통상 로터(90)는, 직경 방향으로 유체를 유동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있다. 원통상 로터(90)는, 통축 C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원통상 로터(90)는, 통축 C 방향이 연직 방향을 향하게 하여, 지주 등의 복수의 지지 부재(6)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원통상 로터(90)는, 1쌍의 원반(10) , 복수의 칸막이체(20) 및 복수의 흡착체(30)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1쌍의 원반(10)은,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1쌍의 원반(10)은, 제1 원반(11)과 제2 원반(12)을 포함한다. 제1 원반(11)의 중앙부에는, 개구부(11a)가 마련되어 있다. 제1 원반(11)과 제2 원반(12)은, 원통상 로터(90)의 통축 C 방향으로부터 본 경우에 중심 위치가 겹치도록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제1 원반(11) 및 제2 원반(12)은, 이들 사이에 칸막이체(20) 및 흡착체(30)를 배치할 수 있도록 거리를 이격하여 마련되어 있다.
복수의 칸막이체(20)는, 1쌍의 원반(10) 사이의 공간을 둘레 방향으로 서로 독립된 복수의 공간부 S(도 3 참조)로 칸막이한다.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칸막이체(20)는, 통축 C 방향으로부터 본 경우에, 제1 원반(11)과 제2 원반(12)이 겹치는 부분에 있어서의 1쌍의 원반(10) 사이의 공간을, 둘레 방향으로 서로 독립된 복수의 공간부 S로 칸막이한다.
복수의 칸막이체(20)는, 그들의 중심 O(도 3 참조)가 소정의 피치로 둘레 방향으로 나열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칸막이체(20)는, 통축 C 방향으로 기밀 및/또는 액밀이 되도록 1쌍의 원반(10) 사이에 장착되어 있다.
복수의 흡착체(30)의 각각은, 서로 독립된 복수의 공간부 S에 수용되어 있다. 복수의 흡착체(30)는, 소정의 피치로 둘레 방향으로 나열되어 있다. 흡착체(30)는, 예를 들어 블록 형상을 갖는다.
흡착체(30)는, 활성 알루미나, 실리카 겔, 활성탄, 제올라이트 중의 어느 것을 포함하는 흡착재로 구성된다. 적합하게는, 흡착체(30)는, 입상, 분체상, 하니컴상 등의 활성탄, 제올라이트가 이용된다. 활성탄, 제올라이트는, 저농도의 유기 화합물을 흡착 및 탈착하는 데 우수하다. 하니컴상으로 함으로써, 유체의 압력 손실을 저감시킬 수 있고, 처리 능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티끌 등의 고형물에 의한 눈막힘을 억제할 수 있다.
1쌍의 원반(10) 사이에서, 복수의 칸막이체(20)와 복수의 흡착체(30)를 교호로 둘레 방향으로 복수 나열하여 원통상으로 함으로써 구성되는 원통상 로터(90)에 있어서는, 제1 원반(11)의 개구부(11a)에 연통되도록 중앙 공간부(90a)가 형성된다.
제1 유로 형성 부재(2)의 일단측은, 제1 유로 형성 부재(2)의 내부와 원통상 로터(90)의 중앙 공간부(90a)를 기밀하게 유지하면서, 원통상 로터(90)가 통축 C 둘레가 회전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제1 유로 형성 부재(2)의 일단측에는 플랜지부가 마련되어 있고, 당해 플랜지부와 개구부(11a)의 주연에 위치하는 부분의 제1 원반(11)에 의해 환상의 시일 부재를 협지한다. 제1 유로 형성 부재(2)의 타단측은, 처리실(1) 밖으로 인출되어 있다.
원통상 로터(90)의 내주측인 중앙 공간부(90a)에는, 탈착 입구 경로 부재를 구성하는 내주측 유로 형성 부재(4)가 배치되어 있다. 원통상 로터(90)의 외주측에는, 탈착 출구 경로 부재를 구성하는 외주측 유로 형성 부재(5)가 배치되어 있다. 내주측 유로 형성 부재(4) 및 외주측 유로 형성 부재(5)는,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원통상 로터(90)의 일부를 끼워 넣도록, 원통상 로터(90)의 내주측 및 외주측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내주측 유로 형성 부재(4)는, 중앙 공간부(90a) 내를 통축 C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개구부(11a)로부터 원통상 로터(90)의 외측을 향하여 연장 돌출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내주측 유로 형성 부재(4)의 일단측에는, 원통상 로터(90)의 내주측으로 마주보는 내주측 개구 단부(4a)가 마련되어 있다. 내주측 개구 단부(4a)에 있어서의 개구면은, 둘레 방향에 있어서 원통상 로터(90)의 내주측의 일부의 영역에 대해 대향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당해 개구면은, 내주측 유로 형성 부재(4)의 제1 원반(11) 및 제2 원반(12) 사이에 걸쳐 통축 C 방향으로 원통상 로터(90)의 내주측에 대향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내주측 유로 형성 부재(4)의 타단측은, 제1 유로 형성 부재(2)에 형성된 개구부(2a)로부터 제1 유로 형성 부재(2)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외주측 유로 형성 부재(5)의 일단측에는, 원통상 로터(90)의 외주측으로 마주보는 외주측 개구 단부(5a)가 마련되어 있다. 외주측 개구 단부(5a)의 개구면은, 둘레 방향에 있어서 원통상 로터의 외주측의 일부의 영역에 대향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당해 개구면은, 제1 원반(11) 및 제2 원반(12) 사이에 걸쳐 통축 C 방향으로 원통상 로터(90)의 외주측에 대향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통상 로터(90)는, 둘레 방향으로 구획된 탈착 영역 R1 및 흡착 영역 R2를 포함한다. 복수의 흡착체(30)는, 원통상 로터(90)가 회전함으로써, 탈착 영역 R1과 흡착 영역 R2를 교호로 이동한다.
원통상 로터(90)는, 내주측 개구 단부(4a) 및 외주측 개구 단부(5a)에, 시일체(40)가 마련되어 있다. 이 시일체(40)의 상세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시일체(40)는, 원통상 로터(90)의 회전 방향(도 2, 도 3 중 화살표 방향)으로 병설된다. 시일체(40)는, 내측 시일체(41)와 외측 시일체(42)를 포함한다.
내측 시일체(41)는, 내주측 개구 단부(4a)를 원통상 로터(90)의 상류측 및 하류측으로부터 끼워 넣도록 1쌍으로 마련되어 있다. 외측 시일체(42)도, 외주측 개구 단부(5a)를 원통상 로터(90)의 상류측 및 하류측으로부터 끼워 넣도록 1쌍으로 마련되어 있다.
칸막이체(20)는, 시일체(40)에 마련되는 시일 부재(430)(도 6 참조)가 접동하면서 접촉하는 접촉면(21, 22)을 포함한다. 칸막이체(20)는, 통축 C 방향으로부터 본 경우에는, 사다리꼴 형상을 갖고 있다.
이어서,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의 시일체(4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시일체의 확대 사시도, 도 5는, 내측 시일체(41)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시일 부재(430)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외측 시일체(42)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시일체(40)는, 내주측 개구 단부(4a) 측에 배치되는 1쌍의 내측 시일체(41)와, 외주측 개구 단부(5a) 측에 배치되는 1쌍의 외측 시일체(42)를 포함한다.
내측 시일체(41)에는, 미리 복수의 볼트 구멍 BH가 마련되고, 내주측 개구 단부(4a) 측에 볼트 등을 사용하여 체결 고정된다. 외측 시일체(42)에도, 미리 복수의 볼트 구멍 BH가 마련되고, 내주측 개구 단부(4a) 측에 볼트 등을 사용하여 체결 고정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측 시일체(41)는, 통축 C의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베이스 부재(411)와, 이 베이스 부재(411)에 볼트 B 등을 사용하여 고정되는 복수의 시일 부재(430)를 포함한다. 베이스 부재(411)는, 통축 C의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베이스(411b)와, 통축 C의 축 방향의 베이스(411b)의 단부에 마련되어 단부 브래킷(411a)과, 베이스(411b)의 측부에 마련되는 측부 브래킷(411c)을 포함한다. 베이스(411b)는, 원통상 로터(90)의 내측 원호 형상을 따르도록 만곡 형상으로 마련되어 있다. 단부 브래킷(411a) 및 측부 브래킷(411c)에는, 상술한 볼트 구멍 BH가 마련되어 있다.
내측 시일체(41)에는, 5개소에 시일 부재(430)가 고정되어 있다. 내측 시일체(41)에 마련되는 시일 부재(430)의 수량은, 흡착 처리 장치(100)에 요구되는 사양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일 부재(430)의 횡단면이며, 통축 C의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시일 부재(430)는, 고무 부재 등을 포함하는 시트상의 시일체(431)가, 단면이 C자 형상의 내측 끼워 넣기 플레이트(432) 및 외측 끼워 넣기 플레이트(433)에 끼워 넣어짐으로써, 시일체(431)가 2열로 기립하는 구성을 갖고 있다. 기립하는 시일체(431)의 피치는, 바람직하게는 칸막이체(20)의 내측의 접촉면(21)의 폭보다도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한쪽 시일체(431)에 문제가 생겨도, 다른 쪽 시일체(431)에 의해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시일체(431)가, 내측 끼워 넣기 플레이트(432) 및 외측 끼워 넣기 플레이트(433)에 끼워 넣어진 상태에서, 볼트 체결을 사용하여, 베이스(411b)에 공체결에 의해 고정된다.
도 7을 참조하여, 외측 시일체(42)는, 통축 C의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베이스 부재(421)와, 이 베이스 부재(421)에 볼트 B 등을 사용하여 고정되는 복수의 시일 부재(430)를 포함한다. 베이스 부재(421)는, 통축 C의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베이스(421b)와, 통축 C의 축 방향의 베이스(421b)의 단부에 마련되어 단부 브래킷(421a)과, 베이스(421b)의 측부에 마련되는 측부 브래킷(421c)을 포함한다. 베이스(421b)는, 원통상 로터(90)의 외측 원호 형상을 따르도록 만곡 형상으로 마련되어 있다. 단부 브래킷(421a) 및 측부 브래킷(421c)에는, 상술한 볼트 구멍 BH가 마련되어 있다.
외측 시일체(42)에는, 5개소에 시일 부재(430)가 고정되어 있다. 외측 시일체(42)에 마련되는 시일 부재(430)는, 내측 시일체(41)와는 폭만 다르고, 구성은 동일하다. 기립하는 시일체(431)의 피치는, 바람직하게는 칸막이체(20)의 외측의 접촉면(22)의 폭보다도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한쪽 시일체(431)에 문제가 생겨도, 다른 쪽 시일체(431)에 의해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내측 시일체(41)에 마련되는 시일 부재(430)의 수량은, 흡착 처리 장치(100)에 요구되는 사양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의 구성을 구비하는 시일체(40)가, 복수의 시일 부재(430)가, 흡착 영역 R2와 탈착 영역 R1을 칸막이하도록, 원통상 로터(90)가 회전할 때 칸막이체(20)에 접동하면서 접촉 가능하도록, 탈착 입구 경로 부재인 내주측 유로 형성 부재(4) 및 탈착 출구 경로 부재인 외주측 유로 형성 부재(5)에 설치되어 있는 점에서, 복수의 시일 부재(430) 중 칸막이체(20)에 접촉 접동하는 시일 부재(430)에 의해, 흡착 영역 R2와 탈착 영역 R1이 기밀적으로 구획되게 된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원통상 로터(90)는, 내주측 유로 형성 부재(4) 및 외주측 유로 형성 부재(5)에 대해 기밀하게 연통하는 탈착 영역 R1과, 내주측 유로 형성 부재(4) 및 외주측 유로 형성 부재(5)에는 연통하지 않고, 탈착 영역 R1과는, 다른 유로를 구성하는 흡착 영역 R2에 구획된다.
탈착 영역 R1 및 흡착 영역 R2에는, 각각 유체가 도입된다. 흡착 영역 R2를 통과하는 유체가 흐르는 방향과, 탈착 영역 R1을 통과하는 유체가 흐르는 방향은, 원통상 로터(90)의 직경 방향의 방향에 있어서 역방향인 것이 바람직하다.
흡착 영역 R2에는, 내주측 유로 형성 부재(4)의 주위에 위치하는 부분의 원통상 로터(90)의 중앙 공간부(90a)를 통과하고, 제1 원반(11)의 개구부(11a)로부터 유출하도록, 원통상 로터(90)의 외주측으로부터 내주측을 향하여 유체가 도입된다.
한편, 탈착 영역 R1에는, 제1 원반(11)의 개구부(11a)를 통과하는 내주측 유로 형성 부재(4)를 지나고 나서 원통상 로터(90)의 내주측으로부터 외주측을 향하도록 유체가 도입된다.
흡착 영역 R2에 도입되는 유체는, 배기 가스 등의 피처리 유체이다. 당해 피처리 유체에는, 피처리 물질로서의 유기 용제가 포함된다. 흡착 영역 R2에 있어서는, 피처리 유체의 청정화가 행해진다.
청정화 시에, 우선, 원통상 로터(90)의 흡착 영역 R2에 대해, 원통상 로터(90)의 외주측으로부터 내주측을 향하도록 배기 가스를 도입한다. 흡착 영역 R2에 도입된 배기 가스는, 직경 방향을 따라 원통상 로터(90)를 통과할 때 흡착 영역 R2에 위치하는 복수의 흡착체(30)에 의해 유기 용제가 흡착 제거됨으로써, 청정화된다.
청정화된 배기 가스는, 청정 공기로서 흡착 영역 R2로부터 원통상 로터(90)의 중앙 공간부(90a)에 유입된다. 원통상 로터(90)의 중앙 공간부(90a)에 유입된 청정 공기는, 내주측 유로 형성 부재(4)의 주위에 위치하는 부분의 원통상 로터의 중앙 공간부(90a)를 통과하여, 제1 원반(11)의 개구부(11a)로부터 유출된다. 개구부(11a)로부터 유출된 청정 공기는, 제1 유로 형성 부재(2)를 통하여 처리실(1) 밖으로 배출된다.
탈착 영역 R1에 도입되는 유체는, 가열 공기 등의 가열 유체이다. 탈착 영역 R1에 있어서는, 흡착체(30)에 흡착된 유기 용제를 탈착함으로써, 흡착체(30)의 재생을 행함과 함께, 유기 용제의 농도가 높아진 농축 유체를 생성한다.
유기 용제의 탈착을 행하기 위해서는, 내주측 유로 형성 부재(4)의 타단측으로부터 가열 공기를 도입한다. 내주측 유로 형성 부재(4)의 타단측으로부터 도입된 가열 공기는, 제1 원반(11)의 개구부(11a)를 통과하는 내주측 유로 형성 부재(4)의 내부를 지나, 내주측 유로 형성 부재(4)의 일단측으로부터, 탈착 영역 R1에 도입된다.
탈착 영역 R1에 도입된 가열 공기는, 원통상 로터(90)의 내주측으로부터 외주측을 향하여 원통상 로터(90)를 통과할 때 열에 의해 탈착 영역 R1에 위치하는 복수의 흡착체(30)로부터 이들에 흡착되어 있는 유기 용제를 탈착시킨다. 유기 용제를 포함한 가열 공기는, 농축 유체로서, 탈착 영역 R1로부터 외주측 유로 형성 부재(5)로 배출된다. 외주측 유로 형성 부재(5)로 배출된 농축 유체는, 회수 또는 연소 등의 후처리가 이루어지는 후처리 장치에 도입된다.
이때, 시일체(40)에 마련되는 복수의 시일 부재(430)가, 흡착 영역 R2와 탈착 영역 R1을 칸막이하도록, 원통상 로터(90)가 회전할 때 칸막이체(20)에 접동하면서 접촉 가능하도록, 탈착 입구 경로 부재인 내주측 유로 형성 부재(4) 및 탈착 출구 경로 부재인 외주측 유로 형성 부재(5)에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복수의 시일 부재(430) 중 칸막이체(20)에 접촉 접동하는 시일 부재(430)에 의해, 흡착 영역 R2와 탈착 영역 R1이 기밀적으로 구획된다.
시일체(40)는, 복수의 시일 부재(430)가 일체로서 구성되어 있는 점에서, 흡착 처리 장치(100)의 조립 시에, 용이하게 시일체(40)를 내주측 개구 단부(4a) 및 외주측 개구 단부(5a)에 장착할 수 있다.
흡착 처리 장치(100)의 가동 후에, 시일 부재(430)에 손상이 생긴 경우, 시일 부재(430)의 교환 시기가 도래한 경우에도, 시일체(40)를 부품으로서 취급하는 것에 의해, 용이하게 새로운 시일체(40)로 교환할 수도 있게 된다.
(다른 칸막이체(20A))
도 8을 참조하여, 다른 형태의 칸막이체(20A)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다른 형태의 칸막이체(20A)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칸막이체(20)의 접촉면(21) 및 접촉면(22)은, 평탄면이었지만, 도 8에 도시하는 칸막이체(20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일 부재(430)측에 팽출하는 접촉면(21a) 및 접촉면(22a)의 형상이어도 된다. 이에 의해, 시일체(431)와의 접촉 면적이 확대되고, 시일 부재(430)에 의한 기밀성의 확보를 더욱 높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른 흡착 처리 장치(100A))
상기 실시 형태의 흡착 처리 장치(100)는, 원통상 로터(90)의 통축 C가 연직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배치된 종형 흡착 처리 장치였다. 그러나, 이 구성에 한하지 않고, 상기 구성을, 도 9의 흡착 처리 장치(100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통상 로터(90)의 통축 C가 수평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배치된 횡형의 흡착 처리 장치(100A)에서도, 종형의 흡착 처리 장치(100)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금회 개시된 실시 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며 제한적인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지고, 청구범위와 균등의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된다.
1: 처리실
2: 로 형성 부재
2a, 11a: 개구부
4: 내주측 유로 형성 부재
4a: 내주측 개구 단부
5: 외주측 유로 형성 부재
5a: 외주측 개구 단부
6: 지지 부재
10: 원반
11: 제1 원반
12: 제2 원반
20, 20A: 칸막이체
21, 21a, 22, 22a: 접촉면
30: 흡착체
40: 시일체
41: 내측 시일체
42: 외측 시일체
90: 원통상 로터
90a: 중앙 공간부
100, 100A: 흡착 처리 장치
411, 421: 베이스 부재
411a, 421a: 단부 브래킷
411b, 421b: 베이스
411c, 421c: 측부 브래킷
430: 시일 부재
431: 시일재
432, 433: 플레이트
BH: 볼트 구멍
M1: 회전 기구
R1: 탈착 영역
R2: 흡착 영역.

Claims (3)

  1. 공기 유로를 갖는 흡착체와 공기 유로가 없는 칸막이체가 교호로 배치되고, 축 둘레로 회전 가능한 환상 형상의 원통상 로터와,
    상기 원통상 로터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흡착체에 피처리 가스를 상기 흡착체에 통기시키고, 함유하는 유기 용제가 상기 흡착체에 흡착된 청정 가스를 상기 원통상 로터의 내측으로부터 배기시키는 흡착 영역과,
    상기 원통상 로터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흡착체에 가열 가스를 통기시키고, 상기 흡착체로부터 상기 유기 용제가 탈착된 농축 가스를 상기 원통상 로터의 외측으로부터 배기시키는 탈착 영역과,
    상기 원통상 로터가 상기 축 둘레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원통상 로터의 둘레 방향으로 상기 흡착 영역으로부터 상기 탈착 영역으로 이행하는 회전 기구와,
    상기 흡착 영역과 상기 탈착 영역을 칸막이하는 시일체와,
    상기 탈착 영역의 상기 가열 가스를 통기시키는 경로를 형성하는 탈착 입구 경로 부재와,
    상기 탈착 영역의 상기 농축 가스를 통기시키는 경로를 형성하는 탈착 출구 경로 부재
    를 구비하고,
    상기 시일체는,
    상기 원통상 로터의 회전 방향으로 병설되는 복수의 시일 부재와,
    복수의 상기 시일 부재를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시일체는,
    복수의 상기 시일 부재가, 상기 흡착 영역과 상기 탈착 영역을 칸막이하도록, 상기 원통상 로터가 회전할 때 상기 칸막이체에 접동하면서 접촉 가능하도록, 상기 탈착 입구 경로 부재 및 상기 탈착 출구 경로 부재에 설치되고,
    복수의 상기 시일 부재 중 상기 칸막이체에 접촉 접동하는 상기 시일 부재에 의해, 상기 흡착 영역과 상기 탈착 영역이 기밀적으로 구획되는, 흡착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체는, 상기 시일 부재의 접촉면이 상기 시일 부재측으로 팽출되는 형상인, 흡착 처리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체는, 상기 탈착 입구 경로 부재 및 상기 탈착 출구 경로 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는, 흡착 처리 장치.
KR1020217037781A 2019-04-26 2020-03-27 흡착 처리 장치 KR2022000239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085911 2019-04-26
JPJP-P-2019-085911 2019-04-26
PCT/JP2020/014228 WO2020217857A1 (ja) 2019-04-26 2020-03-27 吸着処理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395A true KR20220002395A (ko) 2022-01-06

Family

ID=72942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7781A KR20220002395A (ko) 2019-04-26 2020-03-27 흡착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WO2020217857A1 (ko)
KR (1) KR20220002395A (ko)
CN (1) CN113747964A (ko)
TW (1) TWI826680B (ko)
WO (1) WO20202178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75464A1 (en) * 2022-03-18 2023-09-21 Svante Inc. Scalable multi-selector valve and seal syst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06785A1 (ja) 2015-07-03 2017-01-12 東洋紡株式会社 吸着処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31424U (ko) * 1981-02-12 1982-08-16
JPH0694185B2 (ja) * 1990-02-27 1994-11-24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フツ素ゴムスポンジ積層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ハニカムロータ装置
US5057128A (en) * 1990-07-03 1991-10-15 Flakt, Inc. Rotary adsorption assembly
US5169414A (en) * 1990-07-03 1992-12-08 Flakt, Inc. Rotary adsorption assembly
JPH04131424U (ja) * 1991-05-23 1992-12-03 日立造船株式会社 NOx含有ガスの浄化装置
AU5466400A (en) * 1999-06-04 2000-12-28 Flair Corporation Rotating drum adsorber process and system
JP4004195B2 (ja) * 1999-10-29 2007-11-07 株式会社大気社 回転型吸脱着式ガス処理装置
JP2006068582A (ja) * 2004-08-31 2006-03-16 Seibu Giken Co Ltd 回転式ガス吸着濃縮装置
JP4960985B2 (ja) * 2009-03-27 2012-06-27 株式会社大気社 吸着ロータ式ガス処理装置、及び、吸着ロータ製造方法
JP6276083B2 (ja) * 2014-03-26 2018-02-07 株式会社西部技研 回転式ガス吸着濃縮装置
CN207254040U (zh) * 2017-08-03 2018-04-20 可迪尔空气技术(北京)有限公司 筒式沸石转轮浓缩装置
CN108295620A (zh) * 2018-01-26 2018-07-20 华北理工大学 一种沸石转筒及其吸附净化系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06785A1 (ja) 2015-07-03 2017-01-12 東洋紡株式会社 吸着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747964A (zh) 2021-12-03
JPWO2020217857A1 (ko) 2020-10-29
TW202108228A (zh) 2021-03-01
WO2020217857A1 (ja) 2020-10-29
TWI826680B (zh) 2023-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16003B2 (ja) 吸着処理装置
EP0537294B1 (en) Rotary adsorption assembly
CN106881004B (zh) 用于挥发性有机物处理系统的吸附脱附装置
US4946479A (en) Apparatus for solvent recovery
CN107708839B (zh) 吸附处理装置
JPH06343814A (ja) 回転吸脱着式ガス処理装置
KR20220002395A (ko) 흡착 처리 장치
CN105960270B (zh) 硬界面动态密封件
JP7028161B2 (ja) 吸着処理装置
JP2004160444A (ja) 乾燥空気供給装置及び処理装置
JP4250380B2 (ja) ガス濃縮装置及びガス濃縮方法
KR101794749B1 (ko) 스택타입 필터를 갖는 휘발성 유기화합물 가스 농축 처리장치
CN211562405U (zh) 筒式废气处理设备
JPH10156128A (ja) 円筒回転式ガス濃縮装置
TWI586423B (zh) 轉輪、流體處理設備及處理材塊體拆卸方法
JPH10146514A (ja) 排ガス処理装置
KR101362705B1 (ko) 유기 화합물 가스 농축장치
WO2021240781A1 (ja) 吸着ユニット、吸着処理装置、および、処理システム
WO2023203888A1 (ja) 吸着ロータ及びその収納装置
CN216909760U (zh) 一种VOCs废气净化装置
KR100526636B1 (ko) 유기용제 흡착 농축설비
KR20160149671A (ko) 필터 회전형 휘발성 가스 처리장치
KR20180129218A (ko) 분획된 원통형 회전체를 이용한 유해성 화합물을 흡착 농축하는 방법
JP3244814B2 (ja) 回転バルブ式連続ガス分離装置
CN114288821A (zh) 一种VOCs废气净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